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456A - 셀프 세탁소 시스템 - Google Patents

셀프 세탁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456A
KR20200058456A KR1020207011041A KR20207011041A KR20200058456A KR 20200058456 A KR20200058456 A KR 20200058456A KR 1020207011041 A KR1020207011041 A KR 1020207011041A KR 20207011041 A KR20207011041 A KR 20207011041A KR 20200058456 A KR20200058456 A KR 2020005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user
user terminal
ser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타 타카나시
Original Assignee
워시플러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시플러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워시플러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5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washing or drying articles, e.g. clothes, motor c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과제]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 등을 실현하는 셀프 세탁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운전 지시 출력 제어를 시작하면 서버 30은 스텝 S1에서 사용자 단말기 51과 세탁소 기기 20 과 연계되고, 스텝 S2에서 인식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단계 S22에서 과금이 완료되면 서버 30은 스텝 S9에서 "뚜껑 잠금"버튼 76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11에서 "창문 불투명" 버튼 77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후 서버 30은 스텝 S13에서 세탁소 기기 20에 운전 개시 지시를 출력하는 운전 개시 지시 통제를 종료한다. 운전 개시 지시가 입력된 세탁소 기기 20은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 모드에서 운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근거하여 뚜껑 23 잠금과 유리창 22 불투명화를 실시한다.

Description

셀프 세탁소 시스템{SELF LAUNDRY SYSTEM}
본 발명은 셀프 세탁소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 등을 실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동전 결제식의 셀프 세탁소(이른바 코인 세탁실)에 방문한 사용자는 금전 투입기에 동전을 투입한 후 세탁기와 건조기에 부설된 각종 설정 단추나 시작 버튼을 조작하여 의류의 양과 종류에 따른 빨래나 건조를 한다(특허 문헌 1 참조).
사용자는 세탁기 및 건조기의 운전이 종료되는 것을 기다리는 동안 외부의 상점이나 식당에 가서 쇼핑이나 식사를 한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특허공개 2001-129300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허공개 2006-262942호 공보
사용자가 더욱 사용하기 좋은 코인 세탁소를 제공한다.
더 구체적인 과제의 일례로서 다음의 것이 있다.
코인 세탁소에는 다음에 열거하는 개선해야 할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
사용자는 동전 투입부가 막히는 것 등에 의해서 세탁기와 건조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실내 전화로 설치자에게 환불 등을 요구하지만 이러한 클레임 대응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세탁기나 건조기에 비교적 대량의 동전이 쌓이기 때문에 절도 등의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여성 사용자의 건조 중인 속옷 등을 뚜껑의 유리창으로 통해 훔쳐보거나 도난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건조기가 작동하는 동안 가게 밖으로 나오기 어렵다.
가게 밖에 있는 사용자는 빨래나 건조가 종료되었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방치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세탁소 기기의 가동률이 떨어진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휴대 단말기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도입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세탁소 기기의 각종 조작을 휴대 단말기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빨래나 건조가 종료한 경우 휴대 단말기에 통지하는 시스템을 고안했다.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도 대규모 세탁소에서는 다수의 세탁기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병행적으로 다루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에 입력할 때의 실수 등에 의해서 동일한 세탁소 기기를 복수의 사용자가 조작하려고 하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이며,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 등을 실현하는 셀프 세탁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의하면 세탁실 점포 내에 설치되어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가지고 있으면서 각각 고유한 식별 표시를 가진 복수의 세탁소 기기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통신을 실시하고 그 통신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세탁소 기기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갖춘 셀프 세탁소 시스템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식별 표시의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휴대폰을 소지한 사용자와 상기 세탁소 기기의 하나를 연계하는 연계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운전 요구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휴대 단말에 연계된 세탁기 동작 지시를 출력하는 동작 지시 출력 수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전기 제어 장치가 상기 연계 수단을 실행할 때 위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입력되는 원 타임 패스워드를 입력하여야 한다.
상기 식별 표시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촬영하기 위한 이차원 코드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전기 제어 장치의 통신이 인터넷을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탁소 기기는 뚜껑을 잠그는 수단을 가진 잠금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뚜껑 잠금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세탁소 기기에 뚜껑 잠금 지시를 출력하는 잠금 지시 수단을 가진다.
상기 세탁소 기기는 투명/불투명을 선택할 수 있는 유리창이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위에서 휴대 단말기로부터 창 불투명화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유리창을 흐리게 바꾼다.
상기 세탁소 기기의 운전 종료에 관한 통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보내는 종료 통지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의 측면에 따르면 세탁실 점포 내에 설치되어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가진 복수의 세탁소 기기 및 이용자의 휴대 단말과 통신을 실시하고, 그 통신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세탁소 기기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갖춘 셀프 세탁소 시스템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해당 휴대폰을 소지한 사용자와 상기 세탁소 기기의 하나를 연계하는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운전 요구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에 연계된 세탁기 동작 지시를 출력하는 동작 지시 출력 수단을 가진 상기 연계 수단은 해당 휴대폰을 소지한 사용자와 상기 세탁소 기기 사이에서 최고 단거리 통신으로 연결하고 전기 제어 장치는 해당 단거리 통신과는 다른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운전 요청 신호 입력을 받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더욱 활용하기 좋은 동전 세탁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제1실시 형태와 관련한 셀프 세탁소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제1실시 형태와 관련한 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 제1실시 형태로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제1실시 형태에서 운전 지시 출력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제1실시 형태로 인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제1실시 형태로 운전 코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제1실시 형태로 요금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제1실시 형태에서 종료 예고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제1실시 형태로 제1종료 예고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제1실시 형태로 제2종료 예고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 제1실시 형태로 오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 제1실시 형태로 오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 제1실시 형태에서 사용자 등급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 제1실시 형태로 순위 상승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 제1실시 형태로 순위 강등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 제2실시 형태와 관련한 셀프 세탁소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7] 제2실시 형태에서 운전 지시 출력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 제2실시 형태로 인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 제2실시 형태로 운전 코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 제2실시 형태로 요금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 제2실시 형태로 과금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 제2실시 형태로 잔액 부족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 제3실시 형태로 식별 코드를 읽은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 제3실시 형태에서 운전 지시 출력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 제3실시 형태로 인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 제3실시 형태로 운전 코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 제3실시 형태로 요금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실시 형태]
이하, 도 1 ~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 형태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어 장치에 운전 요구 신호 등의 송신이 원 타임 패스워드의 입력 및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 및 요금 지불이 신용 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 형태 구성>
도 1은 제1실시 형태와 관련한 셀프 세탁소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실시 형태와 관련한 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실시 형태와 관련한 셀프 세탁소 시스템 1은 세탁소 점포 10내에 설치된 세탁기와 건조기 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세탁기 20(20a, 20b, 20c)과 이들 세탁소 기기 20을 운전 제어하는 서버 30(제어 장치)을 가지고 있다.
각 세탁소 기기 20에는 각각 고유의 식별 표시로 QR코드가 표시되고 있다. 이 QR코드는 인쇄된 QR코드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스마트 폰(スマホ)을 비추어 주세요" 라고 되어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QR코드(2차원 코드)를 토대로 하여 설명한다. 어느 쪽이라도 그 단말기를 특정할 수 있어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또한 "스마트 폰을 비추어 주세요"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것(예컨대 "스마트 폰(スマトフォン)을 비추어주세요")또는 행 위치를 바꾸는 등에 의해서 도 1의 "스마트 폰을 비추어 주세요"라 하더라도 개개의 각 세탁소 기기 20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QR코드를 휴대 단말 51(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촬영함으로써 통신망(인터넷)등을 통해서 이 QR코드가 붙은 개개의 세탁기 20을 특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휴대 단말기 51과 촬영 대상 QR코드가 인쇄된 각각의 세탁기 20을 연계할 수 있다.
다만 QR코드를 복사함으로써, 세탁소 점포 10내에 사용자가 없어도 조작할 우려가 있다. 그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 51과 각 세탁소 기기 20이 이어졌을 때 각 세탁소 기기 20에 원 타임 패스워드 24a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24이 마련된다.이 원 타임 패스워드 24a를 사용자가 휴대 전화 51로 끈이 붙어 있음 처리를 완료시킨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가 확실하게 세탁소 기기 20 앞에 있는 것, 사용자가 세탁소 점포 내 10내의 다른 세탁소 기기 20 앞이 아님을 확인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또한 원 타임 패스워드 24a는 무작위로 생성되는 4자리 숫자의 조합이며,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30초 간격)으로 변화한다.
보다 발전적으로는 FeliCa(등록 상표)등에 의한 초근거리 무선 통신용 기기 측송수신기 25가 설치되어 휴대 단말 51에도 초근거리 무선 통신용 단말기 측송수신기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경우에는 단순히 정해진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스마트 폰을 비추어 주세요"라고 하는 표시 26)로, 휴대 단말기 51을 비추는 것에 의해서만, QR코드나 원 타임 패스워드 24a가 없더라도 연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세탁소 기기 20에는 투명 유리창 22을 가진 수동 개폐식의 뚜껑 23을 갖추고 있다. 각 세탁소 기기 20은 뚜껑 23을 잠그기 위한 전동식 잠금 기구(도면 표시 하지 않음)을 갖추고 있어 서버 3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 뚜껑 23을 폐쇄 상태로 잠근다. 유리창 22는 액정을 이용하는 순간 조광식으로 서버 3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서 투명/불투명으로 순식간에 바뀐다.
세탁 점포 10에는 Wi-Fi(등록 상표)규격에 의한 무선 LAN40이 설치되어 있다. 세탁소 점포 10안에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스마트 폰 등 : 이하 사용자 단말기라 함) 51은 이 무선 LAN40(혹은 3G회선)을 통해서 인터넷 60에 접속된다.서버 30은 유선 LAN41로 인터넷 60에 접속하고, 인터넷 6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 51과 세탁 점포 10 관리자의 단말기(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 폰 등 : 이하 관리자 단말기라 함) 52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세탁소 점포 10 밖에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 51은 3G회선을 매개로 인터넷 60에 접속된다.또한 무선 LAN40이 아니라 전화 통신망(장거리 통신)만을 사용하여 통신해도 좋다.
도 2와 같이 서버 30은 운전 모드나 사용자 정보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 31, 사용자 단말 51의 입력 신호 등에 근거한 판정 처리와 신호 출력하는 처리부 32와 처리부 32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세탁소 기기 20에 운전 지시 신호나 사용자 단말 51 및 관리자 단말 52 신호 등을 생성하는 신호 생성 부 33 등을 가지고 있다.
<제1실시 형태의 작용>
도 3은 제1실시 형태로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 형태에서 운전 지시 출력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실시 형태로 인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1실시 형태로 운전 코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실시 형태로 요금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실시 형태에서 종료 예고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제1실시 형태로 제1종료 예고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1실시 형태로, 제2종료 예고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1실시 형태로 오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1실시 형태로 오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1실시 형태에서 사용자 등급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1실시 형태로 순위상승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1실시 형태로 순위강등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사용자가 세탁소 점포 10의 세탁기 20을 처음 사용하는 경우, 자택 혹은 세탁 점포 10 내에서 세탁소 점포 10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셀프 세탁소 시스템 1 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 전용 앱이라고 함)을 사용자 단말기 51에 다운로드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51을 사용자 등록한다. 사용자 등록은 이름이나 주소, 휴대 전화 번호, 지불 정보(신용 카드 정보)를 서버 30에 등록하는 것이다.
세탁 점포 10에 방문한 사용자는 세탁 혹은 건조하는 의류의 종류나 양에 따라서 세탁소 기기 20을 선정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51로 전화 통신망(또는 무선 LAN40)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한 후에 전용 앱을 구동한다. 그 다음, 사용자 단말 51 카메라 등으로 선정된 세탁소 기기 20 에 붙어 있는 QR코드를 촬영한다. 그 결과 통신을 매개로 세탁소 기기 20과 임시 연결이 이루어진다.그렇게 하면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 51의 디스플레이 51a에 비밀 번호 입력 화면 65가 표시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세탁소 기기 20의 디스플레이 24에 표시된 원 타임 패스워드 24a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입력한다.이 원 타임 패스워드 24a의 식별 신호 Si, 세탁소 기기 20 또는 제어 장치에 전달되면서 정식으로 연계 설정이 완료된다.
또한 발전형으로서는 최고 단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 전화 51을 기기 측 송수신기 25에 가져가면, 사용자 단말 51 및 세탁소 기기 20에 대응되는 식별 신호 Si가 휴대 전화 51에서 발신되고 이 식별 신호 Si가 기기 측 송수신기 25를 경유하여 서버 30에 입력된다. 휴대 단말 51과 기기 측 송수신기 25는 수 cm이하의 거리로 통신을 실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계를 간단하게 완료하는 것도 장래에는 가능하다.
식별 신호 Si가 입력되면 서버 30은 도 4의 흐름도에 그 절차를 나타내는 운전 지시 출력 제어를 실행한다.운전 지시 출력 제어를 시작하면 서버 30은 그림 4단계 S1에서 세탁소 기기 20이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식별 신호 Si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 51과 세탁소 기기 20과 연계를 하고, 스텝 S2에서 무선 LAN40을 통해서 인식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인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5와 같이 "어서 오세요 ○ ○ 번째 세탁 건조기를 이용하시는군요. 괜찮으시다면, YES를 터치하세요"이라는 메세지 71과 "YES" 버튼 72가 화면 51a에 표시된다.
서버 30은 스텝 S3에서 사용자가 "YES" 버튼 72에 터치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 가 되면 스텝 S4에서 운전 코스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운전 코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6과 같이 선택된 세탁소 기기 20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버튼 73(73a~73d)과 "ENTER" 버튼 74가 화면 51a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의류의 종류나 양에 따라서 희망하는 "운전 코스" 버튼 73을 선택한 뒤 "ENTER" 버튼 74를 터치한다.
서버 30은 스텝 S5에서 사용자가 "ENTER" 버튼 74를 터치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6에서 요금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요금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7과 같이 "이용 요금은 ○ ○ ○ ○엔입니다. 의류를 투입하고 뚜껑을 닫으세요" 라는 메세지 75와 "뚜껑 잠금" 버튼 76 및 "창문 불투명" 버튼 77이 화면 51a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세탁소 기기 20의 운전 중에 뚜껑 23을 잠그고 싶거나 유리창 22을 흐리게 하고자 할 경우 "뚜껑 잠금" 버튼 76과 "창문 불투명" 버튼 77을 터치한다.
사용자가 요금 확인 및 "뚜껑 잠금" 버튼 76과 "창문 불투명" 버튼 77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 51을 기기 측 송수신기 25에 가져간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운전 요구 신호 Sd가 발신되고 이 운전 요구 신호 Sd가 인터넷 60을 경유하여 서버 30에 입력된다.
서버 30은 스텝 S7에서 사용자가 운전 요구 신호 Sd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8로 과금 처리를 한다. 과금 처리는 상기 지불 정보를 토대로 인터넷 60을 경유하여 신용 카드 회사 간에 통신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뤄진다.
스텝 S8에서 과금이 완료되면 서버 30은 스텝 S9에서 "뚜껑 잠금" 버튼 76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10에서 뚜껑 잠금 지시를 세탁소 기기 20에 출력한다. 이어서 서버 30은 스텝 S11에서 "창문 불투명" 버튼 77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12에서 창문 불투명 지시를 세탁소 기기 20에 출력한다.
이후 서버 30은 스텝 S13에서 세탁소 기기 20에 운전 개시 지시를 출력하는 운전 개시 지시 통제를 종료한다. 운전 개시 지시를 입력한 세탁소 기기 20은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 모드에서 운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 요구에 따라 뚜껑 23 잠금과 유리창 22 불투명화를 실시한다.
서버 30은 운전 지시 출력 제어의 각 지시나 과금 처리 결과를 순차적으로 관리자 단말 52에 송신한다. 이로써 관리자는 세탁소 점포 10내의 세탁기 20의 가동 상태나 매출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종료 예고 처리)
세탁소 기기 20이 운전을 시작하면 서버 30은 도 8의 흐름도에 그 순서를 나타내는 “종료 예고 처리”를 수행한다.
종료 예고 처리를 시작하면 서버 30은 도 8의 스텝 S31에서 운전 종료 시각인 10분 전이 되었는지 여부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판정한다.
그리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서버 30은 스텝 S32에서 인터넷 60을 경유하여 제1 종료 예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제1종료 예고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9와 같이 운전 종료까지 10분임을 나타내며 "10분 전입니다"이라는 메세지 91이 화면 51a에 표시되는 동시에 작은 음량에서 벨소리가 울린다. 또한 종료 예고 신호는 사용자가 세탁소 점포 10밖에 있더라도 3G회선이나 가게 밖의 무선 LAN을 통한 인터넷 6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 51에 수신한다.
다음으로, 서버 30은 스텝 S33에서 운전 종료 시각인 5분 전이 되었는지 여부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판정한다.
그리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서버 30은 스텝 S34에서 제2종료 예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제2종료 예고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10과 같이 운전 종료까지 5분임을 나타내는 "5분 전입니다"이라는 메세지 92이 화면 51a에 점멸 표시되는 동시에 벨소리 및 바이브레이터 기능이 작동한다.
이러한 기능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상점과 음식점에 가고 있던 사용자도 쇼핑이나 식사를 끝내고 세탁소 기기 20의 운전 종료 시각까지 세탁 점포 10에 돌아갈 수 있고 세탁소 기기 20의 가동률 향상 등이 실현된다.
서버 30은 운전 지시 출력 제어 등과 병행하며, 도 11의 흐름도에 그 절차를 나타내는 오류 처리를 상시 실행한다.
(오류 처리)
오류처리가 시작되면 오류 처리 서버 30은 도 11단계 S41에서 세탁소 점포 10내의 세탁기 20에서 오류 신호가 입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판정한다.
세탁소 기기 20에 특정 오류가 발생하고, 스텝 S41의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41에서 오류 정보 42(어느 세탁소 기기 20에서 어떠한 오류가 발생했는지)를 관리자 단말 52 및 관리 회사의 단말기(도 표시 없음)으로 전송하고, 스텝 S43에서 사용자 단말기 51 오류 신호를 송신한다.
오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12와 같이 "오류가 생겼습니다. 취소하고 의류를 꺼내세요" 이라는 메세지 101과 "취소" 버튼 102가 화면 51a에 표시된다.
관리자나 관리 회사는 오류 정보에 따른 세탁소 점포 10에 가서 해당 세탁소 기기 20의 사용 정지나 수리 등의 조치를 취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51의 화면 표시에 따라 "취소"버튼 92를 터치한다.
다음으로 서버 30은 스텝 S44에서 "취소" 버튼 102가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No에 있는 동안은 스텝 S44의 판정을 반복한다. 서버 30은 사용자에 의해서 "취소"버튼 102가 터치되어 스텝 S44의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45에서 운전 정지 신호를 세탁소 기기 20에 송신한다.
운전 정지 신호를 수신한 세탁소 기기 20에서는 세탁 드럼, 건조 드럼의 회전이 정지되고 세탁 중 혹은 헹굼 중이라면 배수가 된 뒤에 뚜껑 23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세탁소 기기 20에서 의류를 꺼내어 다른 세탁소 기기 20에서 세탁과 건조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 30은 스텝 S46에서 상기 과금 처리에 의한 과금을 취소(즉, 환불) 하고, 오류 처리를 종료한다.
(사용자 등급 처리)
서버 30은 사용자에 의한 세탁소 기기 20의 사용이 완료되면 도 13의 흐름도에 그 절차를 나타내는 사용자 등급 처리를 매회 실행한다. 사용자 등급 처리를 시작하면 서버 30은 도 13의 스텝 S51에서 사용자 단말기 51 포인트 추가 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포인트 추가 조건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세탁소 기기 20의 정지 후 5분 이내에 옷가지를 꺼낸 경우에 충족되고, 스텝 S51의 판정이 Yes일 경우, 서버 30은 스텝 S52에서 초기치 10의 사용자 포인트 Pu를 추가한다. 다음으로, 서버 30은 스텝 S53에서 사용자 포인트 Pu이 순위 상승치 Pru(예를 들어 15)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No라면 처리를 종료한다.
사용자 포인트 Pu이 순위 상승치 Pru에 이르고 스텝 S53의 판정이 Yes가 되면 서버 30은 스텝 S54에서 단계 업그레이드 작업을 실행한다. 즉 서버 30은 사용자 단말기 51을 소유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세탁소 기기 20의 예약이나 운전 설정(세탁 시간이나 건조 시간의 조정)의 변경 등을 허용하는 한편 레벨 상승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단계 업그레이드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14와 같이 「축하합니다 "프리미엄 사용자"가 되셨습니다. 세탁소 기기의 예약 운전 조건 설정 변경 등이 가능합니다」 라는 메세지 105가 화면 51a에 표시된다.
한편, 스텝 S51의 판정이 No일 경우, 서버 30은 스텝 S55로 포인트 감소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정한다. 포인트 감소 조건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세탁소 기기 20의 정지 후 15분 이내에 옷가지를 꺼내지 않은 경우(즉, 장시간 의류를 방치한 경우)에 성립되고, 스텝 S55판정이 Yes에 있으면 서버 30은 스텝 S56에서 사용자 포인트 Pu를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서버 30은 스텝 S57에서 사용자 포인트 Pu가 순위 강등치 Prd(예를 들어 5)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No라면 처리를 종료한다.
사용자 포인트 Pu가 순위 강등치 Prd까지 감소하고, 스텝 S57의 판정이 Yes가 되면 서버 30은 스텝 S58에서 순위 강등 처리를 수행한다. 즉 서버 30은 사용자 단말기 51을 소유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세탁소 기기 20의 예약이나 운전 설정(세탁 시간이나 건조 시간의 조정)의 변경 등을 할 수 없게 하고 순위 강등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순위 강등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15와 같이 "일반 사용자로 강등되었습니다. 세탁소 기기의 예약 운전 조건 설정 변경 등은 할 수 없습니다 " 라는 메세지 106이 화면 51a에 표시된다.
스텝 S55의 판정도 No, 예를 들면 사용자가 10분 정도에서 의류를 꺼내어 포인트 추가 조건과 포인트 감소 조건 어느 것에도 해당되지 않은 경우, 서버 30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사용자 등급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 등급 처리로 사용자에 의한 의류의 방치를 감소시키고, 세탁소 기기 20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 형태]
이하, 도 16 ~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제2실시 형태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운전 요구 신호 등의 송신이 식별 코드를 읽는 것 및 요금 지불이 선불 카드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실시 형태 구성>
도 16은 제2실시 형태와 관련한 셀프 세탁소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2실시 형태의 하드웨어는 상기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취하고 있지만 원 타임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용 수신기 등을 세탁소 기기 20에 갖추고 있지 않다. 도 16과 같이 각 세탁소 기기 20에는 각각 고유의 식별 코드가 인쇄된 라벨(이하 단순히 식별 코드와 기록) 21 (21a, 21b, 21c)이 붙어 있으며 식별 코드로는 QR코드(등록 상표) 등의 이차원 코드가 필요하다.
<제2실시 형태의 작용>
도 17은 제2실시 형태에서 운전 지시 출력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제2실시 형태로 인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제2실시 형태로 운전 코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제2실시 형태로 요금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제2실시 형태로 과금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제2실시 형태로 잔액 부족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사용자는 세탁소 점포 10의 세탁기 20을 처음 사용하는 경우 자택 혹은 세탁 점포 10내에서 세탁소 점포 10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셀프 세탁소 시스템 1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 전용 앱이라 함)을 사용자 단말기 51에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난 다음 사용자는 그 사용자 단말 51에 대해 사용자 등록을 실시한다. 사용자 등록은 이름이나 주소, 휴대 전화 번호, 지불 정보(선불 카드 코드)를 서버 30에 등록하는 것이다.
지불에 이용하는 선불 카드는 세탁소 점포 10 고유의 것이라고 좋으며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고 있는 일반적인 것이라도 좋다. 사용자가 선불 카드 코드를 입력하면 선불 카드의 액면이 충전되어 잔액 Bchg 으로 서버 30에 기억된다.
세탁 점포 10에 방문한 사용자는 세탁 혹은 건조하는 의류의 종류나 양에 따라서 세탁소 기기 20을 선정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51에서 무선 LAN40을 통해서 인터넷 접속한 후에 전용 앱을 켜고 그 세탁소 기기 20의 식별 코드 21을 내장 카메라에서 가져온다. 식별 코드 21을 읽은 사용자 단말기 51에서는 사용자 단말 51 및 세탁소 기기 20에 대응되는 식별 신호 Si가 발신된다. 식별 신호 Si는 인터넷 60을 경유하여 서버 30에 입력된다.
식별 신호 Si가 입력되면 서버 30은 도 17의 흐름도에 그 절차를 나타내는 운전 지시 출력 제어를 실행한다.
운전 지시 출력 제어를 시작하면 서버 30은 도 17 단계 S61 에 세탁소 기기 20 이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식별 신호 Si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 51과 세탁소 기기 20와 연계되고 스텝 S62에서 인식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인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18과 같이 "어서 오세요 ○ ○ 번째 세탁 건조기를 이용하시는군요. 괜찮으시다면, YES를 터치하세요"이라는 메세지 71과 "YES" 버튼 72가 화면 51a에 표시된다.
서버 30은 스텝 S63에서 사용자가 "YES" 버튼 72에 터치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64에서 운전 코스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운전 코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19와 같이 선택된 세탁소 기기 20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버튼 73(73a~73d)과 "ENTER" 버튼 74가 화면 51a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의류의 종류나 양에 따라서 희망하는 "운전 코스" 버튼 73을 선택한 뒤 "ENTER" 버튼 74를 터치한다.
서버 30은 스텝 S65에서 사용자가 "ENTER" 버튼 74에 터치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66에서 요금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요금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20과 같이 "이용 요금은 ○ ○ ○ ○엔입니다. 의류를 투입하고 뚜껑을 닫으세요" 라는 메세지 75와 "뚜껑 잠금"버튼 76 및 "창문 불투명" 버튼 77이 화면 51a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세탁소 기기 20의 운전 중에 뚜껑 23을 잠그고 싶거나 유리창 22을 흐리게 하고자 할 경우 "뚜껑 잠금“버튼 76과 "창문 불투명" 버튼 77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요금 확인 및 "뚜껑 잠금"버튼 76과 "창문 불투명"버튼 77의 선택을 마치면 세탁소 기기 20의 식별 코드 21을 내장 카메라로 다시 가져온다. 식별 코드 21를 읽은 사용자 단말기 51부터는 운전 요구 신호 Sd가 발신된다. 운전 요구 신호 Sd은 인터넷 60을 경유하여 서버 30에 입력된다.
서버 30은 스텝 S67에서 사용자가 운전 요구 신호 Sd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이 되면 스텝 S68에서 도 21의 흐름도에 그 순서를 나타내고 과금 처리를 한다.
(과금 처리)
과금 처리를 시작하면 서버 30은 도 21단계 S81에서 사용자의 충전 잔액 Bchg이 사용 요금 Fusg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이면 스텝 S82로 과금(충전 잔액 Bchg에 대한 사용 요금 Fusg의 감산)을 하고, 과금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81의 판정이 No일 경우, 서버 30은 스텝 S83에 잔액 부족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잔액 부족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22와 같이 "잔액이 부족합니다. 충전하세요" 라는 메세지 81과 "취소" 버튼 82가 화면 51a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선불 카드를 소지하고 있으면 선불 카드 코드를 입력하고 선불 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으면 세탁소 점포 10에서 선불 카드를 구입한다. 한편 선불 카드도 현금도 소유하지 않으면 "취소"버튼 82를 터치한다.
서버 30은 스텝 S84로 사용자에 의한 선불 카드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이면 스텝 S82로 이행하고 과금한다. 한편 스텝 S84의 판정이 No일 경우, 서버 30은 스텝 S85에서 "취소" 버튼 82가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No에 있는 동안은 스텝 S85판정을 반복한다.
서버 30은 사용자에 의해서 "취소" 버튼 82이 터치되어 스텝 S85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86에서 운전 지시 출력 제어 자체를 중단하고 과금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2에서 과금이 완료되면 서버 30은 도 17 단계 S69에서 "뚜껑 잠금"버튼 76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라면 스텝 S70에서 뚜껑 잠금 지시를 세탁소 기기 20에 출력한다. 이어서 서버 30은 스텝 S71에서 "창문 불투명" 버튼 77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이면 스텝 S72에서 창문 불투명 지시를 세탁소 기기 20에 출력한다.
이후 서버 30은 스텝 S73에서 세탁소 기기 20에 운전 개시 지시를 출력하는 운전 개시 지시 통제를 종료한다. 운전 개시 지시를 입력한 세탁소 기기 20은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 모드에서 운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근거하여 뚜껑 23 잠금과 유리창 22 불투명화를 실시한다.
서버 30 은 운전 지시 출력 제어의 각 지시나 과금 처리 결과를 순차적으로 관리자 단말 52 에 송신한다. 이로써 관리자는 세탁소 점포 10 내의 세탁기 20 의 가동 상태나 매출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세탁소 기기 20 이 운전을 시작하면 서버 30 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8의 흐름도에 그 순서를 나타내는 종료 예고 처리와 도 11의 흐름도에 그 절차를 나타내는 오류 처리를 실행한다.
[제3실시 형태]
이하 도 23 ~ 도 2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실시 형태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이 사용자의 버튼 조작(화면에 터치)으로 이뤄지는 것 및 요금 지불이 신용 카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제3실시 형태의 하드웨어는 상기 제2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 형태의 작용>
도 23은 제3실시 형태로 식별 코드를 읽은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제3실시 형태에서 운전 지시 출력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제3실시 형태로 인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은 제3실시 형태로 운전 코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제3실시 형태로 요금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사용자는 세탁소 점포 10의 세탁기 20을 처음 사용하는 경우, 자택 혹은 세탁 점포 10내에서 세탁소 점포 10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셀프 세탁소 시스템 1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 전용 앱이라 함)을 사용자 단말기 51에 다운로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그 사용자 단말 51에 대한 사용자 등록을 실시한다. 사용자 등록은 이름이나 주소, 휴대 전화 번호, 지불 정보(신용 카드 정보)를 서버 30에 등록하는 것이다.
세탁 점포 10에 방문한 사용자는 세탁 혹은 건조하는 의류의 종류나 양에 따라서 세탁소 기기 20을 선택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51에서 인터넷 접속한 후에 전용 앱을 켜고 그 세탁소 기기 20의 식별 코드 21을 내장 카메라에서 가져온다.
식별 코드 21를 읽은 사용자 단말기 51에서는 도 23과 같이 "식별 코드를 송신하나요. 괜찮으시다면 YES를 터치하세요. 또 다른 기계로 하는 경우에는 그 기계의 식별 코드를 읽어 주세요" 라는 메세지 111과 "YES"버튼 112이 화면 51a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YES"버튼 112에 터치하면,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사용자 단말 51 및 세탁소 기기 20에 대응되는 식별 신호 Si가 발신된다. 식별 신호 Si는 무선 LAN40을 통한 인터넷 60을 경유하여 서버 30에 입력된다.
식별 신호 Si가 입력하면 서버 30은 도 24의 흐름도에 그 절차를 나타내는 운전 지시 출력 제어를 실행한다.운전 지시 출력 제어를 시작하면 서버 30은 도 24단계 S91로 세탁소 기기 20이 다른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식별 신호 Si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 51과 세탁소 기기 20과 연계하고 스텝 S92로 인식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인식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25와 같이 "어서 오세요 ○ ○번째 세탁 건조기를 이용하시는군요. 괜찮으시다면, YES를 터치하세요"이라는 메세지 71과 "YES"버튼 72이 화면 51a에 표시된다.
서버 30은 스텝 S93에서 사용자가 "YES"버튼 72에 터치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94에서 운전 코스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운전 코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26과 같이 선택된 세탁소 기기 20에 대응하는 "운전 코스"버튼 73(73a~73d)과 "ENTER"버튼 74이 화면 51a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의류의 종류나 양에 따라서 희망하는 "운전 코스"버튼 73을 선택한 뒤 "ENTER"버튼 74를 터치한다.
서버 30은 스텝 S95에서 사용자가 "ENTER"버튼 74에 터치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96에서 요금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 51에 송신한다. 요금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51에서는 도 27과 같이"이용 요금은 ○ ○ ○ ○엔입니다. 의류를 투입하고 뚜껑을 닫으세요"이라는 메세지 75와 "뚜껑 잠금"버튼 76, "창문 불투명" 버튼 77, "운전 개시"버튼 78이 화면 51a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세탁소 기기 20의 운전 중에 뚜껑 23을 잠그고 싶거나 유리창 22을 흐리게 하고자 할 경우"뚜껑 잠금"버튼 76과 "창문 불투명"버튼 77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요금 확인 및 "뚜껑 잠금"버튼 76과 "창문 불투명"버튼 77의 선택을 마치면 "운전 개시"버튼 78을 터치한다. "운전 개시" 버튼 78이 터치된 사용자 단말 51부터는 운전 요구 신호 Sd가 발신된다. 운전 요구 신호 Sd은 인터넷 60을 경유하여 서버 30에 입력된다.
서버 30은 스텝 S97에서 사용자가 운전 요구 신호 Sd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가 되면 스텝 S98로 과금 처리를 한다. 과금 처리는 상기 지불 정보를 토대로 인터넷 60을 경유하여 신용 카드 회사 간에 통신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뤄진다.
스텝 S98에서 과금이 완료되면 서버 30은 스텝 S99에서 "뚜껑 잠금"버튼 76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이면 스텝 S100에서 뚜껑 잠금 지시를 세탁소 기기 20에 출력한다. 이어서 서버 30은 스텝 S101에서 "창문 불투명"버튼 77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이 Yes이면 스텝 S102에서 창문 불투명 지시를 세탁소 기기 20에 출력한다.
이후 서버 30은 스텝 S103에서 세탁소 기기 20에 운전 개시 지시를 출력하는 운전 개시 지시 통제를 종료한다. 운전 개시 지시를 입력한 세탁소 기기 20은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 모드에서 운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근거하고 뚜껑 23 잠금과 유리창 22 불투명화를 실시한다.
서버 30은 운전 지시 출력 제어의 각 지시나 과금 처리 결과를 순차적으로 관리자 단말 52에 송신한다. 이로써 관리자는 세탁소 점포 10 내의 세탁기 20의 가동 상태나 매출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세탁소 기기 20이 운전을 시작하면 서버 30은 제1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8의 흐름도에 그 순서를 나타내는 종료 예고 처리와 도 11의 흐름도에 그 절차를 나타내는 오류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으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은 끝났지만, 본 발명의 양태는 이것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제1실시 형태 및 제3실시 형태가 과금을 신용 카드에 의하도록 했지만, 선불 카드나 직불 카드, 휴대 전화 이용 요금 등에 의해서 하도록 해도 좋다.
제2실시 형태가 과금을 선불 카드로 하도록 했지만 신용 카드나 직불 카드, 휴대 전화 이용 요금 등에 의해서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세탁소 기기를 이용할 때마다 포인트를 부여하고 이 포인트를 이용 대금 일부를 충당하게 해도 좋으며, 사용자가 자택 등에서 인터넷에 접속하는 전용 앱을 기동시켜 어느 세탁소 기기가 비어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이면 셀프 세탁소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이나 운전 지시 출력 제어의 구체적 절차 등에 관해서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셀프 세탁소 시스템은 시중에 설치되는 셀프 세탁소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1 셀프 세탁소 시스템
10 세탁 점포
20 세탁소 기기
21 식별 코드
22 유리창
23 뚜껑
24a 원타임 패스워드
25 수신기
30 서버
40 무선 LAN
42 오류 정보
51 사용자 단말기
51 a화면
52 관리자 단말기
60 인터넷

Claims (1)

  1. 세탁실 점포 내에 설치되어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가지고 각각 고유의 식별 표시를 가진 복수의 세탁소 기기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 통신을 실시하여, 그 통신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세탁소 기기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갖춘 셀프 세탁소 시스템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식별 표시의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와 상기 세탁소 기기의 하나를 연계하는 연계 수단;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운전 요구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에 연계된 세탁기 동작을 지시를 출력하는 동작 지시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탁소 기기는,
    투명 또는 불투명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여, 투명인 경우에는 상기 세탁소 기기에 투입된 의류가 상기 세탁소 기기의 외부에서 보이고, 불투명인 경우에는 상기 세탁소 기기에 투입된 의류가 상기 세탁소 기기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유리창을 구비한 뚜껑; 및
    상기 뚜껑을 잠그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뚜껑 잠금 요구에 근거하여 상기 세탁소 기기에 뚜껑 잠금 지시를 출력하는 잠금 지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잠금 지시에 따라 상기 잠금 수단이 잠긴 후 상기 동작 지시에 따라 상기 세탁소 기기의 운전을 개시함과 아울러,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을 통해 전송된 창문 불투명화 요구에 근거하여 상기 유리창을 불투명하게 제어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세탁소 기기가 정지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세탁소 기기에 투입된 의류가 꺼내진 경우 사용자 포인트를 추가하고, 상기 세탁소 기기가 정지된 후 상기 의류가 꺼내지지 않은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도과하면 사용자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셀프 세탁소 시스템.
KR1020207011041A 2017-10-16 2017-10-16 셀프 세탁소 시스템 KR202000584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37367 WO2019077649A1 (ja) 2017-10-16 2017-10-16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568A Division KR20190056346A (ko) 2017-10-16 2017-10-16 셀프 세탁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456A true KR20200058456A (ko) 2020-05-27

Family

ID=661743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041A KR20200058456A (ko) 2017-10-16 2017-10-16 셀프 세탁소 시스템
KR1020187002568A KR20190056346A (ko) 2017-10-16 2017-10-16 셀프 세탁소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568A KR20190056346A (ko) 2017-10-16 2017-10-16 셀프 세탁소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11382B2 (ko)
JP (1) JP6938474B2 (ko)
KR (2) KR20200058456A (ko)
CN (1) CN111194368B (ko)
TW (1) TW201917248A (ko)
WO (1) WO2019077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7443B1 (en) * 2015-10-30 2019-11-26 Cool Dry, Inc. Hybrid RF/conventional clothes dryer
US10443182B2 (en) 2016-12-29 2019-10-15 Whirlpool Corporation Customer selection of desired remaining moisture in clothing via user interface at machine 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711382B2 (en) * 2017-10-16 2020-07-14 Wash-Plus Co., Ltd. Self laundry system
JP7350024B2 (ja) * 2017-10-16 2023-09-25 株式会社wash-plus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US11959214B2 (en) 2019-05-21 2024-04-16 Washhouse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10238787A1 (en) * 2019-05-26 2021-08-05 Nurpsphere Inc Appliance Comprising Weight Sensing Technology
JP7064244B2 (ja) * 2019-06-28 2022-05-10 旭精工株式会社 ランドリー店舗用の複数の二次元コード決済システムを使った電子マネーチャージシステム
CN112735052A (zh) * 2021-01-30 2021-04-30 广东小器点科技有限公司 衣物烘干智能结算费用的方法、衣物护理机及其系统
CN112726160B (zh) * 2021-01-30 2023-03-24 广东小器点科技有限公司 衣物护理机中断后续单的控制方法、衣物护理机及其系统
JP7359796B2 (ja) * 2021-03-17 2023-10-1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システム、並びに携帯情報端末及び洗濯機
EP4343051A1 (en) * 2021-05-18 2024-03-27 Wash-Plus Co., Ltd. Self-service laundry system
CN113389006B (zh) * 2021-06-25 2022-09-30 海信冰箱有限公司 洗衣机系统的控制方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300A (ja) 1999-11-01 2001-05-15 Solid:Kk コイン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JP2006262942A (ja) 2005-03-22 2006-10-05 Aruze Corp コインランドリー利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438B2 (ja) * 1986-07-17 1994-08-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ドライクリーニング装置
US5687322A (en) * 1989-05-01 1997-11-11 Credit Verificati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incentive point-of-sale marketing in response to customer shopping histories
US5386362A (en) * 1993-02-16 1995-01-31 Set-O-Matic, Inc. Management system for coin operated laundry machines
JP3197785B2 (ja) * 1995-05-15 2001-08-13 三洋電機株式会社 遠隔管理システム
US5799281A (en) * 1996-01-23 1998-08-25 E.L.M.S., Llc Computer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laundry installation
US5709040A (en) * 1996-12-04 1998-01-20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Exhaust air particulate contamination sensing for tumbler dryers
JP3733002B2 (ja) * 2000-03-31 2006-01-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ンドリーシステム
US6862496B2 (en) * 2000-03-31 2005-03-01 Sanyo Electronic Co., Ltd. Laundry system
KR100359827B1 (ko) * 2000-11-27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JP2002178879A (ja) * 2000-12-08 2002-06-26 Tadao Tanabe 自動車盗難防止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7146749B2 (en) * 2002-04-22 2006-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article treating apparatus with safety device and controller
US7096601B2 (en) * 2003-12-26 2006-08-2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drying system
JP2005202580A (ja) * 2004-01-14 2005-07-28 Oki Electric Ind Co Ltd 装置状況把握システム
JP4307325B2 (ja) * 2004-05-25 2009-08-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ンドリーシステム
DK1698725T3 (da) * 2005-03-04 2008-01-02 Electrolux Home Prod Corp Husholdningsmaskiner til at vaske og/eller törre töj
CA2508607C (en) * 2005-05-30 2007-09-11 Camco Inc. Clothes dryer door assembly
JP2008132257A (ja) * 2006-11-29 2008-06-12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9271899A (ja) * 2008-05-02 2009-11-19 Hiroyuki Kobayashi 顧客サービスシステム
CA2644885C (en) * 2008-11-25 2017-01-0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Enterprise wide system and methods for configuring, diagnosing, and updating appliances
US8528610B2 (en) * 2009-12-21 2013-09-10 Whirlpool Corporation Mechanically energized substance communication coupling system
KR101704421B1 (ko) * 2010-04-30 201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23266B1 (ko) * 2010-07-06 201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EP2423378B1 (en) * 2010-08-25 2013-04-1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treating machine
CN103020718A (zh) * 2011-07-12 2013-04-03 埃尔瓦有限公司 生态影响符合性
KR101252167B1 (ko) * 2011-08-18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US20130201316A1 (en) * 2012-01-09 2013-08-08 May Patents Ltd. System and method for server based control
KR20140007178A (ko) * 2012-07-09 2014-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시스템
KR20150081602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10400385B2 (en) * 2014-04-05 2019-09-03 Michael E. Brow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rticles of clothing
US10351986B2 (en) * 2014-12-05 2019-07-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aundry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detecting attached substance
US10487443B1 (en) * 2015-10-30 2019-11-26 Cool Dry, Inc. Hybrid RF/conventional clothes dryer
US10121029B2 (en) * 2016-05-06 2018-11-06 Google Llc Locating radio energy-producing tag
KR102602847B1 (ko) * 2016-06-03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951465B1 (en) * 2016-10-24 2018-04-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 and sensor assembly thereof
US10443182B2 (en) * 2016-12-29 2019-10-15 Whirlpool Corporation Customer selection of desired remaining moisture in clothing via user interface at machine 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711382B2 (en) * 2017-10-16 2020-07-14 Wash-Plus Co., Ltd. Self laundry system
US10526745B2 (en) * 2018-04-19 2020-01-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or for improved air flow in a dryer appli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300A (ja) 1999-11-01 2001-05-15 Solid:Kk コイン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JP2006262942A (ja) 2005-03-22 2006-10-05 Aruze Corp コインランドリー利用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346A (ko) 2019-05-24
CN111194368B (zh) 2022-04-01
JPWO2019077649A1 (ja) 2019-11-14
WO2019077649A1 (ja) 2019-04-25
TW201917248A (zh) 2019-05-01
US20190382940A1 (en) 2019-12-19
CN111194368A (zh) 2020-05-22
US10711382B2 (en) 2020-07-14
JP6938474B2 (ja) 202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8456A (ko) 셀프 세탁소 시스템
JP6938124B2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CN108352011A (zh) 用于商用洗衣服务的系统及设施
JP2023116693A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JP2005334150A (ja) ランドリーシステム
US20160292675A1 (en) Portabl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CN107003953A (zh) 管理对外围设备的访问
JP2024015209A (ja) ランドリー機器制御システム
US20020087351A1 (en) Method of managing use of an applian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JP2017140141A (ja) 衣類用金銭割引装置
JP2023129626A (ja) 店舗管理装置、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JP7350024B2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JP7399577B2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JP2023042283A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KR102370730B1 (ko) 키오스크와 세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0146342A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JP3223033U (ja) 決済システム
WO2017222470A1 (en) Method and system to activate a mode of a service station
JP2021058685A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JP7032010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施設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駐車場システム
US20240160870A1 (en) Self-service laundry system
KR20190136876A (ko) 직물 종류에 기반한 세탁 시스템 및 방법
WO2022244094A1 (ja) セルフランドリーシステム
JP2024058769A (ja) 金銭データの取引方法、ユーザー管理装置、店舗管理装置、取引管理システム
JP2017140142A (ja) 衣類用金銭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