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034A -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 Google Patents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034A
KR20200061034A KR1020180146357A KR20180146357A KR20200061034A KR 20200061034 A KR20200061034 A KR 20200061034A KR 1020180146357 A KR1020180146357 A KR 1020180146357A KR 20180146357 A KR20180146357 A KR 20180146357A KR 20200061034 A KR20200061034 A KR 20200061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pouch
pouch film
die
st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494B1 (ko
Inventor
김지환
이상돈
최민승
여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4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494B1/ko
Priority to PL19157527T priority patent/PL3657585T3/pl
Priority to EP19157527.3A priority patent/EP3657585B1/en
Priority to CN201910127977.2A priority patent/CN109911326B/zh
Priority to US16/281,669 priority patent/US10749147B2/en
Priority to JP2019034993A priority patent/JP6587083B1/ja
Publication of KR2020006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3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01M2/027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6Battery-c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 성형장치로서, 성형부가 형성된 상면에 파우치필름이 배치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가 고정되는 다이홀더로 마련된 다이부재; 상기 다이에 배치된 상기 파우치필름이 고정되게 가압하는 스트리퍼와, 상기 스트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편으로 마련된 스트리퍼부재;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를 구비한 펀치플레이트와, 상기 펀치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으로 마련된 펀치부재; 및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1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상승시킴에 따라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POUCH FORMING DEVICE AND METHOD, PRODUCING FACILITY OF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우치 성형시 연신율을 점진적으로 증대시켜서 크랙 발생을 방지한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차전지는 전극탭을 구비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탭에 결합되는 전극리드, 상기 전극리드의 선단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부를 밀봉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케이스의 성형방법은 전지필름이 배치되는 다이, 상기 다이에 배치된 전지필름을 고정하는 스트리퍼, 및 상기 다이에 배치된 전지필름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지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전지케이스의 성형방법은 전지필름 성형시 국부적인 부분, 즉 상기 수용부의 꼭짓점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 10-2008-00818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우치필름을 가압하여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성형할 경우 파우치필름을 고정하는 스트리퍼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파우치필름의 연신율을 점진적으로 증대시켜서 상기 수용부를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수용부의 국부적인 부분, 즉 꼭짓점 부분의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성형부가 형성된 상면에 파우치필름이 배치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가 고정되는 다이홀더로 마련된 다이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다이에 배치된 상기 파우치필름이 고정되게 가압하는 스트리퍼와, 상기 스트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편으로 마련된 스트리퍼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를 구비한 펀치플레이트와, 상기 펀치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으로 마련된 펀치부재; 및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1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상승시킴에 따라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제1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파우치필름으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스트리퍼를 상승시켜서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완전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편은, 상기 펀치플레이트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스트리퍼에 연결되면서 상기 스트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이동봉과, 상기 펀치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복수개의 이동봉이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동봉을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2 구동편를 더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제2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제1 구동편과 상기 제2 구동편을 동시에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방법은 파우치필름을 성형부가 구비된 다이부재의 상면에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다이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파우치필름의 테두리면이 고정되게 스트리퍼부재로 가압하는 가압단계; 상기 성형부에 펀치를 삽입하여 상기 파우치필름의 표면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스트리퍼부재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서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 삽입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공정과, 상기 삽입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2 제어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삽입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펀치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여서 상기 펀치에 의한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3 제어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설비는 파우치필름을 성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된 파우치를 제조하는 파우치 성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성형장치는. 성형부가 형성된 상면에 파우치필름이 배치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가 고정되는 다이홀더로 마련된 다이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다이에 배치된 상기 파우치필름이 고정되게 가압하는 스트리퍼와, 상기 스트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편으로 마련된 스트리퍼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를 구비한 펀치플레이트와, 상기 펀치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으로 마련된 펀치부재; 및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1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상승시킴에 따라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2 구동편를 더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성형부가 형성된 상면에 파우치필름이 배치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가 고정되는 다이홀더로 마련된 다이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다이에 배치된 상기 파우치필름이 고정되게 가압하는 스트리퍼와, 상기 스트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편으로 마련된 스트리퍼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를 구비한 펀치플레이트와, 상기 펀치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으로 마련된 펀치부재; 및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2 구동편를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제2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이부재, 스트리퍼부재, 펀치부재 및 제어부재를 구비한 파우치 성형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즉, 파우치 성형시 상기 스트리퍼부재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펀치부재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파우치 성형시 연신율을 점진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파우치를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특히 파우치 성형시 국부적인 부분, 즉 파우치에 성형된 전극조립체 수용부의 테두리 또는 꼭짓점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를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3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방법에서 스트리퍼부재의 가압력과 포밍깊이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방법에서 펀치부재의 하강속도와 포밍깊이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설비의 실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의 실험예를 나타낸 결과표.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의 실험예에서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의 실험예에서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파우치]
파우치(10A)는 도 10,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전극조립체(20)를 수용하는 전극조립체 수용부(11)와,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11)를 밀봉하는 실링부(1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파우치(10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성형된다. 즉,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소정 면적을 가진 파우치필름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11)를 성형하고, 파우치필름의 타측면을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에 겹쳐지게 절곡하여 파우치(10A)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파우치필름을 가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할 경우 파우치필름을 고정하는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 수용부 성형시 연신율을 점진적으로 증대시켜서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의 국부적인 부분, 즉 테두리 또는 꼭짓점 부분을 크랙 발생 없이 성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파우치필름(10)이 배치되는 다이부재(110), 상기 다이부재(110)에 배치된 파우치필름(10)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스트리퍼부재(120), 상기 다이부재(110)에 배치된 파우치필름(10)를 가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부재(130) 및 상기 펀치부재(130)의 가압시 상기 스트리퍼부재(120)의 가압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파우치필름(10)의 연신율을 증대시키는 제어부재(140)를 포함한다.
다이부재
상기 다이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파우치필름(10)을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에 파우치필름(10)이 배치되는 다이(111)와, 상기 다이(111)가 고정되는 다이홀더(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111)는 상기 다이홀더(112)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면에는 파우치필름(10)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111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다이(111)는 상하로 적층되는 상부 다이(111A)와 하부 다이(111B)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다이(111A)는 상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성형부(111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다이(111B)는 상기 상부 다이(111A)에 배치되면서 상기 성형부(111a)의 하부를 마감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다이(111)는 다양한 크기, 모양 및 두께를 가진 성형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상부 다이(111A)를 하부 다이(111B)로부터 교체 장착하여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스트리퍼부재
상기 스트리퍼부재(120)는 다이부재에 배치된 파우치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다이부재(110)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다이(111)에 배치된 상기 파우치필름(10)이 고정되게 가압하는 스트리퍼(121)와, 상기 스트리퍼(1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편(122)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리퍼(121)는 상기 다이(111)의 상면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성형부(111a)와 동일한 크기의 관통홀(12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구동편(122)은 상기 스트리퍼(1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이동봉(122a)과, 상기 복수개의 이동봉(122a)을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바(122b), 및 상기 연결바(122b)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122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이동봉(122a)은 상기 스트리퍼(121)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균등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스트리퍼(121)를 상기 다이(110)를 기준으로 수직하게 하강시키거나 또는 상승시킨다. 특히 상기 복수개의 이동봉(122a)은 펀치부재(130)의 펀치플레이트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스트리퍼(121)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이동봉(122a)은 상기 펀치플레이트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스트리퍼(121)를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바(122b)는 복수개의 이동봉을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긴 사각 형태를 가지며, 저면에 상기 복수개의 이동봉(122a)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바(122b)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22b-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2b-1)에 실린더(122c)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실린더(122c)와 상기 연결바(122b)의 위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실린더(122c)를 상기 연결바(122b)에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상기 스트리퍼부재(120)는 실린더(122c)를 통해 연결바(122b)를 하강시키면, 연결바(122b)와 연동하여 복수개의 이동봉(122a)이 하강하고, 복수개의 이동봉(122a)에 의해 스트리퍼(121)가 하강하면서 다이(111)에 배치된 파우치필름(10)의 테두리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펀치부재
상기 펀치부재(130)는 상기 다이부재(110)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성형부(111a)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10)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131a)를 구비한 펀치플레이트(131)와, 상기 펀치플레이트(13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13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펀치부재(130)는 제2 구동편(132)에 의해 상기 펀치플레이트(131)가 하강하면, 상기 펀치플레이트(131)에 구비된 펀치(131a)가 상기 스트리퍼(121)의 관통홀(121a)을 통과한 후, 상기 성형부(111a)에 삽입되는데, 이때 성형부(111a)에 위치한 파우치필름(10)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성형부(111a)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 필름(10)에 성형부 형태의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할 수 있다.
제어부재
상기 제어부재(140)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1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상승시킴에 따라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재(140)는 파우치필름(10)의 테두리면 가압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파우치필름(10)의 테두리면 일부가 펀치(131a)와 함께 상기 성형부(111a)에 삽입되게 유도하며, 이에 따라 상기 파우치필름(10)에 성형되는 전극조립체 수용부(11)의 연신율을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11)를 크랙 발생없이 성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재(140)는 상기 펀치(131a)가 상기 성형부(111a)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41)와, 상기 감지센서(141)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구동편(122)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121)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다이(111)에 배치된 파우치필름(10)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어부(14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재(140)는 상기 펀치(131a)가 상기 성형부(111a)에 삽입되면, 이를 상기 감지센서(141)가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142)에 전달하고, 제어부(142)는 상기 감지센서(141)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구동편(122)을 점진적으로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구동편(122)과 연동하여 상기 스트리퍼(121)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다이(111)에 배치된 파우치필름(10)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이에 따라 스트리퍼(121)에 의해 가압된 파우치필름(10)의 테두리면 중 일부가 상기 펀치(131a)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성형부(111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신율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그 결과 파우치필름(10)에 전극조립체 수용부(11)를 크랙 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우치필름(10)을 가압하는 펀치(131a)의 가압력이 크게 발생할수록 상기 파우치필름(10)을 고정하는 스트리퍼(121)의 가압력은 크게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파우치필름(10)의 전극조립체 수용부의 연신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 성형시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재(140)는 상기 스트리퍼(121)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파우치필름(10)의 테두리면이 과도하게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품질문제 또는 이동력이 적어서 발생하는 품질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파우치필름의 테두리면을 균일하게 이동 및 연신시켜서 전극조립체 수용부의 품질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재(140)는 상기 펀치(131a)가 상기 성형부(111a)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파우치필름(10)으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스트리퍼(121)를 상승시켜서 상기 파우치필름(10)의 가압력을 완전해 제거하며, 이에 따라 상기 파우치필름에 성형된 전극조립체 수용부의 테두리 및 꼭짓점 부분의 연신률을 극대화하여 크랙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트리퍼(121)가 파우치필름(10)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별도의 스트리퍼(121)를 상승시켜야 하는 공정을 삭제할 수 있고, 그 결과 공정의 단순화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재(140)는, 상기 펀치(131a)가 상기 성형부(111a)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10)을 가압하면, 상기 제2 구동편(132)를 더 제어하여 상기 펀치(131a)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131)의 하강속도를 감소시킨다. 특히 상기 제어부재(140)는, 상기 제2 구동편(132)을 제어하여 상기 펀치(131a)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131)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펀치(131a)를 통한 상기 파우치필름(10)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파우치필름(10)을 점진적으로 연신시켜서 파우치필름에 성형되는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크랙 발생없이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재(140)는 상기 펀치(131a)가 상기 성형부(111a)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 구동편(122)과 상기 제2 구동편(132)을 동시에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파우치필름을 점진적으로 연신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파우치필름에 성형되는 전극조립체 수용부에 크랙 발생없이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100)는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될 경우 상기 스트리퍼(121)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상기 스트리퍼에 의해 고정된 파우치필름(10)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우치필름(10)의 연신율을 점진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파우치필름에 성형되는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크랙없이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재(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재(150)는 하부본체(151)와, 상기 하부본체(151)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이부재(110), 스트리퍼부재(120), 펀치부재(130) 및 제어부재(140)가 설치되는 상부본체(152)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100)는 상기 본체부재(150)를 통해 상기 다이부재(110), 스트리퍼부재(120), 펀치부재(130) 및 제어부재(14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100)를 이용한 성형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방법]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방법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파우치필름(10)을 성형부가 구비된 다이부재(110)의 상면에 배치하는 배치단계(S10), 상기 다이부재(110)의 상면에 배치된 파우치필름(10)의 테두리면이 고정되게 스트리퍼부재(120)로 가압하는 가압단계(S20), 상기 성형부에 펀치를 삽입하여 상기 파우치필름(10)의 표면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성형단계(S30) 및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스트리퍼부재(120)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서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어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배치단계(S10)는 다이부재(110)의 상면에 파우치필름(10)을 배치한다. 즉 상기 다이부재(110)는 성형부(111a)가 형성된 다이(111)와 상기 다이(111)를 고정하는 다이홀더(112)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111a)이 형성된 다이(111)의 상면에 파우치필름(10)을 배치한다.
상기 가압단계(S20)는 스트리퍼부재(120)로 상기 다이에 배치된 파우치필름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즉, 상기 스트리퍼부재(120)는 스트리퍼(121)와 제1 구동편(1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편(122)에 의해 상기 스트리퍼(121)가 하강하면서 상기 다이(111)에 배치된 파우치필름(10)의 테두리면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상기 펀치단계(S30)는 펀치부재(130)로 상기 성형부(111a)에 위치한 파우치필름(10)을 가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펀치부재(130)는 펀치(131a)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131)와 제2 구동편을 포함한다. 즉, 상기 펀치부재(130)는 상기 제2 구동편(132)에 의해 상기 펀치플레이트(131)를 하강시키면, 펀치플레이트(131)에 구비된 펀치(131a)가 상기 파우치필름(10)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성형부(111a)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10)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한다.
상기 제어단계(S40)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 삽입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공정과, 상기 삽입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2 제어공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부재(140)는 감지센서(141)와 제어부(14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제어공정은 펀치(131a)가 상기 파우치필름(10)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성형부(111a)에 삽입되면 이를 감지센서(141)가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142)에 삽입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제2 제어공정은 제어부(142)가 감지센서(141)의 삽입신호를 전달 받으면 제1 구동편(121)을 제어하여 스트리퍼(121)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킨다. 그러면 스트리퍼(121)에 고정된 파우치필름(10)의 가압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파우치필름(10)의 테두리면 중 일부가 상기 펀치(121a)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성형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연신되면서 연신율이 높아지게 되며, 그 결과 파우치필름(10)에 성형되는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크랙없이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재(140)는 펀치(131a)가 상기 성형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스트리퍼(121)에 의한 상기 파우치필름(10)의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며, 이에 따라 펀치(131a)가 상기 성형부에 완전히 삽입되는 과정에서의 파우치필름 연신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파우치필름(10)에 성형된 전극조립체 수용부의 테두리 및 꼭짓점까지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단계(S40)는 상기 제어부재(140)를 통해 상기 삽입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펀치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여서 상기 펀치에 의한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3 제어공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제어공정은 상기 제어부(142)를 통해 제2 구동편(132)를 제어하여 펀치플레이트(131)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펀치플레이트(131)와 함께 펀치(131a)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성형부에 위치한 파우치필름(10)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파우치필름(10)을 점진적으로 성형하여 크랙없이 전극조립체 수용부(11)를 성형할 수 있다.
정리하면,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상기 제2 제어공정에서 스트리퍼(121)의 가압력과 펀치(131a)가 성형부(111a)에 삽입되는 깊이는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 즉, 펀치(131a)가 성형부(111a)에 삽입되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스트리퍼(121)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킴에 따라 파우치필름의 연신영역을 확장할 수 있고, 그 결과 파우치의 국부적 연신율을 증대하여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3 제어공정에서 펀치(131a)의 하강속도와 펀치(131a)가 성형부(111a)에 삽입되는 깊이는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 즉, 펀치(131a)가 성형부(111a)에 삽입되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펀치(131a)의 하강속도, 즉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킴에 따라 파우치필름의 연신영역을 확장할 수 있고, 그 결과 파우치의 국부적 연신율 증대하여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방법은 파우치필름의 성형시 연신율을 점진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크랙 없이 성형할 할 수 있고, 그 결과 고품질의 파우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설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설비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설비는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파우치(10A)를 성형하는 파우치 성형장치(100)와, 상기 파우치(10A)에 전극조립체(2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파우치(10A)의 테두리면을 실링하여 이차전지(1)를 제조하는 실링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 성형장치(100)는 파우치필름이 배치되는 다이부재, 상기 다이부재에 배치된 파우치필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스트리퍼부재, 상기 다이부재에 배치된 파우치필름를 포밍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부재 및 상기 펀치부재의 포밍시 상기 스트리퍼부재의 가압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파우치필름의 인장력을 증대시켜서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파우치 성형장치(1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설비는 고품질의 이차전지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파우치필름이 배치되는 다이부재, 상기 다이부재에 배치된 파우치필름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스트리퍼부재, 상기 다이부재에 배치된 파우치필름를 포밍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부재는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를 구비한 펀치플레이트와, 상기 펀치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2 구동편를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펀치의 하강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파우치필름이 점진적으로 연신시켜서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험예]
비교예
비교예는 다이부재, 스트리퍼부재 및 펀치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에서 제어부재를 제외한 구성을 이용하여 파우치필름을 성형한다.
제조예
제조예는 다이부재, 스트리퍼부재, 펀치부재 및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의 모든 구성을 이용하여 파우치필름을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비교예 및 제조예는 동일한 파우치필름을 사용하고, 동일한 환경에서 파우치필름을 성형한다. 여기서 동일한 환경은 진공도: -98kPa, 스트리퍼부재의 압력: 4kg/㎠, 펀치부재의 초기 하강속도: 30mm/s, 압력 반비례 제어율: 95%, 및 펀치의 표면조도: 0.1s를 가진다.
연신율
상기 비교예 및 제조예를 통해 성형된 파우치필름의 불량여부를 측정한 결과 도 11과 같은 결과표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의 결과표를 참조하면, 상기 비교예는 펀치가 다이의 성형부 최상단에서 7mm 하강한 지점부터 파우치 필름에 크랙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는 펀치가 다이의 성형부 최상단에서 10mm 하강한 지점부터 파우치 필름에 크랙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조예는 상기 비교예 보다 3mm 더 하강한 후 크랙이 발생하였으며, 이와 같은 실험결과 상기 제조예는 상기 비교예 보다 연신율이 증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크랙발생 사진
상기 비교예 및 제조예에서, 펀치가 다이의 성형부 최상단에서 7mm 하강한 상태에서 성형된 파우치(10A)를 촬영한 사진을 도면으로 도시하면 도 12 및 도 13과 같다.
상기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10A)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 수용부(11)와 실링부(12)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11)는 꼭짓점에 크랙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10A)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 수용부(11)와 실링부(12)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11)는 꼭짓점까지 크랙없이 성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 제조예인 본 발명의 파우치 성형장치는 비교예 보다 파우치필름의 연신율이 증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결과 크랙 발생없이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100: 파우치 성형장치
110: 다이부재
120: 스트리퍼부재
121: 스트리퍼
122: 제1구동편
130: 펀치부재
131: 펀치플레이트
132: 제2 구동편
140: 제어부재
141: 감지센서
142: 제어부

Claims (15)

  1. 성형부가 형성된 상면에 파우치필름이 배치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가 고정되는 다이홀더로 마련된 다이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다이에 배치된 상기 파우치필름이 고정되게 가압하는 스트리퍼와, 상기 스트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편으로 마련된 스트리퍼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를 구비한 펀치플레이트와, 상기 펀치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으로 마련된 펀치부재; 및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1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상승시킴에 따라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제1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파우치 성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파우치필름으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스트리퍼를 상승시켜서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완전히 제거하는 파우치 성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편은, 상기 펀치플레이트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스트리퍼에 연결되면서 상기 스트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이동봉과, 상기 펀치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복수개의 이동봉이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동봉을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2 구동편를 더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감소시키는 파우치 성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제2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파우치 성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제1 구동편과 상기 제2 구동편을 동시에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파우치 성형장치.
  9. 성형부가 형성된 상면에 파우치필름이 배치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가 고정되는 다이홀더로 마련된 다이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다이에 배치된 상기 파우치필름이 고정되게 가압하는 스트리퍼와, 상기 스트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편으로 마련된 스트리퍼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를 구비한 펀치플레이트와, 상기 펀치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으로 마련된 펀치부재; 및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2 구동편를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제2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파우치 성형장치.
  11. 파우치필름을 성형부가 구비된 다이부재의 상면에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다이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파우치필름의 테두리면이 고정되게 스트리퍼부재로 가압하는 가압단계;
    상기 성형부에 펀치를 삽입하여 상기 파우치필름의 표면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스트리퍼부재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서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 삽입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공정과, 상기 삽입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2 제어공정을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삽입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펀치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여서 상기 펀치에 의한 상기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제3 제어공정을 더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방법.
  14. 파우치필름을 성형하여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형성된 파우치를 제조하는 파우치 성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성형장치는.
    성형부가 형성된 상면에 파우치필름이 배치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가 고정되는 다이홀더로 마련된 다이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다이에 배치된 상기 파우치필름이 고정되게 가압하는 스트리퍼와, 상기 스트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편으로 마련된 스트리퍼부재;
    상기 다이부재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에 전극조립체 수용부를 성형하는 펀치를 구비한 펀치플레이트와, 상기 펀치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으로 마련된 펀치부재; 및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1 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상승시킴에 따라 파우치필름의 가압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펀치가 상기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필름을 가압하면, 상기 제2 구동편를 더 제어하여 상기 펀치가 구비된 펀치플레이트의 하강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KR1020180146357A 2018-11-23 2018-11-23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KR102145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357A KR102145494B1 (ko) 2018-11-23 2018-11-23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PL19157527T PL3657585T3 (pl) 2018-11-23 2019-02-15 Urządzenie do formowania saszetki oraz sposób i linia produkcyjna do wytwarzania baterii akumulatorowej zawierającej urządzenie do formowania saszetki
EP19157527.3A EP3657585B1 (en) 2018-11-23 2019-02-15 Pouch forming device and method and facility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pouch forming device
CN201910127977.2A CN109911326B (zh) 2018-11-23 2019-02-20 包袋成型装置和成型方法、包括其的二次电池制造设备
US16/281,669 US10749147B2 (en) 2018-11-23 2019-02-21 Pouch forming device and method and facility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pouch forming device
JP2019034993A JP6587083B1 (ja) 2018-11-23 2019-02-27 パウチ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それを含む二次電池の製造設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357A KR102145494B1 (ko) 2018-11-23 2018-11-23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34A true KR20200061034A (ko) 2020-06-02
KR102145494B1 KR102145494B1 (ko) 2020-08-18

Family

ID=6544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357A KR102145494B1 (ko) 2018-11-23 2018-11-23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49147B2 (ko)
EP (1) EP3657585B1 (ko)
JP (1) JP6587083B1 (ko)
KR (1) KR102145494B1 (ko)
CN (1) CN109911326B (ko)
PL (1) PL3657585T3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876B1 (ko) * 2021-03-09 2021-11-04 주식회사 삼중 2차 전지 파우치 성형 장치
WO2022092719A1 (ko)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파우치 제조장치
WO2022103146A1 (ko) * 2020-11-10 2022-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2507910B1 (ko) * 2022-10-26 2023-03-07 조진홍 가압식 금형장치
WO2023075359A1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성형장치
WO2023121095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성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1226B1 (en) * 2018-11-09 2021-09-29 Lg Chem, Ltd. Pouch forming method and pouch forming device
CN110315595A (zh) * 2019-07-03 2019-10-11 重庆市维都利新能源有限公司 一种软包锂离子电池弧形切边装置
KR20210106254A (ko)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압연장치
KR102364860B1 (ko) * 2020-03-25 2022-02-18 (주)에이치아이디 에어 블로잉 및 흡입을 하이브리드로 이용한 2차 전지 파우치 성형 장치 및 이의 성형 방법
CN111883807B (zh) * 2020-06-30 2021-06-22 安徽南都华铂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扣式电池生产制造方法
KR20220054126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파우치 제조장치
KR20220160415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 장치
KR20230087864A (ko) * 2021-12-10 2023-06-19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프레스 성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428A (ko)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이스퀘어텍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성형장치
KR20080081845A (ko) 2007-03-06 2008-09-10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케이스의 성형 방법 및 성형 장치
KR20140104538A (ko) * 2013-02-18 2014-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지케이스
US20140260495A1 (en) * 2013-03-14 2014-09-18 Aida Engineering, Ltd. Drawing method and servo press system
WO2015045797A1 (ja) * 2013-09-26 2015-04-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絞り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9632A (en) 1980-02-27 1981-09-19 Hitachi Ltd Complex press working device
JPS62218113A (ja) 1986-03-20 1987-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金型保護装置
JPH02112900A (ja) * 1988-10-21 1990-04-25 Aida Eng Ltd 空圧式ダイクッション装置
JP3285943B2 (ja) * 1992-07-17 2002-05-27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プレス加工機の制御方法
EP0675419B1 (en) 1994-03-31 1999-05-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ress operating condition based on press operating environment and/or physical condition of blank
KR100243777B1 (ko) 1997-12-01 2000-02-01 최녹일 성형프레스의 가압력 조절장치
JP3750963B2 (ja) * 1998-02-26 2006-03-01 日本碍子株式会社 昇華性シートの充填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2050326A (ja) 2000-05-25 2002-02-15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池パッケージ用フィルムの絞り加工方法、ラミネートフィルムおよび電池の形成方法
JP2004146252A (ja) 2002-10-25 2004-05-20 Sony Corp 電池外装容器の成形方法および電池外装容器の成形装置
KR100473367B1 (ko) * 2002-12-30 2005-03-10 한국조폐공사 씨오비 릴상태의 칩 시험 장치 및 시험방법
EP1767659A1 (fr) * 2005-09-21 2007-03-28 ARCELOR Franc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ièce en acier de microstructure multi-phasée
CN201744566U (zh) * 2010-05-14 2011-02-16 广东国光电子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包装软壳的成型模具
JP5749476B2 (ja) 2010-11-25 2015-07-15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空気電池用外装ケースの製造方法
KR101443832B1 (ko) 2012-08-07 2014-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케이스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
JP2014083573A (ja) * 2012-10-25 2014-05-12 Futaba Corp プレス用金型、プレス装置、プレス方法
MX2022004690A (es) * 2013-09-24 2023-06-02 Nippon Steel Corp Dispositivo para manufacturar componente que tiene seccion transversal en forma de sombero.
WO2016006403A1 (ja) * 2014-07-10 2016-01-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ラミネートフィルムの成形装置及びラミネートフィルムの成形方法
KR101622921B1 (ko) * 2014-11-07 2016-05-20 한국정밀기계(주) 공작기계의 팔레트 이송용 후크 장치
KR101723742B1 (ko) 2015-09-25 2017-04-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분할 금형을 갖는 프레스 성형 장치
JP6344360B2 (ja) 2015-10-06 2018-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粉末成形装置の制御方法
KR102201640B1 (ko) * 2016-05-03 2021-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수납 부위를 깊게 성형할 수 있는 전지케이스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101904094B1 (ko) 2017-07-25 2018-10-04 주식회사 탑앤씨 이차전지용 파우치 필름 성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428A (ko)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이스퀘어텍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성형장치
KR20080081845A (ko) 2007-03-06 2008-09-10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케이스의 성형 방법 및 성형 장치
KR20140104538A (ko) * 2013-02-18 2014-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지케이스
US20140260495A1 (en) * 2013-03-14 2014-09-18 Aida Engineering, Ltd. Drawing method and servo press system
WO2015045797A1 (ja) * 2013-09-26 2015-04-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絞り加工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719A1 (ko)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파우치 제조장치
EP4238739A4 (en) * 2020-10-29 2024-03-27 Lg Energy Solution Ltd DEVICE FOR PRODUCING A SECONDARY BATTERY BAG
WO2022103146A1 (ko) * 2020-11-10 2022-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EP4129612A4 (en) * 2020-11-10 2023-11-22 LG Energy Solution, Ltd. TRAINING DEVICE AND POCKET TRAINING METHOD
KR102321876B1 (ko) * 2021-03-09 2021-11-04 주식회사 삼중 2차 전지 파우치 성형 장치
WO2023075359A1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성형장치
WO2023121095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2507910B1 (ko) * 2022-10-26 2023-03-07 조진홍 가압식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494B1 (ko) 2020-08-18
JP2020087902A (ja) 2020-06-04
US10749147B2 (en) 2020-08-18
EP3657585B1 (en) 2020-12-30
EP3657585A1 (en) 2020-05-27
US20200168853A1 (en) 2020-05-28
CN109911326A (zh) 2019-06-21
PL3657585T3 (pl) 2021-07-26
CN109911326B (zh) 2020-07-28
JP6587083B1 (ja) 2019-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494B1 (ko)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KR20150003358U (ko) 이차전지 파우치 성형 장치
CN105215198A (zh) 拉伸模
KR20190090289A (ko) 인쇄회로기판의 버형성 방지 성형금형
KR102446928B1 (ko) 이차 전지용 케이스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5048441B2 (ja) リード成型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213728694U (zh) 钣金加工折弯装置
WO2020184640A1 (ja) プレス装置及びプレス方法
KR20090019589A (ko) 프레스 금형
KR100726088B1 (ko) 판재의 성형성을 평가하기 위한 등이축인장변형 부가 방법
KR101365338B1 (ko) 박판 가공용 프레스 금형
JP3121691B2 (ja) プレス金型
JPS62282731A (ja) 絞り成形型装置
JP6686853B2 (ja) プレス成形装置
JP2009172612A (ja) プレス加工金型、及び加工板材の製造方法
CN214556776U (zh) 一种具有料片防错放功能的冲压模具
JP2016030266A (ja) 角型容器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US10478886B2 (en) Stamping method and stamping apparatus
JP2005067032A (ja) シート材の真空成形方法
JP2002248526A (ja) 順送り型
KR101897244B1 (ko) 금속 캡 드로잉 성형장치
KR20140002746A (ko) 기판 전단 방법 및 장치
KR101682146B1 (ko) 황지금형다이
JP3004633B1 (ja) クランプ装置
KR20130134325A (ko) 소재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