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978A -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978A
KR20210024978A KR1020200107101A KR20200107101A KR20210024978A KR 20210024978 A KR20210024978 A KR 20210024978A KR 1020200107101 A KR1020200107101 A KR 1020200107101A KR 20200107101 A KR20200107101 A KR 20200107101A KR 20210024978 A KR20210024978 A KR 20210024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formula
hydrocarbon resin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622B1 (ko
Inventor
최경신
김원희
고영수
정하영
안 채리시 카리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1002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2/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12/06Hydrocarbons
    • C08F1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07F5/027Organoboranes and organoboro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2/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12/06Hydrocarbons
    • C08F112/12Monomers containing a branched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or a ring substituted by an alk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5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selected from boron, aluminium, gallium, indium, thallium or rare ear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15Compounds containing carbon-to-nitrogen trip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10/00Features related to the catalyst preparation, the catalyst use or to the deactivation of the catalyst
    • C08F2410/01Additive used together with the catalyst, excluding compounds containing Al or B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소늄 이온계 촉매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CATALYS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HYDROCARBON RESIN USING SAME}
본 발명은 옥소늄 이온계 촉매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화수소 수지(hydrocarbon resin)는 나프타 등의 고온 열분해유 속에 있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저분자량의 열가소성 수지이다. 탄화수소 수지는 점도가 있는 액상에서는 hard, brittle한 고상이며,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무색 투명, 옅은 노랑, 어두운 갈색 등의 색상을 나타낸다. 상기 탄화수소 수지는 자외선(UV)에 대한 안전성이 뛰어나며, 접착성을 부여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 대표적인 점착부여제(tackifier)로서 접착테이프나 페인트, 잉크, 고무, 타이어 등의 제품, 의료용품, 목공용품, 위생용품 등에 점착성이나 접착성을 갖게 하는 물질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종래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를 위해서는, 통상 디올레핀인 C5 또는 C9 유분을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한 후 탈촉매, 세정, 수지 분리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하였고, 최근에는 열 중합이나 라디칼 중합 등 다른 중합 방식에 의해 물성의 개량을 시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C5 또는 C9 유분 내 포함된 단량체를 양이온 중합하여 탄화수소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러한 양이온 중합을 위해 촉매 또는 개시제로서 알루미늄 또는 보론계의 루이스 산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루이스 산 촉매의 예로는 AlX3, BX3 (X=F, Br, Cl, I) 등이 있는데, 이는 부식성이며 ??칭 과정에서 HCl, HF 등의 할로겐 성분이 발생하고 이것이 제품에 남아서 품질 저하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루이스 산 촉매는 많은 양의 촉매를 필요로 하며, 반응 후 촉매를 제거하기 위해 많은 양의 염기물(NaOH, KOH, NH4OH 등)을 사용하고 추가로 물로 씻어주기 때문에 많은 양의 폐수를 발생시킨다.
한편, 탄화수소 수지의 중합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양이온 중합은 수분과 불순물에 매우 민감하여, 폴리머의 체인이 성장할 때 적은 양의 수분 또는 불순물과 반응하여 반응이 종료되거나 체인 트랜스퍼(chain transfer)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서 고분자량의 수지를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은 시약을 이용하여 제조된 종래의 금속 복합체로 촉매를 만드는 경우, 제조 공정에서 생기는 리튬염, 나트륨염, 포타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은염을 완벽히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염이 중합반응에 불순물로 포함되어 촉매의 활성도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2007-0085152
본 발명의 목적은 옥소늄 이온계 촉매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 C5 또는 C9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o, p, q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a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기이고,
X는 나이트릴기, 피리딘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옥시기이다.
본 발명의 옥소늄 이온계 촉매는 종래의 알루미늄 또는 보론계 루이스 산 촉매에 대한 대체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첨가제와 혼합한 촉매 조성물을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에 사용할 경우 높은 전환율로 탄화수소 수지를 수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조성물"이란 해당 조성물의 재료로부터 형성된 반응 생성물 및 분해 생성물뿐만 아니라 해당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료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알킬기(alkyl group)"란 직쇄형, 고리형 또는 분지형의 1가의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하며, 비제한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및 헥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이클로알킬기"란 탄소 원자로 구성된 비-방향족 환형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및 사이클로헵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아릴기"란 임의적으로 치환된 벤젠 고리를 지칭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임의적인 치환기를 융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페닐, 나프틸,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바이페닐, 인단일, 안트라실 또는 페난트릴, 및 이들의 치환된 유도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알킬아릴기"란 적어도 하나의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아릴알킬기"란 적어도 하나의 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알콕시기"란 -OR(R은 상기 알킬기임)의 화학식을 갖는 1가 그룹을 의미하며, 이의 구체적인 예에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아릴옥시기"란 -OR'(R'은 상기 아릴기임)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 C5 또는 C9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o, p, q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4
Ra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기이고,
X는 나이트릴기, 피리딘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옥시기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를 C5 또는 C9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양이온 중합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촉매는, 전자 당김 현상이 강한 할로겐기 치환기를 1개 이상 페닐기에 함유하는 유기 보레이트를 음이온 부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C-B 결합이 강하며, 본 발명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와 함께 양이온 중합에 사용되어 우수한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음이온 부의 페닐기에 치환기가 없거나 알킬 치환기 등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조촉매와 혼합하였을 때 부반응이 일어나 촉매가 분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는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 반응에서, 중합 전환율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는 비공유 원자쌍을 가지는 질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데, 이는 수소 양이온(proton)과의 결합이 용이하여 이를 전달하는 사슬 이동(chain transfer) 반응을 촉진하며 이를 통해 중합 반응의 전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질소 원자나 산소 원자 주위에 벌키(bulky)한 작용기가 존재하지 않아 수소 양이온과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기 질소 원자나 산소 원자를 여러개 포함하면서 이들이 근접하게 위치한 단단한(rigid) 구조의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비공유 전자쌍이 상기 촉매와 우연하게라도 결합한다면 매우 강한 배위 결합을 형성하여 촉매의 활성 자리(active site)를 모두 막게 되므로 촉매의 활성을 현저히 저하시켜 중합 반응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적절한 수소 양이온과의 결합 및 전달로 사슬 이동제의 역할을 하여 중합 전환율을 증가시키면서도 촉매의 활성을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는 적절한 구조의 화합물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와 함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를 사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은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4 내지 6의 알킬기, 예컨대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일 수 있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또는 할로겐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일 수 있고, 상기 o, p, q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4 또는 5의 정수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기이면서 o, p, q 및 r은 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포함된 유기 보레이트인
Figure pat00005
는 구체적으로 테트라키스(페닐)보레이트,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Ra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거나,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일 수 있고, X는 나이트릴기, 피리딘기, 탄소수 1 내지 12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옥시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는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벤조나이트릴(benzonitrile), 2-페닐피리딘(2-phenylpyridine),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 및 디부틸 에테르 (dibutyl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의 당량비는 1 : 1 내지 1 : 200일 수 있고, 탄화수소 수지를 높은 효율로 제조하면서 수평균 분자량을 원하는 범위로 제어하기 위한 측면에서, 구체적으로는 1 : 1 내지 1 : 20, 또는 1 : 1 내지 1 : 7, 1 : 1 내지 1 : 2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 1당량 대비 1당량 미만일 경우, 첨가제를 이용한 탄소 양이온의 안정화 효과가 크지 않아 탄화수소 수지의 효율적 제조가 어려울 수 있고, 첨가제의 함량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 1당량 대비 200당량 초과일 경우, 첨가제가 탄소 양이온과 결합하면서 중합 반응을 조기에 종결시키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고,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와 함께 비극성 탄화수소 용매를 혼합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를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이온 중합의 개시를 위해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의 산소 원자 사이 존재하는 수소 원자가 단량체 혼합물과 반응하여 에테르 화합물(R-O-R)이 해리되고 C5 또는 C9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의 탄소 양이온을 생성해야 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탄소 양이온을 이온 상태로 오래 유지시켜 중합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극성을 갖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중합 반응의 개시 시점에는 상기와 같이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의 사용이 유리하나,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에 용해된 상태에서는 할로겐 독성 등으로 인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의 안정성이 낮으므로 혼합 직후 중합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시간 변화에 따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의 활성이 점점 떨어지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의 경우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에 용해시켜 조성물로 제조한 후 일정 시간 보관 후 중합에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높은 중합 전환율로 동등한 물성의 탄화수소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는 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1-클로로부탄 및 클로로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비극성 탄화수소 용매는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일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는 부탄, 펜탄, 네오펜탄, 헥산, 사이클로헥산, 메틸 사이클로헥산, 헵탄 및 옥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단량체 혼합물은 C5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 C9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 또는 이들이 모두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C5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는 이소프렌, 1-펜텐, 2-펜텐, 2-메틸-2-부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펜타디엔, 1,3-펜타디엔 및 1,4-펜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C9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는 지방족 탄화수소이거나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닐 톨루엔, 인덴 및 알파-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를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C5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 C9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적절히 선택하여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이소부틸렌, 2-메틸-1-펜텐, 2-메틸-2-펜텐, 1,3-헥사디엔, 1,4-헥사디엔 및 디사이클로펜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는 단량체 총 중량 기준 0.01 중량% 이상, 0.02 중량% 이상, 0.2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5 중량% 이하, 0.03 중량% 이하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 및 첨가제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는 촉매 조성물 기준 5 내지 50 중량ppm, 또는 10 내지 40 중량ppm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기준 5 내지 250 중량ppm, 또는 10 내지 100 중량ppm, 또는 10 내지 50 중량ppm일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중합 반응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수치범위보다 과량으로 투입되는 경우 원료 비용 증가에 비해 중합 효율은 크게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은 -10℃ 이상, -5℃ 이상, -2℃ 이상, 30℃ 이하, 10℃ 이하, 5℃ 이하, 2℃ 이하, 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에서 중합 반응은 30분 이상, 50분 이상, 3시간 이하, 2시간 이하, 1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합은 -10 내지 3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은,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 이후 촉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는 물리적으로 단순 여과하는 단계를 통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루이스 산 촉매에 비해 사용 및 제거가 훨씬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한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유기용매를 탄화수소 수지의 40중량% 이하, 20중량% 이하, 또는 5중량%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유동성이 있는 탄화수소 수지의 경우 80 메쉬 이상, 100 메쉬 이상, 또는 200 메쉬 이상의 유리 필터를 사용하여 불용성 물질을 필터링해 주는 단계를 수행한다. 또는 실리카, 셀라이트 또는 제올라이트 필터를 사용하여 유동성이 있는 중합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촉매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유동성이 적은 탄화수소 수지의 경우 선형 알킬기 용매, 예컨대 펜탄, 시클로펜탄, 헥산, 시클로헥산, 헵탄, 옥탄, 및 에테르 용매, 예컨대 디에틸에테르, 페트롤리움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유동성을 부여한 다음, 상기 유리 필터, 실리카, 셀라이트 또는 제올라이트 필터를 통해 필터링해 주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생성된 탄화수소 수지를 펜탄, 시클로펜탄, 헥산, 시클로헥산, 헵탄, 옥탄, 디에틸에테르 또는 페트롤리움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수세하여 촉매를 제거하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순 여과 단계를 통해 촉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수세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글로브 박스에서 1g의 [H(Et2O)2][B(C6F5)4]를 라운드 플라스크에 넣고, 10mL의 디클로로메탄을 넣어주었다. 상온에서 이 용액에 5 당량의 무수 디부틸 에테르(Sigma-Aldrich 구매)를 넣어주고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교반 후, 진공 조건에서 모든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흰색 파우더를 무수 헥산을 이용하여 5mL × 3회 세척한 후, 다시 진공 조건에서 건조시켜 [H(nBu2O)2][B(C6F5)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단량체인 알파-메틸 스티렌 5 mL 및 용매 DCM 5 mL를 바이알에 투입하고, 상기 제조예 1의 촉매(알파-메틸 스티렌 기준 0.02 중량%)를 DCM에 용해시켜 첨가하고,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인 아세토나이트릴(제조예 1의 촉매와 동일 당량)을 첨가하여 0 ℃ 유지된 에탄올 배쓰에서 1시간 동안 중합하였다. 반응 종료 후 과량의 메탄올에 침전시키고, 감압 여과하여 용매와 분리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50 ℃에서 1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탄화수소 수지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비교예 1 내지 3
상기 촉매 조성물 제조 시, 하기 표 1과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의 종류를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탄화수소 수지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
실시예 1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실시예 2 벤조나이트릴(benzonitrile)
실시예 3 2-페닐피리딘(2-phenylpyridine)
실시예 4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
실시예 5 디부틸 에테르(dibutyl ether)
비교예 1 -
비교예 2 루티딘(lutidine)
비교예 3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탄화수소 수지를 대상으로 하기 방법에 따라 중량평균 분자량, 수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 값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1) 중량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
탄화수소 수지를 하기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분석 조건 하에 측정하였다.
- 컬럼: PL MiniMixed B x 2
- 용매: THF
- 유속: 0.3 ml/min
- 시료농도: 2.0 mg/ml
- 주입량: 10 ㎕
- 컬럼온도: 40℃
- Detector: RI detector (Agilent사)
- Standard: Polystyrene (3차 함수로 보정)
- Data processing: ChemStation
(2) 분자량 분포
"중량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으로 계산하였다.
전환율(%) 수평균 분자량 중량평균 분자량 분자량 분포
실시예 1 > 99 3200 5300 1.6
실시예 2 > 99 3300 5500 1.6
실시예 3 88 3100 4900 1.6
실시예 4 > 99 2100 3600 1.6
실시예 5 > 99 2100 3300 1.7
비교예 1 80 3700 5900 1.6
비교예 2 31 4300 6500 1.5
비교예 3 - - - -
상기 표 2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촉매를 이용하여 높은 전환율로 탄화수소 수지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를 촉매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5을 살펴보면, 전환율이 보다 증가하여 더 우수한 효율로 탄화수소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전환율에 있어 첨가제를 사용한 실시예보다 낮은 결과를 얻었다. 이는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수소 양이온과의 결합이 용이한 비공유 원자쌍을 가지는 질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를 통해 사슬 이동(chain transfer)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화학식 2에 해당하지 않는 루티딘을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질소 원자에 인접한 양쪽 탄소 모두에 메틸기가 결합하여 있어 질소 원자와 수소 양이온과의 결합 반응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슬 이동(chain transfer)을 촉진시키지 못하여 중합 전환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질소 원자 두개가 동시에 배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페난트롤린을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촉매에 질소 원자가 동시에 배위 결합을 형성하여 촉매 활성을 저하시킴으로써 중합 반응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여, 탄화수소 수지가 형성되지 못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 C5 또는 C9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o, p, q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Ra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기이고,
    X는 나이트릴기, 피리딘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옥시기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5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는 이소프렌, 1-펜텐, 2-펜텐, 2-메틸-2-부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펜타디엔, 1,3-펜타디엔 및 1,4-펜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9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는 비닐 톨루엔, 인덴 및 알파-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이소부틸렌, 2-메틸-1-펜텐, 2-메틸-2-펜텐, 1,3-헥사디엔, 1,4-헥사디엔 및 디사이클로펜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첨가제는 아세토나이트릴, 벤조나이트릴, 2-페닐피리딘, 디에틸 에테르 및 디부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은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인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기 또는 할로겐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인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에 포함된 보레이트계 벌키 음이온은 테트라키스(페닐)보레이트,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것인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10 내지 3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KR1020200107101A 2019-08-26 2020-08-25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KR102476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4242 2019-08-26
KR1020190104242 2019-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978A true KR20210024978A (ko) 2021-03-08
KR102476622B1 KR102476622B1 (ko) 2022-12-13

Family

ID=7468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101A KR102476622B1 (ko) 2019-08-26 2020-08-25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87651B2 (ko)
EP (1) EP3913004B1 (ko)
JP (1) JP7261890B2 (ko)
KR (1) KR102476622B1 (ko)
CN (1) CN113490692B (ko)
WO (1) WO2021040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1629B2 (ja) * 2019-12-06 2023-07-1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触媒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ポリイソブテンの製造方法
KR20210144566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상 고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액상 고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0108A (en) * 1979-02-19 1980-08-25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cyclopentadiene copolymer
KR830001416A (ko) * 1978-10-03 1983-04-30 앤 시이 헤릭크 전해에 의한 탄산알칼리금속 제조방법
JP2006504858A (ja) * 2002-10-15 2006-02-09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オレフィン重合のための複数触媒系及びそれらから生成されたポリマー
KR20070085152A (ko) 2006-02-22 2007-08-27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신규 촉매계 및 복분해 반응을 위한 이의 용도
JP2009503147A (ja) * 2005-07-19 2009-01-29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低粘度ポリ−アルファ−オレフィンの生成プロセス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35998A (en) * 1962-07-28 1966-07-13 Kurashiki Rayon Kk Method of manufacturing a spinning solution
CA1120646A (en) * 1977-12-14 1982-03-23 Charles M. Selman Catalyst and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butene-1
JPS57100112A (en) * 1980-12-16 1982-06-22 Asahi Chem Ind Co Ltd Perfectly random styrene-butadiene copolymer rubber
JPS6341516A (ja) * 1986-08-08 1988-02-22 Toa Nenryo Kogyo Kk 高立体規則性ポリパラメチルスチレン
JP3465322B2 (ja) * 1993-11-04 2003-11-10 東ソー株式会社 イオン性メタロセン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オレフィン重合用触媒
ID23037A (id) 1997-08-01 2000-01-06 Dow Chemical Co Aktivator katalis ion zwitter
US6441260B1 (en) 1999-06-04 2002-08-27 The B.F. Goodrich Company Catalyst and process for preparing oligomers of α-methylstyrene
EP1270603B1 (en) 2001-06-20 2014-04-09 Mitsui Chemicals, Inc.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process for polymerizing olefins
CA2360611C (en) 2001-10-30 2010-08-17 Bayer Inc. Transition metal-free initiator for the preparation of isobutylene-based polymers
DE10211418A1 (de) 2002-03-15 2003-09-2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hochreaktiver Polyisobutene
US6825296B2 (en) 2002-03-29 2004-11-30 The University Of Hong Kong Catalyst component for olefin polymerization
US7674847B2 (en) 2003-02-21 2010-03-09 Promerus Llc Vinyl addition polycyclic olefin polymers prepared with non-olefinic chain transfer agents and uses thereof
US7202317B2 (en) * 2003-04-17 2007-04-10 The University Of Akron Polymerization of i-butene in hydrocarbon media using bis(borane) co-initiators
US7172986B2 (en) 2004-06-14 2007-02-06 Rohm And Haas Company Catalytic composition and its preparation and use for preparing polymers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GB0420396D0 (en) 2004-09-14 2004-10-13 Bp Chem Int Ltd Polyolefins
DE102005038283A1 (de) 2005-08-12 2007-02-22 Basf Ag Solvensstabilisierte Metallkomplexe mit schwach koordinierenden Gegenanionen als Polymerisationskatalysatoren
DE102005055817A1 (de) * 2005-11-21 2007-05-2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reaktiven Isobutenhomo- oder -copolymeren mittels borhaltiger Katalysatorkomplexe
JP2011178723A (ja) * 2010-03-01 2011-09-15 Ideal Star Inc 原子内包フラーレン誘導体および原子内包フラーレン誘導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原子内包フラーレンの内包原子のケージ内位置確定方法
CN102453174B (zh) * 2010-10-15 2013-02-2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催化剂和苯乙烯聚合的方法
US9458185B2 (en) 2012-02-10 2016-10-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irst row metal-based catalysts for hydosilylation
CN109906229B (zh) 2016-11-02 2022-07-29 亚州大学校产学协力团 铬化合物、使用该铬化合物的催化体系以及制备乙烯低聚物的方法
US11718632B2 (en) * 2020-04-08 2023-08-08 Lg Chem, Ltd. Catalys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isobutene-based oligomer using the same
KR20210144566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상 고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액상 고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416A (ko) * 1978-10-03 1983-04-30 앤 시이 헤릭크 전해에 의한 탄산알칼리금속 제조방법
JPS55110108A (en) * 1979-02-19 1980-08-25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cyclopentadiene copolymer
JP2006504858A (ja) * 2002-10-15 2006-02-09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オレフィン重合のための複数触媒系及びそれらから生成されたポリマー
JP2009503147A (ja) * 2005-07-19 2009-01-29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低粘度ポリ−アルファ−オレフィンの生成プロセス
KR20070085152A (ko) 2006-02-22 2007-08-27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신규 촉매계 및 복분해 반응을 위한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rganometallic Chemistry, 2014, pp65-68 *
Organometallics, 2000, pp1442-144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87651B2 (en) 2024-05-21
EP3913004B1 (en) 2023-10-25
US20220127393A1 (en) 2022-04-28
EP3913004A4 (en) 2022-05-04
EP3913004A1 (en) 2021-11-24
CN113490692B (zh) 2023-03-28
CN113490692A (zh) 2021-10-08
JP7261890B2 (ja) 2023-04-20
JP2022519216A (ja) 2022-03-22
KR102476622B1 (ko) 2022-12-13
WO2021040384A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622B1 (ko)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화수소 수지의 제조방법
KR102205883B1 (ko)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과 그의 제조 방법
KR102379593B1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EP3160975B1 (en) Transition metal catalysts for olefin polymerization
US3940374A (en) Synthesis of polythiol polymer intermediates from polyunsaturated hydrocarbons
KR102363032B1 (ko) 전이금속 복합체의 제조 방법
JPS5917724B2 (ja) オレフインの重合および共重合の触媒組成物
KR102261420B1 (ko) 세척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중합 장치 세척 방법
KR102395709B1 (ko) 폴리부텐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RU241496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атализатора для полимеризации норборнена
JP7311629B2 (ja) 触媒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ポリイソブテンの製造方法
KR102516746B1 (ko)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소부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301668B1 (ko) 폴리부텐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KR102640938B1 (ko) 유기금속 촉매를 이용한 이소부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US3379689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crolein polymers
KR20210021926A (ko) 유기 보레이트계 촉매, 이를 이용한 이소부텐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이소부텐 올리고머
KR20210071659A (ko)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이소부텐의 제조방법
KR20180066678A (ko)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RU2653060C1 (ru) Способ аддитивной сополимеризации норборнена с 5-метоксикарбонилнорборненом
KR20220037612A (ko)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소부텐-이소프렌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10040593A (ko) 유기금속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텐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KR20210040594A (ko) 유기금속 촉매 및 조촉매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이소부텐의 제조방법
Ledwith Molecular complexes in polymer synthesis—from Lewis acid adducts to exiplexes
JPH0138100B2 (ko)
JPS59197410A (ja) 1−フエニル−1−アルキン類の重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