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89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890A
KR20190107890A KR1020180029194A KR20180029194A KR20190107890A KR 20190107890 A KR20190107890 A KR 20190107890A KR 1020180029194 A KR1020180029194 A KR 1020180029194A KR 20180029194 A KR20180029194 A KR 20180029194A KR 20190107890 A KR20190107890 A KR 20190107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eat dissipation
door
refrigera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243B1 (ko
Inventor
박기현
유대현
임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243B1/ko
Priority to US16/976,318 priority patent/US11473834B2/en
Priority to JP2020510599A priority patent/JP7273026B2/ja
Priority to PCT/KR2019/002767 priority patent/WO2019177315A1/ko
Priority to CN201980006410.8A priority patent/CN111512105B/zh
Priority to RU2020133084A priority patent/RU2758289C1/ru
Priority to AU2019235973A priority patent/AU2019235973B2/en
Priority to EP19767344.5A priority patent/EP3745064B1/en
Publication of KR2019010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back top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 F25D2323/0027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from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2Portable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을 커버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사이드 패널; 상기 인너 케이스를 지지하는 케이스 서포터; 상기 케이스 서포터의 하측을 지지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하측 및 상기 케이스 서포터와 이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도어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복수의 사이드 패널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질감을 가지는 베이스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에 다른 가전기기 들과 함께 빌트인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방의 가구 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기 냉장고의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서 냉장고를 주방이 아닌 거실이나 방에 놓아 사용하는 등 냉장고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지고 있다.
상기 냉장고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짐으로써, 상기 냉장고의 외관이 상기 냉장고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의 가구 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기 냉장고의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3876호에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외관이 일체화된 미감을 가질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방열 유로 상으로 조명 유닛에서 광을 조사하여, 냉장고가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방열 유로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을 커버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사이드 패널; 상기 인너 케이스를 지지하는 케이스 서포터; 상기 케이스 서포터의 하측을 지지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하측 및 상기 케이스 서포터와 이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도어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복수의 사이드 패널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질감을 가지는 베이스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하여, 열전 소자와, 쿨링 싱크와, 히트 싱크를 구비하는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케이스 서포터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상기 히트 싱크와 열교환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방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방열유로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방열 유로에는 상기 방열유로를 커버하며, 공기가 통과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차폐 그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 그릴은, 상기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그릴 바디와, 상기 그릴 바디에서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널은 상기 고정부가 관통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바디에는 상기 베이스 서포터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케이스 서포터에 설치되는 센싱 유닛과, 상기 방열 유로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 유닛과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차폐 그릴 보다 상기 방열유로 출구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케이스 서포터에서 상기 방열 유로 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차폐 그릴에는 상기 센싱 유닛이 통과하기 위한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서포터는, 상기 조명 유닛이 설치되기 위한 조명 유닛 설치부와, 상기 조명 유닛의 설치를 위한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는 투과부에 의해서 커버되고, 상기 투과부는, 상기 센싱 유닛 보다 상기 방열유로 출구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는 상기 베이스 패널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은 냉장고 전체적으로 볼 때 가장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품이 냉장고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질감을 가지는 패널에 의해서 커버되므로, 냉장고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미감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열 유로 상으로 조명 유닛에서 광을 조사하여, 냉장고가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광이 조사되는 부분이 금속 질감을 가지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되므로, 광이 반사되어 사용자가 쉽게 광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열 유로에 차폐 그릴이 구비됨에 따라서, 공기는 통과가 가능하고,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은 상기 방열 유로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베이스에 베이스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방열 유로에 차폐 그릴이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유닛이 케이스 서포터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조명 유닛에서 광이 베이스 패널로 조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 그릴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 그릴이 방열 유로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직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선택된 조명 모드에 따른 발광부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1)을 구비하는 캐비닛(10: cabinet)과,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111)을 개폐하는 도어(20: do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실(111)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10: inner case)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아우터 케이스(100: outer ca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케이스(100)는 알루미늄(Al)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적어도 2회 절곡되거나 밴딩(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복수개의 금속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일 예로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side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단부(102a)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좌우 폭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2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의 외관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단부(102a)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의 전면 및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단부(102a)가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일 예로 상기 캐비닛(10)에 레일 어셈블리(90: rail assembly)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저장실(111)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냉장고(1)를 주방이나 거실, 방 등의 좁은 공간에 배치하더라도 상기 도어(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실(111)을 개폐하므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없이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90)는 일측이 상기 도어(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우드(wood) 재질의 전면 패널(210)과,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230: door l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는 일 예로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는 발포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발포 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됨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는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수 있는 핸들용 공간(290)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핸들용 공간(290)은 일 예로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상측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용 공간(290)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캐비닛(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용 공간(290)으로 손을 인입한 후에 상기 도어(20)를 잡아 당겨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과 같은 구조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냉장고(1)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냉장고(1)의 높이는, 제한적이지 않으나, 일반적인 성인의 키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냉장고(1)의 용량이 낮을 수록 상기 냉장고(1)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도어(20)의 상측에 핸들용 공간(290)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1)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 또는 앉아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각각의 상단부(102b)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단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에는 캐비닛 커버(190: cabiner cover)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냉장고(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상기 캐비닛(10)의 외관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상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상단부(102b)와 동일 평면 또는 동일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일 예로 우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20)의 전면 패널(210) 및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각각 우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 커버(190) 간에 재질의 통일성이 있어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냉장고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우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기본적인 미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고(1)가 위치되는 주변의 가구들과 일체감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일 예로 협탁 냉장고로 사용할 수 있다.
협탁 냉장고는 음식물의 저장 기능 이외에도 협탁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흔히 부엌에 비치되는 일반 냉장고와 달리, 협탁 냉장고는 침실의 침대 옆에 비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 및 전면 패널(210)이 우드 재질로 형성되므로, 냉장고(1)를 침실에 놓아도 주변 가구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협탁 냉장고의 높이는 일 예로 침대의 높이와 유사함이 바람직하며, 일반 냉장고보다 높이가 낮고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면(190a)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111)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드로워 어셈블리(30, 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 공간의 효율화를 위하여 상기 저장실(111)에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32: drawer assembly)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32) 중 일부는 상기 저장실(111) 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거나 레일(rail)에 연결되어 레일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32) 중 일부는 상기 도어(20)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20)와 함께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32) 중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개방 과정에서 개방 초기에 상기 도어(20)와 함께 슬라이딩 인출되고, 소정 거리 인출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캐비닛(1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10)은, 아우터 케이스(100)와, 인너 케이스(110), 및 캐비닛 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2)은 상기 냉장고(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상기 냉장고(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60: rear pan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를 제외한 냉장고(1)의 외관은 상기 사이드 패널(102, 103), 캐비닛 커버(190) 및 상기 리어 패널(16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지지하는 케이스 서포터(130: case supporter)와,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120: ba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가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120)와 이격되어 방열 유로(도 8의 59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는 상기 사이드 패널(102, 103)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120)의 양측에 양면 테이프가 부착되고, 양면 테이프가 상기 사이드 패널(102, 103)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는 일 예로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와 일 예로 스크류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도 상기 사이드 패널(102, 103)에 일 예로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함께 발포 공간을 형성하는 미들 플레이트(150: middle pl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측 및 후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실(111)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50)는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는, 펠티에 효과를 활용하여 상기 저장실(111)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5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1)는, 디스플레이 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0)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0)은 디스플레이 케이스(7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700)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피씨비(710)와,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20)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710)에 센서와 발광부가 구비되고, 센서를 이용하여 명령의 입력을 감지하고, 발광부를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720) 자체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받고 화면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20)의 일측에는 휴대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 기기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용 포트(72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베이스에 베이스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방열 유로에 차폐 그릴이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베이스(120)는,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는, 바텀 플레이트(122: bottom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의 전후 길이는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후 길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는 상기 냉장고(1)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는 일 예로 볼트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에는 상기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 체결홀(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하나 이상의 포밍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포밍부(124)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에는 미끄럼 방지부(12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125)는 바닥면에 놓여 상기 냉장고(1)가 바닥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125)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125)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1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는, 상기 리어 패널(160)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리 리브(127)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27)의 전면에는 상기 지지 리브(127)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의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127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127a)에 의해서 상기 지지 리브(127)가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에 대해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한적이는 않으나, 복수의 연결 리브(127a)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지지 리브(127)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27)의 배면에는 사용자가 잡기 위한 핸들(1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지지 리브(127)의 배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핸들(126)은,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를 운반하고자할 때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핸들(126)이 상기 지지 리브(127)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26)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상기 핸들(126)은,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기 위한 공간(126a)을 형성할 수 있다.
제한적이는 않으나, 상기 핸들(126)은 "ㄷ"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126)은 상기 냉장고(1)가 벽 주변에 위치될 때, 상기 냉장고(1)가 벽과 이격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냉장고(1)와 상기 벽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공기가 상기 냉장고(1)의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핸들(126)의 내측에는 강도 향상을 위한 복수의 보강 리브(126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는, 하방으로 낙하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170)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응축수 저장 공간(171)을 형성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20)의 상하 길이는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상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20)의 상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상단부(102b)와 동일한 높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은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베이스(120) 보다 높게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1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즉, 상기 도어(20)가 상기 베이스(120)와 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도어(220)와 상기 베이스(120) 사이에 방열유로의 출구(59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반면 상기 베이스(12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재질의 동일감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20)의 상면 전단부에는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과 동일한 재질감을 갖는 베이스 패널(101)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널(101)의 전후 길이는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후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사이드 패널(102, 103)과 동일한 재질의 베이스 패널(101)을 상기 베이스(120)의 상측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널(101)은 일 예로 상기 베이스(120)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널(101)은 상기 베이스(120)에 형성되는 일부의 포밍부(124)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방열 유로(590)에는 상기 방열유로 출구(593)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방열 유로(590)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 그릴(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 그릴(40)은 상기 방열유로 출구(593)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조명 유닛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베이스 패널(101)로 조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패널(101)로 조사된 광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 패널(101)에는 상기 차폐 그릴(4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슬롯(101a)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0)에는 상기 슬롯(101a)을 관통한 상기 차폐 그릴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124a)이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는 않으나, 상기 베이스 패널(101)에는 복수의 슬롯(101a)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20)에는 복수의 수용홈(124a)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패널(101)이 상기 베이스(120)에 부착되면, 상기 슬롯(101a)이 상기 수용홈(124a)과 정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베이스 패널(101)의 후단부가 상기 수용홈(124a)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101)에 슬롯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1)는, 센싱 유닛(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80)은 일 예로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80)은, 상기 냉장고(1)의 전방에 위치된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센싱 유닛(80)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유닛이 케이스 서포터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조명 유닛에서 광이 베이스 패널로 조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는 서포터 플레이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120)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120)와 이격된다.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31)의 하측에는 상기 센싱 유닛(80)이 설치되기 위한 센싱 유닛 설치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80)은 일 예로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31)를 좌우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지점 또는 이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80)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하우징(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일 예로 PSD 센서(Position Sensitive Detector)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31)의 하측에 상기 센싱 유닛 설치부(140)가 구비됨에 따라서, 발포액의 충진 완료 후에 상기 센싱 유닛 설치부(140)에 상기 센싱 유닛(80)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발포 과정에서 상기 센싱 유닛(80)이 고온의 발포액에 의해서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센싱 유닛 설치부(140)가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센서 하우징(810)은, 상기 센싱 유닛 설치부(140)의 전방에서 상기 센싱 유닛 설치부(14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 하우징(810)의 양측에는 상기 센싱 유닛 설치부(140)와 결합되기 위한 연장부(8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80)이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 유닛(80)은 방열 유로(592)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와 상기 베이스(120) 사이 공간에 의해서 상기 센싱 유닛(8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외부 충격에 의해서 상기 센싱 유닛(8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센싱 유닛(80)은 상기 방열유로 출구(593)에서 후방으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센싱 유닛(80)은 상기 도어(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80)이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 유닛(80)은 상기 베이스(120)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와 상기 베이스(120) 사이 공간으로 액체나 이물질이 인입되더라도, 액체나 이물질이 상기 센싱 유닛(80)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상기 센싱 유닛(8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작동할 수 있는 조명 유닛(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82)은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는 상기 조명 유닛(82)이 설치되기 위한 조명 유닛 설치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 설치부(142)는, 일 예로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31)의 하면이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는 조명 유닛(82)의 설치를 위한 입구(1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 설치부(142)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3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면(143)과, 상기 설치면(143)에서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31)의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반사면(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면(144)은 상기 설치면(143)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라운드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면(143)과 상기 반사면(144)이 상기 조명 유닛(82)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조명 유닛(82)은, 피씨비(820: PCB)과, 상기 피씨비(82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씨비(820)는 일 예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설치면(143)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부(830)는 상기 반사면(144)을 바라보도록 상기 설치면(14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부(830)는 상기 도어(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는 상기 발광부(830)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하는 투과부(14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146)는 상기 조명 유닛 설치부(142)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투과부(146)는 상기 입구(145)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146)를 투과한 광은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31)와 상기 베이스(120) 사이 공간의 방열 유로(590)로 조사된다. 상기 투과부(146)를 투과한 광은 일 예로 상기 베이스 패널(101)의 상면에 조사된다. 상기 베이스 패널(101)의 상면으로 조사된 광은 반사되며, 사용자는 상기 방열유로 출구(593)를 통해 상기 방열 유로(590)로 광이 조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센싱 유닛(80)이 광의 경로에서 장애물 역할을 하지 않도록 상기 센싱 유닛(80)은 상기 투과부(146)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투과부(146)가 상기 센싱 유닛(80)에 비하여 상기 방열유로 출구(193)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146)를 통과한 광이 상기 베이스 패널(101)로 조사되도록, 상기 투과부(146)(또는 상기 입구(145)는 상기 베이스 패널(101)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 그릴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 그릴이 방열 유로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차폐 그릴(40)은, 그릴 바디(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바디(40)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홀(4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404)은 공기는 통과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도 12에는 상기 홀(404)이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개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형, 다각형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릴 바디(400)의 하측에는 고정부(4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2)는 상기 그릴 바디(40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고정부(402)가 상기 그릴 바디(400)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베이스 패널(101)의 슬롯(101a)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20)의 수용홈(124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바디(400)에는 상기 베이스 서포터(13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406)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홀(406)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서포터(1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차폐 그릴(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열 유로(590)에 위치되는데, 상기 조명 유닛(82)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방열 유로(590)에 의해서 차단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차폐 그릴은 상기 투과부(145)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 그릴(40)은 상기 투과부(145) 보다 상기 방열유로 출구(593)에서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 그릴(40)이 상기 투과부(145)의 위치되므로, 상기 차폐 그릴이 상기 센싱 유닛(80)의 전방을 막지 않도록 상기 차폐 그릴(40)은 상기 센싱 유닛(80)의 전면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그릴 바디(400)에는 상기 그릴 바디(400)가 상기 방열 유로(590) 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 유닛(80)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4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408)는 일 예로 상기 그릴 바디(400)의 상측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02)를 제외한 상기 그릴 바디(400)의 높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상기 베이스 패널(101)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방열 유로(59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02)를 포함한 상기 그릴 바디(400)의 높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상기 베이스 패널(101)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방열 유로(590)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 그릴(40)을 상기 방열 유로(590) 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폐 그릴(40)를 경사진 상태로 상기 방열 유로(590)로 인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센싱 유닛(80)이 상기 개구(408)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고정부(402)를 상기 베이스 패널(101)의 슬롯(101a)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20)의 수용홈(124a)에 수용시킨다. 상기 고정부(402)를 상기 베이스(120)의 수용홈(124a)에 수용시키면서 상기 차폐 그릴(40)을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하도록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체결부재를 상기 체결홀(408)에 체결하면 상기 차폐 그릴(4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 장치(50)는, 열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 모듈은 열전 소자(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 모듈은, 펠티에 효과를 활용하여 상기 저장실(111)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열전 모듈 자체는 주지 기술이므로 구동 원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열전 모듈은, 쿨링 싱크(514)와, 히트 싱크(5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512)는 저온부와 고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온부와 고온부는 상기 열전소자(512)에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512)의 저온부가 고온부보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온부는 상기 쿨링 싱크(514)와 접할 수 있고, 상기 고온부는 상기 히트 싱크(516)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쿨링 싱크(514)는 상기 저장실(111)을 냉각시키고, 상기 히트 싱크(516)에서는 방열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50)는, 상기 저장실(111)의 공기를 상기 쿨링 싱크(514)로 유동시키는 냉각팬(520)과, 외부의 공기를 상기 히트 싱크(516)으로 유동시키는 방열팬(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530)은 상기 쿨링 싱크(514)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방열팬(530)은 상기 히트 싱크(516)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530)은 상기 쿨링 싱크(514)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방열팬(530)은 상기 히트 싱크(516)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530)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530)은 상기 팬 커버(54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팬 커버(54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커버(540)는 상기 저장실(111)과 쿨링 유로(580)를 구획할 수 있다.
즉, 상기 팬 커버(540)의 전방에는 상기 저장실(111)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팬 커버(540)의 후방에는 상기 쿨링 유로(58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530)은 상기 저장실(111)의 공기를 상기 쿨링 유로(580)로 유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쿨링 유로(580)에 상기 쿨링 싱크(514)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쿨링 유로(580)에 배치된 상기 쿨링 싱크(514)와 열교환된 저온의 공기는 다시 상기 저장실(111)로 유동되어 상기 저장실(111) 내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팬 커버(540)에는 인너 흡입홀(542) 및 인너 토출홀(544)(5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흡입홀(542) 및 인너 토출홀(544)(546)의 개수, 크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인너 토출홀(544)(546)은 상부 토출홀(544)과 하부 토출홀(5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토출홀(544)은 상기 인너 흡입홀(542)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하부 토출홀(546)은 인너 흡입홀(542)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저장실(111)의 온도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냉각팬(520)은 상기 인너 흡입홀(542)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520)의 구동시, 상기 저장실(1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인너 흡입홀(542)을 통해 상기 쿨링 유로(580)로 흡입되어 상기 쿨링 싱크(514)와 열교환되며 냉각될 수 있다. 냉각된 공기는 상기 인너 토출홀(544)(546)을 통해 상기 저장실(111)로 토출될 수 있고, 이로써 저장실(111)의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기 쿨링 싱크(514)에서 냉각된 공기의 일부는 상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상부 토출홀(544)을 통해 상기 저장실(111)로 토출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하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하부 토출홀(546)을 통해 상기 저장실(111)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1)의 공기가 상기 열전소자(512)의 쿨링 싱크(514)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에 의해서 상기 쿨링 싱크(514)의 표면 상에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바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바닥으로 유동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바닥에는 응축수 배출관(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배출관(180)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는 응축수 안내관(13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배출관(180)은 상기 응축수 안내관(137)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응축수 배출관(180)은 상기 응축수 안내관(137)의 상측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180)으로 배출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안내관(137)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베이스(120)에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응축수 안내관(137)의 일부는 상기 집수부(170) 내의 집수공간(171)에 위치된다.
상기 집수부(170)의 바닥에는 상기 응축수 안내관(137)의 하측 단부를 둘러싸는 관 커버리브(172)가 구비될 수 상기 관 커버리브(172)는 상기 집수부(17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관 커버리브(172)의 높이는 상기 집수부(170)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냉장고(1)는 방열 유로(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상기 방열팬(5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방열 유로(590)로 안내될 수 있고, 상기 히트 싱크(516)와 열교환되며 가열될 수 있다.
상기 방열 유로(59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열 유로(59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후방에 위치한 리어 방열유로(591)(제1방열 유로)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하방에 위치한 로어 방열유로(592)(제2방열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방열유로(591)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와 상기 리어 패널(16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리어 방열유로(591)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리어 플레이트(152)와 상기 리어 패널(16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516)는 상기 리어 방열유로(59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516)는 상기 방열팬(53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수 있다.
상기 리어 방열유로(591)는 상기 리어 패널(160)에 구비되는 외기 흡입홀(166)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리어 방열유로(591)는 상기 외기 흡입홀(166)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로어 방열유로(592)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방열유로(592)는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와 상기 베이스(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방열유로(592)는 상기 리어 방열유로(59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방열유로(592)는 상기 리어 방열유로(591) 에서 유동된 공기를 상기 도어(20) 하측의 방열유로 출구(593)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방열유로(592)에 상기 센싱 유닛(80) 및 상기 차폐 그릴(40)이 위치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20)에는 핸들(126)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126)은 상기 냉장고(1) 전체적으로 볼 때, 가장 후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냉장고(1)의 후면에서 상기 핸들(126)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가 벽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핸들(126)에 의해서 벽면과 상기 냉장고(1)의 배면(적어도 외기 흡입홀(166)이 형성되는 부분)이 벽과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선택된 조명 모드에 따른 발광부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720)에서는 상기 저장실(111)의 내부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온도는 복수의 온도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온도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720)에서는 상기 조명 유닛(82)의 작동을 위한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모드는, 연속 온 모드, 자동 모드, 오프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오프 모드는 상기 조명 유닛(82)이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이고, 상기 연속 온 모드는 상기 조명 유닛(82)이 온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이다.
상기 자동 모드는 상기 센싱 유닛(80)에서 사용자의 근접이 감지되면, 상기 조명 유닛(82)이 설정된 시간 동안 온된 후에 오프되는 모드이다.
상기 표시부(720)는, 일 예로, 간접조명, 꺼짐, 켜짐의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꺼짐 및 상기 켜짐은 명령 입력부일 수 있고, 상기 간접 조명은 정보 출력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켜짐을 한번 선택하면, 상기 자동 모드가 선택되어 상기 간접조명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가 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깜박거린 후에 오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켜짐을 다시 선택하면, 상기 연속 온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부가 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꺼짐을 선택하면, 상기 오프 모드가 선택될 수 있고, 상기 발광부는 오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모드를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부가 구비되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일 예로 와이파이 통신모듈일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모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표시부(720)에는 상기 통신 모듈의 통신 강도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20)는, 상기 충전용 포트(722)에 충전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1: 냉장고 10: 캐비닛
20: 도어 40: 차폐 그릴
80: 센싱 유닛 82: 조명 유닛
101: 베이스 패널 102, 103: 사이드 패널
120: 베이스 130: 케이스 서포터

Claims (11)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을 커버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사이드 패널;
    상기 인너 케이스를 지지하는 케이스 서포터;
    상기 케이스 서포터의 하측을 지지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하측 및 상기 케이스 서포터와 이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도어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복수의 사이드 패널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질감을 가지는 베이스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하여, 열전 소자와, 쿨링 싱크와, 히트 싱크를 구비하는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케이스 서포터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상기 히트 싱크와 열교환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방열 유로를 형성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방열유로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방열 유로에는 상기 방열유로를 커버하며, 공기가 통과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차폐 그릴이 구비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그릴은, 상기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그릴 바디와,
    상기 그릴 바디에서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은 상기 고정부가 관통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바디에는 상기 베이스 서포터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구비되는 냉장고.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서포터에 설치되는 센싱 유닛과,
    상기 방열 유로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 유닛과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차폐 그릴 보다 상기 방열유로 출구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케이스 서포터에서 상기 방열 유로 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차폐 그릴에는 상기 센싱 유닛이 통과하기 위한 개구가 구비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서포터는, 상기 조명 유닛이 설치되기 위한 조명 유닛 설치부와,
    상기 조명 유닛의 설치를 위한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는 투과부에 의해서 커버되고,
    상기 투과부는, 상기 센싱 유닛 보다 상기 방열유로 출구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베이스 패널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은 냉장고 전체적으로 볼 때 가장 후측에 위치되는 냉장고.

KR1020180029194A 2018-03-13 2018-03-13 냉장고 KR102429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94A KR102429243B1 (ko) 2018-03-13 2018-03-13 냉장고
US16/976,318 US11473834B2 (en) 2018-03-13 2019-03-08 Refrigerator
JP2020510599A JP7273026B2 (ja) 2018-03-13 2019-03-08 冷蔵庫
PCT/KR2019/002767 WO2019177315A1 (ko) 2018-03-13 2019-03-08 냉장고
CN201980006410.8A CN111512105B (zh) 2018-03-13 2019-03-08 冰箱
RU2020133084A RU2758289C1 (ru) 2018-03-13 2019-03-08 Холодильник
AU2019235973A AU2019235973B2 (en) 2018-03-13 2019-03-08 Refrigerator
EP19767344.5A EP3745064B1 (en) 2018-03-13 2019-03-0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94A KR102429243B1 (ko) 2018-03-13 2018-03-1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90A true KR20190107890A (ko) 2019-09-23
KR102429243B1 KR102429243B1 (ko) 2022-08-05

Family

ID=6790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194A KR102429243B1 (ko) 2018-03-13 2018-03-13 냉장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73834B2 (ko)
EP (1) EP3745064B1 (ko)
JP (1) JP7273026B2 (ko)
KR (1) KR102429243B1 (ko)
CN (1) CN111512105B (ko)
AU (1) AU2019235973B2 (ko)
RU (1) RU2758289C1 (ko)
WO (1) WO2019177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852B1 (ko) * 2018-03-08 2023-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230349628A1 (en) * 2020-01-07 2023-1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997A (ko) * 2002-01-25 2003-07-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캐비넷 조립체
KR100480710B1 (ko) * 2002-07-24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냉장고
KR100727670B1 (ko) * 2006-08-04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장이 구비되는 냉장고
KR20090075010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기계실의 방열구조를 가지는 냉장고
US20100115969A1 (en) * 2008-11-12 2010-05-13 General Mills, Inc. Portable thermoelectric cooling/heating unit and related merchandizing system
KR20170019772A (ko) * 2015-08-12 2017-02-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센서부를 가지는 냉장고
CN206817875U (zh) * 2017-05-03 2017-12-29 中山市凯得电器有限公司 一种电源外置的电子酒柜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9770A (en) * 1961-12-21 1963-03-05 Gen Motors Corp Air flow through refrigerator cabinet machine compartment
US4133310A (en) 1974-01-11 1979-01-09 Smith & Nephew Research Limited Polymer fabric
JPS5248452Y2 (ko) * 1974-11-22 1977-11-04
ZA814773B (en) 1980-07-18 1982-07-28 Dresser Europe Sa Mining machine
JPS5740090U (ko) * 1980-08-19 1982-03-04
JPH0442702Y2 (ko) * 1985-12-20 1992-10-08
JPS63175787A (ja) 1987-01-16 1988-07-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ps受信機の制御方法
JPH0510220Y2 (ko) * 1987-02-20 1993-03-12
US5117523A (en) * 1990-11-26 1992-06-02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side refrigeration system mounting arrangement
JPH07218083A (ja) 1994-01-31 1995-08-18 Aisin Seiki Co Ltd 電子保冷庫
JP3863697B2 (ja) * 2000-03-30 2006-12-27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庫
US20030005716A1 (en) 2001-07-03 2003-01-09 Michael Doran Wall mounted refrigerator system
JP2003161565A (ja) * 2001-11-28 2003-06-06 Yodogawa Steel Works Ltd 台所収納体用の保冷庫
CN101613406A (zh) 2002-06-06 2009-12-30 肿瘤疗法科学股份有限公司 与人结肠癌相关的基因和多肽
JP2004194509A (ja) * 2002-12-16 2004-07-15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生地を用いたパンの調理装置
JP4228892B2 (ja) 2003-11-28 2009-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システムキッチン組み込み式冷蔵庫
JP2005180795A (ja) * 2003-12-19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冷却ユニットを備えた断熱パネル
US7451603B2 (en) 2004-03-22 2008-11-18 General Mills, Inc. Portable cooled merchandizing unit
DE102004014926A1 (de) 2004-03-26 2005-10-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zwei Lagerfächern
CN100439829C (zh) 2004-07-26 2008-12-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内置式冰箱的散热装置
US7380410B2 (en) * 2005-03-31 2008-06-03 U-Line Corporation Pull-out access cooler unit
WO2006126114A1 (en) * 2005-05-25 2006-11-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llumination system, shelf-lighting system and wall-washer lighting system
JP4278637B2 (ja) * 2005-06-07 2009-06-17 益男 片田 フットライト付き冷蔵庫
MX2008012712A (es) 2006-04-05 2009-01-15 True Mfg Co Inc Refrigerador con revestimiento y efectos visuales.
JP2007292334A (ja) 2006-04-21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EP1972873A1 (en) * 2007-03-02 2008-09-2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n appliance and a method for a built-in arrangement in a kitchen interior
WO2009141129A1 (en) * 2008-05-23 2009-11-26 Aktiebolaget Electrolux Cold appliance
JP5740090B2 (ja) 2010-01-18 2015-06-24 松山株式会社 農作業機のリモコンシステム
DE102010003355A1 (de) 2010-03-26 2011-09-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US20130327064A1 (en) 2012-06-08 2013-12-12 Thomas C. Stein End table with concealed built-in refrigerator
KR101564912B1 (ko) * 2012-08-24 2015-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9642214B2 (en) * 2012-10-22 2017-05-02 Whirlpool Corporation Sensor system for refrigerator
US20140345316A1 (en) * 2013-05-22 2014-11-27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 modular cooler assembly
KR101323876B1 (ko) 2013-06-19 2013-10-30 주식회사 아맥스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US9334649B2 (en) * 2013-06-28 2016-05-10 Leprino Foods Company Thermally insulated industrial freezer structure and system
JP2017106637A (ja) 2014-12-26 2017-06-1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冷蔵庫および照明装置
US10501972B2 (en) * 2015-03-31 2019-12-10 Follett Corporation Refrigera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therefor
DE102017118369A1 (de) * 2016-08-18 2018-02-22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JP7218083B2 (ja) 2016-12-21 2023-02-06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セメント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279484B1 (ko) * 2017-03-13 202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67404B1 (ko) * 2017-03-21 202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04277B1 (ko) * 2017-03-21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09117B1 (ko) * 2017-03-21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34259B1 (ko) * 2017-07-14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4192B1 (ko) * 2017-11-22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6650A (ko) *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03852B1 (ko) * 2018-03-08 2023-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62679B1 (ko) * 2018-03-09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8735B1 (ko) * 2018-03-12 2022-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8003584B4 (de) * 2018-05-03 2021-02-25 Emz-Hanauer Gmbh & Co. Kgaa Haushalts-Kühlgerät mit einer Wandleuchte
DE102018003588A1 (de) * 2018-05-03 2019-11-07 Emz-Hanauer Gmbh & Co. Kgaa Leuchtvorrichtung zur Wandmontage in einem elektrischen Haushaltsgerät
DE102018003587B4 (de) * 2018-05-03 2020-12-31 Emz-Hanauer Gmbh & Co. Kgaa Haushalts-Kühlgerät mit einer Wandleuchte
EP3575715A1 (en) * 2018-05-28 2019-12-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531202B1 (ko) * 2018-07-05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8005481B4 (de) * 2018-07-11 2023-03-09 Emz-Hanauer Gmbh & Co. Kgaa Haushalts-Kühlgerät mit Bodenbaugruppe und daran angebrachter Leuchtleiste
KR102494131B1 (ko) * 2018-07-31 2023-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54016B1 (ko) * 2018-08-1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01887B1 (ko) * 2019-02-18 202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CN112797711A (zh) * 2019-11-13 2021-05-14 Lg电子株式会社 冰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997A (ko) * 2002-01-25 2003-07-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캐비넷 조립체
KR100448287B1 (ko) * 2002-01-25 2004-09-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캐비넷 조립체
KR100480710B1 (ko) * 2002-07-24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냉장고
KR100727670B1 (ko) * 2006-08-04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장이 구비되는 냉장고
KR20090075010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기계실의 방열구조를 가지는 냉장고
US20100115969A1 (en) * 2008-11-12 2010-05-13 General Mills, Inc. Portable thermoelectric cooling/heating unit and related merchandizing system
KR20170019772A (ko) * 2015-08-12 2017-02-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센서부를 가지는 냉장고
CN206817875U (zh) * 2017-05-03 2017-12-29 中山市凯得电器有限公司 一种电源外置的电子酒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31781A (ja) 2020-11-05
AU2019235973B2 (en) 2022-02-10
EP3745064A1 (en) 2020-12-02
RU2758289C1 (ru) 2021-10-28
US20210048240A1 (en) 2021-02-18
EP3745064B1 (en) 2024-05-01
US11473834B2 (en) 2022-10-18
AU2019235973A1 (en) 2020-06-18
CN111512105B (zh) 2022-06-24
EP3745064A4 (en) 2021-10-13
WO2019177315A1 (ko) 2019-09-19
KR102429243B1 (ko) 2022-08-05
JP7273026B2 (ja) 2023-05-12
CN111512105A (zh)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27359B (zh) 冰箱
KR101802519B1 (ko) 냉장고
US8143560B2 (en) Cooking apparatus
AU2019235973B2 (en) Refrigerator
KR102522049B1 (ko) 냉장고
KR20190059030A (ko) 냉장고
KR102351995B1 (ko) 냉장고
US20230036523A1 (en) Refrigerator
KR102167542B1 (ko) 냉장고
CN111664647A (zh) 冰箱的抽屉的前面板组件及冰箱的抽屉的组装方法
CN111664648A (zh) 冰箱的抽屉及具有其的冰箱
WO2023180091A1 (en) A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drawer-type door with a light unit
EP4060260A1 (en) Refrigerator
CN111076489B (zh) 冰箱的抽屉的前面板组件、抽屉及冰箱
US20230030975A1 (en) Refrigerator
JP2021181847A (ja) 冷蔵庫
KR20240000148A (ko) 가전 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21181848A (ja) 冷蔵庫
JP2021181846A (ja) 冷蔵庫
KR20210058237A (ko)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50124753A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