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450A - 가이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가이드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450A
KR20200028450A KR1020207004325A KR20207004325A KR20200028450A KR 20200028450 A KR20200028450 A KR 20200028450A KR 1020207004325 A KR1020207004325 A KR 1020207004325A KR 20207004325 A KR20207004325 A KR 20207004325A KR 20200028450 A KR20200028450 A KR 20200028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dy
guide wire
core shaft
winding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고바야시
도모미 이노우에
쇼 구보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01Angioplasty, e.g. PC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61M2025/09091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where a sheath surrounds the coil at the distal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33Guide wires having specific material compositions or coatings; Materials with specific mechanical behaviours, e.g. stiffness, strength to transmit tor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a coating or protect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66Shape memor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가이드 와이어는, 코어 샤프트와, 코어 샤프트에 권회된 코일체와,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코일체의 선단이 접합된 선단 접합부와, 코어 샤프트의 기단과, 코일체의 기단이 접합된 기단 접합부를 구비하며, 코일체는, 선단 접합부와 기단 접합부와의 사이에서, 코일 피치가 상대적으로 성긴 소권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가이드 와이어
본 발명은, 가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혈관이나 소화 기관에 카테터를 삽입할 때에 이용되는 가이드 와이어가 알려져 있다. 가이드 와이어는, 일반적으로, 선재(線材)를 이용한 코어 샤프트와, 코어 샤프트의 외주에 권회(卷回)된 코일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코일체의 선단이 접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혈관 병변부의 확경(擴徑, 지름 확장) 치료에서는, 가이드 와이어를 혈관 내에 삽입하고,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이 혈관 병변부에 도달할 때까지 혈관 내를 진행시킨다. 이 때, 꼬불꼬불 구부러진 복잡한 경로의 혈관 내나 분기 혈관부에서 가이드 와이어를 임의의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해서,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추종 성능이 필요하게 된다. 회전 추종 성능이란, 체외에 위치하는 가이드 와이어의 손잡이부(기단부)를 회전시켰을 때에, 손잡이부의 회전에 추종하여, 혈관 내에 있는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가 회전하는 성능을 말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에는, 코일체의 선단이 코어 샤프트의 선단에 고정되고, 코일체의 기단이 코어 샤프트의 기단에 고정된 가이드 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소60-786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소60-1206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실용신안공개 소57-45948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3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회전 추종 성능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1~3의 가이드 와이어의 경우, 인체 내에서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에, 코일체 중 만곡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 즉, 코일체 중 코일체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만곡하고 있는 방향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축방향으로 압축된다. 압축된 부분에서는 코일이 수축된 상태가 되어 회전 추종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또, 코일체 중 만곡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내주부가 코어 샤프트의 외주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잡아 당겨진 상태가 되어 회전 추종 성능이 더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이러한 문제는, 코일체가 코어 샤프트의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의 전체에 권회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에서 현저하지만, 코일체가 코어 샤프트의 전체가 아니라 일부에 권회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코일체가 코어 샤프트에 권회되어 있는 가이드 와이어에서,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가 제공된다. 이 가이드 와이어는,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어 샤프트에 권회(卷回)된 코일체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상기 코일체의 선단이 접합된 선단 접합부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기단과, 상기 코일체의 기단이 접합된 기단 접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코일체는, 상기 선단 접합부와 상기 기단 접합부와의 사이에서, 코일 피치가 상대적으로 성긴 소권부(疎卷部)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에, 코일체에서 만곡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이드 와이어의 축방향으로 압축되어도, 소권부의 코일 사이의 간극에 의해서, 코일의 수축이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코일의 수축이 완화되기 때문에, 코일체와 코어 샤프트와의 접촉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는 상태를 완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에서, 상기 코일체는, 상기 소권부의 선단보다도 선단측과, 상기 소권부의 기단보다도 기단측 양쪽 모두에, 상기 소권부보다도 코일 피치가 상대적으로 조밀한 밀권부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양측의 밀권부에 의해서 가이드 와이어의 슬라이딩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소권부에 의해서,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에서, 상기 코일체는, 상기 소권부의 선단보다도 선단측의 상기 밀권부와, 상기 소권부의 기단보다도 기단측의 상기 밀권부의 각각의 외표면에 수지(樹脂)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권부에서, 상기 수지 피막이 분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권부에서, 수지 피막에 의한 코일체의 구속이 완화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더 억제할 수 있다.
(4) 상기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에서, 상기 코일체는, 상기 소권부의 선단보다도 선단측의 제1 상기 밀권부 중, 상기 제1 밀권부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의 외표면과, 상기 소권부의 기단보다도 기단측의 제2 상기 밀권부의 외표면의 각각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권부와, 상기 제1 밀권부의 후단측의 일부분에서, 상기 수지 피막이 분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밀권부의 후단측의 일부에서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밀권부에 수지 피막을 형성할 때에, 수지 피막 형성액이 소권부로부터 코어 샤프트에 들어가, 코일체와 코어 샤프트가 접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권부, 및 제1 밀권부의 후단측의 일부에서, 수지 피막에 의한 코일체의 구속이 완화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더 억제할 수 있다.
(5) 상기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에서, 상기 코어 샤프트는, 상기 코어 샤프트에서 외경이 최대이고, 또한, 상기 코어 샤프트의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외경이 일정한 최대 외경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소권부는, 상기 코일체에서, 상기 최대 외경부를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에, 최대 외경부와 코일체와의 접촉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잡아 당겨진 상태가 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고,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6) 상기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코일체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코어 샤프트에 권회된 내측 코일체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내측 코일체는, 상기 코일체보다도 길이가 짧고, 상기 내측 코일체의 선단은, 상기 선단 접합부에서 상기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접합되어 있고, 상기 소권부는, 상기 코일체에서, 상기 코어 샤프트 중 상기 내측 코일체가 권회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에, 내측 코일체와 코일체의 소선끼리의 맞물림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가이드 와이어에 이용되는 코일체, 가이드 와이어의 제조 방법 등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도 2는 회전 추종성 시험에 이용한 샘플 1~5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회전 추종성 시험에 이용한 샘플 1~5의 구성을 비교한 설명도이다.
도 4는 회전 추종성 시험의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회전 추종성 시험의 시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도 10은 제6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도 12는 제8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도 13은 제9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가이드 와이어(1)는, 혈관이나 소화 기관에 카테터를 삽입할 때에 이용되는 의료 기구이며, 코어 샤프트(10)와, 코일체(20)와, 내측 코일체(30)와, 선단 접합부(51)와, 기단 접합부(52)와, 내측 접합부(55)와, 제1 중간 고정부(61)와, 제2 중간 고정부(62)와, 제1 수지(樹脂) 피막(71)과, 제2 수지 피막(72)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좌측을 가이드 와이어(1) 및 각 구성 부재의 「선단측」이라고 하고, 도 1의 우측을 가이드 와이어(1) 및 각 구성 부재의 「기단측」이라고 한다.
코어 샤프트(10)는, 기단측이 굵은 지름이고 선단측이 가는 지름으로 된 끝이 가는 장척(長尺) 형상의 부재이다. 코어 샤프트(10)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합금(SUS302, SUS304, SUS316 등), Ni-Ti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 피아노선, 니켈-크롬계 합금, 코발트 합금, 텅스텐 등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코어 샤프트(10)는, 상기 이외의 공지의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코어 샤프트(10)의 길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600mm~3000mm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코어 샤프트(10)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태경부(太徑部)(11)와, 테이퍼부(12)와, 세경부(細徑部)(13)를 가지고 있다.
태경부(11)는, 코어 샤프트(10)에서 외경이 최대가 되는 최대 외경부이며, 코어 샤프트(10)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외경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태경부(11)의 기단에는 기단 접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태경부(11)의 외경(D1)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mm~0.5mm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태경부(11)의 길이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560mm~2960mm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테이퍼부(12)는, 태경부(11)와 세경부(1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외경이 가늘게 되어 있다. 세경부(13)는, 코어 샤프트(10)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고, 세경부(13)의 선단에는, 선단 접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체(20)는, 1개의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을 이어 놓은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코어 샤프트(10)의 외주의 거의 전체를 덮도록 코어 샤프트(10)에 권회되어 있다. 코일체(20)는, 선단 접합부(51), 기단 접합부(52), 제1 중간 고정부(61), 및 제2 중간 고정부(62)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10)에 고정되어 있다.
코일체(20)를 구성하는 코일은, 1개의 소선을 나선 모양으로 감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단(單)코일이라도 좋고, 복수의 소선을 서로 꼰 연선(撚線)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중공 연선 코일이라도 좋다. 또, 코일체(20)는, 단코일과 중공 연선 코일을 조합시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여기에서는, 코일체(20)는, 제2 중간 고정부(62)보다도 선단측이 단코일에 의해서 구성되고, 제2 중간 고정부(62)보다도 기단측이 중공 연선 코일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코일체(20)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합금(SUS302, SUS304, SUS316 등), Ni-Ti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 피아노선, 니켈-크롬계 합금, 코발트 합금, 텅스텐 등의 방사선 투과성 합금, 금, 백금, 텅스텐, 이들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예를 들면, 백금-니켈 합금) 등의 방사선 불투과성 합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코일체(20)는, 상기 이외의 공지의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코일체(20)의 길이는, 거의 코어 샤프트(10)의 길이와 동일하다. 코일체(20)는, 외경(D2)이 일정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경(D2)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0.3mm~1.5mm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코일체(20)의 선단은, 선단 접합부(51)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10)의 선단과 접합되어 있다. 선단 접합부(51)는, 은 납땜, 금 납땜, 아연, Sn-Ag합금, Au-Sn합금 등의 금속 납땜에 의해서 형성되고, 이 금속 납땜에 의해 코일체(20)의 선단과 코어 샤프트(10)의 선단이 고착되어 있다. 또, 선단 접합부(51)는, 에폭시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형성되고, 접착제에 의해 코일체(20)의 선단과 코어 샤프트(10)의 선단이 고착되어 있어도 괜찮다. 코일체(20)의 기단은, 기단 접합부(52)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10)의 기단과 접합되어 있다. 기단 접합부(52)는, 선단 접합부(51)와 동일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선단 접합부(51)와 다른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코일체(20)의 중간부 부근의 일부는, 제1 중간 고정부(61)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10)의 태경부(11)에 고정되어 있다. 또, 코일체(20)의 중간부 부근의 다른 일부는, 제2 중간 고정부(62)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10)의 태경부(11)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중간 고정부(62)는, 제1 중간 고정부(61)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고, 여기에서는, 코일체(20)를 구성하는 단코일과 중공 연선 코일의 접속부(경계부)로 되어 있다. 제1 중간 고정부(61) 및 제2 중간 고정부(62)는, 선단 접합부(51) 및 기단 접합부(52)와 동일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다른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코일체(20)는, 코일 피치가 다른, 소권부(疎卷部)(22)와 밀권부(密卷部)(제1 밀권부(23a), 제2 밀권부(23b))를 가지고 있다. 코일체(20)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제1 밀권부(23a), 소권부(22), 제2 밀권부(2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제1 밀권부(23a)와 소권부(22)가 동일한 단코일에 형성되고, 제2 밀권부(23b)가 중공 연선 코일에 형성되어 있다.
소권부(22)는, 코일체(20)에서, 코일 피치가 상대적으로 성긴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소권부(22)는, 밀권부(23)(제1 밀권부(23a), 제2 밀권부(23b))보다도 코일 피치가 성기고, 여기에서는, 코일 피치가 제1 밀권부(23a)의 0.80배~0.99배 정도로 되어 있다. 여기서의 소권부(22)의 코일 피치란, 소권부(22)에서의 코일 피치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있고, 소권부(22)의 축방향의 길이를, 소권부(22)의 코일 감김수로 나눈 값이다. 제1 밀권부(23a)의 코일 피치란, 제1 밀권부(23a)에서의 코일 피치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있고, 제1 밀권부(23a)의 축방향의 길이를, 제1 밀권부(23a)의 코일 감김수로 나눈 값이다. 소권부(22)는, 기단이 제2 중간 고정부(62)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밀권부(23)(제1 밀권부(23a), 제2 밀권부(23b))는, 코일체(20)에서, 코일 피치가 상대적으로 조밀한 부분이다. 제1 밀권부(23a)와 제2 밀권부(23b)는, 코일 피치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괜찮다. 제1 밀권부(23a)는, 선단이 선단 접합부(51)에 고정되고, 기단이 소권부(22)의 선단과 접하고 있다. 제2 밀권부(23b)는, 선단이 소권부(22)의 기단, 및 제2 중간 고정부(62)에 접하고 있고, 기단이 기단 접합부(52)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일체(20)는, 소권부(22)의 선단보다도 선단측과, 소권부(22)의 기단보다도 기단측 양쪽 모두에 밀권부(제1 밀권부(23a), 제2 밀권부(23b))가 배치되어 있다. 또, 소권부(22)는, 코일체(20)에서, 태경부(11)를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 소권부(22)는, 코일체(20)에서, 코어 샤프트(10) 중 내측 코일체(30)가 권회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들에 의한 효과의 일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내측 코일체(30)는, 단코일 또는 중공 연선 코일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코어 샤프트(10)의 선단측의 외주를 덮도록 코어 샤프트(10)에 권회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내측 코일체(30)는, 코어 샤프트(10)의 세경부(13) 및 테이퍼부(12)의 일부에 권회되어 있다. 내측 코일체(30)는, 코어 샤프트(10) 및 코일체(20)보다도 길이가 짧고, 선단 접합부(51), 및 내측 접합부(55)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10)에 고정되어 있다.
내측 코일체(30)의 길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mm~100mm를 예시할 수 있다. 내측 코일체(30)는, 외경(D3)이 일정하게 구성되어 있다. 외경(D3)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0.1mm~0.5mm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내측 코일체(30)의 선단은, 선단 접합부(51)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10)의 선단과 접합되어 있다. 내측 코일체(30)의 기단은, 내측 접합부(55)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10)의 테이퍼부(12)에 접합되어 있다. 내측 접합부(55)는, 선단 접합부(51)와 동일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다른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내측 코일체(30)의 감김 방향은, 코일체(20)의 감김 방향과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괜찮다. 또, 내측 코일체(30)의 코일 피치는, 코일체(20)의 코일 피치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괜찮다. 또, 내측 코일체(30)의 코일 피치를 코일체(20)의 코일 피치와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서,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부를 만곡 변형시켰을 때에, 이들 소선끼리의 맞물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와이어(1)에서,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으로부터 제1 중간 고정부(61)까지의 부분을 「제1 구간부(P1)」라고 하고, 제1 중간 고정부(61)로부터 소권부(22)의 선단까지의 부분을 「제2 구간부(P2)」라고 하고, 소권부(22)의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의 부분을 「제3 구간부(P3)」라고 하고, 소권부(22)의 기단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1)의 기단까지의 부분을 「제4 구간부(P4)」라고 한다. 제1 구간부(P1)의 길이는, 예를 들면, 40mm~400mm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제2 구간부(P2)의 길이는, 예를 들면, 250mm~1000mm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제3 구간부(P3)의 길이는, 예를 들면, 10mm~100mm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제4 구간부(P4)의 길이는, 예를 들면, 300mm~1500mm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이 때, 코일체(20)는, 제1 구간부(P1)와 제2 구간부(P2)에서 제1 밀권부(23a)가 형성되어 있고, 제3 구간부(P3)에서 소권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4 구간부(P4)에서 제2 밀권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체(20) 중, 제1 구간부(P1)와 제4 구간부(P4)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은, 제1 수지 피막(71)에 의해서 피복되고, 제2 구간부(P2)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은, 제2 수지 피막(72)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코일체(20)의 제3 구간부(P3)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에는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즉, 가이드 와이어(1)는, 소권부(22) 이외의 부분이 수지 피막(제1 수지 피막(71) 또는 제2 수지 피막(72))에 의해 덮여져 있고, 소권부(22)는 수지 피막에 의해 덮여져 있지 않다. 환언하면, 코일체(20)는, 제1 밀권부(23a)와 제2 밀권부(23b)의 외표면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권부(22)에서, 수지 피막이 분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한 효과의 일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수지 피막(71)은, 코일체(20)의 표면보다도 외부와의 마찰이 생기기 어려운 소수성(疏水性)의 수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실리콘 수지 등이 이용된다. 또, 소수성의 수지로서 실리콘 수지 이외에,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등을 이용해도 괜찮다.
제2 수지 피막(72)은, 친수성기를 가지는 수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카복시메틸전분 등의 전분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알긴산, 헤파린, 키틴(chitin), 키토산, 히알루론산 등의 다당류, 젤라틴 등의 천연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나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 아크릴산염(鹽), 메틸 비닐 에테르 무수(無水) 말레산 공중합체, 메틸 비닐 에테르 무수 말레산염(鹽), 메틸 비닐 에테르 무수 말레산 암모늄염(鹽), 무수 말레산 에틸 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히드록시 에틸 프탈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디메틸롤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폴리 아크릴 아미드, 폴리 아크릴 아미드 4급화물,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 에틸렌이민, 폴리에틸렌 술포네이트, 수용성 나일론 등의 합성 수용성 고분자 물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2 수지 피막(72)은, 물을 포함하면 팽윤(澎潤) 상태가 되고, 제1 수지 피막(71)보다도, 미끄러짐성이나 혈전 부착 방지성이 더 향상된다.
제2 수지 피막(72)은, 제1 수지 피막(71)보다도 윤활성을 가지고 있고, 체내에서 마찰 저항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의 가이드 와이어 전체의 외표면을 제2 수지 피막(72)에 의해서 피복하면, 체내에서 가이드 와이어가 너무 미끄러져 버려, 체내의 분기(分岐) 등에서 조작성이 저하된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측 및 기단측을 제1 수지 피막(71)으로 하고, 중간부의 일부를 제2 수지 피막(72)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예>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하면, 선단 접합부(51)와 기단 접합부(52)와의 사이에서, 코일체(20)는 소권부(22)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만곡시에서의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회전 추종 성능이란, 가이드 와이어의 기단을 회전시켰을 때에, 기단의 회전에 추종하여 선단이 회전하는 성능을 말한다. 환언하면, 회전 추종 성능이란, 코어 샤프트와 코일체를 통한 회전의 전달 성능이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만곡시켰을 때에 코일체(20) 중 만곡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가이드 와이어(1)의 축방향으로 압축되어도, 소권부(22)의 코일 사이의 간극에 의해서, 코일의 수축이 완화된다. 그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1)를 만곡시켰을 때에 코일이 수축하여 회전 추종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이드 와이어(1)를 만곡시켰을 때에, 소권부(22)에 의해서 코일의 수축이 완화되기 때문에, 코일체(20)가 코어 샤프트(10)에 접촉하여 코어 샤프트(10)가 축방향으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1)의 만곡시에 코일체(20)의 내주가 코어 샤프트(10)의 외주와 접촉하여, 코어 샤프트(10)가 축방향으로 끌어 당겨지는 것에 의한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해서 만곡시에서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가 억제되는 점에 대해서는, 도 2~도 5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하면, 코일체(20)는, 소권부(22)의 선단보다도 선단측과, 소권부(22)의 기단보다도 기단측 양쪽 모두에, 밀권부(23)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측의 밀권부(23)에 의해서 가이드 와이어(1)의 슬라이딩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소권부(22)에 의해서 만곡시에서의 가이드 와이어(1)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일체는, 소권부보다도 밀권부의 쪽이 외내(外內)에서의 슬라이딩 성능이 높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하면, 소권부(22)의 양측의 밀권부(23)에 의해서 슬라이딩 성능을 확보하면서, 소권부(22)에 의해서 만곡시에서의 가이드 와이어(1)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하면, 코일체(20)는, 소권부(22)의 선단보다도 선단측의 제1 밀권부(23a)와, 소권부(22)의 기단보다도 기단측의 제2 밀권부(23b)의 각각 외표면에 수지 피막(71, 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권부(22)에서, 수지 피막(71, 72)이 분단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1)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더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체적으로는, 코일체의 외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면, 수지 피막에 의해서 코일끼리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코일체가 구속)된다. 수지 피막에 의해서 코일체가 구속되면, 만곡시에서의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추종 성능이 더 저하된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하면, 소권부(22)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소권부(22)에서, 수지 피막에 의한 코일체(20)의 구속이 완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더 억제할 수 있다. 또, 소권부(22)의 외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려고 한 경우, 수지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피막 형성액이 소권부(22)의 외표면으로부터 코어 샤프트(10)에 들어가, 코일체(20)와 코어 샤프트(10)가 접착하여 회전 추종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소권부(22)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지 않는 것에 의해서, 코일체(20)와 코어 샤프트(10)와의 접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하면, 소권부(22)는, 코일체(20)에서, 최대 외경부인 태경부(11)를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에, 최대 외경부와 코일체(20)와의 접촉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10)가 축방향으로 끌어 당겨진 상태가 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에 의하면, 소권부(22)는, 코일체(20)에서, 코어 샤프트(10) 중 내측 코일체(30)가 권회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1)를 만곡시켰을 때에, 내측 코일체(30)와 코일체(20)의 소선끼리의 맞물림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가이드 와이어(1)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회전 추종성 시험>
도 2~5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서 만곡시에서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가 억제되는 것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5개의 샘플에 대해서 회전 추종성 시험을 행했다. 회전 추종성 시험이란,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추종 성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시험이다.
도 2는, 회전 추종성 시험에 이용한 가이드 와이어의 샘플 1~5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각 샘플의 제1 중간 고정부(61)와 제2 중간 고정부(62)의 사이의 부분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3은, 샘플 1~5의 구성을 비교한 설명도이다. 샘플 1~5는,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도 1)와 마찬가지로, 코어 샤프트(10)와, 코일체(20(20a~20e))와, 제1 중간 고정부(61)와, 제2 중간 고정부(62)와, 제1 수지 피막(71)을 가지고 있다. 샘플 1~5는, 도 2에 나타내는, 제1 중간 고정부(61)와 제2 중간 고정부(62)의 사이의 부분의 구성이 서로 다르다. 그것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도 1)을 가지고 있다. 샘플 1~5는,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 및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의 유무, 소권부(22)의 유무의 조합이 각각 다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1의 코일체(20a)는, 제1 중간 고정부(61)와 제2 중간 고정부(62)의 사이에서, 전체가 밀권부(23)로 되어 있다. 또, 코일체(20a)는,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으며, 그것 이외의 부분에 제1 수지 피막(71)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1은,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유(有)」로 되고, 소권부(22)가 「무(無)」로 되어 있다. 또,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무(無)」로 되어 있고, 소권부(22)가 「무(無)」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2의 코일체(20b)는,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에서 소권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그것 이외의 부분이 밀권부(23)로 되어 있다. 또, 코일체(20b)는, 샘플 1과 마찬가지로,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고, 그것 이외의 부분에 제1 수지 피막(71)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2는,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유(有)」로 되고, 소권부(22)가 「무(無)」로 되어 있다. 또,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무(無)」로 되어 있고, 소권부(22)가 「유(有)」로 되어 있다. 샘플 2는, 제1 중간 고정부(61)와 제2 중간 고정부(62)의 사이의 수지 피막의 종류가 제1 수지 피막(71)인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3의 코일체(20c)는, 샘플 1의 코일체(20a)와 마찬가지로, 제1 중간 고정부(61)와 제2 중간 고정부(62)의 사이에서, 전체가 밀권부(23)로 되어 있다. 한편, 코일체(20c)는,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과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 양쪽 모두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으며, 그것 이외의 부분에 제1 수지 피막(71)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3은,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무(無)」로 되고, 소권부(22)가 「무(無)」로 되어 있다. 또,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무(無)」로 되어 있고, 소권부(22)가 「무(無)」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4의 코일체(20d)는,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과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 양쪽 모두에 각각 소권부(22)(제1 소권부(22a), 제2 소권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코일체(20d)는,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과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 양쪽 모두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으며, 그것 이외의 부분에 제1 수지 피막(71)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4는,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무(無)」로 되고, 소권부(22)가 「유(有)」로 되어 있다. 또,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무(無)」로 되어 있고, 소권부(22)가 「유(有)」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5의 코일체(20e)는, 샘플 1의 코일체(20a)와 마찬가지로, 제1 중간 고정부(61)와 제2 중간 고정부(62)의 사이에서, 전체가 밀권부(23)로 되어 있다. 한편, 코일체(20e)는, 제1 중간 고정부(61)와 제2 중간 고정부(62)의 사이에서, 전체에 제1 수지 피막(71)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5는,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유(有)」로 되고, 소권부(22)가 「무(無)」로 되어 있다. 또,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에서, 제1 수지 피막(71)이 「유(有)」로 되어 있고, 소권부(22)가 「무(無)」로 되어 있다.
도 4는, 회전 추종성 시험의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튜브(81)를 이용하여, 반경 50mm의 원형의 고리를 만들고, 고리의 전후에 직선 부분을 형성한 시험 경로를 작성했다. 이 시험 경로의 일방의 개구부(도 4 우측의 개구부)로부터, 샘플의 가이드 와이어(84)를 삽입했다. 샘플의 가이드 와이어(84)는, 선단이 튜브(81)의 타방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될 때까지 안쪽으로 밀어 나아가게 했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 와이어(84)의 기단측을 회전시켰다. 각 샘플 1~5에 대해서, 기단측을 회전시켰을 때에 선단측이 몇 번 회전했는지를 측정했다.
도 5는, 회전 추종성 시험의 시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표에서, 가로축은 샘플의 기단측의 회전 각도(입력 각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샘플의 선단측의 회전 각도(출력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이상(理想)값은, 기단부의 회전에 선단부가 완전하게 추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코일체(20)에 소권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샘플 1, 3, 5에서는, 회전 추종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고, 코일체(20)에 소권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샘플 2, 4에서는, 회전 추종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것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는, 코일체(20)에 소권부(2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만곡시에서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가 억제되는 것이 밝혀졌다.
<제2 실시 형태>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A)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소권부(22)가 제2 중간 고정부(62)에 인접하여 1개소만 형성되어 있다(도 1). 그러나, 소권부(22)는, 제2 중간 고정부(62)에 인접한 위치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A)에서는, 코일체(20A)는,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과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 양쪽 모두에 각각 소권부(22)(제1 소권부(22a), 제2 소권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소권부(22a)는, 선단이 제1 중간 고정부(61)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소권부(22b)는, 기단이 제2 중간 고정부(62)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체(20a)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제1 밀권부(23c), 제1 소권부(22a), 제2 밀권부(23d), 제2 소권부(22b), 제3 밀권부(23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1A)의 선단으로부터 제1 중간 고정부(61)까지의 부분을 「제1 구간부(P11)」라고 하고, 제1 중간 고정부(61)로부터 제1 소권부(22a)의 기단까지의 부분을 「제2 구간부(P12)」라고 하고, 제1 소권부(22a)의 기단으로부터 제2 소권부(22b)의 선단까지의 부분을 「제3 구간부(P13)」라고 하고, 제2 소권부(22b)의 선단으로부터 제2 중간 고정부(62)까지의 부분을 「제4 구간부(P14)」라고 하고, 제2 중간 고정부(62)로부터 가이드 와이어(1A)의 기단까지의 부분을 「제5 구간부(P15)」라고 한다.
이 때, 코일체(20A)는, 제1 구간부(P11)에서 제1 밀권부(23c)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구간부(P12)에서 제1 소권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제3 구간부(P13)에서 제2 밀권부(23d)가 형성되어 있고, 제4 구간부(P14)에서 제2 소권부(22b)가 형성되어 있고, 제5 구간부(P15)에서 제3 밀권부(23e)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체(20A) 중, 제1 구간부(P11)와 제5 구간부(P15)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은, 제1 수지 피막(71)에 의해서 피복되고, 제3 구간부(P13)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은, 제2 수지 피막(72)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코일체(20A)의 제2 구간부(P12) 및 제4 구간부(P14)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에는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A)에 의해서도,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A)는, 상술한 회전 추종성 시험에 이용한 샘플 4와 수지 피막의 구성 이외는 동일하다. 회전 추종성 시험에 이용한 샘플 4는, 회전 추종 성능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A)에서도, 만곡시에서의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또, 소권부(22)는, 중간 고정부(제1 중간 고정부(61), 제2 중간 고정부(62))의 위치에 관계없이, 임의의 개소에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소권부(22)는,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다만, 소권부(22)는, 가이드 와이어의 중간부 부근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 형태>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B)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밀권부(23)(제1 밀권부(23a), 제2 밀권부(23b))의 외표면의 전체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밀권부(23)의 외표면의 일부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B)에서는, 코일체(20A)는, 제1 밀권부(23a)의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해 소정의 범위의 외표면에 수지 피막(제1 수지 피막(71) 또는 제2 수지 피막(72))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1 밀권부(23a)의 후단측의 외표면의 일부에는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그것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과 동일하다. 환언하면, 코일체(20A)는, 제1 밀권부(23a)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의 외표면과, 제2 밀권부(23b)의 외표면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고, 소권부(22)와, 제1 밀권부(23a)의 후단측의 일부분에서, 수지 피막이 분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1B)의 선단으로부터 제1 중간 고정부(61)까지의 부분을 「제1 구간부(P21)」라고 하고, 제1 중간 고정부(61)로부터 제1 밀권부(23a)의 후단측의 도중 지점까지의 부분을 「제2 구간부(P22)」라고 하고, 제1 밀권부(23a)의 후단측의 도중 지점으로부터 소권부(22)의 선단까지의 부분을 「제3 구간부(P23)」라고 하고, 소권부(22)의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의 부분을 「제4 구간부(P24)」라고 하고, 소권부(22)의 기단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1B)의 기단까지의 부분을 「제5 구간부(P25)」라고 한다.
이 때, 코일체(20B)는, 제1 구간부(P21), 제2 구간부(P22), 및 제3 구간부(P23)에서 제1 밀권부(23a)가 형성되어 있고, 제4 구간부(P24)에서 소권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제5 구간부(P25)에서 제2 밀권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체(20B) 중, 제1 구간부(P21)와 제5 구간부(P25)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은, 제1 수지 피막(71)에 의해서 피복되고, 제2 구간부(P22)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은, 제2 수지 피막(72)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코일체(20B)의 제3 구간부(P23) 및 제4 구간부(P24)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에는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B)에 의해서도,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이면, 코일체(20)의 외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할 때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피막 형성액이 코일체(20)의 외표면으로부터 코어 샤프트(10)에 들어가, 코일체(20)와 코어 샤프트(10)가 접착하여 회전 추종 성능이 저하되는 상태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밀권부(23a)의 전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1 밀권부(23a)와 소권부(22)와의 경계 위치에 피막 형성액을 도포하면,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게 소권부(22)의 외표면으로부터 피막 형성액이 코어 샤프트(10)에 들어가, 코일체(20)와 코어 샤프트(10)가 접착하여 회전 추종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B)와 마찬가지로, 제1 밀권부(23a) 중,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제2 구간부(P22))에만 수지 피막을 형성하고, 후단측의 일부분(제3 구간부(P23))에는, 수지 피막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제조 중에 의도하지 않게 소권부(22)의 외표면으로부터 피막 형성액이 코어 샤프트(10)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밀권부(23a) 중, 상술한 위치 이외의 위치에도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있어도 괜찮다. 또, 제2 밀권부(23b)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도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C)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소권부(22)를 1개 구비하고(도 1),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A)는, 소권부(22)를 2개 구비하고 있다(도 6). 그러나, 소권부(22)의 수(數)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C)에서는, 코일체(20C)는, 제1 중간 고정부(61) 부근과 제2 중간 고정부(62) 부근 외에, 가이드 와이어(1C)의 선단과 제1 중간 고정부(61)와의 사이에도, 소권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4 실시 형태의 코일체(20C)는, 3개의 소권부(22)(제1 소권부(22c), 제2 소권부(22d), 제3 소권부(22e))를 가지고 있고,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제1 밀권부(23f), 제1 소권부(22c), 제2 밀권부(23g), 제2 소권부(22d), 제3 밀권부(23h), 제3 소권부(22e), 제4 밀권부(23i)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1C)의 선단으로부터 제1 소권부(22c)의 선단까지의 부분을 「제1 구간부(P31)」라고 하고, 제1 소권부(22c)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부분을 「제2 구간부(P32)」라고 하고, 제1 소권부(22c)의 후단으로부터 제1 중간 고정부(61)까지의 부분을 「제3 구간부(P33)」라고 하고, 제1 중간 고정부(61)로부터 제2 소권부(22d)의 기단까지의 부분을 「제4 구간부(P44)」라고 하고, 제2 소권부(22d)의 기단으로부터 제3 소권부(22e)의 선단까지의 부분을 「제5 구간부(P35)」라고 하고, 제3 소권부(22e)의 선단으로부터 제2 중간 고정부(62)까지의 부분을 「제6 구간부(P36)」라고 하고, 제2 중간 고정부(62)로부터 가이드 와이어(1C)의 기단까지의 부분을 「제7 구간부(P37)」라고 한다.
이 때, 코일체(20C)는, 제1 구간부(P31)에서 제1 밀권부(23f)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구간부(P32)에서 제1 소권부(22c)가 형성되어 있고, 제3 구간부(P33)에서 제2 밀권부(23g)가 형성되어 있고, 제4 구간부(P34)에서 제2 소권부(22d)가 형성되어 있고, 제5 구간부(P35)에서 제3 밀권부(23h)가 형성되어 있고, 제6 구간부(P36)에서 제3 소권부(22e)가 형성되어 있고, 제7 구간부(P37)에서 제4 밀권부(23i)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체(20C) 중, 제1 구간부(P31), 제3 구간부(P33), 및 제7 구간부(P37)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은, 제1 수지 피막(71)에 의해서 피복되고, 제5 구간부(P35)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은, 제2 수지 피막(72)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코일체(20C)의 제2 구간부(P32), 제4 구간부(P34), 및 제6 구간부(P36)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표면에는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C)에 의해서도, 3개의 소권부(22)(제1 소권부(22c), 제2 소권부(22d), 제3 소권부(22e))의 코일 사이의 간극에 의해서, 만곡시에서의 코일의 수축이 완화된다. 또, 코일의 수축이 완화에 의해서, 만곡시에 코일체(20C)가 코어 샤프트(10)에 접촉하여 코어 샤프트(10)가 축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C)에 의해서도,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이드 와이어는, 소권부(22)를 4개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괜찮다.
<제5 실시 형태>
도 9는, 제5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D)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내측 코일체(30)를 구비하고 있다(도 1). 그러나, 도 9에 나타내는 제5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D)와 같이, 내측 코일체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구성이라도, 소권부(22)에 의해서, 만곡시에서의 코일의 수축이 완화된다. 또, 만곡시에 코일체(20d)가 코어 샤프트(10)에 접촉하여 코어 샤프트(10)가 축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D)에 의해서도,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0은, 제6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E)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코일체(20)의 외표면에 2 종류의 수지 피막(제1 수지 피막(71), 제2 수지 피막(7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그러나, 코일체(20)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제6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E)와 같이, 코일체(20E)의 소권부(22) 이외의 전체가 단일 종류의 수지 피막(여기에서는, 제2 수지 피막(72))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가이드 와이어(1)는, 3종류 이상의 수지 피막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들 구성이라도, 소권부(22)에 의해서,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F)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코일체(20)의 소권부(22)가 코어 샤프트(10)의 최대 외경부인 태경부(11)를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도 1). 그러나, 코일체(20)의 소권부(22)는, 코어 샤프트(10)의 최대 외경부를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제7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F)에서는, 코어 샤프트(10F)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제1 태경부(15)와, 제2 태경부(16)와, 테이퍼부(17)와, 세경부(18)를 가지고 있다. 제1 태경부(15)는, 코어 샤프트(10F)에서 외경이 최대가 되는 최대 외경부이며, 외경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제2 태경부(16)는, 외경이 제1 태경부(15)보다도 작고, 외경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테이퍼부(17) 및 세경부(18)는, 제1 실시 형태의 테이퍼부(12) 및 세경부(13)와 동일하다. 그리고, 코일체(20F)의 소권부(22)는, 최대 외경부의 제1 태경부(15)가 아니라, 제2 태경부(16)를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이라도, 소권부(22)에 의해서, 만곡시에서의 코일의 수축이 완화된다. 또, 만곡시에 코일체(20F)가 코어 샤프트(10F)의 제2 태경부(16)에 접촉하여 코어 샤프트(10F)가 축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7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F)에 의해서도,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12는, 제8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G)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기단 접합부(52)에서, 코일체(20)의 기단이 코어 샤프트(10)의 기단에 접속되어 있다(도 1). 그러나, 코일체(20)의 기단은, 코어 샤프트(10)의 기단 이외의 부위에 고정되어 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제8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G)와 같이, 코일체(20G)의 기단은, 코어 샤프트(10G)의 중간부 부근에 고정되어 있어도 괜찮다. 여기에서는, 코일체(20G)의 기단은, 중간 접합부(56)에 의해서 코어 샤프트(10G)의 태경부(19)와 접합되어 있다. 중간 접합부(56)는, 선단 접합부(51)와 동일 재료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이라도, 소권부(22)에 의해서, 만곡시에서의 코일의 수축이 완화된다. 또, 만곡시에 코일체(20G)가 코어 샤프트(10G)의 태경부(19)에 접촉하여 코어 샤프트(10G)가 축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8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G)에 의해서도,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도 13은, 제9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H)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개요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2개의 중간 고정부(제1 중간 고정부(61), 제2 중간 고정부(62))를 구비하고 있다(도 1). 그러나, 중간 고정부의 수는, 상기 이외의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제9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H)와 같이, 중간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구성이라도, 소권부(22)(제1 소권부(22a), 제2 소권부(22b))의 코일 사이의 간극에 의해서, 만곡시에서의 코일의 수축이 완화된다. 또, 2개의 소권부(22)에 의해서, 만곡시에 코일체(20H)가 코어 샤프트(10)에 접촉하여 코어 샤프트(10)가 축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9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H)에 의해서도,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시켰을 때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중간 고정부는, 3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1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폭이나 크기, 고정 방법은 상기 이외의 구성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형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변형예 1]
제1~9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 1A~1H)는, 코일체(20, 20A~20H)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수지 피막(제1 수지 피막(71) 또는 제2 수지 피막(72))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가이드 와이어는, 코일체의 외표면에 완전히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전체가 노출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가이드 와이어는, 코일체(20)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 등 수지 이외의 피막에 의해서 덮여 있어도 괜찮다. 제1~9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는, 소권부(22)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소권부(22)의 적어도 일부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코일체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 피막은, 소권부(22)에서 분단되지 않고, 소권부(22)를 통해서 양측의 밀권부(23)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 피막이 연결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소권부(22)에는,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2]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코일체(20)와 내측 코일체(30) 양쪽 모두의 동일 위치에 소권부(22)가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을 만곡 변형할 때에, 만곡을 용이하게 하여, 소성 변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3]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코일체(20)의 외경(D2)이 일정하지 않아도 괜찮다. 또, 가이드 와이어(1)는, 내측 코일체(30)의 외경(D3)이 일정하지 않아도 괜찮다. 또, 코어 샤프트(10)의 태경부(11)의 외경(D1)이 일정하지 않아도 좋다.
[변형예 4]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밀권부(23)가, 소권부(22)의 양측이 아니고, 편측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즉, 소권부(22)가 코일체(20)의 선단 또는 기단에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소권부(22)는, 코일체(20)의 중간 부근에 마련되고, 양측에 밀권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5]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는, 소권부(22)가, 코일체(20)에서, 코어 샤프트(10)의 내측 코일체(30)가 권회되어 있는 부분을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라도, 만곡시에서의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추종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6]
제1~9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구성은, 적절히 조합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A)(도 6)는, 제3 실시 형태의 밀권부(23)(도 7)와 같이, 외표면의 일부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제5 실시 형태(도 9)와 같이 내측 코일체(30)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제4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C)(도 8)는, 제6 실시 형태의 코일체(20e)(도 10)와 같이, 소권부(22) 이외의 전체가 단일 종류의 수지 피막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상, 실시 형태, 변형예에 근거하여 본 형태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상기한 형태의 실시 형태는, 본 형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형태는, 그 취지 및 특허 청구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형태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된다. 또,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할 수 있다.
1, 1A~1H - 가이드 와이어 10, 10F, 10G - 코어 샤프트
11 - 태경부 12 - 테이퍼부
13 - 세경부 15 - 제1 태경부
16 - 제2 태경부 17 - 테이퍼부
18 - 세경부 19 - 태경부
20, 20A~20H - 코일체 22 - 소권부
23 - 밀권부 30 - 내측 코일체
51 - 선단 접합부 52 - 기단 접합부
55 - 내측 접합부 56 - 중간 접합부
61 - 제1 중간 고정부 62 - 제2 중간 고정부
71 - 제1 수지 피막 72 - 제2 수지 피막
81 - 폴리에틸렌 튜브 84 - 가이드 와이어

Claims (6)

  1.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어 샤프트에 권회(卷回)된 코일체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상기 코일체의 선단이 접합된 선단 접합부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기단과, 상기 코일체의 기단이 접합된 기단 접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코일체는, 상기 선단 접합부와 상기 기단 접합부와의 사이에서, 코일 피치가 상대적으로 성긴 소권부(疎卷部)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체는, 상기 소권부의 선단보다도 선단측과, 상기 소권부의 기단보다도 기단측 양쪽 모두에, 상기 소권부보다도 코일 피치가 상대적으로 조밀한 밀권부(密卷部)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체는, 상기 소권부의 선단보다도 선단측의 상기 밀권부와, 상기 소권부의 기단보다도 기단측의 상기 밀권부의 각각의 외표면에 수지(樹脂)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권부에서, 상기 수지 피막이 분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체는, 상기 소권부의 선단보다도 선단측의 제1 상기 밀권부 중, 상기 제1 밀권부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의 외표면과, 상기 소권부의 기단보다도 기단측의 제2 상기 밀권부의 외표면의 각각에 수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권부와, 상기 제1 밀권부의 후단측의 일부분에서, 상기 수지 피막이 분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샤프트는, 상기 코어 샤프트에서 외경이 최대이고, 또한, 상기 코어 샤프트의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외경이 일정한 최대 외경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소권부는, 상기 코일체에서, 상기 최대 외경부를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체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코어 샤프트에 권회된 내측 코일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내측 코일체는, 상기 코일체보다도 길이가 짧고, 상기 내측 코일체의 선단은, 상기 선단 접합부에서 상기 코어 샤프트의 선단과 접합되어 있고,
    상기 소권부는, 상기 코일체에서, 상기 코어 샤프트 중 상기 내측 코일체가 권회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KR1020207004325A 2017-09-30 2017-09-30 가이드 와이어 KR20200028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35759 WO2019064607A1 (ja) 2017-09-30 2017-09-30 ガイドワイ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450A true KR20200028450A (ko) 2020-03-16

Family

ID=6590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325A KR20200028450A (ko) 2017-09-30 2017-09-30 가이드 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00262B2 (ko)
EP (2) EP3689410A4 (ko)
JP (1) JP6866493B2 (ko)
KR (1) KR20200028450A (ko)
CN (2) CN111372641A (ko)
WO (1) WO2019064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51285B2 (ja) * 2019-10-02 2024-09-1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US20210393924A1 (en) * 2020-06-19 2021-12-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scular access instrument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WO2022113233A1 (ja) * 2020-11-26 2022-06-02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US20230135237A1 (en) * 2021-04-16 2023-05-04 Bard Peripheral Vascular, Inc. Strength-adjustable guidewire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908Y2 (ko) 1980-08-29 1986-06-07
JPS5745948A (en) 1980-09-02 1982-03-16 Nec Corp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S607862A (ja) 1983-06-27 1985-01-16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テル用ガイドワイヤ
JPS6012069A (ja) 1983-06-30 1985-01-2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抗血栓性を付与したガイドワ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DE3512518A1 (de) * 1985-04-06 1986-10-09 Deutsche Texaco Ag, 2000 Hambur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niederen alkoholen
US5144959A (en) * 1989-08-15 1992-09-08 C. R. Bard, Inc. Catheter guidewire with varying radiopacity
US5211636A (en) * 1990-10-31 1993-05-18 Lake Region Manufacturing Co., Inc. Steerable infusion guide wire
US5353808A (en) * 1992-03-04 1994-10-11 Cordis Corporation Guidewire having distally located marker segment
US5259393A (en) * 1992-05-13 1993-11-09 Cordis Corporation Guidewire having controlled radiopacity tip
US5606981A (en) * 1994-03-11 1997-03-04 C. R. Bard, Inc. Catheter guidewire with radiopaque markers
JPH08317989A (ja) * 1995-05-24 1996-12-03 Piolax Inc 医療用ガイドワイヤ
US5925016A (en) * 1995-09-27 1999-07-20 Xrt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drug delivery including treating thrombosis by driving a drug or lytic agent through the thrombus by pressure
CA2449433A1 (en) * 2001-06-20 2003-01-03 Microvention, Inc. Medical devices having full or partial polymer coating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US7150723B2 (en) * 2001-11-29 2006-12-19 C-I-Medic Co., Ltd. Medical device including guide wire and balloon catheter for curing a coronary artery
US7141024B2 (en) * 2002-11-06 2006-11-28 Benny Gaber Maneuverable-coiled guidewire
US20050177073A1 (en) * 2003-06-17 2005-08-11 Samuel Shiber Guidewire system with a deflectable distal tip
US20060047224A1 (en) * 2004-09-01 2006-03-02 Ryan Grandfield Polymer coated guide wire
EP1884208B1 (en) * 2005-05-24 2015-02-25 Kaneka Corporation Medical wire
KR20070036401A (ko) * 2005-09-29 2007-04-03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와 그 제조방법
JP3940161B1 (ja) * 2006-07-03 2007-07-0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マイクロ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および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バルーンカテーテルと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
JP3971447B1 (ja) * 2006-10-20 2007-09-0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マイクロ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および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バルーンカテーテルと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
JP4981471B2 (ja) * 2007-02-09 2012-07-18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ATE550065T1 (de) * 2007-12-28 2012-04-15 Terumo Corp Führungsdraht
JP5489983B2 (ja) 2008-03-27 2014-05-14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US8002715B2 (en) * 2008-05-30 2011-08-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including a polymer sleeve and a coil wound into the polymer sleeve
IT1391568B1 (it) * 2008-09-05 2012-01-11 E V R Endovascular Res Es S A Cavo guida di navigazione attraverso una anatomia con condotti ramificati
JP5013547B2 (ja) * 2009-06-16 2012-08-29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4913180B2 (ja) * 2009-07-02 2012-04-11 株式会社パテントストラ 医療用ガイドワイヤ、その製造方法、及び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バルーンカテーテルと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
JP5142229B2 (ja) * 2009-12-25 2013-02-13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586244B2 (ja) * 2010-01-15 2014-09-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ガイドワイヤ
JP5436304B2 (ja) * 2010-03-30 2014-03-0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及び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マイクロカテーテル、又はバルーンカテーテルと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
JP4896245B2 (ja) * 2010-03-31 2012-03-1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EP2402051B1 (en) * 2010-06-30 2019-10-02 Asahi Intecc Co., Ltd. Medical guide wire
US8864685B2 (en) * 2010-10-22 2014-10-2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Wire guide having two safety wires
JP2012176190A (ja) * 2011-02-28 2012-09-13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JP2012200291A (ja) * 2011-03-23 2012-10-22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JP5605949B2 (ja) * 2011-03-30 2014-10-1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5424499B2 (ja) * 2011-04-18 2014-02-26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5382881B2 (ja) * 2011-06-15 2014-01-08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2013013449A (ja) * 2011-06-30 2013-01-24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WO2013114985A1 (ja) * 2012-02-01 2013-08-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ガイドワイヤ
US8961550B2 (en) * 2012-04-17 2015-02-24 Indian Wells Medical, Inc. Steerable endoluminal punch
US20140052109A1 (en) * 2012-08-19 2014-02-20 Diros Technology Inc. Steerable Multifunction Catheter Probe with High Guidability and Reversible Rigidity
JP5780526B2 (ja) * 2012-12-27 2015-09-16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US20140276138A1 (en) * 2013-03-13 2014-09-18 Volcano Corporation Sensing guidewires with a centering ele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4213126A (ja) * 2013-04-30 2014-11-1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448125B1 (ja) 2013-05-31 2014-03-19 株式会社エフエムディ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5565847B1 (ja) * 2013-09-04 2014-08-06 株式会社エフエムディ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2014023943A (ja) * 2013-09-12 2014-02-06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JP6148587B2 (ja) * 2013-09-24 2017-06-1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904672B2 (ja) * 2013-09-25 2016-04-2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971865B2 (ja) * 2013-09-25 2016-08-1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896479B2 (ja) * 2013-09-25 2016-03-3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6080170B2 (ja) * 2014-03-20 2017-02-1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901078B2 (ja) * 2014-03-25 2016-04-06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EP3116582B1 (en) * 2014-04-29 2019-11-20 C.R. Bard, Inc. Kink-resistant guidewire with improved rigidity
JP5702879B2 (ja) * 2014-06-06 2015-04-15 株式会社エフエムディ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2016077765A (ja) * 2014-10-22 2016-05-16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953461B1 (ja) * 2015-05-29 2016-07-20 株式会社エフエムディ 医療用ガイドワイヤ
WO2017087149A1 (en) * 2015-11-18 2017-05-26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Signal and torque transmitting torque coil
JP2017144110A (ja) * 2016-02-18 2017-08-24 テルモ株式会社 処置方法、および医療装置
JP2017169751A (ja) * 2016-03-23 2017-09-28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6319777B1 (ja) * 2016-09-05 2018-05-09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CN109789292B (zh) * 2016-10-05 2022-11-01 祥丰医疗私人有限公司 模块化血管导管
US11801368B2 (en) * 2017-05-25 2023-10-31 C.R. Bard, Inc. Guidewire
JP6344732B1 (ja) * 2017-08-01 2018-06-20 株式会社エフエムディ 医療用ガイドワ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00262B2 (en) 2022-08-02
WO2019064607A1 (ja) 2019-04-04
EP3689410A4 (en) 2021-06-09
CN111372641A (zh) 2020-07-03
CN114796808A (zh) 2022-07-29
JPWO2019064607A1 (ja) 2020-08-27
EP3689410A1 (en) 2020-08-05
JP6866493B2 (ja) 2021-04-28
US20200171279A1 (en) 2020-06-04
EP4059557A2 (en) 2022-09-21
EP4059557A3 (en)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8450A (ko) 가이드 와이어
JP2564458B2 (ja) カテーテルガイドワイヤ
EP3789072A1 (en) Guide wire
EP2799105B1 (en) Guide wire
EP2514475A1 (en) Medical guidewire
EP2749314B1 (en) Guidewire
EP1938859A1 (en) Guide wire
EP2832397A1 (en) Med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dical instrument
US20130023853A1 (en) Medical guide wire
US20120253321A1 (en) Guidewire
JP2015083089A (ja) ガイドワイヤ
JPH10118005A (ja) ガイドワイヤ
WO2016189662A1 (ja) 分岐血管挿入用カテーテル
JP7050175B2 (ja) 医療機器
WO2022158418A1 (ja) カテーテル
EP3530310B1 (en) Guide wire
JP7389123B2 (ja) ガイドワイヤ
CN115175723B (zh) 导丝
CN112334180A (zh) 导丝
JP7262557B2 (ja) ガイドワイヤ
JP2024040728A (ja) カテーテル
JP2002233574A (ja) 先端部にマーカーを有するガイドワイヤー
NL9300728A (nl) Dunwandige catheter met in langsrichting variabele eigenschap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