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687U - 건축용 안전비계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687U
KR20090012687U KR2020080007629U KR20080007629U KR20090012687U KR 20090012687 U KR20090012687 U KR 20090012687U KR 2020080007629 U KR2020080007629 U KR 2020080007629U KR 20080007629 U KR20080007629 U KR 20080007629U KR 20090012687 U KR20090012687 U KR 200900126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connecting rod
horizontal connectin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태
Original Assignee
허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종태 filed Critical 허종태
Priority to KR2020080007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687U/ko
Publication of KR20090012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자가 발을 디디더라도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작업안전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비계지주에 대한 수평연결대의 체결력이 향상됨에 따라 전체적인 하중지지력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안전비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는, 사각단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전면측과 일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절곡브래킷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상응하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되는 비계지주와, 사각단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비계지주의 절곡브래킷 내에 안착되며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제 1 체결공에 상응하는 제 2 체결공이 형성되는 수평연결대와, 상기 비계지주의 제 1 체결공, 상기 수평연결대의 제 2 체결공 및 상기 절곡브래킷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됨에 따라 상기 비계지주에 상기 수평연결대를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전비계, 비계지주, 절곡브래킷, 수평연결대, 사각단면, 체결수단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비계{SAFE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공사 시에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측면에 임시로 가설되는 건축용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외벽을 전반적으로 보수하는 경우, 작업자를 위한 통로나 작업대가 마련되어 있는 건축용 비계를 건축물 외벽에 가설하여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각종 자재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439조에 의하면, 사업주는 2미터 이상인 장소에 작업을 함에 있어서, 근로자에게 추락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비계를 조립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작업발판을 설치하여야 한다고 규정함으로써 건축용 비계의 설치를 강제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건축용 비계는, 통상 건축물 외벽의 둘레에 원형파이프로 형성된 비계지주를 수평방향으로 배설하고 비계지주들 사이에 원형파이프로 형성된 수평연결대를 체결부재로서 결합한 후, 이들 사이에 작업대나 안전펜스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건축물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작업용 비계를 모두 철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용 비계의 경우에는 주로 원형파이프로 형성된 비계지주와 수평연결대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위해 수평연결대를 디딜 경우 미끄러짐에 의한 낙상이 발생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비계의 경우에는 비계지주에 대해 수평연결대가 단지 체결부재에 의해서만 체결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하중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가 발을 디디더라도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작업안전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안전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계지주에 대한 수평연결대의 체결력이 향상됨에 따라 전체적인 하중지지력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안전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사각단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전면측과 일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절곡브래킷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상응하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되는 비계지주와, 사각단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비계지주의 절곡브래킷 내에 안착되며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제 1 체결공에 상응하는 제 2 체결공이 형성되는 수평연결대와, 상기 비계지주의 제 1 체결공, 상기 수평연결대의 제 2 체결공 및 상기 절곡브래킷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됨에 따라 상기 비계지주에 상기 수평연결대를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안전비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계지주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절곡브래킷과 상기 비계지주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절곡브래킷은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계지주의 전면측과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절곡브래킷은 각각 30cm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비계지주의 제 1 체결공, 상기 수평연결대의 제 2 체결공 및 상기 절곡브래킷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부재와,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에 의하면, 비계지주 뿐만 아니라 수평연결대 또한 사각단면을 가지는 파이프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수평연결대에 발을 디디더라도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에 열중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비계지주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절곡브래킷 내에 수평연결대가 안착된 후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비계지주와 수평연결대 사이의 체결력이 향상되고 그 결과 비계의 전체적인 하중지지력이 대폭 증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비계지주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절곡브래킷이 디딤대 역할을 함에 따라 경우에 따라 작업자가 절곡브래킷을 딛고 올라가 작업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의 개략구조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의 부분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a 및 도 3b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의 조립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1)는, 작업자가 발을 디디더라도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작업안전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비계지주(10)에 대한 수평연결대(20)의 체결력이 향상됨에 따라 전체적인 하중지지력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각단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전면측과 일측면에는 관통공(13a, 13b)이 형성된 다수의 절곡브래킷(11a, 11b)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설치되며 관통공(13a, 13b)에 상응하는 제 1 체결공(15a, 15b)이 형성되는 비계지주(10)와, 사각단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비계지주(10)의 절곡브래킷(11a, 11b) 내에 안착되며 일측과 타측에는 제 1 체결공(15a, 15b)에 상응하는 제 2 체결공(21a, 21b)이 형성되는 수평연결대(20)와, 비계지주(10)의 제 1 체결공(15a, 15b), 수평연결대(20)의 제 2 체결공(21a, 21b) 및 절곡브래킷(11a, 11b)의 관통공(13a, 13b)을 관통하여 체결됨에 따라 비계지주(10)에 수평연결대(20)를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비계지주(10)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1)에 있어서 수직기둥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각단면의 파이프로 형성된다.
비계지주(10)의 전면측에는 관통공(13a)이 형성된 다수의 절곡브래킷(11a)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설치되며, 비계지주(10)의 일측면에는 관통공(13b)이 형성된 다수의 절곡브래킷(11b)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설치되는데, 이 절곡브래킷(11a, 11b)은 그 내부에 안착되는 수평연결대(20)를 지지하는 것으로, 비계지주(10)에 그 일부가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접합고정된다.
따라서 차후에 설명될 수평연결대(20)는 비계지주(10)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절곡브래킷(11a)에 의해 좌우방향으로도 설치될 수 있고 비계지주(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절곡브래킷(11b)에 의해 전후방향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비계지주(10)에는 또한 절곡브래킷(11a)의 관통공(13a)에 연통가능한 제 1 체결공(15a)이 절곡브래킷(11a)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절곡브래킷(11b)의 관통공(13b)에 연통가능한 제 1 체결공(15b)이 절곡브래킷(11b)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 제 1 체결공(15a, 15b)은 차후에 설명될 체결수단(30)의 체결통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서로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비계지주(10)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절곡브래킷(11a)과 비계지주(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절곡브래킷(11b)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이니라 수평연결대(20)가 설치되지 않은 절곡브래킷(11a, 11b)이 작업자의 발디딤을 위한 발판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절곡브래킷(11a, 11b)은 각각 30cm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비계지주(10)의 절곡브래킷(11a, 11b) 내에는 수평연결대(2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데, 이 수평연결대(20)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1)에 있어서 지지발판 등의 지지를 위한 지지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자체가 지지발판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각단면의 파이프로 형성된다.
수평연결대(20)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 2 체결공(21a, 21b)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 제 2 체결공(21a)는 비계지주(10)의 제 1 체결공(15a)에 연통가능하며 제 2 체결공(21b)는 비계지주(10)의 제 1 체결공(15b)에 연통가능함에 따라, 제 2 체결공(21a, 21b)은 비계지주(10)의 제 1 체결공(15a, 15b)과 함께 차후에 설명될 체결수단(30)의 체결통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서로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서로 연통된 비계지주(10)의 제 1 체결공(15a, 15b), 수평연결대(20)의 제 2 체결공(21a, 21b) 및 절곡브래킷(11a, 11b)의 관통공(13a, 13b)으로는 체결수단(30)이 관통하여 체결되는데, 이 체결수단(30)은 비계지주(10)에 수평연결대(20)를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비계지주(10)의 제 1 체결공(15a, 15b), 수평연결대(20)의 제 2 체결공(21a, 21b) 및 절곡브래킷(11a, 11b)의 관통공(13a, 13b)을 관통하는 볼트부재(31)와, 체결볼트(31)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볼트부재(31)의 머리부나 너트부재(33)에 접하는 와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건축용 안전비계(1)의 경우에는, 비계지주(10) 뿐만 아니라 수평연결대(20) 또한 사각단면을 가지는 파이프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수평연결대(20)에 발을 디디더라도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작업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고, 비계지주(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절곡브래킷(11a, 11b) 내에 수평연결대(20)가 안착된 후 체결부재(30)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비계지주(10)와 수평연결대(20) 사이의 체결력이 향상되어 전체 하중지지력이 대폭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계지주(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절곡브래킷(11a, 11b)이 일종의 디딤대 역할을 함에 따라 경우에 따라 작업자가 절곡브래킷(11a, 11b)을 딛고 올라가 작업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의 개략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의 부분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비계
10 : 비계지주
11a, 11b : 절곡브래킷
13a, 13b : 관통공
15a, 15b : 제 1 체결공
20 : 수평연결대
21a, 21b : 제 2 체결공
30 : 채결수단
31 : 볼트부재
33 : 너트부재

Claims (4)

  1. 사각단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전면측과 일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절곡브래킷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상응하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되는 비계지주;
    사각단면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비계지주의 절곡브래킷 내에 안착되며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제 1 체결공에 상응하는 제 2 체결공이 형성되는 수평연결대; 및
    상기 비계지주의 제 1 체결공, 상기 수평연결대의 제 2 체결공 및 상기 절곡브래킷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됨에 따라 상기 비계지주에 상기 수평연결대를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안전비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계지주의 전면측에 설치되는 절곡브래킷과 상기 비계지주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절곡브래킷은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비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계지주의 전면측과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절곡브래킷은 각각 30cm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비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비계지주의 제 1 체결공, 상기 수평연결대의 제 2 체결공 및 상기 절곡브래킷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부재와,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비계.
KR2020080007629U 2008-06-09 2008-06-09 건축용 안전비계 KR200900126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629U KR20090012687U (ko) 2008-06-09 2008-06-09 건축용 안전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629U KR20090012687U (ko) 2008-06-09 2008-06-09 건축용 안전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87U true KR20090012687U (ko) 2009-12-14

Family

ID=4929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629U KR20090012687U (ko) 2008-06-09 2008-06-09 건축용 안전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6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82U (ko) 2016-07-19 2018-01-29 최환우 반자동 연결핀이 구비된 비계
KR20200128217A (ko) 2019-04-17 2020-11-12 김시보경 Iot기반의 다중 안전 비계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82U (ko) 2016-07-19 2018-01-29 최환우 반자동 연결핀이 구비된 비계
KR20200128217A (ko) 2019-04-17 2020-11-12 김시보경 Iot기반의 다중 안전 비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JP6021604B2 (ja) 仮設足場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KR20090012687U (ko) 건축용 안전비계
KR200428125Y1 (ko) 비계용 발판 구조
KR20120004756U (ko) 시스템비계
EP1647512B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JP5971878B1 (ja) 骨組構造物用構造材及びこれを用いた骨組構造物
JP2009209543A (ja) 足場板とこれを用いた単管足場構造
KR200372312Y1 (ko) 구조물 공사용 고소작업 안전발판
JP5689273B2 (ja) 仮設足場、及び建物の構築方法
JP3208865U (ja) 基礎工事用足場
KR102583454B1 (ko) 안전성이 개선된 건축공사용 발판시스템
JP3604071B2 (ja) 木造家屋における百足形床梁構造
KR102601151B1 (ko)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JPH02305785A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および据付用作業床装置
KR102374870B1 (ko)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KR20230174662A (ko) 건축용 비계 작업발판 오리발 모양
CN212129885U (zh) 用于脚手架的立柱以及脚手架
JP4065798B2 (ja) 支柱作業用足場および支柱作業用足場の構築方法
CN105464355A (zh) 一种用于曲面建筑外窗安装的操作平台
KR200178541Y1 (ko) 송전용 관형철주의 조립식 사다리
KR200491063Y1 (ko)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
KR20100001742U (ko) 고소작업용 비계
JP4116586B2 (ja) 構造物用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