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242A -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242A
KR20220029242A KR1020200111319A KR20200111319A KR20220029242A KR 20220029242 A KR20220029242 A KR 20220029242A KR 1020200111319 A KR1020200111319 A KR 1020200111319A KR 20200111319 A KR20200111319 A KR 20200111319A KR 20220029242 A KR20220029242 A KR 20220029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external
compensating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안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1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9242A/ko
Publication of KR20220029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10/0409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for cells with woun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의 형태 또는 사이즈를 보정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형태 또는 사이즈를 설정된 외측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외측 보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보정장치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일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일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일측 압착부를 구비한 외부 일측 보정부재;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타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타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타측 압착부를 구비한 외부 타측 보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CORRECTION FACILITY OF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의 외경 및 내경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및 전기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에 내장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된다, 그리고 상기 캔형 이차전지는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상기 캔의 개구부를 실장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는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제1 전극시트와 제2 전극시트이 젤리-롤 형태로 권취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전극조립체는 권취과정에서 외경 또는 내경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불량률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623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의 외경 또는 내경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의 형태 또는 사이즈의 균일화할 수 있고, 그 결과 불량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전극간 밀착력을 높일 수 있고, 전극과 분리막 사이의 공간을 균일화할 수 있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의 형태 또는 사이즈를 보정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형태 또는 사이즈를 설정된 외측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외측 보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보정장치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일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일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일측 압착부를 구비한 외부 일측 보정부재;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타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타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타측 압착부를 구비한 외부 타측 보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부 상면과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상면 일측 지지부와 하면 일측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이 타측부 상면과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상면 타측 지지부와 하면 타측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보정장치는, 상호 대응하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의 일단과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의 일단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보정장치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동시에 압착시키도록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를 서로 바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재는, 상호 대응하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의 타단과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의 타단을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 사이에 배치된 전극조립체를 압착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보정장치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를 가열하여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에 압착된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권취된 상태의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측 형태를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내측 보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정장치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일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일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내부 일측 보정부재;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타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타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내부 타측 보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정장치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을 상기 내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내부 타측 보정부재가 압착하도록 상기 내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내부 타측 보정부재를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착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봉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대되는 테이퍼 형태를 가지고, 상기 내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내부 타측 보정부재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내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내부 타측 보정부재를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일측 압착부와 타측 압착부의 표면에는 신축성을 가진 보호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는 외측 보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보정장치는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외부 타측 보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전체를 균등하게 압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극조립체를 균일화하여 제품성은 높이고 불량율은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전극간 밀착력을 높일 수 있고, 전극과 분리막 사이의 공간을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에서 외부 일측 보정부재는 상면 일측 지지부와 하면 일측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외부 타측 보정부재는 상면 타측 지지부재와 하면 타측 지지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전극조립체를 움직이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압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에서 외측 보정장치는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외부 타측 보정부재의 일단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보관성 및 분실 위험을 크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에서 외측 보정장치는 압착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외부 타측 보정부재를 통해 전극조립체의 외형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는 내측 보정장치를 더 포함함으로써 전극조립체의 권심 부분인 내면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의 형태 또는 사이즈 균일성하여 제품성은 높이고, 불량율은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보정설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보정설비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보정설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보정설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보정설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보정설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보정설비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보정설비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도 1을 참조하면,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젤리-롤 형태로 권취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10)는 권취 과정 또는 이송 과정에서 형태 또는 사이즈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는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10)를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의 형태 또는 사이즈를 균일화할 수 있고, 그 결과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10)의 외측 형태 또는 사이즈를 설정된 외측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외측 보정장치(110)와, 상기 전극조립체(10)의 내주면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10)의 내측 형태를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내측 보정장치(120)를 포함한다.
외측 보정장치
외측 보정장치(110)는 전극조립체의 외측 형태 또는 사이즈를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일측과 타측을 각각 압착하는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는 상기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 일측을 압착하는 일측 압착부(111a)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압착부(111a)는 설정된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 일측 형태 또는 사이즈를 가진다. 일례로, 상기 일측 압착부(111a)는 도 3을 참조하면, 반원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 일측을 반원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는 상기 일측 압착부(111a)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면 일측 지지부(111b)와, 상기 일측 압착부(111a)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면 일측 지지부(111c)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상면 일측 지지부(111b)는 상기 일측 압착부(111a)에 압착된 전극조립체(10)가 상기 일측 압착부(111a)의 상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지지하고, 상기 하면 일측 지지부(111c)는 상기 일측 압착부(111a)에 압착된 전극조립체(10)가 상기 일측 압착부(111a)의 하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는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 일측을 안정적으로 압착하여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는 상기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 타측을 압착하는 타측 압착부(112a)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 압착부(112a)는 상기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 타측을 설정된 전극조립체의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한다. 일례로, 타측 압착부(112a)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일측 압착부(111a)와 대칭되는 반원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 타측을 반원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는 상기 타측 압착부(112a)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면 타측 지지부(112b)와, 상기 타측 압착부(112a)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면 타측 지지부(112c)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상면 타측 지지부(112b)는 상기 타측 압착부(112a)에 압착된 전극조립체(10)가 상기 타측 압착부(112a)의 상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지지하고, 하면 타측 지지부(112c)는 상기 타측 압착부(112a)에 압착된 상기 전극조립체(10)가 상기 타측 압착부(112a)의 하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지지한다.
따라서 이에 따라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는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 타측을 안정적으로 압착하여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외측 보정장치(110)는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 양쪽을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로 압착함으로써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의 형태 또는 사이즈에 맞게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의 일측 압착부(111a)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의 타측 압착부(112a)는 전극조립체(10)를 0.05~0.2Mpa로 압착한다. 즉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는 전극조립체(10)를 0.05Mpa 이하로 압착하면, 전극조립체(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기 때문에 전극조립체(10)의 외형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는 전극조립체(10)를 0.2Mpa 이상으로 압착하면, 전극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또는 분리막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는 0.05~0.2Mpa 압력으로 전극조립체를 압착함으로써 전극조립체를 손상 없이 압착하여 형태 또는 사이즈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 보정장치(110)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를 통해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을 가열하는 가열부재(1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재(113)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를 가열하여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에 압착된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온도를 상승시키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재(113)는 상기 전극조립체(10)를 50℃~70℃까지 온도를 상승시키며, 바람직하게는 6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다. 한편, 상기 가열부재(113)는 상기 전극조립체(10)를 50℃ 이하로 상승시키면, 전극조립체(10)의 온도가 낮아서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변형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재(113)는 상기 전극조립체(10) 70℃ 이상 온도를 상승시키면 전극조립체(10)에 포함된 분리막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10)를 50℃~70℃까지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 형태 또는 사이즈를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되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재(113)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에 내장되는 열선으로 마련된다.
내측 보정장치
내측 보정장치(120)는 전극조립체(10)의 권심부분인 내주면에 발생한 변형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내측 보정장치(120)는 권취된 상태의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측 형태를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측 보정장치(120)는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과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는 설정된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일측 형태 또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일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일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한다.
상기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는 설정된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타측 형태 또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전극조립체(10)의 내주면 타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타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한다.
이때 상기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과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는 전극조립체(10)의 내주면을 1차 압착한 후, 소정각도 회전시키고, 전극조립체(10)의 내주면을 2차로 압착한다.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 내주면 전체를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상기 내측 보정장치(120)는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과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를 전극조립체(10)의 권신 부분에 삽입한 다음,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과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과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가 전극조립체(10)의 내주면 일측과 타측을 각각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보정장치(120)는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보정장치(120)는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과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착봉(1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압착봉(123)은 도 1을 참조하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테이퍼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진 압착봉(123)은 직경이 작은 하부를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과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 사이에 점진적으로 삽입하면,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과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극조립체의 내주면을 압착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 보정장치(120)는 압착봉(123)을 포함함으로써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과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극조립체의 내주면을 안정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보정장치(120)는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와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에 내장되는 가열부재(124)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재(124)는 상기 내측 보정장치(120)에 압착된 전극조립체(10)의 내주면을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킴으로써 전극조립체(10)의 내주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재(124)는 앞에서 설명한 외측 보정장치의 가열장치(113)와 동일한 구조와 설정온도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100)는 외측 보정장치(110)와 내측 보정장치(120)를 포함함으로써 전극조립체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량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외측 보정장치(110)와 내측 보정장치(120)는 다양한 형태 또는 사이즈를 가진다.
제1 예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측 보정장치(110)와 내측 보정장치(120)는 타원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타원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다.
제2 예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측 보정장치(110)와 내측 보정장치(120)는 모서리가 반원인 라운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모서리가 반원인 라운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다.
제3 예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측 보정장치(110)와 내측 보정장치(120)는 사각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사각 형태로 보정할 수 있다.
제4 예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측 보정장치(110)와 내측 보정장치(120)는 다각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다각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보정장치(110)와 내측 보정장치(120)는 동일한 형태로 조합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형태로 조합될 수도 있다. 예로, 타원형태의 외측 보정장치와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인 내측 보정장치가 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100)를 이용한 보정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방법]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방법은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을 외측 보정장치(110)를 통해 압착한다.
즉, 외측 보정장치(110)의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를 통해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을 압착한다. 그러면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은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의 내주면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된다.
다음으로 내측 보정장치(120)의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 및 압착봉(123)을 통해 전극조립체(10)의 내주면을 압착한다. 그러면 전극조립체(10)의 내주면은 내부 일측 보정부재(121)와 내부 타측 보정부재(122)의 외주면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방법은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설정된 형태 및 사이즈를 보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10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측 보정장치(110)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보정장치(110)는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 보정장치(110)는, 상호 대응하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의 일단과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의 일단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114)를 포함한다.
즉, 힌지부재(114)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의 일단과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의 일단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10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측 보정장치(110)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보정장치(110)는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 보정장치(110)는, 상기 전극조립체(10)의 일측과 타측을 동시에 압착시키도록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를 서로 바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착부재(115)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압착부재(115)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를 조임되게 함으로써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를 통해 전극조립체(10)의 외주면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일례로, 압착부재(115)는 볼트로 마련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의 타측과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의 타측에 나사 결합된다. 즉, 볼트의 조임시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의 타측과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의 타측이 밀착되면서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 사이에 위치한 전극조립체를 압착할 수 있다. 한편 볼트의 풀림시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의 타측과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의 타측이 벌어지면서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 사이에 위치한 전극조립체의 압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100)는 전극조립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압착하여 형태 및 사이즈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10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측 보정장치(110)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보정장치(110)는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와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111)는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일측을 압착하는 일측 압착부(111a)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112)는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타측을 압착하는 타측 압착부(112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 압착부(111a)와 타측 압착부(112a)의 내주면에는 신축성을 가진 보호층(116)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116)는 전극조립체(10)와 일측 압착부, 전극조립체와 타측 압착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보호층(116)은 일측 압착부(111a)와 타측 압착부(112a)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교체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보호층(116)은 다양한 두께과 형태를 가진 복수개의 보호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정된 전극조립체의 형태 또는 사이즈에 따라 일측 압착부(111a)와 타측 압착부(112a)에 교체 장착함으로써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100: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110: 외측 보정장치
111: 외부 일측 보정부재
112: 외부 타측 보정부재
113: 가열부재
114: 힌지부재
115: 압착부재
116: 보호층
120: 내측 보정장치
121: 내부 일측 보정부재
122: 내부 타측 보정부재
113: 압착봉

Claims (11)

  1. 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의 형태 또는 사이즈를 보정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형태 또는 사이즈를 설정된 외측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외측 보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보정장치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일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일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일측 압착부를 구비한 외부 일측 보정부재;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타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타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타측 압착부를 구비한 외부 타측 보정부재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부 상면과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상면 일측 지지부와 하면 일측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는, 상기 전극조립체이 타측부 상면과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상면 타측 지지부와 하면 타측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정장치는, 상호 대응하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의 일단과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의 일단을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정장치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동시에 압착시키도록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를 서로 바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상호 대응하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의 타단과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의 타단을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 사이에 배치된 전극조립체를 압착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정장치는,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를 가열하여 상기 외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외부 타측 보정부재에 압착된 전극조립체의 외주면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7. 청구항 1에 있어서,
    권취된 상태의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측 형태를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내측 보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정장치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일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일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내부 일측 보정부재;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타측을 압착하여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타측을 설정된 형태 또는 사이즈로 보정하는 내부 타측 보정부재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정장치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을 상기 내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내부 타측 보정부재가 압착하도록 상기 내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내부 타측 보정부재를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착봉을 더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압착봉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대되는 테이퍼 형태를 가지고, 상기 내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내부 타측 보정부재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내부 일측 보정부재와 상기 내부 타측 보정부재를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일측 압착부와 타측 압착부의 표면에는 신축성을 가진 보호층이 구비되는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KR1020200111319A 2020-09-01 2020-09-01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KR20220029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19A KR20220029242A (ko) 2020-09-01 2020-09-01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19A KR20220029242A (ko) 2020-09-01 2020-09-01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242A true KR20220029242A (ko) 2022-03-08

Family

ID=8081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319A KR20220029242A (ko) 2020-09-01 2020-09-01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92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335A (ko)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리롤 외경 자동 측정 장치 및 젤리롤 외경 자동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335A (ko)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리롤 외경 자동 측정 장치 및 젤리롤 외경 자동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1921B1 (en) Curved battery cell, and a battery pack employing the same
US7862928B2 (en) Can for a battery and battery using the same
CN101981748B (zh) 卷绕型电池和卷绕型电池的制造方法
US9768419B2 (en) Curve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681849B (zh) 制造弯曲二次电池的方法
EP2228848B1 (en) Cylinder type secondary battery with electrode tab protection
US6156080A (en) Method of fabricating an electrode used for a prismatic cell
KR101809689B1 (ko) 이차전지 셀의 가압 지그
US20170092926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70116562A (ko) 권회 장치
US20060240319A1 (en)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22536985A (ja) 電気化学デバイスに力を印加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
US8105713B2 (en) Electrode assembly with separated support tapes in secondary battery
WO2017047064A1 (ja) 二次電池、蓄電システム及び充放電方法
KR20220029242A (ko) 전극조립체용 보정설비
WO2014126408A1 (ko) 벤트 구조를 갖는 2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59780A (ko) 곡면을 갖는 이차 전지 제조 방법
US20110281153A1 (en) Battery
US20150228933A1 (en) Battery pack
KR102177256B1 (ko) 전극의 굽힘 보정장치
KR20200093956A (ko) 전극조립체 가열유닛, 그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장치 및 방법
KR102265219B1 (ko) 분리막 잉여부를 접합시키는 전지셀 제조방법
KR20210106254A (ko) 이차전지 압연장치
KR20000033228A (ko) 이차전지
KR102032814B1 (ko) 이차전지의 젤리롤 양단 압축 성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