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248A - 블록 턴오버 지그 - Google Patents

블록 턴오버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248A
KR20150005248A KR1020130078916A KR20130078916A KR20150005248A KR 20150005248 A KR20150005248 A KR 20150005248A KR 1020130078916 A KR1020130078916 A KR 1020130078916A KR 20130078916 A KR20130078916 A KR 20130078916A KR 20150005248 A KR20150005248 A KR 20150005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truding
block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296B1 (ko
Inventor
이재훈
강승우
신종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8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2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블록 턴오버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는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수평프레임을 갖는 골격구조물;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프레임의 단부에 마련된 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턴오버 지그{TURNOVER JIG FOR BLOCK}
본 발명은 블록 턴오버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인양하려는 하중물을 다루는 사용처 또는 작업장에서 들어올리는 용도로 사용된다.
만일, 크레인의 사용처가 조선소인 경우, 인양하려는 하중물 중 어느 하나는 선체 조립 또는 선체 건조용 블록이나, 블록 조립에 사용되는 평판 또는 절곡판, 직각판 등의 판부재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선체의 블록 건조에서는 선체를 수 십 개 혹은 수 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된다.
예컨대, 선체의 선수, 선미의 조립에 사용되는 곡블럭을 비롯하여 각종 형상의 블럭은 야드(yard)내의 블록 적재 구조물, 적재용 캐리어 구조 또는 적재대 등에 의해 안정되게 적치되어 있다.
이런 블록 건조 과정 중에는 상부판과 하부판이 직각을 이루는 절곡판이나, 또는 블록의 양측 부위를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세우거나 뒤집는 턴오버(turnover)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턴오버에서는 하중물인 절곡판 또는 블록에 크레인의 인양케이블을 연결한 후, 크레인이 인양케이블을 권양함으로써, 절곡판 또는 블록이 들어올려지고, 이후 공중에서 조립 방향에 대응하게 절곡판 또는 블록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해당 블록에 인양케이블을 직접 연결시켜서 턴오버 시키기 때문에, 턴오버 도중 절곡판 또는 블록에서 처짐 변형이 발생되어, 이후 건조 작업에서 정도 문제가 발생되거나, 상기 처짐 변형을 복원하기 위한 재작업 시수가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절곡판은 블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판부재이므로, 처짐 변형이 과도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블록 자체에 별도의 지그를 연결하여 사용하려 하더라도, 단순히 블록을 들어올리기 위한 일반적인 러그(lug)만이 블록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블록과 별도의 지그를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작업이 복잡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01-0073454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절곡판 등의 판부재 혹은 블록의 턴오버시 처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 턴오버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수평프레임을 갖는 골격구조물;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프레임의 단부에 마련된 러그를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격구조물은, 상기 골격구조물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XY평면을 기준으로 상, 하 대칭을 이루고, 상기 무게중심을 지나는 YZ평면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을 이루고, 상기 무게중심을 지나는 XZ평면을 기준으로 전, 후 대칭을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골격구조물은, 상기 사각링 형상의 상기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안쪽 공간에서 평행하도록 다수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변쪽 내측면에 연결된 지지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코너에서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동일 거리만큼 연장된 상기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면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프레임; 및 상기 돌출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코너 부위에서 상하 대칭으로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돌출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그는, 상기 수직프레임끼리 마주보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끝단 내측면과, 상기 돌출프레임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다수로 이격 배치되어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블록의 저면에서 돌출된 피스쌍에 결합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돌출된 기둥; 상기 기둥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기둥의 평면적보다 넓고, 상기 피스쌍의 상부의 사이 간격보다 좁은 길이를 갖는 판형상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저면과 상기 기둥의 양측면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쌍의 다수의 구멍과 각각 일치되는 체결구멍을 갖는 한 쌍의 날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는 절곡판 등의 판재의 수평면 또는 수직면에 밀착될 수 있는 골격구조물과, 골격구조물의 단부에 마련된 러그를 제공하여, 턴오버시 처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골격구조물이 좌우 대칭 또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턴오버 이후 원위치로 되돌릴 필요 없이 곧바로 다른 하중물을 골격구조물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블록에 마련된 피스쌍의 결합구멍과 핀결합될 수 있는 체결구멍을 갖는 다수의 받침부를 골격구조물의 지지프레임에 마련하고 있음으로써, 골격구조물에 블록을 용이하게 고박 또는 구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블록 턴오버 지그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받침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골격구조물에 탑재할 블록의 저면에 구비된 피스쌍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피스쌍과 받침부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는 박판 블록(예: LQ, DECK HOUSE, ENGINE CASING 등) 등과 같이, 박판으로 이루어진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박판 블록의 경우, 블록의 안전성보다는 조립 공장에서 핸들링 가능한 가용성(capacity)에 따라서 블록이 분할되어 있다. 그러한 박판 블록을 턴오버 또는 이동시킬 경우, 블록에서 처짐 또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안정성 보다는 핸들링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재가 많이 필요하고, 거의 전 블록 구조 해석이 요구되며, 보강재의 경우는 취부 할 경우와 제거 할 경우에도 손상이 발생되고, 품질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제 1 실시예는 박판 블록을 단순히 올려놓고 안전하게 또는 변형 발생 없이 이동 또는 턴오버시키기 위한 골격구조물(110)과 러그(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골격구조물(110)은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중간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수평프레임(11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평프레임(112)은 XY평면을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11)을 서로 연결하는 사각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직프레임(111), 수평프레임(112), 돌출프레임(113) 등과 같이 골격구조물(110)을 이루는 구성품들은 H빔, 중공형 사각빔, 거더(girder)용 구조재 등의 구조용 강재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다만, 수직프레임(111), 수평프레임(112), 돌출프레임(113) 등과 같이 골격구조물(110)을 이루는 구조용 강재는 사용하려는 대상물(예: 박판 블록)의 하중과 이동시에 가해지는 각종 외력을 견딜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정된 재질, 두께 등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러그(120)는 일반적인 조선소에서 사용하는 크레인 연결 부재로서, 특정 러그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러그(120)는 골격구조물(110)의 수직프레임(111)의 상단 및 하단과,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프레임(113)의 단부에 마련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골격구조물(110)은, 사각링 형상의 수평프레임(112)과, 수평프레임(112)의 안쪽 공간에서 평행하도록 다수로 이격 배치되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수평프레임(112)의 단변쪽 내측면에 연결된 다수의 지지프레임(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골격구조물(110)은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코너에서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동일 거리만큼 연장된 상기 수직프레임(1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외측면에서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골격구조물(110)은 돌출프레임(113)과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코너 부위에서 상하 대칭으로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돌출프레임(113)과 상기 수직프레임(111)을 서로 연결시키는 보강프레임(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골격구조물(110)은 골격구조물(110)의 무게중심(C)을 지나는 XY평면을 기준으로 상, 하 대칭을 이루고, 무게중심(C)을 지나는 YZ평면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을 이루고, 무게중심(C)을 지나는 XZ평면을 기준으로 전, 후 대칭을 이루고 있다.
또한, 러그(120)는 상기 수직프레임(111)끼리 마주보는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끝단 내측면과, 상기 돌출프레임(113)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러그(120)는 인양케이블이 연결되기 위한 인양구멍을 갖는 러그몸체판과, 인양구멍을 보강하기 위해 러그몸체판의 전, 후에 결합된 구멍보강판과, 러그(120)가 고정되려는 면과 러그몸체판을 서로 보강하기 위한 곳에 형성된 다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의 사용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블록 턴오버 지그를 이용한 턴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양, 이동 또는 턴오버 하려는 작업물(W)(예: ㄴ자 단면의 박판 블록)은 골격구조물(110)의 수직프레임(111)의 내측 공간을 기준으로 수평프레임(112)의 상면에 올려질 수 있다.
고박 수단(T)(예: 로프, 파스너 등)에 의해 작업물(W)이 골격구조물(110)의 수직프레임(111) 및 수평프레임(112)에 고정될 수 있다.
크레인(미 도시)으로부터 연장된 일측 인양케이블(10)의 끝단은 샤클 등의 일반적인 커플링 수단을 이용하여 돌출프레임(113) 쪽 러그(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인양케이블(10)이 상향으로 이동 또는 권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턴오버가 이루어져서, 골격구조물(110) 및 작업물(W)이 안정되게 경사질 수 있고, 이후 도 3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작업물(W)은 골격구조물(110)의 위에 실려 있음으로써, 골격구조물(110)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는 상태이고, 인양케이블(10)에 작용되는 힘은 골격구조물(110)에 작용됨에 따라, 작업물(W)에서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크레인(미 도시)으로부터 연장된 타측 인양케이블(20)의 끝단은 역시 샤클 등의 일반적인 커플링 수단을 이용하여 수직프레임(111) 쪽 러그(12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후, 크레인은 일측 인양케이블(10) 및 타측 인양케이블(20)을 동시에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경사진 상태에서 골격구조물(110) 및 작업물(W)이 공중으로 뜨게 된다. 여기서, 공중이란 작업자 또는 작업자가 탑승한 승강장치가 도달할 수 있는 높이에 해당하는 공중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크레인은 일측 인양케이블(10)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고, 작업자는 타측 인양케이블(20)을 수직프레임(111) 쪽 러그(120a)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런 경우, 도 4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골격구조물(110) 및 작업물(W)은 도 2의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회전된 상태일 수 있고, 일측 인양케이블(10)에 의해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분리한 타측 인양케이블(20)을 상기 러그(120a)의 반대쪽에 위치한 수직프레임(111) 상의 다른 러그(120b)에 연결한다.
또한, 크레인은 일측 인양케이블(10)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대신 타측 인양케이블(20)을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5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골격구조물(110) 및 작업물(W)은 하향 경사진 상태로 공중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크레인은 일측 인양케이블(10)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대신, 타측 인양케이블(20)을 상향으로 이동시켜서, 일측 인양케이블(10)과 타측 인양케이블(20)의 레벨을 서로 일치시킨다.
이후, 크레인은 일측 인양케이블(10)과 타측 인양케이블(20)을 동시에 하강시켜서, 골격구조물(110)을 지면에 내려 놓을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작업물(W)은 고박 수단(T)에 의해 골격구조물(110)에 매달린 상태로서, 완전히 턴오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골격구조물(110)이 상, 하 대칭이므로, 다음 번째의 턴오버를 위해서 골격구조물(110)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필요 없이, 상기 작업물(W)과 골격구조물(110)을 분리시킨 후, 그 골격구조물(110)의 위쪽 부위(Q)를 이용하여 다른 작업물(미 도시)을 턴오버 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블록 턴오버 지그는 블록의 저면에 마련된 피스쌍에 결합될 수 있는 받침부가 골격구조물에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10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골격구조물(110)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수의 러그(12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특히 골격구조물(110)에는 앞서 설명한 작업물보다 크고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다른 작업물, 예컨대 선박 건조용 블록(B)을 골격구조물(110)에 구속 또는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받침부(1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부(130)는 골격구조물(110)의 지지프레임(114)에 다수로 설치되어 있으나, 설계 변경을 통해서, 골격구조물(110)의 수평프레임(112)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받침부(130)는, 미 도시되어 있지만 골격구조물(110)의 지지프레임(114)의 하부 또는 수평프레임(112)의 하부에도 설치 될 수도 있고, 골격구조물(110)을 뒤집어 사용할 때에도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받침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골격구조물에 탑재할 블록의 저면에 구비된 피스쌍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받침부(130)는 일종의 체결구멍(131)을 갖는 블록 지지 시트를 의미할 수 있다.
받침부(130)는 지지프레임(114)에서 다수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블록(B)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블록(B)의 저면에서 돌출된 피스쌍(30, 3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받침부(130)는 지지프레임(114)의 상면에 돌출된 기둥(1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둥(131)은 미리 정한 길이로 절단된 H빔을 세워서 지지프레임(114)의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받침부(130)는 기둥(13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기둥(131)의 평면적보다 넓고, 상기 피스쌍(30, 31)의 상부의 사이 간격(L)보다 좁은 길이(N)를 갖는 판형상의 지지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30)는 지지판(132)의 저면과 상기 기둥(131)의 양측면 및 상기 지지프레임(114)의 상면에 연결되고, 도 9에 도시된 피스쌍(30, 31)의 다수의 결합구멍(32)과 각각 일치되는 체결구멍(133)을 갖는 한 쌍의 날개판(134, 135)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피스쌍(30, 31)은 블록(B)의 저면에 연결된 일측의 ㄴ자형 제 1 피스(30)와, 일측의 ㄴ자형 피스(3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기준선(R)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대칭적 배치에 의해 다른 형상으로 보일 뿐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을 갖고, 역시 블록(B)의 저면에 연결된 제 2 피스(31)와, 제 1 피스(30) 및 제 2 피스(31)에 각각 판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구멍(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피스쌍과 받침부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크레인은 미 도시된 블록을 들어 올려서 골격구조물의 받침부(130)의 상면쪽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크레인은 블록의 저면의 피스쌍(30, 31)이 받침부(130)의 날개판(134, 135) 쪽으로 면접촉되도록, 블록을 이동 및 정지시킨다.
상기 이동 과정에서, 제 1 피스(30) 및 제 2 피스(31)로 이루어진 피스쌍(30, 31)은 상기 피스쌍(30, 31)의 상부의 사이 간격(L)에 의해 받침부(130)의 지지판(132)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면접촉된 피스쌍(30, 31)의 꺾인 하부가 받침부(130)의 지지판(132)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걸림턱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면접촉된 피스쌍(30, 31)의 결합구멍(32) 및 날개판(134, 135)의 체결구멍(133)에는 선박 건조용 샤클 핀(40) 또는 볼트 및 너트 조립체가 결합되어서, 결국 받침부(130)와 블록(B)이 서로 연결 또는 구속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턴오버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골격구조물 111 : 수직프레임
112 : 수평프레임 113 : 돌출프레임
114 : 지지프레임 115 : 보강프레임
120 : 러그 130 : 받침부

Claims (6)

  1.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 위치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수평프레임을 갖는 골격구조물;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프레임의 단부에 마련된 러그를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구조물은, 상기 골격구조물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XY평면을 기준으로 상, 하 대칭을 이루고, 상기 무게중심을 지나는 YZ평면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을 이루고, 상기 무게중심을 지나는 XZ평면을 기준으로 전, 후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구조물은, 상기 사각링 형상의 상기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안쪽 공간에서 평행하도록 다수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변쪽 내측면에 연결된 지지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코너에서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동일 거리만큼 연장된 상기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면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프레임; 및
    상기 돌출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코너 부위에서 상하 대칭으로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돌출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상기 수직프레임끼리 마주보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끝단 내측면과, 상기 돌출프레임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블록 턴오버 지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다수로 이격 배치되어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블록의 저면에서 돌출된 피스쌍에 결합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돌출된 기둥;
    상기 기둥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기둥의 평면적보다 넓고, 상기 피스쌍의 상부의 사이 간격보다 좁은 길이를 갖는 판형상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저면과 상기 기둥의 양측면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쌍의 다수의 구멍과 각각 일치되는 체결구멍을 갖는 한 쌍의 날개판을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
KR1020130078916A 2013-07-05 2013-07-05 블록 턴오버 지그 KR10151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916A KR101516296B1 (ko) 2013-07-05 2013-07-05 블록 턴오버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916A KR101516296B1 (ko) 2013-07-05 2013-07-05 블록 턴오버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248A true KR20150005248A (ko) 2015-01-14
KR101516296B1 KR101516296B1 (ko) 2015-05-04

Family

ID=5247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916A KR101516296B1 (ko) 2013-07-05 2013-07-05 블록 턴오버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2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80U (ko) * 2016-02-24 2017-09-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턴 오버 지그
CN110921491A (zh) * 2019-12-09 2020-03-27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无吊耳吊装物的吊装翻身工装及吊装翻身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395B1 (ko) 2017-12-01 2019-10-01 주식회사 엔케이 회전 지그장치
KR20240062665A (ko) 2022-11-02 2024-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자형 거더 제작용 용접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0446B2 (ja) * 2011-08-04 2015-04-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筒体用反転治具及び筒体の反転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80U (ko) * 2016-02-24 2017-09-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턴 오버 지그
CN110921491A (zh) * 2019-12-09 2020-03-27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无吊耳吊装物的吊装翻身工装及吊装翻身方法
CN110921491B (zh) * 2019-12-09 2021-12-28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无吊耳吊装物的吊装翻身工装及吊装翻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296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296B1 (ko) 블록 턴오버 지그
US20180148919A1 (en) Anchoring and attachment assembly for modular constructions
KR101590789B1 (ko)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JP6207789B1 (ja) 床施工方法、床版ユニットの吊上げ装置、および床版ユニットの吊り具
WO2012045160A1 (en) Support device for truss system
KR20130136136A (ko) 강판 운반용 크레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 운반방법
JP6401937B2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485664Y1 (ko) 블록 턴 오버 지그
KR102353702B1 (ko) 래싱 브릿지
JP5639966B2 (ja) 固定治具及び建物ユニットの輸送方法
KR100825255B1 (ko)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KR101110857B1 (ko) 블록 지지장치용 지지캡
KR20120132044A (ko) 크레인의 후크 파킹 장치
CN107587425B (zh) 一种空间缆悬索桥的主索鞍
JP2009263060A (ja) パレット用支持棚
CN217790051U (zh) 一种便于吊装的大型数据中心机柜
KR101345053B1 (ko) 컨테이너 및 그 제조방법
KR200478136Y1 (ko) 선박의 블록 조립용 턴오버 지그
KR101608010B1 (ko)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KR20150117347A (ko) 선박 블록 받침용 지그 조립체
KR200487538Y1 (ko) 이종 정반 연결장치
KR101417955B1 (ko) 화물선용 갑판
CN215886003U (zh) 一种混凝土预制板转运吊具
KR102017449B1 (ko) 승강트러스
KR101863796B1 (ko) 선박 건조용 캐리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