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918A - 유화 겔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화 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918A
KR20200112918A KR1020207024131A KR20207024131A KR20200112918A KR 20200112918 A KR20200112918 A KR 20200112918A KR 1020207024131 A KR1020207024131 A KR 1020207024131A KR 20207024131 A KR20207024131 A KR 20207024131A KR 20200112918 A KR20200112918 A KR 20200112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composition
mass
oil
group
polyox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838B1 (ko
Inventor
신야 마츠무라
도시히로 나카니시
야스히사 고세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2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6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anthranilic acid, mefenamic acid, diclofenac, chlorambuc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 활성 물질, 물, 겔화제, 박리 방지제, 및 HLB 값이 18 ∼ 20 인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상기 겔화제가,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이고, 상기 박리 방지제가, 자당,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유화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화 겔 조성물
본 발명은, 유화 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피 제제의 제형으로는, 첩부제, 파프제, 테이프제, 연고제, 겔제, 로션제, 크림제, 에어졸제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로션제 등의 유동성이 높은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면, 도포된 조성물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겔제는, 그 조성물 중에 겔화제를 함유하고 있어, 조성물의 점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피부에 도포한 후라도 조성물이 잘 떨어지지 않는다. 특허문헌 1 ∼ 5 에서는, 디클로페낙 또는 그 염 등의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겔제가 보고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497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824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4-566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8015호 국제 공개공보 제92/07561호
겔화제로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의 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겔제에서는, 생리 활성 물질 등의 이온성 성분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등의 고형분이 응집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자들은, 겔화제로서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겔제에 있어서, 겔제를 피부에 도찰할 때에, 뭉침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알아냈다. 「뭉침」이란, 일반적으로, 조성물을 피부에 도찰할 때에,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고형분이 건조되거나 하여, 구상 (垢狀) (호상 (糊狀)) 의 덩어리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자들은, 당해 겔제를 피부에 도포한 후에, 겔제의 건조에 의해 생성되는 피막 (건조된 겔 조성물) 이, 피부의 신축 등의 영향에 의해 단편화되고, 인설형으로 피부로부터 박리되기 쉽다는 과제를 알아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도찰할 때에 뭉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도포한 후라도 인설형의 박리를 잘 발생시키지 않는 겔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겔 조성물이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 [6] 을 제공한다.
[1] 생리 활성 물질, 물, 겔화제, 박리 방지제, 및 HLB 값이 18 ∼ 20 인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상기 겔화제가,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이고, 상기 박리 방지제가, 자당,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유화 겔 조성물.
[2] 생리 활성 물질이, 디클로페낙 또는 그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는, [1] 에 기재된 유화 겔 조성물.
[3]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소수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유화 겔 조성물.
[4] 상기 박리 방지제가,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겔 조성물.
[5] 상기 계면 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겔 조성물.
[6] 1 ∼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하는,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겔 조성물.
본 발명의 유화 겔 조성물은, 겔 제제로서 이용할 수 있고, 생리 활성 물질이 경피 흡수됨으로써, 그 생리 활성을 발휘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당해 유화 겔 조성물을 피부에 도찰할 때에 뭉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도포한 후라도 인설형의 박리를 잘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도포 후의 유화 겔 조성물로부터 휘발성 성분이 없어진 후라도, 조성물 중의 유효 성분은 피부 상에 고착되기 쉬워, 계속적으로 피부에 흡수되기 쉽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도포감」이란, 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의 펴 바르기 쉬운 것, 겔 조성물이 잘 떨어져 내리지 않는 것, 뭉침이 잘 발생하지 않는 것을 총칭한 관능 평가를 의미하고,「사용감」이란, 겔 조성물을 피부에 펴 바를 때의 도포감, 피부에 펴 바른 후의 도포면의 끈적거림의 유무, 건조된 피막의 박리의 유무를 총칭한 관능 평가를 의미한다.
도 1 은, 시험 1 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시험 2 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시험 3 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화 겔 조성물은, 생리 활성 물질, 물, 겔화제, 박리 방지제, 및 HLB 값이 18 ∼ 20 인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유화 겔 조성물」이란, 수상 (분산매) 과 유상 (분산질) 을 구비하는 겔상 조성물을 의미한다. 수상은, 물, 겔화제 등의 수용성 성분으로 구성된 연속상이고, 유상은, 소수성 성분 또는 친유성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상 중에 분산되어 있다. 유상은, 유적이어도 되고, 계면 활성제 등에 의해 형성된 미셀 또는 베시클의 형태로 분산되어 있어도 된다.
생리 활성 물질은, 당업계에 있어서, 생리 활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생리 활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항진균약 (예를 들어, 부테나핀, 테르비나핀, 나프티핀, 아모롤핀, 네티코나졸, 루리코나졸, 라노코나졸, 옥시코나졸, 케토코나졸, 미코나졸, 티오코나졸, 비포나졸, 클로트리마졸, 에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소염 진통약 (예를 들어,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디클로페낙, 펠비낙, 플루르비프로펜, 록소프로펜, 이부프로펜, 이부프로펜피코놀, 구아이아줄렌, 알란토인, 피록시캄,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레틴산, 살리실산, 살리실산메틸, 모노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항히스타민약 (예를 들어, 미디에이터 유리 억제제 (트라닐라스트, 크로모글리크산), 히스타민 H1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옥사토미드, 메퀴타진, 에메다스틴, 에바스틴, 로라타딘, 세티리진, 데스로라타딘, 펙소페나딘, 아스테미졸, 아젤라스틴, 클로르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케토티펜), 히스타민 H2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시메티딘, 라니티딘, 파모티딘, 니자티딘), 히스타민 H3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티오페라미드, 임프로미딘, 미펜티딘, 임펜타민, 클로자핀), 히스타민 H4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정유 성분 (예를 들어, l-멘톨, 캄파, 리모넨, 이소풀레골, 보르네올, 오이게놀, 유칼리유, 박하유, 정향유, 계피유, 티트리유), 살균약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아크리놀, 벤잘코늄염산염), 국소 마취약 (예를 들어, 디부카인, 리도카인, 프로카인, 테트라카인, 부피바카인, 프로피토카인, 옥시부프로카인, 메피바카인, 옥세타자인), 진양제 (예를 들어, 크로타미톤, 익타몰, 파인 타르), 혈행 촉진제 (예를 들어, 고추 추출 성분 (고추 엑기스, 고추 팅크), 캡사이신, 디하이드로 캡사이신, 캡산틴,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 스테로이드 호르몬 (예를 들어, 발레르산덱사메타손, 발레르산아세트산덱사메타손, 프로피온산덱사메타손, 아세트산프레드니솔론, 발레르산아세트산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솔론, 부티르산프로피온산하이드로코티손, 아세트산하이드로코티손, 부티르산하이드로코티손, 아세트산코티손, 부티르산클로베타손,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발레르산디플루코르톨론, 디플루프레드네이트, 아세트산디플로라손, 디프로피온산베타메타손, 암시노니드, 할시노니드, 부데소니드, 프로피온산알클로메타손), 베르베린, 황벽말, 아르니카 팅크,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은, 대응하는 화합물의 유리체의 형태여도 되고,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여도 된다. 생리 활성 물질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한 생리 활성 물질은, 디클로페낙 또는 그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금속염,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 등의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의 함유량은, 유화 겔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 15 질량% 이면 되고, 0.1 ∼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7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생리 활성 물질은, 유화 겔 조성물 중에 있어서, 수상에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유상에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물은, 정제되어 있지 않은 물이어도 되지만, 이온 교환수, 증류수, 한외 여과수 등의 정제수가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은, 유화 겔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 60 질량% 이면 되고, 30 ∼ 5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 45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이면, 유화 겔 조성물이 적당한 유동성을 가져, 피부에 도포하기 쉬워지고, 또한 도포 후에 도포면의 끈적거림을 잘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또, 물의 함유량이 60 질량% 이하이면, 피부에 도포한 후의 겔 조성물이 보다 잘 떨어져 내리지 않게 된다.
겔화제는, 증점 작용을 갖는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이면 되고, 천연 유래의 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또는 합성 고분자여도 된다. 천연 유래의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아라비아검, 구아검, 한천, 전분, 로커스트비검, 만난, 갈락토만난, 커들란, 덱스트란, 풀룰란을 들 수 있다.
또, 겔화제는, 반합성의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여도 되고, 예를 들어,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등의 반합성 전분,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E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PMC)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및 소수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소수화 셀룰로오스 유도체란, 셀룰로오스 또는 반합성 셀룰로오스의 하이드록시기에 소수성기를 도입함으로써 얻어지는 셀룰로오스의 유도체이다. 소수성기로는, 4 ∼ 3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면 되고, 세틸기, 라우릴기, 스테아릴기, 올레일기 등의 12 ∼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여도 된다. 또, 소수성기는, 임의로 에테르 결합, 하이드록시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소수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소수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소수화 HPMC), 소수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수화 HEC)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소수화 HPMC」란, 소량의 소수성기를 도입한 HPMC 이다. 소수화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HEC, HPC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보다 증점 효과가 우수하고, 알코올과의 상용성도 우수하다. 소수화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틱소트로픽한 겔을 형성하기 쉽고, 보형성이 보다 우수하고, 도포 후의 끈적거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소수화 HPMC 는, 그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 ∼ 33 질량% 의 메톡시기를 함유해도 되고, 10 ∼ 30 질량% 의 메톡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1.5 ∼ 30 질량% 의 메톡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5 ∼ 24 질량% 또는 27 ∼ 30 질량% 의 메톡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소수화 HPMC 는, 그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 ∼ 20 질량% 의 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를 함유해도 되고, 4 ∼ 15 질량% 의 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 ∼ 11 질량% 의 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수화 HPMC 는, 스테아릴옥시기를 갖는 HPMC (스테아릴옥시 HPMC) 여도 된다. 스테아릴옥시 HPMC 는, 그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 4.5 질량% 의 스테아릴옥시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를 함유해도 되고, 0.3 ∼ 2 질량% 의 스테아릴옥시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 0.6 질량% 또는 1 ∼ 2 질량% 의 스테아릴옥시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수화 HPMC 로서, 예를 들어, 산젤로스 60L, 60M, 90L, 90M (상품명, 다이도 화성 공업사 제조) 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겔화제는, 합성된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여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미드를 들 수 있다.
겔화제는, HPMC, HPC 및 소수화 HPMC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HPC 및 소수화 HPMC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HPC 또는 소수화 HPMC 를 함유함으로써, 겔 조성물의 점성이 향상되기 쉬워져, 피부로부터의 떨어져 내림을 억제하기 쉽다. 또, 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의 전연성이 보다 향상되어, 도찰 후의 도포면의 끈적거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겔화제의 함유량은, 유화 겔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 5 질량% 이면 되고, 0.8 ∼ 4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 3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화 겔 조성물은, 이온성 고분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화 겔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 등의 이온성 고분자를 함유해도 된다. 유화 겔 조성물이 이온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경우, 이온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유화 겔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화 겔 조성물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를 함유하면, 디클로페낙나트륨 등의 특정한 생리 활성 물질과의 상호 작용을 발생시켜, 이온성 고분자가 응집되기 쉬워지고, 게다가 피부에 대한 도찰시에 뭉침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이온성 고분자의 함유량이 낮을수록, 유화 겔 조성물은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유화 겔 조성물이 HPC 또는 소수화 HPMC 를 함유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응집은 발생시키지 않고, 적당히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겔 조성물의 떨어져 내림 및 뭉침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수화 HPMC 를 함유하는 유화 겔 조성물은, 도포시의 전연성도 우수하여, 도포 후에 도포면의 끈적거림을 잘 발생시키지 않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박리 방지제는, 본 발명자들이 알아낸 인설형의 박리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성분이다. 유화 겔 조성물이 박리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당해 겔 조성물을 도포 후, 휘발성 성분이 없어진 후라도, 겔 조성물 중의 생리 활성 물질을 피부 상에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박리 방지제는, 구체적으로는, 자당,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이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통상적으로, 의약 분야에서 허용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면, 제한은 없다. 폴리에틸렌글리콜로는, 평균 분자량이 200 ∼ 6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분자량이 300 ∼ 5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평균 분자량이 380 ∼ 42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로서 마크로골 400 을 들 수 있다.
글리세린은, 통상적으로, 의약 분야에서 사용되는 글리세린이면 된다.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단량체로서 함유하는 중합체로서, 상온에 있어서 인간의 피부에 대한 점착성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 중 어느 일방, 또는 이들 양방을 의미하며, 이와 유사한 용어도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은, 단일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중합체이면 되고, 복수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2 ∼ 9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8 ∼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은, 주요 모노머로서, 이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이면, 유리 전이 온도가 보다 낮아져, 피부에 대한 적당한 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1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모노머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이외의 모노머이면 되고,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등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 ; 무수 말레산, 말레산에스테르 등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모노머 ;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 ; 비닐피롤리돈 ; 비닐알코올 ; 아크릴로니트릴 ; 아세트산비닐 ; 스티렌 등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바람직한 다른 모노머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비닐피롤리돈, (메트)아크릴산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의 예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아크릴산n-부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는, 아크릴산메틸과 아크릴산2-에틸헥실을 공중합시켜 조제한 것이어도 되고, 시판되는 공중합체를 사용해도 된다. 시판되는 공중합체로는, 니카졸 TS620 (닛폰 카바이드 공업 제조) 을 들 수 있다.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는, 다른 성분과의 혼합이 용이한 관점에서, 수성 에멀션의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이들의 구체예로는, 니카졸 TS620 (상품명, 닛폰 카바이드 공업 제조) 등의 수성 에멀션을 들 수 있다. 니카졸 TS620 은,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 수지의 수성 에멀션으로서, POE 노닐페닐에테르 (HLB 값 = 17.1) 를 함유한다. 또, 의약품 첨가물 규격 (2013년) 에 의하면, 니카졸 TS620 을 수욕 상에서 증발 건고시킨 후, 105 ℃ 에서 3 시간 건조시킬 때, 그 증발 잔류물의 질량은 57 ∼ 61 % 이다. 「POE」라는 용어는,「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한다. 박리 방지제가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 의 수성 에멀션인 경우에는, 유화 겔 조성물 중의 다른 성분과 혼합되어, 에멀션의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 겔 조성물에 있어서,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 및 POE 노닐페닐에테르가 유상의 일부를 구성하고, 에멀션의 분산매인 물이 수상에 분배될 수 있다.
메타크릴산/아크릴산n-부틸 공중합체는, 메타크릴산과 아크릴산n-부틸을 공중합시켜 조제한 것이어도 되고, 시판되는 공중합체를 사용해도 된다. 시판되는 공중합체로는, 프라이멀 N580NF (상품명, 니혼 아크릴 화학 제조), 울트라졸 W50 (상품명, 아이카 공업 제조) 을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아크릴산n-부틸 공중합체는, 다른 성분과의 혼합이 용이한 관점에서, 수성 에멀션의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박리 방지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는, HLB 값이 18 미만이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는, 폴리옥시에틸렌 부가 몰수가 10 ∼ 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8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POE (10) 경화 피마자유 (상품명 : NIKKOL HCO-10) 의 HLB 값은 6.5 이고, POE (100) 경화 피마자유 (상품명 : NIKKOL HCO-100) 의 HLB 값은 16.5 이다. 폴리옥시에틸렌 부가 몰수란, 부가된 에틸렌옥사이드 단위의 평균 몰수이다. 「POE」라는 용어에 이어지는 괄호 내의 숫자는, 폴리옥시에틸렌 부가 몰수를 의미한다.
박리 방지제의 함유량은, 유화 겔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 ∼ 10 질량% 이면 되고, 2 ∼ 8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7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이 수성 에멀션의 형태인 경우, 에멀션 전체의 질량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방지제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이면, 피막 (건조 후의 유화 겔 조성물) 에 가요성, 인성, 유연성 또는 점착성을 부여하여, 인설형의 박리물의 생성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박리 방지제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하이면, 겔 조성물의 도포감을 잘 저해시키지 않는 경향이 있다.
계면 활성제는, 그 HLB 값이 18 ∼ 20 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HLB 값은, 계면 활성제의 친수성과 친유성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0 ∼ 20 의 범위에서 규정된다. HLB 값이 0 에 가까울수록 친유성이 강하고, HLB 값이 20 에 가까울수록 친수성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노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10E.O.) (상품명 : NIKKOL MYL-10) 의 HLB 값은 12.5 이고, POE (15) 세틸에테르 (상품명 : NIKKOL BC-15) 의 HLB 값은 15.5 이다. HLB 값이 18 ∼ 20 인 계면 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의 뭉침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POE (23) 세틸에테르, POE (25) 세틸에테르, POE (30) 세틸에테르, POE (40) 세틸에테르, POE (20) 스테아릴에테르, POE (30) 베헤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POE (50) 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POE (21) 라우릴에테르, POE (25) 라우릴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45E.O.),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55E.O.), POE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NIKKOL BC-23, NIKKOL BC-25, NIKKOL BC-30, NIKKOL BC-40, NIKKOL BS-20, NIKKOL BO-50V, NIKKOL BB-30, NIKKOL MYS-45V, NIKKOL MYS-45MV, NIKKOL MYS-55V, NIKKOL MYS-55MV, NIKKOL BL-21, NIKKOL BL-25, NIKKOL BPS-30 (모두 상품명, 닛코 케미컬즈 (주) 제조) 을 계면 활성제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에 있어서, POE 뒤의 괄호 내에 기재된 숫자는, 옥시에틸렌 단위의 평균 부가 몰수이다.
계면 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기를 갖는 경우, 그 HLB 값은 폴리옥시에틸렌 부가 몰수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에 있어서의 옥시에틸렌 단위의 평균 부가 몰수는, 20 ∼ 60 여도 되고, 20 ∼ 55 여도 된다.
또,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알킬기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의 알케닐기는, 10 ∼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가 바람직하고, 16 ∼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 ∼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계면 활성제는, POE 베헤닐에테르, POE 스테아릴에테르, POE 올레일에테르, POE 라우릴에테르 또는 POE 세틸에테르이다. POE 베헤닐에테르는, 옥시에틸렌 단위의 평균 부가 몰수가 30 ∼ 6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OE 스테아릴에테르, POE 올레일에테르 또는 POE 라우릴에테르는, 옥시에틸렌 단위의 평균 부가 몰수가 30 ∼ 6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OE 세틸에테르는, 옥시에틸렌 단위의 평균 부가 몰수가 23 ∼ 6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HLB 값의 측정은, 당업자에게 주지인 방법으로 실시하면 된다. HLB 값의 측정은, 예를 들어, 표준이 되는 HLB 이 이미 알려진 계면 활성제와 HLB 이 아직 알려지지 않은 시료를 각각 사용하여, 표준이 되는 기름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과 정제수를 유화시킨 경우에, 가장 안정적인 에멀션이 얻어지는 조합의 비율을 구하여 양자를 비교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측정에 사용하는 조성물의 조성은, 유상 40 질량%, 정제수 56 질량%, 계면 활성제 또는 HLB 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시료 4 질량% 여도 된다. 또, 측정 방법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0990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727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01352호 등의 기재를 참고로 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유화 겔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 4 질량% 이면 되고, 1 ∼ 3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2.5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0.5 질량% 이상이면, 뭉침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4 질량% 이하이면, 겔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도포감이 보다 우수하여, 도포면의 끈적거림을 잘 발생시키지 않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화 겔 조성물은, 저급 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저급 알코올은, 겔 기제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와 겔을 형성하는 액성 매체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또, 저급 알코올을 함유하는 경우, 조성물을 도포한 후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사용감도 보다 향상된다. 저급 알코올은, 1 ∼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1 ∼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이다. 탄소 원자수가 많은 알코올일수록, 도포 후의 건조가 보다 느려진다. 저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저급 알코올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저급 알코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화 겔 조성물에 함유되는 물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 2 배의 양이면 되고, 0.6 ∼ 1.5 배의 양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 1.2 배의 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급 알코올의 함유량이 물의 함유량의 0.5 배 이상의 양이면, 도포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도포한 후의 건조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저급 알코올의 함유량이 물의 함유량의 2 배 이하의 양이면, 겔화제의 팽윤 또는 용해를 보다 촉진시킬 수 있어, 겔 조성물의 유화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저급 알코올에 의한 피부에 대한 자극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화 겔 조성물이, 겔화제로서 소수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함유하거나, 및/또는 박리 방지제로서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 을 함유하는 경우, 당해 겔 조성물 중의 저급 알코올의 함유량이 물의 0.5 ∼ 2 배인 양이라도, 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의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화 겔 조성물은, 유성 성분, 흡수 촉진제, 용해제, 안정화제, pH 조절제, 방부제, 피부염 방지제 등의 임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화 겔 조성물은, 수용성 성분으로 구성되는 수상 중에, 유성 성분과 같은 비수용성 성분이 유상을 형성한 겔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화 겔 조성물은, 적당한 점성을 가져, 피부에 도포할 때에 피부로부터 잘 떨어져 내리지 않고, 사용감도 우수하다.
유성 성분은, 유화 겔 조성물의 유상을 구성할 수 있는 성분이면 된다. 유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아보카도유, 아마인유, 올리브유, 오렌지유, 카밀레유, 참깨유, 밀배아유, 미강유, 서플라워유, 스쿠알란 (피토스쿠알란, 올리브스쿠알란 등), 스쿠알렌, 대두유, 차유, 달맞이꽃유, 동백유, 테레빈유, 옥수수유, 유채씨유, 팜유, 박하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호호바유, 면실유, 야자유, 유칼리유, 낙화생유, 레몬유, 로즈유 등의 식물성유, 우지, 스쿠알란, 스쿠알렌, 터틀유, 유지, 마유, 밍크유, 라놀린, 난황유 등의 동물성 유지, 콜레스테롤류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등), 지방산 (카프르산, 올레산 등), 지방족 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라우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등), 지방산 에스테르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등), 파라핀유,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촉진제는, 생리 활성 물질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이면 된다. 흡수 촉진제로는, 예를 들어, 탄산프로필렌, 세바크산디에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크로타미톤,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제는, 당업계에서 사용되고,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겔 조성물의 함유 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용해제로는, 예를 들어, 고급 알코올 (예를 들어,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옥틸도데칸올),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세틸,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세바크산디에틸,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올레산올레일, 라우르산헥실, 이소옥탄산세틸, 중사슬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 N-메틸-2-피롤리돈, 트리아세틴, 벤질알코올, l-멘틸글리세릴에테르, 다가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바틸알코올 (글리세린-α-모노스테아릴에테르) 등), 디메틸술폭시드를 들 수 있다.
안정화제는, 자외선 또는 산소에 의한 생리 활성 물질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성분이면 된다. 안정화제로는,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아스코르빌, 갈산프로필,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디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토코페롤, 아세트산토코페롤,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옥시벤존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는, 유화 겔 조성물의 pH 를 피부에 대한 도포에 적합한 pH 가 되도록 첨가하는 성분이다. 또한, 유화 겔 조성물의 pH 는, 생리 활성 물질의 보존 안정성, 경피 흡수성에 적합한 pH 인 것이 바람직하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 아세트산, 락트산, 인산 등의 산성화제,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칼리화제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화 겔 조성물은, 예를 들어, 각 성분을 칭량하여 넣고, 교반 등에 의해 혼합하여, 유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겔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수용성 성분을 혼합하여 수상을 형성한 후에, 소수성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해도 되고, 소수성 성분을 혼합하여 유상을 형성한 후에, 수용성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해도 되고, 다른 방법이어도 된다.
겔 조성물의 유화 방법은, 단순히 혼합해도 되고, 혼합시에 고압 호모게나이저 또는 고속 교반기를 사용함으로써, 조성물에 높은 전단력을 부가해도 된다. 또, 조성물을 가온 또는 냉각시켜 유화시켜도 된다. 유화 방법은, 수용성 성분과 소수성 성분의 조합, 유화제의 유무를 고려하여, 당업자는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실시예
시험 1 : 인설형 박리의 평가
겔 조성물을 피험자의 전완에 도포하면, 겔 조성물은 점차 건조되어 피막을 형성한다. 그 후, 피부의 신축 등의 영향에 의해, 피막은 서서히 인설형으로 박리되고, 최종적으로는 모든 피막이 피부로부터 박리된다. 그래서, 피부로부터 박리되려고 하는 인설형의 피막의 수의 다과를 평가하는 것은, 겔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밀착성의 평가로서 의의 깊다.
표 1 ∼ 3 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참고예 1 ∼ 11 의 겔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표 1 및 표 2 중의 숫자는「질량%」를 의미하고, 성분 A 로서 표 3 에 나타낸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소수화 HPMC 로서, 스테아릴옥시 HPMC (스테아릴옥시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 = 0.3 ∼ 0.6 질량%) 를 사용하고,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로서, 니카졸 TS620 (상품명, 닛폰 카바이드 공업 (주) 제조) 을 사용하였다. 표 1, 2 중의「잔분」이라는 기재는, 정제수와 에탄올의 질량비가 1 : 1 이 되는 비율로, 조성물 전체의 질량이 100 이 되도록 첨가한 것을 의미한다. 표 1, 2 중의 기타 성분은, 디클로페낙나트륨 이외의 생리 활성 물질, 및 임의 성분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얻어진 겔 조성물 0.5 g 을, 피험자 (건강 성인) 5 명의 전완부의 피부에 도포 면적이 50 ㎠ 가 되도록 도포하고, 그 약 3 시간 후, 피막 (건조된 겔 조성물) 의 박리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를 표 4 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서 스코어화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04
얻어진 스코어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결과를 표 5 및 도 1 에 나타낸다. 참고예 2 ∼ 5 의 겔 조성물은, 대조인 참고예 1 의 겔 조성물과 비교하여 스코어가 감소하였다. 즉, 참고예 2 ∼ 5 의 겔 조성물은, 피막의 인설형의 박리가 오히려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참고예 6 ∼ 11 의 겔 조성물은, 스코어가 참고예 1 의 겔 조성물보다 증가하여, 인설형의 박리가 억제되었다.
Figure pct00005
시험 2 : 뭉침의 평가
표 6 및 표 7 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겔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표 6 중의 숫자는「질량%」를 의미하고, 성분 B 로서 표 7 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소수화 HPMC 는, 시험 1 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6 중의「잔분」이라는 기재는, 정제수와 에탄올의 질량비가 1 : 1 이 되는 비율로, 조성물 전체의 질량이 100 이 되도록 첨가한 것을 의미한다. 표 6 중의 기타 성분은, 디클로페낙나트륨 이외의 생리 활성 물질, 및 임의 성분이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얻어진 겔 조성물 0.5 g 을, 피험자 (건강 성인) 5 명의 전완부의 피부 상에 두고, 도포 면적이 50 ㎠ 가 되도록 겔 조성물을 10 ∼ 30 초간 도찰하여, 펴 바른 후, 손가락의 촉감 또는 육안으로 건조된 조성물을 관찰하여, 뭉침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 스코어화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평가 기준>
100 : 뭉침이 전혀 없었다
75 : 뭉침이 약간 있었다
50 : 뭉침이 있었다 (조금)
25 : 뭉침이 있었다 (많음)
0 : 뭉침이 있었다 (꽤 많음)
얻어진 스코어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표 8 및 도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 3 의 겔 조성물은, 비교예 1 ∼ 3 의 겔 조성물과 비교하여, 뭉침의 발생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었다.
Figure pct00008
시험 3 : 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의 평가
표 9 및 표 10 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참고예 12 ∼ 24 의 겔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표 9 중의 숫자는「질량%」를 의미하고, 성분 C 로서 표 10 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소수화 HPMC 는, 시험 1 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9 중의「잔분」이라는 기재는, 정제수와 에탄올의 질량비가 1 : 1 이 되는 비율로, 조성물 전체의 질량이 100 이 되도록 첨가한 것을 의미한다. 표 9 중의 기타 성분은, 디클로페낙나트륨 이외의 생리 활성 물질, 및 임의 성분이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얻어진 겔 조성물을, 조성물의 깊이가 10 ㎝ 가 되도록 시험관 중에 봉입하고, 60 ℃ 의 항온 챔버 내에 정치 (靜置) 하였다. 13 일 후, 시험관을 항온 챔버로부터 꺼내고, 시험관의 측면에서 겔 조성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상층으로서 분리된 층 (유층) 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1 및 도 3 에 나타낸다. 참고예 13 ∼ 21 의 겔 조성물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참고예 12 의 겔 조성물과 비교하여, 60 ℃ 에서 13 일간 보관 후에 분리된 유층의 양이 많아져, 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참고예 22 ∼ 24 의 겔 조성물은, 보관 후에도 유층이 분리되지 않고, 균일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Figure pct00011
시험 4 : 인설형 박리의 평가
표 12 및 표 13 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실시예 4 ∼ 9 및 비교예 4 ∼ 8 의 겔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표 12 및 표 13 중의 숫자는「질량%」를 의미한다. 사용한 소수화 HPMC 는, 시험 1 에 기재된 바와 같고,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로서, 니카졸 TS620 (상품명, 닛폰 카바이드 공업 (주) 제조) 을 사용하였다. 표 12 및 표 13 중의「잔분」이라는 기재는, 정제수와 에탄올의 질량비가 1 : 1 이 되는 비율로, 조성물 전체의 질량이 100 이 되도록 첨가한 것을 의미한다. 표 12 및 표 13 중의 기타 성분은, 디클로페낙나트륨 이외의 생리 활성 물질, 및 임의 성분이다. POE (30) 베헤닐에테르는, 그 HLB 가 18.0 인 계면 활성제이다.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얻어진 겔 조성물 0.3 g 을, 피험자 (건강 성인) 5 명의 전완부의 피부에 도포 면적이 30 ㎠ 가 되도록 도포하고, 그 약 3 시간 후, 피막 (건조된 겔 조성물) 의 박리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를 시험 1 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 스코어화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 8 에서는, 인설형물의 평가 스코어가 3.0 이하였던 반면, 실시예 4 ∼ 9 에서는 3.8 이상이었다.
Figure pct00014
시험 5 : 전연성의 평가
표 15 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실시예 10 ∼ 15 및 비교예 9 의 겔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표 15 중의 숫자는「질량%」를 의미한다. 사용한 소수화 HPMC 및 니카졸 TS620 은, 시험 3 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15 중의「잔분」이라는 기재는, 정제수와 에탄올의 질량비가 1 : 1 이 되는 비율로, 조성물 전체의 질량이 100 이 되도록 첨가한 것을 의미한다. 표 15 중의 기타 성분은, 디클로페낙나트륨 이외의 생리 활성 물질, 및 임의 성분이다.
Figure pct00015
얻어진 겔 조성물 0.3 g 을, 피험자 (건강 성인) 5 명의 전완부의 피부에 10 ∼ 30 초간, 도포 면적이 30 ㎠ 가 되도록 도찰하였다. 그 직후의 떨어져 내림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겔 조성물의 전연성 (펴 바르기 쉬움) 및 잘 떨어져 내리지 않음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스코어화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전연성의 평가 기준>
1 : 매우 펴 바르기 어렵다
2 : 펴 바르기 어렵다
3 : 펴 바르기 어렵지도 펴 바르기 쉽지도 않다
4 : 펴 바르기 쉽다
5 : 매우 펴 바르기 쉽다
<떨어져 내림의 평가 기준>
1 : 매우 떨어져 내리기 쉽다 (겔 조성물이 유동하여, 절반 이상의 양이 몇 초 이내에 피부로부터 낙하한다)
2 : 떨어져 내리기 쉽다 (겔 조성물이 유동하여, 절반 미만의 양이 몇 초 이내에 피부로부터 낙하한다)
3 : 잘 떨어져 내리지도 떨어져 내리기 쉽지도 않다 (겔 조성물은 피부로부터 낙하하지 않지만, 10 초 이내에 피부면 상을 하방으로 유동한다)
4 : 잘 떨어져 내리지 않는다 (겔 조성물은 피부로부터 낙하하지 않지만, 10 초 이상 후에 피부면 상을 하방으로 유동한다)
5 : 매우 잘 떨어져 내리지 않는다 (겔 조성물은 피부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피부면 상을 유동하지 않는다)
결과를 표 16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 14 는, 전연성 (펴 바르기 쉬움) 및/또는 잘 떨어져 내리지 않음이 우수하였다.
Figure pct00016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고, 디클로페낙나트륨을 대신하여, 케토프로펜, 인도메타신, 펠비낙, 플루르비프로펜, 염산부테나핀, 염산테르비나핀을 함유하는 겔 조성물 (제조예 1 ∼ 6) 을 각각 조제하였다.

Claims (6)

  1. 생리 활성 물질, 물, 겔화제, 박리 방지제, 및 HLB 값이 18 ∼ 20 인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상기 겔화제가,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이고,
    상기 박리 방지제가, 자당,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트)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인, 유화 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 활성 물질이, 디클로페낙 또는 그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는, 유화 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소수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화 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방지제가, 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2-에틸헥실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유화 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화 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 3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하는, 유화 겔 조성물.
KR1020207024131A 2018-02-27 2019-02-19 유화 겔 조성물 KR102454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3218 2018-02-27
JPJP-P-2018-033218 2018-02-27
PCT/JP2019/006125 WO2019167727A1 (ja) 2018-02-27 2019-02-19 乳化ゲル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918A true KR20200112918A (ko) 2020-10-05
KR102454838B1 KR102454838B1 (ko) 2022-10-13

Family

ID=6780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131A KR102454838B1 (ko) 2018-02-27 2019-02-19 유화 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46830B2 (ko)
EP (1) EP3760231A4 (ko)
JP (1) JP6983996B2 (ko)
KR (1) KR102454838B1 (ko)
CN (1) CN111787953B (ko)
TW (1) TWI736848B (ko)
WO (1) WO201916772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622A (en) 1987-08-28 1989-03-03 Ss Pharmaceutical Co Percutaneous absorbefacient base composition
JPH0249722A (ja) 1988-08-11 1990-02-20 Ss Pharmaceut Co Ltd 外用薬剤組成物
WO1992007561A1 (fr) 1990-10-30 1992-05-14 Ss Pharmaceutical Co., Ltd. Preparation d'un gel anti-inflammatoire et analgesique
JPH10182450A (ja) 1996-12-27 1998-07-07 Ss Pharmaceut Co Ltd 外用組成物
JP2001342113A (ja) * 2000-06-02 2001-12-11 Kao Corp 美容液
JP2006328015A (ja) 2005-05-30 2006-12-07 Kowa Co 消炎鎮痛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2105B2 (ja) 1995-06-27 2006-07-26 久光メディカル株式会社 ジクロフェナクナトリウム含有乳化外用剤
JPH10175832A (ja) 1996-12-12 1998-06-30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US6075065A (en) * 1996-12-20 2000-06-1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075056A (en) * 1997-10-03 2000-06-13 Penederm, Inc. Antifungal/steroid topical compositions
JP3493322B2 (ja) 1998-09-25 2004-02-03 Smc株式会社 液だれ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0191514A (ja) * 1998-10-19 2000-07-11 Lion Corp 皮脂除去剤組成物
JP2002003354A (ja) 2000-06-23 2002-01-09 Lion Corp ヒノキチオール含有口腔用組成物
GB0108082D0 (en) * 2001-03-30 2001-05-23 Novartis Consumer Health Sa Topical composition
JP2002301352A (ja) 2001-04-09 2002-10-15 Kawaken Fine Chem Co Ltd 1,3−プロパンジオール誘導体含有乳化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乳化組成物
JP4549006B2 (ja) 2002-05-07 2010-09-22 ロート製薬株式会社 ゲル軟膏
JP4626202B2 (ja) 2003-07-16 2011-02-02 大正製薬株式会社 ピロキシカム含有外用消炎鎮痛剤組成物
JP4209353B2 (ja) 2004-03-26 2009-01-14 花王株式会社 アルキルポリグリセリルエーテルの製法
JP2006151836A (ja) 2004-11-26 2006-06-15 Taisho Pharmaceut Co Ltd 外用消炎鎮痛剤組成物
JP2007126415A (ja) * 2005-11-07 2007-05-24 Shiseido Co Ltd 染毛・脱色剤組成物
JP2009285423A (ja) 2008-06-02 2009-12-10 Kowa Co 外用製剤
US20100099766A1 (en) 2008-10-16 2010-04-22 Novartis Ag Topical NSAID compositions having sensate component
JP2010099017A (ja) 2008-10-24 2010-05-06 Nikko Chemical Co Ltd 食品用乳化剤又は可溶化剤
TWI478730B (zh) 2009-12-03 2015-04-01 Alcon Res Ltd 眼科乳劑
JP5954928B2 (ja) 2010-11-19 2016-07-20 大同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潰瘍処置用外用剤のゲル状基剤
WO2014017411A1 (ja) 2012-07-23 2014-01-30 マルホ株式会社 爪白癬治療用外用剤
JP5965803B2 (ja) 2012-09-27 2016-08-10 株式会社マンダム デオドラント組成物及びデオドラント剤
ES2710659T3 (es) 2013-08-23 2019-04-2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Cataplasma y procedimiento para producir la misma
JP6452396B2 (ja) 2013-11-14 2019-01-16 ライオン株式会社 制汗剤組成物
JP6456622B2 (ja) 2014-08-11 2019-01-23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製本装置
CN111904926B (zh) 2014-09-10 2023-10-10 Gsk消费者健康有限责任公司 局部用双氯芬酸钠组合物
KR102094586B1 (ko) * 2014-12-22 2020-03-27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파프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622A (en) 1987-08-28 1989-03-03 Ss Pharmaceutical Co Percutaneous absorbefacient base composition
JPH0249722A (ja) 1988-08-11 1990-02-20 Ss Pharmaceut Co Ltd 外用薬剤組成物
WO1992007561A1 (fr) 1990-10-30 1992-05-14 Ss Pharmaceutical Co., Ltd. Preparation d'un gel anti-inflammatoire et analgesique
JPH10182450A (ja) 1996-12-27 1998-07-07 Ss Pharmaceut Co Ltd 外用組成物
JP2001342113A (ja) * 2000-06-02 2001-12-11 Kao Corp 美容液
JP2006328015A (ja) 2005-05-30 2006-12-07 Kowa Co 消炎鎮痛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9879A1 (en) 2022-03-17
JPWO2019167727A1 (ja) 2020-12-10
US11246830B2 (en) 2022-02-15
WO2019167727A1 (ja) 2019-09-06
TW201938142A (zh) 2019-10-01
KR102454838B1 (ko) 2022-10-13
EP3760231A1 (en) 2021-01-06
US11660268B2 (en) 2023-05-30
CN111787953B (zh) 2022-12-09
TWI736848B (zh) 2021-08-21
CN111787953A (zh) 2020-10-16
US20200397694A1 (en) 2020-12-24
JP6983996B2 (ja) 2021-12-17
EP3760231A4 (en)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19958A (ja) 薬物の皮膚送達のための、フラックス化可能な組成物および方法
JP2009524586A (ja) 疼痛を皮膚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20070190124A1 (en) Two or more solidifying agent-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rmal delivery of drugs
US20120294926A1 (en) Two or more volatile solvent-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rmal delivery of drugs
JP2009519957A (ja) 薬物の皮膚送達のためのスプレイ−オン処方物および方法
JP2009519956A (ja) 薬物の皮膚送達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KR102454838B1 (ko) 유화 겔 조성물
CN101374488A (zh) 用于皮肤输送药物的促通量组合物及方法
JP7053790B2 (ja) ジクロフェナク含有乳化ゲル組成物
JP7190981B2 (ja) ゲル組成物
Al-Jarsha et al. A Review on Film Forming Drug Delivery Systems
JP6701978B2 (ja) 外用組成物
JP2016014010A (ja) 外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