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756U - 시스템비계 - Google Patents

시스템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756U
KR20120004756U KR2020100013271U KR20100013271U KR20120004756U KR 20120004756 U KR20120004756 U KR 20120004756U KR 2020100013271 U KR2020100013271 U KR 2020100013271U KR 20100013271 U KR20100013271 U KR 20100013271U KR 20120004756 U KR20120004756 U KR 201200047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horizontal member
scaffold
horizont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년
Original Assignee
(주)의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의조산업 filed Critical (주)의조산업
Priority to KR2020100013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756U/ko
Publication of KR20120004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7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스템비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숙련자도 시공할 수 있도록 수직재와 수평재가 쉽게 분해, 조립되어 설치되는 용이한 작업성과 비계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시켜 안정성이 뛰어나며 작업용 발판을 사용할 때 시스템비계전용 발판뿐만 아니라 일반비계용 발판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 및 분해 조립의 편리성이 뛰어나도록 한 시스템비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스템비계{System Scaffolding}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물이나 교량 등의 구조물의 내부 또는 외부 공사시에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게 되고,이때 작업용 발판 및 작업공간 확보를 위하여 지상으로부터 시스템비계가 가설된다.
본 고안은 시스템비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숙련자도 시공할 수 있도록 수직재와 수평재가 쉽게 분해, 조립되어 설치되는 용이한 작업성과 비계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시켜 작업안정성이 뛰어나며 작업용 발판을 사용할 때 시스템비계전용 발판뿐만 아니라 일반비계용발판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 및 편리성이 뛰어난 시스템비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그 구성은 상이하지만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546069호 "건축용 비계",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513355호 "건축용 비계의 연결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482272호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972185호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680009호 "가이그 레일의 연결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698509호 "비계파이프 어셈블리",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835681호 "건축용 비계",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841240호 "건축용 조립식 비계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927477호 "건축비계용 접이식 안전발판",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8-0012584호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344388호 "건설용 이동작업틀의 설치구조",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397951호 "비계 파이프 구조물",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412730호 "건축용 비계의 수평지지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179329호 "조립식 비계장치의 수평재 연결구",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357647호 "비계의 작업발판용 고정장치",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409066호 "건설 공사용 파이프 비계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412780호 "건축용 비계 클램프",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0-0003750호 "강관비계용 연결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이나 교량등의 각종 구조물을 축조하거나 조선소에서 선박을 건조할 때,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의 도색이나 배관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거나 재료 운반 통로 및 안전망을 치기 위해 임시 구조물인 비계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비계는 통상 수직재와 수평재와 가설 발판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비계는 수직재의 연결구와 수평재의 양단부에 쐐기 핀 모양의 연결수단을 용접,접합되는 클램프와 연결되어 수직재와 수평재가 연결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결합력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시스템비계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의 작업을 할 때 최대한의 안전한 작업공간과 위치확보를 위해 작업용 발판등을 가설하는 기능을 갖도록 되어 있다.
시스템서비계는 크게 수직인 형태로 놓여지는 수직재와 수평재 및 가설발판으로 구성되어 시공현장에서 수직재를 수평재의 길이에 따라 촘촘한 간격으로 세우고 상기 수직재 사이사이에 수평재를 연결구에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일체감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시스템비계의 조립 및 해체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데 특히,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시 추락방지를 위하여 더욱더 견고하게 조립하게 되는바 기존 시스템서포트의 수직재는 4개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연결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용접,접합되어 이루워져 사용목적에 따라 수평재와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사용목적에 따라 필요부분만 연결수단을 통해 수평재와 연결되어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고 필요하지 않는 연결구는 사용하지 않는 연결구는 그대로 남겨두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제작비가 올라가고 힘이 덜 받는 부분까지 핀 체결구조로 체결하여야 하는 이유로 부품이 더 사용되는 등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단점과 또 이 연결구를 작업 시 방치하면 작업자가 이동할 때 이 연결구의 브라켓에 작업자의 옷이나 신체가 걸려 작업자가 떨어지거나 작업자가 팔이나 다리에 상처를 입는 등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수평재의 양단부에 용접,접합되는 클램프와 수직재의 연결구에 브라켓의 슬롯에 연결되어 수직재와 수평재가 연결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어 걸고리가 발판부의 양쪽 모서리쪽에 설치되어 있는 일반 비계용발판은 수평재의 수평재 양단부의 클램프 때문에 걸고리홈에 수평재가 들어가지 못해 걸고리가 수평재에 걸리지 못해 사용하지 못하여 걸고리가 발판부의 양쪽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비계전용 발판을 따로 생산하여 수평재의 중간 부분에 걸고리 홈이 위치하여 걸고리가 수평재에 걸려 사용되어 진다.
따라서 일반 비게용 발판을 사용하지 못하고 시스템비계 전용발판을 다시 생산하여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다수개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연결구가 일정간격으로 용접,접합된 소정의 길이의 수직재와 상기 연결구의 브라켓의 슬롯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연결수단을 갖는 수평재가 분해, 조립 가능토록 설치되는 시스템비계에 있어서, 수직재(11)는 다수개의 브라켓(13)과 슬롯(14)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2)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 간격으로 용접,접합되어 설치되며, 수평재(21)는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ㄷ" 형상이 이루어 지게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홈(24)을 두어 연결수단(31)의 헤드부(32)를 연결수단(31)의 상부면(33)과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일치하게 끼워 넣어 용접한 후 연결수단(31)의 밀착면(34)이 수직재(11)에 밀착하며 연결수단(31)의 경사면(35)을 브라켓(13)의 경사에 맞춰 브라켓(13)의 슬롯(14)에 끼워 넣어 수직재(11)의 연결구(12)에 설치되어 수직재(11)와 수평재(21)를 연결하는 시스템비계이다.
상기에 있어서, 임의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재(11)의 연결구(12)는 브라켓(13)이 사용 목적에 따라 4개의 브라켓(13)과 3개의 브라켓(13)이 서로 혼용되어 설치되도록 한 시스템비계이다.
또 상기에 있어서, 수평재(21)는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평탄하게 하여 시스템비계전용가설발판(41B) 뿐만 아니라 일반비계용가설발판(41A)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비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인 서포트시스템의 수직재(11)는 작업 시 사용목적 및 힘을 받는 정도에 따라 연결구가 일정 간격이 아니라 임의 간격을 두고 용접, 접합되기 때문에 제작 절감의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 통로부분에 돌출된 연결구(12)가 없어 작업자가 이동시 연결구(12)에 걸려 다치거나 작업자의 옷이 걸려 떨어지는 등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수직재에 쐐기핀(62)을 수평재(21)의 수평재양단부(22)에 용접, 접합되는 클램프(61)와 수직재(11)의 연결구(12)의 브라켓(13)의 슬롯(14)에 끼워 수직재(11)와 수평재(21)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대신에 수평재(21)는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ㄷ" 형상이 이루어 지게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홈(24)을 두어 연결수단(31)의 헤드부(32)를 연결수단(31)의 상부면(33)과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일치하게 끼워 넣어 용접한 후 연결수단(31)의 밀착면(34)이 수직재(11)에 밀착하며 연결수단(31)의 경사면(35)을 브라켓(13)의 경사에 맞춰 브라켓(13)의 슬롯(14)에 끼워 넣어 수직재(11)의 연결구(12)에 설치되어 수직재(11)와 수평재(21)를 연결하여 부품비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비계구조물의 중량을 감소시켜 안전성 및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 이 같은 구조는 걸고리(43)가 발판부(42)의 양쪽 모서리쪽에 설치되어 있는 일반비계용가설발판(41A)도 수평재(21)의 수평재양단부(22)에 걸고리홈(45)에 수평재(21)가 위치할 수 있어 걸고리(43)가 수평재(21)에 연결 할 수 있어 시스템비계전용가설발판(41B) 뿐만 아니라 일반비계용가설발판(41A)도 사용 가능하여 부품의 절감 및 쉽게 분해,조립되는 효과가 있다.
또 수평재(21)의 상단면(23)이 평판하게 압착되어 조립시 해머작업이 용이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시스템비계를 사용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공사비용이 증가함과 공사기간이 늘어나 그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경제적이면서 안정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비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비계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및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비계에서 수직재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 - 도 2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수평재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6 - 도 5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7 - 일반비계용 가설 발판의 사시도.
도 8 - 시스템비계전용 가설 발판의 사시도.
도 9 - 본 고안에 따른 일반비계용 발판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
도 10 - 종래의 시스템비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 - 종래의 시스템비계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및 부분 확대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2 - 종래의 시스템비계에서 수직재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3 - 종래의 시스템비계에서 시스템비계전용 발판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
다수개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연결구가 일정간격으로 용접,접합된 소정의 길이의 수직재와 상기 연결구의 브라켓의 슬롯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연결수단을 갖는 수평재가 분해, 조립 가능토록 설치되는 시스템비계에 있어서, 수직재(11)는 다수개의 브라켓(13)과 슬롯(14)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2)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 간격으로 용접,접합되어 설치되며, 수평재(21)는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ㄷ" 형상이 이루어 지게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홈(24)을 두어 연결수단(31)의 헤드부(32)를 연결수단(31)의 상부면(33)과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일치하게 끼워 넣어 용접한 후 연결수단(31)의 밀착면(34)이 수직재(11)에 밀착하며 연결수단(31)의 경사면(35)을 브라켓(13)의 경사에 맞춰 브라켓(13)의 슬롯(14)에 끼워 넣어 수직재(11)의 연결구(12)에 설치되어 수직재(11)와 수평재(21)를 연결하는 시스템비계이다.
상기에 있어서, 임의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재(11)의 연결구(12)는 브라켓(13)이 사용 목적에 따라 4개의 브라켓(13)과 3개의 브라켓(13)이 서로 혼용되어 설치되도록 한 시스템비계이다.
또 상기에 있어서, 수평재(21)는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평탄하게 하여 시스템비계전용가설발판(41B) 뿐만 아니라 일반비계용가설발판(41A)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비계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은
첫째, 수직재(11)에 다수개의 브라켓(13)과 슬롯(14)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2)가 일정간격을 두고 용접,접합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 간격을 두고 용접,접합되어 설치되도록 한 것이며,
둘째, 수직재(11)에 다수개의 브라켓(13)과 슬롯(14)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2)를 사용목적에 따라 4개의 브라켓(13)과 3개의 브라켓(13)으로 차별화 하여 고소작업 시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통로위치에 수직재(11)의 평탄면(17)이 위치하게 형성한 것이며,
세째, 수평재(21)는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ㄷ" 형상이 이루어 지게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홈(24)을 두어 연결수단(31)의 헤드부(32)를 연결수단(31)의 상부면(33)과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일치하게 끼워 넣어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평탄하게 한 후 용접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체적 내용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비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비계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및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비계에서 수직재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또, 도4는 도2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재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6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 도7은 일반용 가설 발판의 사시도이고 도8은 비계용 가설 발판의 사시도이며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일반 발판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10은 종래의 시스템서포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11은 종래의 시스템서포트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및 부분 확대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12는 종래의 시스템서포트에서 수직재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13은 종래의 시스템비계에서 비계용 발판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시스템서포트의 수직재(11')는 4개의 브라켓(13)과 슬롯(14)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용접,접합되어 이루워져 수평재(21)와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 되어 진다.
따라서 도10내지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부분만 쐐기핀(62)을 통해 수평재(21)와 연결되어 시스템서포트를 구성하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는 연결구(12)는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두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제작비가 올라가고 힘이 덜 받는 부분까지 핀 체결구조로 체결하여야 하는 이유로 부품이 더 사용되는 등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단점과 또 이 연결구(12)를 작업 시 방치하면 작업자가 이동시 옷이 걸려 작업자가 떨어지거나 작업자가 팔이나 다리에 상처를 입는 등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보 고안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서포트시스템의 수직재(11)는 작업자가 걸어다니는 통로나 힘을 덜 받는 부위에는 3개의 브라켓(13)연결구가 용접, 접합되기 때문에 제작 절감의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 시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통로위치에는 평탄면(17)이 위치하여 작업자가 이동 시 연결구(12)의 브라켓(13)에 작업자의 신체가 걸려 다치거나 작업자의 옷이 걸려 떨어지는 등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도2와 도4에서 도6까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재(21)는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ㄷ" 형상이 이루어 지게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홈(24)을 두어 연결수단(31)의 헤드부(32)를 연결수단(31)의 상부면(33)과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일치하게 끼워 넣어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평탄하게 한 후 용접하여 연결수단(31)의 밀착면(34)이 수직재(11)에 밀착하며 연결수단(31)의 경사면(35)을 브라켓(13)의 경사에 맞춰 브라켓(13)의 슬롯(14)에 끼워 넣어 수직재(11)의 연결구(12)에 설치되어 부품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안전성 및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한편 도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시스템 비계는 수평재(21)의 수평재양단부(22)에 용접,접합되는 클램프(61)와 수직재(11)의 연결구(12)에 브라켓(13)의 슬롯(14)에 연결되어 수직재(11)와 수평재(21)가 연결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어 도 7에서 도시된 걸고리(43)가 발판부(42)의 양쪽 모서리쪽에 설치되어 있는 일반비계용가설발판(41A)은 수평재(21)의 수평재양단부(22)의 클램프(61)때문에 걸고리홈(45)에 수평재(21)가 들어가지 못해 걸고리(43)가 수평재(21)에 걸리지 못해 사용하지 못하여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43)가 발판부(42)의 양쪽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비계전용가설발판(41B)을 사용하여 수평재(21)의 중간 부분에 걸고리홈(45)이 위치하여 걸고리(43)가 수평재(21)에 걸려 사용되어 진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은 도9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걸고리(43)가 발판부(42)의 양쪽 모서리쪽에 설치되어 있는 일반비계용가설발판(41A)도 수평재(21)의 수평재양단부(22)에 걸고리홈(45)에 수평재(21)가 위치할 수 있어 걸고리(43)가 수평재(21)에 연결 할 수 있어 시스템비계전용가설발판(41B)뿐만 아니라 기존의 일반비계용가설발판(41A)도 사용 가능하여 비용의 절감 및 부품의 절감으로 쉽게 분해,조립되는 효과가 있다.
또 수평재(21)에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평탄하게 하여 견고한 조립을 위하여 해머작업이 용이한 효과로 부품의 절감 및 쉽게 분해,조립되어 인건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한편, 미 설명 도면부호 100은 잭베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 - 수직재
11' - 종래의 수직재
12 - 연결구
13 - 브라켓
14 - 슬롯
17 - 평탄면
21 - 수평재
22 - 수평재양단부
22A - 상단면
22B - 하단면
25 - 홈
31 - 연결수단
32 - 헤드부
33 - 상부면
34 - 밀착면
35 - 경사면
41A - 일반비계용가설반판
41B - 시스템비계전용가설발판
42 - 발판부
43 - 걸고리
45 - 걸고리홈
61 - 클램프
62 - 쐐기핀
63 - 연결구멍
100 - 잭베이스

Claims (3)

  1. 다수개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연결구가 일정간격으로 용접,접합된 소정의 길이의 수직재와 상기 연결구의 브라켓의 슬롯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연결수단을 갖는 수평재가 분해, 조립 가능토록 설치되는 시스템비계에 있어서, 수직재(11)는 다수개의 브라켓(13)과 슬롯(14)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2)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 간격으로 용접,접합되어 설치되며, 수평재(21)는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ㄷ" 형상이 이루어 지게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과 하단면(22B)이 홈(24)을 두어 연결수단(31)의 헤드부(32)를 연결수단(31)의 상부면(33)과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일치하게 끼워 넣어 용접한 후 연결수단(31)의 밀착면(34)이 수직재(11)에 밀착하며 연결수단(31)의 경사면(35)을 브라켓(13)의 경사에 맞춰 브라켓(13)의 슬롯(14)에 끼워 넣어 수직재(11)의 연결구(12)에 설치되어 수직재(11)와 수평재(21)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비계.
  2. 제 1항에 있어서, 임의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재(11)의 연결구(12)는 브라켓(13)이 사용 목적에 따라 4개의 브라켓(13)과 3개의 브라켓(13)이 서로 혼용되어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비계.
  3. 제 1항에 있어서, 수평재(21)는 수평재양단부(22)의 상단면(22A)을 평탄하게 하여 시스템비계전용가설발판(41B)뿐만 아니라 일반비계용가설발판(41A)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비계.
KR2020100013271U 2010-12-22 2010-12-22 시스템비계 KR201200047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71U KR20120004756U (ko) 2010-12-22 2010-12-22 시스템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71U KR20120004756U (ko) 2010-12-22 2010-12-22 시스템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56U true KR20120004756U (ko) 2012-07-02

Family

ID=4685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271U KR20120004756U (ko) 2010-12-22 2010-12-22 시스템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75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222B1 (ko) 2018-06-25 2019-04-11 백종균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20210001072U (ko) 2019-11-08 2021-05-18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거리 및 각도조절형 비계수평재
KR20210108552A (ko) 2020-02-25 2021-09-03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20230109265A (ko) 2022-01-13 2023-07-20 백종균 시스템 비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222B1 (ko) 2018-06-25 2019-04-11 백종균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20210001072U (ko) 2019-11-08 2021-05-18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거리 및 각도조절형 비계수평재
KR20210108552A (ko) 2020-02-25 2021-09-03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20230109265A (ko) 2022-01-13 2023-07-20 백종균 시스템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542B1 (ko) 비계
US20130043095A1 (en) Masonry scaffold system with truss level rosettes
KR20120004756U (ko) 시스템비계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2419671B1 (ko) 조립식 비계 시스템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JP2522751B2 (ja) 枠組足場
KR101793842B1 (ko) 무용접 각형 프레임 연결장치
CN202227276U (zh) 一种用于桥墩模板上的活动平台
KR200445310Y1 (ko)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JP5649854B2 (ja) 建築作業用安全ネットの吊具および安全構造
KR200428125Y1 (ko) 비계용 발판 구조
JP6470672B2 (ja) 張出プラットフォームを備えた仮設足場
US20040020713A1 (en) Building-mountable construction safety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JP4425212B2 (ja) 小径縞鋼板製鋼管
JP6574726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階段開口部の手摺枠
JP6276073B2 (ja) 拡幅・狭幅用足場部材及びこの足場部材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KR101353089B1 (ko) 고소작업대에서 발판의 연결구조
KR200466569Y1 (ko) 철골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200469173Y1 (ko) 시스템비계의 수직재와 수평재의 체결구
KR102374870B1 (ko)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CN217998872U (zh) 用于异型钢结构的施工平台
KR20090012687U (ko) 건축용 안전비계
JP4065798B2 (ja) 支柱作業用足場および支柱作業用足場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20

Effective date: 2013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