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63Y1 -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63Y1
KR200491063Y1 KR2020180003244U KR20180003244U KR200491063Y1 KR 200491063 Y1 KR200491063 Y1 KR 200491063Y1 KR 2020180003244 U KR2020180003244 U KR 2020180003244U KR 20180003244 U KR20180003244 U KR 20180003244U KR 200491063 Y1 KR200491063 Y1 KR 200491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gangform
fixing bracket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85U (ko
Inventor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이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우 filed Critical 이연우
Priority to KR2020180003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6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벽체)에 설치된 갱폼(10)의 상부 및 하부케이지를 체결하며 고정시켜줌으로써, 작업하중 또는 풍하중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 { bracket and fixing sturuture for upper and lower cage of gang form }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벽체)에 설치된 갱폼의 상부 및 하부 케이지를 밀착고정시켜줌으로써, 작업하중 또는 풍하중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갱폼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갱폼(Gang Form)은 주로 고층아파트와 같이 상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는 건축물의 공사시 외부 벽체거푸집과 거푸집 설치·해체작업 및 미장·견출 작업발판용 케이지(Cage)를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대형거푸집을 의미한다.
상기 갱폼은 사용할 때마다 작은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단순화하여 한번에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로 아파트 등 건축물의 외벽부위에 시공되고 있는 갱폼은 재래식 거푸집보다 한차원 높은 단계의 거푸집으로, 구성부재의 재질이 스틸(Steel)로 이루어져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모든 제작이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별도의 현장제작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갱폼은 현장관리가 용이하고, 비계설치가 불필요하며, 조립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므로 공기의 단축이 가능하다
상기 갱폼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862호(2016. 03. 14.)에는 건물의 외벽에 갱폼의 하부 케이지를 밀착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지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시공 또는 갱폼 인양시 하부케이지가 건물 외벽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용 갱폼의 하부케이지 흔들림 방지를 위한 보조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30137호(2016. 03. 16.)에는 하부 케이지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구속결합하는 고정 브라켓;과 일단은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당김 고리와 연결되는 와이어;및 갱폼의 인양고리에 인접설치되는 당김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관통 홀과 고리부를 포함하는 몸통부;와 슬라이딩부와 너트부 및 걸침 턱;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관통 홀 축과 몸통부의 관통 홀 축을 동일 선으로 하여 회전 축을 이루는 볼트가 관통하여 삽입하고, 상기 볼트를 외감하는 탄성체를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설치하는 갱폼의 하부 케이지 고정 및 해체를 위한 안전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고층 아파트 및 빌딩 등의 외벽공사시 상기 갱폼의 하부케이지 만을 공사중인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함으로써, 작업하중 및/또는 풍하중으로부터 상기 갱폼의 흔들림이 완전하게 방지되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 갱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며, 상기 갱폼이 구조적으로 취약해질 수 있다. 특히 하부케이지와 상부케이지의 조립 후 사용시 상기 하부케이지에 가해지는 작업하중 및/또는 풍하중에 의해 하부케이지와 상부케이지의 결속력이 약해져 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갱폼(10)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지(21)와 하부케이지(22)의 결합을 공고하게 함으로써, 작업하중 또는 풍하중으로부터 흔들림이 방지되어 갱폼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상기 갱폼(1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갱폼(10) 인양시 상기 갱폼(10)이 건물 외벽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건축용 갱폼(10)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는, 볼트(15)와 너트(14)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케이지(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 횡바(21b) 및 하부케이지(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 횡바(22b);와, U-자형 채널 형상으로 양 측면에 날개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양 측면의 날개부(51)에 볼트홀(100)이 다수개 관통 형성된 고정용 브라켓(50);과,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에 상부케이지(21)의 상부 종바(21a)의 하단부 및 하부케이지(22)의 하부 종바(22a)의 상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에 형성된 볼트홀(100)에 볼트(15)와 너트(14)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건축용 갱폼(10)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50)은, U-자형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측면에 날개부(51)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51)에 볼트홀(100)이 다수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두께(t)는 2 ~ 5 mm이며, 너비(D)는 45 ~ 60 mm이며, 길이(L)는 300 ~ 70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의 높이(h)는 65 ~ 75 mm 이며,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볼트홀(100)의 직경은 10 ~ 15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는 갱폼(10)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지(21) 및 하부케이지(22)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작업하중 및/또는 풍하중으로부터 상기 갱폼(10)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부 케이지의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다. 그리고 갱폼의 흔들림이 방지됨으로 인하여 상기 갱폼(10)의 상하 이동시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갱폼(10)이 일측으로 치우침이 없이 좌우 균형이 유지된 상태로 갱폼(10)을 탈형하거나 설치할 수 있어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갱폼(1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안전하게 형성할 수 있어 작업중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 및 작업공구의 추락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갱폼(1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갱폼(1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10)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50)의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10)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10)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험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험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에 대하여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첨부되는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갱폼(1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갱폼(1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10)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50)의 모식도이며, 도 4는 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10)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10)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우선 종래기술에 따른 갱폼(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갱폼케이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갱폼케이지(20)는 상부케이지(21)와 하부케이지(22)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지(21)는 거푸집에 설치되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용으로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도록 거푸집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상부 종바(21a)와, 상기 상부 종바(21a)와 거푸집 사이에 고정되어 작업발판(30)이 안착되는 상부 횡바(21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횡바(21b)는 2단 이상의 작업발판(30)이 안착되도록 상기 상부 종바(21a)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종바(21a)의 일면은 상기 상부 횡바(21b)의 일측 단부와 접하는 접촉점에서 용접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지(22)는 상부케이지(21)의 하단에 구비되고, 하부 종바(22a)와 하부 횡바(22b)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지(22)는 거푸집에 의해 형성된 외부벽체에 설치되어 미장 및 견출 등의 작업용으로서, 그 구조는 상기 상부케이지(21)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갱폼케이지(20) 중 상기 하부케이지(22)는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이 상기 상부케이지(21)의 하부에 체결되어 연결되므로, 작업하중 및/또는 풍하중에 의한 흔들림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갱폼에서 작업자의 작업시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작업 공구 등이 낙하하여 보행자가 다치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갱폼(10)의 측면도로서, 상기 도 2를 통해 상하부 케이지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갱폼케이지(20)는 거푸집(F)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위해 상부 측에 가설되는 상부케이지(21)와, 외부벽체(W)의 미장 및 견출 작업을 위해 하부 측에 가설되는 하부케이지(2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지(21)는 거푸집(F)과 평행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 종바(21a)와, 상기 거푸집(F)과 상부 종바(21a) 사이에서 상기 상부 종바(21a)와 수직으로 이루며 결합되는 상부 횡바(21b)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종바(21a)는 작업자가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고 적절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거푸집(F)과 수직을 이루며 일정거리 이격 배치된다. 상기 상부 횡바(21b)는 상하로 2단 이상의 작업발판(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종바(21a)의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부 종바(21a)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상부 횡바(21b)에는 하부케이지(22)의 하부 횡바(22b)와 볼트(15) 및 너트(14)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종바(22a)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하부 횡바(22b)에는 상부케이지(21)의 상부 횡바(21b)와 볼트(15) 및 너트(14)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횡바(21b)에 형성된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케이지(21)의 하단에는 하부케이지(22)의 상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부 케이지 (21, 22)에 형성된 각 체결공(미도시)에 볼트(15)를 삽입하여 너트(14)를 체결함으로써 상하부 케이지가 상호 조립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통상의 갱폼(10)은 상기와 같이 상부케이지(21)와 하부케이지(22)를 체결공을 통해 삽입된 볼트(15)와 너트(14)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작업하중 및/또는 풍하중에 의한 흔들림이 완전하게 방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갱폼(10)에서 작업자가 작업시 또는 바람이 부는 경우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작업 공구가 낙하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케이지(21) 및 하부케이지(22)를 볼트(15)와 너트(14) 만을 사용하여 체결하게 되므로, 상하부 케이지(21, 22)의 구조가 취약할 수 있고, 하부케이지(22)와 상부케이지(21)의 조립 후 사용시 가해지는 작업하중 및/또는 풍하중에 의해 하부케이지(22)와 상부케이지(21)의 결속력이 약화되어 갱폼(10) 자체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상기 갱폼(1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건축물이 고층일 경우일수록 이러한 현상은 증가되며, 이에 따라 작업상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작업하중 및/또는 풍하중으로부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지(21)와 하부케이지(22)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와 같이 상부케이지(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 횡바(21b)와 하부케이지(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 횡바(22b)를 체결공(미도시)을 통해 볼트(15) 및 너트(14)를 체결한 후, 상기와 같이 일체로 결합된 상부케이지(21)와 하부케이지(22)의 상부 종바(21a)의 하단부와 하부 종바(22a)의 상단부를 추가로 체결하기 위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상기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도 3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50)은 상기 갱폼(10)의 상부케이지(21)의 상부 종바(21a)의 하단부 및 하부케이지(22)의 하부 종바(22a)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은 철판을 절단하여 용접하거나 또는 절곡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단면 형상은 갱폼(10)의 상부케이지(21)의 상부 종바(21a)의 하단부 및 하부케이지(22)의 하부 종바(22a)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도 3의 (a) 및 (b)와 같이 U-자형의 채널(channel)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상부케이지(21)의 상부 종바(21a)의 하단부와 하부케이지(22)의 하부 종바(22a)의 상단부를 수용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와 같이 U-자형의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케이지(21)의 상부 종바(21a)와 하부케이지(22)의 하부 종바(22a)에 걸쳐 삽입된 고정용 브라켓(50)은 이후에 볼트(15) 및 너트(14)를 체결하기 위하여 볼트홀(1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양측면의 날개부(51)에 형성된 볼트홀(10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 4에서는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에 4개의 볼트홀(100)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특별히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 3의 (b)를 살펴보면, 상기 날개부(51)에 형성되어 볼트(15)가 관통되는 볼트홀(100)은 바닥면(53)으로부터 높이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도 3의 (b)에서 h'은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바닥면(53)으로부터 볼트홀(100)의 중앙부까지의 이격거리로서 상기 날개부(51)에서 볼트홀(100)의 형성 높이를 나타낸다.
상기 볼트홀(100)의 형성 높이(h')와 날개부(51)의 높이(h)는 아래 (식1)을 만족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상기 상부 종바(21a)와 하부 종바(22a)의 고정 및 결합에 바람직하다. 즉, 날개부(51)의 수직방향으로 말단부에 볼트홀(100)이 형성되는 것이 이후에 체결되는 볼트(15) 및 너트(14)에 의한 상기 상부 종바(21a)와 하부 종바(22a)에 가해지는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하게 상부 종바(21a)와 하부 종바(22a)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18069607326-utm00001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날개부(51)의 높이(h)는 65 ~ 75 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부(51)의 높이(h)가 75 mm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볼트홀(100)의 형성 높이(h')는 50 mm 이상의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볼트홀(100)의 직경(Φ)은 10 ~ 15 m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볼트홀(100)의 직경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에 형성되는 볼트홀(100)의 직경은 가장 말단부에 형성되는 볼트홀(100)의 직경이 가장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을 상하부 케이지(21, 22)에 체결시 날개부(51)의 가장 상부에 형성되는 볼트홀(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가장 크게 되므로, 상기 가장 상부에 형성되는 볼트홀(100)에는 직경이 큰 볼트(15)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홀(100)의 직경을 가장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은 상하가 뒤바뀌면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의 양측 말단부에 형성되는 볼트홀(100)의 직경을 가장 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의 (c)는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에 형성된 볼트홀(100)의 수평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의 (c)에서 a1은 상기 날개부(51)의 양측면으로부터 첫번째 볼트홀(100)까지의 이격거리이며, a2는 상기 날개부(51) 양측의 첫번째 볼트홀(100)로부터 두번째 볼트홀(100)까지의 이격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a3는 상기 날개부(51) 양측의 두번째 볼트홀(100)간의 이격거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1, a2 및 a3는 아래의 식(2), 식(3) 및 식 (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8069607326-utm00002
Figure 112018069607326-utm00003
Figure 112018069607326-utm00004
상기 (식 2), (식 3) 및 (식 4)에서 L은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길이(L)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날개부의 볼트홀(100)의 위치에서 상기고정용 브라켓(50)의 상부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의 체결효과가 가장 극대화된다.
또한 상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가 고정용 브라켓(50)의 두께(t)는 2 ~ 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길이(L)는 300 ~ 70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너비(D)는 45 ~ 60 mm인 것인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갱폼케이지(20)의 상부 및 하부케이지(21, 22)는 KSD3568에 의거하여 40 mm x 40 mm x 2.0t ~ 2.3t 의 규격을 갖는 각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고정용 브라켓(50)의 높이(h) 및 너비(D)를 갖는 경우에 상부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에 체결이 가장 용이하며 가장 효율적으로 상기 상부케이지(21)와 하부케이지(22)의 고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의 내측면의 표면에는 프레스 가공방식으로 엠보싱 형태의 압입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날개부(51)의 내측면의 표면을 따라 엠보싱 형태의 압입돌출부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을 상부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에 체결 한 후에, 상기 고정용 브라켓(50)과 상기 상부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와의 표면의 마찰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용 브라켓(50)과 상기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와의 표면의 마찰력을 증진하게 되면 작업하중 및/또는 풍하중의 작용시 상기 고정용 브라켓(50)과 상부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용 브라켓(50)과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 사이의 미끄러짐 방지효과를 고려하면 상기 엠보싱 형태의 압입돌출부의 돌출높이는 0.5 ~ 2 mm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고정용 브라켓(50)의 갱폼(10)의 상부케이지(21) 및 하부케이지(22)에 적용하는 경우에 작업하중 및/또는 풍하중으로부터 견고하게 상부 및 하부 케이지(21, 22)의 고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고층작업을 하는 갱폼(10)의 경우에도 작업하중 및 풍하중으로부터 상기 갱폼(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안전하게 형성할 수 있어 작업중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 및 작업공구의 추락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라켓(50)을 이용한 상부케이지(21)와 하부케이지(22)의 체결구조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4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케이지(21, 22)는 우선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한 후, 상기 상부케이지(21)의 상부 횡바(21b)와 하부케이지(22)의 하부 횡바(22b)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볼트(15)와 너트(14)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케이지(21, 22)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 횡바(21b) 및 하부 횡바(22b)를 볼트(15)와 너트(14)의 체결에 의해 결합된 상부 및 하부케이지(21, 22)는 이후에 상기와 같이 체결된 상부케이지(21)의 상부 종바(21a)의 하단부와 하부 케이지(22)의 하부 종바(22a)의 상단부에 걸쳐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은 양측면의 날개부(51)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상부케이지(21)의 상부 종바(21a)의 하단부와 하부 케이지(22)의 하부 종바(22a)의 상단부를 수용하면서 삽입되게 된다.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이 상부케이지(21)의 상부 종바(21a)의 하단부와 하부 케이지(22)의 하부 종바(22a)의 상단부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은 상기 상부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의 수직면(55) 밖으로 돌출되게 된다. 즉,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의 높이(h)는 65 ~ 75 mm가 바람직하고, 상기 상부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는 40 mm X 40 mm의 크기를 갖는 각파이프이므로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은 상기 상부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의 수직면(55) 밖으로 돌출되게 된다.
또한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에 형성되는 볼트홀(100)의 바닥면(53)으로부터의 형성 높이(h')는 상기 (식 1)을 만족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볼트홀(100) 또한 상기 상부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의 수직면(55) 밖으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 종바(21a) 및 하부 종바(22a)의 수직면(55) 밖으로 돌출된 날개부(51)의 일측면에 형성된 볼트홀(100)로부터 상기 날개부(51)의 반대측면의 형성된 볼트홀(100)까지 볼트(15)를 관통시킨 후 너트(14)를 체결함으로써 본 고안의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상하부 케이지의 결합구조는 완성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고정용 브라켓(50)이 상부 종바(21a)의 하단부 및 하부 종바(22a)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삽입된 후,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에 형성된 볼트홀(100)에 볼트(15)를 관통시킨 후 너트(14)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하부 케이지(21, 22)의 체결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본 고안의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는 갱폼케이지(20)를 구성하는 상부케이지(21) 및 하부케이지(22)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작업하중 및/또는 풍하중으로부터 갱폼(10)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지(21) 및 하부케이지(22)가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갱폼(10)의 상하 이동시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추락 및 작업공구의 추락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갱폼
20 : 갱폼케이지
21a : 상부 종바
21b : 상부 횡바
22a : 하부 종바
22b : 하부 횡바
50 : 고정용 브라켓
51 : 날개부

Claims (7)

  1. 삭제
  2. 수직으로 위치하는 상부케이지(21)의 상부 종바(21a)와 하부케이지(22)의 하부 종바(22a)를 결합하기 위한 건축용 갱폼(10)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50)으로서,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은 U-자형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측면에 날개부(51)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51)에 볼트홀(100)이 다수개 관통 형성되되,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두께(t)는 2 ~ 5 mm이고, 너비(D)는 45 ~ 60 mm이고, 길이(L)는 300 ~ 700 mm이며,
    상기 날개부(51)의 높이(h)는 65 ~ 75 mm이며, 상기 날개부(51)에 형성되어 볼트(15)가 관통되는 볼트홀(100)의 직경은 10 ~ 15 mm이되,
    상기 볼트홀(100)의 형성 높이(h')와 날개부(51)의 높이(h)는 아래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50).

    Figure 112019116719638-utm00010

  3. 수직으로 위치하는 상부케이지(21)와 하부케이지(22)를 결합하기 위한 건축용 갱폼(10)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로서,
    볼트(15)와 너트(14)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케이지(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 횡바(21b) 및 하부케이지(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 횡바(22b);와,
    청구항 2의 고정용 브라켓(50);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의 날개부(51)에 상부케이지(21)의 상부 종바(21a)의 하단부 및 하부케이지(22)의 하부 종바(22a)의 상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50)에 형성된 볼트홀(100)에 볼트(15)와 너트(14)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결합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80003244U 2018-07-16 2018-07-16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 KR200491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44U KR200491063Y1 (ko) 2018-07-16 2018-07-16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44U KR200491063Y1 (ko) 2018-07-16 2018-07-16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85U KR20200000185U (ko) 2020-01-28
KR200491063Y1 true KR200491063Y1 (ko) 2020-02-13

Family

ID=6922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244U KR200491063Y1 (ko) 2018-07-16 2018-07-16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6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84Y1 (ko) * 2006-07-19 2006-10-11 주식회사 미래정공 건축용 상하 작업대의 연결구 체결구조
KR101547519B1 (ko) 2015-01-29 2015-08-31 이옥순 갱폼의 하부케이지 고정 및 해체를 위한 안전장치
KR101680968B1 (ko) 2015-05-06 2016-12-12 (주)태건정공 갱폼 하부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787U (ko) * 2008-02-27 2009-09-01 (주)덕영산업 갱폼설치용 케이지의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84Y1 (ko) * 2006-07-19 2006-10-11 주식회사 미래정공 건축용 상하 작업대의 연결구 체결구조
KR101547519B1 (ko) 2015-01-29 2015-08-31 이옥순 갱폼의 하부케이지 고정 및 해체를 위한 안전장치
KR101680968B1 (ko) 2015-05-06 2016-12-12 (주)태건정공 갱폼 하부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85U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907B1 (ko)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1310595B1 (ko) 갱폼
KR20150078249A (ko)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200483715Y1 (ko) 안전 비계
JP7250712B2 (ja) バルコニー装置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200491063Y1 (ko) 건축용 갱폼의 상하부 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및 결합구조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JP564533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KR101714159B1 (ko) 전도방지장치가 구비된 휨모멘트 전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JP5649854B2 (ja) 建築作業用安全ネットの吊具および安全構造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101836936B1 (ko)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101113274B1 (ko) 갱폼 어셈블리
JP6320242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JP7043331B2 (ja) 梁とその施工方法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100607681B1 (ko)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JP3798591B2 (ja) 吊り足場構築方法及び吊り足場用大引材
KR20090034709A (ko) 추락방지대 설치용 브래킷
JP5968391B2 (ja) 仮設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