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898A - 자동차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 및 에어 필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 및 에어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898A
KR20200020898A KR1020207002226A KR20207002226A KR20200020898A KR 20200020898 A KR20200020898 A KR 20200020898A KR 1020207002226 A KR1020207002226 A KR 1020207002226A KR 20207002226 A KR20207002226 A KR 20207002226A KR 20200020898 A KR20200020898 A KR 20200020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filter element
fasten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슈마허
Original Assignee
다임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임러 아게 filed Critical 다임러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2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Identification of filter type or position thereof, e.g. by transponders or bar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4Mounting aids
    • B01D2265/026Mounting aids with 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8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9Special screwing connections, threaded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1/00Sealing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1/02Gaskets, 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6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the intak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or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2003/065Details for holding filter elements in 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영역별로 필터 엘리먼트(10)의 필터 재료(14)를 둘러싸는 프레임 부분(16)을 갖는 자동차의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10)에 관한 것이다. 필터 엘리먼트(10)는 에어 필터의 하우징(12)을 통해 제공된 수용부에 장착 가능하다. 필터 엘리먼트(10)는 필터 엘리먼트(10)를 수용부에 삽입함으로써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를 갖는다. 기능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44)를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에 장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44)는 수용부의 삽입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 요소(58)를 하우징(12)에 장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필터 엘리먼트(10)를 갖는 에어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 및 에어 필터
본 발명은 적어도 영역별로 필터 엘리먼트의 필터 재료를 둘러싸는 프레임 부분을 갖는 자동차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필터 엘리먼트는 에어 필터의 하우징을 통해 제공된 수용부에 장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필터 엘리먼트가 있는 에어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7 063 252 A1은 자동차 공조기 내의 삽입형 에어 필터를 설명한다. 이때 에어 필터가 있는 삽입 프레임은 삽입면에 평행하고 삽입 방향에 수직인 굽힘축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삽입 프레임의 이러한 굽힘성은 좁은 공간에서나 여유 공간이 거의 없는 경우 삽입형 에어 필터를 공조기에 더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커버를 사용하여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의해 생긴 에어 필터의 필터 엘리먼트를 위한 수용부를 폐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때 예컨대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나사 체결을 통해 커버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수용 공간의 삽입 개구부가 커버를 사용하여 폐쇄된 경우 필터 엘리먼트가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 언급한 방식의 필터 엘리먼트, 즉 수용부가 커버 요소로 폐쇄된 경우에도 에어 필터에 필터 엘리먼트가 장착되어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필터 엘리먼트를 만들고 이러한 필터 엘리먼트가 있는 에어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진 필터 엘리먼트와 청구항 제8항의 특징을 가진 에어 필터를 통해 해결된다. 목적에 맞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독립적인 특허 청구항에서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는 적어도 영역별로 필터 엘리먼트의 필터 재료를 둘러싸는 프레임 부분을 갖는다. 필터 엘리먼트는 에어 필터의 하우징을 통해 제공된 수용부에 장착 가능하다. 필터 엘리먼트는 필터 엘리먼트를 수용부에 장착함으로써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를 갖는다. 기능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를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에 장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는 커버 요소를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커버 요소는 수용부의 삽입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기능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만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를 사용하여 수용부의 삽입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커버 요소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야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필터 엘리먼트의 이러한 구조 덕택에 수용부가 커버 요소로 폐쇄된 경우에도 필터 엘리먼트가 장착되어 있는지 또는 에어 필터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간단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에 커버 요소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터 엘리먼트를 수용부에 장착 내지는 삽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삽입으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 내지는 이러한 고정부나 커버 요소 측면에 있는 체결요소와 짝을 이루는 요소가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이동하거나 움직인다. 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는 수용부로 필터 엘리먼트를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에 장착될 수 있게 방향을 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 엘리먼트가 장착된 상태에서만 에어 필터가 작동될 수 있다. 에어 필터의 수용부에 필터 엘리먼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커버 요소를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필터 엘리먼트가 없는 경우 이를 알아차리게 된다.
예컨대 필터 엘리먼트의 필터 재료의 오염으로 인해 필터 엘리먼트를 교체 내지는 교환해야 할 경우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커버 요소를 장착하기 위해 새 필터 엘리먼트를 에어 필터의 수용부에 삽입해야 한다.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필터 엘리먼트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가요성 연결 브릿지를 사용하여 프레임 부분에 고정된다. 이때 연결 브릿지의 변형으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특히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수용부에 필터 엘리먼트를 삽입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연결 브릿지를 필름 힌지 방식으로 설계함으로써 가요성 연결 브릿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필터 엘리먼트를 수용부에서 꺼낼 때 연결 브릿지가 자동으로 기능 위치에서 초기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초기 위치에서 프레임 부분의 측벽과 제1 각도를 이루며 이때 측벽은 필터 엘리먼트의 삽입 방향으로 이어진다. 필터 엘리먼트는 삽입 방향으로 수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는 기능 위치에서 측벽과 제2 각도를 이루며 이 각도는 제1 각도보다 크다. 달리 말하면 고정요소를 지나고 측벽의 수직 방향과 일치하는 선에서 측벽을 교차하는 가상의 중심면이 측벽과의 제 1 각도 내지는 제2 각도를 포함한다. 이렇게 해서 한편으로 수용부에 필터 엘리먼트의 쉽고 확실한 삽입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이나 장착 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는 예컨대 안내장치를 사용하여 안내되어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자동으로 움직인다. 안내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배치된다. 또한 그 결과 고정장치가 기능 위치에서 하우징의 하우징 부분을 뒤에서 결합하거나 언더컷으로 에워쌀 수 있게 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는 기능 위치에서 기본적으로 측벽에 수직 방향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를 사용하여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커버 요소를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는 암나사산 형태의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암나사산이 기능 위치로 이동했을 때 암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는 볼트를 체결요소로서 갖추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는 체결요소에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위한 마운트를 가질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베이어닛 방식으로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커버 요소의 장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체결요소에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핀은 (베이어닛 원리에 따라) 체결요소의 샤프트 부분을 돌리면 마운트에 삽입된다. 샤프트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핀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커버 요소는 특히 빠르고 확실하게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는 체결요소의 대응 잠금요소 및 체결요소의 대응 잠금요소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잠금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기능 위치로 이동하면 이러한 형태에서도 특히 간단하고 빠르게 커버 요소를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 필터는 발명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이때 필터 엘리먼트는 에어 필터의 하우징을 통해 제공된 수용부에 삽입된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를 필터 엘리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에 체결함으로써 하우징에 커버 요소가 장착된다. 수용부의 삽입 개구부는 커버 요소로 폐쇄된다. 이때 에어 필터는 특히 공조기 및 자동차 환기 장치의 에어 필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내연기관 흡기 시스템용으로 에어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요소가 필터 엘리먼트를 수용부에서 꺼내기 전에 삽입 개구부에서 제거 가능한 수용부의 별도 폐쇄장치로 설계된다. 특히 커버 요소가 필터 엘리먼트에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 필터 엘리먼트와 일체형으로 설계된 이러한 형태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터 엘리먼트의 구조로 인해 필터 엘리먼트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이 적어도 하나의 안내장치를 가지며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를 적어도 하나의 안내장치에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는 수용부에 필터 엘리먼트의 삽입 시 안내장치의 굽은 형태를 따라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안내장치나 안내링크를 구비함으로써 고정요소를 쉽고 확실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기능 위치에서 하우징의 하우징 부분을 뒤에서 결합하는 경우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된다. 이때 이 하우징 부분에서 관통구가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에 장착되면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의 샤프트 부분이 관통구를 통과한다. 그렇게 해서 한 편으로 필터 엘리먼트가 수용부에 확실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 편으로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커버 요소가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의 샤프트 부분은 암나사산이 있는 고정요소에 체결되어 커버 요소를 하우징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샤프트 부분은 샤프트 부분을 돌려 마운트에 삽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요소가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장착될 때 베이어닛 방식으로 설계된 회전식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체결요소를 예컨대 4분의 1바퀴 정도 아주 미세하게 돌려서 커버 요소를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샤프트 부분의 세로 방향에 수직으로 진행되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샤프트 부분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경우에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된다. 이때 선회축을 중심으로 샤프트 부분을 돌려서 고정요소에서 체결요소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체결요소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잠금을 통해 에어 필터의 하우징에 커버 요소의 특히 간단하고 확실한 장착 (및 하우징에서 커버 요소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발명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에 명시된 장점과 바람직한 실시예는 발명에 따른 에어 필터에도 적용되며 그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자세한 장점과 특징 및 상세 사항은 도면을 기초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명세서에서 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징과 특징 조합 및 다음 그림 설명에서 언급되거나/되고 그림에서 단독으로 제시된 특징과 특징 조합들은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각 제시된 조합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에서 또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 그림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자동차 공조기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 투시도. 이때 필터 엘리먼트의 프레임에 가요성 고정요소가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라 필터 엘리먼트의 수용부를 제공하는 에어 필터의 하우징 투시도.
도 3은 도 2에 제시된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부와 하부 두 부분의 투시도.
도 4는 도1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 단면의 확대 상세도.
도 5는 도 1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 수용부의 삽입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 요소의 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커버 요소의 다른 투시도.
도 7은 도 1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를 도 2에 따른 하우징에 삽입하는 첫 번째 단계. 이때 도 2에 따른 하우징의 하우징 하부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필터 엘리먼트를 하우징에 조립 내지는 삽입 시 다음 단계.
도 9는 도 2에 따른 하우징에서 최종 위치 및 최종 지점에 있는 도 1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 이때 필름 힌지를 통해 필터 엘리먼트의 프레임에 고정된 암나사산은 커버 요소에 배치된 나사를 암나사산에 체결할 수 있는 기능 위치로 이동했다.
도 10은 커버 요소에 배치된 나사를 필터 엘리먼트에 설계된 암나사산에 체결함으로써 도 2에 따른 하우징에 도 5에 따른 커버 요소의 장착.
도 11은 초기 위치에서 다수의 나사 중 하나를 고정요소에 체결할 수 있는 기능 위치로 다수의 고정요소 중 하나가 이동할 때 단계를 부분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시한 평면도.
도 12는 필터 엘리먼트에 설계된 고정요소의 종류. 이때 베이어닛 방식으로 회전식 잠금이 가능하게 하며 하우징에서 커버 요소의 분해 단계를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두 잠금클립을 사용한 이동식 잠금이 가능한 다른 커버 요소의 투시도.
도 14는 도 13에 따라 커버 요소를 분해하기 위해 분해 위치로 잠금클립 중 하나를 기울인 그림.
도 15는 도 2에 따른 하우징에서 도 13에 따른 커버 요소의 분해 시 단계의 부분 단면 상세도. 이때 도 1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에 설계된 고정요소는 잠금 래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예컨대 자동차 공조기 에어 필터의 하우징 12(도2 참조)에 삽입하기 위해 설계된 필터 엘리먼트 10을 투시도로 나타낸다. 여기에서 필터 엘리먼트 10의 필터 재료 14는 예컨대 주름형 필터로 설계된다. 필터 재료 14는 전방 단부벽 18이 전방 단부벽 18에 인접한 측벽 20, 22과 후방 단부벽 24을 포함하는 프레임 부분 16으로 사방이 둘러싸여 있다. 측벽 20, 22는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삽입 방향 26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삽입 방향 26으로 하우징 12를 통해 제공된 수용부 28에 필터 엘리먼트 10을 장착 내지는 삽입할 수 있다(도 2 참조). 특히 삽입 방향 26에서 봤을 때 도 1에서 가까운 쪽의 단부벽 18은 필터 엘리먼트 10의 전방 단부벽 18이며 먼 쪽의 단부벽 24는 필터 엘리먼트 10의 후방 단부벽 24이다.
해당 측벽 20, 22에는 삽입 방향 26으로 전방 단부벽 18과 평면을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부분 16과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있는 돌출부 30이 배치되어 있고 이 돌출부는 도 4에서 확대해서 제시하고 있다. 단부벽 18의 평면에서 돌출부 30이 측벽 20, 22를 튀어나와 있다. 돌출부 30의 벽두께는 특히 기본적으로 전방 단부벽 18의 벽두께와 일치할 수 있다. 이 돌출부 30에서 삽입 방향 26으로 기본적으로 해당 측벽 20, 22에 평행하게 탭 32가 이어진다. 탭 32는 돌출부 30 보다 더 적은 벽두께를 갖는다. 돌출부 30과 탭 32를 통해 필름 힌지 방식으로 고정요소 36을 고정하는 가요성 연결 브릿지 34를 제공한다.
도 1에서 예시로 제시된 필터 엘리먼트 10의 종류에서 고정요소 36은 연결 브릿지 34의 단부 영역이 두꺼워지는 형태, 즉 두께가 늘어나는 단부 형태 40의 암나사산 38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고정요소 36은 프레임 부분 16 내지는 필터 프레임에 필름 힌지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요소 36은 탭 32의 더 적은 벽두께로 인해 가요성을 갖는다. 즉, 고정요소 36은 도 1에 제시된 초기 위치에서 도 9에 제시된 기능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 위치에서 도 9와 도 10에 따라 나사 44의 샤프트 42를 단부 영역 40에 있는 암나사산 38에 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나사 44의 샤프트 42도 마찬가지로 나사산 46을 갖는다(도 9 참조).
도 2에서는 하우징 12가 수용부 28의 삽입 개구부 52를 사방으로 제한한 하우징 하부 48과 하우징 상부 50을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우징 하부 48 내지는 이러한 종류의 하부 쉘과 하우징 상부 50 내지는 이러한 종류의 상부 쉘은 연결 브릿지 34를 삽입 방향 26에 삽입시킬 수 있는 안내장치 및 안내링크 54를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 12에 안내링크 54에 인접하여 해당 관통구 56을 설계했다. 이러한 관통구 56을 통해 나사 44의 샤프트 42(도 9 참조)가 들어가서 샤프트 42에 설계된 나사산 46이 필터 엘리먼트 10의 측면에 제공된 암나사산으로 설계된 나사산 38에 체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면 관통구 56과 안내링크 54의 각 상하부가 하우징 하부 48과 하우징 상부 50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에어 필터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 12가 일체형으로도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 12의 삽입 개구부 52를 폐쇄할 수 있는 커버 요소 및 커버 58을 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커버 58을 하우징 12에 장착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필터 엘리먼트 10으로 제공된 고정요소 36이 필요하다. 도 5부터 도 10에서 제시된 에어 필터 버전에서 커버 58은 해당 측면 테두리 영역에서 두 나사 44의 해당 샤프트 42가 들어가는 관통구를 갖는다. 나사 44를 돌리기 위해 나사 44에는 예컨대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손잡이 부분 60이 있을 수 있다. 손잡이 부분 60은 여기에서 핸드휠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도 6에서 보면 나사 44의 해당 샤프트 42는 커버 58의 기본 몸체 62에서 돌릴 수 있게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부터 도 10까지는 필터 엘리먼트 10과 커버 58의 조립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는 하우징 12에 필터 엘리먼트 10을 삽입하는 첫 번째 단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명확성을 위해 하우징 하부 48만 제시한다. 화살표를 통해 삽입 방향 26을 다시 나타내고 있다. 도 7과 도 8에서는 단부 영역 40 및 이 단부 영역과 함께 암나사산 38이 있는 고정요소 36은 나사 44의 나사산 46이 고정요소 36의 암나사산 38에 아직 삽입되지 않은 초기 위치(도 4 참조)에 있다.
도 8은 필터 엘리먼트 10의 다음 삽입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단부 영역 40이 안내링크 54에 들어간다. 그 결과, 고정요소 36 내지 체결요소가 안내링크 54에 걸린다.
도 9에서는 한 쪽이 측벽 20으로 제한된 안내링크 54의 굽은 형태로 인해 암나사산 38이 있는 단부 영역 40이 방향을 바꾸게 되는 다음 단계를 나타낸다. 도 4에 제시된 고정요소 36의 초기 위치에서 도 9에 제시된 기능 위치로 고정요소 36의 이동은 도 9에서 다른 화살표 64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결과적으로 나사 44가 고정요소 36과 체결되어 커버 58이 하우징 12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와 도 10에서 제시된 고정요소 36의 기능 위치에서 고정요소 36은 하우징 12에서 관통구 56을 이루는 하우징 부분 66을 뒤에서 결합한다.
필터 엘리먼트 10을 교체하기 위해 분해할 경우 우선 나사 44를 풀어서 커버 58을 하우징 12에서 떼어내고 삽입 개구부 52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필터 엘리먼트 10을 삽입 방향 26과 반대 방향으로 수용부 28에서 빼낼 수 있다. 이때 고정요소 36은 안내링크 54의 굽은 형태로 인해 다시 기능 위치(도 9 참조)에서 초기 위치(도 4 참조)로 이동하게 된다.
도 11에서는 연결 브릿지 34를 안내링크 54에 삽입하거나 끼워 넣는 방법을 평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이 그림에서는 특히 고정요소 36이 안내링크 54에 완전히 삽입되기 전에 고정요소 36이 초기 위치에서 측벽 20과 이루는 각도 65가 90도보다 작고 여기에서는 45도보다도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나사 44의 샤프트 42가 나사산 38로 들어갈 수 있는 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고정요소 36의 중심면은 측벽 20과 각도 65를 이룬다.
연결 브릿지 34가 안내링크 54에 삽입될 때 고정요소 36이 우선 측벽 20 쪽으로 가까워진다. 이때 연결 브릿지 34의 탭 32는 돌기 또는 돌출부 30 근처에서 탄성 변형된다. 이어서 연결 브릿지 34가 안내링크 54로 더 들어가면 고정요소 36이 안내링크 54에 의해 방향을 바꿔 단부 영역 40에서 암나사산으로 설계된 나사산 38이 관통구 56과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이때 탭 32는 단부 영역 40 근처에서 탄성 변형된다. 이 기능 위치에서 고정요소 36은 기본적으로 측벽 20에 수직을 이룬다. 이에 따라 단부 영역 40을 지나는 중심면이 측벽 20과 직각 68을 이룬다. 고정요소 36의 이러한 방향에서 도 11의 마지막 그림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나사 44를 암나사산 38에 체결할 수 있다.
도 12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된, 하우징 하부 48만 나타낸 하우징 12와 필터 엘리먼트 10 종류의 경우 하우징 12에 동일하게 장착하기 위해 커버 58의 회전식 잠금 또한 제공한다. 이때 도 12의 왼쪽 그림에서는 커버 58의 측면에 있는 체결요소가 커버 58이 하우징 12를 고정하고 따라서 커버 58이 삽입 개구부 52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고정요소 36은 측벽 20과 직각 68로 배치되어 있거나 직각 68을 이루는 기능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종류에서 가요성 내지 탄성 변형 가능한 탭 32에 이어지는 단부 영역 40에는 암나사산이 없고 그 대신 나사 44 내지는 체결나사의 샤프트 42에서 수직을 이루는 두 개의 핀 72을 위한 해당 마운트 70이 있다.
도 12의 왼쪽 그림에 따라 우선 손잡이 부분 60을 잡고 도 12에서 다른 화살표 74로 제시하고 있는 방향으로 나사 44를 돌린다. 그러면 핀 72가 해당 마운트 70에서 빠져나온다. 도 12의 중간 그림에 따라 압입이 풀리거나 해제된다. 달리 말하면 핀 72가 마운트 70에 더 이상 걸려 있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는 체결요소로 사용되는 나사 44의 샤프트 42 내지는 이와 같은 종류의 샤프트 부분을 4분의 1바퀴 돌려서 풀 수 있다.
이어서 샤프트 42를 고정요소 36에서 뺄 수 있고 이때 핀 72가 있는 샤프트 42는 하우징 하부 48과 (도 12에 제시되지 않은) 하우징 상부 50에서 형성된 관통구 56을 따라 안내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 58은 더 이상 필터 엘리먼트 10과 체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커버 58을 탈거할 수 있다. 하우징 12에서 커버 58의 이러한 탈거는 그림 12의 오른쪽 그림에 추가 화살표 76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커버 58을 장착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커버 58의 기본 몸체 62에서 나사 44 대신 잠금클립 78이 배치되어 있다. 이동식 잠금을 가능하게 하는 해당 잠금클립 78은 기본 몸체 62에 통합된 엘라스토머 씰 8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라스토머 씰 80은 해당 잠금클립 78이 도 13에서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선회축 82를 중심으로 회전 내지 기울어질 수 있게 한다. 선회축 82는 해당 잠금클립 78 내지는 로커암의 샤프트 부분 84의 세로 방향에 수직으로 진행된다.
특히 도 14에서는 샤프트 부분 84가 기본 몸체 62의 제 1 측면 86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커버 58의 기본 몸체 62의 제 1 측면 86은 수용부 28의 삽입 개구부 52를 폐쇄하기 위해 커버 58을 하우징 12에 조립할 때 필터 엘리먼트 10 쪽을 향한다. 기본 몸체 62의 반대 측면 88에서는 잠금클립 78의 조작요소 90으로 설계된 부분이 돌출되어 있다. 조작요소 90의 외면 92를 누르면 잠금클립 78이 선회축 8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선회축 82의 영역을 지나는 브릿지 94를 통해 잠금클립 78이 커버 58의 기본 몸체 62와 체결된다. 브릿지 94에는 브릿지 94의 양측에 엘라스토머 씰 80이 인접해 있다.
도 14의 오른쪽 그림에서는 잠금클립 78을 조작하여 선회축 82를 중심으로 잠금클립이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브릿지 94가 비틀리고 엘라스토머 씰 80이 유연해진다. 그림 14의 오른쪽 그림에서 화살표 96은 조작된 잠금클립 78의 선회축 82를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을 나타낸다.
도 15를 기반으로 도 13에 따른 커버 58을 하우징 12에서 분리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냈다. 여기에서도 하우징 12 중에서 하우징 하부 48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왼쪽 그림에서는 조작요소 90에 대향하는 샤프트 부분 84의 단부에 설계된 잠금 래치 98이 필터 엘리먼트 10의 기능 위치로 이동한 고정요소 36에 설계된 잠금 래치 100에 걸린다. 잠금 래치 98이 설계된 샤프트 부분 84의 단부 영역은 고정요소 36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과한다. 앞에서 명시한 필터 엘리먼트 10 종류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정요소 36은 기능 위치에서 기본적으로 측벽 20에 수직을 이룬다.
도 15의 중간 그림의 화살표 102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조작요소 90을 누르면 잠금요소나 잠금 래치 98, 100이 해제된다. 달리 말하면 커버 58의 측면에 있는 잠금 래치 98 형태의 잠금요소는 압입을 해제한다. 그로 인해 잠금 래치 98이 있는 샤프트 요소나 샤프트 부분 84는 하우징 12에서 하우징 하부 48과 (도 15에는 제시되지 않은) 하우징 상부 50으로 형성한 관통구 56을 통해 관통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 58은 하우징 12에서 제거할 수 있다. 커버 58은 필터 엘리먼트 10을 더 이상 고정하거나 체결하지 않는다. 그 결과 하우징 12에서 커버 58의 탈거 후 필터 엘리먼트 10을 빼낼 수 있다. 이때 고정요소 36(측벽 20의 한 쪽 면에 인접한 안내링크 54의 굽은 윤곽)은 도 15에 제시된 기능 위치에서 다시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고정요소 36은 고정요소 36이 안내링크 54를 떠날 때 초기 위치에 도달한다.
교체형 부품으로 설계된 필터 엘리먼트 10에는 하우징 12에 삽입 시 안내링크 54에 맞춰지고 최종 위치에서 관통구 56을 형성하는 하우징 부분 66을 언더컷으로 감싸면서 다양한 종류에서 필름 힌지를 통해 제공된 가요성 형태의 고정요소 36 및 체결요소가 부착된다. 동시에 필터 엘리먼트 10를 사전에 삽입하지 않으면 커버 58의 장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 10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 12에 필터 엘리먼트 10이 삽입 및 장착되어야 커버 58을 하우징 12에 부착할 수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영역별로 필터 엘리먼트(10)의 필터 재료(14)를 둘러싸는 프레임 부분(16)을 가지며, 이때 필터 엘리먼트(10)가 수용부(28)에 필터 엘리먼트(10)의 삽입을 통해 하우징(12)에 수용부(28)의 삽입 개구부(52)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 요소(58)를 장착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44, 78)가 초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에서 고정 가능한 기능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로서 에어 필터 하우징(12)으로 제공된 수용부(28)에 필터 엘리먼트(10)를 삽입할 수 있는 차량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가 가요성 연결 브릿지(34)를 사용해서 프레임 부분(16)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로서, 이때 특히 연결 브릿지(34)의 탄성 변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를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필터 엘리먼트.
  3.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가 초기 위치에서 필터 엘리먼트(10)를 수용부(28)로 삽입할 수 있는 필터 엘리먼트(10)의 삽입 방향(26)으로 뻗어 있는 프레임 부분(16)의 측벽(20, 22)과 제1 각도(6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로서,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가 기능 위치에서 제1 각도(66)보다 큰 제2 각도(68)를 측벽(20, 22)과 이루는 필터 엘리먼트.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가 기능 위치에서 기본적으로 측벽(20, 22)에 수직 방향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5.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가 암나사산(3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6.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36)가 체결요소(44, 78)에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핀(72)을 위한 마운트(7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7.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엘리먼트(3 6)가 체결요소(44, 78)의 대응 잠금요소(98)를 위한 잠금요소(10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8.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엘리먼트(10)를 포함한 자동차용 에어 필터. 이때 필터 엘리먼트(10)는 에어 필터의 하우징(12)을 통해 제공된 수용부(28)에 삽입되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44, 78)를 필터 엘리먼트(10)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에 고정함으로써 하우징(12)에 커버 요소(58)가 장착되고 커버 요소(58)를 사용하여 수용부(28)의 삽입 개구부(52)가 폐쇄된다.
  9. 제8항에 있어서, 커버 요소(58)가 필터 엘리먼트(10)를 수용부(28)에서 꺼내기 전에 삽입 개구부(52)에서 제거 가능한 수용부(28)의 별도 폐쇄장치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
  10. 제8항이나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2)이 적어도 하나의 안내장치(54)를 가지며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를 적어도 하나의 안내장치(54)에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가 초기 위치에서 기능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
  11. 제8항부터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가 기능 위치에서 하우징(12)의 하우징 부분(66)을 뒤에서 결합하며 이때 하우징 부분(66)에 관통구(56)가 설계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44, 78)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36)에 장착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44, 78)의 샤프트 부분(42, 84)이 관통구(54)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샤프트 부분(42, 84)이 나사산(46) 및/또는 샤프트 부분(42, 84)을 돌려 마운트(70)에 삽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핀(72)을 가지거나/가지고 샤프트 부분(42, 84)의 세로 방향에 수직으로 진행되는 선회축(82)를 중심으로 샤프트 부분(42, 84)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선회축(82)을 중심으로 한 샤프트 부분(42, 84)의 회전으로 체결요소(44, 78)가 고정요소(36)에서 체결요소(44, 78)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필터.
KR1020207002226A 2017-08-08 2018-06-22 자동차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 및 에어 필터 KR20200020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7498.4A DE102017007498A1 (de) 2017-08-08 2017-08-08 Filterelement für einen Luftfilter eines Kraftwagens und Luftfilter
DE102017007498.4 2017-08-08
PCT/EP2018/066700 WO2019029888A1 (de) 2017-08-08 2018-06-22 Filterelement für einen luftfilter eines kraftwagens und luft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898A true KR20200020898A (ko) 2020-02-26

Family

ID=6290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226A KR20200020898A (ko) 2017-08-08 2018-06-22 자동차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 및 에어 필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517843B2 (ko)
EP (1) EP3664913B1 (ko)
JP (1) JP6970810B2 (ko)
KR (1) KR20200020898A (ko)
CN (1) CN111032187B (ko)
AU (1) AU2018312771A1 (ko)
CA (1) CA3071034A1 (ko)
DE (1) DE102017007498A1 (ko)
RU (1) RU2020109120A (ko)
WO (1) WO2019029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4045B2 (en) * 2019-06-18 2021-09-21 Valeo North America, Inc. Heater core and method for servicing a heater core
EP3771870A1 (en) * 2019-07-31 2021-02-0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Filter cartridge for a filter assembly, filter assembly and domestic appliance with a filter assemly
JP1667862S (ko) * 2019-08-26 2020-09-07
JP1667844S (ko) * 2019-08-26 2020-09-07
JP1667866S (ko) * 2019-08-26 2020-09-07
USD952813S1 (en) * 2019-08-26 2022-05-24 Daikin Industries, Ltd.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DE102020110082A1 (de) * 2020-04-09 2021-10-14 Lufttechnik Gransee GmbH Filt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Wechseln eines Filterelementes
DE102020110081A1 (de) 2020-04-09 2021-10-14 Lufttechnik Gransee GmbH Filtervorrichtung
DE102020110940A1 (de) * 2020-04-22 2021-10-28 Daimler Ag Filterelement für eine Luftfiltereinrichtung eines Kraftwagens und Luftfiltereinrichtung
USD1018816S1 (en) * 2021-03-23 2024-03-19 Genet Gebremedhin Filter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443A (en) * 1975-03-31 1977-01-11 Massey-Ferguson Inc. Air filter clamping mechanism for cab
AR214922A1 (es) * 1977-05-25 1979-08-15 Donaldson Co Inc Un purificador de dos etapas de aire
JPS5941662U (ja) * 1982-09-09 1984-03-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エアクリ−ナの締付構造
US4682993A (en) * 1983-12-16 1987-07-28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Fluid filter system with replaceable filter element
JPH03134417A (ja) * 1989-10-16 1991-06-07 Sanyo Electric Co Ltd フィルター脱着装置
DE9305767U1 (ko) 1993-04-16 1993-06-17 Filterwerk Mann & Hummel Gmbh, 7140 Ludwigsburg, De
US5679122A (en) * 1993-08-14 1997-10-21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Filter for the filtration of a fluid flow
US5399180A (en) * 1993-12-06 1995-03-21 Kopp; John G. Modular filter assembly
JP3136978B2 (ja) * 1995-04-24 2001-0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JP3718322B2 (ja) * 1997-06-20 2005-11-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US6174343B1 (en) * 1999-06-29 2001-01-16 Siemens Canada Limited Ontario Cam action attachment and locking mechanism for air cleaner shells
DE10034487A1 (de) * 2000-07-15 2002-01-24 Mhb Filtration Gmbh & Co Kg Einschubfilter
FR2827642B1 (fr) * 2001-07-19 2004-01-30 Mark Iv Systemes Moteurs Sa Ensemble de filtre a air pour vehicule a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7794518B2 (en) 2006-02-28 2010-09-14 Oreck Holdings, Llc Filter system for an air cleaner
FR2908159B1 (fr) * 2006-11-07 2009-01-23 Mark Iv Systemes Moteurs Soc P Dispositif de filtre a air a tiroir et ensemble d'admission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102007018215A1 (de) 2007-04-16 2008-10-30 Carl Freudenberg Kg Filterelement mit einem lösbaren Deckel
DE102007063252A1 (de) 2007-12-31 2009-07-02 Volkswagen Ag Einschubluftfilter im Klimagerät eines Fahrzeugs
DE102008040319A1 (de) * 2008-07-10 2010-01-14 Deere & Company, Moline Filteranordnung zum Filtern eines flüssigen oder gasförmigen Mediums
DE202008014511U1 (de) * 2008-10-31 2010-03-18 Mann+Hummel Gmbh Filtereinrichtung, insbesondere Luftfilter
JP5389511B2 (ja) * 2009-04-08 2014-01-15 株式会社Roki エアクリーナ
DE102009048412B3 (de) * 2009-10-06 2011-02-10 Mann+Hummel Gmbh Filtersystem und Filterelement zur Filtrierung von Fluiden
KR101189235B1 (ko) * 2010-09-28 2012-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클리너
US8394159B2 (en) * 2011-01-31 2013-03-12 Honda Motor Co., Ltd. Vehicle air cleaner housing
JP2012236437A (ja) * 2011-05-10 2012-12-06 Sanden Corp 車両用空調装置
EP2844365A4 (en) * 2012-05-01 2016-08-03 Camfil Usa Inc HOLDER FRAME ARRANGEMENT AND FLEXIBLE BRACKETS FOR THIS
US10005012B2 (en) * 2013-06-06 2018-06-26 Donaldson Company, Inc. Interlock device
US9169811B2 (en) * 2013-08-06 2015-10-27 Kia Motors Corporation Air cleaner for vehicle
DE102013020382A1 (de) * 2013-12-10 2015-06-11 Mann + Hummel Gmbh Innenraumfilter und Filteranordnung
DE102014004740A1 (de) 2014-04-01 2015-10-01 Daimler Ag Luftfilter für eine Belüftungseinrichtung eines Kraftwagens
DE102014005734A1 (de) * 2014-04-17 2014-11-06 Daimler Ag Filterelement für eine Klimaanlage eines Kraftwagens
DE102015003297A1 (de) * 2015-03-14 2016-09-15 Daimler Ag Filtereinrichtung und Filterelement,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007498A1 (de) 2019-02-14
RU2020109120A3 (ko) 2021-09-10
CN111032187B (zh) 2022-04-19
WO2019029888A1 (de) 2019-02-14
AU2018312771A1 (en) 2020-02-20
JP6970810B2 (ja) 2021-11-24
CA3071034A1 (en) 2019-02-14
US20200230540A1 (en) 2020-07-23
JP2020529313A (ja) 2020-10-08
RU2020109120A (ru) 2021-09-10
CN111032187A (zh) 2020-04-17
EP3664913B1 (de) 2021-08-18
US11517843B2 (en) 2022-12-06
EP3664913A1 (de)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0898A (ko) 자동차 에어 필터용 필터 엘리먼트 및 에어 필터
US20100139225A1 (en) Filter housing and production method
JP5061780B2 (ja) リヤバンパカバーの構造
KR20110091897A (ko) 차량 내부 라이닝용 체결 장치
CA3071054C (en) Connection arrangement for fixing a lid of an air filter device of a motor vehicle to a filter housing and to a filter element and an associated filter element
CN110891817B (zh) 车辆的盖装置
JP2008018893A (ja) 車両のストライカ構造
US9650806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6252012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100588631B1 (ko) 자동차용 배터리 커버
CN108730323A (zh) 用于车辆的可拆卸铰链组件、临时枢转轴和制造方法
DE102017110740A1 (de) Aufnahmeanordnung zur Aufnahme eines Lüfters an einem Lichtmodul eines Scheinwerfers für ein Fahrzeug
JP2005337064A (ja) 車載ケースの閉止構造及びその閉止構造を備えた車載ケース
KR20180112666A (ko) 공조장치
JP6572061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RU280329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воздушного фильтра автомобиля и воздушный фильтр
JP7383836B2 (ja) 自動車のエアフィルタ装置用のフィルタ要素及びエアフィルタ装置
JP4629074B2 (ja) 遊技機
KR100946451B1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
RU2356759C2 (ru) Заглушка
KR20060058343A (ko) 트렁크리드의 번호판 장착용 너트구조
JP2007076605A (ja) バンパーへのランプ取付構造
KR20170003989U (ko) 본네트 잠금장치
KR20120004383U (ko)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구조
KR19990007131U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커버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