KR20210045412A - 선삭 공구 - Google Patents

선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412A
KR20210045412A KR1020217006196A KR20217006196A KR20210045412A KR 20210045412 A KR20210045412 A KR 20210045412A KR 1020217006196 A KR1020217006196 A KR 1020217006196A KR 20217006196 A KR20217006196 A KR 20217006196A KR 20210045412 A KR20210045412 A KR 20210045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section
fluid passage
fluid
too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베르트 뷔어클레
Original Assignee
발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발터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1004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0Cutting tools with special provision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 시트를 갖는 공구 보디 및 공구 보디에 절삭 인서트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 공구 보디에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안내 블록, 입구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갖는 유체 통로로서, 냉각 유체를 유체 통로의 입구 단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출구로 안내하도록 배치된, 상기 유체 통로를 포함하는 선삭 공구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절삭 인서트에서 절삭 날과 관련된 클리어런스 표면을 향해 냉각 유체의 제트를 분출하도록 배치되고,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은 공구 보디를 통해 연장되고,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은 안내 블록을 통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안내 블록에서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의 단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동일한 선삭 공구로 내부 선삭을 허용하는 동시에 외부 선삭 작업 동안에 절삭 인서트의 클리어런스 표면의 최적화된 냉각을 허용하는 선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이 양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선삭 공구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 적어도 공구 보디 또는 안내 블록은, 안내 블록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냉각 유체의 제트가 제 1 라인을 따라 분출되도록 그리고 안내 블록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냉각 유체의 제트가 제 2 라인을 따라 분출되도록 배치되고, 제 1 라인 및 제 2 라인은 상이한 배향을 갖고 출구 (19, 20) 로부터 하류 방향의 위치에서 서로 교차한다.

Description

선삭 공구
본 발명은 선삭 공구에 관한 것으로, 이 선삭 공구는 절삭 날 및 이와 관련된 클리어런스 표면을 갖는 절삭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 시트를 갖는 공구 보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공구 보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안내 블록, 및 입구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갖는 유체 통로로서, 냉각 유체를 입구 단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출구로 안내하도록 배치된, 상기 유체 통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절삭 인서트가 인서트 시트에 수용될 때에 클리어런스 표면이 위치하는 영역을 향해 냉각 유체의 제트를 분출하도록 배치되고,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은 공구 보디를 통해 연장되고,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은 안내 블록을 통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안내 블록에서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의 단부를 형성한다.
공작물의 선삭에는 공구 보디와 공구 보디의 인서트 시트에 장착된 절삭 인서트를 갖는 선삭 공구가 사용된다. 선삭 중에는, 절삭 인서트의 절삭 날이 공작물의 표면과 결합하는 동안에 공작물이 회전하고, 공작물의 회전 중에 선삭 공구는 공작물의 회전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공급된다.
선삭에 의한 공작물의 기계가공은 원통형 표면과 같은 공작물의 외부 표면 (외부 선삭) 또는 공작물의 구멍 또는 쓰레딩과 같은 공작물의 내부 표면 (내부 선삭) 을 기계가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선삭 또는 내부 선삭에 적용되는 다양한 선삭 공구가 알려져 있다. 외부 선삭에 대해 클리어런스 표면의 냉각을 포함하여 최적화된 냉각 전략을 가진 공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외부용 선삭 공구는 일반적으로 공작물의 리세스에서의 작업에 사용될 때에 선삭 공구의 풋프린트 제한으로 인해 내부 선삭에 사용될 수 없다.
US 2010/0196105 A1 은 절삭 작업 동안에 절삭 인서트의 칩 표면에 냉각제 유체를 제공하기 위해 냉각제 전달 부재를 갖는 선삭 공구를 개시하고 있다. 냉각제 전달 부재는 내부에 유체 통로가 형성된 부재 보디, 및 이를 통해 냉각제 유체를 전달 및 분출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노즐은 제 1 연장 위치와 제 2 후퇴 위치 사이에서 부재 보디를 통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절삭 작업 동안에 가정되는 연장 위치에서, 노즐은 부재 보디로부터 칩 표면 위로 바깥쪽으로 전방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냉각제 유체가 냉각제 전달 부재를 통해 흐르지 않을 때에 가정되는 후퇴 위치에서, 노즐은 예를 들어 절삭 인서트의 인덱싱 또는 교체를 허용하기 위해 유체 통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동일한 선삭 공구로 내부 선삭을 허용하는 동시에 외부 선삭 작업 동안에 절삭 인서트의 클리어런스 표면의 최적화된 냉각을 허용하는 선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양태는 선삭 공구에 의해 해결되고, 이 선삭 공구는, 절삭 날 및 이와 관련된 클리어런스 표면을 갖는 절삭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 시트를 갖는 공구 보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공구 보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안내 블록, 및 입구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갖는 유체 통로로서, 냉각 유체를 유체 통로의 입구 단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출구로 안내하도록 배치된, 상기 유체 통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절삭 인서트가 인서트 시트에 수용될 때에 클리어런스 표면이 위치하는 영역을 향해 냉각 유체의 제트를 분출하도록 배치되고,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은 공구 보디를 통해 연장되고,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은 안내 블록을 통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안내 블록에서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의 단부를 형성하고, 적어도 공구 보디 또는 안내 블록은, 안내 블록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냉각 유체의 제트가 제 1 라인을 따라 분출되도록 그리고 안내 블록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냉각 유체의 제트가 제 2 라인을 따라 분출되도록 배치되고, 제 1 라인 및 제 2 라인은 상이한 배향을 갖고 출구로부터 하류 방향의 위치에서 서로 교차한다.
선삭 공구의 공구 보디에 장착된 절삭 인서트의 절삭 날 또는 절삭 모서리의 최적 냉각은 냉각 유체의 제트가 작용 절삭 날 또는 절삭 모서리의 클리어런스 표면을 최대한의 가능한 정도로 적시면 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선삭 중에, 선삭할 공작물의 볼록한 표면으로 인해, 선삭 공구에 대한 어떠한 풋프린트 제한이 거의 없다. 결과적으로, 외부 선삭 동안에 유체 통로의 출구를 캐리하는 선삭 공구의 일부,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블록은 냉각 유체의 제트와 냉각될 인서트의 클리어런스 표면 사이에 최적의 각도를 제공하기 위해 공구 보디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선삭을 위해 동일한 선삭 공구를 사용할 때, 공구 보디의 이 돌출 부분이 선삭 공구에 의해 선삭되는 표면을 방해한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이는 냉각 유체를 위한 유체 통로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캐리하는 안내 블록이 공구 보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내부 선삭 중에 선삭될 표면을 더 이상 방해하지 않도록 안내 블록이 이동되는 때에 클리어런스 표면으로 분출되는 냉각 유체의 제트는 냉각될 인서트의 클리어런스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계속 젖게하면서 상이한 배향을 가져야 한다. 안내 블록이 그의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냉각 유체의 제트를 설명하는 제 1 라인과 안내 블록이 그의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냉각 유체의 제트를 설명하는 제 2 라인은 인서트의 클리어런스 표면 어딘가에서, 예를 들어 각각의 출구 또는 출구들로부터의 하류에서 교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안내 블록은 공구 보디와 동일한 재료, 예를 들어 공구 스틸로 제조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절삭 인서트는 초경합금으로 제조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서, 안내 블록은 공구 보디에 대해 병진 이동될 수 있도록 공구 보디에 장착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안내 블록은 공구 보디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안내 블록은 안내 블록과 공구 보디 사이의 선회 및 선형 운동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도록 공구 보디에 장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안내 블록은 공구 보디에 대해 병진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공구 보디에 장착되거나, 안내 블록은 공구 보디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유체 통로는 적어도 2 개의 출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유체 통로는 정확히 2 개의 출구 또는 적어도 2 개의 출구를 갖는다. 2 개의 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안내 블록에서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의 단부를 형성하고, 다른 출구는 대안적으로 공구 보디 또는 안내 블록에서 유체 통로의 섹션의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선삭 공구는 공구 보디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으로부터 안내 블록의 유체 통로의 적어도 제 2 섹션으로 냉각 유체를 전달하도록 배치된 전달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안내 블록은 공구 보디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달 요소는 공구 보디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안내 블록의 구멍으로 연장되며, 전달 요소는 안내 블록의 구멍의 내부 원통형 표면과 결합하는 원통형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전달 요소는 공구 보디에서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과 유체 연통하는 내부 축방향 유체 덕트를 포함한다. 전달 요소가 원통형 외부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홈을 포함하거나, 안내 블록이 내부 원통형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홈을 포함하며, 제 1 홈은 제 1 축방향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전달 요소는 내부 축방향 유체 덕트와 제 1 홈을 연결하는 제 1 반경방향 유체 덕트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안내 블록에서의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은 제 1 축방향 위치에서 원통형 구멍으로 배출된다. 이 설계에 의해, 공구 보디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과 안내 블록의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 사이의 냉각 유체의 유체 연통이 제공되는 동시에, 안내 블록의 선회가 가능해진다.
대안적으로, 원통형 외부 표면을 갖는 전달 요소는 안내 블록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공구 보디의 구멍의 원통형 내부 표면과 결합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전달 요소는 안내 블록에서의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과 유체 연통하는 내부 축방향 유체 덕트를 포함한다. 전달 요소는 그의 원통형 외부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홈을 포함하거나, 공구 보디는 내부 원통형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홈을 포함하며, 제 1 홈은 제 1 축방향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전달 요소는 내부 축방향 유체 덕트와 제 1 홈을 연결하는 제 1 반경방향 유체 덕트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공구 보디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은 제 1 축방향 위치에서 원통형 구멍으로 배출된다. 또한, 이 설계에 의해, 공구 보디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과 안내 블록의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 사이의 냉각 유체의 유체 연통이 제공되는 동시에, 안내 블록의 선회가 가능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유체 통로의 적어도 2 개의 출구가 안내 블록에 배치되고,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이 안내 블록을 통해 연장되고, 제 1 출구는 안내 블록의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의 단부를 형성하고, 제 2 출구는 안내 블록의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의 단부를 형성한다. 안내 블록이 유체 통로의 2 개의 출구를 포함할 때, 이러한 2 개의 출구는 안내 블록의 제 1 위치에서 냉각 유체가 제 1 라인을 따라 분출되고 안내 블록의 제 2 위치에서 냉각 유체가 제 2 라인을 따라 분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안내 블록에서 상이한 배향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2 개 이상의 출구가 안내 블록에 위치하고, 일 실시형태에서의 전달 요소는 출구들을 연결하는 유체 통로의 각 섹션으로 냉각 액체를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일 실시형태에서, 제 2 출구가 공구 보디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출구는 제 1 위치에서의 안내 블록과 비교할 때, 상이한 배향을 가져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출구 및 제 2 출구가 안내 블록에 위치하고, 제 1 출구는 안내 블록의 제 1 외부 표면 섹션에 위치하고, 제 2 출구는 안내 블록의 제 2 외부 표면 섹션에 위치하며, 제 1 외부 표면 섹션의 표면 법선의 방향은 제 2 외부 표면 섹션의 표면 법선의 방향과 다르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제 1 외부 표면 섹션 및 제 2 외부 표면 섹션은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평면형 표면 섹션들이며,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 및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은 안내 블록의 제 1 외부 표면 섹션 및 제 2 외부 표면 섹션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안내 블록에 적어도 유체 통로의 제 1 출구 및 제 2 출구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 전달 요소는 냉각 유체를 공구 보디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으로부터 안내 블록의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으로 또는 공구 보디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으로부터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 2 출구는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의 단부를 형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전달 요소는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 또는 제 3 섹션을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기능을 제공한다.
원칙적으로는 적어도 두 개의 출구를 통해 동시에 냉각 유체를 분출할 수 있지만, 선삭 공구의 작동중에 최적화된 각도로 배향되지 않는 각각의 출구가 분리되면 더 효율적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2 개 이상의 출구가 안내 블록에 위치하고, 일 실시형태의 전달 요소는 공구 보디에 대해 상대적인 안내 블록의 위치에 따라 냉각 액체를 복수의 출구들 중의 단일 출구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출구를 갖는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뿐만 아니라 제 2 출구를 갖는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이 안내 블록에 위치되고, 전달 요소는 원통형 외부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홈을 포함하고, 안내 블록은 내부 원통형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홈을 포함하고, 제 2 홈은 제 2 축방향 위치에 위치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전달 요소는 내부 축방향 유체 덕트와 제 2 홈을 연결하는 제 2 반경방향 유체 덕트를 더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안내 블록의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은 제 2 축방향 위치에서 원통형 구멍에서 배출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 및 제 3 섹션은 공구 보디의 제 1 섹션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원통형 외부 표면을 갖는 전달 요소가 안내 블록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공구 보디의 구멍의 원통형 내부 표면과 결합하는 설계에서 동일한 기능이 물론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안내 블록은 공구 보디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달 요소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제 1 홈 및 제 2 홈 각각은 360°미만의 원주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홈 및 제 2 홈은, 적어도 안내 블록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이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과 유체 연통되고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이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과 유체 연통되지 않도록, 그리고 적어도 안내 블록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이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과 유체 연통되고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이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과 유체 연통되지 않도록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배열에 의해, 냉각 유체를 공구 보디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으로부터 안내 블록의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으로 또는 공구 보디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으로부터 안내 블록의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으로 선택적으로 그리고 교대로 전달하는 전달 요소가 제공된다.
본 개시 내용의 추가 실시형태에서, 안내 블록의 제 1 위치에서 안내 블록의 맞닿음 표면이 공구 보디의 제 1 정지 표면과 결합하고, 안내 블록의 제 2 위치에서 안내 블록의 맞닿음 표면이 공구 보디의 제 2 정지 표면과 결합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안내 블록은 제 1 맞닿음 표면 및 제 2 맞닿음 표면을 가지며, 제 1 맞닿음 표면은 제 1 위치에서 제 1 정지 표면과 결합되고, 제 2 맞닿음 표면은 안내 블록의 제 2 위치에서 제 2 정지 표면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인서트 시트는 표면 법선을 갖는 바닥 표면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표면 법선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바닥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적어도 하나의 출구는 인서트 시트 아래에 위치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선삭 공구는 절삭 날 및 이와 관련된 클리어런스 표면을 갖는 절삭 인서트를 더 포함하며, 절삭 인서트는 인서트 시트에 장착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절삭 날은 절삭 모서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절삭 인서트는 인덱서블 인서트이다.
절삭 인서트는 장착 수단을 사용하여 인서트 시트에 장착된다. 원칙적으로 장착 수단은 공구 보디에 인서트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수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의미에서 장착 수단의 예는 클램핑 수단 또는 스크류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일반적인 개념은 절삭 인서트가 인서트 시트에 장착되는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잘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절삭 인서트는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을 가지며, 측부 표면은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을 연결한다. 인서트의 측부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의 교차부는 절삭 날을 형성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 절삭 인서트는 인서트의 바닥 표면이 인서트 시트의 바닥 지지 표면과 결합된 상태로 인서트 시트에 장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절삭 인서트의 측부 표면은 클리어런스 표면을 형성하고 상부 표면은 칩 표면을 형성한다.
절삭 인서트의 클리어런스 표면의 최적화된 냉각은 냉각 유체의 제트가 절삭 인서트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상부 표면까지의 전체 연장부를 따라 클리어런스 표면을 스트리킹하는 때에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절삭 인서트가 있는 선삭 공구는 절삭 모서리를 사용하여 공작물을 절삭하기 위한 것이며, 인서트의 두 측부 표면들 사이의 영역은 클리어런스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최적화된 냉각을 위해 이 모서리는 냉각 유체의 제트에 의해 스트리킹될 것이다.
그러나, 냉각 유체의 제트가 절삭 인서트의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의 클리어런스 표면의 연장부의 적어도 대부분을 스트리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체 통로의 출구가 인서트의 바닥 표면 아래에 위치해야 한다. 출구가 이 위치에 있을 때에, 안내 블록이 작업할 공작물의 내부 표면에 결합하여 이를 방해하는 때에 안내 블록은 동일한 공구에 의한 내부 표면의 선삭을 저지한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안내 블록은 제 2 위치로 이동되고, 제 2 위치에서 안내 블록은 선삭 공구에 의해 선삭가능한 내부 표면이 가질 수 있는 최소 직경을 설명하고 절삭 날 또는 절삭 모서리와 결합되는 가상의 원으로부터 이격된다. 여전히, 이 제 2 위치에서 냉각 유체의 제트는 인서트의 클리어런스 표면에 분사되어야 한다. 그러나, 안내 블록의 제 2 위치에서의 냉각 유체의 제트는 절삭 날의 작용 부분 아래에서 절삭 인서트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상부 표면까지의 연장부에 있어서 전체 클리어런스 표면을 더 이상 스트리킹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형태에서, 안내 블록이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냉각 유체의 제트가 전파되는 제 1 라인 및 제 2 라인은 절삭 인서트의 클리어런스 표면상의 위치에서 서로 교차한다.
전술한 양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 표면의 선삭을 위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선삭 공구의 사용에 의해 다루어지며, 안내 블록은 제 2 위치에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선삭 공구는, 인서트의 클리어런스 표면을 냉각하기 위한 유체 통로에 더하여, 절삭 인서트의 절삭 날과 관련된 칩 표면에 냉각 유체를 분출하기 위한 냉각 덕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칩 표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덕트는 인서트 시트상에 절삭 인서트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에 배치되고, 클램핑 수단은 본 개시의 의미에서 장착 수단이다.
절삭 인서트가 인서트 시트에 수용되고 절삭 인서트가 클램핑 수단을 사용하여 인서트 시트에 클램핑될 때, 일 실시형태에서 냉각 덕트로부터 분출된 냉각 유체의 제트는 선삭 작업중에 칩 표면을 형성하는 절삭 인서트의 상부 표면에서 절삭 인서트에 충돌한다.
본 개시 내용의 추가 이점, 특징 및 응용은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상응하는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전술한 내용과 다음의 본 개시 내용의 구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묘사된 구현은 표시된 정확한 배열 및 수단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은 안내 블록이 제 1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선삭 공구의 구현예의 분해 등각 투영도이다.
도 2 는 안내 공구가 제 1 위치에 있는 도 1 의 선삭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안내 블록이 제 2 위치에 있는 도 1 및 도 2 의 선삭 공구의 분해 등각 투영도이다.
도 4 는 안내 블록이 제 2 위치에 있는 공작물의 내부 표면을 선삭하는 동안의 도 1 내지 도 3 의 선삭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제 1 사시도로 바라본 도 1 내지 도 4 의 선삭 공구의 안내 블록 및 전달 요소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6 은 제 2 사시도로 바라본 도 5 의 안내 블록 및 전달 요소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1 내지 도 6 은 본 개시에 따른 선삭 공구 (1) 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선삭 공구 (1) 는 내부 선삭뿐만 아니라 외부 선삭 동안에 절삭 인서트 (2) 의 최적화된 냉각을 허용한다. 선삭 공구 (1) 의 기본 보디는 절삭 인서트 (2) 를 수용하기 위해 인서트 시트 (3) 를 캐리하는 공구 보디 (4) 에 의해 형성된다. 절삭 인서트 (2) 를 공구 보디 (4) 의 인서트 시트 (3) 에 장착하기 위해, 선삭 공구 (1) 는, 클램프 (5) 의 구멍을 통해 도달하고 공구 보디 (4) 의 나사형 구멍에 결합되는 장착 스크류 (6) 에 의해 공구 보디 (4) 에 나사결합되는 클램프 (5) 를 더 포함한다. 실제의 클램핑 기능에 추가하여, 클램프 (5) 는 클램프 (5) 로부터 절삭 인서트 (2) 의 칩 표면 (8) 으로 냉각 유체의 제트를 분출하기 위한 2 개의 출구 (7a, 7b) 를 갖는 냉각 덕트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절삭 인서트 (2) 는 마름모형 상부 표면 (8), 인서트 시트 (3) 의 바닥 지지 표면과 결합하는 마름모형 바닥 표면 및 4 개의 측부 표면 (9, 10) 을 갖는 마름모형 기본 영역을 갖는다. 측부 표면 (9, 10) 이 절삭 인서트 (2) 의 상부 표면 (8) 과 교차하는 곳에 절삭 날 (11, 12) 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절삭 인서트는 주로 2 개의 절삭 날 (11, 12) 이 교차하는 곳에 형성된 절삭 모서리에 의해 절삭 작업을 제공하도록 장착된다.
클램프 (5) 의 냉각 덕트에 더하여 절삭 인서트 (2) 의 냉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절삭 인서트 (2) 의 측부 표면 (9, 10) 에 의해 형성된 클리어런스 표면의 효율적인 냉각이 제공된다. 절삭 성능의 주요 부분이 절삭 인서트 (2) 의 절삭 모서리 (13) 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절삭 작업 중의 냉각 유체 (14) 의 제트가 2 개의 측부 표면 (9, 10) 을 연결하고 절삭 모서리 (13) 와 연관된 날을 따라 스트리킹되는 경우에 클리어런스 표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냉각이 제공된다.
절삭 모서리 (13) 와 관련된 클리어런스 표면을 따라 스트리킹되는 냉각 유체의 제트 (14) 를 제공하기 위해 냉각 액체의 제트 (14) 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모서리 (13) 바로 아래의 위치에서 노즐로부터 분출된다.
선삭 공구 (1) 는 스크류 (16) 에 의해 정의된 선회 축선을 중심으로 공구 보디 (4) 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안내 블록 (15) 을 갖는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안내 블록 (15) 의 위치는 본 개시의 의미에서 제 1 위치로 표시되고,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안내 블록 (15) 의 위치는 본 개시의 의미에서 제 2 위치로 표시된다.
측부 표면 (9, 10) 을 향한 냉각 유체의 제트 (14) 에 대해 최적화된 기하학적 구조를 제공하는 동안, 특히 도 2 및 도 4 에서 내부 선삭을 위해 선삭 공구 (1) 를 사용할 때에 제 1 위치에 있는 안내 블록 (15) 이 공작물의 재료를 방해할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내부 선삭 중에 발생하는 상황은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는 선삭 공구 (1) 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선삭 공구 (1) 는 도 2 에서 위에서 바라본 등각도로 묘사되어 있다.
제 2 위치에서 안내 블록 (15) 은, 절삭 인서트 (2) 의 작용 절삭 모서리와 결합되고 본 개시에 따른 선삭 공구 (1) 에 의한 내부 선삭을 위해 내부 표면이 가질 수 있는 최소 반경을 정의하는 가상의 원 내에 위치하고 그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도 4 에 도시되어 있으며, 가상의 원에는 내부적으로 선삭될 관형 공작물 (17) 의 내부 표면 (18) 이 제공된다. 제 2 위치로의 안내 블록 (15) 의 선회로 인해, 안내 블록 (15) 은 관형 공작물 (17) 을 방해하지 않으며, 관형 공작물 (17) 의 내부 표면 (18) 의 내부 선삭이 수행될 수 있다.
여전히, 안내 블록 (15) 은, 냉각 액체의 제트 (14) 가 절삭 인서트 (2) 의 상부 절삭 모서리와 하부 표면을 연결하는 전체 클리어런스 표면을 따라 더 이상 스트리킹되지 않더라도, 클리어런스 표면 (9, 10) 의 효율적인 냉각을 제공한다.
한편으로 도 1 및 도 2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도 3 및 도 4 를 비교함으로써 본 개시의 일반적인 개념이 설명될 수 있다. 측부 표면 (9, 10) 에 의해 형성된 클리어런스 표면의 효율적인 냉각을 위해, 냉각 액체의 제트 (14) 는 안내 블록 (15) 의 어느 위치에서나 측부 표면 (9, 10) 에 부딪혀야 한다. 그러나, 이는 냉각 액체의 제트 (14) 가 안내 블록 (15) 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상이한 배향을 갖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블록 (15) 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냉각 액체의 제트 (14) 는 제 1 라인으로 설명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블록 (15) 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냉각 액체의 제트 (14) 는 제 2 라인으로 설명된다. 제 1 라인 및 제 2 라인은 안내 블록 (15) 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시작 지점을 갖지만, 안내 블록 (15) 의 각각의 출구 (19, 20) 로부터 하류에서 절삭 인서트 (2) 의 측부 표면 (9, 10) 에서 교차한다.
도 1 내지 도 4 는 본 개시의 일반적인 개념의 이해를 제공하는 한편, 도 5 및 도 6 은 냉각 액체의 최적화된 제트 (14) 를 제공하기 위해 안내 블록 (15) 의 설계의 세부사항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안내 블록 (15) 은 2 개의 출구, 즉 각각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냉각 액체의 제트 (14) 를 분출하는 제 1 출구 (19) 및 제 2 출구 (20) 를 캐리한다. 유체 통로 (21) 는 다중 섹션들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섹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은 공구 보디 (4) 에서 연장되고, 제 2 섹션 (22) 및 제 3 섹션 (23) 은 안내 블록 (15) 에서 연장된다.
안내 블록 (15) 을 위한 선회 축선을 형성하는 스크류 (16) 는 또한 본 개시의 의미에서 전달 요소를 형성한다. 이 전달 요소 (16) 는 공구 보디 (4) 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으로부터 유체 통로의 제 2 및 제 3 섹션 (22, 23) 으로 냉각 액체의 전달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두 섹션 (22, 23) 의 어느 하나로 교대로 전달하는 것을 스위칭할 수 있게 한다.
전달 요소 (16) 는 중공 원통형 부분을 가지며, 냉각 액체는 요소에서 스크류 (16)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 (24) 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스크류 (16) 는 그 후방 단부 (25) 가 공구 보디 (4) 의 구멍에 나사결합된다. 공구 보디 (4) 의 구멍은 공구 보디 (4) 의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의 단부를 동심으로 둘러싼 다. 따라서, 유체 통로의 제 1 섹션을 통해 흐르는 냉각 액체는 전달 요소의 축방향 유체 덕트 (24) 에 의해 추가로 안내된다.
전달 요소 (16) 는 안내 블록 (15) 의 구멍 (26) 에서 연장되는 스위칭 요소 (28) 를 추가로 갖는다. 구멍 (26) 의 내부 원통형 표면 (27) 은 스위칭 요소 (28) 의 외부 원통형 표면 (29) 과 결합된다. 선삭 공구 (1) 의 작동 중에 전달 요소 (16) 의 스위칭 요소 (28) 는 공구 보디 (4) 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즉, 안내 블록 (15) 의 선회시에 안내 블록 (15) 은 공구 보디 (4) 에 대해 선회할 뿐만 아니라 전달 요소 (16) 의 스위칭 요소 (28) 에 대해서도 선회한다. 전달 요소 (16) 의 스위칭 요소 (28) 는 전달 요소 (28) 의 반경방향으로 냉각 유체를 안내하는 2 개의 축방향 위치에서 반경방향 유체 덕트 (30, 31) 를 갖는다.
제 1 반경방향 유체 덕트 (30) 는 제 1 축방향 위치에 있는 축방향 유체 덕트 (24) 를 스위칭 요소 (28) 의 표면 (29) 에 있는 제 1 홈 (32) 에 연결한다. 제 1 홈 (32) 의 제 1 축방향 위치는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 (22) 의 후방 단부 (33) 의 축방향 위치와 동일하다. 제 1 홈 (32) 은 스위칭 요소 (28) 의 원통형 표면 (29) 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제 1 홈 (32) 은 스위칭 요소 (28) 의 360°에 걸쳐 연장되지 않고 특정 각도만을 커버한다. 결과적으로, 내부 축방향 유체 덕트 (24) 로부터 제 1 반경방향 유체 덕트 (30) 를 통해 제 1 홈 (32) 으로 그리고 더 나아가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 (22) 으로 흐르는 냉각 액체의 유동은 안내 블록 (15) 이 제 1 위치에 있거나 또는 제 1 위치에 가까울 때에 오직 발생한다.
스위칭 요소 (28) 의 원통형 표면 (29) 에서의 제 2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34) 에서 끝나는 제 2 반경방향 유체 덕트 (31) 에 의해 규정된 제 2 축방향 위치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안내 블록 (15) 의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 (23) 의 후방 단부 (35) 가 제 2 홈 (34) 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에 있으므로 내부 축방향 유체 덕트 (24) 로부터 제 2 반경방향 유체 덕트 (31) 및 제 2 홈 (34) 을 통해 안내 블록 (15) 의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 (23) 으로 흐르는 냉각 액체의 유동은 안내 블록 (15) 이 제 2 위치에 있는 때에 오직 발생한다.
전달 요소 (16) 및 안내 블록 (15) 의 설계에 의해, 스크류 (16) 주위에서의 안내 블록 (15) 의 선회는 각각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 (22) 및 제 3 섹션 (23) 의 출구 (19, 20) 의 위치를 변경시킬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블록 (15) 의 제 1 위치에서의 냉각 액체가 안내 블록 (15) 의 제 1 출구 (19) 를 통해서만 분출되도록 그리고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블록 (15) 이 제 2 위치에 있는 때에 냉각 액체가 제 2 출구 (20) 로부터만 분출되도록 전환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계는 작동 중에 올바른 위치에 있지 않은 다른 출구를 통해 냉각 액체가 불필요하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각 액체의 제트 (14) 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도 5 및 도 6 으로부터, 안내 블록 (15) 에서의 냉각 덕트의 제 2 섹션 (22) 및 제 3 섹션 (23) 의 설계 및 형상은 안내 블록 (15) 의 제 1 위치 뿐만 아니라 안내 블록 (15) 의 제 2 위치에서 냉각 액체의 제트 (14) 의 최적화된 방향을 제공하도록 선택되었다는 것이 분명하게 도출될 수 있다.
본래의 개시의 목적을 위해, 모든 특징들은 비록 이들이 특정한 추가 특징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며, 조합들이 명시적으로 배제되지 않거나 기술적 사실이 그러한 조합을 배제하거나 쓸모없게 만드는 한은 그 자체로 또는 여기에 개시된 다른 특징들 또는 특징들의 그룹과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짧고 읽기 쉬운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가능한 각 특징들의 조합에 대한 광범위하고 명시적인 설명은 생략되었다.
본 발명이 도면 및 전술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개시되었지만, 이 설명은 예시 일 뿐이며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대한 수정은 도면,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청구범위에서, "포함" 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정의되지 않은 단수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일부 특징들이 다른 청구항에서 주장되었다는 단순한 사실은 그 조합을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의 참조 번호는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1 선삭 공구
2 절삭 인서트
3 인서트 시트
4 공구 보디
5 클램프
6 장착 스크류
7a, 7b 칩 표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덕트의 출구
8 상부 표면
9, 10 측부 표면
11, 12 절삭 날
13 절삭 모서리
14 냉각 액체의 제트
15 안내 블록
16 전달 요소를 형성하는 스크류
17 관형 공작물
18 관형 공작물 (17) 의 내부 표면
19 제 1 출구
20 제 2 출구
21 유체 통로
22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
23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
24 축방향 유체 덕트
25 스크류의 후방 단부
26 안내 블록 (15) 의 구멍
27 구멍 (26) 의 내부 원통형 표면
28 스위칭 요소
29 스위칭 요소 (28) 의 외부 원통형 표면
30 제 1 반경방향 유체 덕트
31 제 2 반경방향 유체 덕트
32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홈
33 유체 통로의 제 2 섹션 (22) 의 후방 단부
34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홈
35 유체 통로의 제 3 섹션 (23) 의 후방 단부

Claims (15)

  1. 선삭 공구 (1) 로서,
    절삭 날 및 이와 관련된 클리어런스 표면을 갖는 절삭 인서트 (2) 를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 시트 (3) 를 갖는 공구 보디 (4),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공구 보디 (4) 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안내 블록 (15), 및
    입구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출구 (19, 20) 를 갖는 유체 통로 (21) 로서, 냉각 유체를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입구 단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19, 20) 로 안내하도록 배치된, 상기 유체 통로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19, 20) 는 상기 절삭 인서트 (2) 가 상기 인서트 시트 (3) 에 수용될 때에 상기 클리어런스 표면 (9, 10) 이 위치하는 영역을 향해 상기 냉각 유체의 제트 (14) 를 분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제 1 섹션은 상기 공구 보디 (4) 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제 2 섹션 (22) 은 상기 안내 블록 (15) 을 통해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 (19, 20) 는 상기 안내 블록 (15) 에서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2 섹션 (22) 의 단부를 형성하고,
    적어도 상기 공구 보디 (4) 또는 상기 안내 블록 (15) 은, 상기 안내 블록 (15) 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냉각 유체의 상기 제트 (14) 가 제 1 라인을 따라 분출되도록 그리고 상기 안내 블록 (15) 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냉각 유체의 상기 제트 (14) 가 제 2 라인을 따라 분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라인 및 상기 제 2 라인은 상이한 배향을 갖고 상기 출구 (19, 20) 로부터 하류 방향의 위치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블록 (15) 은 상기 공구 보디 (4) 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삭 공구 (1) 는 상기 공구 보디 (4) 에서의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1 섹션으로부터 상기 안내 블록 (15) 에서의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2 섹션 (22) 으로 냉각 유체를 전달하도록 배치된 전달 요소 (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4. 제 2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요소 (16) 는 상기 공구 보디 (4) 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안내 블록 (15) 의 구멍 (26) 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달 요소 (16) 는 상기 안내 블록 (15) 의 상기 구멍 (26) 의 내부 원통형 표면 (27) 과 결합하는 원통형 외부 표면 (29) 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 요소 (16) 는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1 섹션과 유체 연통하는 내부 축방향 유체 덕트 (24) 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요소 (16) 는 상기 원통형 외부 표면 (29) 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홈 (32) 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안내 블록 (15) 은 상기 내부 원통형 표면 (27) 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홈 (32)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 (32) 은 제 1 축방향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전달 요소 (16) 는 상기 내부 축방향 유체 덕트 (24) 와 상기 제 1 홈 (32) 을 연결하는 제 1 반경방향 유체 덕트 (30) 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블록 (15) 에서의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2 섹션 (22) 은 상기 제 1 축방향 위치에서 원통형의 상기 구멍 (26) 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제 3 섹션 (23) 이 상기 안내 블록 (15) 을 통해 연장되고, 제 1 출구 (19) 가 상기 안내 블록 (15) 에서의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2 섹션 (22) 의 단부를 형성하고, 제 2 출구 (20) 가 상기 안내 블록 (15) 에서의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3 섹션 (23) 의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구 (19) 는 상기 안내 블록 (15) 의 제 1 외부 표면 섹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출구 (20) 는 상기 안내 블록 (15) 의 제 2 외부 표면 섹션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외부 표면 섹션의 표면 법선의 방향은 상기 제 2 외부 표면 섹션의 표면 법선의 방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7. 제 3 항을 인용하는 한에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요소 (16) 는 상기 공구 보디 (4) 에서의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1 섹션으로부터 상기 안내 블록 (15) 에서의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2 섹션 (22) 으로 또는 상기 공구 보디 (4) 에서의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1 섹션으로부터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제 3 섹션 (23) 으로 냉각 유체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출구 (20) 는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3 섹션 (23) 의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8. 제 4 항을 인용하는 한에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달 요소 (16) 는 원통형 외부 표면 (29) 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홈 (34) 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안내 블록 (15) 은 내부 원통형 표면 (27) 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홈 (34)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홈 (34) 은 제 2 축방향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전달 요소 (16) 는 내부 축방향 유체 덕트 (24) 와 상기 제 2 홈 (34) 을 연결하는 제 2 반경방향 유체 덕트 (31) 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블록 (15) 에서의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제 3 섹션 (23) 은 상기 제 2 축방향 위치에서 원통형 구멍 (26) 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9. 제 4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32) 및 상기 제 2 홈 (34) 각각은 360°미만의 원주방향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 1 홈 (32) 및 상기 제 2 홈 (34) 은, 적어도 상기 안내 블록 (15) 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2 섹션 (22) 이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1 섹션과 유체 연통되고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제 3 섹션 (23) 이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1 섹션과 유체 연통되지 않도록, 그리고 적어도 상기 안내 블록 (15) 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3 섹션 (23) 이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제 1 섹션과 유체 연통되고 상기 유체 통로의 상기 제 2 섹션 (22) 이 상기 유체 통로 (21) 의 상기 제 1 섹션과 유체 연통되지 않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블록 (15) 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안내 블록 (15) 의 맞닿음 표면이 상기 공구 보디 (1) 의 제 1 정지 표면과 결합하고, 상기 안내 블록 (15) 의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안내 블록 (15) 의 맞닿음 표면이 상기 공구 보디 (4) 의 제 2 정지 표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시트 (3) 는 표면 법선을 갖는 바닥 지지 표면을 갖고, 상기 안내 블록 (15) 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19, 20) 는 상기 바닥 지지 표면의 상기 표면 법선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닥 지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런스 표면을 냉각하기 위한 상기 유체 통로 (21) 에 추가하여, 상기 선삭 공구 (1) 는 상기 절삭 인서트 (2) 가 상기 인서트 시트 (3) 에 수용될 때에 상기 절삭 날 (11, 12) 과 관련된 칩 표면이 위치하는 영역에 냉각 유체를 분출하기 위한 냉각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인서트 (2) 및 장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삭 인서트 (2) 는 상기 인서트 시트 (3) 에 수용되어 상기 장착 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삭 공구는 상기 선삭 공구 (1) 에 의해 선삭가능한 내부 표면의 최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가상 원 (18) 내에 위치되고, 상기 원은 상기 절삭 날 (11, 12) 과 결합하고, 제 1 위치에서 상기 안내 블록 (15) 은 상기 원을 넘어서 돌출하고 제 2 위치에서 상기 안내 블록 (15) 은 상기 원과의 교차없이 상기 원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인 및 상기 제 2 라인은 상기 클리어런스 표면 (9, 10) 상의 위치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 공구 (1).
KR1020217006196A 2018-09-11 2019-08-20 선삭 공구 KR20210045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93795.4 2018-09-11
EP18193795.4A EP3623083B1 (en) 2018-09-11 2018-09-11 Turning tool
PCT/EP2019/072205 WO2020052918A1 (en) 2018-09-11 2019-08-20 Turning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412A true KR20210045412A (ko) 2021-04-26

Family

ID=6357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196A KR20210045412A (ko) 2018-09-11 2019-08-20 선삭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63001A1 (ko)
EP (1) EP3623083B1 (ko)
JP (1) JP2021536375A (ko)
KR (1) KR20210045412A (ko)
CN (1) CN112638563B (ko)
WO (1) WO2020052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1043A1 (de) * 2018-04-30 2019-11-07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Werkzeug zur spanenden bearbeitung eines werkstücks
CN114453607B (zh) * 2022-04-12 2022-08-16 宁波隆源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部件的精密加工刀具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3294B2 (en) * 1981-09-19 1985-04-18 Anderson Strathclyde Ltd. Mineral cutter pick
JPS58177204A (ja) * 1982-04-08 1983-10-17 ザ・ジレツト・カンパニ− バイトホ−ルダ
JPS58177204U (ja) * 1982-05-20 1983-11-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切削工具
AT385320B (de) * 1986-07-17 1988-03-25 Voest Alpine Ag Sprueheinrichtung fuer kuehlfluessigkeit aus duesen eines schraemkopfes
US5272945A (en) * 1992-08-26 1993-12-28 Kennametal Inc. Toolholder assembly and method
US5340242A (en) * 1992-09-25 1994-08-23 Kennametal Inc. Chip-breaking toolholder with adjustable orifice cap
JP3002973U (ja) * 1994-01-18 1994-10-11 ケンナメタル インコ−ポレイテツド 調整できるオリフイスキャップ付のチップを破壊する工具ホ−ルダ−
JPH0825110A (ja) * 1994-07-08 1996-01-30 Toshiba Tungaloy Co Ltd 旋削工具
JP3317783B2 (ja) * 1994-07-08 2002-08-26 東芝タンガロイ株式会社 旋削工具
JPH08257807A (ja) * 1995-03-24 1996-10-08 Toshiba Tungaloy Co Ltd 給油穴付きのバイト
US6247759B1 (en) * 1999-06-08 2001-06-19 Kennametal Pc Inc. Cutting tool assembly with replaceable spray nozzle
US6485104B1 (en) * 2000-11-22 2002-11-26 Kennametal Inc. Cutting tool assembly with replaceable spray nozzle housing
SE0100652L (sv) * 2001-02-27 2002-08-28 Sandvik Ab Förfarande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samt skär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DE10346726A1 (de) * 2003-10-08 2005-05-19 Karl-Heinz Arnold Gmbh Vorrichtung zum Zuführen eines Kühlschmierstoffstroms beim spanabhebenden Bearbeiten von Werkstücken
KR20050107540A (ko) * 2004-05-07 2005-11-11 이달호 드라이 가공용 절삭 바이트
GB0501134D0 (en) * 2005-01-20 2005-02-23 Rolls Royce Plc Cutting tool
SE530581C2 (sv) * 2006-11-28 2008-07-0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Verktyg och grundkropp för spånavskiljande innefattande två kanaler för en fluid
JP5116090B2 (ja) * 2007-11-22 2013-01-09 新光機器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用電極切削用バイト
IL197095A (en) 2009-02-17 2013-02-28 Iscar Ltd Cutting tool having a retractable nozzle
US8388268B2 (en) * 2011-03-07 2013-03-05 Kennametal Inc. Cutting assembly
JP5960539B2 (ja) * 2012-07-31 2016-08-02 ミネベア株式会社 切削液噴射装置
US20140270999A1 (en) * 2013-03-16 2014-09-18 Hsien-Jen Huang Coolant delivery device for cutting tools
DE202013104099U1 (de) * 2013-09-10 2013-09-24 Good-Tec Co., Ltd. Bearbeitungswerkzeughalter mit Fähigkeit zur Vibrationsunterdrückung und Schmierungs-Funktion
KR101958072B1 (ko) * 2013-10-18 2019-03-13 니뽄 도쿠슈 도교 가부시키가이샤 바이트용 홀더 및 절삭 공구
US9579727B2 (en) * 2014-05-28 2017-02-28 Kennametal Inc. Cutting assembly with cutting insert having enhanced coolant delivery
WO2017003343A1 (en) * 2015-06-30 2017-01-05 Seco Tools Ab A cutting tool and a nozzle with internally extending grooves
EP3135410B1 (en) * 2015-08-31 2022-02-0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etal cutting tool with coolant supply
EP3192600B1 (en) * 2016-01-18 2022-03-0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etal cutting tool holder comprising fluid passages
DE102016101422A1 (de) * 2016-01-27 2017-07-27 Gühring KG Drehwerkzeug
CN108472735B (zh) * 2016-01-29 2021-02-19 山高刀具公司 切削刀具
US10300532B2 (en) * 2017-06-26 2019-05-28 Kennametal Inc. Clamp for tool holder
AT16570U1 (de) * 2018-08-01 2020-01-15 Ceratizit Austria Gmbh Drehwerkzeug-Ha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63001A1 (en) 2022-03-03
WO2020052918A1 (en) 2020-03-19
CN112638563A (zh) 2021-04-09
EP3623083A1 (en) 2020-03-18
CN112638563B (zh) 2024-05-17
EP3623083B1 (en) 2022-11-09
JP2021536375A (ja)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17461A1 (ja) バイト
CN101541455B (zh) 用于去屑加工的刀具及其基体
US4322189A (en) Coolant control for milling tools
US6299388B1 (en) Universal tool holder collant delivery adapters
TW533106B (en) Work machining method
KR20210045412A (ko) 선삭 공구
KR20110117681A (ko) 후퇴 가능한 노즐을 가진 절삭 공구
JP2012520778A (ja) 切削液を扇状のパターンで供給するためのクーラント供給装置を有する切削工具
JP2018149656A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用ホルダ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US20190176284A1 (en) Nozzle, nozzle module, and machine tools provided with them
CN111587158B (zh) 用于加工工件的工具
JP2019150946A (ja) クーラントチャネルを有するクランプ装置、当該クランプ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のようなクランプ装置を有する旋削装置のための工具ホルダプレート
US20180345455A1 (en) Nozzle carrier for a tool grinding machine
WO2021045106A1 (ja) 溝入れ工具のヘッド構造および溝入れ工具
TW201821186A (zh) 用於車床刀塔的內外徑刀與刀座的調整防漏系統
WO2018016412A1 (ja) バイト
JP2018012172A (ja) バイト
JP3264019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旋削工具
JPH10166240A (ja) 工作機械の噴射ノズル
JP2019025603A (ja) 工具ボデー及び切削工具
CN210549920U (zh) 一种可喷射切削液的刀具刀杆
JP2001252804A (ja) ボーリングツール
KR100600024B1 (ko) 터렛에 적용되는 절삭유 유로변경을 위한 절삭유 어댑터
JPH0717401U (ja) 切削工具
KR960005134Y1 (ko) 절삭유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