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014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014A
KR20200138014A KR1020200061072A KR20200061072A KR20200138014A KR 20200138014 A KR20200138014 A KR 20200138014A KR 1020200061072 A KR1020200061072 A KR 1020200061072A KR 20200061072 A KR20200061072 A KR 20200061072A KR 20200138014 A KR20200138014 A KR 2020013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ink
seat support
stand
rotatab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278B1 (ko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6Securing devices for bags or toys ; Arrangements of racks, bins, trays or other devices for transpor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6Arrangements for standing up in fold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모차(10)는, 핸들(30)과, 핸들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유유아(乳幼兒)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40)와, 핸들(30)의 하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링크(21)와, 제 1 링크(2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전각(前脚)(60)과, 좌석 지지체(40) 및 제 1 링크(2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링크(22)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본 발명은, 유모차, 특히 전개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폴딩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유아(乳幼兒)를 데리고 나갈 때에 유모차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7-81252호). 이와 같은 유모차에 있어서는, 유모차의 주행면의 분진이나 온도로부터 유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유유아가 앉게 되는 좌석의 높이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좌석을 높은 위치에 배치하면, 좌석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좌석의 지지가 안정되지 않으면, 승차감이 악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좌석을 높은 위치에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중간 부분과 회동(回動) 가능하게 접속하고,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와,
상기 핸들의 하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전각(前脚)과,
상기 좌석 지지체 및 상기 제 1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링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좌석 지지체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에서 굴곡 가능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지지되고, 상기 핸들의 상기 제 1 링크에 대한 상대 회동에 수반한 폴딩 동작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와,
상기 핸들에 지지되고, 상기 핸들의 굴곡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와,
상기 핸들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의 조작을 상기 제 1 규제 부재 및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제 1 조작량만큼 조작한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의 굴곡이 규제된 채로, 상기 제 1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핸들의 상기 제 1 링크에 대한 회동의 규제가 해제되며,
상기 제 1 조작량보다도 큰 제 2 조작량만큼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조작한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핸들의 상기 제 1 링크에 대한 회동의 규제가 해제되고, 또한,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핸들의 굴곡의 규제가 해제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의 측면시(側面視)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굴곡 가능한 위치에서부터 상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핸들의 굴곡 가능한 위치에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좌석 지지체 상에 설치된 좌석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좌석 부재는, 상기 좌석 지지체와 상기 핸들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유유아에게 측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측방재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상기 굴곡 가능한 위치는, 상기 좌석 지지체가 접속한 위치와, 상기 측방재가 접속한 위치의 사이에 있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좌석 지지체의 상기 핸들과의 접속 위치보다도 전방이 되는 위치와, 상기 핸들의 상기 좌석 지지체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보강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좌석 지지체 상에 설치된 좌석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좌석 부재는, 상기 좌석 지지체와 상기 핸들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유유아에게 측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측방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방재가 연결 보강 수단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각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각(後脚)과,
상기 한쌍의 후각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와,
상기 전각 또는 상기 전각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와 상기 후방 연결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굴곡 가능한 스탠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유모차를 폴딩했을 때에 굴곡하며, 굴곡한 상기 스탠드 부재와 상기 한쌍의 후각에 홀딩된 차륜이 접지(接地)함으로써 폴딩된 유모차가 기립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전각 또는 상기 전각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스탠드 요소와, 상기 후방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1 스탠드 요소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스탠드 요소를 갖고,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전각 또는 상기 전각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에 대한 상기 제 1 스탠드 요소의 회동 중심에서부터 제 1 스탠드 요소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회동 중심에서부터 상기 전각에 홀딩된 차륜의 외주까지의 최장 거리보다도 길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전각 또는 상기 전각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스탠드 요소와, 상기 후방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1 스탠드 요소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스탠드 요소를 가지며,
폴딩한 유모차의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탠드 요소는, 상기 전각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는, 상기 스탠드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수납 바구니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는,
상기 핸들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3 링크와,
상기 제 3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후각과,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핸들의 적어도 한쪽과 상기 후각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4 링크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각은, 상기 후각 및 상기 제 3 링크의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2 유모차는,
굴곡 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굴곡 가능한 위치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서 당해 핸들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와,
상기 핸들에 지지되고, 상기 핸들의 상기 좌석 지지체에 대한 상대 회동에 수반한 폴딩 동작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와,
상기 핸들에 지지되고, 상기 핸들의 굴곡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와,
상기 핸들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의 조작을 상기 제 1 규제 부재 및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제 1 조작량만큼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조작한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의 굴곡이 규제된 채로, 상기 제 1 규제 부재에 의한 폴딩 동작의 규제가 해제되며,
상기 제 1 조작량보다도 큰 제 2 조작량만큼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조작한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폴딩 동작의 규제가 해제되고, 또한,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핸들의 굴곡의 규제가 해제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3 유모차는,
핸들과,
상기 핸들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 지지체의 상기 핸들과의 접속 위치보다도 전방이 되는 위치와, 상기 핸들의 상기 좌석 지지체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보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 4 유모차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로서,
전각과,
상기 전각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각과,
상기 한쌍의 후각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와,
상기 전각 또는 상기 전각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와 상기 후방 연결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굴곡 가능한 스탠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유모차를 폴딩했을 때에 굴곡하며, 굴곡한 상기 스탠드 부재와 상기 한쌍의 후각에 홀딩된 차륜이 접지함으로써 폴딩된 유모차가 기립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5 유모차는,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와,
상기 좌석 지지체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주(主)링크와,
상기 주링크의 하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전각과,
상기 좌석 지지체 및 상기 제 1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링크와,
상기 주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핸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석을 높은 위치에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모차의 일 구체예를 전방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모차의 후방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종(縱)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모차를 폴딩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유모차를 폴딩하고 또한 핸들을 굴곡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1의 유모차의 폴딩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 및 도 1의 유모차의 핸들의 굴곡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1의 유모차의 폴딩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 및 도 1의 유모차의 핸들의 굴곡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는 도 1의 유모차의 폴딩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 및 도 1의 유모차의 핸들의 굴곡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난 일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도 6에는, 유모차의 구체예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유모차(10)는, 도 1 및 도 2 등에 나타난 유모차 본체(20)와, 도 3에만 모식적으로 나타난 수납 바구니(12) 및 좌석 부재(15)를 갖고 있다. 유모차 본체(20)는, 핸들(30), 좌석 지지체(40), 전륜(61)을 회전 가능하게 홀딩한 전각(60) 및, 후륜(63)을 회전 가능하게 홀딩한 후각(62)을 갖고 있다. 수납 바구니(12)는, 좌석 지지체(40)의 하방으로서, 전각(60) 및 후각(62)의 사이에 홀딩되어 있다. 좌석 부재(15)는, 좌석 지지체(40) 및 핸들(30)에 떼어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유유아는, 이 좌석 부재(15) 상에 착석한다.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는, 도 1∼도 4에 나타난 전개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난 폴딩 상태로 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는, 도 5에 나타난 상태에서 핸들(30)을 굴곡시킴으로써, 도 6에 나타난 상태로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 또,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는, 폴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전개할 수도 있다. 폴딩 동작 및 전개 동작을 행할 때, 유모차 본체(20)의 핸들(30), 좌석 지지체(40), 전각(60) 및 후각(62)은, 유모차 본체(20)를 폴딩 가능 및 전개 가능하게 구성하는 링크로서 기능한다. 또, 폴딩 동작 및 전개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모차 본체(20)는, 제 1∼제 4 링크(21∼24)를 추가로 갖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난 상태를 제 1 폴딩 상태라고도 부르고, 도 6에 나타난 상태를 제 2 폴딩 상태라고 부른다.
그런데,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한 「전(前)」, 「후(後)」, 「상(上)」, 「하(下)」,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하(左下)와 우상(右上)을 연결하는 방향,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상(左上)과 우하(右下)를 연결하는 방향, 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의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고,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하측,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상측,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전(前)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유모차의 주행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주행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연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 「횡 방향」이란 폭 방향으로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횡 방향 중심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대칭인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종단면도는, 횡 방향 중심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면에서의 단면(斷面)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유모차의 전체 구성으로서, 유모차 본체(20)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핸들(30), 좌석 지지체(40), 전각(60), 후각(62), 및 제 1∼제 4 링크(21∼24)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30)은, 핸들 본체(31)와, 핸들 본체(31)에 홀딩된 원격 조작 장치(34)를 갖고 있다. 핸들 본체(31)는, 서로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축부(31a)와, 한 쌍의 축부(31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31b)를 포함하고 있다. 핸들 본체(31)는, 전체로서 대략 U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핸들(30)은, U자의 양단부(兩端部)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본체(31)는, 한 쌍의 축부(31a)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서 굴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 본체(3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축선(BA)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핸들 요소(32) 및 제 2 핸들 요소(33)를 갖고 있다. 제 1 핸들 요소(32)는, 핸들 본체(31)의 대략 위쪽 절반을 구성하고, 대략 U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제 2 핸들 요소(33)는, 제 1 핸들 요소(32)의 양단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제 2 핸들 요소(33)는, 직선상(狀)으로 연장되는 외형상을 갖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측면시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20)의 굴곡 가능한 위치에서부터 상단까지의 길이(LU)는, 핸들(30)의 굴곡 가능한 위치에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LL)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원격 조작 장치(34)는, 핸들 본체(31)의 중간부(31b)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격 조작 장치(34)는, 제 1 핸들 요소(32)에 설치되어 있다. 원격 조작 장치(34)는, 나중에 상세히 기술하는 제 1 폴딩 규제 부재(26) 및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를 조작할 때에 사용된다.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는 유모차(10)의 폴딩 동작을 규제하고,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는 핸들(30)의 굴곡 동작을 규제한다. 원격 조작 장치(34)를 이용하여 제 1 폴딩 규제 부재(26) 및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를 조작함으로써, 유모차(10)의 폴딩 동작 및 핸들(30)의 굴곡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좌석 지지체(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지지체(40)는 핸들(30)과 접속하고 있다. 좌석 지지체(40)는, 핸들(30)의 굴곡 가능하게 되는 위치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서, 핸들(30)에 접속하고 있다. 좌석 지지체(4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회동 축선(RA1)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좌석 지지체(40)의 후단 부분이, 핸들(3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좌석 지지체(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석 부재(15)가 부착된다. 좌석 지지체(40)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둔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좌석 지지체(40)는, 핸들(30)과 접속한 좌석 프레임(41)과, 좌석 프레임(41) 상에 지지된 좌석 베이스 직물재(42)와, 좌석 프레임(41)에 지지된 연출(延出) 보조 프레임(43)을 갖고 있다. 좌석 프레임(41)은, 전체로서 사각형의 외형상을 따른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좌석 프레임(41)은, 핸들(30)의 각 제 2 핸들 요소(33)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한 쌍의 측부(41a)와, 한 쌍의 측부(41a)의 전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전부(前部)(41b)와, 한 쌍의 측부(41a)의 후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후부(後部)(41c)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측부(41a) 및 전부(41b)는, 가늘고 긴 금속제의 부재(통 또는 막대)를 접어 구부림 가공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부(41c)는, 측부(41a)와는 다른 금속제의 통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좌석 베이스 직물재(42)는, 직물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좌석 프레임(41)에 팽팽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좌석 베이스 직물재(42)는, 좌석 부재(1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형성한다.
연출 보조 프레임(43)은, 좌석 프레임(41)에 부착된 좌석 부착 부재(44)에 의해 홀딩되어 있다. 연출 보조 프레임(43)은, 좌석 프레임(4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출 보조 프레임(43)은, 좌석 프레임(41)의 하방이 되는 위치와, 좌석 프레임(4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출 보조 프레임(43)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좌석 프레임(4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좌석 부재(15)를 지지하는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즉, 연출 보조 프레임(43)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석 부재(15)에 의해 형성되는 좌석면을 전방으로 넓힐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부착 부재(44)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좌석 부착 부재(44)는,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좌석 프레임(41)의 측부(41a)에 부착되어 있다. 각 좌석 부착 부재(44)는, 대응하는 측부(41a)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좌석 부착 부재(44)의 사이에, 가드재(45)가 건너지르고 있다. 가드재(45)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복부 위를 통과하게 된다.
제 1 링크(21)는, 도 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핸들(30)의 하단 부분과 접속하고 있다. 제 1 링크(2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회동 축선(RA2)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링크(21)는 전각(60)과도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1 링크(21)는, 전각(60)의 중간 부분과 접속하고 있다. 제 1 링크(2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회동 축선(RA3)을 중심으로 하여 전각(6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1 링크(21)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전각(60)도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제 1 링크(21)는,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이 되는 핸들(30)의 축부(31a)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이 되는 전각(60)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1 링크(21)는, 중앙 링크 부재(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링크 부재(50)는, 후방 연결부(51), 전방 연결부(52) 및 전후 연결부(53)를 포함하고 있다. 후방 연결부(51)는, 핸들(30)의 한 쌍의 축부(31a)의 하단 부분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후방 연결부(51)는, 축부(31a)의 하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전방 연결부(52)는, 한 쌍의 전각(60)의 중간 부분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전방 연결부(52)는, 전각(60)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전방 연결부(52)는, 풋레스트로서도 기능한다. 후방 연결부(51) 및 전방 연결부(52)의 사이에,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의 전후 연결부(53)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전후 연결부(53)의 폭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점차 좁아져 간다. 또, 전후 연결부(53)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중앙 링크 부재(50)는, 후방 연결부(51), 전방 연결부(52) 및 한 쌍의 전후 연결부(53)를 일체적으로 성형한 수지 성형물이어도 된다. 또는, 후방 연결부(51)는, 전후 연결부(53)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수지 성형물에 더하여, 보강용 금속제의 통재 등을 추가로 갖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전방 연결부(52)는, 전후 연결부(53)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수지 성형물에 더하여, 보강용 금속제의 통재 등을 추가로 갖도록 해도 된다.
각 제 1 링크(21)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이 되는 한쪽의 전후 연결부(53)와, 당해 전후 연결부(53)와 폭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이 되는 한쪽의 축부(31a)의 사이에 위치하는 후방 연결부(51)의 부분과, 당해 전후 연결부(53)와 폭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이 되는 한쪽의 전각(6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방 연결부(52)의 부분에 의해 구성된다.
제 2 링크(22)는, 좌석 지지체(40) 및 제 1 링크(2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2 링크(22)는, 좌석 지지체(4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과 접속하고 있다. 제 2 링크(22)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회동 축선(RA4)을 중심으로 하여 좌석 지지체(4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링크(22)는, 제 1 링크(21)를 이루는 중앙 링크 부재(50)의 전후 연결부(53)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과 접속하고 있다. 제 2 링크(22)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회동 축선(RA5)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링크(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링크(22)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제 2 링크(22)는,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이 되는 좌석 지지체(40)의 측부(41a)와 접속하고,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이 되는 제 1 링크(21)(전후 연결부(53))와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2 링크(22)는, 지지 프레임재(5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재(55)는, 금속제의 막대상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재(55)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재(55)는, 상단부 및 하단부의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지지 프레임재(55)는, 그 상단부에서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을 향해 굴곡하여, 폭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좌석 부착 부재(44)를 관통하고 있다. 제 4 회동 축선(RA4)은, 막대상 형상을 갖는 지지 프레임재(55)의 상단부의 중심 축선에 일치하고 있다. 각 지지 프레임재(55)는, 그 하단부에서 폭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을 향해 굴곡하여, 폭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전후 연결부(53)를 관통하고 있다. 제 5 회동 축선(RA5)은, 막대상 형상을 갖는 지지 프레임재(55)의 하단부의 중심 축선에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 프레임재(55)의 부착 구성에 의하면, 좌석 지지체(40)에 폭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지지 프레임재(55)가 제 1 링크(21)나 좌석 지지체(40)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지지 프레임재(55)에 의해 좌석 지지체(4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안쪽)이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중심에 근접하는 측을 말한다.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바깥쪽)이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하는 측을 말한다.
지지 프레임재(55)는, 도 4에 나타난 측면시에 있어서,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지지 프레임재(55)가 측면시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가 된다. 이와 같은 지지 프레임재(55)에 의하면, 후단 부분에 있어서 핸들(30)에 접속한 좌석 지지체(40)의 전방 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지지 프레임재(55)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폭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으로 향하도록,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결과적으로, 한 쌍의 지지 프레임재(55)의 폭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점차 좁아져 있다. 이와 같은 지지 프레임재(55)에 의하면, 좌석 지지체(40)에 폭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좌석 지지체(4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3 링크(23)는, 핸들(3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또, 제 3 링크(23)는, 후각(6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3 링크(23)는, 제 1 회동 축선(RA1)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30) 및 좌석 지지체(4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3 링크(23)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6 회동 축선(RA6)을 중심으로 하여 후각(6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제 3 링크(23)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고, 후각(62)도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제 3 링크(23)는,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이 되는 핸들(30)의 축부(31a)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이 되는 후각(6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3 링크(23)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연결 링크 부재(6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 링크 부재(65)는,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핸들(30)과 접속하고,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단부에 있어서 후각(62)과 접속하고 있다.
제 4 링크(2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21) 및 핸들(30)의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또, 제 4 링크(24)는, 후각(62)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4 링크(24)는, 축 부재(28)(도 3 참조)를 개재하여 제 1 링크(21) 및 핸들(30)의 양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제 4 링크(24)는, 제 1 링크(21)의 후단 부분과 접속하고 있다. 제 4 링크(24)는, 핸들(30)의 축부(31a)의 하단 부분과 접속하고 있다. 단,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4 링크(24)는, 제 1 링크(21)하고만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어도 되고, 또는 핸들(30)하고만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제 4 링크(24)는, 제 2 회동 축선(RA2)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링크(21) 및 핸들(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4 링크(24)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제 4 링크(24)는,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이 되는 핸들(30)의 축부(31a) 및 제 1 링크(21)(중앙 링크 부재(50)의 후방 연결부(5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측이 되는 후각(6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4 링크(24)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브래킷 부재(6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브래킷 부재(67)는,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제 1 링크(21) 및 핸들(30)과 접속하고,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단부에 있어서 후각(62)과 접속하고 있다.
전각(60)은, 그 상단 부분에 있어서, 제 3 링크(23) 및 후각(62)의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전각(60)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8 회동 축선(RA8)을 중심으로 하여 후각(6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단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각(60)은, 제 3 링크(23)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어도 되고, 제 3 링크(23) 및 후각(62)의 양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각 전각(60)에는, 그 하단 부분에, 쌍륜 구조의 캐스터가 부착되어 있다. 즉, 각 전각(60)은, 그 하단 부분에, 한 쌍의 전륜(61)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당해 한 쌍의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홀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각(60)은 금속제의 통재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후각(62)은, 그 하단 부분에, 후륜(63)을 회전 가능하게 홀딩하고 있다. 전각(60)과는 달리, 후각(62)은, 후륜(63)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유지한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각 후각(62)은, 후륜(63)을 홀딩하는 후각 주부(主部)(62a)와, 후각 주부(62a)의 상단 부분에 접속한 후각 접속부(62b)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후각 주부(62a)는 금속제의 통재로 구성되고, 후각 접속부(62b)는 수지 성형물로 구성된다. 후각 접속부(62b)는, 후각 주부(62a)에 접속한 연신부(62b1)와, 제 3 링크(23)(연결 링크 부재(65))에 접속한 되접힘부(62b2)를 포함하고 있다. 연신부(62b1)는, 후각 주부(62a)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되접힘부(62b2)는, 연신부(62b1)의 전단 부분에서 되접혀, 후방 또한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되접힘부(62b2)는, 상단 부분에 있어서 제 3 링크(23)(연결 링크 부재(65))와 접속하고 있다. 또, 각 전각(60)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이 되는 후각(62)의 되접힘부(62b2)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 2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후각(62)의 사이에 후방 연결 부재(64)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연결 부재(64)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쌍의 후각(62)을 연결하고 있다.
그런데, 유모차 본체(2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각(60) 및 후각(62)의 사이를 연장하는 스탠드 부재(70)를 추가로 갖고 있다. 스탠드 부재(70)는, 전각(60)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와 후방 연결 부재(64)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며, 굴곡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스탠드 부재(70)는, 한 쌍의 전각(60)의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 링크 부재(50)의 전방 연결부(52)와 후방 연결 부재(64)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이 스탠드 부재(70)는, 유모차 본체(20)의 폴딩 동작에 수반하여 전각(60) 및 후각(62)이 서로 접근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지지체(40)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한다. 그리고, 굴곡한 스탠드 부재(70)와 한 쌍의 후륜(63)이 접지함으로써,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딩된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를 기립시킬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탠드 부재(70)는, 중앙 링크 부재(50)의 전방 연결부(52)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스탠드 요소(71)와, 후방 연결 부재(64)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스탠드 요소(72)를 갖고 있다. 제 1 스탠드 요소(71) 및 제 2 스탠드 요소(72)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9 회동 축선(RA9)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특히 제 1 스탠드 요소(71)는, 그 전단 부분에서 전방 연결부(52)에 접속하고, 그 후단 부분에서 제 2 스탠드 요소(72)에 접속하고 있다. 제 2 스탠드 요소(72)는, 그 전단 부분에서 제 1 스탠드 요소(71)에 접속하고, 그 후단 부분에서 후방 연결 부재(64)에 접속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를 폴딩했을 때에, 제 1 스탠드 요소(71)는, 측면시에 있어서, 전각(60)을 따라 연장되게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시에 있어서, 전각(60)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전방 연결부(52))에 대한 제 1 스탠드 요소의 회동 중심에서부터 제 1 스탠드 요소(71)의 단부까지의 길이(LX)는, 상기 회동 중심에서부터 전각(60)에 홀딩된 차륜(전륜(61))의 외주까지의 최장 거리(LY)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를 폴딩했을 때에, 제 1 스탠드 요소(71)는, 측면시에 있어서, 전륜(61)보다도 연장되어 나오게 된다.
도 4에 나타난 제 1 스탠드 요소(71)는, 전방 연결부(52)와 접속한 제 1 바(bar)재(71a)와, 제 1 바재(71a)의 후단 부분에 부착된 단(端) 부재(71b)를 갖고 있다. 단 부재(71b)는, 제 1 바재(71a)의 후단을 덮고 있다. 단 부재(71b)는, 후단에 위치하는 단부(71ba)와, 단부(71ba)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71bb)를 갖고 있다. 단 부재(71b)는, 이 돌출부(71bb)에 있어서, 제 2 스탠드 요소(72)와 접속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탠드 부재(70)가 굴곡했을 때에, 단부(71ba)가 돌출되어 접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 1 바재(71a)는 금속제의 통재로 이루어지고, 단 부재(71b)는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스탠드 부재(70) 및 제 1 스탠드 요소(71)는, 전방 연결부(52)가 아닌, 전각(60)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 본체(20)에 부착된 수납 바구니(12) 및 좌석 부재(15)에 대해 설명한다. 수납 바구니(12) 및 좌석 부재(15)는, 유모차(10)의 폴딩 동작 시에 유모차 본체(20)와 함께 변형한다. 따라서, 수납 바구니(12) 및 좌석 부재(15)는, 예를 들면 직물재 등의 유연성을 가진 재료에 의해 제작되어, 유모차 본체(20)에 수반하여 변형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도 3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수납 바구니(12)는, 중앙 링크 부재(50)의 전후 연결부(53) 및 후각(62)에 부착되어 있다. 또, 수납 바구니(12)는, 스탠드 부재(70)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스탠드 부재(70)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변형 가능한 구성을 가진 수납 바구니(12)의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납 바구니(12)를 대용적화하여 수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좌석 부재(15)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부재(15)는, 좌석 지지체(40)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부(15A)와, 좌석부(15A)에 접속한 등부(背部)(15B)를 갖고 있다. 좌석부(15A)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둔부에 하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된다. 등부(15B)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등에 후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등부(15B)의 하단 부분이 좌석부(15A)의 후단 부분에 접속하고 있다. 등부(15B)는, 좌석부(15A)에 대하여 요동(搖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등부(15B)가 좌석부(15A)에 대하여 요동함으로써, 좌석 부재(15)의 리클라이닝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석 부재(15)는, 등부(15B)의 후방을 통과하여 핸들(30)의 축부(31a)에 부착된 조절 부재(18)를 추가로 갖고 있다. 조절 부재(18)는 끈 형상의 부재이다. 조절 부재(18)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등부(15B)의 좌석부(15A)에 대한 경사 각도, 즉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부재(15)는, 유유아에게 측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측방재(16)를 포함하고 있다. 측방재(16)는, 좌석부(15A) 및 등부(15B)의 폭 방향 양바깥쪽에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측방재(16)는, 좌석부(15A) 및 등부(15B)에 접속, 예를 들면 봉착(縫着)되어 있다. 한 쌍의 측방재(16)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를 양측방으로부터 보호하고, 또 유유아를 양측방으로부터 홀딩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각 측방재(16)는, 좌석 지지체(40)와 핸들(30)에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각 측방재(16)는, 고정 수단(16a)에 의해, 폭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좌석 프레임(41)의 측부(41a)와, 폭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핸들 본체(31)의 축부(31a)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30)의 굴곡 가능한 위치(굴곡 축선(BA)의 위치)는, 좌석 지지체(40)가 핸들(30)에 접속한 위치와, 측방재(16)가 핸들(30)에 접속한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측방재(16)는, 좌석 프레임(41)의 측부(41a)와 핸들 본체(31)의 축부(31a)의 사이에 있어서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방재(16)는, 좌석 지지체(40)의 핸들(30)과의 접속 위치(제 1 회동 축선(RA1)의 위치)보다도 전방이 되는 위치와, 핸들(30)의 좌석 지지체(40)와의 접속 위치(제 1 회동 축선(RA1)의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보강 수단(17)으로서 기능하며, 후단 부분에 있어서 핸들(30)에 접속한 좌석 지지체(40)의 전방 부분을 상방으로 당겨올린다. 연결 보강 수단(17)으로서 기능하는 측방재(16)에 의해, 좌석 지지체(4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측방재(16)는, 좌석 지지체(40)에의 고정 위치와 핸들(30)에의 고정 위치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강화 부재(16b)를 포함하고 있다. 강화 부재(16b)는, 측방재(16)의 강성을 국소적으로 강화한다. 즉, 강화 부재(16b)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측방재(16)의 강성은, 강화 부재(16b)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의 측방재(16)의 강성보다도 높아져 있다. 따라서, 측방재(16)를 설치함으로써, 좌석 지지체(40)의 전방 부분을 더욱 안정되게 상방으로 당겨올릴 수 있다. 특히 도시된 강화 부재(16b)는, 와이어나 벨트재에 의해 구성되고, 측방재(16)의 좌석 지지체(40)에의 고정 위치와 측방재(16)의 핸들(30)에의 고정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따라 당해 직선 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측방재(16)를 효율적으로 보강하여, 좌석 지지체(4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의 각 구성 부재를 상대 회동시킴으로써, 폴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핸들(3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작함으로써, 유모차(10)를 폴딩할 수 있다. 유모차(10)를 폴딩함으로써, 유모차(10)의 치수를 보관이나 반송 등에 적합한 크기로 소형화할 수 있다.
우선, 핸들(30)을 일단 후상방(後上方)으로 끌어올린다. 그 후, 핸들(30)을 하방으로 내림으로써, 브래킷 부재(67)에 의해 구성된 제 4 링크(24)를 후각(62)에 대하여,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제 1 링크(21) 및 제 3 링크(23)는, 핸들(30)에 대하여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결과, 측면시에 있어서 핸들(30)과 전각(60)이 측면시에 있어서 대략 평행인 배치를 유지하면서 서로 접근하는 동시에, 핸들(30)의 위치가 낮춰지게 된다.
또, 핸들(3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좌석 지지체(40)는, 지지 프레임재(55)로 이루어지는 제 2 링크(22)를 개재하여, 제 1 링크(2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폴딩 동작 시에 있어서의 제 1 링크(21)의 동작은, 제 2 링크(22)를 개재하여 좌석 지지체(40)에 전달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 지지체(40)는, 측면시에 있어서 핸들(3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핸들(30)에 접근한다.
게다가, 스탠드 부재(70)는, 전각(60) 및 후각(62)이 서로 접근함에 따라, 제 1 스탠드 요소(71) 및 제 2 스탠드 요소(72)의 접속 위치(제 9 회동 축선(RA9)의 위치)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굴곡한다.
이상의 결과, 도 5에 나타난 제 1 폴딩 상태로 유모차(10)를 폴딩할 수 있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폴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는, 스탠드 부재(70)와 한 쌍의 후륜(63)을 접지시킨 상태로, 기립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제 1 폴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유모차(10)를 전개시키려면, 상술한 폴딩 조작과 반대의 순서를 밟으면 된다.
다음으로, 핸들 본체(31)의 제 1 핸들 요소(32)에 대하여 굴곡 축선(BA)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핸들 요소(33)를 회동시킴으로써, 핸들(30)을 굴곡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를 도 6에 나타난 제 2 폴딩 상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치수를 큰 폭으로 소형화시킬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폴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는, 스탠드 부재(70)와 한 쌍의 후륜(63)을 접지시킨 상태로, 기립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제 2 폴딩 상태로부터 도 5에 나타난 제 1 폴딩 상태로 유모차(10)를 전개시키려면, 상술한 폴딩 조작과 반대의 순서를 밟으면 된다.
이상에 설명한 유모차(10)에서는, 유모차 본체(20)의 핸들(30), 전각(60) 및 후각(62)을 폴딩하기 위한 링크 구성의 상방에, 좌석 지지체(40)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좌석 지지체(40)는, 제 1 링크(21)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제 3 링크(23)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좌석 지지체(40)를 높은 위치에 홀딩할 수 있다. 좌석 지지체(40)의 홀딩 위치를 높게 올림으로써, 이 좌석 지지체(40) 상에 착석하는 유유아를, 유모차(10)의 주행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행면으로부터의 복사열이나 주행면 상의 분진 등으로부터,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를 멀리하여 보호할 수 있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유모차 본체(20)는, 의도하지 않는 폴딩 동작을 규제하기 위해, 제 1 폴딩 규제 부재(26) 및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를 갖고 있다.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는, 핸들(30)에 지지되며, 핸들(30)과 다른 구성요소와의 상대 동작을 규제한다.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는, 핸들(30)과 다른 어느 것인가의 구성요소와의 상대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 1∼제 4 링크(21∼24), 전각(60) 및 후각(62)의 어느 하나와 핸들(30)과의 상대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유모차(10)의 폴딩 동작을 규제할 수 있다.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는, 핸들(30)에 지지되며, 핸들(30)의 굴곡을 규제한다.
도시된 유모차(10)에 있어서, 핸들(30)에 지지된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는, 도시하지 않는 가압(付勢) 수단에 의해, 하방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도 7a∼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가압된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는, 핸들(3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후각(62)에 설치된 오목부(62c) 내로 들어간다. 핸들(30)에 지지된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와 후각(62)의 오목부(62c)와의 걸어 맞춤에 의해, 핸들(30)과 후각(62)과의 상대 동작이 규제된다. 게다가 도시된 예에서는, 도 7a∼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는, 핸들(30)로부터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방으로 가압된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는, 브래킷 부재(67)에 의해 구성된 제 4 링크(24)의 절결(切欠)(24a)로 들어간다. 핸들(30)에 지지된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와 제 4 링크(24)의 절결(24a)과의 걸어 맞춤에 의해, 핸들(30)과 제 4 링크(24)와의 상대 동작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에 의하면, 핸들(30)의 좌석 지지체(40)에 대한 상대 회동에 수반한 유모차(10)의 폴딩 동작을 규제할 수 있다.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에 의한 폴딩 동작의 규제는,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를 끌어올림으로써, 해제된다.
도 7a∼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는, 핸들 본체(31)의 제 1 핸들 요소(32) 및 제 2 핸들 요소(33)의 접속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핸들 요소(32)는 제 1 회동 하우징(32a)을 갖고, 제 2 핸들 요소(33)는 제 2 회동 하우징(33a)을 갖고 있다. 제 1 회동 하우징(32a) 및 제 2 회동 하우징(33a)은, 굴곡 축선(B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는, 제 1 회동 하우징(32a) 및 제 2 회동 하우징(33a)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회동 하우징(32a) 및 제 2 회동 하우징(33a)은 폭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는,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제 2 회동 하우징(33a)에 홀딩되어 있다.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는, 가압 수단(35)에 의해 폭 방향을 따라 제 1 회동 하우징(32a)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제 2 폴딩 규제 부재(27)가, 제 1 회동 하우징(32a) 및 제 2 회동 하우징(33a)의 양쪽에 걸쳐 위치함으로써, 제 1 회동 하우징(32a) 및 제 2 회동 하우징(33a)의 굴곡 축선(BA)을 중심으로 한 상대 회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를 제 2 회동 하우징(33a) 내로 밀어넣음으로써, 핸들(30)의 굴곡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제 1 폴딩 규제 부재(26) 및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는, 핸들(30)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34)에 의해 조작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34)는, 예를 들면 조작 레버로서 구성된, 조작부(34a)를 갖고 있다. 조작부(34a)의 조작은, 전달 수단(38)을 개재하여, 제 1 폴딩 규제 부재(26) 및 제 2 폴딩 규제 부재(27)의 양쪽에 전달된다. 즉,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부(34a)를 조작함으로써, 제 1 폴딩 규제 부재(26) 및 제 2 폴딩 규제 부재(27)의 양쪽의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7a∼도 7c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전달 수단(38)은, 제 1 전달 와이어(38A), 제 2 전달 와이어(38B) 및 중간 조작 부재(38C)를 갖고 있다. 중간 조작 부재(38C)는, 제 1 전달 와이어(38A) 및 제 2 전달 와이어(38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달 와이어(38A)는, 그 양단에 있어서,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부(34a)와 중간 조작 부재(38C)에 접속하고 있다. 제 2 전달 와이어(38B)는, 그 양단에 있어서,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부(34a)와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에 접속하고 있다. 중간 조작 부재(38C)는, 제 1 회동 하우징(32a) 및 제 2 회동 하우징(33a)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하우징 내에 있어서, 중간 조작 부재(38C)는, 제 2 폴딩 규제 부재(27)에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전달 와이어(38A) 및 제 2 전달 와이어(38B)는, 각각, 도시하지 않는 통상(筒狀) 부재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통상 부재의 양단은 핸들(30)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전달 와이어(38A) 및 제 2 전달 와이어(38B)는, 그 양단부에 있어서 통상 부재 바깥에 위치하지만, 통상 부재 바깥에 있어서는 느슨해지지 않도록 통상 부재의 배치가 조절되어 있다. 따라서,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부(34a)의 조작량에 따라, 중간 조작 부재(38C)의 동작량 및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의 동작량이 결정된다.
중간 조작 부재(38C)는, 제 1 핸들 요소(32)의 제 1 회동 하우징(32a) 내에 홀딩되어 있다. 중간 조작 부재(38C)는,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부(34a)의 조작량에 따른 길이만큼 핸들(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중간 조작 부재(38C)는, 제 1 회동 하우징(32a)에 설치된 볼록부(32b)와 접촉 가능한 볼록부(38Ca)를 갖고 있다. 중간 조작 부재(38C)의 볼록부(38Ca)와 제 1 회동 하우징(32a)의 볼록부(32b)가 접촉함으로써, 중간 조작 부재(38C)는 제 1 회동 하우징(32a) 내에 폭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는, 가압 수단(35)에 의해 폭 방향 안쪽으로 가압되어, 중간 조작 부재(38C)를 향해 밀어 눌러져(押壓) 있다. 중간 조작 부재(38C)가 폭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를 폭 방향 바깥쪽으로 눌러, 제 2 폴딩 규제 부재(27)에 의한 핸들(30)의 굴곡 규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시된 유모차(10)에서는,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부(34a)를 제 1 조작량(도 7b 참조)만큼 조작한 경우에, 제 2 폴딩 규제 부재(27)에 의해 핸들(30)의 굴곡이 규제된 채로,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에 의한 핸들(30)의 제 1 링크(21)에 대한 회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7b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조작부(34a)를 제 1 조작량만큼 조작한 경우, 전달 수단(38)을 개재하여,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를 끌어올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후각(62)의 오목부(62c)로부터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를 끌어올릴 수 있고, 또한, 제 4 링크(24)의 절결(24a)로부터 제 1 폴딩 규제 부재(26)를 끌어올릴 수 있다. 이때,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조작 부재(38C)의 볼록부(38Ca)는, 아직 제 1 회동 하우징(32a)의 볼록부(32b)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중간 조작 부재(38C) 및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는 폭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다.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는, 제 1 회동 하우징(32a) 및 제 2 회동 하우징(33a)에 걸쳐 위치하여, 핸들(30)의 굴곡을 규제한다.
다음으로, 도 7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7c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조작부(34a)를 추가로 조작한 경우, 전달 수단(38)을 개재하여, 중간 조작 부재(38C)를 더욱 끌어올려, 중간 조작 부재(38C)의 볼록부(38Ca)를 제 2 회동 하우징(33a)의 볼록부(32b)에 접촉시킬 수 있다. 볼록부(38Ca)와 볼록부(32b)의 접촉에 의해, 중간 조작 부재(38C)를 폭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간 조작 부재(38C)를 개재하여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를 제 2 회동 하우징(33a) 내로 밀어넣을 수 있어, 핸들(30)의 굴곡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도 7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7c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제 1 조작량보다도 큰 제 2 조작량만큼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부(34a)를 조작한 경우에는,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에 의한 핸들(30)의 제 1 링크(21)에 대한 회동의 규제를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제 2 폴딩 규제 부재(27)에 의한 핸들(30)의 굴곡의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핸들(30)과, 핸들(3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 지지체(40)와, 핸들(30)의 하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링크(21)와, 제 1 링크(2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전각(60)과, 좌석 지지체(40) 및 제 1 링크(2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링크(22)를 갖는다. 이와 같은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각과 핸들의 하단 부분과의 사이를 연장하는 제 1 링크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에 좌석 지지체를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유모차의 폴딩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링크에 의해, 좌석 지지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즉, 좌석 지지체를 높은 위치에 안정되게 홀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에 승차한 유유아를 주행면(노면)의 분진이나 온도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또, 승차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핸들(30)은, 좌석 지지체(40)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에서 굴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좌석 지지체(40)를 높은 위치에 홀딩할 수 있는 유모차(10)의 폴딩 시의 치수를 효과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유모차(10)는, 핸들(30)에 지지되고, 핸들(30)의 제 1 링크(21)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는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와, 핸들(30)에 지지되고, 핸들(30)의 굴곡을 규제하는 제 2 폴딩 규제 부재(27)와, 핸들(30)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을 제 1 폴딩 규제 부재(26) 및 제 2 폴딩 규제 부재(27)로 전달하는 전달 수단(38)을 추가로 갖는다. 이 유모차(10)에서는,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의 해제와 핸들(30)의 신장 상태의 해제 양쪽을, 하나의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조작 시의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는 유모차(1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원격 조작 장치(34)를 제 1 조작량만큼 조작한 경우에, 제 2 폴딩 규제 부재(27)에 의해 핸들(30)의 굴곡이 규제된 채로,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에 의한 핸들(30)의 제 1 링크(21)에 대한 회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또, 제 1 조작량보다도 큰 제 2 조작량만큼 원격 조작 장치(34)를 조작한 경우, 제 1 폴딩 규제 부재(26)에 의한 핸들(30)의 제 1 링크(21)에 대한 회동의 규제가 해제되고, 또한, 제 2 폴딩 규제 부재(27)에 의한 핸들(30)의 굴곡의 규제가 해제된다. 즉,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을 개시한 후, 우선 유모차(10)를 폴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을 추가로 계속함으로써, 핸들(30)을 굴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보관 스페이스 등에 따라, 폴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치수를 단계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유모차(10)의 폴딩 동작의 개시 시에 핸들(30)의 굴곡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핸들(30)을 파지하면서, 유모차(10)를 안정되게 폴딩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유모차(10)의 측면시에 있어서, 핸들(30)의 굴곡 가능한 위치에서부터 상단까지의 길이(LU)는, 핸들(30)의 굴곡 가능한 위치(LL)에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 의하면, 핸들(30)을 굴곡함으로써, 유모차(10)의 폴딩 치수를 현저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유모차(10)는, 좌석 지지체(40) 상에 설치된 좌석 부재(15)를 추가로 갖는다. 좌석 부재(15)는, 좌석 지지체(40)와 핸들(30)에 부착되고 또한 유유아에게 측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측방재(16)를 포함하며, 핸들(30)의 굴곡 가능한 위치는, 좌석 지지체(40)가 접속한 위치와, 측방재(16)가 접속한 위치의 사이에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유유아의 거주 공간이 되는 높이 위치에서, 핸들(30)을 굴곡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30)을 굴곡함으로써, 유모차(10)의 폴딩 치수를 현저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좌석 지지체(40)의 핸들(30)과의 접속 위치보다도 전방이 되는 위치와, 핸들(30)의 좌석 지지체(40)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보강 수단(17)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좌석 지지체(40)의 핸들(30)과의 접속 위치보다도 전방이 되는 위치를, 연결 보강 수단(17)을 이용하여 상방으로 당겨올릴 수 있다. 연결 보강 수단(17)을 이용함으로써, 좌석 지지체(40)를 높은 위치에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유모차(10)는 좌석 지지체(40) 상에 설치된 좌석 부재(15)를 추가로 갖는다. 좌석 부재(15)는, 좌석 지지체(40)와 핸들(30)에 부착되고 또한 유유아에게 측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측방재(16)를 포함하고 있다. 측방재(16)가 연결 보강 수단(17)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좌석 부재(15)에 의해, 좌석 지지체(40)의 핸들(30)과의 접속 위치보다도 전방이 되는 위치를, 상방으로 당겨올릴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중량화를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 좌석 지지체(40)를 높은 위치에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유모차(10)는, 전각(6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각(62)과, 한쌍의 후각(62)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64)와, 전각(60) 또는 전각(60)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전방 연결부(52))와 후방 연결 부재(64)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굴곡 가능한 스탠드 부재(70)를 추가로 갖는다. 스탠드 부재(70)는, 유모차(10)를 폴딩했을 때에 굴곡하고, 굴곡한 스탠드 부재(70)와 한쌍의 후각(62)에 홀딩된 후륜(63)이 접지함으로써 폴딩된 유모차(10)를 기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폴딩을 실현하기 위한 링크 구성이나 좌석 지지체(40)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폴딩된 유모차(10)를 기립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폴딩된 유모차(10)의 보관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폴딩된 유모차(10)의 취급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스탠드 부재(70)는, 전각(60) 또는 전각(60)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전방 연결부(52))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스탠드 요소(71)와, 후방 연결 부재(64) 및 제 1 스탠드 요소(7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스탠드 요소(72)를 갖는다. 측면시에 있어서, 전각 또는 전각(60)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전방 연결부(52))에 대한 제 1 스탠드 요소(71)의 회동 중심에서부터 제 1 스탠드 요소(71)의 단부까지의 길이(LX)는, 상기 회동 중심에서부터 전각(60)에 홀딩된 차륜(전륜(61))의 외주까지의 최장 거리(LY)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폴딩을 실현하기 위한 링크 구성이나 좌석 지지체(40)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전각(60)의 길이를 결정한 경우에 있어서도, 스탠드 부재(70)를 이용하여 폴딩된 유모차(10)를 기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스탠드 부재(70)는, 전각(60) 또는 전각(60)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전방 연결부(52))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스탠드 요소(71)와, 후방 연결 부재(64) 및 제 1 스탠드 요소(7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스탠드 요소(72)를 갖고 있다. 폴딩한 유모차의 측면시에 있어서, 제 1 스탠드 요소(71)는, 전각(60)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전각(60)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폴딩을 실현하기 위한 링크 구성이나 좌석 지지체(40)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전각(60)의 길이를 결정한 경우에 있어서도, 스탠드 부재(70)를 이용하여 폴딩된 유모차(10)를 안정되게 기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있어서, 유모차(10)는 스탠드 부재(70)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수납 바구니(12)를 추가로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서는, 스탠드 부재(70)에 의해 수납 바구니(12)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수납 바구니(12)의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납 바구니(12)를 대용적화하여 수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굴곡 가능한 핸들(30)과, 핸들(30)의 굴곡 가능한 위치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서 당해 핸들(30)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40)와, 핸들(30)에 지지되고, 핸들(30)의 좌석 지지체(40)에 대한 상대 회동에 수반한 폴딩 동작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26)와, 핸들(30)에 지지되고, 핸들(30)의 굴곡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27)와, 핸들(30)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을 제 1 규제 부재(26) 및 제 2 규제 부재(27)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38)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핸들(30)을 굴곡시킴으로써 유모차(10)의 폴딩 시의 치수를 효과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의 해제와 핸들(30)의 신장 상태의 해제 양쪽을, 하나의 원격 조작 장치(34)의 조작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조작 시의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는 유모차(1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간이한 조작으로 폴딩할 수 있는 동시에 폴딩 상태에서의 치수를 소형화한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핸들(30)과, 핸들(30)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40)를 갖고 있다. 좌석 지지체(40)의 핸들(30)과의 접속 위치보다도 전방이 되는 위치와, 핸들(30)의 좌석 지지체(40)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보강 수단(17)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좌석 지지체(40)의 핸들(30)과의 접속 위치보다도 전방이 되는 위치를, 연결 보강 수단(17)을 이용하여 상방으로 당겨올릴 수 있다. 연결 보강 수단(17)을 이용함으로써, 좌석 지지체(40)를 높은 위치에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좌석 지지체(40)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좌석 지지체(40)를 안정되게 지지한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딩 가능한 유모차(10)는, 전각(60)과, 전각(6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각(62)과, 한쌍의 후각(62)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64)와, 전각(60) 또는 전각(60)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전방 연결부(52))와 후방 연결 부재(64)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굴곡 가능한 스탠드 부재(70)를 갖고 있다. 스탠드 부재(70)는, 유모차(10)를 폴딩했을 때에 굴곡하고, 굴곡한 스탠드 부재(70)와 한쌍의 후각(62)에 홀딩된 후륜(63)이 접지함으로써 폴딩된 유모차(10)를 기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폴딩을 실현하기 위한 링크 구성이나 좌석 지지체(40)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폴딩된 유모차(10)를 기립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폴딩된 유모차(10)의 보관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폴딩된 유모차(10)의 취급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폴딩을 실현하기 위한 링크 구성이나 좌석 지지체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폴딩된 유모차(10)를 기립시킨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를 참조하여 일 실시형태를 설명해 왔지만, 도시된 구체예가 일 실시형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상술한 일 실시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구체예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 추가 등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체예에 있어서, 유모차(10)가 한 쌍의 전각(60) 및 한쌍의 후각(62)을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유모차(10)가 단일의 전각(60) 및 한쌍의 후각(62)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스탠드 부재(70)는, 전각(60)과 후방 연결 부재(64)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또 이 예에 있어서, 스탠드 부재(70)의 제 1 스탠드 요소(71)는, 전각(60)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구체예에 있어서,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40)는, 핸들(3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유모차(10)가,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 지지체(40)와, 좌석 지지체(40)의 후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주링크와, 주링크의 하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링크(21)와, 제 1 링크(21)의 전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전각(60)과, 좌석 지지체(40) 및 제 1 링크(21)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링크(22)와, 주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핸들(30)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유모차에 의하면, 핸들(30)을 배면(背面) 푸시 위치와 대면 푸시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배면 푸시 위치에 있어서, 핸들(30)은 유유아의 배면측에 위치하여, 보호자는 유유아의 배면측으로부터 유모차를 밀어 유모차를 진행할 수 있다. 대면 푸시 위치에 있어서, 핸들(30)은 유유아에게 대면하는 측에 위치하여, 보호자는 유유아에게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유모차를 밀어 유모차를 진행한다. 또, 이와 같은 유모차(10)에 의해서도, 상술한 구체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주링크의 하단 부분과 전각(60)의 사이를 연장하는 제 1 링크(21)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에 좌석 지지체(40)를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유모차(10)의 폴딩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링크(22)에 의해, 좌석 지지체(4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즉, 좌석 지지체(40)를 높은 위치에 안정되게 홀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를 주행면(노면)의 분진이나 온도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승차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7)

  1. 핸들과,
    상기 핸들의 중간 부분과 회동(回動) 가능하게 접속하고,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와,
    상기 핸들의 하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전각(前脚)과,
    상기 좌석 지지체 및 상기 제 1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링크를 구비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좌석 지지체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에서 굴곡 가능한 유모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지지되고, 상기 핸들의 상기 제 1 링크에 대한 상대 회동에 수반한 폴딩 동작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와,
    상기 핸들에 지지되고, 상기 핸들의 굴곡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와,
    상기 핸들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의 조작을 상기 제 1 규제 부재 및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유모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제 1 조작량만큼 조작한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의 굴곡이 규제된 채로, 상기 제 1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핸들의 상기 제 1 링크에 대한 회동의 규제가 해제되며,
    상기 제 1 조작량보다도 큰 제 2 조작량만큼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조작한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핸들의 상기 제 1 링크에 대한 회동의 규제가 해제되고, 또한,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핸들의 굴곡의 규제가 해제되는 유모차.
  5. 제 2 항에 있어서,
    유모차의 측면시(側面視)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굴곡 가능한 위치에서부터 상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핸들의 굴곡 가능한 위치에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보다도 긴 유모차.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지지체 상에 설치된 좌석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좌석 부재는, 상기 좌석 지지체와 상기 핸들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유유아에게 측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측방재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상기 굴곡 가능한 위치는, 상기 좌석 지지체가 접속한 위치와, 상기 측방재가 접속한 위치의 사이에 있는 유모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지지체의 상기 핸들과의 접속 위치보다도 전방이 되는 위치와, 상기 핸들의 상기 좌석 지지체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보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지지체 상에 설치된 좌석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좌석 부재는, 상기 좌석 지지체와 상기 핸들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유유아에게 측방으로부터 대면하게 되는 측방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방재가 연결 보강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유모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각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각(後脚)과,
    상기 한쌍의 후각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와,
    상기 전각 또는 상기 전각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와 상기 후방 연결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굴곡 가능한 스탠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유모차를 폴딩했을 때에 굴곡하며, 굴곡한 상기 스탠드 부재와 상기 한쌍의 후각에 홀딩된 차륜이 접지함으로써 폴딩된 유모차가 기립하는 유모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전각 또는 상기 전각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스탠드 요소와, 상기 후방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1 스탠드 요소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스탠드 요소를 갖고,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전각 또는 상기 전각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에 대한 상기 제 1 스탠드 요소의 회동 중심에서부터 상기 제 1 스탠드 요소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회동 중심에서부터 상기 전각에 홀딩된 차륜의 외주까지의 최장 거리보다도 긴 유모차.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전각 또는 상기 전각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스탠드 요소와, 상기 후방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1 스탠드 요소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스탠드 요소를 가지며,
    폴딩한 유모차의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탠드 요소는, 상기 전각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있는 유모차.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수납 바구니를 추가로 구비하는 유모차.
  13. 굴곡 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의 굴곡 가능한 위치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핸들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와,
    상기 핸들에 지지되고, 상기 핸들의 상기 좌석 지지체에 대한 상대 회동에 수반한 폴딩 동작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부재와,
    상기 핸들에 지지되고, 상기 핸들의 굴곡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부재와,
    상기 핸들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의 조작을 상기 제 1 규제 부재 및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유모차.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조작량만큼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조작한 경우에,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의 굴곡이 규제된 채로, 상기 제 1 규제 부재에 의한 폴딩 동작의 규제가 해제되며,
    상기 제 1 조작량보다도 큰 제 2 조작량만큼 상기 원격 조작 장치를 조작한 경우에, 상기 제 1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폴딩 동작의 규제가 해제되고, 또한, 상기 제 2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핸들의 굴곡의 규제가 해제되는 유모차.
  15. 핸들과,
    상기 핸들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 지지체의 상기 핸들과의 접속 위치보다도 전방이 되는 위치와, 상기 핸들의 상기 좌석 지지체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보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16. 폴딩 가능한 유모차로서,
    전각과,
    상기 전각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각과,
    상기 한쌍의 후각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 부재와,
    상기 전각 또는 상기 전각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재와 상기 후방 연결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굴곡 가능한 스탠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 부재는, 상기 유모차를 폴딩했을 때에 굴곡하며, 굴곡한 상기 스탠드 부재와 상기 한쌍의 후각에 홀딩된 차륜이 접지함으로써 폴딩된 유모차가 기립하는 유모차.
  17. 유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좌석 지지체와,
    상기 좌석 지지체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주(主)링크와,
    상기 주링크의 하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전각과,
    상기 좌석 지지체 및 상기 제 1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제 2 링크와,
    상기 주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핸들을 구비하는 유모차.
KR1020200061072A 2019-05-31 2020-05-21 유모차 KR102331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03072A JP6957045B2 (ja) 2019-05-31 2019-05-31 乳母車
JPJP-P-2019-103072 2019-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014A true KR20200138014A (ko) 2020-12-09
KR102331278B1 KR102331278B1 (ko) 2021-11-25

Family

ID=7350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072A KR102331278B1 (ko) 2019-05-31 2020-05-21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57045B2 (ko)
KR (1) KR102331278B1 (ko)
CN (1) CN112009548B (ko)
TW (1) TWI7566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062A (ko) * 2020-12-24 2023-08-24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550U (ja) * 1993-05-19 1994-11-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ベビーカーの固定構造
JPH08169348A (ja) * 1994-12-16 1996-07-02 Aprica Kassai Inc 乳母車の全開ロック機構および押棒ロック機構
JP2001114111A (ja) * 1999-10-15 2001-04-24 Satsuki:Kk 手動推進車両
JP3170839U (ja) * 2010-09-13 2011-10-06 グッドベイビー チャイルド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子供用運搬車
CN108583670A (zh) * 2018-05-07 2018-09-2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839B2 (ja) 1992-01-28 2001-05-28 株式会社東京自働機械製作所 包装機の封止装置
JP2006159930A (ja) * 2004-12-02 2006-06-22 Combi Corp ベビーカー
KR101327296B1 (ko) * 2005-09-30 2013-11-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의 핸들
GB0724513D0 (en) * 2007-12-17 2008-01-23 Mamas & Papas Holdings Ltd improvements in pushchairs
US8029014B2 (en) * 2008-10-31 2011-10-04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with synchronized seat height adjustment
JP5944141B2 (ja) * 2011-11-07 2016-07-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A2820907C (en) * 2012-07-10 2020-10-20 Toshihiro Kikui Stroller
CN202863515U (zh) * 2012-09-27 2013-04-10 康贝(上海)有限公司 婴儿车
CN104718122B (zh) * 2012-10-15 2018-05-29 康贝株式会社 婴儿车
CN103802877B (zh) * 2012-11-07 2016-01-2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可折叠婴儿车
US8882134B2 (en) * 2013-01-07 2014-11-11 Kolcraft Enterprises, Inc. Maneuverable strollers
CN103963818B (zh) * 2014-04-30 2017-01-1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IL240494B (en) * 2014-08-29 2020-04-30 Britax Child Safety Inc Pivot without freedom for a stroller
CN105128914B (zh) * 2015-08-31 2019-03-12 宁波妈咪宝婴童用品制造有限公司 轻便型婴儿推车
CN105691435B (zh) * 2016-01-26 2018-02-16 昆山捷宝儿童用品有限公司 可折叠婴儿车
CN108068869B (zh) * 2016-11-18 2020-04-14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车架
CN207984930U (zh) * 2018-03-06 2018-10-19 东莞久煜婴幼儿用品有限公司 婴儿车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550U (ja) * 1993-05-19 1994-11-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ベビーカーの固定構造
JPH08169348A (ja) * 1994-12-16 1996-07-02 Aprica Kassai Inc 乳母車の全開ロック機構および押棒ロック機構
JP2001114111A (ja) * 1999-10-15 2001-04-24 Satsuki:Kk 手動推進車両
JP3170839U (ja) * 2010-09-13 2011-10-06 グッドベイビー チャイルド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子供用運搬車
CN108583670A (zh) * 2018-05-07 2018-09-2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278B1 (ko) 2021-11-25
CN112009548B (zh) 2023-07-25
TW202045391A (zh) 2020-12-16
TWI756697B (zh) 2022-03-01
JP6957045B2 (ja) 2021-11-02
CN112009548A (zh) 2020-12-01
JP2020196322A (ja)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3595B (zh) Baby carriage
EP2527228B1 (en) Foldable stroller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JP4855035B2 (ja) ベビーカー
KR102037861B1 (ko) 유모차 및 시트 유닛
US20180162437A1 (en) Stroller with convertible child-support system
TWI680074B (zh) 嬰兒車
US10293843B2 (en) Juvenile stroller
KR20200138014A (ko) 유모차
TWI547402B (zh) Baby carriage
TWI752337B (zh) 嬰兒車
JP7382688B1 (ja) 乳母車
CN213199878U (zh) 用于童车的车架和童车
TWI753279B (zh) 嬰兒車
CN112969625B (zh) 婴儿车
TWI755566B (zh) 嬰兒車及保持構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