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883B1 -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과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과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883B1
KR102205883B1 KR1020177032696A KR20177032696A KR102205883B1 KR 102205883 B1 KR102205883 B1 KR 102205883B1 KR 1020177032696 A KR1020177032696 A KR 1020177032696A KR 20177032696 A KR20177032696 A KR 20177032696A KR 102205883 B1 KR102205883 B1 KR 10220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formula
group
styrene derivative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355A (ko
Inventor
히에로님 마치에예프스키
이레뉴쉬 코프나키
보그단 마르시니에스
Original Assignee
신도스 에스.에이.
펀다크자 유니버시테투 아이엠. 아다마 미키비크자 더블유 포즈나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스 에스.에이., 펀다크자 유니버시테투 아이엠. 아다마 미키비크자 더블유 포즈나니우 filed Critical 신도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1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0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Si-N link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4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substituted by unsaturated carbon radicals
    • C07C15/42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substituted by unsaturated carbon radicals monocyclic
    • C07C15/44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substituted by unsaturated carbon radicals monocyclic the hydrocarbon substituent containing a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7C15/46Styrene; Ring-alkyla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08F12/26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08F212/26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vinyl-aromatic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스티렌 유도체의 공중합체 제조시의 스티렌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과 그의 제조 방법
이 발명은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과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 유도체는 독특한 이화학적 특성이 있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의 제조에 특히 적용될 수 있다. 이들 고무는 자동차 타이어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배합 고무의 제조에 사용된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가 타이어 및 다른 탄성 상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매개 변수는 카본 블랙 및 실리카와 같은 충전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무의 상용성이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무기 충전제간의 상호 작용의 증가는 적용된 충전제에 대한 중합체의 친화도를 증진시키는 적절한 기능기를 함유하는 중합성 단편을 도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US 4,935,471 B는 질소 함유 기능기의 중합체 구조로의 도입은 카본 블랙에 대한 기능화 중합체 친화도의 강한 증진을 초래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충전제로 개질된 폴리부타디엔의 상용성의 명백한 증가는 심지어 삼급 질소 원자 (예컨대, -CN 또는-NMe2)를 함유하는 1종의 말단 기능기를 중합체 사슬에 도입한 후에 관찰된다. 충전제에 대한 개질된 중합체의 친화도 증가에 더하여, 고무 화합물 중의 충전제 분산의 명백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US 4,935,471의 실시예에서는,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및 페난트롤린 유도체와 같은 방향족 N-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에 기반한 리빙 음이온 중합 개시제 합성 방법 및 그들의 N 기능기화 폴리부타디엔 제조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유사한 접근법이 US 6,515,087 B, EP 0 590 491 A1 및 WO2011/076377 A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비고리형 및 고리형 아민이 음이온 중합에 대한 활성 개시제 제조에 사용된다. 추가의 단계에서, 아민이 디-N 기능기화 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된다.
규소 및/또는 질소 원자 함유 비닐 화합물이 US 2004/0044202 A1, EP 2 749 575 A1, US 2012/0041134 A1, EP 2 277 940 A1 및 US 2004/0063884 A1에 추가로 교시되어 있다.
디-N 기능기화 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의 합성도 역시 US 4,196,154 B, US 4,861,742 B 및 US 3,109,871 B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중합체를 얻기 위해, 아미노 기능성 아릴 메틸 케톤이 시약으로서 적용된다. 후자는 또한 기능화제 및 중합 종결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N 개질 방법은 오로지 중합 사슬당 아미노 기능기를 2 이상 함유하지 않는 폴리디엔의 제조에만 허용된다.
상이한 N 기능기 함량으로 N 기능화 중합체를 제조하는 또 다른 접근법은 중합 사슬에 적절한 스티렌 단량체를 도입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응계에 스티렌 단량체의 조절된 도입은 상이한 N 기능기 함량을 가지는 광범위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유도하게 될 것이고, 이에 의하여 무기 충전제에 대한 상이한 분산 특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US 2007/0123631 A1은 아크릴릭 및 사이클릭 리튬 아마이드 (LiNR1R2, 예컨대, LiNEt2, LiNMePh, LiN(SiMe3)2, LiNC4H8 및 LiNC5H10)와 아미노 기능기의 상이한 함량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제조에 추가의 단계에서 사용된 1,3-디비닐로벤젠 또는 1,4-디비닐로벤젠, 1,3-디(이소프로필렌)벤젠 또는 이소머릭 클로로메틸 스티렌과의 광범위한 반응을 통해 N 기능화 스티렌 단량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EP 2 772 515 A1은 공액화 디엔 성분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은 공액화 디엔 폴리머 및 규소 함유 비닐 화합물을 교시하고 있다. 규소 함유 비닐 화합물은 실릴 치환 스티렌일 수 있다. 그러나, EP 2 772 515 A1에 따른 화합물은 문헌 (Organic Letters, 2001, 3, 2729)에 개시되어 있는 N,N-비스(SiMe3)2 아닐린 유도체에 비해 전형적인 공정 조건하에서 가수 분해에 대해 불안정하다.
상기 선행 기술은 오로지 비공유 결합성 상호 작용을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제, 즉 실리카 및 카본 블랙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N 기능성 함량이 상이한 N 기능화 폴리디엔 제조에만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표준 제형은 매우 빈번하게 두 종류의 충전제인 실리카 및 카본 블랙을 상이한 비율로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과 관련된 단점을 극복하고 폴리디엔 합성에의 적용이 타이어 제조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2종의 전형적인 충전제, 즉 실리카 및 카본 블랙 모두에 대해 더 양호한 친화도를 가지는 개질된 SBR 중합체 조성물을 사슬 내에 유도하는 기능화 스티렌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능화 스티렌 유도체는 EP 2 772 515 A1의 기능화 스티렌 유도체보다 가수 분해에 대해 더 안정하여야 한다.
발명의 요약
이제, 이 목적은 다음 식 (I)의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 유도체에 의하여 해결된다는 놀라운 사실이 발견되었다.
Figure 112017111853843-pct00001
상기 식 중,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다음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a) 단일 결합,
b) -(CH2)n-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낸다),
c) -(CH2CH2Y)n-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며, Y는 독립적으로 산소 또는 황일 수 있다),
d) -CH2-(CH2CH2Y)n-CH2-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며, Y는 독립적으로 산소 또는 황일 수 있다),
e) -(CH2CH2NR)n-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며, R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 수가 6 내지 10개인 아릴기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f) -CH2-(CH2CH2NR)n-CH2-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며, R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 수가 6 내지 10개인 알릴기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g) -(CH2SiR2)n-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며, R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 수가 6 내지 10개인 알릴기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h) -CH2-(CH2SiR2)n-CH2-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며, R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 수가 6 내지 10개인 알릴기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i) -(OSiR2)n-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며, R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 수가 6 내지 10개인 아릴기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및
j) -CH2-(OSiR2)n-CH2-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며, R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 수가 6 내지 10개인 아릴기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R3, R4, R5 및 R6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 수가 6 내지 10개인 아릴기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R7 및 R8 각각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 수가 6개 내지 10개인 아릴기 또는 아랄킬기를 나타낸다.
식 (I) 화합물은 단량체 스티렌 유도체이다. 이들 스티렌 유도체 (그 구조 내에 {(R8)3Si}{(R7)3Si}NSiR6R5-(R2)-SiR3R4-(R1) 잔기를 함유함)를 SBR 중합체에 사용하는 것은 {(R8)3Si}{(R7)3Si}NSiR6R5 잔기의 반응성으로 인해, 비공유결합 상호 작용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제에 대한 개질된 중합체의 친화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개질된 중합체와 충전제, 특히 실리카 사이의 공유결합 상호 작용을 제공한다.
놀랍게도, 소량의 스티렌 공단량체 (I)로 개질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기반 고무 화합물의 제조는 비기능화 스티렌 유도체에 기반하여 제조된 것에 비해 젖은 노면 제동력이 32% 더 양호하고, 회전 저항이 24% 더 양호한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공중합체를 유도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또한, EP 2 772 515 A1에 개시된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민- 또는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민알킬-치환된 스티렌 유도체는 특히 산성 또는 염기성 조건하에서 (Me3Si)2N-R 기가 물과의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그들이 가수 분해에 불안정하다는 것에 있어서, 심각한 결점을 가진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Organic Letters, 2001 3, 2729). 따라서, 예컨대 잔기 (Me3Si)2N-R를 함유하는 분자 또는 거대분자 화합물의 가수 분해는, 최종 고무 조성물에서 카본 블랙과 비공유결합으로만 상호 작용하고 실리카와 수소 결합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자유 H2N-R 기가 동시 회복을 하면서, Me3SiOSiMe3의 형성을 초래한다.
또한, 단순한 [(R3Si)2N-R-] 기능화 중합체에 비하여, 이 발명에 따라 기능화 공중합체 내의 {(R8)3Si}{(R7)3Si}NSiR6R5-R2형 기의 임의의 부분 가수 분해는 상승된 온도에서 반응성 실라놀기 (HOSiR6R5-R2)의 형성을 유리하게 유도한다. 이들 기능기는 MCM-41의 표면 개질에 사용된 (RMe2Si)2NSiMe2R'형의 분자 트리실릴아민 유도체에 대한 J.Am. Chem. Soc. 2006년, 128, 1626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리카 표면 [(SiO2)O3Si]-OH의 수산화기와 HOSiMe2-R 기능화 중합체 간의 교차 축합 반응에 의한 [(SiO2)O3Si]-O-SiMe2-R 결합 순서를 통해 실리카 충전제와 안정한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남아 있는 (Me3Si)2N-SiMe2 잔기는 비공유결합 상호 작용을 통해 탄소 충전제 (예컨대, 카본 블랙)와의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제3의 관점에 따르면, 이 발명은 탄성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구조식 (I)의 스티렌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의 관점에 있어서, 이 발명은 식 (I)의 스티렌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제2의 관점에 있어서, 이 발명은 식 (I)의 스티렌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3의 관점에 있어서, 이 발명은 이들의 공중합체의 제조에서 식 (I)의 스티렌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식 (I)의 스티렌 유도체
제1 관점의 양호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스티렌 유도체는 파라 (para) 또는 메타 (meta) 이성질체, 즉 다음의 식 (Ia)또는 식 (Ib)이다.
Figure 112017111853843-pct00002
스티렌 유도체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R1을 가지는 것이 더 양호하다.
a) 단일 결합과,
b) -(CH2)n-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더 좋기로는, R1은 b) -(CH2)n- (여기서 n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좋기로는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특히 n은 1)이다.
더욱이, R2는 b) -(CH2)n-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이 양호하고, 좋기로는 n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더욱 좋기로는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특히 n은 2)이다.
또한, R2=-CH2-CH2-, 즉 R2의 n=2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 양호하고, 여기서 R3, R4, R5, R6, R7 및 R8은 같거나 상이하고, -Me 또는 -Ph 기를 나타내고, R1은 단일 결합 또는 R1의 n이 1 또는 2, 좋기로는 1로 추정되는 -(CH2)n- 기를 나타낸다.
식 (I)의 스티렌 유도체의 R2는 (CH2)2인 것이 일반적으로 양호하다. 이러한 유형의 양호한 스티렌 유도체는 화학식 (1), (2), (3), (4), (5) 및 (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17111853843-pct00003
Figure 112017111853843-pct00004
더 좋기로는 식 (I)의 스티렌 유도체는 화학식 (1), (2), (4) 및 (5)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고, 가장 좋기로는 식 (I)의 스티렌 유도체는 화학식 (1), (4) 및 (5)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R3, R4, R5 및 R6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H3 또는 C6H5를 나타내는 것이 양호하고, R3, R4, R5 및 R6는 동일하고 모두 CH3를 나타내는 것이 더 양호하다. R7 및 R8은 모두 CH3를 나타내는 것이 가장 양호하고, 더 좋기로는 스티렌 유도체는 상기 화학식 (1), (4) 또는 (5)인 것이 더 양호하다.
따라서, 특히 이 발명은 다음의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 기능화 스티렌을 제공한다.
화학식 (1)의 1-[{N,N-비스(트리메틸실릴로아미노)}(디메틸실릴)]-2-{(4-비닐페닐)디메틸실릴}에탄,
화학식 (4)의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4-비닐페닐메틸)디메틸실릴}에탄,
화학식 (5)의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3-비닐페닐메틸)디메틸실릴}에탄.
제2관점에 있어서, 이 발명은 상기 식 (I)의 스티렌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인데,
X1은 염소, 브롬 및 요오드 원자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및 R8는 상기에 정의된 것인 하기 식(II)의 실레인은 하기 식 (III)의 마그네슘 화합물과 반응하고,
Figure 112017111853843-pct00005
Figure 112017111853843-pct00006
여기서 X2는 염소, 브롬 및 요오드 원자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상기에 정의된 것이다.
좋기로는, 반응은 불활성 기체 내의 유기 용매에서 수행되고, 더 좋기로는 반응은 지방족 또는 고리형 에테르 용매 (특히,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임)에서 수행된다.
식 (III)의 유기마그네슘 화합물은 일반식 (IV)인 할로겐기능화 스티렌
Figure 112017111853843-pct00007
(여기서 X3는 염소, 브롬 및 요오드 원자로부터 선택됨)과,
식 (II)인 실레인 존재하의 마그네슘 간의 반응 매질 내에서 즉시 형성될 수 있거나, 반응 매질에 (분리된 반응기에서 제조된 즉시 사용 가능한 시약으로서 식 (II)인 실레인으로) 도입될 수 있다.
식 (III) 마그네슘 화합물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한데, 즉 반응기에 마그네슘, 용매 (예컨대, 요구되는 부피의 약 10%의 임의의 양) 그리고 활성화제 (가장 유리하게는 예컨대, 마그네슘 1몰당 약 0.005 몰의 양인 요오드)를 적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마그네슘 표면을 요오드로 활성화하는 도중에, 반응기 내용물을 (기본적인 요오드의) 갈색이 사라질 때까지 교반하고 용매의 끓는점까지 가열되어야 한다. 이어서, 식 (II)인 실레인과 그 뒤에 남아있는 용매 부분이 실온에서 그러한 준비된 계에 도입된다. 두 단계로 수행되는 식 (IV)의 할로겐의 (X3) 기능성 스티렌의 도입에 뒤따르고, 즉 양이 10 몰% 이하인 할로겐 기능성 스티렌 (화학 양론 비의 결과)이 초기에 도입된다. 반응 개시 후에 (온도 상승으로 나타남), 식 (IV) 할로겐 기능성 스티렌의 남아 있는 부분이 용매의 완만한 끓음이 유지되는 속도로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반응은 반응물의 비율에 관계없이 진행되지만, 반응 화학 양론과 다른 반응물 비율을 사용하는 경우 많은 부생성물이 형성된다. 각각 식 (II)의 실레인과 관계된, 마그네슘 5 내지 10 몰% 초과 및 일반식 (III)의 할로겐 기능성 스티렌 3 내지 6 몰% 초과에서 이 발명의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반응은 좋기로는 25℃ 내지 100℃ 범위, 이상적으로는 약 66℃에서 수행된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약 5 시간이다.
이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합성은 좋기로는 수분 보호 반응기에서 수행되고, 가장 유리하게는 아르곤 또는 질소 대기에서 수행된다. 물질은 반응기에 순차적으로 도입되는데, 즉 마그네슘 표면 활성 도중에 마그네슘이 첫번째로 도입되고, 이어서 용매 그리고 이어서 요오드가 도입되는데, 반면에 반응상 도중에 도입 순서는 (좋기로는 실온에서): 실레인 (II) 그리고 이어서 할로겐 반응성 스티렌 (IV)이다. 미량의 물과 산소 존재하에서 모든 액체 반응물뿐만 아니라 용매는 좋기로는 건조되고 산소가 제거되어, 실레인 (II)와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 (III)의 분해 가능성을 피해야 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은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가열되고 교반된다.
시약을 활성화된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반응기에 도입하는 반대 순서, 즉 첫번째로 할로겐 기능성 스티렌 (일반식이 (IV)임)을 도입하고 이어서 실레인 (II)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는 일반식이 (III) 및 (IV)인 화합물의 부분 중합의 결과로서 원하는 생산물 수율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반응의 원료 제품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분리는 반응 후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에 이어서 마그네슘 할라이드 MgX1X2 (반응의 부생성물로 형성됨)로부터 생성물을 분리하고 얻어진 현탁액을 여과시키거나 원심분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분리는 전형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 유리하게는 헥산 또는 사이클로헥산에 의한 추출에 의해 수행된다. 생성물은 감압하에서 용매와 휘발성 불순물을 증발시켜 여과함으로써 회복된다.
이 발명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은 독특한 물리화학적 특성이 있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얻기 위한 공단량체성 기질로서 적용된다. 따라서, 제3의 관점에 있어서, 이 발명은 스티렌 유도체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 식 (I)의 스티렌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좋기로는, 공중합체는 다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A) 공중합체 중량당 1종 이상의 디엔 단량체 20 중량% 내지 99.95 중량%,
B) 공중합체 중량당 1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단량체 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C) 공중합체 중량당 식 (I)의 1종 이상의 스티렌 유도체 0.05 중량% 내지 50 중량%,
Figure 112017111853843-pct00008
여기서 R1 및 R2는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스티렌 유도체의 용도의 추가의 자세한 내용은 동일한 날에 출원된 국제 출원명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에 기반한 탄성 공중합체와 이것의 고무 제조시의 용도", PCT/EP2016/057834 (대리인 참조 P 99714)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국제 출원 PCT/EP2016/057834 (대리인 참조 P 99714)는 EP15461525.6으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EP15461525.6 (대리인 참조 P 95042)은 이 출원의 우선 출원인 EP15461526.4와 동일한 날에 출원되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이 발명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 실시예에서 보다 자세하게 나타난다.
생성물은 다음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 1H 및 13C NMR 스펙트럼을 브루커 울트라 쉴드 (Bruker Ultra Shield) 600 MHz 및 브루커 (Bruker) 500 MHz 유형의 NMR 분광기를 사용하여 기록하였고,
-브루커 (Bruker) MS320 및 GC-MS 배리언 새턴 (Varian Saturn) 유형의 GC-MS 질량 분석기.
실시예 1
자기 교반기, 적가(滴加) 깔때기와 가스 도입 장치 및 오일 밸브 (자이체프 (Zaitsev) 세척기)가 부착된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1L 용량의 반응기에 아르곤 대기중에서 금속 마그네슘 (13.37g, 0.55 mol)을 넣고, 이어서 건식 및 탈산(脫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200 mL)과 요오드 (I2, 0.69g, 2.75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기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이를 50℃까지 가열하였다. 마그네슘 활성화는 갈색이 없어질 때까지 수행한 다음, 반응기 내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클로로디메틸실릴}에탄 (170.10g, 0.50 mol)과 나머지 용매 (300 mL)를 그와 같이 하여 제조된 활성화 마그네슘에 첨가하였다. 적가 깔때기를 1-브로모-4-비닐벤젠 (99g, 0.53 mol)으로 채웠다. 반응 초기 단계에서, 1-브로모-4-비닐벤젠 9.90 mL를 반응기 내용물을 교반하지 않으면서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반응 진행의 징후가 명확하게 관찰되면, 나머지의 할로겐화 비닐벤젠 유도체를 약 2시간 동안 반응기 내용물이 부드럽게 비등하는 속도로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1-브로모-4-비닐벤젠 투여가 완료된 후에, 반응기 온도를 시간당 60℃의 범위로 1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약간 과량의 브롬(4-비닐페닐)마그네슘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2-프로판올 10 m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의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감압 증발시키고, n-헥산 1.00 L를 잔사에 첨가하였다. 여기서 얻은 현탁액을 여과하고, 침전을 n-헥산 200 mL로 3회에 나누어 세척하였다. 이어서, 얻은 여과액으로부터 용매를 감압 증발시키고, 일정 압력으로 될 때까지 50℃에서 진공 건조시켰다.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4-비닐페닐)디메틸실릴}에탄 191.70g을 수율 94%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분광 분석하였다.
GC -MS: 408.4 (0.5); 407.4 (1.0); 381.4 (1.0); 380.4 (3.0); 379.3 (6.0); 220.3 (15.0); 219.3 (27.0); 218.3 (100); 217.6 (27.0); 216.2 (24.0); 204.2 (2.0); 203.2 (3.0); 202.1 (5.0); 188.1 (5.0); 161.1 (33.0); 145.1 (4.0); 131.1 (10.0); 130.0 (30.0); 100.0 (13.0); 73.1 (18.0); 59.1 (7.5).
NMR:
1 H NMR (300 MHz, CDCl3, 300 K) d(ppm) = 7.49 (d, 2H, -C6H4-); 7.41 (d, 2H, -C6H4-); 6.73 (dd, 1H, -CH=); 5.79 (d, 1H, =CH2); 5.27 (d, 1H, =CH2); 0.66 (m, 2H, -CH2-); 0.53 (m, 2H, -CH2-); 0.28 (s, 6H, -SiMe2-); 0.18 (s, 24H, -N(SiMe3)2, -SiMe2-)
13 C NMR (75.46 MHz, CDCl3, 300 K) d(ppm) = 139.23; 137.90; 136.92; 133.87; 125.48; 113.97; 12.58; 8.01; 5.55; 3.08; -3.55.
29 Si NMR (99.38 MHz, CDCl3, 300 K) d(ppm) = 4.88; 2.29; -1.50
실시예 2
자기 교반기, 적가 깔때기와 가스 도입 장치 및 오일 밸브 (자이체프 (Zaitsev) 세척기)가 부착된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20L 용량의 반응기에 아르곤 대기중에서 금속 마그네슘 (153.73g, 6.32 mol)을 넣고, 이어서 건식 및 탈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1.00 L)과 요오드 (I2, 7.97g, 31.62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기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이를 50℃까지 가열하였다. 마그네슘 활성화는 갈색이 없어질 때까지 수행한 다음, 반응기 내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클로로디메틸실릴}에탄 (1956.20g, 5.75 mol)과 나머지 용매 (9.00 L)를 그와 같이 하여 제조된 활성화 마그네슘에 첨가하였다. 적가 깔때기를 1-브로모-4-비닐벤젠 (1,105g, 6.04 mol)으로 채웠다. 반응 초기 단계에서, 1-브로모-4-비닐벤젠 100 mL를 반응기 내용물을 교반하지 않으면서 반응계에 적가하였다. 반응 진행의 징후가 명확하게 관찰되면, 나머지의 할로겐화 스티렌 유도체를 약 5시간 동안 반응기 내용물이 부드럽게 비등하는 속도로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1-브로모-4-비닐벤젠 투여가 완료된 후에, 반응기 온도를 시간당 약 60℃의 범위로 유지한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약간 과량의 브롬(4-비닐페닐)마그네슘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2-프로판올 30 m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의 혼합물로부터 용매를 감압 증발시키고, n-헥산 5.00 L를 잔사에 첨가하였다. 여기서 얻은 현탁액을 여과하고, 침전을 n-헥산 500 mL로 3회에 나누어 세척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여과액으로부터 용매를 감압 증발시키고, 일정 압력으로 될 때까지 50℃에서 진공 건조시켰다.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4-비닐페닐)디메틸실릴}에탄 2157.80g을 수율 92%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I2 (0.38g, 1.16 mmol)로 활성화된 Mg 6.19 g (0.26 mol) 존재에서,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클로로디메틸로실릴}에탄 (78.82g, 0.23 mol)을 1-(클로로메틸)-4-비닐벤젠 (37.13g, 0.24 mol)과 반응시켰다.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4-비닐페닐메틸)디메틸실릴}에탄 91.03g을 수율 93%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분광 분석하였다.
GC-MS:
393.2 (0.9); 260.2 (3.4); 237.4 (2.0); 236.4 (10.3); 234.5 (41.4); 223.5 (2.6); 222.5 (12.7); 221.6 (19.1); 220.7 (100.0); 208.0 (2.8); 188.8 (1.4); 186.8 (1.5); 177.8 (1.7); 176.9 (2.3); 175.9 (14.8); 1517 (7.5); 117.7 (3.9); 100.5 (2.6); 73.3 (2.8).
NMR:
1 H NMR (300 MHz, CDCl3, 300 K) d(ppm) = 7.28 (d, 2H, -C6H4-); 6,97 (d, 2H, -C6H4-); 6.67 (dd, 1H, -CH=); 5.68 (d, 1H, =CH2); 5.68 (d, 1H, =CH2); 5.16 (d, 1H, =CH2); 2.11 (s, 2H, -CH2-); 0.51, 0.43 (m, 4H, -CH2CH2-); 0.21, 0.19, 0.18, -0.02 (s, 30H, -CH3).
13 C NMR (75.46 MHz, CDCl3, 300 K) d(ppm) = 140.43; 136.82; 133.34; 128.13; 126.08; 111.90; 25.12; 12.49; 7.15; 5.58; 3.06; -4.09.
29 Si NMR (99.38 MHz, CDCl3, 300 K) d(ppm) = 4.85; 3.98; 2.31.
실시예 4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I2 0.38g (1.16 mmol)으로 활성화된 Mg 6.19g (0.255 mol) 존재하에서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클로로디메틸로실릴}에탄 (78.82g, 0.232 mol)을 1-(클로로메틸)-4-비닐벤젠 및 1-(클로로메틸)-3-비닐벤젠 (37.13g, 0.24 mol)의 혼합물과 반응시켰다.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4-비닐페닐메틸)디메틸실릴}에탄과 1-[{N,N-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틸실릴)]-2-{(3-비닐페닐메틸)디메틸실릴}에탄 혼합물 88.10g을 수율 90%로 수득하였다.
GC-MS:
파라(para) 이성질체: 393.2 (0.9); 260.2 (3.4); 237.4 (2.0); 236.4 (10.3); 234.5 (41.4); 223.5 (2.6); 222.5 (12.7); 221.6 (19.1); 220.7 (100.0); 208.0 (2.8); 188.8 (1.4); 186.8 (1.5); 177.8 (1.7); 176.9 (2.3); 175.9 (14.8); 151.7 (7.5); 117.7 (3.9); 100.5 (2.6); 73.3 (2.8).
메타 ( meta ) 이성질체: 237.3 (1.8); 236.3 (7.8); 235 (7.9); 234.4 (36.5); 223.5 (2.8); 222.5 (14.8); 221.5 (21.2); 220.6 (100.0); 219.0 (7.7); 207.9 (1.8); 186.7 (1.4); 188.7 (1.4); 177.7 (1.6); 176.8 (3.0); 175.8 (17.5); 151.6 (8.5); 149.7 (3.3); 100.4 (2.8); 73.2 (3.3).
NMR:
1 H NMR (300 MHz, CDCl3, 300 K) d(ppm) = 7.28 (d); 7.17 (m); 7.06 (s); 6.98 (d); 6.92 (d) (-C6H4-); 6.69 (dd), 5.70 (dd); 5.19 (dd) (3H, -CH=CH2); 2.11 (s, 2H, -CH2-); 0.74 (m); 0.62 (m); 0.53 (m); 0.43 (m) (4H, -CH2CH2-); 0.22 (s); 0.21 (s), 0.20 (s) 0.18 (s); 0.17 (s); -0.01 (s); -0.02 (s) (30H, -CH3).
13 C NMR (75.46 MHz, CDCl3, 300 K) d(ppm) = 140.7; 140.43; 137.36; 137.21; 136.82; 133.35; 128.26; 128.13; 127.64; 126.08; 125.96; 121.83; 113.22; 111.90; 25.12; 12.49; 7.15; 7.12; 5.59; 3.10; -4.07; -4.06.

Claims (11)

  1. 다음 식 (I)의 스티렌 유도체로서,
    Figure 112019133715183-pct00009

    상기 식 중,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다음의 군, 즉
    a) 단일 결합,
    b) -(CH2)n-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낸다),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고,
    R3, R4, R5 및 R6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탄소 원자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일 수 있으며,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R7 및 R8 각각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일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 (Ia) 또는 (Ib)인 것인 스티렌 유도체.
    Figure 112017111853843-pct00010
  3. 제1항에 있어서, R1은 다음의 군, 즉
    a) 단일 결합과,
    b) -(CH2)n- (여기서, n은 1 또는 2이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스티렌 유도체.
  4. 제3항에 있어서, R1은 -(CH2)n- (여기서, n은 1이다)인 것인 스티렌 유도체.
  5. 제1항에 있어서, R2는 b) -(CH2)n-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인 것인 스티렌 유도체.
  6. 제1항에 있어서, R3, R4, R5 및 R6은 CH3를 나타내는 것인 스티렌 유도체.
  7. 제1항에 있어서, R7 및 R8은 모두 CH3를 나타내고,
    다음의 화학식 (1), (2), (3), (4), (5) 또는 (6)인 스티렌 유도체.
    Figure 112019133715183-pct00011

    Figure 112019133715183-pct00012
  8. 다음 식(I)의 스티렌 유도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의 식(II)의 실레인과 다음의 식 (III)의 마그네슘 화합물이 반응하는 제조 방법:
    Figure 112019133715183-pct00013

    상기 식 중,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 즉
    a) 단일 결합,
    b) -(CH2)n- (여기서, n은 1 내지 12의 정수를 나타낸다),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고,
    R3, R4, R5 및 R6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일 수 있으며,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R7 및 R8 각각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수가 1 내지 10개인 알킬기일수 있으며,
    Figure 112019133715183-pct00014

    상기 식 중, X1은 염소, 브롬 및 요오드 원자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및 R8은 상기 정의된 바이고,
    Figure 112019133715183-pct00015

    상기 식 중, X2는 염소, 브롬 및 요오드 원자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상기 정의된 바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반응을 불활성 기체 중의 유기 용매에서 수행시키는 것인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77032696A 2015-04-10 2016-04-08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과 그의 제조 방법 KR102205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461526 2015-04-10
EP15461526.4 2015-04-10
PCT/EP2016/057735 WO2016162473A1 (en) 2015-04-10 2016-04-08 [bis(trihydrocarbylsilyl)aminosilyl]-functionalized styrene and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355A KR20180016355A (ko) 2018-02-14
KR102205883B1 true KR102205883B1 (ko) 2021-01-22

Family

ID=5299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96A KR102205883B1 (ko) 2015-04-10 2016-04-08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과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10259830B2 (ko)
EP (1) EP3280744B1 (ko)
JP (1) JP6488423B2 (ko)
KR (1) KR102205883B1 (ko)
CN (1) CN107690444B (ko)
AU (1) AU2016244358A1 (ko)
BR (1) BR112017021376A2 (ko)
CA (1) CA2981118A1 (ko)
DK (1) DK3280744T3 (ko)
EA (1) EA036381B1 (ko)
ES (1) ES2692043T3 (ko)
HU (1) HUE039808T2 (ko)
IL (1) IL254878A0 (ko)
MX (1) MX2017013013A (ko)
PL (1) PL3280744T3 (ko)
RS (1) RS57959B1 (ko)
SG (1) SG11201707912WA (ko)
TN (1) TN2017000435A1 (ko)
WO (1) WO2016162473A1 (ko)
ZA (1) ZA2017075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41621T2 (hu) 2015-04-10 2019-05-28 Synthos Sa Iniciátorok dién monomerek és vinil aromás monomerek kopolimerizálására
JP6725921B2 (ja) * 2015-04-10 2020-07-22 シントス エス.アー.Synthos S.A. [ビス(トリヒドロカルビルシリル)アミノシリル]官能化スチレンをベースとするエラストマーコポリマーおよびゴムの製造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JP6811250B2 (ja) 2016-10-06 2021-01-13 シントス ドボリ 7 スプウカ ズ オグラニザツィーノン オトゥポビエジャルノシチョン スプウカ ヤフナSynthos Dwory 7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lka Jawna [ビス(トリヒドロカルビルシリル)アミノシリル]−官能化スチレンおよびその調製方法
MX2018009576A (es) 2016-10-06 2018-09-05 Synthos Sa Copolimeros elastomericos basados en estireno funcionalizado con [bis(trihidrocarbilsilil) aminosililo] y su uso en la preparacion de gomas.
CN110382509B (zh) 2017-08-08 2021-08-10 西索斯卓里第七公司 双硅烷基氨基硅烷基官能化共轭二烯及其在橡胶制造中的使用
WO2019030059A1 (en) 2017-08-08 2019-02-14 Synthos Dwory 7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lka Jawna CONJUGATED DIENNA FUNCTIONALIZED BY BISSILYLAMINOSILYL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BR112020018798A2 (pt) * 2018-04-11 2020-12-29 Synthos S.A. Misturas de estirenos funcionalizados com aminosilila, sua preparação e seu uso na produção de copolímeros elastoméricos
EA202190668A1 (ru) 2018-09-03 2021-05-27 Синтос С.А. Аминосилил-функционализованные сопряженные диены, их получение и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при производстве каучуков
CN113329890B (zh) 2019-01-24 2023-10-20 西索斯公司 双甲硅烷基氨基官能化共轭二烯烃、其制备及在橡胶生产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3631A1 (en) 2005-11-30 2007-05-31 Halasa Adel F Functionalized rubbery 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15623A (de) 1960-11-11 1966-06-30 Monsanto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ickstoff-Silicium-Verbindungen
US3109871A (en) 1960-12-27 1963-11-05 Phillips Petroleum Co Production and curing of polyfunctional terminally reactive polymers
US4196154A (en) 1977-10-11 1980-04-01 The Dow Chemical Company Soluble multifunctional lithium containing initiator
JPS5953515A (ja) * 1982-09-22 1984-03-28 Tounen Sekiyu Kagaku Kk 新規リビングブロツク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118343A (ja) 1986-11-07 1988-05-23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共役ジエン系ゴム組成物
JPH0778151B2 (ja) * 1987-07-17 1995-08-23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ゴム組成物
DE3729144A1 (de) 1987-09-01 1989-03-09 Basf Ag Bifunktionelle alkaliverbind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polymerisationsinitiatoren
US4935471A (en) 1987-10-15 1990-06-1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Capped polydienes
JP3141958B2 (ja) * 1992-02-28 2001-03-07 ホーヤ株式会社 気体透過性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29005A (en) 1992-10-02 1994-07-12 Bridgestone Corporation Soluble an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s and preparation thereof
US5527753A (en) 1994-12-13 1996-06-18 Fmc Corporation Functionalized amine initiators for anionic polymerization
DE19536843A1 (de) * 1995-10-02 1997-04-03 Bayer Ag (Co)Polymerisate auf Basis von Vinyl-Einheiten und ihre Verwendung in elektrolumineszierenden Anordnungen
US6627721B1 (en) 2002-09-19 2003-09-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Functionalized elastomers
US6627722B2 (en) 2000-12-05 2003-09-30 Stephan Rodewald Functionalized elastomers
US6515087B2 (en) 2000-12-14 2003-02-0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ynthesis of elastomers having low hysteresis
JP2004059781A (ja) * 2002-07-30 2004-02-26 Jsr Corp 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該共重合体を含有するアスファルト組成物
US6825306B2 (en) 2002-08-16 2004-11-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Functionalized monomers for synthesis of rubbery polymers
US6933358B2 (en) 2002-08-16 2005-08-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Functionalized monomers for synthesis of rubbery polymers
US6753447B2 (en) 2002-08-16 2004-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Functionalized monomers for synthesis of rubbery polymers
EP1777263B1 (en) * 2004-08-10 2009-11-11 JSR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BRPI0809111B1 (pt) * 2007-03-23 2018-08-14 Jsr Corporation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 (co)polímero à base de dieno conjugado modificado, (co)polímero à base de dieno conjugado modificado e composição de borracha
EP2277940A4 (en) 2008-04-30 2012-08-15 Bridgestone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MODIFIED CONJUGATED DIENE COPOLYMER, MODIFIED CONJUGATED DIENE COPOLYM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RUBBER COMPOSITION AND TIRE
CN101724184B (zh) 2008-10-29 2013-05-01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橡胶组合物及轮胎
US20100116404A1 (en) 2008-11-11 2010-05-13 Annette Lechtenboehmer Tire with component containing polyketone short fiber and functionalized elastomer
US20100152364A1 (en) 2008-12-12 2010-06-1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lymers, rubber compositions, and tires
JP2011074310A (ja) * 2009-10-01 2011-04-14 Sumitomo Rubber Ind Ltd 共重合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ゴム組成物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WO2011076377A1 (en) 2009-12-21 2011-06-30 Styron Europe Gmbh Modified polymer compositions
JP2011252137A (ja) 2010-05-06 2011-12-15 Sumitomo Chemical Co Ltd 共役ジエン系重合体、共役ジエン系重合体組成物、及び、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US8334339B2 (en) 2010-08-11 2012-12-18 Sumitomo Chemical Co., Lt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WO2013031599A1 (ja) 2011-08-26 2013-03-07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組成物、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US9120890B2 (en) 2011-11-24 2015-09-0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Rubber composition and pneumatic tire
JP5862509B2 (ja) * 2012-08-09 2016-02-16 Jsr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725921B2 (ja) 2015-04-10 2020-07-22 シントス エス.アー.Synthos S.A. [ビス(トリヒドロカルビルシリル)アミノシリル]官能化スチレンをベースとするエラストマーコポリマーおよびゴムの製造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HUE041621T2 (hu) 2015-04-10 2019-05-28 Synthos Sa Iniciátorok dién monomerek és vinil aromás monomerek kopolimerizálására
JP6811250B2 (ja) 2016-10-06 2021-01-13 シントス ドボリ 7 スプウカ ズ オグラニザツィーノン オトゥポビエジャルノシチョン スプウカ ヤフナSynthos Dwory 7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lka Jawna [ビス(トリヒドロカルビルシリル)アミノシリル]−官能化スチレンおよびその調製方法
MX2018009576A (es) 2016-10-06 2018-09-05 Synthos Sa Copolimeros elastomericos basados en estireno funcionalizado con [bis(trihidrocarbilsilil) aminosililo] y su uso en la preparacion de gom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3631A1 (en) 2005-11-30 2007-05-31 Halasa Adel F Functionalized rubbery poly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90444B (zh) 2020-02-11
BR112017021376A2 (pt) 2018-07-03
CA2981118A1 (en) 2016-10-13
HUE039808T2 (hu) 2019-02-28
JP6488423B2 (ja) 2019-03-20
KR20180016355A (ko) 2018-02-14
ES2692043T3 (es) 2018-11-29
MX2017013013A (es) 2018-03-12
CN107690444A (zh) 2018-02-13
EP3280744A1 (en) 2018-02-14
JP2018513907A (ja) 2018-05-31
EP3280744B1 (en) 2018-08-15
PL3280744T3 (pl) 2019-03-29
WO2016162473A1 (en) 2016-10-13
SG11201707912WA (en) 2017-10-30
EA036381B1 (ru) 2020-11-02
RS57959B1 (sr) 2019-01-31
AU2016244358A1 (en) 2017-11-02
US20180065996A1 (en) 2018-03-08
IL254878A0 (en) 2017-12-31
EA201792252A1 (ru) 2018-02-28
DK3280744T3 (en) 2018-10-29
US10259830B2 (en) 2019-04-16
TN2017000435A1 (en) 2019-04-12
ZA201707594B (en)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883B1 (ko)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 기능화 스티렌과 그의 제조 방법
KR102205884B1 (ko) [비스(트리하이드로카르빌실릴)아미노실릴]-관능화 스티렌 및 그 제조방법
KR101959602B1 (ko) 아미노 실란-개질된 중합체
KR101831999B1 (ko) 개질된 중합체 조성물
EP2826793A1 (en) Method for preparing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polymer, and tire comprising composition
KR101920566B1 (ko) 알릴붕산화를 통해 작용화된 탄성중합체의 제조 방법
KR20190022335A (ko) 변성 중합 개시제 및 이의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EP4032915A1 (en) Conjugated diene-based graft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0248969B (zh) 用氨基化锂引发剂连续合成经改性的二烯弹性体的方法
JPS58206611A (ja) トリアルキルシリルアセチレン類の重合方法
US6555644B2 (en) Multi-reactive silicon compound having polyalkyleneglycol substituents and synthetic method thereof
JPH0374683B2 (ko)
JP4276805B2 (ja) 新規シラザ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新規シラザン化合物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35166A1 (en) Polymer networks
JPH0548766B2 (ko)
JPH058160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