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650B1 - 사이드 에어백 쿠션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650B1
KR101743650B1 KR1020110094755A KR20110094755A KR101743650B1 KR 101743650 B1 KR101743650 B1 KR 101743650B1 KR 1020110094755 A KR1020110094755 A KR 1020110094755A KR 20110094755 A KR20110094755 A KR 20110094755A KR 101743650 B1 KR101743650 B1 KR 101743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folded
rolling
folding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066A (ko
Inventor
조광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650B1/ko
Priority to CN2012103508505A priority patent/CN103057510A/zh
Publication of KR2013003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쿠션을 접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접혀진 사이드 에어백 쿠션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은,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제2 측면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고, 이웃하여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지그재그로 접어서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접혀진 롤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쿠션{A SIDE AIRBAG CUSHION}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시트에 장착되기 위해 접혀진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는 상기 자동차의 사고시에 승객의 측면으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어서, 승객이 자동차 도어 부근의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부딪쳐서 상해를 입지 않도록 쿠션력으로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가스발생기인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시트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전개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승객의 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상기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에 상기 승객의 측면을 보호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은, 접혀져서 시트 내에 장착되어 있다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펼쳐지면서 전개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상기 에어백 쿠션을 지그재그로 접는방식과, 상기 에어백 쿠션을 롤링하여 접는방식이 있다.
상기 에어백 쿠션을 평평하게 놓았을 때,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측면을 제1 측면이라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하측면을 제2 측면이라고 하면, 상기 에어백 쿠션을 지그재그로 접는방식은,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고, 이웃하여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는방식이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을 롤링하여 접는방식은 상기 에어백 쿠션을 감아서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제2 측면과 연속적으로 맞대어지도록 접는방식이다.
상기 지그재그로 접는방식은,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고, 이웃하여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기 때문에, 상기 롤링하여 접는방식에 비해 상기 에어백 쿠션이 펼쳐질 때 마찰저항이 적게 발생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는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롤링하여 접는 방식은,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는 작업성은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이 연속으로 맞대어지기 때문에, 상기 지그재그로 접는방식에 비해 상기 에어백 쿠션이 펼쳐질 때 마찰저항이 크게 발생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에어백 쿠션을 접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접혀진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은,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제2 측면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고, 이웃하여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지그재그로 접어서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접혀진 롤링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은, 가스발생기인 인플레이터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은 전개성능이 우수한 지그재그로 접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은 접는 작업성이 우수한 롤링하여 접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이 시트에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이 접혀져서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이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함입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제2 주름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주름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제1 롤링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제2 롤링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G-G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이 시트에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이 접혀져서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10)은, 시트(1)의 측면 내부에 접혀져서 배치되어 있다가, 자동차 사고시에 인플레이터(3)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되어 시트(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시트(1)에 앉은 승객의 측면을 보호한다.
인플레이터(3)는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에어백 쿠션(10)은 접혀져서 인플레이터(3)와 함께 쿠션커버(5) 내에 봉입되어 풀리지 않게 된다. 체결부(7)가 에어백 쿠션(10)이 내부에서 인플레이터(3)와 결합된 채로 에어백 쿠션(10) 및 쿠션커버(5)의 외부로 돌출된다. 쿠션커버(5)의 외부로 돌출된 체결부(7)는, 체결브래킷(8)을 관통하여 시트(1) 내부의 측면에 배치된 측면프레임(9)에 체결됨으로써, 에어백 쿠션(10)은 접혀진 상태로 시트(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0)은 인플레이터(3)로부터 전방이 접혀져서, 주름부(11)와 롤링부(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름부(11)는 인플레이터(3)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에어백 쿠션(10)의 일단에 형성되며, 롤링부(13)는 주름부(11)로부터 연장되어 인플레이터(3)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에어백 쿠션(10)의 타단에 형성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3)가 가스를 발생시키면, 인플레이터(3)로부터 발생된 가스는 롤링부(13)에서부터 주름부(11)로 유입되어, 롤링부(13)가 먼저 팽창되면서 펼쳐지고 점차적으로 주름부(11)가 팽창되면서 펼쳐져서, 에어백 쿠션(10)의 시트(1)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런데, 에어백 쿠션(10)의 타단은 인플레이터(3)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3)로부터 유입되는 초기 가스압력에 의해 충분히 펼쳐질 수 있지만, 에어백 쿠션(10)의 타단은 인플레이터(3)로부터 먼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3)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어야 충분히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일단은 비교적 낮은 가스압력으로도 펼쳐질 수 있게 지그재그로 접혀져서 주름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타단은 접는 작업이 용이하게 롤링되어 접혀져서 롤링부(13)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이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백 쿠션(10)은 2개의 패널을 맞대고 둘레를 바느질하여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10)은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한 평평한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은 평평한 상태에서 제1 측면(12)과, 제1 측면(12)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14)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주름부(11)는 에어백 쿠션(10)의 일단을 제1 측면(12)이 맞대어지고, 이웃하여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도록 지그재그로 접어서 형성된다. 또한, 롤링부(13)는 주름부(11)로부터 연장되어 주름부(11)의 외측을 감싸도록 접혀져서 형성된다.
만약, 에어백 쿠션(10)이 롤링부(13)만으로 접혀진다면, 에어백 쿠션(10)은 제1 측면(12)과 제2 측면(14)이 연속적으로 맞대어지기 때문에 펼쳐질 때 마찰저항이 크게 발생되어 전개성능이 저하된다. 대신에, 에어백 쿠션(10)을 롤링하여 접기 때문에 지그재그로 접는 방식에 비해 쉽게 접을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10)이 주름부(11)만으로 접혀진다면, 에어백 쿠션(10)은 제1 측면(12)이 맞대어지고, 이웃하여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질 때 마찰저항이 적게 발생되어 전개성능이 향상된다. 대신에, 에어백 쿠션(10)을 지그재그로 접기 때문에 롤링하여 접는 방식에 비해 접는 작업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10)은, 에어백 쿠션(10)을 접을 때 인플레이터(3)로부터 멀리 위치한 에어백 쿠션(10)의 일단은 전개성능이 우수한 지그재그로 방식으로 접어서 주름부(11)를 형성하고, 인플레이터(3)로부터 가깝게 위치한 에어백 쿠션(10)의 타단은 롤링 방식으로 접어서 롤링부(13)를 형성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의 전개력이 향상되고, 에어백 쿠션(10)을 접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아래에서는 에어백 쿠션(10)을 접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함입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주름부(11)가 형성되기 전에, 에어백 쿠션(10)의 상하단은 제1 측면(12) 및 제2 측면(14)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내측으로 함입되어 함입부(16)가 형성된다.
함입부(16)는 에어백 쿠션(10)의 상하단이 인플레이터(3)의 상하단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주름부(11) 및 롤링부(13)와 함께 접혀진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제2 주름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주름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주름부(1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일단을 제1 측면(12)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11a)를 형성하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름부(11a)를 접되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일단을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2 주름부(11b)를 형성하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름부(11b)를 접되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일단을 제1 측면(12)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형성된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제1 롤링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접어서 제2 롤링부를 형성한 측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G-G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롤링부(13)는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12)이 주름부(11)의 외측과 맞대어지도록 주름부(11)를 감싼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름부(11)가 에어백 쿠션(10)의 타단을 향해 450도 회전됨으로써, 롤링부(13)가 주름부(11)의 외측을 감싸게 된다. 물론, 주름부(11)가 450도 회전되지 않고 에어백 쿠션(10)의 타단이 주름부(11)의 둘레를 따라 450도 회전되어 주름부(11)의 외측을 감쌀 수도 있다.
롤링부(13)는, 주름부(11)의 외측과 맞대어져서 주름부(11)를 감싸는 제1 롤링부(13a)와, 제1 롤링부(13a)로부터 연장되어 제1 롤링부(13a)의 외측과 맞대어지는 제2 롤링부(13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롤링부(13b)는 제1 롤링부(13a)로부터 90도 접혀져서 형성되어, 제1 롤링부(13a)의 하측에 배치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11)를 에어백 쿠션(10)의 타단을 향해 360도 회전시키면, 제1 측면(12)이 주름부(11)의 외측과 맞대어져서 주름부(11)를 감싸는 제1 롤링부(13a)가 형성되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11)와 함께 제1 롤링부(13a)를 에어백 쿠션(10)의 타단을 향해 90도 회전시키면, 제1 측면(12)이 제1 롤링부(13a)의 외측과 맞대어지는 제2 롤링부(13b)가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10)을 접는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접혀진 사이드 에어백 쿠션(10)은 풀려지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3)와 함께 쿠션커버(5) 내에 봉입된 후, 시트(1)에 조립되는 공정으로 이송되어 시트(1)에 장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자동차 사고시에 인플레이터(3)로부터 발생된 가스는, 롤링부(13)로 먼저 유입된다. 롤링부(13)는 제1 측면(12)과 제2 측면(14)이 연속적으로 맞대어져 있어서, 펼쳐질 때 마찰저항이 크지만, 인플레이터(3)와 가깝게 배치되어 인플레이터(3)로부터 초기 가스를 유입받기 때문에, 펼쳐질 수 있는 충분한 가스압력을 받게 되어서, 쉽게 펼쳐질 수 있다.
롤링부(13)가 펼쳐진 후, 가스는 주름부(11)로 유입된다. 주름부(11)는 제1 측면(12)이 맞대어지고, 이웃하여 제2 측면(14)이 맞대어져 있어서, 제1 측면(12)이 벌어지면서 책을 펼치듯이 펼쳐지고, 제2 측면(14)도 벌어지면서 책을 펼치듯이 펼쳐지므로, 펼쳐질 때 마찰저항이 작게 발생된다. 따라서, 주름부(11)가 인플레이터(3)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인플레이터(3)로부터 받는 가스압력이 롤링부(13)에 비해 낮지만, 쉽게 펼쳐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10)은, 가스발생기인 인플레이터(3)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에어백 쿠션(10)의 일단은 전개성능이 우수한 지그재그로 접고, 인플레이터(3)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에어백 쿠션(10)의 타단은 접는 작업성이 우수한 롤링하여 접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을 접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인플레이터 10: 에어백 쿠션
11: 주름부 11a: 제1 주름부
11b: 제2 주름부 12: 제1 측면
13: 롤링부 13a: 제1 롤링부
13b: 제2 롤링부 14: 제2 측면
16: 함입부

Claims (10)

  1.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제2 측면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고, 이웃하여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지그재그로 접어서 형성된 주름부;
    상기 주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접혀진 롤링부; 및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배치되고, 가스를 발생시켜서 상기 롤링부에서부터 주름부로 유입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름부가 형성되기 전에,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하단은 상기 제1측면 및 제2 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내측으로 함입되어 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하단이 상기 인플레이터의 상하단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주름부 및 롤링부와 함께 접혀지는 사이드 에어백 쿠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를 접되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를 접되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형성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주름부의 외측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주름부를 감싸는 사이드 에어백 쿠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상기 주름부의 외측과 맞대어져서 상기 주름부를 감싸는 제1 롤링부와,
    상기 제1 롤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롤링부의 외측과 맞대어지는 제2 롤링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쿠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링부는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주름부의 외측과 맞대어지도록 상기 주름부를 감싸는 사이드 에어백 쿠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링부는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제1 롤링부의 외측과 맞대어지는 사이드 에어백 쿠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링부는 상기 제1 롤링부로부터 90도 접혀져서 형성된 사이드 에어백 쿠션.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94755A 2011-09-20 2011-09-20 사이드 에어백 쿠션 KR101743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755A KR101743650B1 (ko) 2011-09-20 2011-09-20 사이드 에어백 쿠션
CN2012103508505A CN103057510A (zh) 2011-09-20 2012-09-19 侧气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755A KR101743650B1 (ko) 2011-09-20 2011-09-20 사이드 에어백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066A KR20130031066A (ko) 2013-03-28
KR101743650B1 true KR101743650B1 (ko) 2017-06-05

Family

ID=4810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755A KR101743650B1 (ko) 2011-09-20 2011-09-20 사이드 에어백 쿠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3650B1 (ko)
CN (1) CN1030575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5028B (zh) 2016-03-29 2021-10-01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及安全气囊组件
KR102518179B1 (ko) 2017-12-08 202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에어백
KR102340676B1 (ko) * 2019-02-12 2021-12-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에어백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장치의 전개 방법
KR20210037252A (ko) * 2019-09-27 2021-04-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폴딩 방법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1327A (ja) * 2005-05-18 2006-11-30 Fuji Heavy Ind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該エアバッグの折畳み方法
JP2007331401A (ja) * 2006-06-12 2007-12-27 Takata Corp 側突用エアバッグ、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850A (ja) * 1998-04-08 1999-10-26 Takata Kk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り畳み方法
DE10237401A1 (de) * 2002-08-09 2004-03-11 Takata-Petri (Ulm) Gmbh Insassenschutz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CN100347010C (zh) * 2004-09-14 2007-11-07 丰田合成株式会社 驾驶席用气囊装置
US7377547B2 (en) * 2006-02-06 2008-05-27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storing a side curtain air bag
DE102008049505B4 (de) * 2008-09-29 2018-07-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irbag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sowie Fahrzeugsitz mit der Airbaganordn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1327A (ja) * 2005-05-18 2006-11-30 Fuji Heavy Ind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該エアバッグの折畳み方法
JP2007331401A (ja) * 2006-06-12 2007-12-27 Takata Corp 側突用エアバッグ、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57510A (zh) 2013-04-24
KR20130031066A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4020B2 (en) Airbag device
US20120074677A1 (en) Airbag,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lid member of airbag
WO2013061935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09131046A1 (ja) エアバッグ装置
US8408596B2 (en) Air bag device for passenger seat
JP6214787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396572B2 (ja) 車両用サイド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4996447B2 (ja)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構造
KR20130045058A (ko) 자동차용 무릎 에어백
KR101210776B1 (ko) 커튼 에어백 쿠션
KR101743650B1 (ko) 사이드 에어백 쿠션
US20170001594A1 (en) Side Airbag Device
JP5959379B2 (ja)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取り付け構造
JP2012106551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5746666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その取付構造
JP4781077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98685B1 (ko) 커튼에어백 장착구조
JP558690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627101B2 (ja) エアバッグ
KR20150054575A (ko) 차량용 에어백
JP4432699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30038562A (ko) 조수석 에어백 쿠션 및 조수석 에어백 쿠션의 폴딩방법
JP5543491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1116155A (ja) エアバッグ
WO2014174974A1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