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85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852B1
KR102503852B1 KR1020180027288A KR20180027288A KR102503852B1 KR 102503852 B1 KR102503852 B1 KR 102503852B1 KR 1020180027288 A KR1020180027288 A KR 1020180027288A KR 20180027288 A KR20180027288 A KR 20180027288A KR 102503852 B1 KR102503852 B1 KR 10250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over
cabinet cover
refrigerator
reinforc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175A (ko
Inventor
박기현
유대현
임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852B1/ko
Priority to AU2019231480A priority patent/AU2019231480B2/en
Priority to JP2020531416A priority patent/JP6956271B2/ja
Priority to RU2020131750A priority patent/RU2744177C1/ru
Priority to US16/979,024 priority patent/US11428458B2/en
Priority to EP19764058.4A priority patent/EP3722713B1/en
Priority to CN201980006799.6A priority patent/CN111527360B/zh
Priority to PCT/KR2019/002626 priority patent/WO2019172662A1/ko
Publication of KR2019010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8Refrigerat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면을 커버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비닛 커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에 다른 가전기기 들과 함께 빌트인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방의 가구 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기 냉장고의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서 냉장고를 주방이 아닌 거실이나 방에 놓아 사용하는 등 냉장고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지고 있다.
상기 냉장고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짐으로써, 상기 냉장고의 외관이 상기 냉장고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기 냉장고의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3876호에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장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와; 냉장고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본체결합공에 결합되며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냉각패키징과; 냉장실 내부에서 냉각패키징의 선단과 결합되는 흡열유니트와; 냉장고 본체의 후방측에서 냉각패키징의 후단과 결합되는 방열유니트와; 냉장실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유니트로 배수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선행문헌의 경우,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냉각 패키징을 사용하는 경우, 냉장고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경우, 단순히 냉장고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을 뿐, 냉장고의 외관의 변화는 없으며, 이에 따라 냉장고를 주방 외의 거실이나 침실 내에 위치하는 경우, 주변 구조물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장고의 고급스러운 디자인 구현을 위해, 냉장고의 외형(특히, 상판)을 원목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수축, 뒤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우드 재질의 캐비닛 커버가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수축 및 뒤틀림 등의 변형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필요에 따라 냉장고의 상면 외관을 형성는 캐비닛 커버를 캐비닛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하고, 교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중량을 줄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형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두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좌우 방향 변형은 물론, 전후방향의 변형가지도 예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변형 시, 보강 브라켓의 변형 및 분리를 예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면을 커버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비닛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에는, 막대(bar)형태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보강 브라켓이 상호 나란하게 복수 결합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된다.
상기 장착홈의 길이는 상기 보강 브라켓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는 여러개의 원목을 상호 나란하게 배열한 상태로 접착시킨 집성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집성목의 배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과 나란한 면에 상기 보강 브라켓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장공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는 저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슬릿홈이 상호 나란하게 복수 형성된다.
상기 슬릿홈은 상기 보강 브라켓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복수의 커버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과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 커버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제2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제1부분의 일측이 수용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고정부는, 상기 커버 고정부와 캐비닛 커버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캐비닛 커버에 고정된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 고정부가 고정되는 커버 고정홀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고정홀은, 상기 커버 고정부의 제2부분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 제1홀과, 상기 제1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부분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제1부분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 제2홀을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우드 재질의 캐비닛 커버가 캐비닛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냉장고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닛 커버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냉장고의 외관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수축 및 뒤틀림 등의 변형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냉장고의 상면 외관을 형성는 캐비닛 커버를 캐비닛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하고,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중량을 줄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형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두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좌우 방향 변형은 물론, 전후방향의 변형가지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닛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변형 시, 보강 브라켓의 변형 및 분리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캐비닛에서 캐비닛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캐비닛 커버가 뒤집힌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캐비닛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캐비닛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캐비닛 커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미들 플레이트의 고정홀에 커버 고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1)을 구비하는 캐비닛(10: cabinet)과,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111)을 개폐하는 도어(20: do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실(111)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10: inner case)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아우터 케이스(100: outer ca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케이스(100)는 알루미늄(Al)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적어도 2회 절곡되거나 밴딩(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복수개의 금속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일 예로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side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단부(102a)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좌우 폭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2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의 외관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단부(102a)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의 전면 및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전단부(102a)가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일 예로 상기 캐비닛(10)에 레일 어셈블리(90: rail assembly)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저장실(111)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냉장고(1)를 주방이나 거실, 방 등의 좁은 공간에 배치하더라도 상기 도어(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실(111)을 개폐하므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없이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90)는 일측이 상기 도어(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우드(wood) 재질의 전면 패널(210)과,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230: door l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는 일 예로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는 발포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발포 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됨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는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수 있는 핸들용 공간(290)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핸들용 공간(290)은 일 예로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상측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용 공간(290)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캐비닛(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용 공간(290)으로 손을 인입한 후에 상기 도어(20)를 잡아 당겨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과 같은 구조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냉장고(1)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냉장고(1)의 높이는, 제한적이지 않으나, 일반적인 성인의 키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냉장고(1)의 용량이 낮을 수록 상기 냉장고(1)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도어(20)의 상측에 핸들용 공간(290)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1)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 또는 앉아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각각의 상단부(102b)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단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에는 캐비닛 커버(190: cabinet cover)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냉장고(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상기 캐비닛(10)의 외관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상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상단부(102b)와 동일 평면 또는 동일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일 예로 우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20)의 전면 패널(210) 및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각각 우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 커버(190) 간에 재질의 통일성이 있어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냉장고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우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기본적인 미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고(1)가 위치되는 주변의 가구들과 일체감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일 예로 협탁 냉장고로 사용할 수 있다.
협탁 냉장고는 음식물의 저장 기능 이외에도 협탁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흔히 부엌에 비치되는 일반 냉장고와 달리, 협탁 냉장고는 침실의 침대 옆에 비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 및 전면 패널(210)이 우드 재질로 형성되므로, 냉장고(1)를 침실에 놓아도 주변 가구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협탁 냉장고의 높이는 일 예로 침대의 높이와 유사함이 바람직하며, 일반 냉장고보다 높이가 낮고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면(190a)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111)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 공간의 효율화를 위하여 상기 저장실(111)에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 drawer assembly)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 중 일부는 상기 저장실(111) 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거나 레일(rail)에 연결되어 레일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 중 일부는 상기 도어(20)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20)와 함께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 40) 중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개방 과정에서 개방 초기에 상기 도어(20)와 함께 슬라이딩 인출되고, 소정 거리 인출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캐비닛(1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캐비닛의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10)은, 아우터 케이스(100)와, 인너 케이스(110), 및 캐비닛 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 102)은 상기 냉장고(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상기 냉장고(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60: rear pan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를 제외한 냉장고(1)의 외관은 상기 사이드 패널(102, 103), 캐비닛 커버(190) 및 상기 리어 패널(16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지지하는 케이스 서포터(130: case supporter)와,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120: ba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함께 발포 공간을 형성하는 미들 플레이트(150: middle pl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측 및 후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실(111)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캐비닛 커버(19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캐비닛 커버>
도 5는 캐비닛에서 캐비닛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캐비닛 커버가 뒤집힌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캐비닛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캐비닛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에는, 막대(bar)형태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보강 브라켓(195)이 상호 나란하게 복수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와 대면하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막대 형상의 금속 재질의 보강 브라켓(195)이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에 결합되면, 캐비닛 커버(190)의 수축, 뒤틀림 등의 변형이 예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195)의 단면은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 브라켓(195)은 'ㄷ'자 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강 브라켓(195)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나란하게 대면하는 수평부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양측단부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내측을향해 연장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평부의 양측을 수직하게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 브라켓(195)이 'ㄷ'자 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보강 브라켓(195) 자체의 강도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브라켓(195)의 강도도 향상되면서, 보강 브라켓(195)에 의해 캐비닛 커버(190)의 수축, 뒤틀림 등의 변형도 보다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브라켓(195)의 수직부(캐비닛 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의 구성으로, 캐비닛 커버(190)의 폭 방향(좌우방향) 뿐 아니라, 전후방향의 변형도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장착홈(191a,191b)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브라켓(195)은 상기 장착홈(191a,191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191a, 191b)은 전술한 보강 브라켓(195)의 수평부가 안착되는 수평 장착홈(191a)과, 상기 보강 브라켓(195)의 수직부가 안착되는 수직 장착홈(191b)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장착홈(191b)은 상기 수평 장착홈(191a)의 양측에서, 수직 장착홈(191b)보다 더 깊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장착홈(191a,191b)의 구성으로, 보강 브라켓(195)은 캐비닛 커버(19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캐비닛 커버(19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수직 장착홈(191b)에 보강 브라켓(195)의 수직부가 삽입되면서, 보강 브라켓(195)과 캐비닛 커버(19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 커버(190)의 전후방향(도 8의 점선 방향)으로의 변형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191a)의 길이는 상기 보강 브라켓(195)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홈(191a)의 길이가 보강 브라켓(195)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면, 장착홈(191a)의 양측 단부와 상기 보강 브라켓(195)의 양측 단부 사이에는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 커버(190)의 변형 시, 보강 브라켓(195)이 이동할 여유가 생기면서, 보강 브라켓(195)의 변형에 의해 보강 브라켓(195)이 변형되거나, 보강 브라켓(195)이 캐비닛 커버(190)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여러개의 원목을 상호 나란하게 배열한 상태로 접착시킨 집성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성목에는 원목들 사이에 경계선(도 8의 점선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경계선은 원목들이 접착된 집성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여러개의 원목은 상기와 같은 경계선을 기준으로 접착된다.
이때, 상기 보강 브라켓(195)은, 상기 집성목의 배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 브라켓(195)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구성하는 집성목의 경계선(도 8의 점선 참조)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성목의 특성상, 원목들의 배열된 방향(경계선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변형이 크게 발생한다.
반면, 원목들의 배열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경계선 방향)으로는 변형이 작게 발생한다.
따라서, 보강 브라켓(195)이 상기 집성목의 배열 방향과 나란하게 캐비닛 커버(190)에 고정될 경우, 캐비닛 커버(190)의 강도를 높이면서, 캐비닛 커버(190)를 구성하는 집성목의 수축, 변형,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브라켓(195)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과 나란한 면에 상기 보강 브라켓(195)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복수의 장공(195a)이 일렬로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공(195a)은 상기 보강 브라켓(195)의 길이 방향으로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에 보강 브라켓(195)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공(195a)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장공(195a)와 캐비닛 커버(190)를 스크류 등으로 체결하면, 보강 브라켓(195)은 캐비닛 커버(19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집성목으로 구성된 캐비닛 커버(190)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세히, 수축, 튀틀림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스크류와 보강 브라켓(195) 사이에 여유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스크류가 변형되거나, 스크류가 캐비닛 커버(190)와 보강 브라켓(195)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캐비닛 커버(190)와 보강 브라켓(195)이 분리되는 문제가 연달아 발생한다.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보강 브라켓(195)에 장공(195a)이 형성되면, 캐비닛 커버(190)는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스크류가 장공(195a)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가 캐비닛 커버(190)과 보강 브라켓(195)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캐비닛 커버(190)과 보강 브라켓(195)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보강 브라켓(195)에 장공(195a)이 형성됨에 따라, 캐비닛 커버(190)와 보강 브라켓(195)을 체결하는 스크류가 캐비닛 커버(190)의 수축, 뒤틀림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저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슬릿홈(191e)이 상호 나란하게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홈(191e)은 상기 보강 브라켓(195)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릿홈(191e)은 상기 보강 브라켓(195)과 직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릿홈(191e)이 형성되면, 캐비닛 커버(19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캐비닛 커버(190)가 집성목으로 형성된 경우,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도 8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의 수축은 보강 브라켓(195)에 의해 방지되고, 전후방향의 수축은 상기 슬릿홈(191e)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강 브라켓(195)과 슬릿홈(191e)의 구성에 의해, 집성목으로 형성된 캐비닛 커버(190)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의 수축, 변형, 뒤틀림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슬릿홈(191e)은 상기 보강 브라켓(195)이 삽입되는 장착홈(191a)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홈(191e)은 캐비닛 커버(190)를 구성하는 집성목의 경계선(도 8의 점선 참조)과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집성목의 경계선(도 8의 점선 참조)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집성목의 강도가 약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릿홈(191e)이 형성되면서, 캐비닛 커버(190)의 무게가 줄어들어, 캐비닛 커버(190)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 커버(190)가 장착된 냉장고의 무게가 줄어들어, 냉장고를 이동하기 보다 수월할 수 있다.
<캐비닛 커버 장착 구조>
이하,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미들 플레이트(150)의 장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캐비닛 커버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11은 미들 플레이트의 고정홀에 커버 고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에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되는 복수의 커버 고정부(192)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커버 고정부(192)가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버 고정부(192)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2)는, 상기 커버 고정부(192)와 캐비닛 커버(19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197)에 의해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는 상기 체결부재(197)가 삽입되는 체결홈(191d)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커버 고정부(192)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하면에 스크류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2)는, 일측이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과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제1부분(193)과, 상기 제1부분(193)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부분(193)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제2부분(1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상기 제2부분(194) 사이에 상기 제1부분(193)이 위치되며, 상기 제1부분(193)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저면에는, 상기 제1부분(193)의 일측이 수용되는 요홈(191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고정부(192)는 캐비닛 커버(19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커버 고정부(192)가 고정되기 위한 커버 고정홀(1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홀(156)은 일 예로 어퍼 플레이트(15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홀(156)은,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2부분(194)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제1홀(156a)과, 상기 제1홀(156a)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홀(156a) 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홀(15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홀(156b)은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2부분(194)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홀(156b)은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1부분(193)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2)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2부분(194)과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제1홀(156a)과 정렬시킨다. 그 다음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2부분(194)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제1홀(156a)을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2부분(194)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제1홀(156a)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1부분(193)은 상기 제1홀(156a) 내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1부분(193)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제2홀(156b)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예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2)의 제1부분(193)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의 제2홀(156b)에 위치되면, 상기 제2부분(194)은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앞쪽으로 밀지 않는 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커버 고정홀(196)을 별도의 고정홀 커버로 막은 상태에서 상기 발포 공간(159)으로 발포액을 주입할 수 있다.
발포가 완료된 후에 상기 고정홀 커버를 분리한 후에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이나 색상의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냉장고(1)의 외관 디자인이 다양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면을 커버하는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여러개의 원목을 상호 나란하게 배열한 상태로 접착시킨 집성목으로 이루어진 캐비닛 커버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에는, 막대(bar)형태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보강 브라켓이 상호 나란하게 복수 결합되며,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의 연장된 방향은, 상기 집성목의 배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복수의 커버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 고정부가 고정되는 커버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과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 커버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고정홀은, 상기 커버 고정부의 제2부분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 제1홀과, 상기 제1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부분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제1부분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 제2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길이는 상기 보강 브라켓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과 나란한 면에 상기 보강 브라켓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커버는 저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슬릿홈이 상호 나란하게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은 상기 보강 브라켓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제1부분의 일측이 수용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고정부는, 상기 커버 고정부와 캐비닛 커버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캐비닛 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27288A 2018-03-08 2018-03-08 냉장고 KR10250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88A KR102503852B1 (ko) 2018-03-08 2018-03-08 냉장고
AU2019231480A AU2019231480B2 (en) 2018-03-08 2019-03-06 Refrigerator
JP2020531416A JP6956271B2 (ja) 2018-03-08 2019-03-06 冷蔵庫
RU2020131750A RU2744177C1 (ru) 2018-03-08 2019-03-06 Холодильник
US16/979,024 US11428458B2 (en) 2018-03-08 2019-03-06 Refrigerator
EP19764058.4A EP3722713B1 (en) 2018-03-08 2019-03-06 Refrigerator
CN201980006799.6A CN111527360B (zh) 2018-03-08 2019-03-06 冰箱
PCT/KR2019/002626 WO2019172662A1 (ko) 2018-03-08 2019-03-0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88A KR102503852B1 (ko) 2018-03-08 2018-03-0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75A KR20190106175A (ko) 2019-09-18
KR102503852B1 true KR102503852B1 (ko) 2023-02-24

Family

ID=6784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288A KR102503852B1 (ko) 2018-03-08 2018-03-08 냉장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28458B2 (ko)
EP (1) EP3722713B1 (ko)
JP (1) JP6956271B2 (ko)
KR (1) KR102503852B1 (ko)
CN (1) CN111527360B (ko)
AU (1) AU2019231480B2 (ko)
RU (1) RU2744177C1 (ko)
WO (1) WO2019172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243B1 (ko) * 2018-03-13 2022-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3287027A1 (en) * 2021-07-15 2023-01-19 Lg Electronics Inc. Cabinet device
KR102619584B1 (ko) * 2021-07-15 202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비넷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422A (ja) * 1998-11-09 2000-05-26 Yoshioka Denki Kogyo Kk 冷蔵庫用カバーパネル
JP2001095627A (ja) * 1999-10-01 2001-04-10 Kokuyo Co Ltd ボードの補強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387A (en) * 1964-03-17 Office furniture
JPS4628811Y1 (ko) * 1966-10-15 1971-10-06
GB1339013A (en) 1970-02-25 1973-11-28 Kitson J W Methods of joining sections of thermal insulation board
IT7920680V0 (it) * 1979-02-02 1979-02-02 Citterio Camillo Struttura di elementi modulari componibili per arredamento.
US4400951A (en) 1980-04-17 1983-08-30 Cherry Kenneth A Combination food freezer/dining table
US5738462A (en) * 1996-11-04 1998-04-14 Hon Industries Inc. Locking clip system for securing panels together
DE19750946B4 (de) 1997-04-24 2011-04-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rbeitsplatte für schrankförmige Haushaltsgeräte
US6004065A (en) * 1998-02-04 1999-12-21 Hon Technology Inc. Locking clip system for securing panels together
KR20000007354U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냉장고용 테이블 보드
CN100476326C (zh) * 2002-08-16 2009-04-08 中国计量学院 一种具有制冷和厨桌功能的多温冰箱
JP3969380B2 (ja) * 2003-10-30 2007-09-05 株式会社イトーキ 木材集成天板
PL1733674T3 (pl) * 2005-06-15 2010-05-31 Whirlpool Co Zmywarka do naczyń
KR101410755B1 (ko) * 2007-02-26 2014-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저장바스켓
US8967743B2 (en) * 2010-06-10 2015-03-03 Herman Miller, Inc. Furniture component with floating top
KR20120106098A (ko) 2011-03-17 201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ITMI20120985A1 (it) * 2012-06-06 2013-12-07 Unifor Spa Struttura di mobile
US20130327064A1 (en) * 2012-06-08 2013-12-12 Thomas C. Stein End table with concealed built-in refrigerator
KR101323876B1 (ko) 2013-06-19 2013-10-30 주식회사 아맥스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DE202013005625U1 (de) * 2013-06-21 2013-10-04 Alfons Venjakob Gmbh & Co. Kg Verstärkungsvorrichtung für Holzplatten
KR20150082059A (ko) * 2014-07-1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RU141744U1 (ru) 2014-02-05 2014-06-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едр МК" Меб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олешницы
JP5827437B1 (ja) * 2015-06-19 2015-12-02 株式会社星野民藝 天板構造及びテーブル
TR201614122A1 (tr) * 2016-10-07 2018-04-24 Arcelik As Üreti̇mi̇nde termoplasti̇k parçalar kullanilan buzdolabi
KR102474192B1 (ko) * 2017-11-22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62679B1 (ko) * 2018-03-09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29243B1 (ko) * 2018-03-13 2022-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422A (ja) * 1998-11-09 2000-05-26 Yoshioka Denki Kogyo Kk 冷蔵庫用カバーパネル
JP2001095627A (ja) * 1999-10-01 2001-04-10 Kokuyo Co Ltd ボードの補強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75A (ko) 2019-09-18
JP6956271B2 (ja) 2021-11-02
WO2019172662A1 (ko) 2019-09-12
AU2019231480B2 (en) 2021-12-23
JP2020531791A (ja) 2020-11-05
CN111527360B (zh) 2022-06-10
US11428458B2 (en) 2022-08-30
EP3722713A1 (en) 2020-10-14
US20210372692A1 (en) 2021-12-02
AU2019231480A1 (en) 2020-02-27
EP3722713B1 (en) 2022-07-06
RU2744177C1 (ru) 2021-03-03
CN111527360A (zh) 2020-08-11
EP3722713A4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852B1 (ko) 냉장고
KR102474192B1 (ko) 냉장고
KR102585501B1 (ko) 냉장고
KR102285845B1 (ko) 냉장고
US8382218B2 (en) Refrigerator comprising a telescopic pull-out mechanism
US9702615B1 (en) Internal cabinet support structure
KR102510226B1 (ko) 냉장고
EP3730876A1 (en) Refrigerator
US7954913B2 (en) Molded plastic support frame for a drawer-type dishwasher
KR102422099B1 (ko) 냉장고
JP6838019B2 (ja) 冷蔵庫
KR200366528Y1 (ko) 가구용 프레임
US20080011006A1 (en) Built-in refrigerator with increased internal volume
US20230030975A1 (en) Refrigerator
JP6555855B2 (ja) 冷蔵庫
KR20210156156A (ko) 냉장고의 도어
KR20040082724A (ko)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JP4133964B2 (ja) 箱体構造
KR100921378B1 (ko) 서랍식 냉장고
KR101943316B1 (ko) 선반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03164341A (ja) 対面式厨房家具の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