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124A -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 Google Patents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124A
KR20210042124A KR1020217006377A KR20217006377A KR20210042124A KR 20210042124 A KR20210042124 A KR 20210042124A KR 1020217006377 A KR1020217006377 A KR 1020217006377A KR 20217006377 A KR20217006377 A KR 20217006377A KR 20210042124 A KR20210042124 A KR 2021004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weight
sulfur
active material
electrode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에지에 황
하이롱 위
위엔지에 잔
원빈 치
원우 자오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오브 피직스, 더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오브 피직스, 더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즈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오브 피직스, 더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즈
Publication of KR2021004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7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1Chalcogenides or intercalation compounds thereof
    • H01M4/5815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01M50/434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Halogen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 있어서,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는 30~80중량%의 Li2S, 10~40중량%의 LiI, LiBr, LiNO3 및 LiNO2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리튬 화합물 및 0~30중량%의 전도성 탄소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 유황계 활성 재료를 포함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고체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양극은 높은 비용량 및 향상된 방전 전압을 갖는다.

Description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본 발명은 전지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체 전지(solid-state battery)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그 제조 방법과 용도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는 리튬을 내장할 수 있는 재료를 음극으로 사용하고, 리튬을 함유한 화합물을 양극으로 사용하여 정보 전자 제품, 전기 자동자, 전기 에너지 저장 분야에 널리 적용된다. 최근 모바일 전자 제품, 동력차 및 스마트 그리드의 신속한 발전에 따라 전지의 안전성 및 에너지 밀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높은 안전성 및 에너지 밀도를 갖는 고체 전지가 산업 연구의 중점이 되었다(J Phys. Chem. C 2018, 122, 14383-14389).
고체 전지는 리튬 이온을 수송할 수 있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리튬 이온 전지의 전해액을 대체함으로써 전지의 밀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체 전지에서 전극 재료 및 고체 전해질은 고체-고체 계면을 통해 리튬 이온을 수송하고, 전극 재료는 높은 동력학적 성능과 낮은 부피 팽창을 필요로 하기에, 고체 전지에 적합한 높은 비에너지 양극 재료를 찾는 것이 중요한 연구 방향이 되었다(Journal of Power Sources 395(2018), 414-429).
시판되는 리튬 이온 전지는 리튬 함유 화합물을 양극으로 사용하고, 통상적으로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망간 산화물(LiMn2O4), 삼원 재료(LiNixCoyMn1-x-yO2) 및 인산 철 리튬(LiFePO4)과 같은 내장형 양극 재료를 사용하며, 비용량은 일반적으로 200mAh/g보다 높지 않고, 비에너지는 900Wh/kg보다 높지 않다. 이러한 양극의 작동 전압은 일반적으로 3.5~4.2V에 도달할 수 있다.
황화물 기반 양극 재료는 높은 비에너지를 갖고, 통상적으로 전환 반응 양극이며, 일반적으로 큰 부피 팽창을 수반한다. 황화 리튬(Li2S)을 예로 들면, 이론적 비에너지는 2600Wh/kg에 도달하고, 지난 10년 동안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Li2S 또는 S를 양극으로 사용하는 Li-S 전지의 전압은 높지 않고, 평균 작동 전압은 2V보다 낮아, 적용 범위를 제한한다. FeS, Fe2S3, MoS2 및 NiS와 같은 다른 전이 금속 황화물의 평균 전압은 모두 1.8V보다 낮다(ACS Appl. Mater. Interfaces 2018, 10, 21084-21090).
작동 전압이 낮아질 경우 동일하게 높은 비에너지를 획득하려면 전지에서 더 많은 리튬 이온이 반응에 참여하여야 하는 것을 의미하고, 동일한 비에너지에 도달하려면 더 많은 양극 재료가 반응에 참여하여야 함으로써 전극 재료의 부피 효과를 증가시키며 이는 전지의 순환에 불리하다.
따라서, 황화물 양극 재료의 작동 전압을 향상시키고, 전지 비에너지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체 전지에서 전극 재료의 부피 효과를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고체 전지의 순환 수명을 향상시키며; 작동 전압의 향상은 황화물 기반 고체 전지의 응용에서의 공간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고체 전지에 존재하는 단점에 대하여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및 용도를 제공하고,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는 높은 비용량 및 작동 전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제공하고,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는 30~80중량%의 Li2S, 10~40중량%의 LiI, LiBr, LiNO3 및 LiNO2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리튬 화합물 및 0~30중량%의 전도성 탄소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 따르면,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는 30~70중량%, 바람직하게는 60~70중량%, 예컨대 70중량%의 Li2S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 따르면,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는 15~20중량%의 제2 리튬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 따르면, 상기 제2 리튬 화합물은 LiI 및/또는 LiNO2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 따르면,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는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10~15중량%의 전도성 탄소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탄소 재료는 카본 블랙, 탄소 나노 튜브, 탄소 나노 섬유 및 그래핀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 따르면, Li2S의 함량은 60~70중량%이고 상기 제2 리튬 화합물의 함량은 15~20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 따르면,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서, Li2S, 제2 리튬 화합물 및 전도성 탄소 재료의 중량비는 70:15~20:10~15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 따르면,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는 Li2S, 상기 제2 리튬 화합물 및 상기 전도성 탄소 재료를 건식 볼 밀링 혼합하거나 또는 습식 볼 밀링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더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Li2S, 상기 제2 리튬 화합물 및 상기 전도성 탄소 재료를 건식 볼 밀링 혼합하거나 또는 습식 볼 밀링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건식 볼 밀링 혼합 또는 습식 볼 밀링 혼합은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불활성 분위기는 질소 분위기 또는 아르곤 분위기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건식 볼 밀링 혼합 또는 습식 볼 밀링 혼합은 150~500회/분, 예컨대 300회/분의 회전 속도 하에서 1~24시간, 바람직하게는 6~18시간 동안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습식 볼 밀링 혼합은 무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고, 용매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중량의 5~10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습식 볼 밀링 혼합을 사용할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습식 볼 밀링 혼합을 통해 얻은 혼합물을 50~80℃ 하에서 진공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은 고체 전지용 양극을 제공하고, 상기 양극은 60~90중량%의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0~20중량%의 전도성 첨가제, 0~40중량%의 고체 전해질 및 0~20중량%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극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의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의 함량은 60~80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극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전도성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합한 전도성 첨가제의 예시는 카본 블랙, 탄소 나노 튜브, 탄소 나노 섬유 및 그래핀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극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의 상기 전도성 첨가제의 함량은 10~20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극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고체 전해질을 첨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합한 고체 전해질의 예시는 Li2S-P2S5-GeS2, Li1.5Al0.5Ti1.5(PO4)3 및 Li7La3Zr2O12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극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의 상기 고체 전해질의 함량은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극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합한 접착제의 예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극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의 상기 접착제의 함량은 0~10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극에 따르면, 상기 양극은 집전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극에 따르면, 상기 양극은 본 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양극은 상기 조성물의 조성 성분을 정제로 만드는(tableting)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양극은 상기 조성물의 조성 성분을 슬러리로 제조하고 슬러리를 집전체에 코팅하거나 또는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극에 따르면, 상기 집전체는 알루미늄 호일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은 고체 전지를 제공하고, 상기 고체 전지는 상기 양극, 고체 전해질 시트 및 음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체 전지에 따르면, 상기 고체 전해질 시트는 Li2S-P2S5-GeS2, Li1.5Al0.5Ti1.5(PO4)3 및 Li7La3Zr2O12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체 전지에 따르면, 상기 음극은 금속 리튬 시트 또는 기타 리튬 저장 음극 재료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타 리튬 저장 음극 재료는 본 분야의 통상적인 음극 재료일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체 전지에 따르면, 상기 고체 전지는 고체 리튬 이차 전지이다.
선행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갖는다.
(1)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양극은 황화 리튬의 높은 양극 비용량의 장점을 유지하는 동시에 전지 방전 전압을 향상시킨다. 이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서, Li2S를 선택하고 LiI, LiBr, LiNO3 또는 LiNO2와 같은 제2 리튬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충전 시 전기 음성이 높은 전자 끌개기(electron withdrawing group)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지의 방전 전압을 향상시킨다. 이 밖에, 제2 리튬 화합물의 도입은 양극의 이온 전도도를 더 향상시켜 황화 리튬의 분해 및 유황의 리튬화에 대한 촉매 작용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극 재료의 비용량을 향상시킨다.
(2)본 발명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는 다량의 리튬이 함유되고, 전지를 처음 충전 시 양극은 탈리튬하며, 고체 전극은 전극의 변형을 일으키는 부피 팽창을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을 형성하고 방전 시 구조는 회복되며, 순환 성능은 우수하다.
이하,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여기서,
도 1은 실시예1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첫번째 충전 및 방전과 두번째 충전 및 방전의 전압-비용량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1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순환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1의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첫번째 충전 및 방전과 두번째 충전 및 방전의 전압-비용량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9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첫번째 충전 및 방전과 두번째 충전 및 방전의 전압-비용량 그래프이다.
도 5는 순환 전 그리고 2번의 순환 후, 실시예1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체 전지의 측면 전자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첫번째 순환 및 두번째 순환의 비교예2의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전압-비용량 그래프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결부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 제공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수분 함량이 0.5ppm 미만인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일정한 질량비로 Li2S, 제2 리튬 화합물 및 전도성 탄소 재료를 혼합하고, 얻은 혼합물을 볼 밀 비드와 혼합하여 볼 밀 용기에 옮기고, 수분 함량이 0.5ppm 미만인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건식 볼 밀링 또는 습식 볼 밀링을 수행하고; 건식 볼 밀링 및 습식 볼 밀링의 파라미터는, 회전 속도가 300회/분이며, 시간이 12시간이고, 습식 볼 밀링에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중량의 5%를 차지하는 무수 에탄올을 첨가하여 용매로 사용한다.
(2)수분 함량이 0.5ppm 미만인 아르곤 분위기에서 샘플을 꺼내고, 스크린을 통해 여과하여 볼 밀 비드를 제거한 후, 건식 볼 밀링을 사용하여 혼합할 경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얻으며; 습식 볼 밀링을 사용하여 혼합할 경우, 스크린을 통해 여과하여 얻은 혼합물 재료를 60℃ 하에서 12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켜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얻는다.
실시예1~9에 사용되는 원료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실시예1~9에서 제조된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조성 및 공정은 표 1을 참조한다. 비교예 1
제2 리튬 화합물 없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양극 활성 재료를 제조하고, 그 조성은 및 관련 공정은 표 1을 참조한다.
비교예 2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산 철 리튬을 제2 리튬 화합물로 사용하는 양극 활성 재료를 제조하고, 그 조성은 및 관련 공정은 표 1을 참조한다.
표1: 양극 활성 재료의 조성비 및 혼합 방식
황화 리튬/제2 리튬 화합물/전도성 탄소 재료
(중량비)
제2 리튬 화합물 전도성 탄소 재료 혼합 방식
실시예1 70:20:10 요오드화 리튬 탄소 나노 튜브 건식 볼 밀링
실시예2 70:20:10 요오드화 리튬 탄소 나노 튜브 건식 볼 밀링
실시예3 70:20:10 요오드화 리튬 탄소 나노 튜브 건식 볼 밀링
실시예4 70:30:0 요오드화 리튬 탄소 나노 튜브 건식 볼 밀링
실시예5 60:30:10 요오드화 리튬 그래핀 건식 볼 밀링
실시예6 70:15:15 요오드화 리튬 탄소 나노 튜브 습식 볼 밀링
실시예7 70:20:10 요오드화 리튬 탄소 나노 튜브 건식 볼 밀링
실시예8 30:40:30 요오드화 리튬 탄소 나노 튜브 건식 볼 밀링
실시예9 70:20:10 리튬 아질산염 탄소 나노 튜브 건식 볼 밀링
비교예1 90:0:10 요오드화 리튬 탄소 나노 섬유 건식 볼 밀링
비교예2 70:20:10 인산 철 리튬 탄소 나노 튜브 건식 볼 밀링
고체 전지 제조 및 그 성능 테스트 1. 양극 제조
실시예1~9에서 제조된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비교예1~2에서 제조된 양극 활성 재료를 양극 활성 재료로 각각 사용하여, 양극 재료를 제조했다. 수분 함량이 0.5ppm 미만인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7:2:1의 중량비에 따라 양극 활성 재료, 고체 전해질 및 전도성 첨가제를 칭량하여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볼 밀 비드와 혼합하여 볼 밀 용기에 이동시키며, 수분 함량이 0.5ppm 미만인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건식 볼 밀링을 수행하여 양극 재료를 얻는다. 여기서, 건식 볼 밀링의 파라미터는, 회전 속도가 150회/분이고, 시간은 2시간이다.
얻어진 양극 재료를 20MPa의 압력 하에서 성형하여 중량이 10mg이고 직경이 4 mm인 양극 시트를 제조한다.
양극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2
2. 전지 조립
전지의 조립은 수분 함량이 0.5ppm 미만인 아르곤 글러브 박스에서 완성된다.
20MPa의 압력 하에서 성형하여 두께가 300μm인 고체 전해질 시트를 제조한다.
몰드를 사용하여 직경이 모두 4mm인 양극 시트, 두께가 300μm인 고체 전해질 시트 및 두께가 80μm인 금속 리튬 호일을 20MPa 압력 하에서 냉간 압착 및 조립하여 이차 고체 전지를 제조한다.
3. 성능 테스트
무한시Landian전자주식유한회사에서 구매한 CT2001A형 충전 및 방전기를 사용하여 이차 고체 전지를 정전류로 충전 및 방전하고, 0.05C의 배율 하에서 전지에 대하여 순환 테스트를 진행하며, 테스트 온도는 60℃이다. 전압 범위는 1.5-3.6V(vs. Li/Li+)이고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2: 이차 고체 전지의 조립 및 성능
실시예 전도성 첨가제 고체 전해질 양극 방전 비용량(mAh/g)
실시예1 탄소 나노 튜브 Li2S-P2S5-GeS2 883
실시예2 탄소 나노 튜브 Li2S-P2S5-GeS2 822
실시예3 탄소 나노 튜브 Li7La3Zr2O12 782
실시예4 탄소 나노 튜브 Li2S-P2S5-GeS2 106
실시예5 그래핀 Li2S-P2S5-GeS2 462
실시예6 탄소 나노 튜브 Li2S-P2S5-GeS2 865
실시예7 탄소 나노 튜브 Li1.5Al0.5Ti1.5(PO4)3 512
실시예8 탄소 나노 튜브 Li2S-P2S5-GeS2 412
실시예9 탄소 나노 튜브 Li2S-P2S5-GeS2 762
비교예1 탄소 나노 섬유 Li2S-P2S5-GeS2 469
비교예2 탄소 나노 튜브 Li2S-P2S5-GeS2 351
도 1은 실시예1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충전 및 방전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첫번째 충전 순환 동안, 황화 리튬은 먼저 분해되고, 다음 요오드화 리튬이 분해되며, 요오드화 리튬 분해 방전 평탄부(discharge plateau)가 높았다. 첫번째 방전 순환 동안, 요오드화 리튬의 방전 평탄부가 없었으나, 황화 리튬의 방전 평탄부는 향상되며, 두번째 충전/방전 순환 동안, 마찬가지로 높은 요오드화 리튬 분해 전압 평탄부가 있었으며, 이는 전기 음성이 높은 요오드화 이온의 전자 끌개 효과를 가리킨다. 동시에, 도 1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실시예1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첫번째 방전 평탄부는 2.31~2.42V(vs. Li/Li+)에 위치하고, Li-S 전지의 방전 평탄부보다 현저히 높다(도 3을 참조).
도 2는 실시예1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223주 순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실시예1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는 우수한 순환 성능을 갖는다.
도 3은 비교예1의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첫번째 충전 및 방전과 두번째 충전 및 방전의 전압-비용량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비교예1의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Li-S 전지의 방전 평탄부는 1.71~2.13V(vs. Li/Li+)에 위치한다.
도 4는 실시예9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충전 및 방전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실시예9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는 마찬가지로 향상된 첫번째 방전 평탄부를 갖고 2.26~2.35V(vs. Li/Li+)에 위치한다.
도 5는 실시예1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가 2번의 충전 및 방전 순환 후의 양극 부피 변형을 나타낸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상기 리튬 함유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포함한 고체 전지 양극을 사용할 경우, 전지가 충전 시 양극은 탈리튬하고, 고체 전극은 전극의 변형을 일으키는 부피 팽창을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을 형성하며, 방전 시 구조는 회복된다. 실시예1의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양극이 2번의 순환 후 부피 변화율은 6.42%에 불과하다.
나아가, 도 6은 비교예2의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한 고체 전지의 첫번째 순환 및 두번째 순환의 전압-비용량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인산 철 리튬을 추가하여 제2 리튬 화합물로 사용하는 전지의 충전 및 방전 평탄부는 1.81~2.11V(vs. Li/Li+)에 위치하고 비교예1에 비해, 향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고방전 평탄부, 특히 고체 리튬 유황 전지의 충전 및 방전 평탄부를 갖는 양극 재료를 황화 리튬과 간단히 혼합하여 고체 전지 성능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

Claims (10)

  1. 30~80중량%의 Li2S, 10~40중량%의 LiI, LiBr, LiNO3 및 LiNO2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리튬 화합물 및 0~30중량%의 전도성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지(solid-state battery)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는 30~70중량%, 바람직하게는 60~70중량%, 예컨대 70중량%의 Li2S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는 15~20중량%의 제2 리튬 화합물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리튬 화합물은 LiI 및/또는 LiNO2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는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10~15중량%의 전도성 탄소 재료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탄소 재료는 카본 블랙, 탄소 나노 튜브, 탄소 나노 섬유 및 그래핀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Li2S의 함량은 60~70중량%이고 상기 제2 리튬 화합물의 함량은 15~20중량%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에서, Li2S, 제2 리튬 화합물 및 전도성 탄소 재료의 중량비는 70:15~20:1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4. Li2S, 제2 리튬 화합물 및 전도성 탄소 재료를 건식 볼 밀링 혼합하거나 또는 습식 볼 밀링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볼 밀링 혼합 또는 습식 볼 밀링 혼합은 질소 분위기 또는 아르곤 분위기와 같은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건식 볼 밀링 혼합 또는 습식 볼 밀링 혼합은 150~500회/분, 예컨대 300회/분의 회전 속도 하에서 1~24시간, 바람직하게는 6~18시간 동안 수행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습식 볼 밀링 혼합은 무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고, 용매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의 중량의 5~10중량%이며,
    바람직하게, 습식 볼 밀링 혼합을 사용할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습식 볼 밀링 혼합을 통해 얻은 혼합물을 50~80℃에서 진공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6. 60~90중량%의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0~20중량%의 전도성 첨가제, 0~40중량%의 고체 전해질 및 0~20중량%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지용 양극.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서의 상기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의 함량은 60~80중량%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첨가제는 카본 블랙, 탄소 나노 튜브, 탄소 나노 섬유 및 그래핀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에서의 상기 전도성 첨가제의 함량은 10~20중량%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고체 전해질은 Li2S-P2S5-GeS2, Li1.5Al0.5Ti1.5(PO4)3 및 Li7La3Zr2O12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에서의 상기 고체 전해질의 함량은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에서의 상기 접착제의 함량은 0~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지용 양극.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집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지용 양극.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극, 고체 전해질 시트 및 음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 시트는 Li2S-P2S5-GeS2, Li1.5Al0.5Ti1.5(PO4)3 및 Li7La3Zr2O12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고체 전지는 고체 리튬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지.
KR1020217006377A 2018-08-17 2019-08-06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KR202100421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939894.9 2018-08-17
CN201810939894.9A CN110838577A (zh) 2018-08-17 2018-08-17 用于固态电池的硫基正极活性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PCT/CN2019/099427 WO2020034875A1 (zh) 2018-08-17 2019-08-06 用于固态电池的硫基正极活性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124A true KR20210042124A (ko) 2021-04-16

Family

ID=6952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377A KR20210042124A (ko) 2018-08-17 2019-08-06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75494A1 (ko)
EP (1) EP3840090A4 (ko)
JP (1) JP2021534554A (ko)
KR (1) KR20210042124A (ko)
CN (1) CN110838577A (ko)
WO (1) WO2020034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8514B (zh) * 2021-11-18 2023-10-31 南通赛得能源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低温性能的正极浆料及制备方法和应用
CN114512632B (zh) * 2021-12-31 2024-04-16 国联汽车动力电池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锂硫电池的正极极片及其制备方法
WO2023187466A1 (ja) * 2022-03-31 2023-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正極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4680B2 (en) * 2004-01-06 2008-04-08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lytes for lithium sulfur cells
JP2013222501A (ja) * 2012-04-12 2013-10-28 Osaka Prefecture Univ 全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683659A (zh) * 2012-05-31 2012-09-19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锂-硫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143614B (zh) * 2013-05-09 2017-02-08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锂硫电池
CN103296251B (zh) * 2013-05-27 2015-08-26 浙江大学 钛酸锂包覆硫复合的锂离子电池正极材料的制备方法
JP6380883B2 (ja) * 2013-10-16 2018-08-29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正極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全固体型リチウム硫黄電池
JP6531888B2 (ja) * 2014-03-19 2019-06-19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正極合材及び全固体型リチウム硫黄電池
KR20150131652A (ko) * 2014-05-15 2015-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i2S를 이용한 복합화된 양극 구조
CN104319404B (zh) * 2014-10-16 2017-04-05 常州大学 一种锂硫电池电极材料用凝胶聚合物粘合剂及其制备方法
KR102467171B1 (ko) * 2014-10-22 2022-11-14 고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카가쿠기쥬츠신코키코 전고체 이차전지용의 양극, 그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이차전지
KR101806604B1 (ko) * 2015-03-13 201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고체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JP6313491B2 (ja) * 2016-03-11 2018-04-18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全固体リチウム硫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129332A (zh) * 2016-09-30 2016-11-16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高离子电导全固态复合正极片、包含该正极片的电池及制备方法
CN109509872B (zh) * 2017-09-14 2021-01-01 中南大学 一种卤化物作为电极活性物质及催化剂的全固态锂硫/钠硫电池
CN108039511B (zh) * 2017-12-18 2019-12-06 苏州大学 一种极性凝胶电解质及其在固态锂硫电池中的应用
CN108400283B (zh) * 2018-02-07 2020-06-12 中国电子产品可靠性与环境试验研究所((工业和信息化部电子第五研究所)(中国赛宝实验室)) 锂硫电池电极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4554A (ja) 2021-12-09
EP3840090A1 (en) 2021-06-23
WO2020034875A1 (zh) 2020-02-20
EP3840090A4 (en) 2022-05-04
CN110838577A (zh) 2020-02-25
US20210175494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0382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CN110165218B (zh) 一种正极补钠剂在钠离子电池中的应用
US10700354B2 (en) Method for composite active material
EP2642577B1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P2797142A1 (en)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Scott et al. Chemical formation of a solid electrolyte interface on the carbon electrode of a Li‐ion cell
US11749793B2 (en) All-solid-state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11293290B (zh) 富钠过渡金属氧化物复合补钠正极活性材料、正极材料、正极及其制备和在钠电中的应用
EP3493303A1 (en)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negative electrode, and all-solid-state lithium ion battery
KR20210042124A (ko) 고체 전지용 유황계 양극 활성 재료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KR10166679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13066988B (zh) 一种负极极片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090074429A (ko) 고전압 고효율 전극 조성을 구비한 리튬 이차 전지
KR100899549B1 (ko) 고효율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전극 제조방법 및리튬이차전지
CN109309228B (zh) 正极活性材料、制备方法、正极和高比能量动力电池
KR101396847B1 (ko) 입자 강도가 향상된 천연 흑연 입자로 이루어진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20100240A (ko) 건식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과 그 제조방법
CN110462890B (zh) 电极活性材料、包含所述电极活性材料的负极和电池以及制备所述电池的方法
CN113745496B (zh) γ型二氧化锰复合硫正极材料及载体与制备方法及应用
CN108777292B (zh) 一种无烟煤改性硒/柠檬酸复合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7374373A (zh) 一种全固态软包电池
CN114497460A (zh) 一种锂离子电池正极极片和制备方法及其锂离子电池
CN115579504A (zh) 一种基于补锂技术的无锂金属负极的锂硫电池及其应用
CN116417566A (zh) 一种正极极片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CN117497710A (zh) 一种钒氧化物电极放电容量活化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