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173B1 - 거푸집 지지대를 위한 하강 가능한 지지 높이를 갖는 지지대 헤드 - Google Patents

거푸집 지지대를 위한 하강 가능한 지지 높이를 갖는 지지대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173B1
KR102574173B1 KR1020197037142A KR20197037142A KR102574173B1 KR 102574173 B1 KR102574173 B1 KR 102574173B1 KR 1020197037142 A KR1020197037142 A KR 1020197037142A KR 20197037142 A KR20197037142 A KR 20197037142A KR 102574173 B1 KR102574173 B1 KR 10257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mwork
slab
slab formwork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709A (ko
Inventor
빌프리드 해베르렐
스테판 게를리
Original Assignee
페리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에스이 filed Critical 페리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0002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하나의 거푸집 표면(22)을 포함하는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을 이용하여 슬래브(44)를 위한 거푸집을 생성하기 위해 거푸집 지지대(18a - 18l)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헤드(20, 20(I))를 개시한다. 지지대 헤드(20, 20(I))는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 중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j, 14k)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2개의 지지부들(32, 34)을 포함한다. 지지대 헤드(20, 20(I))는,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32)를 이동시키되 이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보다 낮은 지지 높이(h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낮은 지지 지점(P3)에서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배열이 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 장치(46)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34)의 지지 지점(P2)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에 그대로 유지된다.

Description

거푸집 지지대를 위한 하강 가능한 지지 높이를 갖는 지지대 헤드
본 발명은 슬래브의 거푸집을 생성하기 위해 거푸집 지지대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헤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거푸집 지지대들, 지지대 헤드들 및 이에 상응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을 포함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슬래브의 탈형(stripping)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위 드롭헤드 지지대(drophead support)가 실무에서 공지되어 있다. 드롭헤드 지지대들 위에, 슬래브 거푸집 패널들, 또는 거푸집 패널들이 위에 배치되는 거더들(girder)이 지지된다. 드롭헤드 지지대를 사용하면 소위 거푸집 조기 탈형이 가능하게 된다. 거푸집의 조기 탈형은, 드롭헤드의 잠금 해제 후 슬래브 거푸집 패널들 또는 거푸집 패널들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는 것을 의미하고, 드롭헤드 지지대들(드롭헤드를 포함하는 거푸집 지지대)은, 슬래브가 필요한 내력을 가질 때까지의 시간 동안 이러한 슬래브를 안정화하기 위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남아 있는 드롭헤드 지지대들은 비교적 높은 자재 비축 비용을 야기하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드롭헤드 지지대들은 드롭헤드 없이 간단히 구성되는 거푸집 지지대에 비해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거푸집 지지대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헤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콘크리트와 같은 경화 가능한 충전재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제1항에 따르는 지지대 헤드, 제8항에 따르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제14항에 따르는 방법에 의하여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은 그 밖의 청구항들의 청구 요지가 된다.
지지대 헤드는, 하나의 거푸집 표면을 각각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을 이용하여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대 헤드는 이러한 지지대 헤드와 거푸집 지지대의 축대부(shaft portion)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지지대 헤드는 2개의 지지부(support section)들을 더 포함하고, 이러한 지지부들은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 중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하여, 각각의 지지부 상에는 인접한 쌍의 각 하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지점에서 지지될 수 있다. 지지 지점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를 가진다. 지지대 헤드는,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를 이동시키되 이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보다 낮은 지지 높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낮은 지지 지점에서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배열이 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낮은 지지 높이에서, 제2 지지부의 지지 지점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에 그대로 유지된다.
이를 통해, 조기 탈형 시 거푸집 지지대들 및 지지대 헤드들을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과 함께 효율적으로 해체하여, 고비용의 지지대 헤드 없이 비용 효과적인 강관 지지대들로 슬래브를 원하는 강도까지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헤드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지지대 헤드에 의하여, 해체는 효율적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거푸집의 사하중으로 인한 부하를 부담하기에는 너무 큰 지지대 없는 구간은 발생하지 않는다. 지지대 없는 구간이 너무 크면 콘크리트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대 헤드의 경우, 예컨대 다음 층과 같은 추가적인 슬래브 거푸집에서 지지대 헤드를 조기에 다시 장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요한 지지대 헤드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고, 지지대 헤드의 비축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종래에 조기 탈형 이후의 드롭헤드 지지대들은 지지하는 역할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거푸집을 위한 안착면 외에 슬래브의 콘크리트를 위해 추가적인 안착면을 더 포함하는 드롭헤드 지지대가 개발되었다. 거푸집을 위한 안착면은, 거푸집을 제거하기 위해 이러한 안착면이 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이러한 공지된 드롭헤드 지지대들은, 콘크리트가 한편으로는 거푸집과, 다른 한편으로는 드롭헤드의 안착면과 직접적으로 또는 커버 스트립을 통하여 접촉하도록 구성되었다. 콘크리트가 상이한 자재들과 접촉하면, 이는 제조가 완료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에 예기치 않은 자국을 남길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대 헤드에 의해서는, 거푸집 지지대와 슬래브의 접촉이 오로지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왜냐하면 조기 탈형 후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대 헤드를 포함한 거푸집 지지대가 유지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에 예기치 않은 자국 또는 눌림이 생성되는 위험이 줄어든다.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은 슬래브 거푸집 패널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슬래브 거푸집 패널들은 거푸집 표면, 및 복수의 거더 부재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슬래브 거푸집 패널의 거더 부재들은 횡 거더들 및/또는 종 거더들일 수 있다. 이와 연관하여 횡 거더 및 종 거더들은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의 측벽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인접한 쌍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쌍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은 이러한 부재의 횡 측면들 또는 종 측면들에서 서로 접할 수 있다. 인접한 쌍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은 서로 일직선상에 놓임으로써 공통의 중앙 축을 형성할 수 있다. 2 쌍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은 제1 및 제2 지지부 상에서 지지될 수 있고, 2개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은 제1 지지부 상에, 2개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은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부는 각각 하나의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안착면 상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가 맞닿으며 안착될 수 있다. 특히, 안착면 상에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의 횡 거더의 일부분 및/또는 종 거더의 일부분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들이 둘 다 동일한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를 형성하는 구성에서, 안착면들은 각각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 및 낮춰진 지지 높이는 지지대 헤드의 사용 위치에 관련될 수 있다.
지지부들은 각각 고정 후크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맞물림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후크들은 각각 위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고정 후크들은 슬래브 거푸집 부재의 횡 거더 및/또는 종 거더와 맞물릴 수 있다.
제1 지지부가 이동하면 제1 지지부의 위치 및/또는 배향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의 이동 중에, 제2 지지부는 변경되지 않은 위치 및/또는 배향으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연결부와 단단히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절 장치는, 제1 지지부의 이동에 의해 제1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강되도록 형성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절 장치는 제1 지지부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되지 않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가이드는 제1 지지부를, 슬래브 거푸집 부재가 낮은 지지 지점 상에서 지지될 수 있는 배열이 되게, 제어 이동시킨다.
가이드는 예컨대 회전 가이드 및/또는 이동 가이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는 직선 또는 곡선의 가이드 경로를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가이드는 선형 가이드 및/또는 링크 가이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의 적어도 일부분은 슬래브 거푸집 부재 쪽으로 지향되는 방향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이러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는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된다. 이는 제1 지지부와 맞물린 상태로부터 슬래브 거푸집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이드는 회전 가이드로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 가이드는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회전 축을 한정한다.
이는 제1 지지부와 맞물린 상태로부터 슬래브 거푸집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이드는 선형 가이드 및/또는 링크 가이드로서 형성된다.
가이드는 제1 지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장형 구멍을 포함하는 회전 슬라이딩 가이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장형 구멍은 수직 방향으로의 직선 하강 및 제1 지지부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수직 방향으로의 하강 시, 관련 슬래브 거푸집 부재는 제1 지지부 상에 편평하게 안착된다. 하강된 슬래브 거푸집 부재는 이러한 하강 위치에서 지지대 헤드에 더 견고하게 고정된다.
장형 구멍은 제1 지지부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길게 연장되는 회전 암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가 회동될 수 있다.
지지대 헤드의 다른 실시 형태는, 지지대 헤드의 회동 지탱부(pivot bearing)에 잠금 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지지부가 제1 지탱 위치에 있을 때, 잠금 폴은 제1 종단 위치(end position)에서 장형 구멍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의 단부에 인접하는데, 이러한 제1 지탱 위치에서 제1 지지부의 지지 지점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에 있다. 잠금 폴은 제1 지지부의 하강 시 자가 작동으로 제2 종단 위치로 낙하하며, 이러한 제2 종단 위치에 의해 제1 지지부의 제2 지탱 위치가 위치 고정적으로 정착된다. 제2 종단 위치의 도달을 위해 잠금 폴은 회전 운동하면서 장형 구멍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의 단부에서 제1 지지부의 외부 윤곽을 따라 제2 종단 위치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2 종단 위치에서, 잠금 폴은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 제1 지지부의 이동을 방지한다.
회동 지탱부는 돌출 만곡부들 및/또는 안쪽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된 정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비한정적으로 원형의 관통 개구부를 포함한다. 잠금 폴은 제2 종단 위치에서 수직 방향에 대해서 잠금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회동 지탱부에서 틸팅된 잠금 폴의 잠금 각도 하에서, 제1 지지부의 수직 방향 이동에 의해 잠금 폴은 더 이상 제1 종단 위치로 되돌아가는 회전을 할 수 없고, 제1 지지부의 수직 방향 이동을 차단한다.
잠금 폴은 관통 그립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 그립 개구부를 통하여 잠금 폴은 수동으로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잠금 해제 후, 제1 지지부는 수직 방향으로 다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절 장치는 해제 가능한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해제 가능한 잠금 장치는 제1 지지부의 이동을 해제 가능하게 차단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이러한 잠금 장치가 지지대 헤드의 사용 위치에서, 지지대 헤드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모든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이 지지될 때 작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예컨대 웨지 클램프(wedge clamp)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잠금 장치의 다른 구성들을 고려할 수 있다.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은 다수의 거푸집 지지대들을 포함한다. 거푸집 지지대들은 선행 실시 형태들 중 하나에 따르는 지지대 헤드와 각각 연결된다.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은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지대 헤드들의 제1 및 제2 지지부들 상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이 지지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 표면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슬래브 거푸집 표면은 거푸집 지지대들을 수평으로 닫으며 덮는다.
이는 오로지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로부터만 슬래브의 거푸집 표면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가 상이한 자재들과 접촉함으로 인해 완성된 슬래브의 표면에 자국 또는 찍힘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지대 헤드는 토크 지지대를 포함한다. 토크 지지대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 중 하나가 제2 지지부 상에서 지지될 때, 이러한 거푸집 부재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토크 지지대는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의 수직 하중으로 인하여 지지대 헤드에 가해지는 토크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지지부 상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더욱이 제1 지지부 상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가 지지되지 않을 때에도 그러하다.
토크 지지대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의 표면 프로파일에, 특히 횡 거더 또는 종 거더에 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토크 지지대는 버팀대를 포함한다. 버팀대는 제2 지지부 상에서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에서 제2 지지부를 수평으로 떠받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버팀대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의 외측 표면에 접할 수 있다. 특히, 버팀대는 횡 거더 또는 종 거더에 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토크 지지대는 2개의 버팀대를 포함하고, 이러한 버팀대들은 제2 지지부 상에서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에서 제2 지지부를 수평으로 떠받치기 위해 형성된다. 2개의 버팀대는, 이러한 버팀대들이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에서 제2 지지부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2개의 서로 반대되는 수평 방향에서 떠받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버팀대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의 내측 표면에, 특히 횡 거더 또는 종 거더에 접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버팀대는 고정 후크로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후크는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거푸집 지지대들은 각각 하나의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장치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동시에 높이 조절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콘크리트와 같은 경화 가능한 충진재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슬래브의 탈형을 위해 구성되었다. 제조되는 슬래브의 하측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은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 및 다수의 거푸집 지지대들을 포함한다. 거푸집 지지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대 헤드와 연결되고, 이러한 지지대 헤드는 2개의 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지지부들 상에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 중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이 지지됨으로써, 각각의 지지부들 상에서 인접한 쌍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 중 각각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지점에서 지지된다. 지지 지점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를 가진다. 본 방법은,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를 이동시키되 이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보다 낮은 지지 높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낮은 지지 지점 상에서 지지될 수 있는 배열이 되게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낮은 지지 높이에서, 제2 지지부의 지지 지점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에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방법은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의 탈형을 더 포함한다.
앞에서 지지대 헤드 또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에 대해 기술된 동일한 이점들은 본 방법에 대하여 상응하게 적용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지지부 상에서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대들에 의해 지지된다. 탈형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지지대의 하강 및/또는 제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를 제1 지지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지지부의 맞물림 부재들을 이용하여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를 하향 회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고, 맞물림 부재들은 이러한 하향 회동 중에 하향 회동된 슬래브 거푸집 부재와 맞물린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방법은 슬래브의 탈형된 영역 내에서 바닥에 대하여 슬래브를 지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탈형된 영역은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의 거푸집 표면에 상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을 도시하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 중 하나가 제거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c 내지 도 1f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절단선들에 상응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의 수직 횡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내에서 거푸집 지지대의 지지대 헤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지지대 헤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지지대 헤드의 다른 개략적 측면도로, 지지대 헤드의 제1 지지부가 하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을 포함하지 않고 도 2a에 도시된 지지대 헤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b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을 포함하지 않고 도 2a에 도시된 지지대 헤드의 다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지지대 헤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지지대 헤드의 다른 개략적 측면도로, 제1 지지부가 하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지지대 헤드의 개략적 측면도로, 제1 지지부가 하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지탱 위치에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대 헤드의 제4 실시 형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지지부의 회동 후 제4 실시 형태에서 지지대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지탱 위치에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4 실시 형태에서 지지대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지지대 헤드의 잠금 폴을 위한 회동 지탱부의 상세도와 함께 제2 지탱 위치에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4 실시 형태에서 지지대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에서 지지대 헤드의 잠금 폴의 등각 투상도이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타설하기 위해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은 다른 경화 가능 충진재를 위해서도 적합하다. 슬래브는 도 1에서 용지 평면에서 연장되고, 도 1a에 도시된 구성 내에서 콘크리트 벽(12)에 의해 측면에서 제한된다.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은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내지 14u)을 포함하고, 이러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은 각각 슬래브 거푸집 패널로서 형성된다. 슬래브 거푸집 패널들은 거푸집 벽, 횡 거더들 및 종 거더들(특히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들)을 포함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내지 14u)은 4개의 모서리 각각에서 거푸집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은 이를 위해 거푸집 지지대들(16a 내지 16l 18a 내지 18l)을 포함한다. 거푸집 지지대들(18a 내지 18l)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대 헤드와 연결되고, 이러한 지지대 헤드는 드롭헤드로서 구성되었다. 지지대 헤드의 구성은 이하에서 도 2a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거푸집 지지대들(18a 내지 18l)은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내지 14u)의 소위 조기 탈형을 가능하게 하고, 즉, 슬래브가 필요한 내력을 가지기 전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내지 14u)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슬래브는 조기 탈형 후 추가로 지지되어야 한다. 이는 종래에 소위 드롭헤드 지지대들을 사용하여 제공되고, 이러한 드롭헤드 지지대들에 의해 적어도 일부의 슬래브 거푸집을 해체할 수 있고, 이때 드롭헤드 지지대들은 슬래브가 필요한 안정성을 가질 때까지의 시간 동안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 유지된다.
이에 비하여, 거푸집 지지대들(18a 내지 18l)에 고정된 지지대 헤드들이 형성되어, 조기 탈형 시 거푸집 지지대들(18a 내지 18l)이 지지대 헤드들과 함께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간단히 구성된 강관 지지대들로 대체될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도 1b 내지 도 1f와 관련하여 더 정확히 설명된다. 따라서, 거푸집 지지대들(18a 내지 18l)을 포함하는 지지대 헤드들은 간단하게 구성된 강관 지지대들에 비하여 비용 집약적이므로, 사용되는 지지대 헤드들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비축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즉, 거푸집 지지대들(18a 내지 18l)을 포함하는 지지대 헤드들은 다음 거푸집 공정을 위해, 예컨대 다음 층에서 조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a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j, 14k)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대 헤드(20) 및 거푸집 지지대(18e)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하고,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에서의 이러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의 배열은 도 1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거푸집 지지대(18e)에 의해 마찬가지로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h)은 도 2a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b 및 도 2c는 도 2a의 도면에 상응하는 개략적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h, 14j, 14k)을 포함하지 않는 지지대 헤드(20)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j, 14k)의 각각은 거푸집 표면(22),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더(24)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더(26)를 포함한다. 각각의 거더(24, 26)는 종 거더 또는 횡 거더일 수 있고, 특히 종방향 벽 또는 횡방향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 헤드(20)는 거푸집 지지대(18e)의 축대부(30)(도 2a)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8)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대 헤드(20)는 2개의 지지부들(32, 34)을 포함한다. 지지부들(32, 34)은 인접한 쌍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j, 14k)을 떠받치기에 적합하고, 이러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의 거푸집 표면들(22)은 서로 인접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j, 14k)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며 이로 인하여 공통의 중앙 축을 형성한다. 제1 거더(24)는 인접한 쌍(14j, 14k)의 공통 중앙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거더(26)는 공통 중앙 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1 지지부(32) 상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가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제1 지지부(32)는 안착면(36)(도 3a)을 포함하고, 이러한 안착면 상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의 제1 거더(24)의 일부 및/또는 제2 거더(26)의 일부가 안착된다. 따라서 제1 지지부(32)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지점(P 1 )(도 2b)을 포함하고, 이러한 지지 지점 상에서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가 지지된다.
제2 지지부(34) 상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14k)가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제2 지지부(34)는 안착면(38)(도 3b)을 포함하고, 이러한 안착면 상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14k)의 제1 거더(24)의 일부 및/또는 제2 거더(26)의 일부가 안착된다. 따라서 제2 지지부(34)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지점(P 2 )(도 2b)을 포함하고, 이러한 지지 지점 상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14k)가 지지된다.
이에 상응하여 제1 지지부(32) 상에 도 2a에 도시되지 않은 슬래브 거푸집 부재(14g)가 지지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 지지부(32)는 안착면(40)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지지부(34) 상에는 도 2a에 도시되지 않은 슬래브 거푸집 부재(14h)가 지지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2 지지부(34)는 안착면(42)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h) 각각은 각각의 지지부(32, 34)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지점에 지지될 수 있다.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h, 14j, 14k)은, 이러한 부재들의 거푸집 표면들(22)이 함께 하나의 조합된 거푸집 표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조합된 거푸집 표면은 지지대 헤드(20) 및 거푸집 지지대(18)를 닫으면서 덮는다. 특히, 이러한 조합된 거푸집 표면은 직사각형이다. 이를 위해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h, 14j, 14k) 각각은 모든 4개의 둘레 측면들에서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부에 의해, 거푸집 표면(22)은 제1 거더(24) 및 제2 거더(26) 위로 돌출한다.
특히 도 2b에서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j, 14k)을 위한 양쪽의 지지 지점들(P1, P2)은 동일한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 h 1 )에 배치된다. 이는 도시되지 않은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h)의 지지 지점들에 대해서도 상응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착면들(36, 38, 40, 42)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달성된다.
동일한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 1 )에 의해,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h, 14j, 14k)의 거푸집 표면들(22) 사이에 단차 없는 전이부(43)가 생성되고, 이러한 거푸집 부재들은 각각 제조될 슬래브(44)와 접촉해 있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대 헤드(20)의 구성에서 슬래브(44)가 타설된다.
지지대 헤드(20)는, 제1 지지부(32)를 이동시키되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가 제1 지지부(32)(도 2c)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P 3 )에서 지지될 수 있는 배열이 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 장치(46)를 포함하고, 상기 지점의 지지 높이( h 2 )는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 1 )보다 낮다. 이에 상응하여 제1 지지부(32)의 이러한 배열에서 슬래브 거푸집 부재(14g)(도 2c에 도시되지 않음)는 지지부(32)의 적어도 하나의 낮은 지지 지점에서 지지된다.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j)을 위한 낮은 지지 지점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낮은 지지 높이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j)의 지지된 부분의 하강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j)이 추가적 거푸집 지지대들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1 지지부(32)의 이동이 자동으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j)의 하강을 야기하지 않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절 장치(46)는 회전 가이드(47)를 포함하고, 이러한 회전 가이드를 통해 제1 지지부(32)는 제2 지지부(34)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된다. 회전 가이드(47)는 회전 축(A)을 한정하고, 이러한 회전 축은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j, 14k)의 공통 중앙 축에 대해 수평 및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2 지지부(3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1 지지부(32)가 회동함으로써, 제1 지지부(32)가 하강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축(A)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 1 )보다 낮은 높이( h 3 )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1 지지부(32)의 맞물림 부재들(50) 각각의 이동의 적어도 일부분은 슬래브 거푸집 부재(14g 또는 14j)를 향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다. 맞물림 부재들(50)은 고정 후크로 형성되고,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또는 14j)의 제2 거더(26)와 맞물린다. 맞물림 부재들(50) 은 제2 거더(26)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숄더(54)와 맞물릴 수 있도록 각각 하나의 단부측 맞물림부(52)(특히 후크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맞물림에 의해,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j)을 위한 리프트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의 맞물림 부재들(50)의 이동에 의해, 단부측의 맞물림부(52)와 실질적으로 수평인 숄더(54)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제1 지지부(32)가 리프트 방지 장치를 포함하지 않아서,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이 불필요한 실시 형태들도 고려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b 내지 도 1e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더 낮은 지지 높이(h 2 )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지지부(32)가 이동하는 것은 효율적인 조기 탈형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조기 탈형 시 거푸집 지지대들(18a 내지 18l)(도 1a)은 이와 연결된 지지대 헤드들(20)과 함께 간단한 강관 지지대들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강관 지지대들은 거푸집 없이 슬래브(44)에 접한다. 도 1c 내지 도 1e는 도 1a에 제공된 절단선 A-A에 해당하는 횡단면들을 도시한다.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 1c 내지 도 1e에는 거푸집 지지대들(18e, 18f) 및 이에 고정된 지지대 헤드들(20)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에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내지 14u)이 제거된 후 슬래브(44)가 거푸집 지지대들(18a 내지 18l) 및 이에 고정된 지지대 헤드들(20)에 의해 지지될 필요가 없다. 이를 통해 형성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에서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내지 14u)이 지지대 헤드들(20)의 지지부들(32, 34) 상에 지지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슬래브 거푸집 표면은 거푸집 지지대들(18a - 18l)을 수평으로 닫으면서 덮는다.
도 1c는 도 1a에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기 탈형의 시작 전 상태를 도시한다. 도 1a에서, 지지대 헤드들의 지지부들(32, 34)은 4개의 점들을 가지며 둥글게 처리된 정사각형으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슬래브 지지대들(18a 내지 18l)의 지지대 헤드들(20)에서 각각 양쪽의 지지부들(32, 34)은, 이러한 지지부들이 그 위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내지 14u)을 위해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 1 )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도 1c에 도시된 거푸집 지지대(16f)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거푸집 지지대들(16a 내지 16e 및 16g 내지 16l)과 마찬가지로 지지대 헤드(20)를 포함하지 않고 간단히 구성된 각각 하나의 강관 지지대이고, 이러한 지지대 헤드는 도 2a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조기 탈형을 위해, 거푸집 지지대들(18e 및 18g)과 연결된 지지대 헤드들(20)에서 해제 가능한 잠금 장치(56)(도 2a 및 도 2b)가 해제되고, 이러한 잠금 장치는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웨지 클램프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해제 가능한 잠금 장치(56)의 다른 실시예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도 1d는 잠금 장치(56)의 해제에 의해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잠금 장치(56)가 해제됨으로써, 각각의 지지대 헤드(20)의 제1 지지부(32)가 도 2c에 도시된 배열로 이동하고, 이러한 배열에서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는 낮은 지지 높이(h 2 )에서 거푸집 지지대들(18e, 18g)에 지지된다.
슬래브 거푸집 부재(14k)는 거푸집 지지대들(18e, 18g)의 제2 지지부들(34)에 의해 또한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 1 )에 지지된다. 따라서 슬래브(44)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14k)의 영역 내에서 충분히 안정화되고, 이를 통해, 지지대가 없는 너무 큰 구간 ?? 이러한 구간은 슬래브(44)의 콘크리트를 손상시킬 수 있음 - 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d에서 강관 지지대(16f)에 대해 도시된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강관 지지대들(16f, 16g)(도 1a)이 하강 및 제거될 수 있고,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가 탈형될 수 있다. 거푸집 지지대(18e)에서 지지대 헤드(20)의 제1 지지부(32)에서 맞물림 부재들(50)(도 2c)이 구비되고, 이러한 맞물림 부재들은 고정 후크로서 형성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는 탈형을 위해 하향 회동될 수 있다(도 1e에서 화살표(58)에 의해 표시됨). 하향 회동은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거푸집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이 고정 후크들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맞물림 부재들(50)과의 맞물림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의 탈형 이후 상태는 도 1b, 도 1f에 도시되어 있다. 거푸집 지지대들(18e, 18g)에서 지지대 헤드들(20)의 하강된 제1 지지부들(32)은 도 1b에서 십자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 1 )에 위치하는 지지 지점들은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 부재(14k)는 지지대 헤드들(20)의 제2 지지부들(34)에 의해 거푸집 지지대들(18e, 18g)에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 1 )에서 지지된다. 이를 통해, 슬래브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14k)의 영역 내에서 충분히 지지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m)은 3개의 모서리에서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에서 지지된다. 이를 통해서도, 이러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의 영역 내에서 슬래브(44)가 충분하게 지지될 수 있다.
강관 지지대들(16a 내지 16l)(도 1b) 대신, 각각 2개의 인접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을 지지하는 이중 지지대들이 사용된 경우,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의 제거 시 도 1b에 도시된 강관 지지대들(16e, 16h)에 상응하여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m)에서 추가적인 지지는 생략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m)은 콘크리트 벽(12)에 의해 충분히 안정화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m)을 안정화하기 위해 추가적 지지대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m)은 콘크리트 벽(12)에 의해 안정화되는 것이 불충분하면, 안정화를 위해 임시의 강관 지지대들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의 제거 후에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에 의해 탈형되었던 슬래브(44)의 영역은 강관 지지대들(60, 62)에 의하여 떠받쳐진다.
조기 탈형의 다른 단계들에서, 다른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내지 14i, 14k 내지 14u) 및 거푸집 지지대들(18a 내지 18l)은 이에 고정된 지지대 헤드들(20)과 함께 차례로 제거되고 강관 지지대들로 대체될 수 있다. 지지대 헤드(20)에 의해, 지지대가 없는 너무 큰 구간을 생성하지 않으면서도 이러한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거푸집 지지대들(18a 내지 18l)을 제거하기 위해, 이러한 거푸집 지지대들은 전체 지지대 헤드(20)의 높이 조절을 위해 각각 하나의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장치는 예컨대 망원경 방식의 높이 조절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거푸집 지지대(18e)와 연결된 지지대 헤드(20) 상에 토크가 인가되고, 이러한 토크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14k)의 수직 하중 및 축대부(30)의 지지력에 의해 생성된다.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가 없으므로, 이러한 토크가 보상될 수 없다.
이러한 토크를 지지하고, 이를 통해 거푸집 지지대(18e)를 위한 유지보수 및 수리 비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지지대 헤드(20)는 토크 지지대(64)(도 2a 내지 도 2c, 도 3a 및 도 3b)를 포함한다. 토크 지지대(64)는 제2 지지부(34)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과 맞물리며, 즉 특히 도 1f에 도시된 슬래브 거푸집 부재(14k)와 맞물리며, 제2 지지부(34)와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토크 지지대(64)는 버팀대(66)를 포함하고, 이러한 버팀대는 지지대 헤드(20)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모든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g, 14h, 14j, 14k)에 의해 형성되는 틈새(68) 내에 배치된다. 제1 버팀대(66)는 제2 지지부(34)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h, 14k)의 외측의 수직 표면(70)과 맞물려 있다. 외측의 수직 표면(70)은 제2 거더(26)의 표면이다. 버팀대(66)에 의해, 제2 지지부(34)는 각각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h, 14k)에 수평으로 떠받쳐진다.
버팀대(66)에 의해 이미 토크가 유효하게 지지된다. 토크를 보다 양호하게 더욱 지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 버팀대들(72)에 의해 야기되며, 이러한 추가적 버팀대들에 의해 제2 지지부(34)는 지지되어 있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h, 14k)에서 마찬가지로 수평 방향으로 떠받쳐진다. 추가적 버팀대들(72)은 각각 이에 상응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14h, 14k)의 수직 표면(74)과 맞물려 있으며, 이러한 수직 표면은 각각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14h, 14k)의 안쪽을 향해 있다. 안쪽으로 향해 있는 수직 표면(74)은 각각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14h, 14k)의 제2 거더(26)의 표면이다. 특히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대(66) 및 추가적 버팀대들(72)은 제2 지지부(34)를 이러한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h, 14k)에서 서로 다른 높이 및 2개의 서로 반대되는 수평 방향에서 지지한다. 버팀대(66)는 추가적 버팀대들(72)보다 높은 높이에 접한다.
도 4a 내지 도 5는 지지대 헤드(20)를 위한 대안적 실시 형태들을 도시하는데, 이러한 실시 형태들에서 조절 장치(46)의 가이드(78)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는 가이드(78)가 이동 가이드로서, 더욱이 선형 가이드로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선형 가이드는 가이드 암(84)을 포함하고, 가이드 암 상에 가이드 슬리브(86)가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암(84)의 축( B )은 거푸집 지지대(18a 내지 18l)의 종축( C )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러한 거푸집 지지대에 지지대 헤드(20)가 고정된다. 도 4a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이 양쪽의 지지부들(32, 34) 상에서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 1 )에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을 하강된 지지 높이(h 2 )에서 지지하기 위해 이러한 제1 지지부(32)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지지대 헤드(20)를 위한 다른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동 가이드는 링크 가이드로서 형성된다. 링크 가이드는, 제1 지지부(32)의 가이드 경로가 선형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지지부(32)의 가이드 경로가 만곡되게 링크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링크 가이드는 링크(88)를 포함하고, 이러한 링크는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링크 블록(9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다른 형상의 링크 가이드도 고려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링크 가이드에 의해, 특히, 링크 가이드의 가이드 경로는 제1 지지부(32)의 이동의 적어도 일부가 방향 성분을 포함하고, 이러한 방향 성분이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을 향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미 앞에서 회전 가이드(47)(도 2a 내지 도 3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은 간단히 맞물림 부재(50)의 맞물림부(52)와의 맞물림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들에 의해, 지지대 헤드(20),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 및 콘크리트와 같은 경화 가능한 충진재로부터 슬래브(44)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6에는 지지대 헤드(20(I))의 제4 실시 형태의 종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78)는 회전 슬라이딩 가이드로서 형성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78)는 장형 구멍(92)을 제공하고, 이러한 장형 구멍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다. 장형 구멍(92)은 제1 지지부(32)의 일 단부(94)에 형성되고, 이러한 단부(94)는 제2 지지부(34)에 배치되거나 제2 지지부(34)와 연동한다. 장형 구멍(92) 내에서는 제2 지지부(34)에 형성된 링크 블록(90 (I) )이 위치 고정적으로 제2 지지부(34) 내에 고정된다. 제2 지지부(34)의 회동 지탱부(96)에 잠금 폴(98)이 위치된다. 잠금 폴(98)은 도 6에 도시된 제1 종단 위치(100)에 있는 경우 제1 지지부(32)의 단부(94)에서 장형 구멍(92)에 인접한다. 제1 지지부(32)는 제1 지탱 위치(102)를 점유하고, 이 위치에서 지지 지점(P1)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에 위치한다. 링크 블록(90(I))은 장형 구멍(92)의 하단부(104)에 위치한다.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은 이러한 제4 실시 형태에서, 제1 지지부(32)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고, 조절 장치(46)를 통해 제2 지지부(34)와 연결된다.
도 7에는 잠금 장치(56)의 해제 후 제1 지지부(32)의 회동에 의해 제1 지지부(32)가 제2 지지부(34)에 비해 하강된 후의 제4 실시 형태의 지지대 헤드(20(I))의 종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잠금 폴(98)은 제1 종단 위치(100)에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링크 블록(90(I))은 장형 구멍(92)의 하단부(104)에 위치한다. 안착면(36)은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정렬된다.
도 8에는 제1 지지부(32)가 제2 지탱 위치(106)를 점유하고 있는 제4 실시 형태의 지지대 헤드(20(I))의 종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지지부(32)는 해제된 잠금 장치(56) 상에 안착된다. 제1 지지부(32)의 안착면(36)은 제2 지지부(34)의 안착면(38)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링크 블록(90(I))은 가이드(78)의 장형 구멍(92)의 상단부(108)에 위치한다. 제1 지지부(32)의 제2 지탱 위치(106)에 도달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제1 지지부(32)의 회동 후, 장형 구멍(92)은 수직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링크 블록(90(I))을 따라 안내되었고, 예컨대 안착면 상에 안착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의 하중에 의해 안내되었다(도 2b 참조). 잠금 폴(98)은 제2 종단 위치(110)에 위치하고, 이러한 제2 종단 위치에서 잠금 폴(98)은 제1 지지부(32)를 제2 지탱 위치(106) 내에 위치 고정적으로 정착시켜서, 제1 지지부(32)가 제2 지탱 위치(106)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이러한 종단 위치에서 잠금 폴(98)은, 이 잠금 폴(98)이 회동 지탱부(96)에서 수직 방향에 대해서 틸팅하는 중에, 잠금 각도(112)를 형성한다. 잠금 각도(112) 하에서는, 잠금 폴(98)이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 제1 지지부(32)의 이동에 의하여 더 이상 잠금 폴의 제1 종단 위치로 되돌아가는 회전을 할 수 없으며,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의 제1 지지부(32)의 이동을 차단한다. 제2 종단 위치(110)에 도달하기 위해, 회동 지탱부(96)에 배치되는 잠금 폴(98)은 자가 작동 방식으로 제1 종단 위치(100)(도 6 참조)로부터 낙하하고, 회전 운동으로 장형 구멍(92)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32)의 단부(94)에서 제1 지지부(32)의 외부 윤곽을 따라 제2 종단 위치(110)로 슬라이딩한다.
도 9에는 제1 지지부(32)가 제2 지탱 위치(106)를 점유하고 있는 제4 실시 형태의 지지대 헤드(20(I))의 종단면이, 회동 지탱부(96)의 상세도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잠금 폴(98)은 잠금 폴의 제2 종단 위치(110)에서 제1 지지부(32)에 인접한다. 회동 지탱부(96)는 돌출 만곡부(120)를 포함하고, 이러한 돌출 만곡부의 상단부에는 안쪽으로 아치형으로 굽은 정지부(122)가 잠금 폴(98)을 위해 형성된다.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 제1 지지부(32)의 힘 작용 시, 이러한 힘 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잠금 폴(98)의 회전 운동은 정지부(122)에 의해 차단된다. 잠금 폴(98)은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의 제1 지지부(32)의 이동에 의해 더 이상 잠금 폴의 제1 종단 위치(100)(도 6 참조)로 되돌아가는 회전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잠금 폴(98)은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의 제1 지지부(32)의 이동을 차단한다. 잠금 폴(98)은 수동으로 잠금 기능에서 해제되어서, 제1 종단 위치(100)로 되돌아가는 이동을 할 수 있다.
도 10에는 잠금 폴(98)의 등각 투상도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 폴(98)은 관통 그립 개구부(114)를 포함한다. 잠금 폴을 제2 종단 위치(110)(도 8 참조)로부터 제1 종단 위치(100)(도 6 참조)로 되돌아가는 이동을 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손가락을 이용하여 관통 그립 개구부(114)를 관통하여 파지할 수 있다. 잠금 폴(98)은 또한 2개의 잠금 모서리(116a, 116b)를 제공하고, 이러한 잠금 모서리는 제1 지지부(32)(도 8 참조)에 인접한다. 2개의 지탱 안내면(118a, 118b)에 의해 잠금 폴(98)은 회동 지탱부(96)(도 6 참조)에 부착되어 안내될 수 있다. 즉, 각각 하나의 거푸집 표면(22)을 포함하는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을 이용하여 슬래브(44)의 거푸집을 생성하기 위해, 거푸집 지지대(18a - 18l)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헤드(20, 20(I))가 개시된다. 지지대 헤드(20, 20(I))는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에서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j, 14k)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2개의 지지부들(32, 34)을 포함한다. 지지대 헤드(20, 20(I))는,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32)를 이동시키되 이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보다 낮은 지지 높이(h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낮은 지지 지점(P3)에서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배열이 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 장치(46)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34)의 지지 지점(P2)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에 그대로 유지된다.

Claims (22)

  1. 각각 하나의 거푸집 표면(22)을 포함하는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을 이용하여 슬래브(44)의 거푸집을 생성하기 위해, 거푸집 지지대(18a - 18l)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헤드(20, 20(I))로서,
    상기 거푸집 지지대(18a - 18l)의 축대부(30)와 상기 지지대 헤드(20, 20(I))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8)와;
    상기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 중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j, 14k)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2개의 지지부들(32, 34)을 포함하고, 따라서 각각의 지지부들(32, 34) 상에는 상기 인접한 쌍의 각각 하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 14k)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지점(P1, P2)에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지지 지점들(P1, P2)은 동일한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를 가지고;
    상기 지지대 헤드(20, 20(I))는,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32)를 이동시키되 이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될 수 있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가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보다 낮은 지지 높이(h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낮은 지지 지점(P3)에서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될 수 있는 배열이 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 장치(46)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장치(46)는 가이드(78)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78)는 상기 제1 지지부(32)의 수직 방향 하강을 위한 장형 구멍(92)을 포함하는 회전 슬라이딩 가이드로서 형성되고;
    상기 낮은 지지 높이(h2)에서, 상기 제2 지지부(34)의 상기 지지 지점(P2)은 상기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에 그대로 유지되는, 지지대 헤드(20, 20(I)).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46)는, 상기 제1 지지부(32)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부(32)의 적어도 일부분의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헤드(20, 20(I)).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78)는 회전 가이드(47)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헤드(20, 20(I)).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47)는 상기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 )보다 낮게 배치되는 회전 축(A)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헤드(20, 20(I)).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78)는 선형 가이드(84, 86) 및/또는 링크 가이드(88, 90)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헤드(20, 20(I)).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 구멍(92)은 상기 제1 지지부(32)의 일 단부(94)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헤드(20, 20(I)).
  7. 제6항에 있어서,
    잠금 폴(98)이 지지대 헤드(20, 20(I))의 회동 지탱부(96)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32)가 제1 지탱 위치(102)를 점유할 때, 상기 잠금 폴(98)은 제1 종단 위치(100)에서 장형 구멍(92)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지지부(32)의 상기 단부(94)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지탱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부(32)의 지지 지점(P1)은 상기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에 위치하고, 상기 잠금 폴(98)은 상기 제1 지지부(32)의 하강 시 자가 작동으로 제2 종단 위치(110)로 낙하하고, 상기 제2 종단 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32)의 제2 지탱 위치(106)가 위치 고정적으로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헤드(20, 20(I)).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폴(98)은 관통 그립 개구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헤드(20, 20(I)).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46)는 해제 가능한 잠금 장치(56)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지지부(32)의 이동을 해제 가능하게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헤드(20, 20(I)).
  10.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으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르는 지지대 헤드(20, 20(I))가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거푸집 지지대들(18a - 18p) 및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을 포함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이 상기 지지대 헤드들(20, 20(I))의 상기 지지부들(32, 34) 상에 지지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 표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 표면은 상기 거푸집 지지대들(18a - 18l)을 수평으로 닫으면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헤드(20, 20(I))는 토크 지지대(64)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 지지대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 중 하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가 상기 제2 지지부(34) 상에 지지될 때 상기 하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와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토크 지지대(64)는 상기 제2 지지부(34) 상에 지지되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 부재(14a - 14u)의 수직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대 헤드(20, 20(I))에 인가되는 토크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지지대(64)는 버팀대(66)를 포함하고, 상기 버팀대는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14a - 14u)에서 상기 제2 지지부(34)를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지지대(64)는 2개의 버팀대들(66, 72)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대들은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된 슬래브 거푸집 부재(14a - 14u)에서 상기 제2 지지부(34)를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해 각각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버팀대들(66, 72)은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된 슬래브 거푸집 부재(14a - 14u)에서 상기 제2 지지부(34)를 서로 다른 높이 및 2개의 서로 반대되는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지지대들(18a - 18p)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32, 34)를 동시에 높이 조절하기 위해 각각 하나의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10).
  16. 콘크리트와 같은 경화 가능한 충진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슬래브(44)를 탈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될 슬래브(44)의 하측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은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 및 다수의 거푸집 지지대들(18a - 18l)을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지지대들(18a - 18l) 중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지지대는 2개의 지지부들(32, 34)을 포함하는 지지대 헤드(20, 20(I))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들 상에는 상기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a - 14u) 중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슬래브 거푸집 부재들(14j, 14k)이 지지됨으로써, 각각의 지지부(32, 34) 상에 상기 인접한 쌍의 각각 하나의 상기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 14k)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지점(P1, P2)에서 지지되고; 상기 지지 지점들(P1, P2)은 동일한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를 가지고;
    상기 방법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32)를 이동시키되 이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되는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가 상기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보다 낮은 지지 높이(h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낮은 지지 지점(P3)에서 지지될 수 있는 배열이 되게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낮은 지지 높이(h2)에서, 상기 제2 지지부(34)의 상기 지지 지점(P2)은 상기 거푸집 생성-지지 높이(h1)에 그대로 유지되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되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를 탈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래브(44)의 탈형된 영역 내에서 바닥에 대하여 상기 슬래브(44)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형된 영역은 상기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되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의 거푸집 표면(22)에 상응하는, 슬래브를 탈형하기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되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 지지대(16f, 16g)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탈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지지대(16f, 16g)의 하강 단계 및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래브를 탈형하기 위한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탈형 단계는 상기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되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를 상기 제1 지지부(32)와의 맞물림 상태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래브를 탈형하기 위한 방법.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탈형 단계는:
    상기 제1 지지부(32)의 맞물림 부재들(5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부(32) 상에 지지되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를 하향 회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들은 상기 하향 회동 중에 상기 하향 회동된 슬래브 거푸집 부재(14j)와 맞물리는, 슬래브를 탈형하기 위한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97037142A 2017-06-19 2018-05-30 거푸집 지지대를 위한 하강 가능한 지지 높이를 갖는 지지대 헤드 KR102574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0195.4 2017-06-19
DE102017210195.4A DE102017210195A1 (de) 2017-06-19 2017-06-19 Stützenkopf mit absenkbarer Auflagerungshöhe für eine Schalungsstütze
PCT/EP2018/064146 WO2018233993A1 (de) 2017-06-19 2018-05-30 Stützenkopf mit absenkbarer auflagerungshöhe für eine schalungsstüt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709A KR20200020709A (ko) 2020-02-26
KR102574173B1 true KR102574173B1 (ko) 2023-09-04

Family

ID=6248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142A KR102574173B1 (ko) 2017-06-19 2018-05-30 거푸집 지지대를 위한 하강 가능한 지지 높이를 갖는 지지대 헤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1603673B2 (ko)
EP (2) EP4092219A1 (ko)
KR (1) KR102574173B1 (ko)
CN (1) CN110998044B (ko)
AU (1) AU2018288296B2 (ko)
CA (1) CA3065809A1 (ko)
DE (2) DE102017210195A1 (ko)
ES (1) ES2925228T3 (ko)
PL (1) PL3642428T3 (ko)
WO (1) WO2018233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29382T3 (es) * 2020-03-06 2022-11-28 Sist Tecnicos De Encofrados Sa Cabezal de anclaje para puntales de encofrado y puntal de encofrado para la ejecución de forjados inclinados
DE202020103396U1 (de) 2020-06-13 2020-06-23 Peri Gmbh Handschlagwerkzeug
DE102021106138A1 (de) 2021-03-12 2022-09-15 Peri Se Stützeinrichtung, Deckenstützen, Deckenschalungssystem und Verfahren zum Ausschalen eines Deckenschalungspaneels
US20230012935A1 (en) * 2021-07-14 2023-01-19 Brand Shared Services Llc Support head with quick release for formwork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05696U1 (de) * 1997-02-11 1997-05-22 Meffert Burkhard Vorrichtung zur Vereinfachung der Ein- und Ausschalung von Deckenflächen im Hoch- und Tiefbau
DE10135664A1 (de) * 2001-07-21 2003-02-06 Thyssen Huennebeck Gmbh Stütze für Deckenschalungen od. dgl.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7877A (en) * 1929-04-01 1933-05-09 Henry W Roos Apparatus for laying concrete floors
US1888738A (en) * 1930-03-13 1932-11-22 Henry W Roos Adjustable shore
GB520747A (en) * 1938-10-31 1940-05-02 Charles Bernard Mathews Improved scaffolding or supports for use in the formation or construction of ceilings and floors of buildings when formed of concrete
DE840435C (de) * 1948-10-02 1952-06-09 Carl Fels Hohler Stahltraeger, insbesondere fuer Schalungszwecke
DE801952C (de) * 1949-09-30 1951-01-29 Karlheinz Eickhoff Verlaengerbarer Schalungstraeger
FR1243767A (fr) * 1959-12-31 1960-10-14 Perfectionnement dans les poutrelles de support des hourdis, utilisées dans la construction de planchers en béton armé
GB1250875A (ko) * 1967-11-07 1971-10-20
AT340668B (de) * 1976-04-22 1977-12-27 Hunnebeck Ges M B H Austria Vorrichtung zur langenverstellung von gerusten, stutzen od.dgl.
DE3046284A1 (de) * 1980-12-09 1982-07-08 Hünnebeck GmbH, 4030 Ratingen Schalungssystem fuer deckenschalungen
DE8110483U1 (de) * 1981-04-07 1981-10-08 Schwechheimer, Jürgen, 4053 Jüchen Schalungstraeger
DE3215002A1 (de) * 1982-04-22 1983-10-27 Emil Steidle Gmbh & Co, 7480 Sigmaringen Baustuetze
DE3316557C1 (de) * 1983-03-03 1984-10-11 NOE-Schaltechnik GmbH, 7334 Süssen Deckenschalungssystem
CH660049A5 (en) * 1986-10-02 1987-03-13 Tegoma Ag Handelsgesellschaft Displaceable shuttering support
NL8801475A (nl) * 1988-06-08 1990-01-02 Bbe Beleggingsmaatschappij Bou Steunconstructie voor de bekistingsplaten of -panelen van een te storten betonvloer.
JPH0232555U (ko) * 1988-08-23 1990-02-28
DE4211299C2 (de) * 1992-04-04 2000-01-20 Dingler Gerhard Profil - Hauptträger
FR2742787A1 (fr) * 1995-12-26 1997-06-27 Viandon Maurice Coffrage de dalle modulaire sur etais a tetes multiples
DE19720885A1 (de) * 1997-05-17 1998-11-19 Thyssen Huennebeck Gmbh Ganz oder überwiegend aus Holz bestehender Deckenschalungs-Träger
DE19932707C1 (de) * 1999-07-16 2001-02-01 Hahn Baumaschinen Gmbh Fixiereinrichtung für Schalelemente in einem Deckenschalsystem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Deckenschalung für Betondecken
KR100350687B1 (ko) * 1999-12-06 2002-08-30 현대건설주식회사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경량형강을 이용한 슬래브거푸집
DE10035823A1 (de) * 2000-07-22 2002-02-07 Baumann Verwertungs Gmbh Schalungsträger
CA2416644C (en) * 2003-01-20 2010-07-20 Paul Gillespie Concrete slab form system
EP1526226A1 (de) * 2003-10-25 2005-04-27 ConmercoTec Vertriebs GmbH Schalungsträger für Betondecken
CN102835366A (zh) 2011-06-21 2012-12-26 科尼利厄斯·约翰尼斯·安嫩代尔 钓竿或杆的改进的孔环或线引导器元件
DK2723955T3 (da) * 2011-06-22 2021-10-04 Form 700 Pty Ltd Forskallingstøtteforbedringer
DE102015223773A1 (de) * 2015-11-30 2017-06-01 Peri Gmbh Stützenkopf, Deckenstütze und Deckenschalung mit einer solchen Deckenstütze
CN205894665U (zh) * 2016-08-15 2017-01-18 慧邦大成科技(北京)有限公司 屋顶及梁的浇注模板结构
CN106337558B (zh) * 2016-08-31 2018-07-03 赣州市嘉班钢模有限公司 一种双丝杆梁板控制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05696U1 (de) * 1997-02-11 1997-05-22 Meffert Burkhard Vorrichtung zur Vereinfachung der Ein- und Ausschalung von Deckenflächen im Hoch- und Tiefbau
DE10135664A1 (de) * 2001-07-21 2003-02-06 Thyssen Huennebeck Gmbh Stütze für Deckenschalungen od. dg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17091A1 (en) 2020-07-09
CA3065809A1 (en) 2018-12-27
CN110998044B (zh) 2022-05-31
WO2018233993A1 (de) 2018-12-27
US11603673B2 (en) 2023-03-14
US20230383556A1 (en) 2023-11-30
AU2018288296B2 (en) 2024-02-22
ES2925228T3 (es) 2022-10-14
PL3642428T3 (pl) 2022-10-24
KR20200020709A (ko) 2020-02-26
DE212018000070U1 (de) 2019-03-14
DE102017210195A1 (de) 2018-12-20
EP3642428A1 (de) 2020-04-29
AU2018288296A1 (en) 2019-12-19
CN110998044A (zh) 2020-04-10
EP4092219A1 (de) 2022-11-23
EP3642428B1 (de)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4173B1 (ko) 거푸집 지지대를 위한 하강 가능한 지지 높이를 갖는 지지대 헤드
EP3652394B1 (en)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formwork support system and longitudinal beam
CN100434640C (zh) 混凝土板成型系统
US6247273B1 (en) Adjustable form brace
US11384546B2 (en) Formwork with height adjustable support for forming concrete surfaces that transition between upward sloping and downward sloping
US8136191B2 (en) Scaffold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edge structure of a concrete bridge
CN102112684B (zh) 脚手架元件、装置及使用方法
CA3037043A1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and shoring system
CN106812120A (zh) 液压自升桁架式悬臂重型拱坝模板系统
KR101587400B1 (ko)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JPH08144514A (ja) 昇降機能を備えた足場付型枠装置及び足場付型枠装置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壁等の構築方法
KR20190056120A (ko) 교량용 캔틸레버 브라켓
CN206736864U (zh) 液压自升悬臂重型拱坝模板工作平台
KR101776113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US3628765A (en) Adjustable concrete deck forming platform
KR101653940B1 (ko) 드롭형 멍에빔을 갖는 거푸집시스템
CN117703066B (zh) 一种早拆模板体系
CN106812122A (zh) 液压自升悬臂重型模板
US20220290449A1 (en) Support means, ceiling supports, ceiling framework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 ceiling framework panel
JPH03144069A (ja) 走行式型枠支保工
KR20230172108A (ko) 높이 제어가 가능한 베이스 잭
JP2000160834A (ja) コンクリートケーソンのステップアップ構築方法
CN117703066A (zh) 一种早拆模板体系
JP2005171755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構築用内型枠装置及びその装置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AU2017203024A1 (en) An apparatus for raising a safety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