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774A - 조리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조리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774A
KR20210001774A KR1020190078345A KR20190078345A KR20210001774A KR 20210001774 A KR20210001774 A KR 20210001774A KR 1020190078345 A KR1020190078345 A KR 1020190078345A KR 20190078345 A KR20190078345 A KR 20190078345A KR 20210001774 A KR20210001774 A KR 20210001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zipper
sheet
unseal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269B1 (ko
Inventor
이병국
조경식
정승민
이상봉
김그레이스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9007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269B1/ko
Priority to US17/617,128 priority patent/US20220167785A1/en
Priority to PCT/KR2020/000788 priority patent/WO2020262785A1/ko
Priority to CN202021217069.7U priority patent/CN213030510U/zh
Priority to CN202010596122.7A priority patent/CN112137414A/zh
Publication of KR2021000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보관한 상태에서 전자레인지에 투입되어 음식물의 가열에 사용되며,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적절히 배기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식감과 맛을 우수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조리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 파우치{POUCH}
본 발명은 조리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보관한 상태에서 전자레인지에 투입되어 음식물의 가열에 사용되며,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적절히 배기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식감과 맛을 우수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조리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할 때, 음식물을 포장하는 파우치 내에 음식물을 보관한 상태로 가열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파우치에는 스팀 배출구가 형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파우치에 형성된 스팀 배출구의 경우, 스팀 배출구가 작동하여 배기를 수행하기 전에 파우치가 파열되거나, 또는 파우치를 닫는 지퍼가 개방되어, 음식물의 식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예컨대, 만두 등의 경우 증기에 의한 찜 형태의 조리가 필요한데, 이와 같이 파우치가 파열되거나 지퍼가 개방되면 찜 조리가 충분히 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만두가 부분별로 서로 조리 정도가 상이하거나, 또는 수분이 말라붙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조리 과정에서 증기를 적절히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는 조리용 파우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6187호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리 과정에서 증기를 적절히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는 조리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파우치는, 가장자리가 융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시트; 상기 시트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지퍼;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지퍼 하부의 제1 공간과, 상기 지퍼 상부의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지퍼와 상기 시트 사이에는, 상기 지퍼와 상기 시트가 서로 융착되는 씰링부; 및 상기 지퍼와 상기 시트가 서로 비융착되는 미씰링부;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퍼는, 상기 시트의 내면과 면하여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시트와 융착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어 개폐를 수행하는 파스너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씰링부는, 제1 미씰링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미씰링 영역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씰링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상하 방향으로 오픈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시킨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미씰링 영역의 좌우 방향 폭은, 10 mm 이상 30 mm 이하의 범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미씰링 영역은,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이 상기 제2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씰링부는, 상기 파스너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씰링 영역, 및 제2 씰링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미씰링부는, 상기 제1 씰링 영역과 상기 제2 씰링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미씰링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미씰링 영역은, 상기 제1 씰링 영역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1-1 미씰링 영역, 및 상기 제2 씰링 영역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1-2 미씰링 영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1 미씰링 영역은,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이 상기 제2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1 미씰링 영역은,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이 상기 제2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2 공간보다 큰 용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트는,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퍼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노치, 및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퍼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노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씰링부는, 상기 시트와 상기 지퍼가 열 융착되도록 상기 시트의 내면과 상기 지퍼가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에 열을 전달하는 프레스 툴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미씰링부는, 상기 프레스 툴과 상기 시트 사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열 차단 부재가 투입되어 상기 프레스 툴에서 상기 시트로 전달되는 열이 부분적으로 차단됨으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파우치는, 음식물을 보관한 상태에서 전자레인지에 투입되어 음식물의 가열에 사용되며,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적절히 배기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식감과 맛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파우치는, 지퍼와 시트 사이의 미씰링 영역을 통해 배기를 수행하므로,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도 2 의 X-X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 은 상기 미씰링부의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시트와 지퍼 사이의 융착 과정에서 미씰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도 2 의 X-X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이라 함은, 도 1 에 표시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전후 방향이라 함은, 도 3 에 표시된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1)는, 시트(10); 및 지퍼(100); 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1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합성 수지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1)는, 2 장의 시트(10)의 가장자리가 서로 융착되는 융착부(20)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융착부(20)의 내측에 소정의 용적의 내부 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장자리라 함은, 시트의 외측 둘레 부분을 의미하며, 반드시 최 외측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2 장의 시트(10)라는 용어도, 반드시 서로 분리된 2 장의 시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1 장의 시트(10)가 접혀져서 1 장의 시트(10)의 일 부분과 일 부분이 서로 융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상기 내부 공간(30)에 음식물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시트(10)는, 측부에 구비되어 시트(10)의 절개를 간편하게 하는 노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노치(40)는 지퍼(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노치(42), 및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퍼(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노치(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치(42)와 제2 노치(44)를 이용하여 지퍼(100)의 하부, 및 상부의 절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지퍼(100)는 상기 시트(10)의 내면에 결합된다. 상기 지퍼(100)는 시트(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지퍼(100)를 경계로 하여, 상기 내부 공간(30)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내부 공간(30)은 상기 지퍼(100) 하부의 제1 공간(32), 및 상기 지퍼(100) 상부의 제2 공간(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32)은 제2 공간(34)보다 큰 용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퍼(100)와 상기 시트(10) 사이에는 씰링부(A)와 미씰링부(B)가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A)는, 상기 지퍼(100)와 상기 시트(10)가 서로 융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씰링부(A)는, 상기 제1 공간(32)과 상기 제2 공간(34) 사이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미씰링부(B)는, 상기 지퍼(100)와 상기 시트(10)가 서로 비융착되는 부분이다. 즉, 미씰링부(B)는, 지퍼(100)와 시트(10) 사이가 서로 융착되지 않음으로서 형성되는 틈새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32)과 상기 제2 공간(34)은 상기 미씰링부(B)를 통해서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1)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때, 상기 미씰링부(B)는 증기 배기 통로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제1 공간(32) 내에 음식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발생한 증기는 미씰링부(B)를 통해 제1 공간(32)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증기압에 의해서 시트(10)가 파열되거나 지퍼(100)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미씰링부(B)는 지퍼(100)와 시트(10) 사이에 형성되어(즉, 지퍼(10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지퍼(100)에 가해지는 증기압을 감소시키기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음식물의 가열 과정에서 지퍼(100)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3 을 참조하여, 지퍼(100)의 구성, 및 지퍼(100)와 시트(10) 사이에 형성되는 씰링부(A)와 미씰링부(B)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지퍼(100)는, 플레이트부(110), 및 파스너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상기 시트(10)의 내면과 면하여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시트(10)와 융착되는 부분이다. 플레이트부(110)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패널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파스너부(120)는, 상기 플레이트부(110)로부터 돌출되어 실질적으로 개폐를 수행하는 부분이다.
참조로, 도 3 에서는, 일 시트(10)와 해당 시트(10)에 결합되는 지퍼(100)에 대해서만 도시하여, 지퍼(100)에 구비된 파스너부(120)가 돌출된 파스너 헤드를 갖는 형태만이 도시되었다. 그러나, 도 3 에 도시된 시트(10)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시트(10)와 지퍼(100)의 경우에는, 지퍼(100)에 구비된 파스너부(120)가 파스너 홀더(상기 파스너 헤드가 투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부분)를 가질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지퍼(100)의 구성을 고려할 때,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기 씰링부(A)는, 상기 파스너부(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씰링 영역(130),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씰링 영역(140)을 포함한다. 즉, 씰링부(A)는 파스너부(120)를 사이에 두고 파스너부(1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씰링부(B)는, 제1 미씰링 영역(150), 및 제2 미씰링 영역(160)을 포함한다.
제1 미씰링 영역(150)은 상기 지퍼(100)를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오픈되는 부분이다. 즉, 제1 미씰링 영역(150)의 하부는 제1 공간(32) 방향으로 오픈되고, 제1 미씰링 영역(150)의 상부는 제2 공간(34) 방향으로 오픈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제1 미씰링 영역(150)을 통해서 상기 제1 공간(32)과 상기 제2 공간(34) 사이의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 의 화살표 F 와 같이, 제1 공간(32) 내의 증기가 제1 미씰링 영역(150)을 통해서 제2 공간(34)으로 배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미씰링 영역(150)은 상기 지퍼(100)를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름으로서, 상기 제1 씰링 영역(130) 및 제2 씰링 영역(14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좌우 방향으로 구획(분할)한다. (아울러, 제1 미씰링 영역(150)은 후술하는 제2 미씰링 영역(16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름은 자명하다.) 이때, 제1 미씰링 영역(150)은 상기 제1 씰링 영역(130)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부분인 제1-1 미씰링 영역(152)과, 상기 제2 씰링 영역(140)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부분인 제1-2 미씰링 영역(15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씰링 영역(130)은, 상기 제1-1 미씰링 영역(152)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제1-1 씰링 영역(132)과 제1-2 씰링 영역(134)으로 분할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씰링 영역(140)은, 제1-2 미씰링 영역(154)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제2-1 씰링 영역(142)과 제2-2 씰링 영역(144)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1 미씰링 영역(152)과 제1-2 미씰링 영역(154)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1 미씰링 영역(152)은 제1 폭(P)을 갖고, 제1-2 미씰링 영역(154)은 제2 폭(Q)을 가질 수 있다.
제2 미씰링 영역(160)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 씰링 영역(130)과 제2 씰링 영역(14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2 미씰링 영역(160)은 상기 제1 씰링 영역(130)과 제2 씰링 영역(140) 사이에 형성되는 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미씰링 영역(16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씰링부(A)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씰링 영역(130)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씰링 영역(140)으로 분할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미씰링 영역(16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파스너부(120)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진다.
상기와 같은 제2 미씰링 영역(160)은, 지퍼(100)와 시트(10) 사이의 열 융착 시, 열이 가해지지 않아서 생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만일 지퍼(100)와 시트(10) 사이의 열 융착을 위해서 지퍼(100)의 전 면적(플레이트부(110)의 전 면적)에 걸쳐서 압력 및 열을 가할 경우, 파스너부(12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파스너부(120)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하고 파스너부(120)의 상부, 및 하부 부분을 각각 열 융착시킴으로서, 파스너부(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파스너부(120)와 겹쳐지는 부분에는 제2 미씰링 영역(160)이 형성되고, 파스너부(120)의 상부, 하부에는 각각 제1 씰링 영역(130)과 제2 씰링 영역(1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는 상기 미씰링부(B)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7 은 비교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미씰링 영역(150)은, 상방향(제1 공간(32)에서 제2 공간(34)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1 미씰링 영역(152)의 하단부의 폭(P1)과 상단부의 폭(P2), 및 제1-2 미씰링 영역(154)의 하단부의 폭(Q1)과 상단부의 폭(Q2)은, P1>P2≥Q1>Q2 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부(제1 공간(32))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될 때는 배출 공간이 넓은 것이 유리하다. 그 이유는, 배출 공간이 넓을 경우 스팀이 쉽게 배출되고, 공간 내부에 스팀이 모여 압력이 발생해야 내용물 표면의 수분이 내용물에 골고루 전달되면서 촉촉함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제1-1 미씰링 영역(152)과 제1-2 미씰링 영역(154)는 상하 방향으로 대체로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1 미씰링 영역(152)과 제1-2 미씰링 영역(154)의 좌우 폭(P1, P2, Q1, Q2)은 모두 10 mm 이상 30 mm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제1 미씰링 영역(150)이 30 mm 이상의 폭을 가질 경우, 스팀 압력이 발생이 안되어(그냥 열려있는 상태와 비슷하여) 조리 면에서의 유리점이 적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제1 미씰링 영역(150)이 10mm 보다 작을 경우 조리 시 내압이 너무 커져서 지퍼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이 시작되는 지점(제1-1 미씰링 영역(152)의 하단부)은 클 경우에 스팀이 쉽게 배출되고, 반대로 나가는 끝부분(제1-2 미씰링 영역(154)의 상단부)은 작아야 압력이 내부 압력이 발생이 되면서 스팀이 내부에서 골고루 퍼지게 되어 표면 마름현상을 방지하고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7 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른 형태인 비교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예컨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미씰링 영역(150)의 하방향 단부 및 상방향 단부가 내측 단부에 비해서 좌우 방향 폭이 좁은 형상을 갖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제1-1 미씰링 영역(152)의 하단부의 폭(P1)과 상단부의 폭(P2)은, P1<P2 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2 미씰링 영역(154)의 하단부의 폭(Q1)과 상단부의 폭(Q2)은, Q1>Q2 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스팀 배출되는 입구(제1-1 미씰링 영역(152)의 하단부)에 압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그 압력이 지퍼(100)의 개봉강도보다 강할 수 있다. 이때, 지퍼(100)가 소리를 내면서 열릴수 있는 불안정 상태가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은 바람직한 방향은 아니다.
다른 예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미씰링 영역(150)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제1-1 미씰링 영역(152)의 하단부의 폭(P1)과 상단부의 폭(P2), 및 제1-2 미씰링 영역(154)의 하단부의 폭(Q1)과 상단부의 폭(Q2)은, P1<P2<Q1<Q2 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6 과 같은 형태에서 실험을 한 결과 전자레인지 조리중 지퍼 전체가 열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한편, 도 6 과 같은 형태를 유지하면서 P1의 절대값 자체를 넓혀서 테스트 하였을 경우에는, 지퍼 전체가 열리지는 않으나 수분 배출량이 많아져서 내용물 표면 마름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도 6 과 같은 구조도 스팀 파우치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
다른 예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 미씰링 영역(152)과 상기 제1-2 미씰링 영역(154)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제1-1 미씰링 영역(152)과 상기 제1-2 미씰링 영역(154)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형태를 실험하였을 경우, 실바를 통한 강제 미실을 구조적으로 만들었으나, 양산 속도로 인하여 원하던 설계 치수와 일치하는 확률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즉, 상하 방향으로 비대칭 형상(좌우로 이격되게 위치)이 되도록 제1-1 미씰링 영역(152)과 상기 제1-2 미씰링 영역(154)을 형성하고자 하였으나, 그 형상이 설계한 대로 생산되지 않고 대칭과 유사하게 생산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는 양산 면에서 부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와 비교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같이 제1 미씰링 영역(15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조리 시 수분이 배출되는 양, 증기 배기 시간, 파우치 내의 내압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조리(가열) 과정에서 지퍼(100)가 의도하지 않게 결합 해제되어 조리용 파우치(1)가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공간(32) 내의 증기량이 많아져서 압력이 커질 경우, 미씰링부(B)에 한 배기가 적절하지 않으면 지퍼(100)가 내압을 견디지 못하여 불필요하게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의하여 제1 미씰링 영역(150)이 적절한 형상과 위치를 가짐으로서, 제1 공간(32) 내의 증기를 적절히 배기할 수 있으므로, 지퍼(100)의 불필요한 개방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가열 과정에서 물이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미씰링부(B)의 좌우 방향 폭이 클 경우, 증기가 지나치게 많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가열 과정에서 생성된 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찜 조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씰링부(B)의 폭을 전체적으로 좁게 할 경우, 제1 공간(32) 내의 내압 조절이 안 되어(제1 공간(32) 내의 내압이 커져서), 조리 과정에서 지퍼(100)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미씰링 영역(150)의 좌우 방향 폭이 부분적으로 상이함으로서, 증기 배기가 적절한 범위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파우치 내의 수분량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된 음식물의 식감과 맛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1)의 제조 방법의 일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시트(10)와 지퍼(100) 사이의 융착 과정에서 미씰링부(B)(정확하게는 제1 미씰링 영역(150))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시트(10)와 지퍼(100) 사이를 융착시킬 때, 소정의 프레스 툴(200)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스 툴(200)은 열을 가하여 시트(10)와 지퍼(100) 사이가 서로 열 융착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프레스 툴(200)은 열 전도에 적합한 재질로 구성되며, 예컨대 제1 씰링 영역(130)과 제2 씰링 영역(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스 툴(200)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홈, 또는 홀과 같은 투입 공간(210)이 형성되며, 상기 투입 공간(210)에는 테프론 등과 같은 열 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되는 열 차단 부재(220)가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 차단 부재(220)가 위치하는 부위에는 프레스 툴(200)에서 전달되는 열이 차단되어, 상기 시트(10)와 지퍼(100) 사이의 열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스 툴(200)에 의해서 열이 전달되는 부분에는 씰링부(A)가 형성되고, 상기 열 차단 부재(220)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미씰링부(B)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스 툴(200)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미씰링부(B)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기존의 공정 과정을 유지하면서 프레스 툴(200)만을 변경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조리용 파우치(1)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1)는 그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1)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 파우치(1)를 사용한 제품은 (a) 와 같이 음식물이 포장된 상태로 출하될 수 있다.
이어서, (b) 와 같이 제2 노치(44)를 이용하여 시트(10)의 상단을 절개한다. 따라서, 지퍼(100) 상부의 제2 공간(34)이 개방된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2 노치(44)를 절개한 후, 지퍼(100)를 열어서 소량의 물을 제1 공간(32)에 주입할 수 있다. 이어서, 지퍼(100)를 닫고 흔들어서 음식물이 물에 충분히 젖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c) 와 같이 전자레인지에 제품을 투입하여 열을 가하면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된다. 음식물에 열이 가해지면 제품 내의 수분 및 상기 주입된 물이 끓어서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미씰링부(B)를 통해서 증기가 배기(S)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미씰링부(B)를 통한 증기의 배출량은 미씰링부(B)의 구성에 의해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 내의 수분이 적절히 유지되고 제1 공간(32) 내의 내압도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d) 와 같이 제1 노치(42)를 이용하여 시트(10)를 절개할 수 있다. 이때, 지퍼(100)가 제거되어 제1 공간(32)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이후 제1 공간(32) 내에 잔여한 물을 제거한 후,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파우치(1)는, 음식물을 보관한 상태에서 전자레인지에 투입되어 음식물의 가열에 사용되며,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적절히 배기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식감과 맛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파우치(1)는, 지퍼(100)와 시트(10) 사이의 미씰링 영역을 통해 배기를 수행하므로,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특히, 제조 공정에서, 단순히 프레스 툴의 형상만을 변경하여 상기 미씰링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 면에서 유리하다.
아울러, 배기를 수행하는 구성이 별도의 홀 등이 아닌, 단순히 지퍼(100)와 시트(10) 사이의 미씰링 영역으로 구성되므로, 음식물이 담겨진 제1 공간(32) 내의 수분 및 압력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어 찜과 같은 형태의 조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음식물의 식감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시트
20: 융착부
30: 내부 공간
32: 제1 공간
34: 제2 공간
40: 노치
42: 제1 노치
44: 제2 노치
100: 지퍼
110: 플레이트부
120: 파스너부
130: 제1 씰링 영역
132: 제1-1 씰링 영역
134: 제1-2 씰링 영역
140: 제2 씰링 영역
142: 제2-1 씰링 영역
144: 제2-2 씰링 영역
150: 제1 미씰링 영역
152: 제1-1 미씰링 영역
154: 제1-2 미씰링 영역
160: 제2 미씰링 영역
200: 프레스 툴
210: 투입 공간
220: 열 차단 부재

Claims (11)

  1. 가장자리가 융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시트;
    상기 시트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지퍼;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지퍼 하부의 제1 공간과, 상기 지퍼 상부의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지퍼와 상기 시트 사이에는,
    상기 지퍼와 상기 시트가 서로 융착되는 씰링부; 및
    상기 지퍼와 상기 시트가 서로 비융착되는 미씰링부;가 구비되는 조리용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는,
    상기 시트의 내면과 면하여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시트와 융착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어 개폐를 수행하는 파스너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씰링부는, 제1 미씰링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미씰링 영역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씰링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상하 방향으로 오픈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조리용 파우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씰링 영역의 좌우 방향 폭은,
    10 mm 이상 30 mm 이하의 범위를 갖는 조리용 파우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씰링 영역은,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이 상기 제2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보다 큰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파스너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씰링 영역, 및 제2 씰링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미씰링부는,
    상기 제1 씰링 영역과 상기 제2 씰링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미씰링 영역을 더 포함하는 조리용 파우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씰링 영역은,
    상기 제1 씰링 영역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1-1 미씰링 영역, 및
    상기 제2 씰링 영역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1-2 미씰링 영역을 포함하는 조리용 파우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미씰링 영역은,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이 상기 제2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보다 큰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미씰링 영역은,
    상기 제1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이 상기 제2 공간에 인접한 부분의 좌우 방향 폭보다 큰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2 공간보다 큰 용적을 갖는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퍼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노치, 및
    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퍼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노치를 포함하는 조리용 파우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시트와 상기 지퍼가 열 융착되도록 상기 시트의 내면과 상기 지퍼가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에 열을 전달하는 프레스 툴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미씰링부는,
    상기 프레스 툴과 상기 시트 사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열 차단 부재가 투입되어 상기 프레스 툴에서 상기 시트로 전달되는 열이 부분적으로 차단됨으로서 형성되는 조리용 파우치.
KR1020190078345A 2019-06-28 2019-06-28 조리용 파우치 KR102233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45A KR102233269B1 (ko) 2019-06-28 2019-06-28 조리용 파우치
US17/617,128 US20220167785A1 (en) 2019-06-28 2020-01-16 Cooking pouch
PCT/KR2020/000788 WO2020262785A1 (ko) 2019-06-28 2020-01-16 조리용 파우치
CN202021217069.7U CN213030510U (zh) 2019-06-28 2020-06-28 烹饪袋
CN202010596122.7A CN112137414A (zh) 2019-06-28 2020-06-28 烹饪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45A KR102233269B1 (ko) 2019-06-28 2019-06-28 조리용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74A true KR20210001774A (ko) 2021-01-06
KR102233269B1 KR102233269B1 (ko) 2021-03-29

Family

ID=7388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345A KR102233269B1 (ko) 2019-06-28 2019-06-28 조리용 파우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67785A1 (ko)
KR (1) KR102233269B1 (ko)
CN (2) CN112137414A (ko)
WO (1) WO2020262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269B1 (ko) * 2019-06-28 2021-03-29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조리용 파우치
JP2021160749A (ja) * 2020-03-31 2021-10-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パウ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304A (ja) * 1993-09-10 1995-03-20 Yumiko Takahashi 脱気包装袋、脱気包装方法及び仮シーラー
JP3655099B2 (ja) * 1998-07-06 2005-06-02 株式会社生産日本社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袋体
KR20090012015U (ko) * 2008-05-22 2009-11-26 씨제이제일제당 (주) 데치기용 파우치
US20110033134A1 (en) * 2008-04-22 2011-02-10 Gyula Madai Microwavable bag with valve and method for the fabrication thereof
KR20110056187A (ko) 2009-11-20 2011-05-26 주식회사 크라우젠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5104B2 (ja) * 1998-08-26 2005-06-02 株式会社生産日本社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袋体
JP2003040356A (ja) * 2001-07-30 2003-02-13 Nakamoto Pakkusu Kk 食品収容袋およびこれを用いた加熱調理方法
KR20050107074A (ko) * 2004-05-07 2005-11-11 세진테크 주식회사 곡물 및 식품 포장백용 시일링 장치
JP2006044708A (ja) * 2004-08-02 2006-02-16 Teppei Ono 調理用バッグ
KR20080067835A (ko) * 2007-01-17 2008-07-22 김낙영 이중포대의 내·외피 열접장치
KR101091267B1 (ko) * 2010-08-05 2011-12-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 보관 용기
KR101546498B1 (ko) * 2014-09-03 2015-08-24 김정매 즉석 조리용 발열봉투
CN205267850U (zh) * 2015-11-17 2016-06-01 泉州市登极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饮水袋
CN108209653A (zh) * 2016-12-14 2018-06-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保鲜装置、保鲜控制方法、保鲜控制系统及烹饪器具
KR20180002522U (ko) * 2017-02-13 2018-08-22 주식회사 스탠드팩 휴대용 음료 보관 파우치
KR102233269B1 (ko) * 2019-06-28 2021-03-29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조리용 파우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304A (ja) * 1993-09-10 1995-03-20 Yumiko Takahashi 脱気包装袋、脱気包装方法及び仮シーラー
JP3655099B2 (ja) * 1998-07-06 2005-06-02 株式会社生産日本社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袋体
US20110033134A1 (en) * 2008-04-22 2011-02-10 Gyula Madai Microwavable bag with valve and method for the fabrication thereof
KR20090012015U (ko) * 2008-05-22 2009-11-26 씨제이제일제당 (주) 데치기용 파우치
KR20110056187A (ko) 2009-11-20 2011-05-26 주식회사 크라우젠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785A1 (ko) 2020-12-30
CN112137414A (zh) 2020-12-29
CN213030510U (zh) 2021-04-23
US20220167785A1 (en) 2022-06-02
KR102233269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269B1 (ko) 조리용 파우치
KR101060883B1 (ko) 내압배출수단이 형성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US6403174B1 (en) Element for the formation of bags for packing food products and not under vacuum
JP3655103B2 (ja)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袋体
US20160001907A1 (en) Food container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10076126A (ko) 압력 배출구가 일체화된 패키지 및, 관련된 제조 방법
JP3655104B2 (ja)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袋体
US20030138169A1 (en) Angled sealing pattern for retort pouch to create cold corners
JPH07237658A (ja) 食品容器
JPH11178713A (ja) 電子レンジ加熱用袋体
JP7004129B2 (ja) パウチ
CN210019089U (zh) 食物烹饪容器
JP7095218B2 (ja) パウチ
JP2002029574A (ja) プラスチック包装材料と該プラスチック包装材料を用いて製袋した食品包装袋。
KR20190109794A (ko)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KR101398865B1 (ko)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
JP2000025795A (ja)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袋体
KR101656258B1 (ko) 전자렌지용 포장재료
KR20190028012A (ko) 지퍼밸브가 부착된 지퍼팩
KR101770410B1 (ko) 전자레인지용 포장봉지
JP3581241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KR102152457B1 (ko)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KR102349612B1 (ko) 전자렌지 식품 포장백과 그 제조방법
JP6392540B2 (ja) 電子レンジ対応型包装袋
KR102522276B1 (ko) 다층이형필름을 이용한 증기배출용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