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284B1 -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 - Google Patents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284B1
KR101826284B1 KR1020167029758A KR20167029758A KR101826284B1 KR 101826284 B1 KR101826284 B1 KR 101826284B1 KR 1020167029758 A KR1020167029758 A KR 1020167029758A KR 20167029758 A KR20167029758 A KR 20167029758A KR 101826284 B1 KR101826284 B1 KR 10182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g body
spot
bag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759A (ko
Inventor
타케히사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씨비-비즈 리미티드 라이어빌리티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비-비즈 리미티드 라이어빌리티 컴퍼니 filed Critical 씨비-비즈 리미티드 라이어빌리티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7008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06Rigid containers in preformed flexibl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8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07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without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77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of two or mor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소한 구조이며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각종 형상의 용기라도 사이즈 프리로 확실하게 피트(fit)시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시트재(10·10)를 대면시켜 포개어, 상부에 개구부(11)를 형성하고, 또한, 하부에 바닥면(12)을 가지는 주머니체(1)로서, 상기 주머니체(1)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용기 유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 유지부에 있어서, 주머니체(1)의 양 시트재(10·10)의 내측면끼리가 점 형상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폿 접합부(21·21…)가 설치된 홀드 존(2)을 형성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채용하였다.

Description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TIGHT FASTENING TYPE SIZE-FREE CONTAINER CARRYING BAG}
[0001] 본 발명은, 용기의 운반 용구의 개량, 더욱 자세하게는, 간소한 구조이며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각종 형상의 용기라도 사이즈 프리(size-free)로 확실하게 피트(fit)시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0002] 편의점이나 패스트 푸드점 등에 있어서, 커피나 주스 등의 음료나, 어묵이나 찌개 등의 식품을 일시적인 임시 용기(마개로 밀봉하지 않은 간이(簡易)한 일회용 타입의 것)에 넣어서 테이크 아웃(take-out)하는 경우, 상기 임시 용기를 직접 손에 들지 않고 안정적으로 옮길 수 있으면 편리하다.
[0003] 이러한 운반 방법으로서, 우선, 임시 용기를 주머니에 직접 넣는 것이 생각되지만, 안정성이 부족하여, 임시 용기가 주머니 안에서 기울어, 음료나 국물 등의 내용물이 새어 버릴 우려가 있다.
[0004] 또, 임시 용기의 자세 유지를 위해, 주머니의 바닥에 판지 등의 구멍이 있는 대지(臺紙)를 깔고, 이 구멍에 임시 용기를 기립(起立)시키는 것도 존재하지만, 이러한 대지를 저장(stock)하기 위한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세팅 작업에도 수고가 들어, 상품의 제공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0005] 더욱이 또한, 임시 용기를 손에 휴대하는 식으로 운반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주머니 한 장에 대해 임시 용기를 한 개밖에 운반할 수 없고, 단일 사이즈에만 대응이 가능하며, 게다가, 임시 용기의 본체가 밖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임시 용기가 더러워지거나, 잘못하여 음료나 국물 등의 내용물이 새었을 경우에 주위를 더럽히게 될 우려가 있다.
[0006] 더욱이 또한, 주머니의 개구부의 유지편(保持片)에 형성된 개구부를 용기(병)에 관통 삽입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상품을 제공할 때마다 그 개구부를 용기에 관통 삽입하는 작업은 매우 번잡하며, 특히, 음료 컵과 같은 상부의 개구 지름이 큰 테이퍼(taper) 형상의 임시 용기에 있어서는 매우 곤란한 작업이 되고 만다.
[0007] 또, 임시 용기 및 운반 주머니는, 점포에서 자택 등까지 사용하고서 다 쓴 후에 버리는 일시적인 것이기 때문에, 간소한 구조이면서 저비용인 것이 필수이며, 또한, 확실한 유지 기능도 양립(兩立)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0008]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80072호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S60-182345호
[0009] 본 발명은, 종래의 용기의 운반 용구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었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간소한 구조이며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각종 형상의 용기라도 사이즈 프리로 확실하게 피트시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0010] 본 발명자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용한 수단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0011] 즉,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시트재(10·10)를 대면시켜 포개어, 상부에 개구부(11)를 형성하고, 또한, 하부에 바닥면(12)을 가지는 주머니체(1)로서, 상기 주머니체(1)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용기 유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 유지부에 있어서, 주머니체(1)의 양 시트재(10·10)의 내측면끼리 점 형상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폿 접합부(21·21…)가 설치된 홀드 존(hold zone; 2)을 형성하며,
용기(C)가 상기 개구부(11)로부터 삽입될 때, 해당 용기(C)의 본체가 상기 홀드 존(2)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의 스폿 접합부(21)에 가압 접촉(壓接)하여, 이 가압 접촉 부위의 스폿 접합부(21)를 박리(剝離)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삽입 상태의 용기(C)의 외주면에, 잔존한 가장 끝(最端)의 스폿 접합부(21)가 밀착하여 해당 용기(C)의 외주면이 시트재(10) 사이에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주머니체(1) 내에 있어서의 용기(C)의 유동(遊動)을 규제하며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를 완성시켰다.
[0012] 또,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수단에 추가하여, 주머니체(1)의 용기 유지부의 중앙에 용기 관통삽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 관통삽입부의 좌우 각각에 홀드 존(2)을 대략 대칭적으로 설치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0013] 더욱이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수단에 추가하여, 홀드 존(2)의 외측에, 주머니체(1)의 양 시트재(10·10)의 내측면끼리가 고정 부착(固着)된 스토퍼(3)를 형성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0014]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시트재를 대면시켜 포개어,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또한, 하부에 바닥면을 가지는 주머니체로서, 이 주머니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용기 유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유지부에 있어서, 주머니체의 양 시트재의 내측면끼리가 점 형상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폿 접합부가 설치된 홀드 존을 형성함으로써,
용기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삽입될 때, 해당 용기의 본체가 상기 홀드 존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의 스폿 접합부에 가압 접촉하여, 이 가압 접촉 부위의 스폿 접합부를 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삽입 상태의 용기의 외주면에, 잔존된 가장 끝의 스폿 접합부가 밀착하여 해당 용기의 외주면이 시트재 사이에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주머니체 내에 있어서의 용기의 유동(遊動)을 규제하며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운반할 수가 있다.
[0015] 따라서, 본 발명의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에 의하면, 간소한 구조이며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 컵 등의 임시 용기의 운반과 같이, 점포에서 자택 등까지의 일시적인 것(쓰고 버리는 것·일회용의 것)의 용도에 매우 적합하다.
[0016] 또, 운반하고자 하는 용기의 형상에 따라 스폿 접합부의 필요 부분만 박리하기 때문에, 각종 형상의 용기라도 사이즈 프리로 확실하게 피트시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0017] 그리고, 본 발명의 운반 주머니는 일회용이기 때문에, 박리시킨 스폿 접합부는 두 번 다시 접합할 필요는 없으며, 운반해야 할 임시 용기의 사이즈에 합치시켜 「전용(專用)」이 것이 되기 때문에, 주머니체의 제조 정밀도를 낮출 수가 있다.
[0018] 또, 본 발명의 운반 주머니에 지지된 용기는 외주면에 시트재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세로로 길어 불가피하게 대략 직립상태가 되는 음료용 용기라 하더라도, 매우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가 있다.
[0019] 더욱이 또한, 필요에 따라서 용기 유지부를 증가시킴으로써, 복수의 용기를 운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산업상의 이용가치는 매우 크다.
[002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용기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변형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변형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변형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변형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변형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변형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변형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 운반 주머니의 변형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0021]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로부터 도 1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부호 1로 지시(指示)하는 것은 주머니체이고, 또, 부호 2로 지시하는 것은 홀드 존이다. 상기 홀드 존(2)은, 복수의 스폿 접합부(21·21…)에 의해 구성되는 소정 면적의 영역이다.
[0022] 그리고, 본 발명의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우선,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시트재(10·10)를 대면하여 서로 포갠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수지 재료로서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등을 채용할 수 있다.
[0023] 그리고, 주머니체(1)는,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또한, 하부에 바닥면(12)을 갖는다. 시트재(10·10)를 서로 포개는 방법으로서는, 바닥면(12)에 있어서 되접어 꺾어 서로 포갤 수가 있다. 이 때, 또한, 바닥면(12)에 있어서 거싯(gusset)을 형성하여 주머니 바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머니체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수용 용기의 바닥면이 거싯에 재치(載置)되어 안정성이 증가된다. 또, 개구부(11)의 부근에는 주머니체(1)를 손에 들기 위한 손잡이부를 설치할 수 있다.
[0024] 상기 주머니체(1)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용기 유지부를 형성한다. 용기 유지부란, 1개의 용기를 유지하는 단위 부위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유지부에 있어서, 주머니체(1)의 양 시트재(10·10)의 내측면끼리가 점 형상으로 접합 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폿 접합부(21·21…)가 설치된 홀드 존(2)을 형성한다. 상기 스폿 접합부(21)의 점 형상이란, 최대 1㎠ 정도의 영역에 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정도의 영역에 드는 것이 좋다.
[0025] 상기 홀드 존(2)은, 소정 면적의 영역으로서, 복수의 스폿 접합부(21·21…)에 의해 구성되지만, 스폿 접합부(21)의 형상 및 배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있다.
[0026] 또, 스폿 접합부(21)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미리 설계한 배치의 스폿 접합부(21)의 형상의 몰드(mold)를 성형하고, 시트재(10)의 표면의 소요(所要) 위치에 히트 프레스(heat press) 한다. 이 때, 시트재(10)의 재료의 융점(融點) 등 물성에 따라, 몰드의 가열 온도나 가압 접촉 시간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박리 강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박리 강도가 너무 크면 용기(C)를 가압 접촉했을 때에 박리되지 않거나, 혹은, 시트재(10) 그 자체가 당겨져 뜯겨 구멍이 생기는 원인이 되는 한편, 박리 강도가 너무 작으면 의도하지 않은 위치의 스폿 접합부(21)까지도 박리되어, 주머니체(1)의 내부에서 용기(C)가 유동할 우려가 있다.
[0027] <배열예 1>
본 배열예에서는, 주머니체(1)의 용기 유지부의 중앙에 용기 관통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관통삽입부의 좌우 각각에 홀드 존(2)을 대략 대칭적으로 설치한다(도 1 참조). 상기 홀드 존(2)에 있어서의 스폿 접합부(21·21…)의 배열은, 외측 상방으로부터 내측 하방을 향해 직선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스폿 접합부(21)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 사이즈의 틈새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0028]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C)(도면 중의 2점 쇄선)를 상기 개구부(11)로부터 삽입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용기(C)의 본체가 상기 홀드 존(2)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의 스폿 접합부(21)에 가압 접촉하여, 그 가압 접촉 부위의 스폿 접합부(21)를 박리할 수가 있다.
[0029] 그 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C)가 주머니체(1)의 바닥면(12)에 도달할 때까지, 그 위치에 대응된 스폿 접합부(21)가 박리되어 간다.
[0030] 이렇게 하여 삽입시에 가압 접촉하는 스폿 접합부(21)를 차례 차례로 박리해 가며, 마지막에는, 삽입 상태의 용기(C)의 외주면에, 잔존된 가장 끝의 스폿 접합부(21)가 밀착하게 되며, 해당 용기(C)의 외주면을 시트재(10·10)가 감겨붙도록 하여 단단히 조일 수가 있다(도 5 참조).
[0031] 이와 같이 함으로써, 주머니체(1) 내에 있어서의 용기(C)의 유동을 규제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0032]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머니체(1)의 시트재(10)를, 다른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일체로 적층하여 구성하고, 상기 시트재(10)의 내측면만 박리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적층 방법은, 공지된 래미네이트(laminate) 공법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박리했을 때에 시트재(10)가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여, 관통(구멍의 형성)에 의한 주머니의 강도의 저하나 수용물의 누출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0033] 이 때, 보다 구체적인 조합으로서, 주머니체(1)의 시트재(10)를, 융점이 다른 열가소성 수지 재료(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를 일체로 적층하여 구성하고, 주머니체(1)의 내측면에 저융점(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수지 재료를 설치하여, 시트재(10)의 저융점 수지 재료부만 박리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다.
[0034] 또, 이러한 시트재(10)의 적층 구조로 한 경우에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도, 고융점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저융점 수지 재료의 융점 사이의 온도로 가공(히트 프레스 등)함으로써, 저융점 수지 재료만 용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트재(10)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스폿 접합부(21)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성형할 수가 있다.
[0035] <배열예 2>
도 6에 나타내는 배열예에 의하면, 상기 홀드 존(2)에 있어서의 스폿 접합부(21·21…)의 배열은, 외측 상방으로부터 내측 하방을 향해 직선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스폿 접합부(21)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 사이즈의 틈새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열예 1>의 직렬을 좌우 각 2개씩 평행하게 형성하여, 홀드 존(2)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기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0036] <배열예 3>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배열예에 의하면, 상기 홀드 존(2)에 있어서의 스폿 접합부(21·21…)의 배열은, 외측 상방으로부터 내측 하방을 향해 곡선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폿 접합부(21)와 틈새가 번갈아 형성되고, 용기(C)의 지지 강도에 따라 스폿 접합부(21)의 크기(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0037] <배열예 4>
도 9에 나타내는 배열예에 의하면, 상기 홀드 존(2)에 있어서의 스폿 접합부(21·21…)의 배열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정(正) 횡방향을 향해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폿 접합부(21)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 사이즈의 틈새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열예에서는 하방을 향해 스폿 접합부(21·21……)의 간격이 좁아져 갔지만, 본 배열예와 같이 용기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0038] <배열예 5>
도 10에 나타내는 배열예에 의하면, 상기 홀드 존(2)에 있어서의 스폿 접합부(21·21…)의 배열은, 내측의 용기 관통삽입부를 제외한 소정 면적의 영역 내에 다수의 스폿 접합부(21·21…)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스폿 접합부(21)의 크기 및 형상은 임의적이다.
[0039] <배열예 6>
도 11에 나타내는 배열예에 의하면, 상기 <배열예 1>의 스폿 접합부(21·21…)에 추가하여, 홀드 존(2)의 외측에, 주머니체(1)의 양 시트재(10·10)의 내측면끼리가 고정 부착(固着)된 스토퍼(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만일, 잘못하여 모든 스폿 접합부(21·21…)가 박리되어도, 주머니체(1) 내에서 용기(C)가 쓰러지는 등의 큰 피해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스토퍼(3)를 설치할 때의 스폿 접합부(21·21…)의 배열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0040] <배열예 7>
도 12에 나타내는 배열예에 의하면, 상기 홀드 존(2)에 있어서의 스폿 접합부(21·21…)의 배열은, 가장 외측의 스폿 접합부(21)와 주머니체(1)의 측방의 고정 부착부(13)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여기에 포켓(14)을 각각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포켓(14)에는, 설탕이나 우유, 머들러(muddler) 등의 음료나 용기에 수용되는 식품의 부속품을 삽입하여 유지할 수가 있다.
[0041] <배열예 8>
도 13에 나타내는 배열예에 의하면, 홀드 존(2)에 있어서의 각 스폿 접합부(21)의 형상을, 짧은 변과 긴 변을 가지는 만곡(彎曲)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기(C)의 삽입시에 짧은 변이 가압 접촉(壓接)되어 해당 스폿 접합부(21)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박리되는 한편, 긴 변에 용기(C)의 외측면이 밀착하여 지지할 수가 있다.
[0042] 본 발명은, 대체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지만, 도시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예컨대, 홀드 존(2)에 있어서의 스폿 접합부(21)의 크기나 형상, 수량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0043] 또, 용기 유지부는 1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1)에 2개의 용기 유지부를 형성한 것이나 3개 이상이어도 무방하고,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0044] 1; 주머니체
10; 시트재
11; 개구부
12; 바닥면
13; 고정 부착부
14; 포켓
2; 홀드 존(hold zone)
21; 스폿 접합부
21a; 박리한 스폿 접합부
21b; 잔존한 스폿 접합부
3; 스토퍼
C; 용기

Claims (3)

  1.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시트재(10·10)가 대면(對面)하여 포개지며,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또한, 하부에 바닥면(12)을 가지는 주머니체(1)로서, 상기 주머니체(1)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용기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유지부에 있어서, 주머니체(1)의 양 시트재(10·10)의 내측면끼리가 점 형상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폿 접합부(21·21…)가 설치된 홀드 존(hold zone; 2)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C)가 상기 개구부(11)로부터 삽입될 때, 해당 용기(C)의 본체가 상기 홀드 존(2)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의 스폿 접합부(21)에 가압 접촉(壓接)되고, 이 가압 접촉 부위의 스폿 접합부(21)가 박리 가능한 한편,
    삽입 상태의 용기(C)의 외주면에, 잔존한 가장 끝(最端)의 스폿 접합부(21)가 밀착하여 해당 용기(C)의 외주면이 시트재(10) 사이에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주머니체(1) 내에 있어서의 용기(C)의 유동(遊動)을 규제하며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size-free) 용기 운반 주머니.
  2. 제 1항에 있어서,
    주머니체(1)의 용기 유지부의 중앙에 용기 관통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관통삽입부의 좌우 각각에 홀드 존(2)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
  3. 제 1항에 있어서,
    홀드 존(2)의 외측에, 주머니체(1)의 양 시트재(10·10)의 내측면끼리가 고정 부착된 스토퍼(stopper; 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
KR1020167029758A 2015-12-16 2016-06-08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 KR101826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5508 2015-12-16
JP2015245508A JP5920754B1 (ja) 2015-12-16 2015-12-16 密着締付式サイズフリー容器運搬袋
PCT/JP2016/067142 WO2017104150A1 (ja) 2015-12-16 2016-06-08 密着締付式サイズフリー容器運搬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759A KR20170089759A (ko) 2017-08-04
KR101826284B1 true KR101826284B1 (ko) 2018-02-06

Family

ID=5597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758A KR101826284B1 (ko) 2015-12-16 2016-06-08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22863B2 (ko)
EP (1) EP3219634A4 (ko)
JP (1) JP5920754B1 (ko)
KR (1) KR101826284B1 (ko)
CN (1) CN107108075B (ko)
CA (1) CA2945567C (ko)
TW (1) TWI593609B (ko)
WO (1) WO2017104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0754B1 (ja) 2015-12-16 2016-05-18 株式会社ガルツ 密着締付式サイズフリー容器運搬袋
US10793320B1 (en) * 2019-07-31 2020-10-06 Yi Ting Non-Woven Co., Ltd. Drinking cup takeout bag
GR1010224B (el) * 2020-11-23 2022-04-15 Λουκας Παναγιωτη Λαμπρινος Θηκη μεταφορας ζευγους περιεκτων ροφηματων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6950A (en) * 1964-10-05 1967-05-02 Fleischer Svend Sigur Christie Receptacles of plastic
US3511436A (en) * 1966-09-12 1970-05-12 Us Plywood Champ Papers Inc Easy opening heat sealed package
US3749237A (en) * 1971-08-16 1973-07-31 H Dorton Bag strip for handling soiled surgical sponges
US3979050A (en) * 1973-09-21 1976-09-07 Union Carbide Corporation Multi-ply film articles
US4234086A (en) * 1979-10-02 1980-11-18 Dorton Howard E Apparatus for handling soiled surgical sponges
JPS60182345U (ja) 1984-05-12 1985-12-03 昭和フイルム株式会社 物品包装袋
US5809629A (en) * 1988-09-26 1998-09-22 Southpac Trust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forming a decorative cover
US5603406A (en) * 1984-05-22 1997-02-18 Southpac Trust International, Inc. Plant package wrapped with a waxy material
US4674128A (en) * 1984-10-29 1987-06-16 Ruff Stanley L Carrying bag for cones with frozen comestibles
US5184724A (en) * 1987-09-28 1993-02-09 Mayled Edward C Flexible package for small items
JPH068242U (ja) * 1992-01-08 1994-02-01 株式会社石山 包装用袋
JP3736963B2 (ja) * 1998-02-18 2006-01-18 株式会社ヤマガタグラビヤ ヘッダー付き商品包装袋の製造方法及び該袋を用いた包装体
US6322044B1 (en) * 1998-12-09 2001-11-27 Unigreen International A/S Ice cube bag and method of producing ice cube bags
JP2006143236A (ja) * 2004-11-17 2006-06-08 Suzu Pack Co Ltd 商品収容袋
JP4783033B2 (ja) * 2005-02-18 2011-09-28 株式会社共和 不正開封防止袋体
US7712962B1 (en) * 2006-01-27 2010-05-11 The Glad Produts Company Storage bag
US8033727B2 (en) * 2006-09-08 2011-10-11 Gimex International S.A. Transparent bag for carrying, displaying, chilling and serving a beverage in a beverage container
JP2008080072A (ja) 2006-09-25 2008-04-10 Yasuyuki Miyazaki カップホルダー
JP3151571U (ja) * 2008-12-19 2009-07-02 龍志 舛屋 先端分離型ポリ袋
JP5485234B2 (ja) 2011-07-26 2014-05-07 株式会社ナカヤマ 生花の収納袋
JP2016098039A (ja) * 2014-11-26 2016-05-30 ネクスタ株式会社 カップ飲料用手提げポリ袋
CN204507795U (zh) * 2015-01-30 2015-07-29 裴林 外置托盘式集装袋
JP5920754B1 (ja) 2015-12-16 2016-05-18 株式会社ガルツ 密着締付式サイズフリー容器運搬袋
JP1566417S (ko) * 2016-05-17 2017-0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22863B2 (en) 2019-06-18
CN107108075B (zh) 2018-04-10
JP5920754B1 (ja) 2016-05-18
CA2945567C (en) 2018-03-20
KR20170089759A (ko) 2017-08-04
EP3219634A4 (en) 2018-07-25
TWI593609B (zh) 2017-08-01
TW201722794A (zh) 2017-07-01
CA2945567A1 (en) 2017-06-16
CN107108075A (zh) 2017-08-29
WO2017104150A1 (ja) 2017-06-22
US20180016076A1 (en) 2018-01-18
JP2017109765A (ja) 2017-06-22
EP3219634A1 (en)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90852B2 (en) An in-mould labelled container
KR101826284B1 (ko)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
WO2012019993A1 (en) An in-mould labelled container
US20130318916A1 (en) Packaging for a liquid filling material,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it
US20150342380A1 (en) Recyclable, thermally insulated plastic container
JP2013519593A (ja) 特に液体製品に用いられる柔軟な容器
JP6048903B1 (ja) 水平保持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006504A1 (ja) カップ運搬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18121B1 (ja) ポケット付カップ運搬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44545B1 (ko) 스트로우 파우치
JP6606796B1 (ja) 剥離保持式容器運搬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74413B1 (ja) 帯支持式容器運搬袋
JP6877990B2 (ja) 容器包装体
JP2018104017A (ja) 容器包装体
JP4334941B2 (ja) 容器
JP2010029066A (ja) 容器入り食品の製造方法
JPH10129782A (ja) ストロー付フレキシブル容器
KR101314284B1 (ko)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JP2015054703A (ja) 蓋材
KR20130022580A (ko) 음료 포장용 비닐팩 및 그 제조 방법
JP2014148349A (ja) 紙容器
KR20090073991A (ko) 음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