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838A -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응용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838A
KR20200037838A KR1020207006302A KR20207006302A KR20200037838A KR 20200037838 A KR20200037838 A KR 20200037838A KR 1020207006302 A KR1020207006302 A KR 1020207006302A KR 20207006302 A KR20207006302 A KR 20207006302A KR 20200037838 A KR20200037838 A KR 2020003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composition
weight
parts
biodegradable polyester
aliph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430B1 (ko
Inventor
츈핑 오양
지앤 자오
카이진 메이
쉐텡 동
후이 양
웨이다 취
카이 시옹
창리 루
시앙빈 젱
통민 차이
시앙보 후앙
Original Assignee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J24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부로 계산하여, i)58 내지 80 중량부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ii)20 내지 32 중량부의 전분; 및 iii)0 내지 10 중량부의 처리제; 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개시하였다.
본 발명은 연구를 통해,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이 이산 총 함량의 44 몰% 내지 48 몰%인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매트릭스 수지로 하고, 상기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결정화 피크의 폭 D는 5℃ 내지 16℃이며, 입경 D(50)이 2 μm 내지 12 μm인 전분을 다른 하나의 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특정 함량의 처리제를 첨가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뛰어난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인열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12주간의 생분해 테스트 중 생분해율은 90% 이상으로, 산업 퇴비로서 충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Description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응용
본 발명은 고분자 재료 개질 기술분야에 속하며, 구체적으로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는 생물자원을 원료로 사용하는 고분자 재료이다. 석유자원을 원료로 사용하는 석유계 고분자와 대비하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는 생물 또는 생화학 작용 중 또는 생물 환경 중에서 분해될 수 있으며, 현재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 중 가장 활발하고, 시장 응용이 가장 좋은 생분해성 재료 중의 하나로 되고 있다.
현재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기본수지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쇼핑봉투, 주방 쓰레기 봉투 등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박막의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인열 성능은 필름의 중요한 지표로, 쇼핑봉투, 주방 쓰레기 봉투 등과 같은 제조된 제품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특허 CN 101522797 B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전분 기반 생분해성 봉투는 기계적 성능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결함을 가지며, 특히 가로 및 세로방향의 인열강도가 균일하지 못한 결함이 있다. 전분 기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제작되는 박막은 18 μm 내지 20 μm 두께를 갖는 경우, 박막이 여전히 너무 유연하거나 취약하여 일정한 무게를 견딜 수 없다. 이러한 성능의 한계는 습도가 낮은 조건 하에서 조성물 중의 수분이 부족함으로 인하여 특히 두드러진다.
중국특허 CN 101522797 B에서, 분산 상으로서 평균 크기가 0.3 μm 미만인 전분을 선택하고, 및 다른 분산 상으로서, 탄성계수가 1000 MPa를 초과하는 강성 및 취성 폴리머를 선택하고, 동시에 상기 조성물을 예컨대 감소된 온도와 전단 조건에서 압출기 또는 기타 기계로 제조함으로써, 작은 입자 크기의 전분 분산상과 전형적인 층상 구조의 강성 및 취성 폴리머 분산상을 얻는다. 상기 방법은 재료의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인열 성능의 균일성을 크게 개선시킴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만약 나노미터 전분을 분산 상으로 사용할 경우, 한 방면으로는 전분은 입자가 작기 때문에 응집되기 쉽고, 치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범용성이 없는 특정된 처리설비와 처리기술이 필요하며; 다른 한 방면으로는 나노 전분은 일반 크기 전분에 비해 가격이 더욱 비싸기 때문에 제품의 가성비가 떨어진다.
중국특허 CN 102639594 B에서, 방향족 산의 함량이 디카르복실산 총 몰 함량의 48 내지 70 몰%인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기본수지로 하고, 평균 크기가 1 μm인 전분을 분산상으로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기계적 성능을 어느 정도 개선시킨다.
중국특허 CN 102597105 B에서 현재 시판되는 폴리에스테르가 일반적으로 48 몰% 미만의 방향족 카르복실산 함량을 갖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만약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이 이러한 임계값을 초과하면,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의 생분해율은 현저히 낮아지며, 산업퇴비 또는 가정퇴비 조건 하에서 효과적인 분해를 달성하기 어렵다.
Muller 등은 (Angew . Chem ., Int . Ed (1999),38,1438-1441) 테레프탈산의 몰 분율이 42%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계 공중합체는 퇴비과정 중 12주 내에 완전히 생분해 될 수 있으며, 테레프탈산의 몰 분율이 51%인 제품은 테레프탈산의 몰 분율이 40%인 제품에 비해 생분해율이 낮다고 보고한 바 있다.
중국특허 CN02804139.9에서는 CEN 13432방법의 생분해성 특성을 따르기 위해,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공중합체에서 테레프탈산의 함량(산의 총 몰수 기준)이 55%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50%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연구를 통해, 본 발명은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이 이산(diacid) 총 함량의 44 몰% 내지 48 몰%인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매트릭스 수지로서 사용하며, 상기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 피크의 폭 D는 5℃ 내지 16℃이고, 입경 D(50)가 2 μm 내지 12 μm인 전분을 다른 상으로 사용하고, 한편으로 특정함량의 처리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우수한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인열 강도를 가지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12주 간의 생분해 테스트 중 생분해율은 90% 이상으로, 산업 퇴비로서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기존 기술에 존재하는 결함과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인열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산업 퇴비의 요구를 만족하며, 12주간의 테스트중 생분해율이 90% 이상에 달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에 의해 달성된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하기의 성분을 중량부로 포함한다:
i)58 내지 80 중량부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ii)20 내지 32 중량부의 전분; 및
iii)0 내지 10 중량부의 처리제.
바람직하게,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하기의 성분을 중량부로 포함한다:
i)62 내지 80 중량부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ii)20 내지 30 중량부의 전분; 및
iii)0 내지 8 중량부의 처리제.
그 중, 성분 i) 에 있어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내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diacid) 총 함량의 44 몰% 내지 48 몰%이고, 및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결정화 피크의 폭 D는 5℃ 내지 16℃이고, 바람직하게 8℃ 내지 12℃이다.
본 발명은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이 이산 총 함량의 44 몰% 내지 48 몰%인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매트릭스 수지로 선택함으로써, 테레프탈산 함량이 너무 낮아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기계적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테레프탈산 함량이 너무 높아,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생분해성에 큰 영향을 끼치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결정화 피크의 폭 D가 5℃ 내지 16℃인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선택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비교적 우수한 결정화 성능을 갖는다. 동시에, 본 발명은 재료 기계적 성능에 대한 상이한 응용분야의 상이한 요구에 따라,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첨가량을 스크리닝하였다.
본 발명의 성분 i)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BAT) 및 폴리(부틸렌세바케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BSeT) 중의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전분을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성분 ii)로 사용한다. 전분은 천연 원료로부터의 폴리머이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고 독성이 낮은 특징을 가지며, 전분과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혼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기계적 성능을 개선시켜 줄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비용을 대폭 감소시켜 준다. 이와 동시에, 천연 원료로부터의 폴리머인 전분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생분해성을 개선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성분 ii) 에 있어서, 전분의 입경 D(50)는 2 μm 내지 12 μm, 바람직하게는 3 μm 내지 11 μm,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5 μm 내지 10 μm이다. 전분의 입경이 클수록 잘 응집되지 않아,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분산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전분의 입경 D(50)가 12 μm를 초과하면 전분의 알갱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박막 제품의 표면 특성(거칠기)에 영향을 주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가공 중 재료를 가소화하기 위해 더욱 높은 가공 온도을 필요로하게 된다. 너무 높은 가공온도는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분해를 초래하게 되어, 재료의 성능에 영향을 준다. 동시에 너무 높은 가공온도는 과도한 에너지 소모 및 가공비용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 처리제는 물,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에폭시 콩기름(epoxy soybean oil), 구연산염, 아세틸 구연산염,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물, 글리세린 또는 폴리글리세린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중량부으로 계산하여, 0 내지 20 중량부의 유기 충전제 또는 무기 충전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기 충전제는 천연 섬유, 짚, 나무가루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무기 충전제는 활석분, 몬모릴로나이트, 고령토, 백악, 탄산칼슘, 흑연, 석고, 도전성 카본 블랙, 염화칼슘, 염화철, 백운석, 이산화규소, 규회석, 이산화티탄, 규산염, 운모, 유리섬유 또는 광물섬유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실제 성능 요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중량부로 계산하여, 0 내지 4 중량부의 하기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한다: 이형제, 계면 활성제, 왁스, 대전 방지제, 염료, 항-UV 첨가제 또는 기타 플라스틱 첨가제 등.
상기 이형제는 실리콘 마스터배치, 몬탄왁스, 에루실아마이드, 올레아마이드이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 팔미트산염, 라루린산염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 왁스는 스테아로아미드, 베헨아미드(behenamide), 밀랍, 밀랍산 에스테르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 정전기 방지제는 영구적인 대전 방지제로서, 구체적으로는 PELESTAT-230, PELESTAT-6500, SUNNICO ASA-2500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 염료는 카본 블랙, 흑종(black color base), 티탄백(titanium white), 황화아연, 프탈로시아닌 블루, 형광오렌지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다.
항-UV 첨가제에는 UV 흡수제와 UV 안정제가 포함된다.
상기 UV 흡수제는 UV-944, UV-234, UV-531, UV-326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UV 안정제는 UV-123, UV-3896, UV-328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기타 플라스틱 첨가제는 핵 형성제(nucleating agent), 김서림 방지제, 윤활제(예, 스테아르산칼슘), 1차 항산화제(primary antioxidant), 보조 항산화제(auxiliary antioxidant), 가소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제조된 12 μm ± 1 μm 박막은 표준 ASTM D-882/88에 따라 시험한 결과, 우수한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인열 강도를 가지며, 세로방향 인열 강도는 1000 mN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0 mN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mN 이상이고, 가로방향 인열 강도는 2400 mN 이상, 바람직하게는 2600 mN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0 mN 이상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제조된 12 μm ± 1μm 박막은 표준 ISO 16929(2013)에 따라 시험한 결과, 12주 후의 생분해율이 90% 이상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표준 EN 13432에 따라, 산업 퇴비에서 생분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쇼핑봉투, 퇴비봉투, 제초필름, 보호성 커버막, 사이로막(silo film), 박막테이프, 직물, 부직포, 방직품, 어망, 내화물 봉투 또는 쓰레기 봉투로 제조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조성물의 용도를 개시한다.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연구를 통해,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이 이산 총 함량의 44 몰% 내지 48 몰%인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매트릭스 수지로서 사용하며, 상기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 피크의 폭 D는 5℃ 내지 16℃이고, 입경 D(50)가 2 μm 내지 12 μm인 전분을 다른 상으로 사용하고, 한편으로 특정 함량의 처리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우수한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인열 강도를 가지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12주간의 생분해 테스트 중 생분해율은 90% 이상으로, 산업 퇴비로서 충족되는 예상치 못한 효과를 발견했다.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는데, 아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일 뿐이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아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사용되는 원료는 다음과 같다.
성분 i)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PBAT-1: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 총 함량의 46 몰%이고, 결정화 피크 폭 D는 11℃이다;
PBAT-2: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 총 함량의 44 몰%이고, 결정화 피크 폭 D는 8℃이다;
PBAT-3: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 총 함량의 48 몰%이고, 결정화 피크 폭 D는 15℃이다;
PBAT-4: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 총 함량의 38 몰%이고, 결정화 피크 폭 D는 11℃이다;
PBAT-5: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 총 함량의 58 몰%이고, 결정화 피크 폭 D는 11℃이다;
PBAT-6: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 총 함량의 46 몰%이고, 결정화 피크 폭 D는 4℃이다;
PBAT-7: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 총 함량의 46 몰%이고, 결정화 피크 폭 D는 25℃이다;
PBAT-8: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 총 함량의 58 몰%이고, 결정화 피크 폭 D는 25℃이다; 및
PBSeT: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 총 함량의 46 몰%이고, 결정화 피크 폭 D는 11℃이다.
성분 ii)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전분-1: 입경 D (50) 4 μm;
전분-2: 입경 D (50) 8 μm;
전분-3: 입경 D (50) 12 μm;
전분-4: 입경 D (50) 16 μm; 및
전분-5: 입경 D (50) 1 μm.
성분 iii)은 다음의 처리제로부터 선택된다: 물, 글리세린.
충전제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활석분, 탄산칼슘.
기타 첨가제:
구연산염은 가소제로서 선택되고; 팔미트산염은 계면 활성제로서 선택되고; 및 기타 성분들은 모두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이다.
각 성능 지표의 평가 방법: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 피크 폭 D의 측정방법:
시차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하며, 구체적인 측정법은 아래와 같다: 고순도 기준 물질 (인듐)을 사용하여 교정 시차주사 열량계를 교정하고, 5 내지 10 mg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알루미늄제 도가니에 넣고, 10 ℃/min의 속도(제1차 스캐닝)로 220℃까지 가열하여, 5분 동안 일정 온도를 유지하고, 10 ℃/min 속도로 -30℃까지 냉각시켰다. 제1차 스캐닝된 시차주사 열량분석 그래프의 냉각 곡선으로부터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 피크를 얻었다. 결정화 피크의 시작단과 종말단에 접선을 그어 두 접선의 종점의 온도차를 결정화 피크 폭으로 한다.
전분의 입경 D(50)의 측정법:
본 발명에 기재된 전분의 입경 D(50)의 측정법은 GB/T 19077.1 입도분석 -레이저 유도법(Paticle Size Analysis - Laser Diffraction Method)을 참조하여 측정한다.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세로 및 가로방향 인열 강도는 다음과 같이 수득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12 μm ± 1 μm 박막을 제작하여, 표준 ASTM D-882/88에 따라 측정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12주 후의 생분해율은 다음과 같이 수득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12 μm ± 1 μm 박막을 제조하여, 표준 ISO 16929(2013)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4:
표 1에 기재된 중량부 비율에 따라,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전분, 처리제, 충전제 및 기타 첨가제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단일 스크류 압출기에 넣어, 140℃ 내지 240℃에서 압출하고, 펠릿화(pelletized)하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얻었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각 성능에 대한 시험 데이터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성분의 비례 및 성능 시험성적 (중량부)
Figure pct00001
표 1 - 계속
Figure pct00002

Claims (11)

  1. 하기 성분을 중량부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i)58 내지 80 중량부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ii)20 내지 32 중량부의 전분; 및
    iii)0 내지 10 중량부의 처리제(processing agent).
  2.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로 조성물은 하기 성분을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i)62 내지 80 중량부의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ii)20 내지 30 중량부의 전분; 및
    iii)0 내지 8 중량부의 처리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i)에 있어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내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이산(diacid) 총 함량의 44 몰% 내지 48 몰%이고, 및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 피크 폭 D는 5℃ 내지 16℃이고, 및 바람직하게 8℃ 내지 12℃인 것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ii) 에 있어서, 전분의 입경 D(50)는 2 μm 내지 12 μm이고, 바람직하게는 3 μm 내지 11 μm 이며,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5 μm 내지 10 μm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제조되는 12 μm ± 1μm 박막은 표준 ASTM D-882/88에 따라 시험한 결과, 세로방향 인열 강도는 1000 mN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0 mN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mN 이상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제조되는 12 μm ± 1 μm 박막은 표준 ASTM D-882/88에 따라 시험한 결과, 가로방향 인열 강도는 2400 mN 이상, 바람직하게는 2600 mN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0 mN 이상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제작되는 12 μm ± 1 μm 박막은 표준 ISO 16929(2013)에 따라 시험한 결과, 12주후의 생분해율은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i)에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BAT) 및 폴리(부틸렌세바케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BSeT) 중의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처리제는 물,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에폭시 콩기름(epoxy soybean oil), 구연산염(citrate), 아세틸 구연산염(acetyl citrate),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물, 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0 내지 20 중량부의 유기 충전제 또는 무기 충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유기 충전제는 천연 섬유, 짚, 나무가루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및 무기 충전제는 활석분(talcum powder), 몬모릴로나이트, 고령토(kaolin), 백악(chalk), 탄산칼슘, 흑연, 석고, 도전성 카본 블랙, 염화칼슘, 산화철, 백운석(dolomite), 이산화규소, 규회석, 이산화티탄, 규산염(silicate), 운모, 유리 섬유 또는 광물 섬유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량부로 계산하여, 생분해성 조성물은 0 내지 4 중량부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타 첨가제는 이형제, 계면 활성제, 왁스, 대전 방지제, 염료, 항-UV 첨가제 또는 기타 플라스틱 첨가제(plastic additive)인 것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1. 쇼핑봉투, 퇴비봉투, 제초필름, 보호성 커버막, 사이로막(silo film), 박막 테이프, 직물, 부직포, 방직품, 어망, 내화물 봉투 또는 쓰레기 봉투로 제조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용도.
KR1020207006302A 2018-05-28 2019-05-24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응용 KR102309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522059.5A CN108795001B (zh) 2018-05-28 2018-05-28 一种可生物降解聚合物组合物及其应用
CN201810522059.5 2018-05-28
PCT/CN2019/088370 WO2019228273A1 (zh) 2018-05-28 2019-05-24 一种可生物降解聚合物组合物及其应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838A true KR20200037838A (ko) 2020-04-09
KR102309430B1 KR102309430B1 (ko) 2021-10-06

Family

ID=6408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302A KR102309430B1 (ko) 2018-05-28 2019-05-24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응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0909B2 (ko)
EP (1) EP3660095A4 (ko)
JP (1) JP2020531678A (ko)
KR (1) KR102309430B1 (ko)
CN (1) CN108795001B (ko)
WO (1) WO2019228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5001B (zh) * 2018-05-28 2020-04-07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合物组合物及其应用
CN109627709B (zh) * 2018-12-25 2021-04-27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降解生物基母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3708357A1 (de) * 2019-03-15 2020-09-16 Naue GmbH & Co. KG Geomaterialbahn mit biologischen abbaueigenschaften
EP3932982A1 (en) * 2020-07-03 2022-01-05 Gaia Holding AB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N114058159B (zh) * 2020-07-31 2023-06-27 李小文 一种无机填充物复合塑化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011163A (zh) * 2020-09-01 2020-12-01 中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降解聚酯及其制备方法
CN111995850A (zh) * 2020-09-01 2020-11-27 中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降解复合材料及其应用
CN112852119B (zh) * 2020-12-23 2022-05-20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bt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687066A (zh) * 2020-12-31 2022-07-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可降解吸油材料及其制备方法
JP6916571B1 (ja) * 2021-03-25 2021-08-11 株式会社Tbm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CN113831699B (zh) * 2021-10-20 2023-01-13 界首市天鸿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高强度和高延伸率的可生物降解材料及其应用
WO2023111736A1 (en) * 2021-12-16 2023-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lt processible compositions comprising a nonfluorinated polymer processing additive and methods of use
CN114456488B (zh) * 2022-01-19 2024-01-26 中北大学 一种抗撕裂PBSeT/PP/HDPE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443B1 (ko) * 1990-11-30 1999-09-15 그윈넬 해리 제이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및 셀룰로스 에스테르/중합체 배합물
KR20010052952A (ko) * 1998-06-17 2001-06-25 바스티올리 카티아 높은 기계적 특성을 갖는 복합 전분-함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10058A1 (it) * 2001-01-25 2002-07-25 Novamont Spa Miscele ternarie di poliesteri biodegradabili e prodotti da queste ottenuti.
ITTO20010057A1 (it) * 2001-01-25 2002-07-25 Novamont Spa Miscele ternarie di poliesteri biodegradabili e prodotti da queste ottenuti.
CN1363625A (zh) * 2001-11-15 2002-08-14 天津丹海股份有限公司 生物降解树脂的生产方法
DE10336387A1 (de) * 2003-08-06 2005-03-03 Basf Ag Biologisch abbaubare Polyestermischung
EP2052030B1 (en) * 2006-07-28 2015-03-25 Biograde (Hong Kong) Pty Ltd. Masterbatch and polymer composition
ITMI20061845A1 (it) * 2006-09-27 2008-03-28 Novamont Spa Composizioni biodegradabili polifasiche a base di amido
CN101003646A (zh) 2006-12-25 2007-07-25 刘津平 可发泡生物材料及生物泡沫制品的生产方法
WO2010074185A1 (ja) * 2008-12-26 2010-07-01 三菱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フィルム、袋製品、およ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GB0908928D0 (en) * 2009-05-26 2009-07-01 Hyflux Ltd A biodegradable starch film
IT1399032B1 (it) * 2009-11-06 2013-04-05 Novamont Spa Poliestere biodegradabile alifatico-aromatico
IT1396597B1 (it) * 2009-11-05 2012-12-14 Novamont Spa Miscele di poliesteri biodegradabili
IT1399031B1 (it) 2009-11-05 2013-04-05 Novamont Spa Copoliestere alifatico-aromatico biodegradabile
CN102115576B (zh) * 2009-12-31 2014-09-17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天然生物聚合物热塑性膜
US20120107527A1 (en) * 2010-10-27 2012-05-03 Basf Se Use of polymer blends for producing slit film tapes
CN102492267A (zh) 2011-12-02 2012-06-13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淀粉类完全生物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044866A (zh) * 2012-12-18 2013-04-17 上海交通大学 可塑性淀粉改性pbat生物全降解材料的制备方法
CA2909010C (en) * 2013-04-10 2018-10-23 Bio-Tec Biologische Naturverpackungen Gmbh & Co. Kg Polymer composition with a content of biobased polymers
CN104119647B (zh) * 2013-04-27 2018-08-03 上海杰事杰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淀粉含量全生物降解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524430A (zh) * 2014-10-22 2016-04-27 六安载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CN104479317B (zh) * 2014-12-01 2016-09-1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降解脂肪族-芳香族共聚酯组合物及其应用
CN104861210B (zh) * 2015-04-30 2017-09-29 亿帆鑫富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疏水稳定的淀粉基全生物降解树脂及其制备方法
CN104974478A (zh) * 2015-06-10 2015-10-14 重庆嘉良塑胶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降解塑料及其生产工艺
CN108003571A (zh) * 2017-11-28 2018-05-0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8795001B (zh) 2018-05-28 2020-04-07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合物组合物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443B1 (ko) * 1990-11-30 1999-09-15 그윈넬 해리 제이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및 셀룰로스 에스테르/중합체 배합물
KR20010052952A (ko) * 1998-06-17 2001-06-25 바스티올리 카티아 높은 기계적 특성을 갖는 복합 전분-함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95001B (zh) 2020-04-07
WO2019228273A1 (zh) 2019-12-05
CN108795001A (zh) 2018-11-13
US11370909B2 (en) 2022-06-28
US20210061989A1 (en) 2021-03-04
EP3660095A4 (en) 2020-09-09
KR102309430B1 (ko) 2021-10-06
EP3660095A1 (en) 2020-06-03
JP2020531678A (ja)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430B1 (ko)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및 그의 응용
CN108219396B (zh) 一种生物可降解的聚酯组合物及其应用
KR100722896B1 (ko) 제전성 조성물
CN113631657B (zh) 聚羟基烷酸酯系树脂组合物、其成型体及膜或片
CN108047658B (zh) 一种生物降解聚酯农用地膜
CN113652063A (zh) 一种碳酸钙填充的pbat/pla可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CN106243655B (zh) 高强度3d打印用聚乳酸材料
AU2013347034A1 (en) Biodegradable polyester mixture
JPWO2007015371A1 (ja) 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それから得られる成形体
CN101544813A (zh) 快速结晶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037618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Petchwattana et al. Synergistic effect of talc and titanium dioxide on poly (lactic acid) crystallization: An investigation on the injection molding cycle time reduction
JP2009221337A (ja) 樹脂組成物並びに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品及びフィルム
WO2024060635A1 (zh) 含羟基酸类成核剂的聚羟基烷酸酯组合物、聚羟基烷酸酯成型体及其制备方法
CN108359223B (zh) 一种生物可降解的聚酯组合物及其应用
JP4629217B2 (ja) 制電性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CN112063152A (zh) 一种耐热性好的可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JP4562852B2 (ja) 生分解性・制電性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AU2019100561A4 (en)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JP5016196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7218650B2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Phetwarotai et al.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of nucleated polylactide, 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and thermoplastic starch ternary blend films: effects of compatibilizer and starch
CN110343373A (zh) 一种多功能包装材料
WO2011001763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成形品、携帯電話機用卓上ホルダー、携帯電話機の内部シャーシ部品、電子機器用筐体及び電子機器用内部部品
JP4758007B2 (ja) 制電性可塑化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