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284B1 -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 Google Patents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284B1
KR101314284B1 KR1020110123655A KR20110123655A KR101314284B1 KR 101314284 B1 KR101314284 B1 KR 101314284B1 KR 1020110123655 A KR1020110123655 A KR 1020110123655A KR 20110123655 A KR20110123655 A KR 20110123655A KR 101314284 B1 KR101314284 B1 KR 10131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plastic bag
cutting
piece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754A (ko
Inventor
조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신우아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아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신우아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1012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2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에 일체형으로 외부로 돌출되고 몸체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는 연장편과, 연장편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연장편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 구성되는 절취편으로 구성된 절취부가 구성되고, 상기 절취부는 절취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몸체의 포장필름이 2중이 되게 접어 열융착하여 형성된 절취융착부가 구성되어; 절취편의 일부가 절취 되면 비닐봉지 내부의 내용물이 절취된 절취편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이 가능한 것으로서, 음료의 일부가 음용된 비닐봉지를 평평한 장소에 안치하더라도 비닐봉지의 몸체 중간에 구성되고 몸체에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절취편이 몸체보다 높게 안치되어 비닐봉지 내에 잔류하는 음료가 절취된 부분에서 유출되지 아니하고, 절취편이 비닐봉지의 몸체 중간에서 비닐봉지의 몸체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음용자가 절취편에서 직접 입으로 음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A VINYL BAG WITH PROJECTION CUTTING PORTION}
본 발명은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 봉지를 간편하게 절취하여 절취된 부분을 통하여 그 속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음용 등을 할 수 있도록 비닐봉지의 몸체 중간에 절취홈 및 절취라인이 구성된 절취부가 몸체에 일체형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된 비닐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 음료, 한약재 추출액, 배 또는 포도 등에서 추출한 과즙, 양파에서 추출한 양파즙, 푸른 채소 등에서 추출한 녹즙 등은 공기 등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포장용 비닐봉지를 이용하여 밀폐 또는 진공 상태로 보관하고 있다가 음용 등 필요시에 도구 또는 손으로 적절하게 비닐봉지를 절취한 후 용기에 옮겨 담아 음용 하거나 비닐봉지에서 바로 음용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음료 등은 비닐봉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내용물의 산화 및 부패를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면서 한번에 음용하는 적정량을 하나의 팩(비닐봉지)에 수용함으로써 음용자가 음용시마다 적정량의 음료를 음용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료 등을 보관하는 종래기술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0009-009468호의 종래기술의 밀폐형 비닐봉지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에 형성되어 몸체부(100)의 내부공간부(120)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방하기 위한 절취부(11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양면으로 구성되고 테두리영역이 열융착되어 내부공간부(120)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110)는 상기 몸체부(100)의 테두리영역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절취홈(112a, 112b)과, 상기 한 쌍의 절취홈(112a, 112b)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절취라인(111)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의 상호 결합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부(120)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위가 실링(Sealing) 처리되어, 내부공간부(120)는 음료 등의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수용 보관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된다.
상기 한 쌍의 절취홈(112a, 112b)은 몸체부(100)의 상단 동일선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그 형상은 보편적으로 삼각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취부(11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절취부(110)의 상단을 손으로 잡고 절취부(110)를 절취하면 절취선은 어느 하나의 절취홈(112a 또는 112b)을 시작으로 하여 절취되면서 절취라인(111)을 따라 절취되고 마지막으로 다른 하나의 절취홈(112a 또는 112b)이 절취되면서 완전하게 절취부(110)가 절취되어 절취부(110)의 절취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비닐봉지는 비닐봉지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한번에 모두 음용하지 않고 시간 간격을 두고 음용해야 경우에는 음료의 일부만 음용된 비닐봉지를 비닐봉지를 평평한 장소 안치할 경우에는 파우치의 경우에는 파우치가 자립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파우치를 수평으로 안치하면 내용물이 절취부에서 파우치 외부로 세어나오는 현상 즉 누설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비닐봉지는 몸체부 폭 전부를 절취하게 되어 음용자가 비닐봉지에서 입으로 직접 음료를 음용하게 되면 음료를 흘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비닐봉지의 몸체 중간에 몸체에 일체형으로 외부로 돌출되고 몸체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는 연장편과 연장편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연장편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 구성되는 절취편으로 구성된 절취부를 구성하고, 이 절취부의 가장자리의 맞은 편에 절취홈을 각각 구성하고 절취홈을 연결하는 절취라인을 구성하여 절취편이 절취홈 및 절취라인을 통하여 절취되도록 하여 음용자가 절취편에서 직접 음용이 가능하게 하고, 일부 용용된 비닐봉지를 평평한 장소에 안치하더라도 음료가 절취된 부분에서 누설되지 아니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는 몸체 중간에 몸체에 일체형으로 외부로 돌출되고 절취되는 절취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취부는 절취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몸체의 포장필름이 2중이 되게 접어 열융착하여 형성된 절취융착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취융착부는 몸체의 포장필름이 2중이 되게 접힌 가장자리 전부를 열융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취융착부는 몸체의 포장필름이 2중이 되게 접힌 가장자리의 접힙부만 열융착을 하지 아니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취부는 몸체에 일체형으로 외부로 돌출되고 몸체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는 연장편과, 연장편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연장편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 구성되는 절취편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취편은 절취편의 테두리영역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절취홈과, 한 쌍의 절취홈 사이의 몸체 면에 형성되는 절취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는 일부가 용용된 비닐봉지를 평평한 장소에 안치하더라도 비닐봉지의 몸체 중간에 몸체에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절취편이 몸체보다 높게 안치되어 비닐봉지 내에 잔류하는 음료가 절취한 부분에서 유출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는 절취편이 비닐봉지의 몸체 중간에서 비닐봉지의 몸체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음용자가 절취편에서 직접 입으로 음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는 음료의 일부만 음용한 자립할 수 없는 파우치의 경우에도 보관에 있어서 구애를 받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의 비닐봉지 상태도.
도 2: 본 발명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의 사시도.
도 3: 본 발명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의 일부 단면도.
도 4: 본 발명 절취편의 접힘부에 절취융착부가 구성되지 아니한 상태도.
도 5: 본 발명을 자립형 봉지에 구성한 상태도.
도 6: 본 발명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로부터 사람이 음료를 음용하는 상태도.
도 7: 음료가 일부 음용된 본 발명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를 책상에 안치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절취편의 접힘부에 절취융착부가 구성되지 아니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을 자립형 봉지에 구성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로부터 사람이 음료를 음용하는 상태도 및 도 7은 음료가 일부 음용된 본 발명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를 책상에 안치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파우치형 비닐봉지(10) 외에 3방 비닐봉지 즉 자립형 비닐봉지(10')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비닐봉지의 몸체의 구조 및 형상 등은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10, 10')는 PP, PE 또는 PET 등의 재질로 된 다양한 종류의 비닐화합물의 비닐봉지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립형 비닐봉지(10'), 파우치형 비닐봉지(10) 등의 형상에 구애받지 아니하므로 다양한 재질 및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파우치형 비닐봉지(10)는 4면 가장자리가 열융착에 의한 열융착부가 형성되고, 자립형 비닐봉지(10')는 상부의 가장자리와 저부의 일부가 열융착에 의한 열융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자립형 비닐봉지(10')에 대한 열융착부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자립형 비닐봉지(10')의 제조 형태에 따라 상부의 가장자리와 측면의 일부로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자립형 비닐봉지(10')에 대한 열융착부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의 가장자리의 열융착부를 한정한다.
이하의 본 발명의 설명은 편의상 파우치형 비닐봉지(10)에 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10)는 내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30)가 구성된 포장용 비닐봉지(10)에 있어서 연장편(25)과 절취편(21)으로 구성된 절취부(20)가 구성되고, 상기 절취편(21)에는 절취홈(22) 및 절취라인(23)이 구성된다.
상기 몸체(30)는 제1몸체(30a) 및 제2몸체(3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30a)와 제2몸체(30b)의 가장자리를 열융착에 의하여 실링되는 열융착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공간부는 몸체(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내부에 음료 등을 보관하게 된다.
상기 열융착부는 중첩된 포장필름 즉 제1몸체(30a)와 제2몸체(30b)가 열융착되어 몸체(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포장필름 즉 몸체(30)들을 상호 결합하여 밀폐된 내부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열융착에 의하여 실링(Sealing) 처리된다.
한편, 상기 몸체(30)의 열융착부는 열융착을 비롯하여 내부공간부를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절취부(20)는 상기 몸체(30) 중간에 몸체(30)에 일체형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인위적으로 절취가 가능하며 절취되면 비닐봉지(10) 내부의 내용물이 절취된 절취부(2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절취부(20)의 절취는 절취부(20)의 테두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절취홈(22)과 절취부 몸체(30)에 형성되는 절취라인(23)이 구성되어 인위적으로 절취홈(22)과 절취라인(23)에 의하여 절취되며,이에 대한 것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절취부(20)는 절취부(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몸체(30)의 포장필름이 2중이 되게 접어 열융착하여 형성된 절취융착부(24)를 형성한 후 절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취용착부는 몸체(30)의 포장필름이 2중이 되게 접힌 절취부(20)의 가장자리 전부를 열융착된다.
상기 절취융착부(24)가 절취부(20)의 가장자리 전부에 형성된 경우에는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과 제2몸체(30b)의 포장필름이 열융착되어 다음에 설명하는 절취편(21)을 절취할 때 제1포장필름과 제2포장필름이 일체가 되어 절취편(21)을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으나 융착공정이 더 소요되어 제품의 생산비가 많이 소요된다.
상기 절취융착부(24)는 도 4와 같이절취부(20)의 절단된 가장자리만 열융착 즉 몸체(30)의 포장필름이 2중으로 접힌 가장자리의 접힙부(26) 만 열융착을 하지 아니한다.
상기 절취융착부(24)가 절취부(20)의 접힌 가장자리에만 형성된 경우에는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과 제2몸체(30b)의 포장필름이 접힌 가장자리는 열융착이 되지 아니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절취편(21)을 절취할 때 제1포장필름과 제2포장필름이 일체가 되지 아니하여 절취편(21)이 용이하게 절취할 수 없으나 융착공정이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비가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절취부(20)는 형성되는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을 접어서 2겹으로 접힌 일부분을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을 제1몸체(30a) 외부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된다.
상기 절취부(20)를 제조과정에서 형성하는 방법은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과 제2몸체(30b)의 포장필름을 비닐봉지 제조장치에 삽입할 때 제1몸체(30a)와 절취부(20)를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의 한 장의 일체형으로 구성하게 되므로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을 제2몸체(30b)의 포장필름보다 비닐봉지 제조장치에의 삽입속도를 빠르게 한다.
상기 절취부(20)를 형성하는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의 공급량을 제2몸체(30b)의 포장필름 의 공급량보다 더 많이 공급 즉 절취부(20)에 필요한 포장필름량 만큼 더 공급하여 절취부(20)가 형성되는 접힘부(26)를 형성한 후 그 이후에는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과 제2몸체(30b)의 포장필름은 접촉되어 동일한 속도로서 제조하게 된다.
상기 접힘부(26)를 형성하는 공정은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이 공급되면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제1몸체(30a) 포장필름을 흡입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상부 이동된 제1몸체(30a) 포장필름과 상부로 이동되지 아니한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 사이에 평판으로 된 접힘판을 삽입하거나 또는 그냥 제1몸체(30a) 포장필름을 전방으로 이송시킨 후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를 하강시킨 후 평판의 가압프레스로 접힘부(26)를 약간 가압하여 구성한다.
상기 접힘부(26)가 형성된 이후의 공정 즉 몸체(30)의 가장자리를 열융착하는 공정, 절취부(20)의 가장자리를 열융착하는 공정, 열융착된 몸체(30)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열융착부를 형성하는 몸체형성 절단공정, 열융착된 절취부(20)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절취융착부(24)를 형성하는 절취부형성 절단공정, 다음에 설명하는 절취부(20) 즉 절취편(21)에 절취홈(22)을 형성하기 위한 절취홈 절단공정 등은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과 제2몸체(30b)의 포장필름이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면서 실시되는 것이다.
상기 절취융착부(24)는 중첩된 포장필름 즉 제1절취편(21a)과 제2절취편(21b)가 열융착되고, 중첩되는 연장편(25)의 포장필름도 열융착되어 절취부(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포장필름을 상호 결합하여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열융착에 의하여 실링(Sealing) 처리된다.
한편, 상기 절취융착부(24)도 열융착을 비롯하여 공간부를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절취부(20)는 연장편(25)과 절취편(21)이 구성되는데 상기 연장편(25)은 몸체(30)에 일체형으로 외부로 돌출되고 몸체(3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취편(21)은 연장편(25)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연장편(25)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되어 구성되어 절취편(21)의 일부가 절취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돌출편이 몸체(30)의 외부로 돌출구성되는데 상세하게는 연장편(25)이 몸체(30)의 외부로 도출 구성되고, 절취편(21)은 몸체(30)의 외부로 돌출된 연장편(25)에서 더 돌출됨으로서 절취편(21)이 비닐봉지(10)의 몸체(30) 중간에서 비닐봉지(10)의 몸체(30)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음용자가 절취편(21)에서 입으로 직접 음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절취편(21)에는 절취홈(22)과 절취라인(23)이 구성되는데 절취홈(22)은 절취편(21)의 테두리영역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절취라인(23)은 한 쌍의 절취홈(22) 사이의 몸체(30) 면에 요홈의 직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취편(21)은 외부의 힘에 의하여 절취홈(22)과 절취라인(23)에서 절취되어 절취편(21)의 일부 즉 절취편(21)의 상부가 분리되어 절취된다.
상기 절취홈(22)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절취홈(22)은 몸체부의 상단 동일선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그 형상은 삼각홈을 비롯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나 삼각홈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취부(20)는 절취융착부(24)의 테두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절취을 구성할 수 있으며, 절취라인(23)의 선상 끝에 배치된다.
상기 절취부(20)의 절취용착부와 몸체(30)의 열융착부를 한번에 씰링장치로서 융착하거나 각각 별도로 융착할 수 있다.
상기 절취융착부(24)와 열융착부를 한 번의 씰링으로 융착할 경우에는 절취부(20)가 구성되지 아니한 열융착부는 양호하게 씰링되나 절취융착부(24)는 절취부(20)의 포장필름과 몸체(30)의 포장필름이 겹으로 구성되므로 융착이 양호하게 되지 않을 수가 있으므로 절취용착부는 두 번 또는 세 번의 씰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절취부(20)를 형성방법은 절취부(20)의 절취융착부(24)가 융착된 후에 절취용착부와 제1몸체(30a) 사이에 평판의 지지금형을 삽입한 후 절취부(20)의 형상으로된 절단날이 형성된 절단금형을 하강시켜 절단한다.
상기 절취부(20)가 형성된 후 몸체(30)의 열융착부를 절단하거나 몸체(30)의 열융착부를 절단한 후 절취부(20)가 형성되게 절단 즉 절취부 형성공정과 절취융착부(24)의 형성공정은 어느 것을 선행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몸체(30)를 형성하기 위한 열융착부의 절단은 공지의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절취홈(22)의 삼각홈일 경우에는 절취융착부(24)에 삼각홈의 일각이 위치되어 인위적으로 절취홈(22)을 절취할 때 절취홈(22)에 가하는 힘이 이 일각에 집중되므로 절취편(21)의 절취가 용이하다.
상기 절취라인(23)은 제1몸체(30a) 및 제2몸체(30b)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몸체(30a) 및 제2몸체(30b) 모두에 형성될 수 있고, 제1몸체(30a) 및 제2몸체(30b)의 가로방향으로 내부면에 형성되거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실선으로 구성되거나 일정 간격의 점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라인(23)은 포장필름에 일정 깊이로 형성하되 포장필름 두께의 1/3∼2/3의 깊이로 형성되며 이 깊이일 때 절취작업이 가장 용이할 뿐 아니라 일정 외력에 의한 절취라인(23)의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절취라인(23)이 실선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포장필름에 절취라인(23)의 형성시 절취작업이 용이하나 불량률이 높고, 점선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절취작업이 어려우나 불량률이 낮다.
이러한 절취라인(23)으로 인하여 절취부(20) 즉 절취편(21)의 절취작업이 용이하고, 절취라인(23)의 형성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절취라인(23)이 몸체(30)의 내부에 형성될 경우에는 절취편(21)의 절취가 용이하나 포장필름의 내면에 절취라인(23)을 형성한 후 포장필름을 중첩하여야 하므로 생산 공정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상기 포장필름의 외면은 포장에 대한 내용물, 제품명, 보관 및 음용 주의사항, 생산업체 등 포장 내용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으면서 외면이 코팅처리되어 절취라인(23)이 몸체(30)의 외부에 형성될 경우에는 포장필름을 중첩한 후 포장필름의 외면에 절취라인(23)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때 절취라인(23)의 깊이가 포장필름의 외면이 코팅처리된 코팅의 깊이에 따라 상이하게 되므로 생산은 용이하나 절취라인(23)의 불량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절취부(20)는 제1몸체(30a)의 포장필름과 제2몸체(30b)의 포장필름을 접어서 가장자리를 열융착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는 몸체(30)의 내부공간부와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취부(20) 즉 절취편(21)의 상부가 절취홈(22) 및 절취라인(23)을 따라서 절취되면 몸체(30)의 내부공간부에 충진되 내용물이 절취부(20)의 공간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돌출 절취부(20)가 구비된 비닐봉지(10)는 일부의 음료가 남아 있는 비닐봉지(10)를 도 7과 같이 식탁, 싱크대판 등과 같이 평평한 장소에 안치하더라도 절취편(21)이 몸체(30)보다 높게 안치되어 비닐봉지(10) 내에 잔류하는 음료가 절취한 부분에서 유출되지 아니하고, 절취편(21)이 비닐봉지(10)의 몸체(30) 중간에서 비닐봉지(10)의 몸체(30)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도 6과 같이 음용자가 절취편(21)에서 직접 입으로 음용이 가능하고, 음료의 일부만 음용된 자립할 수 없는 파우치도 보관에 있어서 구애를 받지 아니한다.
10, 10': 비닐봉지 20: 절취부
21: 절취편 21a: 제1절취편
21b: 제2절취편 22: 절취홈
23: 절취라인 24: 절취융착부
25: 연장편 26: 접힙부
30: 몸체 30a: 제1몸체
30b: 제2몸체

Claims (6)

  1. 내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가 구성된 포장용 비닐봉지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간에 일체형으로 외부로 돌출되고 몸체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는 연장편과, 연장편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연장편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 구성되는 절취편으로 구성되는 절취부가 구성되고;
    상기 절취부는 가장자리가 융착되게 2중의 포장필름을 열융착하여 형성된 절취융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절취편은 테두리영역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절취홈과, 한 쌍의 절취홈 사이의 몸체 면에 형성되는 절취라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취홈 및 절취라인으로 절취편의 일부가 절취되면 비닐봉지 내부의 내용물이 절취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융착부는 절취부의 절단된 가장자리만 열융착하고 몸체의 포장필름이 2중으로 접힌 접힙부는 열융착을 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5. 삭제
  6. 삭제
KR1020110123655A 2011-11-24 2011-11-24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KR10131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55A KR101314284B1 (ko) 2011-11-24 2011-11-24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55A KR101314284B1 (ko) 2011-11-24 2011-11-24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54A KR20130057754A (ko) 2013-06-03
KR101314284B1 true KR101314284B1 (ko) 2013-10-02

Family

ID=4885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655A KR101314284B1 (ko) 2011-11-24 2011-11-24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2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177U (ko) * 1999-03-16 1999-08-05 이상돈 식 음료용 팩 용기
JP3605306B2 (ja) * 1998-12-22 2004-12-22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包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5306B2 (ja) * 1998-12-22 2004-12-22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包装体
KR19990033177U (ko) * 1999-03-16 1999-08-05 이상돈 식 음료용 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54A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60264B (zh) 片材容器
US5660477A (en) Liqui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722254B2 (en) Flexible pouch and method of forming a flexible pouch
JP5104073B2 (ja) エアバッグ付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2007118961A (ja)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RU2011147470A (ru) Безвредная для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емкость для жидкост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7018964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 flexible pouch with improved side seam
CN106458415A (zh) 包装袋
US20150360839A1 (en) Flexible pouch with pressure relief valve
JP6892817B2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
ITMI20100205A1 (it) Confezione flessibile particolarmente per prodotti liquidi
JP7110555B2 (ja) 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
KR101314284B1 (ko) 돌출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JP2018024472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形成用のガゼット袋体
US6854490B2 (en) Flexible pouch with self-contained straw and method of forming
JP6900646B2 (ja) 包装袋
JP6263947B2 (ja) 包装体の製造方法
KR101218350B1 (ko)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WO2015146205A1 (ja) パウチ容器用包材およびパウチ容器の製造方法
JP6902836B2 (ja) 注出口付き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44140A (ko) 음료 포장용 비닐팩의 제조방법
JP2915407B2 (ja) 自立袋及び自立性包装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自立袋の製造装置
JP6728593B2 (ja) 自立包装袋
JP2015231850A (ja) 包装体および製袋充填包装機
KR101543355B1 (ko) 스파우트를 구비한 파우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