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947B1 -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947B1
KR101597947B1 KR1020150150709A KR20150150709A KR101597947B1 KR 101597947 B1 KR101597947 B1 KR 101597947B1 KR 1020150150709 A KR1020150150709 A KR 1020150150709A KR 20150150709 A KR20150150709 A KR 20150150709A KR 101597947 B1 KR101597947 B1 KR 101597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le
condenser
bracket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맥스
Priority to KR102015015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0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in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 및 그 바디몸체(11)의 단부에 브라켓(12)이 형성된 바디(10)와; 몸체관통공(11a)에 끼어질 때 그 바디몸체(11) 선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선단부(21) 및 후방측 가장자리에 한쌍의 걸림턱(23)을 가지는 후단부(22)가 형성된 콘덴서블럭(20)과; 몸체관통공(11a) 내주면에 마주보게 형성된 것으로서, 콘덴서블럭(20)의 외측면을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에서 이격시킴과 동시에 걸림턱(23)이 걸어지는 턱단(31)이 형성된 한쌍의 제1리브(30)와; 한쌍의 제1리브(30) 사이에서 몸체관통공(11a) 내주면에 마주보게 형성된 것으로서, 콘덴서블럭(20)의 외측면을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에서 이격시키는 한쌍의 제2리브(40)와; 브라켓(12)에 결합되는 커버블럭(60)과;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 사이에 밀착되는 열전소자(70)와; 바디(10)와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 사이 공간에 충진되는 몰딩단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Cooling module}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소자 주변에서의 습기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에 관한 것이다.
펠티어 현상을 이용한 열전소자는, 일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정방향 접합부에서 방열(가열)이 일어나고 반방향 접합부에서 흡열(냉각)이 일어나는 반도체 소자이다. 이러한 열전소자는 저전력, 초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소형냉장고, 화장품냉장고, 와인냉장고 등에 다양한 소형가전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장고의 종래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02-0069909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종래의 냉장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를 이용한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에 설치되는 열전소자(2)와, 냉장고 본체(1) 내부의 냉장실에서 열전소자(2)의 일측과 결합되는 쿨러(3)와, 냉장고 본체(1) 외부에서 열전소자(2)의 타측과 결합되는 방열기(4)를 포함한다. 이때 쿨러(3)와 방열기(4) 각각의 내부에는 팬(3a)(4a)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열전소자(2)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열전소자(2)의 일측면에서 발생되는 냉열에 의하여 쿨러(3)는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냉장실을 냉장시키고, 열전소자(2)의 타측면에서 발생되는 온열은 방열기(4)를 통하여 방열된다.
그런데 상기한 냉장고에 있어서, 열전소자(2)에 전원이 차단되면 냉장실 내부로 냉열이 전달되지 않아 냉장실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감으로써 냉장실에서 온도변화가 크게 일어났다. 이 경우 보관되는 물품의 냉장기간이 짧아지고 물품의 물성이 변화되었다.
또한 열전소자(2)에서 쿨러(3)로 전도되는 냉열은 그 쿨러(3)의 표면온도를 -10 ℃ 이하로 냉각시켜 쿨러(3)에 두꺼운 성애나 결로현상을 유발시킴으로서 많은 물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물을 배출하기 별도의 배수관 및 물탱크를 설치하여야 하였다.
또한 성애에서 발생된 습기는 열전소자 내부로 침투되어 열전소자의 수명을 현격하게 낮추는 원인이 되었다. 이론상 열전소자의 수명은 10년 정도이나, 열전소자 근처에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하여 열전소자의 수명이 2년 내외로 낮아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열전소자 주변에서 습기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서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은,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 및 그 바디몸체(11)의 단부에 브라켓(12)이 형성된 바디(10); 상기 몸체관통공(11a)에 끼어질 때 그 바디몸체(11) 선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선단부(21) 및 후방측 가장자리에 대칭되는 한쌍의 걸림턱(23)을 가지는 후단부(22)가 형성된 콘덴서블럭(20)와; 상기 몸체관통공(11a) 내주면에 마주보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콘덴서블럭(20)의 외측면을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에서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23)이 걸어지는 턱단(31)이 형성된 한쌍의 제1리브(30); 상기 한쌍의 제1리브(30) 사이에서 상기 몸체관통공(11a) 내주면에 마주보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걸림턱(23)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콘덴서블럭(20)의 외측면을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에서 이격시키는 한쌍의 제2리브(40); 상기 브라켓(12)에 결합되는 커버블럭(60); 한쌍의 상기 걸림턱(23) 사이에서, 상기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 사이에 밀착되는 열전소자(70); 상기 열전소자(70)를 상기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콘덴서블럭(20)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23)과 턱단(31) 사이에 위치되는 오링(50); 및 상기 바디(10)와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과 열전소자(70) 사이 공간에 충진되는 몰딩단열부(8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 선단에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관통공(11a)과 콘덴서블럭(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형성된 경사입구단(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몸체(11)의 하단에 형성된 4 개의 브라켓(12) 각각에는 2개씩 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총 8 개의 브라켓관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블럭(60)의 가장자리측에는 상기 8 개의 브라켓관통공(16)을 관통하는 볼트가 체결되는 8 개의 나사공(66)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의 모서리측 각각에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돌기(12a)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블럭(60)의 모서리측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2a)가 결합되는 가이드공(60a)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몸체에 제1,2리브를 형성하여 콘덴서블럭의 외측면을 몸체관통공 내주면에서 이격시키고, 바디와 콘덴서블럭과 커버블럭 사이 공간을 몰딩단열부로 충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열전소자 주위로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전소자 주변에서 습기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서 열전소자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오링을 채용함으로서, 커버블럭이 브라켓에 결합되면서 열전소자를 콘덴서블럭 측으로 가압할 때 열전소자의 냉열단 및 온열단 각각을 콘덴서블럭의 후단부 및 커버블럭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냉열 및 온열의 전도가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바디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4 개의 브라켓 각각에 2개씩 볼트가 관통되는 브라켓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커버블럭은 열전소자에 1㎠ 면적당 15Kg 의 강한 압력을 고르게 인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냉각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콘덴서블럭 자체가 냉열을 축적할 수 있어 열전소자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냉장실 내부에서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냉장실 내부에서의 온도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물품의 장기 냉장 보관이 기능하다.
도 1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종래의 냉장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냉각모듈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도 3의 냉각모듈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4의 바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바디에 형성된 제1,2리브에 의하여 콘덴서블럭이 바디몸체 내주면에서 이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콘덴서블럭에 형성된 걸림턱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3의 냉각모듈이 장착된 냉장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냉장고의 조립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냉각모듈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냉각모듈의 부분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바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바디에 형성된 제1,2리브에 의하여 콘덴서블럭이 바디몸체 내주면에서 이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냉각모듈은,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 그 바디몸체(11)의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2) 및 그 브라켓(12)에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관통공(11a)과 연통되는 전선홈(13)이 형성된 바디(10)와; 몸체관통공(11a)에 끼어질 때 그 바디몸체(11) 선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선단부(21) 및 후방측 가장자리에 한쌍의 걸림턱(23)을 가지는 후단부(22)가 형성된 콘덴서블럭(20)과; 몸체관통공(11a) 내주면에 마주보게 형성된 것으로서, 콘덴서블럭(20)의 외측면을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에서 이격시킴과 동시에 걸림턱(23)이 걸어지는 턱단(31)이 형성된 한쌍의 제1리브(30)와; 한쌍의 제1리브(30) 사이에서 몸체관통공(11a) 내주면에 마주보게 형성된 것으로서, 콘덴서블럭(20)의 외측면을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에서 이격시키는 한쌍의 제2리브(40)와; 콘덴서블럭(20)에 끼어진 상태에서 걸림턱(23)과 턱단(31) 사이에 위치되는 오링(50)과; 브라켓(12)에 결합되는 커버블럭(60)과;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 사이에 밀착되는 열전소자(70)와; 바디(10)와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 사이 공간에 충진되는 몰딩단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열전소자(70)는, 냉열을 발생하는 냉열단(71)과, 온열을 발생하는 온열단(72)과, 냉열단(71)과 온열단(72)을 분리하는 분리단(73)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열전소자(70)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디(10)는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를 포함하며, 이때 몸체관통공(11a)의 단면은 정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바디몸체(11)의 선단측 외직경(D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측 외직경(D2) 보다 작다. 이에 따라 바디몸체(11)를 후술할 냉장고 본체(210)의 본체결합공(215)에 끼울 때, 바디몸체(11)는 본체결합공(215)에 쉽게 끼어지고 이후 점차 끼어질수록 바디몸체(11)의 외주면이 본체결합공(215)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브라켓(12)은 바디몸체(11)의 단부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모서리측 각각에는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돌기(12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12a)는 커버블럭(60)의 모서리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공(60a)에 끼어짐으로서 결합됨으로서 커버블럭(60)이 브라켓(12)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 가이드한다.
전선홈(13)은 커버블럭(60)이 브라켓(12)에 결합될 때, 열전소자(7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W)을 외부로 빠져나오게 한다.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 선단에는, 몰딩단열부(80)를 형성하는 액상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브라켓 측으로 갈수록 몸체관통공(11a)의 마주보는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된 경사입구단(15)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 선단에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관통공(11a)과 콘덴서블럭(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형성된 경사입구단(15)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입구단(15)은 콘덴서블럭의 선단부(21)와 바디몸체(11)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액상수지를 바디몸체(11) 외측으로 흘리지 않게 정확하고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액상수지가 굳어져 형성되는 물딩단열부(80)는 몸체관통공(11a)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경사입구단(15)의 표면에 밀착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열전소자(7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콘덴서블럭(20)은 전체적으로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열전도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콘덴서블럭(20)은 최소한 3~5cm 이상의 두께의 냉장고 본체(210)를 관통하는 바디몸체(11)에 끼어진 후 선단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큰 체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콘덴서블럭(20)은 열전소자(70)로부터 발생되는 냉열을 축적함으로서, 열전소자(70)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냉장실(211)의 온도가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콘덴서블럭(20)의 선단부(21)는 바디몸체(11)의 선단으로 돌출되며, 후술할 냉장실(211) 내부에 위치되는 흡열유니트(230)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볼트(B)가 체결되는 다수의 나사공(21a), 본 실시예에서는 4 개의 나사공이 형성된다.
걸림턱(23)은 후단부(22)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으로서, 열전소자(70)가 후단부(22)의 센터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위치 가이드함과 동시에, 콘덴서블럭(20)이 몸체관통공(11a)에 끼어질 때 바디몸체(11)의 전방으로 빠져나기지 않도록 제1리브(30)의 턱단(31)에 걸어진다.
제1리브(30)와 제2리브(40)는 바디몸체(11)를 이루는 4개의 내주면 각각에 형성되어 콘덴서블럭(20)이 몸체관통공(11a)에 끼어질 때 그 콘덴서블럭(20)을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과 이격시킨다.
이때 제1리브(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2)의 면을 기준으로 몸체관통공(11a) 내측에 위치되는 턱단(31)이 형성되어 있다. 턱단(31)은 몸체끼움홈(11a)에 끼어지는 콘덴서블럭(20)의 걸림턱(23), 엄밀하게는 콘덴서블럭(20)에 끼어진 후 걸림턱(23)에 걸어지는 오링(50)이 걸어진다.
오링(50)은 콘덴서블럭(20)에 끼어져 걸림턱(23)에 걸어지며, 콘덴서블럭(20)을 몰체끼움홈(11a)에 완전히 끼울 때 제1리브(30)의 턱단(31)에 걸어진다.
상기한 커버블럭(60)이 브라켓(12)에 결합되면서 열전소자(70)를 콘덴서블럭(20) 측으로 가압할 때, 상기 오링(50)은 압착되면서 열전소자(70)의 냉열단(71)을 후단부(22)에 견고하게 밀착시키고, 온열단(72)을 커버블럭(60)에 견고하게 밀착시킨다. 즉 오링(50)은 열전소자(70)의 냉열단(71) 및 온열단(72)을 콘덴서블록(20)과 커버블럭(60)에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70)의 냉열이 콘덴서블럭(20)의 후단부로 완벽하게 전도되고, 온열이 커버블럭(60)으로 완벽하게 전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오링(50)은 쿠션을 가짐으로써, 바디(10)를 사출시 사출공차가 발생하여 공차갭이 발생하더라도 그 공차갭을 보완하는 작용을 하고, 더 나아가 열전소자(70)를 후단부(22)에 위치시킬 때 정위치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가이드한다.
커버블럭(60)은 콘덴서블럭(20)과 마찬가지로 열전도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블럭(60)의 모서리측에는 브라켓(12)의 모서리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a)가 끼어지는 4 개의 가이드공(60a)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커버블럭(60)은 브라켓(12)에 정확히 위치 맞춤된다. 이러한 커버블럭(60)에는 열전소자(70)의 온열단(72)이 밀착됨으로써, 열전소자(70)에서 발생되는 온열은 커버블럭(60)으로 전도된다.
한편, 바디몸체(11)의 하단에 형성된 4 개의 브라켓(12) 각각에는 2개씩 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브라켓관통공(16)이 형성되어 있어 총 8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블럭(60)의 가장자리측에는 8 개의 브라켓관통공(16)을 관통하는 볼트에 체결되기 위한 8 개의 나사공(6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전소자(70)는 가로 및 세로폭이 40*40 mm, 두게4mm 인 규격을 가진다. 이러한 열전소자(70)의 냉열단(71) 및 온열단(72)이 콘덴서블럭의 후단부(23)와 커버블럭(60)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하기 위하여, 커버블럭(60)은 열전소자(70) 전체면에 대하여 1㎠ 면적당 15Kg 의 강한 압력을 인가하여야 한다.
그런데 브라켓(12)은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고유의 탄성이 있기 때문에, 만약 각각의 브라켓에 1개씩의 볼트를 이용하여 커버블럭(60)을 결합시킬 때 1개의 볼트가 관통되는 부분에 과도한 힘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볼트가 관통되는 부분에서 브라켓(12)의 편향된 변형이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커버블럭(60)은 열전소자(70)에 1㎠ 면적당 15Kg 의 강한 압력을 인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4 개의 브라켓(12) 각각에 2개씩 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브라켓관통공(16)을 형성하고, 커버블럭(60)에는 8 개의 브라켓관통공(16)에 대응되는 8 개의 나사공(66)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4개의 브라켓(12) 각각에 2개씩의 브라켓관통공(16)을 형성함으로서, 2개의 볼트가 1개의 브라켓관통공(16)을 통하여 커버블럭의 나사공(66)에 체결될 때, 볼트에 의하여 브라켓(12)에 인가되는 힘이 분산됨으로서 그 브라켓(12)에 편향된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커버블럭(60)은 열전소자(70)의 전체면에 1㎠ 면적당 15Kg 의 강한 압력을 고르게 인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열전소자(70)의 냉열단(71) 및 온열단(72)이 콘덴서블럭의 후단부(22) 및 커버블럭(60)에 견고하게 밀착됨으로, 결과적으로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몰딩단열부(80)는 액상의 에폭시를 콘덴서블럭의 선단부(21)와 경사입구단(15) 사이로 주입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몰딩단열부(80)는 바디(10)와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을 일체화함으로서 내구성, 내충격성 및 방습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몰딩단열부(80)는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 사이의 열전소자(70) 가장자리를 완전히 감쌈으로써 내습성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몰딩단열부(80)는 콘덴서블럭(20)과 바디(10) 사이를 단열시킴으로써 바디(10)가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디(10)에서 성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의 냉각모듈을 채용한 냉장고에서 성애에 의한 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종래 화장품냉장고에서 채용하였던 배수관이나 물통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
도 7은 도 2의 콘덴서블럭에 형성된 걸림턱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블럭(20)에 형성된 걸림턱(23)의 높이(H)는 열전소자(70)의 냉열단(71) 및 분리단(73)을 더한 높이 보다 작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열단(71)의 높이와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걸림턱(23) 사이에서 열전소자(70)가 밀착될 때, 어떠한 경우에도 걸림턱(23)은 온열단(72)에 접촉되지 않고, 냉열단(71)의 냉열이 걸림턱(23)을 통하여 온열단(72)으로 전도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음, 상기한 냉각모듈을 채용한 냉장고를 설명한다.
도 8은 도 3의 냉각모듈이 장착된 냉장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냉장고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수납된 물품을 냉장시키는 냉장실(211)이 형성된 것으로서 본체결합공(215)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210)와; 냉장고 본체(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실(211)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20)와; 본체결합공(215)에 결합되는 냉각모듈(100)과; 냉장실(211) 내부에서 냉각모듈(100)의 선단과 결합되는 흡열유니트(230)와;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측에서 냉각모듈(100)의 후단과 결합되는 방열유니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본체(210)의 내부에는 단열제(S)가 충진되어 냉장실(211)을 외부와 단열시키고, 도어(220)는 냉장실(211)을 개폐함으로서 냉장대상인 화장품이나 와인과 같은 물품을 출입시킨다.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측에는 냉장실(211)과 연통되는 본체결합공(215)이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본체결합공(215)에는 상기한 냉각모듈(100)이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흡열유니트(230)는 냉장실(211) 내부에서 냉각모듈의 콘덴서블럭(20)의 선단부에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며, 열 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로 된다. 흡열유니트(230)에는 다수개의 냉각핀(231)이 형성되며, 냉각모듈(100)의 콘덴서블럭(20)으로부터 전도되는 냉열을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즉 흡열유니트(230)는 냉장실(211)에서 주위의 열을 흡열하여 냉장실(211)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다.
한편 흡열유니트(230)는 그를 관통하는 볼트(B)가 콘덴서블럭(20)의 선단부(21)에 형성된 나사공(21a)에 체결됨으로써 그 선단부(21)에 결합된다. 즉 흡열유니트(230)는 볼트(B)에 의하여 돌출단(21)에 결합되므로, 흡열유니트(2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성이 향상된다.
방열유니트(240)는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측에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방열유니트(240)는 커버블럭(60)에 결합되는 방열블럭(241)과, 방열블럭(241)과 폐회로를 이루게 연결되어 냉매가 흐르는 냉매파이프(242)와, 냉매파이프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방열핀(243)을 포함하고, 커버블럭(60)으로 전도되는 온열이 외기와 열교환되도록 한다.
상기 냉각모듈(100)은 바디(10), 콘덴서블럭(20), 제1,2리브(30)(40), 오링(50), 열전소자(70) 및 몰딩단열부(8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관련된 설명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냉각모듈(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 외측에서 본체결합공(215)에 끼어져 결합된다. 이때 바디몸체(11)의 선단측 외직경(D1)은 후단측 외직경(D2) 보다 작으므로, 바디몸체(11)를 본체결합공(215)에 끼울 때 바디몸체(11)의 선단은 본체결합공(215)에 쉽게 끼어지고 이후 점차 끼어질수록 바디몸체(11)의 외주면은 본체결합공(215)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냉각모듈(100)이 본체결합공(215)에 완전히 끼어지면 브라켓(12)이 냉장고 본체(210)의 후방측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몸체(11)에 제1,2리브(30)(40)를 형성하여 콘덴서블럭의 외측면을 몸체관통공(11a) 내주면에서 이격시키고, 바디(10)와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 사이 공간을 몰딩단열부(80)로 충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열전소자 주위로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 주변에서 습기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서 열전소자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오링(50)을 채용함으로서, 커버블럭(60)이 브라켓(12)에 결합되면서 열전소자(70)를 콘덴서블럭(20) 측으로 가압할 때, 압착되는 오링(50)은 열전소자(70)의 냉열단(71)과 온열단(72) 각각을 콘덴서블럭의 후단부(22) 및 커버블럭(60)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소자(70)의 냉열이 콘덴서블럭(20)의 후단부로 완벽하게 전도되고, 온열이 커버블럭(60)으로 완벽하게 전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냉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바디몸체(11)의 하단에 형성된 4 개의 브라켓(12) 각각에 2개씩 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브라켓관통공(16)이 형성되고, 커버블럭(60)의 가장자리측에는 8 개의 브라켓관통공(16)을 관통하는 볼트에 체결되기 위한 8 개의 나사공(66)이 형성됨으로써, 커버블럭(60)은 열전소자(70)에 1㎠ 면적당 15Kg 의 강한 압력을 고르게 인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냉각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콘덴서블럭(20) 자체가 냉열을 축적할 수 있어 열전소자(70)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냉장실(211) 내부에서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 내부에서의 온도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물품의 장기 냉장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와인이나 화장품과 같이 온도변화에 민감한 물품들을 장기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바디 11 ... 바디몸체
11a ... 몸체관통공 12 ... 브라켓
12a ... 가이드돌기 13 ... 전선홈
15 ... 경사입구단 16 ... 브라켓관통공
20 ... 콘덴서블럭 21 ... 선단부
22 ... 후단부 23 ... 걸림턱
30 ... 제1리브 31 ... 턱단
40 ... 제2리브 50 ... 오링
60 ... 커버블럭 60a ... 가이드공
70 ... 열전소자 71 ... 냉열단
72 ... 온열단 80 ... 몰딩단열부
210 ... 냉장고 본체 211 ... 냉장실
215 ... 본체결합공 220 ... 도어
230 ... 흡열유니트 231 ... 냉각핀
240 ... 방열유니트 241 ... 방열블럭
242 ... 냉매파이프 242 ... 방열핀

Claims (8)

  1. 사각형태의 몸체관통공(11a)이 형성된 바디몸체(11) 및 그 바디몸체(11)의 단부에 브라켓(12)이 형성된 바디(10);
    상기 몸체관통공(11a)에 끼어질 때 그 바디몸체(11) 선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선단부(21) 및 후방측 가장자리에 대칭되는 한쌍의 걸림턱(23)을 가지는 후단부(22)가 형성된 콘덴서블럭(20)와;
    상기 몸체관통공(11a) 내주면에 마주보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콘덴서블럭(20)의 외측면을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에서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23)이 걸어지는 턱단(31)이 형성된 한쌍의 제1리브(30);
    상기 한쌍의 제1리브(30) 사이에서 상기 몸체관통공(11a) 내주면에 마주보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걸림턱(23)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콘덴서블럭(20)의 외측면을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에서 이격시키는 한쌍의 제2리브(40);
    상기 브라켓(12)에 결합되는 커버블럭(60);
    한쌍의 상기 걸림턱(23) 사이에서, 상기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 사이에 밀착되는 열전소자(70);
    상기 열전소자(70)를 상기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콘덴서블럭(20)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23)과 턱단(31) 사이에 위치되는 오링(50); 및
    상기 바디(10)와 콘덴서블럭(20)과 커버블럭(60)과 열전소자(70) 사이 공간에 충진되는 몰딩단열부(8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관통공(11a)의 내주면 선단에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관통공(11a)과 콘덴서블럭(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형성된 경사입구단(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몸체(11)의 하단에 형성된 4 개의 브라켓(12) 각각에는 2개씩 볼트(미도시)가 관통되는 총 8 개의 브라켓관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블럭(60)의 가장자리측에는 상기 8 개의 브라켓관통공(16)을 관통하는 볼트가 체결되는 8 개의 나사공(6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의 모서리측 각각에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돌기(12a)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블럭(60)의 모서리측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2a)가 결합되는 가이드공(6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50709A 2015-10-29 2015-10-29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KR10159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09A KR101597947B1 (ko) 2015-10-29 2015-10-29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09A KR101597947B1 (ko) 2015-10-29 2015-10-29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947B1 true KR101597947B1 (ko) 2016-03-07

Family

ID=5554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709A KR101597947B1 (ko) 2015-10-29 2015-10-29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048B1 (ko) * 2016-11-11 2017-06-14 강희천 열전소자 구동형 냉장고
KR101753539B1 (ko) * 2016-11-24 2017-07-05 강희천 열전소자 냉각모듈을 채용한 냉장고
KR20230020368A (ko)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뷰웍스 이미지 센서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956A (ko) * 1998-10-09 2000-05-25 모리시타 요이찌 기록 데이타를 이용한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소프트웨어 갱신 방법
KR20030076859A (ko) * 2002-03-23 2003-09-29 조해광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품의 냉각장치 구조
KR101323876B1 (ko) * 2013-06-19 2013-10-30 주식회사 아맥스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956A (ko) * 1998-10-09 2000-05-25 모리시타 요이찌 기록 데이타를 이용한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소프트웨어 갱신 방법
KR20030076859A (ko) * 2002-03-23 2003-09-29 조해광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품의 냉각장치 구조
KR101323876B1 (ko) * 2013-06-19 2013-10-30 주식회사 아맥스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048B1 (ko) * 2016-11-11 2017-06-14 강희천 열전소자 구동형 냉장고
KR101753539B1 (ko) * 2016-11-24 2017-07-05 강희천 열전소자 냉각모듈을 채용한 냉장고
KR20230020368A (ko)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뷰웍스 이미지 센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876B1 (ko)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KR100455924B1 (ko)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냉각 및 가열 장치
US10526188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ld water and water purifier
KR101597947B1 (ko)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모듈
JP2008531960A (ja) 熱電素子を用いた貯蔵庫
KR102420992B1 (ko) 냉장고
KR101092396B1 (ko)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냉온장고
KR100611453B1 (ko) 저장고의 냉각 장치 조립을 위한 어셈블리
KR101372420B1 (ko)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
KR101848661B1 (ko) 냉각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KR20060100882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
KR101753539B1 (ko) 열전소자 냉각모듈을 채용한 냉장고
KR102210735B1 (ko) 열전소자 어셈블리
KR100657681B1 (ko) 저장고의 열전소자 조립구조
KR101747048B1 (ko) 열전소자 구동형 냉장고
KR101889256B1 (ko) 소형 냉장고용 히트파이프 방열장치
KR100708947B1 (ko) 열전소자를 사용하는 냉각 및 가열장치
CN108133914B (zh) 散热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291268B1 (ko) 히트싱크 조립체
KR20070003221A (ko) 저장고의 열전소자 장치부
KR102043226B1 (ko) 증기챔버어레이 및 방열어레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3d프린터로 제작된 방열 장치
KR200328885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동장치
KR102563492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및 이의 냉온장 방법
KR200447536Y1 (ko)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KR100556112B1 (ko) 자동차용 냉/온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5