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420A - 공작 기계의 제어반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의 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420A
KR20200079420A KR1020190163341A KR20190163341A KR20200079420A KR 20200079420 A KR20200079420 A KR 20200079420A KR 1020190163341 A KR1020190163341 A KR 1020190163341A KR 20190163341 A KR20190163341 A KR 20190163341A KR 20200079420 A KR20200079420 A KR 20200079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member
groove
air
fan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시게 다지마
가쓰히로 시노미야
Original Assignee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7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 B23Q11/141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using a closed fluid circuit for cool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Paper (AREA)

Abstract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소형화시킨다. 공작 기계(1)의 제어반(2)은, 케이싱(10), 덕트 부재(100), 및 팬(200)을 구비한다. 케이싱(10)은, 개폐 가능한 도어(14)를 가지고, 제어 기기(30)가 배치된 밀폐형의 내부 공간(40)을 도어(14)가 폐쇄되어 있을 때 폐색된다. 덕트 부재(100)는, 폐색 단부(121)가 폐색되고 개구 단부(122)가 내부 공간(40)을 향해 개구된 홈120, 및 개구 단부(122)보다 폐색 단부(121)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홈(120)과 내부 공간(40)을 연결하는 통풍구(130)를 가지고, 케이싱(10)의 내벽(20)에 대하여 홈(120)을 향해 고정되어 있다. 팬(200)은, 통풍구(130)에 배치되어 있다. 내벽(20)과 덕트 부재(100)로 에워싸인 홈(120)에 대하여 팬(200)의 구동에 의해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이 통해진다.

Description

공작 기계의 제어반{CONTROL PANEL UNIT FOR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 기계(machine tool)를 위한 밀폐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어반(制御盤; control panel unit)에 관한 것이다.
선반 등의 공작 기계의 제어반은,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제어 기기(機器)의 발열에 의한 오버히트를 방지하는 냉각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공작 기계로부터는, 절삭유에 유래(由來)하는 오일 미스트(oil mist) 등이 발생한다. 제어반의 외부에 존재하는 차가워진 공기를 내부 공간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오일 미스트를 포착하는 필터에 외기(外氣)를 통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오일 미스트가 필터에 부착되면 냉각 효율이 저하되므로, 자주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냉각 수단으로서 열교환기나 히트 싱크(heat sink)를 사용하는 경우, 열교환기나 히트 싱크가 고가인데 더하여, 제어반의 케이싱(casing)의 외부에 열교환기나 히트 싱크가 돌출되어 버려, 제어반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팬(fan)을 이용하면서 제어반의 내부 공간에 외기를 도입하지 않는 냉각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어반은, 내부에 제어 기기가 실장(實裝)된 박스형의 제어반 본체, 상기 제어반 본체의 천정판과 협동하여 제어반 본체의 위쪽 전체에 박스형의 냉각용 공간을 형성하는 냉각 공간 부재, 및 제어반 본체의 측판과 협동하여 수직 풍로(風路)를 형성하는 측부 풍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반 본체의 천정판에는, 순환용 팬을 구비한 배출구가 개구되어 있다. 수직 풍로는, 냉각용 공간과 흡입구를 연통시키고 있다. 제어반 본체 내의 공기는, 천정판의 배출구로부터 제어반 본체 위쪽의 냉각용 공간으로 들어가고, 수직 풍로를 거쳐 흡입구로부터 다시 제어반 본체 내로 돌아온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3-17427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어반은, 제어반 본체의 위쪽 전체에 냉각용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어반이 연직(沿直) 방향에 있어서 커져 버린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는, 각종 공작 기계의 제어반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소형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작 기계의 제어반은,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가지고, 제어 기기가 배치된 밀폐형의 내부 공간을 상기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 폐색(閉塞)하는 케이싱과,
일단(一端)이 폐색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개구된 홈, 및 상기 타단보다 상기 일단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홈과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통풍구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의 내벽에 대하여 상기 홈을 향해 고정된 덕트(duct) 부재와,
상기 통풍구에 배치된 팬을 포함하고,
상기 내벽과 상기 덕트 부재에 의해 에워싸인 상기 홈에 대하여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통하게 하는, 태양(態樣)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공작 기계의 제어반의 예를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팬이 설치된 덕트 부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송출팬을 지나는 위치에 있어서 제어반의 수평 단면(斷面)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제어반의 방열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제어반의 다른 예를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어반의 다른 예를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물론,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특징의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로 되는 것은 아니다.
(1)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의 개요:
먼저, 도 1∼도 6에 나타내는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의 개요를 설명한다. 그리고, 본원의 도면은 모식적으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각각의 방향의 확대율은 상이한 경우가 있고, 각 도면은 정합(整合)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물론, 본 기술의 각 요소(each component)는, 부호로 나타내는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태양 1]
본 기술의 일 태양에 관한 공작 기계(1)의 제어반(2)은, 케이싱(10), 덕트 부재(100), 및 팬(2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개폐 가능한 도어(14)를 가지고, 제어 기기(30)가 배치된 밀폐형의 내부 공간(40)을 상기 도어(14)가 폐쇄되어 있을 때 폐색된다. 상기 덕트 부재(100)는, 일단[예를 들면, 폐색 단부(closed end)](121)가 폐색되고 타단[예를 들면, 개구 단부(open end)](122)가 상기 내부 공간(40)을 향해 개구된 홈(120), 및 상기 타단(122)보다 상기 일단(121)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홈(120)과 상기 내부 공간(40)을 연결하는 통풍구(130)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10)의 내벽(20)에 대하여 상기 홈(120)을 향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팬(200)은, 상기 통풍구(130)에 배치되어 있다. 본 제어반(2)은, 상기 내벽(20)과 상기 덕트 부재(100)로 에워싸인 상기 홈(120)에 대하여 상기 팬(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을 통하게 한다.
상기 태양 1에서는, 덕트 부재(100)의 홈(120)의 개구 단부(122)가 내부 공간(40)을 향해 개구되어 있으므로, 홈(120)의 방향 AX1에 있어서 덕트 부재(100)는 케이싱(10)의 내벽(20)보다 짧게 되어 있다. 제어 기기(30)가 배치된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덕트 부재(100)의 통풍구(130)에 배치된 팬(200)의 구동에 의해, 케이싱(10)의 내벽(20)과 덕트 부재(100)로 에워싸인 홈(120)을 지난다. 예를 들면, 팬(200)이 통풍구(130)를 통해 공기 Ar을 덕트 부재(100)의 홈(120)으로부터 내부 공간(40)으로 송출하는 경우,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덕트 부재(100)의 홈(120)에 대하여 케이싱(10)의 내벽(20)을 따라 개구 단부(122)로부터 들어가 통풍구(130)를 향해 흐르고, 통풍구(130)로부터 내부 공간(40)으로 송출된다. 팬(200)이 통풍구(130)를 통해 공기 Ar을 내부 공간(40)으로부터 덕트 부재(100)의 홈(120)에 흡입하는 경우,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덕트 부재(100)의 홈(120)에 대하여 통풍구(130)로부터 들어가 개구 단부(122)를 향해 흐르고, 상기 개구 단부(122)로부터 케이싱(10)의 내벽(20)을 따라 내부 공간(40)으로 송출된다.
케이싱(10)의 외벽은 비교적 낮은 온도의 외기에 접하고 있으므로, 덕트 부재(100)의 홈(120)을 지나는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케이싱(1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또한, 공기 Ar이 홈(120)을 지나는 것에 의해 케이싱(10)의 내벽(20)의 가까이에 있어서 공기 Ar의 유속(流速)이 상승되므로, 열전달 계수(係數)가 높아져, 홈(120) 내의 공기 Ar로부터 외기로의 방열이 촉진된다. 이로써, 고가의 열교환기나 히트 싱크를 이용하지 않아도, 제어반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홈(120)의 방향 AX1에 있어서 덕트 부재(100)는 케이싱(10)의 내벽(20)보다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태양은, 제어반(2)의 위쪽 전체에 냉각용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제어반(2)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어,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밀폐란, 분진(粉塵)이나 오일 미스트가 빠져나가는 간극이 없도록 폐쇄하는 것을 의미하고, 내부 공간과 외부와의 사이에서 공기의 유통(流通)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기술에서의 밀폐형의 내부 공간은, 도어가 개방되면 외부로 개방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밀폐형의 내부 공간이란,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 외부로부터 분진이나 오일 미스트가 침입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하고, 도어가 닫히면 외기로부터 완전히 차단되는 공간에 한정되지 않는다.
홈이 내부 공간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것은, 케이싱의 내벽과 홈의 개구 단부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의 일부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통풍구가 홈의 타단보다 홈의 일단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은, 홈의 타단으로부터 통풍구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홈의 일단으로부터 통풍구까지의 최단 거리 쪽이 짧은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부언(附言)은, 이하의 태양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태양 2]
상기 내벽(20)은, 바닥면부(21), 천정부(ceiling)(22), 및 상기 바닥면부(21)로부터 상기 천정부(22)에 연결되는 입벽부(立壁部; upright wall)(23)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덕트 부재(100)는, 상기 입벽부(23)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21)보다 상기 천정부(22)에 가까운 위치와, 상기 천정부(22)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어도 된다. 케이싱(10)의 내부 공간(40)에 있어서 공기 Ar의 온도는 하부보다 상부 쪽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덕트 부재(100)가 전술한 위치에 고정되면, 내부 공간(40)에 있어서 비교적 높은 온도로 되기 쉬운 상부의 공기 Ar이 홈(120)을 지난다. 따라서, 본 태양은, 제어반(2)으로부터 더욱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어,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더욱 소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덕트 부재가 바닥면부보다 천정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은, 바닥면부로부터 덕트 부재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천정부로부터 덕트 부재까지의 최단 거리 쪽이 짧은 것으로 한다. 이 부언은, 이하의 태양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태양 3]
상기 팬(200)은, 상기 통풍구(130)를 통해 공기 Ar을 상기 홈(120)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40)으로 송출하는 송출팬(201), 및 상기 통풍구(130)를 통해 공기 Ar을 상기 내부 공간(40)으로부터 상기 홈(120)으로 흡입하는 흡입팬(202)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덕트 부재(100)는, 상기 송출팬(201)이 설치된 송풍 덕트 부재(101), 및 상기 흡입팬(202)이 설치된 흡기 덕트 부재(102)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흡기 덕트 부재(102)는, 상기 송출팬(201)과 상기 흡입팬(202)이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내벽(20)에 고정되어도 된다.
상기 태양 3에서는,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송출팬(201)에 의해 송풍 덕트 부재(101)의 홈(120)에 대하여 개구 단부(122)로부터 들어가 통풍구(130)를 향해 흘러 통풍구(130)로부터 내부 공간(40)으로 송출되고, 송출팬(201)에 대향하는 흡입팬(202) 측으로 흐른다. 또한, 내부 공간(40)에 있어서 흡입팬(202) 측으로 흐르는 공기 Ar은, 흡입팬(202)에 의해 흡기 덕트 부재(102)의 홈(120)에 대하여 통풍구(130)로부터 들어가 개구 단부(122)를 향해 흘러 상기 개구 단부(122)로부터 내부 공간(40)으로 돌아온다. 이로써, 케이싱(10) 내에 공기 Ar의 넓은 순환류 C1가 생기고,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보다 넓은 범위에서 케이싱(1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따라서, 본 태양은, 제어반(2)으로부터 더욱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어,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더욱 소형화시킬 수 있다.
[태양 4]
상기 덕트 부재(100)는, 상기 내벽(20)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해도 된다. 이 태양은, 제어반(2)에 따라 덕트 부재(1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제어반(2)에 따른 효율적인 방열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태양은,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더욱 소형화시킬 수 있다.
[태양 5]
상기 제어 기기(30)는, 구동 대상을 구동시키는 앰프(32)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팬(200)의 상단(上端)(200a)은, 상기 앰프(amplifier)(32)의 상단(32a)보다 위에 있어도 된다. 앰프는 많은 열을 내므로, 아래쪽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위쪽으로부터 배출하는 앰프가 많다. 예를 들면, 팬(200)이 흡입팬(202)인 경우, 앰프(32)로부터 위쪽으로 배출된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가 덕트 부재(100)의 홈(120)에 흡입되고, 상기 홈(120)을 지나는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의 열에너지가 케이싱(1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팬(200)이 송출팬(201)인 경우, 덕트 부재(100)의 홈(120)으로부터 비교적 낮은 온도의 공기가 앰프(32)의 위쪽으로 송출되고, 앰프(32)의 위쪽으로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가 체류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태양은, 제어반(2)으로부터 더욱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어,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더욱 소형화시킬 수 있다.
(2) 제어반의 구성의 구체예:
도 1은, 예로서 공작 기계(1)의 제어반(2)을 도어(14)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화한 일례를 나타내고 있는데 지나지 않고, 본 기술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공작 기계(1)는,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부(3), 및 이 가공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2)을 가지고 있다. 공작 기계(1)가 NC(수치 제어) 선반인 경우, 가공부(3)는, 공작물을 파지(把持)하는 주축(主軸; main spindle)을 설치한 주축 테이블, 주축에 파지된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구를 유지한 공구대(tool post), 주축 테이블과 공구대를 상대(相對) 이동시키는 구동부, 주축에 파지된 공작물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 공급 장치 등을 구비한다. 제어반(2)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반도체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회로를 가지는 프린트 기판(31), 가공부(3)의 모터 등의 구동 대상을 구동시키기 위한 앰프(32) 등의 제어 기기(30)를 가지고, 공작물의 파지, 주축의 회전, 주축 테이블이나 공구대의 이동, 절삭유의 공급, 등을 제어한다. 반도체 메모리에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이 포함된다. 제어 기기(30)는, 금속제의 케이싱(10)의 내부 공간(40)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제어 기기(30)로부터는, 열이 발생한다. 특히, 앰프(32)는, 구동 대상을 구동하므로, 많은 열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앰프(32)에는, 아래쪽으로부터 공기 Ar을 흡입하여 위쪽으로부터 배출하는 앰프를 사용하고 있다. 앰프(32)는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를 위쪽으로 배출하므로, 앰프(32)의 상단(32a)과 내벽(20)의 천정부(22)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기기(30)의 오버히트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반(2)은, 팬(200)이 설치된 덕트 부재(100)를 냉각 수단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이하, 팬(200)이 설치된 덕트 부재(100)를 팬이 부착된 덕트 부재(100)라고 한다.
도 1에 나타낸 케이싱(10)은, 제어 기기(30) 아래에 있는 직사각형의 바닥판(11), 제어 기기(30) 상에 있는 직사각형의 천정판(12), 제어 기기(30)의 앞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직사각형의 도어(14), 제어 기기(30)의 뒤에 있는 직사각형의 배면판(15), 제어 기기(30)의 좌측에 있는 직사각형의 좌측판(16), 및 제어 기기(30)의 우측에 있는 직사각형의 우측판(17)을 가지고 있다. 배면판(15)과 측판(16, 17)은, 바닥판(11)과 천정판(12)과의 사이에 있고, 천정판(12)을 지지하고 있다. 도어(14)는, 경첩을 통해 좌측판(16)에 장착되고, 경첩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측으로 회전하여 개방하는 동작, 및 후방측으로 회전하여 폐쇄하는 동작이 가능하다. 도어(14)가 개방되어 있을 때는 내부 공간(40)의 전면(前面)이 개구되고, 도어(14)가 폐쇄되어 있을 때는 내부 공간(40)의 전면이 폐쇄되어 있다. 케이싱(10)은, 바닥판(11), 천정판(12), 도어(14), 배면판(15), 및 측판(16, 17)에 의해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삭유 공급 장치를 구비한 가공부(3)로부터는, 절삭유로부터 오일 미스트가 발생한다. 제어반(2)의 외부에 존재하는 차가워진 공기를 내부 공간(40)에 도입(導入)하면 내부 공간(40)을 냉각시킬 수 있지만, 분진과 함께 오일 미스트를 포착하는 필터가 필요해진다. 오일 미스트가 필터에 부착되면 냉각 효율이 저하되므로, 자주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어반의 냉각 수단으로서 열교환기나 히트 싱크를 사용하는 경우, 열교환기나 히트 싱크가 고가일뿐아니라, 제어반의 케이싱의 외부에 열교환기나 히트 싱크가 돌출되어, 제어반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본 구체예의 제어반(2)은, 도어(14)가 닫히면 분진이나 오일 미스트가 빠져나가는 간극이 없도록 한 밀폐형의 내부 공간(4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론, 도어(14)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내부 공간(40)이 외기에 개방되고, 도어(14)가 닫히면 분진이나 오일 미스트가 빠져나가는 간극이 없도록 내부 공간(40)이 폐색된다.
그리고, 케이싱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케이싱(10)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 기기(30)의 앞에는, 도어(14) 대신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가지는 전판(前板)이 배치되어도 된다.
밀폐형의 내부 공간(40)을 냉각시키기 위해, 케이싱(10)의 내벽(20)에는, 팬이 부착된 덕트 부재(100)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내벽(20) 중, 바닥판(11)의 내벽을 바닥면부(21)라고 하고, 천정판(12)의 내벽을 천정부(22)라고 하고, 도어(14)와 배면판(15)과 측판(16, 17)의 내벽을 입벽부(23)라고 하기로 한다. 입벽부(23)는, 바닥면부(21)로부터 천정부(22)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덕트 부재(100)는, 좌측판(16)에 있어서 입벽부(23)에 고정된 송풍 덕트 부재(101), 및 우측판(17)에 있어서 입벽부(23)에 고정된 흡기 덕트 부재(102)를 포함하고 있다. 송풍 덕트 부재(101)에는 송출팬(201)이 설치되고, 흡기 덕트 부재(102)에는 흡입팬(202)이 설치되어 있다. 각 덕트 부재(101, 102)는, 입벽부(23)에 있어서 바닥면부(21)보다 천정부(22)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도 2는, 팬이 부착된 덕트 부재(100)의 외관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송풍 덕트 부재(101)와 흡기 덕트 부재(102)의 형상은 같으며, 송출팬(201)과 흡입팬(202)의 형상은 같다. 따라서, 도 2에서는, 양 덕트 부재(101, 102)를 총칭하여 덕트 부재(100)로 나타내고, 양 팬(201, 202)을 총칭하여 팬(200)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송출팬(201)의 위치에 있어서 제어반(2)의 수평 단면을 모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덕트 부재(100)는,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이 흐르는 홈(120), 및 팬(200)이 배치되는 통풍구(130)를 가지고 있다.
덕트 부재(100)의 홈(120)은, 케이싱(10)의 내벽(20)에 대향하는 대향부(111), 및 이 대향부(111)를 협지하는 위치에 있는 측부(112, 11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덕트 부재(100)는, 또한 홈(120)의 일단에 있어서 대향부(111) 및 측부(112, 113)에 연결되어 있는 폐색부(114), 및 복수의 장착부(115)를 가지고 있다. 홈(120)의 일단은 폐색부(114)에 의해 폐색되고, 홈(120)의 타단은 내부 공간(40)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홈(120)의 폐색한 일단을 폐색 단부(121)라고 하고, 홈(120)의 개구된 타단을 개구 단부(122)라고 하기로 한다. 홈(120)이 내부 공간(40)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것은, 개구 단부(122)가 대향하는 내벽(20),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닥면부(2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부 공간(40)의 일부가 개구 단부(122)와 내벽(20)과의 사이에 있다. 도 2에 나타낸 4개소의 장착부(115)는, 폐색 단부(121) 근방에 있는 2개소의 장착부, 및 개구 단부(122) 근방에 있는 2개소의 장착부를 포함하고 있다. 폐색 단부(121) 근방의 2개소의 장착부(115)는, 측부(112)로부터 도어(14) 또는 배면판(15)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착부, 및 측부(113)로부터 홈(120)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장착부를 포함하고 있다. 개구 단부(122) 근방의 2개소의 장착부(115)는, 측부(112)로부터 홈(120) 측으로 절곡되어 바닥판(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착부, 및 측부(113)로부터 홈(120) 측으로 절곡되어 바닥판(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장착부를 포함하고 있다.
덕트 부재(100)의 통풍구(130)는, 홈(120)의 폐색 단부(121)의 근방에 있어서 대향부(111)에 형성되어 있다. 즉, 통풍구(130)는, 개구 단부(122)보다 폐색 단부(121)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통풍구(130)는, 홈(120)과 내부 공간(40)을 연결하고 있다.
덕트 부재(100)는, 케이싱(10)의 내벽(20)에 대하여 홈(120)을 향해 고정되어 있다. 내벽(20)과 덕트 부재(100)로 에워싸인 홈(120)은,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이 지나는 길로 된다. 내벽(20)에 대한 덕트 부재(100)의 고정에는, 예를 들면, 나사(SC1)(볼트를 포함함)를 사용할 수 있다.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각각의 장착부(115)와 케이싱(10)에 볼트를 통하게 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두고, 각각의 장착부(115)의 관통공을 케이싱(10)의 관통공에 맞추어 볼트를 통해 너트에 나사결합시키면, 내벽(20)에 대하여 덕트 부재(100)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장착부(115)에 나사(SC1)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두면, 예를 들면, 케이싱(10)의 각각의 관통공에 통한 나사(SC1)를 각각의 장착부(115)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내벽(20)에 대하여 덕트 부재(100)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물론, 나사(SC1)를 장착하는 방향은, 도 2에 나타낸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도 2에 나타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이라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덕트 부재(100)는, 폐색부(114)가 천정부(2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입벽부(23)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 부재(100)는, 금속제라도 되고, 수지제 등이라도 된다. 덕트 부재(100)가 금속제인 경우, 내벽(20)에 대하여 각각의 장착부(115)를 용접함으로써 덕트 부재(100)를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내벽(20)에 대한 덕트 부재(100)의 고정은, 나사나 용접에 한정되지 않고, 고내열(高耐熱)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 고정 등이라도 된다.
덕트 부재(100)에는, 통풍구(130)를 덮도록 팬(200)이 장착되어 있다. 팬(200)은, 통전되는 것에 의해 구동한다. 팬(200)이 구동되면, 내벽(20)과 덕트 부재(100)로 에워싸인 홈(120)에 대하여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이 홈(120)의 방향 AX1을 따라 통과한다. 팬(200)의 통풍의 방향 AX2는, 홈(120)의 방향 AX1과 직교하고 있다. 이로써, 케이싱(10) 내의 코너 등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에 팬이 부착된 덕트 부재(100)를 배치해도 공기 Ar이 원활하게 흐른다. 그리고, 팬(200)의 통풍의 방향 AX2는, 홈(120)의 방향 AX1과 교차하고 있으면, 홈(120)의 방향 AX1과 직교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팬(200)이 도 1, 도 3에 나타낸 송출팬(201)인 경우, 송출팬(201)에 의해 덕트 부재(100)는 통풍구(130)를 통해 공기 Ar이 홈(120)으로부터 케이싱(10)의 내부 공간(40)으로 송출되는 송풍 덕트 부재(101)로 된다. 이 경우,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송풍 덕트 부재(101)의 홈(120)에 대하여 개구 단부(122)로부터 들어가 홈(120)의 방향 AX1을 따라 통풍구(130)에 흐르고, 통풍구(130)로부터 송출팬(201)의 통풍의 방향 AX2로 바뀌어 내부 공간(40)으로 송출된다.
팬(200)이 도 1에 나타낸 흡입팬(202)인 경우, 덕트 부재(100)는 흡입팬(202)에 의해 통풍구(130)를 통해 공기 Ar을 케이싱(10)의 내부 공간(40)으로부터 홈(120)으로 흡입하는 흡기 덕트 부재(102)로 된다. 이 경우,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흡기 덕트 부재(102)의 홈(120)에 대하여 통풍구(130)로부터 통풍의 방향 AX2로 유입되어 홈(120)의 방향 AX1으로 바뀌어 개구 단부(122)에 흐르고, 개구 단부(122)로부터 홈(120)의 방향 AX1으로 송출되어 내부 공간(40)으로 돌아온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출팬(201)과 흡입팬(202)이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송출팬(201)으로부터 공기 Ar이 흡입팬(202) 측으로 송출된다.
케이싱(10)의 외벽은, 비교적 낮은 온도의 외기에 접하고 있다. 덕트 부재(100)가 송풍 덕트 부재(101)라도 흡기 덕트 부재(102)라도, 홈(120)을 지나는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 Ar의 열에너지는, 케이싱(1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또한, 공기 Ar이 홈(120)을 지나는 것에 의해 케이싱(10)의 내벽(20)의 가까이에 있어서 공기 Ar의 유속이 상승되므로, 열전달 계수가 높아져, 홈(120) 내의 공기 Ar로부터 외기로의 방열이 촉진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200)의 상단(200a)이 앰프(32)의 상단(32a)보다 위에 있으면[즉, 팬(200)의 상단(200a)이 앰프(32)의 상단(32a)보다 천정판(22)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앰프(32)로부터 위쪽으로 배출되는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가 체류하는 것이 억제된다. 팬(200)이 흡입팬(202)인 경우, 앰프(32)로부터 위쪽으로 배출된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가 덕트 부재(100)의 홈(120)에 흡입되고, 상기 홈(120)을 지나는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의 열에너지가 케이싱(1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따라서, 앰프(32)의 상단(32a)보다 위에 상단(200a)이 있는 팬(200)은, 흡입팬(202)이 바람직하다. 다만, 팬(200)이 송출팬(201)이라도, 덕트 부재(100)의 홈(120)으로부터 비교적 낮은 온도의 공기가 앰프(32)의 위쪽으로 송출되고, 앰프(32)의 위쪽으로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가 체류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앰프(32)가 배면판(15)에 고정되는 경우, 측판(16, 17)에 고정되는 덕트 부재(100)의 팬(200)의 위치는, 도어(14)보다 배면판(15)에 가까운 위치가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 팬(200)이 있으면, 앰프(32)로부터 위쪽으로 배출되는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가 체류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방열을 촉진시키기 위해, 홈(120)의 깊이 L1을 홈(120)의 폭 L2보다 얕게 하여 홈(120)의 공기 Ar을 내벽(20)에 가까이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홈(120)에 있어서, 깊이 L1은 대향부(111)와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홈(120)의 길이에 상당하고, 폭 L2는 측부(112, 113) 사이의 거리에 상당한다. 제어반(2)의 발열 상태에 따라 L1<L2/2, 또한 L1<L2/3 등으로 되도록 덕트 부재(100)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홈(120)의 깊이 L1은 팬(200)의 직경 D보다 얕은 것이 바람직하고, 홈(120)의 폭 L2는 팬(200)의 직경 D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120)의 공기 Ar의 흐름을 내벽(20)의 가까이에 유지하기 위해, 홈(120)의 길이 L3은 홈(120)의 폭 L2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홈(120)에 있어서, 길이 L3은 향해 AX1에서의 대향부(111)의 길이에 상당한다. 제어반(2)의 발열 상태에 따라 L3>2×L2, 또한 L3>3×L2 등으로 되도록 덕트 부재(100)를 형성해도 된다. 홈(120)의 길이 L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120)의 방향에서의 입벽부(23)의 길이보다 짧다.
(3) 전술한 구체예의 작용 및 효과:
다음에, 도 1∼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체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4는, 제어반(2)의 방열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송풍 덕트 부재(101)의 근방에 있어서, 케이싱(10)의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송출팬(201)에 의해 송풍 덕트 부재(101)의 홈(120)에 대하여 개구 단부(122)로부터 들어간다. 개구 단부(122)로부터 들어간 공기 Ar은, 홈(120)의 방향 AX1을 따라 통풍구(130)로 흐른다. 케이싱(10)의 외벽은 내부 공간(40)보다 낮은 온도의 외기에 접하고 있으므로, 도 4에 방열의 방향 H1을 나타낸 바와 같이, 홈(120)을 지나는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케이싱(1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여기서,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상부만큼 온도가 상승하기 쉽기 때문에, 송풍 덕트 부재(101)가 입벽부(23)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Ar이 송풍 덕트 부재(101)의 홈(120)을 통해 홈(120) 내의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외기로 방출된다. 또한, 홈(120)을 지나는 공기 Ar의 흐름이 빠르기 때문에, 홈(120) 내의 공기 Ar로부터 외기로 신속하게 방열된다.
통풍구(130)에 흐른 공기 Ar은, 통풍구(130)로부터 송출팬(201)의 통풍의 방향 AX2로 바뀌어 내부 공간(40)으로 돌아온다. 내부 공간(40)으로 돌아온 공기 Ar은, 천정부(22)를 따라 흡입팬(202) 측으로 흐른다. 이 동안, 도 4에 방열의 방향 H1을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천정판(12)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상부만큼 온도가 상승하기 쉽기 때문에, 내부 공간(40)의 상부를 흐르는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외기로 방출된다. 흡입팬(202)에 가까워진 공기 Ar은, 흡기 덕트 부재(102)의 홈(120)에 대하여 통풍구(130)로부터 통풍의 방향 AX2로 유입되고, 홈(120)의 방향 AX1로 바뀌어 개구 단부(122)로 흐른다. 홈(120)의 방향 AX1을 따라 홈(120) 내를 흐르는 공기 Ar의 열에너지는, 도 4에 방열의 방향 H1을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판(17)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흡기 덕트 부재(102)가 입벽부(23)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Ar이 흡기 덕트 부재(102)의 홈(120)을 통해 홈(120) 내의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외기로 방출된다. 또한, 홈(120)을 지나는 공기 Ar의 흐름이 빠르기 때문에, 홈(120) 내의 공기 Ar로부터 외기로 신속하게 방열된다.
흡기 덕트 부재(102)의 개구 단부(122)로부터 내부 공간(40)으로 돌아온 공기 Ar은, 우측판(17)의 입벽부(23)를 따라 아래쪽으로 흐른다. 이 동안,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우측판(17)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판(17)의 입벽부(23)를 따라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 Ar은, 이윽고 방향을 바꾸고, 송풍 덕트 부재(101)의 근방에 가까워지면 송출팬(201)에 의해 송풍 덕트 부재(101)의 홈(120)에 대하여 개구 단부(122)로부터 들어간다.
이로써, 케이싱(10) 내에 공기 Ar의 넓은 순환류 C1가 생기고,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넓은 범위에서 케이싱(1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물론, 내부 공간(40)은, 밀폐형이므로, 분진이나 오일 미스트의 침입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홈(120)의 방향 AX1에 있어서 덕트 부재(100)는 입벽부(23)보다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구체예는, 고가의 열교환기나 히트 싱크가 불필요하며, 제어반(2)의 위쪽 전체에 냉각용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제어반(2)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어,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 부재(100)가 내벽(2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경우, 제어반(2)에 따라 덕트 부재(1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제어반(2)에 따른 효율적인 방열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더욱 소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변형예:
본 발명은, 각종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10)의 내벽(20)에 고정시키는 팬이 부착된 덕트 부재(100)는, 송출팬(201)이 설치된 송풍 덕트 부재(101)만이라도 되고, 흡입팬(202)이 설치된 흡기 덕트 부재(102)만이라도 된다. 또한, 내벽(20)에 고정시키는 팬이 부착된 덕트 부재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라도 되고, 3개 이상이라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폐색부(114)가 천정부(2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덕트 부재(100)가 입벽부(23)에 고정되어 있었지만, 폐색부(114)가 천정부(22)에 접촉되고 있는 상태로 덕트 부재(100)가 입벽부(23)에 고정되어도 된다.
내벽(20)에 팬이 부착된 덕트 부재(100)를 고정시키는 위치는, 측판(16, 17)의 입벽부(23)에 한정되지 않고, 배면판(15)의 입벽부(23)라도 되고, 천정부(22)라도 되고, 바닥면부(21)라도 된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내벽(20)에 복수의 흡기 덕트 부재(102)를 고정시켜도, 케이싱(10) 내에 공기 Ar의 순환류 C2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제어반(2)의 다른 예를 도어(14)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제어 기기(30)를 점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제어반(2)은, 도 1에 나타낸 제어반(2)과 비교하여, 좌측판(16)의 입벽부(23)에 고정된 팬이 부착된 덕트 부재(100)가 변한다. 도 5에 나타낸 좌측판(16)의 입벽부(23)의 상부에는, 흡입팬(202)이 설치된 흡기 덕트 부재(102)가 고정되어 있다.
좌측판(16)에 고정된 흡기 덕트 부재(102)에 설치된 흡입팬(202)의 근방에 있어서,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흡기 덕트 부재(102)의 홈(120)에 대하여 통풍구(130)로부터 들어가 개구 단부(122)를 향한다. 이 때, 홈(120) 내를 흐르는 공기 Ar의 열에너지는, 좌측판(16)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흡기 덕트 부재(102)의 개구 단부(122)로부터 내부 공간(40)으로 돌아온 공기 Ar은, 좌측판(16)의 입벽부(23)를 따라 아래쪽으로 흐르고, 이윽고 방향을 바꾸어 상승한다. 우측판(17)에 고정된 흡기 덕트 부재(102)에 설치된 흡입팬(202)의 근방에 있어서,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흡기 덕트 부재(102)의 홈(120)에 대하여 통풍구(130)로부터 들어가 개구 단부(122)를 향한다. 흡기 덕트 부재(102)의 개구 단부(122)로부터 내부 공간(40)으로 돌아온 공기 Ar은, 우측판(17)의 입벽부(23)를 따라 아래쪽으로 흐르고, 이윽고 방향을 바꾸어 상승한다.
이로써, 케이싱(10) 내에 공기 Ar의 순환류 C2가 생기고,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넓은 범위에서 케이싱(1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제어반(2)도, 위쪽 전체의 냉각용 공간 없이 제어반(2)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어, 소형화 가능하다.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천정부(22)에 흡기 덕트 부재(102)를 고정하고, 배면판(15)의 입벽부(23)의 상부에 흡기 덕트 부재(102)를 고정시켜도, 케이싱(10) 내에 공기 Ar의 순환류 C3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은, 제어반(2)의 다른 예를 도어(14)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제어 기기(30)를 점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천정부(22)에 고정된 흡기 덕트 부재(102)는, 좌측판(16)의 근방에 폐색 단부(121)와 흡입팬(202)이 있고, 개구 단부(122)가 우측판(17)의 입벽부(23)에 대향하고 있다. 배면판(15)의 입벽부(23)에 고정된 흡기 덕트 부재(102)는, 천정부(22)의 근방에 폐색 단부(121)와 흡입팬(202)이 있고, 개구 단부(122)가 바닥면부(21)에 대향하고 있다.
천정부(22)에 고정된 흡기 덕트 부재(102)에 설치된 흡입팬(202)의 근방에 있어서,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흡입팬(202)에 의해 흡기 덕트 부재(102)의 홈(120)에 대하여 통풍구(130)로부터 들어가 개구 단부(122)를 향한다. 홈(120) 내를 흐르는 공기 Ar의 열에너지는, 천정판(12)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여기서,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상부만큼 온도가 상승하기 쉽기 때문에, 흡기 덕트 부재(102)가 천정부(22)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Ar이 홈(120)을 지남으로써 된다. 그 결과, 열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외기로 방출된다. 흡기 덕트 부재(102)의 개구 단부(122)로부터 내부 공간(40)으로 돌아온 공기 Ar은, 천정판(12)을 따라 우측으로 흐른다. 이 동안,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천정판(12)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배면판(15)의 입벽부(23)에 고정된 흡기 덕트 부재(102)에 설치된 흡입팬(202)을 향하는 공기 Ar은, 흡입팬(202)에 의해 흡기 덕트 부재(102)의 홈(120)에 대하여 통풍구(130)로부터 들어가 개구 단부(122)를 향한다. 홈(120) 내를 흐르는 공기 Ar의 열에너지는, 배면판(15)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여기에서도,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은 상부만큼 온도가 상승하기 쉽기 때문에, 흡기 덕트 부재(102)가 입벽부(23)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Ar이 홈(120)을 지나게 된다. 그 결과, 열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외기로 방출된다. 흡기 덕트 부재(102)의 개구 단부(122)로부터 내부 공간(40)으로 돌아온 공기 Ar은, 우측판(17)의 입벽부(23)의 근방에 있어서 배면판(15)의 입벽부(23)를 따라 아래쪽으로 흐른다. 이 동안,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배면판(15)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배면판(15)의 입벽부(23)를 따라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 Ar은, 이윽고 방향을 바꾸고, 천정부(22)에 고정된 흡기 덕트 부재(102)에 설치된 흡입팬(202)의 근방에 가까워지면 흡기 덕트 부재(102)의 홈(120)에 대하여 통풍구(130)로부터 들어간다.
이로써, 케이싱(10) 내에 공기 Ar의 넓은 순환류 C3가 생기고, 내부 공간(40)의 공기 Ar의 열에너지가 넓은 범위에서 케이싱(10)을 통해 외기로 방출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제어반(2)도, 위쪽 전체의 냉각용 공간 없이 제어반(2)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어, 소형화 가능하다.
(5) 결론: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태양에 의해, 공작 기계의 제어반을 소형화시키는 기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독립 청구항에 관한 구성 요건만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이라도, 전술한 기본적인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전술한 예 중에서 개시한 각각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조합을 변경하거나 한 구성, 공지 기술 및 전술한 예 중에서 개시한 각각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조합을 변경하거나 한 구성 등도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들의 구성 등도 포함된다.
1: 공작 기계, 2: 제어반, 3: 가공부, 10: 케이싱, 11: 바닥판, 12: 천정판, 14: 도어, 15: 배면판, 16, 17: 측판, 20: 내벽, 21: 바닥면부, 22: 천정부, 23: 입벽부, 30: 제어 기기, 32: 앰프, 32a: 상단, 40: 내부 공간, 100: 덕트 부재, 101: 송풍 덕트 부재, 102: 흡기 덕트 부재, 111: 대향부, 112, 113: 측부, 114: 폐색부, 115: 장착부, 120: 홈, 121: 폐색 단부, 122: 개구 단부, 130: 통풍구, 200: 팬, 200a: 상단, 201: 송출팬, 202: 흡입팬, Ar: 공기, AX1: 홈의 방향, AX2: 통풍의 방향, C1∼C3: 순환류, H1: 방열의 방향.

Claims (5)

  1. 공작 기계(machine tool)의 제어반(制御盤; control panel unit)으로서,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제어 기기(機器)가 배치된 밀폐형의 내부 공간을 상기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 폐색(閉塞)하는 케이싱(casing);
    일단(一端)이 폐색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개구된 홈, 및 상기 타단보다 상기 일단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상기 홈과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통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벽에 대하여 상기 홈을 향해 고정된 덕트(duct) 부재; 및
    상기 통풍구에 배치된 팬(fan);
    을 포함하고,
    상기 내벽과 상기 덕트 부재에 의해 에워싸인 상기 홈에 대하여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통하게 하는,
    공작 기계의 제어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은, 바닥면부, 천정부(ceiling), 및 상기 바닥면부로부터 상기 천정부에 연결되는 입벽부(立壁部; upright wall)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 부재는, 상기 입벽부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보다 상기 천정부에 가까운 위치와, 상기 천정부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어 있는, 공작 기계의 제어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통풍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홈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송출하는 송출팬, 및 상기 통풍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홈에 흡입하는 흡입팬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 부재는, 상기 송출팬이 설치된 송풍 덕트 부재, 및 상기 흡입팬이 설치된 흡기 덕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 덕트 부재는, 상기 송출팬과 상기 흡입팬이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공작 기계의 제어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부재는, 상기 내벽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한, 공작 기계의 제어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는, 구동 대상을 구동시키는 앰프를 구비하고,
    상기 팬의 상단(上端)은, 상기 앰프의 상단보다 위에 있는, 공작 기계의 제어반.
KR1020190163341A 2018-12-25 2019-12-10 공작 기계의 제어반 KR20200079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0986A JP7216882B2 (ja) 2018-12-25 2018-12-25 工作機械の制御盤
JPJP-P-2018-240986 2018-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420A true KR20200079420A (ko) 2020-07-03

Family

ID=6873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341A KR20200079420A (ko) 2018-12-25 2019-12-10 공작 기계의 제어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47016B2 (ko)
EP (1) EP3677378A1 (ko)
JP (1) JP7216882B2 (ko)
KR (1) KR20200079420A (ko)
CN (1) CN111386005A (ko)
TW (1) TWI8149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9935A (zh) * 2020-12-29 2021-04-30 诸暨市迅翔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功能的机械加工钻孔装置
CN116388027B (zh) * 2023-05-15 2023-11-10 唐山市君通科技有限公司 一种逆变中频电源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275A (ja) 2001-12-04 2003-06-20 Fuji Heavy Ind Ltd 工作機械の制御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4404A (ja) 1984-02-17 1985-09-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原子炉給水制御装置
JPS60174404U (ja) * 1984-04-23 1985-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全閉外扇形制御盤
JPH052861U (ja) * 1991-01-17 1993-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工作機械の制御盤
JPH052861A (ja) 1991-06-27 1993-01-08 Seiko Epson Corp 情報機器
JPH05215476A (ja) 1992-02-04 1993-08-24 Matsushita Refrig Co Ltd 熱交換装置
JP3578228B2 (ja) * 1994-10-14 2004-10-20 株式会社トーツー創研 通信装置用キャビネット
JP3371651B2 (ja) 1995-11-09 2003-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盤
JP2000190163A (ja) 1998-12-22 2000-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御盤
JP2001358483A (ja) 2000-06-13 2001-12-26 Mori Seiki Co Ltd 制御盤の放熱構造
US20090059525A1 (en) * 2007-09-05 2009-03-05 Fu Zhun Precision Industry (Shen Zhen) Co., Ltd. Heat dissipation device for computer add-on cards
JP5164706B2 (ja) * 2008-07-17 2013-03-2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装置内冷却構造、及び超音波観測装置
JP2013083414A (ja) 2011-10-12 2013-05-09 Craft Engi Kk 冷却装置
TWI472291B (zh) * 2011-12-16 2015-02-01 Inventec Corp 伺服器
TWM433720U (en) * 2012-03-06 2012-07-11 Chun Long Technology Co Ltd Exhaust structure of industrial cabinet
CN208128744U (zh) * 2018-05-09 2018-11-20 小青柑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电子通信机柜
CN108712849A (zh) * 2018-06-12 2018-10-26 世图兹空调技术服务(上海)有限公司 一体式机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275A (ja) 2001-12-04 2003-06-20 Fuji Heavy Ind Ltd 工作機械の制御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47016B2 (en) 2023-01-03
EP3677378A1 (en) 2020-07-08
JP7216882B2 (ja) 2023-02-02
CN111386005A (zh) 2020-07-07
US20200198080A1 (en) 2020-06-25
JP2020099978A (ja) 2020-07-02
TW202023738A (zh) 2020-07-01
TWI814955B (zh)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4807B1 (en)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fan for air cooling
KR20200079420A (ko) 공작 기계의 제어반
KR102262442B1 (ko) 로봇 컨트롤러
WO2018155689A1 (ja) 制御盤
US20120133223A1 (en) Brushless dc motor structure
JP202018070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800237B2 (ja) 電子機器収納装置
JP201410594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173229B1 (ko) 풍향 조정 유닛 및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
JP2008149384A (ja) 伸縮式防塵カバー付き移動台装置
JP6485224B2 (ja) 工作機械
JP2012190876A (ja) 制御盤
WO2018061071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53939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11056599A (ja) 温度調整システム
JP201516147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0155336A (ja) ロボット制御装置
JP2001148588A (ja) 工作機械の放熱装置
JP4496403B2 (ja) 制御盤
JP200427116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7337250B2 (ja) 電気品箱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8093193A (ja) 冷却装置
JP7196409B2 (ja) 工作機械
CN109219312B (zh) 电动机控制装置
JP2015095967A (ja) 制御盤及びポン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