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93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931A
KR20220066931A KR1020227013097A KR20227013097A KR20220066931A KR 20220066931 A KR20220066931 A KR 20220066931A KR 1020227013097 A KR1020227013097 A KR 1020227013097A KR 20227013097 A KR20227013097 A KR 20227013097A KR 20220066931 A KR20220066931 A KR 2022006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le
inner case
cabinet
cabin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현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6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와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기 위한 발포 공간을 형성하는 미들 플레이트;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 가능한 캐비닛 커버; 및 상기 발포 공간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구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 될 수 있다. 음식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에 다른 전자기기 들과 함께 빌트인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방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기 냉장고의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서 냉장고를 주방이 아닌 거실이나 방에 놓아 사용하는 등 냉장고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지고 있다.
상기 냉장고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짐으로써, 상기 냉장고의 외관이 상기 냉장고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기 냉장고의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나무 재질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상기 냉장고의 외관이 나무 재질로 설계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3319호에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가구 도어와 냉장고 도어가 나사 결합된 냉장고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외관은 장기간 사용시 수분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여 교체 등의 서비스가 필요할 수 있다.
다만, 선행 문헌의 경우, 손상이 발생한 가구 도어를 교체 또는 수리 등의 서비스를 수행하려면, 결합된 나사를 전부 해제하여야 하므로 서비스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가구 도어가 아닌 냉장고의 본체를 둘러싸는 가구의 외관이 손상된 경우, 상기 손상이 발생한 가구의 외관을 교체하기 위하여,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외관까지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손상이 발생한 가구의 외관을 교체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므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우드 재질의 캐비닛 커버를 용이하게 분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 패널을 캐비닛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상기 캐비닛 커버를 용이하게 분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캐비닛 커버를 용이하게 분해 가능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상기 캐비닛 커버의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전후 움직임을 용이하게 제한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캐비닛 커버의 분해 및 재조립 시 상기 냉장고의 단열 기능 저하를 방지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와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기 위한 발포 공간을 형성하는 미들 플레이트;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 가능한 캐비닛 커버; 및 상기 발포 공간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구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의 의도치 않은 탈착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캐비닛 커버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캐비닛 커버가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인너 케이스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출입을 위한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통로는 상기 체결홀 및 상기 출입홀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발포 공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획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바디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제 1 영역이고, 상기 구획 바디의 외측 공간이 상기 제 2 영역이며,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연통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출입홀 및 상기 제 1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홀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이동 통로 및 상기 체결홀과 정렬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 및 상기 캐비닛 커버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이동 통로를 차폐하도록 상기 출입홀에 삽입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인너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후크부는 각각 상기 구획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에는, 상기 후크부가 통과하여 장착되는 후크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홀을 통과 후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면 중 상기 후크홀과 상기 구획 바디의 외면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는, 상기 인너 케이스와 결합되거나 상기 인너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후면을 커버하며,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리어 패널보다 상기 도어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커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 고정부가 고정되기 위한 커버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 커버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보다 크기가 크게 구비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고정홀은, 상기 제2부분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제1홀 및 상기 제1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홀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은 상기 제2홀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우드 재질의 캐비닛 커버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의 분리가 간단하고 단시간에 가능하여, 서비스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패널을 캐비닛으로부터 분해하지 않고 상기 캐비닛 커버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후 조립하는 과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를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전후 움직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인너 케이스 및 상기 미들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발포 공간에 위치될 때, 상기 체결부재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구획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발포 공간에 발포액을 주입한 후에도 상기 체결부재의 해제 및 재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에 의하여 상기 발포 공간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획하므로, 상기 제 1 영역에 위치되는 단열재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상기 체결부재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제 1 영역을 형성하는 구획 바디 및 상기 구획 바디의 제 1 영역을 차폐하는 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냉장고의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바디가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연통시키는 연통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발포액이 상기 제 2 영역 뿐 아니라 상기 연통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 1 영역에도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의 교체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캐비닛 커버의 교체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캐비닛 커버의 교체 욕구를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하여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상기 캐비닛 커버를 전방으로 당기더라도, 상기 캐비닛 커버의 의도치 않은 분리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가 분해된 상태에서 냉장고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캐비닛 커버가 분해된 상태의 냉장고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상기 캐비닛 커버의 하면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의 커버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상기 캐비닛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10-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 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A의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1)을 구비하는 캐비닛(10: cabinet)과,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111)을 개폐하는 도어(20: do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실(111)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10: inner case)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아우터 케이스(100: outer ca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알루미늄(Al)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적어도 2회 절곡되거나 벤딩(bending)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복수 개의 금속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 side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이드 패널(102,103)은, 상기 도어(20)로부터 상기 저장실(111)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사이드 패널(102) 및 좌측 사이드 패널(10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20)로부터 상기 저장실(111)을 바라보는 방향이 "후방", 상기 저장실(111)로부터 상기 도어(20)를 바라보는 방향이 "전방"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실(111)은 상기 도어(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의 전단부(102a)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좌우 폭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20)가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의 외관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의 전단부(102a)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의 전면 및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의 전단부(102a)가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일 예로 상기 캐비닛(10)에 레일 어셈블리(90: rail assembly)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저장실(111)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냉장고(1)를 주방이나 거실, 방 등의 좁은 공간에 배치하더라도, 상기 도어(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저장실(111)을 개폐하므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 없이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90)는 일측이 상기 도어(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우드(wood) 재질의 전면 패널(210)과,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230: door l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는 일 예로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는 발포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발포 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됨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는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수 있는 핸들용 공간(290)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핸들용 공간(290)은 일 예로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상측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용 공간(290)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캐비닛(1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용 공간(290)으로 손을 인입한 후에 상기 도어(20)를 잡아 당겨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과 같은 구조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냉장고(1)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냉장고(1)의 높이는, 제한적이지 않으나, 일반적인 성인의 키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냉장고(1)의 용량이 낮을 수록 상기 냉장고(1)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도어(20)의 상측에 핸들용 공간(290)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1)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 또는 앉아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 각각의 상단부(102b)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단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에는 캐비닛 커버(190: cabinet cover)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냉장고(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후술할 체결부재(S1)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상기 캐비닛(10)의 외관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상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의 상단부(102b)와 동일한 평면 상 또는 동일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일 예로 우드(wood)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20)의 전면 패널(210) 및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각각 우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 커버(190) 간에 재질의 통일성이 있어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냉장고(1)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우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기본적인 미감이 형성될 뿐 아니라 상기 냉장고(1)가 위치되는 주변의 가구들과 일체감을 형성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일 예로 협탁 냉장고로 사용될 수 있다.
협탁 냉장고는 음식물의 저장 기능 이외에도 협탁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흔히 주방에 비치되는 일반 냉장고와 달리, 협탁 냉장고는 침실의 침대 옆에 비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 및 상기 전면 패널(210)이 우드 재질로 형성되므로, 냉장고(1)를 침실에 놓아도 주변 가구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협탁 냉장고의 높이는 일 예로 침대의 높이와 유사함이 바람직하며, 일반 냉장고보다 높이가 낮고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를 협탁 냉장고로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여러 가지 물건을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올려둘 수 있으며, 그러한 상황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액체류 등을 쏟거나 날카로운 면을 가진 물건이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손상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1)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교체하여야 할 필요성이 생길 수 있다. 후술할 본 발명의 고정 구조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서비스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 및 서비스 만족도가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를 협탁 냉장고로 사용함에 따라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디자인이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공간의 인테리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구조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를 위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교체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가 충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면(190a)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도어 라이너(230)의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단 후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60: display unit) 및 상기 저장실(111)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드로워 어셈블리(30,40: drawer assembl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저장실(111)에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을 이용하여 상기 냉장고(1)의 운전을 조작하거나 상기 냉장고(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패널(102,103)에 체결 부재 등에 의해 체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은, 후술할 리어 패널(160)과 스크류 결합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40) 중 일부(30)는 상기 저장실(111) 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거나 레일(rail)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40) 중 일부(40)는 상기 도어(20)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20)와 함께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30,40) 중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개방 과정에서 개방 초기에 상기 도어(20)와 함께 슬라이딩 인출되고, 소정 거리 인출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캐비닛(1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상기 캐비닛(10)의 조립 과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캐비닛(10)을 구성하는 부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0)은, 아우터 케이스(100)와, 인너 케이스(110), 및 캐비닛 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은 상기 냉장고(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상기 냉장고(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60: rear pan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를 제외한 냉장고(1)의 외관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 캐비닛 커버(190) 및 상기 리어 패널(16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지지하는 케이스 서포터(130: case supporter)와,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120: ba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함께 발포 공간(159)을 형성하는 미들 플레이트(150: middle pl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측 및 후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발포 공간(159)에 발포액이 충진 됨에 따라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실(111)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는, 상기 리어 패널(160)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27)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122)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127)의 배면에는 사용자가 잡기 위한 핸들(1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26)은,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를 운반하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핸들(126)이 상기 지지 리브(127)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26)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상기 지지 리브(127)의 배면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의 후단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126)은 상기 지지 리브(127)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거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는, 상기 저장실(111)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13)과,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전단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13)은 전면이 개구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전후 길이는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의 전후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좌우 폭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 간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면 프레임(112)의 좌우 폭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 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가 설치 위치에 설치되면,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양측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양측면과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의 사이에는 발포액이 충진될 수 있는 발포 공간(159)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112)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평 연장부(11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12a)는 상기 전면 프레임(113)의 테두리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발포 공간(159)으로 발포액을 충진하는 과정에서 발포액이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과 상기 전면 프레임(112) 사이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전면 프레임(112)의 수평 연장부(112a) 중 양 측면부는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에 접착 수단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가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112)의 상단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의 상단부(102b)보다 낮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프레임(112)의 상측에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싱기 인너 케이스(110)에는, 상기 체결부재(S1)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구획 부재(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115)는 상기 발포 공간에서 상기 이동 통로(도 11 참조, 116a)를 제공 가능하다.
상기 구획 부재(115)에 의하여 상기 발포 공간(159)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발포 공간(159)은, 상기 구획 부재(115)의 내부 및 외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115)인 내부는 상기 이동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이동 통로(116a)를 통하여 출입됨으로써,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 및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체결 및 체결 해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구획 부재(115)의 이동 통로를 통하여 삽입된 체결부재(S1)에 의해 체결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115) 및 상기 체결부재(S1)에 의한 캐비닛 커버(190)의 고정은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후방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배면을 커버하는 리어 플레이트(152: rear plate)와,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어퍼 플레이트(154: upper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될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는 "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는 상기 전면 프레임(112)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는 상기 전면 프레임(112)의 수평 연장부(112a)의 상면부에 접착 수단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가 상기 전면 프레임(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는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와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 사이에 발포 공간(도 9 참조, 159)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는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는 상기 베이스(120)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0)에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체결 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리브는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배면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 및 체결 리브에는,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는 상기 체결 리브의 배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하여 상기 체결 리브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는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배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와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배면 사이에 발포 공간(159)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에는 발포액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입구는 패킹(미도시)에 의해서 막힐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152)의 상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의 상단부(102b)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152)의 상측에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배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103)의 후단부(102c)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후방에 상기 냉각 장치(50)의 방열을 위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리어 방열유로)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리어 패널(160)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후측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60)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후측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60)은 상기 지지 리브(127)의 상측에 위치되어,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60)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 서포터(13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60)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기홀은 그릴 케이스(도 3 참조, 5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그릴 케이스(510)는 상기 리어 패널(160)의 후측에서 상기 리어 패널(1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그릴 케이스(510)는 상기 핸들(126)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가 분해된 상태에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캐비닛 커버가 분해된 상태의 냉장고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캐비닛 커버의 하면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커버의 커버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보강부(191), 홈(193) 및 모듈 수용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91), 홈(193) 및 모듈 수용부(194)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91)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91)는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191)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좌우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191) 중 상기 모듈 수용부(194)의 측방에 형성되는 보강부(191)는 상기 모듈 수용부(194)에 미간섭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91)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제1,2보강부(191a,191b) 및 상기 제1,2보강부(191a,191b)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3보강부(19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3보강부(191a,191b,191c)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보강부(191c)는, 상기 모듈 수용부(194)의 측방에 위치되어 상기 모듈 수용부(194)에 미간섭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보강부(191a)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면(190a)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보강부(191b)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면(190a)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191b)는 상기 제1보강부(191a) 및 제3보강부(191c)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에는 함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191)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함몰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91)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과 상기 보강부(191)의 하면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91)에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고정되기 위한 스크류(screw)가 통과되기 위한 체결홀(1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93)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93)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93)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홈(193)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후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홈(193) 중 상기 모듈 수용부(194)의 전방에 위치되는 홈(193)은 상기 모듈 수용부(194)에 미간섭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93)은, 제1,2,3절개홈(193a,193b,193c) 및 상기 제1,2,3절개홈(193a,193b,193c)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4절개홈(19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3,4절개홈(193a,193b,193c,193d)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개홈(193a)은 가장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절개홈(193b)은 상기 제1절개홈(193a)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절개홈(193c)은 상기 제2절개홈(193b)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절개홈(193d)은 상기 제3절개홈(193c)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2,3절개홈(193a,193b,193c)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절개홈(193d)은 상기 모듈 수용부(194)에 미간섭될 수 있다.
상기 홈(193)은 상기 보강부(19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수용부(194)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무선 충전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수용부(194)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수용부(194)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상면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수용부(194)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조립된 상태에서 후측 코너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수용부(194)에 의하여 상기 모듈 수용부(194)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상면 사이의 두께는, 상기 모듈 수용부(194)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모듈 수용부(194)의 함몰 깊이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놓일 모바일 기기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사이의 간격이 상기 모바일 기기의 무선 충전이 가능한 간격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고정을 위한 고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 고정부(196) 및 상기 커버 고정부(196)가 고정되기 위한 커버 고정홀(156, 9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탈부착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 커버(150)에 구비되는 커버 고정부(196)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방에 위치되는 커버 고정홀(156,91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탈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6)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 고정부(196)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에 접착 수단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수단은, 접착제이거나 양면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접착 수단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른 예로, 상기 커버 고정부(196)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에 스크류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고정부(196)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버 고정부(196)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 고정부(196)는 5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일부는 상기 도어(2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다른 일부는 후술할 모듈 수용부(194)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6)는 상기 보강부(191)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각 커버 고정부(196)는, 제1부분(196a)과, 상기 제1부분(196a) 보다 직경 또는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제2부분(19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상기 제2부분(196b) 사이에 상기 제1부분(196a)이 위치되며, 상기 제1부분(196a)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면(190b)에 접촉한다.
한편, 상기 냉장고(1)는,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이 장착되기 위한 모듈 장착 케이스(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장착 케이스(910)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형성되는 절개부(미도시)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상측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장착 케이스(910)는 상기 냉장고(1)의 후면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 장착 케이스(910)의 일부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홀(156,916)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커버 고정홀(156,91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 고정홀(156)은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고정홀(916)은 상기 모듈 장착 케이스(91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장고(1)에 상기 모듈 장착 케이스(91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 고정홀(156)은 모두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장착 케이스(910)에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와 결합되기 위한 커버 고정홀(9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홀(916)은 상기 모듈 장착 케이스(910)의 테두리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듈 장착 케이스(910)는 상단 테두리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장부에 따라 상기 연장된 부분에 상기 커버 고정홀(9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홀(916)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 개의 커버 고정홀(916)은 상기 모듈 장착 케이스(910) 중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와 결합되는 전단 및 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홀(156,916)은,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제2부분(196b)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제1홀(156a,916a)와, 상기 제1홀(156a,916a)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홀(156a,916a)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홀(156b,91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홀(156b,916b)은 상기 제1홀(156a,916a)로부터 상기 리어 패널(16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홀(156b,916b)은 상기 상기 제1홀(156a,916a) 보다 상기 리어 패널(16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홀(156b,916b)은 상기 제1홀(156a,916a)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2홀(156b,916b)은,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제2부분(196b)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홀(156b,916b)은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제1부분(196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6)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 및 상기 모듈 장착 케이스(91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제2부분(196b)과 상기 커버 고정홀(156,916)의 제1홀(156a,916a)를 정렬시킨다. 그 다음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제2부분(196b)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916)의 제1홀(156a,916a)를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제2부분(196b)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916)의 제1홀(156a,916a)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제1부분(196a)은 상기 제1홀(156a,916a) 내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제1부분(196a)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916)의 제2홀(156b,916b)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홀(156b,916b)은 상기 제1홀(156a,916a)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제1부분(196a)이 상기 커버 고정홀(156,916)의 제2홀(156b,916b)에 위치되면, 상기 제2부분(196b)은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앞쪽(전방)으로 밀지 않는 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이나 색상의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냉장고(1)의 외관 디자인이 다양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후면은 상기 각 사이드 패널(102, 103)의 후단부(102b) 보다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후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전면과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고정부(196)가 상기 커버 고정홀(156,916)의 제2홀(156b,916b)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상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0)의 상면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므로,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두께를 커버하기 위하여 함몰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7)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7)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7)는 상기 커버 고정홀(156)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고정홀(156)은 상기 함몰부(157)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7)의 깊이는,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157)의 깊이는, 상기 커버 고정부(196)의 제1부분(196a)의 상하 길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함몰부(157)의 깊이는, 상기 제1부분(196a)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고정부(196)가 상기 커버 고정홀(156)에 결합시,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S1)가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체결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전방으로 밀더라도 캐비닛 커버(190)의 전방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는, 체결 부재(S1)를 통과시키기 위한 체결홀(15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는, 상기 체결 부재(S1)의 출입을 위한 출입홀(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홀(113a)은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사이에 단열재가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냉장고의 조립 완료 후에 상기 체결 부재(S1)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 부재(S1)는 "체결 부재(S1)"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사이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기 위한 구획 부재(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115)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구획 부재(115)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획 부재(115)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115)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115)에 의하여 상기 발포 공간(159)은 상기 구획 부재(115)의 내부의 제 1 영역(도 11 참조, 116a)과, 상기 구획 부재(115)의 외부의 제 2 영역(도 12 참조, 159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16a)은 상기 체결홀(158) 및 상기 출입홀(113a)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16a)은 상기 출입홀(113a)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체결 부재(S1)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116a)은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결합된 체결 부재(S1)를 분리하기 위한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는, 상기 체결 부재(S1)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19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198)은 상기 체결홀(158)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198)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 부재(S1)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체결 부재(S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98)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캐비닛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10-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 부재(115)는, 상방 및 하방이 개구된 형상의 구획 바디(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의 하방 개구는 커버(118)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발포 공간(159)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115)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 및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하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측 중 상기 도어(2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측 중 인접한 복수의 보강부(19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획 바디(116)은 상기 제1보강부(191a) 및 제2보강부(19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가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는 손을 깊이 넣지 않고도 상기 커버(118)의 탈착 및 상기 체결 부재(S1)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118)의 탈착 및 체결 부재(S1)의 해제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하측 중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중심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좌우 이등분하는 가상의 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좌우 이등분하는 가상의 선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은 상기 제2,3절개홈(193b,193c)의 사이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190)가 전후 움직임 또는 좌우 틀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3는 도 10의 A의 확대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방 및 하방이 개구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구획 바디(116)의 수평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발포액이 상기 발포 공간(159)에 주입되더라도, 상기 구획 바디(116)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발포액이 저항 없이 원활하게 퍼질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에는, 발포액이 유동하는 공간 또는 단열재가 위치하는 공간인 내부 공간(116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부 공간(116a)은 상기 제 1 영역(116a)이고, 상기 체결 부재(S1)의 "이동 통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116a)은 상기 구획 바디(116)의 상방 개구 및 하방 개구에 의하여, 상기 제 2 영역(159a) 및 후술할 커버(118)의 커버 공간(도 12 참조, 118d)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공간(116a)에는 상기 발포액의 주입 후 상기 단열재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의 외경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구획 바디(116)의 내경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일정하거나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 바디(116)의 외경 및 내경에 의하여, 상기 내부 공간(116a)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일정하거나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 바디(116)의 상방 개구 중 상기 제 2 영역(159a)과 연통되는 상방 개구의 면적이 좁더라도, 상기 구획 바디(116)의 상방 개구를 통하여 유입된 발포액이 상기 내부 공간(116a)을 용이하게 채울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출입홀(113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획 바디(116)의 하단의 내경은 상기 출입홀(113a)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의 하단은 상기 출입홀(113a)의 외측에 위치되는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구획 바디(116)의 하방 개구가 상기 출입홀(113a)과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출입홀(113a)의 테두리부에 위치되는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획 바디(116)의 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에 접착 수단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 중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은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 및 캐비닛 커버(19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구획 바디(116)의 상단은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와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프레임(113)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구획 바디(116)의 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과 동일한 경사로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구획 바디(116)의 상단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하면과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획 바디(116)의 상단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하면과 멀어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바디(116)의 상면 중 일부가 상기 어퍼 플레이트(154)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 바디(116)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영역(116a, 내부 공간)과 상기 제 2 영역(159a)을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159b)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 공간(159b)을 통하여 상기 제 2 영역(159a)의 발포액이 상기 구획 바디(116)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8)는 상기 저장실(111)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8)는 상기 저장실(111) 중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내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8)는, 상기 구획 바디(116) 및 상기 출입홀(113a)의 하측에 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118)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116a) 및 상기 출입홀(113a)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118)는, 상기 구획 바디(116)의 하방 개구를 커버하는 플레이트(118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8a)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8)의 플레이트(118a)의 직경은, 상기 출입홀(113a)을 커버하도록 상기 구획 부재(116)의 외경 또는 출입홀(113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8)는, 상기 플레이트(118a)로부터 상기 구획 바디(116)를 향하여 돌출되는 실링부(11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18b)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18b)는 설정된 두께 및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18b)는 상기 플레이트(118a)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18b)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실링부(118b)의 내부에는 커버 공간(118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공간(118d)은 상기 구획 바디(116)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영역(116a) 및 상기 출입홀(113a)을 커버한다.
상기 실링부(118b)의 외경은 상기 출입홀(113a)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18b)가 상기 출입홀(113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18b)가 상기 출입홀(11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118b)의 외면은 상기 출입홀(113a)의 내주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발포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118b)가 상기 출입홀(11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공간(118d)은 상기 출입홀(113a)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공간(116a)과 정렬될 수 있다. 즉, 상기 발포액의 유입시, 상기 커버 공간(118d)에도 상기 발포액이 충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실링부(118b)는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18b)의 재질에 의하여, 상기 실링부(118b)가 상기 출입홀(11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발포액의 누출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118)는, 상기 메인 프레임(113)에 장착되기 위한 후크부(118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18c)는 상기 플레이트(118a)로부터 상기 구획 바디(116)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18c)는 상기 플레이트(118a)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18c)는 상기 실링부(118b)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18c)는 상기 실링부(118b)의 외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18c)와 상기 실링부(118b)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13)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18c)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후크부(118c) 중 하나는 상기 실링부(118b)의 일측에, 다른 하나는 상기 실링부(118b)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후크부(118c)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18c)는 상기 커버(118)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다음, 내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18c)의 상면은 상기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후크부(118c)의 내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하면은 수평하게 연장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크부(118c)의 내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상기 커버(118)를 상기 메인 프레임(113)에 장착시키기 위한 "후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13)에는, 상기 출입홀(113a)의 외측에 형성되는 후크홀(11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홀(113b)은 상기 메인 프레임(113)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홀(113b)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후크홀(113b)은 상기 후크부(118c)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후크홀(113b)은, 상기 커버(118)의 외면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홀(113b)과 상기 커버(118)의 외면 사이에는, 지지턱(113c)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113c)은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일부로서, 상기 후크부(118a)가 장착되는 일면으로 이해된다.
상기 커버(118)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8)의 장착시, 상기 후크부(118c)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후크홀(113b)에 삽입된 후 복원되어 상기 지지턱(113c)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부(118c)는 상기 후크홀(113b)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상기 지지턱(113c)에 안착된 후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상기 후크홀(113b)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8)의 직경은, 상기 복수 개의 후크홀(113b) 중 일 후크홀(113b)부터 타 후크홀(113b)까지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홀(113b)을 통하여 발포액이 소량 누출되더라도, 상기 커버(118)에 의하여 상기 발포액이 상기 저장실(111)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획 부재(115)에 의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장착 및 분리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장착 및 고정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결합시킨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커버 고정부(196)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커버 고정홀(156,916)에 삽입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에 슬라이딩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커버 고정부(196)가 상기 커버 고정홀(156,916)의 제2홀(156b,916b)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부재(S1)를 체결한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11) 내에서 상기 체결 부재(S1)를 상기 출입홀(113a) 및 상기 구획 바디(116)의 제 1 영역(116a, 내부 공간)으로 투입한다. 상기 투입된 체결 부재(S1)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의 체결홀(158)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체결홈(198)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 부재(S1)와 상기 체결홈(198)의 내주면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 부재(S1)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 및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S1)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118)를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의 하측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113)에 장착한다.
상세히, 상기 커버(118)의 실링부(118b) 및 후크부(118c)를 상기 출입홀(113a) 및 후크홀(113b)과 정렬시킨 후, 상기 실링부(118b) 및 후크부(118c)를 상기 출입홀(113a) 및 후크홀(113b)에 삽입한다.
상기 실링부(118b)의 외면은 상기 출입홀(113a)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후크부(118c)는 상기 후크홀(113b)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턱(113c)에 안착되도록 상기 커버(118)에 상측으로 힘을 가한다.
상기 커버(118)가 상기 메인 프레임(113)에 밀착되면, 상기 제 2 영역(159a) 및 상기 내부 공간(116a)을 포함하는 발포 공간(159)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115) 및 체결 부재(S1)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전후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102,103)에 의하여 좌우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52)의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발포 공간(159)으로 발포액을 주입하면, 상기 발포 공간(159)의 제 2 영역(159a) 뿐 아니라 상기 구획 바디(116)의 제 1 영역(116a)으로 상기 발포액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16a)으로 유입된 발포액은 일정 시간 후 굳게 되고, 단열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고정 해제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3)에 장착된 상기 커버(118)를 분리한다. 상세히, 상기 커버(118)를 파지하여 하방으로 일정 힘을 가하면, 상기 커버(118)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가해진 일정 힘에 의하여, 상기 커버(118)의 실링부(118b)는 상기 출입홀(113a)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후크부(118c)는 탄성 변형되며 상기 후크홀(113b)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8)의 분리 후, 상기 구획 바디(116)의 내부 공간(116a)에 위치되는 단열재를 상기 출입홀(113a)을 통하여 제거한다.
상기 단열재의 제거 후, 상기 체결 부재(S1)를 상기 캐비닛 커버(190)로부터 체결 해제한다. 상기 체결 부재(S1)를 상기 스크류 체결홈(198) 및 스크류 체결홀(158)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슬라이딩 시켜 탈착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S1)가 제거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홀(156,916)의 제2홀(156b,916b)에 위치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커버 고정부(196)를 상기 제1홀(156a,916a)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수평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커버 고정부(196)가 상기 제1홀(156a,916a)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상기 미들 플레이트(1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캐비닛 커버(190)는 새로운 캐비닛 커버(190)로 교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교체 후 제거된 단열재 또는 상기 구획 부재(115)의 제 1 영역(116a)과 동일한 크기의 새로운 단열재를 상기 구획 부재(115)의 제 1 영역(116a)에 수용시킨 후 상기 커버(118)를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비닛 커버(190)는 상기 구획 부재(115)에 의하여 전후 움직임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전후 움직임이 방지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캐비닛 커버(190)의 의도치 않은 분리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부재(115)을 통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190)에 체결된 체결 부재(S1)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리어 패널(160)의 복잡한 분해 과정 없이 상기 캐비닛 커버(19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분리 과정이 간단하여 소요되는 시간이 짧으므로,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교체 서비스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서비스 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효율이 증대됨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상기 캐비닛 커버(190)의 교체 과정에 대한 거부감 및 불편감을 해소시킬 수 있으므로, 새로운 디자인의 캐비닛 커버(190)의 교체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를 쉽게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구획 바디(116) 및 상기 커버(118)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획 바디(116) 및 상기 커버(118)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획 부재(115)는 상기 체결 부재(S1)의 체결 후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장착하여 상기 발포 공간(159)을 차폐하고, 상기 인너 케이스(110)로부터 장착 해제 후 상기 체결 부재(S1)를 분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획 바디(116)와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 바디(116)는 상기 메인 프레임(11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와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기 위한 발포 공간을 형성하는 미들 플레이트;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 가능한 캐비닛 커버; 및
    상기 발포 공간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구획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인너 케이스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출입을 위한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통로는 상기 체결홀 및 상기 출입홀과 정렬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발포 공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획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 바디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제 1 영역이고,
    상기 구획 바디의 외측 공간이 상기 제 2 영역이며,
    상기 제 1 영역이 상기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바디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연통 공간을 제공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출입홀 및 상기 제 1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홀을 커버하는 냉장고.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커버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이동 통로 및 상기 체결홀과 정렬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 및 상기 캐비닛 커버에 체결되는 냉장고.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이동 통로를 차폐하도록 상기 출입홀에 삽입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인너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후크부는 각각 상기 구획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에는, 상기 후크부가 통과하여 장착되는 후크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홀을 통과 후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면 중 상기 후크홀과 상기 구획 바디의 외면 사이에 안착되는 냉장고.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바디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바디는, 상기 인너 케이스와 결합되거나 상기 인너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후면을 커버하며,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리어 패널보다 상기 도어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커버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커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 고정부가 고정되기 위한 커버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 커버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보다 직경이 크게 구비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고정홀은, 상기 제2부분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제1홀 및 상기 제1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홀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은 상기 제2홀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냉장고.
KR1020227013097A 2020-01-07 2020-01-07 냉장고 KR20220066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0296 WO2021141156A1 (ko) 2020-01-07 2020-01-07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931A true KR20220066931A (ko) 2022-05-24

Family

ID=7678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097A KR20220066931A (ko) 2020-01-07 2020-01-07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36523A1 (ko)
KR (1) KR20220066931A (ko)
WO (1) WO2021141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25366B2 (en) * 2020-01-07 2024-07-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6845A (en) * 1942-02-25 1947-03-04 Sceger Sunbeam Corp Refrigerator cabinet
US2753695A (en) * 1953-10-07 1956-07-10 James A Maranto Mechanical refrigerator
US3999820A (en) * 1974-01-14 1976-12-28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US4050145A (en) * 1975-08-04 1977-09-2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refrigeration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US4190305A (en) * 1976-12-09 1980-02-26 General Electric Company Structural support for a refrigerator
US4752171A (en) * 1987-04-16 1988-06-21 Illinois Tool Works, Inc. Frictionally welded fastening anchor
KR19990035895U (ko) * 1998-02-10 1999-09-15 윤종용 냉장고용 커버부재
DE10355137A1 (de) * 2003-11-26 2005-06-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egehäuse
KR20050096342A (ko) * 2004-03-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766436B1 (en) * 2006-06-06 2010-08-03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panel with overlay panel and a method for mounting an overlay panel to an appliance panel
DE102007005949A1 (de) * 2007-02-06 2008-08-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Trägersystem
US8813458B2 (en) * 2009-06-09 2014-08-26 Electrolux Home Products Pty Limited Changeable pane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a changeable panel
DE102009032473A1 (de) * 2009-06-26 2011-01-05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WO2011017267A1 (en) * 2009-08-07 2011-02-10 Conocophillips Company Cryogenic insulation attachment and method
GB2493273B (en) * 2011-07-22 2015-12-30 Kingspan Holdings Irl Ltd An insulation panel
DE202017001207U1 (de) * 2017-03-07 2017-03-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bindungselement für Kühl- und/oder Gefriervorrichtungen
KR102522049B1 (ko) * 2017-03-21 202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6650A (ko) *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03852B1 (ko) * 2018-03-08 2023-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10226B1 (ko) * 2018-03-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6523A1 (en) 2023-02-02
WO2021141156A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1617B1 (en) Refrigerator
US20130043780A1 (en) Refrigerator
KR101911955B1 (ko) 냉장고
US11015863B2 (en) Refrigerator
US20230012438A1 (en) Refrigerator
KR102285845B1 (ko) 냉장고
CN111527360B (zh) 冰箱
KR20220066931A (ko) 냉장고
KR20190106494A (ko) 냉장고
AU2018410668B2 (en) Variable climate zone wiring
JP6223265B2 (ja) 冷蔵庫
US12025366B2 (en) Refrigerator
JP2023501470A (ja) 冷蔵庫
JP6403475B2 (ja) 冷却貯蔵庫
US12098875B2 (en) Variable climate zone wiring
KR101943316B1 (ko) 선반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30103276A (ko) 냉장고
KR2024003077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JP2022137782A (ja) 冷蔵庫、および冷蔵庫の製造方法
KR101943317B1 (ko)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14006009A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