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742U - 고소작업용 비계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742U
KR20100001742U KR2020080010593U KR20080010593U KR20100001742U KR 20100001742 U KR20100001742 U KR 20100001742U KR 2020080010593 U KR2020080010593 U KR 2020080010593U KR 20080010593 U KR20080010593 U KR 20080010593U KR 20100001742 U KR20100001742 U KR 201000017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pillars
present
scaffol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섭
Original Assignee
이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섭 filed Critical 이주섭
Priority to KR2020080010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742U/ko
Publication of KR201000017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용 비계(飛階)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둥들 사이에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바들과 그 연결바들을 일체화되게 고정하는 연결편을 갖는 연결체 및 기둥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기둥들을 서로 연결하는 고정체를 구비하여, 비계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비계(飛階), 고소작업, 기둥, 연결체, 고정체, 고정구, 체결구, 사다리, 발판.

Description

고소작업용 비계{SCAFFOLDING FOR HIGH GROUND WORKING}
본 고안은 고소작업용 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들 사이에 연결편들에 의해 일체화된 연결바들을 상하로 배치하여 조립 설치함과 아울러 기둥들의 연결부위를 고정체를 통해 한번 더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여 안정감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용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飛階)는 천정이 높은 강당, 크린룸 또는 비행기 격납고 등의 건축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 고소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필요한 자재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계는 기둥 및 연결체를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해 결합하고, 소정위치에 작업용 발판을 얹어 고소작업을 수행하거나 사다리 등을 설치하여 필요한 자재를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작업용 비계은, 기둥을 지지하는 연결체이 하나의 바(bar) 타입으로만 이루어져 견고하게 조립 설치되지 못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작업자가 떨어지는 등의 심각한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으로 입설(立設)되는 기둥들 사이에 배치되어 기둥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를 갖는 연결체 및 기둥들의 연결부위를 고정하는 고정체를 구비하여 비계를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지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용 비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수직으로 입설(立設)되는 기둥들의 연결부위를 상호 연결하여 작업자들이 이동하는 사다리 또는 발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기둥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들 사이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바들을 일체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는 연결편들로 이루어진 연결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비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기둥에는 상기 연결체와 같이 상기 기둥들의 연결부위를 'ㄷ'자 형상의 고정체를 더 구비하여 견고하게 조립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비계에 의하면, 수직으로 입설(立設)되는 기둥들 사이에 배치되어 기둥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를 갖는 연결체 및 기둥들의 연결부위를 고정하는 고정체를 구비하여 비계를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지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비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비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의 횡간(橫間)에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바(121)들과, 연결바(121)들을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편(121a)들로 구성된다.
기둥(110)은 바닥면에 종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입설(立設)된다. 기둥(110)은 작업현장에서 필요한 높이 만큼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어 조립 설치된다. 기둥(110)의 양단부 인접위치에는 내부가 관통형성되어 고정설치된 다수개의 고정구(112)가 구비된다. 고정구(112)는 판체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기둥(110)은 내부가 관통형성된 파이프(pipe) 타입 또는 내부가 채워진 봉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 사이에서 착탈가능하게 조립 설치된다. 연결체(120)는 수직으로 입설되는 기둥들을 상호 연결하여 작업자들이 이동하는 사다리 또는 발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연결체(12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의 횡간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바(121)들과, 연결바(121)들을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편(121a)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체(120)의 양단부에는 체결구(122)들과, 체결구(122)측에 끼움 결합되는 체결핀(124)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바(121)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바(bar)가 평형하게 배치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바(121)는 기둥(110)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상·하 양측에 위치된다. 연결바(121)는 기둥(110)의 횡간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결바(121)는 내부가 관통형성된 파이프(pipe) 타입 또는 내부가 채워진 봉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편(121a)은 연결바(121)들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편(121a)은 연결바(121)들 사이에서 수직하는 방향, 서로 엇갈리는 대략 'X'자 방향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연결편(121a) 및 연결바(121)는 그 접하는 부위가 용접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체결구(122)는 연결바(121)의 양단부에 고정설치된다. 체결구(122)는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구조를 이루어 고정구(112)와 엇갈리는 형태로 맞물림 결합된다. 체결구(122)의 소정위치에는 관통형성된 제1,2체결공(122a, 122b)이 형성된다. 제1체결공(122a)은 체결구(122)의 어느 일측에서 대략 '-' 형상으로 일부만이 관통된 장공형으로 마련된다. 제2체결공(122b)은 제1체결공(122a)과 대응위치에서 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으로 관통형성된다.
체결핀(124)은 기둥(110)의 고정구(112)와 연결체(120)의 체결구(122)와 맞물린 상태에서 제1,2체결공(122a, 122b)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체결핀(124)은 체결핀 이탈방지턱(124a) 및 체결홈(12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핀 이탈방지턱(124a)은 체결핀(124)의 일단부에 소정의 두께로 돌출형성 되고, 제1체결공(122a)에 걸림 안내된다. 체결핀 이탈방지턱(124a)은 제1체결공(122a)의 외방(外方)으로부터 내방(內方)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체결홈(124b)은 체결핀 이탈방지턱(124a) 측으로부터 점차 좁아지는 형성된 체결핀(124)의 타단부에 관통형성된다. 체결홈(124b)측은 제2체결공(122b)으로부터 빠질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체결핀(1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의 고정구(112)와 연결체(120)의 체결구(122)가 맞물림 결합된 상태에서 제1,2체결공(122a, 122b)에 끼움 결합되고, 체결홈(124b)은 볼트(140) 및 너트(142) 등을 통해 결합되어 기둥(110) 및 연결체(120)가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둥(110)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체(120)를 통해 기둥(110)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소정위치에 작업용 발판(150) 및 사다리(160) 등이 놓여진 상태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한편, 기둥(110)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절곡형성되어 고정구(112)들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조립된 기둥(110)을 서로 연결하는 고정체(130)를 통해 견고하게 조립 설치할 수도 있다.
고정체(130)는, 고정바(131)와, 고정바(131)의 양단부에 고정 설치된 결합구(132)와, 결합구(132)측에 결합되는 결합핀(1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바(131)는 다단 절곡형성된 'ㄷ'자 형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바(131)는 내부가 관통형성된 파이프 타입 또는 내부가 채워진 봉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130)의 제1,2결합공(132a, 132b)이 형성된 결합구(132) 및 결합핀 이 탈방지턱(134a) 및 결합홈(134b)을 갖는 결합핀(134)은 연결체(120)의 체결구(122) 및 체결핀(124)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함을 밝혀둔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비계(100)에 의하면, 공지의 하나의 바(bar)로 이루어져 불확실하게 조립 설치되는 것과는 달리, 기둥(110)들 사이에 연결편(121a)들에 의해 일체화된 연결바(121)들을 상하로 배치하여 조립 설치함과 아울러 기둥(110)들의 연결부위를 고정체(130)를 통해 한번 더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여 안정감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비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소작업용 비계(飛階), 110 : 기둥,
112 : 고정구, 120 : 연결체,
121 : 연결바, 121a : 연결편,
122 : 체결구, 122a : 제1체결공,
122b : 제2체결공, 124 : 체결핀,
124a : 체결핀 이탈방지턱, 124b : 체결홈,
130 : 고정체, 131 : 고정바,
132 : 결합구, 132a : 제1결합공,
132b : 제2결합공, 134 : 결합핀,
134a : 결합핀 이탈방지턱, 134b : 결합홈,
140 : 볼트, 142 : 너트,
150 : 발판, 160 : 사다리.

Claims (2)

  1. 수직으로 입설(立設)되는 기둥들의 연결부위를 상호 연결하여 작업자들이 이동하는 사다리 또는 발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기둥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들 사이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바들을 일체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는 연결편들로 이루어진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는 상기 연결체와 같이 상기 기둥들의 연결부위를 'ㄷ'자 형상의 고정체를 더 구비하여 견고하게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비계.
KR2020080010593U 2008-08-08 2008-08-08 고소작업용 비계 KR201000017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593U KR20100001742U (ko) 2008-08-08 2008-08-08 고소작업용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593U KR20100001742U (ko) 2008-08-08 2008-08-08 고소작업용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42U true KR20100001742U (ko) 2010-02-18

Family

ID=4444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593U KR20100001742U (ko) 2008-08-08 2008-08-08 고소작업용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7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39Y1 (ko) * 2010-11-03 2013-02-05 남웅건설주식회사 높은 기둥 설치작업용 비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39Y1 (ko) * 2010-11-03 2013-02-05 남웅건설주식회사 높은 기둥 설치작업용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8247Y1 (ko) 건축용 비계
CN108699847B (zh) 侧护板、具有至少一个这种侧护板的天花板模板系统及用于架设这种侧护板的方法
KR200428188Y1 (ko) 건축 비계용 발판
JP2014101659A (ja) 仮設足場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JP6426917B2 (ja) 吊り足場における側壁立設工法及び装置
KR102152917B1 (ko) 클링커 제거용 안전 작업대
JP2014009453A (ja) 仮設足場組み立て冶具及び組み立て方法
KR200424416Y1 (ko) 건축용 비계
KR20100001742U (ko) 고소작업용 비계
JP5172796B2 (ja) 横架材および該横架材を用いた構台
EP1853774B1 (en) A construction element
AU2018232939A1 (en) Walkway
JP2009027771A (ja) 分電盤架台
KR101973798B1 (ko) 비계용 토보드
JP2009209543A (ja) 足場板とこれを用いた単管足場構造
KR200372312Y1 (ko) 구조물 공사용 고소작업 안전발판
JP3044078U (ja) 支柱足場
KR20090012687U (ko) 건축용 안전비계
KR102325168B1 (ko) 가설안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설안전 구조물의 설치방법
KR20150137657A (ko)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KR102655806B1 (ko) 사다리
JP5968390B2 (ja) 仮設足場
KR102583454B1 (ko) 안전성이 개선된 건축공사용 발판시스템
JP7264467B2 (ja) 仮設足場用の縦支柱、及び、それを使用した仮設足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