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835B1 -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835B1
KR101570835B1 KR1020150044215A KR20150044215A KR101570835B1 KR 101570835 B1 KR101570835 B1 KR 101570835B1 KR 1020150044215 A KR1020150044215 A KR 1020150044215A KR 20150044215 A KR20150044215 A KR 20150044215A KR 101570835 B1 KR101570835 B1 KR 101570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ckaging
packaging film
foo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환
김대건
송영배
장재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장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장재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4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0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을 포함하여 밥 등의 음식을 밀봉하여 포장하는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은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밴드가 구비된 외포장필름과, 중간에 양방향을 따라 티어라인이 형성된 내포장필름과, 외포장필름과 내포장필름의 사이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시일부에 개재되는 접착제에 의해 외포장필름과 내포장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띠와, 외포장필름과 내포장필름의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띠의 내부에 배치된 김을 포함하며; 절취밴드는 접착띠의 내부에 한정되어 구비되고, 김의 모서리는 모따기 형태로 절취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필름 유닛을 이용하여 음식을 싸서 히트시일하여 시일부를 형성한 다음, 시일부 외측을 절단하여 음식 포장을 완성한다.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에 의하면, 김을 포함하여 밥 등의 음식의 밀봉을 용이하고 완벽하게 하여 김과 밥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필름 유닛으로 포장된 음식을 전자레인지에 데울 때 포장체의 파열을 방지하고 포장체를 쉽게 개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Wrap-film Unit and Method for Wrapping Fo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밥 등의 음식을 밀봉하여 포장하는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장필름 유닛은 일본공표특허 제2013-533181호로 개시된 바와 같이 김밥이나 주먹밥용 포장필름 유닛으로서 김을 포함하는 포장필름 유닛이다.
종래 김밥이나 주먹밥용 포장필름 유닛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2개의 포장필름(10)(20) 사이에 김(K)을 삽입하고, 2개의 포장필름(10)(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하여 시일부(10A)(20A)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외포장필름(10)에는, 외포장필름(10)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절취밴드(11)와, 절취밴드(11)의 양단부에 시일되지 않는 개방부(12)가 형성된다. 내포장필름(20)에는, 반으로 나누어져 겹쳐지는 겹침부(21)와, 겸침부(21)의 양단부에 시일되지 않는 개방부(2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포장필름을 밥(R)의 외형에 따라 꺾어서 접음에 따라 주먹밥의 포장이 완성된다.
포장필름 유닛으로 포장된 주먹밥을 먹기 위해서는, 먼저 외포장필름(10)의 중앙에 종방향으로 구비된 절취밴드(11)를 당겨서 찢어내어 외포장필름(10)을 절단한다. 다음에, 절단한 포장필름을 양측으로 당겨서, 내포장필름(20)의 수직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 우측으로 포장필름을 당겨 분리시켜 버리고, 김(K)과 밥(R)만을 남긴다. 남겨진 김(K)으로 밥(R)을 싸서 먹으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포장필름 유닛은 개방부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므로 김이 눅눅해지는 한편, 밥 또는 주먹밥을 포장하게 되면, 밀봉이 되지 않으므로 밥 또는 주먹밥이 쉽게 변질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김과 밥 또는 주먹밥의 유효기간(유통기한)이 짧으므로 제품의 유실율이 높게 된다.
또한, 종래 포장필름 유닛으로 밀봉이 완벽하게 된다고 하여도 밥 또는 주먹밥을 데우기 위해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식품(밥 또는 주먹밥)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 등에 의해 포장체의 내압이 상승하고, 포장체의 급격한 파열로 인하여 식품이 비산(飛散)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비산한 식품이 전자레인지 내를 더럽히거나, 인체에 화상 등의 위해를 줄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포장필름 유닛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밥 등의 음식의 밀봉을 용이하고 완벽하게 하여 김과 밥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필름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필름 유닛으로 포장된 음식을 전자레인지에 데울 때 포장체의 파열을 방지하고 포장체를 쉽게 개봉할 수 있는 포장필름 유닛을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은,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밴드가 구비된 외포장필름과, 중간에 양방향을 따라 티어라인이 형성된 내포장필름과, 외포장필름과 내포장필름의 사이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시일부에 개재되는 접착제에 의해 외포장필름과 내포장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띠와, 외포장필름과 내포장필름의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띠의 내부에 배치된 김을 포함하며; 절취밴드는 접착띠의 내부에 한정되어 구비되고, 김의 모서리는 모따기 형태로 절취되어 있다.
내포장필름은 일정한 온도 또는 압력 이상에서 자연스럽게 개봉되는 이지필름으로 되어 있다.
이지필름은 PP 기재에 이지필 접착제를 혼합하여 압출한 PP 이지필름이 사용된다. 이지필름은 PET 기재에 이지필 접착제를 혼합하여 압출한 PET 이지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을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은 포장필름체의 내포장필름 중간에 음식을 배치하고 포장필름을 반으로 접어 음식을 싸는 단계와, 음식이 싸인 포장필름의 둘레를 따라 열융착수단으로 히트시일하여 시일부를 형성하는 히트시일 단계와, 포장필름의 시일부 외측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에 의하면, 밥 등의 음식의 밀봉을 용이하고 완벽하게 하여 밥 등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필름 유닛으로 포장된 음식을 전자레인지에 데울 때 포장체의 파열을 방지하고 포장체를 쉽게 개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포장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을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도 4의 포장체를 2차로 포장하는 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필름 유닛(100)은 외포장필름(110)과, 내포장필름(120)과, 접착띠(130)와, 김(140)을 포함한다.
외포장필름(110)은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밴드(111)가 구비된 필름이다. 외포장필름(110)은 내포장필름(120)의 재질에 따라 PP(폴리플로필렌, polypropylene)필름이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이다. 외포장필름(110)의 두께는 2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체로 25㎛로 제조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포장필름(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띠(130)가 개재되는 시일부(S1)가 형성된다. 절취밴드(111)는 두 줄로 형성된다. 절취밴드(111)는 시일부(S1)의 내부에 한정되어 포장필름(100)이 접착띠(130)로 밀봉될 시에 완벽히 밀봉되게 한다. 절취밴드(111)는 외포장필름(110)을 개봉할 시에 당겨져 제거되는 부분으로서, 일단부에는 손으로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버(112)가 부착된다(도 4 참조).
내포장필름(120)은 중간에 양방향(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티어라인(121, Tear Line)이 형성된 필름이다. 양방향으로 형성된 티어라인(121)은 어느 방향에서 힘을 주어도 잘 찢어지게 한다. 내포장필름(120)은 일정한 온도 또는 압력 이상에서 자연스럽게 개봉되는 이지필름으로 되어 있다. 내포장필름(120)은 일반 식품용 필름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외포장필름(110)과 동일한 재질의 필름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탄소응용필름을 사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지필름은 PP 기재에 이지필 접착제를 혼합하여 압출한 PP 이지필름이나, PET 기재에 이지필 접착제를 혼합하여 압출한 PET 이지필름이 사용된다. PP 이지필름이 사용될 경우 외포장필름(110)은 PP(폴리플로필렌, polypropylene)필름이고, PET 이지필름이 사용될 경우 외포장필름(110)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이다. 내포장필름(120)의 두께는 2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체로 25㎛로 제조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포장필름(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띠(130)가 개재되는 시일부(S2)가 형성된다.
PP 이지필름 또는 PET 이지필름은 열접착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열접착 강도를 유지하는 필름으로서, 경시에 의한 열접착성, 표면특성 등의 물성변화가 없어 안정된 품질을 유지한다. PP 이지필름의 열접착 온도는 160~170℃가 적당하며, 이때 열접착 강도는 1000~1500g/㎟ 이다. PET 이지필름의 열접착 온도는 140~150℃가 적당하며, 이때 열접착 강도는 1000~1500g/㎟ 이다. PP 이지필름과 PET 이지필름의 사용온도는 -20 ~ 100℃가 바람직하다.
이지필 접착제는 PB-1(polybutene-1)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탄소응용필름의 주요원료인 LUXF-1302(상품명)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PP 이지필름이나 PET 이지필름을 사용하여 열융착(히트시일)하여 포장했을 경우, 열융착부분에 힘을 가하면 이지필 접착제와 PP 또는 PET의 비상용성으로 인해 계면이 쉽게 찢어지기 때문에 이지필 기능을 하게 된다.
접착띠(130)는 외포장필름(110)과 내포장필름(120)의 사이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시일부(S1, S2)에 개재되는 접착제에 의해 외포장필름(110)과 내포장필름(120)을 접착시키는 부분이다. 접착제는 공지의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나 이민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띠(130)의 두께는 5㎛ 정도가 적당하다.
김(140)은 외포장필름(110)과 내포장필름(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띠(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김(140)의 모서리는 모따기 형태(C1, C2)로 절취되어, 포장필름(100)을 밀봉할 시에 김이 끼이지 않게 함으로써 실링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한다. 이때, 일측 모서리의 모따기(C1)는 실링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타측 모서리의 모따기(C2) 보다 작게 하여, 김의 크기를 가능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타측 모서리의 모따기(C2)는 끝단이 서로 닿게 하여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에 의하면, 김을 포함하여 밥 등의 음식의 밀봉을 용이하고 완벽하게 하여 김과 밥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핫바, 만두, 햇반 등의 냉동식품이나 즉석식품, 편의점의 요리식품 등 다양한 식품의 포장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을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100)을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은 음식을 싸는 단계와, 히트시일 단계와, 절단 단계를 포함한다.
음식을 싸는 단계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필름 유닛(100)의 내포장필름(120) 중간에 김으로 싸서 먹을 밥이나 주먹밥 등의 음식(R)을 배치하고 포장필름(100)을 반으로 접어 음식을 싸는 단계다.
히트시일 단계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R)이 싸인 포장필름(100)의 둘레를 따라 공지의 열융착수단(도시안됨)으로 단일(1줄) 또는 이중(2줄)으로 히트시일하여 시일부(H)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2중으로 히트시일하게 되면 외부공기와 완벽한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열융착(열접착)온도는 PP 이지필름의 경우 160~170℃가 적당하며, PET 이지필름의 경우 140~150℃가 적당하다.
절단 단계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필름(100)의 이중(2줄)의 시일부(H) 외측을 절취선(L)을 따라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음식이 포장되어 완성된 포장체(B)의 상태가 도 4의 (d)에 도시되어 있다. 포장체(B)의 개방은 커버(112)를 잡고 당겨서 절취밴드(111)를 떼어내고, 외포장필름(110)과 내포장필름(120)을 양측으로 당겨서 김(140)과 음식(R)을 간단히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김(140)으로 음식(R)을 싸서 먹게 된다.
한편, 음식(R)을 데울 필요가 있을 경우에 전자레인지에 음식을 넣고 가열하게 되면, 포장체(B)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이 일정한 값 이상으로 될 때 이지필름으로 된 내포장필름(120)의 열융착(히트시일)부에서 먼저 파단되므로 포장체(B)의 급격한 파열이 방지된다. 이때, 이지필름(내포장필름)의 파단부를 따라 포장체(B)의 개방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c)는 도 4의 포장체를 2차로 포장하는 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의 절단 단계 이후에는 외부 이지필름(200)으로 포장체(B)의 형태에 따라 외부를 감싸서 열융착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한번 더 포장함에 따라 이중 포장을 한다.
즉, 상기 절단 단계(도 4의 (c))를 거쳐 완성된 포장체(B)를 외부 이지필름(200)으로 감싼 후(도 5의 (b) 참조), 상기 외부 이지필름(2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공지의 열융착수단으로 히트시일하여 1줄(또는 2줄)로 외부 시일부(220)를 형성하는 2차 포장단계(도 5의 (c) 참조)를 추가로 행한다. 이 경우에 포장체(B)의 내포장필름(120)은 이지필름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외부 이지필름(200)은 내포장필름(120)과 마찬가지로 PP 기재에 이지필 접착제를 혼합하여 압출한 PP 외부 이지필름이나, PET 기재에 이지필 접착제를 혼합하여 압출한 PET 외부 이지필름이 사용된다. 외부 이지필름(200)의 두께는 2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체로 25㎛로 제조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P 외부 이지필름 또는 PET 외부 이지필름은 열접착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열접착 강도를 유지하는 필름으로서, 경시에 의한 열접착성, 표면특성 등의 물성변화가 없어 안정된 품질을 유지한다. PP 외부 이지필름의 열접착 온도는 160~170℃가 적당하며, 이때 열접착 강도는 1000~1500g/㎟ 이다. PET 외부 이지필름의 열접착 온도는 140~150℃가 적당하며, 이때 열접착 강도는 1000~1500g/㎟ 이다. PP 외부 이지필름과 PET 외부 이지필름의 사용온도는 -20 ~ 100℃가 바람직하다.
이지필 접착제는 PB-1(polybutene-1)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탄소응용필름의 주요원료인 LUXF-1302(상품명)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외부 이지필름을 사용하여 열융착(히트시일)하여 포장했을 경우, 열융착부분에 힘을 가하면 이지필 접착제와 PP 또는 PET의 비상용성으로 인해 계면이 쉽게 찢어지기 때문에 이지필 기능을 하게 된다.
외부 이지필름(200)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모서리를 모따리 형태로 절취한 절취부(210)를 형성하여 8각형태로 형성된다. 외부 이지필름(200)의 중간에 1차로 포장한 포장체(B)를 배치하고 외부 이지필름(200)을 반으로 접어 포장체를 싸게 된다(도 5의 (b)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포장필름 유닛을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에 의하면, 김을 포함하여 밥 등의 음식을 단일 또는 이중으로 용이하고 완벽하게 밀봉하여 외부공기를 차단하고 유해 바이러스의 침투를 방지하므로, 김과 밥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어 유통기한을 늘릴 수 있고 안정적인 식품섭취가 가능하다. 그리고, 포장필름 유닛으로 포장된 음식을 전자레인지에 데울 때 음식이 단일 또는 이중으로 포장된 포장체의 급격한 파열을 방지하고 포장체를 쉽게 개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음식 포장방법은 핫바, 만두, 햇반 등의 냉동식품이나 즉석식품, 편의점의 요리식품 등 다양한 식품의 포장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밴드(111)가 구비된 외포장필름(110)과,
    중간에 양방향(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십자형으로 티어라인(121)이 형성된 내포장필름(120)과,
    상기 외포장필름(110)과 상기 내포장필름(120)의 사이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시일부(S1, S2)에 개재되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외포장필름(110)과 상기 내포장필름(120)을 접착시키는 접착띠(130)와,
    상기 외포장필름(110)과 상기 내포장필름(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접착띠(130)의 내부에 배치된 김(140)을 포함하며;
    상기 절취밴드(111)의 양끝단이 접착띠(130)의 내부에 한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절취밴드(111)의 일단부에는 손으로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버(112)가 부착되며,
    상기 김(140)의 일측 모서리의 모따기(C1)는 타측 모서리의 모따리(C2)보다 작게 하고, 타측 모서리의 모따기(C2)는 끝단이 서로 닿게 하여 뾰족하게 형성된 모따기 형태로 김(140)이 절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필름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포장필름(120)은 일정한 온도 또는 압력 이상에서 자연스럽게 개봉되는 이지필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필름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지필름은
    PP기재에 이지필 접착제를 혼합하여 압출한 PP 이지필름이나, PET 기재에 이지필 접착제를 혼합하여 압출한 PET 이지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필름 유닛.
  4. 청구항 1의 포장필름 유닛을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으로서,
    상기 포장필름 유닛의 내포장필름(120) 중간에 음식(R)을 배치하고 포장필름(100)을 반으로 접어 음식을 싸는 단계와,
    상기 음식(R)이 싸인 포장필름(100)의 둘레를 따라 열융착수단으로 히트시일하여 시일부(H)를 형성하는 히트시일 단계와,
    상기 포장필름(100)의 상기 시일부(H) 외측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필름 유닛을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단 단계를 거쳐 완성된 포장체(B)를 외부 이지필름(200)으로 감싼 후, 상기 외부 이지필름(200)의 둘레를 따라 열융착수단으로 히트시일하여 외부 시일부(220)를 형성하는 2차 포장단계를 추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필름 유닛을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KR1020150044215A 2015-03-30 2015-03-30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KR101570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215A KR101570835B1 (ko) 2015-03-30 2015-03-30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215A KR101570835B1 (ko) 2015-03-30 2015-03-30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835B1 true KR101570835B1 (ko) 2015-11-20

Family

ID=5484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215A KR101570835B1 (ko) 2015-03-30 2015-03-30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465A (ko) 2016-12-09 2018-06-19 (주)비씨디이엔씨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381A (ja) 1998-11-11 2000-05-23 Masahisa Sakiyama 三角おにぎりの製造方法
JP2008054524A (ja) * 2006-08-29 2008-03-13 Shinwa Sangyo Kk 密封食品包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381A (ja) 1998-11-11 2000-05-23 Masahisa Sakiyama 三角おにぎりの製造方法
JP2008054524A (ja) * 2006-08-29 2008-03-13 Shinwa Sangyo Kk 密封食品包装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465A (ko) 2016-12-09 2018-06-19 (주)비씨디이엔씨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KR101922658B1 (ko) * 2016-12-09 2018-11-30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658B1 (ko)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EP2599733B1 (en) Gimbap wrapper
TWI535639B (zh) Packag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2693829A1 (en) Naked collation package
BRPI0905923B1 (pt) Tampa flexível para um recipiente de alimento e método para manufaturar uma tampa flexível para um recipiente de alimento
KR101570835B1 (ko) 포장필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포장방법
KR102399827B1 (ko) 포장 시트, 포장 밥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CN107428111B (zh) 可再闭合的包装和层压件
KR101458084B1 (ko) 발효식품용 포장지
JP2006264758A (ja) 包装体を用いた米飯加工食品の包装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包装体
EP3177550B1 (en) Wrapping method and wrapper
JP3177454U (ja) 食品用包装袋
KR101509161B1 (ko) 소스분리형 음식물 포장세트 및 포장방법
TWI608975B (zh) 米飯包裝材及米飯包裝體(第二案)
JP2016043958A (ja) 包装袋体
KR20140114685A (ko) 발효식품용 포장지
JP2008054524A (ja) 密封食品包装体
JP7382161B2 (ja) 食品用包装材
JP2005067642A (ja)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食品の加熱処理方法
JP5797320B1 (ja) 包装用シート
WO2016020830A1 (en) Wrapping method
KR101038296B1 (ko) 김밥 포장지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
KR101415615B1 (ko) 소스분리형 음식물 포장세트 및 포장방법
TWM634062U (zh) 水果套袋的直線生產設備及其成品
JP6832622B2 (ja) 食品用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