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967A - 건축 장비 - Google Patents

건축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967A
KR20200083967A KR1020207006197A KR20207006197A KR20200083967A KR 20200083967 A KR20200083967 A KR 20200083967A KR 1020207006197 A KR1020207006197 A KR 1020207006197A KR 20207006197 A KR20207006197 A KR 20207006197A KR 20200083967 A KR20200083967 A KR 20200083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uilding
positioning element
head assembly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 샤리토우
Original Assignee
조지 샤리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 샤리토우 filed Critical 조지 샤리토우
Publication of KR2020008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2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several units arranged one after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장치에는 건축 구성 요소가 포함됩니다. 도 1 내지 도 30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 건축 구성 요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대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장치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는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또한 빔 기준부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그리고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향하여 우연히 이동되면 빔 기준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 장비
본 문서는 도 1 내지 도 81의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건축 구성 요소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그리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건설 구성 요소는, 비제한적 예로서, (도 1 내지 도 30 참조) 지주-헤드(prop-head) 어셈블리 및/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 및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에 대한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또는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갖는 구조물(빌딩, 다리 등과 같은) 및/또는 건축 구성 요소(지주-헤드 어셈블리와 같은)와 관련된 방법 등을 포함한다.
쇼어링(Shoring)은 구조물이 무너질 위험이 있거나(구조물의) 건축, 수리 또는 개조 중에 받침대(shores)(또한 지주 또는 지지대라고도 지칭됨)로 구조물(예를 들어, 빌딩, 선박, 트렌치 등)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과정이다. 쇼어링은 수직, 각진 또는 수평일수 있다. 예를 들어, 빌딩 구성 요소(지주, 지주 어셈블리 등과 같은)는 구조물이 떨어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방지하기 위해) 구조물(또는 구조물의 일부) 아래에 및/또는 그에 대해 위치된 물체(또한 지지부라고도 함)이다.
기존 지주(props)(기존 기술이라고도 함)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할 필요가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험을 통해 알려진 시스템과 방법을 많이 연구한 후 문제와 해결 방법에 대한 이해(적어도 부분적으로)가 확인되었으며(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음과 같이(적어도 부분적으로) 명확하게 설명된다:
수평 구성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해 지지 가능하다(지지되도록 구성됨).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부착 가능하다(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됨).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가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해 수용되거나 지지되면,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사용 중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또한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
그러나,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부주의한(불필요한) 측방향 이동(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서 멀어짐)은 수평 구성 빔 어셈블리가 지주-헤드 어셈블리로부터 작업 표면으로 떨어질 수(하락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를 초래(야기)한다.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가 실수로 또는 우발적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이동되는 것은(이로부터 이동됨) 잠재적으로 위험한 경우이며, 작업자의 원치 않는 부상, 건설 현장 손상 및/또는 건설 일정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전술한 관점에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장 안전 요소(fail-safe feature)을 제공하는(제공하도록 구성된) 어셈블리가 필요할 수 있다. 고장 안전 요소는 일단 빔 어셈블리가 상대적으로 정지된 위치에 배치되면 빔 어셈블리의 우발적인 움직임을(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시킨다(감소시키도록 구성됨)(여기서 빔 어셈블리가 구조물의 일부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전술 한 관점에서,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하는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필요할 수 있고,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로 우연히 변위(이동)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수용할 수 있다(수용하도록 구성됨).
기존 기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주요 양태에 따라)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컬럼 및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해 제공된다. 장치는 컬럼에 고정적으로 연결 가능한(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또한 지지하도록 구성됨).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하는(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한다(이에 제한되지 않음).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또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와 이격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한다(이에 제한되지 않음).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한다(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됨).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멀리 그리고 컬럼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쪽으로 우연히 변위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됨).
기존 기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주요 양태에 따라)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컬럼 및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해 제공된다. 장치는 컬럼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지만(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일단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또한 지지하도록 구성됨).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한다(그리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이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컬럼에 대한 제1 고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됨).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또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와 이격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한다(이에 제한되지 않음).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됨)(이는,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컬럼에 대한 제2 고정 위치에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됨). 수평 구성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우연히 변위되고 또한 컬럼으로부터 변위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또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됨).
기존 기술과 관련된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주요 양태에 따라)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컬럼을 위해, 그리고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해 제공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방법은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컬럼에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지만(포함할 수 있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방법은 또한 일단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지지하기 위해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본 방법은 또한,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본 방법은 또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그리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여기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와 이격된다. 본 방법은 또한, 빔 기준부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그리고 컬럼으로부터 그리고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쪽으로 우연히 변위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빔 기준부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기존 기술과 관련된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주요 양태에 따라)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구조물을 포함하지만(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조물은 집, 건물, 선박, 다리, 트렌치, 인공 구조물 등 및 그와 동등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작업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는(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과 같은 어셈블리들 등의 시너지 조합을 포함한다(이에 제한되지는 않음)(이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에 위치하면,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작업 표면 위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수행됨). 구조물은 또한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구조물은 또한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적으로 연결 가능한(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이에 국한되지는 않음).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일단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수평 구성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또한 지지하도록 구성됨).
다른 양태들은 청구 범위에서 식별된다. 비 제한적인 실시 예들의 다른 양태들 및 특징들은 이제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비 제한적인 실시 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이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개념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개시된 주제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개시된 주제의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또는 모든 구현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이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다른 신규 장점, 특징 및 관계가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의 도면들 및 설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 예를 예시한다.
비제한적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참조할 때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충분히 이해될 수 있고, 여기서:
도 1 내지 도 81은 건축구성 요소의 실시 예의(관련되거나 또는 연관된) 뷰를 일반적으로 도시하고;
도 1 내지 도 30은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건축 구성 요소의 실시 예의(관련되거나 또는 연관된) 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31 내지 도 53은 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concrete slab frame assembly)를 포함하는 건축 구성 요소의 실시 예의(관련되거나 또는 연관된) 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54 내지 도 81은(A) 충전 빔(infill beam); (B) 지주-헤드 어셈블리; (C) 빔-단부-지지 브래킷; (D) 건축 빔; (E) 미리 만들어진 패널; (F) 패널-프레임 어셈블리; (G) 빔-안전 요소(beam-safety feature); 및/또는 (H) 상기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구조물(빌딩, 다리 등과 같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축 구성 요소의 실시 예의(관련 또는 연관된) 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1) 및 근접 사시 뷰(도 2)를 도시하고;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1 및/또는 도 2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와 함께 이용되도록 구성된 빔의 실시 예의 측 뷰(도 3), 측 뷰(도 4) 및 단부 뷰(도 5)를 도시하고;
도 6 및 도 7은 도 3, 도 4 및 도 5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실시 예의 빔 단부 지지대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8 및 도 9는 도 1 및 도 2 중 어느 하나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측 뷰(도 8) 및 측 뷰(도 9)를 도시하고;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측 뷰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분해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15 및 도 16은 도 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17은 도 16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부분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18은 도 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19 내지 도 22는 도 19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단면 뷰를 도시하고;
도 23은 도 19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단면 뷰를 도시하고;
도 24는 도 9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측 뷰를 도시하고;
도 25는 도 9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26은 도 9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분해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27 및 도 28은 도 25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29는 도 2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단면 뷰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30은 도 2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단면 뷰를 도시하고;
도 31 및 도 32는 빌딩 구조물의 건축 및 지지를 위해 구성된 장치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31) 및 측 뷰(도 32)를 도시하고;
도 33은 도 31의 장치의 실시 예의 단부 뷰를 도시하고;
도 34 및 도 35는 도 31의 장치의 실시 예의 평면 뷰를 도시하고, 상기 장치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도 36,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및 도 41은 도 35의 장치의 실시 예의 측 뷰(도 36, 도 37, 도 40 및 도 41), 평면 뷰(도 38) 및 단면 뷰(도 39)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수평으로 정렬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도 42, 도 43, 도 44, 도 45, 도 46 및 도 47은 도 35의 장치의 실시 예의 측 뷰(도 42, 도 43, 도 46 및 도 47), 평면 뷰(도 44) 및 단면 뷰(도 45)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하향으로 피봇되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비-수평 정렬(non-horizontal alignment)을 갖는 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및 도 53은 도 35의 장치의 실시 예의 측면 뷰(도 48, 도 49, 도 52 및 도 53), 평면 뷰(도 50) 및 단면 뷰(도 51)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상향으로 피봇되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비-수평 정렬을 갖는 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도 54는 충전 빔을 포함하는 장치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55는 도 54의 충전 빔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56 및 도 57은 도 54의 충전 빔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빔-단부-지지 브래킷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58, 도 59 및 도 60은 도 55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도 56의 빔-단부-지지 브래킷의 실시 예의 측면 뷰(측 정면 뷰)를 도시하고;
도 61은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62는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측면 뷰(측 정면 뷰)를 도시하고;
도 63은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64는 도 63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확대 투시 뷰)를 도시하고;
도 65 및 도 66은 도 56의 빔-단부-지지 브래킷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67은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68은 도 67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확대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69 및 도 70은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69) 및 측면 뷰(도 70)를 도시하고;
도 71 및 도 72는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71) 및 확대 사시 뷰(도 72)를 도시하고;
도 73은 패널-프레임 어셈블리(이는, 예를 들어, 바람직한 경우, 도 54에 도시된 충전 빔과 함께 이용될 수 있음)의 실시 예의 사시 뷰(등축도법(isometric) 뷰)를 도시하고;
도 74는 도 73의 패널-프레임 어셈블리의 주변 벽(perimeter wall)의 단면 뷰를 도시하고;
도 75는 도 73의 패널-프레임 어셈블리의 분해 뷰를 도시하고;
도 76 및 도 77은 도 75의 패널-프레임 어셈블리의 단면 뷰를 도시하고;
도 78, 도 79 및 도 80은 건축 빔의 빔-안전 요소(feature)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78 및 도 79) 및 측 정면 뷰(도 80)를 도시하고
도 81은 수직-적층 형태로 배열된, 하나의 빔이 다른 빔 위에 위치된, 건축 빔의 실시 예의 측면 뷰를 도시한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가상 선, 도식적 표현 및 단편도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실시 예의 이해에 불필요한 세부 사항(및/또는 다른 세부 사항을 인식하기 어렵게 하는 세부 사항)은 생략될 수 있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는 도면의 여러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여러 도면들 내의 요소는 단순성과 명료성을 위해 나타내었으며, 실제 크기대로 그려지지 않았다. 도면들에서 일부 요소의 치수는 다양한 개시된 실시 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요소에 비해 강조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실시 예에서 유용하거나 필요한 공통의, 그러나 잘 이해되는, 요소는 종종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덜 방해된 뷰를 제공하도록 도시되지 않았다.
도면에 사용된 참조 번호 목록
100 장치
102 지주-헤드 어셈블리
104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105 제1 고정 위치
106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
107 제2 고정 위치
110 섀클(shackle) 어셈블리
112 지주 베이스
114 로드 수용 요소
202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
250 높이
302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
304 제1 지지 요소
306 제2 지지 요소
308 하부(lower portion)
310 상부(upper portion)
350 높이
502 제1 로케이터(locator) 플레이트 어셈블리
504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
700 구조물(structure)
701 작업 표면(working surface)
703 구조 벽(structural wall)
802 기본 빔(primary beam) 또는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804 크로스빔(cross beam) 또는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900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 또는 컬럼
901 안정 와이어(stability wire)
902 빔 또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903 컬럼 부분
904 빔 기준부
905 빔-종단 수신기(beam-terminus receiver)
906 빔 단부 지지부(beam end support)
907 빔 잠금(lock) 어셈블리
907A 제1 빔 잠금 어셈블리
907B 제2 빔 잠금 어셈블리
908 가이드 요소
909 잠금 수신기
912 각도
914 잠금 디바이스
916 잠금 리테이너(lock retainer)
918 공동(cavity)
920 지주 수신기
922 측벽(side wall)
950 콘크리트 슬래브(concrete slab)
952 프레임 어셈블리
954 프레임-결합 디바이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설명된 실시 예들 또는 설명된 실시 예들의 응용 및 사용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사용된 "예시 적" 또는 "설명적"이라는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제공하는"을 의미한다. "예시적" 또는 "설명적"으로 기술된 임의의 구현이 반드시 다른 구현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 설명된 모든 구현은 당업자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만들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 예시적인 구현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청구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이 청구항은 본 출원의 출원 후 특허 심사 중에 청구될 수 있음). 설명을 위해, "상부", "하부", "왼쪽", "후방", "오른쪽", "정면", "수직", "수평" 및 그 파생어는 도면에서 배향된 예를 나타낸다. 앞의 기술 분야, 배경, 요약 또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어떠한 명시적 또는 묵시적 이론에 구속될 의도는 없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다음의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및 프로세스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예시적인 실시 예(예시), 양태 및/또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청구 범위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개시된 실시 예와 관련된 치수 및 다른 물리적 특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어구 "적어도 하나"는 "하나"와 등가인 것으로 이해된다. 도면에 관한 양태들(예시, 변경, 수정, 선택, 변형, 실시 예 및 그와 동등한 것)이 설명된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주제로 제한되며,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측면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아이템에 결합되도록(즉, 아이템에 연결되도록, 아이템과 상호 작용하도록, 등) 구성된 디바이스의 의미의 범위는 디바이스가 아이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로 구성된"은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지주-헤드 어셈블리(prop-head assembly)(102)의 실시 예들의 사시 뷰(도 1) 및 근접 사시 뷰(도 2)를 도시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구조물(structure)(700)을 지지하고(지지하도록 구성됨)(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구조물(700)(또는 구조물(700)의 양태)의 중량(weight)(또는 양태)을 지지하는 데 도움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vertically-extending construction column)(900)(이하, 컬럼(900)으로 지칭됨) 및 그의 등가물 위한 장치(100)가 제공된다. 장치(100)는 또한 빔 기준부(beam-reference portion)(904)(그리고 빔 핀 등과 같은 등가물)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902) 및 그의 등가물을 위해 제공된다.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902)는 빔(902)으로 지칭될 것이다. 빔 기준부(904)는 빔-종단 위치(beam-terminus location), 핀 또는 빔 핀 등, 및 이들의 등가물로 지칭될 수 있다. 장치(10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를 포함한다(포함).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건축될 구조물(700)(예를 들어, 빌딩, 다리 등, 그리고 그 등가물)에 이용(이용되도록 구성)(건축을 위해) 및/또는 설치된다(컬럼(900) 및 빔(902)와 함께). 구조물(700)의 실시 예는 도 1의 실시 예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건축 중). 구조물(700)은(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나) 집, 빌딩, 선박, 다리, 트렌치, 인공 구조물 등 및 그와 동등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는 구조물(700)의 바닥(floor)(타설된 콘크리트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임시 구조물로서 이용될 수 있고; 일단 바닥이 형성되면, 장치(1100)는 제거되고 새로 형성된 바닥에 재배치될 수 있고, 그래서,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1100)는 구조물(700)의 새롭게 형성된 바닥 위에 위치될 또 다른 새로운 바닥의 형성에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컬럼(900)에 제공된다. 컬럼(900)의 실시 예는 도 1의 실시 예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컬럼(900)은 구조물(700)에 이용되거나 설치된다.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900)은 이후 컬럼(900)으로 지칭된다.
구조물(700)은 컬럼(900)이 위치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작업 표면(working surface)(701)(예를 들어, 수평 구조 바닥)을 포함한다. 구조물(700)은 구조 벽(703)(수직으로 연장되는 벽이라고도 함)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포함한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900)은 작업 표면(701) 상에 위치될(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 수 있다(이것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900)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701) 상에 위치되면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900)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701) 위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빔 기준부(904)를 갖는 빔(902)에 제공된다. 빔(902)은 구조물(700)에 이용(구조물의 건축에)되거나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컬럼(900)(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연결(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빔(90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또한 지지하도록 구성됨)(일단,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컬럼(900)에 고정 연결되면). 바람직하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컬럼(900)의 상부 섹션(말단 섹션)에 고정적으로 연결(고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컬럼(900)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도록 컬럼(900)에 고정 연결 가능하다(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슬래브(950)가 프레임 어셈블리(952)에 형성(배치)된다(예를 들어, 이것은 시멘트를 프레임 어셈블리(952)에 붓고, 시멘트가 경화되어 콘크리트 슬래브(950)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빔(902)은 프레임 결합 디바이스(frame-engagement device)(954)를 포함한다. 프레임 결합 장치(954)는 직립 리브(upstanding rib)들, 리브들의 로우(row), 이격된 리브들의 두 개 로우들, 및 이들의 등가물로 불리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결합 장치(954)는 빔(902)의 상부 섹션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프레임 결합 장치(954)는 프레임 어셈블리(952)의 하부 섹션과 선택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맞물린다(선택적이고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됨).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어셈블리(952)는 프레임 결합 디바이스(954)의 리브들을 수용(수용하도록 구성)하기 위해 이격된 채널(channel)들을 형성한다. 이는 프레임 어셈블리(952)가, 사용 중에, 이격된 빔(902)의 인스턴스(instance)(서로 평행하게 정렬됨)들에 걸쳐 그리고 그 사이에 견고하게 스팬(span)되도록(그리고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평 바닥 섹션이 구조물(700)을 위해 건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 빔(902) 및 컬럼(900)은 적절한 재료 또는 구조물(700)을 지지(구조물(700)이 건축된 경우)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강도 특성을 갖는 재료(금속 합금 등)로 제조된 금속 구성 요소와 같은 강도 구성 요소들(strength components)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강도 구성 요소들은 강철, 목재 및/또는 철근 콘크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902)은 기본 빔(primary beam)(802)(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건축 빔 어셈블리 또는 빔 어셈블리라고도 함)을 포함한다(또는 1차 빔이다). 기본 빔(802)은 구조물에서 주요 수평 지지부로서 사용되는(구성되는) 빔을 포함한다. 기본 빔(802)은 또한 제1 기본 빔, 제1 기본 빔 지지부, 대들보 등 및 그와 동등한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본 빔(802)은(설명의 일관성을 위해) 기본 빔(802)으로 지칭될 것이다.
빔(902)은 크로스빔(crossbeam)(804)(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등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또는 크로스빔이다). 크로스빔(804)은 기본 빔(802)에 수직으로 연장된(정렬된) 수평 건축 빔을 포함한다(수평 건축 빔이다). 크로스빔(804)은 또한 2차 빔, 2차 대들보, 크로스빔, 횡방향 빔 등,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로 지칭될 수 있다.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크로스빔(804)은(설명의 일관성을 위해) 크로스빔(804)으로 지칭될 것이다.
기본 빔(802)(기본 빔)과 크로스빔(804)(2차 빔 또는 크로스빔)은 복수의 프레임 어셈블리(952) 및 콘크리트 슬래브(950)에 의해 형성된 수평 구조 바닥(도 1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이 그 위에 위치(견고하게 위치)되는 수평 평면(도 1 및/또는 도 2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접합을 갖는 매트릭스 패턴 형성)에서 서로에 대해 직교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적어도 3 개의 시나리오 또는 케이스에 이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치 시나리오(도 10의 실시 예 및/또는 도 12의 실시 예에 도시됨)에 따라,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접합 영역(junction zone) 아래에 위치하고, 접합 영역(매트릭스 접합)은 종단 간 관계(end-to-end relationship)(바람직하게는 직교 관계에서 각각의 건축 빔에 대해 약 90 도인)로 서로 대면하도록 위치된 빔(902)(또는 경우에 따라, 기본 빔(802) 또는 크로스빔(804))의 종단 대면 인스턴스들(end-to-end facing instances)(단부 부분들)의 단부 아래에 위치한다(그리고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빔(902) 인스턴스의 단부 부분들은 밀접한 관계(근접 관계 또는 인접 공간 위치)에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예를 들어 제2 배치 시나리오에 따르면(도 11의 실시 예에 도시 됨),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빔(902)(또는 경우에 따라 기본 빔(802) 또는 크로스빔(804))의 단부 섹션들 사이의 중간과 같은, 빔(902)의 하부 섹션 아래에 위치된다(그리고 접촉하여 지지한다).
예를 들어, 제3 배치 시나리오에 따르면(도 24의 실시 예 및/또는 도 27의 실시 예에 도시 됨),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접합 영역 아래에 위치하고(및 지지하고), 접합 영역은 크로스빔(804)의 단부 부분 아래에 위치하고, 크로스빔(804)의 단부 부분은 기본 빔(802)의 측벽을 향하도록 위치된다(그리고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빔(804)의 단부 부분은 기본 빔(802)의 측벽에 인접하거나 근접한 관계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1 및/또는 도 2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와 함께 사용 가능한(이용되도록 구성된)(또는 설치된) 빔(902)의 실시 예의 측면 뷰(도 3), 측면 뷰(도 4) 및 단부 뷰(도 5)를 도시한다.
도 3 및/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빔(902)은 대향 단부 부분들을 갖는다(포함한다). 대향 단부 부분들 각각은 빔 기준부(beam-reference portion)(904) 및 빔 단부 지지부(beam end support)(906)를 포함한다. 빔 기준부(904)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선택적으로 공간적으로 위치된다(선택적으로 공간적으로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도 8의 실시 예 및/또는 도 9의 실시 예에 도시됨). 빔 단부 지지부(906)는 빔(902)의 단부 부분에 부착된다. 빔 기준부(904)는 빔 단부 지지부(906)에 위치(배치)된다. 빔 단부 지지부(906)는 빔(902)의 대향 단부 섹션들(대향 단부 부분들)에 위치된다. 빔 단부 지지부(906)는 빔 기준부(904)를 수용하고 지지한다(수용하고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빔(902)은 빔(902)의 이격된 원위(distal) 단부 섹션들에서 빔 단부 지지부(906)를 안전하게 수용하고 유지한다(견고하게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빔(902)의 중량은 빔(902)의 대향 단부로 빔 단부 지지부(906)(빔(902)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 됨)로(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달된다. 빔(902)의 중량은 빔 단부 지지부(906)(빔(902)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 됨)를 통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로(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902)의 중량은 빔 단부 지지부(906)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로 전달되고, 여기서 빔 단부 지지부(906)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902)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된다(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902)의 빔 단부 지지부(906)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면).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902)은 기본 빔(802)을 포함한다. 기본 빔(802)은 빔 기준부(904) 및 빔 단부 지지부(906)를 포함한다. 기본 빔(802)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된 플랫한 단부 부분을 갖는다(기본 빔(802)이 수평하게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위치되면).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902)은 크로스빔(804)(크로스빔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옵션에 따르면, 기본 빔(802)(도 3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및 크로스빔(804)의 단부 섹션들은, 원하는 경우, 동일한 형상 또는 프로파일 등일 수 있다. 크로스빔(804)은 빔 기준부(904) 및 빔 단부 지지부(906)를 포함한다. 크로스빔(804)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과 교차하는(크로스빔(804)이 수평으로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위치되면) 각도(912)로 정렬되는 테이퍼형 단부 부분(tapered end portion)을 갖는다.
도 3 및/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기본 빔(802)(도 3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과 크로스빔(804)(도 4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이의 바람직한 차이는 기본 빔(802)은, 바람직하게는, 플랫한 단부 부분을 갖는 반면(기본 빔(802)의 대향 단부 섹션들에 대해), 크로스빔(804)은, 바람직하게는, 테이퍼형 단부 부분을 갖는다는 것이다(크로스빔(804)의 대향 단부 섹션들에 대해). 크로스빔(804)의 테이퍼형 단부 섹션에 대한 이유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의 관점에서 명백하며, 이는 크로스빔(804) 및 기본 빔(802)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에 장착되면, 크로스빔(804)의 단부는 기본 빔(802)과의 물리적 간섭을 피하기 위해 테이퍼링된다.
도 3 및/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빔(902), 기본 빔(802) 및/또는 크로스빔(804)의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특정 요구 사항 또는 구성에 적합하다면 빔(902), 기본 빔(802) 및 크로스빔(804)에(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부(906)는 빔-종단 수신기(beam-terminus receiver)(905)(채널, 그루브 및 그와 동등한 것으로도 지칭됨)를 정의한다(제공한다). 빔-종단 수신기(905)는 빔 기준부(904)를 빔 단부 지지부(906)의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수용,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빔(902)은 측벽(922)을 포함한다(대향 위치된 측벽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902)은 프레임 결합 디바이스(frame-engagement device)(954)를 포함한다. 빔(902)(및/또는 경우에 따라 기본 빔(802) 및/또는 크로스빔(804))의 프레임 결합 장치(954)는 콘크리트 슬래브(950)를 갖는 프레임 어셈블리(952)의 하부 부분 또는 하부 섹션과 맞물릴 수 있다(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902)(기본 빔(802) 및 크로스빔(804))은 직사각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 빔(902)은 빔 단부 지지부(906)를 수용하고 지지한다(수용하고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빔 기준부(904)는 빔 단부 지지부(906)의 내부에 수용된다(수용되도록 구성된다)(바람직하게 빔 단부 지지부(906)에 의해 정의된 빔-종단 수신기(905)를 통해).
도 3, 도 4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부(906)는 빔(902)의 단부에 부착된다(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빔 단부 지지부(906)는 빔(902)의 단부에 용접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 도 4 및 도 5 중 어느 하나의 빔(902)의 실시 예의 빔 단부 지지부(906)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부(906)는 공동(cavity)(918)(외부에서 접근 할 수 있는 빈 내부)을 제공한다(정의한다). 이는, 빔 기준부(904)가 빔 단부 지지부(906)에 의해 수용되면, 공동(918)이, 사용 중에, 빔 기준부(904)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빔 기준부(904)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일부(또는 경우에 따라,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 또는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와 접촉할 수 있다.
빔 단부 지지부(906)는 빔(902)과 통합될 수 있다(도 3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를 위해, 빔 단부 지지부(906)는 빔 기준부(904) 및 빔 잠금 어셈블리(beam lock assembly)(907)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특정 요소로 기계 가공된다. 빔 잠금 어셈블리(907)는 빔(902)을 선택적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한다(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빔 잠금 어셈블리(907)는 잠금 디바이스(914)(핀 등, 및 그 등가물과 같은) 및 잠금 리테이너(lock retainer)(916)(스프링 어셈블리 등, 및 그 등가물과 같은)를 포함한다. 빔 단부 지지부(906)는 그루브 또는 빔(902)의 일부 등과 정합(mating)하는(정합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요소(guide feature)(908) 형태를 제공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1 및 도 2 중 어느 하나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들의 측면 뷰(도 8) 및 측면 뷰(도 9)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설계 요건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지주-헤드 어셈블리로 구성되거나 분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로 지칭될 수 있다(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 내지 도 23은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는 빔(902)의 중량을(빔 단부 지지부(906)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는 빔(902)의 적어도 인스턴스의 예의 중량을(빔 단부 지지부(906)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는 빔(902)의 하나의 인스턴스, 두 개의 인스턴스들, 세 개의 인스턴스들 또는 네 개의 인스턴스들의 중량을(빔(902)의 빔 단부 지지부(906)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로 지칭될 수 있다(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24 내지 도 30은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의 일부 또는 섹션은 빔(902)의 대향 단부 부분들 사이에 위치된 빔(902)의 섹션으로부터 빔(902)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그리고, 이 경우, 빔 단부 지지부(906)는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와 접촉하지 않는다).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의 다른 부분 또는 섹션은, 원하는 경우 또는 요구되는 경우(도 2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 매트릭스의 형성에 따라), 빔(902)의 중량을(빔 단부 지지부(906)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는 빔(902)의 대향 단부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는 빔의 섹션(일부)으로부터(A)(빔 단부 지지부(906)를 통해) 빔(902)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하나의 인스턴스 또는 두 개의 인스턴스들) 및(B) 빔(902)의 인스턴스(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들)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 및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는 기본 빔(802)(기본 빔) 및 크로스빔(804)(2차 빔 또는 크로스빔)에 의해 형성된 매트릭스 접합(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을 갖는 매트릭스 패턴의 선택된 접합부에 위치될 수 있고, 기본 빔 및 2차 빔은 복수의 프레임 어셈블리(952) 및 콘크리트 슬래브(950)에 의해 형성된 수평 구조 바닥(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이 그 위에 위치되는(견고하게 위치되는) 매트릭스 접합을 갖는 매트릭스 패턴을 형성하는 매트릭스 패턴을 형성하는 수평 평면 상에서 서로에 대해 직교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수직 상방으로 개방되는 U-자 형상(U-shaped formation)을(컬럼(900)을 통해 연장되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한 축 방향을 따라) 형성한다(제공하거나 형성하도록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수평 측방으로 개방되는 U-자 형상을(컬럼(900)을 통해 연장되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한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을 따라) 형성한다(제공하거나 형성하도록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컬럼(900)과 대면하는 L-자형 형상을(컬럼(900)을 향해 수직 상방으로 그리고 방사상으로(radial toward) 개방된) 형성한다(제공하거나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수평 측방으로 개방되는 U-자 형상을(컬럼(900)을 통해 연장되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한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한다(제공하거나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는 높이(height)(250)를 갖는다.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는 높이(350)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의 높이(250) 및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의 높이(350)는 빔(902)(또는, 경우에 따라, 기본 빔(802) 또는 크로스빔(804))의 상부 섹션이 작업 표면(701) 위의 동일한 수직 높이에 있도록 한다(빔(902)이, 경우에 따라, 지주-헤드 어셈블리(102),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 또는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에 장착되면).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측면 뷰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1 배치 시나리오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접합 영역(매트릭스 접합) 아래에 위치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여기서 접합 영역은(경우에 따라) 종단 간 관계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되는 기본 빔(802) 또는 크로스빔(804)의 종단 대면 인스턴스들의 단부 아래에 위치된다(그리고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본 빔(802)의 단부들은 밀접한 관계 또는 근접한 관계로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2 배치 시나리오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빔(902)의 단부 부분들 또는 단부 섹션들 사이(빔(902)의 단부 섹션들 사이의 중간과 같은)에서 빔(902)(또는, 경우에 따라, 기본 빔(802) 또는 크로스빔(804))의 하부 섹션 아래에 위치(접촉 및 지지)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빔(902)은 지주 수신기(prop receiver)(920)(채널, 그루브 등)를 정의한다. 지주 수신기(920)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경우에 따라,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 또는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의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902)은 빔(902)의 하부 측을 따라 위치된 지주 수신기(920)(공동, 그루브, 채널)를 정의한다. 빔(902)의 지주 수신기(920)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그에 따라, 지주 수신기(920)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빔(902)의 단부 부분들(단부 단자들) 사이에 위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크로스빔(804)의 단부 섹션은 각도(912)의 테이퍼형 섹션을 형성한다. 크로스빔(804)의 테이퍼 형 단부 섹션 또는 부분은 크로스빔(804)이 기본 빔(802)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경우에 대한 물리적 충돌 또는 간섭을 방지한다(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크로스빔(804)의 테이퍼 형 단부 섹션에 대한 이유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의 관점에서 명백하며, 이 는, 크로스빔(804) 및 기본 빔(802)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에 장착되면, 크로스빔(804)의 단부가 기본 빔(802)과의 물리적 간섭을 피하기 위해 테이퍼링되는 경우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잠금 어셈블리(907)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에 설치된다(설치 가능하거나 또는 설치되도록 구성된다)(에 의해 수용된다). 빔 잠금 어셈블리(907)는 선택적으로 빔(902)을(제2 빔 위치 요소(106)에서)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에 견고하게 잠근다(선택적으로 견고하게 잠그도록 구성된다). 빔(902)의 빔 기준부(904)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에 수용된다(위치된다).
도 13은 도 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분해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제1 로케이터 및 그의 등가물로 불릴 수 있다.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제2 로케이터, 안전 캐치(safety catch), 후크 포메이션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섀클(shackle) 어셈블리(110)(및 그의 등가물)에 연결될 수 있다(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코너 부분들은 섀클 어셈블리(110)에 연결될 수 있다(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정 와이어(901)는 안정 와이어(901)가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위치를 안정화시키는 방식으로 각각의 섀클 어셈블리(110)에 부착된다(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컬럼(900)의 상부 섹션에 부착되고, 안정 와이어(901)가 각 섀클 어셈블리(110)에 부착되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는 지주 베이스(112) 및 로드 수용 요소(load-receiving feature)(114)(기준 플레이트 또는 기준 요소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지주 베이스(112)는 빔(902)의 컬럼 부분(903)(컬럼 플레이트라고도 함)에 연결 가능하거나 부착 가능하다(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컬럼 부분(903)은 빔(902)의 상부 부분에 부착된다. 로드 수용 요소(114)는 지주 베이스(112) 위에 위치된다. 로드 수용 요소(114)는 지주 베이스(112)에(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로드 수용 요소(114)는, 바람직하게는 로드 수용 요소(114)의 중심 영역에서, 빔(902)의 로드(중량)를 수용하고 지지한다(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로드 수용 요소(114)는,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에 의해 배치 및 수신되는 빔(902) 또는 빔들의 중량 등을 지지한다(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 및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에 대해 위치된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와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는(서로에 대해) 직교 관계로 서로 직각으로 위치된다.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는 형성된 플레이트들이다(또는 이를 포함한다). 섀클 어셈블리(110)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의 하부 섹션)에 연결될 수 있다(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는 각각 지주 베이스(1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 질러 연장된다. 로드 수용 요소(114)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의 중앙에 위치된다.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는 지주 베이스(112)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구성 요소들은 함께 용접된다(고정된 관계로 견고하게 함께 고정됨).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를 포함한다(또는 이다).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를 포함한다.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에 의해 제공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및 제2 위치 결정 요소(106)는 제2 로케이터에 플레이트 어셈블리(504) 의해 제공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잠금 어셈블리(116)는 컬럼 부분(903)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900)에 지주 베이스(112)(지주 베이스 플레이트라고도 함)를 연결할 수 있다(결합,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어셈블리(116)는 원통형 튜브(원통형 튜브 리테이너 또는 연장 튜브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원통형 튜브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900)의 컬럼 부분(903)(컬럼 플레이트라고도 함)에 정의된 중심 구멍에(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크기를 갖는 외부 직경을 갖는다(바람직하게는 그 사이에 밀착 결합되도록). 원통형 튜브는 잠금 어셈블리(116)와 컬럼 부분(903) 사이의 끼워 맞춤을 향상시킨다. 원통형 튜브는 리테이너 클립(clip)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직으로 연장되는 슬롯(slot)을 정의한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슬롯은 원통형 튜브의 대향 측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긴 잠금 핀(elongated lock pin)은 리테이너 클립을 원통형 튜브의 중앙 부분에 연결한다(결합한다)(리테이너 클립이 원통형 튜브의 긴 슬롯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면). 잠금 핀은 원통형 튜브에 대한 리테이너 클립의 피봇 운동을 허용한다(리테이너 클립이 원통형 튜브 내에 또는 원통형 튜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면). 잠금 핀은 또한 스프링 부재(spring member)를 리테이너 클립과 결합시킨다. 스프링 부재는 리테이너 클립을 편향시켜 톱니(teeth)(리테이너 클립에 의해 제공된)이 지주 베이스(112)에 의해 정의된 중심 구멍의 측(가장자리)과 맞물리도록 한다(잠금 핀이 스프링 부재를 리테이너 클립과 결합하고 잠금 핀이 리테이너 클립을 원통형 튜브와 결합하면). 스프링 부재의 작용(스프링 부재가 바이어스 됨)은 리테이너 클립의 톱니와 지주 베이스(112)에 의해 정의된 중심 구멍의 에지(측 에지)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 또는 유지하는 것이다(이러한 방식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900)의 컬럼 부분(903)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리테이너 클립은 이동되어(사용자에 의해, 스프링 부재의 작동에 반대) 리테이너 클립의 톱니와 지주 베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중심 구멍의 에지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이러한 방식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900)의 컬럼 부분(903)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기본 빔들(802) 각각의 단부들(원위 단부들 또는 대향 단부 부분들)은 종단 간 관계에 위치되고(서로에 대해), 크로스빔(804)의 단부는 기본 빔(802)의 단부와 대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본 빔(802)과 크로스빔(804)은 서로 직교하게 정렬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기본 빔(802) 및 크로스빔(804)의 단부 부분들(보다 구체적으로, 빔 단부 지지부(906)에 장착된 빔 기준부(904))을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기본 빔(802)의 빔 기준부(904) 및 크로스빔(804)의 빔 기준부(904)를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빔 잠금 어셈블리(907A)는 기본 빔(802)에 의해 수용되고, 제1 빔 잠금 어셈블리(907A)는,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에 대해 기본 빔(80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2 빔 잠금 어셈블리(907B)는 크로스빔(804)에 의해 수용되고, 제2 빔 잠금 어셈블리(907B)는,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에 대해 크로스빔(804)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로드 수용 요소(114)는, 사용 중에, 크로스빔(804)(의 중량)을 지지한다. 크로스빔(804)의 빔 단부 지지부(906)의 하부는, 사용 중에, 로드 수용 요소(114)와 접촉한다(크로스빔(804)의 빔 기준부(904)가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상에 배치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이 도면에서 숨겨져 있다(도 8의 실시 예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로드 수용 요소(114)는, 사용 중에, 기본 빔(802)(의 중량)을 지지한다. 기본 빔(802)의 빔 단부 지지부(906)의 하부는, 사용 중에, 로드 수용 요소(114)와 접촉한다(기본 빔(802)의 빔 기준부(904)가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상에 배치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이 도면에서 숨겨져 있다(도 8의 실시 예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부분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기본 빔(802)의 빔 단부 지지부(906)는, 사용 중에, 빔 기준부(904)를 수용한다. 빔 기준부(904)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경우에 따라, 제1지주-헤드 어셈블리(2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에 수용된다.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도 17의 이 도면에서 숨겨져 있다(도 9의 실시 예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를 도시한다). 크로스빔(804)의 빔 단부 지지부(906)는, 사용 중에, 빔 기준부(904)를 수용하고, 빔 기준부(904)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경우에 따라,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에 수용된다.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도 17의 이 도면에서 숨겨져 있다(도 9의 실시 예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기본 빔(802)의 단부 부분들(단부 섹션들)의 두 개의 인스턴스들은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의 각각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들(104) 상에 위치된다. 크로스빔(804)의 단부 섹션의 하나의 인스턴스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상에 위치된다. 도 18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기본 빔(802)은 종단 간(end-to-end)에 위치하고, 크로스빔(804)은 기본 빔(802)에 직교하게 배향된다. 기본 빔(802) 및 크로스빔(804)의 단부 섹션들은 지주-헤드 어셈블리(102) 상에 배치된다.
도 19 내지 도 22는 도 19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단면 뷰를 도시한다. 도 19 내지 도 22의 단면 뷰는 도 18의 단면 라인 AA-AA를 따라 취해진다.
도 19 내지 도 22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 크로스빔(804)에 관한 세부 사항(크로스빔(804)의 위치 등과 같은)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 내지 도 22와 관련되고 크로스빔(804)에 관한 설명은 빔(902) 및 기본 빔(802)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크로스빔(804)은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를 향해 이동되고, 이에 따라 크로스빔(804)은 선택적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잠금 수신기(909)가 빔 잠금 어셈블리(907)를 위해 제공된다. 빔 잠금 어셈블리(907)는 도 19의 실시 예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잠금 수신기(909)는 빔 잠금 어셈블리(907)를 수용할 준비가 된 것으로 도시됨).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크로스빔(804)의 제1 고정 위치(stationary position)(105)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크로스빔(804)은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에 의해 수용된다(위에 위치). 이 경우는 빔(902) 및 기본 빔(802) 등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잠금 어셈블리(907)는 크로스빔(804)(또는 경우에 따라 기본 빔(802) 또는 빔(902))의 잠금 수신기(909)(도 19의 실시 예에서 도시됨)에 의해 수용된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크로스빔(804)의 제2 고정 위치(107)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크로스빔(804)은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또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202))의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에 의해 수용된다(위에 위치). 이 경우는 빔(902) 및 기본 빔(802)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잠금 어셈블리(907)는 크로스빔(804)(또는, 경우에 따라, 기본 빔(802) 또는 빔(902))의 잠금 수신기(909)(도 19의 실시 예에서 도시됨)로부터 제거되고, 그에 따라 크로스빔(804)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로부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로 이동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크로스빔(804)의 우연한 움직임 또는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 대한 경우에 따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크로스빔(804)은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로부터 제거된다(또는 일반적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로부터 멀어짐).
도 2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잠금 어셈블리(907)는 크로스빔(804)의 잠금 수신기(909)(도 19의 실시 예에서 설명 됨)로부터 제거된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컬럼(900)에 대해 제공된다. 장치(100)는 또한 빔(902)(기본 빔(802) 및/또는 크로스빔(804)과 같은)에 대해 제공된다. 빔(902)은 빔 기준부(904)를 갖는다. 장치(10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를 포함한다(갖는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컬럼(9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하다(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컬럼(900)의 상 단부 섹션에 고정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하다(고정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컬럼(900)에 고정 연결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빔(90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또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와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의 상조적인(synergistic) 조합을 포함한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제1 종단 위치 결정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로스빔(804)의 빔 기준부(904)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경우에 따라) 빔(902), 기본 빔(802) 및/또는 크로스빔(804) 중 어느 하나의 빔 기준부(9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제2 종단 위치 결정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와 이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로스빔(804)의 빔 기준부(904)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경우에 따라) 빔(902), 기본 빔(802) 및/또는 크로스빔(804) 중 어느 하나의 빔 기준부(9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빔(902)의 빔 기준부(904)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로부터 및 컬럼(900)으로부터 그리고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쪽으로 우연히 변위되면(움직이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빔(902)의 빔 기준부(904)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보다 상세한 설명과 함께), 장치(100)는 컬럼(900) 및 빔 기준부(904)를 갖는 빔(902)을 위해 제공된다. 장치(10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를 포함한다(갖는다). 지지 헤드 어셈블리(102)는 컬럼(9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고정 연결 가능, 고정 연결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컬럼(900)의 상부 섹션(단부 섹션)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고정 연결 가능, 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컬럼(900)에 고정 연결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또한 빔(90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또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와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의 상조적인 조합을 포함한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제1 종단 위치 결정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빔(902)(예를 들어 크로스빔(804) 및/또는 기본 빔(802)과 같은)의 빔 기준부(904)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가, 사용 중에, 컬럼(900)에 대해 제1 고정 위치(105)(도 20의 실시 예에서 도시됨)에서 빔(902)의 빔 기준부(904)를 위치(배치)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가, 사용 중에, 제1 고정 위치(105)에서 빔(902)의 빔 기준부(904)를(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제2 종단 위치 결정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와 이격되어 있다.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빔(902)(도시된 것과 같은 크로스빔(804) 및/또는 기본 빔(802)과 같은)의 빔 기준부(904)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가, 사용 중에, 컬럼(900)에 대해 제2 고정 위치(107)(도 21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에서 빔(902)의 빔 기준부(904)를 위치(배치)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제2 빔 위치 결정 특징 부(106)가, 사용 중에, 빔 기준 부(904)를 수용하면). 빔(902)의 빔 기준부(904)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로부터 우연히 변위되고 또한 컬럼(900)으로부터 변위되면(움직이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빔(902)의 빔 기준부(904)를 선택적으로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902)이, 사용 중에,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에 위치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빔(902)의 빔 기준부(904)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선택적으로 수용 또는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빔 기준부(904)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에 위치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부주한 측-대-측 수평 이동을 제한하고, 빔(902)의 빔 기준부(904)의 부주의한 하향 수직 이동을 제한한다(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빔 기준부(904)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에 위치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바람직하게는) 빔(902)의 빔 기준부(904)의 방해 받지 않는(unimpeded) 상향 수직 이동을 추가로 허용한다(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기준부(904)가, 사용 중에,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에 의해 수용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는 빔(902)의 빔 기준부(9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지지한다(지지하도록 더 구성된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기준부(904)가, 사용 중에,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에 위치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빔(902)의 빔 기준부(9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수용한다(수용하도록 더 구성된다). 빔 기준부(904)가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에 위치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빔(902)의 빔 기준부(904)의 의도하지 않은 상향 수직 이동을 제한하고 의도하지 않은 하향 수직 이동을 제한한다(제한하도록 더 구성된다). 빔 기준부(904)가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에 위치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컬럼(900)으로부터 멀어지는 빔(902)의 빔 기준부(904)의 의도하지 않은 수평 이동이 더 제한된다(제한하도록 더 구성된다). 빔 기준부(904)가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에 위치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바람직하게는) 또한 빔(902)의 빔 기준부(904)의 컬럼(900)을 향한 방해받지 않는 수평 이동을 허용한다(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기준부(904)가, 사용 중에,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에 의해 수용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빔(902)의 빔 기준부(9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23은 도 19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단면 뷰를 도시한다. 도 23의 단면 뷰는 도 18의 단면 선 BB-BB을 따라 취해진다.
도 2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기본 빔(802)의 두 개의 인스턴스들(도시된 바와 같은)이 지주-헤드 어셈블리(102) 상에 위치되면, 기본 빔(802)의 단부 부분들은 종단 간 관계(end-to-end relationship)로 배치된다.
도 24는 도 9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측면 뷰를 도시한다.
도 2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3 배치 시나리오가 도시되어 있으며,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접합 영역(도 1 및/또는 도 2의 실시 예에 도시된 매트릭스 접합) 아래에 위치(그리고 지지하는)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여기서 접합 영역은 크로스빔(804)의 단부 부분 아래에 위치되고(그리고 지지하고), 크로스빔(804)의 단부 부분은 기본 빔(802)의 측벽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빔(804)의 단부 부분은 기본 빔(802)의 측벽에 가깝거나 근접한 관계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25는 도 9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9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분해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는 제1 지지 요소(304) 및 제2 지지 요소(306)를 포함한다. 제1 지지 요소(304)는 로드 수용 요소(114)의 형상 및 구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화한다(reinforce)(강화하도록 구성된다). 제2지지 요소(306)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의 형상 및 구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화한다(강화하도록 구성된다).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보다 공간적으로 더 높게 위치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를 포함한다.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2)에 의해 제공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는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504)에 의해 제공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로드 수용 요소(114)는 하부(308) 및 상부(310)를 포함한다. 로드 수용 요소(114)가, 사용 중에, 크로스빔(804) 및 기본 빔(802)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한다.
도 27 및 도 28은 도 25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기본 빔(802)(기본 빔(802)의 하부 섹션)은, 기본 빔(802)의 단부들 사이에서,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 상에 위치된다. 크로스빔(804)이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 상에 위치되고 배치되면 기본 빔(802)의 측벽(922)은 크로스빔(804)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크로스빔(804)은 기본 빔(802)의 측벽(922)에 대해 직교 배향된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3 배치 시나리오가 도시되어 있으며, 지주-헤드 어셈블리(102)가 접합 영역(매트릭스 접합) 아래에 위치되는(그리고 지지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접합 영역은 크로스빔(804)의 단부 부분 아래에 위치되고(그리고 지지하고), 크로스빔(804)의 단부 부분은 기본 빔(802)의 측벽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빔(804)의 단부 부분은 기본 빔(802)의 측벽에 가깝거나 근접한 관계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29는 도 2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단면 뷰를 도시한다. 도 29의 단면 뷰는 도 28의 단면 선 DD-DD를 따라 취해진다.
도 2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잠금 어셈블리(907)는 크로스빔(804)의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06)에 설치되어 빔 잠금 어셈블리(907)가, 사용 중에, 크로스빔(804)을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에 고정시킨다. 크로스빔(804)의 빔 기준부(904)는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04)에 의해 수용되거나 그 위에 위치된다.
도 2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기본 빔(802)의 하부 섹션은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의 로드 수용 요소(114)의 하부에 의해 수용된다. 로드 수용 요소(114)의 하부는, 사용 중에, 기본 빔(802)을 지지한다(기본 빔(802)이 로드 수용 요소(114)의 하부에 의해 수용되면).
도 2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부(906)(크로스빔(804)에 의해 수용되어 유지됨)의 원위 단부 부분은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의 로드 수용 요소(114)의 상부에 의해(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의 로드 수용 요소(114)의 상부는, 사용 중에, 크로스빔(804)(의 중량을)을 지지한다(크로스빔(804)이 로드 수용 요소(114)의 상부에 의해 수용되면).
도 30은 도 28의 지주-헤드 어셈블리(102)의 실시 예의 단면 뷰를 도시한다. 도 30의 단면 뷰는 도 28의 단면 선 CC-CC를 따라 취해진다.
도 3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기본 빔(802)의 하부 섹션은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302)의 로드 수용 요소(114)의 하부에 의해 수용된다. 하중 수용 요(114)의 하부는, 사용 중에, 기본 빔(802)을 지지한다(기본 빔(802)이 로드 수용 요소(114)의 하부에 의해 수신되면).
조항(CLAUSES)
장치의 예시에 대한 추가 설명으로서 다음의 조항들(clauses)이 제공된다. 다음 조항 중들 하나 이상은(A) 다음 조항 중들 다른 하나 이상 및/또는(B) 다른 조항의 서브섹션 또는 부분 또는 부분들 및/또는(C) 임의의 조항의 조합 및 순열(permutation) 및/또는(D) 특정 조항에 포함되지 않은 설명이 있거나 없는 본 출원에 설명된 것과 결합할 수 있다. 다음 조항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조항이나 다른 조항의 일부와 결합하지 않고도 자체 장점을 지닐 수 있다.
조항(1): 장치에 있어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는(고정 연결 가능, 고정 연결되도록 구성)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또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빔 기준부를 가지며; 그리고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하고(선택적으로 수용 가능,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또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와 이격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하고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하고(선택적으로 수용 가능,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수용한다(수용하도록 추가 구성된다)(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가 우연히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그리고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쪽으로 우연히 변위되면).
조항(2): 수직으로 연장 건축 컬럼 및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에 대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는(고정 연결 가능, 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또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대한 제1 고정 위치에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하는(선택적으로 수용 가능,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됨)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상기 제1 빔 위치 요소와 이격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대한 제2 고정 위치에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고(선택적으로 수용 가능,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우연히 변위되고 또한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변위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수용한다(수용하도록 더 구성된다).
조항(3):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가, 사용 중에,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수용 가능,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는 빔 기준부가 제1 빔 위치 요소에 위치되면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의 우연한 측-대-측 수평 이동을 제한하고 우연한 하향 수직 이동을 제한하고(제한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C) 빔 기준부가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의 방해받지 않는 상향 수직 이동을 허용한다.
조항(4):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빔 기준부가, 사용 중에,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해 수용되면,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더 지지한다(지지하도록 더 구성된다).
조항(5):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빔 기준부가, 사용 중에,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수용한다(수용 가능,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빔 기준부가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의 의도하지 않은 상향 수직 이동을 제한하고 의도하지 않은 하향 수직 이동을 제한한다(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빔 기준부가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멀어지는 의도하지 않은 수평 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한다(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빔 기준부가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쪽으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의 방해받지 않은 수평 이동을 허용한다(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조항(6): 조항(5)의 장치에 있어서: 빔 기준부가, 사용 중에,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해 수용되면,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조항(7):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대향 단부 부분들을 가지며; 그리고 수평 구성 빔 어셈블리의 대향 단부 부분들 각각은: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단부 부분에 부착된 빔 단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빔 기준부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위치되며(선택적으로 공간적으로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빔 기준부는 빔 단부 지지부에 위치하고; 그리고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중량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대향 단부들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되는 빔 단부 지지부로 전달되고; 그리고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중량은 빔 단부 지지부를 통해 지주-헤드 어셈블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달되고,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단부 지지부가, 사용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와 접촉하면, 빔 단부 지지부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된다.
조항(8):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단부 부분을 갖고; 그리고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단부 부분은: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위치된(선택적으로 공간적으로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됨) 빔 기준부; 및 빔 단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빔 기준부는 빔 단부 지지부에 위치된다.
조항(9):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수평 평면 상에서 서로에 대해 직교하게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사용 중에, 수평 구조 바닥이 그 위에 확실하게 위치될 수 있는 매트릭스 패턴을 형성한다.
조항(10):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갖는 프레임 어셈블리의 바닥 부분과 맞물리는(맞물릴 할 수 있는, 맞물리도록 구성된) 프레임 결합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조항(11):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빔 기준부가 빔 단부 지지부에 의해 수용되면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노출시키도록 구성된) 공동을 제공하는 빔 단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빔 기준부는,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일부와 접촉한다.
조항(12):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여기서: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매트릭스 패턴의 선택된 접합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복수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콘크리트 슬래브에 의해 형성된 수평 건축 바닥이 그 위에 확실하게 위치된 매트릭스 패턴을 형성하는 수평 평면 상에서 서로에 대해 직교하게 위치될 수 있다.
조항(13):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 수신기를 정의하고; 그리고 지주 수신기는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여(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지주 수신기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된다.
조항(14):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2 빔 위치 요소에 설치된(설치 가능, 설계되도록 구성된) 빔 잠금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빔 잠금 어셈블리는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견고하게 잠그고(선택적으로 견고하게 잠그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1 빔 위치 결정요소에 위치된다.
조항(15):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컬럼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된(부착되도록 구성된) 지주 베이스; 및 로드 수용 요소를 포함하고; 그리고 로드 수용 요소는 지주 베이스에 결합되고; 그리고 로드 수용 요소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한다(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조항(16):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하는(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 로드 수용 요소; 및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위치된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서로 직교 관계로 서로 직각으로 위치되고; 그리고 로드 수용 요소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중앙에 위치된다.
조항(17): 조항(2)의 장치에 있어서: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보다 더 높게 위치된다.
조항(18): 조항(2)의 장치에서,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된다.
조항(19):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을 위해 제공되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상기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단계;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와 이격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상기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및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향하여 우연히 변위되면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상기 빔 기준부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20): 장치에 있어서: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working surface) 상에 위치되면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사용 중에, 상기 작업 표면 위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상기 작업 표면 상에 위치된(위치 가능한, 위치 가능하도록 또는 위치하도록 구성된)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된(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지지하고(지지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대한 제1 고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와 이격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면,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대한 제2 고정 위치에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며(선택적으로 수용가능,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우연히 변위되고 또한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변위되면,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더 수용한다(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
기술 분야(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이 문서는(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 내지 도 81의 실시 예들을 참조한 건축 구성 요소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건축 구성 요소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건축 빔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건축 빔 어셈블리 용(도 31 내지 도 53 참조)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및/또는 건축 빔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와 관련된 방법).
배경 기술(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쇼어링(shoring)은 구조물이 무너질 위험이 있거나(구조물의) 건축, 수리 또는 개조 중에 받침대(shore)(지주 또는 지지부라고도 함)로 구조물(빌딩, 선박, 트렌치 등과 같은)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프로세스이다. 쇼어링은 수직, 경사진 또는 수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빌딩 구성 요소(지주, 지주 어셈블리 등과 같은)는 구조물이 떨어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방지하기 위해) 구조물(또는 구조물의 일부) 아래에 및/또는 구조물에 대해 놓인 오브젝트(지지부라고도 함)이다.
요약(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건축 빔들과 함께 이용되는 기존의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들(기존 기술이라고도 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험을 통해 알려진 시스템과 방법을 많이 연구한 후 문제와 해결 방법에 대한(적어도 부분적으로) 이해가(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인되었으며 다음과 같이(적어도 부분적으로) 명확하게 설명된다:
건축 빔 어셈블리에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를 배치하는 것은 어려운 제안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에 연결되고,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들 사이에 수평으로 정렬된다(건축 빔 어셈블리가 지주-헤드에 장착되면).
경우에 따라, 건축 빔 어셈블리는 건축 빔 어셈블리가 수평(수평선)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비 수평 정렬되어야 하며, 콘크리트 빔 프레임 어셈블리는 일단 건축 빔 어셈블리가 비 수평으로 정렬되면 건축 빔 어셈블리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표면으로부터 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따라서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비 수평 정렬이 요구된다. 비 수평 정렬된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를 배치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수평의 정의는 "지구와 하늘의 겉보기 교차점과 관련이 있으며; 수평선 근처에 위치한다".
기존 기술과 관련된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주요 양태에 따라)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를 위해 구성됨). 장치는 상승적인 기술적 특징을 갖는(시너지 구성)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할 수 있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한다(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됨).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사용 중에,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를 수용하고 지지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를 갖는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제1 빔 교대 요소를 갖는다.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직으로 연장(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부착된다(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은 작업 표면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고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고정적으로 배치 가능함).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빔 교대 요소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빔 교대 요소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 피봇 움직임은, (A) 사용중인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작업 표면에 고정적으로 위치되고; 그리고 (B) 사용중인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부착되고; 그리고 (C) 사용중인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그리고 (D) 사용중인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위치되고; 그리고 (E) 사용중인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동안 피봇식으로 이동(피봇)된다.
기존 기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주요 양태에 따라)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 지주-헤드 어셈블리,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상승적 조합을 포함하지만(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은 작업 표면에 고정 배치된다(고정 배치되도록 구성, 고정 배치 가능).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부착된다(부착되도록 구성되고, 부착 가능하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제1 빔 교대 요소를 구비(포함)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한다(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됨). 사용중인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를 수용하고 지지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 가능하고 이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 가능하고 이에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됨).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를 갖는다(포함함).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빔 교대 요소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가,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빔 교대 요소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적응된다(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 이 피봇 움직임은:(A) 사용중인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작업 표면에 고정적으로 위치되고; 그리고(B) 사용중인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부착되고; 그리고(C) 사용중인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그리고(D) 사용중인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위치되고; 그리고(E) 사용중인 제1 구성 빔 어셈블리가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동안 피봇식으로 이동되면, 수행된다.
다른 양태들은 청구 범위에서 식별된다. 비 제한적인 실시 예들의 다른 양태들 및 특징들은 이제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비 제한적인 실시 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이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개념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개시된 주제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개시된 주제의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또는 모든 구현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이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다른 신규 장점, 특징 및 관계가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의 도면들 및 설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 예를 예시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비제한적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참조할 때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충분히 이해될 수 있고, 여기서:
도 31 및 도 32는 빌딩 구조물의 건축 및 지지를 위한(위해 구성된) 장치의 실시 예들의 사시 뷰(도 31) 및 측면 뷰(도 32)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33은 도 31의 장치의 실시 예의 단부 뷰를 도시하고;
도 34 및 도 35는 도 31의 장치의 실시 예의 평면 뷰를 도시하며, 여기서 장치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도 36,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및 도 41은 도 35의 장치의 실시 예들의 측면 뷰(도 36, 도 37, 도 40 및 도 41), 평면 뷰(도 38) 및 단면 뷰(도 39)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수평으로 정렬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도 42, 도 43, 도 44, 도 45, 도 46 및 도 47은 도 35의 장치의 실시 예의 측면 뷰(도 42, 도 43, 도 46 및 도 47), 평면 뷰(도 44) 및 단면 뷰(도 45)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아래쪽으로 피봇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비-수평 정렬을 갖는 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및 도 53은 도 35의 장치의 실시 예의 측면 뷰(도 48, 도 49, 도 52 및 도 53), 평면 뷰(도 50) 및 단면 뷰(도 51)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위쪽으로 피봇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비-수평 정렬을 갖는 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가상 선, 도식적 표현 및 단편도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실시 예의 이해에 불필요한 세부 사항(및/또는 다른 세부 사항을 인식하기 어렵게 하는 세부 사항)은 생략될 수 있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는 도면의 여러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여러 도면들 내의 요소는 단순성과 명료성을 위해 나타내었으며, 실제 크기대로 그려지지 않았다. 도면들에서 일부 요소의 치수는 다양한 개시된 실시 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요소에 비해 강조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실시 예에서 유용하거나 필요한 공통의, 그러나 잘 이해되는, 요소는 종종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덜 방해된 뷰를 제공하도록 도시되지 않았다.
도면에 사용된 참조 번호 목록(건축 빔 어셈블리 용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와 관련 또는 연관된):
1100 장치
1102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
1104 지주-헤드 어셈블리
1104A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
1104B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
1106 건축 빔 어셈블리
1106A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1106B 제2 건축 빔 어셈블리
1107 피봇 각도(pivot angle)
1108 빔 교대 요소(beam-abutment feature)
*1108 제1 빔 교대 요소
1108B 제2 빔 교대 요소
1110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
1110A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
1110B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
1110C 제3 콘크리트 슬래브 어셈블리
1110D 제4 콘크리트 슬래브 어셈블리
1111 형성된 콘크리트 슬래브
1111A 제1 형성된 콘크리트 슬래브
1111B 제2 형성된 콘크리트 슬래브
1112 프레임 교대 요소
1112A 제1 프레임 교대 요소
1112B 제2 프레임 교대 요소
1113 패널 슬롯
1114 상부 빔 부분
1114A 제1 상부 빔 부분
1114B 제2 상부 빔 부분
1116 단부 섹션
1116A 제1 단부 섹션
1116B 제2 단부 섹션
1118 빔 기준부
1118A 제1 빔 기준부
1118B 제2 빔 기준부
1120 빔 위치 결정 요소
1120A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1120B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
1122 갭(gap)
1122A 제1 갭
1122B 제2 갭
1122C 제3 갭
1122D 제4 갭
1124 스킴 코트(skim coat)
1126 캐밍(camming) 표면
1126A 제1 캐밍 표면
1126B 제2 캐밍 표면
1128 접촉 포인트
1129 상부 프레임 부분
1130 프레임 에지 갭
1132 유출 드롭 방향(leakage drop direction)
1134 프레임 갭
1136 상부 단부 부분(상단부)
1136A 제1 상단부
1136B 제2 상단부
138 접촉 영역
140 각도
140A 제1 각도
140B 제2 각도
142 피봇방향
142A 제1 피봇 방향
142B 제2 피봇 방향
144 교대(abutment)
144A 제1 교대
144B 제2 교대
144C 제3 교대
144D 제4 교대
146 수직 선
148 각도
150 수평 선
152 각도
152A 제1 각도
152B 제2 각도
900 작업 표면
비 제한적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건축 빔 어셈블리 용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와 관련 또는 연관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설명된 실시 예들 또는 설명된 실시 예들의 응용 및 사용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사용된 "예시 적" 또는 "설명적"이라는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제공하는"을 의미한다. "예시적" 또는 "설명적"으로 기술된 임의의 구현이 반드시 다른 구현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 설명된 모든 구현은 당업자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만들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 예시적인 구현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청구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이 청구항은 본 출원의 출원 후 특허 심사 중에 청구될 수 있음). 설명을 위해, "상부", "하부", "왼쪽", "후방", "오른쪽", "정면", "수직", "수평" 및 그 파생어는 도면에서 배향된 예를 나타낸다. 앞의 기술 분야, 배경, 요약 또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어떠한 명시적 또는 묵시적 이론에 구속될 의도는 없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다음의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및 프로세스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예시적인 실시 예(예시), 양태 및/또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청구 범위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개시된 실시 예와 관련된 치수 및 다른 물리적 특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어구 "적어도 하나"는 "하나"와 등가인 것으로 이해된다. 도면에 관한 양태들(예시, 변경, 수정, 선택, 변형, 실시 예 및 그와 동등한 것)이 설명된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주제로 제한되며,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측면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아이템에 결합되도록(즉, 아이템에 연결되도록, 아이템과 상호 작용하도록, 등) 구성된 디바이스의 의미의 범위는 디바이스가 아이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로 구성된"은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빌딩 구조물(예를 들어, 건물 또는 교량 등, 및 그 등가물과 같은 도 1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의 건축 및/또는 지지를 위한(위해 구성된) 장치(1100)의 실시 예들의 사시 뷰(도 31) 및 측면 뷰(도 32)를 도시한다.
장치(1100)는 구조물(700)의 바닥(타설된 콘크리트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임시 구조물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도 1에 도시); 바닥이 형성되면, 장치(1100)는 제거되고, 새로 형성된 바닥에 재배치될 수 있고, 이런식으로 장치(1100)는 구조물(700)의 새로 형성된 층(바닥) 위에 위치될 또 다른 새로운 층의 형성에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도 1에 도시).
도 3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은 작업 표면(1900)(지상 등, 및 그의 등가물)에 고정적으로 위치된다(고정 위치되도록 구성됨, 고정 위치 가능함).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즉, 수평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연장)은 금속 합금으로 형성되고 및/또는 압출 또는 제조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의 단부 섹션)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견고하게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됨)(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1900)에 고정 위치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는, 사용 중에,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또는 수용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는(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이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 상에 배치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또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또는 수용 또는 수용하도록 구성).
도 31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를 가로 질러 걸쳐있다. 도 32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도 3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되고 및/또는 압출되거나 제조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를 갖는다(포함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을 갖는다(포함한다). 제1 상부 빔 부분(1114A)(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은 사출 성형될 수 있고(사출 성형 시스템에 의해), 이어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섹션에 끼워질 수 있다(마찰 장착).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은 제1 빔 교대 요소(1108A)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를 포함한다.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에 부착된다(부착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제1 빔 교대 요소(1108A)는 직립 리브(upstanding rib), 리브들의 로우(row), 이격된 직립 리브들의 두 개의 로우들 등 및 이들의 등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한 선형 부분은 이격된 직립 리브들의 구 개의 로우의 직립 리브들 각각의 사이(각 직립 리브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빔 교대 요소(1108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섹션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도 3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은(사용 중에)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단부 부분)과 인접해 위치되며,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은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제1 측방향 측 에지를 따라 위치된 제1 빔 교대 요소들(1108A)의 제1 로우를 포함한다. 제1 빔 교대 요소들(1108A)은 단일 파일(단일 로우)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플랫한 선형 부분은 제1 빔 교대 요소들(1108A) 각각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은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제2 측방향 측 에지를 따라 위치된 제2 빔 교대 요소들(1108B)의 제2 로우를 포함한다. 제1 빔 교대 요소들(1108A)의 제1 로우는 제2 빔 교대 요소들(1108B)의 제2 로우와 이격되어 있다. 제2 빔 교대 요소들(1108B)은 단일 파일(단일 로우)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랫한 선형 부분은 제2 빔 교대 요소들(1108B) 각각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3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피봇식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가능하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사용 중에, 피봇 각도(1107)를 따라 피봇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120A)를 포함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빔 기준부(1118A)를 갖는 제1 단부 섹션(1116A)을 포함한다. 제1 빔 기준부(1118A)(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120A)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가능하다).
도 33은 도 31의 장치(1100)의 단부 뷰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3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1111A)를 수용하고 지지한다(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콘크리트-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섹션)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인접 관계에서, 인접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됨)하는,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를 갖는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가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을 따라 이동되면).
도 3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빔 교대 요소(1108A)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하부 섹션과 선택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맞물린다(선택적이고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됨, 맞물릴 수 있음). 바람직하게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리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수용하도록 구성된) 이격된 채널들(알려져 있지만 도시되지 않은 슬롯 등)을 정의하고(도 34를 참조하면 이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가, 사용 중에,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와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이들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의 이격된 인스턴스들 사이에서 견고하게 걸쳐 있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행해지고; 이러한 방식으로, 수평 바닥 섹션은 건물, 교량 등과 같은 건축될 구조물을 위해 구성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구조물은 장치(1100)의 구성 요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다.
도 3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패널 슬롯(1113)을 정의한다(이격된 채널이라고도 함(이는, 예를 들어, 도 35에서 패널 슬롯(1113)으로도 도시됨)). 패널 슬롯(11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빔 교대 요소(1108A)를 수용하고(수용하도록 구성됨)(도 34 참조); 이는 제1 콘크리트-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가, 사용 중에,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와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이들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됨)의 이격된 인스턴스들 사이에서 견고하게 사이에 걸쳐서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행해지고; 이러한 방식으로, 수평 바닥 섹션은 장치(1100)의 구성 요소로 건축될 구조물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패널 슬롯(1113)은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여러 인스턴스들의 측방향 폭을 초과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슬롯(1113)은, 예를 들어, 단일 파일 또는 단일 로우를 따라, 한 번에 하나씩 배치된, 임의의 적절한 양(4 개의 수량과 같은)의 제1 빔 교대 요소들(1108A)의 로우의 측방향 폭을 초과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하부 섹션을 따라 위치된다(위치 가능).
도 3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1111A)를 수용하고 지지한다(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됨). 바람직하게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1111A)는 제1 콘크리트 슬라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에 형성(그리고 견고하게 위치)되고; 예를 들어, 이는 시멘트를 프레임 어셈블리 내로 붓고, 시멘트가 프레임 어셈블리 내에서 경화되도록 하여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성형 콘크리트 슬래브(111B)를 수용하고 지지한다(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됨).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섹션)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콘크리트 슬라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접촉하는(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를 갖는다(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을 따라 이동되면).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는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하부 섹션을 따라 위치된다.
도 34 및 도 35는 도 31의 장치(1100)의 평면 뷰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장치(1100)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 및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를 포함한다.
도 3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지지 가능).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와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이들이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A) 및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B)에 장착되고 지지되면).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A)와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B)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이들이 이들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 각각의 인스턴스에 견고하게 장착된 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에 걸쳐 위치된다(및 사이에 스팬됨).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대향 단부 에지들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중간 섹션(중앙 섹션)에 위치(배치)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부분적으로 보여지는)는(사용 중에)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단부 에지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도 3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와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에 걸쳐 위치된다(그리고 스팬됨).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에 걸쳐 위치된다(그리고 스팬됨).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측방향 에지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측방향 에지에 인접한다. 제3 콘크리트 슬래브 어셈블리(1110C)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와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에 걸쳐 위치된다(그리고 스팬됨). 제3 콘크리트 슬래브 어셈블리(110C)의 측방향 에지는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측방향 에지에 인접한다. 제4 콘크리트 슬래브 어셈블리(1110D)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와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에 걸쳐 위치된다(그리고 스팬됨). 제4 콘크리트 슬래브 어셈블리(1110D)의 측방향 에지는 제3 콘크리트 슬래브 어셈블리(1110C)의 측방향 에지에 인접한다.
도 36,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및 도 41은 도 35의 장치(1100)의 측면 뷰(도 36, 도 37, 도 40 및 도 41), 평면 뷰(도 38) 및 단면 뷰(도 39)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1 건축빔 어셈블리(1106A)는 수평으로 정렬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도 35,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수평으로 정렬되고,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도 3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피벗 장착 또는 피봇 장착으로 구성됨). 바람직하게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단부 섹션(단부 부분)은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120A)를 포함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빔 기준부(1118A)를 갖는 제1 단부 섹션(1116A)을 포함한다(갖는다). 제1 빔 기준부(1118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120A)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그리고 그에 의해 지지 가능). 제1 빔 기준부(1118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120A)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피봇식으로 장착,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됨)(그리고 지지 가능하거나 또는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3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피봇식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됨). 바람직하게는,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단부 섹션(단부 부분)은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는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120B)를 포함한다.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제2 빔 기준부(1118B)를 갖는(포함하는) 제2 단부 섹션(1116B)을 포함한다(갖는다). 제2 빔 기준부(1118B)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의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120B)에 피봇 식으로 장착 가능하다(그리고 지지 가능하다). 제2 빔 기준부(1118B)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의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1120B)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피벗 장착된, 피봇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그리고 지지 가능하거나 또는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3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빔 교대 요소(1108A)(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도 32의 실시 예에도 도시 됨)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이동 가능하고(회전 가능 또는 회전하도록 구성); 이는(A)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상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B)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그리고(C)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피봇되면, 수행된다.
도 3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도 32의 실시 예에도 도시됨)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이동 가능하고(이동하거나 회전하도록 구성됨); 이는, (A)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그리고 (B)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상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C)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피봇되면, 수행된다.
도 3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패널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등과 같은)은, 바람직하게는, 패널에 인접하여 위치된 패널들의 단부 섹션들 사이의 접촉(즉, 가능하면 갭이 없이)을 유지하는 단부 섹션들을 갖는다(인접하게 배치된 패널들은(사용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하는 단부 섹션들을 갖는다). 패널 슬롯들(1113)(패널들의)이 상향으로(즉,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와 같이 빔 상에 위치된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또는 제2 상부 빔 부분(1114B)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응하는 탭들(taps)(제1 빔 교대 요소(1108A) 등과 같이)과 맞물리는 동안 패널들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한 허용(패널들은 빔들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패널 슬롯(1113)의 단일 인스턴스가 도시되어 있음(쉽게 묘사하기 위해)을 이해할 것이다. 패널 슬롯(1113)(패널의 하부 부분을 따라 정의 또는 배치됨)은, 패널 슬롯들(1113)이 대응하는 탭들(예를 들어, 제1 빔 교대 요소(1108A) 등과 같은)과 정렬될 수 있는 방식으로, 공통 정렬 축을 따라 정렬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패널들의 하부 섹션은 탭들(제1 빔 교대 요소(1108A), 또한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귀라고도 함)을 수용하는 패널 슬롯들(1113)(대응되는 긴 슬롯이라고도 함)을 정의한다. 탭들은 빔들의 상부 섹션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패널들의 긴 슬롯들(패널 슬롯(1113) 등과 같은)은, 도 36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들(제1 빔 교대 요소(1108A) 등과 같은)의 폭보다 비교적 길다. 이 구성은 도 43 및 도 49(그리고 다른 도면들도 마찬가지로)의 실시 예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3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지지되도록 구성됨).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수평으로 정렬된다(이 실시 예의 경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수평 정렬로부터 멀어 지도록 피봇되지 않지만,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이 실시 예의 경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잠겨있고(잠기도록 구성됨) 수평 정렬로부터 피봇될 수 없다(피봇 되는게 방지된다)(이 실시 예의 경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수평으로 정렬되는 경우를 위해,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및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제1 빔 교대 요소(1108A)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사용 중에, 잠겨 수평 정렬로부터 피봇되는 것이 방지되면).
도 3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지지되도록 구성됨).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수평으로 정렬되면,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수평 정렬로부터 멀어지도록 피봇되지 않지만(즉, 잠기거나 잠기도록 구성됨)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에 의해 지지된다.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잠기고(잠기도록 구성됨)(이 실시 예의 경우) 수평 정렬로부터 피봇될 수 없다(방지됨).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제2 빔 교대 요소(1108B) 및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사용 중에, 잠기고 수평 정렬로부터 피봇되는 것이 방지되면).
도 3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빔 교대 요소(1108A) 및 제2 빔 교대 요소(1108B)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대향 에지들에 위치된다. 제1 빔 교대 요소(1108A) 및 제2 빔 교대 요소(1108B)는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대향 에지들에 위치된다. 단면 선 A-A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단부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제2 빔 교대 요소(1108B) 사이).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38의 단면 선A-A를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주요 양태(주요 실시 예)에 따라 장치(1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작업 표면(1900)에 고정식으로 배치된(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위치되도록 구성됨)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을 포함하지만(갖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에 부착된다(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를 갖는다. 장치(1100)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1111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하는(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이것은 시멘트를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내로 붓고, 시멘트가 경화되어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1111A)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를 갖는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제1 빔 교대 요소(1108A)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이는: (A)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1900)에 고정 위치되고, (B)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가, 사용 중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에 부착되고, (C)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D)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가, 사용 중에,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상에 위치되고, (E)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동안, 피봇식으로 이동되면, 수행된다.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2 주요 양태(주요 실시 예)에 따라 장치(1100)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1100)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과 함께 이용된다. 장치(11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1111A)를 수용하고 지지하는(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됨)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를 포함하지만(갖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이는 시멘트를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내로 붓고, 시멘트가 경화되어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1111A)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를 갖는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를 갖는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에 부착된다(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됨).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은 작업 표면(1900)에 고정적으로 위치된다(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위치되도록 구성됨).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제1 빔 교대 요소(1108A)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이는: (A)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1900)에 고정 위치되고, (B)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가, 사용 중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에 부착되고, (C)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D)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가, 사용 중에,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상에 위치되고, (E)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 식으로 장착되는 동안 피봇식으로 이동되면, 이루어진다.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수평으로 정렬되고; 이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상부에 있을 때(각각) 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구성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에 있을 때(각각), 수행된다.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각각)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 상에 위치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단부 섹션들(제1 측방향 측 섹션 및 제2 측방향 측 섹션과 같은, 각각의 측방향 측 섹션들)은(사용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인접(접촉)해 있다.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수평으로 정렬되면(수평으로 위치), 제1 갭(1122A)은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와 제1 빔 교대 요소(1108A) 사이에 형성(설정)된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일 단부 섹션에 위치).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수평으로 정렬되면(수평으로 위치), 제2 갭(1122B)이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와 제1 빔 교대 요소(1108A) 사이에 형성(설정)된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반대쪽 단부 섹션에 위치).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수평으로 정렬되면(수평으로 위치 됨), 제3 갭(1122C)이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와 제2 빔 교대 요소(1108B) 사이에 형성(설정)된다(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일 단부 섹션에 위치).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수평으로 정렬되면(수평으로 위치 됨), 제4 갭(1122D)이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와 제2 빔 교대 요소(1108B) 사이에 형성(설정)된다(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반대쪽 단부 섹션에 위치).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은 작업 표면(1900)에 고정적으로 위치된다(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위치되도록 구성됨).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은 작업 표면(1900)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상하로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됨, 수직으로 연장 가능); 이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1900)에(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위치되면 수행된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은 작업 표면(1900)으로부터 이격된 단부 섹션을 가지며(포함); 이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1900)에(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위치되면 수행된다.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1102)의 단부 섹션에 부착된다(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됨).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120A)를 갖는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1120A)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한 제1 빔 기준부(1118A)를 갖는 제1 단부 섹션을 포함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상부 빔 부분을 갖는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빔 부분은 제1 빔 교대 요소(1108A)를 갖는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상부 빔 부분에 위치된(위치하도록 구성된, 배치된) 제1 하부 프레임 부분을 갖는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하부 프레임 부분은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를 갖는다. 제1 빔 교대 요소(1108A) 및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이동 가능하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도 40은 도 41에 도시된 특징의 확대 측면 뷰를 도시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장착(피봇 장착)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수평으로 정렬된다(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동일 평면 관계로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장착되면). 일단 수평으로 정렬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알려져 있고 도시되지 않은, 잠금 장치의 이용에 의해 잠길 수 있다(수평 정렬에 고정)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상부 표면(상부 섹션) 상에 위치되며(각각), 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각각).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상부에 위치되면(각각), 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에 위치되면(각각),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수평으로 정렬된다.
도 4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구성 빔 어셈블리(1106B) 상에 각각 위치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측방향 측 섹션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인접해 있으며, 타설된 콘크리트의 스킴 코트(1124)(타설된 콘크리트 층, 타설된 콘크리트의 스킴 코트라고도 함)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각각의 상부 표면(제1 상부 표면 및 제2 상부 표면과 같은)에 적용되고; 이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상부에 위치되고(각각) 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에 위치되면(각각) 수행된다.
도 4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각각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 상에 위치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측방향 측 섹션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인접해 있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측방향 측 섹션을 따라 위치된 제1 캐밍 표면(1126A)(매끄럽고 곡선이 있는 캐밍 표면)을 제공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측방향 측 섹션을 따라 위치된 제2 캐밍 표면(1126B)(매끄럽고 곡선이 있는 캐밍 표면)을 제공한다. 옵션에 따라, 제1 캐밍 표면(1126A)과 제2 캐밍 표면(1126B)은 접촉 포인트(1128)(피봇 포인트라고도 함)에서 서로 접촉한다. 다른 옵션에 따라, 제1 캐밍 표면(1126A)과 제2 캐밍 표면(1126B) 사이에 프레임 에지 갭(113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에지 갭(1130)의 크기는 0 이거나 수용 가능한 크기 범위(예를 들어, 약 0.0 밀리미터 내지 약 0.2 밀리미터 등)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 에지 갭(1130)은 접촉 관계에서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위치된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 사이에 새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크기이다(크기로 구성). 스킴 코트(1124)로부터 신선한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경우, 누설은 누설 드롭 방향(1132)을 따라 이동한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측방향 측 에지들 사이에 형성된 프레임 에지 갭(1130) 사이).
도 4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피봇되면(도 46 및 도 52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캐밍 표면(1126A)과 제2 캐밍 표면(1126B)은 서로 상호 작용(서로 캐밍)한다(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됨).
도 4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중간 섹션들 사이에 프레임 갭(1134)이 형성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상단부(1136A)를 제공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상단부(1136B)를 제공한다. 제1 상단부(1136A)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접촉 영역(1138)에서 서로 접촉한다.
도 42, 도 43, 도 44, 도 45, 도 46 및 도 47은 도 35의 장치(1100)의 측면 뷰(도 42, 도 43, 도 46 및 도 47), 평면 뷰(도 44) 및 단면 뷰(도 45)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하향으로 피봇되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비 수평 정렬을 갖는 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도 42, 도 43, 도 44, 도 45,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수평(수평선)으로부터 하향으로 피봇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비-수평으로 정렬된다. 제1 콘크리트-슬라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도 4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비-수평으로 정렬된다.
도 4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피봇 방향(1142A)을 따라 피봇식으로 이동된다(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수평(수평선)으로부터 피봇 회전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수평(수평선)으로부터 피봇 회전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공지되고 설명되지 않은, 잠금 장치 등의 이용에 의해 고정 상태(비-피봇 상태)로 잠길 수 있다.
도 4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제2 피봇 방향(1422B)을 따라 피봇식으로 움직인다(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수평(수평선)으로부터 피봇 회전된다.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수평(수평선)으로부터 피봇 회전되면,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공지되고 도시되지 않은, 잠금 장치 등의 이용에 의해 고정 상태(비 피봇 상태)로 잠길 수 있다.
도 4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제1 면 단부(face end)는 수직 선(1146)에 대해 제1 각도(1140A)를 형성한다(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피봇 식으로 이동되거나 회전되면).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제2 면 단부는 수직 선(1146)에 대해 제2 각도(1140B)를 형성한다(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피봇 식으로 이동되거나 회전되면).
도 43 및 도 4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상부 프레임 부분(1129)을 갖는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A)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상향으로 피봇식으로 이동되면 상부 프레임 부분이 수평(수평선) 위의 제1 각도를 따라 정렬되는 제1 위치; 및(B)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하향으로 피봇식으로 이동되면 상부 프레임 부분이 수평(수평선) 아래의 제2 각도를 따라 정렬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 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4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상부 빔 부분(1114B)(또는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피봇 방향(1422A)을 따라 아래쪽으로(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피봇식으로 움직인다.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제2 피봇 방향(1422B)을 따라 아래쪽으로(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피봇식으로 움직인다.
도 4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평면 뷰를 나타냄), 제1 빔 교대 요소(1108A) 및 제2 빔 교대 요소(1108B)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대향 에지들에 위치된다. 제1 빔 교대 요소(1108A) 및 제2 빔 교대 요소(1108B)는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대향 에지들에 위치된다. 단면 선 B-B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단부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제2 빔 교대 요소(1108B) 사이).
도 4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도 44의 단면 선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 뷰를 도시),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각각의 측방향 측 에지들을 따라 서로 인접 관계로 배치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 각각은, 사용 중에,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과 접촉한다(각각). 일반적으로, 제1 빔 교대 요소(1108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미리 결정된 각도로 피봇 회전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와 접촉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즉, 인접 또는 접점에서).
도 4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5의 우측에서,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인스턴스는 제1 교대(1144A)에서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와 접촉(인접)한다(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미리 결정된 각도로 피봇 회전되면).
도 4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5의 좌측에서,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다른 인스턴스는 제2 교대(1144B)에서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와 접촉(인접)한다(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미리 결정된 각도로 피봇 회전되면).
도 4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교대(1144A) 및 제2 교대(1144B)에 대한 이점은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제 위치에 고정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각각)의 상부 섹션을 따라 이동(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더 방지된다는 것이다. 건설 작업자는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다른 인스턴스를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에 대해 위치시키고 배치함으로써 바닥 면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인스턴스와 함께 바닥 섹션을 형성할 수(위치시킬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5의 중간에서,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인스턴스는 제2 갭(1122B)에서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와 이격되어 있다(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미리 결정된 각도로 피봇 회전되면).
도 4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5의 중간에서,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인스턴스는 제3 갭(1122C)에서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와 이격된다(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미리 결정된 각도로 피봇 회전되면).
도 39, 도 45 및 도 5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는(A) 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이 서로 이격된 제1 위치; 및(B) 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이(사용 중에) 서로(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도 39, 도 45 및 도 5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사용 중에,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선(1146)(예를 들어, 수직선(1146)이 도 48에 도시되어 있다)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위치)로 피봇식으로 이동되면, 제1 빔 교대 요소(1108A)(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와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는, 사용 중에, 서로 인접(접촉)해 있다.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여기서 도 46은 도 47에 도시된 요소의 확대 측면 뷰를 도시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장착(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비-수평 정렬된다(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장착되고 아래쪽으로 피봇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수평으로부터 피봇 회전된다(즉,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가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아래쪽으로 피봇된 후에).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수평으로부터 피봇 회전된다(즉,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아래쪽으로 피봇된 후에).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상부 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에 위치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상부 또는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에 위치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가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상부 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에 위치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비-수평으로 정렬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상부 또는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에 위치되면,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비-수평으로 정렬된다.
도 4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스킴 코트(1124)(타설된 콘크리트 층)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상부 표면에 적용되고; 이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상부에 위치되거나(각각) 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에 위치되면(각각), 수행된다.
도 4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캐밍 표면(1126A)을 제공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캐밍 표면(1126B)을 제공한다. 옵션에 따라, 제1 캐밍 면(1126A)과 제2 캐밍 면(1126B)은 접촉 포인트(1128)(피봇 포인트라고도 함)에서 서로 접촉한다. 다른 옵션에 따르면, 프레임 에지 갭(1130)은 제1 캐밍 표면(1126A)과 제2 캐밍 표면(1126B) 사이에 형성된다.
도 4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프레임 에지 갭(1130)의 크기는 0 이거나 수용 가능한 크기 범위(예를 들어, 약 0.0 밀리미터 내지 약 0.2 밀리미터)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 에지 갭(1130)은 접촉 관계에서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위치된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 사이에 새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크기이며(구성되며), 스킴 코트(1124)로부터 새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경우, 누출은 누출 드롭 방향(1322)을 따라 이동한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측방향 측 에지들 사이에 형성된 프레임 에지 갭(1130) 사이).
도 4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피봇되면(도 46 및 도 52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캐밍 표면(1126A)과 제2 캐밍 표면(1126B)은 서로 상호 작용한다(서로에 대해 캐밍).
도 4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중간 섹션들 사이에 프레임 갭(1134)이 형성된다.
도 4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상단부(1136A)를 제공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상단부(1136B)를 제공한다. 제1 상단부(1136A)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접촉 영역(1138)에서(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각도(1148)(수평선(1150) 또는 수평으로부터)를 정의한다.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및 도 53은 도 35의 장치(1100)의 측면 뷰(도 48, 도 49, 도 52 및 도 53), 평면 뷰(도 50) 및 단면 뷰(도 51)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상향으로 선회되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비-수평 정렬을 갖는 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피봇 식으로 장착된다.
도 48, 도 49, 도 50, 도 51, 도 52 및 도 53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수평(수평선)으로부터 위쪽으로 피봇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비-수평 정렬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상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도 4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비-수평으로 정렬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피봇 방향(1142A)을 따라 피봇식으로 이동된다(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제2 피봇 방향(1142B)을 따라 피봇식으로 이동된다(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제1 면 단부는 수직선(1146)에 대하여 제3 각도(1152A)를 형성한다.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제2 면 단부는 수직선(1146)에 대해 제3 각도(1152B)를 형성한다.
도 4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섹션(표면)에 배치(위치)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상부 빔 부분(1114B)(또는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 섹션(표면)에 배치(위치)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제1 피봇 방향(1142A)을 따라 상향으로(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피봇 운동된다.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제2 피봇 방향(1422B)을 따라 상향으로(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피봇 운동된다.
도 5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평면 뷰), 제1 빔 교대 요소(1108A) 및 제2 교대 요소(1108B)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대향 에지들에 위치된다. 제1 빔 교대 요소(1108A) 및 제2 빔 교대 요소(1108B)는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대향 에지들에 위치된다. 단면 선 C-C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단부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제2 빔 교대 요소(1108B) 사이).
도 5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도 50의 단면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 뷰를 도시),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과 교대 관계(접촉 관계)로 배치된다(각각).
도 4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5의 좌측에서,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인스턴스는 제1 갭(1122A)에서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와 이격되어 있다. 제1 갭(1122A)은 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5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5의 중간에서,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인스턴스는 제3 교대(1144C)에서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인접)한다.
도 5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5의 오른쪽에서,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인스턴스는 제4 갭(1122D)에서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와 이격된다. 제4 캡(1122D)은 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5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5의 중간에서,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인스턴스는 제4 교대(1144D)에서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와 접촉(인접)한다.
도 52 및 도 5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52는 도 53에 도시된 특징의 확대 측면 뷰를 도시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장착(피봇 장착)된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비-수평 정렬된다(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장착되고 상향 피봇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는 수평(수평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정렬된다(각진다).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는 수평(수평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정렬된다(각진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상부 섹션 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섹션에 위치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상부 섹션 또는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 섹션에 위치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가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상부 섹션 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섹션에 위치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비-수평으로 정렬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상부 섹션에 또는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 섹션에 위치되면,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비-수평으로 정렬된다.
도 5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가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및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상부에 위치되고(각각) 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상부에 위치되면(각각), 스킴 코트(1124)(타설된 콘크리트 층)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상부 표면에 적용된다.
도 5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캐밍 표면(1126A)을 제공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캐밍 표면(1126B)을 제공한다. 선택 사항에 따라, 제1 캐밍 표면(1126A)과 제2 캐밍 표면(1126B)은 접촉 포인트(1128)(피봇 포인트라고도 함)에서 서로 접촉한다. 다른 선택 사항에 따르면, 프레임 에지 갭(1130)은 제1 캐밍 표면(1126A)과 제2 캐밍 표면(1126B)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에지 갭(1130)의 크기는 0 이거나 수용 가능한 크기 범위(예를 들어, 약 0.0 밀리미터 내지 약 0.2 밀리미터)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 에지 갭(1130)은 접촉 관계에서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위치된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 사이에 새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크기이다(위해 구성된다). 스킴 코트(1124)로부터 새로운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경우, 누출은 누출 드롭 방향(1322)을 따라 이동한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측방향 측 에지들 사이에 형성된 프레임 에지 갭(1130) 사이).
도 5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가 피봇되면(도 46 및 도 52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캐밍 표면(1126A)과 제2 캐밍 표면(1126B)은 서로 상호 작용한다(서로에 대해 캐밍).
도 5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과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의 중간 섹션들 사이에 프레임 갭(1134)이 형성된다.
도 5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는 제1 상단부(1136A)를 제공한다.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제2 상단부(1136B)를 제공한다. 제1 상단부(1136A)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접촉 영역(1138)에서 서로 접촉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는 각도(1148)(수평선(1150) 또는 수평에 대해 또는 또는 이로부터)를 형성한다.
추가 기술 설명(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에 대한)
도 3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중간 지지 위치에서,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빔 지주-헤드, 지주-헤드 및 그와 동등한 것으로도 지칭됨)에 의해 지지되는 빔(지지 빔)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상부 빔 부분(1114A)(플라스틱 러너, 러너 등, 및 그 등가물로 또한 지칭됨)은 빔(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등, 및 이들의 등가물이라고도 함)의 상부 섹션에 위치된다. 제1 상부 빔 부분(1114A)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와 통합될 수 있다(또는 연결될 수 있음). 탭들(tabs)(제1 빔 교대 요소(1108A) 또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이격된 인스턴스라고도 함)은 귀 등, 및 그 등가물로 지칭될 수 있다. 탭들(즉,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의 인스턴스 등)은 패널들(도 3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음)이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도 36, 도 45 및 도 51 등의 좌측과 우측 사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빔(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등)이 수평 위치(수평 정렬)에 대해 피봇식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상향으로 및/또는 하향으로), 탭들은, 사용 중에, 패널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 등)의 패널 슬롯과의 맞물림을 유지하며, 도 36, 도 45 및 도 51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들이 빔들 상에 배치된다.
도 3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예를 들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은 그 단부에서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의해 지지된다. 빔이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와의 견고한 접촉(피봇 접촉 또는 피봇 결합)을 유지하는 동안 빔은 회전하거나 피봇될 수 있다(위로 및/또는 아래로).
은선(hidden line)은 빔이 위쪽으로 회전했음을 나타내고, 실선은 빔이 아래쪽으로 회전했음을 나타낸다.
도 3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패널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또는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이 빔(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상부 섹션 상에 놓여 있고(위에 배치된 또는 위에 위치된) 빔의 중심선을 따라 대칭적으로 위치된 빔의 단부 뷰가 도시되어 있다. 패널들은 서로 접촉(측-대-측 접촉 또는 종단 간 접촉)하고 있으며 패널들은 수평 위치에 있다(수평 정렬).
도 3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의 두 인스턴스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빔들은 서로 평행하게 진행(정렬)되며, 지지된 패널(예를 들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의 길이와 같은 중심 간 거리에 있다. 패널들이 플라스틱 러너(plastic runner) 또는 러너(runner)(예를 들어,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또는 제2 상부 빔 부분(1114B))의 탭(귀(ear) 또는 제1 교대 요소(1108A))과 접촉 할 때까지 어느 방향으로도(예를 들어, 도 3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비교적 작은 거리만큼 빔들의 길이를 따라 패널들이 이동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36을 참조하시오. 러너는 빔의 상단 섹션에 배치된다(도 31 및 도 33에 도시된 대로).
도 3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접촉(또는 측-대-측 접촉)을 유지하면서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배치된) 다수의 패널(패널들)(의 인스턴스들)에 대해, 도 3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접촉"은 완전 접촉 또는 일부 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3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패널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B))은 위로부터 빔(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1106B) 각각) 상단에(그 상부 섹션 상에) 배치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러너(예를 들어, 제1 상부 빔 부분(1114A) 등)의 탭들(예를 들어, 제1 빔 교대 요소(1108A))이 빔(예를 들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상에 배치된다(그로부터 연장됨).
패널들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 및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는 러너의 베이스에서 러너를 따라 패널들의 슬라이드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됨)(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들 또는 탭들이 패널들의 하부 섹션에 의해 정의된 패널 슬롯들(1113)과 맞물리는 동안).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빔들(예를 들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과 지주-헤드(지주-헤드 어셈블리(1104)) 사이의 배열을 도시한다. 제1 빔 기준부(1118A)는 빔이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해 수평 위치로부터 상향 및/또는 하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갭(1122B) 및 제3 갭(1122C)(간격)은(A) 패널들의 주변 레일(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 또는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 등으로도 지칭됨)과(B) 러너(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귀들(탭들 또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 및 이와 동등한 것으로도 지칭됨) 사이에 존재한다. 제2 갭(1122B) 및 제3 갭(1122C)은, 사용 중에, 빔의 회전을 통해 패널들의 상부에서(인접하게 배치된 패널들의 단부 섹션들 사이) 접촉을 유지하면서 빔을 따라 패널의 이동을 허용한다. 패널들 각각은 주변 레일 또는 에지 레일 및 그와 동등한 것(예를 들어,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 또는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을 제공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패널들의 하부 섹션을 따라 위치된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패널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와 같은)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 콘크리트 층(또한 층 또는 스킴 코트(1124)라고도 함)이 도시되어 있다. 접촉 포인트(1128)는 인접하게 배치된 패널들(패널들의 단부 부분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하는, 측-대-측 패널들)의 인스턴스들 사이의 접촉 포인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포인트(1128)는 인접하게 배치된 패널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최소 거리(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 이내)를 제공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허용 오차(tolerance)는 누출 드롭 방향(1322)을 통한 패널들을(사이에서) 통한 콘크리트의 누출을(적어도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도 40 및 도 41은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기술적 요소의 확대 뷰(표현)를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4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들(예를 들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은, 빔들이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 상에 지지되는 동안, 수평선(수평)으로부터 하향으로 회전되어, (빔들의 상부에서) 인접 배치된 빔들 사이에 갭(그리고 각진 갭)을 생성한다.
도 4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2의 실시 예와 유사한 빔들(예를 들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의 회전 레벨(정도)이 도시되어 있다. 패널들(예를 들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은 빔들에 의해 제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다. 패널들의 위치는 패널들의 단부 섹션(에지 가장자리라고도 함)이 서로 접촉(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는 반면, 빔들이 서로 멀어지더라도(즉, 분리회전 또는 분리 피봇)(지주-헤드 어셈블리(1104)에 대한 빔들의 피봇 운동의 결과로서) 패널들이 빔들의 상부 섹션들 상에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패널들은 빔들과 동일한 회전을 따르지만, 패널들의 단부 섹션들은 빔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귀들(제1 빔 교대 요소(1108A)와 같은, 탭이라고도 함) 사이에서 패널들의 슬라이드 이동 허용으로 인해 서로 접촉을 유지한다.
도 36의 실시 예를 간단히 참조하면, 패널들의 하부 섹션은(빔의 상부 섹션에 위치된)제1 상부 빔 부분(1114A)의 탭들 또는 귀들을 수용하는 패널 슬롯(1113)(긴 슬롯)을 형성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패널들의 긴 슬롯들(패널 슬롯(1113)과 같은)은 탭들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다(도 36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이 도 49의 실시 예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패널(예를 들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과 빔(예를 들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사이에 유사한 배열이 있지만 패널을 통해 절단된 섹션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도 4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0의 실시 예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기술적 요소가 도시되어 있으며(즉, 유사한 구조 및/또는 기능), 패널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와 같은)은 수평으로부터 하향으로(수평선으로부터 아래로) 회전된다(피봇 됨).
도 4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A) 탭(제1 빔 교대 요소(1108A) 등과, 같은 귀)과 (B) 패널 주변 레일(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 등으로도 불림) 사이의 거리(예를 들어, 제2 갭(1122B) 및 제3 갭(1122C))가 도시되어 있고, 패널 주변 레일은 증가되어 있으며, 이는 패널들(예를 들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등)의 양 단부 섹션들이 서로 접촉을 유지(바람직하게는 패널의 상단 부분들에서)하는 반면, 패널들이 로드 전달 목적으로 빔(예를 들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등)에 의해 완전히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4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도 42에 도시된 실시 예와 유사함), 빔들(예를 들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등)은 수평에 대해 상향으로 회전하여, (바람직하게는)(인접한 패널들 사이의) 빔들의 상단부에서 갭을(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도 4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패널들(예를 들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등)은 인접한 위치에 있는 패널들의 상부 섹션들에서 패널 대 패널 단부 접촉(외부 에지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 위치에 있다.
도 50 및 도 5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한다(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실시 예들과 유사함). 그러나, 이 경우, 빔들은 상향으로(수평 기준) 회전하거나 피봇된다.
도 52 및 도 5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46 및 도 47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빔들(예를 들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 등) 및 패널들(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등과 같은)의 유사한 구조적 및 기능적 요소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패널들 및 빔들은 상향 방향으로 회전된다(피봇 됨). 도 53은 탭(귀, 또는 제1 빔 교대 요소(1108A) 및 제2 빔 교대 요소(1108B))과 패널 주변 레일(예를 들어, 제1 프레임 교대 요소(1112A) 및 제2 프레임 교대 요소(1112B)) 사이의 관계가 접촉(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함에 따라 제3 교대(1144C) 및 제4 교대(1144D)를 도시한다.
조항(건축 빔 어셈블리 용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와 관련되거나 이와 연관됨)
장치의 예에 대한 추가 설명으로서 다음의 조항이 제공된다. 다음 조항들 중 하나 이상이(A) 다음 조항들 중 다른 하나 이상과 및/또는(B) 다른 조항의 서브섹션 또는 부분 또는 부분들과 및/또는(C) 조항들의 조합 및 순열과 및/또는(D) 특정 조항에 포함되지 않은 설명이 있거나 없는 본 출원에 설명된 것과 결합될 수 있다. 다음 조항들 중 하나는 다른 조항이나 다른 조항의 일부와 결합하지 않고도 자체 장점을 지닐 수 있다.
조항(1): 도 31 내지 도 53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단독으로 또는 본 문서에서 언급된 임의의 장치 또는 그 일부를 갖는 장치가 제공되며, 장치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과 함께 이용되고, 상기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를 수용 및 지지하는(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이를 이동 가능하며,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를 갖고, 그리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될 수 있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제1 빔 교대 요소를 가지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부착(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은 작업 표면(상)에 고정적으로 위치되고(고정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됨); 그리고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빔 교대 요소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조항(2): 조항(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일단 (A)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에 고정적으로 위치되고; 그리고 (B)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사용 중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부착되고; 그리고 (C)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그리고 (D)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가, 사용 중에,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위치되고; 그리고 (E)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동안 피봇식으로 이동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빔 교대 요소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조항(3): 조항(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빔 교대 요소는 이중 로우의 이격된 직립 리브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플랫한 선형 부분은 이격된 직립 리브들의 이중 로우의 각각의 직립 리브 사이에서 연장된다.
조항(4): 조항(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제1 빔 기준부를 갖는 제1 단부 섹션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빔 기준부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해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가능하다.
조항(5): 조항(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콘크리트 슬래브는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에 형성되고 견고하게 위치되며; 그리고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가 제1 상부 빔 부분을 따라 이동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교대 요소와, 인접 관계에서, 접촉(접촉하도록 구성됨) 및/또는 인접해 있는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를 갖는다.
조항(6): 조항(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하부 섹션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조항(7): 조항(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일단:(A) 제1 상부 빔 부분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B)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그리고(C)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피봇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상부 빔 부분의 제1 빔 교대 요소는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일단:(a)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고; 그리고(b)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위치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c)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피봇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는 이동 가능하다.
조항(8): 조항(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일단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사용 중에, 잠기고 수평 정렬로부터 피봇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수평으로 정렬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와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빔 교대 요소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조항(9): 조항(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수평으로 정렬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단부 섹션에 위치된 제1 빔 교대 요소와 제1 프레임 교대 요소 사이에 제1 갭이 형성되고; 그리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수평으로 정렬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대향 단부 섹션에 위치된 제1 빔 교대 요소와 제1 프레임 교대 요소 사이에 제2 갭이 형성되고; 그리고 제2 건축 빔 어셈블리가 수평으로 정렬되면,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2 단부 섹션에 위치된 제2 빔 교대 요소와 제2 프레임 교대 요소 사이에 제3 갭이 형성되고; 그리고 제2 건축 빔 어셈블리가 수평으로 정렬되면,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대향 단부 섹션에 위치된 제2 빔 교대 요소와 제2 프레임 교대 요소 사이에 제4 갭이 형성된다.
조항(10): 조항(9)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가 각각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위치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측방향 측 섹션들은, 사용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인접하고; 그리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스킴 코트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상부 표면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2 상부 표면에 적용된다.
조항(11): 조항(9)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가 각각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위치되면,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측방향 측 섹션들은, 사용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인접하고; 그리고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측방향 측 섹션을 따라 위치된 제1 캐밍 표면을 제공하고; 그리고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2 측 방향 측 섹션을 따라 위치된 제2 캐밍 표면을 제공한다. 제1 캐밍 표면과 제2 캐밍 표면은, 사용 중에, 접촉 포인트에서 서로 접촉한다.
조항(12): 조항(1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캐밍 표면과 제2 캐밍 표면 사이에 프레임 에지 갭이 형성되고; 그리고 프레임 에지 갭의 크기는 크기 범위를 갖는다.
조항(13): 조항(12)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에지 갭의 크기 범위는 약 0.0 밀리미터 내지 약 0.2 밀리미터이다.
조항(14): 조항(12)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에지 갭은 접촉 관계에서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위치된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 사이에 새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출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그리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스팀 코트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상부 표면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 및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2 상부 표면에 적용되고; 그리고 스킴 코트에서 새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경우, 누출은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측방향 측 에지와 제2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2 측방향 측 에지 사이에 형성된 프레임 에지 갭 사이의 누설 드롭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조항(15): 조항(1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건축 빔 어셈블리가 피봇되면 제1 캐밍 표면과 제2 캐밍 표면은 서로 상호 작용한다(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됨).
조항(16): 조항(11)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수평으로 정렬되지 않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수평선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피봇 방향을 따라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피봇식으로 이동되며; 그리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고정 상태로 잠기고; 그리고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된다.
조항(17): 조항(16)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 위치에 고정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부 섹션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것이 더 방지된다.
조항(18): 도 31 내지 도 53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장치가 제공되며, 장치는: 작업 표면에 고정 배치되도록 구성된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배치된(부착되도록 구성)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로서, 제1 빔 교대 요소를 갖는 상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형성 콘크리트 슬래브를 수용하고 지지하는(수용 및 지원하도록 구성)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를 가지며; 그리고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빔 교대 요소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조항(19): 조항(18)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일단:(A)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에 고정적으로 위치되고; 그리고(B)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사용 중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부착되고; 그리고(C)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사용 중에,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그리고(D)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가, 사용 중에,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위치되고; 그리고(E) 제1 건축 빔 어셈블리가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동안 피봇식으로 이동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제1 빔 교대 요소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조항(20): 조항(19) 또는 임의의 조항의 장치에 있어서,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비 수평으로 정렬되고; 그리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수평선으로부터 떨어지는 제1 피봇 방향을 따라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피봇식으로 이동되고; 그리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고정 상태로 잠기고; 그리고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리고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 위치에 고정되고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부 섹션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것이 더 방지된다.
요약(건축 빔 어셈블리 용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와 관련되거나 이와 연관됨)
장치에는 건축 구성 요소가 포함된다. 도 31 내지 도 53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건축 구성 요소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장치는 제1 콘크리트 슬라브를 수용하고 지지하는(수용 및 지원하도록 구성) 제1 콘크리트 슬라브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고 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를 갖는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피봇식으로 장착 가능하다. 제1 건축 빔 어셈블리는 제1 빔 교대 요소를 갖는다.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부착된다(부착되도록 구성됨).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은 작업 표면에 고정적으로 위치된다(고정 위치로 구성됨). 제1 프레임 교대 요소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제1 빔 교대 요소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충전 빔(infill beam) 및/또는 기타 건축 구성 요소
기술 분야(충전 빔 및/또는 기타 건축 구성 요소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이 문서는 도 1 내지 도 81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건축구성 요소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구성 요소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A) 충전 빔(2102);(B)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바람직하게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충전 빔(210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C)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바람직하게는,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지만, 충전 빔(210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D) 건축 빔(2400)(바람직하게는,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지만, 충전 빔(210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E)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바람직하게는,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지만, 건축 빔(2400) 및/또는 충전 빔(210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F)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바람직하게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G) 빔 안전 요소(beam-safety feature)(2600)(바람직하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건축 빔(240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및/또는(H) 상기 열거된 항목들(및/또는 이와 관련된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구조물(예를 들어, 건물, 다리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도 54 내지 도 81을 참조).
배경기술(충전 빔 및/또는 기타 건축 구성 요소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쇼어링(Shoring)은 구조물이 무너질 위험이 있거나(구조물의) 건축, 수리 또는 개조 중에 받침대(shores)(또한 지주 또는 지지대라고도 지칭됨)로 구조물(예를 들어, 빌딩, 선박, 트렌치 등)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과정이다. 쇼어링은 수직, 각도진 또는 수평일수 있다. 예를 들어, 빌딩 구성 요소(지주, 지주 어셈블리 등과 같은)는 구조물이 떨어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방지하기 위해) 구조물(또는 구조물의 일부) 아래에 및/또는 그에 대해 위치된 물체(또한 지지대라고도 함)이다.
요약(충전 빔 및/또는 기타 구성 요소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기존 건축 빔(기존 기술이라고도 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험을 통해 알려진 시스템과 방법을 많이 연구한 후 문제와 해결 방법에 대한(적어도 부분적으로) 이해가(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인되었으며 다음과 같이(적어도 부분적으로) 명확하게 설명된다:
쇼어링(구조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것)하도록 구성된 기존 시스템은 활용하기가 어렵다. 필요한 것은 (A) 충전 빔, (B) 지주-헤드 어셈블리, (C) 빔 단부 지지 브래킷, (D) 건축 빔, (E) 미리 제작된 패널, (F)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 (G) 빔 안전 요소, 및/또는 상기 열거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갖는 구조물(예를 들어, 빌딩, 다리 등)과 같은 쇼어링을 위해 구성된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는 구성 요소이다.
기존 기술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다양한 솔루션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충전 빔은 바닥 구성 요소를 지지하고(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됨), 바닥 구성 요소는 건축 구성 요소(벽과 같은)와 구조물의 요소 사이에 형성된 갭(공간) 위로 연장될 수 있다(채우도록 구성됨).
예를 들어,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충전 빔과 협력된다(이와 협력하도록 구성됨).
예를 들어, 빔 단부 지지 브래킷은 충전 빔과 협력한다(협력하도록 구성됨).
예를 들어, 건축 빔은 충전 빔과 협력한다(협력하도록 구성됨).
예를 들어, 건축 빔은 빔 안전 요소를 포함하며, 여기서 빔 안전 요소는 건축 빔의 하부 섹션을 따라 위치 설정될 수 있다(위치시키거나 배치하도록 구성됨).
예를 들어, 미리 제작된 패널은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는 미리 제작된 패널의 형성을 위해 제공된다(바람직하게, 콘크리트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에 타설되고, 미리 제작된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응고됨).
예를 들어, 구조물(예를 들어, 건물, 다리 등)은 상기 열거된 항목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갖는다.
다른 양태들은 청구 범위에서 식별된다. 비 제한적인 실시 예들의 다른 양태들 및 특징들은 이제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비 제한적인 실시 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이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개념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개시된 주제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개시된 주제의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또는 모든 구현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이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다른 신규 장점, 특징 및 관계가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의 도면들 및 설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 예를 예시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충전 빔 및/또는 기타 건축 구성 요소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비제한적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참조할 때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충분히 이해될 수 있고, 여기서:
도 54 내지 도 81은 일반적인 용어로, (A) 충전 빔; (B) 지주-헤드 어셈블리; (C) 빔 단부 지지 브래킷; (D) 건축 빔; (E) 미리 만들어진 패널; (F)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 (G) 빔 안전 요소; 및/또는 (H) 상기 열거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구조물(예를 들어, 빌딩, 다리 등)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의 다양한 뷰의 묘사와 관련이 있고(연관됨);
도 54는 충전 빔을 포함하는 장치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55는 도 54의 충전 빔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56 및 도 57은 도 54의 충전 빔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빔 단부 지지 브래킷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58, 도 59 및 도 60은 도 55의 지주-헤드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도 56의 빔 단부 지지 브래킷의 실시 예의 측면 뷰(측면도)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61은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62는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측면 뷰(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3은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64는 도 63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근접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65 및 도 66은 도 56의 빔 단부 지지 브래킷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67은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68은 도 67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확대 사시 뷰를 도시하고;
도 69 및 도 70은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69) 및 측면 뷰(도 70)를 도시하고;
도 71 및 도 72는 도 54의 충전 빔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71) 및 확대 사시 뷰(도 72)를 도시하고
도 73은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예를 들어, 원하는 경우, 도 54에 도시된 충전 빔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의 실시 예의 사시 뷰(아이소메트릭 뷰)를 도시하고;
도 74는 도 73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의 주변 벽의 단면 뷰를 도시하고;
도 75는 도 73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의 분해 뷰를 도시하고;
도 76 및 도 77은 도 75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의 단면 뷰를 도시하고;
도 78, 도 79 및 도 80은 건축 빔의 빔 안전 요소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78 및 도 79) 및 측면 뷰(도 80)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81은 하나의 빔이 다른 빔 위에 위치된, 수직으로 적층된 형태로 배열된 건축 빔의 실시 예의 측면 뷰를 도시한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가상 선, 도식적 표현 및 단편도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실시 예의 이해에 불필요한 세부 사항(및/또는 다른 세부 사항을 인식하기 어렵게 하는 세부 사항)은 생략될 수 있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는 도면의 여러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여러 도면들 내의 요소는 단순성과 명료성을 위해 나타내었으며, 실제 크기대로 그려지지 않았다. 도면들에서 일부 요소의 치수는 다양한 개시된 실시 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요소에 비해 강조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실시 예에서 유용하거나 필요한 공통의, 그러나 잘 이해되는, 요소는 종종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덜 방해된 뷰를 제공하도록 도시되지 않았다.
도면에 사용된 참조 번호 목록(충전 빔 및/또는 기타 건축 구성 요소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2100 장치
2102 충전 빔
2103 제1 신장된(elongated) 섹션
2104 빔 지지 표면
2105 제2 신장된 섹션
2106 연결 스트립
2108 자유 부동 핀들(free-floating pins)
2110 핀 슬리브(pin sleeve)
2112 클로 슬롯(claw slot)
2114 새로의 긴 채널(lengthwise channel)
2120 선형 방향
*2200 지주-헤드 어셈블리
2201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
2202 빔 상호 작용 부재
2204 충전 빔 인터페이싱 요소
2206 핀 수신기
2208 릴리프 요소(relief feature)
2210 클로
*2211 지주 탭
2300 빔 단부 지지 브래킷
2302 빔 위치 결정 요소
2304 포지셔닝 요소(positioning feature)
2306 팁-방지 요소(anti-tipping feature)
2308 잠금 수신 요소
2310 제1 플레이트
2312 제2 플레이트
2314 분리 요소(separation feature)
2316 위치 요소(location feature)
2400 건축 빔
2401 크로스빔
2402 빔 결합 요소
2403 로드
2404 거리
2406 랙(lack)
2407 회전 방향
2410 현수된 건축 빔(suspended construction beam)
2412 플랜지
2500 미리 만들어진 패널
2501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
2502 바닥 구성 요소
2504 코너 강화
506 둘레 벽
2507 스페이서 요소(spacer elements)
2508 대향-벽 벽 채널
2510 중간 벽
2512 주변 스페이서 요소
2514 중간 스페이서 요소
2516 패널
2600 빔 안전 요소
2602 관통 홀(through-hole)
2604 안전 핀
2606 매달린 지지 브래킷(hanging-support bracket)
2608 클램프 어셈블리
2900 구조물
2901 임시 지지부
2902 수직으로 연장된 컬럼
2903 갭
2904 수직으로 연장된 벽
비 제한적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충전 빔 및/또는 기타 건축 구성 요소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설명된 실시 예들 또는 설명된 실시 예들의 응용 및 사용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사용된 "예시 적" 또는 "설명적"이라는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제공하는"을 의미한다. "예시적" 또는 "설명적"으로 기술된 임의의 구현이 반드시 다른 구현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 설명된 모든 구현은 당업자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만들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 예시적인 구현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청구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이 청구항은 본 출원의 출원 후 특허 심사 중에 청구될 수 있음). 설명을 위해, "상부", "하부", "왼쪽", "후방", "오른쪽", "정면", "수직", "수평" 및 그 파생어는 도면에서 배향된 예를 나타낸다. 앞의 기술 분야, 배경, 요약 또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어떠한 명시적 또는 묵시적 이론에 구속될 의도는 없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다음의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 및 프로세스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예시적인 실시 예(예시), 양태 및/또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청구 범위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개시된 실시 예와 관련된 치수 및 다른 물리적 특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어구 "적어도 하나"는 "하나"와 등가인 것으로 이해된다. 도면에 관한 양태들(예시, 변경, 수정, 선택, 변형, 실시 예 및 그와 동등한 것)이 설명된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주제로 제한되며,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측면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아이템에 결합되도록(즉, 아이템에 연결되도록, 아이템과 상호 작용하도록, 등) 구성된 디바이스의 의미의 범위는 디바이스가 아이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로 구성된"은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4 내지 도 81은 일반적인 용어로, (A) 충전 빔(2102); (B)지주-헤드 어셈블리(2200); (C)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 (D) 건축 빔(2400); (E)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 (F)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 (G) 빔 안전 요소(2600); 및/또는 (H) 상기 열거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갖는 건축물(예를 들어, 빌딩, 교량 등) 중 임의의 하나의 실시 예들의 다양한 뷰(예를 들어, 투시 뷰 등, 그리고 더 자세히 설명된)의 도시에 관한 것이다(연관된다).
도 54는 충전 빔(2102)을 포함하는 장치(2100)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5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축 구성 요소들과 협력한다(협력하도록 구성됨, 협력 설치 가능). 예를 들어, 건축 구성 요소는 건축 빔(2400)(도 58, 도 61 내지도 64 및 도 67 내지 도 72에 도시됨) 등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적어도 하나의 건축 구성 요소와 협력한다(협력하도록 구성됨, 협력 설치가능, 걸쳐 스팬됨, 사이에서 연장). 충전 빔(2102)은 적어도 둘 이상의 건축 구성 요소들과 협력한다(협력하도록 구성됨, 걸쳐 스팬됨,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위 및/또는 아래로 연장).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빔(2102)은 바닥 구성 요소(2502)(도 61에 도시됨)를 지지한다(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 그에 따라 설치되면 지지). 바닥 구성 요소(2502)는 건축 구성 요소(예를 들어, 충전 빔(2102))와 구조물(2900)(도 61에 도시됨)의 구조적 요소(예를 들어, 벽, 컬럼 등) 사이에 형성된 갭(공간)을 채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구성됨). 바닥 구성 요소(2502)는, 바닥 구성 요소(2502)가 그에 따라 설치되면, 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운다. 구조물(2900)(예를 들어, 건물)은 층별로 건축될 것이다. 구조물(2900)의 정의는 구조물(700) 등 및 그 등가물의 정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54, 도 61 및 도 6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축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축 빔(2400))에 대해(아래에 및/또는 인접하여) 설치 가능(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건축 구성 요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도 55 및 다른 도면들에 도시 됨),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도 56 및 다른 도면들에 도시 됨) 및/또는 건축 빔(2400)(도 58 및 다른 도면들에 도시 됨) 등, 및 그 등가물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4(및 도 6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바닥 구성 요소(2502)(도 61에 도시됨)를 지지한다(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됨). 이것은 충전 빔(2102)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축 구성 요소들에 대해 설치되면 행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구성 요소(2502)는 합판 조각, 필러 합판, 느슨한 조각의 필러 합판, 바닥 패널, 수평 바닥 패널, 패널 등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바닥 구성 요소(2502)는 구조물(2900)(구조물(2900)은 도 61을 참조하여 구축 또는 건축되어야 함)의 새로운 바닥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일단 새로운 바닥이 구축(형성)되고 사용하기에 안전하면, 바닥 구성 요소(2502)가 제거된다(따라서, 다른 건축 구성 요소와 함께). 새로 형성된 바닥으로부터 제거되면, 바닥 구성 요소(2502)는 다른 충전 빔(2102) 상에 배치(고정 및 또는 결합)될 수 있고, 이어서 구조물(2900) 등을 위해 새로운 바닥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4 및 도 6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빔 지지 표면(2104), 및 그의 등가물을 포함(제공 또는 정의,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한다. 충전 빔(2102)은 대향 측 방향 연장 측면들(측면 섹션들)을 포함한다. 빔 지지 표면들(2104)은 충전 빔(2102)의 대향 측 방향 측면들 위치된다. 빔 지지 표면들(2104)은 서로 멀어지게 향한다. 빔 지지 표면들(2104) 중 임의의 하나는 바닥 구성 요소(2502)(도 61에 도시됨) 등을 지지한다(지지하도록 구성됨). 바닥 구성 요소(2502)가 빔 지지 표면(2104) 상에 위치되면, 콘크리트가 바닥 구성 요소(2502)에 부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는,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900)을 위한 새로운 바닥을 형성하거나 건축하기 위해 부어진다.
도 54 및 도 6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바닥 구성 요소(2502)는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이 갭(2903)에 끼워 맞춰지고(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고(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그 위에 위치(적어도 부분적으로)될 수 없는 경우에 개방 영역 또는 갭(2903)(도 61에 도시됨)을 커버(일시적으로 커버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용된다(전개된다).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은 콘크리트 슬래브(950)(도 1에 도시됨),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도 33에 도시됨) 등을 포함(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등가물임)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미리 제작된 패널(2500)(도 61에 도시됨), 콘크리트 슬래브(950)(도 1에 도시됨) 또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도 33에 도시됨)는 갭(2903)에 맞춰지거나(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커버하기에(적어도 부분적으로) 적합하게 크기가 될 수 없는 규칙적인 패널(즉, 미리 정해진 크기의 표준 패널) 또는 미리 제작된 패널로 취급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갭(2903)은 도 61 및 도 63의 실시 예에 도시되어 있다. 갭(2903)이 바닥 구성 요소(2502)에 의해 커버링되면, 새로운 바닥의 건축(형성)이 진행될 수 있다. 새로운 바닥은 바닥 구성 요소(2502),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 콘크리트 슬래브(950) 또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것 위에 콘크리트를 쏟아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바닥이 형성되고, 굳어지고 사용하기에 안전하면, 바닥 구성 요소(2502),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 콘크리트 슬래브(950) 또는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가 제거된다(다른 건축 구성 요소와 함께 제거, 그리고 새로운 바닥이 형성됨).
도 61 및 도 6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갭(2903)은 충전 빔(2102)과(A)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도 67에 도시됨) 및/또는(B)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902)(도 61에 도시됨) 사이에 걸쳐 있을 수 있다(연장될 수 있다).
도 5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다른 건축 구성 요소들(및/또는 작업 표면에 대해)에 대해 특정 공간 배열(배향 또는 구성 등)로 위치될 수 있다(위치하도록 구성). 예를 들어, 충전 빔(2102)은, 도 61 및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게 배치된 건축 빔들(2400)(이격된 건축 빔들(2400)) 사이에서(걸쳐서) 연장 가능하다(스팬되도록 구성). 건축 빔(2400)은 기본 빔(802)(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크로스빔(804)(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라고도 함) 및/또는 제1 건축 빔 어셈블리(1106A)(도 31에 도시됨) 등을 포함(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등가물일 수 있다)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충전 빔(2102)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축 구성 요소들에 연결(결합, 견고하게 결합, 느슨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기술적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빔(2102)은 인접하게 배치된 충전 빔들(2102)에 연장 가능하다(그 사이에서 또는 걸쳐 스팬되도록 구성)(도 63에 도시됨).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빔(2102)은 인접하게 배치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에 연장 가능하다(그 사이에서 또는 걸쳐 스팬 또는 연장되도록 구성)(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빔(2102)은 건축 빔(2400)의 상부 표면(상부 플랫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안착되도록, 완전히 안착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 되도록 구성)(도 69에 도시됨).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빔(2102)은 인접하게 배치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 사이에서 또는 이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스팬되도록 구성)(도 71에 도시됨).
도 5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스트립(connection strip)(2106)을 포함한다. 연결 스트립(2106)은 신장된 연결 스트립(elongated connection strip) 등을 포함한다. 연결 스트립(2106)은 바람직하게는 네일링 섹션(nailing section) 또는 네일링 스트립(nailing strip),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연결 스트립(2106)은 목재 등과 같은 연결 가능한 재료 및 그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연결 가능한 재료는 재사용 가능하다(재사용 가능하도록 구성).
도 5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제1 연장 섹션(2103)을 추가로 포함한다. 충전 빔(2102)은 또한 제2 연장 섹션(2105)을 포함한다. 제1 연장 섹션(2103) 및 제2 연장 섹션(2105)은 부착된다(종단간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부착됨). 충전 빔(2102)은 제1 연장 섹션(2103)이 제2 연장 섹션(2105) 위에 수직으로 위치(배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향되고 설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충전 빔(2102)은 제2 연장 섹션(2105)이(필요한 경우) 제1 연장 섹션(2103) 위에 수직으로 위치(배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향되고 설치될 수 있다.
도 5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자유 부동 핀들(free-floating pins)(2108)(빔 결합 부재 또는 이격된 자유 부동 핀이라고도 함)을 더 포함한다. 자유 부동 핀들(2108)은(충전 빔(2102)의 공간 배향에 따라) 자유 부동 핀들(2108)에 작용(움직임을 촉구)하는 중력의 작용에 응답하여(에 대한 응답으로) 충전 빔(2102)의 외부 표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이동하도록 구성,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 충전 빔(2102)은 자유 부동 핀(2108)에 작용(끌어당기기)하는 중력(충전 빔(2102)의 공간 배향에 따라)의 작용에 응답하여(응답으로), 자유 부동 핀(2108)이 자유롭게 움직이면서(제한된 이동 범위 내에서) 제한된 이동 범위 내에서 자유 부동 핀(2108)을 유지한다(유지하도록 구성됨). 충전 빔(2102)은 자유 부동 핀(2108)을 수용(수용하도록 구성)하고 유지한다(유지하도록 구성). 자유 부동 핀(2108)은 충전 빔(2102)의 외부 표면에 대해 제한된 이동 거리를 갖는다. 일 이동(움직임) 정도에서, 자유 부동 핀(210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 빔(2102)의 외부를 넘어(충전 빔(2102)의 공간 배향에 따라) 제1 미리 결정된 이동 한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자유 부동 핀(2108)은 충전 빔(2102)의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후퇴할 수 있고(충전 빔(2102)의 공간 배향에 따라) 따라서 자유 부동 핀들(2108)의 단부들은 충전 빔(2102)의 외부 표면 또는 그 아래에 있도록 있게 된다. 충전 빔(2102)의 내부는 자유 부동 핀(2108)의 길이를 수용한다(수신 또는 수용하도록 구성됨). 충전 빔(2102)의 내부는 자유 부동 핀(2108)의 제한된 이동 움직임을 허용한다(허용하도록 구성됨)(예를 들어, 도 62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자유 부동 핀들(2108)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자유 부동 핀들(2108)은 인접하게 위치된다. 자유 부동 핀들(2108)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자유 부동 핀들(2108)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자유 부동 핀들(2108)은 충전 빔(2102)의 연장된 길이에 대해 90도 정렬된다. 제1 쌍의 자유 부동 핀들(2108)이 충전 빔(2102)의 제1 단부에 위치된다(그리고 장착됨). 제2 쌍의 자유 부동 핀들(2108)이 충전 빔(2102)의 제2 단부에 위치된다(그리고 장착됨). 제1 쌍의 자유 부동 핀들(2108)은 제2 쌍의 자유 부동 핀들(2108)과 이격되어 있다. 자유 부동 핀들(2108)은 충전 빔(2102)의 각각의 대향 단부 섹션들에 위치된다. 자유 부동 핀들(2108)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슬라이드 이동 가능)(충전 빔(2102)의 공간적 배향 또는 공간적 움직임에 따라). 예를 들어, 자유 부동 핀(2108)은 일단 충전 빔(2102)이 플립되면(flipped over)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즉, 중력이 충전 빔(2102)의 공간 배향에 따라 자유 부유 핀(2108)을 당기기 위해 이용된다).
도 5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자유 부동 핀(2108)은 핀 슬리브(pin sleeve)(2110)를 포함한다. 핀 슬리브(2110)는 자유 부동 핀(2108)의 대향 단부들의 중간 섹션에 위치된다(배치된다). 충전 빔(2102)은 대응하는 핀 홀(핀 가이드 웨이라고도 함)을 정의(제공)하여 자유 부동 핀(2108)이 자유롭게 이동하게 한다(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 (충전 빔(2102)의) 대응하는 핀 홀의 내부 직경은 자유 부동 핀(2108)의 외부 직경보다 크다. 핀 슬리브(2110)의 외부 직경은 자유 부동 핀(2108)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크다. 핀 슬리브(2110)의 외부 직경은(충전 빔(2102)의)대응하는 핀 홀의 내부 직경보다 크므로 핀 슬리브(2110)는(충전 빔(2102)의)핀 홀을 넘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핀 슬리브(2110)는 핀 슬리브(2110)가 충전 빔(2102)의 대응하는 핀 홀을 지나 이동할 수 없는 크기(치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유 부동 핀(2108)은 충전 빔(2102)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다. 자유 부동 핀(2108)은 2 개의 이동 한계들: 즉 외부 이동 한계 및 내부 이동 한계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핀 슬리브(2110)는 자유 부동 핀들(2108)의 수직 이동을 제한한다(제한되도록 구성됨)(이것이 수행되어, 자유 부동 핀(2108)의 단부가 일단 충전 빔(2102)이 그에 따라 공간적으로 배향되면 충전 빔(2102)의 외부 표면(빔 압출 표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위치된다). 일단 충전 빔(2102)이 그에 따라 공간적으로 배향되면, 자유 부동 핀(2108)은 충전 빔(2102)의 외부로부터 소정 범위까지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서, 후퇴된 자유 부동 핀(2108)이 임의의 다른 건축 구성 요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일단 충전 빔(2102)이 그에 따라 공간적으로 배향되면, 자유 부동 핀(2108)은 충전 빔(2102) 내에서 미리 결정된 깊이로, 내향 연장되도록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서(충전 빔(2102)의 외부로부터 멀어짐), 후퇴된 자유 부동 핀(2108)이 다른 건축 구성 요소와 상호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자유 부동 핀(2108)은 일단 충전 빔(2102)이 그에 따라 공간적으로 배향되면 다른 시스템 구성 요소와 상호 작용 가능하다(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됨). 바람직하게는, 자유 부동 핀(2108)은 충전 빔(2102)을 다른 건축 구성 요소에 대해 위치 결정, 결합 또는 고정하기 위해(충전 빔(2102)이 그에 따라 공간적으로 배향되면) 다른 시스템 구성 요소와 상호 작용 가능하다(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됨).
도 54, 도 55 및 도 72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클로 슬롯(claw slot)(2112)을 더 포함(정의)한다. 클로 슬롯(2112)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도 55 및 도 72에 도시됨)의 클로(2210)(도 55에 도시됨)를 수용할 수 있다(수용하도록 구성됨). 예를 들어, 충전 빔(2102)은 인접하게 배치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 사이에 스팬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도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 인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와) 충전 빔(2102)을 위치시킨다(견고하게 위치시킴)(원하거나 필요할 때).
도 5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충전 빔(2102)의 대향 단부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채널(lengthwise channel)(2114)을 포함(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채널(2114)은 충전 빔(2102)의 전체 길이를 따라 끝에서 끝까지 연장되고 충전 빔(2102)의 외부로 개방된다(충전 빔(2102)의 단부 섹션들에서).
도 54 및 도 6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채널(2114)은 다른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을 수용(수용하도록 구성됨)(그리고 이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허용함)할 수 있다(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자유 부동 핀(2108)이 길이 방향 채널(2114)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54 및 도 6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채널(2114)은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위치 결정 요소(2304)를 수용(수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요소(2304)는 연장 탭(extending ta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54 및 도 7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채널(2114)은 또한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도 72에 도시됨)의 클로(2210)(도 55에 도시됨)를 수용(수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5는 도 54의 충전 빔(2102)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협력 또는 협력하도록 구성됨)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5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는 빔 상호 작용 부재(2202)를 포함한다. 빔 상호 작용 부재(2202)는 플레이트 또는 상부 플레이트(및 이의 임의의 등가물)를 포함할 수 있다. 빔 상호 작용 부재(2202)는 충전 빔(2102)과 상호 작용 가능하다(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됨).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02)(도 2 또는 도 8에 도시됨) 및/또는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도 3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상호 작용 부재(2202)는 충전 빔 인터페이스 요소(infill-beam interfacing feature)(1204)를 정의(제공)한다. 충전 빔 인터페이스 요소(2204)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를 충전 빔(2102)의 양태(예를 들어, 자유 부동 핀(2108) 등)와 인터페이스(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충전 빔 인터페이스 요소(2204)는 핀 수용기(pin receiver)(2206)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핀 수용기(2206)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표면 및/또는 릴리프 요소(relief feature)(2208) 등 및 그 등가물에 형성된 핀홀을 포함할 수 있다. 릴리프 요소(2208)는 플레이트 릴리프(plate relief) 및/또는 둥근 릴리프(rounded relief)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릴리프 요소(2208)는 빔 상호 작용 부재(2202)의 주변 에지에 형성된다. 핀 수용기(2206)는 릴리프 요소(2208)와 이격되어 있다. 릴리프 요소(2208)는 빔 상호 작용 부재(2202)의 외주 에지를 따라 위치(배치)된다. 핀 수용기(220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도 54)을 수용(수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자유 부동 핀(2108)이 위치되고 그에 따라 이동되면). 릴리프 요소(2208)는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의 외부 직경(외부 샤프트 표면)에 인접(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도록 구성됨)한다(자유 부동 핀(2108)이 위치되고 그에 따라 이동되면).
도 55, 도 71 및 도 7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이 인접하게 배치된 지주 헤드 어셈블리들(2200)(도 71 및 도 72에 도시됨) 사이에 스팬(그 사이에 연장)되어야 하는 경우, 충전 빔 인터페이스 요소(2204)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와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을 결합(위치)시키기 위해 이용되며, 이에 의해, 충전 빔(2102)은 지주 헤드 어셈블리(2200)에 고정(연결 또는 결합)된다(일단 충전 빔 인터페이스 요소(2204)가 자유 부동 핀(2108)을 위치). 바람직하게는, 자유 부동 핀(2108)은, 일단 충전 빔(2102)이 중력에 의한 이러한 작용을 허용하도록 배향되면, 핀 수용기(2206) 등으로(중력을 통해) 떨어진다. 충전 빔 인터페이스 요소(2204)는 자주-헤드 어셈블리(2200)와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을 연결할 수 있다(결합하거나 위치시키도록 구성됨).
도 5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는 클로(2210)를 더 포함한다. 클로(2210)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하부 섹션으로부터 외향 및 상방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는 서로 약 90(직각 또는 서로에 대해)도 떨어져 위치된 네 개(4)의 클로들(2210)의 수량을 포함한다. 각각의 클로들(2210)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로부터(상향으로) 연장된다(지주-헤드 어셈블리(22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면).
도 5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는 지주 탭(2211)(지주 결합 요소 또는 연장 탭이라고도 함)을 더 포함한다. 지주 탭(2211)은 충전 빔(2102)(도 54에 도시됨)의 양태(기술적 요소)와 상호 작용할 수 있고(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됨) 및/또는 충전 빔(2102)의 측벽과 접촉할 수 있다(원한다면).
도 56 및 도 57은 도 54의 충전 빔(2102)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협력하도록 구성됨)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5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건축 빔(2400)(도 58, 도 59, 도 60, 도 67 및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은)의 섹션(일부)에 설치 가능하다(근접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됨).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도 58, 도 59, 도 60 및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은)의 섹션에 설치 가능하다(근접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됨).
도 5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인접하게 배치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으로 연장 가능하다(에 걸쳐 또는 사이에 스팬되도록 구성됨). 충전 빔(2102)이 인접하게 배치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을 가로 질러(사이에) 스팬되면,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 빔(2102)의 상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의 코너 섹션들은 그들의 각각의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에 배치된다.
도 5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빔 위치 결정 요소(2302)를 포함한다. 빔 위치 결정 요소(2302)는 충전 빔(2102)에 연결 가능하다(결합, 맞물리도록 구성됨). 바람직하게는, 빔 위치 요소(2302)는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들(2108)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됨)할 수 있다(충전 빔(2102)이 중력이 자유 부동 핀(2108)을 당길 수 있도록 공간적으로 배향되면). 바람직하게는, 빔 위치 결정 요소(2302)(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위치 결정 홀(locating hole)을 포함(정의)한다. 위치 결정 홀은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을 수용 가능하다(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됨).
도 56 및 도 6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이 인접하게 배치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을 가로 질러 스팬되도록 위치되는 경우(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들(2108) 중 적어도 하나는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빔 위치 결정 요소(2302) 내로 수용된다(에 떨어진다). 자유 부동 핀(2108)은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빔 위치 결정 요소(2302)에 의해 수용 가능하다(수용되거나 떨어지도록 구성됨). 바람직하게는, 빔 위치 결정 요소(2302)는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플레이트에 형성된(에 의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홀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전 빔(2102)은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에 견고하게 위치(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충전 빔(2102)이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부주의로 기울어지는 것으로부터)(로드가 충전 빔(2102)에 놓이기 전에). 예를 들어, 충전 빔(2102)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벽 등이라고도 함)에 근접하여 위치된 갭(2903)을 충전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은 충전 빔(2102)의 길이에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의 종 방향 길이는 충전 빔(2102)의 종 방향 길이와 이격되어 있다.
도 5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위치 결정 요소(2304)를 더 포함한다. 위치 결정 요소(2304)는 예를 들어 탭, 확장 탭 등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요소(2304)는 충전 빔(2102)의 길이 방향 채널(2114)에 끼워 맞춤된다(끼워 맞춰지게, 맞물리게 구성됨)(도 54에 도시됨). 위치 결정 요소(2304)는 충전 빔(2102)을 위치시킨다(위치 또는 배치시키도록 구성)(충진 빔(2102)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에 설치되면). 위치 결정 요소(2304)는 일단 충전 빔(2102)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에 설치되면 충전 빔(2102)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방지하도록 구성됨).
도 56 및 도 7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패널 모서리가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 상에 배치될 필요가 있는 경우 위치 결정 요소(2304)는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을 수용할 수 있고(수용하도록 구성됨) 공간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도 71에 도시됨).
도 5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기울임 방지 요소(anti-tipping feature)(2306)를 포함한다. 건축 빔(2400)은 충전 빔(2102)과 상호 작용 가능하다(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됨)(도 54에 도시됨). 기울임 방지 요소(2306)는 예를 들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이 그에 따라 설치되면). 기울임 방지 요소(2306)를 위한 몇몇 플레이트들이 원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7 및 도 5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기울임 방지 요소(2306)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와 접촉(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됨) 가능하다(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임 방지 요소(2306)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울임 방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설치되면). 바람직하게는, 기울임 방지 요소(2306)는 제1 플레이트(2310)(제1 기울임 방지 플레이트이라고도 함) 및 제1 플레이트(2310)와 이격된 제2 플레이트(2312)(제2 기울임 방지 플레이트이라고도 함)를 포함한다(도 58에 도시됨). 기울임 방지 요소(2306)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대한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기울임을 방지한다(방지하도록 구성됨)(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 및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면). 일반적으로, 기울임 방지 요소(2306)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대한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공간적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한다(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됨).
도 58, 도 59 및 도 60은 도 55의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와 함께 이용되는 도 56의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실시 예의 측면 뷰(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56의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예를 들어 장치(100)(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와 연관된 임의의 유형의 지주 헤드 어셈블리(102) 및/또는 장치(1100)(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와 연관된 지주-헤드 어셈블리(1104) 및/또는 도 55의 지주 헤드 어셈블리(2200) 등 및 그 등가물과 함께 이용(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5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201)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201)은 알려져 있고 도 58에 도시되지 않은 작업 표면에 설치된다. 작업 표면은 수평으로(일반적으로)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201)은 일단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201)이 작업 표면에 고정 설치되면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그리고 수직으로 상향 연장).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201)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다(고정 설치, 연결되도록 구성됨)(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201)이 작업 표면에 고정 설치되면). 일단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201)의 상단부에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가 고정 설치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는 작업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5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건축 빔(2400)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일부에(의 상부 섹션에) 배치(배치,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건축 빔(2400)은 빔 결합 요소(2402)를 포함한다. 빔 결합 요소(2402)는, 예를 들어, 건축 빔(2400)의 대향 측방향 측 표면들(대향 측 벽들의 외부 표면들)로부터 연장되는 빔 핀, 및 그 등가물을 포함한다. 빔 결합 요소(2402)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일부(상부 섹션)에 배치된다(위치, 배치되도록 구성). 빔 결합 요소(2402)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빔 위치 결정 요소와(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201)은, 조합하여, 건축 빔(2400)의 중량을(적어도 부분적으로)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건축 빔(2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빔(2400)이 설치되면 수평으로 정렬된다(바람직하게는, 제로-경사 조건에서)(도 58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빔(2400)이 일단 설치되고 그에 따라 회전되면(기울어지면, 피봇되면), 건축 빔(2400)은 비-수평으로(0 이 아닌 기울기 조건에서)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상부 섹션 상에 위치(배치)되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 상에 위치되어 설치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향상된 견고함을 위해(필요한 경우)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건축 빔(2400)의 단부 섹션에 인접하여 위치된다(그리고 건축 빔(2400)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 상에 위치된다). 도 58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건축 빔(2400)은 수평으로(바람직하게는, 0 경사 조건에서) 정렬된다. 건축 빔(2400)은 미리 결정된 값까지 건축 빔(2400)이 상향으로 기울어지거나(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미리 결정된 값은 4 퍼센트 등과 같은 최대 허용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섹션(예를 들어, 후방 섹션)에 로드(2403)(적용된 힘이라고도 함)가 적용되는 경우,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제1 플레이트(2310) 및 제2 플레이트(2312)는, 사용 중에, 로드(2403)를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클로(2210)의 부분들로 전달한다. 이런 방식으로 또는 배열에서, 제1 플레이트(2310) 및 제2 플레이트(2312)는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후방 섹션에 대한 로드(2403)의 적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기울임을 방지한다(방지하도록 구성됨). 이러한 방식으로,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편심(eccentricity) 또는(A)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를 통해 연장되는 중심선과(B) 로드(2403)가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에 적용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2404)로 인해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5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잠금 수용 요소(lock-receiving feature)(2308)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수용 요소(2308)는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벽 요소, 측벽 등의) 일부에 형성된(이에 의해 제공된) 잠금 홀을 포함한다. 잠금 수용 요소(2308)는 스냅 잠금 스프링 디바이스(snap-lock spring device)(알려지고 그러나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할 수 있다(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됨).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클로(2210)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이탈 또는 분리에 대하여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을 완전히 고정(부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잠금 수신 요소(2308)가 이용될 수 있다(잠금 수신 요소(2308)에 설치됨).
도 5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기울임 방지 요소(anti-tipping feature)(2306)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울임 방지 요소(2306)는 제1 플레이트(2310) 및 제1 플레이트(2310)와 이격된 제2 플레이트(2312)를 갖는다. 제1 플레이트(2310)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제1 부분(예를 들어, 더 높은 부분 또는 클로(2210))과 접촉된다(접촉하도록 구성됨)(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설치되면). 제2 플레이트(2312)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제2 부분(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하단, 탭 등)과 접촉된다(접촉하도록 구성됨)(즉,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설치되면). 제2 부분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제1 부분과 이격되어 있다. 제1 플레이트(2310) 및 제2 플레이트(2312)는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측 방향 이동을 방지된다(방지하도록 구성됨)(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설치되면). 제1 플레이트(2310)와 제2 플레이트(2312)는, 조합하여,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대해 이동(기울기, 회전, 킥오프)하는 것을 방지한다(방지하도록 구성됨)(즉,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설치되면).
도 5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분리 요소(separation feature)(2314)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요소(2314)는 성형된 부분(shaped portion), 각진 레그 연장부(angled leg extension), 아암 연장부(arm extension) 등 및 그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건축 빔(2400)이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설치 상태와 관련하여), 분리 요소(2314)는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과 건축 빔(2400) 사이를 분리한다(분리, 이동 또는 기울기를 허용하도록 구성됨)(도 59 및 도 60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빔(2400)은 수평선(또는 수평)에 대해 약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4 퍼센트(%)의 경사와 같은 소정의 경사 범위 내에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건축 빔(2400)이 설치되고 상향 경사져 있다(상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됨). 바람직하게는, 빔 결합 요소(2402)(핀이라고도 함)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대한 건축 빔(2400)의 회전을 허용(허용하도록 구성됨)하는 곡면(예를 들어, 핀의 구부러진 외부 표면 등)을 포함한다(핀이 빔 위치 결정 요소의 대응하는 곡면 상에 배치되고 건축 빔(2400)이 그에 따라 회전되면). 건축 빔(2400)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 상에 위치되고, 이어서 회전 방향(2407)을 따라 위쪽으로 회전된다. 건축 빔(2400)이 회전 방향(2407)을 따라 위쪽으로 회전되면 건축 빔(2400)과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건축 빔(2400)은 수평선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설치되어(또는 회전되어), 건설 빔(2400)은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각도는 수평선에 대한 2.3도를 포함할 수 있다.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건축 빔(2400)을 기울이기 위해(위로 또는 아래로)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수평선에 대해 정렬된 경사에서 건축 빔(2400)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구성 빔(2400)과 함께 이용된다(이용하도록 구성됨). 바람직하게는, 빔 결합 요소(2402)는 건축 빔(2400)의 대향 측들(대향 측방향 측 벽들)로부터 연장되는 빔 핀, 및 그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빔 결합 요소(2402)는 건축 빔(2400)의 종 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건축 빔 축에 수직으로 정렬되는 빔 결합 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빔 결합 요소(2402)(빔 핀)는 건축 빔(2400)의 외부 측벽의 외부 측방향 측 표면에 직교하게 정렬된 곡면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건축 빔(2400)의 빔 결합 요소(2402)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클로(2210)와 접촉한다(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됨)(건축 빔(2400)의 회전이 미리 결정된 경사 조건을 넘어서 요구되는 경우). 클로(2210)는 안전 요소이다. 클로(2210)는 건축 빔(2400)이 (A)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로부터 우연히 결합해제(분리)되고, (B)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로부터 떨어지는 것(아래로)을 방지한다(방지하도록 구성됨). 빔 결합 요소(2402)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클로(2210)와 접촉(접촉, 결합하도록 구성됨)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건축 빔(2400)이 미리 정해진 조건 또는 배향을 넘어서 회전되거나 기울어지면). 바람직하게는, 빔 결합 요소(2402)와 클로(2210) 사이의 접촉은 미리 결정된 회전 조건을 넘어서 건축 빔(2400)의 추가 회전을 방지한다(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됨).
도 6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건축 빔(2400)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상부 섹션에 설치되고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또는 경우에 따라, 아래로 회전하거나 아래쪽으로 피봇됨). 건축 빔(2400)은 회전 방향(2407)을 따라 아래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건축 빔(2400)이 회전 방향(2407)을 따라 아래쪽으로 회전되면, 건축 빔(2400)과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도 61은 도 54의 충전 빔(2102)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6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구조물(2900)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90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도 6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2100)는 구조물(2900)의 바닥(예를 들어, 타설된 콘크리트 바닥)을 형성 할 목적으로 임시 구조물로서 이용된다. 일단 바닥이 형성되면(미리 제작된 패널(2500)에 콘크리트를 붓는 등), 장치(2100)(및/또는 건축 구성 요소)는 제거될 수 있고, 이어서 새로 형성된 바닥 위에 새로운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재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단 장치(2100)가 새롭게 형성된 바닥에 배치되거나 설치되면, 구조물(2900)은 구조물(2900)의 새로 형성된 바닥 위에(상에) 위치될 다른 새로운 바닥의 형성에 추가로 이용된다. 구조물(2900)은 도 1의 구조물(700)(또는 그 일부)과 유사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6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구조물(2900)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902) 주위에 전개(배치, 설치 또는 이용)된다. 구조물(2900)은 건축될 건물, 교량 등 및 그 등가물을 포함 할 수 있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902)은 지지 구조물, 수평 정렬 표면, 수직 정렬 표면, 바닥, 엘리베이터 샤프트 등 및 이들의 등가물을 포함 할 수 있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902)은 고체 구조물(고체 벽)를 포함 할 수 있고/있거나 중공 구조물(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샤프트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은 인접하게 배치된 건축 빔들(2400)을 가로 질러 위치(스팬)된다.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은 인접하게 배치된 건축 빔들(2400)을 가로 질러 위치(스팬)될 수 있다(위치되도록 구성됨)(인접하여 배치된 건축 빔들(2400) 상에 위치되거나 배치되면).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은 인접하게 배치된 건축 빔들(2400) 상에 놓인다. 인접하게 배치된 건축 빔들(2400)은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무게를 지지한다.
도 6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일부 경우에는,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은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이 갭(2903) 위에 배치되거나 이를 가로 질러 스팬될 목적으로 이용될 수 없는 크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갭(2903)은(A)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외부 에지(주변 가장자리)와(B)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902)의 외부 벽 사이에 형성된다. 갭(2903)은 다른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을 갭(2903)에(위에) 배치할 수 있는 크기가 없도록 치수(크기)가 정해진다(따라서 구조물(2900)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타설된 콘크리트가 배치되는 바닥 표면의 형성을 완료할 수 있다). 이 경우, 갭(2903)을 채울 수 있는(커버할 수 있는)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을 이용하기 위해 충전 빔(2102)이 이용(설치 또는 이용)될 수 있다(갭(2903)은 갭(2903) 위에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의 배치에 의해 채워지거나 커버될 수 없기 때문에).
도 61 및 도 6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일부 경우에,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은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이 건축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된 갭(2903)(공간)을 스팬(커버)하기 위해 배치되거나 위치될 수 없는 크기로 되어 있다(치수로 되어 있거나 또는 풋 프린트를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갭(2903)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902)까지(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및/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까지 형성될 수 있다(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바닥 구성 요소(2502)는 갭(2903)을 채우는(커버)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구성 요소(2502)는 구조물(2900)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902) 주위에 위치된 갭(2903)(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거나 또는 커버하기 위해 사용된다(채우거나 또는 커버하도록 구성됨). 바닥 구성 요소(2502)는 루스(loose), 필러 합판 조각 등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을 포함 할 수 있다. 바닥 구성 요소(2502)는 충전 빔(2102) 및/또는 다른 건축 구성 요소에 의해 형성된 아래 놓이는 네트워크 상에 배치된다.
도 6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인접하게 배치된 건축 빔들(2400) 사이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충전 빔(2102)은 인접하게 위치된 충전 빔들(2102) 사이에 걸쳐 있을 수 있고, 인접하게 배치된 충전 빔들(2102)은 인접하게 배치된 건축 빔들(2400) 사이에 걸쳐 있다(사이에서 연장됨).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은 다른 충전 빔(2102) 및/또는 다른 건축 구성 요소(건축 빔(2400) 등과 같은) 상에 위치된 핀 호환 요소(pin-compatible features)와 상호 작용(결합)될 수 있다.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은 다른 충전 빔(2102) 및/또는 다른 건축 구성 요소 상에 위치된 핀 호환 요소로 떨어질 수 있다(중력에 의해 또는 삽입에 의해).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은 다른 충전 빔(2102) 및/또는 다른 건축 구성 요소 상에 위치된 핀 호환 요소에 인접할 수 있다.
도 62는 도 54의 충전 빔(2102)의 실시 예의 측면 뷰(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건축 빔(2400)과 상호 작용 가능하다(상호 작용, 결합, 연결되도록 구성됨). 충전 빔(2102)은 인접하게 배치된 건축 빔들(2400) 사이에서 연장(사이에 걸쳐 연장)(스팬되도록 구성됨)된다(그에 따라 위치되면). 건축 빔(2400)은 메인 빔 및/또는 크로스빔 등 및 그 등가물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건축 빔을 포함 할 수 있다. 충전 빔(2102)의 단부 섹션은 건축 빔(2400)의 상부 표면(예를 들어, 랙(rack)(2406)) 상에 놓인다(놓이거나 안착되도록 구성됨). 대안적으로, 충전 빔(2102)의 길이는 건축 빔(2400)의 랙(2406)의 길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랙(2406)은 건축 빔(2400)의 상부 표면 섹션에 연결 가능하다(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스냅 결합되도록 구성됨). 랙(2406)은 압출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된 플라스틱 재료 및 그의 등가물을 포함 할 수 있다. 랙(2406)은(A) 프레임 결합 디바이스(954)(도 3에 도시됨) 및/또는(B) 제1 빔 교대 요소(1108A)(도 31에 도시됨)를 포함(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들과 동등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외부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2108)(충전 빔(2102)의)은 외부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2108)이 건축 빔(2400)의 랙(2406)(예를 들어, 상단 표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향으로 상승(푸시)된다. 핀 슬리브(2110)는 충전 빔(2102)의 상부 내부 에지 표면과 접촉할 목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부 내부 에지 표면은 외부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2108)의 상부 이동을 제한(정지)시킨다(상향 움직인 또는 여행 제한). 핀 슬리브(2110)는 2 개의 내부 이동 한계들 또는 내부 정지부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바람직하게는 중력 공급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 내부 정지부들은 충전 빔(2102)의 내부 공동에 제공된다.
도 6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내부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2108)의 제한된 자유 이동을 방해할 것이 없기 때문에(자유 부동 핀(2108)이 미리 결정된 이동 한계로 이동되는 동안), 충전 빔(2102)의 내부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2108)은 하향으로 하강된다(중력 공급에 의해)(미리 정해진 이동 제한까지). 핀 슬리브(2110)(내부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2108)의)는 충전 빔(2102)의 하부 내부 에지(이동 제한부)와 접촉한다. 충전 빔(2102)의 하부 내부 에지는 내부에 위치된 자유 부유 핀(2108)의 하부 이동을 제한한다(이동 제한 제공). 핀 슬리브(2110)는 이격된 내부 이동 제한부들 또는 이격된 정지부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바람직하게는 중력 공급에 의해 움직일 수 있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 이격된 정지부들은 충전 빔(2102)의 내부 공동에 제공된다.
도 6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의 내부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2108)은 충전 빔(2102)의 좌우 이동과 같은 이동을 제한(제한하도록 구성)된다(이동 제한 제공). 충전 빔(2102)의 내부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2108)(도 62에 도시되지 않은 충전 빔(2102)의 다른 먼 단부에 위치한 대응하는 자유 부동 핀(2108)과 함께)은 인접 배치된 2 개의 건축 빔들(2400) 사이에 충전 빔(2102)을 측 방향으로 위치(배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좌우 움직임이 허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공차 허용). 충전 빔(2102)의 내부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2108)은 충전 빔(2102)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건축 빔(2400)의(부분의) 양태(예를 들어, 랙(2406))와 충분히 접촉할 수 있다.
도 63은 도 54의 충전 빔(2102)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6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건축 빔(2400)과 상호 작용 가능하다(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충전 빔(2102) 및 건축 빔(2400)은 구조물(2900)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컬럼(2902)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도 6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두 개의 인접하게 배치된 건축 빔들(2400A, 2400B)(또는 이격된 건축 빔들(2400A, 2400B))은 서로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두 개의 인접하게 배치된 충전 빔들(2102A, 2102B)은 서로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두 개의 인접 배치된 충전 빔들(2102A, 2102B)은 2 개의 인접 배치된 건축 빔들(2400A, 2400B)에 장착되거나 그에 배치된다(가로 질러 스팬됨). 충전 빔(2102A)은 건축 빔(2400A, 2400B)에 걸쳐 스팬된다. 충전 빔(2102B)은 건축 빔(2400A, 2400B)에 걸쳐 스팬된다. 이격된 충전 빔들(2102A, 2102B)의 길이 방향 채널들(2114)은 상향을 향하도록 배향된다(이격된 충전 빔들(2102A, 2102B)이 이 목적을 위해 배향된 경우). 충전 빔(2102A)의 자유 부동 핀은 건축 빔(2400A, 2400B)과 맞물린다(결합됨). 충전 빔(2102B)의 자유 부동 핀은 구성 빔(2400A, 2400B)과 맞물린다(결합됨).
도 6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C)은 또한 크로스 충전 빔이라고도 한다. 충전 빔(2102C)은 이격된 충전 빔들(2102A, 2102B) 사이에 스팬(및 접촉 및/또는 결합)되도록 위치된다. 충전 빔(2102C)(크로스 충전 빔)의 길이 방향 채널(2114)은 상방을 향하도록 배향된다(충진 빔(2102C)이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배향되면). 두 개의 인접하게 배치된 충전 빔들(2102A, 2102B)의 길이 방향 채널(2114)은 충전 빔(2102C)(크로스 충전 빔)의 각각의 자유 부유 핀들(2108)을 수용(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64는 도 63의 충전 빔(2102C)의 실시 예의 사시 뷰(확대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6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C)은 이웃하는 충전 빔(2102B)(인접하게 배치된 충전 빔이라고도 함)과 상호 작용 가능하다(상호 작용하도록, 결합하도록 구성됨). 이웃한 충전 빔(2102B)은 구성 빔(2400A)과(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작용 가능하다(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됨).
도 6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자유 부유 핀(2108)(상부 충전 빔(2102C)의)은 하부 충전 빔(2102B)의 길이 방향 채널(2114)에 삽입된다(중력 공급을 통해 떨어짐)(따라서 자유 부동 핀(2108)은 상부 충전 빔(2102C)을 하부 충전 빔(2102B)과 결합 및 위치시킨다). 상부 충전 빔(2102C)은 하부 충전 빔(2102B)의 길이 방향 채널(2114)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 맞물릴 수 있다(앞 뒤로). 상부 충전 빔(2102C)은 선형 방향(21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부동 핀(2108)(상부 충전 빔(2102C)의)은 상부 충전 빔(2102C)이 제한된 회전량만큼 회전하는 동안(상부 충전 빔(2102C)의 자유 부동 핀(2108)이 하부 충전 빔(2102B)에 결합되면) 상부 충전 빔(2102C)이 선형 방향(2120)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앞 뒤로).
도 65 및 도 66은 도 56의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65 및 도 66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도 66에 도시됨) 상에 위치 설정(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됨)된다.
도 6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위치 요소(2316)를 더 포함한다(제공한다). 위치 요소(2316)는 예를 들어 노치(notch), 개구(opening) 및 그 등가물을 포함한다.
도 65 및 도 6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위치 요소(2316)(도 65에 도시됨)는 건축 빔(2400)에 대해 직각으로 크로스빔(2401)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됨); 이는 (A) 크로스빔(2401) 및 건축 빔(2400)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 상에 위치되거나 그에 장착되며, (B)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설치되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요소(2316)(도 65에 도시 됨)는 크로스빔(2401)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서 건축 빔(2400)을 가로 지르도록 보장한다(보장하거나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됨)(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을 지주0헤드 어셈블리(2200)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
도 67은 도 54의 충전 빔(2102)의 실시 예의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6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의 단부 섹션은 도 56의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 상에 위치된다.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상부 섹션에 위치된다. 충전 빔(2102)은 또한 구조물(2900)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도 6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갭(2903)(공간)을 스팬(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링)하기 위해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이 배치되거나 설치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배치, 설치 또는 활용)될 수 있다. 갭(2903)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에 인접하거나 그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예를 들어, 갭(2903)은 충전 빔(2102)의 길이 방향 에지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의 길이 방향 에지 사이에 위치(배치)될 수 있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은 충전 빔(2102)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바닥 구성 요소(2502)는 충전 빔(2102) 상에(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거나 위치된다. 바닥 구성 요소(2502)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을 향해 연장된다(바닥 구성 요소(2502)가 충전 빔(2102) 상에(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면). 예를 들어, 바닥 구성 요소(2502)는 충전 빔(2102)의 연결 스트립(2106)에 바닥 구성 요소(2502)를 못 박음으로써(by nailing)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필요한 경우).
도 6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인접하게 배치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의 상부 섹션들 사이에서 스팬된다(사이에서 연장되어 접촉). 인접하게 배치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은 인접하여 배치된 각각의 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 상에 위치된다.
도 6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에 인접(근접)한 위치에서 바닥 구성 요소(2502)의 적어도 한 측면을 지지하도록 임시 지지부(2901)가 설치되며, 바닥 구성 요소(2502)의 다른 측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 빔(2102)에 의해 지지된다. 바닥(타설되지 않은 콘크리트로 형성된, 미도시)이 바닥 구성 요소(2502)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면, 임시 지지부(2901)는 다른 새로운 바닥 등을 형성하기 위해 제거되고 재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 구성 요소(2502)의 상부 표면 상에 새로운 바닥(타설된 콘크리트로 형성된)이 형성되고, 새로운 바닥이 사용하기에 안전하다면, 바닥 구성 요소(2502)는 제거된 후 다른 바닥을 형성 할 목적으로 재배치된다.
도 68은 도 67의 충전 빔(2102)의 실시 예의 확대 사시 뷰를 도시한다.
도 6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은 인접하게 배치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의 빔 위치 결정 요소(2302)와 맞물리도록 슬라이딩한다. 충전 빔(2102)은 인접 배치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에 위치, 고정 또는 결합 배치된다(충전 빔(2102)이 인접 배치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에 결합되면 충전 빔(2102)의 기울임 또는 원치 않는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은 중력 공급에 의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빔 위치 결정 요소(2302) 내로 낙하(슬라이드 이동)된다. 빔 위치 결정 특징 부(2302)는 예를 들어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위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빔(2102)의 길이 방향 채널(2114)은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위치 결정 요소(2304)와 맞물린다(결합됨). 바람직하게는, 위치 결정 요소(2304)는 예를 들어, 충전 빔(2102)의 길이 방향 채널(211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연장되도록 구성됨) 연장된 탭을 포함한다(충전 빔(2102)이 공간적으로 배치되면).
도 69 및 도 70은 도 54의 충전 빔(2102)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69) 및 측면 뷰(도 70)를 도시한다.
도 70은 도 69의 확대 측면 뷰이다.
도 6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건축 빔(2400)의 상부 표면의 길이를 따라 위치된다. 충전 빔(2102)은 또한 구조물(2900)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충전 빔(2102) 및 건축 빔(2400)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에 대해(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도 6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바닥 구성 요소(2502)의 일 측 섹션은 충전 빔(2102)의 상부 표면 상에(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구성 요소(2502)의 일 측 섹션은 충전 빔(2102)의 연결 스트립(2106)에 고정된다(즉, 못박힘). 충전 빔(2102)은 건축 빔(2400)의 랙(2406) 상에 완전히 놓인다(위에 위치됨). 충전 빔들(2102)은 평행하고, 이격되며 서로 동축으로 정렬된다(충전 빔(2102)이 건축 빔(2400) 상에 위치되면). 바람직하게는, 건축 빔(2400)은 충전 빔(2102)의 전체 중량을 수용한다(이 경우에 대해).
도 7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70은 도 69의 확대 측면 뷰를 도시한다. 충전 빔(2102)은 제1 연장 섹션(2103)이 제2 연장 섹션(2105)의 제2 측 프로파일에 대해 축 외에 위치된(is positioned off-axis)(수직으로 축으로부터 벗어남) 제1 측 프로파일을 갖도록 배치(형상)된다. 충전 빔(2102)은 비대칭 배열을 갖는 전체 측 프로파일을 형성한다(비대칭 성형된 측 프로파일이라고도 함). 비대칭 성형된 측 프로파일은 제2 측 프로파일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1 측 프로파일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장 섹션(2103) 및 제2 연장 섹션(2105)은 단일 압출로서 형성된다. 충전 빔(2102)의 비대칭 성형된 측 프로파일은 랙(2406)의 상부 표면 상에 충전 빔(2102)의 배치(바람직하게는, 랙(2406)의 대향 측들로부터 연장되는 대향 위치된 부분들 사이의 배치)를 허용한다(허용하도록 구성됨). 대향 위치된 부분들은 귀 부분 등,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로 지칭될 수 있다. 충전 빔(2102)의 비대칭 성형된 측 프로파일은 또한 미리 만들어진 패널(2500)의 외부 주변 에지 섹션에 대한(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 빔(2102)의 배치를 허용한다(허용하도록 구성). 이 배열에서, 충전 빔(2102)의 비대칭 성형된 측 프로파일은 충전 빔(2102)의 측 프로파일이 랙(2406) 및 미리 제조된 패널(2500) 위에 위치한 이용 가능한 공간 및/또는 체적 내에 맞도록 허용한다(바람직하게는, 충전 빔(2102) 및 이웃하는 건축 구성 요소로부터의(또는 그 사이에서) 간섭 없이).
도 71 및 도 72는 도 54의 충전 빔(2102)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71) 및 확대 사시 뷰(도 72)를 도시한다. 도 72는 도 71의 확대 측면 뷰이다.
도 7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충전 빔(2102)은 도 55의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 상에 위치된다. 충전 빔(2102)은 (A)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을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일부분 상에 위치 시키거나 배치해야 하고, (B) 갭(2903)이 충전 또는 커버링을 요구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갭(2903)은 미리 제작된 패널(2500)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 사이에 형성되고 위치될 수 있다.
도 7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선형 측은 이격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을 가로 질러(사이에) 스팬되도록 위치된다.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한 쌍의 코너들은 이격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 상에(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다른 선형 측(대향 선형 측)은 이격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를(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 질러 스팬되도록 위치된다.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다른 한 쌍의 코너들은 이격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 상에 위치된다. 충전 빔(2102)은 이격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를(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 질러 스팬되도록 위치된다. 충전 빔(2102)은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다른 선형 측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충전 빔(2102)은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다른 선형 측에 평행하게(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다. 갭(2903)은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주변 측에 인접하게 형성되거나 위치된다.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은 갭(2903)을 채우도록 배치될 수 없기 때문에, (A) 충전 빔(2102)이 설치될 수 있고(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 사이에 스팬되도록), (B) 바닥 구성 요소(2502)는 갭(290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커버링) 충전 빔(2102)의 상부 표면 상에(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바닥 구성 요소가 충전 빔(2102)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2904)까지(이를 향하여) 스팬되면 바닥 구성 요소(2502)는 갭(2903)을(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위치된다. 바닥 구성 요소(2502)는 충전 빔(2102)의 연결 스트립(2106)에 부착될 수 있다(필요한 경우 견고성 강화를 위해).
도 7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도 72는 도 71의 확대 뷰를 도시한다. 충전 빔(2102)의 하부측 클로 슬롯(2112)(하부측 슬롯들)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클로(2210)를(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전 빔(210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와 맞물린다(맞물림, 결합되도록 구성됨) 충전 빔(2102)의 길이 방향 채널(2114)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클로(2210)를 수용 할 수 있다(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됨).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핀 수용기(2206)로 수용된다(슬라이드 삽입됨). 바람직하게는,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은 중력 공급을 통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핀 수용기(2206) 내로 낙하된다(이동됨).
도 7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인접하게 배치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 빔(2102)을 스팬(위치)될 필요가 있는 경우,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들(2108)은 각각의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각각의 요소들(플레이트 등)에 형성된 각각의 핀 수용기들(2206)에 삽입된다. 가장 바깥쪽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들(2108)은 충전 빔(2102)의 대향 측들에 위치된다. 가장 내부에 위치된 자유 부동 핀들(2108)(충전 빔(2102)의 대향 측들에 위치됨)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각각의 플레이트를 클리어(clear)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충진 빔(2102)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들의 각각의 플레이트들에 장착되거나 그 위에 위치되면).
도 7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인접하게 배치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 사이에 충전 빔(2102)을 스팬(위치)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의 각각의 클로들(2210)의 상부 부분들은 충전 빔(2102)에 형성된(제공된) 하부측 클로 슬롯들(2112)에(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진다(적절한 크기를 갖고 그에 따라 위치됨). 지주-헤드 어셈블리들(2200)의 각각의 클로들(2210)의 상부 부분들은 충전 빔(2102)에 형성된 하부측 클로 슬롯들(2112)에(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진다(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됨). 이 배열은 충전 빔(2102)을 측방향 이동 및/또는 기울어지는 것(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대해)으로부터 고정한다. 충전 빔(2102)의 비대칭 성형된 측 프로파일(프로파일 또는 압출 프로파일)은 충전 빔(2102)이 간섭 없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 위에 위치되고 미리 제작된 패널(2500)에 인접 위치된 이용 가능한 공간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보장한다. 충전 빔(2102)의 비대칭 성형된 측 프로파일은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의 외부 주변 에지를 클리어한다(충전 빔(2102)이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 상에 위치되면).
도 73은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실시 예의 사시 뷰(등각 뷰)를 도시한다.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는(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도 54에 도시된 충전 빔(2102)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7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는 (A) 콘크리트 슬래브(950)(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B)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은), (C) 미리 제조된 패널(2500)(도 61에 도시된 바와 가은)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을 형성하기 위해(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용된다. 콘크리트 슬래브(950)(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콘크리트 슬래브 프레임 어셈블리(1110A)(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및 미리 제작된 패널(2500)(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은)은 서로 동등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내부 양태의 뷰를 향상시키기 위해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상부 섹션으로부터 제거된 상부 패널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상부 패널은 합판 층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및 그의 등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패널은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상부 섹션에 위치되어야 한다(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그에 고정됨).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는 코너 보강재(corner reinforcement)(2504)(내부 코너 보강재 등 및 그 등가물로도 지칭됨)를 포함한다. 코너 보강재(2504)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각각의 코너들(4 개의 코너들)에(에서)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코너 보강재(2504)는 그 중간에 형성된 병합 라인(merge line)으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패널 섹션들 사이에 90도 내부 각도를 형성하는 각진 L-브래킷을 포함한다.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는 주변 직사각형-성형된 프레임의 대향 측들에 스팬되어 있는(그리고 견고하게 연결됨) 크로스 프레임 부재를 갖는 주변 직사각형-성형된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호 연결 가능한 구조적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구조적 구성 요소는 알루미늄 합금(가벼운 무게를 목적으로) 및 그 등가물(복합 재료와 같은)로 만들어진다(형성됨).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주변 벽(perimeter wall)(2506)을 포함한다.
도 74는 도 73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주변 벽(2506)의 단면 뷰를 도시한다. 단면 뷰는 도 73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주변 벽(2506)을 통한 단면 선 A-A를 따라 취해진다.
도 7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는 주변 벽(2506)을 포함한다. 주변 벽(2506)은 주변 레일 등, 및 이들의 등가물로 지칭될 수 있다. 주변 벽(2506)은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합금, 또는 경량 재료,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을 포함 할 수 있다. 주변 벽(2506)은 각각 서로 마주 보는 개방된 입(mouth) 섹션을 갖는 대향 벽 채널들(2508)을 형성(제공)한다. 대향 벽 채널들(2508)은 코너 보강재(2504)의 대향 외부 에지들을 슬라이드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코너 보강재(2504)(도 75에 또한 도시됨)의 블레이드(blade) 섹션은 주변 벽(2506)의 대향 벽 채널들(2508) 내로 수용 가능하다. 코너 보강재(2504)의 블레이드 섹션이 대향 벽 채널들(2508) 내로 수용되면, 코너 보강재(2504)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주변 벽(2506)에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도 75는 도 73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분해 뷰를 도시한다.
도 7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패널(2516)은 복합 목재 재료, 합판 재료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을 포함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널(2516)은 약 12.0밀리미터(mm) 등의 두께를 갖는다(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서). 패널(2516)은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상부 섹션에 위치 가능하다(바람직하게는, 고정 가능함). 패널(2516)은 패널-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상부 섹션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75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패널(2516)이 약 10.0 밀리미터 mm)의 두께를 갖는 경우, 패널(2516)은 스페이서 요소(spacer element)(2507)의 이용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즉,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에 끼워 맞춰짐). 스페이서 요소(2507)는 패널(2516)(두께 약 10.0mm의 두께를 갖는)과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상부 섹션 사이에 위치된다. 스페이서 요소(2507)는 플라스틱 재료, 목재, 금속 등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을 포함 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2507)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주변 벽들(2506) 및/또는 중간 벽들(2510)의 상부 섹션에 위치되고 연결될 수 있다(바람직하게 편의상 스냅 끼워 맞춰짐). 중간 벽(2510)은 벽, 레일, 압출 벽, 압출 레일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요소(2507)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주변 벽들(2506)의 상부에 스냅 끼워 맞춤된다.
도 76 및 도 77은 도 75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단면 뷰를 도시한다.
도 76은 도 75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주변 벽(2506)의 단면 뷰를 도시한다(단면 뷰는 도 75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주변 벽(2506)을 통한 단면 선 B-B를 따라 취해진다). 도 77은 도 75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중간 벽(2510)의 단면 뷰를 도시한다(단면 뷰는 도 75의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중간 벽(2510)을 통한 단면 선 C-C를 따라 취해진다).
도 7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스페이서 요소(2507)는 주변 스페이서 요소(2512)를 포함한다. 주변 스페이서 요소(2512)는 스냅-인 플라스틱 스페이서 등 및 이들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주변 스페이서 요소(2512)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주변 벽(2506)의 상부 섹션에 연결 가능하다(연결 가능, 스냅 연결되도록 구성됨).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면, 스페이서 요소(2507)는 중간 스페이서 요소(2514)를 포함한다. 중간 스페이서 요소(2514)는 스냅-인 플라스틱 스페이서 등 및 이들의 임의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중간 스페이서 요소(2514)는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의 중간 벽(2510)(또한 중간 레일이라고도 함)의 상부 섹션에 연결 가능하다(연결 가능, 스냅 연결되도록 구성됨).
도 78, 도 79 및 도 80은 건축 빔(2400)의 빔 안전 요소(2600)의 실시 예의 사시 뷰(도 78 및 도 79) 및 측면 뷰(도 80)를 도시한다.
도 7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안전 요소(2600)와 건축 빔(2400)의 조합은 예를 들어(필요한 경우) 도 54에 도시된 충전 빔(2102)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7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건축 빔(2400)은 예를 들어 메인 빔 및/또는 크로스빔(모든 유형의 건축 빔), 및 이들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건축 빔(2400)은 빔 안전 요소(2600)를 포함한다. 빔 안전 요소(2600)는 건축 빔(2400)의 하부 섹션을 따라 배치된다(배치되도록 구성됨). 빔 안전 요소(2600)는 건축 빔(2400)의 상부 섹션으로부터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다(배치되도록 구성됨)(예를 들어, 구건 빔(2400)의 상부 섹션은 랙(2406)을 수용함). 바람직하게는, 빔 안전 요소(2600)는 건축 빔(2400)에 형성된 관통 홀(2602)을 포함한다. 관통 홀(2602)은 건축 빔(2400)의 대향 측 벽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건축 빔(2400)의 외부로 연장된다. 빔 안전 요소(2600)는 건축 빔(2400)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 벽 또는 벽들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 홀(260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빔 안전 요소(2600)는 일련의 관통 홀들(2602)(직선으로 정렬된 관통 홀들)을 포함한다. 일련의 관통 홀들(2602)은 건축 빔(2400)의 하부 섹션을 따라 연장된다(그리고 건축 빔(2400)의 대향 단부 섹션들 사이에서 연장됨). 일련의 관통 홀들(2602)은 건축 빔(2400)의 대향 측 벽들을(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일련의 관통 홀들(2602)은 건축 빔(2400)의 측 방향 길이를 따라(하부 섹션을 따라) 형성된다.
도 7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안전 요소(2600)는 안전 핀(2604)(스냅 잠금 핀이라고도 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빔 안전 요소(2600)는 건축 빔(2400) 및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클로(2210)를 통한 안전 핀(2604)(스냅 잠금 핀이라고도 함)의 맞물림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용이하게 하거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됨). 이러한 방식으로, 빔 안전 요소(2600)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클로(2210)로 건축 빔(2400)을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다(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빔 안전 요소(2600)는 건축 빔(2400)의 단부 섹션들 사이에 배치된 위치에서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클로(2210)로 건축 빔(2400)을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다(원하는 경우). 빔 안전 요소(2600)는 건축 빔(2400) 아래에 위치된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에 건축 빔(240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됨).
도 7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안전 요소(2600)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 및/또는 구성의 매달린 지지 브래킷(hanging-support bracket)(2606)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홀(2602)은 관통 홀(2602)에 수용된 핀으로부터 매달린 지지 브래킷(2606)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관통 홀(2602)은 매달린 지지 브래킷들(2606)을 각각의 관통 홀(2602)에(로부터) 선택적으로 연결(결합)하기 위한 각각의 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매달린 지지 브래킷(2606)은 현수된 건축 빔(suspended construction beam)(2410)의 무게와 같은 무게를 지지한다(지지하도록 구성됨). 예를 들어, 현수된 건축 빔(2410)은 건축 빔(2400)의 정렬에 대해 약 90도에서 진행(running)(정렬)될 수 있다(필요한 경우). 매달린 지지 브래킷(2606)은 때때로 건물 설계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콘크리트 빔 및/또는 콘크리트 슬래브 농축물의 주조(casting)에 사용될 수 있다(필요한 경우).
도 80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빔 안전 요소(2600)는 클램프 어셈블리(2608)를 더 포함한다. 클램프 어셈블리(2608)는 매달린 지지 브래킷(2606)을 건축 빔(2400)의 측 벽에 연결한다(선택적으로 견고하게 연결하고, 클램핑되도록 구성).
도 81은 건축 빔(2400)의 실시 예의 측면 뷰를 도시한다.
도 8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건축 빔(2400)은 수직으로 적층된 형태로 배열(적재)되도록 구성되며, 즉, 하나의 건축 빔(2400)이 다른 건축 빔(2400) 위에 위치된다. 수직으로 적층된 형태는 건축 빔(2400)을 건설 현장으로 운송할 수 있게 한다(이를 용이하게 한다). 건축 빔(2400)은 건축 빔(2400)의 대향 측방향 측 벽들 상에 위치되고 그로부터 연장되는 대향 플랜지들(opposite flanges)(2412)을 포함한다. 측방향 축(2413)은 각각의 건축 빔(2400)(이에 대해)의 좌우로 연장되고; 각각의 각각의 측방향 축(2413)은 일단 건축 빔들(2400)이 수직으로 적층된 형태(적층된 운송 형태)에서 서로 위에 배치되면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조항(충전 빔 및/또는 기타 건축 구성 요소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장치의 예시에 대한 추가 설명으로서 다음의 조항들이 제공된다. 다음 조항 중 하나 이상은 (A) 다음 조항들 중 다른 하나 이상, 및/또는 (B) 임의의 다른 조항들의 임의의 하위 섹션 또는 부분 또는 부분들 및/또는 (C) 조항들의 조합 및 순열, 및/또는 (D) 특정 조항에 포함되지 않은 설명이 있거나 없는 본 출원에 설명된 것과 조합될 수 있다. 다음 조항들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조항이나 다른 조항의 일부와 결합되지 않고도 자체 장점을 지닐 수 있다. 조항(1): 적어도 하나의 건축구성 요소와 협력(적어도 부분적으로 협력하도록 구성됨) 하는 충전 빔(2102)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건축 구성 요소는 바닥 구성 요소(2502),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 및 건축 빔(2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조항(2): 조항(1)의 장치에 있어서, 충전 빔(2102)은: 대향 측방향 연장 측들; 및 대향 측방향 측들에 위치된 빔 지지 표면들(2104)을 포함하고; 빔 지지 표면들(2104)은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고; 그리고 빔 지지 표면(2104)은 바닥 구성 요소(2502)를 지지한다(지지하도록 구성됨). 조항(3): 조항(1)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빔(2102)은 인접하게 배치된 건축 빔들(240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스팬되도록 구성됨). 조항(4): 조항(1)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빔(2102)은(A) 인접 배치된 충전 빔들(2102) 및(B) 인접 배치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들(2300); 및(C) 인접 배치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들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 가능하다(스팬되도록 구성됨). 조항(5): 조항(1)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빔(2102)은 건축 빔(2400)의 상부 표면 상에 위치 가능하다(안착 가능, 안착되도록 구성됨). 조항(6): 조항(1)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빔(2102)은 연결 스트립(2106), 제1 연장 섹션(2103) 및 제2 연장 섹션(2105)을 포함하고, (A) 충전 빔(2102)은 제1 연장 섹션(2103)이 제2 연장 섹션(2105) 위에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향되고 설치되며, (B) 충전 빔(2102)은 제2 연장 섹션(2105)이 제1 연장 섹션(2103) 위에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향되고 설치된다. 조항(7): 조항(1)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빔(2102)은 자유 부동 핀(2108)을 포함한다. 조항(8): 조항(1)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빔(2102)은 자유 부동 핀(2108)의 외부 직경보다 큰 외부 직경을 갖는 핀 슬리브(2110)를 포함하는 자유 부동 핀(2108)을 포함한다(핀 슬리브(2110)는 자유 부동 핀(2108)의 대향 단부 부분들의 중간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조항(9): 조항(1)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빔(2102)은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클로(2210)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결정된 클로 슬롯(2112)을 더 포함한다. 조항(10): 조항(1)의 장치에 있어서, 충전 빔(2102)은 충전 빔(2102)의 대향 단부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채널(2114)을 포함하고, 길이 방향 채널(2114)은 다른 충전 빔(2102)의 자유 부동 핀(2108)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수용하도록 구성됨). 조항(11): 조항(1)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빔(2102)은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의 위치 결정 요소(2304)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결정된(수용하도록 구성된) 길이 방향 채널(2114)을 포함한다. 조항(12): 충전 빔(2102)과 상호 작용 가능한(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됨) 충전 빔 인터페이스 요소(2204)를 포함하는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를 포함하는 장치. 조항(13): 건축 빔(2400)의 섹션에 근접하여 및/또는(B)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의 섹션에서 설치 가능한(설치되도록 구성된)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을 포함하는 장치.
조항(14): 충전 빔(2102)과 상호 작용 가능한(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건축 빔(2400)을 포함하는 장치. 조항(15): 건축 빔(2400)은 빔 안전 요소(2600)를 포함하고, 빔 안전 요소(2600)는 건축 빔(2400)의 하부 섹션을 따라 위치 가능하다(위치되도록 구성됨). 조항(16): 건축 빔(2400)과 함께 이용 가능한(이용되도록 구성된)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를 포함하는, 장치. 조항(17): 충전 빔(2102)과 함께 사용 가능한(사용되도록 구성된)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를 포함하는 장치. 조항(18):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을 형성하는데 사용 가능한(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를 포함하는 장치. 조항(19): 미리 제작된 패널(2500)은 패널-프레임 어셈블리(2501)를 포함한다. 조항(20): 건축 빔(2400)의 빔 안전 요소(2600)를 포함하는 장치. 조항(21): 빔 안전 요소(2600)를 갖는 건축 빔(2400)을 포함하는 장치. 조항(22): 수직으로 적층된 형태로 배열 가능한(배열, 적층 가능, 적층되도록 구성된) 건축 빔(2400)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하나의 건축 빔(2400)은 다른 건축 빔(2400) 위에 위치된다. 조항(23): 상기 조항들의 항목들의 임의의 하나 이상을 갖는 구조물(예를 들어, 건물, 다리 등)을 포함하는, 장치. 조항(24): 충전 빔(2102)은 바닥 구성 요소(2502)를 지지하고(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됨), 바닥 구성 요소(2502)는 건축 구성 요소와 구조물의 요소(벽 등) 사이에 형성된 갭(공간) 위로 연장 가능하다(채우도록 구성됨).
요약(충전 빔 및/또는 기타 건축 구성 요소와 관련되거나 연관됨)
장치에는 건축 구성 요소가 포함된다. 도 54 내지 도 81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건축 구성 요소는(A) 충전 빔;(B) 지주-헤드 어셈블리;(C) 빔 단부 지지 브래킷;(D) 건축 빔;(E) 미리 제작된 패널;(F)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G) 빔 안전 요소; 및/또는(H) 상기 열거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구조물(예를 들어, 빌딩, 다리 등)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그리고(A) 충전 빔;(B) 지주-헤드 어셈블리(2200);(C) 빔 단부 지지 브래킷(2300);(D) 건축 빔(2400);(E) 미리 제작된 패널(2500);(F) 패널 프레임 어셈블리(2501);(G) 빔 안전 요소(2600); 및/또는(H) 상기 열거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구조물(예를 들어, 빌딩, 다리 등)이 제공된다.
모든 상세한 설명에 대한 결론
다음은 실시 예들의 추가 설명으로서 제공되며,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상세한 설명, 요약 및 청구 범위에 설명 됨)은 임의의 다른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상세한 설명, 요약 및 청구 범위에 설명 됨)과 결합될 수 있다. 청구 범위들 섹션의 각 청구 범위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개방형 청구 범위 인 것으로 이해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관계 용어는 당업자가 동등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특정 공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로서, 수직이라는 용어가 반드시 90.0 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관련 부재 또는 요소에 대해 설명된 목적에 대해 동등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변형을 포함 할 수 있다. 구성과 관련하여 "약" 및 "실질적으로"와 같은 용어는 일반적으로 처리, 위치 또는 구성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실질적으로 변형시키지 않는 본 발명 내에서 요소의 작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관련 요소의 위치, 배치 또는 구성에 정확하거나 충분히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문맥에서 명확하게 밝히지 않는 한, 수치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조작성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무시할만한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특정 공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설명 및/또는 도면은 장치의 실시 예를 식별하고 예시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명시적으로 또는 본질적으로). 장치는 특정 기술 목적 및/또는 기술 기능에 적합하고/하거나 요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세한 설명에서 식별된 바와 같은 기술 특징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 및/또는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하고 적합한 경우, 장치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이 장치의 임의의 다른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임의의 조합 및/또는 순열). 당업자는 상기와 같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각 실시 예의 기술적 특징이 다른 실시 예에 배치될 수 있다(가능한 곳에)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구성이 제조 요건들에 적응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구항들에 기술된 바와 같은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는 다른 옵션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기술된 설명은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는 실시 예들을 제공하고, 당업자가 실시 예들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허 가능한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기재된 설명 및/또는 도면은 청구항의 범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개시된 주제의 모든 중요한 측면이 이 문서에서 제공되었다고 믿어진다. 이 문서에서, "포함한다(includes)"라는 단어는 어셈블리, 구성 요소, 부품 등의 개방형 목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단어와 동일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포함하는(including)", "함유하는(containing)" 또는 "특징된"이라는 용어와 동의어인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거나 개방형이며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요소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포함하는 것(로 구성됨)은 "개방된(open)" 문구이며, 인용되지 않은 추가 요소를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 할 수 있다. 청구 범위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청구 범위의 프리앰블과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분리하는 일시적 동사(과도기 용어)이다. 전술 한 것은 비 제한적인 실시 예들(예시들)를 개괄 하였다. 비 제한적인 특정 실시 예들(예시들)에 대해 설명한다. 비 제한적인 실시 예는 단지 예로서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0)

  1. 장치에 있어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construction column)에 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된 지주-헤드 어셈블리(prop-head assembly)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빔 기준부(beam-reference portion)를 갖고; 그리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beam-locating feature)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또한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와 이격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및 상기 수직으로 연장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쪽으로 우연히(inadvertently) 변위되면,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수용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2.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 및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또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사용중인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면 사용중인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대한 제1 고정 위치(stationary position)에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 부분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와 이격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사용중인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면 사용중인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대한 제2 고정 위치에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수평 구성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그리고 또한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우연히 변위되면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수용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사용중인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가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수용하고; 그리고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1 빔 위치 요소에 위치되면,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의 우연한 좌우 이동을 제한하고 우연한 하향 수직 이동을 제한하며; 그리고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의 방해받지 않은(unimpeded) 상향 수직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지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 위치 지정 요소는,
    사용 중에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수용하고; 그리고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의 우연한 상향 수직 이동을 제한하고 우연한 하향 수직 이동을 제한하고; 그리고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의 우연한 수평 이동을 제한하며; 그리고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면,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의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을 향한 방해받지 않는 수평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 중에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대향 단부 부분들(opposite end portions)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대향 단부들 각각은,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단부에 부착된 빔 단부 지지부(support)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빔 기준부는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선택적으로 공간적으로(spatially)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빔 기준부는 상기 빔 단부 지지부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중량(weight)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대향 단부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되는 상기 빔 단부 지지부로 전달되고; 그리고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중량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빔 단부 지지부를 통해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로 전달되고, 사용 중에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단부 지지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와 접촉하면 상기 빔 단부 지지부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대향 단부에 위치되는,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단부 부분(end portion)을 갖고; 그리고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단부 부분은,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선택적으로 공간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된 상기 빔 기준부; 및
    빔 단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빔 기준부는 상기 빔 단부 지지부에 위치되는,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수평 평면 상에서 서로에 대해 직교하게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사용 중에, 수평 구조 바닥(horizontal structural floor)이 그 위에 견고하게(securely) 위치될 수 있는 매트릭스 패턴을 형성하는,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콘크리트 슬래브(concrete slab)를 갖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바닥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프레임 결합 디바이스(frame-engagement device)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빔 단부 지지부에 의해 수용되면 상기 빔 기준부를 노출 시키도록 구성된 공동(cavity)을 제공하는 빔 단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빔 기준부는, 사용 중에,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일부와 접촉하는,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주-헤드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매트릭스 패턴의 선택된 접합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복수의 프레임 어셈블리 및 콘크리트 슬래브에 의해 형성된 수평 구조적 바닥(horizontal structural floor)이 위에 견고하게 위치되는 상기 매트릭스 패턴을 형성하는 수평 평면 상에서 서로에 대해 직교하게 위치될 수 있는,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는 지주 수신기(prop receiver)를 정의하고; 그리고
    상기 지주 수신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수용하여 상기 지주 수신기가, 사용 중에,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단부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빔 잠금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빔 잠금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에 선택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는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 위치되는,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컬럼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지주 베이스(prop base); 및
    로드-수용 요소(load-receiving feature)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로드-수용 요소는 상기 지주 베이스에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로드-수용 요소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중량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중량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 로드-수용 요소;
    제1 로케이터(locator)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위치된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서로 직교 관계로 서로 직각(right angle)으로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로드-수용 요소는 상기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중앙에 위치되는,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보다 더 높게 위치되는, 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제2 로케이터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 동일한 레벨에 위치되는, 장치.
  19.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을 위해 제공되는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의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상기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단계;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와 이격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상기 빔 기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및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향하여 우연히 변위되면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에서 상기 빔 기준부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장치에 있어서,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사용 중에, 작업 표면(working surface) 상에 위치되면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이, 사용 중에, 상기 작업 표면 위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상기 작업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
    빔 기준부를 갖는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 및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된 지주-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가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고정 연결되면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더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지주-헤드 어셈블리는,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빔 기준부를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대한 제1 고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 및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와 이격된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면,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가, 사용 중에,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에 대한 제2 고정 위치에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가 상기 제1 빔 위치 결정 요소로부터 우연히 변위되고 또한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건축 컬럼으로부터 변위되면, 상기 제2 빔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수평 건축 빔 어셈블리의 상기 빔 기준부를 수용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KR1020207006197A 2017-10-12 2018-08-16 건축 장비 KR20200083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30,820 US11225802B2 (en) 2017-10-12 2017-10-12 Prop head assembly
US15/730,820 2017-10-12
PCT/CA2018/050994 WO2019071338A1 (en) 2017-10-12 2018-08-16 BUILDING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967A true KR20200083967A (ko) 2020-07-09

Family

ID=6609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197A KR20200083967A (ko) 2017-10-12 2018-08-16 건축 장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5) US11225802B2 (ko)
EP (1) EP3665343A4 (ko)
JP (1) JP7329853B2 (ko)
KR (1) KR20200083967A (ko)
CN (1) CN111194374B (ko)
AU (1) AU2018347014A1 (ko)
CA (2) CA3073439A1 (ko)
WO (1) WO2019071338A1 (ko)
ZA (1) ZA2020011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5802B2 (en) 2017-10-12 2022-01-18 George CHARITOU Prop head assembly
CN110374354B (zh) * 2019-08-02 2021-06-15 江苏静远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支柱夹紧支撑装置
ES2929382T3 (es) * 2020-03-06 2022-11-28 Sist Tecnicos De Encofrados Sa Cabezal de anclaje para puntales de encofrado y puntal de encofrado para la ejecución de forjados inclinados
US20240052650A1 (en) * 2020-12-17 2024-02-15 Faresin Formwork S.p.A. Supporting head for providing formwork units for floor slabs, and beam and panel for use with the supporting head
CN112942859B (zh) * 2021-01-26 2024-02-23 河南拓朴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新型的梁支撑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0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8085A (en) * 1929-10-09 1932-03-01 Louis A Eisenschmidt Bracket
US2049925A (en) * 1933-10-28 1936-08-04 Rafter Machine Company Metal frame for constructing building boards
US2805506A (en) * 1955-01-27 1957-09-10 Leo I Thompson Picture frame construction
FR1212363A (fr) * 1958-10-13 1960-03-23 Support de coffrage pour plancher en béton armé
US3127926A (en) * 1960-10-14 1964-04-07 Carl W Adelt Building construction
US3409266A (en) * 1965-08-30 1968-11-05 Economy Forms Corp Shoring structure for concrete forms
US3445084A (en) * 1967-06-08 1969-05-20 Symons Mfg Co Stringer-supporting bracket for a concrete floor slab form structure
US3592289A (en) * 1968-09-06 1971-07-13 Conwed Corp Freestanding acoustical space divider
FR2173764B1 (ko) * 1972-03-02 1974-08-30 Hulin Dedeken Andrea
DE2311582A1 (de) * 1973-03-08 1974-09-12 Lumi Zug Ag Kopf fuer schalungsstuetzen, insbesondere fuer deckenschalungen
GB1561377A (en) 1977-02-15 1980-02-20 Gkn Mills Building Serv Scaffolding
GB2047320B (en) * 1979-03-22 1983-02-02 Hydro Air International Ltd Joist hangers
DE3004245A1 (de) 1980-02-06 1981-08-13 Peri-Werk Artur Schwörer KG, 7912 Weißenhorn System-deckenschalung mit fallkopf
DE3046790C2 (de) * 1980-12-12 1982-11-11 Streif AG, 5461 Vettelschoß Verbindung von Trägern mit einer durchgehenden Stütz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erartigen Verbindung
GB2119842A (en) * 1982-05-11 1983-11-23 Evans And Sons Ltd C Beams for decking sysems
DE3316557C1 (de) 1983-03-03 1984-10-11 NOE-Schaltechnik GmbH, 7334 Süssen Deckenschalungssystem
US4592186A (en) * 1985-07-30 1986-06-03 B. P. Fishburne, Jr. Heavy duty anchor for deck boards and the like
ES292590Y (es) * 1986-02-27 1987-03-01 Perez Cidre Maria I Piezas de ensamble para perfiles de carpinteria metalica
US4831804A (en) * 1987-09-17 1989-05-23 Thermal Profiles, Inc. Window frame apparatus
US5072559A (en) * 1988-11-18 1991-12-17 Liljegren Said D Building structure having stacked wooden beam walls
NL8900199A (nl) 1989-01-27 1990-08-16 Mij Voor Toepassing Van Arbeid Vloerbekistingssysteem voor het bekisten van een betonvloer.
DE3914618A1 (de) * 1989-05-03 1990-11-08 Bulldog Beratung Verbindungselement fuer (holz-)balken
DE3921064A1 (de) 1989-06-28 1991-01-10 Udo Rose Betonschalungstraeger
SE464768B (sv) * 1989-10-27 1991-06-10 Bo Allan Hjelm Formlucka foer betonggjutning
US5337533A (en) * 1991-10-31 1994-08-16 Kajita Construction Company Process for constructing a wooden building
DE4204773C2 (de) 1992-02-18 1996-02-22 Peri Gmbh Deckenschalung mit einer Stütze und Fallhülse
DE4211136C2 (de) 1992-04-03 1997-04-17 Gerhard Dingler Vorrichtung zur Deckenschalung
DE4211299C2 (de) 1992-04-04 2000-01-20 Dingler Gerhard Profil - Hauptträger
US5324132A (en) * 1992-10-07 1994-06-28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Hinge connection
JP2540425B2 (ja) * 1992-10-28 1996-10-02 日綜産業株式会社 床型わくの支持装置
DE4237516A1 (de) 1992-11-06 1994-05-11 Peri Gmbh Deckenschalungsträger
DE4305302A1 (de) 1993-02-20 1994-08-25 Peri Gmbh Deckenschalung
DE4305300C2 (de) * 1993-02-20 1996-09-19 Peri Gmbh Deckenschalung
US5438811A (en) * 1993-03-22 1995-08-08 Shigeo Goya Jointing metal fixture for construction
US5479733A (en) * 1993-11-01 1996-01-02 Color Arts, Inc. Display apparatus
US5469681A (en) * 1994-03-09 1995-11-28 Wu; Ming-Hsin Vinyl ceiling grid structure
US5579621A (en) * 1994-11-23 1996-12-03 Fang; Chen-Kuei Screen fixtures
US5845453A (en) * 1995-09-19 1998-12-08 Kuretec Limited Company Jointing metal fitting for buildings
DE19636091A1 (de) 1996-09-05 1998-03-12 Hollmann Niels Erhöhte Plattform oder Bühne, insbesondere ausgebildet als Deckenschalung für das Betonieren
FR2760482B1 (fr) 1997-03-07 1999-06-04 Bruno Ricard Coffrage pour l'execution de dalles ou planchers en beton faisant application d'un systeme portant modulaire
KR100287971B1 (ko) * 1998-11-24 2001-05-02 권재원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대
GB0006391D0 (en) 2000-03-16 2000-05-03 Orbit Uk Services Ltd Connection means
DE60138926D1 (de) 2001-04-03 2009-07-16 Ulma C Y E S Coop Decken- und dachschalungssystem
ATE427393T1 (de) 2001-04-03 2009-04-15 Ulma C Y E S Coop Schalungssystem fur platten
ES2196951B1 (es) 2001-04-18 2004-10-16 Ingenieria De Encofrados Y Servicios, S.L. Encofrado recuperable.
KR100454787B1 (ko) * 2001-08-25 2004-11-12 주식회사 동양인터내셔날 콘크리트 거푸집널
ES2187290B1 (es) 2001-10-22 2004-06-16 Ingenieria De Encofrados Y Servicios, S.L. Viga para soporte de tableros de encofrado.
CA2416644C (en) 2003-01-20 2010-07-20 Paul Gillespie Concrete slab form system
EP1617013A1 (en) 2004-07-13 2006-01-18 CEDEMAT - Aluguer de Materiais de Construçao, Lda Horizontal formwork
DE202004012138U1 (de) 2004-08-02 2004-10-07 Dbt Gmbh Stempelkopflagerung zwischen Kappe und Stempel eines Schildausbaugestells
US20060042179A1 (en) * 2004-08-05 2006-03-02 Peter Vanagan Slab formwork systems
US8308126B2 (en) * 2005-02-23 2012-11-13 Ulma C Y E, S. Coop Peripheral slab formwork system
WO2006100694A1 (en) 2005-03-21 2006-09-28 Faresin Building Division S.P.A. Falling head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beams of formworks for floors
ES2258933B1 (es) 2005-07-11 2007-07-01 Sistemas Tecnicos De Encofrados, S.A. Viga correa con terminales acoplables.
US8146321B2 (en) * 2005-09-02 2012-04-03 Tecton Products, Llc Structural wall building product
US7971395B1 (en) 2006-01-12 2011-07-05 Staging Concepts, Inc. Multipurpose adjustable panel system
US20070200049A1 (en) 2006-02-28 2007-08-30 Coday Jerry F Systems and Methods for Shoring Concrete
US7766576B2 (en) * 2006-04-21 2010-08-03 Deere & Company Implement frame tube joint with weldable connector
DE102006055306B4 (de) 2006-11-23 2010-10-07 Peri Gmbh Stützenkopf für eine Deckenschalung
CN201043354Y (zh) * 2007-04-28 2008-04-02 北京卓良模板有限公司 整体式建筑模板及模板托架
CA2593955C (en) * 2007-07-18 2010-11-16 Alvin Jerke Hurricane framing tie
KR20100010986A (ko) * 2008-07-24 2010-02-03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US8327596B2 (en) * 2009-01-28 2012-12-11 Tecton Products, Llc Connector system for building studs
KR200448085Y1 (ko) * 2009-04-01 2010-03-12 주식회사 비씨에이치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20100009969U (ko) * 2009-10-07 2010-10-11 주식회사 비씨에이치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DE102010001042B4 (de) 2010-01-20 2012-03-01 Doka Industrie Gmbh Fallkopf für ein Deckenschalungssystem und Deckenschalungssystem
DE102010001044B4 (de) * 2010-01-20 2011-09-01 Doka Industrie Gmbh Deckenschalungselement
CN102477778B (zh) * 2010-11-25 2014-07-09 欧文斯科宁知识产权资产有限公司 预制保温复合板及其组件、包括其的模板、混凝土板、其预制方法、模具型材
CN202031172U (zh) * 2010-12-30 2011-11-09 积水住宅株式会社 木制建筑物
US8544229B2 (en) * 2011-07-13 2013-10-01 A. Raymond Et Cie Decking system with hidden dovetail fastener
DE102011082841B4 (de) 2011-09-16 2015-10-08 Doka Industrie Gmbh Fallkopf für ein Deckenschalungssystem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Deckenschalungselementen
CN102587647B (zh) * 2012-03-19 2014-12-31 山东普瑞玛模板有限公司 一种用于浇筑含梁、板和柱结构建筑物的早拆模板体系
EP2679744A1 (de) 2012-06-29 2014-01-01 Hofin GmbH Betonierungs-Deckenschalung
ITPD20120411A1 (it) * 2012-12-28 2014-06-29 Faresin Building Division S P A Struttura perfezionata di casseratura per l'esecuzione di getti orizzontali per la realizzazione di solai
GB201306247D0 (en) * 2013-04-08 2013-05-22 Acrow Formwork N I Ltd Formwork Panel
KR20150116373A (ko) * 2014-04-07 2015-10-15 피앤케이에코 주식회사 친환경 초경량 소음 및 충격감쇠용 하이브리드구조의 거푸집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폼
FR3021985B1 (fr) 2014-06-05 2018-05-25 Alphi Dispositif de raccordement a stabilite amelioree
ITUB20151788A1 (it) 2015-07-01 2017-01-01 Faresin Building Div S P A Dispositivo di supporto, del tipo a testa cadente, per travi di sostegno di casseforme per solai
DE102015223764A1 (de) * 2015-11-30 2017-06-01 Peri Gmbh Schalelement und Deckenschalung mit einem solchen Schalelement
ITUB20156234A1 (it) 2015-12-04 2017-06-04 Faresin Building S P A Sistema di aggancio anti-sollevamento per la giunzione reversibile di elementi per la realizzazione di una casseratura per getti di solai
ES2676603T3 (es) 2016-02-02 2018-07-23 ULMA C y E. S. Coop Encofrado horizontal
EP3231961A1 (en) 2016-04-12 2017-10-18 ULMA C y E, S. COOP. Horizontal formwork system and safety method for installing formwork panels in a a horizontal formwork system
KR20180107396A (ko) * 2017-03-20 2018-10-02 백희정 빔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KR101962012B1 (ko) * 2017-04-26 2019-03-25 김명호 소음저감형 조립식 콘크리트 거푸집
US10053875B1 (en) * 2017-07-10 2018-08-21 Doka Gmbh Formwork support system and formwork support prop
US10407925B2 (en) * 2017-07-10 2019-09-10 Doka Gmbh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formwork support system and longitudinal beam
US10487521B2 (en) * 2017-07-10 2019-11-26 Doka Gmbh Formwork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WO2019023745A1 (en) * 2017-08-01 2019-02-07 Wangwealth Pty Ltd FORMWORK PANEL FRAME
IT201700099585A1 (it) * 2017-09-06 2019-03-06 Faresin Building S P A Dispositivo perfezionato di supporto per travi di sostegno di casseforme per solai
IT201700100643A1 (it) * 2017-09-08 2019-03-08 Faresin Building S P A Struttura di casseratura per l'esecuzione di getti per la realizzazione di solai
US11225802B2 (en) 2017-10-12 2022-01-18 George CHARITOU Prop head assembly
US10570633B2 (en) * 2017-11-16 2020-02-25 Titan Formwork Systems Llc System for lateral support of shoring posts
CA2994076A1 (en) * 2018-02-06 2019-08-06 Brand Shared Services Llc Formwork system
IT201800003425A1 (it) * 2018-03-12 2019-09-12 Faresin Formwork S P A "dispositivo perfezionato di supporto, del tipo a testa cadente, per travi di sostegno di casseforme per solai, attrezzatura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e trave di sostegno da associare al dispositivo"
IT201800004745A1 (it) * 2018-04-20 2019-10-20 Dispositivo di puntellazione di un solaio
WO2020122597A1 (ko) * 2018-12-11 2020-06-18 김명호 거푸집용 프레임부재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프레임
KR102274188B1 (ko) * 2018-12-11 2021-07-08 김명호 거푸집용 프레임부재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프레임
KR102151343B1 (ko) * 2019-04-01 2020-09-02 김명준 거푸집용 프레임부재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프레임
CA3030905A1 (en) * 2019-01-18 2020-07-18 Brand Shared Services Llc Formwork system
CN114482519A (zh) * 2020-11-12 2022-05-13 文建 一种机械建筑用组装型铝框架模板
CN113152878B (zh) * 2021-05-17 2022-08-26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用的铝框塑料模板
US11987999B2 (en) * 2021-07-14 2024-05-21 Brand Shared Services Llc Support head with quick release for formwor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5343A1 (en) 2020-06-17
CA3073439A1 (en) 2019-04-18
CA3234716A1 (en) 2019-04-18
JP7329853B2 (ja) 2023-08-21
US11686109B2 (en) 2023-06-27
JP2020537067A (ja) 2020-12-17
US20200325694A1 (en) 2020-10-15
ZA202001147B (en) 2021-02-24
CN111194374A (zh) 2020-05-22
EP3665343A4 (en) 2021-05-26
CN111194374B (zh) 2022-06-24
WO2019071338A1 (en) 2019-04-18
US11686108B2 (en) 2023-06-27
US20220282503A1 (en) 2022-09-08
AU2018347014A1 (en) 2020-04-16
US20210381263A1 (en) 2021-12-09
US11105105B2 (en) 2021-08-31
US20220098882A1 (en) 2022-03-31
US11225802B2 (en) 2022-01-18
US20190112824A1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3967A (ko) 건축 장비
ES2281212B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sistemas de construccion de estructuras de hormigon armado u otro material mediante encofrados modulares e integrales de alta precision.
KR102610336B1 (ko) 트렌치 박스 및 그의 조립 방법
NO332164B1 (no) Innleggspanel for betongfyllbar forskalingsvegg
WO2013056306A1 (en) Shoring box system and method
EP2183442A1 (en) Joining system for two building elements
KR20180136062A (ko) 상광하협 맞춤형의 옹벽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옹벽 블록의 제조방법과 일체형 옹벽의 시공방법
KR102574173B1 (ko) 거푸집 지지대를 위한 하강 가능한 지지 높이를 갖는 지지대 헤드
KR101776113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101770381B1 (ko) 슬리브이음을 위한 모르타르 주입 방법
KR102159180B1 (ko) 건축용 중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0132933A1 (en) Self-climbing material hoist
AU2020227203A1 (en) Formwork frame, formwork element, ceiling formwork and method
KR20200032311A (ko) 콘크리트 층간 물막이
KR102234335B1 (ko) 건물 외벽 거푸집 및 비계의 안전한 인양을 위한 가이드 및 고정장치
AU2004208695B2 (en) Improvements in temporary fencing
CN106481074A (zh) 混凝土现浇梁模夹具及混凝土现浇梁模具
CN108412131B (zh) 装配式圆孔板剪力墙竖向分布钢筋的连接节点及连接方法
KR102366158B1 (ko) 전도 방지 프리캐스트 모듈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체 시공 방법
EP1809824A1 (en) Wall module with connection device
CN211949008U (zh) 一种环筋剪力墙中间支座
KR102533400B1 (ko)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633584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桁部材
GB2552437A (en) Shuttering system
KR20230109265A (ko) 시스템 비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