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813A - 파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파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813A
KR20200007813A KR1020197033214A KR20197033214A KR20200007813A KR 20200007813 A KR20200007813 A KR 20200007813A KR 1020197033214 A KR1020197033214 A KR 1020197033214A KR 20197033214 A KR20197033214 A KR 20197033214A KR 20200007813 A KR20200007813 A KR 20200007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pture
path
flange
bend
t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콥 앤소니 레드럽
Original Assignee
샌즈 이노베이션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즈 이노베이션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샌즈 이노베이션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5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the tear-lines being broken by deformation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the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용기(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동부(23)를 구비하는 바디(11)를 포함한다. 용기(10)는 바디(11) 둘레 주위에 배치되는 플랜지(20)를 포함한다. 공동부(23) 내의 내용물을 둘러싸기 위해 플랜지(20)에 커버(24)가 고정되어 있다. 파열 가능한 부분(30)은 제1 플랜지 부분(21)에서부터 제2 플랜지 부분(22)까지 바디(11)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굴곡부(31)를 포함한다. 파열 가능한 부분(30)은 바디(11)를 굴곡부(31)의 한쪽 측면 위의 제1 바디 부분(11)과 굴곡부의 다른 한쪽 측면 위의 제2 바디 부분(12)으로 2등분한다. 파열 가능한 부분(30)은, 사용자가 굴곡부(31)의 양 측면 위의 제1 및 제2 바디 부분(11, 12) 각각에 사전에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는 힘을 가할 때 바디(11)가 따라가며 파열되기에 적합한 파열 경로(35)를 정의한다. 파열 경로(35)는 바디가 파열 지점으로부터 각 종착지(33)를 향해 파열 경로(35)를 따라 양 방향으로 파열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파열 경로(35)는 파열 시작 지점과 한 쌍의 종착지(33)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11, 12) 각각에 상기 하나의 종착지(33)를 구비한다. 파열 가능한 부분(30)은 파열 경로(35)를 따라 서로가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파열 컨덕터(40)를 포함하되, 각각의 파열 컨덕터(40)는 파열 가능한 부분(30)에서 강직성이 국부적으로 변화함으로써 규정되어서, 파열 컨덕터(40)들이 파열 경로(35)를 따른 파열 전파의 안내를 조장한다.

Description

파열 가능한 용기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됨에 따라 개방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제품을 위해 용기들이 사용되며, 용기의 형상은 저장되는 제품에 따라 또는 미적인 목적을 위해 요망되거나 필요로 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현재의 많은 용기들은 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공동부를 정의하는 바디 및 공동부 위의 개구를 덮기 위한 뚜껑을 포함한다. 이러한 용기들은 천공, 스코어링 또는 라인을 따른 씨닝(thinning)에 의해 바디의 벽을 약화시키는 희망 경로를 따라 개방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는, 박약한 벽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이러한 박약한 벽은 의도치 않게 용기를 개방하게 하거나 박약한 벽을 따라 차폐 기능이 불량하기 때문이다.
일부 다른 용기들은 파열 경로 측 위에 힘을 가함으로써 용기 바디 내에 개구가 형성되는 기하학적 파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용기들은 차폐 성능이 증가된 상태로 더욱 강인한 제품을 운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출원인이 출원한 미국 특허 제8,485,360호는 벽 두께가 전반적으로 일정한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될 수 있는 소위 '스냅 요소'(snap feature)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용기의 바디는 굴곡부의 베이스 면과 중립축선 사이의 거리(y)를 증가시키고 파열 경로에서 면적의 제2 모멘트(Ix)를 감소시켜 파열 경로를 따라 응력을 집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기 바디를 형성하는 소재는 굴곡부에서 용기가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되기에 충분한 정도로 취성이 있어야 한다. 미국 특허 제8,485,360호에 의해 제공되는 이 장치는 용기를 구비하고 파열 경로가 특정 크기 및 형상인 분야에 한정된다. 특히, 파열 경로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를 횡단하게 제한된다. 파열 경로를 증가시키는 것과 같이 파열 경로의 기하학적 형상의 변경 또는 취성이 덜한 재료의 사용과 같이 용기 바디를 형성하는 소재의 변경은 파열 경로를 일관되게 따르게 하지 않거나 균열 또는 톱니 모양의 에지를 형성하게 할 수 있으며 또는 희망하는 경로 전체를 따라 개방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용기가 갈라지거나 고르지 않은 경로를 따라 파열되는 상황은 이러한 용기는 시각적으로 보기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소비지와, 용기의 일부가 용기 내의 제품에 산산조각 났다고 생각하는 소비자에게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렇게 금이 가거나 고르지 않거나 또는 산산이 부서진 일부 경로는 개방된 용기의 고르지 않은 에지에 사용자 피부가 닿아 찢어질 위험이 있다.
미국 특허 제8,485,360호에 기재되어 있는 스냅 요소는 용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변경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한다. 스냅 요소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인해 용기 내에 죽은 공간이 있는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스냅 요소를 구비하는 용기의 시각적 어필이 제한되고 또한 낭비되는 공간과 과대 포장에 대한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실상, 균열은 자연스럽게 직선 경로를 따르지 않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균열은, 지진을 따라 지면에 발생되는 크랙, 얼음에 보이는 크랙 또는 유리와 같은 물체가 바닥에 떨어졌을 때 발생되는 크랙과 같이 들쭉날쭉하고 분기된다. 이런 자연스런 현상으로 인해 연장된 거리에서 직선을 따라 파열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이는 종래 기술의 한계 뒤에 있는 하나의 이유일 수 있다.
종래 기술과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파열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예를 들면, 파열 경로가 이전에 가능했던 경로보다 긴 용기; 3차원의 경로를 더욱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는 파열 가능한 부분을 구비하는 용기; 형상과 크기가 변할 수 있는 제품을 더욱 쉽게 저장하고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 용기; 더욱 가벼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 용기; 또는 청정한 경로를 더욱 일관되게 따라 파열되는 용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명세서 내의 문헌, 장치, 행위 또는 지식에 대한 모든 논의는 본 발명의 맥락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종래 기술 기반의 일부를 형성하는 어떠한 소재 또는 관련 기술에서의 통상적인 일반 지식이 본 명세서 우선권 주장 날짜와 동일자 또는 이전인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동부를 구비하는 바디; 바디 둘레 주위에 배치되는 플랜지; 공동부 내의 내용물을 둘러싸기 위해 플랜지에 고정되는 커버; 및 제1 플랜지 부분에서부터 제2 플랜지 부분까지 바디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며, 바디를 굴곡부의 한쪽 측면 위의 제1 바디 부분과 굴곡부의 다른 한쪽 측면 위의 제2 바디 부분으로 2등분하는, 파열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용기로, 파열 가능한 부분은, 사용자가 굴곡부의 양 측면 위의 제1 및 제2 바디 부분 각각에 사전에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는 힘을 가할 때 바디가 따라가며 파열되기에 적합한 파열 경로를 정의하고, 바디가 파열 지점으로부터 각 종착지를 향해 파열 경로를 따라 양 방향으로 파열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파열 경로는 파열 시작 지점과 한 쌍의 종착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 각각에 상기 하나의 종착지를 구비하며, 및 파열 가능한 부분은 파열 경로를 따라 서로가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파열 컨덕터를 포함하되, 각각의 파열 컨덕터는 파열 가능한 부분에서 강직성이 국부적으로 변화함으로써 규정되어서, 파열 컨덕터들이 파열 경로를 따른 파열 전파의 안내를 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파열 경로'(break path)는 용기 바디기 파열될 때 따르는 경로로 정의된다. 즉, 파열 경로는 용기가 개방될 때 파열이 일어나는 경로이다. '파열 가능한 부분'(fracturable portion)은 파열하는 용기의 바디의 부분이다.
'사전에 정해진 레벨'(predetermined level)은 파열 가능한 부분이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되기에 적합한 수준을 상회하는 힘의 양이다. 만약 사전에 정해진 레벨 이하의 힘이 가해지면, 파열 가능한 부분은 파열되지 않고 용기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계속 있게 된다. 반면, 사전에 정해진 레벨을 상회하는 힘이 가해지면, 파열 가능한 부분이 파열 시작 지점에서 파열되어 파열 경로를 따라 진행하여 파열 경로 전체가 파열되어 용기가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사용자가 제2 바디 부분을 견고하게 쥐고 제1 바디 부분의 전방 면 위를 누름으로써, 제1 및 제2 바디 부분 각각에 대해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제2 바디 부분을 견고하게 쥐고 제1 바디 부분 위를 누르는 힘이 사전에 정해진 레벨을 초과할 때, 파열 가능한 부분이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된다. 파열 경로를 따른 파열에 의한 용기의 개방은 사용자의 한손 또는 양손으로 수행될 수 있다.
파열 컨덕터들이 파열이 소망하는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것을 보조한다. 따라서, 파열 컨덕터들은 파열 컨덕터들이 제 위치에 있지 않으면 불가능할 수 있는 파열 경로를 따라 용기가 파열될 수 있게 한다. 파열 컨덕터들은 용기 파열의 일관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일부 용기는 소망하는 파열 경로를 따르는 일관성이 덜 할 것이다. 따라서 파열 컨덕터들은 소비자를 미적으로 감동시키는 용기 바디 상에서의 파열이 발생되는 것을 조장한다.
파열 컨덕터에서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rigidity)의 변화는 용기 바디를 형성하는 소재의 강직성 변화를 가리킬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파열 컨덕터에서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의 변화가,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파열 가능한 부분의 동일한 길이와는 다른, 파열 컨덕터에서 파열 가능한 부분의 사전에 정해진 길이의 강직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파열 컨덕터는 굴곡부 깊이(depth)의 국부적 변화를 포함한다. 굴곡부의 깊이는 굴곡부의 한쪽 측면 위의 바디 부분의 표면 레벨의 위 또는 아래에서 굴곡부 상의 일 지점까지의 최대 거리이다. 굴곡부가 표면 레벨로부터 공동부 내로 돌출하는 실시형태에서, 굴곡부의 깊이는 표면 레벨 아래에서 최대 거리이다. 반면, 굴곡부가 표면 레벨에서 공동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실시형태에서는, 굴곡부의 깊이는 공극부로부터 바깥쪽으로 표면 레벨로부터의 최대 거리이다. 표면 레벨의 위 또는 아래의 최대 거리에 있는 굴곡부 지점이 파열 경로 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열 컨덕터에서 굴곡부 깊이의 변화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단면에서 굴곡부의 깊이와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는 단면에서 굴곡부 깊이 사이의 차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에서 굴곡부의 깊이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 굴곡부의 깊이에 비해 증가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에서 굴곡부의 깊이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 굴곡부의 깊이에 비해 감소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열 컨덕터는 굴곡부 깊이의 국부적 변화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파열 컨덕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굴곡부 깊이의 국부적 변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굴곡부 깊이의 국부적 변화는 파열 경로의 약 0.5mm 내지 약 5mm 거리에 걸쳐 연장한다. 굴곡부 깊이의 국부적 변화가 파열 경로의 약 1mm 내지 약 4mm 거리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굴곡부 깊이의 국부적 변화가 파열 경로의 약 2mm 내지 약 3mm 거리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굴곡부 깊이의 국부적 변화는 굴곡부 총 깊이의 약 15% 내지 약 90%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굴곡부 깊이의 국부적 변화는 굴곡부 총 깊이의 약 30% 내지 약 70%이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굴곡부 깊이의 국부적 변화는 굴곡부 총 깊이의 약 40% 내지 약 60%이다. 또는 굴곡부 깊이의 국부적 변화가 굴곡부 총 깊이의 90%를 상회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굴곡부 깊이의 변화는 굴곡부 총 깊이의 15% 미만이다.
바람직하기로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파열 경로 상의 지점에서, 굴곡부의 깊이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된다.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굴곡부의 깊이는 약 0.1mm 내지 약 10mm일 수 있다. 또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굴곡부의 깊이는 약 0.3mm 내지 약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굴곡부의 깊이는 약 0.5mm 내지 약 3mm이다.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가장 바람직한 굴곡부의 깊이는 약 2mm 내지 약 3mm이다.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굴곡부의 깊이는, 바디를 형성하고 있는 소재의 물성 및/또는 바디 소재의 두께에 따라 요구되는 바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또는 이에 부가하여, 각 파열 컨덕터는 굴곡부 단면 형상의 국부적 변화를 포함한다. 굴곡부의 단면 형상은 굴곡부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단면을 따르는 굴곡부에서의 바디의 형상이다. 바람직하기로는, 굴곡부 단면 형상의 국부적 변화는 파열 경로의 0.5mm 내지 5mm 거리에 걸쳐 연장한다. 굴곡부 단면 형상의 국부적 변화는 제1 굴곡 부분 상의 오목한 곳과 제2 굴곡 부분 상의 오목한 곳 사이의 전이 지점(transitional point)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 부분은 파열 경로의 한쪽 측면 위에서 굴곡부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굴곡 부분은 파열 경로의 다른 쪽 측면 위에서 굴곡부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또는 이에 부가하여, 각 파열 컨덕터는 굴곡부 방향의 국부적 변화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바디는 결정화가 가능한 재료(crystallisable material)로 형성되고, 각 파열 컨덕터는 굴곡부에서 재료의 결정화의 변화를 포함한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열 컨덕터는 굴곡부에서 바디 재료의 결정화의 국부적 변화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열 컨덕터가 굴곡부에서 바디 재료의 결정화의 국부적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결정화의 변화는 가열 또는 초음파 여기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또는, 재료의 결정화를 야기하기 위해 다른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결정화가 가능한 재료는 폴리머 재료이다. 예를 들면, 결정화가 가능한 재료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APET(amorphous polyurethane terephthalate)일 수 있다.
굴곡부에서 깊이의 국부를 변화 또는 굴곡부에서 바디 재료의 결정화의 국부적 변화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파열 컨덕터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파열 경로의 다른 섹션들에 비해 파열 컨덕터에서 파열 경로의 강직성(rigidity)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강직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파열 컨덕터에서 파열 경로가 더 용이하게 파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부가하여 또는 이와는 다르게, 강직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파열 컨덕터에서 바디의 취성(brittleness)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디가 파열될 때, 파열은 파열 지점으로부터 각 종착지를 향해 파열 경로를 따라 전파한다. 증가된 강직성으로 인해 파열이 파열 경로를 따라 각 파열 컨덕터를 향해 그런 다음 각 파열 컨덕터를 지나 일어날 수 있다. 파열 컨덕터들이 올바른 위치에 있을 때, 파열이 파열 경로를 따라 일어나는 경향이 더 있을 수 있다.
상정 가능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들은 굴곡부에서 깊이의 국부적 변화 또는 굴곡부에서 바디 재료 결정화의 국부적 변화 외의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바디를 형성하는 벽의 두께가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즉, 바디를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일정하다. 바디의 두께는 굴곡부의 전장과 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의 두께는 파열 경로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파열 경로가 바디 재료 두께의 박육화(thinning)에 의해 야기되는 어떠한 천공부나 약해진 영역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 공정에 의해 바디 두께의 아주 작은 차이가 야기될 수 있다. 다만 이를 일부러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바디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는, 재료의 박육화 또는 천공부에 의해 야기되는 취약부 라인을 구비하는 용기에 비해, 차폐(barrier) 특성이 개선된 용기, 강건한 용기 및 우연찮게 개방되는 경향이 작은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파열 컨덕터들은,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는 파열 가능한 부분의 누적 거리가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파열 가능한 부분의 거리보다 작게 되도록, 파열 경로를 따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열 경로를 따라 존재하는 파열 컨덕터의 수는 파열 경로의 전체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파열 경로가 짧은 경우보다 파열 경로가 긴 경우에 더 많은 수량의 파열 컨덕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열 컨덕터의 수는 파열 경로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기복, 곡선 또는 경사각이 있는 파열 경로 상에는 이보다 적은 기복, 곡선 또는 경사각이 있는 파열 경로에 비해 파열 컨덕터가 더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파열 컨덕터들의 수량과 위치는, 용기가 개방될 때 파열의 일관성(consistency)을 최적화하기 위해 용기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파열 경로의 세장형 직선 섹션을 따라 파열의 전파 아내를 돕도록 파열 컨덕터들은 파열 경로의 세장형 직선 섹션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파열 경로의 세장형 직선 섹션은 플랜지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플랜지와 평행한 세장형 직선 섹션을 따르는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이 일관되게 일어나게 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했다. 세장형 직선 섹션을 따른 파열 컨덕터의 간격은 파열 경로를 따른 직선으로 파열을 유지하는 것을 조장하는 강직성이 국부적으로 변하는 영역에 일탈 확률을 감소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열 컨덕터들은 파열 경로의 곡선 섹션을 따라 파열 전파를 보조하기 위해 파열 경로의 곡선 섹션 상의 전이 지점들에 위치한다. 파열 경로의 곡선 섹션 상의 전이 지점들은 변곡점일 수 있다. 변곡점은 곡선이 오목부에 볼록부로 또는 볼록부에서 오목부로 변하는 곡선 상의 지점이다. 이와는 다르게 또는 이에 부가하여, 파열 경로의 곡선 섹션 상의 전이 지점들은 파열 경로 상의 이웃하는 지점에서 보다 곡선의 형상이 약간 급하게 변하는 지점일 수 있다. 전이 지점은 파열 경로가 직선에서 곡선으로 전이하는 파열 경로 상의 지점일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이 일관되게 일어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3차원 곡선을 따른 파열 경로 또는 파열 경로의 소망 형상의 곡선 섹션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열 컨덕터들은 파열 경로의 경사진 섹션(angled section)을 따라 파열이 전파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파열 경로의 경사진 섹션 상의 전이 지점들에 위치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열 컨덕터는 파열 경로의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선인 섹션에서부터 파열 경로의 다른 실질적으로 직선인 섹션으로 경사진 전이부의 코너에 위치할 수 있다.
곡선 또는 경사진 섹션의 전이 지점에 파열 컨덕터를 위치시킴으로써 파열이 접선에서 일탈하지 않으면서 소망하는 곡선 또는 각도 주위로 파열의 전파 안내를 보조할 수 있다.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의 국부적 변화는 파열 경로의 강직성의 국부적 변화를 의미한다. 파열 컨덕터에서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이 국부적으로 변한다는 것은 파열 컨덕터에서의 강직성이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파열 가능한 부분 상의 지점에서의 강직성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에서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의 국부적 변화는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의 증가이다. 여기서, 파열 컨덕터에서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은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파열 가능한 부분의 부분들에 비해 강직성이 국부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파열 컨덕터에서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의 국부적 변화는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의 감소이다. 파열 컨덕터의 강직성이 감소되는 경우,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파열 가능한 부분의 섹션들의 강직성이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는 섹션들에 비해 증가된다.
용기 바디는 사용자가 올바른 힘을 가했을 때, 바디가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될 수 있도록 하는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지나치게 탄성이 있거나 변형 가능한 재료 또는 탄력성이 지나치게 좋은 재료는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바디가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다는,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비정질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APET),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PLA, 바이오 소재, 미네랄 충진 소재, 박금속 성형 재료, ABS 또는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재료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는 시트 열성형, 사출 성형, 압축 몰딩 또는 3D 프린팅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파열 경로를 파열이 일관되게 이루어지는 파열 가능한 용기를 3D 프린팅으로 제작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했다.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 컨덕터를 부가함으로써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된 용기가 더 일관되게 파열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커버는 플랜지에 접합되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는, 가열, 초음파 용접, 감압 접착제 또는 열 작동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을 통해 플랜지에 접합되어 밀봉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이 굴곡부에서 교차한다. 굴곡부는 교차부에 인접하는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 사이의 교차부는 파열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 사이의 교차부는 파열 경로이다.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굴곡부의 섹션들에서,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 각각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교차부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 모두가 직선으로 교차부에 접근하는 경우, 교차부 주위 영역의 단면은 V-형상과 유사할 것이다. 또는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 모두가 곡선으로 교차부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교차부 주위 영역의 단면이 U-형상과 유사하거나 양 측면이 일 저점을 향해 일정하게 하향 구부러지거나 또는 한쪽 측면은 U-형상의 절반부를 생성하고 다른 측면은 일정하게 하향 구부러져서 U-형상의 외향 곡선과 만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의 교차부는 약 20도 내지 약 170도, 더 바람직하기로는 약 45도 내지 약 105 사이의 각도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의 교차부는 제1 바디 부분 상의 제1 굴곡 부분과 제2 바디 부분 상의 제2 굴곡 부분 사이의 교차부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및 제2 굴곡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약 20도 내지 약 170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이 각도는 약 45도 내지 약 120도 사이이다. 약 70도 내지 약 100도 사이의 각도가 용기의 바디가 개방될 때 파열이 일관되게 하는 것을 조장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제1 및 제2 굴곡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약 75도 내지 약 90도 사이이다. 하나의 재료로 형성된 바디를 파열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각도는 다른 재료로 형성되는 바디의 파열을 위해 가장 바람직한 각도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바디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재료의 두께가 가장 바람직한 각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굴곡부의 깊이와 전반적인 크기가 다른 것에 비해 더 큰 혜택을 제공하는 특정 각도가 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의 폭이 이웃하는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의 플랜지 섹션에 비해 증가할 수 있다. 플랜지에서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 사이의 교차부가 폭이 증가되도록, 굴곡부가 공동부를 향해 안쪽을 향하는 것으로 인해,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에서 플랜지 폭이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의 플랜지 폭이 이웃하는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의 플랜지 섹션에서의 플랜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에서 플랜지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기 위해, 굴곡부가 바디로부터 플랜지로 직선 형태로 전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에서 플랜지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기 위해, 굴곡부가 바디로부터 플랜지로 곡선 형태로 전이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플랜지 폭 부분들에서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형태로 굴곡부가 바디에서 플랜지로 전이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의 양 측면의 플랜지 섹션들에 비해,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에서 플랜지 폭이 감소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제2 플랜지 부분의 제1 측면 상의 플랜지 섹션에 비해 제1 및 제2 플랜지 곡 부분들에서 플랜지 폭이 감소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의 제2 측면 상의 플랜지 섹션에 비해 증가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에서의 폭이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의 제1 측면 상의 플랜지 섹션에서의 폭과 동일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의 제2 측면 상의 플랜지 섹션에 비해 폭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파열 경로는 둘 이상의 파열 지점을 구비할 수 있다. 둘 이상의 파열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각 파열 지점에서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바디가 파열되고, 각 파열 지점으로부터 이웃하는 파열 지점을 향해 파열이 전파 진행할 것이다. 파열 경로 상의 2개의 다른 파열 지점들 사이에 파열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 지점에서부터 파열이 다른 파열 지점들 각각을 향해 양 방향으로 파열이 진행하게 될 것이다. 파열 지점이 파열 경로를 따라 한 방향으로 다른 파열 지점을 구비하고 파열 경로를 따라 다른 방향으로 종착지를 구비하는 경우, 그 파열 경로에서 시작된 파열은 한 방향으로는 다른 파열 지점을 향해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이 진행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종착지를 향해 파열 경로를 따라 진행할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파열 경로 상의 지점에서, 굴곡부의 깊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는 곳에서도 굴곡부 깊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 사이에서 바디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굴곡부가 바디의 공동부 내로 연장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 사이에서 바디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굴곡부가 공동부로부터 멀어지게 바디 바깥쪽으로 연장할 수 있다. 굴곡부가 바디 바깥쪽으로 연장한다는 것은 굴곡부의 양 측면 상의 제1 및 제2 바디 부분의 영역들에 비해 굴곡부가 바디 공동부 바깥으로 연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굴곡부가 안쪽으로 연장한다는 것은 굴곡부의 양 측면 상의 제1 및 제2 바디 부분의 영역들에 비해 굴곡부가 바디 공동부 안쪽으로 연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굴곡부 깊이의 변화에 의해 파열 컨덕터가 형성되는 상황에서, 굴곡부가 바디 공동부 내로 안쪽으로 연장하는 경우, 파열 컨덕터들도 바디 공동부 내로 안쪽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열 컨덕터들은,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굴곡부의 섹션들보다 용기 바디 안쪽으로 더 깊게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굴곡부 섹션들에 비해 파열 컨덕터의 깊이가 감소되어 있다.
굴곡부는, 오목부(indent), 그루브 또는 채널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굴곡부가 용기의 공동부 내로 연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굴곡부의 깊이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모든 섹션에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굴곡부가 용기 바디 상의 위치에 따라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섹션에서의 깊이가 변할 수 있다.
굴곡부가 표면에서 리지(ridge) 또는 세장형 융기부(elevation) 형태일 수 있다. 이는 굴곡부가 공동부로부터 멀어지게 용기 바디의 바깥으로 연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지 또는 세장형 융기부의 높이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모든 섹션에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섹션에서 굴곡부의 높이가 용기 바디 상의 일 위치로부터 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손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쉽게 개봉할 수 있다. 용기의 크기와 그 내용물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두 손을 사용하여 용기를 개방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밀봉된 위치에 있는 도 1a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c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i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f는 인덴트와 플랜지 사이의 교차부에서 플랜지 폭이 변동하는, 도 1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고하여 예시적 목적으로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밀봉된 용기(10)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밀봉된 용기(10)의 사시도이다. 용기(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내용물(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저장하기 위한 공동부(23)를 구비하는 바디(11)를 포함한다. 바디(11)는 코너에 곡률부가 형성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의 형상이다. 바디는 전방 벽(14) 및 전방 벽(14)의 상단에서부터 연장하는 상부 벽(15), 전방 벽(14)의 하단에서부터 연장하는 하부 벽(16) 및 전방 벽(14)의 각 측면에서 연장하는 2개의 측면 벽(17)을 포함한다. 전방 벽, 상부 벽, 하부 벽 및 측면 벽들이 공동부(23)를 획정한다. 플랜지(20)가 용기 바디(11) 둘레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20)가 상부 벽(15), 하부 벽(16) 및 측면 벽들(17)의 말단 부분에서부터 바디 둘레 주위를 연장한다.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커버(24)가 플랜지(20)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24)는 플랜지(20)의 측면들 사이에 고정되어서 전체적으로 바디(11)의 후방 부분을 덮고 있다. 커버(24)는 용기(10)의 공동부(23) 내 내용물을 둘러싸는 데에 사용된다.
파열 가능한 부분(30)이 바디(11)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파열 가능한 부분(30)은 한쪽 측면 위에서 제1 플랜지 부분(21)과 바디(11)의 측면 벽(17) 사이의 교차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측면 벽(17), 전방 벽(14) 및 반대편 측면 벽(17)을 따라 연장하여 다른 측면 벽(17)과 제2 플랜지 부분(22) 사이의 교차부에 이른다. 파열 가능한 부분(30)은 굴곡부(31)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굴곡부(31)는 오목한 채널이다. 파열 가능한 부분(30)은 실질적으로 바디(11)의 상부 벽(15) 및 하부 벽(16)과 평행하게 바디(11)를 가로질러 연장한다.
파열 가능한 부분(30)은 바디(11)를 굴곡부(31)의 한쪽 측면 위의 제1 바디 부분(12)과 굴곡부(31)의 다른 쪽 측면 위의 제2 바디 부분(13)으로 이등분한다. 제1 바디 부분(12)과 제2 바디 부분(13)은 굴곡부(31)에서 교차한다. 굴곡부(31)는 교차부와 인접하는 제1 바디 부분(12) 및 제2 바디 부분(13)의 영역을 포함한다.
파열 가능한 부분(30)은 파열 경로(35)를 포함한다. 바디(11)는, 사용자가 제2 바디 부분(13)을 쥐고 제1 바디 부분(12)의 전방 벽(14)에 사전에 정해진 레벨을 초과하는 힘을 가할 때, 파열 경로(35)를 따라 파열되기에 적합하다. 사용자가 하나의 바디 부분을 견고하게 쥐고 다른 바디 부분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파열 경로(35)의 양 측면 위의 바디 부분들(12, 13)에 힘이 가해지게 된다. 파열 경로(35)는 제1 바디 부분(12)과 제2 바디 부분(13) 사이의 교차부에 있다.
용기(10)의 바디(11)는 초기에 파열 경로를 따라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열 지점에서 파열되기에 적합하다. 파열이 시작되는 지점은 초기 파열이 일어날 수 있도록 힘의 대부분 또는 응력이 가해지는 파열 경로(35) 상의 지점이다. 도 1a의 실시형태에서, 용기는 전방 벽(14)에서부터 측면 벽(17) 각각으로의 전이부에서 파열 경로(35) 상의 지점에서 파열이 시작되는 경향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단 하나의 파열 지점이 존재한다. 파열은 2개의 종착지(33)에서 종료한다. 여기서 하나의 종착지(33)는 각 측면 벽(17) 상의 파열 경로(35)와 제1 또는 제2 플랜지 부분(21, 22) 사이의 합류점에 있다. 파열이 시작된 후, 이 파열은 파열이 다른 파열 지점에서부터 전파되는 파열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파열이 종착지(33)에 도달할 때까지 각 파열 지점으로부터 양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파열 경로(35)를 따라 전파된다.
파열이 시작되게 하는 데에 소요되는 힘은 파열 경로(35)를 따른 찢어짐을 전파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힘보다 크다. 그 결과, 용기(10)는 더 큰 응력을 견디고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일단 용기(10)가 파열된 후에는 쉽게 개봉할 수 있게 된다.
파열 경로(35)를 따르는 파열의 전파를 보조하고 파열이 사전에 정해진 파열 경로(35)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파열 컨덕터(40)가 제공된다. 각 파열 컨덕터(40)는 파열 경로를 따라 강직성(rigidity)이 증가된 국부 영역을 제공한다. 파열 컨덕터(40)에서 강직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이들 지점에서 바디가 더욱 용이하게 파열되고, 파열이 시작된 후에는 파열이 각 파열 컨덕터(40)를 향해 집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열 컨덕터(40)들은 파열 경로(35)를 따라 이격되어 있으며; 도 1a의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파열 컨덕터(40)가 있다. 파열 경로(35)가 이보다 더 길거나 파열 경로가 직선과 달리 변형되거나 전파가 어려운 실시형태에서는, 더 많은 파열 컨덕터(40)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파열 컨덕터(40)는 파열 경로를 따른 파열의 가이드를 보조한다. 파열 컨덕터(40)가 없는 경우에 비해 파열 컨덕터(40)가 올바르게 자리 잡고 있는 경우, 파열이 파열 경로(35)를 따를 확률이 높아진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파열 경로(35)는 용기(10)의 전방 벽(14)과 각 측면 벽(17)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구부러져 있다. 만약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전방 벽(14) 위에 위치하는 파열 경로(35)의 섹션은 파열 경로(35)의 측변 벽 섹션들로 전이하는 각 곡선형 전이부들 사이에서 직선이 될 것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라인 B를 따르는 용기(10)의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굵은 라인으로 묘사되어 있는 파열 경로(35)가 파열 컨덕터(40)로 인해 전방 벽(14)을 가로지르는 경로가 비-선형으로 연장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각 파열 컨덕터(40)에서, 파열 경로(35)는 직선으로 지나는 방향에서 국부적으로 곡선 경로로 이탈한다. 각 파열 컨덕터(40)가 에워싸는 파열 경로(35)를 따른 거리는 0.5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파열 경로를 따르는 이 거리는 2mm 내지 3mm이다.
도 3a의 상세한 단면 A를 도시하는 도 3d에서, 파열 컨덕터(40)의 형상을 볼 수 있다. 파열 컨덕터(40)의 전반적인 형상은 코(nose)를 닮았다. 파열 컨덕터(40)의 하부 면은 파열 컨덕터(40)를 횡단하는 파열 경로(35)의 일부를 형성한다. 파열 컨덕터(40)는 전체적으로 굴곡부(31)의 범주 내에 잔류한다. 즉 파열 컨덕터(40)는 굴곡부(31)의 양 측면 위에서 전방 벽(14)의 면을 넘어 바깥쪽으로 연장하지 않는다. 만약 파열 컨덕터(40)가 제1 바디 부분(12) 및 제2 바디 부분(13)의 전방 벽(14) 평면을 지나쳐 파열 가능한 부분(30) 바깥으로 연장하면, 파열 컨덕터(40)가 파열 개시처(initiator)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는 어떤 상황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40)는 굴곡부(31)로부터 굴곡부(31)에 인접하는 양 측면 위에서 제1 바디 부분(12) 및 제2 바디 부분(13)의 면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을 지나쳐서 연장하지 않는다.
도 3d에 묘사되어 있는 파열 컨덕터(40)는 굴곡부(31)의 깊이를 국소적으로 감소시킨다. 굴곡부(31)의 깊이는 굴곡부(31)에 인접하는 양 측면 위의 제1 바디 부분(12) 및 제2 바디 부분(13)의 면들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부터 굴곡부(31)의 최저점까지의 거리이다. 도 3a 내지 도 3f의 실시형태에서, 굴곡부(31)는 공동부(23) 내로 연장하는 오목한 채널(indented channel)이며, 깊이는 채널의 바닥까지의 거리이다. 굴곡부(31)가 공동부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하는 리지(ridge)인 다른 실시형태에서, 굴곡부(31)의 깊이는 리지 피크에서 높이로 표현된다. 도 3e는 파열 가능한 부분(30)에서 파열 컨덕터(40)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가로지르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3f는 파열 컨덕터(40)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파열 가능한 부분(30)을 가로지르는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3e 및 도 3f 각각의 좌측 위의 굵은 라인은 파열 가능한 부분(30)을 가로지르는 전방 벽(14)의 윤곽을 나타내고, 도 3f에서의 굴곡부(31)의 깊이가 도 3e에서의 굴곡부(31)의 깊이보다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에서 굴곡부(31)의 깊이는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지점에서의 굴곡부 깊이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40)에서 굴곡부(31)의 깊이 감소는 파열 컨덕터(40)가 없는 곳에서 굴곡부(31)의 전체 깊이의 15% 내지 90% 감소이다.
굴곡부(31)에서 감소된 깊이 외에도, 파열 컨덕터(40)는 굴곡부(31) 형상의 변화도 제공한다. 파열 컨덕터(40)가 존재하지 않는 굴곡부(31) 상의 지점에서, 단면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반면, 각 파열 컨덕터(40)는 굴곡부(31) 프로파일 상에 코 모양을 제공한다. 도 3e로부터 알 수 있듯이, 파열 컨덕터(40)가 존재하지 않는 지점에서 굴곡부(31)의 단면 프로파일은 거의 V-형이다. 굴곡부의 V-형 단면은 제1 굴곡 부분(37)이 제2 굴곡 부분(38)과 만나는 교차부에 의해 제공된다. 제1 굴곡 부분(37)과 제2 굴곡 부분(38) 사이의 각도 w는 약 75도이다. 다른 상정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약 20도 내지 약 160도, 바람직하기로는 약 45 내지 약 120도 및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약 70도 내지 약 90의 각도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각도는 파열 경로를 따라 바디가 파열되게 하도록 선택되어야 하며, 최적의 각도는 바디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각도가 너무 크거나 또는 너무 작으면 파열의 파열 경로가 올바르게 되지 않을 수 있으며, 파열이 소망하는 경로를 이탈하게 할 수 있다. 도 3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열 컨덕터(40)에서 제1 굴곡 부분(37)과 제2 굴곡 부분(38) 사이의 각도 x는 각도 w에 비해 증가되어 있다. 각도 x는 약 100도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에서 각도 x는 각도 w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각도 x가 각도 w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굴곡 부분(37)과 제2 굴곡 부분(38) 사이의 교차부의 방위(orientation)는 달라질 수 있다.
제1 굴곡 부분(37)과 제2 굴곡 부분(38) 사이의 교점은 파열 경로(35) 상에 존재한다. 제1 굴곡 부분(37)은 제1 바디 부분(12) 상에 존재한다. 제2 굴곡 부분(38)은 제2 바디 부분(13) 상에 존재한다. 파열 컨덕터(40)는 제1 굴곡 부분(37) 및 제2 굴곡 부분(38) 중 어느 하나 위에 위치하거나 이들 모두의 위에 위치한다.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40)의 대부분은 제1 굴곡 부분(37) 위에 위치하고 있다. 파열 컨덕터(40)에서 파열 경로(35)의 섹션은 제1 굴곡 부분(37) 및 제2 굴곡 부분(38) 사이의 교차부에 있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파열 경로(35)는, 용기 바디가 사전에 정해진 파열 경로를 따르도록 규정된 다른 라인이나 2개의 바디 부분들의 교차에 의해 제공된다.
제1 바디 부분(12)의 전방 벽(14)은 맞물릴 수 있는 면(18)을 포함한다. 맞물릴 수 있는 면의 크기와 형상은 사용자의 한쪽 엄지 또는 양쪽 엄지에 의해 쉽게 압박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맞물릴 수 있는 면(18)은 오목한 부분 또는 안쪽으로 구부러진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의 측면도인 도 3c는 제1 바디 부분(12)의 맞물릴 수 있는 면(18)이 상부 벽(15)에 접근할수록 맞물릴 수 있는 면(18)이 하향 그리고 외향으로 곡선을 이루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c 및 도 4a 내지 도 4e는, 바디(11)가 파열 경로(35)를 따라 파열되어 약간 개방되었을 때의 용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일단 파열이 되면, 제1 바디 부분(12) 및 제2 바디 부분(13)이 서로로부터 분할된다. 용기(10)의 개구는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21, 22)에서 힌지 연결되어 있다. 용기(10)는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21, 22)을 따라 파열할 수도 있다. 용기가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21, 22)을 따라 파열하면, 커버(24)가 제1 바디 부분(12) 및 제2 바디 부분(13)을 함께 지지하며 힌지로 역할을 한다. 또는 용기가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을 따라 전체적으로 파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가 힌지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용기는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 사이의 수평 방향의 직선으로 힌지 연결되어 있다. 커버(24)는 바디가 파열할 때에도 파열하지 않는 가요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열 경로(35)를 따르는 개구는 제1 바디 부분(12) 위의 돌출부(41)와 제2 바디 부분(13) 위의 굴곡부(42)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파열 컨덕터(40)의 구조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다. 도 1c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부가 개방되었을 때, 플랜지(20)가 휠 수 있으며 힌지로 작동한다. 도 1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더 많이 개방될 때, 플랜지(20)는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21, 22)을 파열시키기에 충분할 정도의 힘을 받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a의 실시형태와 용기(210)의 전반적인 크기와 형상이 동일하지만, 파열 가능한 부분(230)이 바디(211)의 상부 벽(215) 및 하부 벽(216)과 평행하지 않은 경로를 지정하는 방향으로 일탈시키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바디(211)는 커버(224)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공동부(223)를 에워싸고 있다. 파열 경로(235)에 직교하는 단면을 취하면, 그 단면 형상은 파열 컨덕터(240)가 존재하지 않는 도 3e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할 것이다. 도 2a 실시형태의 파열 컨덕터(240)는 도 1a 실시형태에 사용된 파열 컨덕터보다 작지만, 파열 컨덕터(240)는 여전히 동일한 국소 영역에 강직성을 증가시킨다. 파열 컨덕터(240)는 굴곡부(231) 내제 존재하며, 각 파열 컨덕터(240)는 굴곡부(231)의 형상과 깊이를 국소적으로 변화시킨다. 굴곡부(231)는 제1 바디 부분(212) 위에 제1 굴곡 부분(237)을 구비하고 제2 바디 부분(213) 위에 제2 굴곡 부분(238)을 구비하며, 이들은 파열 경로(235)에서 굴곡부(231)의 가장 깊은 부분에서 교차한다.
파열 경로(235)는 각 종착지(233)들 사이에서 바디(211)를 가로지르며 연장한다. 제1 종착지(233)는 제1 플랜지 부분(221)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2 종착지(233)는 제2 플랜지 부분(222)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종착지(33)는 바디의 반대편 측면들 위에서 서로가 수직으로 반대편에 있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종착지들(233)은 오프셋 되어 있으며, 서로 바로 반대편에 존재하지 않고, 이와 유사하게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221, 222)은 서로에 대해 위치상으로 오프셋 되어 있다. 제1 플랜지 부분(221)에 인접한 제1 종착지(233)는 제2 플랜지 부분(222)에 인접한 제2 종착지(233)보다 바디(211)의 하부 벽(216)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파열 경로(235)는 플랜지(220) 평면과 거의 직교하는 각 측면 벽(217)을 따라 연장한다. 파열 경로(235)는 측면 벽(217)과 전방 벽(214) 사이에서 곡선형태로 점진적으로 전이한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디(211)의 전방 벽(214)의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진행하며, 파열 경로(235)는 하부 벽(216)을 향해 하향으로 구부러지며, 변곡점(250) 지나 정점(251)에 도달한 후, 상향 구부러져서 다른 변곡점(252)을 지나 측면 벽(217)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한 후 전방 벽(214)의 우측에 도달한다.
파열 컨덕터(240)들은 파열 경로(235)를 따라 이격되어 있으며, 용기(210)가 개방될 때 파열 경로(235)를 따라 파열을 안내하는 것을 조장하게 위치하고 있다. 4개의 파열 컨덕터(240)가 제공되어 있는 경우, 바디(211)의 전방 벽(214)의 양 측면 위에 하나씩 존재하되, 이들은 전방 벽(214)에서부터 각 측면 벽(217)으로 파열 경로(235)가 전이하는 전이부 근방에 존재한다. 다른 파열 컨덕터(240)는 정점(251)에 위치한다. 또 다른 파열 컨덕터(240)는 파열 경로(235)의 곡선 위의 전이 지점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파열 경로가 선형이 아닌 경우, 파열 컨덕터들은, 파열 컨덕터들이 사용되지 않을 때 가능성이 더 큰 즉 접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파열 컨덕터들이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이 안내되는 것을 조장하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위에서 논의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용기(210)는 제1 바디 부분(212) 위에 용기(210)를 개별하려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들과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릴 수 있는 면(218)을 포함한다. 바디(211)가 파열되어 용기(210)가 개방될 때, 종착지들(233)의 위치와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들(221, 222) 사이의 오프셋으로 인해,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212, 213)은 경사진 각도로 힌지 연결된다. 그 외에는 용기(210)의 개방 작동이 위에서 논의한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용기가 개방되었을 때,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212, 213)의 제1 및 제2 굴곡 부분들(237, 238)은 비-선형 형상의 파열 경로(235)를 나타낸다. 또한 파열된 바디 부분들은 파열 컨덕터(240)의 위치를 나타내는 돌출부들 또는 굴절부들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g는 파열 경로(535)가 실질적으로 각 종착지(533)와 파열 경로(535) 상의 임의의 다른 지점으로 정의되는 단일 평면 내의 경로를 따라 파열하기에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파열 경로(535)의 평면은 바디의 전방 벽(515)과 하부 벽(516) 각각의 평면과 거의 평행하다. 이는 도 5a, 도 5c 및 도 5e에 도시되어 있으며, 파열 경로(535)가 단일 평면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용기(510)의 형상은 이전 실시형태들의 형상과 전반적으로 유사하다. 용기(510)는 제1 바디 부분(512) 및 제2 바디 부분(513)을 구비하는 바디(511)를 포함한다. 바디(511)는 전방 벽(514), 상부 벽(515), 하부 벽(516) 및 측면 벽들(517)을 구비한다. 전방 벽(514)은, 도 5c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단면이 곡면 형태로 되어 있고, 측면 벽들(517) 사이의 중앙부가 커버(524)로부터 가장 깊게 형성되어 있다. 공동부(523)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내용물(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에워싸기 위해 커버(524)가 플랜지(520) 위에 고정 및 밀봉되어 있다.
파열 가능한 부분(530)은 한쪽 측면 위에서 측면 벽(517)과 제1 플랜지 부분(521)의 교차부로부터 시작하여 바디의 폭을 가로지고 전방 벽(514)을 가로지른 후 바디(510)의 다른 측면 위에서 다른 측면 벽(517)과 제2 플랜지 부분(522) 사이의 교차부로 연장한다. 파열 가능한 부분(530)은 바디(511)의 상부 및 하부 벽들(515, 516)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바디(511)를 가로지르며 연장한다. 파열 가능한 부분(530)은 굴곡부(531)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형태에서 굴곡부는 파열 경로(535)의 양 측면 위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545)들을 포함하는 오목한 채널이다. 파열 가능한 부분(530)은 바디(511)를 굴곡부(531)의 일 측면 위의 제1 바디 부분(512)과 굴곡부(531)의 다른 측면 위의 제2 바디 부분(513)으로 이등분한다. 제1 바디 부분(512)과 제2 바디 부분(513)은 파열 경로(535)에서 교차한다. 제1 굴곡 부분(537)은 제1 바디 부분(512)의 일부이고, 제2 바디 부분(538)은 제2 바디 부분(513)의 일부이다. 리세스(545)들은, 리세스들이 제1 굴곡 부분(537)과 제2 바디 부분(538) 사이에 교대로 형성되도록 굴곡부 위에 위치하고 있다.
파열 경로(535)에서 굴곡부(531)의 깊이는, 도 5c에 도시되어 있듯이, 바디(511)의 전방 벽(514)을 가로지르며 거의 일정하다. 바디(511)의 측면 벽들(517) 위의 파열 경로(535)에서 굴곡부(531)의 깊이는 전방 벽(514)을 따르는 굴곡부(531)의 깊이에 비해 감소되어 있다.
도 5e는 도 5a의 확대도이다. 도 5f는 도 5e에서 라인 K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g는 도 5e에서 라인 L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f 및 도 5g에서 굵은 선은 각각 라인 K와 라인 L을 따르는 바디(511)의 전방 벽(514)의 윤곽을 나타낸다. 도 5g에서, 리세스(545)가 제1 굴곡 부분(537) 위에 제공되어 있으며, 제2 굴곡 부분(538) 위에는 리세스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 반면, 도 5f에서는, 제2 굴곡 부분(538) 위에 리세스(545)가 제공되어 있고, 제1 굴곡 부분(537) 위에는 제공되어 있지 않다. 제1 및 제2 굴곡 부분들(537, 538)의 섹션들 중 리세스(545)가 존재하는 섹션은 단면 프로파일이 곡선 형태로 되어 있는데, 하향 그리고 점진적으로 바깥쪽으로 반대편 바디 부분을 향하고 있다. 이 곡선은, 파열 경로(535)에 도달할 때까지 반대편 굴곡 부분에 접근함에 따라 거의 편평해진다. 제1 및 제2 굴곡 부분들(537, 538)의 섹션들 중 리세스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들은 단면 프로파일이 반대편을 향하는 곡선으로, 그 곡선은 바깥쪽을 향하며 점진적으로 하향한다. 이 반대편 곡선은 곡선이 다른 굴곡 부분과의 교차지점인 파열 경로(535)에 접근함에 따라 기울기가 증가한다. 이들 곡선 형태의 프로파일들이 도 5f와 도 5g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굴곡 부분들(537, 538)의 각 오목한 영역(545)은 부분적으로 그 둘레 주위에 점진적인 전이부(546)를 포함한다. 점진적인 전이부(546)는 리세스(545)를 둘러싸는 리세스가 없는 부분들의 제일 높은 곳(the height)과 리세스(545)의 가장 얕은 곳(the depth) 사이에서 곡선형태의 영역이다.
도 5a 내지 도 5g의 실시형태의 파열 컨덕터(540)들은 이전에 논의했던 실시형태들에서와 같이 굴곡부(531)의 깊이에서 교호 형성되어 있지 않고, 굴곡부(531)의 오목한 영역(545)의 교차부들에 위치하고 있다. 리세스(545)들은, 제1 또는 제2 굴곡 부분(537, 538) 내의 리세스(545)의 코너가 반대편 굴곡 부분 상의 리세스(545)의 코너와 거의 일치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리세스(545)들의 코너들이 거의 교차하는 지점들은 파열 경로(535) 상에 있으며, 파열 경로(535)의 다른 지점들에 비해 강직성(rigidity)이 크다. 강직성이 국부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이들 영역이 파열 컨덕터(540)이다.
사용자가 패키지를 쥐고 파열 가능한 부분(530)의 양 측면 위의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512, 513)에 사전에 정해진 레벨보다 큰 힘을 가하면, 파열이 개시되는 파열 지점에서 파열이 시작된다. 파열이 시작되는 지점은 둘 이상일 수 있다. 파열 지점은,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512, 513) 각각에 힘이 가해질 때 응력이 집중되는 파열 경로(535) 상의 지점 또는 지점들이다. 파열은 각 파열 지점에서 시작되어 파열 경로(535)를 따른 각 방향으로 각 종착지(533)를 향해 전파된다. 파열 컨덕터(540)가 강직성이 증가된 국소 영역을 포함한다는 것은 소망하는 지점들에서 바디(511)가 더 용이하게 파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파열 컨덕터(540)는 파열 경로(535)를 따라 소망하는 방향으로 파열이 전파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조장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파열 컨덕터(640)가 굴곡부(631)와 파열 경로(635)의 깊이를 국소적으로 증가시키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6b는 파열 경로(635)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 파열 컨덕터(640)에서 전방 벽(614) 아래의 깊이가 증가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640)에서 굴곡부(631)의 깊이의 증가는 파열 컨덕터(640)가 존재하지 않는 굴곡부(631)의 전체 깊이의 15% sow 90% 증가이다. 용기(610)의 전반적인 형상은 이전 실시형태들에서의 형상과 유사하다. 용기(610)는 제1 및 제2 바디 부분들(612, 613)을 구비하는 바디(611)를 포함한다. 바디(611)는 전방 벽(614), 상부 벽(615), 하부 벽(616) 및 측면 벽(617)들을 포함한다. 플랜지(620)가 상부 벽, 하부 벽 및 측면 벽들 둘레 주위에 제공되어 있으며, 바디 내에 공동부(623)가 형성되어 있다. 공동부(623)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내용물(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둘러싸기 위해, 커버(624)가 플랜지(620) 위에 고정 및 밀봉되어 있다.
파열 가능한 부분(630)은 한쪽 측면 위에서 측면 벽(617)과 제1 플랜지 부분(621)의 교차부로부터 시작하여 바디의 폭을 가로지고 전방 벽(614)을 가로지른 후 바디(611)의 다른 측면 위에서 다른 측면 벽(617)과 제2 플랜지 부분(622) 사이의 교차부로 연장한다. 파열 가능한 부분(630)은 바디(611)의 상부 및 하부 벽들(615, 616)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바디(611)를 가로지르며 연장한다. 파열 가능한 부분(530)은 굴곡부(631)를 포함한다. 굴곡부(631)는 한쪽 측면 벽(617)에서부터 다른 쪽 측면 벽(617)으로 바디(611)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채널이다. 파열 경로(635)는 굴곡부(631) 전장을 따라 임의의 지정된 위치에서 굴곡부(631) 위에서 가장 낮은 지점이다.
도 6c는 도 6a의 상세부 N의 확대도이다. 도 6d는 도 6c에서 라인 P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e는 도 6c에서 라인 Q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d는 파열 컨덕터(640)가 존재하지 않는 파열 가능한 부분(630)을 가로지른 단면도로, 제1 및 제2 굴곡 부분들(637, 638) 각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울기로 파열 경로(635)의 교차부에 접근한다. 제1 및 제2 굴곡 부분들(637, 638) 사이의 교차부는 각도 y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기로는, 각도 y는 45도 내지 105도 사이이며, 더 바람직하기로는 70도 내지 95도 사이이다. 가장 이로운 각도 y는 용기 바디를 형성하는 소재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6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열 컨덕터(640)가 존재하는 곳에서, 제2 굴곡 부분(638)은 도 6d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접근하지만, 동일한 종단 지점에 도달할 때에는 커버(624)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더 깊은 파열 경로(635)를 향해 각을 이루며 전이한다. 파열 컨덕터(640)에서 제1 굴곡 부분(637)은 굴곡부(631)의 깊이에서 파열 경로(635)를 향해 직선으로 각을 이루고 있다. 파열 경로(635)에 인접하는 제1 및 제2 굴곡 부분들(637, 638) 사이의 교차부는 각도 z를 형성한다. 각도 z는 각도 y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도 6d와 도 6e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도 z의 방향은 각도 y와 다르다.
용기(610)는 사용자가 제2 바디 부분(613)에서 용기를 쥐고 제1 바디 부분(612)의 맞물릴 수 있는 면(618)에 사전에 정해진 레벨보다 큰 힘을 가함으로써 개방되는 이전 실시형태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개방된다. 용기(610)의 바디(611)는 초기에 가해지는 힘의 응력이 가장 세게 집중되는 파열 경로(635) 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열 지점들에서 파열된다. 그런 다음, 각 파열 지점에서부터 각 방향으로 각 종착지(633)를 향해 파열 경로(635)를 따라 전파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파열 컨덕터(71, 72, 73, 74, 75, 76)의 변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굴곡부(80)의 형상과 깊이의 상정 가능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파열 컨덕터(71, 72, 73)들은 실질적으로 제2 굴곡 부분(82) 위에 제공되어 있다. 각 파열 컨덕터(71, 72, 73)는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벽(84) 아래의 굴곡부(80)에서 국소적으로 깊이가 증가된 부분을 제공한다. 파열 컨덕터(74, 75, 76)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제1 굴곡 부분(81) 위에 제공되어 있다. 각 파열 컨덕터(74, 75, 76)는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벽(84) 아래의 굴곡부(80)에서 국소적으로 깊이가 감소된 부분을 제공한다. 파열 경로(77)는 굴곡부(80)의 베이스에서 가장 낮은 지점을 따른다. 이전의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용기가 개방될 때, 용기(70)는 파열 경로(77)를 따라 파열하게 된다.
파열 컨덕터들(71, 76)은 도시되어 있는 다른 파열 컨덕터들(72, 73, 74, 75)에 비해 굴곡부에서 더 긴 거리를 따라 연장하는 긴 컨덕터들을 제공한다. 파열 컨덕터들(72, 75)은, 도 7b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각이 굴곡부(80)의 깊이가 포물선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곡선형 컨덕터들을 제공한다. 파열 컨덕터들(73, 74)은, 도 7b로부터 알 수 있듯이, 파열 경로의 양 측면에서부터 직선으로 굴곡부(80) 위에 가장 높은 지점으로 경사지며 오르거나 또는 가장 낮은 지점으로 경사지며 낮아지는 컨덕터를 제공한다. 도 7c 및 도 7d는 파열 경로(77)를 따라 용기가 개방된 후의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 내지 도 8i는 용기(810)가 대칭이 아니고, 복잡한 3차원 형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파열 경로(835)는 3차원으로 일탈형 경로(deviating path)를 따른다. 도 8a 내지 도 8c는 용기가 닫혀 있을 때, 용기(810)의 측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d 내지 도 8f는, 파열 경로(835)의 양 측면 상의 플랜지(820)가 파열되지 않도록 용기(810)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을 때, 용기(810)의 측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g 내지 도 8i는, 용기(810)가 커버(824) 주위에 힌지 연결되도록 플랜지(820)가 파열되어 있고 용기(810)가 더 광범위하게 개방되어 있을 때, 용기(810)의 측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1 플랜지 부분(21)이 제1 플랜지 부분(21)의 양 측면 위의 플랜지(20)보다 더 넓은, 도 1a의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제2 플랜지 부분(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플랜지 부분(21)에서의 플랜지의 폭의 증가는, 직선인 플랜지(20)의 외각 에지와 제1 플랜지 부분(21)에서 굴곡부(31)의 윤곽을 추종하는 바디와 만나는 플랜지(20)의 내부 에지에 야기된다. 파열 경로(635)의 종착지(33)는 플랜지 폭이 가장 넓은 제1 플랜지 부분(21) 상의 지점을 제공한다. 증가된 플랜지 폭이 도 5a 내지 도 5g 및 도 6a 내지 도 6e에도 도시되어 있다.
도 9c 및 도 9d는 도 1a와 동일한 실시형태에서의 제1 플랜지 부분을 도시한다. 제1 플랜지 부분(21)에서 플랜지 폭은 제1 플랜지 부분(21)의 양 측면 상의 플랜지(20)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는 제2 플랜지 부분(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플랜지 폭은, 바디와 플랜지 사이의 교차부에 접근함에 따라, 굴곡부(31)의 전이 섹션(34)에 의해 제공된다. 전이 섹션(34)은 직선으로 플랜지(20)를 향해 테이퍼져 있는 평탄한 섹션일 수 있다. 또는, 전이 섹션(34)은 플랜지(20)를 향하는 곡선형 전이부일 수 있다. 전이 섹션(34)은 플랜지(20)에 접근함에 따라 굴곡부(31) 깊이의 감소를 나타낸다. 플랜지(20)에서, 굴곡부(31)는 굴곡부(31)의 양 측면 위에서 측면 벽(17)의 부분들의 면 아래로 깊이를 구비하지 않는 파열 경로(35)의 종착지(33)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플랜지 폭이 도 7a 내지 도 7d의 실시형태에도 도시되어 있다.
도 9e 및 도 9f는 제1 플랜지 부분(21)의 양 측면 위에 플랜지(20) 부분을 구비하며, 제1 플랜지 부분(21)을 가로지르며 플랜지 폭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도 1a의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플랜지 폭은 측면 벽(17) 위 굴곡부(31)의 교차부에서 내부 플랜지 에지의 윤곽을 실질적으로 추종하는 절개 섹션(25)에 의해 제공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절개 섹션(25)이 제1 플랜지 부분(21) 내로 거리가 증가한 경우, 제1 플랜지 부분(21)의 양 측면 위의 플랜지 섹션들에 비해 절개 섹션(25)은 플랜지 폭의 감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1 플랜지 부분(21)에서 감소되는 플랜지 폭에는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되어 있는 굴곡부(31)의 전이 섹션(34)과 조합된 도 9e 및 도 9f에 도시되어 있는 절개 섹션(25)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들은 제2 플랜지 부분(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굴곡부가 공동부로부터 멀어지게 바디 바깥으로 연장하는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에서 플랜지 폭은 굴곡부가 제1 플랜지 부분과 만남에 따라 플랜지의 외각 에지를 향한 굴곡부의 돌출부로 인해 플랜지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바디와 플랜지는 단일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와 플랜지는 적당한 제조 공정 특히 시트 열성형, 사출 성형, 압축 몰딩 또는 3D 프린팅 중 하나의 제조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와 플랜지는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비정질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APET),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PLA, 바이오 소재, 미네랄 충진 소재, 박금속 성형 재료, ABS 또는 라미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료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용기의 실시형태들은 두께가 약 100㎛ 내지 1000㎛, 더 바람직하기로는 약 300㎛ 내지 900㎛ 및 더 바람직하기로는 약 400㎛ 내지 750㎛인 폴리스틸렌 소재 또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형성된 바디 및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되는 재료와 그 재료의 두께는, 용기가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파열 컨덕터들을 사용한다는 것은 이전에는 용기가 일관되게 파열될 수 있게 하지 못했던 이들의 소재와 두께가 이제는 소정의 파열 경로를 따라 파열이 일관되게 이루어지는 용기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디 및 플랜지가 위의 방법들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 내용물들이 공동부 내에 삽입 또는 적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내용물들을 둘러싸기 위해 플랜지의 외각 면 위로 커버가 부착되어야 한다. 내용물이 액상이거나 다른 유동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잘 상하는 물질과 같이 일부 상황에서는, 바디, 플랜지 및 커버가 내용물 주위를 기밀(airtight) 밀봉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는 가열, 초음파 용접, 감압 접착제, 열 작동형 접착제 또는 다른 유형의 접착제를 통해 플랜지에 접착 및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커버를 플랜지에 접합 및 밀봉하기 위한 다른 공지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의 형상 또는 깊이의 기하학적 특징을 통해 강직성이 변화하는 국소 영역이 생성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열 컨덕터들은 이격되어 있는 파열 컨덕터들에서 바디 소재의 결정화 형태인 강직성이 증가된 국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용기의 바디는 결정 가능 소재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APET(amorphous polyurethane terephthalate) 같은 폴리머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확장된 기간에 걸쳐 가열될 때 결정화를 증대시키고 기계적 특성이 변화하는 물성을 나타내는 다른 폴리머를 포함하여, 다른 결정 가능 폴리머 소재도 사용될 수 있다. 재료의 증대된 결정화를 포함하는 이격되어 있는 파열 컨덕터 형태의 강직성이 증대된 국소 영역은 파열 컨덕터들의 소망하는 위치에서 바디 재료를 가열하거나 초음파 여기시켜 형성될 수 있다.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2016/081996호는 파열 가능한 개구를 구비하는 용기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이 문헌의 상세한 사항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강직성이 증대된 국소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파열 경로를 따른 바디 재료의 결정화(crystallization)는, 파열 컨덕터들에서 결정 가능 소재의 결정화 수준을 30% 상회하게 그리고 잠정적으로는 85%로 상승시키도록 선택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파열 가능 영역의 결정화를 위한 최적의 온도는 결정 가능 폴리머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상회할 것이다. 이 유리 전이 온도는 폴리머 재료의 조성에 따라 약 70℃인 것이 일반적이다. 최대 결정화 속도는 약 130℃ 내지 약 200℃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160℃ 내지 약 170℃ 사이의 온도에서 도달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온도는 약 165℃이다. 파열 가능 영역의 선택적 가열을 위한 최적의 기간은 선택적 가열이 셸 부분의 생산 사이클 내 또는 후에 이루어지는 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선택적 가열이 표준 생산 사이클 내에서 이루어질 때, 이 기간은 3 내지 5초일 수 있다. 또는 초음파 여기와 같이 가열 외의 방법들을 통해 재료의 국소화된 결정이 생산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실시형태들에서, 파열 가능한 부분을 가로지는 재료의 두께와 바디에 걸친 재료의 재료는 거의 일정하다. 용기 바디의 제조 공정을 따르기 위해 두께를 약간 다르게 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변형 실시예가 재료에 천공부를 형성하거나 재료의 박육화를 위한 의도적인 다른 라인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Claims (19)

  1. 용기로, 상기 용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동부를 구비하는 바디;
    바디 둘레 주위에 배치되는 플랜지;
    공동부 내의 내용물을 둘러싸기 위해 플랜지에 고정되는 커버; 및
    제1 플랜지 부분에서부터 제2 플랜지 부분까지 바디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며, 바디를 굴곡부의 한쪽 측면 위의 제1 바디 부분과 굴곡부의 다른 한쪽 측면 위의 제2 바디 부분으로 이등분하는, 파열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파열 가능한 부분은, 사용자가 굴곡부의 양 측면 위의 제1 및 제2 바디 부분 각각에 사전에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는 힘을 가할 때 바디가 따라가며 파열되기에 적합한 파열 경로를 정의하고, 바디가 파열 지점으로부터 각 종착지를 향해 파열 경로를 따라 양 방향으로 파열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파열 경로는 파열 시작 지점과 한 쌍의 종착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 각각에 상기 하나의 종착지를 구비하며, 및
    파열 가능한 부분은 파열 경로를 따라 서로가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파열 컨덕터를 포함하되, 각각의 파열 컨덕터는 파열 가능한 부분에서 강직성이 국부적으로 변화함으로써 규정되어서, 파열 컨덕터들이 파열 경로를 따른 파열 전파의 안내를 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각 파열 컨덕터가 굴곡부의 깊이 및/또는 단면 형상의 국부적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굴곡부의 깊이 및/또는 단면 형상의 국부적 변화가 파열 가능한 부분의 0.5mm 내지 5mm의 거리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굴곡부의 깊이 및/또는 단면 형상의 국부적 변화가 굴곡부 총 깊이의 15% 내지 90%의 깊이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바디가 결정화가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고, 각 파열 컨덕터는 굴곡부에서 재료의 결정화의 국부적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재료의 결정화의 변화가 가열 또는 초음파 여기에 의해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의 국부적 변화가 파열 가능한 부분의 강직성의 국부적 증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열 컨덕터들이 파열 경로의 세장형 직선 섹션을 따라 이격되어서, 파열 경로의 세장형 직선 섹션을 따른 파열의 전파 안내를 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열 컨덕터들이 파열 경로의 곡선형 섹션 위의 전이 지점들에 위치하여, 파열 경로의 곡선형 섹션을 따른 파열의 전파 안내를 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열 컨덕터들이 파열 경로의 경사진 섹션 위의 전이 지점들에 위치하여, 파열 경로의 경사진 섹션을 따른 파열의 전파 안내를 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디 및 플랜지가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비정질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APET),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PLA(polylactic acid), 바이오 소재, 미네랄 충진 소재, 박금속 성형 재료, ABS 또는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재료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디 및 플랜지가 시트 열성형, 사출 성형, 압출 몰딩 또는 3D 프린팅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가 가열, 초음파 용접, 감압 접착제, 열 작동형 접착제 또는 다른 유형의 접착제를 통해 플랜지에 접착 및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굴곡부가 제1 바디 부분과 제2 바디 부분의 교차부에 의해 형성되고, 파열 컨덕터가 존재하지 않는 굴곡부 섹션에서 각 바디 부분이 직선으로 또는 곡선으로 교차부를 향해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바디 부분과 제2 바디 부분 사이의 교차부가 20도 내지 170도의 각도 및 더 바람직하게는 45도 내지 105 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이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에 인접하는 플랜지의 섹션들에 비해 플랜지 폭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의 플랜지 폭이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에 인접하는 플랜지의 섹션들의 플랜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바디로부터 플랜지로의 굴곡부 전이가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에 플랜지 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열 경로가 둘 이상의 파열 지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디의 두께가 파열 경로를 따라 거의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97033214A 2017-04-11 2017-04-11 파열 가능한 용기 KR20200007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AU2017/050315 WO2018187824A1 (en) 2017-04-11 2017-04-11 Fracturable contai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4982A Division KR20240068783A (ko) 2017-04-11 파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813A true KR20200007813A (ko) 2020-01-22

Family

ID=6379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214A KR20200007813A (ko) 2017-04-11 2017-04-11 파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11964810B2 (ko)
EP (1) EP3609802A4 (ko)
JP (1) JP6945647B2 (ko)
KR (1) KR20200007813A (ko)
CN (1) CN110730750B (ko)
AR (1) AR111711A1 (ko)
AU (1) AU2017409019B2 (ko)
BR (1) BR112019021443B1 (ko)
CA (1) CA3059470A1 (ko)
CO (1) CO2019012529A2 (ko)
IL (1) IL269918B2 (ko)
MX (1) MX2019012129A (ko)
NZ (1) NZ758974A (ko)
PH (1) PH12019502320A1 (ko)
RU (1) RU2742358C1 (ko)
TW (1) TWI778043B (ko)
WO (1) WO2018187824A1 (ko)
ZA (1) ZA2019074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149752A1 (it) * 2018-01-09 2019-07-09 V Shapes S R L Confezione sigillata monodose con apertura a rottura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DE102019121111A1 (de) * 2019-08-05 2021-02-11 Medipack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erpackung
US11939131B2 (en) 2021-06-03 2024-03-26 Tekni-Plex,. Inc. Recyclable blister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770A (en) 1959-07-31 1962-03-07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Package for sterile articles
US3036700A (en) * 1959-08-26 1962-05-29 Becton Dickinson Co Sterile hypodermic needle assembly and package
US3075639A (en) * 1960-03-07 1963-01-29 Baxter Laboratories Inc Hypodermic needles in blister package
US3437199A (en) * 1968-02-12 1969-04-08 Anderson Bros Mfg Co Container with self-closing cover
US3521805A (en) * 1968-09-27 1970-07-28 Anderson Bros Mfg Co Dispensing packet
US3472368A (en) * 1968-10-04 1969-10-14 Harold R Hellstrom Quick-opening blister packets
US3635376A (en) 1970-06-05 1972-01-18 Hellstrom Harold R Quick-open flexible package
US3741384A (en) 1971-12-03 1973-06-26 Cloud Machine Corp Individual sprinkle-packet with ribbed break-open neck
DE2232861A1 (de) 1972-07-05 1974-01-17 Bosch Verpackungsmaschinen Blisterpackung
US3986640A (en) 1973-08-20 1976-10-19 Sanford Redmond Package for a flowable product and material for making such package
US4106621A (en) * 1976-07-26 1978-08-15 Sorenson Research Co., Inc. Combination needle cover and venipuncture device tray and method of using same
US4155454A (en) * 1977-01-12 1979-05-22 Schering Corporation Safety packaging for ampoules
US4341302A (en) 1980-10-15 1982-07-27 United Fillers Pty. Ltd. Storing and mixing apparatus
US4493574A (en) * 1982-11-18 1985-01-15 Sanford Redmond Dispenser package having fault line protrusion
US4611715A (en) 1984-10-16 1986-09-16 Sanford Redmond Dispenser package
US4724982A (en) 1986-12-18 1988-02-16 Sanford Redmond Asymmetric stress concentrator for a dispenser package
NL8701700A (nl) 1987-07-17 1989-02-16 Heijenga S Management B V Houder voor een vloeibaar of pastavormig produkt.
US5009894A (en) 1988-03-07 1991-04-23 Baker Cummins Pharmaceuticals, Inc.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US4871091A (en) 1988-09-29 1989-10-03 Mason-Keller Corporation Disposable package for liquids
US4938462A (en) 1990-02-12 1990-07-03 Gould Charles E Resealable package
JPH06211279A (ja) 1991-01-21 1994-08-02 Toyo Bussan Kk 使い捨て容器
US5316400A (en) * 1991-12-19 1994-05-31 Creative Products Resource, Inc. Package systsem for flowable or solid substances
US5395031A (en) 1992-03-10 1995-03-07 Redmond; Sanford Stress concentrator aperture-forming means for sealed containers and packages
US5582330A (en) 1994-12-28 1996-12-10 Allergan, Inc. Specific volume dispenser
CN1196709A (zh) 1995-08-04 1998-10-21 桑敦投资有限公司 易打开的小袋囊
AP846A (en) 1996-02-02 2000-06-08 Sanford Redmond Improved coffee creamer and other cups and tubs.
ES2212076T3 (es) 1996-02-02 2004-07-16 Sanford Redmond Envase mejorado para verter nata en el cafe y otras tazas de cubiletes.
US5826737A (en) 1996-02-20 1998-10-27 Colgate-Palmolive Company Thermoformed reclosable container
GB9605548D0 (en) 1996-03-15 1996-05-15 Cambridge Consultants Packaging
IT1287446B1 (it) 1996-06-18 1998-08-06 Unifill Int Ag Unita' di confezionamento per prodotti fluidi
DE19627243A1 (de) 1996-07-08 1998-01-15 Hassia Verpackung Ag Verpackung
KR100489759B1 (ko) 1996-12-09 2005-05-16 바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티드 일회용 가요성 컨테이너
US5839609A (en) 1997-08-27 1998-11-24 Colgate-Palmolive Company Thermoformed pack with ridge valve
FR2778639B1 (fr) 1998-05-18 2000-07-28 Valois Sa Dispositif de pulverisation du type echantillon
US6070723A (en) 1999-01-11 2000-06-06 Portage Plastics Corp. Reclosable package and method
DE19933458B4 (de) 1999-07-15 2015-08-20 Eppendorf Ag Einrichtungen und Systeme zum Handhaben von Flüssigkeitsproben
DE29912954U1 (de) 1999-07-24 2000-12-14 Coripharm Medizinprodukte Gmbh Blisterverpackung
US7121409B1 (en) 1999-09-02 2006-10-17 Snap Pak Industries (Aust) Pty Ltd. Dispensing sachet by bending and method of sachet manufacture
DE10009627B4 (de) 2000-03-01 2005-08-11 3M Espe Ag Vorrichtung zum Lagern und Ausbringen einer fließfähigen Substanz und deren Verwendung
RU2263053C2 (ru) 2000-06-07 2005-10-27 Локтайт (Р Энд Д) Лимитед Выпускной узел с повторно используемым отламываемым колпачком, контейнер с выпускным узлом и упаковка для него
US6726054B2 (en) 2002-03-29 2004-04-27 Tapemark Dispenser package arrangement and methods
DE10243401B4 (de) 2002-09-18 2004-07-29 Voco Gmbh Verpackung zum Lagern von Substanz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irekt applizierbaren Gemisches zweier Substanzen aus dieser Verpackung
US7431529B1 (en) 2002-12-06 2008-10-07 Loctite (R & D) Limited Nozzle assembly incorporating a molded flow through brush applicator and a reusable break-off cap, a container having a nozzle assembly and packaging therefor
NL1022368C2 (nl) 2003-01-13 2004-07-15 H J Heinz Holding B V Verpakking.
US6860405B1 (en) 2003-09-03 2005-03-01 R.P. Scherer Technologies, Inc. Disposable single-use container with indicia bearing portion
US7506762B2 (en) 2003-12-02 2009-03-24 The Tapemark Company Dispensing package
US20100065582A1 (en) 2003-12-02 2010-03-18 The Tapemark Company Dispensing package
AU2004100000A4 (en) 2004-01-02 2004-02-12 Sands Innovations Pty Ltd Dispensing stirring implement
JP4560082B2 (ja) 2004-03-11 2010-10-13 エポドパ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イエヌシー 調合容器装置
JP2005271937A (ja) 2004-03-23 2005-10-06 Idemitsu Unitech Co Ltd 熱成形容器及び包装体
EP1778552A4 (en) 2004-07-28 2009-06-10 Sanford Redmond LOAD-REDUCING NOTCHING FOR VERY THIN THERMOFORMED PLASTIC LAYERS OR FOIL / PLASTIC LAMINATES
US7383954B2 (en) * 2004-11-05 2008-06-10 Morrison David J Storage and display package for batteries
US7513397B2 (en) 2004-11-24 2009-04-07 Holopack International Corp. Dispensing container
WO2006058139A2 (en) 2004-11-24 2006-06-01 Holopack International Corp. Dispensing container with flow control system
US7270239B1 (en) 2005-01-06 2007-09-18 Ross Karen L Dental stain preventer
US7325703B2 (en) 2005-06-16 2008-02-05 R.P. Scherer Technologies, Inc. Multi-cavity blister package for storing and dispensing flowable substances
TWM294500U (en) 2005-12-02 2006-07-21 Yung Shin Pharm Ind Co Ltd Separated double-bag structure enabling easy mixing of its contained medicines, substances, or the likes
US20070164045A1 (en) 2006-01-13 2007-07-19 Wydler Hans L Dual mode container
US7413080B2 (en) 2006-11-29 2008-08-19 The Hartz Mountain Corporation Right angle blister plus header card package
EP2109572B1 (en) 2007-01-31 2012-08-29 Sands Innovations Pty Ltd. Dispensing utensil
US8408792B2 (en) 2007-03-30 2013-04-02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ackage integrity indicating closure
CA2688689C (en) 2007-05-16 2015-06-30 Mystic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unit dose dispensing containers
NL2000755C2 (nl) 2007-07-16 2009-01-19 Easycup Internat Ltd Verpakking voor een fluïdum.
EP2205505B1 (en) 2007-09-24 2011-09-21 Diapack Limited Break-open single-dose sealed package
JP5452883B2 (ja) 2008-04-30 2014-03-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樹脂製アンプル
WO2010065980A1 (en) 2008-12-09 2010-06-17 Sands Innovations Pty Ltd A dispensing container
US8028837B2 (en) 2008-12-18 2011-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k-open package with shaped die cut for storing and dispensing substrates
FR2945797B1 (fr) 2009-05-20 2015-11-06 Virbac Sa Conditionnement alimentaire,pharmaceutique ou veterinaire de securit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D636890S1 (en) 2009-09-17 2011-04-26 Sands Innovations Pty. Ltd. Dispensing utensil
US8511500B2 (en) 2010-06-07 2013-08-20 Sands Innovations Pty. Ltd. Dispensing container
JP2012116514A (ja) 2010-11-30 2012-06-21 Teijin Pharma Ltd 包装材、及び包装材群
US8485360B2 (en) 2011-03-04 2013-07-16 Sands Innovations Pty, Ltd. Fracturable container
NL2006767C2 (nl) 2011-05-11 2012-11-13 Louis Rinze Henricus Adrianus Willemsen Verpakking voor een fluã¯dum.
KR20130062072A (ko) 2011-12-02 2013-06-12 (주) 부광케미컬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
WO2013175254A1 (en) * 2012-05-21 2013-11-28 Sanofi Unitary packaging for one container filled with a liquid pharmaceutical product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US20160090221A1 (en) 2013-05-23 2016-03-31 Sands Innovations Ltd Improved Container With Opening
US10221000B2 (en) * 2015-12-09 2019-03-05 Sonoco Development, Inc. Fold open face seal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30750A (zh) 2020-01-24
TWI778043B (zh) 2022-09-21
RU2742358C1 (ru) 2021-02-05
BR112019021443A2 (pt) 2020-05-05
TW201841805A (zh) 2018-12-01
PH12019502320A1 (en) 2020-07-06
AU2017409019A1 (en) 2019-11-28
AU2017409019B2 (en) 2023-09-14
CO2019012529A2 (es) 2020-02-28
WO2018187824A1 (en) 2018-10-18
BR112019021443B1 (pt) 2023-01-10
IL269918B2 (en) 2023-10-01
AR111711A1 (es) 2019-08-14
CN110730750B (zh) 2022-11-08
IL269918A (ko) 2019-11-28
EP3609802A4 (en) 2020-04-08
CA3059470A1 (en) 2018-10-18
ZA201907403B (en) 2021-04-28
JP2020516555A (ja) 2020-06-11
MX2019012129A (es) 2020-07-14
US11964810B2 (en) 2024-04-23
US20200156842A1 (en) 2020-05-21
EP3609802A1 (en) 2020-02-19
NZ758974A (en) 2022-11-25
IL269918B1 (en) 2023-06-01
JP6945647B2 (ja)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360B2 (en) Fracturable container
KR20200007813A (ko) 파열 가능한 용기
EP3089874B1 (en) Package material blank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EP3740438B1 (en) A production method for producing a sealed break-open package
JP6218629B2 (ja) 易開封包装箱
JP7416717B2 (ja) 密封単回用量破断開封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340099A1 (en) Packaging container with open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681563B2 (ja) 包装袋
KR20240068783A (ko) 파열 가능한 용기
JP6292662B2 (ja) 破断開封罫線、及び破断開封罫線を付設する罫線付設刃
JP5514177B2 (ja) 食品容器
JP6344546B2 (ja) 包装容器
JP5350647B2 (ja) 包装袋
WO2016065414A1 (en) Container having a fracturable opening arrangement
JP5340063B2 (ja) 液体食品用容器のストロー用開口装置
JP2020050430A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