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265A - 시스템 비계 - Google Patents

시스템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265A
KR20230109265A KR1020220005008A KR20220005008A KR20230109265A KR 20230109265 A KR20230109265 A KR 20230109265A KR 1020220005008 A KR1020220005008 A KR 1020220005008A KR 20220005008 A KR20220005008 A KR 20220005008A KR 20230109265 A KR20230109265 A KR 20230109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vertical member
vertical
wed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균
백승별
이도기
Original Assignee
백종균
백승별
이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균, 백승별, 이도기 filed Critical 백종균
Priority to KR102022000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265A/ko
Publication of KR2023010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26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형태를 같도록 제작하여 수직부재 또는 수평부재 중 어느 하나로 쉽게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핀결합을 통해 수직부재의 길이 연장이 간편하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및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논슬립홈을 형성하여 작업시 미끄러짐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는 한편, 수직부재에 결합부재를 결합하고, 수평부재에 쐐기를 결합한 후 상기 수평부재의 쐐기의 하부를 결합부재의 결합홈에 관통시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쐐기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지지날개를 형성하여 수평부재가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한 시스템 비계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시스템 비계{Scaffold system}
본 발명은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형태를 같도록 제작하여 수직부재 또는 수평부재 중 어느 하나로 쉽게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핀결합을 통해 수직부재의 길이 연장이 간편하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및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논슬립홈을 형성하여 작업시 미끄러짐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는 한편, 수직부재에 결합부재를 결합하고, 수평부재에 쐐기를 결합한 후 상기 수평부재의 쐐기의 하부를 결합부재의 결합홈에 관통시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쐐기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지지날개를 형성하여 수평부재가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한 시스템 비계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는 건축 공사시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임시가설물로서, 재료의 운반이나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발판을 형성한다.
이러한 비계는 임시가설물이므로 설치와 해체가 용이해야 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과 원활한 작업의 진행을 위해 구조적으로 안정적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축 공사시 대부분 시스템화된 비계를 사용한다.
등록번호 제10-1224183호의 '조립식 시스템비계'는 시스템화된 비계와 관련된 종래기술 중의 하나이다. 상기 '조립식 시스템비계'는 수직재와 수평재를 주요 구조체로 하며 수직재에 고정된 결합판과 수평재의 단부에 고정된 체결부재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수직재와 수평재가 일체화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보다 구체적으로 서로 별도로 형성되는 체결홈과 체결핀으로 이루어지는데, 비계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서는 수직재와 수평재의 결합이 보다 단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공개번호 제20-2012-0004756호의 '시스템비계'에서는 수직재에 연결구를 형성하고 수평재에 연결수단을 형성하여 수직재와 수평재의 결합이 연결구에 연결수단을 삽입함으로써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수직재에는 일정 높이 상에서 다수 개의 수평재와 결합할 수 있는데, 공개번호 제20-2012-0004756호의 '시스템비계'에서는 이를 위해 수직재의 일정 높이 상에 별도로 형성된 다수 개의 연결구를 각각 고정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등록번호 제20-0475119호의 '시스템비계'에서는 수직 파이프에 다수 개의 고정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를 부착하고 각각의 고정구멍에 수평 파이프의 끼움돌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계를 보다 단순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일반적인 비계에서 주요 구조체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주요 구조체가 가지는 구조적 성능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주요 구조체는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현장 조건에 맞추어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아 이에 따라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한 비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4183호(2013.01.1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4756호(2012.07.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119호(2014.10.3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비계는 금속 즉, 철로 이루어져 무게가 무겁고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기 쉬워 빈번하게 안전사고가 발생되며, 미리 제작되어 현장 조건에 맞추워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형태를 같게 제작하여 필요한 길이의 수직부재 또는 수평부재 중 어느 하나로 쉽게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수직부재에는 결합부재를 용접하여 결합하며, 수평부재에는 쐐기를 용접하여 결합한 후 수평부재의 쐐기를 수직부재의 결합부재의 결합홈에 관통시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이 보다 간편함과 동시에 쐐기에 형성된 지지날개를 통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외주연에 다수의 논스립홈을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 비계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논슬립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외주연에 복수 개가 결합되고, 결합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부재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논슬립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의 외주연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결합홀에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는 내주면에 돌출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구획벽과 중공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구획벽에 의해 연결되는 다각형의 구조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는 상기 논슬립홈보다 크게 형성되는 위치결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내주면에 상기 위치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1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쐐기는 상부면에 상기 위치결합홈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홀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는 하부의 횡단면이 상기 결합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쐐기는 양측에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돌기의 일측 또는 타측이 내입되도록 하는 내입홈을 형성하는 지지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부재는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핀결합홀을 포함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핀결합홀과 대응되는 핀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가 내입된 후 상기 핀홀과 핀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핀을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에 내입되되, 상기 구조벽의 내측으로 상부가 내입되는 받침본체와 상기 받침본체의 상부 외주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절나사는 상부면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와 상부면에 일측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비계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형태가 같게 제작하여 현장조건에 맞는 길이로 수직부재 또는 수평부재를 선택하여 제작과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및 연결부재의 외주연에 다수의 논슬립홈을 형성하여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제작과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중공에 구조벽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에 위치결정홈을 형성하고, 결합부재, 쐐기에 위치결정돌기를 형성하여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에 결합부재와 쐐기를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쐐기의 양측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날개를 통해 결합부재의 결합홈을 관통하여 결합된 후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평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재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를 결합할 때 핀결합을 통해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재를 통해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조절나사의 회전에 의해 수직부재를 승강시켜 높이조절이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직부재를 나타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직부재와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평부재를 나타낸 사시도(a) 및 저면도(b).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평부재와 쐐기를 나타낸 정면도(a) 및 쐐기를 나타낸 사시도(b).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직부재와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비계의 수직부재와 받침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의 형태를 같도록 제작하여 현장 여견에 맞는 수직부재(100) 또는 수평부재(300) 중 어느 하나를 쉽게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핀결합을 통한 연결부재를 통해 수직부재(100)의 길이 연장이 간편하며, 수직부재(100), 수평부재(300) 및 연결부재(50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논슬립홈을 형성하여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는 한편, 받침부재(60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의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현장에서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쐐기(400)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지지날개(420)가 돌출되도록 하여 결합부재(200)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평부재(300)의 설치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받침부재(600)의 조절나사(620)에 의해 수직부재(100)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높이 조절의 제작과 설치가 보다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한 시스템 비계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논슬립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부재(100);와 상기 수직부재(100)의 외주연에 복수 개가 결합되고, 결합홀(212)이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부재(200);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논슬립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평부재(300); 및 상기 수평부재(300)의 외주연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210)의 결합홀(212)에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는 내주면에 돌출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구획벽(110);과 중공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구획벽(110)에 의해 연결되는 다각형의 구조벽(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는 상기 논슬립홈보다 크게 형성되는 위치결정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00)는 내주면에 상기 위치결정홈(130)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1위치결정돌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쐐기(400)는 상부면에 상기 위치결정홈(130)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위치결정돌기(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10)는 상기 결합홀(212)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쐐기(400)는 하부의 횡단면이 상기 결합홀(2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쐐기(400)는 양측에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10)의 일측 또는 타측이 내입되도록 하는 내입홈(422)을 형성하는 지지날개(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부재(100)는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핀결합홀(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핀결합홀(140)과 대응되는 핀홀(510)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가 내입된 후 상기 핀홀(510)과 핀결합홀(14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핀(520)을 구비하는 연결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재(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받침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재(600)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가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에 내입되되, 상기 구조벽(120)의 내측으로 상부가 내입되는 받침본체(610);와 상기 받침본체(610)의 상부 외주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조절나사(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절나사(620)는 상부면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622);와 상부면에 일측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파지부(6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는 기본적으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복수 개의 수직부재(100)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직부재(10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최상부에 수평부재(300)에 의해 지지되는 발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수직부재(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수직으로 평행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논슬립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무게가 가벼워 작업자가 쉽게 들어 설치할 수 있고, 다수의 논슬립홈에 의해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수평부재(300)는
수직부재(100)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평으로 평행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어 일측과 타측이 상기 수직부재(100)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수직부재(10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부재(10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논슬립홈이 형성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며,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는 같은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현장 여건에 따라 세워서 설치하면 수직부재(100)가 되고, 수직부재(100)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면 수평부재(300)가 되며, 이러한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를 통칭하여 기초대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현장 여건에 맞는 길이의 기초대를 선택하여 수직부재(100) 또는 수평부재(300)로 사용하기 위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결합부재(200)를 기초대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결합한 후 세워서 수직부재(100)로 설치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쐐기(400)를 기초대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결합한 후 수직부재(100)를 연결하는 수평부재(300)로 사용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는 내주면 즉, 중공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구획벽(110)과, 내측 중앙 즉, 중공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구획벽(110)에 의해 연결되는 다각형의 구조벽(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획벽(110)과 구조벽(120)은 기초대 즉,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가 2중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상기 구획벽(110)의 갯수가 많아질수록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고, 경량화와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갯수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4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구조벽(120)은 경량화를 위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받침부재(600)의 상부가 중공에 내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부재(100)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초대 즉,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는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논슬립홈보다 크게 형성되는 위치결정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위치결정홈(13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결합부재(200)와 쐐기(400)를 외주연에 용접하여 결합시킬 때, 상기 결합부재(200)와 쐐기(400)의 위치를 보다 쉽게 결정할 수 있으며 용접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결합부재(200)와 쐐기(400)가 외주연에 용접되어 결합되는데, 알루미늄 재질상 압전법에 의해 용접되고,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논슬립홈과 상기 논슬립홈을 형성하는 다수의돌기가 넓은 면적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용접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는 융접법을 통해 용접되는 경우에도 상기 논슬립홈에 용접재료가 채워짐에 따라 보다 견고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직부재(100)는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핀결합홀(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기초대에 모두 형성되므로 수평부재(300)에도 형성되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연결부재(500)의 핀(520)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직부재(100) 또는 수평부재(300)의 길이 연장을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결합부재(200)는
상기 수직부재(100)의 외주연에 복수 개가 용접되어 결합되고, 결합홀(212)이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수평부재(300)가 설치되어야 하는 필요 위치마다 용접되어 결합되고, 수평부재(30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쐐기(400)의 하부가 상기 결합돌기(210)의 결합홀(212)에 관통되어 결합됨에 따라 수직부재(100)를 수평부재(300)가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결합부재(200)는 상기 수직부재(100)의 외주연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수직부재(100)과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작업자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200)를 상기 중앙홀을 이용하여 수직부재(100)의 외주연에 용접전에 설치한 후 결합부재(200)를 각각 위치를 결정한 후 용접함으로써, 보다 쉽게 수직부재(100)에 결합부재(2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결합부재(200)는 내주면에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의 외주연에 형성된 위치결정홈(130)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1위치결정돌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위치결정돌기(220)에 의해 수직부재(100)가 관통된 후 즉, 상기 수직부재(100)의 회전이 방지되어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10)는 상기 결합홀(212)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쐐기(400)의 하부 형상이 상기 결합홀(2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쐐기(400)의 하부가 상기 결합홀(212)에 관통되어 결합된 후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10)의 결합홀(212)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홀(212)의 내측면이 수직한 면을 형성하는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쐐기(400)의 하부 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쐐기(40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쐐기(400)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쐐기(400)는
상기 수평부재(300)의 외주연에 상부가 용접되어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210)의 결합홀(212)에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부말단이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홀(212)에 내입이 원활하도록 하고, 상기 결합홀(212)에 하부가 관통되어 결합됨에 따라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10)에 의해 양측 하부가 지지되어 수직부재(100)를 연결하는 수평부재(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쐐기(400)는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100)와 상기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100)와 인접한 수직부재(100)를 수평부재(300)가 연결할 수 있도록 수평부재(300)의 일측과 타측 외주연에 각각 용접되어 결합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100)의 결합부재(200)에 수평부재(300)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100)와 인접한 수직부재(100)의 결합부재(200)에 상기 수평부재(300)의 타측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쐐기(400)는 상기 수직부재(100)의 결합부재(200)에 형성된 결합홀(212)에 하부가 내입된 후 관통됨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쉽게 수평부재(300)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쐐기(400)는 상부면에 앞서 설명된 수직부재(100) 또는 수평부재(300)의 외주연에 형성된 위치결정홈(130)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위치결정돌기(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위치결정돌기(410)는 수평부재(300)의 양측에 상기 쐐기(400)를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을 보다 쉽게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제2위치결정돌기(410)는 앞서 설명된 결합부재(200)의 제1위치결정돌기(220)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수평부재(300)의 외주연에 쐐기(400)를 가설치한 후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용접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쐐기(400)는 하부의 횡단면이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돌기(210)의 결합홀(2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돌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쐐기(400)가 상기 결합홀(212)을 관통하여 결합될 때, 끼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유동을 최소화하고,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쐐기(400)는 상기 결합홀(212)에 하부가 관통되어 결합될 때, 과도한 끼움결합으로 인해 상기 결합돌기(210)가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가 완전히 관통되어 결합될 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 측면 상부가 상기 결합홀(212)의 내측면과 밀접되도록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쐐기(400)는 양측에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10)의 측면이 내입되도록 하는 내입홈(422)을 형성하는 지지날개(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날개(420)에 의해 형성되는 내입홈(422)에 상기 결합돌기(210)의 일측 또는 타측이 내입됨에 따라 흔들림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수평부재(300)가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상기 지지날개(420)의 내측면은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내입홈(422)에 내입되는 결합돌기(210)의 일측 또는 타측이 끼워져 내입되도록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연결부재(5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수직부재(100)의 핀결합홀(140)과 대응되는 핀홀(510)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가 내입된 후 상기 핀홀(510)과 핀결합홀(14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핀(520)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부재(100)의 길이를 연장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연결부재(500)는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100)의 하부가 상부 중공에 내입된 후 핀(520)을 핀홀(510)과 핀결합홀(140)에 관통시켜 상기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10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다른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100)의 상부가 하부 중공에 내입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10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연결부재(500)는 앞서 설명된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와 마찬가지로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논슬립홈이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재(500)는 일측이 외주연에 결합되고, 타측이 핀(520)에 결합되는 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끈을 통해 작업자가 보다 쉽게 핀(52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연결부재(500)는 내부 중공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상부중공과 하부중공으로 구획하는 지지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격벽은 상기 핀(52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핀홀(510)과 핀결합홀(140)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하부에 위치한 수직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받침부재(600)는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재(100)의 높이를 조절하고, 지면에 안정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가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조절나사(620)가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이동됨에 따라 수직부재(100)의 높이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받침부재(600)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가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에 내입되되, 상기 구조벽(120)의 내측으로 상부가 내입되는 받침본체(610)와, 상기 받침본체(610)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판 및 상기 받침본체(610)의 상부 외주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조절나사(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받침부재(600)는 상기 하부판에 의해 지면에 안착되고, 파이프 형상의 받침본체(610)의 상부가 수직부재(100)의 중공에 내입되되, 구조벽(120)의 중공 즉, 내측으로 내입되어 설치되고, 수직부재(100)의 하부가 조절나사(6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지지됨에 따라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절나사(6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나사(620)와 함께 수직부재(100)가 승강되어 높이가 조절된다.
부가하여, 상기 조절나사(620)는 상부면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622)와 상부면에 일측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파지부(6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돌기(622)는 하부가 안착된 수직부재(100)가 조절나사(6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여 조절나사(620)의 회전시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파지부(624)는 작업자가 보다 쉽게 조절나사(6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높이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는 하나의 형태를 갖는 기초대를 이용하여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로 사용함에 따라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작업현장 여건에 따라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를 보다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쐐기(400)에 지지날개(420)를 형성하여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의 중공에 구조벽(120)을 형성하여 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수직부재 110 : 구획벽
120 : 구조벽 130 : 위치결정홈
140 : 핀결합홀 200 : 결합부재
210 : 결합돌기 212 : 결합홀
220 : 제1위치결정돌기 300 : 수평부재
400 : 쐐기 410 : 제2위치결정돌기
420 : 지지날개 422 : 내입홈
500 : 연결부재 510 : 핀홀
520 : 핀 600 : 받침부재
610 : 받침본체 620 : 조절나사
622 : 이탈방지돌기 624 : 파지부

Claims (7)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논슬립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직부재(100);와
    상기 수직부재(100)의 외주연에 복수 개가 결합되고, 결합홀(212)이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부재(200);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논슬립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평부재(300); 및
    상기 수평부재(300)의 외주연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210)의 결합홀(212)에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는
    내주면에 돌출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구획벽(110);과
    중공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구획벽(110)에 의해 연결되는 다각형의 구조벽(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300)는
    상기 논슬립홈보다 크게 형성되는 위치결정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00)는
    내주면에 상기 위치결정홈(130)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1위치결정돌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쐐기(400)는
    상부면에 상기 위치결정홈(130)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위치결정돌기(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10)는
    상기 결합홀(212)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400)는
    하부의 횡단면이 상기 결합홀(2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00)는
    양측에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10)의 일측 또는 타측이 내입되도록 하는 내입홈(422)을 형성하는 지지날개(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00)는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핀결합홀(140);을 포함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핀결합홀(140)과 대응되는 핀홀(510)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가 내입된 후 상기 핀홀(510)과 핀결합홀(14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핀(520)을 구비하는 연결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재(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받침부재(60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600)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가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에 내입되되, 상기 구조벽(120)의 내측으로 상부가 내입되는 받침본체(610);와
    상기 받침본체(610)의 상부 외주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부재(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조절나사(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는 상부면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622)와 상부면에 일측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파지부(6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KR1020220005008A 2022-01-13 2022-01-13 시스템 비계 KR20230109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008A KR20230109265A (ko) 2022-01-13 2022-01-13 시스템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008A KR20230109265A (ko) 2022-01-13 2022-01-13 시스템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265A true KR20230109265A (ko) 2023-07-20

Family

ID=8742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008A KR20230109265A (ko) 2022-01-13 2022-01-13 시스템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26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756U (ko) 2010-12-22 2012-07-02 (주)의조산업 시스템비계
KR101224183B1 (ko) 2012-04-18 2013-01-22 신성컨트롤(주) 조립식 시스템비계
KR200475119Y1 (ko) 2013-03-21 2014-11-12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시스템비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756U (ko) 2010-12-22 2012-07-02 (주)의조산업 시스템비계
KR101224183B1 (ko) 2012-04-18 2013-01-22 신성컨트롤(주) 조립식 시스템비계
KR200475119Y1 (ko) 2013-03-21 2014-11-12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시스템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8011A1 (en) Scaffold and methods for installing or removing such a scaffold
US20230115437A1 (en)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200418247Y1 (ko) 건축용 비계
KR101968222B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CN111663457A (zh) 拼装模块、模块化施工平台及方法、桥梁墩台施工方法
GB2531376A (en) Device for splicing reinforcement cages
KR20230109265A (ko) 시스템 비계
KR0140904B1 (ko)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102078285B1 (ko)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KR102069702B1 (ko)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CN108756211B (zh) 一种施工用铝模板
WO2009123567A2 (en) A connector claw
KR102361789B1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가설 지지구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CN219060932U (zh) 一种卸料平台用拉结机构
KR200294830Y1 (ko)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US20240052648A1 (en) Scaffold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caffolding device
CN211037733U (zh) 新型建筑工程脚手架
KR200465039Y1 (ko) 높은 기둥 설치작업용 비계
CN220353262U (zh) 一种预制楼梯
CN219431321U (zh) 一种电梯井道施工的可调节式操作平台
KR102558279B1 (ko)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JP3578643B2 (ja) 狭小地建築工法及び外壁体移動用仮支持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