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451B1 - 차량용 에어 클리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451B1
KR100946451B1 KR1020080042312A KR20080042312A KR100946451B1 KR 100946451 B1 KR100946451 B1 KR 100946451B1 KR 1020080042312 A KR1020080042312 A KR 1020080042312A KR 20080042312 A KR20080042312 A KR 20080042312A KR 100946451 B1 KR100946451 B1 KR 10094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ower case
air cleaner
upper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403A (ko
Inventor
손호석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45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의 개폐 방식을 스윙 개폐식으로 구성한 에어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클리너는, 흡기 덕트와 흡기 호스가 연결되며 내부에 필터 또는 엘리먼트가 수용되는 상향 개구된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상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안착 되면서 그의 일단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일단부에 힌지축(150)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 개구된 상부 케이스(20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를 닫아 구속하거나 열어 해제하는 잠금 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클리너가 수평 스윙 개폐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어에 클리너를 엔진 룸의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필터 교환도 용이하다.
에어 클리너, 스윙, 수평, 개폐, 엔진룸, 공간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클리너{Air cleaner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 케이스의 개폐 방식을 스윙 개폐식으로 구성하여, 어에 클리너를 엔진 룸의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필터 교환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원가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에어 클리너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로 들어가는 공기 중의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내부에 필터 또는 엘리먼트(element)를 구비하여 유입 공기가 필터나 엘리먼트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 클리너는 엔진과 관련되어 엔진 룸에 배치되는데, 차량에 따라서는 엔진 룸의 배치 설계상 공간이 협소하거나 에어 클리너의 형태에 변화를 주지 않는 이상 적절한 배치 공간이 생기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 클리너는, 통상적으로, 상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에 볼트 및 클램프(또는 클립)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필터 교환시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들어내어 분리하여야 하였으므로, 상부 케이스를 들어내기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하다. 따라서, 엔진 룸의 배치 설계를 자유롭고 효과적으로 하기에 방해 요소로 작용하고 공간도 많이 차지하게 된다.
특히, 일부 차종에서는 에어 클리너를 엔진 룸의 후방, 다시 말해서 대시 보드(dash board)에 인접한 후드 패널(hood panel) 후방 하단의 좁은 공간 안에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의 에어 클리너 형태를 그대로 적용하면 상부 케이스를 착탈 하기 위한 공간도 부족하고, 볼트나 클램프를 해제하기 위한 공구의 진입도 어려워 필터 교환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에어 클리너의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에 대해 스윙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의 제약을 덜 받으면서 설치도 쉽고 필터 교환도 쉽게 할 수 있는 에어 클리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는, 흡기 덕트와 흡기 호스가 연결되며 내부에 필터 또는 엘리먼트가 수용되는 상향 개구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안착 되면서 그의 일단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단부에 힌지축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 개구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닫아 구속하거나 열어 해제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힌지축 반대 측의 하부 케이스의 상부 테두리에 외향 연장되는 수컷 형 플랜지와, 상기 수컷 형 플랜지의 상하면 및 외측면을 감싸면서 수컷 형 플랜지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태로 상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암컷 형 플랜지와, 상기 수컷 형 플랜지와 암컷 형 플랜지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닫힘 동작 말미에 해당되는 지점에서 탄성으로 맞물리는 삽입 돌기 및 삽입 요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하부 케이 스에 설치되는 결착 클립과,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결착 클립의 고리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마주보는 미끄럼 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는 기밀을 위한 밀봉부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 클리너에 의하면, 에어 클리너의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에 대해 스윙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룸 내의 설치 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고 설치도 쉬우며,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필터 교환을 할 수 있어 정비가 용이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클리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클리너는, 하부 케이스(100)에 대하여 상부 케이스(200)가 수평으로 미끄럼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부 케이스(200)를 하부 케이스(100)에 대하여 수평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에어 클리너이다.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는 흡기 덕트(2)와 흡기 호스(4)가 연결되며, 내부에는 필터 또는 엘리먼트(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는 상향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부 케이스(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를 향해 개구 되어(하향 개구 되어), 하부 케이스(100)의 상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안착 된다. 상부 케이스(200)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일단부에 힌지축(150)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잠금 장치(300)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구속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100)로부터 해제되어 열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잠금 장치(300)는 도 4 및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잠금 장치(3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병행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3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힌지축(150) 반대 측의 상부 테두리에 수컷 형 플랜지(1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200)에는 상기 수컷 형 플랜지(110)의 상하면 및 외측면을 감싸면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태의 암컷 형 플랜지(210)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수컷 형 플랜지(110)와 암컷 형 플랜지(210)의 마주 보는 면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닫힘 동작 말기에 해당되는 지점에서 서로 탄성으로 맞물리는 삽입 돌기(111) 및 삽입 요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마주보는 미끄럼 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기밀을 위한 밀봉부재(400)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400)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를 닫은 경우, 하부 케이스(100)의 상면과 상부 케이스(200)의 하면 사이에서 밀봉면을 형성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밀봉부재(400)는 가스켓 류나 펠트(felt) 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에어 클리너는, 상부 케이스(200)가 힌지축(150)에 의해 하부 케이스(100)에 대해 수평으로 미끄럼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부 케이스(200)를 하부 케이스(100)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엔진 룸 내의 설치 공간의 확보가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00)를 닫을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00)가 열린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00)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케이스(200)는 힌지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부 케이스(200)의 회전 도중에는, 상부 케이스(200)의 암컷 형 플랜지(210)가 하부 케이스(100)의 수컷 형 플랜지(110)에 결합 되고, 상부 케이스(200)의 닫힘 동작 말미에서는, 상부 케이스(200)의 삽입 요홈(211)이 하부 케이스(100)의 삽입 돌기(111)와 만나 서로 탄성으로 맞물림으로써 닫힌 위치 그대로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에어 클리너를 열 때에는, 상부 케이스(200)를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상부 케이스(200)의 삽입 요홈(211)이 하부 케이스(100)의 삽입 돌기(111)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가 완전히 드러나는 상태로 상부 케이스(200)를 열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6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도 7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3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결착 클립(320)과, 상기 상부 케이스(200)에 상기 결착 클립(320)의 고리(321)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 돌기(33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착 클립(320)은 공지의 결착 클립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고리(32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날개 부재(322)가 하부 케이스(100)에 힌지 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200)에는 상기 고리(321)가 걸리기 위한 걸림 돌기(330)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잠금 장치를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부 케이스(200)가 닫은 직후, 결착 클립(320)의 고리(321)를 상부 케이스(200)의 걸림 돌기(320)에 건 다음, 날개 부재(322)를 아래로 회전시키면서 누르면 매우 간편하게 록킹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케이스(200)를 열기 위해서는, 날개 부재(322)의 하단을 위로 젖혀 올리면 걸림 돌기(320)로부터 고리(321)가 간편하게 해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클리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 클리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부 케이스 110: 수컷 형 플랜지
111: 삽입 돌기 150: 힌지축
200: 상부 케이스 210: 암컷 형 플랜지
211: 삽입 요홈 300: 잠금 장치
320: 결착 클립 321: 고리
322: 날개 부재 330: 걸림 돌기
400: 밀봉 부재

Claims (4)

  1. 흡기 덕트와 흡기 호스가 연결되며 내부에 필터 또는 엘리먼트가 수용되는 상향 개구된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상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안착 되면서 그의 일단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일단부에 힌지축(150)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 개구된 상부 케이스(20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와 상기 하부 케이스(100)를 닫아 구속하거나 열어 해제하는 잠금 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300)는,
    상기 힌지축(150) 반대 측의 하부 케이스(100)의 상부 테두리에 외향 연장되는 수컷 형 플랜지(110)와,
    상기 수컷 형 플랜지(100)의 상하면 및 외측면을 감싸면서 수컷 형 플랜지(110)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태로 상부 케이스(200)에 형성되는 암컷 형 플랜지(210)와,
    상기 수컷 형 플랜지(110)와 암컷 형 플랜지(210)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닫힘 동작 말미에 해당되는 지점에서 탄성으로 맞물리는 삽입 돌기(111) 및 삽입 요홈(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3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결착 클립(320)과,
    상기 상부 케이스(200)에 상기 결착 클립(320)의 고리(321)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 돌기(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마주보는 미끄럼 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는 기밀을 위한 밀봉부재(40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KR1020080042312A 2008-05-07 2008-05-07 차량용 에어 클리너 KR10094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312A KR100946451B1 (ko) 2008-05-07 2008-05-07 차량용 에어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312A KR100946451B1 (ko) 2008-05-07 2008-05-07 차량용 에어 클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403A KR20090116403A (ko) 2009-11-11
KR100946451B1 true KR100946451B1 (ko) 2010-03-10

Family

ID=4160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312A KR100946451B1 (ko) 2008-05-07 2008-05-07 차량용 에어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919A (ko) 2015-06-10 2016-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랍식 에어클리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259U (ja) 1983-07-11 1985-02-05 日新電機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JPH0632709U (ja) * 1992-10-02 1994-04-28 株式会社ビーシー製作所 クランプ装置
KR19980072536A (ko) * 1997-03-06 1998-11-05 김영귀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커버 개폐구조
KR19980061295U (ko) * 1997-03-22 1998-11-05 김영귀 결합이 용이한 에어클리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259U (ja) 1983-07-11 1985-02-05 日新電機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JPH0632709U (ja) * 1992-10-02 1994-04-28 株式会社ビーシー製作所 クランプ装置
KR19980072536A (ko) * 1997-03-06 1998-11-05 김영귀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커버 개폐구조
KR19980061295U (ko) * 1997-03-22 1998-11-05 김영귀 결합이 용이한 에어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403A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7158B2 (ja) エアクリーナ
JP6970810B2 (ja) 自動車のエアフィルタ用のフィルタ要素およびエアフィルタ
KR101734734B1 (ko) 정비 편의성을 증대한 서랍식 에어클리너와 흡기시스템 및 차량
US7077893B2 (en) Hood for a filter ventilator
KR100946451B1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
EP2703632B1 (en) Air intake device
JP5974836B2 (ja) 車両部品用ハウジング
JP4384821B2 (ja) 建設機械用エアコン装置の外気導入口カバーの開閉装置
JP6067448B2 (ja) 建設機械の防塵ネット取付構造
KR101766126B1 (ko) 차량용 서랍식 에어클리너
JP2009083803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フロントグリル
KR20090011667A (ko) 에어 클리너 힌지 구조
KR10103753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가스계량기 지지대
JP5233688B2 (ja) エアクリーナ
KR101500001B1 (ko)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조립장치
KR20120033580A (ko) 차량의 에어클리너
JP3970733B2 (ja) 換気装置
KR200478041Y1 (ko) 선박 엔진실의 대형 통풍구용 커버
JP550676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の据付装置
US20160052371A1 (en) Air cleaner assembly
CN206600219U (zh) 装载机空滤门开启装置
KR101926975B1 (ko) 에어크리너 더블흡기포트 구조 및 에어크리너 직결 플랩 밸브
KR200424569Y1 (ko) 천정형 에어컨의 설치구조
KR20120085082A (ko) 안전문
KR20240072731A (ko) 차량용 에어필터 테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