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210A -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 헤드용 환형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 헤드용 환형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210A
KR20200074210A KR1020207015472A KR20207015472A KR20200074210A KR 20200074210 A KR20200074210 A KR 20200074210A KR 1020207015472 A KR1020207015472 A KR 1020207015472A KR 20207015472 A KR20207015472 A KR 20207015472A KR 20200074210 A KR20200074210 A KR 20200074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ing
sleeve
annular
groove
dispens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796B1 (ko
Inventor
파리드 바크리
울리히 발터
Original Assignee
베. 뮐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 뮐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 뮐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7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25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6Exchangeable extruder parts
    • B29C48/2566Di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6Exchangeable extruder parts
    • B29C48/2568Inserts
    • B29C48/25686Inserts f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01Extrusion nozzles or 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2Extrusion nozzles or di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4Cross-head annular extrusion nozzles, i.e.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moulding material and the preform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5Flow dividers, e.g. breaker plates
    • B29C48/70Flow dividers, e.g. breaker plates comprising means for dividing, distributing and recombining melt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8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블랭크를 제조하기 위한 파리손 압출 다이용 링형 분배기(1)이며, 링형 분배기(1)는, 내부 표면(7)이 있는 제1 수용 공간(6)을 갖는 수용 본체(2), 외부 표면(10)이 있고 분배 홈(1)을 갖는 제1 분배기 슬리브(5) - 제1 분배기 슬리브(5)는 제1 수용 공간(6)에 수용됨 -, 및 또한 제1 수용 공간(6)의 내부 표면(7)과 제1 분배기 슬리브의 외부 표면(10) 사이에 형성되고 환형 슬릿(13)으로 개방되는 환형 제1 분배기 공간(12)을 포함하고, 제1 분배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은 1회 초과 1.25회 미만의 권선을 갖는 단일 나선형 분배기 홈(11)을 갖는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블랭크를 제조하기 위한 압출 다이용 링형 분배기
본 발명은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 헤드용 환형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환형 매니폴드는 내부 표면을 갖는 제1 수용 챔버가 있는 수용 본체를 갖는다. 제1 수용 챔버 내에는 제1 분배 슬리브가 수용된다. 제1 분배 슬리브는 분배 홈이 있는 외부 표면을 갖는다. 더욱이, 환형 매니폴드는 환형 제1 분배 챔버를 갖고, 환형 제1 분배 챔버는 제1 수용 챔버의 내부 표면과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 사이에 형성되고 환형 간극 개구로 개방된다.
압출 파리손 헤드(extrusion parison head)가 사용되어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몰딩 블랭크 또는 프리폼(pre-form)을 제조한다. 압출되고 이에 따라 가소화된 열가소성 재료 질량체(용융된 플라스틱)는 압출기로부터 압출 파리손 헤드로 공급되고, 여기서 콤팩트한 플라스틱 질량체가 튜브(관형 몰딩)로 형성된다. 이렇게 제조된 관형 몰딩은, 예를 들어 블로우 몰드 내에서 중공체로 압출 블로우 몰딩됨으로써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전술한 유형의 환형 매니폴드는 EP 2 202 046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압출 헤드는 압출 가능한 플라스틱으로부터 중공 스트랜드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챔버가 제공되는 수용 본체, 뿐만 아니라 적어도 2개의 분배 채널에 각각의 유동 챔버를 갖고, 유동 챔버는 상이한 연결 채널에 연결되며, 연결 채널 각각은 별개의 압출기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유동 챔버에 대해, 외부 표면을 갖는 매니폴드가 제공되며, 이 외부 표면은 유동 챔버의 내부 경계를 나타내고, 분배 채널은 외부 표면에 리세스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분배 채널은 각각 유동 챔버의 원주의 일부를 따라 연장된다. 유동 챔버의 전체 원주를 따라 균일한 분포를 보장하기 위해, 유동 챔버의 전체 원주를 따라 여러 개의 분배 채널이 제공된다. 분배 채널은 각각 홈 형상으로 외부 표면에 가공된다. 분배 채널은 각각 소위 심장 곡선의 형태로 공급 채널로부터 분기되는 제1 분배 분기부 및 제2 분배 분기부로 분리된다. 2개의 분배 분기부가 만나는 영역에서, 관형 몰딩에 가시성 조인트가 발생할 수 있다.
JP 2000 127219 A호는 필름 블로잉 기계용 관형 필름의 제조를 위한 압출 헤드를 도시한다. 압출 헤드는 그 외부 표면에 나선형 홈이 있는 맨드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관형 몰딩의 제조에 사용될 때, 가능한 한 작은 가시성 조인트를 갖는 압출 파리손 헤드용 환형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몰딩을 생성하기 위한 압출 파리손 헤드용 환형 매니폴드에 의해 충족되며, 환형 매니폴드는 내부 표면을 갖는 제1 수용 챔버가 있는 수용 본체를 갖는다. 제1 수용 챔버 내에는 제1 분배 슬리브가 수용된다. 제1 분배 슬리브는 분배 홈이 있는 외부 표면을 갖는다. 더욱이, 환형 매니폴드는 환형 제1 분배 챔버를 갖고, 환형 제1 분배 챔버는 제1 수용 챔버의 내부 표면과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 사이에 형성되고 환형 간극 개구로 개방된다.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에는 1회 초과 1.25 미만의 권선을 갖는 단일의 나선형 분배 홈이 마련된다.
분배 홈의 경로는, 특히 3차원 나선의 경로에 대응할 수 있다. 3차원 나선의 경로는 본 개시내용의 의미에서 나사형 또는 나선형 경로를 포함하며, 분배 홈은 원통형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3차원 나선의 경로는 원추형 나선을 따른 경로를 더 포함하며, 분배 홈은 원추형 외부 표면에 가공된다.
따라서, 제1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은 축방향으로 2개의 중첩 부분을 가지며, 이 중첩 부분은 권선의 최대 1/4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분배 홈은 권선의 적어도 3/4을 따라 중첩되지 않는다. 분배 홈의 중첩 부분은, 용융된 플라스틱이 원주를 따라 이 영역에서 더 잘 혼합되고 이 부분이 심장 형상 곡선 분배 홈에서 일어날 때 몰딩에 가시성 조인트 또는 결합 에지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목적에 알맞다. 용융된 플라스틱이 가능한 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원주의 적어도 3/4에 걸쳐 혼합이 일어나지 않고, 중첩 부분에서 용융된 플라스틱의 혼합에 의해 가시성 조인트가 방지된다.
실시예에서, 제1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은, 환형 간극 개구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고 용융된 플라스틱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채널에 의해 공급되는 제1 단부, 및 환형 간극 개구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갖는다는 점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의 깊이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용융된 플라스틱의 압력은 제1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제2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분배 홈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대략 일정하게 유지됨이 보장된다. 이를 위해, 깊이는 연속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는 분배 홈 또는 특정 영역에서 일정한 깊이를 갖는 분배 홈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은 제1 매니폴드 슬리브의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을 가로질러 각각 제1 분배 슬리브 또는 제1 분배 챔버의 축방향 범위에 걸쳐 분배 챔버의 적어도 대체로 일정한 두께를 보장하기 위하여,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 및 제1 수용 챔버의 내부 표면은 적어도 제1 분배 챔버의 영역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은, 환형 간극 개구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분배 홈의 측면에서 그리고 적어도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분배 홈의 부분들 사이의 특정 영역에서 제1 수용 챔버의 내부 표면에 밀봉 접촉한다는 점이 제공된다. 따라서, 간단한 설계 측정에 의해, 분배 챔버가 환형 간극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봉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용융된 플라스틱이 환형 간극 개구를 향한 방향으로만 배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은, 제1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의 제1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중첩 영역의 일부를 따라 제2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분배 홈의 부분들 사이에서 제1 수용 챔버의 내부 표면에 밀봉 접촉된다는 점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홈의 중첩 부분들은 분배 홈의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원주방향 부분에 걸쳐 분배 챔버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용융된 플라스틱은 분배 홈으로부터의 제1 단부 직후에 제2 단부에서 분배 홈의 단부 부분을 향한 방향으로 분배 챔버 내로 유동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단부의 영역에서 분배 홈의 중첩 부분을 향한 방향으로 분배 홈의 제1 단부 사이에서, 제1 수용 챔버의 내부 표면에 대한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의 밀봉 접촉이 특정 영역에서 보장된다. 이는 제1 단부에서 시작하는 초기 영역에서 분배 홈으로부터 오버플로우가 없음을 의미한다. 용융된 플라스틱이 제1 단부에서 분배 홈으로 공급되는 영역에서, 유동은 일반적으로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에 수직이기 때문에 제어된 유동 조건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어서, 이 영역에서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의 밀봉 접촉에 의해 제품 상의 마킹이 방지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 매니폴드는 제1 분배 슬리브의 중앙 보어를 통해 연장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슬리브와 제1 분배 슬리브 사이에 환형 유동 채널이 형성되고, 환형 간극 개구가 환형 유동 채널로 개방된다. 유동 채널은 환형 다이로 이어질 수 있고, 환형 다이에서, 용융된 플라스틱이 압출 헤드를 빠져나간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 매니폴드는 수용 본체 내에 제2 수용 챔버를 가지며, 제2 수용 챔버는 내부 표면을 갖는다는 점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분배 홈을 갖는 외부 표면이 있는 제2 분배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고, 제2 분배 슬리브는 제2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된다. 환형 매니폴드는 환형 제2 분배 챔버를 형성할 수 있고, 환형 제2 분배 챔버는 제2 수용 챔버의 내부 표면과 제2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 사이에 형성되고 환형 간극 개구로 개방된다. 제2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은 1회 초과 1.25회 미만의 권선을 갖는 단일의 나선형 분배 홈을 가질 수 있다. 제2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의 경로는, 특히 제1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3차원 나선의 경로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환형 매니폴드는 필요한 경우 2개의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또는 용융된 플라스틱의 매우 양호한 분포를 보장하기 위해 2개의 분배 챔버를 갖는다.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과 제2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은 각각 환형 매니폴드의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의 원추 각도와 제2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의 원추 각도는 반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분배 홈의 중첩 영역에서 용융된 플라스틱의 혼합으로 인해 사출된 관형 몰딩이 만곡된 상태로 사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은 용융 가이드에 의해 공급되는 환형 간극 개구로부터 멀리 있는 제1 단부를 갖는다는 점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분배 슬리브의 분배는 환형 간극 개구로부터 멀리 있고 용융 가이드에 의해 공급되는 제1 단부를 갖고, 제1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의 제1 단부 및 제2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의 제1 단부는 환형 매니폴드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경 방향 반대쪽에 배치된다.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 및 분배 홈의 설계와 제2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 및 분배 홈의 설계는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환형 매니폴드의 제1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형 매니폴드의 제2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환형 매니폴드의 제1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환형 매니폴드의 제2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환형 매니폴드를 갖는 압출 파리손 헤드를 통한 종방향 단면도의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 파리손 헤드용 환형 매니폴드(1)를 도시한다. 환형 매니폴드(1)는 제1 환형 요소(3) 및 제2 환형 요소(4)를 갖는 수용 본체(2)를 포함한다. 2개의 환형 요소(3, 4)는 환형 매니폴드(1)의 길이방향 축(L)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더욱이, 환형 매니폴드(1)는 제1 분배 슬리브(5)를 포함한다. 수용 본체(2)의 제1 환형 요소(3)는 제1 수용 챔버(6)를 가지며, 제1 수용 챔버는 내부 표면(7)을 갖는 관통 개구로서 길이방향 축(L)에 동축으로 형성된다. 수용 챔버(6)는 축방향으로 제1 환형 요소(3)를 통해 완전히 연장된다.
제1 분배 슬리브(5)는 플랜지 부분(8)과 슬리브 부분(9)을 갖는다. 플랜지 부분(8)에 의해, 제1 분배 슬리브(5)는 제2 환형 요소(4)로부터 멀리 있는 제1 환형 요소(3)의 일측면 상에 제1 환형 요소(3)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슬리브 부분(9)에 의해, 제1 분배 슬리브(5)는 제1 수용 챔버(6) 내에 수용된다. 제1 분배 슬리브(5)의 슬리브 부분(9)은 분배 홈(11)이 형성된 외부 표면(10)을 갖는다. 분배 홈(11)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1회 초과 1과 4분의 1 미만의 권선을 갖는다.
제1 수용 챔버(6)의 내부 표면(7)과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 사이에, 환형 간극 개구(13)로 개방되는 분배 챔버(12)가 형성된다.
제1 분배 슬리브(5)의 분배 홈(11)은 제1 단부(14) 및 제2 단부(15)를 갖는다. 제1 단부(14)(입구 단부)는 길이방향 축(L)에 관한 축방향으로 제2 단부(출구 단부)보다 환형 간극 개구(13)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다. 더욱이, 입구 단부(14)는 출구 단부(15)보다 플랜지 부분(8)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분배 홈(11)의 입구 단부(14)에는 연결 채널(16)에 의해 용융된 플라스틱이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채널은 제2 환형 요소(4)와 대면하는, 제1 환형 요소(3)의 표면(18)에 홈(17)에 의해 형성되고, 홈(19)은 제1 환형 요소와 대면하는, 제2 환형 요소(4)의 표면(20)에 형성된다. 표면(18, 20)에 의해, 제1 환형 요소(3)와 제2 환형 요소(4)는 서로 맞닿고, 홈(17, 19)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연결 채널(16)이 형성된다. 입구(21)로부터 시작하여, 연결 채널(16)은 제1 채널 분기부(22) 및 제2 채널 분기부(23)로 분기된다. 제1 채널 분기부(22)는 제1 연결 개구(24)로 이어지고, 제1 연결 개구는 제1 수용 챔버(6)의 내부 표면(7)에 병합되며 제1 분배 슬리브(5)의 분배 홈(11)의 입구 단부(14)와 정렬된다. 따라서, 제1 분배 슬리브(5)의 분배 홈(11)에는 용융된 플라스틱이 공급된다.
대안적으로, 연결 채널(16)은 또한 제1 분배 슬리브(5)에 배치될 수 있어, 분배 홈(11)이 내부로부터 공급된다.
입구 단부(14)로부터 시작하여, 분배 홈(11)의 깊이는 출구 단부(15)까지 연속적으로 감소된다. 이 방식으로, 분배 홈(11) 내에서 유동 방향을 따라 적어도 대략 일정한 압력 조건이 보장된다.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 뿐만 아니라 제1 수용 챔버(6)의 내부 표면(7)은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과 제1 수용 챔버(6)의 내부 표면(7)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분배 홈(11)으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거나 플랜지 부분(8)과 분배 홈(11) 사이에 배치된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의 영역에서,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은 제1 수용 챔버(6)의 내부 표면(7)에 밀봉 접촉한다. 또한, 이 밀봉 부분(25)은 분배 홈(11)의 중첩 부분들 사이로, 즉, 권선 방향에서 분배 홈(11)의 제1 단부(14)로부터 시작하여 중첩 부분의 일부를 따라 분배 홈(11)의 제2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추가로 연장된다. 밀봉 부분(25)의 경계(40)는 도 1에서 에지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용융된 플라스틱이 플랜지 부분(8)을 향한 방향으로 또는 분배 홈(11) 밖으로 환형 간극 개구(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출될 수 없다는 것이 보장된다.
여기에서 연장하는 부분에서, 즉 분배 홈(11)의 중첩 부분들 사이에서,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과 제1 수용 챔버(6)의 내부 표면(7)이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므로, 이 영역은 제1 분배 챔버(12)의 일부이다.
따라서, 용융된 플라스틱은 입구 단부(14)에서 분배 홈(11)으로 공급되고, 입구 단부(14)는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의 밀봉 부분(25)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입구 단부(14)의 영역에서, 용융된 플라스틱은 분배 홈(11)에서 유출될 수 없다. 이어서, 용융된 플라스틱은 권선 방향에서 분배 홈(11)의 출구 단부(15)를 향한 방향으로 유동한다. 용융된 플라스틱이 제1 분배 챔버(12)에 도달하자마자, 용융된 플라스틱은 분배 홈(11)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홈(11)의 중첩 영역에서, 용융된 플라스틱은 축방향에서 플랜지(8)에 가깝게 배치된 분배 홈(11)의 단부로부터 환형 간극 개구(13)에 대한 방향으로 유동한 다음, 용융된 플라스틱과 혼합되는데, 이 용융된 플라스틱은 출구 단부(15)의 영역에서 유동하고, 출구 단부(15)에 있는 분배 홈(11)의 영역으로부터 환형 간극 개구(13)까지 용융된 플라스틱의 일부와 함께 유동한다. 따라서, 용융된 플라스틱의 양호한 혼합이 달성되고 에지 형성이 방지된다. 분배 홈(11)의 중첩 영역이 아닌 나머지에서, 용융된 플라스틱은 분배 홈(11)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유동하고 몰딩에서 마킹 위험 없이 관형 몰딩(제품)을 직접 형성한다.
환형 매니폴드(1)는 또한 플랜지 부분(27) 및 슬리브 부분(28)을 포함하는 제2 분배 슬리브(26)를 갖는다. 플랜지 부분(27)에 의해, 제2 분배 슬리브(26)는 제2 환형 요소(4) 상의, 제1 환형 요소(3)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제2 환형 요소(4)의 측면 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슬리브 부분(28)은 제2 환형 요소(4)의 제2 수용 챔버(29) 내에 수용된다. 제2 수용 챔버는 제2 환형 요소(4)에 관통 개구로서 형성되며, 이 관통 개구는 축방향으로 제2 환형 요소(4)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고 내부 표면(33)을 형성한다.
제2 분배 슬리브(26)의 슬리브 부분(28)은, 제1 분배 슬리브(5)의 슬리브 부분(9)과 유사하게, 분배 홈(31)이 형성된 외부 표면(30)을 갖는다. 제2 분배 슬리브(26)의 슬리브 부분(28)은 제1 분배 슬리브(5)의 슬리브 부분(9)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2 분배 슬리브(26)의 외부 표면(30)은 이에 따라 또한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제2 분배 슬리브(26)의 외부 표면(30)의 원추 각도는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의 원추 각도와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다.
제2 분배 슬리브(26)의 분배 홈(31)은 제2 채널 분기부(23)에 의해 공급되고, 제2 채널 분기부는 제2 수용 챔버(29)의 내부 표면(33)의 제2 연결 개구(32)에 병합된다. 제2 수용 챔버(29)의 내부 표면(33)과 제2 분배 슬리브(26)의 외부 표면(30) 사이에, 환형 간극 개구(13) 내로 개방되는 제2 분배 챔버(34)가 형성된다.
제1 연결 개구(24) 및 제2 연결 개구(32)는 길이방향 축(L)의 직경 방향 반대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분배 슬리브(5)의 분배 홈(11)의 중첩 부분과 제2 분배 슬리브(26)의 분배 홈(31)의 중첩 부분은 직경 방향 반대쪽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일정한 관형 몰딩이 형성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제2 분배 슬리브(26)와 관련하여, 기능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 분배 슬리브(5)에 관한 설명을 참조한다.
제1 분배 슬리브(5)와 달리, 제2 분배 슬리브(26)는 슬리브(35)를 갖고, 슬리브는 축방향에서 슬리브 부분(28)으로부터, 제2 분배 슬리브(26)의 플랜지 부분(27)으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슬리브 부분(28)의 측면 상에서 연장되며 제1 수용 챔버(6), 제2 수용 챔버(29) 및 제1 분배 슬리브(5)의 중앙 보어를 통해 연장되므로, 슬리브(35)와 제1 분배 슬리브(5) 사이에 환형 유동 채널(37)이 형성되고, 환형 유동 채널로 환형 간극 개구(13)가 개방된다.
제2 환형 요소(4)는 길이방향 축(L)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관통 보어(38)를 갖는다. 제2 분배 슬리브(26)의 플랜지 부분(27)에는 길이방향 축(L)에 또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추가 관통 보어(39)가 제공된다. 제2 환형 요소(4)의 관통 보어(38) 및 제2 분배 슬리브(26)의 관통 보어(39)는 서로 정렬되고 연결 채널(16)의 입구(21)와 동일 높이에 정렬되며, 이에 따라 용융된 플라스틱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채널을 형성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환형 매니폴드(1)를 갖는 압출 파리손 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환형 매니폴드(1)는 중앙 보어(42)가 제공되는 하부 하우징 부분(41)에 연결된다. 제2 분배 슬리브(26)의 슬리브(35)는 하부 하우징 부분(41)의 중앙 보어(42)로 들어가서 유동 채널(37)을 추가로 형성한다.
슬리브(35)를 통해, 맨드릴(43)이 돌출되는데, 맨드릴은 하단부의 하부 하우징 부분(41)과 함께 관형 몰딩(제품)의 퇴출을 위한 환형 다이(44)를 형성한다. 맨드릴(43)은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축방향으로 조절 가능하여, 환형 다이(44)가 폐쇄될 수 있고 환형 다이(44)의 간극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1 환형 매니폴드
2 수용 본체
3 제1 환형 요소
4 제2 환형 요소
5 제1 분배 슬리브
6 제1 수용 챔버
7 제1 수용 챔버의 내부 표면
8 제1 분배 슬리브의 플랜지 부분
9 제1 분배 슬리브의 슬리브 부분
10 제1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
11 분배 홈
12 제1 분배 챔버
13 환형 간극 개구
14 제1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의 제1 단부(입구 단부)
15 제1 분배 슬리브의 분배 홈의 제2 단부(출구 단부)
16 연결 채널
17 홈
18 제1 환형 요소의 표면
19 홈
20 제2 환형 요소의 표면
21 입구
22 제1 채널 분기부
23 제2 채널 분기부
24 제1 연결 개구
25 밀봉 부분
26 제2 분배 슬리브
27 제2 분배 슬리브의 플랜지 부분
28 제2 분배 슬리브의 슬리브 부분
29 제2 수용 챔버
30 제2 분배 슬리브의 외부 표면
31 분배 홈
32 제2 연결 개구
33 제2 수용 챔버의 내부 표면
34 제2 분배 챔버
35 슬리브
36 제1 분배 슬리브의 중앙 보어
37 유동 채널
38 관통 보어
39 관통 보어
40 경계
41 하부 하우징 부분
42 중앙 보어
43 맨드릴
44 환형 다이
L 길이방향 축

Claims (11)

  1.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 파리손 헤드용 환형 매니폴드(1)이며,
    내부 표면(7)을 갖는 제1 수용 챔버(6)가 있는 수용 본체(2),
    분배 홈(11)을 갖는 외부 표면(10)이 있는 제1 분배 슬리브(5) -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는 제1 수용 챔버(6) 내에 수용됨 -, 및
    제1 수용 챔버(6)의 내부 표면(7)과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 사이에 형성되고 환형 간극 개구(13)로 개방되는 환형 제1 분배 챔버(12)를 포함하는, 환형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은 1회 초과 1.25회 미만의 권선을 갖는 단일의 나선형 분배 홈(1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의 분배 홈(11)은, 환형 간극 개구(13)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용융된 플라스틱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채널(16)에 의해 공급되는 제1 단부(14), 및 환형 간극 개구(13)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단부(15)를 갖고,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의 분배 홈(11)의 깊이는 제1 단부(14)로부터 제2 단부(15)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은 제1 분배 슬리브(5)의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과 제1 수용 챔버(6)의 내부 표면(7)은 제1 분배 챔버(12)의 영역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은, 환형 간극 개구(13)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분배 홈(11)의 측면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분배 홈(11)의 영역들 사이에서 제1 수용 챔버(6)의 내부 표면(7)과 밀봉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은, 제1 분배 슬리브(5)의 분배 홈(11)의 제1 단부(14)로부터 시작하여 중첩 영역의 일부를 따라 제2 단부(15)를 향한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분배 홈(11)의 영역들 사이에서 제1 수용 챔버(6)의 내부 표면(7)과 밀봉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매니폴드(1)는 제1 분배 슬리브(5)의 중앙 보어(36)를 통해 연장되는 슬리브(35)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슬리브(35)와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 사이에 환형 유동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간극 개구(13)가 상기 환형 유동 채널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매니폴드는,
    상기 수용 본체(2) 내의 제2 수용 챔버(29) - 상기 제2 수용 챔버(29)는 내부 표면(33)을 가짐 -,
    분배 홈(31)을 갖는 외부 표면(30)이 있는 제2 분배 슬리브(26) - 상기 제2 분배 슬리브(26)는 제2 수용 챔버(29) 내에 수용됨 -, 및
    상기 제2 수용 챔버(29)의 내부 표면(33)과 제2 분배 슬리브(26)의 외부 표면(30) 사이에 형성되고 환형 간극 개구(13)로 개방되는 환형 제2 분배 챔버(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분배 슬리브(26)의 외부 표면(30)은 1회 초과 1.25회 미만의 권선을 갖는 단일의 나선형 분배 홈(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과 제2 분배 슬리브(26)의 외부 표면(30)은 환형 매니폴드(1)의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의 외부 표면(10)의 원추 각도와 제2 분배 슬리브(26)의 외부 표면(30)의 원추 각도는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의 분배 홈(11)은 환형 간극 개구(13)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용융된 플라스틱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채널(16)에 의해 공급되는 제1 단부(14)를 가지며,
    상기 제2 분배 슬리브(26)의 분배 홈(31)은 환형 간극 개구(13)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용융된 플라스틱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채널(16)에 의해 공급되는 제1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분배 슬리브(5)의 분배 홈(11)의 제1 단부(14) 및 제2 분배 슬리브(26)의 분배 홈(31)의 제1 단부는 환형 매니폴드(1)의 길이방향 축(L)에 대해 직경 방향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매니폴드.
KR1020207015472A 2017-11-07 2018-11-05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 헤드용 환형 매니폴드 KR102357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0278.4 2017-11-07
EP17200278.4A EP3479993B1 (de) 2017-11-07 2017-11-07 Ringverteiler für einen extrusionskopf zur herstellung eines schlauchförmigen formling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PCT/EP2018/080203 WO2019091926A1 (de) 2017-11-07 2018-11-05 Ringverteiler für einen extrusionskopf zur herstellung eines schlauchförmigen formling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210A true KR20200074210A (ko) 2020-06-24
KR102357796B1 KR102357796B1 (ko) 2022-02-08

Family

ID=6026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472A KR102357796B1 (ko) 2017-11-07 2018-11-05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 헤드용 환형 매니폴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660798B2 (ko)
EP (1) EP3479993B1 (ko)
JP (1) JP6982178B2 (ko)
KR (1) KR102357796B1 (ko)
CN (1) CN111491774B (ko)
DK (1) DK3479993T3 (ko)
ES (1) ES2775052T3 (ko)
HU (1) HUE048954T2 (ko)
PL (1) PL3479993T3 (ko)
PT (1) PT3479993T (ko)
TW (1) TWI714902B (ko)
WO (1) WO20190919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751B1 (ko) * 2020-08-12 2022-02-17 권영익 압출 성형기용 금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5433A1 (en) * 1998-05-21 1999-12-22 Macro Engineering & Technology Inc. Extrusion of plastic materials in multilayer tubular film
JP2000071311A (ja) * 1998-09-03 2000-03-07 Mst Engineering Kk 押出成形装置用ダイ
JP2017061097A (ja) * 2015-09-25 2017-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パイラルダイおよびシームレスチューブの成形方法
JP2017080949A (ja) * 2015-10-26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環状ダイスおよびチューブ状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48751A (fr) * 1964-03-18 1966-01-10 Appareil vibrant pour la préfabrication de dalles tubulaires, rainurées ou pleines
US3947173A (en) * 1972-09-13 1976-03-30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Apparatus for extruding concentric plastic sheaths
US4182603A (en) * 1978-03-27 1980-01-08 Egan Machinery Company Multilayer tubular extrusion die
US4677006A (en) * 1985-05-29 1987-06-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eamless laminar article
JPH01188318A (ja) 1988-01-22 1989-07-27 Kuraray Co Ltd 環状ダイ
US5114333A (en) * 1989-10-10 1992-05-19 Hoover Universal, Inc. Die head for plastic with barrier forming material
US5393216A (en) * 1990-09-20 1995-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tubular extrusion head and a process for extruding tubular articles
DE4339671C2 (de) * 1993-11-23 1996-05-02 Battenfeld Fischer Blasform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chlauch- oder rohrförmigen Hohlstrange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E19643224C1 (de) * 1996-10-19 1998-08-06 Mueller Gmbh W Verteiler für einen Extrusionskopf zur Herstellung von schlauchförmigen Vorformlingen aus extrudierbarem Kunststoff
JP3647655B2 (ja) 1998-10-28 2005-05-18 株式会社クラレ スパイラルマンドレルダイおよびそれを用いた管状フィルムの成形方法並びにその成形フィルム
DE10001362C1 (de) 2000-01-14 2001-04-05 Windmoeller & Hoelscher Extruderdüsenkopf
US6343919B1 (en) * 2000-02-28 2002-02-05 Ricardo Pablo Rodriguez Modular plastics extrusion die
DE10107191A1 (de) * 2001-02-16 2002-09-05 Unicor Rohrsysteme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rohren
US6638461B2 (en) * 2001-07-27 2003-10-28 Pechiney Emballage Flexible Europe Hybrid disk-cone extrusion die module
EP1498254B1 (de) * 2003-07-15 2013-09-11 Kautex Maschinenbau GmbH Extrusionskopf
WO2005072051A2 (fr) * 2004-01-29 2005-08-11 Aisapack Holding S.A. Systeme de dosage de matiere plastique pour dispositif de production d'articles en matiere plastique
US20050167881A1 (en) * 2004-02-02 2005-08-04 Prem Anand Inline spiral extrusion head
EP2202046A1 (de) 2008-12-29 2010-06-30 W. Müller GmbH Verfahren, Extrusionskopf und 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eines schlauchförmigen Formlings aus extrudierbarem Kunststoff
JP5473347B2 (ja) * 2009-02-09 2014-04-16 グンゼ株式会社 押出成形金型
JP5379577B2 (ja) * 2009-06-29 2013-12-25 グンゼ株式会社 押出成形金型
DE102013105749B4 (de) * 2013-06-04 2015-09-03 W. Müller GmbH Extrusionsschlauchkopf für diskontinuierliches Schäumen
CA2843392C (en) * 2014-02-19 2020-08-25 Redetec Inc. Apparatus for extruding plastic materials
DE102014112714A1 (de) * 2014-09-03 2016-03-03 Windmöller & Hölscher Kg Wendevorrichtung für das Wenden einer Schmelze
EP3520990A3 (de) * 2015-06-01 2019-08-28 Promix Solutio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xtrudieren und homogenisieren von ringförmigen extrudat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5433A1 (en) * 1998-05-21 1999-12-22 Macro Engineering & Technology Inc. Extrusion of plastic materials in multilayer tubular film
JP2000071311A (ja) * 1998-09-03 2000-03-07 Mst Engineering Kk 押出成形装置用ダイ
JP2017061097A (ja) * 2015-09-25 2017-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パイラルダイおよびシームレスチューブの成形方法
JP2017080949A (ja) * 2015-10-26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環状ダイスおよびチューブ状物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751B1 (ko) * 2020-08-12 2022-02-17 권영익 압출 성형기용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9993A1 (de) 2019-05-08
US20200262123A1 (en) 2020-08-20
ES2775052T3 (es) 2020-07-23
CN111491774B (zh) 2022-06-03
KR102357796B1 (ko) 2022-02-08
HUE048954T2 (hu) 2020-09-28
JP2021501705A (ja) 2021-01-21
WO2019091926A1 (de) 2019-05-16
EP3479993B1 (de) 2020-01-01
PT3479993T (pt) 2020-03-23
JP6982178B2 (ja) 2021-12-17
US11660798B2 (en) 2023-05-30
TW201922450A (zh) 2019-06-16
DK3479993T3 (da) 2020-03-30
TWI714902B (zh) 2021-01-01
CN111491774A (zh) 2020-08-04
PL3479993T3 (pl) 2020-08-24
BR112020008729A2 (pt)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9886B1 (en) Injector nozzle and method
AU599048B2 (en) Extrusion head for extrusion molding
JP2562538B2 (ja) ブロー成形機用の貯えヘッド
JP2004504179A (ja) チューブラー多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4890994A (en) Apparatus for forming a parison with a view stripe
KR870008687A (ko) 리브형 파이프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14520690A (ja) 同心共押出ダイ、および多層熱可塑性フィルムの押出方法
US3985490A (en) Apparatus for extruding a homogeneous tubular length of soft thermoplastic material
JP2008509827A (ja) チューブラフィルムを製造するためのフィルムブロー成形型
KR102357796B1 (ko)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관형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 헤드용 환형 매니폴드
US3497582A (en) Plastic extrusion
US20030077347A1 (en) Head for coextruding a thermoplastic parison
JP2824665B2 (ja) 熱可塑性合成樹脂中空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217361B2 (ja) 押出吹込成形機用アキュムレータヘッド
US6551089B1 (en) Extrusion head with spiral-channel distributor element
US5055022A (en) Multiple parison extrusion device for producing laminar articles
KR100615921B1 (ko)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나선관 제조용 압출성형관, 이의 제조방법
EP0486735A1 (en) Die head for plastic with barrier forming material
US20040183224A1 (en) Extrusion head and extrusion method
KR100484617B1 (ko) 압출성형기용 압출다이 및 압출성형관의 제조방법
US5114333A (en) Die head for plastic with barrier forming material
JP2000141450A (ja) スパイラルダイ
CN115008719B (zh) 一种拼接共挤机头及具有该机头的挤出设备
WO2015016050A1 (ja) 成形機用クロスヘッド及びこれによるパリソン形成方法
JP2011046047A (ja) 押出成形金型、押出成形装置および医療用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