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254A - 이차전지 압연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압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254A
KR20210106254A KR1020200021208A KR20200021208A KR20210106254A KR 20210106254 A KR20210106254 A KR 20210106254A KR 1020200021208 A KR1020200021208 A KR 1020200021208A KR 20200021208 A KR20200021208 A KR 20200021208A KR 20210106254 A KR20210106254 A KR 20210106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piece
support piece
mol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하
박태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2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254A/ko
Priority to JP2022535962A priority patent/JP7405384B2/ja
Priority to US17/790,323 priority patent/US20230048828A1/en
Priority to CN202180007405.6A priority patent/CN114846661A/zh
Priority to PCT/KR2021/001902 priority patent/WO2021167302A1/ko
Priority to EP21756901.1A priority patent/EP4064399A4/en
Publication of KR2021010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3/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 B30B3/02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co-operating with a fixed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외형을 보정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로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차전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보정형틀이 구비된 지그부재; 및 상기 지그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되는 이차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보정형틀의 외형에 맞게 이차전지의 외형을 보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되는 이차전지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하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된 이차전지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외형을 보정하는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이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되는 이차전지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가압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압연장치{ROLL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 압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차전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차전지 압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에 내장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된다.
한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에 결합되는 전극리드, 상기 전극리드의 선단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파우치는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밀폐되게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파우치의 수용부 간의 간격으로 인해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수용부 사이의 빈 공간은 실링공정을 거치면서 이차전지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 10-87018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와 파우치의 수용부 사이의 빈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이차전지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이차전지의 표면 전체를 균일하게 압연하여 이차전지의 전체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차전지 압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외형을 보정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로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차전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보정형틀이 구비된 지그부재; 및 상기 지그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되는 이차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보정형틀의 외형에 맞게 이차전지의 외형을 보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되는 이차전지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하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된 이차전지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외형을 보정하는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이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되는 이차전지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가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편은, 가압롤러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지지편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편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편을 상기 지지편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지지편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편과, 상기 가압편의 양쪽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가이드홀에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상기 지지편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바닥판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봉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이 지지되면서 상기 지지편의 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걸림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은, 상기 승강봉의 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봉을 따라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지지편의 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정형틀은, 상기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정형틀은, 조립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형틀은, 상기 이차전지가 삽입되는 상기 보정형틀의 삽입공간에 결합되면서 상기 보정형틀의 삽입공간의 크기를 상기 조립형틀의 두께만큼 줄일 수 있다.
상기 조립형틀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복수개의 조립형틀은 상기 보정형틀의 삽입공간에 배치되되, 내측으로 사이즈가 줄어들게 겹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조립형틀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 압연장치는 지그부재와 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부재는 바닥판과 보정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지지편과 가압편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와 파우치 사이의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이차전지의 두께 증대를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이차전지의 전체 표면을 균일하게 가압하여 이차전지 전체를 동일한 두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압연장치에서 가압편은 가압롤러로 구비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지지편의 전체 표면에 균일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지편은 이차전지의 전체 표면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압연장치에서 가압부재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상기 가압편을 상기 지지편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압연장치에서 가압부재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지지편을 바닥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지지편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압연장치에서 승강수단은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지지편의 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편에 의해 이차전지가 과도하게 압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변형 및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압연장치에서 걸림편은 승강수단의 승강봉에 나사 결합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걸림편은 회전시 승강봉을 따라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지지편의 하강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압연장치에서 보정형틀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복수개의 조립형틀을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이차전지를 압연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
본 발명의 이차전지(10)는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1)와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12)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12)는 전극조립체(11)를 수용하는 수용부(12a)와 상기 수용부(12a)를 실링하는 실링부(12b)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차전지(10)는 전극조립체(11)와 파우치(12)의 수용부(12a)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면서 두께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차전지(10)는 압연공정을 통해 전극조립체(11)와 파우치(12)의 수용부(12a) 사이에 빈 공간을 제거하거나 또는 최소화하며, 이때 본 출원의 이차전지 압연장치를 사용한다.
즉, 본 출원의 이차전지 압엽장치는 이차전지의 전체 표면을 균일하게 가압하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 전체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하고, 그 결과 전극조립체(11)와 파우치(12)의 수용부(12a) 사이에 빈 공간을 제거하거나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이차전지 압엽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10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차전지를 압연하여 외형을 보정하는 것으로, 이차전지(10)가 배치되는 지그부재(110)와 상기 지그부재(110) 배치된 이차전지(10)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하게 가압하는 가압부재(120)를 포함한다.
지그부재
지그부재(110)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상면에 배치되고 이차전지(10)의 외형을 보정하는 하나 이상의 보정형틀(112)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11)을 긴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상면에 보정형틀(112)이 배치된다.
상기 보정형틀(112)은 사각틀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111)의 상면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보정형틀(112)은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파우치(12)의 수용부(12a)가 삽입되고 상부 외주면에 파우치(12)의 실링부(12b)가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지그부재(110)는 복수개의 이차전지(10)를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가압부재
가압부재(120)는 지그부재에 삽입된 이차전지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정형틀(112)에 삽입되는 이차전지(10)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하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보정형틀(112)에 삽입된 이차전지(10)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차전지(10)의 외형을 보정하는 지지편(121), 및 상기 지지편(121)이 상기 보정형틀(112)에 삽입되는 이차전지(10)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가압편(12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편(121)은 상기 바닥판(111)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마련되고, 상기 보정형틀(112)의 상면에 올려지면서 상기 보정형틀(112)에 삽입된 이차전지(10)의 상면을 지지한다. 이때 지지편(121)은 평평한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차전지(10)의 상면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하며, 이때 외부로부터 힘이 지지편(121)에 전달되면 지지편(121) 전체가 보정형틀(112) 방향으로 눌리면서 이차전지(10)의 상면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우치(12)의 수용부(12a)는 지지편(121)과 바닥판(111) 사이에서 압연되고, 파우치(12)의 수용부(12a)가 전극조립체(11)에 밀착되어 수용부(12a)와 전극조립체(11) 사이의 빈 공간을 제거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파우치(12)의 수용부(12a)가 보정형틀(112)의 삽입공간 형태로 변형되면서 이차전지의 외형을 균일하게 보정할 수 있다. 특히 파우치(12)의 수용부(12a)가 균일하게 눌리면서 이차전지(10)의 전체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압편(122)은 가압롤러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지지편(121)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회전함과 동시에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편(121)이 눌려지게 힘을 전달한다. 여기서 가압편(122)은 지지편(121)의 폭방향 길이와 대응되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가압편(122)에 밀착되는 지지편(121)의 폭방향 밀착부분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로 가압편(122)이 이동하면서 지지편(121)의 길이방향 전체에 동일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편(122)은 지지편의 표면에 구름 접촉되며, 이에 따라 지지편의 전체 표면에 균일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가압부재(120)는 보정형틀(112)에 삽입된 이차전지 전체 표면을 균일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차전지(10)의 전체 두께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압연장치(100)는 파우치와 전극조립체 사이의 빈 공간을 제거할 수 있고, 이차전지의 두께 증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이차전지의 전체 표면을 균일하게 압연하여 이차전지의 두께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가압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재(110)에 이차전지(10)를 배치한다. 즉, 지지부재(110)의 바닥판(111)에 구비된 보정형틀(112)의 상입공간에 이차전지(10)를 삽입한다. 그러면 보정형틀(112)의 삽입공간에 이차전지(10)에 포함된 파우치(12)의 수용부(12a)가 가입되고 보정형틀(112)의 상면에 파우치(12)의 실링부(12b)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압부재(120)를 통해 지지부재(110)에 배치된 이차전지(10)를 가압한다. 즉, 가압부재(120)의 지지편(121)을 보정형틀(112) 상면에 배치하면, 지지편(121)의 저면에 이차전지(10)의 상면 전체가 지지된다. 다음으로 가압부재(120)의 가압편(122)을 지지편(121)의 상면 일측에 위치시킨 다음, 가압편(122)을 지지편(121) 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지지편(121)의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가압편(122)이 이동하면서 지지편(121)의 전체 표면에 균일한 힘을 전달하고, 지지편(121)은 전달된 힘을 통해 이차전지(10) 전체 표면을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여 이차전지(10)를 압연하게 된다. 이때 압연된 이차전지(10)는 보정형틀(112)의 삽입공간에 맞게 변형됨과 동시에 두께가 감소하게 되고, 특히 파우치의 수용부와 전극조립체가 밀착되면서 빈 공간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부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100A)는 도 6 및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가압부재(120)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재(120)는 지지편(121)과 가압편(12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120)는, 상기 가압편(122)을 상기 지지편(121)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정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가압편(122)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편(121) 상면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지지편(121)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되는 가이드홀(123a)이 형성된 가이드편(123)과, 상기 가압편(12)의 양쪽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편(123)의 가이드홀(123a)에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홀(123a)을 따라 상기 지지편(121)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22a)를 포함한다.
즉, 가압편(122)은 가이드편(123)을 따라 상기 지지편(121)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정하게 이동하며, 이에 따라 가압편(122)은 지지편(121)을 항상 균일한 힘과 균일한 부분을 가압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차전지 압연장치에 의해 압연되는 이차전지의 외형을 동일하게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100)는 도 8 및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가압부재(120)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재(120)는 지지편(121)과 가압편(12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지지편(121)은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바닥판(111)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한다.
즉, 상기 승강수단은, 바닥판(111)의 상면에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121)이 도 8에서 보았을 때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봉(113)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승강수단은 지지편(121)과 바닥판(111)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고, 지지편(121)을 앞뒤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지편(121)을 상하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봉(113)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121)이 지지되면서 상기 지지편(121)의 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걸림편(114)을 포함한다.
즉, 상기 걸림편(114)은 상기 승강봉(113)에 결합되면 상기 지지편(121)이 상기 승강봉(113)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편(114)에 지지되며, 이에 따라 지지편(121)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지지편(121)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편(114)은 상기 승강봉의 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봉을 따라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며, 이에 따라 걸림펀(114)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지지편의 하강 높이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100C)는 도 10 및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지지부재(11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110)는 바닥판(111)과 보정형틀(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정형틀(112)은 조립형틀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형틀은, 상기 이차전지(10)가 삽입되는 상기 보정형틀(112)의 삽입공간에 결합되면서 상기 보정형틀(112)의 삽입공간의 크기를 상기 조립형틀의 두께만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이차전지(10)를 보정형틀(112)에 삽입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립형틀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3개의 조립형틀(112a)(112b)(112c)은 상기 보정형틀(112)의 삽입공간에 배치되되, 내측으로 사이즈가 줄어들게 겹치며, 이에 따라 상기 보정형틀(112)의 삽입공간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조립형틀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이에 따라 파우치의 수용부의 면적에 따라 보정형틀의 내부 공간 면적을 효과적으로 계산하여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압연장치(100C)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지지부재(11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110)는 바닥판(111)과 보정형틀(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정형틀(112)은, 상기 바닥판(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바닥판(111)에 결합돌기(111a)가 형성되고, 상기 보정형틀(112)에 상기 결합돌기(111a)에 결합되는 결합홈(112d)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111a)와 결합홈(112d)을 통해 보정형틀을 바닥판에 착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100: 이차전지 가압장치
110: 지그부재
111: 바닥판
112: 보정형틀
113: 승강봉
114: 걸림편
120: 가압부재
121: 지지편
122: 가압편
122a: 가이드돌기
123: 가이드편
123a: 가이드홀

Claims (12)

  1. 이차전지의 외형을 보정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로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차전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보정형틀이 구비된 지그부재; 및
    상기 지그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되는 이차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보정형틀의 외형에 맞게 이차전지의 외형을 보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되는 이차전지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하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된 이차전지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외형을 보정하는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이 상기 보정형틀에 삽입되는 이차전지의 상부면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가압편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은, 가압롤러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지지편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편에 힘을 전달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편을 상기 지지편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지지편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형성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편과, 상기 가압편의 양쪽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가이드홀에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상기 지지편의 상면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바닥판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봉으로 마련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봉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이 지지되면서 상기 지지편의 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승강봉의 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봉을 따라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지지편의 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정형틀은, 상기 바닥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정형틀은, 조립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형틀은, 상기 이차전지가 삽입되는 상기 보정형틀의 삽입공간에 결합되면서 상기 보정형틀의 삽입공간의 크기를 상기 조립형틀의 두께만큼 줄이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틀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복수개의 조립형틀은 상기 보정형틀의 삽입공간에 배치되되, 내측으로 사이즈가 줄어들게 겹치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조립형틀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이차전지 압연장치.
KR1020200021208A 2020-02-20 2020-02-20 이차전지 압연장치 KR20210106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08A KR20210106254A (ko) 2020-02-20 2020-02-20 이차전지 압연장치
JP2022535962A JP7405384B2 (ja) 2020-02-20 2021-02-15 二次電池圧延装置
US17/790,323 US20230048828A1 (en) 2020-02-20 2021-02-15 Rolling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CN202180007405.6A CN114846661A (zh) 2020-02-20 2021-02-15 用于二次电池的辊压装置
PCT/KR2021/001902 WO2021167302A1 (ko) 2020-02-20 2021-02-15 이차전지 압연장치
EP21756901.1A EP4064399A4 (en) 2020-02-20 2021-02-15 SECONDARY BATTERY COI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08A KR20210106254A (ko) 2020-02-20 2020-02-20 이차전지 압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54A true KR20210106254A (ko) 2021-08-30

Family

ID=7739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208A KR20210106254A (ko) 2020-02-20 2020-02-20 이차전지 압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48828A1 (ko)
EP (1) EP4064399A4 (ko)
JP (1) JP7405384B2 (ko)
KR (1) KR20210106254A (ko)
CN (1) CN114846661A (ko)
WO (1) WO20211673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96A1 (ko) *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를 제조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5790B2 (ja) * 2000-03-30 2010-05-19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JP2003157903A (ja) * 2001-11-20 2003-05-30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二次電池の製造方法
EP2546917B1 (en) * 2010-03-08 2018-04-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evice for treatment of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2013026173A (ja) * 2011-07-26 2013-02-04 Sanyo Electric Co Ltd ラミネート外装電池
WO2013191206A1 (ja) * 2012-06-21 2013-12-27 Scivax株式会社 ローラ式加圧装置、インプリント装置、ローラ式加圧方法
KR101816947B1 (ko) * 2013-10-30 2018-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가압 지그
KR101888211B1 (ko) * 2013-12-09 2018-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텝드 배터리 사행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910686B1 (ko) * 2014-01-28 2018-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가압방법
KR101713068B1 (ko) * 2014-03-13 2017-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활성화된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및 전지셀 제조방법
CN107949930A (zh) * 2015-09-03 2018-04-2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池
KR102265847B1 (ko) * 2017-03-23 2021-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활성화된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CN208028114U (zh) * 2018-03-06 2018-10-30 合肥恒宇新能源有限公司 一种聚合物电池整平装置
CN116914078A (zh) * 2018-03-28 2023-10-20 株式会社Aesc日本 锂离子电池用电极的制造方法
JP7085390B2 (ja) * 2018-04-09 2022-06-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KR102145494B1 (ko) * 2018-11-23 2020-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CN110061295A (zh) * 2019-03-29 2019-07-26 朱秀平 一种新能源汽车用的锂电池厚度整形装置
CN210821042U (zh) * 2019-06-03 2020-06-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施压升降装置及施压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96A1 (ko) *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를 제조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46661A (zh) 2022-08-02
US20230048828A1 (en) 2023-02-16
WO2021167302A1 (ko) 2021-08-26
JP7405384B2 (ja) 2023-12-26
EP4064399A4 (en) 2023-06-07
EP4064399A1 (en) 2022-09-28
JP2023507719A (ja)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526B1 (ko) 배터리 셀의 가압 장치
KR102015898B1 (ko) 2차전지셀 리드탭 절곡 장치
US11522258B2 (en) Electrolyte removing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KR102165327B1 (ko) 전극 리드 밀착용 지그 및 전극 리드 용접 방법
KR20210106254A (ko) 이차전지 압연장치
CN114302851B (zh) 电池运输设备
KR101243914B1 (ko) 전지 팩의 제조 장치
KR200467376Y1 (ko) 2차 전지 모듈자동화조립장치
CN116618572B (zh) 一种方形电池盖板自动铆压一体设备及其铆压系统
EP3486084A1 (en) Leveling device for preventing curling of pouch-type secondary battery
KR200493852Y1 (ko)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 접합 장치
KR102652673B1 (ko) 대상체 승강이송장치 및 승강이송방법
KR102177256B1 (ko) 전극의 굽힘 보정장치
KR102670092B1 (ko)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2024518994A (ja) パウチ型二次電池の2次シーリング装置
CN218317833U (zh) 料框及料框上下料机构
CN114206750B (zh) 电池运输设备
US20240170774A1 (en) Gap Adjustment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Sealing Equipment Including Same
KR102547503B1 (ko) 측면 터미널 각형 배터리 테이핑 장치
US20230158701A1 (en) Electrode Cutting Device and Method and Electrode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20029242A (ko)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US20230084862A1 (en) Guide hoppe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JP3997974B2 (ja) 鉛蓄電池の製造方法
KR20220045436A (ko) 전지셀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230067936A (ko) 원통형 전지케이스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전지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