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229B1 - 풍향 조정 유닛 및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 - Google Patents

풍향 조정 유닛 및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229B1
KR101173229B1 KR1020107015366A KR20107015366A KR101173229B1 KR 101173229 B1 KR101173229 B1 KR 101173229B1 KR 1020107015366 A KR1020107015366 A KR 1020107015366A KR 20107015366 A KR20107015366 A KR 20107015366A KR 101173229 B1 KR101173229 B1 KR 101173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unit
wind direction
mounting member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666A (ko
Inventor
노리히로 타케나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4Inlet and outlet arranged on opposite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공기를 소망의 방향으로 불어내게 할 수 있는 풍향 조정 유닛, 및 이것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을 제공한다. 풍향 조정 유닛(8)은, 실외기(1)의 케이싱(2)으로부터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고, 장착 부재(81)와 폐쇄 부재(87)를 구비한다. 장착 부재(81)는, 케이싱(2)의 정면(21)에 장착되고, 케이싱(2)으로부터의 공기의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를 가진다. 폐쇄 부재(87)는,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다.

Description

풍향 조정 유닛 및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AIR FLOW DIRECTION ADJUSTING UNIT AND HEAT SOURCE UNIT FOR REFRIGERATION DEVICE}
본 발명은, 풍향 조정 유닛, 특히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 본체로부터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는 풍향 조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풍향 조정 유닛을 구비한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기 조화기나 급탕기 등의 냉동 장치는, 실외기나 히트 펌프 유닛 등의 실외에 설치되는 열원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열원 유닛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이나 열교환기, 팬 등을 구비하고 있는 실외기가 있다. 특히, 특허 문헌 1에 관련되는 실외기에서는, 공기 흐름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정면으로부터 불어내진 공기가 횡 방향으로부터 실외기 외부로 불어내지는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108262호
그런데, 열원 유닛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서는, 공기를 불어내고 싶지 않은 방향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특허 문헌 1에 관련되는 실외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가 횡 방향만으로부터 외부로 불어내지기 때문에, 공기를 정면으로 불어내고 싶지 않는 것과 같은 환경 하에 있어서는 설치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횡 방향으로는 공기가 불어내지고 싶지 않는 것과 같은 환경 하에서는, 설치되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열원 유닛의 케이싱으로부터의 공기를 소망의 방향으로 불어내게 할 수 있는 풍향 조정 유닛 및 이것을 구비한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 1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은,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 본체로부터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고, 장착 부재와 폐쇄 부재를 구비한다. 장착 부재는, 열원 유닛 본체에 장착되고, 열원 유닛 본체로부터의 공기의 취출 개구(開口)를 적어도 하나 가진다. 폐쇄 부재는, 취출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다. 장착 부재는 복수의 면을 가지고 있다. 취출 개구는 장착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다. 장착 부재는 장착 부재의 일면 상에 있어서의 취출 개구가 완전히 막히는 제1 상태, 취출 개구가 부분적으로 막히는 제2 상태, 취출 개구가 막혀 있지 않은 제3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이 풍향 조정 유닛에 의하면, 취출 개구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장착 부재가 열원 유닛 본체에 장착되고, 취출 개구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 부재에 의하여 막힌다. 이것에 의하여, 열원 유닛으로부터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는, 막혀 있지 않은 취출 개구로부터 불어내진다. 따라서, 공기를 소망의 방향으로 불어내게 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은, 발명 1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이고, 열원 유닛 본체는, 공기를 정면으로 불어내는 타입이다. 장착 부재는, 열원 유닛 본체의 정면에 장착된 상자상(狀)의 부재이다. 그리고, 취출 개구는, 장착 부재의 정면, 상면(上面), 하면(下面) 및 양 측면 중 2 이상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풍향 조정 유닛에 의하면, 장착 부재의 2 이상의 면에 설치된 취출 개구 중 적어도 일부가 폐쇄 부재에 의하여 적의하게 막히는 것으로, 열원 유닛 본체로부터 정면으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을, 소망의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은,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이고, 폐쇄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장착 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폐쇄 부재는, 장착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취출 개구를 막는다.
이 풍향 조정 유닛에 의하면, 폐쇄 부재가 장착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취출구가 적의하게 막힌다. 따라서, 열원 유닛의 설치 위치의 주위의 환경 상태를 미리 확인해 두고, 확인 결과에 따라 폐쇄 부재를 만들 필요가 없이, 열원 유닛의 설치 시에, 환경 상태에 따라 유연하고 또한 조급하게 각 취출 개구를 적의하게 막을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은, 풍향 조정 유닛과 열원 유닛 본체를 구비한다. 풍향 조정 유닛은,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이다. 열원 유닛 본체는, 풍향 조정 유닛에 의하여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이 조정된다. 그리고, 열원 유닛 본체에는, 열교환기와 팬이 수용되어 있다. 열교환기는, 공기와 열교환을 행한다. 팬은, 열교환기에 의하여 열교환이 행하여진 후의 공기를, 취출 개구로 보낸다.
이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에 의하면, 열교환이 행하여진 후의 공기는, 풍향 조정 유닛의 폐쇄 부재에 의하여 막혀 있지 않은 취출 개구를 통하여 열원 유닛의 외부로 불어내진다. 따라서, 열원 유닛은, 예를 들어 열교환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를, 소망의 방향으로 불어내질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은, 발명 4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이고, 풍향 조정 유닛에 있어서의 장착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열원 유닛 본체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에 의하면, 열원 유닛으로부터의 공기는 막혀 있지 않은 취출 개구로부터 불어내지기 때문에, 공기를 소망의 방향으로 불어내게 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에 의하면, 장착 부재의 2 이상의 면에 설치된 취출 개구 중 적어도 일부가 폐쇄 부재에 의하여 적의하게 막히는 것으로, 열원 유닛 본체로부터 정면으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을, 소망의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에 의하면, 열원 유닛의 설치 위치의 주위의 환경 상태를 미리 확인해 두고, 확인 결과에 따라 폐쇄 부재를 만들 필요가 없이, 열원 유닛의 설치 시에, 환경 상태에 따라 유연하고 또한 조급하게 각 취출 개구를 적의하게 막을 수 있다.
발명 4 및 발명 5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에 의하면, 열교환이 행하여진 후의 공기는, 풍향 조정 유닛의 폐쇄 부재에 의하여 막혀 있지 않은 취출 개구를 통하여 열원 유닛의 외부로 불어내진다. 따라서, 열원 유닛은, 예를 들어 열교환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를, 소망의 방향으로 불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의 외관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 내부의 구조를, 위에서 본 경우의 도면.
도 4의 (a)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의 정면도, (b)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의 우측면도, (c)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의 좌측면도, (d)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의 상면도, (e)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의 하면도.
도 5의 (a)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1)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정면도, (b)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1)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우측면도, (c)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1)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좌측면도, (d)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1)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상면도, (e)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1)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하면도.
도 6의 (a)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2)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정면도, (b)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2)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우측면도, (c)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2)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좌측면도, (d)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2)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상면도, (e)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2)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하면도.
도 7의 (a)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3)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정면도, (b)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3)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우측면도, (c)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3)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좌측면도, (d)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3)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상면도, (e)는 그 외의 실시예 (a)의 (a-3)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하면도.
도 8의 (a)는 그 외의 실시예 (c)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정면도, (b)는 그 외의 실시예 (c)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우측면도, (c)는 그 외의 실시예 (c)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좌측면도, (d)는 그 외의 실시예 (c)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상면도, (e)는 그 외의 실시예 (c)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하면도.
도 9는 그 외의 실시예 (d)에 관련되는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의 (a)는 그 외의 실시예 (e)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208)이고, 폐쇄 부재(287)가 각 흡입 개구(82a ~ 82d…)를 연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의 풍향 조정 유닛(208)의 종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b)는 그 외의 실시예 (e)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208)이고, 폐쇄 부재(287)가 각 흡입 개구(82a ~ 82d…)를 막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의 풍향 조정 유닛(208)의 종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의 (a)는 그 외의 실시예 (e)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308)이고, 폐쇄 부재(387)가 각 흡입 개구(82a ~ 82d…)를 연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의 풍향 조정 유닛(308)의 종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b)는 그 외의 실시예 (e)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308)이고, 폐쇄 부재(387)가 각 흡입 개구(82a ~ 82d…)를 막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의 풍향 조정 유닛(308)의 종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 및 이것을 구비한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에 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이 채용된 실외기의 외관도이다. 도 1의 실외기(1)는, 실내의 벽면 등에 취부되어 있는 실내기(도시하지 않음)와 냉매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공기 조화 장치(냉동 장치에 상당)를 구성하고 있다.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의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1)는,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케이싱(2, 열원 유닛 본체에 상당), 실외 열교환기(3), 압축기(4), 전장품 유닛(5), 송풍부(6), 벨 마우스(7) 및 풍향 조정 유닛(8)을 구비한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 「하」, 「우」, 「좌」, 「연직」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을 적의하게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은, 실외기(1)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에 취부되고, 통상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각 방향을 나타낸다.
〔케이싱〕
케이싱(2)은,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판금 및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의 내부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연직으로 연장되는 칸막이 판(2a)에 의하여 기계실(S1)과 송풍실(S2)로 분할되어 있다. 기계실(S1)에는, 압축기(4)나 전장품 유닛(5)이 설치되고, 송풍실(S2)에는, 실외 열교환기(3)나 송풍부(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2)에는, 송풍구(2b)와 흡기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구(2b)는, 케이싱(2)의 정면(21)에 형성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송풍구(2b)로부터는, 공기가, 케이싱(2) 내부로부터 외부로 불어내진다. 이 공기는, 바로 실외기(1) 외부로 불어내지지만, 실외기(1) 외부로 불어내질 때, 후술하는 풍향 조정 유닛(8)에 의하여 조절된 방향으로 불어내지게 된다. 흡기구는, 케이싱(2)의 배면(23)이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보아, 케이싱(2)의 좌측면(22)에 형성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3)는, 흡기구를 통하여 케이싱(2) 내로 빨아들여져 온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실외 열교환기(3)는, 대략 L자상(狀)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케이싱(2)의 좌측면(22)으로부터 배면(23)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외 열교환기(3)는, 케이싱(2)의 좌측면(22)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부분(3a)과, 케이싱(2)의 배면(23)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부분(3b)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부분(3a)은, 송풍부(6)에 포함되는 팬(62)의 회전 중심축(Y1)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제2 부분(3b)은, 팬(62)의 회전 중심축(Y1)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외 열교환기(3)는, 긴쪽 방향 양단(兩端)에서 복수 회 접어 겹쳐 이루어지는 전열관(도시하지 않음)과, 전열관이 삽통(揷通, 구멍에 통과시키는 것)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핀 부분(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전열관은, 냉매 배관(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되어 있고, 전열관의 내부에는, 냉매 배관(도시하지 않음) 내를 흐르는 냉매가 흐르고 있다.
〔압축기〕
압축기(4)는, 냉매 배관(도시하지 않음) 내를 흐르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것이고, 기계실(S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기(4)는, 기계실(S1) 내 중, 칸막이 판(2a)의 근방이고, 또한 전장품 유닛(5)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압축기(4)는, 압축기용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전장품 유닛〕
전장품 유닛(5)은, 콘덴서나 트랜지스터 등의 복수의 전장품이 실장(實裝, 전자 부품을 배치하고 접속하는 것)된 제어 기판이나 원자로 등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기계실(S1)에 있어서 압축기(4)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5) 내의 제어 기판으로부터는, 복수 개의 하니스(harness)가 연장되어 있다. 이들 하니스는, 압축기(4)나 송풍부(6)에 있어서의 팬 모터(61)에 구동 제어용 신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전장품 유닛(5)으로부터 압축기(4) 및 팬 모터(61) 등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송풍부〕
송풍부(6)는, 실외 열교환기(3)에 의하여 열교환이 행하여진 후의 공기를, 케이싱(2)의 송풍구(2b)를 통하여 풍향 조정 유닛(8)으로 보내기 위한 것이고, 송풍실(S2)에 설치되어 있다. 송풍부(6)는, 팬 모터(61) 및 팬(62)을 가진다.
팬 모터(61)는, 팬(62)의 회전 구동원이고, 케이싱(2)의 배면(23)에 취부된 팬 모터대(61a)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팬 모터(61)의 출력축은, 팬(62)의 회전 중심축(Y1)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장품 유닛(5)의 제어 기판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제어용 신호에 의하여 팬 모터(61)가 회전하면, 그 회전은 팬 모터(61)의 출력축을 통하여 팬(62)의 회전 중심축(Y1)에 전달되기 때문에, 팬(62)은 회전할 수 있다.
팬(62)은, 복수 매의 날개를 가지는 프로펠러 팬이고, 송풍실(S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케이싱(2)의 송풍구(2b)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팬(62)은, 팬 모터(61)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실외 열교환기(3)에서 열교환된 후의 공기가 케이싱(2)의 정면(21) 측으로 흐르도록,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벨 마우스〕
벨 마우스(bell mouth, 7)는, 팬(62) 및 케이싱(2)의 송풍구(2b)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벨 마우스(7)는, 케이싱(2)에 고정되어 있고, 벨 마우스(7)에는, 팬(62)에 의하여 생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케이싱(2) 외부(구체적으로는, 풍향 조정 유닛(8))로 안내하기 위한 개구(7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7a)는, 케이싱(2)의 송풍구(2b)와 거의 같은 크기의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도 2).
〔풍향 조정 유닛〕
풍향 조정 유닛(8)은, 케이싱(2) 내부로부터 케이싱(2)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케이싱(2)의 정면(21)을 덮도록 케이싱(2)에 장착된다. 덧붙여, 풍향 조정 유닛(8)의 케이싱(2)으로의 장착 작업은, 실외기(1)가 실외에 실제로 설치될 때에 예를 들어 시공자에 의하여 행하여져도 무방하고, 공장에 있어서 실외기(1)가 제작될 때(즉, 실외기(1)의 출하 전)에 작업자에 의하여 행하여져도 무방하다. 풍향 조정 유닛(8)은, 장착 부재(81)와 폐쇄 부재(87)를 가진다.
장착 부재(81)는, 상자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케이싱(2)의 정면(21)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부재(8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82), 상면(83), 하면(84), 좌측면(85) 및 우측면(86)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어 판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부재(81)의 각 면(82 ~ 86)에는, 복수의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가 형성되어 있다(도 4).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부재(81)의 정면(82), 좌측면(85) 및 우측면(86)에는, 각각 8개의 취출 개구(82a ~ 82h, 85a ~ 85h, 86a ~ 86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부재(81)의 상면(83) 및 하면(84)에는, 각각 2개의 취출 개구(83a ~ 83b, 84a ~ 84b)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는, 케이싱(2)으로부터의 공기를 실외기(1) 외부로 불어내기 위한 개구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폐쇄 부재(87)는, 장착 부재(81)에 있어서의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의 적어도 일부를 막기 위한 것이고, 케이싱(2)과 장착 부재(81)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 부재(87)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부재(81)의 하부(下部)를 막는 경우를 예로 든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쇄 부재(87)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부재(81)의 정면(82)의 하부(즉, 하반분(下半分))에 위치하는 취출 개구(82e ~ 82h), 하면(84)의 취출 개구(84a ~ 84b), 좌측면(85) 및 우측면(86) 각각의 하부(즉, 하반분)에 위치하는 취출 개구(85e ~ 85h, 86e ~ 86h)를 막고 있다. 그 때문에, 폐쇄 부재(87)는, 정면, 하면 및 양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도 2). 특히, 폐쇄 부재(87)의 정면 및 양 측면은, 각각 장착 부재(81)의 정면(82) 및 양 측면(85, 86)의 가로 반분과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고, 폐쇄 부재(87)의 하면은, 장착 부재(81)의 하면(84)과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폐쇄 부재(87)는, 폐쇄 부재(87)의 정면 및 양 측면이, 각각 장착 부재(81)의 정면(82) 및 양 측면(85, 86)의 하반분에 접촉하고, 또한 폐쇄 부재(87)의 하면이 장착 부재(81)의 하면(84)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도 2). 여기서, 폐쇄 부재(87)는, 공기가 통과하기 어려운 것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판금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풍향 조정 유닛(8)이 케이싱(2)의 정면(21)에 장착되면, 케이싱(2)의 정면(21)의 송풍구(2b)는, 풍향 조정 유닛(8)에 의하여 덮인다. 그리고, 풍향 조정 유닛(8)의 장착 부재(81)에 있어서의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 중, 장착 부재(81)의 하반분에 위치하는 취출 개구(82e ~ 82h, 84a ~ 84b, 85e ~ 85h, 86e ~ 86h)는 폐쇄 부재(87)에 의하여 막혀 있지만, 장착 부재(81)의 상반분에 위치하는 취출 개구(82a ~ 82d, 83a ~ 83b, 85a ~ 85d, 86a ~ 86d)는 막혀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케이싱(2) 내부로부터 송풍구(2b)를 통하여 불어내진 공기는, 도 4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혀 있지 않은 취출 개구(82a ~ 82d, 83a ~ 83b, 85a ~ 85d, 86a ~ 86d)로부터 실외기(1) 외부로 불어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기(1)는, 정면 취출 타입의 케이싱(2)을 가지고 있지만, 풍향 조정 유닛(8)에 의하여, 공기는 실외기(1)의 하방(下方)으로는 불어내지지 않고, 주로 실외기(1)의 상방(上方)으로 불어내지게 된다.
(2) 효과
(A)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8)은, 장착 부재(81)와 폐쇄 부재(87)를 구비하고 있고, 실외기(1)의 케이싱(2)으로부터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을 조정한다. 장착 부재(81)는, 케이싱(2)에 장착되고, 복수의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를 가진다. 폐쇄 부재(87)는,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의 적어도 일부(구체적으로는, 취출 개구(82e ~ 82h, 84a ~ 84b, 85e ~ 85h, 86e ~ 86h))를 막는다. 이것에 의하여, 실외기(1)로부터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는, 막혀 있지 않은 취출 개구(82a ~ 82d, 83a ~ 83b, 85a ~ 85d, 86a ~ 86d)로부터 불어내진다.
(B)
또한,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8)은, 정면 취출 타입의 케이싱(2)의 정면에 장착되어 있다. 특히, 풍향 조정 유닛(8)의 장착 부재(81)에 있어서의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는, 장착 부재(81)의 정면(82), 상면(83), 하면(84) 및 양 측면(85, 86)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풍향 조정 유닛(8)에 의하면, 장착 부재(81)의 복수의 면에 설치된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를 적의하게 막는 것으로, 실외기(1)의 케이싱(2)의 정면(21)으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을, 소망의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C)
또한, 실외기(1)는, 풍향 조정 유닛(8)과, 실외 열교환기(3) 및 팬(62)이 수용된 케이싱(2)을 구비한다. 이 실외기(1)에 의하면, 실외 열교환기(3)에 의하여 열교환이 행하여진 후의 공기는, 풍향 조정 유닛(8)의 폐쇄 부재(87)에 의하여 막혀 있지 않은 취출 개구(82a ~ 82d, 83a ~ 83b, 85a ~ 85d, 86a ~ 86d)를 통하여 실외기(1)의 외부로 불어내진다.
<그 외의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착 부재(81)의 하반분에 위치하는 취출 개구(82e ~ 82h, 84a ~ 84b, 85e ~ 85h, 86e ~ 86h)가 막힌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폐쇄 부재(87)에 의하여 막힌 취출 개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풍향 조정 유닛(8)에서는, 실외기(1)가 설치되는 환경 하에 따라, 장착 부재(81)의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 중 일부가 폐쇄 부재(87)에 의하여 막히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케이싱(2) 내부의 공기를, 소망의 방향으로 불어낼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예 이외의 그 외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a-1) ~ (a-3)을 들 수 있다.
(a-1) 장착 부재의 정면에 있어서의 취출 개구 모두를 막는다
도 5는, 장착 부재(81)의 정면(82)에 있어서의 취출 개구(82a ~ 82h) 모두가 폐쇄 부재(87)에 의하여 막힌 경우의 실외기(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외기(1)에 의하면, 케이싱(2)으로부터의 공기는, 도 5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혀 있지 않은 장착 부재(81)의 상면(83), 하면(84) 및 양 측면(85, 86)의 취출 개구(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로부터 실외기(1) 외부로 불어내진다.
(a-2) 장착 부재의 양 측면 및 하면에 있어서의 취출 개구 모두를 막는다
도 6은, 장착 부재(81)의 하면(84) 및 양 측면(85, 86)에 있어서의 취출 개구(84a ~ 84b, 85a ~ 85h, 86a ~ 86h) 모두가 폐쇄 부재(87)에 의하여 막힌 경우의 실외기(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외기(1)에 의하면, 케이싱(2)으로부터의 공기는, 도 6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혀 있지 않은 장착 부재(81)의 정면(82) 및 상면(83)의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로부터 실외기(1) 외부로 불어내진다.
(a-3) 장착 부재의 상반분에 위치하는 취출 개구를 막는다
도 7은, 장착 부재(81)의 정면(82) 및 양 측면(85, 86)의 상반분에 있어서의 취출 개구(82a ~ 82d, 85a ~ 85d, 86a ~ 86d), 상면(83)의 취출 개구(83a ~ 83b)가 폐쇄 부재(87)에 의하여 막힌 경우의 실외기(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외기(1)에 의하면, 케이싱(2)으로부터의 공기는, 도 7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혀 있지 않은 장착 부재(81)의 취출 개구(즉, 정면(82) 및 양 측면(85, 86)의 하반분에 위치하는 취출 개구(82e ~ 82h, 85e ~ 85h, 86e ~ 86h) 및 하면(84)의 취출 개구(84a ~ 84b))로부터 실외기(1) 외부로 불어내진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착 부재(81)의 모든 면에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취출 개구는, 장착 부재의 모든 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장착 부재의 적어도 2개의 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장착 부재의 정면 및 상면에만 취출 개구가 형성되는 경우나, 장착 부재의 양 측면에만 취출 개구가 형성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각 취출 개구가 폐쇄 부재에 의하여 적의하게 막히는 것으로, 실외기의 케이싱 내부의 공기는, 소망의 방향으로 불어내지도록 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착 부재(81)의 각 면에 복수의 취출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예를 들어, 장착 부재(81)의 정면(82)에는, 8개의 취출 개구(82a ~ 82h)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부재의 각 면(82 ~ 86)에는, 하나의 취출 개구(82a´ ~ 86a´)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폐쇄 부재(87´)가 각 취출 개구(82a´ ~ 86a´)의 일부분을 적의하게 막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향 조정 유닛(8)과 케이싱(2)이 각각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외기의 케이싱과 일체화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풍향 조정 유닛의 장착 부재에 있어서의 상면 및/또는 하면이 케이싱과 일체 형성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도 9에서는, 일례로서 풍향 조정 유닛(108)의 장착 부재(181)에 있어서의 상면(183) 및 하면(184)이 실외기(101)의 케이싱(102)과 일체 형성되어 있는 실외기(101)를 도시하고 있다. 장착 부재(181)의 상면(183) 및 하면(184) 각각은, 케이싱(102)의 정면(121)에 있어서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정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장착 부재(181)의 정면(182), 좌측면(185) 및 우측면(186)은, 상면(183) 및 하면(184)과는 달리, 케이싱(102)과는 따로 설치되어 있다. 폐쇄 부재(187)는,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폐쇄 부재(87)와 마찬가지로, 정면, 하면 및 양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폐쇄 부재(87)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 하면 및 양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부재는, 도 2에 도시하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 부재의 취출 개구를 막을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부재의 그 외의 예로서는, 도 10이나 도 11에 도시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208)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8)의 폐쇄 부재(87)에 대신하여, 폐쇄 부재(287)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풍향 조정 유닛(208)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장착 부재(81)를 가지고 있다. 폐쇄 부재(287)는, 장착 부재(81)의 각 취출 개구(82a ~ 82d…)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폐쇄판(288)과, 각 폐쇄판(288)을 연결한 연결부(289)를 가지고 있다. 각 폐쇄판(288)은, 그 일부분이 장착 부재(81)의 각 취출 개구(82a ~ 82d…) 부근에 지지되어 있고, 장착 부재(81)의 외측으로부터 각 취출 개구(82a ~ 82d…)를 막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폐쇄판(288)은, 장착 부재(81)에 지지된 부분을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 지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고,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개개의 취출 개구(82a ~ 82d…)를 개폐할 수 있다. 연결부(289)는, 각 폐쇄판(288)에 의한 취출 개구(82a ~ 82d)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폐쇄판(288)이 각 취출 개구(82a ~ 82d…)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 시에 연결부(289)가 하 방향으로 끌리는 것으로(도 10의 (a)의 화살표 A 방향), 각 폐쇄판(288)은, 각 취출 개구(82a ~ 82d…)를 막은 상태로 될 수 있다(도 10의 (b)). 덧붙여, 도 10에서는, 일례로서 장착 부재(81)의 정면(82)에 있어서의 폐쇄 부재(287)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308)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8)의 폐쇄 부재(87)에 대신하여, 폐쇄 부재(387)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풍향 조정 유닛(308)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장착 부재(81)를 가지고 있다. 폐쇄 부재(387)는, 각 취출 개구(82a ~ 82d…)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폐쇄판(388)과, 각 폐쇄판(388)을 연결한 연결부(389)를 가지고 있다. 폐쇄판(388)은, 도시하지 않는 레일 등에 의하여 장착 부재(81)의 각 취출 개구(82a ~ 82d…) 부근에 지지되어 있고,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 부재(81)의 내측으로부터 각 취출 개구(82a ~ 82d…)를 개폐 가능하다. 연결부(389)는, 각 폐쇄판(388)에 의한 취출 개구(82a ~ 82d)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폐쇄판(388)이 각 취출 개구(82a ~ 82d…)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 시에 연결부(389)가 하 방향으로 끌리는 것으로(도 11의 (a)의 화살표 B 방향), 각 폐쇄판(388)은, 각 취출 개구(82a ~ 82d…)를 닫는(막는) 상태로 될 수 있다(도 11의 (b)). 덧붙여, 도 11에서는, 일례로서 장착 부재(81)의 정면(82)에 있어서의 폐쇄 부재(387)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 11에 관련되는 풍향 조정 유닛(208, 308)에서는, 폐쇄 부재(287, 387)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 부재(81)에 지지되어 있고, 폐쇄 부재(287, 387)는, 장착 부재(8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취출 개구(82a ~ 82d…)를 막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실외기(1)의 설치 위치를 실제로 확인하고 나서 폐쇄 부재(87)를 만들거나 폐쇄 부재(87)가 필요한지 불필요한지를 판단하거나 할 필요가 없이, 실외기의 설치 시라도 고객으로부터의 갑작스러운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의 주위의 환경 상태가 변화한 경우에도, 조급하고 또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풍향 조정 유닛에 의하면, 공기를 소망의 방향으로 불어내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풍향 조정 유닛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나 급탕기의 히트 펌프형 유닛 등과 같이,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에 있어서, 열원 유닛 본체로부터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1: 실외기
2: 케이싱
3: 실외 열교환기
6: 송풍부
8, 108, 208: 풍향 조절 유닛
62: 팬
81, 181: 장착 부재
82: 정면
83: 상면
84: 하면
85: 좌측면
86: 우측면
82a ~ 82h: 정면의 취출 개구
83a ~ 83b: 상면의 취출 개구
84a ~ 84b: 하면의 취출 개구
85a ~ 85h: 좌측면의 취출 개구
86a ~ 86h: 우측면의 취출 개구
87, 187, 287, 387: 폐쇄 부재
288, 388: 폐쇄판
289, 389: 연결부

Claims (5)

  1.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 본체(2, 102)로부터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는 풍향 조정 유닛(8, 108, 208, 308)이고,
    상기 열원 유닛 본체(2, 102)에 장착되고, 상기 열원 유닛 본체(2, 102)로부터의 상기 공기의 취출 개구(開口)(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장착 부재(81, 181)와,
    상기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폐쇄 부재(87, 187, 287, 387)
    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81, 181)는, 복수의 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취출 개구(82a~82h, 83a~83b, 84a~84b, 85a~85h, 86a~86h)는, 상기 장착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의 일면 상에 있어서의 상기 취출 개구가 완전히 막히는 제1 상태, 상기 취출 개구가 부분적으로 막히는 제2 상태, 상기 취출 개구가 막혀 있지 않은 제3 상태를 취할 수 있는,
    풍향 조정 유닛(8, 108, 208, 30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 유닛 본체(2, 102)는, 상기 공기를 정면으로 불어내는 타입이고,
    상기 장착 부재(81, 181)는, 상기 열원 유닛 본체(2, 102)의 정면에 장착된 상자상(狀)의 부재이고,
    상기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는, 상기 장착 부재(81, 181)의 정면(82, 182), 상면(上面, 83, 183), 하면(下面, 84, 184) 및 양 측면(85, 86, 185, 186) 중 2 이상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풍향 조정 유닛(8, 108, 208, 308).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287, 387)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착 부재(81, 181)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장착 부재(81, 18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를 막는,
    풍향 조정 유닛(208, 308).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풍향 조정 유닛(8, 108, 208, 308)과,
    상기 풍향 조정 유닛(8, 108, 208, 308)에 의하여 외부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방향이 조정되는 열원 유닛 본체(2, 102)
    를 구비하고,
    상기 열원 유닛 본체(2, 102)에는,
    상기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3)와,
    상기 열교환기(3)에 의하여 열교환이 행하여진 후의 상기 공기를, 상기 취출 개구(82a ~ 82h, 83a ~ 83b, 84a ~ 84b, 85a ~ 85h, 86a ~ 86h)로 보내는 팬(62)
    이 수용되어 있는,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1, 10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정 유닛(108)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 부재(181)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열원 유닛 본체(102)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101).
KR1020107015366A 2008-01-08 2009-01-07 풍향 조정 유닛 및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 KR101173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1129 2008-01-08
JP2008001129 2008-01-08
PCT/JP2009/050069 WO2009088010A1 (ja) 2008-01-08 2009-01-07 風向調整ユニットならびに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66A KR20100105666A (ko) 2010-09-29
KR101173229B1 true KR101173229B1 (ko) 2012-08-10

Family

ID=4085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366A KR101173229B1 (ko) 2008-01-08 2009-01-07 풍향 조정 유닛 및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50903B2 (ko)
EP (1) EP2246635A4 (ko)
JP (1) JP4492747B2 (ko)
KR (1) KR101173229B1 (ko)
CN (1) CN101910735B (ko)
AU (1) AU2009203404B2 (ko)
WO (1) WO2009088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02B1 (ko) 2014-02-06 2014-07-25 주식회사 부성기연 산업용 패키지 냉동기용 실외기
KR101717344B1 (ko) * 2015-03-16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WO2018165796A1 (zh) * 2017-03-12 2018-09-20 深圳市上羽科技有限公司 一种可改变滴水方向的节能环保型空调外机保护罩
CN106931543A (zh) * 2017-04-12 2017-07-07 深圳市上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可折叠保护罩的空调外机
KR102254576B1 (ko) * 2019-10-10 2021-05-21 김현조 에어컨 실외기용 배기커버
JP7016558B1 (ja) * 2021-01-19 2022-02-07 株式会社ヤブシタ 空調室外機用防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253A (en) * 1889-11-05 Security bag or pouch
DE414253C (de) * 1921-03-09 1926-06-08 Schmidt Otto Einrichtung an Kassen- und Geschaeftsbuechern
JPS6111577A (ja) * 1984-06-27 1986-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ツト
JPH01116334U (ko) * 1988-01-29 1989-08-04
JPH0571768A (ja) * 1991-07-12 1993-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ツト
JP3005450B2 (ja) * 1995-04-27 2000-01-31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5810658A (en) * 1995-11-30 1998-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locking device for closing or opening the suction and exhaust ports in air conditioners
US5685166A (en) * 1996-02-07 1997-11-11 Li; Chen Tze Mainframe of an air conditioner
DE69817283T2 (de) * 1997-08-29 200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Kühlschrank mit Kühlluftverteilungsmitteln
USD414253S (en) * 1998-01-16 1999-09-21 Fujitsu General Limite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1108262A (ja) 1999-10-08 2001-04-20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1174001A (ja) * 1999-12-20 2001-06-29 Chofu Seisakusho Co Ltd 冷暖房エアコン
DE10047138B4 (de) * 2000-09-22 2014-07-10 General Motor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Kühlgebläsesystem für ein Fahrzeug mit Brennstoffzellenantrieb sowie ein Verfahren zum Betrieb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JP3894418B2 (ja) 2001-03-06 2007-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装置
DE60324710D1 (de) * 2003-04-30 2008-12-24 Lg Electronics Inc Gerät zur steuerung der jalousienlamellen von im freien angeordneten einheiten und sein verfahren
CN2662124Y (zh) 2003-06-11 2004-12-08 深圳麦克维尔空调有限公司 出风方向可互换的分体空调器室外机
JP2005098569A (ja) * 2003-09-24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CN1292212C (zh) 2004-05-20 2006-12-27 上海交通大学 多方向送风的柜式空调器
KR100724389B1 (ko) * 2005-12-29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출구도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10735B (zh) 2013-03-20
WO2009088010A1 (ja) 2009-07-16
JP2009186169A (ja) 2009-08-20
EP2246635A1 (en) 2010-11-03
AU2009203404A1 (en) 2009-07-16
US20100276116A1 (en) 2010-11-04
AU2009203404B2 (en) 2011-11-10
US8650903B2 (en) 2014-02-18
CN101910735A (zh) 2010-12-08
KR20100105666A (ko) 2010-09-29
JP4492747B2 (ja) 2010-06-30
EP2246635A4 (en)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229B1 (ko) 풍향 조정 유닛 및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
EP2345852B1 (en) Indoor unit of floor-type air conditioner
WO2010095470A1 (ja) 熱交換器、室外機及び冷凍装置
JP5523822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7205584A (ja) 空気調和機
KR20060086732A (ko) 공기조화기
US10895388B2 (en) Indoor unit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11153806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23266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EP2163831B1 (en) Air conditioner
JP5071573B2 (ja) 空気調和機
JP5267539B2 (ja) 床置き室内機
JP2008151477A (ja) 床置型空気調和機
JP6828701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8281215A (ja) 空気調和機
JP686297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211600896U (zh) 天花板悬吊型空调装置室内机
JPWO2019043986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7245893A (ja) 空調用の配管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5071600B2 (ja) 空気調和機
JP4442298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08285314A (ja) 壁掛式空気調和機
WO2011136271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90120246A (ko) 공기조화기
JP2020134031A (ja) 室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