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776B1 - 커튼 에어백 쿠션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776B1
KR101210776B1 KR1020100086530A KR20100086530A KR101210776B1 KR 101210776 B1 KR101210776 B1 KR 101210776B1 KR 1020100086530 A KR1020100086530 A KR 1020100086530A KR 20100086530 A KR20100086530 A KR 20100086530A KR 101210776 B1 KR101210776 B1 KR 101210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wrinkles
folded
wrinkle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007A (ko
Inventor
전종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776B1/ko
Priority to US12/956,359 priority patent/US8540279B2/en
Priority to CN201010600294.3A priority patent/CN102381273B/zh
Publication of KR2012002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8Ex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쿠션이 차실내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접혀진 커튼 에어백 쿠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 쿠션{Curtain airbag cushion}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장착되기 위해 접혀진 커튼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사고시에 가스를 유입받아 에어백 쿠션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에어백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필요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는 운전석 에어백장치와,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조수석 에어백장치와, 상기 운전자 또는 승객(이하, 상기 운전자 또는 승객은 설명의 이해를 위해 상기 승객이라 한다.)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차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에서, 상기 커튼 에어백 장치는 상기 승객이 타고 내리는 전방도어 및 후방도어(이하, 상기 전방도어 및 후방도어는 설명의 이해를 위해 상기 도어라 한다.)의 상측에 배치되는 에이필라 및 씨필라의 내측에, 상기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상기 커튼 에어백 장치는 가스발생기인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도어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도어의 글래스를 커튼처럼 덮으면서 전개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승객 머리와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상기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에 상기 승객의 머리를 보호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은, 접혀져서 상기 에이필라 및 씨필라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된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펼쳐지면서 전개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에어백 쿠션이 차체의 외곽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어야, 상기 승객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에어백 쿠션이 차실내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접혀진 커튼 에어백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은,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져서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은,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져서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와, 상기 주름부 및 직선부의 서로 맞대어지는 부분을 연결하는 테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은,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져서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와, 상기 주름부 및 직선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접혀져서 형성되며, 상기 주름부에 맞대어지는 제3 주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은,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져서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와, 상기 주름부 및 직선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에 맞대어져서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은,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져서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은,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져서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은, 주름부가 책을 펼치듯이 펼쳐지기 때문에 전개되는 마찰저항이 적어서 차실내로 전개되는 압력이 향상되고, 전개되는 속도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이 장착되는 자동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이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이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을 접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의 접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에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의 접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이 장착되는 자동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이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자동차(1)의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자동차(1)에는 탑승자(운전자와 승객을 모두 지칭함.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탑승자는 승객으로 설명함)가 타고 내리는 전방도어(2) 및 후방도어(3)가 구비되어 있다. 전방도어(2)의 상측에는 에이필라(A Pillar;4)가 배치되어 있고, 후방도어(3)의 상측에는 씨필라(C Pillar;5)가 배치되어 있다.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에이필라(4) 및 씨필라(5)의 내측에 배치된 사이드 이너패널(6)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20)와, 인플레이터(20)와 연결되어 인플레이터(20)로부터 발생된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되어서 상기 승객의 머리를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10)을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10)은 접혀져서 쿠션커버(30)내에 봉입된후, 에이필라(4) 및 씨필라(5)의 내측에 배치된 사이드 이너패널(6)에 체결부재(7)를 통해 장착된다.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헤드라이너(8)에 의해 가리어져서 차실내측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헤드라이너(8)는 자동차(1)의 루프패널(미도시)을 차실내측에서 가리고 있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진 부재를 지칭한다. 헤드라이너(8)는 사이드 이너패널(6)의 하단에 배치된 웨더스트립(weather strip;9)에 물려져 있다가, 에어백 쿠션(10)이 팽창되면 웨더스트립(9)으로부터 탈거되어 벌어지고, 에어백 쿠션(10)은 웨더스트립(9)과 헤드라이너(8)의 벌어진 틈으로 빠져나와 전개되어서, 전방도어(2) 및 후방도어(3)와 상기 승객의 머리와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상기 승객의 머리를 보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백 쿠션(10)의 상측에는 사이드 이너패널(6)에 장착되기 위한 마운팅 탭(15)이 복수 형성된다. 마운팅 탭(15)은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7)를 통해 사이드 이너패널(6)에 장착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10)의 후방 상측에는 인플레이터(20)와 연결되는 인플레이터 연결부(17)가 형성된다. 인플레이터(20)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10)의 챔버(19)내로 유입되는 것에 의해 에어백 쿠션(10)은 팽창 전개된다.
에어백 쿠션(10)의 전방에는 에이필라(4)의 내측에 배치된 사이드 이너패널(6)에 고정되는 에이필라 테더(16)가 결합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은 팽창될 때 전방이 에이필라 테더(16)에 의해 구속되어 후방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개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0)은 제1 측면(12)과 제1 측면(12)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챔버(19)내로 가스가 유입되기 전에는 제1 측면(12) 및 제2 측면(14)은 평평하게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측면(12)은 승객을 향하고, 제2 측면(14)은 자동차(1)의 외부를 향한다.
에어백 쿠션(10)이 상기 승객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동차(1)의 외부를 향해 전개되지 않고, 상기 승객을 향해 차실내측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은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압력이 향상될 수 있게 접혀져 있다가, 인플레이터(20)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가스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승객의 머리를 보호한다.
아래에서는 에어백 쿠션(10)의 접혀진 형상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을 접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백 쿠션(10)은 접혀져서 도 6의 (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11)와 직선부(13)로 이루어진다. 에어백 쿠션(10)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에어백 쿠션(10)을 상하로 구분하였을 때, 주름부(11)는 에어백 쿠션(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직선부(13)는 주름부(11)로부터 연장되어 에어백 쿠션(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주름부(11)는 에어백 쿠션(10)의 상하 길이 중 약 4/5가 접혀져서 형성되고, 직선부(13)는 에어백 쿠션(10)의 상하 길이 중 약 1/5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쿠션(10)의 상하 길이는 504mm이고, 주름부(11)는 504mm의 약 4/5인 389mm가 접혀져서 형성되며, 직선부(13)는 나머지 길이인 115mm로 형성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10)은 접혀져서 주름부(11)의 높이(H)가 40mm로 형성되고, 주름부(11) 및 직선부(13)가 이루는 폭(W)은 20mm로 형성된다.
주름부(11) 및 직선부(13)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6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0)의 하단을 제1 측면(12)을 향해 직선부(13)의 하단까지 접는다. 이때, 에어백 쿠션(10)은 제1 측면(12)이 맞대어지도록 접혀져서 제1 주름부(11a)가 형성된다.
이후, 도 6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름부(11a)의 하단을 제1 측면(12)을 향해 접어서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11b)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주름부(11b)는 제1 주름부(11a) 하단을 제1 주름부(11a)의 상단까지 접어서 형성된다.
이후, 도 6의 (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름부(11b)의 하단을 제1 측면(12)을 향해 접어서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는 주름부(11)를 완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름부(11)는 제2 주름부(11b) 하단을 제2 주름부(11b)의 상단까지 접어서 형성된다.
이후, 도 6의 (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이 주름부(11)와 맞대어지게 배치하고, 에어백 쿠션(10)을 접는 공정을 완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름부(11)의 하단을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을 향해 180도 접어서, 직선부(13)가 주름부(11)와 맞대어지게 배치된다.
이후, 이와 같이 접혀진 에어백 쿠션(10)이 풀리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0)을 쿠션 커버(30)로 봉입한 후, 마운팅 탭(15)을 체결부재(15)를 통해 사이드 이너패널(6)에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접혀져서 사이드 이너패널(6)에 장착된 에어백 쿠션(10)은 자동차(1)의 사고시에, 인플레이터(20)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챔버(19) 내로 유입되면 팽창되면서 마치 책이 펼쳐지듯이 펼쳐지게 되므로, 에어백 쿠션(10)이 펼치지는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압력이 향상됨으로서, 자동차(1)의 외부로 전개되지 않고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어서 상기 승객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찰저항의 감소로 인해,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는 속도도 향상됨으로서 상기 승객을 빠르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의 에어백 쿠션(10)은 하단을 상단을 향해 롤링하여서 접혀졌었는 바, 이러한 롤링방식으로 접혀진 에어백 쿠션(10)은 제1 측면(12)이 제2 측면(14)과 연속적으로 맞대어져 있었으므로,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질 때 제1 측면(12)과 제2 측면(14) 사이의 상기 마찰저항이 크게 발생되어서, 상기 마찰저항으로 인해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는 압력 및 전개속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접혀진 에어백 쿠션(10)은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지는 과정은 접혀지는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6의 (d)도에서부터 도 6의 (a)도의 순으로 펼쳐진 후, 도 5에서와 같이 완전하게 펼쳐진다.
먼저, 도 6의 (d)도에서처럼 에어백 쿠션(10)이 자동차(1)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동차(1) 사고가 발생되면 인플레이터(20)로부터 상기 가스가 발생되고, 상기 가스가 에어백 쿠션(10)의 직선부(13)로 유입되는 것에 의해 직선부(13)가 팽창된 후, 상기 가스는 주름부(11)로 유입된다. 이 때,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에 맞대어진 주름부(11)가, 책을 펼치듯이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으로부터 벌어지면서 도 6의 (c)도와 같이 펼쳐진다.
이후, 주름부(11)가 팽창되고, 이에 따라 제2 주름부(11b)의 하단이 책을 펼치듯이 제2 주름부(11b)의 상단으로부터 벌어지면서 도 6의 (b)도와 같이 펼쳐진다.
이후, 제2 주름부(11b)가 팽창되고, 이에 따라 제1 주름부(11a)의 하단이 책을 펼치듯이 제1 주름부(11a)의 상단으로부터 벌어지면서 도 6의 (a)도와 같이 펼쳐진다.
이후, 제1 주름부(11a)가 팽창되고,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10)의 하단이 책을 펼치듯이 에어백 쿠션(10)의 제1 측면으로부터 벌어지면서 도 5와 같이 펼쳐짐으로서, 에어백 쿠션(10)의 전개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접혀진 에어백 쿠션(10)은, 책을 펼치듯이 펼쳐지면서 전개되기 때문에, 제1 측면(12)과 제2 측면(14)이 연속적으로 맞대어져서 형성되었던 기존의 롤링방식으로 접혀진 에어백 쿠션(10)에 비해 마찰저항이 감소되어서, 실내측으로 전개되는 압력이 향상되어 자동차(1)의 외측으로 전개되지 않고 실내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저항의 감소로 인해,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는 속도도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점을 알 수 있다.
즉, 주름부(11) 및 직선부(13)의 서로 맞대어지는 부분에 테더(40)가 더 연결된다. 여기서, 테더(40)는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주름부(11)의 외측에 결합된다.
테더(40)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어서 일단이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에 바느질로 결합되고, 타단은 주름부(11)의 외측에 바느질로 결합될 수 있다.
테더(40)는 주름부(11)가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으로부터 벌어질 때 끊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주름부(11)가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으로부터 벌어질 때 테더(40)가 끊어지도록 하는 방식은, 테더(40)를 직선부(13)의 제2 측면(14) 및 주름부(11)의 외측에 바느질 할 때, 주름부(11)가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으로부터 벌어지는 힘에 의해 끊어질 수 있는 실을 사용하여 바느질함으로서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주름부(11)가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으로부터 벌어질려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테더(40) 자체에 미세한 홀을 복수 형성하여서, 주름부(11)가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으로부터 벌어지는 힘에 의해 테더(40)가 상기 미세한 홀을 기준으로 끊어지도록 하여서 가능해질 수도 있다.
테더(40)는, 주름부(11)가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으로부터 벌어질려고 할 때 주름부(11)를 구속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이 상기 차실내측으로 과도하게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이 상기 차실내측으로 과도하게 전개되어 상기 승객의 머리를 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테더(40)는 에어백 쿠션(10)이 상기 차실내측으로 과도하게 전개될려는 부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테더(40)는 에어백 쿠션(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제2 측면(14)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서, 에어백 쿠션(10)이 상기 차실내측으로 과도하게 전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직선부(13)와 주름부(11)가 직접 연결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부(13)와 주름부(11)를 연결하는 제3 주름부(11c)가 더 형성된다.
제3 주름부(11c)는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게 접혀져서 형성되고, 직선부(13)로부터 90도 절곡되어 주름부(11)에 맞대어진다.
여기서, 주름부(11)를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10)의 상하 길이 중 약 4/5를 접어서 형성하고, 직선부(13)는 전술한 제1 실시예보다 짧게 형성하여 제3 주름부(11c)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직선부(13)를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10)의 상하 길이 중 약 1/5로 형성하고, 주름부(11)는 전술한 제1 실시예보다 짧게(예를 들면, 에어백 쿠션(10)의 3/5을 접어서) 형성하여 제3 주름부(11c)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3 주름부(11c)의 폭은 주름부(11) 및 직선부(13)가 이루는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서, 도면상 주름부(11)의 하단을 전체적으로 받치고 있는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제3 주름부(11c)가 더 형성되게 되면,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지는 부분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두 군데가 더 추가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질 때 마찰저항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커지게 되어, 에어백 쿠션(10)이 과도하게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쿠션(1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제2 측면(14)이 서로 맞대어져 형성된 제3 주름부(11c)가 펼쳐지고, 이후 주름부(11)가 제3 주름부(11c)로부터 펼쳐진 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순서대로 펼쳐지게 됨으로서,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질 때 마찰저항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커지게 되어, 에어백 쿠션(10)이 과도하게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직선부(13)와 주름부(11)가 직접 연결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부(13)와 주름부(11)를 연결하는 연장부(11d)가 더 형성된다.
연장부(11d)는 직선부(13)로부터 90도 절곡되어 제2 측면(14)이 주름부(11)에 맞대어져서 형성된다.
주름부(11)의 일단을 제2 측면(14)을 향해 270도 접는 것에 의해, 직선부(13)가 주름부(11)와 맞대어지고, 연장부(11d)의 제2 측면(14)도 주름부(11)에 맞대어진다.
여기서, 주름부(11)를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10)의 상하 길이 중 약 4/5를 접어서 형성하고, 직선부(13)는 전술한 제1 실시예보다 짧게 형성하여 연장부(11d)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직선부(13)를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10)의 상하 길이 중 약 1/5로 형성하고, 주름부(11)는 전술한 제1 실시예보다 짧게(예를 들면, 에어백 쿠션(10)의 3/5을 접어서) 형성하여 연장부(11d)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장부(11d)가 더 형성되게 되면,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지는 부분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한 군데가 더 추가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질 때 마찰저항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커지게 되어, 에어백 쿠션(10)이 과도하게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쿠션(1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주름부(11)가 연장부(11d)의 제2 측면(14)으로부터 펼쳐진 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순서대로 펼쳐지게 됨으로서,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질 때 마찰저항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커지게 되어, 에어백 쿠션(10)이 과도하게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의 접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점을 알 수 있다.
즉, 도 10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름부(11a)를 형성하는 것과, 도 10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름부(11b)를 형성하는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하지만, 도 10의 (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11)를 형성하는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주름부(11b)의 하단을 제1 측면(12)을 향해 접어서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는 주름부(11)를 형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주름부(11b)의 하단을 제2 측면(14)을 향해 접어서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는 주름부(11)를 형성한다.
이후, 도 10의 (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이 주름부(11)와 맞대어지게 배치하고, 에어백 쿠션(10)을 접는 공정을 완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름부(11)의 하단을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을 향해 180도 접어서, 직선부(13)가 주름부(11)와 맞대어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주름부(11b)의 하단을 제2 측면(14)을 향해 접어서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는 주름부(11)를 형성하게 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지는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이 과도하게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에에서는 도 6의 (d)도와 같은 상태에서 주름부(11)가 직선부(13)로부터 펼쳐져서 도 6의 (c)도와 같은 상태로 된 후, 제2 주름부(11b)의 하단이 제2 주름부(11b)의 상단으로부터 펼쳐져서 도 6의 (b)도와 같은 상태로 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쿠션(10)은 도 10의 (d)도와 같은 상태에서 주름부(11)가 직선부(13)로부터 펼쳐져서 도 10의 (c)도와 같은 상태로 된 후, 제2 주름부(11b)의 하단이 제2 주름부(11b)의 상단으로부터 펼쳐질 때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반대방향으로 펼쳐져서 도 10의 (b)도와 같은 상태로 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이 과도하게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에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의 접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쿠션(1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점을 알 수 있다.
즉, 도 11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름부(11a)를 형성하는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하지만, 도 11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름부(11b)를 형성하는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주름부(11a)의 하단을 제1 측면(12)을 향해 접어서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11b)를 형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주름부(11a)의 하단을 제2 측면(14)을 향해 접어서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11b)를 형성한다.
이후, 도 11의 (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름부(11b)의 하단을 제1 측면(12)을 향해 접어서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는 주름부(11)를 완성한다.
이후, 도 11의 (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이 주름부(11)와 맞대어지게 배치하고, 에어백 쿠션(10)을 접는 공정을 완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름부(11)의 하단을 직선부(13)의 제2 측면(14)을 향해 180도 접어서, 직선부(13)가 주름부(11)와 맞대어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주름부(11a)의 하단을 제2 측면(14)을 향해 접어서 제2 측면(14)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11b)를 형성하게 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에어백 쿠션(10)이 펼쳐지는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이 과도하게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에에서는 도 6의 (d)도와 같은 상태에서 주름부(11)가 직선부(13)로부터 펼쳐져서 도 6의 (c)도와 같은 상태로 된 후, 제2 주름부(11b)의 하단이 제2 주름부(11b)의 상단으로부터 펼쳐져서 도 6의 (b)도와 같은 상태로 되고, 제1 주름부(11a)의 하단이 제1 주름부(11a)의 상단으로부터 펼쳐지면서 도 6의 (a)도와 같은 상태로 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쿠션(10)은 도 11의 (d)도와 같은 상태에서 주름부(11)가 직선부(13)로부터 펼쳐져서 도 11의 (c)도와 같은 상태로 된 후, 제2 주름부(11b)의 하단이 제2 주름부(11b)의 상단으로부터 펼쳐져서 도 11의 (b)도와 같은 상태로 되고, 제1 주름부(11a)의 하단이 제1 주름부(11a)의 상단으로부터 펼쳐질 때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반대방향으로 펼쳐져서 도 11의 (a)도와 같은 상태로 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10)이 과도하게 상기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혀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10)은 주름부(11)가 책을 펼치듯이 펼쳐지기 때문에 전개되는 마찰저항이 적어서 차실내로 전개되는 압력이 향상되고, 전개되는 속도도 향상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에어백 쿠션 11: 주름부
11a: 제1 주름부 11b: 제2 주름부
11c: 제3 주름부 11d: 연장부
12: 제1 측면 13: 직선부
14: 제2 측면 40: 테더

Claims (27)

  1.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형성된 주름부; 및
    상기 주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180도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져서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 및 직선부의 서로 맞대어지는 부분을 연결하는 테더;를 더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 및 직선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접혀져서 형성되며, 상기 주름부에 맞대어지는 제3 주름부;를 더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제1 측면은 탑승자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 쿠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름부는 상기 제1 주름부의 상기 일단을 상기 제1 주름부의 타단까지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2 주름부의 상기 일단을 상기 제2 주름부의 타단까지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7. 삭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하 길이 중 4/5를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주름부는 상기 직선부로부터 90도 절곡되어 상기 주름부에 맞대어지는 커튼 에어백 쿠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주름부의 폭은 상기 주름부 및 직선부가 이루는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11.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형성된 주름부;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져서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 및
    상기 주름부 및 직선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에 맞대어져서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제1 측면은 탑승자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 쿠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름부는 상기 제1 주름부의 상기 일단을 상기 제1 주름부의 타단까지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2 주름부의 상기 일단을 상기 제2 주름부의 타단까지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270도 접어서, 상기 직선부가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지고, 상기 연장부의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에 맞대어지는 커튼 에어백 쿠션.
  16.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형성된 주름부; 및
    상기 주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져서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제1 측면은 탑승자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 쿠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름부는 상기 제1 주름부의 상기 일단을 상기 제1 주름부의 타단까지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2 주름부의 상기 일단을 상기 제2 주름부의 타단까지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180도 접어서, 상기 직선부가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지는 커튼 에어백 쿠션.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하 길이 중 4/5를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22.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의 맞은편에 배치된 제2 측면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접어서 제1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는 제2 주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접어서 상기 제2 측면이 맞대어지게 형성된 주름부; 및
    상기 주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져서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제1 측면은 탑승자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 쿠션.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름부는 상기 제1 주름부의 상기 일단을 상기 제1 주름부의 타단까지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2 주름부의 상기 일단을 상기 제2 주름부의 타단을 넘어서까지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의 일단을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180도 접어서, 상기 직선부가 상기 주름부와 맞대어지는 커튼 에어백 쿠션.
  27.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하 길이 중 4/5를 접어서 형성된 커튼 에어백 쿠션.
KR1020100086530A 2010-09-03 2010-09-03 커튼 에어백 쿠션 KR101210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30A KR101210776B1 (ko) 2010-09-03 2010-09-03 커튼 에어백 쿠션
US12/956,359 US8540279B2 (en) 2010-09-03 2010-11-30 Curtain airbag cushion
CN201010600294.3A CN102381273B (zh) 2010-09-03 2010-12-22 帘式气囊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30A KR101210776B1 (ko) 2010-09-03 2010-09-03 커튼 에어백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007A KR20120024007A (ko) 2012-03-14
KR101210776B1 true KR101210776B1 (ko) 2012-12-10

Family

ID=4577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530A KR101210776B1 (ko) 2010-09-03 2010-09-03 커튼 에어백 쿠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40279B2 (ko)
KR (1) KR101210776B1 (ko)
CN (1) CN1023812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7490A1 (ja) * 2011-04-28 2012-11-0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783818B2 (ja) * 2011-06-23 2015-09-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2002841B1 (ko) * 2012-12-27 2019-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쿠션
CN107804269B (zh) * 2017-09-30 2019-06-04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侧气帘发生装置
DE102018009358A1 (de) * 2018-11-29 2020-06-04 Dalphi Metal Espana, S.A. Airagmodul und verfahren zu seiner herrstellung
JP7132355B2 (ja) * 2018-12-20 2022-09-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37252A (ko) * 2019-09-27 2021-04-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폴딩 방법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11142158B2 (en) 2019-10-15 2021-10-12 Fca Us Llc Vehicle interior trim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751A (ja) 1999-04-15 2000-10-24 Honda Motor Co Ltd 乗員拘束装置
JP2004249838A (ja) 2003-02-20 2004-09-0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18B1 (ko) * 1999-01-12 2007-01-24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에어백 및 에어백을 전개하는 방법
US6758490B2 (en) 2001-04-25 2004-07-06 Autoliv As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flatable combination curtain fold
US20050046159A1 (en) * 2003-09-01 2005-03-03 Takata Corporation Curtain airbag apparatus
KR20070070267A (ko) 2004-07-22 2007-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JP2007091177A (ja) * 2005-09-30 2007-04-12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のエアバッグ及びそれを搭載したエアバッグ装置
JP2007191028A (ja) * 2006-01-19 2007-08-02 Takata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09067183A (ja) * 2007-09-12 2009-04-02 Toyota Motor Corp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配設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751A (ja) 1999-04-15 2000-10-24 Honda Motor Co Ltd 乗員拘束装置
JP2004249838A (ja) 2003-02-20 2004-09-0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81273B (zh) 2015-04-22
KR20120024007A (ko) 2012-03-14
US20120056409A1 (en) 2012-03-08
CN102381273A (zh) 2012-03-21
US8540279B2 (en)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776B1 (ko) 커튼 에어백 쿠션
US9650010B2 (en)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JP5149383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879215B2 (ja) 膝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畳み方法
US9776593B2 (en) Curtain airbag apparatus
US7992892B2 (en) Inflatable ramp for inflatable curtain side impact restraint
US20090134611A1 (en) Knee airbag
JP6396572B2 (ja) 車両用サイドカーテンエアバッグ
KR20130045058A (ko) 자동차용 무릎 에어백
US20160107599A1 (en) Curtain airbag
KR102227852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5746666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その取付構造
JP3852412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0168483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7832759B2 (en) Side airbag module for a motor vehicle
JP5429974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43269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4256000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5651711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0938327B1 (ko) 무릎 에어백
JP2010052513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84977A (ko) 커튼 에어백 쿠션
KR102002841B1 (ko) 커튼 에어백 쿠션
KR101676661B1 (ko) 무릎 에어백장치
JP2008007065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