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794A -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 Google Patents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794A
KR20190109794A KR1020180031277A KR20180031277A KR20190109794A KR 20190109794 A KR20190109794 A KR 20190109794A KR 1020180031277 A KR1020180031277 A KR 1020180031277A KR 20180031277 A KR20180031277 A KR 20180031277A KR 20190109794 A KR20190109794 A KR 20190109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packaging film
synthetic resin
fus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592B1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디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디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디엔
Priority to KR1020180031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합성수지필름을 접착하여 포장필름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포장필름의 일측에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필름의 융착부를 서로 열융착시켜 파우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는 상기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상기 단계를 통해 제조된 파우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Pouch producing method using a conventional pouch producing apparatus and a pouch having a vapor discharging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열융착되는 포장필름의 일측에 반 칼집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파우치 내부에 증기가 발생할 경우 반 칼집을 이용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는 다수의 합성수지층이 라미네이팅되어 있는 포장필름의 단부를 열융착시킨 후 내부에 식품이 수용된다. 파우치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이 포장되며, 근래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간단히 가열한 후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는 레토르트 식품 및 냉동식품 등을 저장한 전자레인지용 음식물 파우치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음식물 파우치는 전자레인지의 가열과정 중 내부에서 발생하는 식품의 수분과 수증기의 팽창에 의해 팽창하게 되는데, 파우치의 팽창 시 수증기를 제때 빼주지 못하게 되면 팽창에 의한 내부 압력으로 파우치가 터지거나 찢어지는 등 파손될 수 있으며, 파우치의 파손에 의해 식품이 오염되는 2차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음식물 파우치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기 전 파우치의 일부분 미리 절단하여 개봉해 놓거나, 파우치에 구멍을 뚫어 파우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식품 조리 전 파우치를 절단하거나 개봉하는 등 일련의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소비자에게 불편함을 줌과 동시에 전자레인지 가열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가 바로 파우치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증기에 의한 뜸들임 효과가 저감되어 음식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국내등록특허 제10-1488114호에는 파우치의 측부에 형성되는 압력조절부를 통해서 파우치 내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파우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포장필름의 단부에 파우치 내에서 발생한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부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부는 부분적으로 접착 강도가 다르게 마련되며 상대적으로 접착 강도가 약한 밀봉 취약부로 증기를 우선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파우치를 만들기 위해서는 포장필름의 단부를 열융착시키는 압착롤러를 통해 포장필름 단부에 부분별로 다른 압착 강도를 부가하여 상대적으로 접착 강도가 약한 밀봉 취약부를 성형시켜주어야 하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파우치 제조장치는 포장필름의 단부를 열융착하는 압착롤러가 포장필름 단부에 모두 동일한 압력을 가하면서 압착, 밀봉시키는 구조로 상기한 발명의 파우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제조장치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별도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마련하여야 하므로 제조장치의 제작을 위한 비용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내부의 증기로 인해 일정 이상 압력으로 팽창할 경우 내부 증기를 적절히 배출시켜줄 수 있는 증기 배출 구조를 갖되, 기존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그대로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파우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488114호(2015.01.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포장필름의 단부를 열융착시키도록 구성된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은, 복수 개의 합성수지필름을 접착하여 포장필름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포장필름의 일 지점에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필름의 융착부를 서로 열융착시켜 파우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는 상기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포장필름은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형태로 이형처리된 합성수지필름과 다른 합성수지필름을 접착하여 제작되며, 상기 배출시작점은 상기 포장필름의 이형처리 부분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시작점은 상기 포장필름 융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마련되며, 복수 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는 상기한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은, 포장필름의 내측 또는 외측 일 지점에 반 칼집을 형성한 후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를 사용하여 포장필름의 융착부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열융착시켜 파우치를 제조함에 따라,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를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공장 구축 시 파우치에 증기 배출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를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된 파우치는, 파우치 내부에 증기가 발생하여 일정 이상의 압력이 내부에 생성될 경우, 포장필름의 일측에 반 칼집의 형태로 마련되어 비교적 두께가 얇은 배출시작점 부분의 포장필름이 터지면서 내부 증기가 배출되므로, 파우치를 절단하거나 개봉하는 등 일련의 과정 없이도 파우치 내부에 일정 이상 압력이 생성될 경우에 증기를 자동으로 배출하여 음식 맛을 저감시키지 않으면서 위생적으로 음식을 가열·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은,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형태로 이형처리된 합성수지필름을 접착시켜 제작된 포장필름의 이형처리부분 안쪽에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을 형성한 후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를 사용하여 포장필름의 융착부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열융착시켜 파우치를 제조함에 따라,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를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공장 구축 시 파우치에 증기 배출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를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된 파우치는, 파우치 내부에 증기가 발생하여 일정 이상의 압력이 내부에 생성될 경우,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에 증기가 유입되며, 배출시작점에 유입된 증기는 배출시작점을 포함하여 이형처리된 합성수지필름들의 이형처리부분을 벌리면서 파우치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파우치를 절단하거나 개봉하는 등 일련의 과정 없이도 파우치 내부에 일정 이상 압력이 생성될 경우에 증기를 자동으로 배출하여 음식 맛을 저감시키지 않으면서 위생적으로 음식을 가열·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포장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A-A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파우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의 (a)는 도 3a에 도시된 B-B의 단면도이며, (b)는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포장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C-C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와 (b)는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및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포장필름의 가장자리를 서로 열융착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파우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D-D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파우치의 배출시작점을 통해 파우치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E-E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은, 복수 개의 합성수지필름(11)을 접착하여 포장필름(10)을 제작하는 단계(S10), 포장필름(10)의 일측에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30)을 형성하는 단계(S20) 및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를 이용하여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서로 열융착시켜 파우치(100)를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합성수지필름(11)을 접착하여 포장필름(10)을 제작하는 단계(S10)는, 파우치(100)의 원단이 되는 포장필름(1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포장필름(10)은 여러 개의 합성수지필름(11)을 적층·접착하여 제작한다. 포장필름(10)은 두 개 이상의 합성수지필름(11)을 층층이 쌓아 접착하여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필름(10)의 두 개의 제1 및 제2 합성수지필름(11a, 11b)이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 개 이상의 합성수지필름(11)이 적층되어 접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합성수지필름(11a, 11b)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한 것이며, 모두 합성수지필름(11)의 범주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포장필름(10)은 완성된 파우치(100)를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합성수지필름(11a)과 외측에 배치되는 제2 합성수지필름(11b)으로 제작된다. 제1 및 제2 합성수지필름(11a, 11b)은 PE 또는 PP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합성수지필름(11a)과 제2 합성수지필름(11b)은 수지 형태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며, 이와 같이 다수의 합성수지필름(11)을 이용하여 포장필름(10)을 제작하는 방법은 종래에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파우치(100)는, 사각 모양으로 이루어진 포장필름(10)의 상하좌우 방향의 융착부(20)를 세 부분에서 서로 접착시켜 T방 파우치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열융착되는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a를 기준으로 포장필름(20)의 우측 테두리에 해당하는 융착부(20)를 제1 융착부(21)로, 좌측 테두리에 해당하는 융착부(20)를 제2 융착부(22)로, 상측 테두리에 해당하는 융착부(20)를 제3 융착부(23)로, 하측 테두리에 해당하는 융착부(20)를 제4 융착부(24)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융착부(20)는 포장필름(10)의 테두리에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융착부(20)의 내측에는 저장부(15)가 마련된다. 즉, 포장필름(10)은 내측에 저장부(15)가 마련되며, 테두리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융착부(20)를 갖도록 구비된다. 융착부(20)와 저장부(15) 사이에는 접착경계선(16)이 구비되며, 포장필름(10)은 접착경계선(16)을 기준으로 융착부(20)끼리 서로 열융착되어 파우치(100)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필름(10)의 일 지점에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30)을 형성하는 단계(S20)는, 완성된 파우치(100) 내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 시작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배출시작점(30)은 다수의 합성수지필름(11)으로 제작된 포장필름(1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필름을 시작으로 일부가 반 칼집으로 절단되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포장필름(10)이 완성된 파우치(100)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제1 합성수지필름(11a)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합성수지필름(11b)으로 이루어지므로, 배출시작점(30)은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합성수지필름(11a)의 일측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와 깊이로 절단되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합성수지필름(11) 중 일부의 합성수지필름을 절개하여 구비되는 배출시작점(30)은 전체적으로 봤을 경우, 포장필름(10)의 두께를 반 정도 절단한 반 칼집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배출시작점(30)은 포장필름(10)의 두께를 절반 이상 또는 절반 이하로 절단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에는 배출시작점(30)이 제1 합성수지필름(11a)으로부터 절단되어 파우치(100)의 안쪽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배출시작점(30)은 제2 합성수지필름(11b)으로부터 반 칼집의 형태로 절단되어 파우치(100)의 바깥쪽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배출시작점(30)은 융착부(20)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배출시작점(30)은 융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연장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시작점(30)이 일직선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좌우로 연장된 현수선(catenary)의 모양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배출시작점(3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출시작점(30)은 나란히 배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출시작점(30)이 제1 융착부(21), 제3 융착부(23), 및 제4 융착부(24)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사각 형상의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세 군데에서 서로 접착시킨 T방 파우치 형태로 제작할 경우, 제1 융착부(21)와 제2 융착부(22)가 서로 열융착되고, 제3 융착부(23) 및 제4 융착부(24)는 각각 접어져 열융착되는 구조로써, 서로 열융착된 융착부(20)에 인접하게 하나의 배출시작점(30)만 구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출시작점(30)은 제1 융착부(21)가 아닌 제2 융착부(22)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a, 도 3b,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를 이용하여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열융착시켜 파우치(100)를 제조하는 단계(S30)는, 압착롤러(2)를 이용하여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열융착시킴으로써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10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압착롤러(2)가 구비된다.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 사이에 접착시키고자 하는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들이 통과되며,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는 압착롤러(2)에 의해 서로 열융착된다. 이때,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는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에 모두 동일한 압력을 가하여 포장필름(20)의 융착부(20)를 열융착시켜준다. 이와 같은 압착롤러(2)가 구비되어 있는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우치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를 참고하면, 파우치(100)는 포장필름(10)의 제1 융착부(21), 제2 융착부(22), 제3 융착부(23), 및 제4 융착부(24)가 세 부분으로 접착되어 제작된다. 먼저, 압착롤러(2)를 통해 포장필름(10)의 좌·우 테두리에 위치하는 제1 융착부(21)와 제2 융착부(22)를 서로 열융착시켜준다. 이때, 좌·우 테두리에 위치하는 제1 융착부(21)와 제2 융착부(22)가 접착된 상태에서 포장필름(10)은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가지며, 양단부에는 각각 상·하 테두리에 위치하는 제3 융착부(23)와 제4 융착부(24)가 위치한다. 제3 융착부(23)와 제4 융착부(24)는 각각 한 쌍의 압착롤러(2) 사이를 통과하여 접어진 상태로 열융착됨으로써 배출시작점(30)이 구비되어 있는 일부분과 마주보는 타부분이 서로 접착된다.
이와 같이, 압착롤러(2)를 이용하여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세 방향에서 서로 열융착시켜줌으로써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100)가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방법은, 파우치(100)의 증기 배출 구조가 융착부(20) 사이의 접착 강도를 달리하여 제작하는 방식이 아닌 포장필름(10)의 일측에 반 칼집으로 배출시작점(3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압력으로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가압하여 열융착시키는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100)를 제조할 수 있어 공장 구축시 별도의 설비를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와 도 3b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파우치(100)는, 다수의 합성수지필름(11)이 접착되어 있는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서로 열융착시켜 제조되며, 포장필름(1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30)이 구비된다.
배출시작점(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합성수지필름(11) 중 일부 합성수지필름(11)이 소정이 길이 및 깊이로 절단되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배출시작점(30)은 파우치(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합성수지필름(11)으로부터 절개되어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필름(10)을 구성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합성수지필름(11a, 11b) 중 제1 합성수지필름(11a)이 파우치(100)의 내측에 해당하는 부분이므로 제1 합성수지필름(11a)의 일 지점이 소정의 깊이와 길이로 절단되어 배출시작점(30)이 마련된다. 배출시작점(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저장부(15)에 마련된다.
도 3b의 (b)를 참조하여 파우치(100)의 증기 배출 작용을 살펴보면,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서 식품이 수용된 파우치(100)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조리를 하게 되면, 파우치(100) 내에서 증기가 발생하여 파우치(100)가 팽창하게 되며, 파우치(100)의 팽창과 함께 파우치(100)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이때, 파우치(100) 내부의 증기는 접착력이 제일 약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자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100)는 융착부(20)들 사이의 접착 강도와 합성수지필름들끼리의 접착 강도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증기는 포장필름(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반 칼집의 형태로 마련되어 비교적 두께가 얇은 배출시작점(30) 부분의 포장필름(10)이 터지면서 내부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은,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형태로 이형처리된 합성수지필름(11)과 다른 합성수지필름(11)을 접착하여 포장필름(10`)을 제작하는 단계(S100), 포장필름(10`)의 이형처리부분 안쪽에 위치하는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30)을 형성하는 단계(S200) 및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를 이용하여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서로 열융착시켜 파우치(100`)를 제조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형태로 이형처리된 합성수지필름(11)과 다른 합성수지필름(11)을 접착하여 포장필름(10`)을 제작하는 단계(S100)는, 파우치(100`)의 원단이 되는 포장필름(1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포장필름(10`)은 두 개 이상의 합성수지필름(11)이 층층이 쌓여 접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필름(10`)의 두 개의 제1 및 제2 합성수지필름(11a, 11b)이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 개 이상의 합성수지필름(11)이 적층되어 접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합성수지필름(11a, 11b)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한 것이며, 모두 합성수지필름(11)의 범주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포장필름(10`)은 완성된 파우치(100`)를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합성수지필름(11a)과 외측에 배치되는 제2 합성수지필름(11b)으로 제작된다. 제1 및 제2 합성수지필름(11a, 11b)은 PE 또는 PP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합성수지필름(11a)과 제2 합성수지필름(11b)은 수지 형태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며, 이와 같이 다수의 합성수지필름(11)을 이용하여 포장필름(10`)을 제작하는 방법은 종래에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필름(11)를 서로 접착시키기 전, 하나의 합성수지필름(11)에 이형처리를 실시한 후 다른 합성수지필름(11)과 접착시켜 포장필름(10`)을 제작한다. 이에 따라, 포장필름(10`)의 내측에는 소정의 형태로 이형처리된 이형처리부(12)가 마련된다. 이형처리부(12)는 포장필름(10`)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 소정의 형태로 마련되며, 이형처리부(12)의 안쪽에는 배출시작점(3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형처리부(12)가 삼각형의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네모나 반원의 모양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이형처리부(12)의 일단부는 포장필름(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타단부는 배출시작점(3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도록 일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이와 같은, 포장필름(10)의 이형처리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필름(11)이 서로 접착되었을 시 일부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처리방법으로, 접착되는 복수 개의 합성수지필름(11) 중 하나의 합성수지필름(11) 일면에 이형제가 부분 코팅되어 처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파우치(100`)는, 사각 모양으로 이루어진 포장필름(10`)의 상하좌우 방향의 융착부(20)를 세 부분에서 서로 접착시켜 T방 파우치의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서로 열융착되는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a를 기준으로 포장필름(20)의 우측 테두리에 해당하는 융착부(20)를 제1 융착부(21)로, 좌측 테두리에 해당하는 융착부(20)를 제2 융착부(22)로, 상측 테두리에 해당하는 융착부(20)를 제3 융착부(23)로, 하측 테두리에 해당하는 융착부(20)를 제4 융착부(24)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융착부(20)는 포장필름(10`)의 테두리에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융착부(20)의 내측에는 저장부(15)가 마련된다. 즉, 포장필름(10`)은 내측에 저장부(15)가 마련되며, 테두리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융착부(20)를 갖도록 구비된다. 융착부(20)와 저장부(15) 사이에는 접착경계선(16)이 구비되며, 포장필름(10`)은 접착경계선(16)을 기준으로 융착부(20)끼리 서로 열융착되어 파우치(100`)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필름(10`)은 융착부(20) 사이의 접착력이 합성수지필름(11)들 사이에 형성된 이형처리부(12)의 접착력보다 강하게 형성됨에 따라, 파우치(100`) 내부에서 증기가 발생하게 될 시 내부 증기는 비교적 접착력이 약한 이형처리부(12) 사이를 뚫고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이형처리부(12)는 포장필름(10`)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부분으로, 내부 증기를 이형처리부(12)에 전달하기 위한 반 칼집 형태의 배출시작점(30)이 포장필름(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필름(10`)의 이형처리부분 안쪽에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30)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완성된 파우치(100`) 내의 증기를 이형처리부(12)에 전달하여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 시작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배출시작점(30)은 다수의 합성수지필름(11)으로 제작된 포장필름(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합성수지필름을 시작으로 일부가 반 칼집으로 절단되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포장필름(10`)이 내측의 제1 합성수지필름(11a)과 외측의 제2 합성수지필름(11b)으로 이루어지므로, 배출시작점(30)은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합성수지필름(11a)의 일측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와 깊이로 절단되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합성수지필름(11) 중 일부의 합성수지필름을 절개하여 구비되는 배출시작점(30)은 전체적으로 봤을 경우, 포장필름(10`)의 두께를 반 정도 절단한 반 칼집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배출시작점(30)은 포장필름(10`)의 두께를 절반 이상 또는 절반 이하로 절단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배출시작점(30)은 융착부(20)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배출시작점(30)은 융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연장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시작점(30)이 일직선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좌우로 연장된 현수선(catenary)의 모양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배출시작점(3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출시작점(30)은 나란히 배치되어 여러 줄의 배출시작점(30)들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배출시작점(30)의 일부 또는 전체는 이형처리부(12) 타단부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반 칼집의 형태로 절단된 배출시작점(30)은 이형처리부(12)에 접촉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출시작점(30)이 제1 융착부(21), 제3 융착부(23), 및 제4 융착부(24)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사각 형상의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세 군데에서 서로 접착시킨 T방 파우치 형태로 제작할 경우, 제1 융착부(21)와 제2 융착부(22)가 서로 열융착되고, 제3 융착부(23) 및 제4 융착부(24)는 각각 접어져 열융착되는 구조로써, 서로 열융착된 융착부(20)에 인접하게 하나의 배출시작점(30)만 구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출시작점(30)은 제1 융착부(21)가 아닌 제2 융착부(22)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7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를 이용하여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열융착시켜 파우치(100`)를 제조하는 단계(S300)는, 압착롤러(2)를 이용하여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열융착시킴으로써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10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압착롤러(2)가 구비된다.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 사이에 접착시키고자 하는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들이 통과되며,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는 압착롤러(2)에 의해 서로 열융착된다. 이때,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는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에 모두 동일한 압력을 가하여 포장필름(20)의 융착부(20)를 열융착시켜준다. 이와 같은 압착롤러(2)가 구비되어 있는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우치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와 도 7b를 참고하면, 파우치(100`)는 포장필름(10`)의 제1 융착부(21), 제2 융착부(22), 제3 융착부(23), 및 제4 융착부(24)가 세 부분으로 접착되어 제작된다. 먼저, 압착롤러(2)를 통해 포장필름(10`)의 좌·우 테두리에 위치하는 제1 융착부(21)와 제2 융착부(22)를 서로 열융착시켜준다. 이때, 좌·우 테두리에 위치하는 제1 융착부(21)와 제2 융착부(22)가 접착된 상태에서 포장필름(10`)은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가지며, 양단부에는 각각 상·하 테두리에 위치하는 제3 융착부(23)와 제4 융착부(24)가 위치한다. 제3 융착부(23)와 제4 융착부(24)는 각각 한 쌍의 압착롤러(2) 사이를 통과하여 접어진 상태로 열융착됨으로써 배출시작점(30)이 구비되어 있는 일부분과 마주보는 타부분이 서로 접착된다.
이와 같이, 압착롤러(2)를 이용하여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세 방향에서 서로 열융착시켜줌으로써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100`)가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은,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형태로 이형처리된 합성수지필름(11)을 접착시켜 제작된 포장필름(10`)의 이형처리부분 안쪽에 위치하는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30)을 형성한 후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를 사용하여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열융착시켜 파우치(100`)를 제조함에 따라,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2)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100`)를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공장 구축 시 파우치에 증기 배출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를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파우치(100`)는,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형태로 이형처리된 합성수지필름(11)과 다른 합성수지필름(11)을 접착하여 제작된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를 서로 열융착시켜 제조되며, 포장필름(10`)의 일면에는 이형처리된 부분에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는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30)이 구비된다.
배출시작점(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합성수지필름(11) 중 일부 합성수지필름(11)이 소정이 길이 및 깊이로 절단되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배출시작점(30)은 파우치(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합성수지필름(11)으로부터 절개되어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필름(10`)을 구성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합성수지필름(11a, 11b) 중 제1 합성수지필름(11a)이 파우치(100`)의 내측에 해당하는 부분이므로 제1 합성수지필름(11a)의 일 지점이 소정의 깊이와 길이로 절단되어 배출시작점(30)이 마련된다. 배출시작점(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합성수지필름(11) 사이를 이형처리하여 형성된 이형처리부(12)는 포장필름(10`)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융착부(20)에 인접하게 배치된 배출시작점(3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도 8와 도 8b를 참조하여 파우치(100`)의 증기 배출 작용을 살펴보면,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서 식품이 수용된 파우치(100`)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조리를 하게 되면, 파우치(100`) 내에서 증기가 발생하여 파우치(100`)가 팽창하게 되며, 파우치(100`)의 팽창과 함께 파우치(100`)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이때, 파우치(100`) 내부의 증기는 반 칼집으로 절단되어 홈의 형태를 갖는 배출시작점(30)에 유입되며, 배출시작점(30)에 유입된 증기는 이형처리되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약한 합성수지필름(11) 사이의 이형처리부(12)를 사이를 뚫고 나와 파우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완성된 파우치(100`)를 기준으로 배출시작점(30)이 포장필름(10`)의 외측에 형성된 경우, 파우치(100`) 내부의 증기는 반 칼집의 인해 두께가 얇아진 배출시작점(30) 부분의 포장필름(10`)을 뚫고 나오면서 이형처리(12)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는,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배출시작점(30)을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로 구비함에 따라, 압착롤러(2)에 의해 포장필름(10`)의 융착부(20)가 접착경계선(16)을 넘어 일부의 배출시작점(30)을 포함하여 열융착되더라도 남은 배출시작점(30)을 통해 증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므로, 포장필름(10`)의 열융착 작업이 정교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증기 배출이 용이한 파우치(100`)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압착롤러 10,10`:포장필름
11:합성수지필름 12:이형처리부
20:융착부 30:배출시작점
100, 100`:파우치

Claims (5)

  1. 압착롤러를 통해 포장필름의 융착부를 서로 열융착시켜 파우치를 제조하는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합성수지필름을 접착하여 포장필름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포장필름에 일측에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의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필름의 융착부를 서로 열융착시켜 파우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는 상기 반 칼집의 배출시작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필름은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형태로 이형처리된 합성수지필름과 다른 합성수지필름을 접착하여 제작되며,
    상기 배출시작점은 상기 포장필름의 이형처리 부분 안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시작점은 복수 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시작점은 상기 포장필름 융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KR1020180031277A 2018-03-19 2018-03-19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KR10217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277A KR102174592B1 (ko) 2018-03-19 2018-03-19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277A KR102174592B1 (ko) 2018-03-19 2018-03-19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794A true KR20190109794A (ko) 2019-09-27
KR102174592B1 KR102174592B1 (ko) 2020-11-05

Family

ID=6809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277A KR102174592B1 (ko) 2018-03-19 2018-03-19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12B1 (ko) * 2021-06-28 2022-01-10 방종갑 전자렌지 식품 포장백과 그 제조방법
KR20220076788A (ko) * 2020-12-01 2022-06-08 조흥묵 다층이형필름을 이용한 증기배출용 파우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759B1 (ko) * 1995-12-13 1999-12-01 한스 위르겐 코흐 차량 탑승자 구속장치용 가스백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5084A (ko) * 2000-04-26 2002-04-03 이나가키 히로미치 포장재료 및 포장제품
KR20120045939A (ko) * 2010-11-01 2012-05-09 김태경 레토르트 파우치 포장장치
JP2016068980A (ja) * 2014-09-29 2016-05-09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759B1 (ko) * 1995-12-13 1999-12-01 한스 위르겐 코흐 차량 탑승자 구속장치용 가스백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5084A (ko) * 2000-04-26 2002-04-03 이나가키 히로미치 포장재료 및 포장제품
KR20120045939A (ko) * 2010-11-01 2012-05-09 김태경 레토르트 파우치 포장장치
JP2016068980A (ja) * 2014-09-29 2016-05-09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788A (ko) * 2020-12-01 2022-06-08 조흥묵 다층이형필름을 이용한 증기배출용 파우치
KR102349612B1 (ko) * 2021-06-28 2022-01-10 방종갑 전자렌지 식품 포장백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592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5097B2 (ja)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袋体
TWI628120B (zh) 積層薄膜及包裝容器
JP6249980B2 (ja) パウチ、内容物封入パウ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115362A1 (ja) パウチおよび内容物封入パウチ
JP6167702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容器
JP3901418B2 (ja) 圧力逃げを備える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291400B2 (ja) 包装袋の製造方法
KR20190109794A (ko)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이용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증기 배출 구조를 갖는 파우치
JP2009132410A (ja) 積層フィルムの端面構造および端面処理方法、ならびにその端面処理を利用した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の製造方法
KR101922658B1 (ko)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JP5946780B2 (ja) パウチおよび内容物封入パウチ
JP2009051523A (ja) 包装体製造方法及び包装体
US8500946B2 (en) Fin seal container and method
JP6024093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袋
JP5936524B2 (ja) 分割封入体の製造方法
KR20170066059A (ko) 전자레인지용 포장용기
JP6859713B2 (ja) 蒸気抜きパウチ
JP6324702B2 (ja) 包装袋の製造方法、包装袋の製造装置、包装袋
JP2016117525A (ja) ガセット包装袋
JP2017088238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92540B2 (ja) 電子レンジ対応型包装袋
KR102520105B1 (ko) 전자렌지 식품 포장백
JP3591290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袋
KR101570835B1 (ko)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KR102647048B1 (ko) 식품 포장용 다층 구조 종이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품 포장용 다층 구조 종이 단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