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479A - 종이 용기 - Google Patents

종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479A
KR20190135479A KR1020197028070A KR20197028070A KR20190135479A KR 20190135479 A KR20190135479 A KR 20190135479A KR 1020197028070 A KR1020197028070 A KR 1020197028070A KR 20197028070 A KR20197028070 A KR 20197028070A KR 20190135479 A KR20190135479 A KR 20190135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runk
panels
paper container
fol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587B1 (ko
Inventor
코우야 나카무라
카즈히데 오노무라
에이이치 아소이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5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4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outwardly or adhered to the side or the to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present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6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12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collapsing and flattening the mouth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securing without folding,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heat-sealing, welding or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과제] 잡았을 때의 미끄러져 떨어짐을 방지하고 들기(쥐기) 쉽게 하며, 나아가서는 보관·반송 등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없는 종이 용기를 얻는다.
[해결 수단]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3), (4)을 거쳐 연접하고 있는 몸통부 정면 패널(5), 몸통부 좌우 측면 패널(6), (8), 몸통부 배면 패널(7)을 구비하고, 세로방향 씰 패널(25)에 의해서 사각의 통모양 몸통부(26)가 형성되는 종이 용기에 있어서, 몸통부 정면 패널(5)과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이 연접하는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및 몸통부 배면 패널(7)과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이 연접하는 몸통부 세로 접는선(3), (4)을, 몸통부 정면 패널(5)의 중앙 방향 및 몸통부 배면 패널(7)의 중앙 방향을 향해 각각 굴곡되는 대략 대칭 형상의 굴곡선으로 했다.

Description

종이 용기
본 발명은, 우유나 주스 등의 액체 음료를 수용하는 플랫 톱형 상부(頂部)를 가지는 종이 용기(벽돌형의 종이 용기를 포함한다.)나 박공지붕(gabel roof, 맞배지붕)형 상부를 가지는 종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4개의 몸통부 패널을 구비하고, 세로방향 씰 패널의 씰에 의해서 사각의 통모양으로 형성된 몸통부 위에, 한 쌍의 상면(頂面) 패널과, 그의 내측으로 접어넣어지는 한 쌍의 측면 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상부를 가지고, 상기 몸통부 아래에 한 쌍의 바닥면 패널과, 그의 내측으로 접어넣어지는 한 쌍의 내면 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바닥부를 가지는 플랫 톱형의 종이 용기나, 한 쌍의 박공지붕 형성 패널과, 그의 내측으로 접어넣어지는 한 쌍의 박공벽(gabel wall) 형성 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상부를 가지고, 몸통부 아래에 한 쌍의 바닥면 패널과, 그의 내측으로 접어넣어지는 한 쌍의 내면 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바닥부를 가지는 박공지붕형(게이블 톱형(gabel top type))의 종이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종이 용기는, 일반적으로 사각의 통모양으로 형성된 몸통부의 각 몸통부 패널은 어느 것이나 평면으로 되어 있고, 종이 용기의 몸통부를 잡았을 때에 손가락에 걸리는 곳이 없기 때문에 불안정하고 들기(쥐기) 어렵고, 특히, 종이 용기의 용량이 큰 경우나 결로에 의해 표면에 물방울이 붙어 있는 바와 같은 경우, 미끄러져서 손에서 떨어뜨려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태에 대응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종이 용기로서, 몸통부의 각 몸통부 패널에, 바닥부와 평행하게 돌기가 형성되고, 인접하는 각 몸통부 패널이 교차하는 모서리부, 즉 능선부와 그 근방에 있어서 돌기와 연속되는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된 종이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이 용기는, 몸통부의 각 몸통부 패널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서 잡기 쉬워, 미끄러지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7-55637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이 용기에서는, 몸통부의 각 몸통부 패널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서 잡기 쉽게 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돌기가 종이 용기의 몸통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 용기의 보관·반송시에 돌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미끄러짐 방지는 돌기의 돌출 높이에 좌우되며, 돌기의 높이가 낮으면 잡았을 때에 미끄러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미끄러짐 방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당연한 결과로(자연히) 돌기의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돌기의 높이를 높게 하면, 예를 들면, 종이 용기를 배열했을 때 종이 용기 사이에 큰 틈새가 생겨 버리기 때문에, 종이 용기의 보관량, 반송량이 줄어들고, 종이 용기의 보관·반송 등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잡았을 때의 미끄러져 떨어짐(滑落, slipping)을 방지하여 들기(쥐기) 쉽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보관·반송 등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없는 종이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표리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적층한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고, 몸통부 세로 접는선을 거쳐 연접(connect)하고 있는 몸통부 정면 패널,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 몸통부 배면 패널을 구비하고, 세로방향 씰 패널에 의해서 사각의 통모양 몸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상단에 상부 가로 접는선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의 상단에 상부 가로 접는선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패널이 연접하고, 상기 한 쌍의 상면 패널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패널이 접어넣어지고 씰되어 밀봉되는 것에 의해서 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하단에 바닥부 가로 접는선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바닥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의 하단에 바닥부 가로 접는선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내면 패널이 연접하고, 상기 한 쌍의 바닥면 패널과 상기 한 쌍의 내면 패널이 접어넣어지고 씰되어 밀봉되는 것에 의해서 바닥부가 형성되는 종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이 연접하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이 연접하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은,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의 중앙 방향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중앙 방향을 향해 각각 굴곡되는 대략 대칭 형상의 굴곡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의 굴곡 상부는,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세로방향 중앙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에는 각각 그의 중앙부 세로방향에, 바깥접기(山折)되는 세로 접는선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상단에 연접하고 있는 상면 패널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하단에 연접한 바닥면 패널은, 그 면의 중앙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이분할되고, 분할된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 상기 상면 패널 및 상기 바닥면 패널의 분할편의 한쪽 분할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세로방향 씰 패널이 연접하고, 상기 세로방향 씰 패널이 다른 쪽 분할 가장자리에 씰되어 상기 사각의 통모양 몸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종이 용기에 의하면,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이 연접하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이 연접하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은,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의 중앙 방향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중앙 방향을 향해 각각 굴곡되는 대략 대칭 형상의 굴곡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굴곡선으로 되어 있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을 거쳐 연접하고 있는 몸통부 정면 패널,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 몸통부 배면 패널에 의해서 형성된 통모양 몸통부에 있어서, 몸통부 정면 패널과 몸통부 배면 패널은,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의 굴곡 각도에 따라, 대향하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의 굴곡 상부 사이의 부위가 바깥쪽으로 굴곡된 볼록면으로 되고,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은,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의 굴곡 각도에 따라, 대향하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의 굴곡 상부 사이의 부위가 안쪽으로 굴곡된 오목면으로 된다.
그리고, 종이 용기를 들(쥘) 때에는, 상기 통모양 몸통부의 오목면으로 된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을 잡는 것에 의해,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의 오목면의 상측면이 손가락에 실리는 바와 같은 형태로 걸어고정(係止)되므로, 종이 용기를 잡았을 때의 미끄러져 떨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종이 용기를 세게 잡는 일없이 용이하게 들 수 있다.
또, 통모양 몸통부의 몸통부 정면 패널, 몸통부 배면 패널로의 밖으로부터의 누름(押壓)이나, 통모양 몸통부의 내압(內壓) 등에 의해, 오목면으로 되어 있던 상기 몸통부 좌우 패널이 밀려나오고, 상기 몸통부 좌우 패널의 중앙부 세로방향이 대략 직선모양으로 된 경우라도, 상기 몸통부 좌우 패널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의 굴곡 상부 사이의 부위를 누르도록 잡는 것에 의해, 상기 몸통부 좌우 패널은 탄성 변형해서 오목면으로 변형하므로, 종이 용기를 용이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모양 몸통부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이 용기와 같은 돌기가 없으므로, 종이 용기의 보관이나 반송 등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는 없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의 굴곡 상부는,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세로방향 중앙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종이 용기를 안정된 상태로 들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에는 각각 그의 중앙부 세로방향에, 바깥접기되는 세로 접는선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기부가 리브로 되어 수용한 액체 음료의 중량에 의한 몸통 부풀어오름(胴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종이 용기를 들 때에는, 상기 통모양 몸통부의 상기 몸통부 좌우 패널의 상기 돌기부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의 굴곡 상부 사이의 부위를 밀어넣도록 잡는 것에 의해, 상기 몸통부 좌우 패널은 탄성 변형해서 오목면으로 변형하므로, 종이 용기를 용이하게 들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상단에 연접하고 있는 상면 패널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하단에 연접한 바닥면 패널은, 그 면의 중앙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이분할되고, 분할된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 상기 상면 패널 및 상기 바닥면 패널의 분할편의 한쪽 분할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세로방향 씰 패널이 연접하고, 상기 세로방향 씰 패널이 다른쪽 분할 가장자리에 씰되어 상기 사각의 통모양 몸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각의 통모양 몸통부의 형성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종이 용기의 실시 형태의 제1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예의 종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예의 종이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부 생략 A-A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예의 종이 용기의 오목면모양으로 되어 있던 몸통부 좌우 패널이 밀려나오고, 몸통부 좌우 패널의 세로방향 중앙부가 대략 직선모양으로 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1 예의 종이 용기를 조립하는 카톤 블랭크스(carton blanks)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된 종이 용기의 실시 형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예의 종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2 예의 종이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일부 생략 B-B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예의 종이 용기의 몸통부 좌우 패널을 밀어넣어 오목면모양으로 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2 예의 종이 용기를 조립하는 카톤 블랭크스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된 종이 용기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6은 본 발명에 관계된 종이 용기의 실시 형태의 제1 예를 도시하며, 도 1은 제1 예의 종이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1 예의 종이 용기의 정면도, 도 3은 제1 예의 종이 용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일부 생략 A-A 확대 단면도, 도 5는 제1 예의 종이 용기의 오목면모양으로 되어 있던 몸통부 좌우 패널이 밀려나오고, 몸통부 좌우 패널의 세로방향 중앙부가 대략 직선모양으로 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제1 예의 종이 용기를 조립하는 카톤 블랭크스의 전개도이다.
제1 예의 종이 용기는, 상부가 플랫 톱형의 종이 용기이며, 도 6에 도시되는 전개 구조를 가지는 카톤 블랭크스에 의해서 조립된다.
제1 예의 종이 용기를 조립하는 카톤 블랭크스는, 표리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적층한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고,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3, 4)을 거쳐 몸통부 정면 패널(5), 몸통부 좌측면 패널(6), 몸통부 배면 패널(7),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이 연접하고 있다.
몸통부 정면 패널(5)과 몸통부 배면 패널(7)의 상단에는, 상부 가로 접는선(9, 10)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면 패널(11, 12)이 연접하고, 몸통부 좌측면 패널(6)과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의 상단에는, 상부 가로 접는선(13, 14)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패널(15, 16)이 연접하고 있다.
또, 몸통부 정면 패널(5)과 몸통부 배면 패널(7)의 하단에는, 바닥부 가로 접는선(17, 18)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바닥면 패널(19, 20)이 연접하고, 몸통부 좌측면 패널(6)과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의 하단에는, 바닥부 가로 접는선(21, 22)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내면 패널(23, 24)이 연접하고 있다.
또, 몸통부 배면 패널(7)의 상단에 연접한 상면 패널(12), 몸통부 배면 패널(7)의 하단에 연접한 바닥면 패널(20)은, 그 면의 중앙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이분할되고, 분할된 한쪽의 몸통부 배면 패널(7a), 상면 패널(12a), 바닥면 패널(20a)의 분할 가장자리에, 다른쪽의 몸통부 배면 패널(7b), 상면 패널(12b), 바닥면 패널(20b)의 분할 가장자리에 씰되는 세로방향 씰 패널(25)이 연접하고 있다.
또, 몸통부 정면 패널(5)과 몸통부 좌측면 패널(6),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이 연접하는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은, 몸통부 정면 패널(5)의 중앙 방향을 향해 대략 쉐브론(く字)모양으로 굴곡되는 대략 대칭 형상의 굴곡선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몸통부 배면 패널(7)과 몸통부 좌측면 패널(6),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이 연접하는 몸통부 세로 접는선(3, 4)도, 몸통부 배면 패널(7)의 중앙 방향을 향해 대략 쉐브론모양으로 굴곡되는 대략 대칭 형상의 굴곡선으로 되어 있다.
또, 제1 예에서는, 굴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3, 4)의 각각의 굴곡 상부(T)는, 몸통부 정면 패널(5) 및 몸통부 배면 패널(7)의 세로방향 중앙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개 구조를 가지는 카톤 블랭크스에 의한 본 예의 종이 용기의 조립은, 먼저,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3, 4)을 바깥접기하고, 분할된 한쪽의 몸통부 배면 패널(7a), 상면 패널(12a), 바닥면 패널(20a)의 분할 가장자리에 연접하고 있는 세로방향 씰 패널(25)을 다른쪽의 몸통부 배면 패널(7b), 상면 패널(12b), 바닥면 패널(20b)의 분할 가장자리에 씰하는 것에 의해, 사각의 통모양 몸통부(26)를 형성한다.
다음에, 몸통부 정면 패널(5) 및 몸통부 배면 패널(7)의 하단에 연접하고 있는 한 쌍의 바닥면 패널(19, 20)과, 통모양 몸통부(26)에 있어서의 몸통부 좌측면 패널(6) 및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의 하단에 연접하고 있는 한 쌍의 내면 패널(23, 34)을 접어넣고 씰해서 밀봉하는 것에 의해서 바닥부(27)를 형성한다.
그리고, 액체 음료의 충전 후, 몸통부 정면 패널(5) 및 몸통부 배면 패널(7)의 상단에 연접하고 있는 한 쌍의 상면 패널(11, 12)과, 몸통부 좌측면 패널(6)과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의 상단에 연접하고 있는 한 쌍의 측면 패널(15, 16)을 접어넣고 씰해서 밀봉하는 것에 의해서 상부(28)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조립된 종이 용기에 의하면, 몸통부 정면 패널(5)과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이 연접하는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및 몸통부 배면 패널(7)과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이 연접하는 몸통부 세로 접는선(3, 4)은, 몸통부 정면 패널(5)의 중앙 방향 및 몸통부 배면 패널(7)의 중앙 방향을 향해 각각 굴곡되는 대략 대칭 형상의 굴곡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3, 4)을 거쳐 연접하고 있는 몸통부 정면 패널(5),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 몸통부 배면 패널(7)에 의해서 형성된 통모양 몸통부(26)에 있어서, 몸통부 정면 패널(5)은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의 굴곡 각도에 따라,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의 굴곡 상부(T) 사이의 부위가 바깥쪽으로 굴곡된 볼록면(X)으로 되고, 몸통부 배면 패널(7)은, 몸통부 세로 접는선(3, 4)의 굴곡 각도에 따라, 몸통부 세로 접는선(3, 4)의 굴곡 상부(T) 사이의 부위가 바깥쪽으로 굴곡된 볼록면(X)으로 된다(도 3 참조.).
또, 몸통부 좌측면 패널(6)은, 몸통부 세로 접는선(2, 3)의 굴곡 각도에 따라, 몸통부 세로 접는선(2, 3)의 굴곡 상부(T) 사이의 부위가 안쪽으로 굴곡된 오목면(Y)으로 되고,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은, 몸통부 세로 접는선(1, 4)의 굴곡 각도에 따라, 몸통부 세로 접는선(1, 4)의 굴곡 상부(T) 사이의 부위가 안쪽으로 굴곡된 오목면(Y)으로 된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통모양 몸통부(26)의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이 오목면(Y)으로 되므로, 종이 용기를 들(쥘) 때에, 통모양 몸통부(26)의 오목면(Y)으로 된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을 잡는 것에 의해,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의 오목면(Y)의 상측면이 손가락에 실리는 바와 같은 형태로 걸어고정되므로, 종이 용기를 잡았을 때의 미끄러져 떨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통모양 몸통부(26)의 몸통부 정면 패널(5), 몸통부 배면 패널(7)로의 밖으로부터의 누름이나, 통모양 몸통부(26)의 내압 등에 의해, 오목면(Y)으로 되어 있던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이 밀려나오고,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의 중앙부 세로방향이 대략 직선모양으로 된 경우라도(도 5 참조.), 몸통부 좌측면 패널(6)에 있어서의 몸통부 세로 접는선(2, 3)의 굴곡 상부(T) 사이의 부위와 몸통부 우측면 패널(8)에 있어서의 몸통부 세로 접는선(1, 4)의 굴곡 상부(T) 사이의 부위를 누르도록 잡는 것에 의해,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은 탄성 변형해서 오목면(Y)으로 변형하므로, 종이 용기를 용이하게 들 수 있다.
또, 제1 예에서는, 굴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3, 4)의 각각의 굴곡 상부(T)는, 몸통부 정면 패널(5) 및 몸통부 배면 패널(7)의 세로방향 중앙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종이 용기를 안정된 상태로 들 수 있다.
도 7∼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된 종이 용기의 실시 형태의 제2 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예의 종이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제2 예의 종이 용기의 정면도, 도 9는 제2 예의 종이 용기의 측면도, 도 10은 도 8의 일부 생략 B-B 확대 단면도, 도 11은 제2 예의 종이 용기의 몸통부 좌우 패널을 밀어넣어 오목면모양으로 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 설명도, 도 12는 제2 예의 종이 용기를 조립하는 카톤 블랭크스의 전개도이다.
제2 예의 종이 용기에 대해서, 제1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 예의 종이 용기는, 제1 예와 마찬가지로 상부가 플랫 톱형의 종이 용기이며, 도 12에 도시되는 전개 구조를 가지는 카톤 블랭크스에 의해서 조립된다.
제2 예의 종이 용기를 조립하는 카톤 블랭크스는, 몸통부 좌측면 패널(6)에, 그의 중앙부 세로방향에, 상부 가로 접는선(13)과 바닥부 가로 접는선(21)에 연결되고 바깥접기되어 돌기부(29)를 형성하는 세로 접는선(30)이 마련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몸통부 우측면 패널(8)에도, 그의 중앙부 세로방향에, 상부 가로 접는선(14)과 바닥부 가로 접는선(22)에 연결되고 바깥접기되어 돌기부(31)를 형성하는 세로 접는선(32)이 마련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6에 도시하는 제1 예의 카톤 블랭크스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전개 구조를 가지는 카톤 블랭크스에 의한 본 예의 종이 용기의 조립은, 먼저, 몸통부 좌측면 패널(6)에 마련되어 있는 상부 가로 접는선(13)과 바닥부 가로 접는선(21)에 연결되는 세로 접는선(30)을 바깥접기하고, 몸통부 좌측면 패널(6)의 중앙부 세로방향에 돌기부(29)를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몸통부 우측면 패널(8)에 마련되어 있는 상부 가로 접는선(13)과 바닥부 가로 접는선(21)에 연결되는 세로 접는선(32)을 바깥접기하고,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의 중앙부 세로방향에 돌기부(31)를 형성한다.
다음에, 제1 예와 마찬가지로,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3, 4)을 바깥접기하고, 분할된 한쪽의 몸통부 배면 패널(7a), 상면 패널(12a), 바닥면 패널(20a)의 분할 가장자리에 연접하고 있는 세로방향 씰 패널(25)을 다른쪽의 몸통부 배면 패널(7b), 상면 패널(12b), 바닥면 패널(20b)의 분할 가장자리에 씰하는 것에 의해, 사각의 통모양 몸통부(26)를 형성한다.
다음에, 몸통부 정면 패널(5) 및 몸통부 배면 패널(7)의 하단에 연접하고 있는 한 쌍의 바닥면 패널(19, 20)과, 통모양 몸통부(26)에 있어서의 몸통부 좌측면 패널(6) 및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의 하단에 연접하고 있는 한 쌍의 바닥면 패널(23, 34)을 접어넣고 씰해서 밀봉하는 것에 의해서 바닥부(27)를 형성한다.
그리고, 액체 음료의 충전 후, 몸통부 정면 패널(5) 및 몸통부 배면 패널(7)의 상단에 연접하고 있는 한 쌍의 상면 패널(11, 12)과, 몸통부 좌측면 패널(6)과 몸통부 우측면 패널(8)의 상단에 연접하고 있는 한 쌍의 측면 패널(15, 16)을 접어넣고 씰해서 밀봉하는 것에 의해서 상부(28)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조립된 종이 용기에 의하면, 몸통부 정면 패널(5)과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이 연접하는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및 몸통부 배면 패널(7)과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이 연접하는 몸통부 세로 접는선(3, 4)은, 몸통부 정면 패널(5)의 중앙 방향 및 몸통부 배면 패널(7)의 중앙 방향을 향해 각각 굴곡되는 대략 대칭 형상의 굴곡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 3, 4)을 거쳐 연접하고 있는 몸통부 정면 패널(5),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 몸통부 배면 패널(7)에 의해서 형성된 통모양 몸통부(26)에 있어서, 몸통부 정면 패널(5)은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의 굴곡 각도에 따라, 몸통부 세로 접는선(1, 2)의 굴곡 상부(T) 사이의 부위가 바깥쪽으로 굴곡된 볼록면(X)으로 되고, 몸통부 배면 패널(7)은, 몸통부 세로 접는선(3, 4)의 굴곡 각도에 따라, 몸통부 세로 접는선(3, 4)의 굴곡 상부(T) 사이의 부위가 바깥쪽으로 굴곡된 볼록면(X)으로 된다(도 9 참조.).
또, 몸통부 좌측면 패널(6)은, 세로 접는선(30)을 바깥접기하는 것에 의해 마련된 돌기부(29)에 의해, 그의 중앙부 세로방향이 대략 직선모양으로 되고, 그리고, 몸통부 좌측면 패널(8)도, 세로 접는선(32)을 바깥접기하는 것에 의해 마련된 돌기부(31)에 의해, 그의 중앙부 세로방향이 대략 직선모양으로 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에는 각각 그의 중앙부 세로방향에 마련된 돌기부(29)가 리브로 되고, 수용한 액체 음료의 중량에 의한 통모양 몸통부(26)의 몸통 부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종이 용기를 들 때에는, 몸통부 좌측면 패널(6)에 있어서의 몸통부 세로 접는선(2, 3)의 굴곡 상부(T) 사이의 부위와 몸통부 우측면 패널(8)에 있어서의 몸통부 세로 접는선(1, 4)의 굴곡 상부(T) 사이의 부위를 누르도록 잡는 것에 의해,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6, 8)은 탄성 변형해서 오목면(Y)으로 변형하므로(도 11 참조.), 종이 용기를 용이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제1 예, 제2 예의 종이 용기는, 어느 것이나 상부가 플랫 톱형의 종이 용기이지만, 본 발명은 박공지붕형(게이블 톱형)의 종이 용기에도 실시할 수 있다.
1, 2, 3, 4: 몸통부 세로 접는선
5: 몸통부 정면 패널
6: 몸통부 좌측면 패널
7: 몸통부 배면 패널
7a: 분할된 한쪽의 몸통부 배면 패널
7b: 분할된 다른쪽의 몸통부 배면 패널
8: 몸통부 우측면 패널
9, 10: 상부 가로 접는선
11, 12: 상면 패널
12a: 한쪽의 상면 패널
12b: 다른쪽의 상면 패널
13, 14: 상부 가로 접는선
15, 16: 측면 패널
17, 18: 바닥부 가로 접는선
19, 20: 바닥면 패널
20a: 한쪽의 바닥면 패널
20b: 다른쪽의 바닥면 패널
21, 22: 바닥부 가로 접는선
23, 24: 내면 패널
25: 세로방향 씰 패널
26: 통모양 몸통부
27: 바닥부
28: 상부
29: 돌기부
30: 세로 접는선
31: 돌기부
32: 세로 접는선
T: 굴곡 상부
X: 볼록면
Y: 오목면

Claims (4)

  1. 표리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적층한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고, 몸통부 세로 접는선을 거쳐 연접하고 있는 몸통부 정면 패널,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 몸통부 배면 패널을 구비하고, 세로방향 씰 패널에 의해서 사각의 통모양 몸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상단에 상부 가로 접는선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의 상단에 상부 가로 접는선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패널이 연접하고, 상기 한 쌍의 상면 패널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패널이 접어넣어지고 씰되어 밀봉되는 것에 의해서 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하단에 바닥부 가로 접는선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바닥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의 하단에 바닥부 가로 접는선을 거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내면 패널이 연접하고, 상기 한 쌍의 바닥면 패널과 상기 한 쌍의 내면 패널이 접어넣어지고 씰되어 밀봉되는 것에 의해 바닥부가 형성되는 종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이 연접하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과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이 연접하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은,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의 중앙 방향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중앙 방향을 향해 각각 굴곡되는 대략 대칭 형상의 굴곡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굴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몸통부 세로 접는선의 굴곡 상부는, 상기 몸통부 정면 패널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세로방향 중앙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좌우측면 패널에는 각각 그의 중앙에 위치되어 세로방향에, 바깥접기되는 세로 접는선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상단에 연접하고 있는 상면 패널 및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의 하단에 연접한 바닥면 패널은, 그 면의 중앙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이분할되고, 분할된 상기 몸통부 배면 패널, 상기 상면 패널 및 상기 바닥면 패널의 분할편의 한쪽 분할 가장자리에 각각 상기 세로방향 씰 패널이 연접하고, 상기 세로방향 씰 패널이 다른쪽 분할 가장자리에 씰되어 상기 사각의 통모양 몸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용기.
KR1020197028070A 2017-03-31 2018-03-27 종이 용기 KR102349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0072A JP6618085B2 (ja) 2017-03-31 2017-03-31 紙容器
JPJP-P-2017-070072 2017-03-31
PCT/JP2018/012448 WO2018181321A1 (ja) 2017-03-31 2018-03-27 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479A true KR20190135479A (ko) 2019-12-06
KR102349587B1 KR102349587B1 (ko) 2022-01-10

Family

ID=6367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070A KR102349587B1 (ko) 2017-03-31 2018-03-27 종이 용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014703B2 (ko)
EP (1) EP3604151B1 (ko)
JP (1) JP6618085B2 (ko)
KR (1) KR102349587B1 (ko)
CN (1) CN110446661B (ko)
DK (1) DK3604151T3 (ko)
ES (1) ES2929114T3 (ko)
MY (1) MY200259A (ko)
PH (1) PH12019502225A1 (ko)
PL (1) PL3604151T3 (ko)
SG (1) SG11201909031WA (ko)
TW (1) TWI752206B (ko)
WO (1) WO2018181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5196S1 (en) * 2018-06-14 2021-04-0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and packaging sheet for foodstuff
BR112021002030A2 (pt) * 2018-08-06 2021-05-0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embalagem cartonada, e, peça bruta cartonada
JP6821633B2 (ja) * 2018-09-21 2021-01-27 日本製紙株式会社 紙容器
TWD204801S (zh) * 2019-07-09 2020-05-21 韓商賓格樂股份有限公司 飲料包裝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123U (ja) * 1992-03-02 1993-09-24 花王株式会社 折り容器
JP2007055637A (ja) 2005-08-23 2007-03-08 Nihon Tetra Pak Kk 屋根型紙容器
WO2014010613A1 (ja) * 2012-07-11 2014-01-16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包装容器の製造法及び包装容器
JP2015110440A (ja) * 2013-08-06 2015-06-18 月桂冠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0827A (en) * 1966-04-05 1968-07-02 Chevron Res Container having a series of convolutions along the side walls thereof and container blank for forming same
US4846396A (en) * 1988-06-03 1989-07-11 Frank Palazzolo Container made of folded planar material having precreased gripping area and blank for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e
DE3835390A1 (de) * 1988-10-18 1990-04-19 Pkl Verpackungssysteme Gmbh Quaderfoermige packung, insbesondere aus einem karton-kunststoff-verbund fuer fluessigkeiten, suppen od. dgl.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0571123A (ja) 1991-09-09 1993-03-23 Okabe Co Ltd 軟弱な土砂斜面に対するロツクボルト工法及びロツク ボルト
DE29518831U1 (de) * 1995-11-28 1996-02-22 Verpackungswerk Colordruck W M Kartonverpackung und Verschluß für eine Kartonverpackung
US6182887B1 (en) * 1999-04-16 2001-02-0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with extended top panel and a blank therefor
EP1275588A1 (en) * 2001-07-12 2003-01-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Gable-top package for pourable food products
JP4442796B2 (ja) * 2003-01-24 2010-03-31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包装容器および包装容器に取付けられる注ぎ栓
WO2005097606A2 (en) * 2004-04-08 2005-10-20 Elopak Systems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CN2853632Y (zh) * 2005-12-27 2007-01-03 赵勇 一种台阶顶饮料盒
ATE444900T1 (de) * 2006-02-28 2009-10-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Bie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ormung von einem giebelteil einer versiegelten verpackung mit fliessfähigen nahrungsmitteln
DE102007004427A1 (de) * 2007-01-23 2008-07-24 Ingo Kern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Getränkeverpackungen
US7523853B2 (en) * 2007-05-29 2009-04-2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arton and blank for carton with corner indent wall
GB0802518D0 (en) * 2008-02-12 2008-03-19 Elopak Systems Container made of material, blank and methods
GB0809082D0 (en) * 2008-05-20 2008-06-25 Elopak System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 blanks and containers
GB0823051D0 (en) * 2008-12-18 2009-01-28 Elopak System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EP2392517A1 (en) * 2010-06-07 2011-12-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Sealed package for pourable food products and packaging material for producing sealed packages for pourable food products
JP5757824B2 (ja) * 2011-08-26 2015-08-05 日本製紙株式会社 紙容器
GB201117986D0 (en) * 2011-10-18 2011-11-30 Elopak System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123U (ja) * 1992-03-02 1993-09-24 花王株式会社 折り容器
JP2007055637A (ja) 2005-08-23 2007-03-08 Nihon Tetra Pak Kk 屋根型紙容器
WO2014010613A1 (ja) * 2012-07-11 2014-01-16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包装容器の製造法及び包装容器
JP2015110440A (ja) * 2013-08-06 2015-06-18 月桂冠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587B1 (ko) 2022-01-10
CN110446661B (zh) 2021-09-07
EP3604151A1 (en) 2020-02-05
EP3604151B1 (en) 2022-08-24
EP3604151A4 (en) 2020-12-16
ES2929114T3 (es) 2022-11-24
SG11201909031WA (en) 2019-11-28
US20200095012A1 (en) 2020-03-26
TW201841801A (zh) 2018-12-01
PL3604151T3 (pl) 2022-11-28
PH12019502225A1 (en) 2020-07-06
TWI752206B (zh) 2022-01-11
US11014703B2 (en) 2021-05-25
DK3604151T3 (da) 2022-09-12
MY200259A (en) 2023-12-17
JP6618085B2 (ja) 2019-12-11
CN110446661A (zh) 2019-11-12
JP2018172127A (ja) 2018-11-08
WO2018181321A1 (ja)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5479A (ko) 종이 용기
US9469432B2 (en) Reinforced containers and blanks for making the same
US20200216214A1 (en) Liquid paper container
JP6496170B2 (ja) 液体紙容器
TWI814863B (zh) 紙容器
WO2015104896A1 (ja) 段ボール箱
JP5130586B2 (ja) 紙容器
JP6571429B2 (ja) 紙容器
CN112654560B (zh) 纸容器
JP6456600B2 (ja) 瓶用収納箱
JP7293740B2 (ja) 包装箱
JP2016169025A (ja) 紙容器
JP7385346B2 (ja) ゲーブルトップ型容器
JP7463919B2 (ja) 瓶型容器保持部材用ブランクシートおよび包装箱
CN207292737U (zh) 一种包装纸箱
CN114007944B (zh) 用于物品的容器,相关的坯件和制作方法
JP2019059492A (ja) 取っ手付き紙容器
JP6866415B2 (ja) 紙容器
GB2564526A (en) Container for a bottle
JP6599202B2 (ja) 包装箱
JP2011168303A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