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546B1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546B1
KR102363546B1 KR1020200053537A KR20200053537A KR102363546B1 KR 102363546 B1 KR102363546 B1 KR 102363546B1 KR 1020200053537 A KR1020200053537 A KR 1020200053537A KR 20200053537 A KR20200053537 A KR 20200053537A KR 102363546 B1 KR102363546 B1 KR 10236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at
cushion
airbag device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151A (ko
Inventor
코바야시 유토
사꾸라이 츠또무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51510A external-priority patent/JP7372862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00134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1/262Elongated tubular diffusers, e.g. curtain-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인플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제어 가능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차실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제1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으로부터 구속하는 에어백 장치로서, 팽창 전개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으로 전개하는 수평부(41d)와, 상기 수평부(41d)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방향으로 전개하는 돌출부(41e)를 구비하는 쿠션(41)과, 상기 쿠션(41)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으로 개구하며, 상기 차량의 하방향을 폐쇄하고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폐쇄된 디퓨저와, 제1 좌석에 고정되어 상기 디퓨저의 내부에 배치된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4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BA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에어백 장치가 장비되어 있다. 에어백은 차량 충돌 등 긴급 시에 작동하는 안전 장치로서, 가스 압력으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받아내어 보호한다. 에어백에는 설치 장소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전후 방향으로부터의 충돌에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핸들 중앙에는 프론트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 충돌 또는 그것에 이어져 발생하는 횡전으로부터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벽부의 천장 부근으로부터 사이드 윈도를 따라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 좌석의 측부로부터 승차인의 바로 옆으로 팽창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에어백에는 측면 충돌 등 때에 운전 좌석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조수석 옆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특개2010-115947호 공보
에어백 내부에는 충돌 사고 등이 발생했을 경우에 가스를 급속하게 방출하는 인플레이터가 배치되어 있다. 에어백은 인플레이터로부터 방출된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한다. 그러나 차량의 사이즈, 에어백을 설치하는 장소 및 에어백의 형상에 의해서는 이와 같은 팽창 전개로는 승차인을 충돌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승차인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차실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제1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으로부터 구속하는 에어백 장치로서, 팽창 전개한 상태로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으로 전개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방향으로 전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쿠션과, 상기 쿠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으로 개구하며 상기 차량의 하방향은 폐쇄하고,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폐쇄된 디퓨저와, 제1 좌석에 고정되고 상기 디퓨저의 내부에 배치된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다.
본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사하는 가스는 디퓨저를 개재하여 쿠션 내부에 유출한다. 디퓨저의 개구부의 치수와 형상을 적절히 결정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의 전개가 너무 급격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쿠션 전체가 적절한 형태로 전개함으로써 에어백 장치는 승차인을 충분히 보호 가능하다.
에어백 장치의 상기 디퓨저는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서 개구한다.
에어백 장치의 상기 디퓨저는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 양단에서는 전 길이에 걸쳐 개구하고, 상기 차량의 상방향 및 하방향은 각각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한 튜브 형상이다.
에어백 장치의 상기 디퓨저는 상기 차량의 수평방향으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사된 가스가 분출 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주머니 형상이다.
에어백 장치의 상기 디퓨저는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 일방의 단부에서는 전 길이에 걸쳐 또는 일부에서 개구하고, 수평 방향의 타방 단부에서는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하며, 상기 차량의 상방향 및 하방향에서는 각각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한 주머니 형상이다.
본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쿠션은 먼저 수평 방향을 향하여 고속 전개한다. 따라서,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복부부터 흉부에 걸친 부분을 신속하게 구속하여 보호 가능하다.
에어백 장치의 상기 디퓨저는 상기 차량의 상방향 및 수평 방향의 양단부의 세 군데에서 개구한다.
본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쿠션은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의 양방을 향하여 밸런스 좋게 전개한다. 따라서,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상반신을 적절하게 구속하여 보호 가능하다.
에어백 장치의 상기 쿠션은 상기 인플레이터를 상기 차량 실내의 구조체에 고정하는 스터드 볼트(stud bolt)가 삽입 통과되는 삽통 구멍을 가진다.
본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인플레이터는 스터드 볼트에 의해 골격 프레임에 강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승차인을 충분히 보호 가능한 에어백 장치를 제공 가능하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부를 대략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부를 대략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III-III선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쿠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쿠션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쿠션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패널과 정류 시트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인플레이터를 배치한 상태에서의 도 8의 IX-IX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쿠션의 전개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쿠션의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2의 제1 패널과 정류 시트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3의 제1 패널과 정류 시트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4의 제1 패널과 정류 시트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5의 제1 패널과 정류 시트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6의 쿠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차량의 '상', '하', '상하' 방향이란 차량의 천장 중심과 바닥 중심을 연결하는 선상에서의 방향을 나타내고, 천장을 향하는 방향을 '상'이라고 하고, 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하'라고 한다. 또한 차량의 '전', '후', '전후' 방향이란 차량의 전진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차량의 후진 방향을 '후' 방향이라고 한다. 나아가 차량의 폭 방향이란 통상의 좌석이 나열되어 배치되는 방향이며, 상기한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운전석에 대하여 반대 좌석이란 조수석을 가리킨다. 조수석에 대하여 반대 좌석이란 운전석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좌석 및 해당 좌석의 반대 좌석이라고 기재한 경우, 좌석이 운전석인 경우, 반대 좌석은 조수석이다. 한편, 좌석이 조수석인 경우, 반대 좌석은 운전석이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에어백 장치(4)를 구비하는 차량 내부를 대략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장치(4)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에어백 장치(4)를 구비하는 차량 내부를 대략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도 2에는 차실(1)의 바닥면(10) 위에 설치된 제1 좌석(운전석)(2)과, 제1 좌석과 인접하는 제2 좌석(조수석)(3)과 시트 벨트(5)가 나타나 있다. 운전석(2)은 좌석부(21)와 해당 좌석부(21)의 후방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일어나는 등받이(2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에어백 장치(4)는 차량(100)의 차실(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석(2)의 등받이(22)의 조수석(3) 측의 측면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의한 에어백 장치(4)의 단면도이다. 본 도의 상하는 차량(100)의 전후에 대응한다. 에어백 장치(4)는 수납부(40) 내에 수납된 쿠션(41)과 인플레이터(42)를 구비한다.
쿠션(41)은 예를 들어, 나일론 섬유 등의 고강도 섬유를 짜서 강화된 직물제 주머니체로서, 롤 형상으로 접혀 수납부(40)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 쿠션(41)의 형상 및 접는 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플레이터(42)는 스터드 볼트(421)에 의해 수납부(40)의 바닥 판을 사이에 두고 등받이(22)의 골격 프레임(23)에 고정되어 있다. 골격 프레임(23)은 차실(1) 내에 설치된 구조체의 일례이다. 인플레이터(42)는 쿠션(41)의 내부에 팽창 전개용 가스를 분사 가능하게 격납되어 있다.
수납부(40)는 일면이 개구된 상자체로서, 등받이(22)의 골격 프레임(23)에 스터드 볼트(43) 및 상술한 스터드 볼트(42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수납부(40)의 개구부는 조수석(3) 측을 향하고 있고, 운전석(2)의 측면과 면 사이가 평평함을 이루는 커버판(44)으로 덮여 있다. 커버판(44)은 수납부(40)보다도 저강도의 수지제 판이다. 커버판(44)의 전방부에는 상하 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 개열 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쿠션(41)은 차량(100) 충돌시에 인플레이터(42)의 분사 가스 작용에 의해 팽창하고, 개열 홈(45)을 파단하여 측방을 향하여 전개한다. 도 3에 나타내는 개열 홈(45)은 커버판(44)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커버판(44)의 내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도 4는 쿠션(41)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팽창 때의 쿠션(41)을 나타내고 있다. 쿠션(41)은 차량(100)의 수평 방향으로 전개하는 수평부(41d)와, 수평부(41d)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차량(100)의 상방향으로 전개하는 돌출부(41e)를 가진다.
쿠션(41)은 평면에서 보아 볼록 형상을 이루는 제1 패널(481) 및 제2 패널(482) 두 장의 패널(48)을, 차량 폭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게 한 거싯(gusset)부를 개재하여 접합한 것이다. 거싯부는 패널(48) 상부를 접합하는 제1 거싯부(441)와, 패널(48) 하부를 접합하는 제2 거싯부(442)를 포함한다.
제1 패널(481)의 내부면에 정류 시트(49)가 설치되어 있다. 정류 시트(49)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패널(481)과 정류 시트(49) 사이에 실린더 형상(통 형상)의 인플레이터(4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패널(481)과 정류 시트(49)에 의해 인플레이터(42)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의 흐름을 조정하는 디퓨저(491)(도 9 참조)가 형성된다.
제1 패널(481)에는 스터드 볼트(421)가 삽입 통과되는 삽통 구멍(4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삽통 구멍(412)이 두 개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데, 삽통 구멍(412)은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이어도 된다.
인플레이터(42)는 차량(100) 충돌 등 긴급 시에 동작하고, 쿠션(41)의 내부에 가스를 분사한다. 쿠션(41)은 인플레이터(42)의 분사 가스의 작용에 의해 폭발적으로 팽창한다. 쿠션(41)의 팽창 압력은 수납부(40)의 바닥판을 지지로 하여 커버판(44)에 작용한다. 쿠션(41)은 개열 홈(45)을 파단하고 수납부(40)의 외부로 팽창 전개한다. 또한 이하, 팽창 전개를 단순히 전개라고도 한다.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쿠션(41)의 수평부(41d)를 개념적으로 세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인플레이터(42)가 배치되는 위치를 경계로 하여 주로 제1 좌석(운전석) 위에서 팽창 전개하는 부분을 제1 부분(41a), 인플레이터(42)와 반대측의 제2 좌석(조수석)의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여 주로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1e)의 하방 부분을 제2 부분(41b), 제2 부분(41b)으로부터 한층 더 제2 좌석(조수석)을 향하여 연장하는 부분을 제3 부분(41c)이라고 한다. 제1 부분(41a), 제2 부분(41b) 및 제3 부분(41c)은 개념적인 구분이다. 제1 부분(41a)과 제2 부분(41b)의 경계 및 제2 부분(41b)과 제3 부분(41c)의 경계는 엄밀한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은 쿠션(41)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쿠션(41)을 평판 형상으로 접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 형상의 돌출부(41e)의 볼록 부분은 쿠션(41)의 내측으로 접힌다. 또한 도면의 표리 방향으로 접어도 된다. 쿠션(41)의 바닥 부분도 볼록 부분과 동일하게 내측으로 접거나 도면의 표리 방향으로 접는다. 쿠션(41)은 도 5A의 형태로부터 도 5B의 형태가 된다.
도 6은 쿠션(41)을 수납하기 위한 접는 법을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는 정류 시트(49)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6은 평판 형상으로 접은 쿠션(41)을 세운 상태로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상술한 것처럼 인플레이터(42)가 제1 패널(481)과 정류 시트(49)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41)의 제1 부분(41a)을 롤 형상으로 접는다. 접는 방향은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이 되도록 접는다. 이하, 이와 같은 접는 법을 '시계 방향의 롤 접기'라고 한다.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분(41b)을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되접는다. 접힌 제1 부분(41a)의 좌측은 제2 부분(41b)에 의해 덮인다.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부분(41c)을 롤 형상으로 접는다. 접는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 되도록 접는다. 이하, 이와 같은 접는 법을 '반시계 방향의 롤 접기'라고 한다.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쿠션(41)은 제1 부분(41a)이 제3 부분(41c)과 인플레이터(42)에 끼인 상태가 된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쿠션(41)은 제3 부분(41c)이 차량 전방으로 인플레이터(42)가 차량 후방이 되도록, 좌석의 등받이(22)의 측면부에 수납된다. 쿠션(41)은 인플레이터(42)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421)에 의해 수납부(40)에 고정된다. 또한 커버판(44)으로 쿠션(41) 및 수납부(40)는 덮인다.
도 7은 쿠션(41)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에 있어서는 결합 전의 제1 패널(481), 제2 패널(482), 정류 시트(49), 제1 거싯부(441) 및 제2 거싯부(442)를 각각 쿠션(41)의 표면측으로부터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1 패널(48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수평 형성부(46)와, 수평 형성부(46)의 긴 변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돌출 형성부(47)를 포함한다. 제1 패널(481)에는 수평 형성부(46)의 짧은 변 방향으로 나열된 두 개의 삽통 구멍(412)이 설치되어 있다. 정류 시트(49)는 직사각형이다. 제2 패널(482)은 제1 패널(481)을 뒤집은 형상이다. 제1 거싯부(441) 및 제2 거싯부(442)는 타원형 형상이다.
정류 시트(49)는 제1 패널(481)의 뒷면에 후술한 것처럼 설치된다. 수평 형성부(46)의 짧은 변은 각각 제2 패널(482)에 대응하는 변과 접합된다. 수평 형성부(46)의 긴 변 및 그것에 연속하는 돌출 형성부(47)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제2 패널(482)의 변은 제1 거싯부(441)와 접합된다. 수평 형성부(46)의 일방의 긴 변 및 대응하는 제2 패널(482)의 변은 제2 거싯부(442)와 접합된다. 이상에 의해, 제1 패널(481), 제2 패널(482), 제1 거싯부(441) 및 제2 거싯부(442)는 주머니 형상으로 접합된다. 각각의 접합에는 예를 들어 재봉, 접착 또는 용착 등의 임의의 접합 수단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 쿠션(41)의 구성은 일례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여러 개의 부재가 연속하여 하나의 부재가 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하나의 부재가 여러 개의 부재로 나뉘어도 된다. 제1 패널(481) 형상과 제2 패널(482) 형상은 상이해도 된다.
도 8은 제1 패널(481)과 정류 시트(49)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패널(481)을 내측에서 본 도이다. 수평 형성부(46)에 정류 시트(49)가 변의 방향을 같게 하여 겹쳐져 있다. 정류 시트(49) 가장자리의 굵은 파선은 정류 시트(49)를, 예를 들어 재봉 등의 임의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제1 패널(481)에 고정한 부분을 의미한다. 정류 시트(49)는 수평 형성부(46)의 긴 변에 평행한 두 변을 따라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패널(481)과 정류 시트(49) 사이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인플레이터(42)가 배치된다. 도 9는 디퓨저(491)를 나타내고, 인플레이터(42)를 배치한 상태에서의, 도 8의 IX-IX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인플레이터(42)는 제1 패널(481)과 정류 시트(49) 사이에 끼여 있다. 도 10은 도 8의 X-X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정류 시트(49)는 가장자리에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정류 시트(49)와 제1 패널(481)에 의해 쿠션(41)의 내부에 디퓨저(491)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디퓨저(491)는 차량(100)의 수평 방향 양단부에서는 전 길이에 걸쳐 개구하고, 차량(100)의 상방향 및 하방향에서는 각각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한 튜브 형상이다. 본 실시형태의 디퓨저(491)는 쿠션(41)의 돌출부(41e)와 인플레이터(42) 사이를 막고 있다.
도 8 중의 굵은 화살표는 디퓨저(491)의 외부로 유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나타낸다. 디퓨저(491)는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 개구하고 있다. 디퓨저(491)로부터 유출된 가스는 디퓨저(491)와 제2 패널(482)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여 쿠션(41)의 내부 전체에 충만하다. 다시 말해, 디퓨저(491)로부터 유출된 가스에 의해 쿠션(41)이 전개한다.
도 11은 쿠션(41)의 전개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차실(1)의 상방에서 본 도이다. 도 11A는 전개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B는 전개 개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전개 개시 후, 제1 부분(41a)은 차실(1)의 상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의 롤 접기이므로, 전개하면서 제3 부분(41c)을 좌측 전방으로 밀어내려고 한다. 제1 부분(41a)에 의한 힘은 제3 부분(41c)을 조수석(3)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힘이 된다. 제3 부분(41c)은 차실(1)의 상방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의 롤 접기이므로, 제1 부분(41a)에 의한 힘과 합쳐 접혀 있는 상태로부터 전개하는 힘에 의해 조수석(3) 방향으로 기울면서 전개한다. 한편, 제2 부분(41b)은 인플레이터(42)로부터의 가스에 의한 전개 동작의 힘으로 조수석(3) 방향, 다시 말해 좌측 방향으로 기울면서 전개한다. 한편, 제1 부분(41a)은 시계 방향의 롤 접기이므로, 접혀 있는 상태로부터 전개하는 힘에 의해 차실(1)의 우측 방향으로 기울면서 전개한다. 그 때문에 쿠션(41)의 상태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V자 형상이 된다.
도 11C는 쿠션(41)이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쿠션(41)이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차실(1)의 전방에서 본 도이다. 도 11C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한 상태에서의 쿠션(41)에 있어서, 제3 부분(41c)은 조수석(3)에 얹어지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운전석(2)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조수석(3)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해진다. 또한 쿠션(41)의 구속 위치가 고정됨과 동시에 조수석(3)의 시트로부터의 반력도 이용하여 승차인이 받는 충돌의 충격력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시트(49)는 쿠션(41)이 전개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의 일방 단부(492)가 운전석(2) 위에 배치되고, 타방의 단부(493)가 조수석(3)에 도달 가능한 수평 방향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정류 시트(49)의 수평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디퓨저(491)의 개구부도 쿠션(41)의 전개시에 조수석(3)까지 도달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쿠션(41)이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출된 가스는 정류 시트(49)가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통과한다.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출된 가스가 쿠션(41)의 돌출부(41e)에 직접 향하는 것은 디퓨터(491)에 의해 방해받고 있다.
그 때문에 차량(100)의 상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분의 전개는 조수석(3) 방향으로의 전개에 비해 근소하게 늦다. 따라서, 가령 조수석(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이 OOP(Out Of Position : 비정규 착석 자세)라고 해도 전개하는 도중의 쿠션(41)과 강하게 간섭함으로써 해당 승차인의 머리부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비정규 착석 자세의 승차인의 보호 정도를 평가하는 이른바 OOP 시험에 있어서, 양호한 성적을 나타내는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쿠션(41)은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출된 가스에 의해 먼저 수평 방향을 향하여 고속 전개한다. 따라서, 운전석(2)이나 조수석(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복부부터 흉부에 걸친 부분을 신속하게 구속하여 보호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정류 시트(49)는 양방의 긴 변의 전 길이에 걸쳐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쿠션(41)을 접을 시에 정류 시트(49)가 어긋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쿠션(41)을 소정 형상으로 접기 쉬운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사된 가스는 디퓨저(491)에 의해 정류되어 쿠션(41)을 전개한다. 디퓨저(491)의 내면을 형성하는 부분 이외에는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사된 가스에 의한 직격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쿠션(41)의 내성이 높고 다시 말해,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사된 가스에 의한 쿠션(41)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려운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 쿠션(41)의 접는 방법은 일례이다. 제1 부분(41a) 및 제3 부분(41c)의 일방 또는 양방을 사복상(蛇腹狀) 접기, 이른바 벨로스(Bellows)상 접기를 해도 된다. 제1 부분(41a) 및 제3 부분(41c)의 일방 또는 양방을 도 6과는 반대 방향으로 감아도 된다.
쿠션(41)의 접는 방법의 선택, 쿠션(41)의 제1 부분(41a), 제2 부분(41b), 제3 부분(41c)의 길이(도 4에 나타낸 전후 방향의 길이)나 각각의 길이의 비율, 돌출부(41e)의 위치 및 돌출부(41e)의 수평 방향의 길이를 어떻게 하는지도 차량에 따라 적절히 설계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4)를 바닥면(10)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높이로 설치하는지도 차량에 따라 적절히 설계하는 사항이다.
에어백 장치(4)를 운전석(2)에 설치하는 형태를 나타냈는데, 조수석(3)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운전석(2)에 설치하는 에어백 장치(4)와 조수석(3)에 설치하는 에어백 장치(4)는 서로 거울 형상 대칭 구조가 된다.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에어백 장치(4)는 수납부(40)에 수납되어 있는 것으로 서술해 왔는데, 이 수용부가 없고 등받이(22)의 골격 프레임(23)에 직접적으로 설치 고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 등받이(22)의 시트 패드 부분에 개열부를 설치해두고, 팽창하는 쿠션(41)이 해당 시트 패드를 밀어내는 것처럼 전개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정류 시트(49)가 세 변에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4)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실시형태 2의 제1 패널(481)과 정류 시트(49)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정류 시트(49)는 수평 형성부(46)의 긴 변에 평행한 두 변과, 수평 형성부(46)의 짧은 변에 근접하는 한 변의 합계 세 변을 따라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정류 시트(49)와 제1 패널(481)에 의해 차량(100)의 수평 방향의 일방 단부에서는 상하 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 개구하고, 수평 방향의 타방의 단부에서는 상하 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하며, 차량(100)의 상방향 및 하방향에서는 각각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한 주머니 형상의 디퓨저(49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쿠션(41)이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출된 가스가 쿠션(41)의 돌출부(41e)로 직접 향하는 것은 디퓨저(491)에 의해 방해받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쿠션(41)이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출된 가스에 의해 조수석(3) 측이 먼저 전개한다. 쿠션(41)의 조수석(3) 측의 부분이 승차인 및 시트와 당접한 상태에서 운전석(2) 및 상방 부분이 전개한다. 에어백 장치(4)로부터 비교적 먼 조수석 측이 먼저 전개함으로써, 조수석(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을 신속하게 보호하면서 운전석(2)에 착석하는 승차인도 적절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정류 시트(49)는 수평 형성부(46)의 긴 변에 평행한 두 변과, 수평 형성부(46)의 짧은 변으로부터 떨어진 한 변의 합계 세 변을 따라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쿠션(41)이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출된 가스에 의해 운전석(2) 측이 먼저 전개한다. 쿠션(41)의 운전석 측 부분이 승차인 및 시트와 당접한 상태로 조수석(3) 측 및 상방 부분이 전개한다. 이것에 의해 조수석(3)에 착석하는 승차인의 유무에 관계없이 쿠션(41)의 운전석(2) 측의 전개 상태에 재현성이 있는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는 정류 시트(49)가 상하 두 변과, 남은 한 변의 일부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4)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실시형태 3의 제1 패널(481)과 정류 시트(49)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정류 시트(49)는 수평 형성부(46)의 긴 변에 평행한 두 변과, 수평 형성부(46)의 짧은 변과 근접하는 한 변의 상부를 따라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100)의 수평 방향으로 인플레이터(42)로부터 분사된 가스가 분출 가능한 개구를 수평 방향의 두 곳에 가지는 디퓨저(491)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형태의 디퓨저(491)는 차량(100)의 수평 방향의 일방 단부(운전석(2) 측 단부)에서는 상하 방향의 일부가 개구하고, 수평 방향의 타방의 단부(조수석(3) 측의 단부)에서는 상하 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 개구하고, 차량(100)의 상방향 및 하방향에서는 각각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쿠션(41)이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출된 가스에 의해 조수석(3) 측 및 운전석(2) 측의 하측부가 먼저 전개한다. 이것에 의해 운전석(2)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복부를 전개 초기부터 중점적으로 보호 가능한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동시에 조수석(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에 대해서도 조기에 보호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류 시트(49)는 수평 형성부(46)의 긴 변에 평행한 두 변과, 수평 형성부(46)의 짧은 변으로부터 떨어진 한 변의 상부를 따라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정류 시트(49)는 수평 형성부(46)의 긴 변에 평행한 두 변과, 수평 형성부(46)의 짧은 변과 근접하는 한 변의 하부를 따라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정류 시트(49)는 수평 형성부(46)의 긴 변에 평행한 두 변과, 수평 형성부(46)의 짧은 변으로부터 떨어진 한 변의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을 따라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는 다각형(이 경우에는 육각형)의 정류 시트(49)를 가지는 에어백 장치(4)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실시형태 4의 제1 패널(481)과 정류 시트(49)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정류 시트(49)는 두 개의 사변과, 사변과 인접하지 않는 한 변을 따라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100)의 상방향 및 수평 방향 양단부의 합계 세 군데에 인플레이터(42)로부터 분사된 가스가 분출 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디퓨저(491)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인플레이터(42)로부터 분사된 가스는 디퓨저(491)로부터 세 방향으로 유출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쿠션(41)이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차량(100)의 상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분의 인플레이터(42)에 가까운 운전석(2)에 가까운 부분이 먼저 전개하고, 그 다음 조수석(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머리부를 향하여 전개한다. 따라서, 전개 도중인 쿠션(41)에 의해 운전석(2)의 승차인 머리부를 전개 초기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됨과 동시에 조수석(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머리부를 조기에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는 정류 시트(49)가 상하 두 변에서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고, 상변의 일부에 개구 부분을 가지는 에어백 장치(4)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과 공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실시형태 5의 제1 패널(481)과 정류 시트(49)의 접합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정류 시트(49)는 수평 형성부(46)의 긴 변에 팽행한 두 변 중 돌출 형성부(47)에 가까운 변, 다시 말해 상변은 일부분을 제외하고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다. 타방의 변, 다시 말해 하변은 전 길이에 걸쳐 제1 패널(481)에 고정되어 있다. 돌출 형성부(47) 측의 긴 변의 일부는 개구하고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100)의 수평 방향의 양단부에서는 전 길이에 걸쳐 개구하고, 차량(100)의 상방향에 있어서는 일부가 개구하고 남은 부분이 폐쇄하며, 하방향에서는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한 디퓨저(49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쿠션(41)이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플레이터(42)로부터 방출된 가스의 일부가 돌출부(41e)를 신속하게 전개시킨다. 정류 시트(49)의 상변 개구부의 길이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돌출부(41e)의 전개 속도를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운전석(2)이나 조수석(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상반신 및 머리부를 적절히 보호 가능한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는 정류 시트(49) 대신에 쿠션 내에서 독립한 튜브 형상의 디퓨저(494)를 사용하는 에어백 장치(4)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과 공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실시형태 6의 쿠션(41)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방향은 차량(100)에 있어서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전개시의 쿠션(41)을 나타내고 있다. 쿠션(41)의 내부에 독립된 튜브 형상의 디퓨저(494)가 개구부를 전후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디퓨저(494)의 내측에 인플레이터(42)가 배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42)로부터 연장하여 두 개의 스터드 볼트(421)가, 디퓨저(494)에 설치된 구멍과, 쿠션(41)에 설치된 삽통 구멍(412)을 관통하고 쿠션(4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디퓨저(494)는 스터드 볼트(421)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인플레이터(42)보다도 전방측 및 후방측에 있어서는, 디퓨저(494)는 다른 부재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쿠션(41)이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8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디퓨저(494)가 변형 가능한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접은 쿠션(41)이 풀리는 과정에서, 인플레이터(42)로부터 분사된 가스가 경사진 방향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조수석(3)에 착석한 승차인이 다소 앞으로 굽힌 자세를 하고 있는 경우에도 보호 가능한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디퓨저(494)와 제1 패널(481)을 봉합, 접착 또는 용착 등의 수단으로 접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한 에어백 장치(4)를 제공 가능하다.
각 실시형태에서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특징(구성 요건)은 서로 조합 가능하고,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 6에 있어서 디퓨저(494)는 실시형태 1에 기재한 정류 시트(49)와 동일하게 쿠션(41)이 전개한 상태로 수평 방향의 단부가 조수석(3)에 도달 가능한 수평 방향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디퓨저(494)의 수평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도 쿠션(41)의 전개시에 조수석(3)까지 도달한다. 실시형태 2 내지 5에 기재한 정류 시트(49)도 동일하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의미가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00 차량
1 차실
10 바닥면
2 운전석
21 좌석부
22 등받이
23 골격 프레임
3 조수석
4 에어백 장치
40 수납부
41 쿠션
41a 제1 부분
41b 제2 부분
41c 제3 부분
41d 수평부
41e 돌출부
412 삽통 구멍
42 인플레이터
421 스터드 볼트
43 스터드 볼트
44 커버판
441 제1 거싯부
442 제2 거싯부
45 개열 홈
46 수평 형성부
47 돌출 형성부
48 패널
481 제1 패널
482 제2 패널
49 정류 시트
491 디퓨저
492 일방의 단부
493 타방의 단부
494 독립 튜브 형상 디퓨저(디퓨저)
5 시트 벨트

Claims (9)

  1. 차량의 차실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제1 좌석에 착석하는 승차인을 측방으로부터 구속하는 에어백 장치로서,
    팽창 전개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으로 전개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상방향으로 전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쿠션과,
    상기 쿠션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으로 개구하고, 상기 차량의 하방향은 폐쇄하고, 상기 돌출부를 향하는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폐쇄된 디퓨저와,
    제1 좌석에 고정되어, 상기 디퓨저의 내부에 배치된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디퓨저는 상기 쿠션을 먼저 수평 방향을 향해 전개시켜 승차인을 구속하여 보호하도록,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가스를 상기 인플레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공급하는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서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의 양단부에서는 상하 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 개구하고, 상기 차량의 상방향 및 하방향에서는 각각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한 튜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사된 가스가 분출 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주머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차량의 수평 방향의 일방의 단부에서는 상하 방향의 전 길이에 걸치거나 또는 일부에서 개구하고, 수평 방향의 타방의 단부에서는 상하 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하고, 상기 차량의 상방향 및 하방향에서는 각각 전 길이에 걸쳐 폐쇄한 주머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차량의 상방항 및 수평 방향의 양단부의 세 군데에서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이 전개한 상태에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수평 방향의 일방의 단부가 제1 좌석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 방향의 타방의 단부가 제1 좌석과 서로 이웃하는 제2 좌석에 도달 가능하도록 한 수평 방향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석은 운전석이고, 상기 제2 좌석은 조수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인플레이터를 상기 차실 내의 구조체에 고정하는 스터드 볼트가 삽입 통과되는 삽통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200053537A 2019-05-21 2020-05-06 에어백 장치 KR102363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95477 2019-05-21
JPJP-P-2019-095477 2019-05-21
JP2020051510A JP7372862B2 (ja) 2019-05-21 2020-03-23 エアバッグ装置
JPJP-P-2020-051510 2020-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51A KR20200134151A (ko) 2020-12-01
KR102363546B1 true KR102363546B1 (ko) 2022-02-17

Family

ID=7077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537A KR102363546B1 (ko) 2019-05-21 2020-05-06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04289B2 (ko)
EP (1) EP3741629B1 (ko)
KR (1) KR102363546B1 (ko)
CN (1) CN1119766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47B1 (ko) * 2018-08-07 2023-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KR102340676B1 (ko) * 2019-02-12 2021-12-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CN113386700B (zh) * 2020-03-13 2023-01-31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装置的制造方法及安全气囊装置
US11491946B2 (en) * 2020-05-01 2022-11-08 Ashimori Industry Co., Ltd. Side airbag device
JP7341116B2 (ja) * 2020-11-27 2023-09-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3863A (ja) * 2012-05-09 2013-11-21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16078507A (ja) 2014-10-10 2016-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170274863A1 (en) 2016-03-24 2017-09-28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5633B2 (ja) * 2003-01-31 2009-06-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966576B1 (en) * 2003-02-05 2005-11-22 Greenstein Vincent M Airbag restraint system
US8702122B2 (en) * 2007-09-16 2014-04-22 Toyota Motor East Japan, Inc. Airbag
JP2010115947A (ja) 2008-11-11 2010-05-27 Toyota Motor Corp 車両用座席間エアバッグ装置
KR101090051B1 (ko) 2009-04-21 2011-12-07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8047564B2 (en) * 2009-09-02 2011-11-01 Tk Holdings Inc. Airbag
DE102010027401B4 (de) * 2010-07-15 2022-05-12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gassack mit seitlicher Abstützung
DE102011113922A1 (de) * 2011-09-21 2013-03-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irbag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Verfahren zum Überführen eines Airbags der Airbagvorrichtung in einen kompakten Zustand und Fahrzeug mit der Airbagvorrichtung
DE102012008391A1 (de) * 2012-04-26 2013-10-31 Trw Automotive Gmbh Fahrzeuginsassenschutzsystem
WO2015075984A1 (ja) * 2013-11-21 2015-05-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97777B2 (ja) * 2014-10-10 2017-09-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351092B2 (en) * 2015-03-06 2019-07-16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apparatus
KR101708213B1 (ko) * 2015-07-22 2017-02-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측면 충돌용 에어백
KR101739857B1 (ko) * 2015-11-19 2017-05-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측면 충돌용 에어백
KR101781387B1 (ko) * 2016-04-15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6658585B2 (ja) * 2017-02-03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6856482B2 (ja) * 2017-09-20 2021-04-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717405B2 (en) * 2018-03-19 2020-07-21 Rivian Ip Holdings, Llc Airbag arrangement for protection in a far-side vehicular crash
KR102340676B1 (ko) * 2019-02-12 2021-12-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JP7221773B2 (ja) * 2019-04-12 2023-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3863A (ja) * 2012-05-09 2013-11-21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16078507A (ja) 2014-10-10 2016-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170274863A1 (en) 2016-03-24 2017-09-28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76644B (zh) 2022-10-14
KR20200134151A (ko) 2020-12-01
EP3741629A1 (en) 2020-11-25
US20200369232A1 (en) 2020-11-26
EP3741629B1 (en) 2022-06-29
CN111976644A (zh) 2020-11-24
US11104289B2 (en)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546B1 (ko) 에어백 장치
KR101708213B1 (ko) 측면 충돌용 에어백
JP6373547B2 (ja) 乗員拘束システム
EP3028904B1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KR100967685B1 (ko) 에어백 장치
JP4846595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340676B1 (ko)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JP4420067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8388019B2 (en) Airbag module
JP6940627B2 (ja) 乗員保護装置
JP744993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JP2009006860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2020062960A (ja) 乗員保護装置
JP7406367B2 (ja)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方法
US20210261086A1 (en) Side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CN114763120A (zh) 乘员约束系统
JP7180456B2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シート構造
KR102460804B1 (ko)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
JP7372862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30276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7149178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549577B2 (ja)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505279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11549375B2 (en) Airbag device
CN114074632A (zh) 远侧气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