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072A -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 - Google Patents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072A
KR20130062072A KR1020110128487A KR20110128487A KR20130062072A KR 20130062072 A KR20130062072 A KR 20130062072A KR 1020110128487 A KR1020110128487 A KR 1020110128487A KR 20110128487 A KR20110128487 A KR 20110128487A KR 20130062072 A KR20130062072 A KR 20130062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apsule
cutting line
horizontal moun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관
Original Assignee
(주) 부광케미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부광케미컬 filed Critical (주) 부광케미컬
Priority to KR102011012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072A/ko
Publication of KR2013006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회사용량의 소량 식품을 수용하는 컵형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이 개구된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시트가 부착되는 면인 시트부착대로 구성된 캡슐에서 상기 시트부착대의 일측에 절단선을 형성하여 시트부착대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분리하게 함으로써 시트부착대로부터 시트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캡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DISPOSABLE CAPSULE}
본 발명은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회사용량의 소량 식품을 수용하는 컵형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이 개구된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시트가 부착되는 면인 시트부착대로 구성된 캡슐에서 상기 시트부착대의 일측에 절단선을 형성하여 시트부착대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분리하게 함으로써 시트부착대로부터 시트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캡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달되면서 일상생활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 및 활용할 수 있는 장치와 용기들이 무수히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커피메이커와 같은 커피추출장치와 일회용용기가 있어 일상생활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피메이커는 커피분말에 물을 투입하여 커피성분이 혼합된 물을 내려서 음용하는 장치이나, 최근에는 일회용 용기를 이용하여 일회용용기 내에 액상커피를 저장하고 상기 액상커피를 일정량의 물과 혼합 제공하는 장치가 큰 호응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같이 일회용용기를 사용하는 것은 저장된 액상물을 사용할 때 이외에는 공기중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노출에 의한 부패를 방지해 보관기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일회용 용기는 액상물 이외에도 젤리 분말 등 액상이 아닌 젤 상태 또는 고체를 소량크기 또는 일회 사용분으로 분리 저장하여 사용 및 보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일회용용기는 대표적으로 뚜껑을 구비한 용기, 파우치, 앰풀(ampoule), 캡슐 등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저장되는 내용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을 구비한 용기는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제조단가가 고가여서 저가물품의 보관에 적합하지 않으며, 파우치는 용기를 안정적으로 착지시킬 수 없으므로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 절단시 내용물을 흘릴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앰풀은 용기가 약하기 때문에 운반시 파손될 수 있어 대개 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일회용 커피 분말 또는 액상커피, 액상프림, 액상시럽 등 소량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로는 캡슐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캡슐(1)은 도 1을 참조한 바와같이 내용물을 저장하는 항아리형태의 저장부(2)와, 상기 저장부의 개구된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부착면을 형성하는 수평부착대(3)와, 상기 수평부착대의 상면에 부착되는 시트(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슐은 수평부착대에 넓은 면을 갖는 확장부를 형성하여 확장부를 통해 수평부착대에 부착된 시트를 분리하고, 분리된 시트만 잡아 당겨 저장부가 개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시트는 수평부착대 전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수평부착대의 확장부로부터 시트를 분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상기 시트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상기 수평부착대의 확장부 일부는 시트가 수평부착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시트를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캡슐도 시트가 수평부착대 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밀착된 시트를 분리하는데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은,
수평부착대의 넓은 부분인 확장부 일부를 절단시키고, 상기 절단된 절단편은 수평부착대와 연결부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절단선을 중심으로 절단편을 외측으로 꺾어 연결부의 절단이 쉽게 이루어지도록한 것이다 또한, 분리된 절단편은 시트와 함께 잡아당김으로써 시트를 수평부착대로부터 편리하고 신속하게 분리시킬수 있는 일회용 캡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은,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통체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개구된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일측에는 연장폭이 더 확장된 확장부를 갖는 수평부착대와, 상기 수평부착대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시트로 구성되는 일회용 캡슐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착대의 확장부에는 절단선에 의해 외측이 분리된 분리편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선의 내측에는 복수의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분리편과 내측의 확장부를 연결시켜 일체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은,
시트를 부착시키는 수평부착대에는 확장부의 외측을 절단하여 분리편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편은 내측의 확장부와 소폭을 갖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절단편은 연결부 절단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절단편은 이에 부착된 시트지와 함께 당김으로써 수평부착대로부터 시트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등 신속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캡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도 도 4는 본 발명의 캡슐에 형성된 절단선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첨두홈이 형성된 연결부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캡슐(10)은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통체의 저장부(20)와, 상기 저장부의 개구된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일측에는 연장폭이 더 확장된 확장부(31)를 갖는 수평부착대(30)와, 상기 수평부착대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시트(4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20)는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며, 내구성을 위해 외면에 다수의 굴곡을 형성하거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착대(30)는 저장부(20)의 개구된 상단의 가장자리를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평부착대의 상면은 동일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저장부의 밀폐를 위한 시트(40)가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20)와 수평부착대(30)는 PP와 같이 경재질로 형성하고 일정두께를 갖도록 하여 내구성을 갖는 용기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시트(40)는 연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상기 수평부착대에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시트(40)는 수평부착대와 접촉되는 면에 접착시트를 더 형성하여 열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캡슐(10)은 부착된 시트(40)를 수평부착대(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수단으로는 수평부착대의 확장부(31)에 절단선(32)을 형성하되 상기 절단선의 내측에는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복수의 절단되지 않은 연결부(34)를 형성함으로써 절단선에 의해 분리된 분리편(33)을 수평부착대의 확장부(31)와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부(34)는 절단선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어 분리편을 연결시킬 수 있으나, 도 4와 같이 상기 절단선(32)의 시작부분에 형성될 경우에는 분리편(33)을 꺾었을 때 연결부(34)의 양측중 일측으로만 절단력이 전달됨으로 연결부 절단시 큰 힘이 필요하다. 또한, 절단 방향도 a 방향이 아닌 b방향이나 c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더 큰 절단면을 필요로 함은 물론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연결부(34)가 일측에만 형성될 경우에는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절단선의 타측방향은 지지력이 저하됨으로 처짐이 발생된다. 상기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의 폭을 증가시키면 분리편을 꺾을 때 발생되는 절단력에 의해 연결부의 절단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선의 연결부(34)는 도 3에서와 같이 절단선 내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분리편(33)을 꺾을 때 발생되는 절단력이 연결부의 양측으로부터 전달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쉽게 연결부를 끊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부(34)는 복수로 형성되며, 3개 이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나, 일회용 크림 또는 커피, 소스와 같이 소량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1 내지 2개만 형성하여 분리편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34)의 폭은 수평부착대(30)의 두께 1에 대해 1~3 의 비율을 갖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수평부착대(30)의 두께가 0.3mm 일 경우에는 0.3~0.9mm의 폭으로 연결부(34)를 형성하여 분리편을 일측으로 꺾었을 때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고, 분리편에 의해 절단되기 이전에는 분리편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폭보다 좁을 경우 연결부에 의한 지지력 저하로 이동중에 쉽게 절단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의 폭보다 넓을 경우에는 절단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형 캡슐의 경우 수평부착대 두께를 대개 0.2~0.4mm의 범위로 형성하므로 연결부의 폭은 0.3~0.7mm의 폭으로 정형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5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연결부(34)의 하부면에는 폭 중앙에서 상측으로 첨두홈(35)을 하나 또는 다수 형성하여 연결부의 구조강도를 약화시킴으로써 절단편의 꺾임에 의해 연결부 절단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첨두홈은 연결부의 구조강도를 약화시키나 연결부의 폭자체는 유지되고 그 내측에 위치함으로 절단력이 전달되어야만 절단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임으로 운반시에는 파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를 갖는 캡슐(10)은 성형시 PP 재질의 플레이트를 성형기에 투입하고 열을 가하는 가열과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된 플레이트에는 저장부 형상을 갖는 다수의 흡착기를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흡착해 흡착기 형상의 저장부가 다수 돌출되도록 변형하는 플레이트 흡착변형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저장부가 배열된 플레이트에는 저장부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내용물 주입단계와, 내용물이 주입된 플레이트 상부를 시트로 밀폐되도록 부착시키는 시트부착 밀폐단계가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다수의 캡슐이 배열된 플레이트는 절단단계를 통해 플레이트의 각 캡슐을 개별적으로 분리하며, 대표적인 절단방법으로는 펀칭이 있다.
상기 펀칭에 사용되는 절단날은 캡슐의 수평부착대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고 플레이트와 동일하게 배열되게 함으로써 한번 펀칭에 의해 다량의 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 주입단계 이전에는 플레이트에 절단선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선은 최종 배출되는 캡슐의 수평부착대 중 확장부부분에 형성되도록 하고, 절단선 내측에는 연결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에 의해 절단선 양측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연결부를 갖는 절단선이 형성될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시트부착 밀폐단계가 수행됨으로 시트의 절단없이 스평부착대의 일측면 절단선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절단선 형성단계 또는 절단단계에서는 절단선의 연결부가 위치하는 테이블에 첨두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의 하부를 가압해 첨두돌기에 의한 첨두홈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10 : 캡슐
20 : 저장부
30 : 수평부착대
31 : 확장부 32 : 절단선
33 : 분리편 34 : 연결부
35 : 첨두홈
40 : 시트

Claims (2)

  1. 내용물을 담아 저장하는 통체의 저장부(20)와, 상기 저장부의 개구된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일측에는 연장폭이 더 확장된 확장부(31)를 갖는 수평부착대(30)와, 상기 수평부착대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시트(40)로 구성되는 일회용 캡슐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착대(30)의 확장부(31)에는 절단선(32)에 의해 외측이 분리된 분리편(33)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선(32)의 내측에는 복수의 연결부(34)를 형성하여 상기 분리편(33)과 내측의 확장부(31)를 연결시켜 일체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4)의 폭은 0.3~0.7mm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캡슐.


KR1020110128487A 2011-12-02 2011-12-02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 KR20130062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487A KR20130062072A (ko) 2011-12-02 2011-12-02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487A KR20130062072A (ko) 2011-12-02 2011-12-02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072A true KR20130062072A (ko) 2013-06-12

Family

ID=4885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487A KR20130062072A (ko) 2011-12-02 2011-12-02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0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428B1 (ko) * 2019-05-14 2020-05-22 이성배 커피 캡슐
WO2021091051A1 (ko) * 2019-11-07 2021-05-14 이성배 티백 겸용 음료캡슐
US11964810B2 (en) 2017-04-11 2024-04-23 Sands Innovations Ltd Fracturable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4810B2 (en) 2017-04-11 2024-04-23 Sands Innovations Ltd Fracturable container
KR102114428B1 (ko) * 2019-05-14 2020-05-22 이성배 커피 캡슐
WO2021091051A1 (ko) * 2019-11-07 2021-05-14 이성배 티백 겸용 음료캡슐
KR20210055223A (ko) * 2019-11-07 2021-05-17 이성배 티백 겸용 음료캡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9931B2 (ja) ポーションカプセルおよびポーションカプセルを用いて飲料を製造する方法
RU2181097C2 (ru) Устойчивый гибкий пакет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3391886B (zh) 用于容纳异质材料的设备
ES2549185T3 (es) Cápsula para la percolación de un producto aromático tal como café
ES2366821T3 (es) Cápsula con medios de estanqueidad dedicados.
CN104271469B (zh) 用于饮料制备的配料胶囊
BR112016018264B1 (pt) Cápsula para bebidas
BRPI0711738A2 (pt) cápsula de café com um elemento de vedação deformável
JP2015119958A (ja) 容器
BR112012028095B1 (pt) Cápsula para um material de extração e sistema para a preparação de bebida
BR112013022869B1 (pt) cápsula que contém um ou mais ingredientes de bebida, método de dispensação de uma bebida feita a partir dos ingredientes de bebida na cápsula e método para produzir a cápsula de bebida
CN103415445A (zh) 可重复密封的开口装置以及包括该开口装置的包装袋
BR112018070236B1 (pt) Cápsula projetada para preparação de alimentos e bebidas
ITMO20120007A1 (it) Capsula per bevande
BR112015022826B1 (pt) Dispositivo para o fechamento de recipientes de bebida, conjunto de recipiente de bebida e método para a operação de um conjunto
BR112014027849B1 (pt) cápsula
KR20130062072A (ko)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
KR20140073481A (ko) 스탠딩 백형 수액 용기
BR112021008939A2 (pt) cápsula para preparação de alimentos ou bebidas contendo uma membrana deslocável para engate com meios de abertura
KR101826284B1 (ko)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
CN107709179A (zh) 包装袋以及内容物封入包装袋
WO2007066575A1 (ja) 注出具
JP2019523033A (ja) カプセル及び飲料生成システム
IT202000030299A1 (it) Capsula compostabil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ad infusione o solubili
KR101775593B1 (ko)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