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062A -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 - Google Patents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062A
KR20230124062A KR1020237025264A KR20237025264A KR20230124062A KR 20230124062 A KR20230124062 A KR 20230124062A KR 1020237025264 A KR1020237025264 A KR 1020237025264A KR 20237025264 A KR20237025264 A KR 20237025264A KR 20230124062 A KR20230124062 A KR 20230124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pport unit
seat support
stroll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 야마자키
도루 미야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 지지 유닛(40)은, 유모차(10)에 사용되는 시트(70)를 지지한다. 시트 지지 유닛(40)은, 유유아(乳幼兒)의 둔부에 대면하게 되는 좌부(座部) 지지체(42)를 가진다. 좌부 지지체(42)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와,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걸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60)를 가진다.

Description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
본 개시는, 유모차용의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시트 지지 유닛과, 시트 지지 유닛 상의 쿠션 시트를 가진 유모차가 보급되고 있다. 시트 지지 유닛은, 유유아(乳幼兒)의 둔부(臀部)에 하방으로부터 대면(對面)하는 좌부(座部) 지지체와, 유유아의 등부(背部)에 후방으로부터 대면하는 등부 지지체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JP2014-73701A)에 나타낸 유모차에 있어서, 좌부 지지체 및 등부 지지체는 3방향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이 3방향 프레임은, 한 쌍의 측부 및 한 쌍의 측부의 단부(端部)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좌부 지지체의 3방향 프레임은 후방으로 개구되고, 등부 지지체의 3방향 프레임은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통상, 쿠션 시트의 시트 지지 유닛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부 지지체 및 등부 지지체는, 3방향 프레임에 걸쳐서 쳐진 베이스 시트를 가지고 있다. 이 베이스 시트는, 분리 불가능하게 3방향 프레임에 장착되고, 쳐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쿠션 시트는, 분리 가능하게 시트 지지 유닛에 유지되어 있고, 시트 지지 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세탁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시트는, 분리 불가능하게 3방향 프레임에 장착되고, 쳐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즉, 광범위하게 걸쳐서 쳐진 천제품으로서의 베이스 시트를 유모차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없다.
JP2014-73701A
본 개시는,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모차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천제품의 양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지지 유닛은,
유모차에 사용되며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유닛으로서,
유유아의 둔부에 대면하게 되는 좌부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좌부 지지체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와,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에 걸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지지된 시트 지지 유닛과,
상기 시트 지지 유닛에 지지된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지지 유닛은, 유유아의 둔부에 대면하게 되는 좌부 지지체와, 상기 좌부 지지체에 요동(搖動) 가능한 등부 지지체를 가지고,
상기 시트는, 상기 좌부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 좌부와, 상기 시트 좌부에 접속한 시트 등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등부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등부 지지체를 받아들이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천제품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유모차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모차를 일부의 구성 요소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모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모차에 사용될 수 있는 시트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시트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시트 지지 유닛을 일부의 구성 요소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유모차의 일부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유모차에 사용될 수 있는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유모차를 나타낸 부분 배면도이다.
도 11은 유모차의 일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내어진 일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에서, 도 1∼도 4에는, 유모차 또는 유모차 본체의 일구체예의 전체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4∼도 8은 시트 지지 유닛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9 및 도 10은, 주로, 시트(70)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일부 도면에 나타내어진 구성이, 다른 도면에 있어서 생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5)와, 유모차 본체(15)에 지지된 시트(70)를 가지고 있다. 유모차 본체(15)는, 시트(70)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유닛(40)과, 시트 지지 유닛(40)을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20)을 가지고 있다. 시트(70)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가 착석하거나 또는 모로 눕는 장소가 된다. 시트(70)는, 시트 지지 유닛(40)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모차(10)에서는, 위생면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로서, 유모차(10)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없는 천제품의 양이 저감되고 있다.
이하, 유모차(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된 유모차(10) 및 유모차 본체(15)는, 전체적으로, 가로 방향 중심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전개(展開) 상태에 있는 유모차 및 그 구성 요소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이란, 도 1 및 도 2에서의 지면(紙面)의 좌하와 우상을 연결하는 방향으로서, 도 3에서의 지면의 좌우의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 및 도 2에서의 지면의 좌하측 및 도 3에서의 지면의 좌측이 전방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유모차의 주행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주행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은 수직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가로 방향」이란 폭 방향이며, 「전후 방향」및 「상하 방향」중 어디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폭 방향(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또는 「내방」이란, 폭 방향에서의 유모차의 중심에 근접하는 측을 지칭하고, 폭 방향(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또는 「외방」이란, 폭 방향에서의 유모차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을 지칭한다. 나아가서는, 시트 지지 유닛 등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배면 측」이란, 유모차에 승차하는 유유아에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배면 측」이란, 통상, 후방측 또는 하측이 된다.
먼저, 유모차 본체(1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유모차 본체(15)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본체 프레임(20) 및 시트 지지 유닛(40)을 포함하고 있지만, 우선은 본체 프레임(20) 및 시트 지지 유닛(40)을 명확히 구별하지 않고, 유모차 본체(15)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모차 본체(1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전각(前脚)(21)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후각(後脚)(23)을 가지고 있다. 유모차 본체(15)는, 각각 좌우에 배치된 제1 링크(L1), 제2 링크(L2), 제3 링크(L3) 및 제4 링크(L4)를 더욱 가지고 있다. 전각(21), 후각(23) 및 제1∼제4 링크(L1∼L4)는, 유모차 본체(15)를 절첩 가능 및 전개 가능하게 구성하는 링크로서 기능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각(21)은, 그 하단 부분에 있어서, 전륜(22)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전륜(22)은, 캐스터를 구성하고, 회전 가능하며 또한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각(23)은, 그 하단 부분에 있어서, 후륜(24)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전각(21) 및 후각(23)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각(21)의 상단(上端)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1 링크(L1)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후각(23)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1 링크(L1)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제1 링크(L1)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링크(L1)는 암레스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링크(L2)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1 링크(L1)의 후단(後端)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2 링크(L2)는, 핸들(30)의 일부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핸들(30)은, 전체적으로 U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핸들(30)은, 한 쌍의 축부(軸部)(31)와, 한 쌍의 축부(31)를 연결하는 연결부(32)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축부(31)가, 제2 링크(L2)를 구성하고 있다. 연결부(32)는, 한 쌍의 축부(31)의 상단 부분을 연결하고 있다. 핸들(3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링크(L3)는,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후각(23)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제3 링크(L3)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나 수지 성형물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링크(L3)는, 그 하단 부분에 있어서, 후각(23)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링크(L4)는,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전각(21)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4 링크(L4)는, 그 전단(前端) 부분에 있어서, 전각(21)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4 링크(L4)는, 시트 지지 유닛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2 링크(L2), 제3 링크(L3) 및 제4 링크(L4)는, 동일한 축 부재(35)(도 3 참조)를 사용하며,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축 부재(35)는, 제2 링크(L2), 제3 링크(L3) 및 제4 링크(L4)를 관통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링크(L2), 제3 링크(L3) 및 제4 링크(L4)는, 축 부재(35)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21)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연결재(26)와, 한 쌍의 후각(23)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재(27)를 가지고 있다. 전방 연결재(26)는, 발판으로서 기능한다. 전방 연결재(26) 및 후방 연결재(27)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나 수지 성형물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링크(L1) 사이에 가요성을 가진 가드 부재(28)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유모차 본체(15)는, 각 구성 부재를 상대(相對) 회동시킴으로써, 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링크(L2)를 구성하는 핸들(30)을 일단 후상방(後上方)으로 당겨서 올리고, 그 후, 하방으로 밀어서 내리는 것에 의해, 제3 링크(L3)를 후각(23)에 대하여 도 3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제1 링크(L1) 및 제4 링크(L4)는 제2 링크(L2)에 대하여 도 3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핸들(30)과 전각(21)이 대략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서로 접근하고 또한, 핸들(30)의 위치가 낮아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모차 본체(15)를 접을 수 있다. 접어진 상태에서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 본체(15)를 접은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접는 조작과 반대의 수순을 밟으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유모차 본체(15)의 구성 중, 측방 프레임 요소(50)가 시트 지지 유닛(40)에 포함되고, 그 외의 구성은 본체 프레임(20)에 포함된다.
다음으로, 시트 지지 유닛(40)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지지 유닛(40)은, 좌부 지지체(42) 및 등부 지지체(44)를 가지고 있다. 좌부 지지체(42)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둔부에 대면한다. 등부 지지체(44)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등에 대면한다.
먼저, 도 4∼도 7을 참조하여, 시트 지지 유닛(40)의 좌부 지지체(42)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도 4에서는, 도 4∼도 7에 나타내어진 시트 지지 유닛(40)의 일부 또는 모두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시트 지지 유닛(40)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상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부 지지체(42)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 연결 부재(60) 및 시트형 부재(65)를 주된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의 사시도는, 시트형 부재(65)를 제거한 상태의 시트 지지 유닛(40)을 도 4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프레임 요소(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링크(L4)를 구성하고 있다.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측방 프레임 요소(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방 프레임 요소(50)는, 그 전단 부분에 있어서, 전각(21)의 중간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또한, 측방 프레임 요소(50)는, 그 후단 부분에 있어서, 제2 링크(L2)의 하단 부분 및 제3 링크(L3)의 상단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프레임 요소(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측방 프레임재(51)와, 측방 프레임재(51)의 전단 부분에 고정된 전단 부재(52)와, 측방 프레임재(51)의 후단 부분에 고정된 후단 부재(53)를 가지고 있다. 측방 프레임재(5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단 부재(52) 및 후단 부재(53)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바람직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 부재(52)에는, 측방 프레임 요소(50)와 전각(21)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축(도시하지 않음)이 통과하는 축받이 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단 부재(52)에는, 연결 부재(60)가 통과하는 관통공(52b)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 부재(53)에는, 축 부재(35)가 통과하는 축받이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연결 부재(60)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걸쳐져 있다. 연결 부재(60)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사이에 쳐지고, 시트(70) 및 유유아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연결 부재(60)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연결 부재(60)에 의하면, 유유아를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고, 유모차(10)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6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부재이다. 그리고,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전후 방향을 따른 길이(L)에 대하여, 연결 부재(60)의 전후 방향을 따른 폭(W)은 매우 짧아지고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 있어서, 연결 부재(60)는, 벨트형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고, 연결 부재(60)는, 끈과 같은 폭(W)이 매우 작은 부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연결 부재(60)로서, 천을 꿰매어서 제작된 천 벨트나 천 끈, 천연 피혁제 또는 합성 피혁제의 벨트형 부재나 끈형 부재, 수지제의 벨트형 부재나 끈형 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60)가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걸쳐져 있어도 된다. 도 5에 양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된 시트 지지 유닛(40)에서는, 3개의 연결 부재(60)가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걸쳐져 있다. 다만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 사이에, 2개의 연결 부재(60)가 걸쳐져 있어도 되고, 4개 이상의 연결 부재(60)가 걸쳐져 있어도 된다. 복수의 연결 부재(6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 연결 부재(60)의 배치에 따라 물성이나 구성을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후 방향에서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60)의 강도를, 그 외의 연결 부재(60)의 강도보다 크게 해도 된다. 전후 방향에서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60)의 폭(W)을, 그 외의 연결 부재(60)의 폭보다 굵게 해도 된다. 또한, 전후 방향에서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60)의 신장률을, 그 외의 연결 부재(60)의 신장률보다 크게 해도 된다.
그리고, 전후 방향에서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길이(L)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연결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는(차지하고 있는) 길이의 비율을, 50% 이하로 해도 되고, 또한 30% 이하로 해도 된다. 「전후 방향에서의 연결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는 길이」는, 복수의 연결 부재(60)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복수의 연결 부재(60)의 전후 방향을 따른 폭(W)의 합계가 된다. 이 비율이 작은 경우, 사용 재료의 저감에 의해 제조 비용의 면에 있어서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위생면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 연결 부재(60)는, 친 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측방 프레임 요소(50)로부터 분리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 상정(想定)된다. 분리 불가능한 연결 부재(60)의 세정이나 청소는, 번거로우며 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전후 방향에서의 연결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는 길이를 극력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복수의 연결 부재(6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걸쳐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전후 방향으로 분산하여 배치된 복수의 연결 부재(60)에 의해, 시트(70) 위의 유유아를 효율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유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연결 부재(60)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의 위생면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유유아를 시트(70)에 고정시키기 위한 좌석 벨트(11)를 가지고 있다. 좌석 벨트(11)는, 유유아의 가랑이를 통과하는 가랑이 벨트(11A)와, 유유아의 허리를 통과하여 가랑이 벨트(11A)와 탈착 가능한 허리 벨트(11B)와, 유유아의 어깨를 통과하여 가랑이 벨트(11A)와 탈착 가능한 어깨 벨트(11C)를 가지고 있다. 도 4 및 도 7에 양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된 좌부 지지체(42)에서는, 하나의 연결 부재(60)에 가랑이 벨트(11A)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랑이 벨트(11A)의 기단(基端) 부분에, 예를 들면 꿰매는 것 등에 의해 통형부가 형성되고, 연결 부재(60)가 가랑이 벨트(11A)의 통형 부분을 통과하고 있다.
좌석 벨트(11)가 효율적으로 기능하는 관점에서, 가랑이 벨트(11A)는, 바람직하게는, 시트부 중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전방이 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시트부 중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시프트한 위치에,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2 연결 부재(60B)가 설치되어 있다. 결과로서,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가랑이 벨트(11A)는, 전후 방향에서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부재(60A) 및 전후 방향에서의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3 연결 부재(60C) 이외의 연결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예에 의하면, 가랑이 벨트(11A)를 연결 부재(60)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좌석 벨트(11)를 효율적으로 기능시킬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부 지지체(42)는, 가랑이 벨트(11A)가 장착된 제2 연결 부재(60B)보다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에,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부재(60A)를 가지고 있다. 이 최전방의 제1 연결 부재(60A)에 의해, 시트(70) 위의 유유아의 다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유연성을 가진 제1 연결 부재(60A)에 의하면, 다리부를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어, 유모차(10)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부 지지체(42)는, 가랑이 벨트(11A)가 장착된 제2 연결 부재(60B)보다 전후 방향에서의 후방에, 최후방에 위치하는 제3 연결 부재(60C)를 가지고 있다. 통상의 유모차의 시트면은, 가랑이 벨트의 위치보다 후방의 위치에서, 유유아의 체중을 주로 받는다. 따라서, 이 제3 연결 부재(60C)에 의해, 유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고강도의 제3 연결 부재(60C)에 의하면, 유유아의 지지의 안정성을 더하고, 유모차(10)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60)는, 그 양단 부분에 있어서, 대응하는 측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장착되어 있다. 각 연결 부재(60)는, 그 끝 부분에 있어서, 대응하는 측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상방, 폭 방향 외측 및 하측의 순서로 연장되어, 상기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폭 방향 내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연결 부재(60)의 일단은, 측방 프레임 요소(50)(측방 프레임재(51))의 폭 방향 내측의 면에 장착되고, 다음으로, 측방 프레임 요소(50)(측방 프레임재(51))의 상하 방향 하측의 면, 측방 프레임 요소(50)(측방 프레임재(51))의 폭 방향 외측의 면, 측방 프레임 요소(50)(측방 프레임재(51))의 상하 방향 상측의 면에 순서대로 접촉하고, 그리고, 또한,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연결 부재(60)를 보다 견고하게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60)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유유아를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유모차(10)의 주행면으로부터의 충격 등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연결 부재(60)가 장착되므로, 장착 개소가 눈에 띄지 않아, 유모차(10)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어진 예에 있어서, 리벳 등의 고정구(63)를 사용하여 연결 부재(60)는, 탈착 불가능하게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연결 부재(60B) 및 제3 연결 부재(60C)는,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측방 프레임재(51)의 주위를 돌아서, 측방 프레임재(51)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제2 연결 부재(60B) 및 제3 연결 부재(60C)는, 그 끝 부분에 있어서, 대응하는측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측방 프레임재(51)의 상측, 폭 방향 외측 및 하측의 순서로 연장되어, 상기 측방 프레임재(51)의 폭 방향 내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60A)는, 전단 부재(52)에 장착되어 있다. 다만, 제1 연결 부재(60A)가 장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전단 부재(52) 내에는 측방 프레임재(51)가 존재한다. 또한, 전단 부재(52) 중의 측방 프레임재(51)의 하방이 되는 위치에, 관통공(5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60A)는, 관통공(52b)을 통과하여,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통공(52b)을 사용함으로써, 복잡 형상을 가지는 전단 부재(52) 위에, 제1 연결 부재(60A)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형 부재(sheet-like member)(65)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형 부재(65)는, 시트형 또는 판형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부재이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 부재(65)는, 연결 부재(6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70)는, 시트형 부재(65) 위에 배치되고, 시트형 부재(65)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수지제의 시트형 부재(65)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재료나 두께 등을 조정함으로써, 시트형 부재(65)에 대하여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시트형 부재(65)의 두께는, 일례로서, 0.5mm 이상 2mm 이하로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0.8mm 이상 1.5mm 이하로 할 수 있다. 시트형 부재(65)에 사용하는 수지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예시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60)에 의해 지지된 수지제의 시트형 부재(65)를 설치한 좌부 지지체(42)에 의하면, 연결 부재(60)는, 시트형 부재(65)를 통하여, 넓은 면적으로 시트(70) 위의 유유아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유유아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진 시트형 부재(65) 및 연결 부재(60)에 의해, 보다 균일한 힘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연결 부재(60)는, 시트형 부재(65)를 통하여 유유아를 지지하므로, 연결 부재(60)의 수량이나 전후 방향으로의 폭(W)을 저감하여, 연결 부재(60)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지제의 시트형 부재(65)는, 천 등과 비교하여 오염 방지성이 우수하고, 유모차(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충분히 세정 및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제의 시트형 부재(65)는, 마른걸레로 닦거나 물로 닦는 것에 의해, 오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시트형 부재(65)를 설치함으로써, 유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승차감을 개선하면서, 유모차의 위생면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 부재(65)의 전후 방향을 따른 길이는,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전후 방향을 따른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시트형 부재(65)의 폭 방향을 따른 길이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폭 방향 외측면 사이의 폭 방향을 따른 거리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도시된 시트형 부재(65)는, 상면에서 볼 때, 좌부 지지체(42)의 대략 전역(全域)에 퍼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가, 도 5에 나타내어진 상면에서 볼 때 시트형 부재(65)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위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트형 부재(65)가,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따라서, 시트형 부재(65)의 폭 방향 외측 부분이 아래로 처지도록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시트형 부재(65)를 통하여 유유아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형 부재(65)에 의한 지지 상태가 안정되므로, 연결 부재(60)의 개수나 전후 방향으로의 폭(W)을 저감하여, 연결 부재(60)의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시트형 부재(65)는, 연결 부재(60)가 통과하는 구멍(65a)을 형성하고 있다. 연결 부재(60)가 시트형 부재(65)의 구멍(65a)을 통과함으로써, 시트형 부재(65)는 연결 부재(60)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지방법에 의하면, 시트형 부재(65)가 연결 부재(60)에 대하여 어느 정도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격에 의해, 노면으로의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고, 유모차(10)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 부재(65)는, 1개의 연결 부재(60)가 통과하는 4개의 구멍(65a)을 형성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연결 부재(60)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연결 부재(60)에 대하여 4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합계 12의 구멍(65a)이 시트형 부재(65)에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 부재(60)는, 그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 부분 및 중앙 부분에 있어서 시트형 부재(65)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트형 부재(65)가, 연결 부재(60)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에 의해, 폭 방향 외측 부분에 있어서 아래로 처지는 것이나, 폭 방향 중앙 부분에 있어서 하방으로 패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연결 부재(60)는, 시트형 부재(65)를 통하여 유유아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형 부재(65)에 의한 지지 상태가 안정되므로, 연결 부재(60)의 개수나 전후 방향으로의 폭(W)을 저감하여, 연결 부재(60)의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연결 부재(60B)에는 가랑이 벨트(11A)가 장착되어 있다. 가랑이 벨트(11A)는, 폭 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시트형 부재(65)의 가랑이 벨트(11A)에 대면하는 위치에 벨트 구멍(65b)이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 벨트(11A)는, 벨트 구멍(65b)을 통과하여, 시트형 부재(65)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만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 부재(65)의 단면(端面)이, 피복재(67)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된다. 피복재(67)는, 시트형 부재(65)의 측단면(側端面), 전단면(前端面) 및 후단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덮도록 설치되어도 되고, 시트형 부재(65)의 전체 주위에 걸쳐서 단면을 덮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피복재(67)는, 예를 들어, 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피복재(67)를 설치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취급성이 우수하다.
그런데, 도 7에 양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좌부 지지체(42)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전방 프레임재(55) 및 중간 프레임재(57)를 더욱 가지고 있다. 전방 프레임재(55) 및 중간 프레임재(57)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나 수지 성형물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방 프레임재(55) 및 중간 프레임재(57)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폭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을 일정 이상으로 유지한다. 이로써, 연결 부재(60)를 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유유아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재(55) 및 중간 프레임재(57)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측방 프레임 요소(50), 연결 부재(60) 및 시트(70) 중 어느 하나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재(5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프레임재(5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측방 프레임재(51)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프레임재(5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연결 부재(60A)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프레임재(5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시트형 부재(65)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재(55)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다리부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다음으로, 등부 지지체(4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부 지지체(44)는, 좌부 지지체(4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등부 지지체(44)가 좌부 지지체(42)에 대하여 요동함으로써, 리클라이닝(reclining)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부 지지체(44)는,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등 측 프레임부(45)와, 한 쌍의 등 측 프레임부(45)를 연결하는 등 연결 프레임부(46)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등 연결 프레임부(46)는, 등 측 프레임부(45)의 좌부 지지체(42)로부터 이격되는 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등부 지지체(44)는, 3방향 프레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등 연결 프레임부(46)는, 각진 U자형으로 형성된 등 프레임재(47)와, 등 프레임재(47)의 양단 부분에 고정된 접속단부재(48)를 가지고 있다. 도 4에 양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단부재(48)에는, 축 부재(35)가 통과하는 축받이 구멍(48a)이 형성되어 있다. 축 부재(35)가, 접속단부재(48)의 축받이 구멍(48a)과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후단 부재(53)의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 구멍을 통과함으로써, 등부 지지체(44)는 좌부 지지체(42)와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등 프레임재(47)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속단부재(48)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지지 유닛(40)은, 시트형 부재(65) 및 중간 프레임재(57)를 연결하는 접속 수단(68)을 더욱 가지고 있다. 접속 수단(68)을 설치함으로써, 좌부 지지체(42)에서의 시트형 부재(65)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접속 수단(68)은, 시트형의 부재, 벨트형의 부재, 끈형의 부재라도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접속 수단(68)은, 천형(布形)의 부재로서 구성되며, 양쪽 둘레부를 시트형 부재(65)의 후방 둘레부에 꿰매어서 부착하고 있다. 중간 프레임재(57)는, 양쪽 둘레부를 시트형 부재(65)에 꿰매어서 부착하는 접속 수단(68) 내를 통과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8∼도 10을 주로 참조하면서, 시트(seat)(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시트(70)를 시트 지지 유닛(40)과 함께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9는 시트(7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유모차(10)에 장착된 시트(70)를 후방으로부터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도 7에서는, 도 8∼도 10에 나타내어진 시트(7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도 9에 양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70)는, 시트 좌부(71) 및 시트 등부(72)를 가지고 있다. 시트 좌부(71)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좌부 지지체(42)에 의해 지지된다. 시트 좌부(71)에는, 가랑이 벨트(11A)를 통과시키기 위한 벨트 통과 구멍(71a)(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 등부(72)는, 시트 좌부(71)에 후방으로부터 접속하고 있다. 시트 등부(72)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부 지지체(44)에 의해 지지된다. 시트(70)는, 유유아가 착석 또는 모로 눕는 부분이 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70)는, 시트 좌부(71) 앞둘레 부분에 설치된 제1 장착 수단(75a)과, 시트 좌부(71)의 양측 둘레 부분에 설치된 제2 장착 수단(75b)을 가지고 있다. 제1 장착 수단(75a) 및 제2 장착 수단(75b)에 의해, 시트 좌부(71)는 좌부 지지체(4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장착 수단(75a)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장착 수단(75a)은, 시트 좌부(71) 앞둘레 부분과 전방 프레임재(55)를 연결한다. 시트 좌부(71)의 좌부 지지체(42)보다 전방을 연장되는 부분은, 좌부 지지체(42) 전단에서 리턴하고 있다. 즉, 시트 좌부(71)는, 좌부 지지체(42)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좌부 지지체(42)를 전방으로부터 덮도록 되어 있다.
제1 장착 수단(75a)은, 예를 들면, 1개 또는 2개의 벨트형의 부재나 끈형의 부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시트 좌부(71)에 고정된 1개의 벨트형 또는 끈형의 부재를, 전방 프레임재(55)에서의 리턴 전후가 되는 2개의 부분에서, 결합시키는 것이나, 매직테이프나 버튼 등의 연결구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시트 좌부(71)의 전단 부분을 좌부 지지체(42)에 장착할 수 있다. 또는, 시트 좌부(71)에 고정된 2개의 벨트형 또는 끈형의 부재를, 전방 프레임재(55)를 사이에 배치시키도록 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나, 매직테이프나 버튼 등의 연결구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시트 좌부(71)의 전단 부분을 좌부 지지체(42)에 장착할 수 있다.
도 9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장착 수단(75b)은, 시트 좌부(71)의 측방 둘레 부분을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연결한다. 제2 장착 수단(75b)이 구체적인 구성은, 제1 장착 수단(75a)과 동일하게 해도 된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등부(72)는, 시트 등부 본체(72A)와, 시트 등부 본체(72A)를 배면 측으로부터 덮는 커버천형재(72B)를 가지고 있다. 시트 등부 본체(72A)는, 유유아의 등이나 두부에 접촉하게 된다. 커버천형재(72B)는, 시트 등부 본체(72A)와의 사이에 등부 지지체(44)를 수용하는 수용부(RP)를 형성한다. 커버천형재(72B)는, 양측방 둘레 부분 및 상부 둘레 부분에 있어서, 시트 등부 본체(72A)에 꿰매어져 부착되어 있다. 결과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RP)는, 좌부 지지체(42) 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즉, 수용부(RP)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시트 좌부(71) 및 시트 등부(72)의 시트 등부 본체(72A)는, 유유아에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시트 좌부(71) 및 시트 등부 본체(72A)는, 쿠션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시트 좌부(71) 및 시트 등부 본체(72A)는, 겉감, 겉감과 주위 둘레부에 있어서 꿰매어져 부착된 안감, 겉감 및 안감 사이에 수용된 면, 스폰지, 수지 등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커버천형재(72B)에는, 쿠션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커버천형재(72B)는, 천이나 메쉬지를 사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어진 커버천형재(72B)에는, 개구에 근접하는 하방 영역에 메쉬천이 사용되고, 개구로부터 이격하는 상방 영역에 결이 고운 천이 사용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어진 커버천형재(72B)에 의하면, 하방 개구를 통하여 시트 등부(72)의 수용부(RP)내에 등부 지지체(44)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등부 지지체(44)를 수용부(RP)의 안쪽 깊숙히 삽입함으로써, 시트 등부(72)를 등부 지지체(44)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70)는, 한 쌍의 시트 측부(73)를 더욱 가지고 있다. 시트 측부(73)는, 시트 좌부(71) 및 시트 등부(72)에 양측방으로부터 접속하고 있다. 시트 측부(73)는, 시트 좌부(71) 및 시트 등부(72)와 마찬가지로 쿠션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시트 측부(73)는, 천 등에 의해 구성되며, 쿠션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10에 있어서 시트 측부(7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측부(73)는, 유모차 본체(15)의 본체 프레임(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시트(70)를 본체 프레임(20) 및 시트 지지 유닛(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트 측부(73)는, 시트 등부(72)로부터 이격되는 측의 측방 둘레 부분에, 제3 장착 수단(75c) 및 제4 장착 수단(75d)을 가지고 있다. 제3 장착 수단(75c)은, 예를 들면, 전술한 제1 장착 수단(75a)이나 제2 장착 수단(75b)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본체 프레임(20)에 장착된다. 제4 장착 수단(75d)은, 제3 장착 수단(75c)과 상이한 구성을 가지고, 본체 프레임(20)에 장착된다. 제4 장착 수단(75d)은, 예를 들면 본체 프레임(20)에 장착된 고정구와 고정 가능한 버튼 등의 고정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시트 측부(73)가, 종류가 상이한 장착 수단(75c, 75d)을 가지는 것에 의해, 시트(70)를 보다 안정적으로 본체 프레임(20)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 있어서, 시트 측부(73)는, 본체 프레임(20)의 제2 링크(L2)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도 10 및 도 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10)(유모차 본체(15))는, 또한 리클라이닝 부재(37)를 가지고 있다. 리클라이닝 부재(37)는, 본체 프레임(20)에 접속하고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부 지지체(44)를 배면 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리클라이닝 부재(37)는, 본체 프레임(20)에 접속하고 또한 등부 지지체(44)의 배면 측에 위치함으로써, 등부 지지체(44)를 배면 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도 10에 양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부재(37)는, 본체 프레임(20) 중의 시트 지지 유닛(40)(등부 지지체(44))의 양측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부분의 사이에서의 리클라이닝 부재(37)의 길이는, 가변(可變)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부재(37)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좌부 지지체(42)에 대한 등부 지지체(44)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등부 지지체(44)를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리클라이닝 부재(37)는, 그 양단에 있어서, 제2 링크(L2)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리클라이닝 부재(37)는, 끈형 또는 벨트형의 가늘고 긴 제1 리클라이닝 부재(37A) 및 제2 리클라이닝 부재(37B)와, 조정구(37C)를 가지고 있다. 제1 리클라이닝 부재(37A)는, 그 일단에 있어서, 한쪽의 제2 링크(L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리클라이닝 부재(37A)는 한쪽의 제2 링크(L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2 리클라이닝 부재(37B)는, 그 일단에 있어서, 다른 쪽의 제2 링크(L2)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리클라이닝 부재(37B)는 다른 쪽의 제2 링크(L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조정구(37C)는, 클립과 같이, 제1 리클라이닝 부재(37A) 및 제2 리클라이닝 부재(37B)가 임의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조정구(37C)는, 제1 리클라이닝 부재(37A)의 타단에 고정되고, 또한 제2 리클라이닝 부재(37B)가 임의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제1 리클라이닝 부재(37A)의 일단으로부터 조정구(37C)까지의 길이와, 제2 리클라이닝 부재(37B)의 일단으로부터 조정구(37C)까지의 길이의 합계 길이에 의해, 등부 지지체(44)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결정된다. 이 합계 길이가 길어지면, 도 3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등부 지지체(44)가 넘어진(누운)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 3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링크(L2) 사이에서의 리클라이닝 부재(37)의 길이가 최장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도 3의 2점쇄선의 위치가, 등부 지지체(44)의 가장 넘어진 위치로 된다.
그리고, 2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위치로부터 등부 지지체(44)를 밀어 올리는 것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시된 예에서는, 한 쌍의 제2 링크(L2) 사이에서의 리클라이닝 부재(37)의 최장 길이는, 손으로 눌리는 등에 의해 일으켜진 등부 지지체(44)를 리클라이닝 부재(37)가 넘을 수 없는 길이로 되어 있다. 이로써, 의도하지 않게, 리클라이닝 부재(37)가 등부 지지체(44)의 전방으로 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등부 지지체(44)가, 리클라이닝 부재(37)에 의해 배면 측으로부터 지지되지 않고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극히 단순한 구성의 등부 지지체(44)를, 리클라이닝을 가능하게 하면서, 리클라이닝 부재(37)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부 지지체(44)는, 제1 리클라이닝 부재(37A) 및 제2 리클라이닝 부재(37B)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수단(76)을 가지고 있다. 유도 수단(76)은, 커버천형재(72B)와의 사이에, 리클라이닝 부재(37)의 통과 경로를 형성한다. 도시된 유도 수단(76)은, 그 일단을 커버천형재(72B)에 꿰매어서 부착하고, 그 타단을 커버천형재(72B)에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시트 등부(72)를 등부 지지체(44)로부터 착탈할 때, 유도 수단(76)의 타단을 커버천형재(72B)로부터 착탈하여, 리클라이닝 부재(37)를 시트 등부(72)에 장착 및 분리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의 사용 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모차(10)의 시트(70) 위에 유유아를 착석시켜 또는 모로 눕게 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3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킨다. 시트(70)의 시트 좌부(71)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좌부 지지체(42)에 의해 지지되고, 시트(70)의 시트 등부(72)는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부 지지체(4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제1∼제4 장착 수단(75a∼75d)을 사용함으로써, 시트 지지 유닛(40) 및 본체 프레임(20)에 의해 시트(7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시트(70) 위의 유유아에 과도한 요동이나 진동을 느끼게 하지 않고, 유유아에 우수한 승차감을 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유모차에서는, 시트의 시트 좌부를 지지하는 좌부 지지체로서, 예를 들면, 금속제 파이프를 구부려서 제작된 3방향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모차에 있어서, 3방향 프레임에 의해 구성된 좌부 지지체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성(剛性)을 가진 프레임재에 의해, 시트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아무리 시트가 쿠션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유유아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재가 다리부에 닿고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프레임재가 유유아의 넓적다리 등의 다리부에 닿는 것은, 유모차의 승차감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10)의 시트 지지 유닛(40)에 있어서, 시트(7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연결 부재(60)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연결 부재(60)는, 예를 들면, 천, 피혁,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측방 프레임 요소(50)보다 유연성을 가지고 측방 프레임 요소(50)보다 변형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유모차와 동일한 위치에, 즉 측방 프레임 요소(50)와 동일한 높이에 전방 프레임재(55)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고강성의 프레임재가 유유아의 다리부에 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 부재(52) 중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측방 프레임재(51)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1 연결 부재(60A)가 장착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전단 부재(52) 중의 제1 연결 부재(60A)가 장착되어 있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위치하는 영역에는, 측방 프레임재(51)도 위치하고 있다. 더욱 바꾸어 말하면, 전단 부재(52) 중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측방 프레임재(51)를 덮고 있는 부분에, 제1 연결 부재(60A)가 장착되어 있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60A)가 전방에 배치되고, 이 제1 연결 부재(60A)를 사용하여 유유아의 다리부를 부드럽게 안정적으로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리벳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이 제1 연결 부재(60A)를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고정시킬 때, 측방 프레임재(51)의 전단 부분에 전단 부재(52)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좌부 지지체(42)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를 연결하는 전방 프레임재(55)를 가지고 있다. 다만, 이 전방 프레임재(5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최전방의 제1 연결 부재(60A)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고강성의 전방 프레임재(55)를 설치함으로써,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폭 방향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연결 부재(60)를 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시트(70)를 통하여 유유아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프레임재(55)가 최전방의 제1 연결 부재(60A)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방 프레임재(55)가 유유아의 다리부에 닿는 것을 회피하여, 유모차(10)의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전방 프레임재(55)는, 측방 프레임 요소(50)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전방 프레임재(55)는, 시트형 부재(65)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시트형 부재(65)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장착된 연결 부재(60)나 연결 부재(60)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형 부재(65)보다 하방이면서 후방에, 전방 프레임재(55)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프레임재(55)가 유유아의 다리부에 닿는 것을 회피하여, 유모차의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유모차(10)의 사용에 따라, 시트(70)가 더럽혀지는 경우도 상정된다. 이 경우에, 시트(70)를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분리하고, 시트(70)를 세정,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1∼제4 장착 수단(75a∼75d)을 해제함으로써, 시트 지지 유닛(40) 및 본체 프레임(20)에 의한 시트(70)의 유지를 해제한다. 다음으로, 시트 지지 유닛(40)의 등부 지지체(44)를, 시트 등부(72)의 수용부(RP)로부터 뽑아 낸다. 이상과 같이 하여, 극히 간단하게 유모차 본체(15)로부터 시트(70)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유모차에서는, 배경기술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넓은 범위에 쳐진 천제품으로서의 베이스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없었다. 이 베이스 시트는, 좌부 지지체를 이루는 3방향 프레임 및 등부 지지체를 이루는 3방향 프레임에, 넓게 쳐져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걸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연결 부재(60)에 의해, 시트(7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연결 부재(60)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 사이의 전역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시트(70) 위의 유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종래의 유모차에서는, 전후 방향에서의 3방향 프레임의 대략 전역에 베이스 시트가 퍼지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후 방향에서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의 길이(L)(도 5 참조)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연결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는(차지하고 있는) 길이의 비율을, 50% 이하로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30% 이하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모차(10)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없는 천제품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위생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60)를 천제품 이외의 부재, 예를 들면, 천제품보다 오염 방지성이 우수한 수지나 피혁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유모차(10)의 위생면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연결 부재(60)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걸쳐져 있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연결 부재(60)에 의해, 시트(70) 위의 유유아를 효율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유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연결 부재(60)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위생면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도시된 예에 있어서, 좌부 지지체(42)는, 복수의 연결 부재(60) 중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 연결 부재(60A) 이외의 연결 부재(60)에 장착된 가랑이 벨트(11A)를 더욱 가지고 있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가랑이 벨트(11A)의 위치보다 앞에, 최전방의 제1 연결 부재(60A)가 배치되어 있다. 이 최전방의 제1 연결 부재(60A)에 의해, 시트(70) 위의 유유아의 다리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유연성을 가진 제1 연결 부재(60A)에 의하면, 다리부를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재(55)가 다리부에 닿는 것을 안정적으로 회피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들에 의해, 유모차(10)의 승차감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벨트(11A)를 연결 부재(60)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트 등부(72)가 등부 지지체(44)를 받아들이는 수용부(RP)를 포함하고 있고, 수용부(RP)가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RP)의 크기를 등부 지지체(44)의 크기에 대하여 지나치게 커지지 않도록 해 둠으로써, 등부 지지체(44)에 의해 시트 등부(72)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등부 지지체(44)가, 종래의 베이스 시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구조, 즉 단순한 3방향 프레임과 같은 프레임 구조라도, 시트 등부(72)는 등부 지지체(44) 위에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가 시트 등부(72)에 기대더라도, 시트 등부(72)가, 그 중앙부에 있어서, 크게 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등부 지지체(44)를 단순한 3방향 프레임과 같은 프레임 구조로 하더라도, 시트(70) 위의 유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유모차(10)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없는 천제품의 양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유모차의 위생면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유모차(10)에 있어서, 시트(70)는, 연결 부재(60)에 의해 유지된 시트형 부재(65) 위에 탑재된다. 이 시트형 부재(65)는, 수지제이며, 천제품과 비교하여 우수한 오염 방지성을 가지고,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한 채의 상태에서의 닦기 등에 의해, 충분히 세정, 청소할 수 있다.
세정, 청소된 시트(70)는, 다시, 본체 프레임(20)에 장착된다. 먼저, 수용부(RP)의 하방에 개방된 개구에 등부 지지체(44)를 그 상부 둘레로부터 삽입하고, 등부 지지체(44)를 수용부(RP) 내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제1∼제4 장착 수단(75a∼75d)을 사용하여, 시트 좌부(71)을 좌부 지지체(42)에 장착하고, 시트 측부(73)를 본체 프레임(20)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시트(70)를 유모차 본체(15)에 극히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에 사용되고 시트(70)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유닛(40)은, 유유아의 둔부에 대면하게 되는 좌부 지지체(42)를 가지고 있다. 좌부 지지체(42)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와,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걸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60)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걸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60)에 의해, 시트(7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연결 부재(60)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 사이의 전역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시트(70) 위의 유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유모차(10)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없는 천제품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위생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유모차에서는, 좌부 지지체를 구성하는 3방향 프레임은, 금속제의 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 종래의 유모차에서는, 금속제 파이프가 유유아의 넓적다리 등의 다리부에 닿으므로, 유모차의 승차감을 악화시키고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7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연결 부재(60)가,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50)에 의해 지지되고, 이 연결 부재(60)에 의해 유유아의 다리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프레임재(55)를 연결 부재(6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전방 프레임재(55)가 유유아의 다리부에 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모차의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본체 프레임(20)과, 본체 프레임(20)에 지지된 시트 지지 유닛(40)과, 시트 지지 유닛(40)에 지지된 시트(70)를 가지고 있다. 시트 지지 유닛(40)은, 유유아의 둔부에 대면하게 되는 좌부 지지체(42)와, 좌부 지지체(42)에 요동 가능한 등부 지지체(44)를 가지고 있다. 시트(70)는, 좌부 지지체(42)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 좌부(71)와, 시트 좌부(71)에 접속한 시트 등부(72)를 가지고 있다. 시트 등부(72)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등부 지지체(44)를 받아들이는 수용부(RP)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등부 지지체(44)가, 종래의 베이스 시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구조, 즉 3방향 프레임과 같은 프레임 구조라도, 시트 등부(72)는 등부 지지체(44) 위에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시트(70) 위의 유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유모차(10)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할 수 없는 천제품의 양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유모차(10)의 위생면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일실시형태를 설명했으나, 전술한 구체예가 일실시형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고 있다. 전술한 일실시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구체예에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하여, 변경, 추가 등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전술한 구체예에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또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구체예에 있어서, 시트 지지 유닛(40)이, 연결 부재(60)에 의해 지지된 수지제의 시트형 부재(65)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연결 부재(60)의 수량, 위치, 폭(W)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시트(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지지 유닛(40)으로부터 시트형 부재(65)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구체예에 있어서, 제2 링크(L2)가 핸들(30)의 일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0)은, 제2 링크(L2)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핸들(30)을 더욱 가지도록 해도 된다. 배면 가압 위치에 핸들(30)을 배치한 경우, 조작자(보호자)는 유유아의 배면 측으로부터 핸들(3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한다. 이 때, 유유아는, 유모차(10)의 주행중,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여 경치를 즐길 수 있다.
10: 유모차, 11: 좌석 벨트, 11A: 가랑이 벨트, 15: 유모차 본체, 20: 본체 프레임, 30: 핸들, 37: 리클라이닝 부재, 40: 시트 지지 유닛, 42: 좌부 지지체, 44: 등부 지지체, 50: 측방 프레임 요소, 51: 측방 프레임재, 52: 전단 부재, 55: 전방 프레임재, 60: 연결 부재, 60A: 제1 연결 부재, 60B: 제2 연결 부재, 60C: 제3 연결 부재, 65: 시트형 부재, 65a: 구멍, 70: 시트, 71: 시트 좌부, 72: 시트 등부, 73: 시트 측부, RP: 수용부, L1: 제1 링크, L2: 제2 링크, L3: 제3 링크

Claims (16)

  1. 유모차에 사용되고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유닛으로서,
    유유아(乳幼兒)의 둔부(臀部)에 대면하게 되는 좌부(座部)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좌부 지지체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와,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에 걸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를 가지는, 시트 지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에 걸쳐져 있는, 시트 지지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 지지체는,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 중 최전방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 이외의 연결 부재에 장착된 가랑이 벨트를 더 가지는, 시트 지지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연결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에 걸쳐지고,
    상기 좌부 지지체는, 최전방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 및 최후방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 이외의 연결 부재에 장착된 가랑이 벨트를 더 가지는, 시트 지지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 지지체는,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지지된 수지제의 시트형 부재를 더 가지는, 시트 지지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부재는, 1개의 연결 부재가 통과하는 4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부재는, 그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 부분 및 중앙 부분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시트 지지 유닛.
  7.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는,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시트형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시트형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시트 지지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그 끝 부분에 있어서, 상기 측방 프레임 요소의 상측, 폭 방향 외측 및 하측의 순서로 연장되어, 상기 측방 프레임 요소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한 면에 장착되어 있는, 시트 지지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방 프레임 요소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 프레임재와, 상기 측방 프레임재의 전단(前端) 부분에 고정된 전단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전단 부재 중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측방 프레임재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연결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시트 지지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 지지체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를 연결하는 전방 프레임재를 더 가지고,
    복수의 연결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에 걸쳐지고,
    상기 전방 프레임재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최전방의 연결 부재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시트 지지 유닛.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 지지체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요소를 연결하는 전방 프레임재를 더 가지고,
    상기 전방 프레임재는, 상기 측방 프레임 요소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측방 프레임 요소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시트 지지 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 지지 유닛;
    상기 시트 지지 유닛을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시트 지지 유닛에 지지된 시트를 구비하는 유모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 유닛은, 상기 좌부 지지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등부 지지체를 가지고,
    상기 시트는, 상기 좌부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 좌부와, 상기 시트 좌부에 접속한 시트 등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등부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등부 지지체를 받아들이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유모차.
  14.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지지된 시트 지지 유닛; 및
    상기 시트 지지 유닛에 지지된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지지 유닛은, 유유아의 둔부에 대면하게 되는 좌부 지지체와, 상기 좌부 지지체에 요동 가능한 등부 지지체를 가지고,
    상기 시트는, 상기 좌부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 좌부와, 상기 시트 좌부에 접속한 시트 등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등부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등부 지지체를 받아들이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유모차.
  15. 제13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 등부의 양측방에 접속한 한 쌍의 시트 측부를 더 가지고,
    각각의 시트 측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유모차.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 중 상기 시트 지지 유닛의 양측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등부 지지체를 배면(背面)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부분 사이에서의 상기 리클라이닝 부재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등부 지지체를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부분 사이에서의 상기 리클라이닝 부재의 최장 길이는, 상기 리클라이닝 부재가 상기 등부 지지체를 넘어서 상기 등부 지지체의 전방으로 나갈 수 없는 길이로 되어 있는, 유모차.
KR1020237025264A 2020-12-24 2020-12-24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 KR20230124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48606 WO2022137474A1 (ja) 2020-12-24 2020-12-24 シート支持ユニット及び乳母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062A true KR20230124062A (ko) 2023-08-24

Family

ID=7923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264A KR20230124062A (ko) 2020-12-24 2020-12-24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87422B1 (ko)
KR (1) KR20230124062A (ko)
CN (1) CN116635290A (ko)
TW (1) TWI795915B (ko)
WO (1) WO202213747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701A (ja) 2012-10-02 2014-04-24 Aprica Children's Products Kk 乳母車の車体フレーム、乳母車の車体フレーム用パイプ、およびパイプ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267U (ja) * 1984-07-16 1986-02-13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延長部材
JP3311160B2 (ja) * 1994-08-19 2002-08-0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JP3986826B2 (ja) * 2002-01-15 2007-10-03 コンビ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機構付ベビーカー
JP2006096090A (ja) * 2004-09-28 2006-04-13 Aprica Kassai Inc 乳母車およびシートベルトの使用方法
JP4757594B2 (ja) * 2005-09-30 2011-08-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DE202005019191U1 (de) * 2005-12-08 2006-02-16 Beger, Udo Umwandelbarer Sitz-Liegeeinsatz für Kinder- oder Puppenwagen
CN201816623U (zh) * 2010-10-08 2011-05-04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靠背调整限位机构及婴儿车
JP6552781B2 (ja) * 2013-04-04 2019-07-31 コンビ株式会社 シート支持ユニット、乳母車、シート支持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乳母車の製造方法
FR3017359B1 (fr) * 2014-02-13 2017-06-09 Dorel France Sa Hamac pour poussette pliable et poussette correspondante
JP6494979B2 (ja) * 2014-11-04 2019-04-03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6444796B2 (ja) * 2015-03-31 2018-12-26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用のシート、乳母車及びシート規制具
JP6957045B2 (ja) * 2019-05-31 2021-11-02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CN110329337A (zh) * 2019-08-13 2019-10-15 佘娟 一种基于重力平衡的防摔婴儿推车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701A (ja) 2012-10-02 2014-04-24 Aprica Children's Products Kk 乳母車の車体フレーム、乳母車の車体フレーム用パイプ、およびパイプ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35290A (zh) 2023-08-22
TWI795915B (zh) 2023-03-11
TW202225003A (zh) 2022-07-01
WO2022137474A1 (ja) 2022-06-30
JP6987422B1 (ja) 2022-01-05
JPWO2022137474A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136B1 (ko) 유모차
CN103963820B (zh) 婴儿车用座椅和婴儿车
CN109552394B (zh) 婴儿车
JP5019501B2 (ja) ベビーカー
JP2004114982A (ja) 乳母車
JP3981023B2 (ja) 乳母車の座席ハンモック
JP3981027B2 (ja) 育児器具の座席ハンモック
JP2017144856A (ja) ベビーカー
KR20230124062A (ko) 시트 지지 유닛 및 유모차
JP5693916B2 (ja) ベビーカー
KR101397493B1 (ko) 유모차 및 유모차의 가이드 암
JPH10291480A (ja) ベビーカーのアタッチメント
JP6630859B2 (ja) ベビーカーおよびフロントガード部材
JP7094573B2 (ja) 乳幼児サポート及び育児器具
JP6957023B2 (ja) 幌及び幌を備えた育児器具
JP6002052B2 (ja) ベビーカー用シート
JP4159868B2 (ja)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CN219927773U (zh) 一种儿童推车
CN113212532B (zh) 婴儿车
JP6109639B2 (ja) 乳母車
JP2021123170A (ja) 子供用育児器具の幌
JP6758905B2 (ja) 乳母車
JP4722428B2 (ja) 育児器具
JP2021194263A (ja) 座席付き育児器具、座席付き育児器具用の前ガ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2348481A (zh) 嬰兒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