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036A - 크레인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036A
KR20200057036A KR1020207011259A KR20207011259A KR20200057036A KR 20200057036 A KR20200057036 A KR 20200057036A KR 1020207011259 A KR1020207011259 A KR 1020207011259A KR 20207011259 A KR20207011259 A KR 20207011259A KR 20200057036 A KR20200057036 A KR 20200057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isting
pulley
hoisting devic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817B1 (ko
Inventor
테포 린드버그
헨리 헬키오
아테 라흐틴마키
헨리 코코
니코 라우카넨
Original Assignee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5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0Arrangements, e.g. comprising differential gears, enabling simultaneous or selective operation of travelling and hoisting gear; Arrangements using the same rope or cable for both travelling and hoisting, e.g. in Temperley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66C11/06Underhung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2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Pulleys (AREA)
  • Jib Cran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크레인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로서, 상기 호이스팅 장치는 크레인의 주지지 구조(2)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 트롤리(1)를 포함하되, 상기 트롤리(1)는 지지 프레임 구조(3);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물(3)에 고정되고, 그에 의해 상기 트롤리(1)가 상기 주지지 구조(2)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베어링 휠들(4); 권상 로프(6)를 위한 로프 드럼(5), 상부 도르래 배열(7) 및 하부 로프 풀리 배열(8)을 가지며, 그를 통해 상기 권상 로프(6)가 로프 드럼(5)으로부터 부착 지점(9)으로 안내될 수 있는 로프 풀리 장치, 및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권상 로프(6)와 협력하는 호이스팅 부재(10)를 가지는 호이스팅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로프 드럼(5)은 상기 트롤리의 지지 프레임 구조(3)에 지지되어 상기 로프 드럼(5)의 축(11)이 상기 주지지 구조(2)와 평행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호이스팅 장치에서, 상기 로프 드럼(5)으로부터의 권상 로프(6)의 이탈 지점(12), 도르래의 부착 지점(13), 및 권상 로프(6)의 제1 단부의 부착 지점(9)은 상기 호이스팅 장치의 동일한 수직 면(14) 상에 배열된다. 상기 로프 드럼(5)은, 상기 권상 로프(6)가 호이스팅 부재(10)의 상부 위치에서 감기어지는 되는 제1 단부(17) 및 상기 권상 로프(6)가 호이스팅 부재(10)의 하부 위치에서 풀리어지는 제2 단부(18)를 갖는다. 상기 로프 풀리 배열(8)의 제1 로프 풀리(8a)는, 상기 제1 로프 풀리(8a)로부터 제1 도르래(7a)로의 권상 로프의 방출 지점(15)이 상기 로프 드럼(5)의 축 방향에서, 상기 로프 드럼(5)의 제1 단부(17)보다 제2 단부(18)로부터 더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크레인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본 발명은 크레인의 주지지 구조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트롤리(trolley)를 포함하는, 크레인 호이스트(hoist)의 호이스팅 장치(hoisting arrangement)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롤리는, 프레임 구조; 상기 프레임 구조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트롤리가 상기 주지지 구조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베어링 휠; 권상 로프(hoisting rope)를 위한 로프 드럼, 상부 도르래(sheave) 배열 및 하부 로프 풀리(rope pulley) 배열을 구비하여 그것들을 통해 권상 로프가 로프 드럼으로부터 부착 지점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로프 풀리 배열, 및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권상 로프와 협력하는 호이스팅 부재(hoisting member)를 가지는 호이스팅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로프 드럼은 트롤리의 지지 프레임 구조에 지지되어 상기 로프 드럼의 축이 상기 주지지 구조에 평행하도록 구성되는 호이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크레인 유형은 레일(들) 상에서 동작하는 브리지, 상기 브리지에서 동작하는 트롤리, 및 상기 트롤리에 고정된 하중용 호이스트로 구성되는 브리지 크레인(bridge crane)이다. 브리지 크레인의 호이스트는 일반적으로 로프 크레인(rope crane)이다. 이것은 사용 가능한 작업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크레인의 유용성에 중요하다.
이 경우,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는 가용한 자유 높이를 활용하여 가능한 한 높은 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로프 장치는 제조하기에 경제성이 있어야 하는데, 호이스트가 그의 상부 위치에 있을 경우 그 로프의 힘이 더 고비용의 로핑에 대한 요구에 따라 증가하여서는 안 된다. 상기 로프 장치는 또한 신뢰성이 있어야만 하는데, 예를 들면, 그 호이스트가 그의 상부 위치에 있을 경우, 호이스팅 갈고리 및 풀리가 그들의 측면으로 넘어질 위험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술하는 독립 청구항에 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은 크레인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에 기초한다. 상기 호이스팅 장치는 크레인의 주지지 구조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트롤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트롤리는, 지지 프레임 구조;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트롤리가 상기 주지지 구조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베어링 휠; 권상 로프를 위한 로프 드럼, 상부 도르래(sheave) 배열 및 하부 로프 풀리(rope pulley) 배열을 구비하여 그들을 통해 권상 로프가 로프 드럼으로부터 부착 지점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로프 풀리 배열, 및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권상 로프와 협력하는 호이스팅 부재를 가지는 호이스팅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로프 드럼은 트롤리의 지지 프레임 구조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로프 드럼의 축이 상기 주지지 구조와 평행하도록 구성된다. 호이스팅 장치에서, 로프 드럼으로부터의 권상 로프의 이탈 지점(disengagement point), 도르래의 부착 지점(attachment point), 및 권상 로프의 부착 지점은 호이스팅 장치의 동일한 수직 면에 배열된다. 상기 로프 드럼은 호이스팅 부재의 상부 위치에서 권상 로프가 그것을 향해 감기는 제1 단부와, 호이스팅 부재의 하부 위치에서 권상 로프가 그것을 향해 풀리는 제2 단부를 갖는다. 상기 로프 풀리 장치의 제1 로프 풀리는 상기 권상 로프의 상기 제1 로프 풀리로부터 제1 도르래로의 방출 지점이, 상기 로프 풀리의 축 방향으로, 로프 풀리의 제1 단부보다 제2 단부로부터 더 멀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의 장점은 작은 높이 치수이며, 이것은 가용한 자유 높이의 사용을 통해 가능한 최대 높이로 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a-1e는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a-2d는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d는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c는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a-b는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주지지 구조의 방향에서 보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트롤리의 호이스팅 장치 구성을 도시한다.
크레인 트롤리의 호이스팅 장치는, 예를 들어, 브리지 크레인의 트롤리에 사용될 수 있다. 트롤리(1)는 크레인의 주지지 구조(2)를 따라 이동한다. 주지지 구조(2)는 전형적으로 프로파일 빔(profile beam)을 포함하는데, 그에 의해 트롤리(1)는 상기 프로파일 빔의 하부 플랜지 상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주 지지부는 가장 단순하게는 하나의 빔인 지지 구조를 지칭한다. 호이스팅 장치 내에 다수의 주 지지부, 예를 들어, 2개가 있는 경우, 상기 주 지지부 및 그 방향은 지지 구조물의 수직의 주된 관성의 중첩된 평면을 지칭할 것이다. 로프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배열은 상기 트롤리(1)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8은 크레인의 트롤리(1)의 호이스트 로프를 포함하는 호이스팅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호이스팅 장치는 크레인의 주지지 구조(2)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 트롤리(1)를 포함한다(도 8 참조). 상기 트롤리(1)는, 지지 프레임 구조(3); 그 지지 프레임 구조물(3)에 고정되고 트롤리(1)가 상기 주지지 구조(2)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베어링 휠들(4); 및 권상 로프(6)를 위한 로프 홈들(grooves)을 구비한 로프 드럼(5)을 갖는 호이스팅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로프 드럼(5)은, 호이스팅 부재(10)의 상부 위치에서 권상 로프(6)가 그것을 향해 감겨 있는 제1 단부(17)와, 호이스팅 부재(10)의 하부 위치에서 권상 로프(6)가 그것을 향해 풀리게 되는 제2 단부(18)를 갖는다. 상기 로프 드럼의 제2 단부(18)에는 그 로프 드럼(5)에 대한 로프의 제2 단부의 체결구(23)가 존재한다. 트롤리(1)의 호이스팅 메커니즘은 상부 도르래 배열(7) 및 하부 로프 풀리 배열(8)을 갖는 로프 풀리 장치를 포함하되, 이를 통해 권상 로프(6)는 로프 드럼(5)으로부터 고정된 부착 지점(9)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호이스팅 메커니즘은 권상 로프(6)와 협력하여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한 호이스팅 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도르래 배열(7)은 로프 호이스트의 트롤리(1)와 같이 로프 호이스트의 고정된 부분에 더 높이 위치된다.
로프 드럼(5)은 트롤리의 지지 프레임 구조(3)에 지지 되어 그 로프 드럼의 축(11)이 주지지 구조(2)에 평행하게 된다. 호이스팅 장치에서, 로프 드럼(5)에서부터 권상 로프(6)의 이탈 지점(12), 도르래의 부착 지점(13), 및 권상 로프(6)의 제1 단부의 부착 지점(9)은 호이스팅 장치의 동일한 수직 면(14)에 배열된다. 호이스트는 이 수직 면(14)에 대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수직 면(14)은 주 지지부와 일치하거나, 아니면 복수의 주 지지부일 경우에는 수직의 주된 관성의 중첩된 면과 일치한다. 로프 드럼(5)으로부터의 이탈 지점(12)은 권상 로프(6)가 로프 드럼(5)의 로프 홈(rope groove)을 벗어나는 위치이다. 권상 로프(6)의 제1 단부의 부착 지점(9)은 트롤리(1)의 호이스팅 부재(10)에 맞춰진다. 로프 드럼(5)은, 권상 로프(6)가 호이스팅 부재(10)의 상부 위치에서 그것을 향해 감기게 되는 제1 단부(17)와, 권상 로프(6)가 호이스팅 부재(10)의 하부 위치에서 그것을 향해 풀리게 되는 제2 단부(18)를 갖는다. 로프 풀리 장치(8)의 제1 로프 풀리(8a)는 그 제1 로프 풀리(8a)로부터 제1 도르래(7a)로의 권상 로프의 방출 지점(15)이, 로프 풀리(5)의 축 방향으로, 로프 풀리(5)의 제1 단부(17)보다 제2 단부(18)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배치된다.
명료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부 로프 풀리들에 대해서는 도르래(7a-b)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하부 로프 풀리들에 대해서는 로프 풀리(8a-c)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권상 로프(6)를 위한 연속적인 로프 풀리(8a-c)와 도르래(7a-b) 사이의 권상 로프(6)의 방출 지점(15) 및 진입 지점(16)은 방출 지점(15) 및 진입 지점(16)에 배열된 접선들이 상기한 로프 풀리(8a-c)와 도르래(7a-b) 사이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접선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상기 방출 지점(15)에서, 권상 로프(6)는 로프 풀리(8a-c)의 로프 홈을 벗어나고, 상기 진입 지점(16)에서 권상 로프(6)는 로프 풀리(8a-c)의 로프 홈과 접촉한다. 상기 로프 풀리(8a-c)와 도르래(7a-b) 사이에서 권상 로프(6)의 분리 또는 권상 로프(6)의 진입은 그 권상 로프(6)의 이동에 따라 방향을 변화시킨다. 호이스트에 의해 호이스팅 될 때, 권상 로프(6)의 이동 방향은 호이스트에 의해 하강될 때와 반대이다. 예를 들어, 호이스트에 의해 호이스팅 될 경우 그 로프 풀리(8a-c)가 호이스트에 의해 하강 중인 권상 로프(6)를 도르래(7a-b)로 방출한다면, 상기 로프 풀리(8a-c)는 도르래(7a-b)에 의해 방출된 권상 로프(6)를 수용한다.
방출 지점(15)과 진입 지점(16)에 배열된 접선들은, 연속적인 회전 요소들, 즉 로프 드럼(5)-로프 풀리(8a-c)-도르래(7a-b)의 회전 축들(11, 24, 20)의 방향이 서로에 대해 변경될 때, 로프 풀리(8a-c)와 도르래(7a-b)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접선을 형성한다. 원통형 로프 드럼(5)은 그 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호 연속적인 회전축 각도의 변화는, 예를 들어, 도 3a-d 및 4a-d에 도시된 해결책에서와 같이 90°일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의 방향의 변화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프 풀리(8a) 상의 로프 드럼(5)으로부터 들어올 때 항상 예각(0° 초과, 90°미만)이다. 이러한 경우, 로프 드럼(5)의 회전축들(11, 24a)과 로프 풀리 장치(8)의 제1 로프 풀리(8a)의 방향은 서로 다르고, 이들 사이의 각도는 예각보다 더 작다(도 1a, 1e 참조).
로프 풀리(8a-c)와 도르래(7a-b) 사이에서의 권상 로프(6)의 통과 및 그것을 예시하는 접선은, 권상 로프가 로프 풀리(8a-c)와 도르래(7a-b)의 홈에 방사상으로 안착하는 한편, 상기 권상 로프(6)는 실질적인 측면 각도 오차(lateral angle error) 없이 로프 풀리(8a-c)의 홈에 측면 방향으로 안착하도록 하는 권상 로프(6)의 통과를 지칭한다. 측면 각도 오차를 피하면 측면들(flanks)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하는 권상 로프(6)와 로프 풀리(8a-c) 또는 도르래(7a-b)의 마모가 줄어든다. 측면 각도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열이 사용되는데, 여기서 권상 로프(6)를 이동시키는 연속적인 교호적인 회전 부재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축(11, 20, 24)에 대해 적용된다.
호이스팅 장치의 장점은 로프 풀리가 상부 위치에 있을 때 특히 잘 보이며, 이에 의해 권상 로프(6)의 길이는 비교적 짧다는 것이다.
더 낮은 위치에서는 상기 권상 로프(6)의 길이는 더 길고, 측면 편차의 영향은 당연히 더 작으며, 편차가 필연적으로 존재하지는 않는다.
더욱이, 회전 요소, 로프 드럼(5), 로프 풀리(8a-c) 및 도르래(7a-b)의 측면 또는 호(arc)의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 교번 할 때, 이들은 호이스팅 부재(10)가 그의 상부 위치로 들어올려 지는 경우에도 서로 부딪히지 않는다. 이것은 호이스팅 장치가 더욱 콤팩트해지고 그 권상 높이가 더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4 및 도 7은 크레인의 트롤리(1)의 로프 호이스트를 포함하는 호이스팅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바, 여기서 호이스팅 장치는 권상 로프(6), 로프 드럼(5), 하부 로프 풀리 장치(8), 상부 도르래 장치(7), 호이스팅 부재(10)의 갈고리(25) 및 호이스팅 부재의 프레임(26)을 포함한다(도 1 내지 3).
도 5 내지 6 및 도 1은 크레인의 트롤리(5)의 로프 호이스트를 포함하는 호이스팅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바, 여기서 호이스팅 장치는 로프 드럼(5), 하부 로프 풀리 장치(8), 상부 도르래 배열(7), 및 호이스팅 부재의 부착 지점(22)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프 풀리 장치(8)의 제1 로프 풀리(8a)는, 그 제1 로프 풀리(8a)에서 제1 도르래(7a)로의 권상 로프의 방출 지점(15)이, 로프 풀리(5)의 축(11)의 방향으로, 로프 드럼의 제1 단부(17)보다 제2 단부(18)로부터 더 떨어지도록 위치한다. 도 1 내지 8에 따른 해결책에서, 로프 풀리 배열(8)은 로프 드럼(5)의 축(11)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프 드럼(5)의 제1 단부(17)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한 로프 풀리들(8a-c) 및 도르래들(7a-b)은 그 둘레에 의해 정의된 내부에 원반형 평면들(19a, 21a-b)을 구비한다. 로프 풀리들(8a-c)은 로프 풀리 장치(8)에 배열되고, 도르래들(7)은 로프 풀리들(8a-c)과 도르래들(7a-b)의 원반형 면(19a-c, 21a-b)이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도르래 장치(7)에 배열된다. 상기 로프 풀리들(8a-c)은 로프 풀리의 회전축(24a-c)이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도록 로프 풀리 장치(8)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도르래들(7a-b)은 그 도르래의 회전축(20a-b)이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도록 도르래 장치(7)에 배열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로프 풀리 장치(8)는 제1 로프 풀리(8a)를 포함하되, 이 제1 로프 풀리(8a)는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된다. 그 경우, 로프 풀리(8a)의 수직 방향(v)으로 배열된 원반형 평면(19a)과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은 서로에 대해 예각이다.
상기 제1 로프 풀리(8a)는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를 들어,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각도로 배열된다. 제1 로프 풀리(8a)의 권상 로프(6)의 방출 지점(15)은 그 권상 로프의 진입 지점(16)보다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도 2a-d는 상부 도르래 배열(7)이 도르래(7a)를 포함하고 하부 로프 풀리 배열(8)이 로프 풀리(8a)를 포함하는 해결책을 도시한다. 로프 풀리(8a)의 원반형 평면(19a)은 수직 방향(v)으로 배열된다. 도 2c는 위에서 본 호이스팅 장치를 도시한다. 권상 로프(6)는 로프 드럼(5)으로부터 로프 풀리(8a)로 이어지되, 상기 로프 풀리는 그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로프 풀리 홈을 가지며, 이 로프 풀리 홈은 로프 드럼(5)의 축(11)의 방향에서 볼 때 로프 드럼의 제1 단부(17) 바깥쪽으로,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으로부터 일정 거리(s)로, 권상 로프(6)를 비스듬히 앞쪽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프 풀리의 원반형 평면(19a)과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은 서로에 대해 예각을 이룬다. 권상 로프(6)는 로프 드럼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측면 방향으로 도르래(7a) 위를 지나간다(도 2a 참조). 도르래(7a)로부터, 권상 로프(6)는 호이스팅 부재(10) 상의 권상 로프의 부착 지점(9)으로 하강한다(도 2d 참조). 도 2a-d는 1x3 로핑(roping) 기능을 보여준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로프 풀리 장치는 또한 제2 로프 풀리(8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로프 풀리의 원반형 평면(19a-b)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2 로프 풀리(8a)는 호이스팅 부재(10)에서 제1 로프 풀리 옆에 존재한다. 도 1a-e는, 상기 로프 풀리 배열이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에 대해 서로에 대해 예각으로 배열된 2개의 평행한 로프 풀리들(8a-b)를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 장치는 도르래(7a)를 포함하는 것인 해결책을 도시한다.
도 1c는 호이스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권상 로프(6)는 로프 드럼(6)으로부터 제1 로프 풀리(8a)로 이어지는데, 이 제1 로프 풀리는 그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로프 풀리 홈을 갖되, 이 로프 풀리 홈은 로프 드럼의 축(11)의 방향에서 볼 때 로프 드럼의 제1 단부(17) 바깥쪽으로,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권상 로프(6)를 경사지게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권상 로프(6)는 로프 드럼(5)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측면 방향으로 도르래(7a)를 위로 지나간다(도 1a). 도르래(7a)로부터, 권상 로프(6)는 로프 드럼(5)에 더 가까운 측면으로 아래의 제2 로프 풀리(8b)로 하강한다. 상기 제2 로프 풀리(8b)로부터, 권상 로프(6)는 트롤리(1)에 배열된 권상 로프의 자유 단부의 고정된 부착 지점(9)으로 상승한다.
로프 풀리의 회전축들(24a-b)은 평행하고(도 1d-e), 로프 풀리의 원반형 평면들(19a-b)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으로 서로 평행하다. 상기 회전축들(24a-b)은 서로 거리를 두고 상호 간에 측면 방향으로 이탈된 위치에 있으며, 이에 의해 로프 패턴으로서의 호이스팅 부재(10)의 형상은 위에서 보이는 것처럼 평행 사변형으로 만들어지며, 그의 극점들(extreme points)은 권상 로프(6)의 진입 지점(16) 및 방출 지점(15)에 입각하여 획득되고, 평행 사변형은 호이스팅 부재(26)의 프레임에 대해 견고하고 유리한 형상으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로프 풀리(8b)의 방출 지점(15)은 또한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으로 놓여진다. 도 1a-e는 1x4 로핑을 보여주고 있다.
호이스팅 부재(10)는 상기와 같이 호이스팅 부재의 갈고리(hook)(25) 및 프레임(26)을 엮기 위하여, 예를 들어, 그들의 축 및 베어링들을 갖춘 로프 풀리를 포함한다. 도 1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호이스팅 부재(10)의 호이스팅 갈고리(25)의 수직축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도르래 아래에 놓이며, 그와 동시에 호이스트 구조물의 하중 지지 용량(load bearing capacity)은 가능한 한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d-e는 호이스팅 부재의 로프 풀리 배열, 호이스팅 부재의 프레임(26) 및 호이스팅 갈고리(25)를 도시한다. 대체로 동일한 직경을 구비한 로프 풀리(8a-c) 및 도르래(7a-b)는, 바람직하게는, 로핑을 위한 다이아몬드 모양을 형성한다. 도 1c,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 로프의 제1 로프 풀리(8a)의 진입 지점(16)과 권상 로프(6)의 제2 로프 풀리(8b)로부터의 방출 지점(15) 사이의 거리는 도르래(7a)의 진입 및 방출 지점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로프 풀리 장치(8)는 또한 제2 로프 풀리(8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프 풀리(8b)의 원반형 평면(19b)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3a-d는 로프 풀리 장치(8)의 수직 면에 평행한 원반형 평면(19a-b)이 상호 평행한 위치에 있지 않은 해결책을 도시한다. 도 3d는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 α로 배열되어 있는 제1 로프 풀리(8a)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원반형 평면(19a)과, 제2 로프 풀리(8b)의 수직 면에 배치되고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원반형 평면(19b)의 평면도(top view)이다.
도 3c는 호이스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권상 로프는 로프 드럼(5)으로부터 제1 로프 풀리(8a)로 이어지는데, 이것은 로프 드럼의 축(11)의 방향에서 볼 때 로프 드럼(5)의 제1 단부(17)의 정면에서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으로부터의 일정 거리(s)까지, 권상 로프를 경사지게 전방으로 안내하는 로프 풀리 홈을 외부 가장자리에 갖는다. 상기 권상 로프(6)는 위로 도르래(7a)를 더 통과하여 로프 드럼(5)으로부터 더 떨어진 측면 방향으로 향한다(도 3a). 도르래(7a)로부터, 권상 로프(6)는 로프 드럼(5)에 더 가까운 그 측면 방향으로 제2 로프 풀리(8b)로 아래로 하강한다. 상기 제2 로프 풀리(8b)로부터, 권상 로프(6)는 제2 도르래(7b)로 위로 더욱 상승한다. 상기 제2 도르래(7b)로부터, 권상 로프(6)는 호이스팅 부재(10) 상의 권상 로프의 자유 단부(free end)의 부착 지점(9)으로 하강한다(도 3d 참조).
도 3d는 도 3a-c에 따른 호이스팅 부재(10)의 로프 풀리 장치(8), 프레임(26) 및 위에서 보이는 호이스트 부재의 호이스트 갈고리(25)를 도시한다. 도 3a-d에 도시된 로핑은 1x5 로핑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로프 풀리 장치(8)는 제3 로프 풀리(8c)를 추가로 포함하되, 이것의 원반형 평면(19b)과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은 서로에 대해 예각(α)을 이룬다. 도 4a-c는, 로프 풀리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원반형 평면들(19a-c)이, 제1 로프 풀리의 원반형 평면(19a)이 호이스팅 장치의 상기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α)을 이루고, 제2 로프 풀리의 원반형 평면(19b)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레벨(14)과 평행하게 되고, 그리고 제3 로프 풀리의 원반형 평면(19c)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α)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해결책을 도시한다.
도 4c는 호이스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권상 로프(6)는 로프 드럼(5)으로부터 제1 로프 풀리(8a)로 이어지는데, 이것은 로프 드럼의 축의 방향에서 보아서 로프 드럼의 제1 단부(17)의 바깥으로, 수직면(15)으로부터 일정 거리(s)까지, 권상 로프(6)를 경사지게 전방으로 안내하는 로프 풀리 홈을 그의 외부 가장자리에 갖는다. 상기 권상 로프(6)는 로프 드럼으로부터 더 떨어진 측면 방향으로 도르래(7a) 위로 통과한다(도 4a). 도르래(7a)로부터, 권상 로프(6)는 제2 로프 풀리(8b) 아래로, 로프 드럼(5)에 더 가까운 로프 측면으로 하강한다. 제2 로프 풀리(8b)로부터 상기 권상 로프는 제2 도르래(b) 위로 더욱 상승한다. 제2 도르래(7b)로부터, 권상 로프(6)는 제3 로프 풀리(8c) 아래로, 로프 드럼(5)에 더 가까운 측면 방향으로 하강한다. 제3 로프 풀리(8c)는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경사져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직 면(14)에 대한 각도(α)는 제1 로프 풀리(8a)의 각도(α)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3 로프 풀리(8c)의 권상 로프(6)의 방출 지점(15)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놓인다. 도 4a-c는 1x6 로핑을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르래(들)의 회전축(20a-b)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평행하고 상기 수직 면(14) 상에 위치한다.
도 1a-e 및 2a-d는 도르래의 축(20a-b)이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평행하고 수직 면 상에 위치하는 것인 해결책을 도시한다. 도 3a-d 및 4a-c는 차례로, 두 도르래의 회전축(20a-b)이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평행하고 수직 면(14)에 위치하는 것인 2-도르래(7a-b) 해결책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르래(7a-b)는 그 내부에, 수직 방향 v로 배열된, 원주에 의해 정의되는 원반형 평면(21a-b)을 가지며, 상기한 도르래 배열은 제1(7a) 및 제2(7b) 도르래를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들의 원반형 평면(21a-b)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에서 벗어나는 각도로 배열된다. 상기 도르래들을 일정 각도 위치로 편향시킴으로써, 호이스팅 부재의 구조를 보다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 도 5 및 6은 상기 실시 예의 예들을 도시한다. 로프 드럼, 로프 풀리와 도르래뿐만 아니라, 호이스팅 부재의 갈고리의 부착 지점은 도 5 및 6에서 위에서부터 보인다.
도 5는 1x5 로핑을 가지며, 홀수 개의 로핑을 구비한다. 2개의 도르래가 존재하고, 이들의 원반형 평면(21a-b)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에서 벗어나는 각도로 배열된다. 호이스팅 부재의 갈고리의 부착 지점(22)은 제1 도르래 아래에 배치되는 동시에,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 상에 배치된다.
도 6은 1x6 로핑이며, 짝수개의 로핑을 구비한다. 2개의 도르래가 존재하고, 이들의 원반형 평면(21a-b)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에서 벗어나는 각도로 배열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속적인 로프 풀리들(8a-c) 및 도르래들(7a-b) 사이의 방출 지점(15)과 진입 지점(16)은 로프 주행(rope run)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1a는 상기 로프 풀리 장치(8)의 로프 풀리(8a)로부터 상기 도르래 장치의 도르래(7a)까지 대체로 수직으로 통과하는 권상 로프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호이스팅 부재의 부착 지점(22)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 상에 있다. 예를 들어, 도 1e는 호이스팅 부재(10)에 끌어 당겨지는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을 도시하고, 그리고 상기 수직 면(14)은 호이스팅 갈고리(25)의 부착 지점(22)을 통해 호이스팅 부재의 프레임(26)을 통해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호이스팅 부재(10)는 호이스팅 갈고리(25)를 가지며, 그의 부착 지점은 로프 풀리 장치(8)의 로프 풀리(8a-c)의 허브의 높이에 대체로 배치된다. 도 1d-e는 호이스팅 부재(10) 상의 호이스팅 갈고리(25)를 도시하는데, 그의 부착 지점은 로프 풀리 장치(8)의 로프 풀리(8a-b)의 허브의 높이에 대체로 배치된다. 도 1d는 2개의 로프 풀리들(8a-b)의 허브들 사이에 배치된 호이스팅 갈고리(25)를 도시한다. 호이스팅 갈고리(25) 상의 아암, 즉, 스워트(thwart)와 같은 그의 잠금 부분은 로프 풀리들(8a-b) 사이에서 적응 가능하다. 상기 부착 지점은 바람직하게는, 측면 방향으로 로프 풀리들(8a-b) 사이에 존재하고, 높이 방향에서 상기 부착 지점은 대체로 로프 풀리들(8a-b)의 허브들의 레벨에 존재한다. 호이스팅 부재(10)의 수직 구조를 위한 이러한 해결책으로써, 상기 호이스팅 부재의 호이스팅 높이는 가능한 한 크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호이스팅 부재가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프 풀리 배열의 로프 풀리(8)의 상부 면(28)은 로프 드럼의 하부 면(27)보다 더 높다. 도 7a-b에 제시된 해결책은 로프 풀리 장치의 로프 풀리들을 도시하며, 그의 상부 면(28)은 로프 드럼의 하부 면(27)보다 더 높다. 도 7a-b의 해결책에서, 로프 풀리 장치는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 α로 서로 배열된 2개의 평행한 로프 풀리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 배열은 도르래를 포함한다. 도 7a-b는 1x4 로핑을 보여주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트롤리(1)는 하나의 주 지지부(2) 아래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로프 드럼(5)으로부터의 권상 로프의 이탈 지점(12), 로프 드럼(5) 근방의 상부 도르래 배열(7)의 적어도 회전축(20a-b), 및 호이스팅 부재의 체결 지점(22)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수직 면에 존재한다. 도 8은 주 지지부의 방향에서 트롤리(1)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수직 면(14)이 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 로프 드럼(5)으로부터의 권상 로프의 이탈 지점(12), 로프 드럼(5) 근방의 상부 도르래 배열의 적어도 회전축(20a-b), 및 호이스팅 부재의 체결 지점(22)이 위치한다.
상기 실시 예들은 또한 로프 드럼(5)이 0… 4°의 각도와 같은 수평에 대해 완만한 각도로 편향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로프 드럼(5)의 제2 단부(18)가 로프 드럼(5)의 제1 단부(17)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낮게 놓이도록 편차가 수행된다. 이러한 해결책으로써 권상 로프(6)의 로프 드럼(5) 상의 로프 홈에 대한 위치 설정은 호이스팅 부재(10)가 그의 상부 위치에 있을 때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 작은 높이 치수의 로프 호이스트가 달성되며, 이것은 호이스팅 높이를 더 크게 해준다. 로프 풀리 및 도르래뿐만 아니라 로프 드럼을 전술한 상호적 자세 및 위치들에 배치함으로써, 이들은 호이스팅 부재의 상부 위치에서 서로의 옆에서 서로에 대해 특히 가까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서, 로프 풀리 및 도르래는 대체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휠이라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해 호이스팅 부재가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서로 옆에 그것들을 배치하는 것이 상부 위치에서 로프 드럼, 트롤리, 모터, 스위치, 또는 호이스트의 컨트롤 박스를 서로 부딪히지 않고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서, 로프 풀리 및 도르래에 대한 로프의 도달 각은 서로에 대한 그들의 위치 설정으로 인해 유리하다. 권상 로프는 로프 풀리 및 도르래에 도달하고 빠져나감으로써, 그 권상 로프는 그 이동 방향으로 또한 측면으로 그 홈을 만남으로써 어떠한 해로운 측면 접촉이 없도록 한다. 측면 접촉을 피하면 휠과 로프의 수명이 연장되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 로프 호이스트의 높이 치수가 얕아질지라도 호이스팅 부재가 상부 위치에 있을 때 큰 로프 힘이 회피될 수 있다. 경사지게 설치된 로프 풀리 및/또는 도르래로 인하여 로프 각도가 완만해지지 않기 때문에 큰 로프 힘이 회피된다. 이것은 더 비싼 대형의 권상 로프 대신 기존의 권상 로프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해결책으로, 호이스팅 부재가 상부 위치에 있을 때, 호이스팅 부재, 갈고리 및 로프 풀리의 불안정성이 감소한다. 로프 풀리 아래의 부분에서, 권상 로프는 이전보다 더 긴 거리 동안 로프 풀리에 접촉한다. 호이스팅 부재와 관련된 로프 풀리에서 권상 로프에 의해 접촉된 부분의 중심각은,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80°이다.
도면의 권상 로프는 1x 로핑을 포함하되, 이 경우 상기 권상 로프는 n 개의 업-다운 피치(up-down pitches)를 가지며, 여기서 n은 2, 3, 4, 5 또는 6이다. 홀수 개의 로프, 다시 말해, 예를 들면, 3개 또는 5개의 업-다운 피치의 로프로써, 권상 로프의 부착 지점은 호이스팅 부재에 유리하게 적응된다.
1x3 및 1x5의 경우와 같이, 로프의 수가 홀수일 경우, 로프 힘 및 레버 암의 거리는 부착 지점의 위치가 호이스팅 부재(10)에서 어떻게 선택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로프 힘의 수는 로프 풀리의 경우 2이고, 부착 지점일 경우에는 1이다. 1x3 로프 힘은, 도 2d와 같이, 반대쪽에서 약 180°에 위치하며 로프 풀리의 레버 암은 부착 지점의 레버 암의 절반에 불과하다. 도 3a-d에 도시된 1x5 로핑에서 힘의 방향은 대략 120°마다 있으며, 로프 풀리의 레버 암은 도 3d의 부착 지점의 레버 암보다 여전히 더 작다. 호이스팅 갈고리(25)를 그의 부착 지점(22)에 대해 이들 힘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호이스팅 부재(10)는 모든 하중 상황에서 수직 상태로 유지되는 대칭형 장치로 만들어지며, 그와 동시에, 회전 축의 원하는 방향의 변경은 로프 풀리들(8a-c)과 도르래들(7a-b) 사이에서 일어난다. 또한, 호이스팅 부재(10)는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레벨(14)로 유지되고, 호이스팅 부재(10)도 그것의 상부 위치에서 바람직하게 높이 들어올려질 수 있다.
1 트롤리; 2 주지지 구조; 3 지지 프레임 구조; 4 베어링 휠; 5 로프 드럼; 6 권상 로프; 7 상부 도르래 배열; 7a-b 도르래; 8 하부 로프 풀리 배열; 8a-c 로프 풀리 : 9 부착 지점; 10 호이스팅 부재; 11 로프 드럼의 축; 12 이탈 지점; 13 도르래의 부착 지점; 14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 15 방출 지점; 16 진입 지점; 17 제1 단부; 18 제2 단부; 19a-c 로프 풀리의 원반형 평면; 20a-b 도르래의 회전축; 21a-b 도르래의 원반형 평면; 호이스팅 부재의 부착 지점; 23 체결점; 24a-c 로프 풀리의 회전 축; 25 호이스팅 갈고리; 26 프레임; 27 로프 드럼의 하부 면; 28 로프 풀리의 상부 면; s 거리; v 수직 방향; α 각도.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이 수많은 다른 방식들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및 그 실시 예들은 전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영역 내에서 변할 수도 있다.

Claims (17)

  1. 크레인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로서, 상기 호이스팅 장치는 크레인의 주지지 구조(2)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 트롤리(1)를 포함하되, 상기 트롤리(1)는:
    지지 프레임 구조(3);
    상기 지지 프레임 구조물(3)에 고정되고, 그에 의해 상기 트롤리(1)가 상기 주지지 구조(2)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베어링 휠들(4);
    권상 로프(6)를 위한 로프 드럼(5), 상부 도르래 배열(7) 및 하부 로프 풀리 배열(8)을 가지며 상기 권상 로프(6)가 로프 드럼(5)으로부터 부착 지점(9)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로프 풀리 장치, 및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해 권상 로프(6)와 협력하는 호이스팅 부재(10)를 가지는 호이스팅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로프 드럼(5)은 상기 트롤리의 지지 프레임 구조(3)에 지지되어 상기 로프 드럼(5)의 축(11)이 상기 주지지 구조(3)와 평행하게 되도록 하고; 상기 호이스팅 장치에서, 상기 로프 드럼(5)으로부터의 권상 로프(6)의 이탈 지점(12), 도르래의 부착 지점(13), 및 상기 권상 로프의 부착 지점(9)은 상기 호이스팅 장치의 동일한 수직 면(14) 상에 배열되고;
    상기 로프 드럼(5)은, 상기 권상 로프(6)가 호이스팅 부재(10)의 상부 위치에서 감기는 제1 단부(17) 및 상기 권상 로프(6)가 호이스팅 부재(10)의 하부 위치에서 풀리는 제2 단부(18)를 가지는 호이스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프 풀리 배열(8)의 제1 로프 풀리(8a)는, 상기 제1 로프 풀리(8a)로부터 제1 도르래(7a)로의 권상 로프의 방출 지점(15)이 상기 로프 풀리(5)의 축 방향에서 상기 로프 풀리(5)의 제1 단부(17)보다 제2 단부(18)로부터 더 떨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로프 풀리들(8a-c) 및 도르래들(7a-b)의 회전축의 방향이 대체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드럼(5)의 회전축과 로프 풀리 장치(8)의 제1 로프 풀리(8a)의 방향이 대체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풀리(8a-c)는 그 내부에 원주에 의해 정의되는 원반형 평면(19a-c)을 가지며, 상기 원반형 평면(19a-c)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로프 풀리 장치(8)는 제1 로프 풀리(8a)를 포함하되, 그의 원반형 평면(19a) 및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은 서로에 대해 예각(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풀리 장치(8)는 제2 로프 풀리(8b)를 포함하고, 상기 제1(8a) 및 제2(8b) 로프 풀리의 원반형 평면들(19a-c)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α)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풀리 장치(8)는 제2 로프 풀리(8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프 풀리(8b)의 원반형 평면(19b)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풀리 장치(8)는 제3 로프 풀리(8c)를 추가로 포함하고, 그의 원반형 평면(18c) 및 상기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은 서로에 대해 예각(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풀리 장치(8)의 제1 로프 풀리(8a)는 20° 내지 70°의 각도(α)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40° 내지 50°의 각도(α)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또는 도르래들의 회전 축(20)은 상기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평행하고, 상기 수직 면(14)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10.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7a-b)는 그 원주에 의해 정의되는 원반형 평면(21a-b)을 그 내부에 가지며, 상기 원반형 평면(21a-b)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도르래 배열(7)은 제1(7a) 및 제2(7b) 도르래를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의 원반형 평면(21a-b)은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에 대해 예각으로부터 벗어나는 각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로프 풀리들(8a-c) 및 도르래들(7a-b) 사이의 권상 로프(6)의 방출 지점(15) 및 진입 지점(16)은 로프 주행이 대체로 수직 상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팅 부재의 부착 지점(22)은 상기 호이스팅 장치의 수직 면(14)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팅 부재(10)는 호이스팅 갈고리(25)를 가지며, 그의 부착 지점은 대체로 로프 풀리 장치(8)의 로프 풀리(8a-c)의 허브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1)는 하나의 주지지 구조(2) 아래에서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로프 드럼으로부터 권상 로프(6)의 이탈 지점(12), 상기 로프 드럼에 인접한 상부 도르래 장치의 적어도 회전축(20), 및 상기 호이스팅 부재의 부착 지점(22)은 대체로 동일한 수직 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팅 부재(10)가 상부 위치에 있는 동안, 로프 풀리 배열(8)의 상기 로프 풀리들(8a-c)의 상부 면(28)은 로프 드럼(5)의 하부 면(27)보다 더 높은 레벨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 로프(6)는 1x 로핑(roping)을 포함하고, 이 경우에 상기 권상 로프(6)는 n 개의 업-다운 피치(up-down pitches)를 가지며, 여기서 n은 2, 3, 4, 5 또는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핑 수가 홀수 일 경우(n = 3, 5), 상기 권상 로프(6)의 부착 지점(9)은 상기 호이스팅 부재(10)에 적응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장치.
KR1020207011259A 2017-09-22 2018-09-21 크레인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KR102473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75847A FI127807B (fi) 2017-09-22 2017-09-22 Nosturin nostimen nostojärjestely
FI20175847 2017-09-22
PCT/FI2018/050685 WO2019058030A1 (en) 2017-09-22 2018-09-21 ARRANGEMENT FOR LIFTING A WINCH OF A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036A true KR20200057036A (ko) 2020-05-25
KR102473817B1 KR102473817B1 (ko) 2022-12-05

Family

ID=6549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259A KR102473817B1 (ko) 2017-09-22 2018-09-21 크레인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1554938B2 (ko)
EP (1) EP3684722B1 (ko)
JP (1) JP2020534227A (ko)
KR (1) KR102473817B1 (ko)
CN (1) CN111183109B (ko)
AU (1) AU2018335456B2 (ko)
BR (1) BR112020005418A2 (ko)
CA (1) CA3076570C (ko)
CL (1) CL2020000682A1 (ko)
ES (1) ES2908344T3 (ko)
FI (1) FI127807B (ko)
MX (1) MX2020002992A (ko)
MY (1) MY197998A (ko)
PH (1) PH12020500480A1 (ko)
PL (1) PL3684722T3 (ko)
RU (1) RU2741451C1 (ko)
SG (1) SG11202002117UA (ko)
WO (1) WO2019058030A1 (ko)
ZA (1) ZA2020023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7480B2 (en) * 2019-10-23 2024-05-21 Kanister Industries Llc Cable guid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1985A (en) * 1993-04-13 1995-10-31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Traveling trolley, in particular single-rail trolley with compact height
US20050092201A1 (en) * 2003-09-26 2005-05-05 Klaus-Jurgen Winter Crane trolley with low overall height
WO2015110706A1 (en) * 2014-01-24 2015-07-30 Konecranes Plc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95083B (de) * 1969-05-27 1971-12-27 Simmering Graz Pauker Ag Zweischienenlaufkatze
JPS52101560A (en) * 1976-02-19 1977-08-25 Kohan Sendan Kikai Kk Hoist device
JPS55105995A (en) * 1979-02-06 1980-08-14 Goorudo Kingu Kk Dc firing circuit for fluorescent discharge tube
JPS55106995A (en) * 1979-02-12 1980-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ic hoist
JPH0246518B2 (ja) * 1983-04-11 1990-10-16 Paandora Oogyusuto Katsushasochi
SU1555262A1 (ru) * 1987-08-17 1990-04-07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та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Механизмов "Запорожгидросталь" Механизм подъема
JPH01242396A (ja) * 1988-03-22 1989-09-27 Koken Gondora Kk ゴンドラ用索条巻上装置
US4949855A (en) * 1988-12-09 1990-08-21 Harnischfeger Corporation Anti-sway crane reeving apparatus
US5074423A (en) * 1989-05-26 1991-12-24 Ingersoll-Rand Company Low-profile lifting apparatus
JPH0379599A (ja) * 1989-08-19 1991-04-04 Fumio Watanabe 足踏ブレーキ付ウインチ
JPH0672695A (ja) * 1992-03-25 1994-03-15 Kayaba Ind Co Ltd トラクションウインチ
JP2557426Y2 (ja) * 1992-06-04 1997-12-10 日本ホイスト株式会社 電気ホイスト
US5921092A (en) * 1998-03-16 1999-07-13 Hussmann Corporation Fluid defrost system and method for secondary refrigeration systems
JP2001002379A (ja) 1999-06-28 2001-01-09 Tadano Eng:Kk ホイスト
JP2004155580A (ja) 2002-11-08 2004-06-03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トロリクレーン
WO2004056690A1 (ja) * 2002-12-19 2004-07-08 Hhh Manufacturing Co. 電気ホイスト
GB2484106B (en) * 2010-09-29 2018-02-07 Mathclick Ltd Apparatus for guiding a flexible member
CN202208605U (zh) 2011-08-24 2012-05-02 大连华锐股份有限公司 高定位精度的起重机用起升机构
CN103318760A (zh) 2013-07-01 2013-09-25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低净空挂接起重机小车
FI126272B (fi) * 2014-01-24 2016-09-15 Konecranes Global Oy Köysinostimen matalarakenteinen nostovaunu
FI127424B (fi) * 2016-03-29 2018-05-31 Konecranes Global Oy Nosturin nostovaunu
FI129025B (fi) * 2016-06-16 2021-05-14 Konecranes Global Oy Köysinostimen nostojärjeste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1985A (en) * 1993-04-13 1995-10-31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Traveling trolley, in particular single-rail trolley with compact height
US20050092201A1 (en) * 2003-09-26 2005-05-05 Klaus-Jurgen Winter Crane trolley with low overall height
WO2015110706A1 (en) * 2014-01-24 2015-07-30 Konecranes Plc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20000682A1 (es) 2020-08-21
AU2018335456A1 (en) 2020-04-30
AU2018335456B2 (en) 2021-05-20
CA3076570C (en) 2023-02-28
FI127807B (fi) 2019-02-28
JP2020534227A (ja) 2020-11-26
PL3684722T3 (pl) 2022-04-25
ZA202002380B (en) 2021-06-30
MY197998A (en) 2023-07-25
ES2908344T3 (es) 2022-04-28
EP3684722B1 (en) 2022-01-05
FI20175847A1 (fi) 2019-02-28
WO2019058030A1 (en) 2019-03-28
EP3684722A4 (en) 2020-11-25
MX2020002992A (es) 2020-07-22
EP3684722A1 (en) 2020-07-29
CN111183109B (zh) 2021-07-27
RU2741451C1 (ru) 2021-01-26
CN111183109A (zh) 2020-05-19
KR102473817B1 (ko) 2022-12-05
BR112020005418A2 (pt) 2020-09-29
SG11202002117UA (en) 2020-04-29
PH12020500480A1 (en) 2021-03-01
US20210362986A1 (en) 2021-11-25
CA3076570A1 (en) 2019-03-28
US11554938B2 (en)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2938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224238B2 (ja) エレベータ
KR101335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168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2473817B1 (ko) 크레인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CN209988977U (zh) 一种电梯轿厢上横梁组装用吊运装置
CN215101663U (zh) 一种塔机变幅小车主滑轮防脱绳装置
JP64329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01128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489047B2 (ja) 物品搬送装置
EP3186184B1 (en) Counterweight for elevator system
JP2020534227A5 (ko)
JP47501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94949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昇降装置
KR20190002665U (ko) 엘리베이터
JP583316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579446B2 (ja)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
CN113023601A (zh) 一种塔机变幅小车主滑轮防脱绳装置
JP6742946B2 (ja) ガバナ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WO2020194523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機械台
JP200400191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075362A (ja) エレベーターの主索引き止め装置
KR20070111923A (ko) 운반기계의 감속기 고정장치
WO2019069455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巻上機の揚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