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608A -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608A
KR20190117608A KR1020197026448A KR20197026448A KR20190117608A KR 20190117608 A KR20190117608 A KR 20190117608A KR 1020197026448 A KR1020197026448 A KR 1020197026448A KR 20197026448 A KR20197026448 A KR 20197026448A KR 20190117608 A KR20190117608 A KR 20190117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cap
plate
tenon
buff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790B1 (ko
Inventor
아키나리 가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4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with maintenanc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퍼 캡을 서로 감합 또는 분해 가능한 감합 수단을 가지는 복수의 평판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에 의한 버퍼 캡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컴팩트한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는 버퍼 캡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은,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의 하부에 마련된 완충기의 상면에 재치되고, 균형추의 하면과 대향하여 균형추의 하강을 제한하는 버퍼 캡에 있어서, 지주와, 지주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상판과 하판을 구비하며, 지주, 상판 및 하판은 각각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주를 형성하는 평판, 지주와 상판 또는 하판은, 서로의 평판을 감합 또한 분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시에 완충기의 상부에 씌워져, 작업원의 안전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버퍼 캡에 관한 것이다.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의 위에 탄 상태에서 잘못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상승시키면, 보수원이 천정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고, 또한, 보수원이 피트 내에 있는 상태에서 잘못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하강시키면,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할 대책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버퍼 캡으로서 하강 방지 수단을 스프링 완충기의 꼭대기부에 상부로부터 씌우도록 장착하고, 균형추 또는 엘리베이터 칸이 소정의 위치를 넘어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한 구성(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119199호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은 스프링 완충기의 꼭대기부에 상부로부터 씌우도록 장착되는 하면 맞닿음부와, 균형추 또는 엘리베이터 칸이 소정의 위치를 넘어 하강했을 때, 이들 하중이 작용하는 상면 맞닿음부와, 하면 맞닿음부와 상면 맞닿음부를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떨어뜨려 지지하는 부피 인상(引上)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버퍼 캡은, 하면 맞닿음부와 상면 맞닿음부와 부피 인상부가 사용되는 형상 그대로 용접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의 형상이 커지고, 부피가 커져 무겁기 때문에, 운반에는 불편하였다. 또한, 이 버퍼 캡을 사용하지 않을 때, 피트에 보관되게 되는데, 보관에는 큰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좁은 피트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버퍼 캡을 서로 감합 또는 분해 가능한 감합 수단을 가지는 복수의 평판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에 의한 버퍼 캡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컴팩트한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는 버퍼 캡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은,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의 하부에 마련된 완충기의 상면에 재치되고, 균형추의 하면과 대향하여 균형추의 하강을 제한하는 버퍼 캡에 있어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상판과 하판을 구비하며, 지주, 상판 및 하판은 각각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주를 형성하는 평판, 지주와 상판 또는 하판은, 서로의 평판을 감합(嵌合, 끼워 맞춤) 또한 분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버퍼 캡을 평판으로 감합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평판으로 분해할 수 있다. 버퍼 캡을 복수의 평판으로 분해함으로써, 분해된 평판을 1개 또는 복수의 세트로 나눌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 또는 복수의 세트로 나누어진 평판은, 부피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버퍼 캡을 복수의 평판으로 분해하여 보관함으로써, 컴팩트한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는 버퍼 캡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1의 요부로서 버퍼 캡의 조립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1의 요부로서 버퍼 캡의 분해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버퍼 캡의 조립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버퍼 캡의 조립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버퍼 캡의 분해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버퍼 캡의 조립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 1은 버퍼 캡 전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로서 버퍼 캡의 조립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로서 버퍼 캡의 분해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의 피트부에는 완충기(1)가 마련되고, 균형추(도시하지 않음)의 하부로서, 완충기(1)의 상부에, 균형추의 하강을 제한하는 버퍼 캡으로서 버퍼 캡(2)이 재치되어 있다. 버퍼 캡(2)에는,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지주(3)와, 지주(3)의 상단부에는 균형추의 하면과 대향하는 상판(4)과, 지주(3)의 하단부에는 완충기(1)의 상면과 대향하는 하판(5)이 각각 마련되고, 상판(4)과 하판(5)은 서로 소정의 거리를 떨어뜨려 지지되어 있다.
지주(3)에는, 2개의 평판(6)과 평판(7)이 세워 마련되어 있고, 이 평판(6)에는 측면에서 보아 상단부의 대략 중간부로부터 측면부의 연직 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의 위치까지 연직 방향으로 노치된 홈(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평판(7)에는 측면에서 보아 하단부의 대략 중간부로부터 측면부의 연직 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의 위치까지 연직 방향으로 노치된 홈(9)이 형성되어 있다. 지주(3)의 조립시에는, 평판(6) 및 평판(7)에 각각 형성된 홈(8)과 홈(9)이 단면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고, 평판(6) 및 평판(7)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十자 모양으로 배치되며, 평판(6) 및 평판(7)이 감합한 상태로 지주(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6) 및 평판(7)의 평판은 홈(8)과 홈(9)이 감합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지주(3)를 형성하는 평판(6)의 상단부 및 하단부 양단에는 각각 2개의 장부(테넌(tenon), 6a) 및 장부(6b)가 연직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주(3)를 형성하는 평판(7)의 상단부 및 하단부 양단에는 각각 2개의 장부(7a) 및 장부(7b)가 연직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판(4) 및 하판(5)에는, 상부에서 보아 4각형의 모서리부 부근에 중심으로부터 방사선 모양의 방향을 따라서, 4개의 장부 구멍(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버퍼 캡(2)은, 장부(6a, 7a)와, 장부 구멍(4a)이 감합하고, 장부(6b, 7b)와, 장부 구멍(5a)이 각각 감합함으로써, 지주(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판(4)과 하판(5)이 감합되어 있다. 즉, 버퍼 캡(2)은, 지주(3)가 평판(6) 및 평판(7)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판(4)과 하판(5)에 상하 방향에서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합계 4개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도 3에서, 버퍼 캡(2)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먼저, 지주(3)를 구성하는 평판(6) 및 평판(7)을 단면에서 홈(8)과 홈(9)를 대향시켜 교차하도록 감합시키고, 상부에서 보았을 때 十자 모양으로 배치한다. 다음으로, 지주(3)의 상단에는 상판(4)의 장부 구멍(4a)에 장부(6a, 7a)를 감합시키고, 하단에는 하판(5)의 장부 구멍(5a)에 장부(6b, 7b)를 감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버퍼 캡(2)은 지주(3)와 상판(4) 및 하판(5)으로 형성되고, 완충기(1)의 상부에 재치함으로써, 균형추의 하강을 제한하는 버퍼 캡으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버퍼 캡(2)을 분해하는 경우에는, 조립하는 경우와 반대의 순서로 분해한다. 지주(3)에 장부(6a, 7a)과 장부 구멍(4a), 장부(6b, 7b)과 장부 구멍(5a)에 의해 감합된 상판(4) 및 하판(5)을 각각 연직 방향으로 뽑아 내어 분해한다. 또한, 지주(3)를 평판(6) 및 평판(7)이 감합된 상태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뽑아 내어 2개의 평판(6) 및 평판(7)으로 분해한다. 지주(3)로부터 분해된 평판(6) 및 평판(7)과 상판(4) 및 하판(5)을 1개마다 또는 복수개 겹친 상태로 피트 내의 소정의 장소로 이동하여 보관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의 하부에 마련된 완충기(1)의 상면에 재치되고, 균형추의 하면과 대향하여 균형추의 하강을 제한하는 버퍼 캡(2)에 있어서, 지주(3)와, 지주(3)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상판(4) 및 하판(5)을 구비하며, 지주(3), 상판(4) 및 하판(5)은 각각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주(3)를 형성하는 평판(6) 및 평판(7), 지주(3)와 상판(4) 또는 하판(5)은, 서로의 평판을 감합 또한 분해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버퍼 캡(2)을 복수의 평판으로 분해할 수 있다. 버퍼 캡(2)을 복수의 평판으로 분해함으로써, 분해된 평판을 1개 또는 복수의 세트로 나눌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 또는 복수의 세트로 나누어진 평판은, 부피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버퍼 캡(2)을 복수의 평판으로 분해하여 보관함으로써, 컴팩트한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지주(3)는, 측면에서 보아 상단부의 대략 중간부로부터 측면부의 연직 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노치된 홈(8)이 마련된 평판(6)과, 측면에서 보아 하단부의 대략 중간부로부터 측면부의 연직 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노치된 홈(9)이 마련된 평판(7)이, 단면에 있어서 서로의 홈(8)과 홈(9)을 대향시켜 교차하고 있고, 지주(3)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장부(6a, 7a)와, 장부(6b, 7b)가 형성되고, 상판(4) 및 하판(5)에 각각 장부(6a, 7a), 장부(6b, 7b)와 감합하는 장부 구멍(4a, 5a)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버퍼 캡(2)을 합계 4개의 평판으로 감합하여 형성 또는 분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버퍼 캡(2)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컴팩트한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버퍼 캡(2)은, 합계 4개의 평판만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코스트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버퍼 캡(10)을 설명하는 것으로, 조립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10)은, 버퍼 캡(11)과 버퍼 캡(12)이 연직 방향으로 겹쳐 쌓여져 배치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12)의 지주(3)의 하단부에 마련된 장부(6b, 7b)와, 하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11)의 상판(13)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장부 구멍(13a)이 감합하고, 상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12)과 하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11)이 감합되어 있는 것이 다르고, 그 이외의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기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버퍼 캡(10)은, 버퍼 캡(11)의 상부에 버퍼 캡(12)이 겹쳐 쌓여져 배치되어 있다. 하부의 버퍼 캡(11)은, 실시 형태 1의 버퍼 캡(2)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버퍼 캡(2)과 다른 부분은, 버퍼 캡(11)의 상판(13)과 하판(14)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장부 구멍(13a, 14a)이고, 버퍼 캡(12)의 지주(3)의 하단부에 마련된 장부(6b, 7b)와 감합하기 위해서 4개의 장부 구멍이 추가되어 있으며, 합계 8개의 장부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부의 버퍼 캡(12)은, 실시 형태 1의 버퍼 캡(2)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버퍼 캡(2)과 다른 부분은, 버퍼 캡(11)의 상판(13)이 버퍼 캡(12)의 하판을 겸용함으로써 버퍼 캡(12)의 하판은 생략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먼저, 버퍼 캡(11)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조립한 후, 그 상부에 버퍼 캡(12)을 겹쳐 쌓아 2개의 버퍼 캡을 감합시킨다. 버퍼 캡(12)의 조립 순서는 버퍼 캡(11)과 동일하다. 조립된 버퍼 캡(11)의 상판(13)의 장부 구멍(13a)의 상부로부터 지주(3)의 장부(6b, 7b)를 감합시키고, 버퍼 캡(12)의 지주(3)의 장부(6a, 7a)의 상부로부터 상판(13)의 장부 구멍(13a)을 감합시킨다. 다음으로, 버퍼 캡(10)을 분해하는 경우에는, 조립하는 경우와 반대의 순서로 분해한다. 즉,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버퍼 캡(12)을 분해한 후, 버퍼 캡(11)을 분해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하부의 버퍼 캡(11)과 상부의 버퍼 캡(12)이 연직 방향으로 겹쳐 쌓여져 배치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12)의 지주(3)의 하단부에 마련된 장부(6a, 7b)와, 하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11)의 상판(13)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장부 구멍(13a)이 감합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12)과 하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11)이 감합되어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의 사용 상황에 따라 버퍼 캡의 높이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 지주(3)를 연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주(3)를 연장하는 것만으로는, 상부로부터의 하중에 대해서 좌굴되기 쉽기 때문에, 지주(3)를 형성하는 부재의 강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2개의 버퍼 캡(11)과 버퍼 캡(12)을 겹쳐 쌓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지주(3)를 형성하는 평판(6)의 강도를 높게 하지 않고, 버퍼 캡(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하부의 버퍼 캡(11)은 단체(單體)로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버퍼 캡(10)을 버퍼 캡(11) 단체의 높이로 사용할지, 혹은 그 상부에 버퍼 캡(12)이 겹쳐진 높이로 사용할지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버퍼 캡(10)은, 실시 형태 1의 지주(3)를 그대로 유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캡(10)의 제조 코스트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5~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버퍼 캡(15)을 설명하는 것이며, 조립시와 분해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15)의 지주(17)는 각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지주(17)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16)에는, 연직 방향의 측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한 장부(16a)와, 장부(16a)와 감합하는 장부 홈(16b)이 교호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보았을 때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장부(16a)와 장부 홈(16b)이 서로 감합되어 있는 것이 다르고, 그 이외의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기호를 부영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지주(17)는, 상부에서 보면 4개의 평판(16)이 ロ자 형상으로 세워 마련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감합되어 있다. 지주(17)의 상단부에는 균형추의 하면과 대향하는 상판(18)과, 지주(17)의 하단부에는 완충기(1)의 상면과 대향하는 하판(19)이 각각 마련되고, 상판(18)과 하판(19)은 서로 소정의 거리를 떨어뜨려 지지되어 있다.
지주(17)를 형성하는 1개의 평판(6)의 연직 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 장부인 장부(16a)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이 장부(16a)에 감합하는 장부 홈(16b)이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에서 보아 4개의 평판(16)이 모서리부에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모서리부의 장부(16a)와 장부 홈(16b)이 서로 감합함으로써, 지주(17)의 측면의 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상판(18)과 하판(19)에는, 상부에서 보아 4각형의 각변의 부근(내측)에 각변의 방향을 따라서, 각각 4개의 장부 구멍(18a, 19a)이 형성되어 있다. 지주(17)의 상하 단부에는, 제2 장부인 장부(16c, 16d)가 마련되어 있고, 이 장부(16c, 16d)와 감합하는 장부구멍(18a, 19a)이 각각 감합함으로써, 지주(17)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판(18) 및 하판(19)이 감합되어 있다. 즉, 버퍼 캡(15)은, 지주(17)가 4개의 평판(6)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판(18)과 하판(19)에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합계 6개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버퍼 캡(15)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먼저, 지주(17)를 구성하는 4개의 평판(16)을 상부에서 보아 4각 형상으로 배치하고, 모서리부에서 서로 이웃하게, 연직 방향의 양단부에 있는 장부(16a)와 장부 홈(16b)을 감합시킨다. 다음으로, 지주(17)의 상단부의 장부(16c)를 상판(18)의 장부 구멍(18a)에 감합시키고, 하단부의 장부(16d)를 하판(5)의 장부 구멍(19a)에 각각 감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버퍼 캡(15)은 지주(17)와 상판(18) 및 하판(19)으로 형성되어, 완충기(1)의 상부에 재치됨으로써, 균형추의 하강을 제한하는 버퍼 캡으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버퍼 캡(15)을 분해하는 경우에는, 조립하는 경우와 반대의 순서로 분해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지주(17)는 각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지주(17)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16)에는, 연직 방향의 측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한 장부(16a)와, 장부(16a)와 감합하는 장부 홈(16b)이 교호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보았을 때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장부(16a)와 장부 홈(16b)이 서로 감합되어 있고, 지주(17)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16)에는,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장부(16c, 16d)가 형성되며, 상판(18) 및 하판(19)에 각각과 감합하는 장부 구멍(18a, 19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버퍼 캡(15)을 구성하는 모든 파트를 합계 6개의 평판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6개의 평판만으로 버퍼 캡(1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주(17)를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강도의 평판(16)으로 형성했을 경우, 실시 형태 1의 버퍼 캡(2)에 비해 상부로부터의 하중에 대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버퍼 캡(20)을 설명하는 것이며, 조립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20)의 지주(22)는 각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지주(22)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21)에는, 연직 방향의 측면부 양측의 상부와 하부에 힌지(23)가 마련되어 있으며, 평판(21)은, 적어도 1개소를 제외하고, 힌지(23)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다르고, 그 이외의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기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버퍼 캡(20)은, 실시 형태 3의 버퍼 캡(15)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버퍼 캡(15)과 다른 부분은, 지주(22)의 연직 방향의 상하 양단부에 장부와 장부 홈의 대신에 힌지(23)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에서 보아 4개의 평판(21)이 모서리부에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3개의 모서리부가 힌지(23)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서로 이웃하는 1개의 모서리부가 맞닿음 또는 접근함으로써, 지주(22)의 측면의 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서로 이웃하는 모서리부의 4개소 중에서 1개소는, 분해 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힌지(23)를 마련하고 있지 않다. 즉, 4개의 평판(21)은 동일한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늘어 놓여져, 서로 이웃하는 측면부끼리를 3개소의 힌지(23)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고 있다. 결합된 4개의 평판(21) 중에서 힌지(23)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2개의 평판(21)의 측면부끼리를 서로 이웃하게 하는 것에 의해, 지주(22)의 측면이 형성된다. 지주(2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상판(18) 및 하판(19)이 감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버퍼 캡(20)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먼저, 지주(22)의 측면을 구성하는 4개의 평판(21)을 힌지(23)에 의해 서로 회동시키고, 힌지(23)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2개의 평판(21)의 측면부끼리를 서로 이웃하게 하는 것에 의해, 상부에서 보아 4각 형상으로 배치한다. 다음으로, 지주(22)의 상단부의 장부(21a)를 상판(18)의 장부 구멍(18a)에 감합시키고, 하단부의 장부(21b)를 하판(5)의 장부 구멍(19a)에 각각 감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버퍼 캡(20)은 지주(22)와 상판(18) 및 하판(19)으로 형성되어, 완충기(1)의 상부에 재치됨으로써, 균형추의 하강을 제한하는 버퍼 캡으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버퍼 캡(20)을 분해하는 경우에는, 조립하는 경우와 반대의 순서로 분해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지주(22)는 각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지주(22)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21)에는, 연직 방향의 측면부 양측에 힌지(23)가 마련되어 있으며, 평판(21)은, 적어도 1개소를 제외하고, 힌지(23)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지주(22)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21)에는,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장부(21a, 21b)가 형성되고, 상판(18) 및 하판(19)에 각각 장부(21a, 21b)와 감합하는 장부 구멍(18a, 19a)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실시 형태 3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것에 더하여, 분해 또는 조립시에 지주(22)를 형성하는 평판(21)끼리를 감합하는 수고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버퍼 캡(20)을 구성하는 모든 파트를 합계 6개의 평판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6개의 평판만으로 버퍼 캡(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지주(3)는 평판(6) 및 평판(7) 2개로 형성되어 있지만, 3개 이상의 평판으로 구성해도 된다. 평판의 갯수를 늘림으로써, 보관할 때의 평판의 갯수는 조금 증가하지만, 실시 형태 1과 같이 버퍼 캡(2)을 복수의 평판으로 분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중이 상부로부터 작용했을 때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버퍼 캡(11)의 상판(13)이 버퍼 캡(12)의 하판을 겸용함으로써 버퍼 캡(12)의 하판은 생략되어 있지만, 생략하지 않아도 된다. 즉, 하부의 버퍼 캡(11)에 버퍼 캡(11)과 동일한 구조의 버퍼 캡(12)을 겹쳐 쌓는 것에 의해, 하판을 형성하는 평판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관하는 스페이스는 조금 증가하지만, 실시 형태 2와 같이 버퍼 캡의 높이가 필요한 경우, 2개의 버퍼 캡을 겹쳐 쌓는 것에 의해 버퍼 캡(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버퍼 캡(11)과 버퍼 캡(12) 2개의 버퍼 캡이 겹쳐져 있지만, 엘리베이터의 사용 상황에 따라 3개 이상의 버퍼 캡을 겹쳐 마련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3에서는, 지주(17)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삼각 기둥 형상으로 하면, 지주(17)를 형성하는 평판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오각 기둥 또는 그 이상의 다각 기둥 형상으로 하면, 지주(17)를 형성하는 평판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관하는 스페이스는 조금 증가하지만, 실시 형태 3과 같이 버퍼 캡(15)을 구성하는 모든 파트를 복수의 평판으로 분해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4에서는, 힌지(23)는 상부와 하부의 2개소에 마련되어 있지만, 중앙부에 1개소만 마련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지주(22)를 형성하는 4개의 평판(21)끼리가 동일한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늘어 놓여지고, 서로 이웃하는 측면부끼리가 3개소의 힌지(23)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으면 된다.
< 산업상 이용 가능성 >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시에 완충기의 상부에 씌워져, 작업원의 안전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버퍼 캡에 관한 것이다.
1 : 완충기 2, 10, 11, 12, 15, 20 : 버퍼 캡
8, 9 : 홈 3, 17, 22 : 지주
4, 13, 18 : 상판 5, 14, 19 : 하판
6, 7, 16, 21 : 평판
6a, 6b, 7a, 7b, 16a, 16c, 16d, 21a, 21b : 장부 
4a, 5a, 13a, 14a, 18a, 19a : 장부 구멍
16b : 장부 홈 23 : 힌지

Claims (5)

  1.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의 하부에 마련된 완충기의 상면에 재치되고, 상기 균형추의 하면과 대향하여 상기 균형추의 하강을 제한하는 버퍼 캡에 있어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상판와 하판을 구비하며,
    상기 지주,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은 각각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주를 형성하는 평판, 상기 지주와 상기 상판 또는 상기 하판은, 서로의 평판을 감합(嵌合, 끼워 맞춤) 또한 분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노치된 홈이 마련된 평판과, 하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노치된 홈이 마련된 평판이, 단면(斷面)에서 서로의 홈을 대향시켜 교차하고 있으며,
    상기 지주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장부장부(테넌(tenon))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에 각각 상기 장부와 감합하는 장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각 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지주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에는, 연직 방향의 측면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한 제1 장부와, 상기 제1 장부와 감합하는 장부 홈이 교호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보았을 때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장부와 상기 장부 홈은 서로 감합되어 있고, 상기 지주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에는,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2 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및 하판에 각각 상기 제2 장부와 감합하는 장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캡.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각 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지주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에는, 연직 방향의 측면부 양측에 힌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은, 적어도 1개소를 제외하고, 상기 힌지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주의 측면을 형성하는 평판에는,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및 하판에 각각 상기 장부와 감합하는 장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캡.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캡이 연직 방향으로 겹쳐 쌓여져 배치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의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마련된 장부와,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의 상기 하판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의 상기 상판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장부 구멍이 감합되어,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과 상기 하부에 배치되는 버퍼 캡이 감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캡.
KR1020197026448A 2017-03-30 2017-03-30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 KR102278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3364 WO2018179271A1 (ja) 2017-03-30 2017-03-30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608A true KR20190117608A (ko) 2019-10-16
KR102278790B1 KR102278790B1 (ko) 2021-07-19

Family

ID=6367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448A KR102278790B1 (ko) 2017-03-30 2017-03-30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55441B2 (ko)
JP (1) JP6633245B2 (ko)
KR (1) KR102278790B1 (ko)
CN (1) CN110461751B (ko)
DE (1) DE112017007337T5 (ko)
WO (1) WO20181792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0940B1 (ja) 2022-05-18 2023-04-19 マニフォールド有限会社 ルア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432A (ja) * 1999-12-01 2001-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7119199A (ja) 2005-10-31 2007-05-1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
JP2013044339A (ja) * 2011-08-22 2013-03-04 Toyota Auto Body Co Ltd 衝撃吸収具ハウジングと、これを用いた車両用衝撃吸収具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4524B2 (ja) * 2001-11-21 2007-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4226883B2 (ja) * 2002-12-06 2009-02-1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ーウエイト揚重方法
EP1598301B1 (de) * 2004-05-19 2012-07-18 Inventio AG Schachtgrubenausrüstung für einen Aufzug
KR200382890Y1 (ko) * 2005-01-19 2005-04-27 이상길 엘리베이터용 완충장치
JP2007254103A (ja) 2006-03-23 2007-10-04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
FI119808B (fi) * 2007-12-17 2009-03-31 Kone Corp Hissin puskurijärjestely
JP2009286582A (ja) 2008-05-29 2009-12-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JP2010013279A (ja) * 2008-07-07 2010-01-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CN201777748U (zh) * 2010-09-10 2011-03-30 东南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的二合一支承装置
JP5863578B2 (ja) 2012-06-26 2016-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03693526B (zh) * 2013-12-17 2016-05-25 杨麟 一种置于电梯井底坑由微型缓冲气囊等部件组成的救生舱
DE202014105635U1 (de) * 2014-11-24 2016-02-25 W+W Aufzugkomponenten Gmbh U. Co. Kg Wartungsstütze zum Anbringen in der Schachtgrube eines Aufzugsschachtes
JP2016196338A (ja) * 2015-04-02 2016-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緩衝器支持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緩衝器支持装置の高さ調整方法
CN205602900U (zh) * 2016-04-25 2016-09-28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一种缓冲器底座加固装置
CN205739891U (zh) * 2016-06-27 2016-11-30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一种新型电梯缓冲器底座
CN106629335A (zh) * 2016-11-23 2017-05-10 吴江骏达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电梯用缓冲桩
DE102017004719A1 (de) * 2017-05-16 2018-11-22 Michael Geisenhofer Vorrichtung für einen gesicherten Bereich in einem Aufzugschacht
DE202017106151U1 (de) * 2017-10-11 2019-01-15 Algi Alfred Giehl Gmbh & Co. Kg Maschinen- Und Hydraulikbau Puffervorrichtung für einen Fahrkorb einer Aufzugsanlage sowie Anordnung der Puffervorrichtung und der Aufzugsanlage
CN111071900A (zh) * 2019-12-25 2020-04-28 佛山市高明区安承升降装备研究院 一种无底坑电梯
CN112551295A (zh) * 2020-12-28 2021-03-26 永大电梯设备(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止停装置及包括该装置的电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432A (ja) * 1999-12-01 2001-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7119199A (ja) 2005-10-31 2007-05-1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
JP2013044339A (ja) * 2011-08-22 2013-03-04 Toyota Auto Body Co Ltd 衝撃吸収具ハウジングと、これを用いた車両用衝撃吸収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9271A1 (ja) 2018-10-04
JPWO2018179271A1 (ja) 2019-06-27
JP6633245B2 (ja) 2020-01-22
CN110461751B (zh) 2020-12-22
CN110461751A (zh) 2019-11-15
US11155441B2 (en) 2021-10-26
KR102278790B1 (ko) 2021-07-19
US20210276828A1 (en) 2021-09-09
DE112017007337T5 (de)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7608A (ko) 엘리베이터의 버퍼 캡
JP5449467B2 (ja) 乗客コンベア
KR100842801B1 (ko) 조립식 파레트
JP6122823B2 (ja) 収容ラック
KR101590789B1 (ko)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KR20150005248A (ko) 블록 턴오버 지그
US11230851B2 (en) Head for a prop
US3224388A (en) Portable stacking unit with star frame
KR102214213B1 (ko) 알루미늄 조립 팔레트
JP5060379B2 (ja) パレット用支持棚
EP2853173A1 (en) Storage and transport module for workpieces in assembly lines
JP6875852B2 (ja) 積載ラック
JP5188919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5696905B2 (ja) ラックの制振構造
JP6833559B2 (ja) パレット
JP5108235B2 (ja) パレット
JP2014162551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6800294B1 (ja) 倉庫
JP6634213B2 (ja) 運搬台車
JP7192708B2 (ja) 昇降体支持台
JP2014148358A (ja) 四方差しパレ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016542B2 (ja) 組立式収納棚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11254468B1 (en) Pallet system for railings
KR102218708B1 (ko) 팔레트
JP2015067387A (ja) 積み上げ式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