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981A - 리드 및 리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드 및 리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981A
KR20200027981A KR1020207003543A KR20207003543A KR20200027981A KR 20200027981 A KR20200027981 A KR 20200027981A KR 1020207003543 A KR1020207003543 A KR 1020207003543A KR 20207003543 A KR20207003543 A KR 20207003543A KR 20200027981 A KR20200027981 A KR 2020002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s
dent
lead
stud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5393B1 (ko
Inventor
오한네스 브루스케
게르하르트 브라운
페터 마이네르트
스테펜 본하스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콤만딧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콤만딧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콤만딧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0002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8Reeds or beat-up combs not mounted on the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Loom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15)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드(15)는 폭 방향(B)으로 배열되고 각각 덴트 간격(x)을 갖는 간극(25)을 형성하는 복수의 덴트들(16)을 갖는다. 각각의 덴트(16)는 2 개의 반대 단부 섹션(19)을 가지며, 상기 덴트는 각각 접착제 연결에 의해 캐리어(27) 및 직접 인접한 덴트(16)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 또는 양자의 단부 섹션들(19)에서, 덴트(16)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싱에 의해 생성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을 갖는다. 스페이서 스터드(30)는 하나의 제 1 측부(S1)에 함몰부를 형성하고, 반대편의 제 2 측부(S2)에 스터드 외면(F)을 갖는 돌출부를 형성한다. 덴트(16)의 단일 단부 섹션(19)의 스페이서 스터드(30)의 모든 스터드 외면(F)의 합은 이 제 2 측부(S2)의 전체 단부 섹션 표면에서 최대 15% 또는 최대 10% 또는 최대 8%의 비율을 갖는다.

Description

리드 및 리드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리드(reed) 및 리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드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덴트를 포함한다. 2 개의 직접 인접한 덴트는 하나의 날실이 각각 안내되는 간극을 각각 제한한다. 덴트는 서로에 대해 정해진 거리로 날실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규칙적인 직조 직물을 제조할 수 있기 위해, 직접 인접한 모든 덴트들이 서로 동일한 거리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조립 동안 리드의 덴트들의 거리를 미리 규정하기 위해, FR 1 146 831 A에 의해 톱니형의 덴트 섹션이 생성되도록 두 단부 섹션들에서 덴트를 복수회 구부리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인접한 덴트의 톱니형 섹션은 덴트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인접한 덴트는 덴트의 톱니부에 접하여, 두 덴트들 사이의 간극의 거리 또는 폭이 한정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리드의 덴트는 또한 US 2,152,430 A에 개시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덴트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단부 섹션은 약 180 °로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부분은 각각의 인접한 덴트가 접하는 돌출부에 대해 성형된다.
US 2,147,258 A는 연장 방향으로 단부 섹션에 2 개의 평행 슬릿이 제공되어 3 개의 웹이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리드의 덴트를 기술하고 있다. 중간 웹은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2 개의 외부 웹은 덴트의 평면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그렇게 할 때, 직접 인접한 덴트들이 접촉하는 스페이서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덴트는 또한 DE 2 508 575 A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EP 0 943 712 A1 및 US 4,529,014는 덴트의 단부 섹션이 덴트의 중간 작업 섹션에 비해 증가된 두께로 구성되고 서로 접하는 리드를 기술하고 있다. 그렇게 할 때, 덴트의 작업 섹션들 사이에 규정된 거리가 달성된다.
DE 1 535 830 A로부터 알려진 리드의 덴트에는 스트링 레일이 연장되는 관통 홀이 제공된다. 덴트는 관통 홀에 인접하여 약 180 °로 구부러져 있다. 구부러진 영역의 두께는 서로 접하는 두 개의 직접 인접한 덴트들 사이의 거리를 형성한다.
GB 1 245 872 A는 덴트의 폭을 증가시킬 필요없이 반대편 측부들의 덴트와 접촉하는 2 개의 평행한 평면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표를 갖는 리드의 실시예를 기술한다. 이는 곡선형 또는 구부러진 방식으로 덴트의 단면 프로파일을 구성하여 달성된다. 하나의 평면은 볼록한 측부의 중간 영역에 접하고, 다른 평면은 오목한 측부의 덴트 단면의 2 개의 외부 영역에 접한다. 단면 프로파일의 굽힘 또는 곡률이 클수록, 이 두 평면들 사이의 거리가 커진다.
종래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인접한 날실들 사이의 일정한 거리를 보장하는 리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리드 및 청구항 14의 특징을 갖는 리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리드는 제 1 단부와 반대편의 제 2 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덴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덴트는 제 1 단부에 직접 인접하고 제 2 단부에 직접 인접하는 단부 섹션을 갖는다. 두 개의 단부 섹션은 단부 섹션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작업 섹션을 제한한다. 리드의 작업 섹션은 날실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단부 섹션은 각각 덴트를 서로 또는 리드의 캐리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각 덴트의 작업 섹션은 2 개의 반대편 덴트 외면을 포함한다. 각각의 덴트 외면은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가로방향에 의해 걸쳐 있는 평면으로 연장된다. 날실은 리드를 통해 2 개의 직접 인접한 덴트의 2 개의 덴트 외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직조 샤프트의 위치에 따라, 날실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가로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덴트는 제 1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 1 덴트 외면 및 제 2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 2 덴트 외면을 갖는다. 두 평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으며 작업 섹션에서 덴트의 두께를 형성한다. 덴트 외면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2 개의 단부 섹션들 사이의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덴트의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 사이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덴트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섹션에는 복수의 스페이서 스터드가 존재한다. 스페이서 스터드는 특히 엠보싱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덴트가 양 단부 섹션들에 스페이서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 스터드는 제 1 평면에 대해 제 1 측부에서 깊어지고 제 2 평면에 대해 반대편 제 2 측부에서 상승된다. 따라서, 각각의 스페이서 스터드는 제 1 평면에 대한 제 1 측부에서 함몰부 및 제 2 평면에 대한 제 2 측부에서 돌출부를 형성한다. 스페이서 스터드는 단부 섹션에 분포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단부 섹션에서 스페이서 스터드의 배열은 규칙적인 패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측부에서 스페이서 스터드는 제 1 평면에 인접하고 제 1 평면에 대해 오목한 함몰부를 형성하는 스터드 내면을 갖는다. 제 2 측부에서, 스터드는 제 2 평면에 인접하고 제 2 평면에 대해 볼록한 돌출부를 형성하는 스터드 외면을 갖는다. 공통 단부 섹션에 배열된 모든 스페이서 스터드의 모든 스터드 외면의 합은 이 단부 섹션에서 전체 단부 섹션 표면의 최대 15%,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8%의 양을 갖는다. 전체 단부 섹션 표면은 모든 스터드 외면의 합에 더하여 제 2 평면에서 연장되는 단부 섹션의 표면적 비율의 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평면에서 연장되는 단부 섹션 표면의 표면 영역 섹션은 전체 단부 섹션 표면의 적어도 8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2%의 양을 갖는다.
스페이서 스터드는 리드에서 2 개의 인접한 덴트들 사이의 최소 거리를 규정하도록 구성된다. 덴트가 인접한 덴트의 스페이서 스터드와 접하면, 덴트의 작업 섹션들 사이의 최소 거리는 제 2 평면에 대한 제 2 측부에서의 스페이서 덴트의 높이에 대응한다. 리드가 생성되는 동안 덴트들이 서로 접착되면, 접착제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덴트들의 단부 섹션 사이에 삽입된다. 모세관 력으로 인해, 단부 섹션 또는 덴트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단부 섹션들 사이의 모든 간극들이 동시에 접착제로 채워질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모세관 력 또는 덴트의 변형으로 인해 덴트들 사이의 불규칙한 거리가 생성될 수 있다. 덴트의 이러한 변형은 스페이서 스터드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스페이서 스터드는 두 덴트들 사이에 최소 거리를 제공한다. 스페이서 스터드가 전체 단부 섹션 영역에 대해 전체 스터드 외면의 충분히 작은 부분을 포함한다는 사실로 인해, 모세관 효과는 추가로 강화되지 않는다. 각각의 단부 섹션 내에 충분히 작은 면적 비율을 갖는 스페이서 스터드로 인해, 이전 해결방안과 비교하여 덴트 거리의 개선된 규칙성이 달성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리드를 생성할 때 엠보싱 공정으로 인해 스페이서 스터드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 1 측부의 공통 단부 섹션에서 모든 스페이서 스터드의 전체 스터드 내면의 퍼센트가 이 측부에서 전체 단부 섹션 영역의 최대 15%,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8%의 양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 측부에서 전체 단부 섹션 영역은 제 1 평면에서 연장되는 단부 섹션의 표면 영역 섹션의 합 및 제공된 스페이서 스터드의 모든 스터드 내면의 합과 동일하다.
스페이서 스터드들은 바람직하게는 관통 홀들이 없다. 이들은 예를 들어, 성형 공정에 의해 생성된다. 절단 또는 펀칭과 같은 분리 공정은 고려되지 않았다. 전체 단부 섹션이 관통 홀이 없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리드는 2 개의 측방향 외부 덴트 및 제 1 평면 및 제 2 평면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측방향 외부 덴트들 사이에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중간 덴트를 포함하고, 상기 덴트들은 나란하게 횡열로 배열된다. 적어도 모든 중간 덴트들이 각각 하나 또는 양자 단부 섹션들에 스페이서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측방향 외부 덴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역시 적어도 하나의 단부 섹션에 스페이서 스터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든 덴트는 각각 하나 또는 양쪽 단부 섹션들에 복수의 스페이서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모든 덴트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3 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개 내지 10 개 의 스페이서 스터드가 일 단부 섹션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페이서 스터드는 중심 스터드 부분을 갖는다. 중심 스터드 부분은 회전 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원통 또는 절두 원추형 또는 볼 스크레이퍼 모양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페이서 스터드는 중심 스터드 부분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스터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스터드 부분은 원추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평면에 대한 원추 각도는 예각이며 최대 10 ° 또는 최대 5 ° 또는 최대 3°의 양을 갖는다.
덴트의 직접 인접하게 배열된 단부 섹션들의 스페이서 스터드는 일 실시예에서 서로 정렬될 수 있으며, 즉 인접 단부 섹션의 모든 스페이서 스터드는 제 1 또는 제 2 평면에 직교하는 연장된 복수의 직선을 따라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직접 인접 단부 섹션의 스페이서 스터드는 각각 정렬되지 않도록 제 1 평면 또는 제 2 평면에 평행하게 오프셋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 스터드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평면과 제 2 평면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2 평면으로부터의 높이 또는 최대 높이를 가지며, 이는 덴트의 두께 또는 폭과 동일함을 의미한다. 높이는 덴트의 두께의 0.8 배 내지 1.2 배의 양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스터드는 높이의 5 내지 10 배 크기인 직경을 갖는다.
모든 스페이서 스터드가 동일한 직경 및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스페이서 스터드가 각각 동일한 형태 또는 외부 형상을 갖는 경우, 더욱 바람직하다.
리드에서의 배열에서, 직접 인접한 덴트들은 스페이서 스터드의 높이에 적어도 대응하는 서로로부터의 덴트 간격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스터드의 높이보다 최대 5% 또는 최대 2% 더 크다. 직접 인접한 덴트들은 스페이서 스터드에서 서로 인접하거나 또는 나란히 접촉하지 않고 배열될 수 있다.
리드를 제조하기 위해, 덴트는 후속적으로 조립 스테이션에 공급된다. 조립 스테이션에 도달하기 전에, 스페이서 스터드를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바람직하게는 모든 덴트가 단부 섹션에서 엠보싱된다. 또한, 개별 엠보싱 스테이션에 덴트를 엠보싱하여 개별 조립 스테이션에 공급할 수도 있다. 조립 장치 또는 조립 스테이션에서, 모든 덴트는 서로 규정된 거리로 위치되며, 상기 거리는 스페이서 스터드의 높이에 적어도 대응한다. 그렇게 할 때, 덴트는 와이어에 의해 원하는 상대 위치에서 서로 미리 부착될 수 있다. 이어서 덴트의 각각의 인접한 단부 섹션들 사이에 접착제 결합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덴트는 서로 및 리드의 캐리어에 접착될 수 있다. 덴트의 예비 고정용 와이어는 접착제 결합의 경화 후에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뿐만 아니라 종속항,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이하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날실 방향에서 볼 때 리드의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단면에 있는 리드의 복수의 덴트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위에서 볼 때의 날실 방향으로의 덴트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덴트의 단면 섹션을 통한 단면에서의 스페이서 스터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인접한 덴트의 스페이서 스터드는 정렬된 구성으로 배열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영역 VI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스페이서 스터드의 실시예로서, 스페이서 스터드는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된 도면이다.
도 8은 리드의 복수의 덴트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서로 다른 배열로 복수의 스페이서 스터드를 각각 갖는 덴트의 단부 섹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리드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절차의 예시와 같은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리드(15)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리드(15)는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복수의 덴트들(16)을 포함한다. 각각의 덴트(16)는 제 1 단부(17) 및 제 2 단부(18)를 가지며, 제 1 단부(17)와 제 2 단부(18) 사이에서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다(도 4). 2 개의 단부(17, 18)는 덴트(16)의 면 또는 에지를 형성한다. 각각의 단부 섹션(19)은 제 1 단부(17) 및 제 2 단부(18)에 각각 인접하다. 길이방향으로, 2 개의 단부 섹션(19)은 사이에 배열된 덴트(16)의 작업 섹션(20)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제 1 단부(17) 및 제 2 단부(18)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에지들 즉, 전방 에지(21) 및 후방 에지(2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전방 에지(21) 및 후방 에지(22)는 가로 방향(Q)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각각의 덴트(16)는 작업 섹션(20)에 제 1 덴트 외면(A1)을 갖고 작업 섹션(20)의 반대편에 제 2 덴트 외면(A2)(도 4)을 갖는다. 제 1 덴트 외면(A1)은 제 1 평면(E1)으로 연장되고 제 2 덴트 외면(A2)은 제 2 평면(E2)으로 연장된다. 2 개의 평면들(E1, E2)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길이방향(L) 및 가로방향(Q)에 의해 걸쳐있다.
리드(15)의 덴트(16)는 직접 인접한 덴트(16)의 작업 섹션들(20) 사이에 한정된 간극(25)의 형성을 포함하는 폭 방향(B)으로 배열된다. 폭 방향(B)에서 간극(25)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간극(25)은 날실(26)을 폭 방향(B)으로 안내하고 날실들(26) 사이의 거리를 폭 방향(B)으로 미리 설정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덴트(16)는 단부 섹션(19)을 갖는 리드(15)의 할당된 캐리어(27)에 배열된다. 덴트(16)는 접착제에 의해 단부 섹션(19)과 리드(15)의 캐리어(27)에 연결될 수 있다. 접착제 결합으로 인해, 폭 방향(B)으로 나란히 배열된 덴트(16)의 단부 섹션(19)도 서로 연결된다. 덴트(16)의 단부 섹션(19)과 각각의 캐리어(27) 사이의 접착제 결합은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접착제(28)는 도 11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접착제(28)는 덴트(16)의 2 개의 각각 인접한 단부 섹션들(19) 사이의 갭에서 유동하는 것이 명백하다.
덴트(16)의 이상적인 바람직한 배향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모든 덴트(16)는 각각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실제로, 덴트의 단부 섹션들(19) 사이의 접착제 결합의 생성은 개별 단부 섹션(19) 또는 개별 덴트(16)가 변형되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인접한 단부 섹션들(19) 사이의 각각의 갭에서 접착제가 불규칙적으로 동시에 흐르지 않다는 사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리드(15)의 매우 얇은 덴트(16)를 변형시킬 수 있는 모세관 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은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부 또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덴트(16)는 각각 하나의 예에 따라서 양 단부 섹션(19) 각각에 복수의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을 갖는다. 이 예에 따르면, 일 단부 섹션(19)에는 적어도 3 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개의 스페이서 스터드(30)가 존재한다. 작업 섹션(20)에는 덴트(16)에서 스페이서 스터드(30) 및 다른 함몰부 또는 상승부가 없다. 제 1 단부(17)에 인접한 단부 섹션(19)은 제 1 단부(17)까지 최대 거리를 갖는 스페이서 스터드(30)가 위치된 위치에서 종료된다. 제 2 단부(18)에 인접한 단부 섹션(19)은 제 2 단부(18)까지 최대 거리를 갖는 스페이서 스터드(30)가 위치한 위치에서 종료된다. 제 1 단부(17) 또는 제 2 단부(18)로부터 스페이서 스터드의 최대 거리를 갖는 이 위치에서, 직선(G)이 각각의 단부 섹션(19)의 단부(도 9 및 도 10)를 형성하는 제 1 단부(17) 또는 제 2 단부(18)의 각각의 에지에 평행한 가로방향(Q)으로 도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은 엠보싱에 의해 생성된다. 이들은 제 1 측부(S1)에서 제 1 평면(E1)에 대해 깊어지고 제 2 평면(E2)에 대해 반대편의 제 2 측부(S2)에서 상승된다. 스페이서 스터드(3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각 도 5 내지 도 7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스페이서 스터드(30)의 제 2 측부(S2)는 제 2 덴트 외면(A2)이 작업 섹션(20)에서 인접한 덴트(16)의 측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페이서 스터드(30)의 제 1 측부(S1)는 작업 섹션(20)이 제 1 덴트 외면(A1)을 갖는 덴트(16)의 측부에 위치된다(도 4). 제 1 측부(S1)에서, 각각의 스페이서 스터드는 제 1 평면(E1)에 인접하고 스페이서 스터드(30)의 오목한 깊은 영역을 제한하는 스터드 내면(I)을 갖는다. 반대편의 제 2 측부(S2)에서, 각각의 스페이서 스터드(30)는 제 2 평면(E2)에 인접하고 스페이서 스터드(30)의 볼록한 돌출 또는 상승 부분을 제한하는 스터드 외면(F)를 갖는다. 스터드 내면(I) 및 스터드 외면(F)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단일 단부 섹션(19)에서의 스페이서 스터드(30)의 개수 및 크기는 제 2 측부(S2) 상의 이 단부 섹션(19)의 전체 단부 섹션 영역과 비교하여 모든 스터드 외면(F)의 합이 최대 15% 또는 최대 10% 또는 최대 8%의 양을 갖도록 선택된다. 제 2 측부(S2) 상의 전체 단부 섹션 영역은 스터드 외면(F)의 합에 추가하여 제 2 평면(E2)으로 연장되는 단부 섹션의 표면 영역 섹션에 의해 형성된 영역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하나의 공통 단부 섹션(19)에서의 모든 스터드 내면(I)의 합의 퍼센트는 제 1 측부(S1) 상의 전체 단부 섹션 영역의 최대 15% 또는 최대 10% 또는 최대 8%의 양을 갖는다. 제 1 측부(S1) 상의 전체 단부 섹션 영역은 제 1 평면(E1)으로 연장되는 단부 섹션(19)의 표면 영역 섹션에 추가하여 이 단부 섹션(19)에서 모든 스페이서 스터드(30)의 모든 스터드 내면(I)의 합으로부터 초래된 단부 섹션(19)의 영역이다.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통 단부 섹션(19) 또는 덴트(16)의 모든 스페이서 스터드(30) 및 바람직하게는 모든 덴트(16)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렇게 할 때, 스페이서 스터드(30) 또는 덴트(16)의 제조가 단순화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페이서 스터드(30)는 외부 스터드 부분(32)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스터드 부분(31)을 갖는다. 중심 스터드 부분(31)은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B)으로 연장되어 평면들(E1, E2)에 직교하는 축에 대해서 회전 대칭으로 구성된다. 중심 스터드 부분(31)은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또는 볼 스크레이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심 스터드 부분(31)은 제 2 평면(E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심 벽 섹션(33)을 갖는다. 이 중심 벽 섹션(33)은 또한 제 2 측부(S2)로부터 스페이서 스터드(30) 상으로 볼 때 볼록한 곡선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심 벽 섹션(33)은 예를 들어, 원형이고 연결 벽 섹션(34)에 의해 외부 스터드 부분(32)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벽 섹션(34)은 원추형을 가지며 중공 절두 원추를 형성한다. 연결 벽 섹션(34)은 중심 스터드 부분(31)의 직경을 중심 벽 섹션(33)으로부터 외부 스터드 부분(32)을 향해 연장한다. 중심 벽 섹션(33)이 볼 스크레이퍼 또는 다른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갖는 경우, 연결 벽 섹션(34)도 생략할 수 있다.
외부 스터드 부분(32)은 선택적이고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는 스페이서 스터드(30)에 스프링 효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외부 스터드 부분(32)은 원추 형상을 가지며 중공 절두 원추를 형성한다. 제 1 평면(E1)과 스터드 내면(I) 사이에서 측정된 외부 스터드 부분(32)의 원추 각(α)은 매우 작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5 ° 미만 또는 3 °미만의 양을 갖는다. 그러나, 연결 벽 섹션(34)의 원추 각은 더 크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또는 적어도 40 °의 양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덴트(16)의 인접한 단부 섹션(19)의 스페이서 스터드(30)는 서로 정렬된 폭 방향(B)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스페이서 스터드(30)는 예를 들어, 성형 공정 및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공정에 의해 생성된다. 성형 및 생성된 재료 흐름으로 인해, 제 2 측부(S2) 상의 스페이서 스터드(30)의 치수는 제 1 측부(S1)보다 크다. 따라서, 스페이서 스터드(30)의 정렬된 배열의 경우에도 인접한 덴트(16)가 거리없이 서로 완전히 접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 및 도 6의 개략도에 대안적으로, 2 개의 덴트(16)의 직접 인접한 단부 섹션(19)의 스페이서 스터드(30)는 또한 평면들(E1, E2)(도 7)에 평행하게 서로 오프셋 배치될 수 있다. 이 외에, 도 7의 스페이서 스터드(30)의 구성은 도 5 및 도 6의 구성에 대응한다.
제 2 평면(E2)으로부터 시작하여, 스페이서 스터드(30)는 제 2 평면(E2)까지 최대 거리를 갖는 위치를 규정하는 높이(H)를 갖는다.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높이(H)는 중심 벽 섹션(33)에 위치된 스터드 외면(F)의 부분에 의해 규정된다. 스페이서 스터드(30)의 이 높이(H)는 2 개의 직접 인접한 덴트들이 작업 섹션(20)의 영역에서 갖는 최소 거리를 규정한다.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덴트(16)의 두께 또는 폭(S)에 대응한다. 덴트(16)의 폭(S)은 제 1 평면(E1)과 제 2 평면(E2)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규정된다.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스터드(30)의 직경(D)은 높이(H)의 약 8 내지 12 배, 바람직하게는 10 배의 양을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외부 스터드 부분(32)이 생략되면, 스페이서 스터드(30)의 직경(D)은 높이(H)의 약 4 내지 약 6 배, 바람직하게는 5 배의 양을 갖는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덴트(16)의 모두가 각각 양 단부 섹션(19)에서 각각 스페이서 스터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덴트들(16) 사이의 최소 거리를 보장하기 위해, 모든 덴트(16)에 스페이서 스터드(30)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15)는 폭 방향(B)에서 사이에 배치된 2 개의 측방향 외부 덴트(16r)와 중간 덴트(16m)를 갖는다. 측방향 외부 덴트(16r) 중 적어도 하나는 스페이서 스터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데, 이는 측방향 외부 스터드(16r)의 일 측부에만 중간 덴트(16m)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인접한 중간 덴트(16m)가 측방향 외부 덴트(16r)를 향한 스페이서 스터드를 포함하는 경우, 측방향 외부 덴트(16r)는 스페이서 스터드없이 구성될 수 있다. 덴트(16)의 스페이서 스터드(30)가 폭 방향(B)으로 정렬된 구성으로 배열되면, 바람직하게는 모든 덴트(16)는 스페이서 스터드를 포함한다. 덴트(16)의 제조를 통일하고 각각의 덴트(16)가 리드(15)의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모든 덴트(16)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양 단부 섹션(19)에 스페이서 스터드(30)가 제공된다.
단부 섹션(19)에서 스페이서 스터드(30)의 수 및 위치는 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예로서만 2 개의 배열 가능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스터드(30)는 단부 섹션(19)에서 규칙적인 거리를 갖는 행 및 열로 배열된 매트릭스 형상이다. 도 9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길이방향(L)에 직접 인접한 열은 가로방향(Q)으로 오프셋된다. 단부 섹션(19)에서 스페이서 스터드의 배열 가능성은 다목적이다. 또한 불규칙한 배열 변형이 가능하다. 접착제 결합을 생성하는 동안 모세관 력을 작게 유지하고 간극(25)의 생성을 위해 직접 인접한 덴트들(16) 사이의 최소 거리를 보장하기 위해 전체 단부 단면 영역과 비교된 스페이서 스터드의 본 발명의 표면적 퍼센트가 관찰되는 것이 실질적이다.
리드(15)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단계는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덴트(16)는 밴드형 또는 스트립형 포일 또는 금속 시트 부품으로서 제공된다. 이들 덴트(16)는 단부 섹션에서 스페이서 스터드(30)를 생성하기 위해 엠보싱 스테이션(40)에 엠보싱된다. 이를 위해 엠보싱 스테이션(40)은 스페이서 스터드(30)를 생성하기 위해 다이(42)와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엠보싱 스탬프(41)를 포함한다.
이어서 엠보싱된 덴트(16)는 조립 스테이션(43)에서 서로에 대해 위치 및 배향된다. 그렇게 할 때, 덴트 간격(x)은 직접 인접한 덴트(16) 또는 작업 스테이션(20)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스터드들의 높이(H)보다 약간 크게 조정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스터드의 높이(H)는 약 0.015 mm 내지 0.025 mm의 양을 가질 수 있고 덴트 간격(x)은 스페이서 스터드의 높이(H)보다 최대 10% 또는 최대 5% 더 클 수 있다. 스페이서 스터드(도 7)의 정렬되지 않은 배향에서, 최소 거리 또는 최소 덴트 간격(x)은 스페이서 스터드(30)의 높이(H)와 동일하다. 정렬된 배향의 경우, 스페이서 스터드(30)가 외부 스터드 부분(32)을 포함하는 경우, 중심 스터드 부분(31)은 제 2 측부(S2)에서 인접한 스페이서 스터드(30)의 제 1 측부(S1)에 제공된 함몰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2 개의 인접한 덴트들(16) 사이의 최소 거리 또는 최소 덴트 간격(x)은 따라서, 스페이서 스터드(30)의 높이(H)보다 작을 수 있다(도 5 및 도 6과 비교). 그러나, 모든 경우에, 스페이서 스터드(30)에 의해 직접 인접한 덴트들(16) 사이의 최소 거리가 보장된다.
조립 스테이션(43)에서, 배치되고 정렬된 덴트들(16)은 와이어(44)와 같은 바람직하게 가요성이거나 또는 구부러질 수 있는 고정 수단에 의해 서로 미리 부착될 수 있다. 이 예비 고정된 상태에서 폭 방향(B)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공통 캐리어(27)에 할당된 덴트들(16)의 단부 섹션들(19) 사이의 접착제 결합이 생성된다. 그렇게 할 때, 접착제(28)는 인접한 단부 섹션들(19) 사이의 갭에서 유동하여 접착제 결합을 생성한다. 그 면적 관점에서 작은 스페이서 스터드(30)로 인하여, 한편으로는 덴트들(16) 사이의 최소 거리가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세관 력이 충분히 작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덴트들(16) 사이의 접착제 결합의 생성 동안, 또한 접착제 결합이 각각의 캐리어(27)와 함께 생성된다.
엠보싱 스테이션(40) 및 조립 스테이션(43)은 공통 장치 또는 기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조 공정은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덴트 간격(x)은 바람직하게는 조립 스테이션(43)에서 매우 정밀한 기계 축에 의해 조정된다.
본 발명은 리드(15)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드(15)는 덴트 간격(x)에서 폭 방향(B)으로 배열되어, 간극(25)을 형성하는 복수의 덴트들(16)을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덴트(16)는 접착제 접착제에 의해 캐리어(27) 및 직접 인접한 덴트 또는 덴트들(16)과 연결되는 2 개의 반대 단부 섹션(19)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 또는 양자 단부 섹션들(19)에서, 덴트(16)는 바람직하게는 엠보싱에 의해 생성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을 갖는다. 스페이서 스터드(30)는 스터드 외면(F)을 갖는 돌출부로서 제 1 측부(S1) 및 반대편 제 2 측부(S2) 상에 함몰부를 형성한다. 덴트(16)의 하나의 단일 단부 섹션(19)의 스페이서 스터드(30)의 모든 스터드 외면(F)의 합은 이 제 2 측부(S2) 상의 전체 단부 섹션 영역의 최대 15% 또는 최대 10% 또는 최대 8%의 퍼센트를 갖는다.
15 리드
16 덴트
16m 중간 덴트
16r 측방향 외부 덴트
17 제 1 단부
18 제 2 단부
19 단부 섹션
20 작업 섹션
21 전방 에지
22 후방 에지
25 간극
26 날실
27 캐리어
28 접착제
30 스페이서 스터드
31 중심 스터드 부분
32 외부 스터드 부분
33 중심 벽 섹션
34 연결 벽 섹션
40 엠보싱 스테이션
41 엠보싱 스탬프
42 다이
43 조립 스테이션
44 와이어
α 외부스터드 부분의 원추 각
A1 제 1 덴트 외면
A2 제 2 덴트 외면
B 폭 방향
D 스페이서 스터드의 직경
E1 제 1 평면
E2 제 2 평면
F 스터드 외면
G 직선
H 스페이서 스터드의 높이
I 스터드 내면
L 길이방향
Q 가로방향
S 스페이서 스터드의 폭
S1 제 1 측부
S2 제 2 측부
x 덴트 간격

Claims (14)

  1. 제 1 단부(17)와 반대편의 제 2 단부(18) 사이에서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덴트들(16)을 갖는 리드(15)로서,
    각각의 덴트(16)는 상기 제 1 단부(17) 및 상기 제 2 단부(18)에 각각 인접하는 단부 섹션들(19)을 갖고, 상기 단부 섹션들(19) 사이에 작업 섹션(20)을 가지며,
    각각의 덴트(16)는 상기 작업 섹션(20)의 제 1 평면(E1)에서 연장되는 제 1 덴트 외면(A1)과 상기 작업 섹션(20)의 제 2 평면(E2)에서 연장되는 제 2 덴트 외면(A2)을 가지며, 상기 두 평면들(E1, E2)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덴트(16)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섹션(19)에서, 상기 제 1 평면(E1)과 각각 비교하여 제 1 측부(S1)에서 깊어지고 상기 제 2 평면(E2)과 비교하여 제 2 측부(S2)에서 상승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이 제공되고,
    제 2 측부에서 모든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의 스터드 외면들(F)의 합의 퍼센트는 이 측부에서 상기 공통 단부 섹션(19)의 전체 단부 섹션 영역의 최대 15%의 양을 갖는 리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S1)에서 상기 모든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의 스터드 내면들(I)의 합의 퍼센트가 이 측부에서 전체 단부 섹션 영역의 최대 15%의 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스터드들(30)에는 관통 홀들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섹션들(19)에는 관통 홀들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의 외부 덴트들(16r) 및 복수의 중간 덴트들(16m)을 포함하고,
    적어도 모든 상기 중간 덴트들(16m)은 하나 또는 양자 단부 섹션들(19)에서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덴트들(16)은 하나 또는 양자 단부 섹션들(19)에서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페이서 스터드(30)는 중심 스터드 부분(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페이서 스터드(30)는 상기 중심 스터드 부분(31)을 둘러싸는 외부 스터드 부분(3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스터드 부분(31)은 원추형 또는 원통형 또는 볼 스크레이퍼형이고 및/또는 상기 외부 스터드 부분(32)은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의 덴트들(16)의 직접 인접한 단부 섹션들(19)의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 정렬 및/또는 오프셋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은 상기 제 1 평면(E1)과 상기 제 2 평면(E2) 사이의 거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상기 제 2 평면(E2)에 비교되는 높이(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은 상기 제 2 평면(E2)으로부터 직경(D) 및 높이(H)를 가지며, 상기 직경(D)은 상기 높이(H)의 5 내지 10배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덴트들(16)은 각각 캐리어(27)와의 접착제 결합에 의해 상기 덴트들의 2 개의 단부 섹션들(19)에 연결되며, 2 개의 직접 인접한 덴트들(16)은 각각 서로를 대해 접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하나의 덴트(16)의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은 각각의 다른 덴트(16)에서 상기 제 2 측부(S2)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드(15)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 엠보싱 스테이션(40)에서 덴트들(16)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섹션(19)에 스페이서 스터드들(30)을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덴트(16)를 엠보싱하는 단계,
    - 조립 스테이션(43)에서 서로에 대해 규정된 거리를 두고 상기 덴트들(16)을 위치설정하는 단계,
    - 상기 덴트들(16)의 인접 단부 섹션들(19) 사이에서 접착제 결합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드의 제조 방법.
KR1020207003543A 2017-07-07 2018-07-06 리드 및 리드 제조 방법 KR102595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80271.3A EP3425095B1 (de) 2017-07-07 2017-07-07 Webblat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17180271.3 2017-07-07
PCT/EP2018/068369 WO2019008138A1 (de) 2017-07-07 2018-07-06 Webblat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981A true KR20200027981A (ko) 2020-03-13
KR102595393B1 KR102595393B1 (ko) 2023-10-31

Family

ID=5931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543A KR102595393B1 (ko) 2017-07-07 2018-07-06 리드 및 리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20344B2 (ko)
EP (1) EP3425095B1 (ko)
JP (1) JP7311486B2 (ko)
KR (1) KR102595393B1 (ko)
CN (1) CN111051587B (ko)
WO (1) WO2019008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2382B1 (de) * 2019-09-10 2024-02-07 Groz-Beckert KG Webblatt mit einer vielzahl von lamellen
WO2023025479A1 (de) 2021-08-27 2023-03-02 Groz-Beckert Kg Webblat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ebblatts
DE102021122217A1 (de) 2021-08-27 2023-03-02 Groz-Beckert Kommanditgesellschaft Webblat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ebblatts
DE102021122220A1 (de) 2021-08-27 2023-03-02 Groz-Beckert Kommanditgesellschaft Webblat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ebblat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519Y1 (ko) * 1979-05-28 1980-04-28 김진욱 방직용 바디
US4694867A (en) * 1985-10-08 1987-09-22 Klimovskoe Spetsialnoe Konstruktorskoe Bjuro Po Proektirovaniju Tkatskogo Oborudovania Loom reed
JPH11315448A (ja) * 1998-03-19 1999-11-16 Icbt Diederichs Sa 織機用リ―ド
JP2008240226A (ja) * 2007-02-05 2008-10-09 Staubli Lyon 織機筬およびこのような織機筬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EP3067451A1 (de) * 2015-03-10 2016-09-14 Groz-Beckert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webblatts und webblat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2430A (en) 1936-02-17 1939-03-28 Steel Heddle Mfg Co Comb and reed for textile machines
US2147258A (en) 1937-08-25 1939-02-14 Steel Heddle Mfg Co Textile apparatus
FR1146831A (fr) 1956-02-20 1957-11-15 Perfectionnements aux peignes pour métiers à tisser
CH454766A (de) 1965-12-17 1968-04-15 Braecker Ag Metallwarenfabrik Webblatt
DE1760943B1 (de) 1968-07-22 1972-05-04 Spaleck Gmbh Max Webeblatt
US3746053A (en) * 1972-02-02 1973-07-17 Minnesota Mining & Mfg Loom reed
CH576023A5 (ko) * 1974-03-06 1976-05-31 Grob & Co Ag
US4071052A (en) * 1975-10-03 1978-01-31 Vyzkumny Ustav Bavlnarsky Rotary reed having facilities for adjustably separating groups of leno warp threads
NL7701916A (nl) * 1976-02-27 1977-08-30 Scheffel Walter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inbrengen van de inslag bij een weefgetouw.
CH633590A5 (de) * 1978-12-07 1982-12-15 Rueti Ag Maschf Reihenfachwebmaschine mit einem webrotor.
US4529014A (en) 1983-08-29 1985-07-16 Steel Heddle Mfg., Co. Loom reed with plastic profiled dents
US4844131A (en) * 1988-03-28 1989-07-04 Anderson Barbara C Loom reed with removable dents
US4887650A (en) * 1988-10-27 1989-12-19 Mcginley Thomas F Beat-up mechanism for weaving looms
IT1227928B (it) * 1988-11-25 1991-05-14 Nuovo Pignone Spa Pettine perfezionato per telai tessili, particolarmente adatto per telai multifase
US5029617A (en) * 1989-07-05 1991-07-09 Anderson Barbara C Reed with removable dents
JPH04100955A (ja) * 1990-08-08 1992-04-02 Nippon Oil Co Ltd 厚地織物用オサ打ち装置
DE9211353U1 (de) * 1992-08-24 1994-01-05 Novatech Siebe & Tech Halterung für das Webblatt einer Nahtwebmaschine
EP0589125A1 (fr) * 1992-09-23 1994-03-30 Tecnotessile Centro Di Ricerche S.R.L. Peigne pour machines textiles
JP2860444B2 (ja) * 1994-03-31 1999-02-24 日清紡績株式会社 織成方法及び筬
JP2651892B2 (ja) * 1994-05-17 1997-09-10 日清紡績株式会社 織成方法
US5465762A (en) * 1994-06-10 1995-11-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Adjustable reed for weaving net-shaped tailored fabrics
AU7296398A (en) * 1997-05-11 1998-12-08 B.F. Goodrich Company, The Seatbelt system having seamless inflatable member
US6039087A (en) * 1998-09-30 2000-03-21 Steel Heddle Manufacturing Co. Reed assembly
CN2564593Y (zh) 2002-06-18 2003-08-06 安二远 织网机用钢筘
DE502005009281D1 (de) * 2005-12-08 2010-05-06 Groz Beckert Kg Weblitze für bandartige Kettfäden
FR2913435B1 (fr) 2007-03-07 2009-12-04 Schonherr Textilmaschb Gmbh Peigne de metier a tisser, metier a tisser comprenant un tel peign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peigne.
US9145625B2 (en) * 2011-09-15 2015-09-29 Groz-Beckert Kg Card wire with improved tooth shape
CN104160079B (zh) * 2011-12-14 2016-02-10 斯奈克玛 具有优化经纱密度的提花织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519Y1 (ko) * 1979-05-28 1980-04-28 김진욱 방직용 바디
US4694867A (en) * 1985-10-08 1987-09-22 Klimovskoe Spetsialnoe Konstruktorskoe Bjuro Po Proektirovaniju Tkatskogo Oborudovania Loom reed
JPH11315448A (ja) * 1998-03-19 1999-11-16 Icbt Diederichs Sa 織機用リ―ド
JP2008240226A (ja) * 2007-02-05 2008-10-09 Staubli Lyon 織機筬およびこのような織機筬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EP3067451A1 (de) * 2015-03-10 2016-09-14 Groz-Beckert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webblatts und webbla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393B1 (ko) 2023-10-31
CN111051587B (zh) 2022-04-08
JP2020526677A (ja) 2020-08-31
US20200299874A1 (en) 2020-09-24
US10920344B2 (en) 2021-02-16
EP3425095B1 (de) 2020-09-30
JP7311486B2 (ja) 2023-07-19
CN111051587A (zh) 2020-04-21
WO2019008138A1 (de) 2019-01-10
EP3425095A1 (de)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7981A (ko) 리드 및 리드 제조 방법
KR102354233B1 (ko) 스텝 앤드 리피트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스텝 앤드 리피트 증착 마스크, 및 유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N109423600B (zh) 掩膜条及其制备方法、掩膜板
KR20120081103A (ko) 탐폰 제조용 프레스
US20150308020A1 (en) Heddle For A Loom, In Particular A Circular Loom
FI63978B (fi) Anordning foer styrning av massasuspension i en inloppslaoda ien pappersmaskin
JP2017226476A (ja) 切込板の製造方法および切込板
JP6880239B2 (ja) 糊付け空洞を備えるラッパーを有するロッド
US3397436A (en) Needle board for needle felting machines
US20220225686A1 (en) Method and mounting frame for manufacturing a vaporizer unit for an inhaler
US20190189605A1 (en) Arrangement having a carrier and an optoelectronic component
CN112222292B (zh) 一种金属板材制作微孔的方法
US20200369485A1 (en) Expander Roller for Fold-Free Expansion of Foils
CN216757985U (zh) 一种夹具
JP6866126B2 (ja) 間仕切り、間仕切り用面材の製造方法、および間仕切りの製造方法
KR101887366B1 (ko)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편물 모듈 형성 방법 및 편물 형성 방법
TWI603890B (zh) 製造一固定元件條帶的方法
JP4415604B2 (ja) 差厚板材の製造方法および差厚板材の製造装置
JP2007181846A (ja) 成形装置
JP3866374B2 (ja) 空気噴射織機の筬及びその製造方法
JP6600981B2 (ja) 不織布製造装置
KR20230055176A (ko) 사면누름압을 이용한 1구형 하지프레임의 롤 성형 제작방법
JP4857854B2 (ja) 金属サイディングの製造方法
CN102099889A (zh) 带狭缝枪的电子束发射机
JP2005142125A (ja) 色選別機構とその製造方法、及び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