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415A -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415A
KR20220160415A KR1020210068631A KR20210068631A KR20220160415A KR 20220160415 A KR20220160415 A KR 20220160415A KR 1020210068631 A KR1020210068631 A KR 1020210068631A KR 20210068631 A KR20210068631 A KR 20210068631A KR 20220160415 A KR20220160415 A KR 20220160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pouch
laminate sheet
stripp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철
김신철
강태원
김용남
고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68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0415A/ko
Priority to US18/027,550 priority patent/US20230373152A1/en
Priority to EP22811673.7A priority patent/EP4201641A4/en
Priority to PCT/KR2022/007518 priority patent/WO2022250482A1/ko
Priority to CN202280006586.5A priority patent/CN116670895A/zh
Publication of KR2022016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29C51/082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by shaping between complementary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4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29C51/262Clamping means for the sheets, e.g. clamp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6Battery-c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성형되는 수납부의 코너부 주름 발생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에 라미네이트 시트가 배치되는 다이부, 상기 성형다이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 시 상기 성형다이에 배치되는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 고정하는 스트리퍼 및 상기 성형다이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 시 상기 다이부의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납부를 형성하는 펀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부는 상부다이와 다이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다이와 상기 다이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심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 장치{Pouch forming device with improved pouch wrinkles}
본원발명은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부 다이와 다이플레이트 사이에 심부재가 위치한 파우치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 제조된 주름이 개선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형상에 따라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파우치형 전지가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파우치형 전지는 전지케이스가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전지를 의미하며,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는 구조이다. 도 1은 파우치형 전지(10)의 모식도로서, 파우치형 전지(10)는 전지케이스(20) 내부에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30)가 내장되어 있다. 전극조립체의 양극 및 음극 탭들이 두 개의 전극리드에 각각 용접되어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실링된다.
전지케이스(20)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제조되며, 전극조립체(3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23)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21)는 하부케이스(22)에 대응되며 전극조립체(30)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부(23)을 밀봉한다. 수납부(23)는 대응되는 형상의 펀치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 변형하여 제조한다. 펀치의 가압에 의해 수납부(23)를 성형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23)의 코너부(A)에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주름은 미관상의 문제점 뿐만 아니라 제조나 사용시 쉽게 파손되는 실질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특허문헌 1은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하는 스트리퍼의 가압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의 연신율을 점진적으로 증대시켜서 수용부의 꼭짓점 부분의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에서는 펀치, 다이에 배치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가 고정되게 가압하는 스트리퍼와, 상기 스트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편으로 마련된 스트리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가 다이의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면, 상기 제1구동편을 제어하여 상기 스트리퍼를 상승시킴에 따라 라미네이트 시트의 가압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은 펀치를 하향시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 시, 스트리퍼를 상승시키는 스트리퍼 구동편을 제어하는 제어부재가 추가되어, 파우치 성형장치 구조가 복잡하다.
특허문헌 2는 파우치의 컵부 형성시 파우치 필름에 작용하는 연신력을 균일하게 분산하여, 컵부에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는 파우치 성형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2는 다이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하 운동을 하고, 다이 상단에 배치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면에 접촉하는 블랙킹 홀더를 구비하여, 상단에 위치하는 라미네이트 시트 맞닿은 후 라미네이트 시트의 상단에서 하강하는 펀치와 함께 하강하면서 컵부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특허문헌 1 및 2는 파우치 케이스의 코너부 주름 형성을 방지하고자 하나, 기존의 파우치 성형장치 대비 장치 구성이 복잡하고, 파우치 성형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45494호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76631호 ('특허문헌 2')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압하여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수납부를 성형할 경우, 수납부 코너에서 발생하는 주름을 저감 혹은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성형장치 및 이에 의해서 제조된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상면에 라미네이트 시트가 배치되는 다이부, 상기 다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 시 상기 다이부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의 외주변을 가압 고정하는 스트리퍼, 및 상기 다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 시 상기 다이부의 중앙에 위치한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납부를 형성하는 펀치를 포함하는 파우치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부는 상부다이와 다이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다이와 상기 다이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다이는 내부의 빈공간으로서 상기 펀치가 삽입되어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납부를 형성시키는 상기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 주변을 구성하는 상부다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부재는 복수개로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심부재는 상기 성형부의 코너부와 인접한 상부다이 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심부재들은 상기 상부다이 프레임의 일변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심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이 구비되어 상기 다이플레이트 상면 및/또는 상기 상부다이 프레임의 하면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와 대면하는 상기 스트리퍼의 가압면은 상기 상부다이 프레임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스트리퍼의 가압면에는 제2가압부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와 대면하는 상기 스트리퍼의 가압면과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가 대면하는 상부다이 프레임 상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드로우 비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우 비드부는 복수개로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우 비드부는 상부 성형부의 코너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우 비드부는 소정길이의 직선 형상이고, 상기 성형부의 코너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파우치 성형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을 조합할 수 있는 가능한 조합으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다이부에 심부재를 부가함으로써 구성 및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파우치 수납부의 코너부 주름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전지의 크기에 따른 상부다이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는 파우치형 전지의 모식도이다.
도 2는 파우치형 전지의 수납부 코너부에 형성된 주름 사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의 다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리퍼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리퍼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이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1은 본원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또한, 모든 수치 범위는 명확하게 제외한다는 기재가 없는 한, 양 끝의 값과 그 사이의 모든 중간 값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원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치의 다이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100)는 상면에 라미네이트 시트(500)가 배치되는 다이부(400), 상기 다이부(400)에 배치된 라미네이트 시트(500)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스트리퍼(300), 상기 다이부(400)에 배치된 라미네이트 시트(500)을 가압하여 전극조립체 수납부를 성형하는 펀치(200)를 포함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펀치(200) 및 상기 스트리퍼(300)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펀치(200)는 다이부(4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성형부(412)에 삽입되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500)에 전극조립체 수납부를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펀치(200)를 상하 이동시키는 펀치 구동부 및 펀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펀치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상기 펀치(200)가 하강하면서 다이부(400)의 상단에 위치하는 라미네이트 시트(500)을 가압하여 성형부(412)의 내부로 삽입시켜, 라미네이트 시트(500)에 전극조립체 수납부가 형성된다.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리퍼(300)는 다이부(400)의 최상면에 배치되는 라미네이트 시트(5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이부(4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트리퍼(300)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스트리퍼(300)는 상부다이(410)의 상면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펀치(200)가 관통 가능한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부(400)는 상부다이(410)와 다이플레이트(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다이(410)는 다이플레이트(420)보다 동일하거나 적은 면적을 가진다. 상부다이(410)는 상부다이 프레임(411)과 상부다이 프레임(411)에 둘러싸여 상면에서 하단까지 관통된 형태의 전극조립체의 수납부를 형성할 수 있는 성형부(412)를 포함한다. 성형부(412)는 스트리퍼(300)의 홀 하단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펀치(200)가 하강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다이플레이트(420)는 상부다이 프레임(411)의 하면에 위치한다.
다이플레이트(420)의 상부다이 프레임(411)과 대면하는 면에서, 성형부(412)의 네개 코너부(미도시)와 인접하는 상부다이 프레임(411)의 부위와 대응되는 위치에 심부재(430)이 위치한다.
심부재(430)는 성형부(412)의 코너부를 형성하는 상부다이 프레임(411)의 두개 변과 대응되는 "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다이 프레임(411)의 한 개 변에 형성되는 두개의 코너부에는 한쌍의 대칭되는 형상의 심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심부재(430)를 "ㄱ"형태로 도시하였지만 "ㅡ"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심부재(4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심부재(430)에 의해서 상부다이(410)와 다이플레이트(420)는 이격된다. 펀치(200)가 하강하여 다이부(4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라미네이트 시트(500)을 가압하여 성형부(412)로 삽입시킬 시, 라미네이트 시트(500)가 성형부(412)의 중앙에서 하부방향(z축 방향)으로 최대한 안정적으로 연신되면서, 수납부의 코너부에서의 주름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심부재(430)는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심부재(430)의 두께는 20㎛ 이상이고 50㎛이하 범위일 수 있다. 20㎛보다 얇은 경우, 펀치(200)의 가압에 의한 라미네이트 시트(500)가 성형부(412)에 삽입되어 성형되는 수납부의 코너부에서 발생되는 주름을 방지하기 어렵고, 심부재의 두께가 50㎛보다 두꺼울 경우, 라미네이트 시트(500)가 성형부(412)의 중앙에서의 하부방향(z축 방향)으로 과도하게 연신되어 파단될 수 있다.
심부재(430)의 두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두께를 고려하여 변경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심부재(430)는 폭이 20mm 내지 30mm이고, 장변의 길이가 50mm 내지 70mm 이고, 단변의 길이가 30mm 내지 50mm 인 "ㄱ" 형태의 시편형태 일수 있고, 폭이 20mm 내지 30mm이고, 길이가 30mm 내지 70mm인 "ㅡ" 형태의 시편형태 일 수 있다. 상기 길이 범위 이하일 경우 라미네이트 시트(500)을 성형 시 수납부의 코너부에서 형성되는 주름을 방지하기 이렵과, 상기 길이 범위 이상일 경우, 다이부(400)의 성형부(412)에 안정적인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 심부재(430)는 상부다이(410) 및 다이플레이트(420)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심부재(430)는 강성이 높으면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스트러퍼(300)가 하강하여 상부다이(410)의 상단에 위치하는 라미네이트 시트(500)를 가압고정시 반복적으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심부재(430)가 파손되거나, 심부재의 양단에 위치하는 상부다이(410) 및 다이플레이트(420)에 대한 응력을 흡수하여 상부다이(410) 및 다이플레이트(420)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본원발명에서 상부다이(410)와 대면하는 심부재(430)의 상면 또는 다이플레이트(420)와 대면하는 심부재(430)의 하면 중 일면 이상에 점착층(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파우치 전지케이스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부다이(410)를 변경할 경우, 다이플레이트(420)의 상면에서 원하는 다양한 위치에 점착층이 포함된 심부재(430)를 고정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부다이(410)와 다이플레이트(420)는 탈부착이 용이한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고정 될 수 있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2단 스트리퍼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의 2단 스트리퍼(1300)는 제1스트리퍼(1310)와 제2스트리퍼(132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스트리퍼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리퍼(1300)는 제2스트리퍼(1320)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트리퍼(1310)의 홀(미도시)의 테두리와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제2스트리퍼(1320)이 위치한다. 제2스트리퍼(1320)는 제1스트리퍼(1310)의 상부다이와 대면하는 하면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2스트리퍼(1320)는 소정의 점착성을 가지는 탄성재질의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성을 가지는 탄성재질의 제2스트리퍼(1320)는 다이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대한 고정력을 증가시키고, 펀치의 하강에 의해 다이부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수납부의 코너부에서의 파우치 유입량을 제어하여 주름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리퍼 사시도이고, 도 8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이부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스트리퍼와 다이부가 상호 대면하는 면에 대응되는 비드부가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파우치 성형장치와 동일함으로, 스트리퍼와 다이부에 형성되는 비드부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는 스트리퍼와 다이부에 비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드부는 스트리퍼(2300)에 위치하는 제1비드부(610)와 다이부(2400)에 위치하는 제2비드부(6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비드부(620)는 다이부(2400)의 상부다이 프레임(2411)의 상면에 위치하고,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ㅡ"형 슬립의 형태일 수 있다. 상부다이의 성형부의 4개의 코너부에 각각 인접하여 위치하고, "ㅡ"형의 제2비드부(620)이 코너부를 이루는 상부다이 프레임(2411)의 두개의 변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위치한다.
다이부(2400)와 대면하는 스트리퍼(2300)의 하면은 제1비드부(610)이 위치하고, 상기 제2비드부(620)의 오목한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대응되는 볼록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비드부(610)는 상기 제2비드부(620)와 대응되게 위치한다.
제1비드부(610)는 볼록 형태이고, 제2비드부(620)는 오목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제1비드부와 제2비드부가 사이에 라미네이트 시트를 고정할 수 있다면 볼록 형태와 오목 형태는 상호 교차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1>
상부다이의 수용부 코너부와 인접하여 4개의 "ㄱ' 형태의 심부재를 상부다이와 다이플레이트 사이에 배치하였고, 심부재의 장변의 길이는 50mm이고, 단변의 길이는 30mm이다. 심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성형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형부에서 파우치의 하부방향(z 방향)으로의 최대변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두께가 20㎛인 심부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두께가 20㎛인 심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성형부에서 라미네이트 시트의 변위
심부재의 두께가 20㎛인 경우, 성형부 중앙부에서 라미네이트 시트의 최대 변위는 34㎛이고, 심부재의 두께가 30㎛인 경우, 성형부 중앙부에서 라미네이트 시트의 최대 변위는 5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심부재의 두께 대비 연신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변위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1스트리퍼와 제2스트리퍼로 구성되는 2단 스트리퍼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를 성형하여, 수납부의 코너부에서 라미네이트 시트의 두께 증가율을 확인하였다.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의 증가된 두께는 코너부에 형성되는 주름에 기인한 것이다.
<비교예 1>
제2스트리퍼를 포함하지 않는 제1스트리퍼로 구성되는 스트리퍼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수납부의 코너부에서 라미네이트 시트의 두께
제2스트리퍼를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스트리퍼를 이용할 경우, 수납부의 코너부의 두께는 2.24% 증가하였고, 제2스트리퍼를 포함하는 2단 스트리퍼를 사용할 경우, 수납부의 코너부의 두께는 1.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단 스트리퍼를 사용할 경우 코너부에 발생하는 주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 파우치형 전지
20: 전지케이스
21: 상부케이스
22: 하부케이스
23: 수납부
30: 전극조립체
100: 파우치 성형장치
200: 펀치
300, 1300, 2300: 스트리퍼
1310: 제1스트리퍼
1320: 제2스트리퍼
400, 2240: 다이부
410, 2410: 상부다이
411, 2411: 상부다이 프레임
412: 성형부
420, 2420: 다이플레이트
430: 심부재
500: 라미네이트 시트
610: 제1비드부
620: 제2비드부
A: 수납부 코너부
B: 코너부

Claims (14)

  1. 상면에 라미네이트 시트가 배치되는 다이부;
    상기 다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 시 상기 다이부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의 외주변을 가압 고정하는 스트리퍼; 및
    상기 다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 시 상기 다이부의 중앙에 위치한 성형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납부를 형성하는 펀치;를 포함하는 파우치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부는 상부다이와 다이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다이와 상기 다이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심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다이는 내부의 빈공간으로서 상기 펀치가 삽입되어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 수납부를 형성시키는 상기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 주변을 구성하는 상부다이 프레임;
    을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는 복수개로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파우치 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는 상기 성형부의 코너부와 인접한 상부다이 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는 파우치 성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는 상기 상부다이 프레임의 일변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파우치 성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이 구비되어 상기 다이플레이트 상면 및/또는 상기 상부다이 프레임의 하면에 탈부착 가능한 파우치 성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와 대면하는 상기 스트리퍼의 가압면은 상기 상부다이 프레임의 상면과 대면하고,
    상기 스트리퍼의 가압면에는 제2가압부가 부가되는 파우치 성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파우치 성형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와 대면하는 상기 스트리퍼의 가압면과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가 대면하는 상부다이 프레임 상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드로우 비드부가 배치되는 파우치 성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우 비드부는 복수개로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파우치 성형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우 비드부는 상기 성형부의 코너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파우치 성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우 비드부는 소정길이의 직선 형상이고, 상기 성형부의 코너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파우치 성형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우치 성형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파우치.
  14. 제13항에 따른 파우치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KR1020210068631A 2021-05-27 2021-05-27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 장치 KR20220160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31A KR20220160415A (ko) 2021-05-27 2021-05-27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 장치
US18/027,550 US20230373152A1 (en) 2021-05-27 2022-05-26 Pouch Shaping Apparatus Capable of Remedying Pouch Wrinkles
EP22811673.7A EP4201641A4 (en) 2021-05-27 2022-05-26 BAG MAKING APPARATUS FOR IMPROVED BAG Wrinkles
PCT/KR2022/007518 WO2022250482A1 (ko) 2021-05-27 2022-05-26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장치
CN202280006586.5A CN116670895A (zh) 2021-05-27 2022-05-26 能够修复袋褶皱的袋成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31A KR20220160415A (ko) 2021-05-27 2021-05-27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15A true KR20220160415A (ko) 2022-12-06

Family

ID=8422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631A KR20220160415A (ko) 2021-05-27 2021-05-27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73152A1 (ko)
EP (1) EP4201641A4 (ko)
KR (1) KR20220160415A (ko)
CN (1) CN116670895A (ko)
WO (1) WO20222504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494B1 (ko) 2018-11-23 2020-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KR102176631B1 (ko) 2017-11-28 2020-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성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519A (ja) * 1998-04-24 1999-11-09 Kawasaki Steel Corp ステンレス製多角筒ケースの高速深絞り加工方法
KR100586896B1 (ko) * 2004-07-30 2006-06-08 주식회사 이스퀘어텍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성형장치
JP5101906B2 (ja) * 2007-03-06 2012-12-19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池ケース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KR101208407B1 (ko) * 2010-10-04 201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목재 필름 및 그 성형 방법
WO2013058199A1 (en) 2011-10-18 2013-04-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2106872B1 (ko) * 2016-03-07 2020-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일 스프링의 압축량 조정 특성이 향상된 지그 장치
KR102029718B1 (ko) * 2017-01-19 2019-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의 수납부 크기에 따라 변형되는 구조의 지그
KR102263480B1 (ko) * 2017-04-17 2021-06-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예비 절단선이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31B1 (ko) 2017-11-28 2020-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성형 방법 및 장치
KR102145494B1 (ko) 2018-11-23 2020-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70895A (zh) 2023-08-29
US20230373152A1 (en) 2023-11-23
EP4201641A1 (en) 2023-06-28
WO2022250482A1 (ko) 2022-12-01
EP4201641A4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8128B2 (ja) 二次電池用電池ケース
KR102065098B1 (ko) 프레임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
KR101962526B1 (ko) 배터리 셀의 가압 장치
KR102029718B1 (ko) 전지케이스의 수납부 크기에 따라 변형되는 구조의 지그
KR100586896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성형장치
KR102197691B1 (ko) 플렉서블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가압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지셀 가압 장치
KR20190038094A (ko) 이차 전지의 파우치 성형 장치
US11179862B2 (en) No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JP7350418B2 (ja) パウチ型電池ケース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製造装置、並びにパウチ型二次電池
WO2018101079A1 (ja) 二次電池及び電池パック
KR101762669B1 (ko) 주름 방지용 부재가 부가되어 있는 전지셀
KR100870460B1 (ko) 프레임 부재의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US20140308577A1 (en)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US11305476B2 (en) Manufacturing device of battery case having improved manufacturing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EP4201640A1 (en) Pouch case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uch case
KR20220160415A (ko) 파우치 주름을 개선한 파우치 성형 장치
KR101688580B1 (ko)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US20200153025A1 (en) Pouch forming method and pouch forming device
KR102364860B1 (ko) 에어 블로잉 및 흡입을 하이브리드로 이용한 2차 전지 파우치 성형 장치 및 이의 성형 방법
JP2023530688A (ja) パウチと該パウチの成形装置、及び該パウチを含む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2268401B1 (ko) 전지 셀 고정 장치
JP7309257B2 (ja) 二次電池用外装材、及び二次電池用外装材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CN117940267A (zh) 软包的制造设备
EP4283764A1 (en) Pouch forming method
KR102231583B1 (ko)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