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865B1 -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865B1
KR101398865B1 KR1020130007412A KR20130007412A KR101398865B1 KR 101398865 B1 KR101398865 B1 KR 101398865B1 KR 1020130007412 A KR1020130007412 A KR 1020130007412A KR 20130007412 A KR20130007412 A KR 20130007412A KR 101398865 B1 KR101398865 B1 KR 101398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food
sealing
steam
s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열
김연동
Original Assignee
김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열 filed Critical 김준열
Priority to KR102013000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포장지를 개봉하지 않고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게 하면서도 조리시에도 음식물의 수분이 음식물에 거의 그대로 있도록 하여 좋은 맛과 식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자레인지에 의한 조리시에 파우치 내부에서 증기압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되는 식품의 맛과 식감을 좋게 하고 조리 시간 단축에 따른 전기 사용량이 절감될 수 있도록 개선된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시에 열 변형이 없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호 겹쳐지는 한쌍의 포장지(11,11') 테두리가 상호 열융착 되도록 실링 처리하여 밀봉 되도록 하는 파우치(10)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10)의 테두리를 실링 처리하여 구비되는 테두리실링부(12)와, 상기 테두리실링부(12)와 파우치중심부(13) 간의 거리(La)와 상대적으로 근거리(Lb)에 실링 처리되어 구비되는 증기배출실링부(14)를 구비하여, 상기 파우치중심부(13)에서 조리시에 발생 되는 증기압이 테두리실링부(12) 보다 증기배출실링부(14)에 상대적으로 먼저 도달 되도록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증기배출실링부(14)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끝단부가 뾰족부(141)나 라운딩부(142)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파우치중심부(14)와 근거리에 있는 뾰족부(141)나 라운딩부(142) 중에 어느 하나가 증기압에 의해 벌어지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Food pouch of cooked possible in a microwave}
본 발명은 식품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치를 개봉하지 않고도 전자레인지에 의해 조리 가능하도록 식품의 좋은 맛과 식감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식품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으로서 전자레인지에 가열되게 조리하여 섭취하는 수많은 음식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식품 중에 거의 99%는 식품을 포장지에서 다른 전자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는 사기용기나 유리용기 등과 같은 식품용기로 옮겨 담은 다음 전자레인지에 의해 조리되게 하거나 또는 포장지 일부를 먼저 개봉한 다음에 전자레인지에서 조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장지가 개봉된 상태이거나 또는 다른 렌지용 용기에 옮긴 상태에서 조리되는 것이므로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맛이나 식감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파우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0883로 개시되었으나, 이는 조리시에 파우치가 팽창되는 내압에 의해서 벌어짐이 가능한 밀봉 취약부를 갖도록 한 것이고 상기 밀봉 취약부는 열융착 되는 부분의 단면적을 작게 한 것이다.
그러므로 전자레인지에 의해 조리시에 내압에 의해서 밀봉 취약부가 터져 버리게 되는 것이지만 파우치 테두리부의 밀봉부 보다는 취약하기 때문에 식품이 완전히 조리되기 전에 발생 되는 작은 내압에 의해서도 터져 버리게 되므로 식품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조리 도중에 파우치 외부로 많이 빠져 나가 버리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전자레인지에 의해 조리하는 과정에 식품에 존재하는 수분이 빠져 나가 버려서 맛과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밀봉 취약부와 연통 된 내용물 보유부를 구비하여 가스 배출이 최소화 되게 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일단 밀봉 취약부가 터져 버리게 되면 내압에 의해서 수분이 밀봉 취약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내압을 완전히 상실되기 전에는 밀봉 취약부뿐만 아니라 내용물 보유부를 통해서도 수분이 머물지 않고 계속 빠져나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실상 내압 조절이 안되거나 또는 매우 미약한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내압이 발생 되는 한 식품에서 발생 되는 수분이 조리 도중에 파우치 외부로 많이 빠져 나가 버리게 됨으로써 결국에는 전자레인지에 의해 조리하는 동안에 식품에 존재하는 수분이 외부로 빠져 나가 버려서 맛과 식감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우치에 의해 포장되는 식품은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식품이 포장되는 과정에 약간의 공기가 들어가는 상태로 포장되는 경우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질소와 같은 식품보호용 가스를 식품과 같이 충진시켜 포장되게 함으로써 유통과정에 식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유통과정에 식품이 담긴 상태에서 파우치가 눌리게 되는 상태가 되면 파우치 내부에 담겨 있는 공기나 또는 식품보호용 가스가 압축되어 내압을 가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밀봉 취약부가 터져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됨으로써 제품 판매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막대한 손실이 야기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KR 10-1060883 B1 2011.08.31
본 발명은 포장지를 개봉하지 않고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게 하면서도 조리시에도 음식물의 수분이 음식물에 거의 그대로 있도록 하여 좋은 맛과 식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레인지에 의한 조리시에 파우치 내부에서 증기압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되는 식품의 맛과 식감을 좋게 하는 동시에 더욱 신속한 조리가 도모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사용량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시에 열 변형이 없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호 겹쳐지는 한쌍의 포장지 테두리가 상호 열융착 되도록 실링 처리하여 밀봉 되도록 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테두리를 실링 처리하여 구비되는 테두리실링부와, 상기 테두리실링부와 파우치중심부 간의 거리와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실링 처리되어 구비되고 뾰족부나 라운딩부 중에 어느 하나가 돌출되는 증기배출실링부를 구비하여, 상기 파우치중심부에서 조리시에 발생 되는 증기압이 테두리실링부 보다 증기배출실링부에 상대적으로 먼저 도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배출실링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끝단부가 뾰족부나 라운딩부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뾰족부나 라운딩부 중에 어느 하나가 다수개를 구비하도록 하고, 파우치중심부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뾰족부나 라운딩부 중에 어느 하나가 증기압에 의해 밀려서 벌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배출실링부가 직선이나 곡선 형태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기배출실링부에는 끝단부가 뽀족부나 라운딩부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돌기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배출실링부의 실링폭 보다 뾰족부나 라운딩부의 실링폭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실링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우치중심부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한쌍의 뾰족부나 라운딩부 중에 어느 하나의 중간부에 증기압을 양측으로 유도되게 하는 증기압유도실링부가 더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품이 포장된 파우치 그대로를 전자레인지에서 그대로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게 되므로 식품을 다른 용기에 옮겨 담거나 또는 파우치를 개봉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조리가 매우 편리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시에 음식물에서 발생 된 증기가 외부로 거의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 수분이 거의 그대로 있게 되므로 좋은 맛과 식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배출부실링부의 실링폭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선 형태이므로 유통과정에 식품이 담긴 상태에서 파우치가 눌리게 되는 상태가 되더라도 파우치가 터지지 않을 정도로 열융착 되게 할 수 있는 실링폭으로 실링 처리 되는 증기배출부실링부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과정에 파우치가 눌리게 되는 상태가 되더라도 파우치가 터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파우치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의한 조리시에 파우치 내부에서 비교적 높은 증기압이 발생 되기 때문에 조리되는 식품의 맛과 식감을 좋게 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기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욱 신속한 조리가 됨으로써 조리 시간 단축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전기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의 일측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실링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을 설명하는 증기압 확산 분포도,
도 6은 본 발명의 증기배출실링부가 증기압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실링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우치(10)는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시에 열 변형이 없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식품(F)과 직접 접촉되는 수지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이 있지만 증기압에 의한 실링면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파우치(10)를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시에 변형이 없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반드시 상기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수지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파우치(10)는 한쌍의 포장지(11,11')를 구비하여 그 테두리가 상호 열융착 되도록 실링 처리하여 밀봉되는 것이다.
이때, 가령 사각형태의 파우치(10)의 경우를 일 예로 들면,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먼저 4변(사변) 테두리 중에 어느 하나의 1변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의 3변(세변) 테두리를 먼저 실링기계(미도시됨)를 이용하여 한쌍의 포장지(11,11')의 테두리가 상호 열 융착되게 하여 실링 처리되게 한 다음에 실링 되지 않은 나머지 1변(일변)의 테두리 부분을 벌려서 식품(F)을 삽입시키고 그 실링 처리되지 않은 나머지 1변의 테두리 부분을 열융착 시켜 밀봉되게 실링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와 같이 한쌍의 포장지(11,11')의 테두리를 실링 처리하여 열 융착 되게 한 부분을 테두리실링부(12)라고 명칭하기로 정의하고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F)이 내장되게 한 상태에서는 3변에 파우치(10)의 테두리를 실링 처리하여 구비되는 테두리실링부(12)를 구비하게 되고 다른 1변에는 상기 테두리실링부(12)와 파우치중심부(13) 간의 거리(La)와 상대적으로 근거리(Lb)에 실링 처리되어 구비되는 증기배출실링부(14)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식품(F)을 파우치(10) 내부에 삽입하기 전에는 증기배출실링부(14) 및 양측 2변(두변)을 각각 열 융착되게 실링 처리하여 테두리실링부(12)를 갖도록 한 다음에 나머지 상측의 테두리부를 벌려서 식품(F)을 투입하고 그 상측 테두리부를 열 융착 되게 실링 처리하여 테두리실링부(12)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기배출실링부(1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끝단부가 뾰족부(141)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증기배출실링부(14)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끝단부가 곡면형태를 이루게 되는 라운딩부(142)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F)이 파우치(10)에 내장되게 포장된 상태에서 전자레인지에 그대로 집어넣은 상태에서 가열 조리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식품(F)이 가열됨에 따라 수분이 증발되어 다량의 증기(S)가 발생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파우치(10)는 도 3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포장지(11,11')가 외부로 부풀어 오르는 상태로 팽창되는 상태가 되고 포장지(11,11')가 더 이상 팽창할 수 없는 상태까지 이르게 되면 그 시점부터는 증기압이 발생 되게 된다.
이러한 증기압은 먼저 파우치중심부(13)부터 높은 증기압이 발생 되어 점차 주변으로 확산 되는 상태가 된다.
즉, 전자레인지의 특성상 고주파가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판 중심부로 집중되어 방사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회전판의 중심부에 식품을 올려놓고 전자레인지를 가동하기 때문에 가열을 하게 되는 고주파가 회전판 중심부로 집중되어 방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파우치중심부(13)에 내장되게 되는 식품(F)의 중심부 쪽에 고주파가 집중되어 가열하게 됨으로써 식품(F)의 외곽부보다는 상대적으로 식품(F)의 중심부에서 더욱 많은 증기(S)가 발생 되기 때문에 파우치중심부(13)의 증기압이 먼저 높아지게 되는 상태가 되어 점차 사방으로 확산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식품(F)을 파우치(10)에 포장되도록 할 때에는 파우치(10) 전체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식품(F)을 파우치중심부(13)에 위치하도록 식품(F)을 내장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식품(F)이 전자레인지에 의해 전체가 가열되는 경우에도 파우치중심부(13)부터 증기압이 발생 되어 점차 식품(F)이 위치하지 않는 외곽 쪽으로 점차 증기압이 확산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5는 타원형 형태를 갖는 식품(F)이 내장된 파우치(10)를 전자레인지에 의해서 가열하여 조리할 때의 증기압이 적색으로 나타내어 확산 되는 분포도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 도 5의 (a)와 같이 파우치중심부(13)에 위치한 타원형으로 된 식품 전체에서 먼저 증기압이 발생 되어 도 5의 (b)와 같이 점차 파우치(10)의 테두리실링부(12) 및 증기배출실링부(14) 쪽으로 확산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식품(F)이 위치한 파우치중심부(13)부터 발생 되는 증기압이 점차 확산 되다가 도 5의 (c)와 같이 파우치(10)의 테두리실링부(12) 보다는 먼저 증기배출실링부(14)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증기압은 테두리실링부(12)의 뾰족부(141)에 먼저 증기압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실링 처리된 뾰족부(141)에 증기압에 의해 가압 되는 가압력이 작용됨으로써 실링 처리된 뾰족부(141)가 도 6의 도시와 같이 밀려서 터져 나가게 되어 소형의 구멍이 생기게 되어 증기배출구가 생기게 됨에 따라 증기가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파우치의 4변(사변) 테두리에 모두 테두리실링부가 구비되는 기존의 파우치일 경우에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여 조리할 경우에는 증기압이 파우치 내부 전체로 확산 되어 퍼진 상태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1변(한변)의 테두리실링부의 어느 한 부분이 증기압에 의해서 크게 터져 버리면서 매우 크게 "펑" 소리를 내면서 터져 버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증기압이 파우치중심부(13) 부터 외곽방향으로 확산 되어 퍼져 나 가는 도중에 먼저 증기배출부(14)의 산(山)처럼 형성된 증기배출실링부(14)의 뾰족부(141)에 먼저 도달되어 그 뾰족부(141)가 증기압에 의해 터져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가령 "뿅"하는 아주 작은 소리만을 내면서 매우 작은 실 구멍이 생기는 것처럼 터져 버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뾰족부(141) 중에 증기압이 가장 먼저 도달되는 중간 부분의 2개의 뾰족부(141) 사이에 증기압유도실링부(150)를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파우치중심부(13) 부터 확산 되는 증기압은 뾰족부(141)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뾰족부(141) 보다는 먼저 증기압유도실링부(150)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증기압유도실링부(150) 사방은 포장지(11,11')가 달라붙어 있지 않고 터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증기압에 의해 증기압유도실링부(150)는 밀려서 터지지 않게 되고 도 2에서 화살표 도시와 같이 증기압이 증기압유도실링부(150)의 양측으로 유도되어 이동하게 됨으로써 증기압이 증기압유도실링부(150)의 양측에 있는 뾰족부(141) 쪽으로 이동하여 뾰족부(141)에 먼저 증기압이 작용 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뾰족부(141)가 보다 신속하게 터져 버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가동 초기에 발생된 증기압에 의해서 증기배출실링부(14)의 뾰족부(141)가 터지는 것이 아니다.
즉, 식품(F) 종류마다 전자레인지에 의해서 조리하는 시간이 각각 상이한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전자레인지에 의해서 조리하는 시간에 따라 파우치(10)의 테두리실링부(12) 및 증기배출실링부(14)가 열융착 되게 하는 실링 단면적을 다르게 하는 것이다.
가령, 예를 들면 전자레인지에 의한 조리시간이 10초인 식품(F)이 내장되는 경우에는 파우치(10)의 실링 단면적(실링폭)을 7mm로 하고, 조리시간이 15초인 식품(F)이 내장되는 경우에는 10mm로 열융착 되게 실링 처리되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증기배출실링부(14)의 뾰족부(141)가 증기압에 의해 터지는 시간은 전자레인지에 의한 조리시간이 10초인 식품(F)이 내장되는 경우에는 가령 5초나 8초에 터지게 하는 것이고, 조리시간이 15초인 식품(F)이 내장되는 경우에는 10초나 13초에 터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전자레인지가 가동하게 되면 도 3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식품(F)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증발하여 포장지(11,11')가 외부로 부풀어 오르는 상태로 팽창되는 상태가 되고 포장지(11,11')가 더 이상 팽창할 수 없는 상태까지 이르게 되면 그 시점부터는 초기 증기압이 발생 되게 되는데, 이러한 초기 증기압이 발생 되는 시점부터 전자레인지에 의한 조리시간이 완료되는 시점까지도 식품(F)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계속 증발하여 증기압이 점차 높아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증기압이 점차 높아지는 것도 파우치중심부(13) 부터 외곽방향으로 점차 확산 되어 퍼져 나 가는 상태로 확산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증기압이 파우치중심부(13) 부터 외곽방향으로 확산 되어 퍼져 나 가는 도중에 먼저 증기배출부(14)의 산(山)처럼 형성된 증기배출실링부(14)의 뾰족부(141)에 먼저 도달되어 그 뾰족부(141)가 증기압에 의해 터져 버리는 것이지만 전자레인지의 가동 초기부터 그러한 것이 아니고 포장되는 식품(F)에 대한 전자레인지 조리시간에 적합하도록 실링 처리된 파우치(10)에 증기배출실링부(14)를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증기배출실링부(14)의 뾰족부(141)가 증기압에 의해 터지는 시간은 전자레인지에 의한 조리시간이 10초인 식품(F)이 내장되는 경우에는 가령 5초나 8초에 터지게 되는 것이고, 조리시간이 15초인 식품(F)이 내장되는 경우에는 10초나 13초에 터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리시간이 거의 완료되기 전까지는 파우치(10) 내부의 식품(F)에서 발생된 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되므로 음식물(식품) 수분이 거의 그대로 존재하는 상태에서 조리하게 되므로 좋은 맛과 식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조리되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식품(F)이 냉동만두일 경우에는 파우치를 먼저 개봉하고 조리를 하게 되면 만두피의 수분이 증발되어 모두 날아가게 되기 때문에 푸석푸석하고 맛도 떨어지게 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하지 않고 만두피가 수분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좋은 맛과 식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식품(F)이 포장된 파우치 그대로를 전자레인지에서 그대로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게 되므로 식품(F)을 다른 용기에 옮겨 담거나 또는 파우치를 개봉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고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음식물 수분이 거의 그대로 있게 되므로 좋은 맛과 식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시간이 거의 완료되기 전까지는 파우치(10) 내부의 식품(F)에서 발생 된 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되므로 비교적 높은 증기압을 유지하게 되므로 가령 통상적인 솥보다는 상대적으로 음식물에 증기압이 작용 되게 하여 식품(F)이 보다 쫄 깃 하게 하거나 찰 지게 하여 좋은 맛과 식감이 향상되게 하고 조리시간을 단축되게 하는 압력솥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증기압이 음식물에 작용 되게 하여 음식물이 보다 쫄깃하게 하거나 찰 지게 하여 맛과 식감이 향상되게 하고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 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의한 조리시에 파우치 내부에서 비교적 높은 증기압이 발생 되기 때문에 조리되는 식품(F)의 맛과 식감을 좋게 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기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욱 신속한 조리가 되게 함으로써 조리 시간 단축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전기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증기배출부실링부(14)의 실링폭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선 형태이기 때문에 유통과정에 식품이 담긴 상태에서 파우치가 눌리게 되는 상태가 되더라도 파우치가 터지지 않을 정도로 열융착 되게 실링 처리할 수 있게 되는 증기배출부실링부(14)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증기배출부실링부(14)가 열융착 되게 하는 실링 처리하는 단면적을 크게 구성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유통과정에 식품이 담긴 상태에서 파우치가 눌리게 되는 상태가 되더라도 파우치가 터지지 않게 구현시킬 수 있으면서도 조리시에는 증기압에 의해서 터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배출실링부(14)가 직선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이러한 증기배출실링부(14)에는 끝단부가 뽀족부(141) 형태로 된 돌기부(143)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c)와 같이 증기배출실링부(14)가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증기배출실링부(14)에는 끝단부가 라운딩부(142)로 형성되는 돌기부(143)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배출실링부(14)가 직선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증기배출실링부(14)에는 끝단부가 라운딩부(142)로 형성되는 돌기부(143)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143)는 도면상 작게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크고 길게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가령, 냉동만두의 경우 수많은 냉동만두가 파우치에 내장되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는 돌기부(143)를 길고 크게 하여 그 돌기부(143) 끝단부에 구비하게 되는 뾰족부(141)나 라운딩부(142)가 먼저 증기압에 의해 터지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냉동 피자의 경우에는 한 덩어리로 되어 있으므로 도 2 및 도 4의 (b)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증기배출실링부(14)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증기배출실링부(14)는 반드시 도면으로 도시된 상기와 같은 형태로만 실시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식품(F)에 따라 적합한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배출실링부(14)의 실링폭(14a) 보다 뾰족부(141)의 실링폭(141a)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실링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배출실링부(14)의 실링폭(14a) 보다 라운딩부(142)의 실링폭(142a)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실링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증기배출실링부(14)의 실링폭(14a) 보다 뾰족부(141)나 또는 라운딩부(142)의 실링폭(141a,142a)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실링폭을 갖도록 할 경우에는 파우치중심부(13)에서 점차 확산되어 오는 증기압에 대항하는 뾰족부(141)나 또는 라운딩부(142)의 대항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뾰족부(141)나 또는 라운딩부(142)가 보다 빠르게 터져 버리게 되는 것으로서, 전자레인지에 의한 식품(F)의 조리시간에 따라 뾰족부(141)나 또는 라운딩부(142)를 증기압에 대항하는 대항력이 조절되게 하여 뾰족부(141)나 또는 라운딩부(142)가 터지는 시간을 식품(F)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파우치 11,11':포장지
12:테두리실링부 13:파우치중심부
14:증기배출부실링부 141:뾰족부
142:라운딩부 14a,141a,142a:실링폭
15:증기압유도실링부 F:식품
S:증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 조리시에 열 변형이 없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호 겹쳐지는 한쌍의 포장지(11,11') 테두리가 상호 열융착 되도록 실링 처리하여 밀봉 되도록 하는 파우치(10)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10)의 테두리를 실링 처리하여 구비되는 테두리실링부(12)와;
    상기 테두리실링부(12)와 파우치중심부(13) 간의 거리(La)와 상대적으로 근거리(Lb)에 실링 처리되어 구비되고 뾰족부(141)나 라운딩부(142) 중에 어느 하나가 돌출되는 증기배출실링부(14)를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증기배출실링부(14)의 실링폭(14a) 보다 뾰족부(141)나 라운딩부(142)의 실링폭(141a,142a)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실링폭을 갖도록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중심부(13)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한쌍의 뾰족부(141)나 라운딩부(142) 중에 어느 하나의 중간부에는 증기압을 양측으로 유도되게 하는 증기압유도실링부(15)가 더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
KR1020130007412A 2013-01-23 2013-01-23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 KR101398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412A KR101398865B1 (ko) 2013-01-23 2013-01-23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412A KR101398865B1 (ko) 2013-01-23 2013-01-23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865B1 true KR101398865B1 (ko) 2014-05-27

Family

ID=5089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412A KR101398865B1 (ko) 2013-01-23 2013-01-23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8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3595A (zh) * 2019-01-22 2021-10-29 弗朗克·福斯特 用于在容器尤其是袋内烹饪和保存食品的方法及封闭装置
KR20230001005U (ko) 2021-11-10 2023-05-17 심중헌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6142A (ja) * 2005-01-31 2006-08-10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加熱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6142A (ja) * 2005-01-31 2006-08-10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加熱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3595A (zh) * 2019-01-22 2021-10-29 弗朗克·福斯特 用于在容器尤其是袋内烹饪和保存食品的方法及封闭装置
KR20230001005U (ko) 2021-11-10 2023-05-17 심중헌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5788B2 (en) Microwave cooking device with improved venting configuration
US10143324B2 (en) Heating cooker provided with cooking container
JP3655103B2 (ja)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袋体
JP2008535740A (ja) 食材調理用容器の改良あるいはそれに関連する改良
JP3253550B2 (ja) 電子レンジ調理食品包装体
KR101398865B1 (ko) 전자레인지에서 조리 가능한 식품용 파우치
US6093920A (en) Method of microwave heating of food
JP7304373B2 (ja) 反転を含むマイクロ波加熱用装置及びマイクロ波加熱方法
JP2014226105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冷凍食品
US20220167785A1 (en) Cooking pouch
KR20150058144A (ko) 마이크로파 조리용 포장 냉동 면류
KR101166470B1 (ko)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1회용 식품용기
US3585048A (en) Plastic food package adapted to be heated
JP3985877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6569878B2 (ja) 冷凍保存・加熱用食料品
JP3717992B2 (ja) 食品包装用袋
KR20210093512A (ko) 전자레인지 조리시 파손 방지를 위한 증기자동배출 식품포장지
JP2001292708A (ja) 調理済み冷凍食品包装体及び調理済み冷凍食品の加熱方法
KR101770410B1 (ko) 전자레인지용 포장봉지
KR20160088992A (ko) 전자렌지용 포장재료
KR102152457B1 (ko) 증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KR200192376Y1 (ko) 전자레인지용 밀봉식품 포장재
CN218705253U (zh) 半干/湿面微波包装袋
JPH1149251A (ja) 調理用袋
KR20120103821A (ko) 전자레인지용 식품 포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