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812A -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812A
KR20200107812A KR1020200025289A KR20200025289A KR20200107812A KR 20200107812 A KR20200107812 A KR 20200107812A KR 1020200025289 A KR1020200025289 A KR 1020200025289A KR 20200025289 A KR20200025289 A KR 20200025289A KR 20200107812 A KR20200107812 A KR 20200107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film
cutting
film
manufacturing
cut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유키 아시다
마사히토 다카하시
다츠스야 나이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3Surface milling of plates, sheet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6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one vertical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52Orbital drilling, i.e. use of a milling cutter moved in a spiral path to produce a ho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절삭 가공에 의한 적층 필름의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스파이럴형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적층 필름을 절삭하는 제1 절삭 공정을 포함하는,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FILM PROCESSED BY CUTTING}
본 발명은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는 적층 필름은, 그 사용 목적, 디자인성 등 때문에 형상을 가공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적층 필름을 가공할 때는 적층 필름에 크랙, 층간 박리 등의 결함이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2009-037228호 공보 및 일본 2016-03033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절삭 가공에 의한 적층 필름의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적층 필름의 주면(主面)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스파이럴형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적층 필름을 절삭하는 제1 절삭 공정을 포함하는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 상기 절삭 공구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와 외주 날을 가지고,
상기 외주 날은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되어 있는 [1]에 기재한 제조 방법.
[3] 상기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는 상태에서 상기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2]에 기재한 제조 방법.
[4] 상기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은, 상기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행하는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제조 방법.
[5] 상기 제1 절삭 공정 전에, 상기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관통 구멍 형성 공정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상기 절삭 공구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제조 방법.
[6] 관통 구멍 형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를 상기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5]에 기재한 제조 방법.
[7] 상기 절삭 공구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와 외주 날과 바닥 날을 가지고,
상기 외주 날과 상기 바닥 날은 각각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되어 있는 [6]에 기재한 제조 방법.
[8] 상기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스파이럴의 피치는 0.01 mm 이상 0.5 mm 이하인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제조 방법.
[9] 상기 제1 절삭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절삭 부분을 연마하는 연마 공정을 더 포함하는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제조 방법.
[10] 상기 제1 절삭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켜 추가로 절삭을 행하는 제2 절삭 공정을 더 포함하는 [1]∼[9]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제조 방법.
[11] 상기 적층 필름은 표시 장치용 필름인 [1]∼[10]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제조 방법.
[12] 상기 적층 필름은 편광판을 포함하는 [1]∼[11]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제조 방법.
[13] 상기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을 여러 장 겹쳐 절삭하는 [1]∼[12]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절삭 가공에 의한 적층 필름의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절삭된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a), (b) 및 (c)에 도시되는 적층 필름에는, 각각 원형, U자 형상 및 오메가 형상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A)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적층 필름에 대하여 절삭 공구가 스파이럴형으로 상대 이동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B) 비교예로서, 적층 필름에 대하여 절삭 공구가 상대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화살표가 붙은 선은, 적층 필름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절삭 공구가 상대 이동하는 루트를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절삭에 의해 생기는 적층 필름의 결함의 일부를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촬영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면에서의 좌측 상부는 절삭된 구멍부이고, 우측 하부는 적층 필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있어서 절삭에 의해 생긴 층간 박리의 깊이의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은,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를 갖고 있다. 이 구멍부는 상기 절삭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멍부는 예컨대 원형(도 1(a)), 타원형, 라운딩된 사각형 등이라도 좋고, 구멍부가 단부면과 결합한 U자 형상(도 1(b))이나 오메가 형상(도 1(c)) 등의 절결부라도 좋다.
구멍부가 원형인 경우, 그 직경은 예컨대 1.5 mm 이상 15 mm 이하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10 mm 이하이다. 구멍부가 타원형 또는 라운딩된 사각형인 경우, 타원 또는 라운딩의 곡률 반경은, 예컨대 1 mm 이상 10 mm 이하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10 mm 이하이다. 구멍부가 절결부인 경우, 절결부의 깊이는, 예컨대 1.5 mm 이상 15 mm 이하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10 mm 이하이다.
<적층 필름>
적층 필름은 2 이상의 층이 적층된 것이다.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층으로서는, 예컨대 편광자, 보호 필름, 광학기능층, 접착제층, 점착제층, 세퍼레이트 필름, 표면 보호 필름(프로텍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의 예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지만, 적층 필름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의 예에서, 적층 필름(100)은 편광판(10)과 제1 점착제층(20)과 광학기능층(30)과 접착제층(40)과 광학기능층(31)과 제2 점착제층(21)을 이 순서로 가지고, 편광판(10)은 편광자(11)와 보호 필름(12)을 갖는다.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편광판(10)은 편광자(11)와 그 양면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12 및 13)을 갖더라도 좋다. 적층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편광판을 포함한다.
[편광판]
편광판(10)은 통상 편광자(11)와 보호 필름으로 구성된다.
편광자(11)는, 흡수축에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편광을 흡수하고, 흡수축에 직교하는(투과축과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흡수형의 편광자일 수 있다. 편광자(11)는,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층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로서는 예컨대 2색성 색소를 들 수 있다. 2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2색성의 유기 염료가 이용된다. 2색성 유기 염료에는, C. I. 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2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2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편광자(11)는, 그 한쪽의 면 또는 양쪽의 면에 보호 필름을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맞붙여 편광판(10)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편광자)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인 편광자(11)는,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11)의 두께는 통상 3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8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편광자(11)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은 편광판(10)의 박막화에 유리하다. 편광자(11)의 두께는 통상 1 ㎛ 이상이며, 예컨대 5 ㎛ 이상이라도 좋다. 편광자(11)의 두께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선정, 연신 배율의 조절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올레핀계 화합물, 비닐에테르계 화합물, 불포화 술폰계 화합물,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이하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이다.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인 편광자는, 통상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는 공정, 얻어진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일축 연신된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2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편광자로 하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기재 필름을 편광자로부터 박리 제거하여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후술하는 보호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같더라도 좋다.
보호 필름(12)으로서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환상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지를 포함하는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등,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필름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12)의 두께는, 편광판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저하하여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50 ㎛ 이하이다.
보호 필름(12)은, 예컨대 위상차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 등의 광학 기능을 아울러 갖는 보호 필름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 필름을 연신(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 등)하거나, 상기 필름 상에 액정층 등을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임의의 위상차치가 부여된 위상차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적층 필름(100)이 화상 표시 장치에 배치되는 경우, 적층 필름(100)은, 보호 필름(12)이 화상 표시 장치 측으로 되도록 화상 표시 장치에 맞붙일 수 있다.
보호 필름(12) 상에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코트층은, 보호 필름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코트층을 마련함으로써,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보호 필름(12)으로 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는 한정되지 않으며,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13)으로서는 보호 필름(12)의 기재 내용이 인용된다.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11)로서는, 액정성을 갖는 중합성의 2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2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여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 등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적층 필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기재 필름을 편광자로부터 박리 제거하여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상술한 보호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같아도 좋다.
적층 필름에 있어서,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11)는,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상술한 보호 필름이 맞붙여져 있어도 좋다.
흡수 이방성을 갖는 색소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11)의 두께는 통상 1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8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5 ㎛ 이하이다.
[제1 점착제층]
제1 점착제층(20)은, 편광판(10)과 광학기능층(30)의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을 접합하는 층이다. 제1 점착제층(20)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또는 열 경화형이라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서는,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메트)아크릴산 화합물,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화합물,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화합물, (메트)아크릴아미드 화합물,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의,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가교제로서는,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실산금속염을 형성하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아민 화합물;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에폭시 화합물 또는 폴리올;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제1 점착제층(20)의 형성은,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제에 점착제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점착제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적층 필름의 대상면에 직접 도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식이나, 이형 처리가 실시된 세퍼레이트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시트형으로 형성해 두고서 그것을 편광판의 대상면에 이착(移着)하는 방식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제1 점착제층(20)의 두께는 그 접착력 등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예컨대 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4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25 ㎛ 이하이다.
적층 필름(100)은 상기한 세퍼레이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세퍼레이트 필름은,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제1 점착제층(20)은, 임의 성분, 유리 섬유, 유리 비드, 수지 비드, 금속 가루나 다른 무기 분말로 이루어지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로서는, 이온성 화합물, 도전성 미립자, 도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온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온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양이온 성분은 무기 양이온이라도 유기 양이온이라도 좋다.
유기 양이온으로서는 피리디늄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술포늄 양이온, 포스포늄 양이온, 피페리디늄 양이온, 피롤리디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고, 무기 양이온으로서는 리튬 이온, 칼륨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온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음이온 성분으로서는, 무기 음이온이라도 유기 음이온이라도 좋지만,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한 이온성 화합물을 부여하므로,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이 바람직하다.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으로서는,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PF6 -)],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CF3SO2)2N-] 음이온,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FSO2)2N-] 음이온 등을 들 수 있다.
[광학기능층]
광학기능층(30, 31)은, 원하는 광학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편광자(11) 이외의 다른 광학 기능을 갖는 층이라도 좋다. 광학기능층의 적합한 일례는 위상차층이다. 위상차층으로서는, 예컨대 λ/2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층, 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층(포지티브 A 플레이트) 및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광학기능층은, 배향층 및 기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액정층, 배향층 및 기재를 각각 2 이상 갖고 있어도 좋다. 적층 필름(100)이 편광층과 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필름을 갖는 경우, 적층 필름(100)은 원편광판이라도 좋다.
보호 필름(12)이 위상차층을 겸할 수도 있지만, 이들 필름과는 별도로 위상차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위상차층은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판(10)에 적층할 수 있다.
위상차층으로서는,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구성되는 복굴절성 필름,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상기한 액정층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은 통상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이며, 열가소성 수지의 일례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이다.
적층 필름(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광학 기능성 필름(광학 부재)의 예는, 집광판, 휘도 향상 필름, 반사층(반사 필름), 반투과반사층(반투과반사 필름), 광확산층(광확산 필름) 등이다.
[접착제층]
광학기능층(30)과 광학기능층(31)은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40)을 통해 접합할 수 있다. 접착제층(40)은, 경화성의 수지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공지된 수계 조성물(수계 접착제를 포함한다.)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공지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등으로 구성된다.
수계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나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은, 밀착성이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가 알데히드, 멜라민계 화합물, 지르코니아 화합물, 아연 화합물, 글리옥살, 글리옥살 유도체, 수용성 에폭시 수지 등의 경화성 성분이나 가교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와 글리시딜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란,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 수지이며, 그 중에 소량의 이온성 성분(친수 성분)이 도입된 것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는 조성물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양이온 중합에 의해서 경화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이다. 에폭시계 화합물이란, 분자 내에 평균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1종만을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에폭시계 화합물로서는, 방향족 폴리올의 방향환에 수소화 반응을 행하여 얻어지는 지환식 폴리올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소화에폭시계 화합물(지환식 고리를 갖는 폴리올의 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인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경화성 성분으로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 대신에 또는 이것과 함께 라디칼 중합성인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작용기 함유 화합물을 2종 이상 반응시켜 얻어지며,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양이온 중합에 의해서 경화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우,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로서는,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드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 등의 오늄염; 철-알렌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등의 라디칼 중합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계 개시제, 벤조페논계 개시제, 벤조인에테르계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개시제, 크산톤, 플루오레논, 캄퍼퀴논,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등을 들 수 있다.
광학기능층(30)과 광학기능층(31)은 점착제층을 통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이용되는 점착제층으로서는 제1 점착제층의 기재를 인용할 수 있다.
[제2 점착제층]
적층 필름(100)은 광학기능층(31) 측에 제2 점착제층(21)을 갖는다. 제2 점착제층(21)은 적층 필름(100)을 화상 표시 소자 또는 다른 광학 부재에 맞붙일 수 있다.
제2 점착제층(21)에 이용되는 점착제, 점착제 조성물, 두께 및 제작 방법으로서는, 제1 점착제층(20) 항에서 기술한 설명이 인용된다. 제2 점착제층(21)에 이용되는 세퍼레이트 필름이나 포함될 수 있는 임의 성분에 관해서도 제1 점착제층(20)의 설명이 인용된다.
[표면 보호 필름(프로텍트 필름)]
적층 필름(100)은, 그 표면(전형적으로는 편광판의 보호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은, 예컨대 화상 표시 소자나 다른 광학 부재에 편광판이 맞붙여진 후, 그것이 갖는 점착제층마다 박리 제거된다.
표면 보호 필름은, 예컨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된다. 점착제층에 관해서는 상술한 기술 내용이 인용된다.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두께가 20 ㎛ 이상이면, 적층 필름(100)에 강도가 부여되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이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부른다.)은,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스파이럴형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적층 필름을 절삭하는 제1 절삭 공정을 포함한다. 적층 필름의 주면이란, 적층 필름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면을 말한다.
[절삭 공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절삭 공구는, 적층 필름을 절삭 가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회전 가능한 손잡이와 외주 날을 가지고, 외주 날은 손잡이와 일체로 되어 있는 절삭 공구를 들 수 있다. 회전 가능한 손잡이와 외주 날과 바닥 날을 가지고, 외주 날과 바닥 날은 각각 손잡이와 일체로 되어 있는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도 좋다. 외주 날과 바닥 날이 일체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절삭 공구로서는 엔드밀 등을 들 수 있다.
절삭 공구의 외주 날 및 바닥 날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장 이상 6장 이하이며, 2장, 3장 또는 4장이라도 좋다. 날수가 적으면 절삭 부스러기를 배출하기 쉬운 경향이 있지만, 절삭 공구의 강성은 저하하기 쉽다.
절삭 공구의 외주 날 및 바닥 날의 경사각은 통상 0° 이상 20° 미만이며, 3° 이상 15° 미만이라도 좋다. 경사각이 지나치게 크면 날이 결손되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절삭 공구의 외주 날 및 바닥 날의 여유각은, 예컨대 0°보다 크고 20° 미만이며, 3° 이상 15° 이하라도 좋다. 여유각이 0°이면 적층 필름과 날이 긁히게 되어 버리고, 여유각이 지나치게 크면 날이 결손되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외주 날은 손잡이를 따라 비틀려 있어도 좋다. 절삭 공구의 외주 날의 비틀림각은 -75° 이상 75° 이하라도 좋고, -65° 이상 65° 이하라도 좋다. 비틀림각이 지나치게 크면 절삭 부스러기를 배출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절삭 공구의 외주 날은 절삭 공구의 회전 부분의 최대 직경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 공구의 외주 날의 직경(손잡이에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 직경)은, 예컨대 1.0 mm 이상 10 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 mm 이상 8 mm 이하이다.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엔드밀이 꺾이기 쉬운 경향이 있고, 지나치게 크면 미세한 절삭 가공이 어렵게 되어 버린다.
절삭 공구의 이송 속도는, 통상 50 mm/분 이상 5000 mm/분 이하이고, 100 mm/분 이상이라도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200 mm/분 이상 3000 mm/분 이하이다.
또한, 엔드밀의 외주 날 및 바닥 날의 회전 속도는 5000 rpm 이상 100000 rpm 이하라도 좋고, 10000 rpm 이상 80000 rpm 이하라도 좋고, 30000 rpm 이상60000 rpm 이하라도 좋다. 회전 속도가 늦어지면 적층 필름의 층간 박리가 생기기쉽게 되는 경향이 있고, 회전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발열하여 적층 필름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
[제1 절삭 공정]
제1 절삭 공정에서는, 예컨대 도 2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스파이럴형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적층 필름을 절삭한다.
스파이럴이란, 외측으로 멀어지면서 선회하는 곡선을 가리킨다. 스파이럴에는, 예컨대 소용돌이의 간격, 즉 스파이럴의 피치가 등간격인 스파이럴(아르키메데스의 나선 등), 스파이럴의 피치가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스파이럴(대수나선 등), 스파이럴의 피치가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스파이럴(포물나선 등) 등을 들 수 있다. 스파이럴의 피치가 등간격인 스파이럴은, 일주(一周) 이하의 일정한 간격(예컨대 반주(半周), 1/4주 등)마다 반경이 커지는 스파이럴이라도 좋다. 스파이럴의 일주 중 일부에서는, 스파이럴의 피치가 제로, 즉 이미 절삭된 부분에서 새롭게 절삭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도 좋다. 스파이럴형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이란, 이미 절삭된 절삭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스파이럴의 피치 폭분만큼 외측을 절삭 공구가 상대 이동하게 하는 조작이다. 이에 따라, 이미 절삭된 절삭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스파이럴의 피치 폭분만큼 외측의 적층 필름이 절삭된다.
제1 절삭 공정에서의 스파이럴은 일주 이상이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적층 필름의 절삭을 행할 때의 적어도 가장 외주가 스파이럴형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절삭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스파이럴형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여 적층 필름을 절삭하면, 직선과 원 운동의 조합에 의한 상대 이동에 의해 절삭한 경우(도 2의 (B) 등)와 비교하여, 적층 필름의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적층 필름이 위상차 필름과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갖는 경우, 위상차 필름과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 사이의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스파이럴형으로 상대 이동시켜 절삭을 행하면, 원하는 크기의 절삭 부분을 형성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종래 적층 필름을 절삭하면,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층간 박리가 생기기 쉽고, 또한 풀 부족, 크랙 등의 결함을 일으키기 쉬웠다. 여기서, 풀 부족이란, 적층 필름 중의 점착제층에 있어서, 절삭면에 가까운 부분의 점착제가 결손되는 상태를 말한다. 크랙이란, 적층 필름의 층에 생기는 균열을 말하며, 편광판 또는 광학기능층에 생기기 쉽다. 층간 박리, 풀 부족, 크랙 등의 결함의 종류 및 결함이 생긴 층은, 광학현미경 하에서의 관찰에 의해서 판별할 수 있다.
제1 절삭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 부분은 곡선부를 갖고 있다. 적층 필름을 원형으로 절삭하는 경우, 예컨대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을 증대시키면서 스파이럴형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킨 후, 이미 절삭된 부분에 접할 때까지 반경을 바꾸지 않고 최대 반경 그대로 원형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면, 절삭된 부분은 원형으로 된다. 예컨대 반주마다 반경이 커지는 원을 그리도록 스파이럴형으로 절삭 공구가 상대 이동하는 경우, 최후의 반주를 반경을 바꾸지 않고서 원을 그리도록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면, 적층 필름에 원형의 절삭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절삭 공구가 스파이럴형으로 상대 이동하는 궤적이 적층 필름의 단부면에 접하는 경우, 절삭 부분을 U자 형상, 오메가 형상 등의 절결부로 할 수 있다. 스파이럴의 피치는, 일주 중에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을 갖고 있어도 좋으며, 이러한 반복에 의해, 절삭 부분을 원형 이외의 형상(예컨대 타원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절삭 공구의 외주 날이 적층 필름에 접함으로써 적층 필름이 절삭된다. 절삭 공구가 회전 가능한 손잡이를 갖는 경우, 이 회전 가능한 손잡이는,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이라도 좋고, 기울어 있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에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한다. 이에 따라, 절삭된 면은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된다.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은, 통상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행한다. 이 조작은, 또한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이동을 동반하고 있어도 좋다.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이동을 동반하는 경우, 예컨대 절삭 공구를 나선형으로 상대 이동하는 조작을 들 수 있다. 절삭 공구를 나선형으로 상대 이동시켜 행하는 절삭은, 후술하는 관통 구멍의 형성을 겸하고 있어도 좋다.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스파이럴의 피치는 예컨대 0.01 mm 이상 0.5 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2 mm 이상 0.3 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mm 이상 0.2 mm 이하이다. 스파이럴의 피치가 상술한 범위 내인 경우, 과도하게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적층 필름을 원하는 크기로 절삭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럴의 피치가 지나치게 크면, 절삭된 적층 필름에 결함이 생기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적층 필름은, 1장씩 절삭을 행하여도 좋고, 적층 필름을 여러 장 겹친 적층체로 하여 절삭을 행하여도 좋다.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적층 필름을 여러 장 겹쳐 절삭하는 경우, 적층체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스파이럴형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적층 필름을 절삭할 수 있다. 적층체를 구성하는 적층 필름의 매수는, 예컨대 10장 이상 500장 이하라도 좋다. 적층체의 두께는, 적층 필름의 적층 방향에서, 예컨대 1 mm 이상 50 mm 이하라도 좋다.
[관통 구멍 형성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관통 구멍 형성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 구멍 형성 공정 및 하기의 배치 공정은 통상 제1 절삭 공정 전에 행한다. 관통 구멍의 크기는, 절삭 공구를 관통 구멍 내에 배치할 수 있도록 절삭 공구의 손잡이에 직교하는 최대 직경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크다.
관통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절삭 공구를,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예컨대 절삭 공구가 회전 가능한 손잡이와 그것에 일체로 된 바닥 날을 갖는 경우, 절삭 공구를 적층 필름의 주면으로 향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적층 필름을 바닥 날에 의해서 절삭하여, 절삭 공구의 손잡이에 직교하는 최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 구멍 형성 공정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적층 필름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과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행하여도 좋다. 이 조작에 의해, 절삭 공구의 손잡이에 직교하는 최대 직경보다도 큰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으로서는, 적층 필름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절삭 공구가 원 운동하는 조작, 직선 운동하는 조작 등을 들 수 있다.
적층 필름을 여러 장 겹쳐 적층체로 하여 관통 구멍 형성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관통 구멍 형성 공정에 있어서, 절삭 공구를 적층체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적층 필름에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을 적층체로 하여 관통 구멍 형성 공정을 행하는 경우, 관통 구멍을 형성한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그 후의 배치 공정 및 제1 절삭 공정을 행할 수 있다.
관통 구멍은 펀칭법, 레이저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관통 구멍은, 절삭 공구의 손잡이에 직교하는 최대 직경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배치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절삭 공구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절삭 공구의 외주 날이 관통 구멍의 내측에 접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관통 구멍을 형성한 후에,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절삭 공구를 배치하면 된다. U자 형상, 오메가 형상의 절결부를 형성하는 경우, 적층 필름의 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적층 필름을 절삭하면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켜, 스파이럴의 시작 지점에 절삭 공구를 배치하여도 좋다.
절삭 공구에 의해 관통 구멍을 형성한 경우는,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 절삭 공구를 뽑지 않음으로써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절삭 공구를 배치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켜 관통 구멍을 형성한 후, 관통 구멍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삭 공구를 뽑아내어 연마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다시 관통 구멍에 절삭 공구를 배치하여도 좋다.
적층 필름을 여러 장 겹쳐 적층체로 하여 배치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이때,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적층 필름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절삭 공구를 배치한다. 적층체에 대하여 배치 공정을 행하는 경우, 그대로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제1 절삭 공정을 행할 수 있다.
[연마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제1 절삭 공정 또는 하기 제2 절삭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절삭 부분을 연마하는 연마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을 여러 장 겹쳐 적층체로 하여 연마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연마 공정에서 적층체를 연마함으로써,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적층 필름의 절삭 부분을 연마할 수 있다. 적층체에 대하여 제1 절삭 공정 또는 제2 절삭 공정을 행한 후, 그대로 상기 적층체를 연마할 수 있다.
연마하는 방법은, 절삭된 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연마지(사포), 연마포, 미립자 연마제, 지석 등으로 문지르는 연마 방법, 전기 연마 방법, 용제를 이용한 화학 연마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제1 절삭 공정에서 이용한 엔드밀 등의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이송 속도를 떨어뜨리거나, 연마량을 적게 하거나 또는 이 두 가지에 의해서 절삭면을 연마하여도 좋다. 또한, 연마에 의해서 그때까지의 공정에서 붙은 오물, 먼지 등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제2 절삭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제1 절삭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켜 추가로 절삭을 행하는 제2 절삭 공정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적층 필름을 여러 장 겹쳐 적층체로 하여 제2 절삭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제2 절삭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적층 필름은 더 절삭된다. 적층체에 대하여 제1 절삭 공정을 행하고, 그대로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제2 절삭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제1 절삭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절삭 부분으로부터, 추가로 계속해서 제2 절삭 공정을 행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절삭된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절삭 공정에서 원형의 구멍부를 형성했던 경우, 구멍부에서 적층 필름의 단부면으로 향하여 곡선 또는 직선의 절삭을 행함으로써, U자 형상, 오메가 형상 등의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용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은 다양한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란, 표시 소자를 갖는 장치이며, 발광원으로서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로서는,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이하, 무기 EL이라고도 한다) 표시 장치, 전자 방출 표시 장치(예컨대 전장 방출 표시 장치(FED 라고도 한다), 표면 전계 방출 표시 장치(SED라고도 한다)), 전자 페이퍼(전자 잉크나 전기 영동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투사형 표시 장치(예컨대 그레이팅 라이트 밸브(GLV라고도 한다) 표시 장치,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라고도 한다)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어느 것이나 포함한다. 이들 표시 장치는, 2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라도 좋고, 3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표시 장치라도 좋다.
상기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에, 추가로 앞면판, 터치 센서 패널, 배면판 등을 설치하여,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앞면판]
앞면판은 바람직하게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판형체이다. 앞면판은, 1층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앞면판으로서는, 예컨대 유리제 판형체(유리판, 가요성의 얇은 유리 등), 수지제 판형체(수지판, 수지 시트, 수지 필름(윈도우 필름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등)를 들 수 있고, 가요성을 보이는 판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수지 필름 등의 수지제 판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이란, 반복 굴곡 또는 절곡이 가능함을 말한다.
수지제 판형체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메틸펜텐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수지;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요성, 강도 및 투명성의 관점에서, 앞면판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앞면판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하드코트층을 두어 경도를 보다 향상시킨 필름이라도 좋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상술한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기재 필름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코트층을 마련함으로써 경도 및 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예컨대 0.1 ㎛ 이상 30 ㎛ 이하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5 ㎛ 이하이다.
하드코트층은 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한정되지 않으며,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앞면판은, 표시 장치의 앞면(화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터치 센서로서의 기능, 블루라이트 컷트 기능, 시야각 조정 기능 등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앞면판의 두께는 예컨대 20 ㎛ 이상 2000 ㎛ 이하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15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10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50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200 ㎛ 이하, 나아가서는 40 ㎛ 이상 100 ㎛ 이하라도 좋다.
[터치 센서 패널]
터치 센서 패널은, 터치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즉 터치 센서)를 갖는 패널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센서의 검출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 광센서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 유도 결합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등의 터치 센서 패널이 예시된다. 저비용이므로,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의 일례로서, 상호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판과, 이들 한 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된 절연성 스페이서와, 각 기판의 내측 전면에 저항막으로서 마련된 투명 도전막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재를 들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설치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앞면판의 표면이 터치되면, 대향하는 저항막이 단락하여, 저항막에 전류가 흐른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이 때의 전압의 변화를 검지하여,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의 일례로서는, 기판과, 기판의 앞면에 설치된 위치 검출용 투명 전극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재를 들 수 있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를 설치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앞면판의 표면이 터치되면, 터치된 점에서 인체의 정전 용량을 통해 투명 전극이 접지된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투명 전극의 접지를 검지하여,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터치 센서 패널의 두께는 예컨대 5 ㎛ 이상 2000 ㎛ 이하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50 ㎛ 이하이다.
터치 센서 패널은 기재 필름 상에 터치 센서의 패턴이 형성된 부재라도 좋다. 기재 필름의 예시는 상술한 보호 필름의 설명에서의 예시와 같아도 좋다. 터치 센서 패턴의 두께는 예컨대 1 ㎛ 이상 20 ㎛ 이하라도 좋다.
터치 센서 패널을 갖는 적층 필름(100)으로서, 예컨대 기재(바람직하게는 앞면판,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을 보이는 앞면판)와 터치 센서와 편광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 필름이나, 기재(바람직하게는 앞면판,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을 보이는 앞면판)와 편광층과 터치 센서를 이 순서로 갖는 적층 필름을 들 수 있다.
[배면판]
배면판으로서, 예컨대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판형체를 갖고 있어도 좋다. 배면판은, 1층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배면판으로서는, 앞면판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유리제 판형체(유리판, 유리 필름 등), 수지제 판형체(예컨대, 수지판, 수지 시트, 수지 필름 등)를 들 수 있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적층 필름(100) 및 이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플렉시블성의 관점에서, 가요성을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요성을 보이는 수지제 판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제 판형체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에 관해서는 앞면판에 관한 기술 내용이 인용된다.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이다.
배면판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도포되는 기재 필름이라도 좋다.
배면판이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판형체인 경우, 그 두께는, 적층 필름(100)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20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15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130 ㎛ 이하이다.
적층 필름의 두께는, 적층 필름에 요구되는 기능 및 적층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25 ㎛ 이상 1000 ㎛ 이하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50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300 ㎛ 이하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이며 두께 20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건식으로 약 4배로 일축 연신하고, 또한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40℃의 순수에 1분간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중량비가 0.1/5/100인 수용액에 28℃에서 60초간 침지했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10.5/7.5/100인 수용액에 68℃에서 300초간 침지했다. 이어서, 5℃의 순수로 5초간 세정한 후, 70℃에서 180초간 건조하여,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얻었다. 편광자의 두께는 7 ㎛였다.
얻어진 편광자의 한쪽의 면에, 두께 50 ㎛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각각의 맞붙이는 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광경화형 접착제(에폭시계 광경화성 접착제)를 통해 접착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상기 편광판이 갖는 편광자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는 반대쪽의 면에 이하의 층을 맞붙이고, 제2 점착제층(21)을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도 4에 기재한 구성과 같은 구성을 갖는 두께 16 ㎛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제1 점착제층(20): 두께 5 ㎛
광학기능층(30):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 및 배향막을 포함하는 λ/2판, 두께 3 ㎛
접착제층(40): 두께 5 ㎛
광학기능층(31):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 및 배향막을 포함하는 λ/4판, 두께 3 ㎛
(제조예 2)
편광자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착한 것, 그리고 한쪽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광학기능층을 맞붙인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제2 점착제층(21)을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도 5에 기재한 구성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적층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
적층 필름을 50장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했다. 절삭에는, 직경이 2 mm, 날수 2장인 엔드밀을 이용했다. 우선, 적층체의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엔드밀을 움직여, 엔드밀의 바닥 날로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엔드밀을 배치했다(관통 구멍 형성 공정 및 배치 공정). 그 후, 도 2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엔드밀을 적층체의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스파이럴이 되도록 상대 이동시켜, 적층 필름의 절삭을 행하여(제1 절삭 공정), 직경이 3 mm인 원형의 구멍부를 형성했다. 이때, 엔드밀의 회전 가능한 손잡이가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또한 엔드밀을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면서 절삭을 행했다. 스파이럴은 반주마다 반경이 0.05 mm 커지는 원 운동으로 설정하고, 스파이럴의 피치는 0.10 mm였다. 엔드밀의 이송 속도는 500 mm/분, 회전 속도는 50000 rpm였다.
<실시예 2>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엔드밀의 이송 속도가 300 mm/분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적층체의 절삭을 행했다.
<실시예 3>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엔드밀의 이송 속도가 500 mm/분, 회전수가 40000 rpm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적층체의 절삭을 행했다.
<실시예 4>
제1 절삭 공정에 있어서, 엔드밀의 이송 속도가 500 mm/분, 회전수가 30000 rpm 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적층체의 절삭을 행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엔드밀의 이동 경로가 다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적층체의 절삭을 행했다. 우선, 적층체의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엔드밀을 움직여, 엔드밀의 바닥 날로 관통 구멍을 형성했다. 그 후, 도 2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0.10 mm의 직선 운동과, 반경이 0.10 mm씩 커지는 원 운동을 반복하고, 피치가 0.10 mm가 되도록 절삭을 행하여, 직경 3 mm의 원형의 구멍부를 형성했다.
<비교예 2>
직선 운동의 거리를 0.05 mm, 원 운동의 반경을 0.05 mm씩 크게 하고, 피치가 0.05 mm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절삭을 행했다.
<비교예 3>
직선 운동의 거리를 0.15 mm, 원 운동의 반경을 0.15 mm씩 크게 하고, 피치가 0.15 mm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절삭을 행했다.
[층간 박리의 측정]
적층체를 적층 방향으로 대략 3 분할하여 각각 상층, 중간층, 하층으로 하고, 각각의 층의 대략 중앙부에서 1장을 선택하여, 절삭된 적층 필름의 절삭 부분을 광학현미경 하에서 관찰했다. 생긴 층간 박리량(적층 필름의 주면 방향에 생긴 층간 박리의 길이)의 최대치가 80 ㎛ 이하를 「A」, 81 ㎛ 이상 150 ㎛ 이하를「B」, 151 ㎛ 이상을 「C」로 하여 평가했다.
제조예 1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4, 그리고 비교예 1 및 2의 방법에 의해서 절삭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제조예 2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 그리고 비교예 1 및 2의 방법에 의해서 절삭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제조예 1의 적층 필름에서도, 제조예 2의 적층 필름에서도,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실시예 1에서는 층간 박리가 억제되고 있었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특히 직선 운동을 행한 절삭 부분에 층간 박리가 많이 보였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 의하면, 층간 박리가 보다 억제된,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1 및 2보다 크랙 및 풀 부족의 발생도 억제되고 있었다.
제조예 1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서 절삭했을 때의 층간 박리량의 최대치를 도 6에 도시한다. 적층 필름은 적층체의 하층에서 선택했다.
비교예 1∼3의 결과로부터, 직선 운동과 원 운동을 반복하는 절삭 방법에서는, 피치가 커짐에 따라서 층간 박리가 커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층체의 하층에 있는 적층 필름은 절삭 가공에 의한 층간 박리가 생기기 쉽다. 층간 박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피치를 작게 할 수도 있지만, 피치가 작아지면, 원하는 크기의 구멍부를 형성할 때까지 절삭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피치가 비교적 크더라도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절삭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100: 적층 필름, 10: 편광판, 11: 편광자, 12, 13: 보호 필름, 20: 제1 점착제층, 21: 제2 점착제층, 30, 31: 광학기능층, 40: 접착제층.

Claims (13)

  1.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봤을 때 스파이럴형으로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적층 필름을 절삭하는 제1 절삭 공정을 포함하는,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와 외주 날을 가지고,
    상기 외주 날은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되어 있는,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 공정에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는 상태에서 상기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 공정에서, 상기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키는 조작은, 상기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행하는,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 공정 전에, 상기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관통 구멍 형성 공정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상기 절삭 공구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형성 공정에서, 상기 절삭 공구를, 상기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와 외주 날과 바닥 날을 가지고,
    상기 외주 날과 상기 바닥 날은 각각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되어 있는,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 공정에서, 스파이럴의 피치는, 0.01 mm 이상 0.5 mm 이하인,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절삭 부분을 연마하는 연마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주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절삭 공구를 상대 이동시켜 추가로 절삭을 행하는 제2 절삭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표시 장치용 필름인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 공정에서, 상기 적층 필름을 여러 장 겹쳐 절삭하는, 제조 방법.
KR1020200025289A 2019-03-06 2020-02-28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001078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40675 2019-03-06
JPJP-P-2019-040675 2019-03-06
JP2019129131A JP6622439B1 (ja) 2019-03-06 2019-07-11 切削加工された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19-129131 2019-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812A true KR20200107812A (ko) 2020-09-16

Family

ID=6891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289A KR20200107812A (ko) 2019-03-06 2020-02-28 절삭 가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622439B1 (ko)
KR (1) KR20200107812A (ko)
CN (1) CN111665587A (ko)
TW (1) TW2021039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5813B2 (ja) * 2019-03-28 2022-01-1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JP7504913B2 (ja) * 2019-12-11 2024-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WO2021117288A1 (ko) * 2019-12-11 2021-06-17
JP2021128202A (ja) * 2020-02-12 2021-09-02 住友化学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21192391A1 (ja) * 2020-03-25 2021-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貫通穴を有する粘着剤層付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20220156554A (ko) * 2020-03-25 2022-11-2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관통구멍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해당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관통구멍 형성 장치
CN112091292B (zh) * 2020-09-14 2022-09-02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余量孔扩孔加工方法
CN112317883A (zh) * 2020-10-30 2021-02-05 共享智能机器(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机器零部件的高精度加工方法
JP2022148128A (ja) * 2021-03-24 2022-10-0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220764B1 (ja) 2021-11-02 2023-02-10 住友化学株式会社 貫通孔付き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円偏光板
CN115057067A (zh) * 2022-07-07 2022-09-16 丝艾产品标识(重庆)有限公司 一种摄像头镜片保护膜的剥离解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42533Y1 (ko) * 1967-03-08 1972-12-22
GB2132276B (en) * 1982-12-23 1986-10-01 Copeland Corp Scroll-type rotary fluid-machine
JPS60106398U (ja) * 1983-12-22 1985-07-19 凸版印刷株式会社 電磁波シ−ルド効果を有する筐体
JPS60157848A (ja) * 1984-01-26 1985-08-19 神鋼電機株式会社 植毛シ−トとその使用方法
JPH10225814A (ja) * 1992-06-17 1998-08-25 Makino Milling Mach Co Ltd 切削加工方法
JP3427330B2 (ja) * 1994-10-07 2003-07-14 不二商事株式会社 スクロールコンプレッサのスクロール
JPH09191168A (ja) * 1996-01-10 1997-07-22 Yamamoto Seisakusho:Kk プリント配線基板の導通孔の加工方法
WO1998009758A1 (fr) * 1996-09-06 1998-03-12 Masao Kubota Outil de coupe rotatif avec bord de coupe composite et procede d'usinage utilisant cet outil
JP3935927B2 (ja) * 2004-12-10 2007-06-27 東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パッド溝加工用バイト工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研磨用パッドの製造方法
JP4570763B2 (ja) * 2000-11-29 2010-10-27 東北リコー株式会社 感熱孔版印刷用マスターの製造方法
JP2005246098A (ja) * 2001-09-25 2005-09-15 Olfa Corp コンパスカッター
JP3716232B2 (ja) * 2001-09-25 2005-11-16 オルファ株式会社 ラチェット機構付きのコンパスおよびコンパスカッター
JP2004209559A (ja) * 2002-12-27 2004-07-29 Sumitomo Electric Ind Ltd バックテーパ付きエンドミル
US7591072B2 (en) * 2004-10-15 2009-09-22 Stravitz David M Cutting devices
JP2009263408A (ja) * 2008-04-22 2009-11-12 Akira Ogawara 手貼り用粘着フイルムの剥離紙と其れを設けた粘着フイルムの貼着方法
JP5474032B2 (ja) * 2011-11-29 2014-04-16 ユニオンツール株式会社 回転切削工具
JP5463501B2 (ja) * 2012-03-26 2014-04-09 祥二 勝目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積層シートによる三次元発光構造体
WO2015181912A1 (ja) * 2014-05-28 2015-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工具経路生成装置及び方法
JP2018012182A (ja) * 2016-07-22 2018-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18159911A (ja) * 2017-01-27 2018-10-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I628708B (zh) * 2017-07-03 2018-07-01 國立臺灣師範大學 切割圓形的切割裝置
JP6940071B2 (ja) * 2017-07-26 2021-09-22 株式会社ウエノシステック 簡易保護帽
CN108062947B (zh) * 2017-11-28 2021-06-29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图案化裁剪技术形成声涡旋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22439B1 (ja) 2019-12-18
TW202103970A (zh) 2021-02-01
JP7386674B2 (ja) 2023-11-27
JP2020149034A (ja) 2020-09-17
CN111665587A (zh) 2020-09-15
JP2020146827A (ja)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2439B1 (ja) 切削加工された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732089B2 (ja) フレキシブル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JP6680347B2 (ja) 積層体
KR20210099095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21010114A1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830879B (zh) 切削加工膜的製造方法
KR20200080174A (ko)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21144208A (ja)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4009307A (ja) 偏光子
WO2021177040A1 (ja) 光学積層体
WO2021182005A1 (ja)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1149358A1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230493A1 (ja)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23003753A (ja)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WO2021186986A1 (ja)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1166434A1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21149087A (ja)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64592A (ko) 프로텍트 필름을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
JP2021176144A (ja) フレキシブル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22185419A (ja) 積層体
TW202045654A (zh) 附黏著劑層之光學積層膜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