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165A -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165A
KR20200115165A KR1020200031968A KR20200031968A KR20200115165A KR 20200115165 A KR20200115165 A KR 20200115165A KR 1020200031968 A KR1020200031968 A KR 1020200031968A KR 20200031968 A KR20200031968 A KR 20200031968A KR 20200115165 A KR20200115165 A KR 2020011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polymer
hydroxypropionate
poly
polylactid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511B1 (ko
Inventor
최정윤
허성운
김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2080003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689653B/zh
Priority to PCT/KR2020/003638 priority patent/WO2020197147A1/ko
Priority to US17/269,963 priority patent/US11840604B2/en
Priority to JP2020571536A priority patent/JP7171120B2/ja
Priority to EP20779074.2A priority patent/EP3795606B1/en
Publication of KR2020011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23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for the preparation of polylactones or polylact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의 존재 하에, 락타이드 단량체를 개환 중합하여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PROCESS FOR PREPARATION OF BLOCK COPOLYMER}
본 발명은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락타이드(혹은 폴리락트산) 수지는 옥수수 등의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식물 유래의 수지로서, 생분해성 특성을 갖는 동시에 인장강도 및 탄성률 또한 우수한 친환경 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석유계 수지와는 달리, 석유 자원 고갈 방지, 탄산가스 배출 억제 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석유계 플라스틱 제품의 단점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폐 플라스틱 등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식품 포장재 및 용기, 전자제품 케이스 등 일반 플라스틱(석유계 수지)이 사용되었던 제품 분야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락타이드 수지는 기존의 석유계 수지와 비교하여,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떨어져 적용 범위에 제한이 있다. 또한, 신율 특성이 나빠 쉽게 깨지는 특성(Brittleness)을 보여 범용 수지로서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기존 기술에서는 생분해가 가능하면서 신율 특성이 비교적 우수한 PBS(poly(butylene succinate)) 및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등의 소재를 폴리락타이드 함께 컴파운딩이나 블록 공중합체 형성을 통하여 물성을 개선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PBS 및 PBAT의 경우 인장강도가 낮아 상기 컴파운딩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인장강도도 함께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폴리락트산을 생분해 가능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와 공중합체를 형성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결정성이 유지되지 않아 오히려 인장강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성 및 생분해성을 유지하면서도, 인장모듈러스, 인장 강도, 신율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의 존재 하에, 락타이드 단량체를 개환 중합하여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락타이드 단량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통상 락타이드는 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L-락타이드, D-락트산으로 이루어진 D-락타이드, L-형태와 D-형태가 각각 하나씩으로 이루어진 meso-락타이드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L-락타이드와 D-락타이드가 50:50 중량비로 섞여있는 것을 D,L- 락타이드 혹은 rac-락타이드라고 한다. 이들 락타이드 중 광학적 순도가 높은 L- 락타이드 혹은 D-락타이드만을 이용해 중합을 진행하면 입체 규칙성이 매우 높은 L- 혹은 D-폴리락타이드(PLLA 혹은 PDLA)가 얻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폴리락타이드는 광학적 순도가 낮은 폴리락타이드 대비 결정화 속도가 빠르고 결정화도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락타이드 단량체”라 함은 각 형태에 따른 락타이드의 특성 차이 및 이로부터 형성된 폴리락타이드의 특성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형태의 락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 전체에서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락타이드 반복단위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지칭하며, 이러한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상술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의 존재 하에 “락타이드 단량체”의 개환 중합에 의해 상기 폴리락타이드 반복단위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반복단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환 중합 및 상기 반복단위의 형성 공정이 완료된 후의 중합체를 상기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로 지칭할 수 있다. 이때, “락타이드 단량체”의 범주에는 모든 형태의 락타이드가 포함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로 지칭될 수 있는 중합체의 범주에는, 상기 개환 중합 및 반복단위의 형성 공정이 완료된 후의 모든 상태의 중합체, 예를 들어, 상기 개환 중합이 완료된 후의 미정제 또는 정제된 상태의 중합체, 제품 성형 전의 액상 또는 고상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중합체, 또는 제품 성형이 완료된 플라스틱 또는 직물 등에 포함된 중합체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물성(중량평균분자량 등)은 상기 개환 중합 및 반복단위의 형성 공정이 완료된 후의 임의의 상태를 띄는 중합체의 물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의 존재 하에, 락타이드 단량체를 개환 중합하는 단계를 거쳐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폴리락타이드 반복단위 및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친환경성 및 생분해성을 유지하면서도, 인장모듈러스, 인장 강도, 신율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점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의 존재 하에, 락타이드 단량체를 개환 중합하여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락타이드 단량체의 개환 중합에 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중합 반응은 말단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에 의해 개시되며, 상기 말단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에 락타이드 단량체가 연속적으로 개화 및 첨가(insertion)되어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는 말단에 하이드록시기 및/또는 알콕시기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의 말단인 하이드록시기 및/또는 알콕시기를 락타이드 단량체의 개환 중합 반응에 첨가하게 되면, 말단에서부터 락타이드 단량체가 첨가(insertion)되기 시작하여 결과적으로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 존재 하에, 락타이드 단량체의 개환 중합 반응을 진행하면,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은 중합 개시제로서의 역할도 함과 동시에, 블록 공중합체 내에 반복단위로서 포함되어, 최종 제조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유연성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는 최종 제조되는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됨으로 인해, 블록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추어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의 투여 함량은 최종 제조되는 블록 공중합체 내에 포함되는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반복단위 함량 및 최소 중합이 개시되는 데에 필요한 개시제의 하이드록시기 및/또는 알콕시기의 몰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종 제조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유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최적화하고, 개환 중합 반응의 개시제로서의 역할을 위한 최소 함량을 고려하여, 상기 락타이드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를 0.01중량부 이상, 0.1중량부 내지 100중량부, 0.5 내지 90중량부, 0.7 내지 80중량부, 또는 0.9 내지 70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는 중합 활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블록 공중합체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50,000, 2,000 내지 40,000, 또는 2,200 내지 30,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 미만이면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함량이 적어질 수 있고, 50,000 초과하면 중합 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환 중합 단계 이전,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를 축합 중합하여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 및 락타이드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건조시키고, 이후 건조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 및 락타이드 단량체를 개환 중합하여 상술한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개환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는, 락타이드 단량체의 개환 중합 반응에 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환 중합은 유기금속 복합체 촉매 및 유기 촉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촉매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금속 복합체 촉매는 일반적으로 락타이드 단량체의 개환 중합 반응에 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상기 유기금속 복합체 촉매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일 수 있다.
[화학식 1]
MA1 pA2 2 -p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Al, Mg, Zn, Ca, Sn, Fe, Y, Sm, Lu, Ti또는 Zr이고,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A1 과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콕시 또는 카르복실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MA1 pA2 2 -p는 주석(II) 2-에틸헥사노에이트 (Sn(Oct)2)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 촉매는 일반적으로 락타이드 단량체의 개환 중합 반응에 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촉매는 하기 1,5,7-트리아조비시클로-[4,4,0]데-5-센 (TBD), 하기 1,8-디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7-센 (DBU), 하기 7-메틸-1,5,7-트리아자바이사이클로[4.4.0]데-5-센 (MTBD), 하기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하기 4-(1-피롤리디닐)피리딘 (PPY), 이미다졸, 트리아졸리움, 티오우레아, 3차 아민 및 크레아시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이미다졸은 하기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트라이졸리움은 하기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티오우레아는 하기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3차 아민은 하기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Figure pat00005
상술한 촉매 존재 하에 락타이드 개환 중합 반응을 진행하는 경우, 최종 제조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해중합 또는 분해가 억제될 수 있고, 보다 큰 분자량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보다 높은 전환율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에서, 상기 촉매의 함량은 상기 락타이드 단량체 100몰%에 대해서 0.01 내지 10몰%, 0.05 내지 8몰%, 0.07 내지 5몰%, 또는 0.09 내지 3몰%일 수 있다. 상기 락타이드 단량체 100몰%에 대한 상기 촉매의 함량의 함량이 0.01몰% 미만이면 중합 활성이 충분치 못할 수 있으며, 10몰% 초과하면 제조된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잔류 촉매량이 커져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 등의 해중합에 의한 공중합체의 분해 또는 분자량 감소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개환 중합은 150 내지 200℃에서 5분 내지 10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환 중합 반응은 실질적으로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벌크 중합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실질적으로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다 함은 촉매를 용해시키기 위한 소량의 용매, 예를 들어, 사용 락타이드 단량체 1Kg 당 최대 1 ml 미만의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까지 포괄할 수 있다. 상기 개환 중합을 벌크 중합으로 진행함에 따라, 중합 후 용매 제거 등을 위한 공정의 생략이 가능해지며, 이러한 용매 제거 공정에서의 수지의 분해 또는 손실 등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크 중합에 의해 상기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높은 전환율 및 수율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400,000, 15,000 내지 350,000, 20,000 내지 300,000, 또는 25,000 내지 250,000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경우, 생분해성 수지로 비교적 우수하게 나타나는 기계적 물성으로 인해 각광을 받았으나, 높은 인장 모듈러스 값 즉, 수지 자체의 brittleness로 인해 여러 제품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장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게 나타나므로, 종래의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brittleness 문제를 해결하여, 그 적용 분야가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성 및 생분해성을 유지하면서도, 인장모듈러스, 인장 강도, 신율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의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1) 폴리 (3- 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 올리고머 제조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7 g(77.71 mmol)을 건조한 후, p-Toluene Sulfonic Acid (p-TSA) 촉매 존재 하에 130 ℃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축중합 반응하여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430이었다.
(2) 폴리락타이드 - 폴리 (3- 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 블록 공중합체 제조
50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L-락타이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올리고머 및 주석(II) 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투입하고 충분히 진공을 걸어주어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130℃ 프리-히팅(pre-heating)된 오일 배스에 상기 플라스크를 넣고, 180℃로 승온한 이후 2-30분간 개환 중합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이후, 반응물을 클로로폼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로 추출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회수하였다.
(단위: g) L-락타이드 주석(II) 2-에틸헥사노에이트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올리고머
실시예 1 16.00 0.02 0.16
실시예 2 16.00 0.02 0.80
실시예 3 16.00 0.02 1.60
실시예 4 16.00 0.02 0.32
비교예 1 및 2
50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L-락타이드, 도데카놀 및 주석(II) 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하기 표 2에 기재된 함량으로 투입하고 충분히 진공을 걸어주어 상온에서 4 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130℃ 프리-히팅(pre-heating)된 오일 배스에 상기 플라스크를 넣고, 180℃로 승온한 이후 20분간 개환 중합 반응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이후, 반응물을 클로로폼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로 추출하여 중합체를 회수하였다.
(단위: g) L-락타이드 주석(II) 2-에틸헥사노에이트 도데카놀
비교예 1 16.00 0.04 0.01
비교예 2 16.00 0.04 0.02
평가
1.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분석
NMR 분석은 삼중 공명 5mm 탐침(probe)을 가지는 Varian Unity Inova(500 MHz) 분광계를 포함하는 NMR 분광계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수행하였다. NMR 측정용 용매(CDCl3)에 분석 대상 물질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 및 중합체를 약 10mg/ml 정도의 농도로 희석시켜 사용하였고, 화학적 이동은 ppm으로 표현하였다.
도 1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의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실시예 3의 블록 공중합체의 NMR 분석 그래프는, 비교예 1의 중합체의 NMR 분석 그래프와는 달리,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피크가 나타남을 확인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NMR 분석 결과 그래프로부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피크의 적분비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의 ' NMR에서 분석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함량'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제 사용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함량 0.160 g 0.800 g 1.600 g 0.320 g
NMR에서 분석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함량 0.384 g 0.800 g 1.600 g 0.640 g
상기 표 3에 따르면, 실시예 3과 같이, 실시예 1, 2 및 4도 NMR 분석에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피크가 나타나고, 특히, 실시예 1 내지 4의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올리고머는 대부분 반응물로 사용되었음을 예측할 수 있다.
2.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분석
실시예 1 내지 4의 블록 공중합체 및 비교예 1 및 2의 중합체를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Waters: Waters707)에 의해 중량평균분자량(Mw) 및 수평균분자량(Mn)을 구하였다. 측정하는 블록 공중합체/중합체는 4000ppm의 농도가 되도록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GPC에 100㎕를 주입하였다. GPC의 이동상은 클로로포름을 사용하고, 1.0mL/분의 유속으로 유입하였으며, 분석은 35℃에서 수행하였다. 컬럼은 Waters HR-05,1,2,4E 4개를 직렬로 연결하였다. 검출기로는 RI and PAD Detecter를 이용하여 35℃에서 측정하였다.
Mntheoric 수평균분자량 (Mn) 중량평균분자량 (Mw) 다분산 지수 (PDI)
실시예1 245,211 66.300 220,000 1.74
실시예2 50,986 37,706 42,433 1.13
실시예3 26,708 15,200 31,700 2.08
실시예 4 113,200 75,500 124,000 1.65
비교예1 288,186 91,731 180,524 1.97
비교예2 144,186 55,984 155,050 2.06
- Mntheorical: 넣어준 개시제의 몰비를 이용하여 산출한 이론 수평균분자량- 다분산 지수(PDI):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을 수평균분자량으로 나누어 산출함
상기 표 4에 따르면, 비교예 1 및 2에서 도데카놀은 개시제로 사용된 것으로, 도데카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감소함을 확인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상기 표 1에 개시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감소함에 따라,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은 개시제 역할을 함을 확인했다.
3. 인장신율 측정
실시예 2, 4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중합체를 Hot-press (Limotem QM900S) 장비를 이용해 170℃에서 ASTM D638 TypeV에 해당하는 도그본 시편을 제조하였습니다.
제조된 시편에 대해 인장강도 측정기(제조사: Instron, 모델명: 3345 UTM)를 이용하여 IPC-TM-650의 측정법에 따라 필름의 인장신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4 비교예1
인장신율 (%) 225 130 2.5
상기 표 5에 따르면,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 존재 하에 L-락타이드가 개환 중합된 실시예 1 및 4의 공중합체는, 도데카놀 존재 하에 L-락타이드가 개환 중합된 비교예 1에 비해 인장신율이 현저히 높음을 확인했다.

Claims (11)

  1.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의 존재 하에, 락타이드 단량체를 개환 중합하여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50,000인,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락타이드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 0.01 중량부 이상인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를 축합 중합하여 상기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개시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환 중합은 유기금속 복합체 촉매 및 유기 촉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촉매 하에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복합체 촉매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촉매인,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화학식 1]
    MA1 pA2 2 -p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Al, Mg, Zn, Ca, Sn, Fe, Y, Sm, Lu, Ti또는 Zr이고,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A1 과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콕시 또는 카르복실기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A1 pA2 2 -p는 주석(II) 2-에틸헥사노에이트 (Sn(Oct)2)인,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의 함량은 상기 락타이드 단량체 100몰%에 대해서 0.01 내지 10몰%인,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환 중합은 150 내지 200℃에서 5분 내지 1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환 중합은 벌크 중합으로 진행되는,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400,000인,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KR1020200031968A 2019-03-26 2020-03-16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 KR10253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03703.3A CN112689653B (zh) 2019-03-26 2020-03-17 嵌段共聚物的制备方法
PCT/KR2020/003638 WO2020197147A1 (ko) 2019-03-26 2020-03-17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
US17/269,963 US11840604B2 (en) 2019-03-26 2020-03-17 Process for preparation of block copolymer
JP2020571536A JP7171120B2 (ja) 2019-03-26 2020-03-17 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
EP20779074.2A EP3795606B1 (en) 2019-03-26 2020-03-17 Process for preparation of block copoly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613 2019-03-26
KR20190034613 2019-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165A true KR20200115165A (ko) 2020-10-07
KR102539511B1 KR102539511B1 (ko) 2023-06-02

Family

ID=7288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968A KR102539511B1 (ko) 2019-03-26 2020-03-16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40604B2 (ko)
EP (1) EP3795606B1 (ko)
JP (1) JP7171120B2 (ko)
KR (1) KR102539511B1 (ko)
CN (1) CN112689653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160A1 (ko) * 2021-02-24 2022-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장강도가 우수한 폴리(락트산-b-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2182154A1 (ko) * 2021-02-24 2022-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락트산-b-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2235113A1 (ko) * 2021-05-06 2022-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지형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14109A1 (ko) * 2021-08-04 2023-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3027512A1 (ko) * 2021-08-24 2023-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락트산-b-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27559A1 (ko) * 2021-08-27 2023-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085395A1 (ko) * 2022-10-17 2024-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이드록시알카노익산 및 락트산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367B1 (ko) 2018-01-05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공중합체
KR20200115166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260460B (zh) * 2022-09-26 2023-02-10 苏州大学 一种共聚酯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271A (ja) * 1994-05-26 1995-12-05 Toyobo Co Ltd ポリ乳酸系ポリエステルブロック共重合体
KR20180072481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이오폴리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043B2 (ja) * 1988-09-20 1996-08-14 株式会社トクヤマ 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3349755B2 (ja) 1993-04-15 2002-11-25 三井化学株式会社 マクロモノマー
CN100372881C (zh) 2006-08-10 2008-03-05 同济大学 一种生物全降解聚酯共聚物的制备方法
EP2087025B1 (en) 2006-11-21 2021-02-24 LG Chem, Ltd. Copolymer containing 3-hydroxyalkanoate unit and lactate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957773B1 (ko) * 2006-11-23 201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락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제조방법
WO2010056421A1 (en) 2008-11-13 2010-05-20 Clemso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Copolymer including polylactic acid, acrylic acid and polyethylene glycol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DE102012212424A1 (de) 2012-07-16 2014-01-16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crylsäure durch eine mit wenigstens einer molekularen Wirkverbindung katalysierte Thermolyse von Poly-3-hydroxypropionat
US9080012B2 (en) 2013-07-10 2015-07-14 Xerox Corporation One-pot, neat ring opening polymerization to prepare resin
KR102088503B1 (ko) 2015-09-03 2020-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를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삼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22852A (zh) 2017-09-07 2017-12-29 王肖桦 一种含二聚酸聚酯链段的生物基可生物降解三嵌段、多嵌段共聚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602834A (zh) 2017-09-29 2018-01-19 天津理工大学 丙交酯‑乙交酯嵌段共聚物的制备方法
KR20190060584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개선된 생산공정
KR102241367B1 (ko) 2018-01-05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공중합체
KR102519456B1 (ko) 2018-03-15 2023-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생물을 이용한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b-락테이트) 블록공중합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271A (ja) * 1994-05-26 1995-12-05 Toyobo Co Ltd ポリ乳酸系ポリエステルブロック共重合体
KR20180072481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이오폴리머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of Polym. Sci. Part A. Polym. Chem.,2012,Vol.50, No.7,pp.1445-1455*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160A1 (ko) * 2021-02-24 2022-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장강도가 우수한 폴리(락트산-b-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2182154A1 (ko) * 2021-02-24 2022-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락트산-b-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EP4174106A4 (en) * 2021-02-24 2024-01-17 Lg Chemical Ltd POLY(LACTIC ACID-B-3-HYDROXYPROPIONIC ACID) BLOCK COPOLYMER WITH EXCELLENT TRANSPARENCY AND PRODUCTS THEREOF
WO2022235113A1 (ko) * 2021-05-06 2022-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지형 폴리(락트산-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14109A1 (ko) * 2021-08-04 2023-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의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3027512A1 (ko) * 2021-08-24 2023-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락트산-b-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27559A1 (ko) * 2021-08-27 2023-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085395A1 (ko) * 2022-10-17 2024-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이드록시알카노익산 및 락트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5606A4 (en) 2021-08-18
CN112689653B (zh) 2023-07-14
KR102539511B1 (ko) 2023-06-02
EP3795606B1 (en) 2024-02-28
EP3795606A1 (en) 2021-03-24
CN112689653A (zh) 2021-04-20
US20210309800A1 (en) 2021-10-07
JP7171120B2 (ja) 2022-11-15
JP2021529230A (ja) 2021-10-28
US11840604B2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9511B1 (ko)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
EP2603546B1 (en) Polysiloxane-polylactide block co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00126790A (ko)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
WO2020197147A1 (ko)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
KR101476378B1 (ko) 변성 폴리락타이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1092A (ko) 유기 금속복합체, 촉매 조성물 및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제조 방법
EP3795607B1 (en) Triblock co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US11827745B2 (en) Triblock copolymer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2605337B1 (ko) 폴리락테이트 입체이성질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6269B1 (ko)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제조 방법
CN115427478B (zh) 聚乳酸立构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501683B1 (ko) 저산도를 갖는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락타이드 수지
KR102425418B1 (ko)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598027B1 (ko)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EP4227344A1 (en) Block co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230022136A (ko) 생분해성 폴리(락트산-β-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20230022134A (ko)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553333B1 (ko)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제조 방법
KR20230036445A (ko)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20230022127A (ko) 생분해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20230036446A (ko)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548314B1 (ko)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제조방법
KR20220170187A (ko) 폴리락트산 중합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