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399A -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399A
KR20200098399A KR1020200011521A KR20200011521A KR20200098399A KR 20200098399 A KR20200098399 A KR 20200098399A KR 1020200011521 A KR1020200011521 A KR 1020200011521A KR 20200011521 A KR20200011521 A KR 20200011521A KR 20200098399 A KR20200098399 A KR 20200098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seat
airbag device
airbag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676B1 (ko
Inventor
고바야시 유토
사쿠라이 츠토무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33568A external-priority patent/JP7406367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00098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운전석 승차인이 조수석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한 에어백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차실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에서 구속하는 에어백 쿠션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팽창 전개용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방의 수평 방향의 단부부터 상기 수용부의 근방까지 사이에서,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혀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수용부에서 보아 상기 제1 부분과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에 있어서의 제1 부분 측으로 되접힌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상기 수용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더욱 연장하고,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혀,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상기 수용부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3 부분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AIRBAG, AIRBAG MANUFACTURING METHOD, AND ARIBAG DEPLOYMENT METHOD}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에어백 장치가 장비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는 안전 장치로서, 에어백 쿠션이 가스압으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받아내어 보호한다. 에어백 장치에는 설치 장소 및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전후 방향으로부터의 충돌에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핸들 중앙에는 프론트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 충돌 또는 그것에 이어져 발생하는 횡전으로부터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벽부의 천장 부근부터 사이드 윈도를 따라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좌석 측부로부터 승차인의 바로 옆으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는 측면 충돌 등의 때에 운전 좌석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조수석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특개2010-11594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에는 조수석으로부터 사이드 도어에 이르는 공간을 채우는 크기로 할 필요가 있다. 그것에 의해 에어백 쿠션에 대해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가스 발생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승차인이 좌석으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는 차량 차실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에서 구속하는 에어백 쿠션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팽창 전개용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방의 수평 방향 단부부터 상기 수용부의 근방까지 사이에서 롤 형상이거나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혀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수용부에서 보아 상기 제1 부분과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접힌 상기 제1 부분 측으로 되접힌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상기 수용부와 반대측으로 배치된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한층 더 연장하고 있으며, 롤 형상이거나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혀 있는 제3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승차인이 좌석에서 반대측 좌석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부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접힌 상기 제2 부분은 접힌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차실 중앙측을 덮도록 하고 있고, 접힌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보다도 전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접힌 부분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팽창 전개 때에 상기 제3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석의 반대 좌석의 상기 전방측에서 접촉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어백 쿠션의 일부가 반대 좌석의 전방측으로 전개하기 때문에 승차인이 좌석으로부터 반대 좌석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차실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롤 형상으로 접혀 있고, 상기 제3 부분은 차실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롤 형상으로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개 개시 직후에 제1 부분은 제2 부분 및 제3 부분에 반대 좌석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부여하고, 제3 부분은 반대 좌석 방향으로 향하려고 하면서 전개한다. 에어백 쿠션이 반대 좌석에 도달하는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차실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롤 형상으로 접혀 있고, 상기 제3 부분은 차실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롤 형상으로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개 개시 직후에 제1 부분은 제2 부분 및 제3 부분에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부여하고, 제3 부분은 반대 좌석으로부터 멀리하는 방향으로 향하려고 하므로 반대 좌석에 승차인이 있는 경우에 전개 중인 에어백 쿠션이 해당 승차인과 접촉하고, 강한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것이 억제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차실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고, 상기 제3 부분은 차실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개 개시 직후에 에어백 쿠션 전체가 반대 좌석 측을 향하도록 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이 반대 좌석에 도달하는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차실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고, 상기 제3 부분은 차실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개시에 제1 부분은 제3 부분이 차량 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부여하고, 제3 부분은 반대 좌석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면서 전개하기 때문에 제3 부분은 소정 정도 전개하고 나서 반대 좌석을 향한다. 따라서, 좌석 및 반대 좌석의 차량 폭 방향의 거리가 먼 경우에 있어서도, 제3 부분이 반대 좌석의 전방 측에서 접촉하도록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은, 차량의 차실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으로부터 구속하는 에어백 쿠션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팽창 전개용인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을 준비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하고 있는 제1 부분을, 상기 에어백 쿠션 일방의 수평 방향 단부부터 상기 수용부 근방까지 사이에서,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고, 상기 수용부에서 보아 상기 제1 부분과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을 접힌 상기 제1 부분 측으로 되접고,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상기 수용부와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더욱 연장하는 제3 부분을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고,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상기 수용부와 반대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은, 차량의 차실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으로부터 구속하는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향으로서,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은 팽창 전개용인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전방측부터 상기 수용부 근방까지의 사이에서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혀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수용부에서 보아 상기 제1 부분과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차량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되접힌 제2 부분과, 해당 제2 부분에서 상기 전방으로 더욱 연장하고, 상기 전방에서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히고, 상기 제1 부분보다도 상기 전방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3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반대 좌석의 상기 전방측에서 접촉하도록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어백 쿠,션의 일부가 반대 좌석의 전방측으로 전개하기 때문에 승차인이 좌석에서 반대 좌석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승차인이 좌석에서 반대 좌석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내부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내부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에어백 쿠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순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에어백 쿠션이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차량의 '상', '하', '상하' 방향이란 차량 천장의 중심과 바닥 중심을 연결하는 선상에서의 방향을 나타내고, 천장을 향하는 방향을 '상'으로 하고, 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하'라고 한다. 또한 차량의 '전', '후', '전후' 방향이란 차량의 전진 방향을 '전' 방향으로 하고, 차량의 후진 방향을 '후' 방향으로 한다. 나아가 차량 폭 방향이란 통상의 좌석이 나란히 배치되는 방향으로서, 상기한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한, 운전석에 대한 반대 좌석이란 조수석을 가리킨다. 조수석에 대한 반대 좌석이란 운전석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좌석 및 해당 좌석의 반대 좌석으로 기재한 경우, 좌석이 운전석인 경우 반대 좌석은 조수석이다. 한편, 좌석이 조수석인 경우 반대 좌석은 운전석이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내부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내부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도 2에는 차실(1)의 바닥면(10) 위에 설치된 운전석(2)과 조수석(3)과 시트 벨트(5)가 나타나 있다. 운전석(2)은 좌석부(21)와 해당 좌석(21)의 후측에서 상방을 향하게 올라가는 등받이(2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4)는 차량(100)의 차실(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석(2)의 등받이(22) 조수석 측의 측면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4)는 직방체 형상을 이룬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4)의 단면도이다. 본 도의 위와 아래는 차량(100)의 앞과 뒤에 대응한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어백 장치)(4)는 수납부(40) 내에 수납된 에어백 쿠션(41)과 인플레이터(42)를 구비한다.
에어백 쿠션(41)은 예를 들어, 나일론 섬유 등의 고강도 섬유의 방직에 의해 강화된 직물제 주머니체로서, 롤 형상으로 접혀 수납부(40)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41)의 형상 및 접는 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플레이터(42)는 스터드 볼트(421)에 의해 수납부(40)의 바닥 판을 끼워 넣고, 등받이(22)의 골격 프레임(23)에 고정되어 있다. 인플레이터(42)는 에어백 쿠션(41)의 내부에 팽창 전개용 가스를 분사 가능하게 격납되어 있다.
수납부(40)는 일면이 개구된 상자체로서, 등받이(22)의 골격 프레임(23)에 스터드 볼트(43) 및 상술한 스터드 볼트(42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수납부(40)의 개구부는 조수석(3) 측을 향하고 있고, 운전석(2)의 측면과 단차 없이 편평한 상태를 이루는 커버 판(44)으로 덮여 있다. 커버 판(44)은 수납부(40)보다도 저강도인 수지제 판이다. 커버 판(44)의 앞 부분에는 상하 방향의 전장(?S??)에 걸쳐 개열 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41)은 차량(100)의 충돌 때에 인플레이터(42)의 분사 가스 작용에 의해 팽창하고, 개열 홈(45)을 파단(破斷)하여 측방을 향하여 전개한다. 도 3에 나타내는 개열 홈(45)은 커버 판(44)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커버 판(44)의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에어백 쿠션(41)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팽창 때의 에어백 쿠션(41)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방향은 차량(100)에 있어서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에어백 쿠션(41)은 평면에서 보아 볼록 형상을 이루는 두 장의 패널을 차량 폭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게 하는 거싯(gusset)부를 끼워서 접합한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에어백 쿠션(41)은 볼록부의 양 옆 부분을 채우는 직방체 형상으로 해도 된다. 에어백 쿠션(41)의 내부에는 실린더 형(통 형)의 인플레이터(42)를 수용하는 수용부(411)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411)에는 인플레이터(42)가 가지는 스터드 볼트(421)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통 구멍(412, 413)이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42)는 차량(100)의 충돌 등의 긴급 시에 동작하고, 에어백 쿠션(41)의 내부에 가스를 분사한다. 에어백 쿠션(41)은 인플레이터(42)의 분사 가스 작용에 의해 폭발적으로 팽창한다. 에어백 쿠션(41)의 팽창 압력은 수납부(40)의 바닥 판을 지지로서 커버 판(44)에 작용한다. 에어백 쿠션(41)은 개열 홈(45)을 파단하고, 수납부(40)의 외부로 팽창 전개한다. 또한, 이하 팽창 전개를 단순히 전개라고도 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41)을 개념적으로 세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수용부(411)를 경계로 전방 부분을 제1 부분(41a), 수용부(411)부터 후방 부분을 제2 부분(41b), 제2 부분(41b)부터 더 후방을 제3 부분(41c)으로 한다. 제1 부분(41a)은 에어백 쿠션(41)의 전후 방향(수평 방향)의 일방의 단부부터 수용부(411)의 근방까지의 부분이다. 제2 부분(41b)은 수용부(411)에서 보아 제1 부분(41a)과 전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하여 존재한 부분이다. 제3 부분(41c)은 제1 부분(41a)에 대하여 수용부(411)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부분(41b)부터 더 연장하여 존재한 부분이다. 제2 부분은 주로 인접한 좌석(운전석, 조수석) 사이의 공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1 부분(41a), 제2 부분(41b) 및 제3 부분(41c)은 개념적인 구획이다. 제1 부분(41a)과 제2 부분(41b)의 경계, 및 제2 부분(41b)과 제3 부분(41c)의 경계는 엄밀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수용부(411)의 위치는 제1 부분(41a) 및 제2 부분(41b)의 경계로 하고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용부(411)의 위치를 도 4에 나타낸 위치보다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부분(41a) 및 제2 부분(41b)을 구획하는 경계를, 수용부(411)의 위치에 관계없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앞측 단부의 근방으로 고정한 경우, 수용부(411)는 제1 부분(41a)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부분(41b)에 포함될 수도 된다.
도 5 및 도 6은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에어백 쿠션(41)을 평판 형상으로 접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 형상의 볼록 부분은 에어백 쿠션(41)의 내측으로 접어 넣는다. 또한, 도면의 표리(表裏) 방향으로 접을 수도 있다. 에어백 쿠션(41)의 바닥 부분도 볼록 부분과 동일하게 내측으로 접든가 아니면 도면의 표리 방향으로 접는다. 에어백 쿠션(41)은 도 5의 A의 상태로부터 도 5의 B의 상태가 된다.
도 6은 에어백 쿠션(41)을 수납부(40)에 수납하기 위한 접는 법을 나타낸다. 도 6은 평판 형상으로 접은 에어백 쿠션(41)을 세운 상태로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42)가 수용부(411)에 수용되어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41)의 제1 부분(41a)을 롤 형상으로 접는다. 접는 방향은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이 되도록 접는다. 이하, 이와 같은 접는 법을 '시계 방향의 롤 접음'이라고 한다.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분(41b)을 후방측에서 전방측(제1 부분(41a) 측)으로 되접는다. 접힌 제1 부분(41a)의 좌측은 제2 부분(41b)에 의해 덮인다. 도 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부분(41c)을 롤 형상으로 접는다. 접는 방향은 시계 반대 방향이 되도록 접는다. 이하, 이와 같은 접는 법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접음'이라고 한다. 도 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에어백 쿠션(41)은, 제1 부분(41a)은 제3 부분(41c)과 수용부(411)에 끼운 상태가 된다. 또한 수용부(411)는 제1 부분(41a)의 접힌 부분보다도 후방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에어백 쿠션(41)은 제3 부분(41c)이 차량 전방에, 수용부(411)가 차량 후방이 되도록 수납부(40)에 수납한다. 그리고 인플레이터(42)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421)에 의해 수납부(40)에 고정된다. 나아가 커버 판(44)에 의해 에어백 쿠션(41) 및 수납부(40)는 덮인다.
이상의 내용에 입각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4)의 제조 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 7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순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에어백 쿠션(41)을 준비한다(스텝 S1). 인플레이터(42) 등 기타 필요 부품도 준비한다. 에어백 쿠션(41)의 수용부(411)에 인플레이터(42)를 수용한다(스텝 S2). 에어백 쿠션(41)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접는다(스텝 S3). 에어백 쿠션(41)의 제1 부분(41a)을 접는다(스텝 S4). 제2 부분(41b)을 되접는다(스텝 S5). 제3 부분(41c)을 접는다(스텝 S6). 에어백 쿠션(41)을 고정한다(스텝 S7). 에어백 쿠션(41)은 예를 들어 운전석(2)의 조수석(3) 측의 측면부에 고정된다. 그런 다음 커버 판(44)로 에어백 쿠션(41) 및 수납부(40)를 덮는다.
도 8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차실(1)의 상방에서 본 도이다. 도 8의 A는 전개 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B는 전개 개시 후 상태를 나타낸다. 전개 개시 후, 제1 부분(41a)은 차실(1)의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롤 접음이기 때문에, 전개하면서 제3 부분(41c)을 좌측 전방으로 밀어내려고 한다. 제1 부분(41a)에 의한 힘은 제3 부분(41c)을 조수석(3)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힘이 된다. 제3 부분(41c)은 차실(1)의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접음이기 때문에, 제1 부분(41a)에 의한 힘과 합쳐져 접혀 있는 상태에서 전개하는 힘에 의해 조수석(3) 방향으로 기울면서 전개한다. 한편, 제2 부분(41b)은 인플레이터(42)로부터의 가스에 의한 전개 동작의 힘으로 조수석(3) 방향 다시 말해, 좌측 방향으로 기울면서 전개한다. 한편, 제1 부분(41a)은 시계 방향의 롤 접음이기 때문에 접혀 있는 상태에서 전개하는 힘에 의해 차실(1)의 우측 방향으로 기울면서 전개한다. 그 때문에 에어백 쿠션(41)의 상태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V자 형상이 된다.
도 8의 C는 에어백 쿠션이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에어백 쿠션이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차실(1)의 전방에서 본 도이다. 도 8의 C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한 상태에서의 에어백 쿠션(41)에 있어서, 제3 부분(41c)은 조수석(3)에 올라앉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운전석(2)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조수석(3)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해진다. 또한, 에어백 쿠션(41)의 구속 위치가 고정됨과 함께 조수석(3)의 시트로부터의 반력도 이용하여 승차인이 받은 충돌의 충돌력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에서는 제1 부분(41a)을 시계 방향의 롤 접음으로 하고, 제3 부분(41c)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접음으로 한다. 롤 접음의 조합을 변형시킨 세 개의 경우를 설명한다. 이하의 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4)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수납부(40), 에어백 쿠션(41) 및 인플레이터(42)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2)
도 10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분(41a) 및 제3 부분(41c)을 차실(1)의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롤 접음으로 하는 경우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백 쿠션(41)에 있어서, 제1 부분(41a)은 시계 방향의 롤 접음으로 하고 있으므로 전개 개시 직후에, 제2 부분(41b) 및 제3 부분(41c)에 차량(100)의 좌측 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부여한다. 또한, 제3 부분(41c)은 시계 방향의 롤 접음이므로, 인플레이터(42)로부터의 가스에 의한 전개 동작의 힘으로 우측 방향(조수석(3)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전개한다.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4)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운전석(2)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조수석(3)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함과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제3 부분(41c)이 조수석(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려고 하기 때문에 제3 부분(41c)은 전개가 어느 정도 진행하고 나서 조수석(3)을 향하게 된다. 조수석(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있는 경우에 전개 중인 에어백 쿠션(41)이 해당 승차인과 접촉하고, 강한 충격을 받게 되는 것을 억제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3)
도 11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분(41a) 및 제3 부분(41c)을 차실(1)의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접음으로 하는 경우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백 쿠션(41)에 있어서, 제1 부분(41a)은 시계 반대 방향의 롤 접음이므로, 전개 개시 직후에 제2 부분(41b) 및 제3 부분(41c)에 조수석(3)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부여한다. 제3 부분(41c)은 시계 반대 방향의 롤 접음이므로, 인플레이터(42)로부터의 가스에 의한 전개 동작의 힘으로 조수석(3) 방향으로 기울면서 전개한다.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4)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운전석(2)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조수석(3)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함과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전개 개시 직후에 에어백 쿠션(41) 전체가 조수석(3) 측을 향하려고 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41)이 조수석(3)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4)
도 12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분(41a)을 차실(1)의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접음으로 하고, 제3 부분(41c)을 차실(1)의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롤 접음으로 하는 경우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백 쿠션(41)에 있어서, 제1 부분(41a)은 시계 반대 방향의 롤 접음이므로, 전개 개시 직후에 제3 부분(41c)가 차량(100)의 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부여한다. 제3 부분(41c)은 시계 방향의 롤 접음이므로, 인플레이터(42)로부터의 가스에 의한 전개 동작의 힘으로 조수석(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면서 전개한다.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4)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운전석(2)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조수석(3)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함과 동시에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제3 부분(41c)은 소정 정도 전개하고 나서 조수석(3)을 향한다. 따라서, 운전석(2) 및 조수석(3)의 폭 방향의 거리가 먼 경우에 있어서도 제3 부분(41c)이 조수석(3)의 전방 측에서 접촉하도록 에어백 쿠션(41)을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 내지 4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41)의 제1 부분(41a) 및 제3 부분(41c)의 접는 방법으로서 롤 형상으로 접는 방법을 나타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부분(41a) 및 제3 부분(41c)의 어느 하나 또는 전부를 벨로스 형상의 접는 법, 이른바 벨로스 접음을 할 수도 있다.
에어백 쿠션(41)의 접는 방법으로서 실시형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에어백 쿠션(41)의 제1 부분(41a), 제2 부분(41b), 제3 부분(41c)의 길이(도 4에 나타낸 전후 방향의 길이)나 각각의 길이의 비율을 어떠한 식으로 하는가는 각 차량에 따라 적절히 설계한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4)를 바닥면(10)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높이에 설치하는가도 각 차량에 따라 적절히 설계하는 사항이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4)를 운전석(2)에 설치하는 형태를 나타냈는데, 조수석(3)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석(2)에 설치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4)와 조수석(3)에 설치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4)는 서로 거울 형상 대칭 구조가 된다.
각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특징(구성 요건)은 서로 조합 가능하고, 조합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의미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며, 특허청구범위와 동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되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부가된 참조 부호는 청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부기(附記)한 것이다.
100 차량
1 차실
10 바닥면
2 운전석
22 등받이
3 조수석
4 사이드 에어백 장치
40 수납부
41 에어백 쿠션
41a 제1 부분
41b 제2 부분
41c 제3 부분
411 수용부
42 인플레이터

Claims (11)

  1. 차량(100)의 차실(1)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좌석(2)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에서 구속하는 에어백 쿠션(41)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4)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41)은,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42)를 수용하는 수용부(411)와,
    상기 에어백 쿠션(41)의 일방의 수평 방향의 단부부터 상기 수용부(411)의 근방까지 사이에서,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혀 있는 제1 부분(41a)과,
    상기 수용부(411)에서 보아, 상기 제1 부분(41a)과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접힌 상기 제1 부분(41a) 측으로 되접힌 제2 부분(41b)과,
    상기 제1 부분(41a)에 대하여 상기 수용부(411)와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제2 부분(41b)으로부터 더욱 연장하고,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혀 있는 제3 부분(41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411)는 상기 제2 부분(41b)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4).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411)는 상기 제1 부분(41a)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411)는 상기 제1 부분(41a)과 상기 제2 부분(41b)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4).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힌 상기 제2 부분(41b)은 접힌 상기 제1 부분(41a)의 상기 차실(1)의 중앙측을 덮도록 하고 있고,
    접힌 상기 제3 부분(41c)은 상기 제1 부분(41a)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411)는 상기 제1 부분(41a)의 접힌 부분보다도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팽창 전개 때에 상기 제3 부분(41c)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석(2)의 반대측 좌석(3)의 전방측에서 접촉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4).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41a)은 차실(1)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고,
    상기 제3 부분(41c)은 차실(1)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4).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41a)은 차실(1)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고,
    상기 제3 부분(41c)은 차실(1)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4).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41a)은 차실(1)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고,
    상기 제3 부분(41c)은 차실(1)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4).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41c)은 차실(1)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고,
    상기 제3 부분(41c)은 차실(1)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롤 형상으로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4).
  10. 차량(100)의 차실(1)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좌석(2)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에서 구속하는 에어백 쿠션(41)을 구비하는 에어백 장치(4)의 제조 방법으로서,
    팽창 전개용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42)를 수용하는 수용부(411)를 가지는 에어백 쿠션(41)을 준비하고,
    상기 수용부(411)로부터 연장하여 존재하는 제1 부분(41a)을, 상기 에어백 쿠션(41)의 일방의 수평 방향의 단부부터 상기 수용부(411)의 근방까지 사이에서,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고,
    상기 수용부(411)에서 보아 상기 제1 부분(41a)과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제2 부분(41b)을, 접힌 상기 제1 부분(41a) 측으로 되접고,
    상기 제1 부분(41a)에 대하여 상기 수용부(411)와 반대측으로 배치된 상기 제2 부분(41b)보다도 더욱 연장하는 제3 부분(41c)을,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어, 상기 제1 부분(41a)에 대하여 상기 수용부(411)의 반대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에어백 장치(4)의 제조 방법.
  11. 차량(100)의 차실(1)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좌석(2)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에서 구속하는 에어백 장치(4)의 전개 방법으로서,
    에어백 장치(4)의 에어백 쿠션(41)은,
    팽창 전개용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42)를 수용하는 수용부(411)와,
    상기 수용부(411)로부터 상기 차량(100)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전방측부터 상기 수용부(411)의 근방까지 사이에서,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혀 있는 제1 부분(41a)과,
    상기 수용부(411)에서 보아 상기 제1 부분(41a)과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수용부(411)의 상기 차량(100)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접힌 제2 부분(41b)과,
    해당 제2 부분(41b)에서 상기 전방으로 더욱 연장하고, 상기 전방에서 롤 형상 또는 벨로스 형상으로 접어, 상기 제1 부분(41a)보다도 상기 전방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3 부분(41c)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부분(41c)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석(2)에 대한 반대 좌석(3)의 상기 전방측에서 접촉하도록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에어백 장치(4)의 전개 방법.

KR1020200011521A 2019-02-12 2020-01-31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KR102340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2983 2019-02-12
JP2019022983 2019-02-12
JP2019233568A JP7406367B2 (ja) 2019-02-12 2019-12-24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方法
JPJP-P-2019-233568 2019-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399A true KR20200098399A (ko) 2020-08-20
KR102340676B1 KR102340676B1 (ko) 2021-12-17

Family

ID=6957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521A KR102340676B1 (ko) 2019-02-12 2020-01-31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25219B2 (ko)
EP (1) EP3696030B1 (ko)
KR (1) KR102340676B1 (ko)
CN (1) CN1115593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47B1 (ko) * 2018-08-07 2023-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KR102340676B1 (ko) * 2019-02-12 2021-12-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CN111976644B (zh) * 2019-05-21 2022-10-14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装置
CN113386700B (zh) * 2020-03-13 2023-01-31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装置的制造方法及安全气囊装置
JP7341116B2 (ja) * 2020-11-27 2023-09-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2133977A (ja) * 2021-03-02 2022-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FR3124455A1 (fr) * 2021-06-29 2022-12-30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Dossier de siège comprenant 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extérieur
US11628795B1 (en) * 2022-05-12 2023-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iddle console airba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490A (en) * 1997-06-13 1999-05-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ethod of folding an air bag
US20060157958A1 (en) * 2004-03-17 2006-07-20 Takata-Petri (Ulm) Gmbh Side airbag device
KR20100115947A (ko) 2009-04-21 2010-10-29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431801B1 (ko) * 2010-07-15 2014-08-19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자동차 내에 설치하기 위한 측면 에어백, 그러한 측면 에어백을 갖는 차량 좌석 및 자동차
JP6356788B2 (ja) * 2014-04-30 2018-07-1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0486B2 (ja) * 1991-08-06 1998-09-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前席乗員用保護装置
GB2322337B (en) * 1997-02-20 2001-03-1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thod of folding an air-bag
JP3903131B2 (ja) * 1997-08-29 2007-04-1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ーバッグ装置を備える車輌用シート
JP4155429B2 (ja) * 1999-04-06 2008-09-24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US6739622B2 (en) * 2001-03-30 2004-05-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of folding air bag
US7144032B2 (en) * 2003-09-09 2006-12-05 Autoliv Asp, Inc. Expandable pelvic side airbag
US20050134032A1 (en) * 2003-12-17 2005-06-23 Downing Drew G. Airbag folding method
JP4291687B2 (ja) * 2003-12-26 2009-07-0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両用の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4747716B2 (ja) * 2005-07-29 2011-08-1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7331402A (ja) * 2006-06-12 2007-12-27 Takata Corp 側突用エアバッグ、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車両用シート
US7770921B2 (en) * 2007-05-25 2010-08-10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for protection of a vehicle occupant
JP2010115947A (ja) 2008-11-11 2010-05-27 Toyota Motor Corp 車両用座席間エアバッグ装置
JP5126132B2 (ja) * 2009-03-19 2013-01-23 豊田合成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09042594B4 (de) * 2009-05-29 2020-07-23 Autoliv Development Ab Fahrzeugsitz mit einer in oder an der Rückenlehne montierten Seitengassack-Einheit
US8047564B2 (en) * 2009-09-02 2011-11-01 Tk Holdings Inc. Airbag
US8282126B2 (en) * 2010-10-13 2012-10-09 Tk Holding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JP5751587B2 (ja) * 2011-06-24 2015-07-22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8678430B2 (en) * 2011-06-24 2014-03-25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and airbag folding method
EP2567870B1 (en) * 2011-09-09 2015-03-25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seat with an airbag unit
KR101743650B1 (ko) * 2011-09-20 2017-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쿠션
JP5724909B2 (ja) * 2012-03-09 2015-05-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2653352B1 (en) * 2012-04-16 2016-11-30 Volvo Car Corporation Airbag arrangement
DE102013216178A1 (de) * 2012-09-19 2014-03-20 Lear Corporation Airbag-Modul für eine Fahrzeugsitzbaugruppe
JP5949791B2 (ja) * 2014-01-14 2016-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6182221B2 (ja) * 2014-01-27 2017-08-1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02014010188B4 (de) * 2014-07-10 2024-02-22 Autoliv Development Ab Knieschutz-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und Kniegassackmodul zur Verwendung in einer solchen Knieschutz-Einrichtung
EP2979933B1 (en) * 2014-07-29 2018-06-20 Toyoda Gosei Co., Ltd. Far-side aribag apparatus
JP6458321B2 (ja) * 2015-08-27 2019-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17143010A1 (en) * 2016-02-16 2017-08-24 Tk Holdings Inc. Center side airbag module
JP6432547B2 (ja) * 2016-03-02 2018-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688232B1 (en) * 2016-04-05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bag system for rear seat center occupant protection
JP6846191B2 (ja) * 2016-12-19 2021-03-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810281B2 (ja) * 2017-11-02 2021-01-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340676B1 (ko) * 2019-02-12 2021-12-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JP7406367B2 (ja) * 2019-02-12 2023-12-2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方法
US10926735B2 (en) * 2019-04-02 2021-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side airbag
CN111976644B (zh) * 2019-05-21 2022-10-14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装置
EP3808610B1 (en) * 2019-10-18 2021-11-03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US11130463B2 (en) * 2020-01-14 2021-09-28 Autoliv Asp, Inc. Forked far-side airbag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490A (en) * 1997-06-13 1999-05-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ethod of folding an air bag
US20060157958A1 (en) * 2004-03-17 2006-07-20 Takata-Petri (Ulm) Gmbh Side airbag device
KR20100115947A (ko) 2009-04-21 2010-10-29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431801B1 (ko) * 2010-07-15 2014-08-19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자동차 내에 설치하기 위한 측면 에어백, 그러한 측면 에어백을 갖는 차량 좌석 및 자동차
JP6356788B2 (ja) * 2014-04-30 2018-07-1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676B1 (ko) 2021-12-17
EP3696030B1 (en) 2022-03-30
EP3696030A1 (en) 2020-08-19
CN111559338A (zh) 2020-08-21
US20200254960A1 (en) 2020-08-13
US11225219B2 (en) 2022-01-18
CN111559338B (zh)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676B1 (ko)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US11833990B2 (en)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KR102363546B1 (ko) 에어백 장치
JP7406367B2 (ja)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方法
JP2014184805A (ja) 自動車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0052619A (ja) エアバッグ装置
EP3812221B1 (en) Side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provided therewith
KR102460804B1 (ko)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
JP2010052620A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20080050A1 (ja) 乗員拘束装置
CN113386700B (zh) 安全气囊装置的制造方法及安全气囊装置
JP7372862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130856B2 (ja) 後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922677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614251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WO2024042943A1 (ja) 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WO2024018877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JP2024030436A (ja) 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WO2020054207A1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9006861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