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876B1 -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876B1
KR101323876B1 KR1020130070284A KR20130070284A KR101323876B1 KR 101323876 B1 KR101323876 B1 KR 101323876B1 KR 1020130070284 A KR1020130070284 A KR 1020130070284A KR 20130070284 A KR20130070284 A KR 20130070284A KR 101323876 B1 KR101323876 B1 KR 10132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hermoelectric element
block
bracke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맥스
Priority to KR102013007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2Removal of heat by liquids or two-phase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중 냉각패키징은,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와, 바디몸체(11)의 내측에서 몸체관통공(11a)의 후단측에 단차지게 형성진 단차턱(12)과, 단차턱(12) 측 방향의 바디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3)과, 브라켓(13)에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관통공(11a)과 연결되는 2개의 전선홈(14a)(14b)을 포함하는 바디(10); 몸체관통공(11a)에 완전히 끼어져 결합될 때 바디몸체(11)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1)과, 단차턱(12)에 걸치어지는 걸림턱(22)을 포함하는 콘덴서블럭(20); 및 브라켓(1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열전소자(F)의 일측면을 콘덴서블럭(20)에 밀착시키고, 콘덴서블럭(20)의 타측면과 밀착되는 커버블럭(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Cooling packaging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고 조립성이 향상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펠티어 현상을 이용한 열전소자는, 일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정방향 접합부에서 방열(가열)이 일어나고 반방향 접합부에서 흡열(냉각)이 일어나는 반도체 소자이다. 이러한 열전소자는 저전력, 초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소형냉장고, 화장품냉장고, 와인냉장고 등에 다양한 소형가전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장고의 종래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02-0069909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종래의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를 이용한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에 설치되는 열전소자(2)와, 냉장고 본체(1) 내부의 냉장실에서 열전소자(2)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1쿨러(3)와, 냉장고 본체(1) 외부에서 열전소자(2)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2쿨러(4)를 포함한다. 이때 제1쿨러(3)와 제2쿨러(4) 각각의 내부에는 팬(3a)(4a)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열전소자(2)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열전소자(2)의 일측면에서 발생되는 냉열에 의하여 제1쿨러(3)는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냉장실을 냉장시키고, 열전소자(2)의 타측면에서 발생되는 온열은 제2쿨러(4)를 통하여 방열된다. 이때 제1쿨러(3)에 내장되는 팬(3a)은 냉장실 내부에서의 흡열 효율을 증가시키고, 제2쿨러(4a)에 내장되는 팬(4a)은 냉장고 본체(1) 외부에서의 방열 효율을 증가시킨다.
그런데 상기한 냉장고에 있어서, 열전소자(2)에 전원이 차단되면 냉장실 내부로 냉열이 전달되지 않아 냉장실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고, 이에 따라 냉장실에서 온도변화가 크게 일어났다. 이 경우 보관되는 물품의 냉장기간이 짧아지고, 물품의 물성이 변화된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장고 본체(1)에 제1,2쿨러(3)(4) 및 열전소자(2)를 결합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조립공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냉장실 내부에서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관되는 물품의 냉장 보관 기간을 늘일 수 있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공정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의 일 실시예는,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와, 상기 바디몸체(11)의 내측에서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후단측에 단차지게 형성진 단차턱(12)과, 상기 단차턱(12) 측 방향의 바디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3)과, 상기 브라켓(13)에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관통공(11a)과 연결되는 2개의 전선홈(14a)(14b)을 포함하는 바디(10); 상기 몸체관통공(11a)에 완전히 끼어져 결합될 때 상기 바디몸체(11)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1)과, 상기 단차턱(12)에 걸치어지는 걸림턱(22)을 포함하는 콘덴서블럭(20); 및 상기 브라켓(1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열전소자(F)의 일측면을 상기 콘덴서블럭(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콘덴서블럭(20)의 타측면과 밀착되는 커버블럭(30);을 포함하고;
상기 콘덴서블럭(20)는, 그 측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홈(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의 다른 실시예는,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와, 상기 바디몸체(11)의 내측에서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후단측에 단차지게 형성진 단차턱(12)과, 상기 단차턱(12) 측 방향의 바디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3)과, 상기 브라켓(13)에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관통공(11a)과 연결되는 2개의 전선홈(14a)(14b)을 포함하는 바디(10); 상기 몸체관통공(11a)에 완전히 끼어져 결합될 때 상기 바디몸체(11)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1)과, 상기 단차턱(12)에 걸치어지는 걸림턱(22)을 포함하는 콘덴서블럭(20); 및 상기 브라켓(1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열전소자(F)의 일측면을 상기 콘덴서블럭(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열전소자(F)의 타측면과 밀착되는 커버블럭(3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선단측 내직경(D1)은 후단측 내직경(D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몸체(11)의 선단측 외직경(D3)은 후단측 외직경(D4) 보다 작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3)의 모서리측 각각에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돌기(13a)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블럭(30)의 모서리측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3a)가 결합되는 가이드공(30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2)은 콘덴서블럭(20)의 가장자리에 마주보게 한쌍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2)의 높이(H)는 상기 열전소자(F)의 냉열단(F1) 및 분리단(F3)을 더한 높이 보다 작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냉각패키징을 채용한 냉장고는, 수납된 물품을 냉장시키는 냉장실(211)이 형성된 것으로서 본체결합공(215)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210)와, 상기 냉장고 본체(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211)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20)와, 상기 본체결합공(215)에 결합되는 냉각패키징(100)과, 상기 냉장실(211) 내부에서 상기 냉각패키징(100)의 선단과 결합되는 흡열유니트(230)와, 상기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측에서 상기 냉각패키징(100)의 후단과 결합되는 방열유니트(240)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패키징(100)은,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와, 상기 바디몸체(11)의 내측에서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후단측에 단차지게 형성진 단차턱(12)과, 상기 단차턱(12) 측 방향의 바디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3)과, 상기 브라켓(13)에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관통공(11a)과 연결되는 2개의 전선홈(14a)(14b)을 포함하는 바디(10); 상기 몸체관통공(11a)에 완전히 끼어져 결합될 때 상기 바디몸체(11)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1)과, 상기 단차턱(12)에 걸치어지는 걸림턱(22)을 포함하는 콘덴서블럭(20); 및 상기 브라켓(1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열전소자(F)의 일측면을 상기 콘덴서블럭(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열전소자(F)의 타측면과 밀착되는 커버블럭(30);을 포함하고;
상기 콘덴서블럭(20)는, 그 측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홈(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21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유니트(240)로 배수시키는 배수관(25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21)에는 상기 흡열유니트(230)를 관통하는 볼트(B)가 체결되는 나사공(21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체로 냉열을 축적할 수 있어 열전소자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냉장실 내부에서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물품의 장기 냉장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콘덴서블럭에 형성된 걸림턱의 높이가 열전소자의 냉열단 및 분리단을 더한 높이 보다 작기 때문에, 냉열단의 냉열은 콘덴서블럭으로만 전도되게 하고 온열단의 온열은 커버블럭으로만 전도되게 한다. 이에 따라 콘덴서블럭과 커버블럭 사이에 열전도가 근본적으로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바디몸체에 콘덴서블럭을 끼우고 열전소자를 걸림턱 사이에 위치시킨 후 브라켓의 가이드돌기에 커버블럭의 가이드홈을 끼움으로써 조립이 되므로, 냉각패키징을 조립하는데 있어 위치맞춤 등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립공정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냉장고 본체의 본체결합공에 바디몸체를 끼어 밀어넣은 후 브라켓을 냉장고 본체 결합시키고, 냉장실에서 바디몸체로 돌출되는 돌출단에 흡열유니트를 결합시키고, 냉장고 본체 후방측에서 커버블럭에 방열유니트를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장고 조립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종래의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냉각패키징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바디몸체에 있어 바디몸체의 선단측 내외직경이 후단측 내외직경보다 작은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바디몸체에 형성된 단차턱 및 전선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의 콘덴서블럭에 있어 걸림턱의 높이가 열전소자의 냉열단 및 분리단을 더한 높이보다 작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패키징이 장착된 냉장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냉장고의 조립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냉각패키징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바디몸체에 있어 바디몸체의 선단측 내외직경이 후단측 내외직경보다 작은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바디몸체에 형성된 단차턱 및 전선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3의 콘덴서블럭에 있어 걸림턱의 높이가 열전소자의 냉열단 및 분리단을 더한 높이보다 작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패키징은, 크게 바디(10)와, 바디(10)에 결합되는 콘덴서블럭(20)과, 콘덴서블럭(20)에 일측이 밀착되는 열전소자(F)의 타측과 밀착되어 바디(10)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커버블럭(30)을 포함한다. 이때 열전소자(F)는 냉열을 발생하는 냉열단(F1)과 온열을 발생하는 온열단(F2)이 분리단(F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바디(10)는,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와, 바디몸체(11)의 내측에서 몸체관통공(11a)의 후단측에 단차지게 형성진 단차턱(12)과, 단차턱(12) 측 방향의 바디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3)과, 브라켓(13)에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관통공(11a)과 연결되는 2개의 전선홈(14a)(14b)을 포함한다. 이러한 바디(10)는 열에 의한 수축 및 팽창이 작은 재질, 예를 들면 강화 우레탄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몸체(11)에 있어 몸체관통공(11a)은 단면이 정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바디몸체(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측 내직경(D1)이 후단측 내직경(D2) 보다 작다. 이에 따라 후술할 콘덴서블럭(20)을 바디몸체(11)에 끼울 때, 콘덴서블럭(20)은 몸체관통공(11a)의 후방측에서 쉽게 끼어지고 이후 선단측으로 끼어질수록 콘덴서블럭(20)의 외주면이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바디몸체(11)의 선단측 외직경(D3)은 후단측 외직경(D4) 보다 작다. 이에 따라 바디몸체(11)를 후술할 냉장고 본체(210)의 본체결합공(215)에 끼울 때, 바디몸체(11)는 본체결합공(215)에 쉽게 끼어지고 이후 점차 끼어질수록 바디몸체(11)의 외주면이 본체결합공(215)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단차턱(12)은 바디몸체(11) 내측에서 몸체관통공(11a)의 후단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턱(12)은 후술할 콘덴서블럭(20)이 몸체관통공(11a)에 완전히 끼어질 때 콘덴서블럭(20)의 걸림턱(22)이 걸어지게 된다. 이러한 단차턱(12)에 의하여 콘덴서블럭(20)이 바디몸체(11)를 관통하여 완전히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단차턱(1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콘덴서블럭(20)의 걸림턱(22)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홈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12a)에 의하여, 후술할 커버블럭(30)에서 발생하는 온열이 바디몸체(11)를 통하여 걸림턱(22)으로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걸림턱(22)에서 온도차이에 의하여 응축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13)은 바디몸체(11)의 단부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바디몸체(11)를 후술할 냉장고 본체(210)의 본체결합공(215)에 끼어 결합시킬 때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측에 걸어지는 걸림턱 역할을 함과 동시에 위치고정시킨다.
브라켓(13)의 모서리측 각각에는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돌기(13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13a)는 후술할 커버블럭(30)의 모서리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공(30a)에 결합됨으로서 커버블럭(30)이 브라켓(13)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선홈(14a)(14b)은, 커버블럭(30)이 브라켓(13)에 결합될 때, 열전소자(F)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W1)(W2)을 외부로 빠져나오게 하기 위한 것이다.
콘덴서블럭(20)은 전체적으로 정육면에 형상을 가지며 열전도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다. 콘덴서블럭(20)은, 몸체관통공(11a)에 완전히 끼어져 결합될 때 바디몸체(11)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1)과, 단차턱(12)에 걸치어지는 걸림턱(22)과, 측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홈(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냉각패키징이 채용되는 냉장고 본체(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S)를 사이에 두고 내벽(212)과 외벽(213)으로 이루어지고, 단열제(S)는 대략 3~5cm 의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냉장고 본체(210)의 두께는 최소한 3~5cm 이상인데, 이러한 냉장고 본체(210)의 본체결합공(215)에 결합되는 바디몸체(11)의 두께 역시 최소한 3~5cm 이상이다.
콘덴서블럭(20)은 최소한 3~5cm 이상의 두께의 냉장고 본체(210)를 관통하는 바디몸체(11)에 끼어져 선단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로 큰 체적을 가진다. 따라서 콘덴서블럭(20)은 바디몸체(11) 내부를 채울 정도로 큰 체적을 가짐으로써 열전소자(F)로부터 발생되는 많은 양의 냉열을 축적함과 동시에 후술할 냉장실(211)로 전달한다.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장고는 주로 화장품이나 와인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화장품이나 와인은 주위 온도변화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화장품 또는 와인을 냉장하는 냉장실의 온도변화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냉장실(211)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원인가시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는 열전소자(F)와 냉장실(211) 사이에 온도변화를 폭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냉열을 축적하는 콘덴서블럭(20)이 채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덴서블럭(20)은 냉열을 축적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열전소자(F)의 급격한 온도변화가 냉장실(211)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편으로 열전소자(F)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냉열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냉장실(211)로 일정한 냉열을 공급하여 냉장실(211)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단(21)은 콘덴서블럭(20)에 있어 바디몸체(11)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다수개의 나사공(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냉장실(211)에서 흡열유니트(230)가 나사공(21a)에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하여 돌출단(21)에 고정된다.
걸림턱(22)은 콘덴서블럭(20)의 가장자리에 마주보게 한쌍이 형성된 것으로서, 콘덴서블럭(20)이 몸체관통공(11a)에 끼어져 결합될 때 바디몸체(11)의 전방으로 빠져나기지 않도록 단차턱(12)에 걸치어진다.
이때 걸림턱(22)의 높이(H)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F)에 있어 냉열단(F1) 및 분리단(F3)을 더한 높이 보다 작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열단(F1)의 높이와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걸림턱(22) 사이의 콘덴서블럭(20)에 열전소자(F)가 밀착될 때, 어떠한 경우에도 걸림턱(22)은 온열단(F2)에 접촉되지 않고, 냉열단(F1)의 냉열이 걸림턱(22)을 통하여 온열단(F2)으로 전도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둘레홈(23)은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둘레홈(23)은 냉장실(211)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바디몸체(11)와 콘덴서블럭(20) 사이로 침투될 때, 그 응축수가 둘레홈(23)에 의하여 열전소자(F) 측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이는 세라믹 재질로 된 열전소자(F)가 물에 취약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
커버블럭(30)은 바디(10)의 후방측, 즉 브라켓(13)에 결합되어 열전소자(F)를 바디(10)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열전소자(F)의 일측면은 콘덴서블럭(20)과 밀착되고 타측면은 커버블럭(30)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F))의 일측면에서 발생되는 냉열은 콘덴서블럭(20)으로 전도되고, 타측면에서 발생되는 온열은 커버블럭(30)으로 전도된다.
커버블럭(30)의 모서리측에 형성된 가이드공(30a)은 브라켓(13)의 모서리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a)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커버블럭(30)은 브라켓(13)에 정확히 위치맞춤된다.
다음, 상기한 냉각패키징을 채용한 냉장고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패키징이 장착된 냉장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냉장고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수납된 물품을 냉장시키는 냉장실(211)이 형성된 것으로서 본체결합공(215)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210)와; 냉장고 본체(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실(211)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20)와; 본체결합공(215)에 결합되는 냉각패키징(100)과; 냉장실(211) 내부에서 냉각패키징(100)의 선단과 결합되는 흡열유니트(230)와;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측에서 냉각패키징(100)의 후단과 결합되는 방열유니트(240)와; 냉장실(21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유니트(240)로 배수시키는 배수관(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본체(210)의 내부에는 단열제(S)가 충진되어 냉장실(211)을 외부와 단열시키고, 도어(220)는 냉장실(211)을 개폐함으로서 냉장대상인 물품을 출입시킨다.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측에는 냉장실(211)과 연통되는 본체결합공(215)이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본체결합공(215)에는 상기한 냉각패키징(100)이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흡열유니트(230)는 냉장실(211) 내부에서 냉각패키징의 콘덴서블럭(20)의 선단부에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며, 열 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로 된다. 흡열유니트(230)에는 다수개의 냉각핀(231)이 형성되며, 냉각패키징(100)의 콘덴서블럭(20)으로부터 전도되는 냉열을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즉 흡열유니트(230)는 냉장실(211)에서 주위의 열을 흡열하여 냉장실(211)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다.
한편 흡열유니트(230)는 그를 관통하는 볼트(B)가 콘덴서블럭(20)의 돌출단(21)에 형성된 나사공(21a)에 체결됨으로써 그 돌출단(21)에 결합된다. 즉 흡열유니트(230)는 볼트(B)에 의하여 돌출단(21)에 결합되므로, 흡열유니트(2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성이 향상된다.
방열유니트(240)는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측에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방열유니트(240)는 커버블럭(30)에 결합되는 방열블럭(241)과, 방열블럭(241)과 폐회로를 이루게 연결되어 냉매가 흐르는 냉매파이프(242)와, 냉매파이프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방열핀(243)을 포함하고, 커버블럭(30)으로 전도되는 온열이 외기와 열교환되도록 한다.
배수관(250)은 냉장실(211) 또는 흡열유니트(2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냉장고 본체(210)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수관(250)은 냉장고 본체(210)에 형성된 구멍(210a)을 통하여 냉장실(211)과 흡열유니트(23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제로 되어 있다. 흡착제는 호스로 감싸여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냉장실(211) 또는 흡열유니트(2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배수관(250)을 통하여 방열유니트(240)로 흐르게 되고, 방열유니트(240)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배수관(250)을 통하여 이송되는 수분은 열에 의하여 증발시킨다.
상기 냉각패키징(100)은, 바디(10)와, 바디(10)에 결합되는 콘덴서블럭(20)과, 콘덴서블럭(20)에 일측이 밀착되는 열전소자(F)의 타측과 밀착되어 바디(10)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커버블럭(30)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냉각패키징(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 외측에서 본체결합공(215)에 끼어져 결합된다. 이때 바디몸체(11)의 선단측 외직경(D3)은 후단측 외직경(D4) 보다 작으므로, 바디몸체(11)를 본체결합공(215)에 끼울 때 바디몸체(11)의 선단은 본체결합공(215)에 쉽게 끼어지고 이후 점차 끼어질수록 바디몸체(11)의 외주면은 본체결합공(215)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덴서블럭(20) 자체가 냉열을 축적할 수 있어 열전소자(F)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냉장실(211) 내부에서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 내부에서의 온도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물품의 장기 냉장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와인이나 화장품과 같이 온도변화에 민감한 물품들을 장기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콘덴서블럭(20)에 형성된 걸림턱(22)의 높이(H)가 열전소자(F)의 냉열단(F1) 및 분리단(F2)을 더한 높이 보다 작기 때문에, 냉열단(F1)의 냉열은 콘덴서블럭(20)으로만 전도되게 하고 온열단(F2)의 온열은 커버블럭(30)으로만 전도되게 한다. 이에 따라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30) 사이에 열전도가 근본적으로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바디몸체(11)에 콘덴서블럭(20)을 끼우고 열전소자(F)를 걸림턱(22) 사이에 위치시킨 후 브라켓(13)의 가이드돌기(13a)에 커버블럭(30)의 가이드홈(30a)을 끼움으로써 조립이 되므로, 냉각패키징을 조립하는데 있어 위치맞춤 등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립공정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냉장고 본체(210)의 본체결합공(215)에 바디몸체(11)를 끼어 밀어넣은 후 브라켓(13)을 냉장고 본체(210)에 결합시키고, 냉장실(211)에서 바디몸체(11)로 돌출되는 돌출단(21)에 흡열유니트(230)를 결합시키고, 냉장고 본체(210) 후방측에서 커버블럭(30)에 방열유니트(240)를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장고 조립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냉각패키징 10 ... 바디
11 ... 바디몸체 11a ... 몸체관통공
12 ... 단차턱 13 ... 브라켓
13a ... 가이드돌기 14a, 14b ... 전선홈
20 ... 콘덴서블럭 21 ... 돌출단
22 ... 걸림턱 23 ... 둘레홈
30 ... 커버블럭 30a ... 가이드공
210 ... 냉장고 본체 211 ... 냉장실
215 ... 본체결합공 220 ... 도어
230 ... 흡열유니트 231 ... 냉각핀
240 ... 방열유니트 241 ... 방열블럭
242 ... 냉매파이프 242 ... 방열핀
250 ... 배수관

Claims (9)

  1.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와, 상기 바디몸체(11)의 내측에서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후단측에 단차지게 형성진 단차턱(12)과, 상기 단차턱(12) 측 방향의 바디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3)과, 상기 브라켓(13)에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관통공(11a)과 연결되는 2개의 전선홈(14a)(14b)을 포함하는 바디(10);
    상기 몸체관통공(11a)에 완전히 끼어져 결합될 때 상기 바디몸체(11)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1)과, 상기 단차턱(12)에 걸치어지는 걸림턱(22)을 포함하는 콘덴서블럭(20); 및
    상기 브라켓(1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열전소자(F)의 일측면을 상기 콘덴서블럭(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열전소자(F)의 타측면과 밀착되는 커버블럭(30);을 포함하고;
    상기 콘덴서블럭(20)는, 그 측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홈(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2.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와, 상기 바디몸체(11)의 내측에서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후단측에 단차지게 형성진 단차턱(12)과, 상기 단차턱(12) 측 방향의 바디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3)과, 상기 브라켓(13)에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관통공(11a)과 연결되는 2개의 전선홈(14a)(14b)을 포함하는 바디(10);
    상기 몸체관통공(11a)에 완전히 끼어져 결합될 때 상기 바디몸체(11)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1)과, 상기 단차턱(12)에 걸치어지는 걸림턱(22)을 포함하는 콘덴서블럭(20); 및
    상기 브라켓(1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열전소자(F)의 일측면을 상기 콘덴서블럭(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열전소자(F)의 타측면과 밀착되는 커버블럭(3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선단측 내직경(D1)은 후단측 내직경(D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몸체(11)의 선단측 외직경(D3)은 후단측 외직경(D4)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3)의 모서리측 각각에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돌기(13a)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블럭(30)의 모서리측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3a)가 결합되는 가이드공(3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2)은 콘덴서블럭(20)의 가장자리에 마주보게 한쌍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2)의 높이(H)는 상기 열전소자(F)의 냉열단(F1) 및 분리단(F3)을 더한 높이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6. 삭제
  7. 수납된 물품을 냉장시키는 냉장실(211)이 형성된 것으로서 본체결합공(215)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210)와, 상기 냉장고 본체(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211)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20)와, 상기 본체결합공(215)에 결합되는 냉각패키징(100)과, 상기 냉장실(211) 내부에서 상기 냉각패키징(100)의 선단과 결합되는 흡열유니트(230)와, 상기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측에서 상기 냉각패키징(100)의 후단과 결합되는 방열유니트(240)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패키징(100)은,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와, 상기 바디몸체(11)의 내측에서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후단측에 단차지게 형성진 단차턱(12)과, 상기 단차턱(12) 측 방향의 바디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3)과, 상기 브라켓(13)에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관통공(11a)과 연결되는 2개의 전선홈(14a)(14b)을 포함하는 바디(10);
    상기 몸체관통공(11)에 완전히 끼어져 결합될 때 상기 바디몸체(11)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1)과, 상기 단차턱(12)에 걸치어지는 걸림턱(22)을 포함하는 콘덴서블럭(20); 및
    상기 브라켓(1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열전소자(F)의 일측면을 상기 콘덴서블럭(20)에 밀착시키고, 상기 열전소자(F)의 타측면과 밀착되는 커버블럭(30);을 포함하고;
    상기 콘덴서블럭(20)는, 그 측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홈(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패키징을 채용한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21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유니트(240)로 배수시키는 배수관(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냉각패키징을 채용한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21)에는 상기 흡열유니트(230)를 관통하는 볼트(B)가 체결되는 나사공(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냉각패키징을 채용한 냉장고.
KR1020130070284A 2013-06-19 2013-06-19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KR10132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284A KR101323876B1 (ko) 2013-06-19 2013-06-19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284A KR101323876B1 (ko) 2013-06-19 2013-06-19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876B1 true KR101323876B1 (ko) 2013-10-30

Family

ID=4963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284A KR101323876B1 (ko) 2013-06-19 2013-06-19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87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47B1 (ko) * 2015-10-29 2016-03-07 주식회사 아맥스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CN105805980A (zh) * 2014-12-31 2016-07-2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半导体制冷模块的侧面安装方法
KR101753539B1 (ko) * 2016-11-24 2017-07-05 강희천 열전소자 냉각모듈을 채용한 냉장고
KR101791383B1 (ko) * 2017-04-04 2017-10-31 강희천 열전소자 구동형 냉장고
EP3489600A1 (en) 2017-11-22 2019-05-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537063A1 (en) 2018-03-09 2019-09-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9172662A1 (ko) 2018-03-08 2019-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540336A1 (en) 2018-03-13 2019-09-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9177304A1 (ko) 2018-03-12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9177315A1 (ko) 2018-03-13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470Y1 (ko) * 2003-01-14 2003-04-03 김선경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
KR20060100882A (ko) * 2005-03-18 2006-09-21 정세진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
KR20100025854A (ko) * 2008-08-28 2010-03-10 (주)거우엔지니어링 소형 냉장고
KR101062919B1 (ko) 2009-01-21 2011-09-06 광 언 정 전자식 액체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470Y1 (ko) * 2003-01-14 2003-04-03 김선경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
KR20060100882A (ko) * 2005-03-18 2006-09-21 정세진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
KR20100025854A (ko) * 2008-08-28 2010-03-10 (주)거우엔지니어링 소형 냉장고
KR101062919B1 (ko) 2009-01-21 2011-09-06 광 언 정 전자식 액체냉각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5980A (zh) * 2014-12-31 2016-07-2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半导体制冷模块的侧面安装方法
KR101597947B1 (ko) * 2015-10-29 2016-03-07 주식회사 아맥스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KR101753539B1 (ko) * 2016-11-24 2017-07-05 강희천 열전소자 냉각모듈을 채용한 냉장고
KR101791383B1 (ko) * 2017-04-04 2017-10-31 강희천 열전소자 구동형 냉장고
US10557663B2 (en) 2017-11-22 2020-02-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489600A1 (en) 2017-11-22 2019-05-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428458B2 (en) 2018-03-08 2022-08-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9172662A1 (ko) 2018-03-08 2019-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306962B2 (en) 2018-03-09 2022-04-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537063A1 (en) 2018-03-09 2019-09-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9177304A1 (ko) 2018-03-12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725865B2 (en) 2018-03-12 2023-08-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rain system
WO2019177315A1 (ko) 2018-03-13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287193B2 (en) 2018-03-13 2022-03-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540336A1 (en) 2018-03-13 2019-09-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473834B2 (en) 2018-03-13 2022-10-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876B1 (ko)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JP4417335B2 (ja) 冷凍冷蔵庫
KR100455924B1 (ko)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냉각 및 가열 장치
US11287193B2 (en) Refrigerator
JP2008531960A (ja) 熱電素子を用いた貯蔵庫
US11306962B2 (en) Refrigerator
KR100845153B1 (ko) 차량용 냉장고
KR101597947B1 (ko)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JPH08145522A (ja) 電子冷凍式冷蔵庫
KR100611453B1 (ko) 저장고의 냉각 장치 조립을 위한 어셈블리
JP2014137192A (ja) 冷蔵庫
KR101753539B1 (ko) 열전소자 냉각모듈을 채용한 냉장고
JP6371038B2 (ja) 冷蔵庫
KR101889256B1 (ko) 소형 냉장고용 히트파이프 방열장치
KR101747048B1 (ko) 열전소자 구동형 냉장고
KR100501947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장고
EP1800076A1 (en) Refrigerator
KR101265640B1 (ko) 제상히터가 구비된 증발기
KR20070003221A (ko) 저장고의 열전소자 장치부
KR100708947B1 (ko) 열전소자를 사용하는 냉각 및 가열장치
JP4332485B2 (ja) 冷蔵庫
KR100576241B1 (ko) 냉장고
JP2011237115A (ja) 冷蔵庫
KR20060093599A (ko)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저장고의 냉각구조
KR20110017152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냉온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